KR20150070108A - 케이블,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0108A
KR20150070108A KR1020157007409A KR20157007409A KR20150070108A KR 20150070108 A KR20150070108 A KR 20150070108A KR 1020157007409 A KR1020157007409 A KR 1020157007409A KR 20157007409 A KR20157007409 A KR 20157007409A KR 20150070108 A KR20150070108 A KR 20150070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light
electrical contact
receptacle
optical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7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요시 스즈키
겐 이치무라
히데유키 스즈키
가즈아키 도바
마사나리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70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01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01B11/1891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comprising auxiliary condu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5Cables for special applications
    • G02B6/4416Heterogeneous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1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containing optical and electrical condu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85Multicore or multichannel optical connectors, i.e. one single ferrule containing more than one fibre, e.g. ribbon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the light guide being disconnectable from the opto-electronic element, e.g. mutually self aligning arrangements
    • G02B6/4293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the light guide being disconnectable from the opto-electronic element, e.g. mutually self aligning arrangements hybrid electrical and optical connections for transmitting electrical and optical sig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하고 저가이며 또한 소형인, 고속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광 인터페이스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광전 복합형 케이블을 제공한다. 적어도 1개의 광 파이버 케이블과, 상기 광 파이버 케이블을 사이에 두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2개의 전기 케이블과, 양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전기 케이블의 각각과 접속되는 전기 접점부를 갖는 플러그를 구비하는 케이블이 제공된다. 이러한 케이블은 안전하고 저가이며 또한 소형인, 고속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광 인터페이스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케이블,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C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케이블,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기의 고화소화의 기술의 진보가 최근 진행되고 있으며, 이 디스플레이 기기의 고화소화의 기술의 진보의 흐름은 앞으로도 계속되어 갈 것이 예상되고 있다. 그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소 수의 상승에 비례하여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비압축 신호의 전송 속도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에서는, 가로 720픽셀×세로 480픽셀 등의 SD 화질(표준 화질)로부터 가로 1920픽셀×세로 1080픽셀 등의 HD 화질(고정밀 화질)로의 전환이 진행되고 있지만, 소위 4K2K라고 하는, 수평 화소 수 4,000×수직 화소 수 2,000 전후의 화상 해상도와, 또한 그 이상의 수평 화소 수 7,680×수직 화소 수 4,320의 UHDTV(Ultra High Definition Television; 슈퍼 하이비전)에 대해서도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4K2K에서는 HD 화질의 4배의 전송 속도가, UHDTV에서는 HD 화질의 48배의 전송 속도가 필요해진다. 이러한 전송 속도에 있어서는, 종래의 구리선에 의한 비압축 영상 신호의 전송은 현실적이지 않다는 과제가 있으며, 100기가비트 이더넷 규격 등의, 다른 고속 데이터 통신과 마찬가지로 광 파이버 케이블에 의한 전송이 일반적으로 될 것이라 생각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37640호 공보
한편, CE(컨슈머 일렉트로닉스) 기기를 주된 용도로 하는, 대략 10Gbps 이상의 고속 광 인터페이스의 표준적인 규격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과 같이 전선과 광 파이버를 수용한 복합 케이블의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기는 하지만, 현 상황의 인터넷을 비롯한 인프라용 또는 업무용 광 인터페이스는, CE 기기에 요구되는, 레이저 광으로부터의 시력 보호, 현실적인 저비용, 최근의 소형 기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실현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고화소화의 흐름을 감안하면, CE 기기를 주된 용도로 하는, 안전하고 저가이며 또한 소형인 광 인터페이스가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안전하고 저가이며 또한 소형인, 고속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광 인터페이스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이고도 또한 개량된 광전 복합형 케이블,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1개의 광 파이버 케이블과, 상기 광 파이버 케이블을 사이에 두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2개의 전기 케이블과, 양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전기 케이블의 각각과 접속되는 전기 접점부를 갖는 플러그를 구비하는 케이블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2개의 전기 접점 및 상대측의 전자 기기에 광에 의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레이저 광을 발광하는 적어도 1개의 발광부를 갖는 리셉터클과, 상기 발광부로부터의 레이저 광의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 제어부는, 상기 리셉터클에 케이블이 접속되고, 상기 전기 접점에 상기 상대측의 전자 기기로부터 전류가 흘러 옴으로써, 상기 전류에 의하여 상기 발광부로부터의 레이저 광의 발광 제어를 개시하는 전자 기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2개의 전기 접점 및 상대측의 전자 기기로부터 발해진 광에 의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레이저 광을 수광하는 적어도 1개의 수광부를 갖는 리셉터클과, 상기 상대측의 전자 기기에 상기 전기 접점을 통한 전류의 공급을 제어하는 공급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급 제어부는, 상기 리셉터클에 케이블이 접속됨으로써, 상기 전기 접점을 통한 전류의 공급을 개시하는 전자 기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2개의 전기 접점 및 상대측의 전자 기기에 광에 의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레이저 광을 발광하는 적어도 1개의 발광부를 갖는 리셉터클에 케이블이 접속되고, 상기 전기 접점에 상기 상대측의 전자 기기로부터 전류가 흘러 옴으로써, 상기 전류에 의하여 상기 발광부로부터의 레이저 광의 발광 제어를 개시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2개의 전기 접점 및 상대측의 전자 기기로부터 발해진 광에 의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레이저 광을 수광하는 적어도 1개의 수광부를 갖는 리셉터클에 케이블이 접속되면, 상기 상대측의 전자 기기에 상기 전기 접점을 통한 전류의 공급을 개시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안전하고 저가이며 또한 소형인, 고속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광 인터페이스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이고도 또한 개량된 케이블,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케이블에 의하여 접속되는 전자 기기로 구성되는 시스템의 전체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케이블(1)의 구조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소스 기기(2)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싱크 기기(4)의 기능 구성예에 대하여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케이블(1)을 통한, 싱크 기기(4)로부터 소스 기기(2)에의 급전에 대하여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소스 기기(2) 및 싱크 기기(4)의 동작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일반적인 광 리본의 형상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케이블(1)의 단면예에 대하여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광전 복합 케이블 선재(11)가 비틀렸을 경우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광전 복합 케이블 선재(11)가 가로로 구부러졌을 경우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광전 복합 케이블 선재(11)가 세로로 구부러졌을 경우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케이블(1)이 가위에 의하여 절단되려고 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케이블(1)의 플러그(12)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플러그(12)의 구조예의 평면 및 정면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5a는 플러그와 리셉터클이 접합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5b는 플러그와 리셉터클이 접합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하는 것으로 한다.
<1.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
[시스템 구성예]
[케이블의 구조예]
[소스 기기의 기능 구성예]
[싱크 기기의 기능 구성예]
[케이블을 통한 급전]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의 동작예]
[케이블의 형상예]
<2. 정리>
<1.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
[시스템 구성예]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전체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케이블에 의하여 접속되는 전자 기기로 구성되는 시스템의 전체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전체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은 소스 기기(2)와 싱크 기기(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소스 기기(2)와 싱크 기기(4)는 케이블(1)로 접속되어 있다.
소스 기기(2)는 도 1에서는 스마트폰이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소형 모바일 기기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싱크 기기(4)는 도 1에서는 텔레비전 수상기를 도시하고 있다. 소스 기기(2)에는 케이블(1)을 접속하기 위한 소스 기기측 리셉터클(3)이 설치되어 있고, 싱크 기기(4)에는 케이블(1)을 접속하기 위한 싱크 기기측 리셉터클(5)이 설치되어 있다. 물론 도 1에 도시한 소스 기기(2)와 싱크 기기(4)는 일례에 불과한 것이며, 소스 기기(2) 및 싱크 기기(4)는 도 1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에는, 싱크 기기(4)에 싱크 기기측 리셉터클(5)이 복수(도면에서는 3개) 설치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여기서 「소스」, 「싱크」라는 단어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에 있어서의 「소스」, 「싱크」와 마찬가지의 정의로 사용하고 있다. 즉, 소스 기기(2)는 데이터를 발신하는 측의 기기이며, 싱크 기기(4)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측의 기기이다. 소스 기기(2)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는, 소스 기기(2)와 싱크 기기(4)가 케이블(1)로 접속되면, 케이블(1)을 통하여 싱크 기기(4)로 전송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데이터를 발신하는 측을 「소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측을 「싱크」라고 정의하였다.
케이블(1)은, 영상 음성의 출력원으로 되는 소스 기기(2)에 설치된 소스 기기측 리셉터클(3)과, 싱크 기기(4)에 설치된 싱크 기기측 리셉터클(5)을 연결하는 케이블이다. 케이블(1)은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그 외의 데이터, 제어 신호 및 전력 등의 수수를 소스 기기(2), 싱크 기기(4) 사이에서 행하는 것이다. 케이블(1)에는, 소스 기기(2)와 싱크 기기(4) 사이의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광 파이버 케이블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케이블(1)에는, 소스 기기(2)와 싱크 기기(4) 사이의 전력의 수수를 위하여 전기 케이블도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블(1)의 폭이나 커넥터의 크기는, 디지털 카메라나 스마트폰 등의 소형 전자 기기에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억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도 1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전체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케이블의 구조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케이블의 구조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케이블(1)의 구조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도 2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케이블(1)의 구조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1)은, 양 단부에 설치되는 2개의 플러그(12)와, 각각의 플러그(12)에 설치되는 2개 이상의 전기 접점부(13)와, 일렬로 대략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광 접점부(14)를 갖는다. 또한 2개의 플러그(12) 사이는, 후술하는 광전 복합 케이블 선재(11)로 구성된다. 광전 복합 케이블 선재(11)는 적어도 1개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광 파이버 케이블과, 2개 이상의 전기 케이블로 구성된다. 상기 전기 케이블은 전기 접점부(13)에 접속되어 있다.
플러그(12)는 소스 기기측 리셉터클(3) 또는 싱크 기기측 리셉터클(5)에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이다. 따라서 플러그(12)의 형상은 소스 기기측 리셉터클(3) 및 싱크 기기측 리셉터클(5)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규정되는 것이다. 또한 플러그(12)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 접점부(1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스 기기(2)와 싱크 기기(4) 사이의 전력의 수수를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플러그(12)의 형상이나, 플러그(12)에 설치되는 전기 접점부(13)의 위치는, 도 2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2에 도시한 광전 복합 케이블 선재(11)에, 1채널당 10Gbps의 고속 대용량 디지털 신호를 흘린다고 하면, 복수의 채널(개수)을 갖는 광 파이버를 광전 복합 케이블 선재(11)에 사용함으로써, 채널 수의 배수에 해당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전기만의 기기 간 인터페이스에서는 실현이 매우 곤란했던, 수십 Gbps로부터 100Gbps를 초과하는 초고속 통신이 가능해진다.
이상, 도 2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케이블(1)의 구조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소스 기기(2)의 기능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소스 기기의 기능 구성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소스 기기(2)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도 3을 사용하여 소스 기기(2)의 기능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소스 기기(2)는, 통합 칩 세트(22)와 메모리(23)와 표시부(24)와 신호 변환부(27)와 레이저 드라이브 회로(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소스 기기(2)에 설치되는 소스 기기측 리셉터클(3)은, 전기 접점(31, 32)과 복수의 발광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합 칩 세트(22)는 소스 기기(2)의 동작의 제어를 실행한다. 통합 칩 세트(22)가 실행하는 소스 기기(2)의 동작의 제어에는 다양한 것이 있지만, 예를 들어 통합 칩 세트(22)는, 소스 기기(2)로부터 싱크 기기(4)에 제공하는 화상이나 음성 등의 콘텐츠에 대하여, 싱크 기기(4)에 제공하기 위한 각종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메모리(23)는, 소스 기기(2)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동작의 제어에 사용되는 데이터 등이 저장되며, 필요에 따라 통합 칩 세트(22)로부터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판독된다. 표시부(24)는 화상, 문자 및 그 외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한다. 표시부(24)는 통합 칩 세트(22)의 제어에 의하여 화상, 문자 및 그 외의 정보를 표시한다.
신호 변환부(27)는 화상이나 음성 등의 콘텐츠의 데이터를, 레이저 드라이브 회로(35)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한다. 신호 변환부(27)가 생성한 신호는 레이저 드라이브 회로(35)에 공급된다. 레이저 드라이브 회로(35)는, 신호 변환부(27)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소스 기기측 리셉터클(3)의 발광부(34)를 발광시킨다.
발광부(34)는 레이저 드라이브 회로(35)에 의하여 레이저 광을 발광한다. 발광부(34)는, 예를 들어 발광에 의하여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VCSEL(Vertical Cavity Surface Emitting LASER; 수직 공진기면 발광 레이저) 소자나, VCSEL 소자와 결합적으로 형성되는 렌즈 등의 광학 부재 등을 포함한다.
발광부(34)는, 케이블(1)의 플러그 광학 접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 접점(31, 32)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복수의 발광부(34)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 설치된다. 전기 접점(31)은 소정의 전위, 예를 들어 +5V의 전위를 부여하는 전기 접점이며, 전기 접점(32)은 GND의 전위의 전기 접점이다. 소스 기기측 리셉터클(3)에 케이블(1)의 플러그(12)가 끼워 맞춰지면, 전기 접점(31, 32)과, 플러그(12)의 전기 접점부(13)가 접촉한다. 전기 접점(31, 32)과, 플러그(12)의 전기 접점부(13)의 접촉에 의하여 소스 기기(2)는 싱크 기기(4)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을 수 있다.
+5V의 전위를 부여하는 전기 접점(31)은 레이저 드라이브 회로(35)의 정극 전원부(36)와 연결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GND의 전기 접점(32)은 마찬가지로 레이저 드라이브 회로(35)의 GND(37)에 연결되어 있으며, 레이저 드라이브 회로(35)에 급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상, 도 3을 사용하여 소스 기기(2)의 기능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싱크 기기(4)의 기능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싱크 기기의 기능 구성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싱크 기기(4)의 기능 구성예에 대하여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도 4를 사용하여 싱크 기기(4)의 기능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싱크 기기(4)는 통합 칩 세트(42)와 구동 회로(43)와 표시부(44)와 신호 처리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싱크 기기측 리셉터클(5)은 전기 접점(51, 52)과 복수의 수광부(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합 칩 세트(42)는 싱크 기기(4)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통합 칩 세트(42)는, 소스 기기(2)로부터 케이블(1)을 통하여 전송되어 온 화상, 음성 등의 콘텐츠의 데이터를 표시부(44)에 표시하기 위한 신호 처리를 실행하여, 구동 회로(43)에 제공한다. 구동 회로(43)는 통합 칩 세트(42)로부터 신호를 취득하여, 표시부(44)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한다. 표시부(44)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하며, 구동 회로(43)에 의하여 구동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싱크 기기(4)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싱크 기기측 리셉터클(5)을 1개 또는 복수 구비하고, 각각의 싱크 기기측 리셉터클(5)에는, 수광함으로써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포토 다이오드 소자, 및 포토 다이오드 소자와 결합적으로 형성되는 렌즈 등의 광학 부재 등에 의한 복수의 수광부(54)가 케이블(1)의 플러그 광학 접점에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수광부(54)를 사이에 두도록 전기 접점(51, 52)이 설치된다. 전기 접점(51)은, 예를 들어 +5V의 전위를 부여하는 전기 접점이며, 전기 접점(52)은 GND의 전위의 전기 접점이다. 싱크 기기측 리셉터클(5)에 케이블(1)의 플러그(12)가 끼워 맞춰지면, 전기 접점(51, 52)과, 플러그(12)의 전기 접점부(13)가 접촉한다. 전기 접점(51, 52)과, 플러그(12)의 전기 접점부(13)의 접촉에 의하여 싱크 기기(4)는 소스 기기(2)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케이블(1)을 통하여 전송되어 오는, 소스 기기(2)가 제공하는 화상, 음성 등의 콘텐츠는, 후술하는, 케이블(1)의 각 채널의 광 파이버 심선(17)에서 광 신호로서 유도된다. 광 파이버 심선(17)에서 유도되어 온 광 신호는, 후술하는 각 채널의 광 접점부(14)에 대응하는, 각 채널의 수광부(54)에 각각 광학적으로 접합된다.
수광부(54)로부터의 신호는, 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53)에서 증폭, 병렬화 등의 처리가 이루어진 후에 통합 칩 세트(42)에서 신호 처리가 실시된다. 통합 칩 세트(42)는 신호 처리 후의 신호를 구동 회로(43)에 공급하고, 구동 회로(43)는 표시부(44)의 구동에 적당한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표시부(44)에, 소스 기기(2)로부터 전송되어 온 화상의 내용이 표시되고,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에 의하여 소스 기기(2)로부터 전송되어 온 음성이 발해진다.
이상, 도 4를 사용하여 싱크 기기(4)의 기능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소스 기기(2)와 싱크 기기(4)를 연결하는 케이블(1)을 통한 급전에 의한, 소스 기기(2)의 발광 및 급전에 대하여 설명한다.
[케이블을 통한 급전]
도 5는 케이블(1)을 통한, 싱크 기기(4)로부터 소스 기기(2)에의 급전에 대하여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도 5를 사용하여 케이블(1)을 통한 급전에 의한, 소스 기기(2)의 발광 및 급전에 대하여 설명한다.
케이블(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단부에 2개의 플러그(12)가 설치되고, 각각의 플러그(12)에는 2개 이상의 전기 접점부(13)가 설치된다. 그리고 케이블(1)은, 양 단부의 플러그(12)에 설치된 전기 접점부(13)끼리를 연결하는, 2개 이상의 전기 케이블(15)이 설치된다.
싱크 기기(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싱크 기기측 리셉터클(5)에 전기 접점(51, 52)을 구비한다. 전기 접점(51)은, 예를 들어 +5V의 전위를 부여하는 전기 접점이며, 전기 접점(52)은 GND의 전위의 전기 접점이다. 싱크 기기측 리셉터클(5)에 플러그(12)가 삽입되면, 전기 접점(51, 52)에 전기 접점부(13)가 접촉한다. 그 전기 접점(51, 52)과 전기 접점부(13)의 접촉에 의해, 싱크 기기측 리셉터클(5)로부터 케이블(1)의 반대측 플러그(12)에 대하여, 전기 케이블(15)을 통한 5V의 급전이 행해진다.
그 반대측의 플러그(12)는 소스 기기측 리셉터클(3)에 삽입되면, 전기 접점(31, 32)에 전기 접점부(13)가 접촉한다. 그 접촉으로 인하여, 소스 기기측의 레이저 드라이브 회로(35)에 +5V의 전위가 부여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GND측도 케이블(1)의 전기 케이블(15)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싱크 기기(4)로부터의 급전에 의하여, 소스 기기(2)의 발광부(34)의 구동이 가능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소스 기기(2)와 싱크 기기(4)를 케이블(1)로 접속하면, 케이블(1)에 설치되는 전기 케이블(15)을 사용하여, 소스 기기(2)에의 급전이나, 소스 기기(2)가 배터리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그 배터리에의 충전도 가능해진다.
이상, 도 5를 사용하여, 케이블(1)을 통한 급전에 의한, 소스 기기(2)의 발광 및 급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케이블(1)에 의하여 소스 기기(2)와 싱크 기기(4)가 접속되었을 때의, 소스 기기(2) 및 싱크 기기(4)의 동작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의 동작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에 있어서, 케이블(1)에 의하여 소스 기기(2)와 싱크 기기(4)가 접속되었을 때의, 소스 기기(2) 및 싱크 기기(4)의 동작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6을 사용하여, 케이블(1)에 의하여 소스 기기(2)와 싱크 기기(4)가 접속되었을 때의, 소스 기기(2) 및 싱크 기기(4)의 동작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케이블(1)에 의하여 소스 기기(2)와 싱크 기기(4)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케이블 비접속 시에는, 싱크 기기(4)는 대기 모드에 있다(스텝 S101). 대기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는, 싱크 기기(4)의 +5V 측의 전기 접점(51)은 통상, 소전류의 모드에 들어가 있다.
소스 기기(2) 및 싱크 기기(4)는 케이블(1)에 의하여 소스 기기(2)와 싱크 기기(4)가 접속되기까지 대기한다(스텝 S102). 케이블(1)에 의하여 소스 기기(2)와 싱크 기기(4)가 접속되면, 싱크 기기(4)는 +5V 측의 전기 접점(51)과, GND측의 전기 접점(52) 사이에서 전류가 흐른 것을 검지함으로써, 케이블(1)을 통하여 소스 기기(2)와의 사이의 접속을 검지한다(스텝 S103). 싱크 기기(4)측의 +5V 측의 전기 접점(51)은, 케이블(1)에 의하여 소스 기기(2)와 싱크 기기(4)가 접속됨으로써, 대기 모드 시보다 큰, 규정된 전류값을 공급할 수 있는 모드에 들어간다.
계속하여, 싱크 기기(4)는 전기 케이블(15) 중, +5V가 싱크 기기(4)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에, 싱크 기기(4)로부터 전원 공급의 준비가 완료된 것을 알리기 위한 펄스를 소스 기기(2)로 보낸다(스텝 S104).
싱크 기기(4)로부터, 전원 공급의 준비가 완료된 것을 알리기 위한 펄스를 받은 소스 기기(2)는 +5V 전원측의 전기 접점(31)으로부터, 규정된 전류값을 얻어 레이저 드라이브 회로(35)를 구동한다(스텝 S105). 또한 소스 기기(2)가 싱크 기기(4)로부터 급전을 받는 경우에는, 소스 기기(2)는 싱크 기기(4)로부터 급전을 받기 위한 모드에 들어간다(스텝 S106).
또한 케이블(1)을 통하여 소스 기기(2)와의 접속을 검지한 싱크 기기(4)는 싱크 기기측 리셉터클(5)의 수광부(54)의 회로를 활성화하도록, 예를 들어 통합 칩 세트(42)로부터 제어한다(스텝 S107).
소스 기기(2) 및 싱크 기기(4)는 이와 같이 구동됨으로써, 양쪽의 기기가 케이블(1)에 의하여 확실히 접속되었을 경우에만 소스 기기측 리셉터클(3)의 발광부(34)로부터 레이저 광이 발광하게 된다.
또한 소스 기기(2) 및 싱크 기기(4)는 이와 같이 구동됨으로써, 케이블(1)이 빠졌을 때는 전기 케이블(15)에 의한 접속이 오픈으로 되므로, 싱크 기기(4)로부터 소스 기기(2)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게 되어, 소스 기기측 리셉터클(3)의 발광부(34)로부터 레이저 광의 발진은 멎게 된다.
즉, 케이블(1)에 의하여 확실히 소스 기기(2) 및 싱크 기기(4)가 접속되지 않으면, 싱크 기기(4)로부터 소스 기기(2)에 +5V의 전위가 공급되는 일은 없으며, 따라서 발광부(34)로부터 레이저 광이 발광하는 일은 없으므로, 시력 보호가 실현된다.
이상, 도 6을 사용하여, 케이블(1)에 의하여 소스 기기(2)와 싱크 기기(4)가 접속되었을 때의, 소스 기기(2) 및 싱크 기기(4)의 동작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소스 기기(2) 및 싱크 기기(4)의 동작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케이블(1)을 통한 접속을 검지한 싱크 기기(4)는 싱크 기기측 리셉터클(5)의 수광부(54)를 활성화했을 때, 초기 단계에서 우선, 싱크 기기(4)의 복수의 수광부(54) 중, 소정의 우선되는 1채널만을 활성화해도 된다. 또한 그 수광부(54) 중 우선되는 1채널에 대응하는, 소스 기기(2)의 발광부(34)로부터의 신호에는, 실제로 사용할 예정인 채널을 지정하는 지정 신호를 넣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싱크 기기(4)의 수광부(54) 중 우선되는 1채널이, 발광부(34)로부터 실제로 사용할 예정인 채널을 지정하는 지정 신호를 수신하면, 그 지정 신호에서 지정되어 있는, 추가로 필요한 수만큼의 채널에 대응하는 수광부(54)만을 활성화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소스 기기(2) 및 싱크 기기(4)를 동작시킴으로써, 소스 기기(2)와 싱크 기기(4)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수광부에만 통전되고, 필요하지 않은 수광부에는 통전되지 않으므로, 전력 소비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이 소스 기기(2) 및 싱크 기기(4)가 구성됨으로써, 대기 시의 저소비 전력의 실현, 및 필요한 일부의 채널만의 부분적인 구동에 의한 저소비 전력의 실현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일부의 채널만이 부분적으로 구동되는 경우로서는, 예를 들어 소스 기기(2)로부터 싱크 기기(4)에 전달하는 신호의 비트 레이트가 낮은 경우가 생각된다. 소스 기기(2)로부터 싱크 기기(4)에 전달하는 신호의 비트 레이트가 낮은 경우에는 모든 채널을 구동할 필요는 없으며, 신호의 비트 레이트에 따른 최소한의 채널만 구동시키면 소스 기기(2)로부터 싱크 기기(4)에의 신호의 전달을 행할 수 있다.
[케이블의 형상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케이블(1)의 형상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일반적인 광 리본의 형상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며, 도 8은 케이블(1)의 단면예에 대하여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우선 도 7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광 리본(19)의 형상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는 복수 개의 광 파이버 심선(17)을 일렬로 배열하고, 그 일렬로 배열한 광 파이버 심선(17)을 보호하기 위하여, 수지로 되어 있는 피복(18)을 주위에 덮어씌움으로써 광 리본(19)이 구성된다. 광 파이버 심선(17)의 개수로서는, 예를 들어 2심, 4심, 8심, 12심 등이 일반적으로 생각되고 있지만, 광 파이버 심선(17)의 개수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8을 사용하여 케이블(1)의 단면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2개의 플러그(12)를 연결하는 광전 복합 케이블 선재(11)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광 파이버 심선(17)을 사이에 두는 형태로 전기 케이블(15)을 갖고 있다. 또한 그 광전 복합 케이블 선재(11)의 단면을 보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파이버 심선(17)의 부분 피복(18)의 두께 치수 t보다, 광 파이버 심선(17)을 사이에 두는 전기 케이블(15)의 피복부(16)의 직경 또는 두께 ΦD쪽이 두껍게 되어 있다.
케이블(1)을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효과가 초래된다. 우선, 광전 복합 케이블 선재(11)가 항상 바닥이나 테이블 등의 평면과 접촉하는 경우에는 전기 케이블(15)의 피복부가 접촉하게 되어, 광 파이버 심선(17) 및 광 파이버 심선의 피복(18)에 대하여 외부적인 손상을 입히기 어렵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초래된다.
또한 광전 복합 케이블 선재(11)가 인장되었을 때의 역학적인 보유 지지 부재(텐션 멤버)로서의 역할을 전기 케이블(15)에 갖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초래한다. 도 9, 도 10, 도 11은 각각 광전 복합 케이블 선재(11)가 비틀렸을 경우, 가로로 구부러졌을 경우, 세로로 구부러졌을 경우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9,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학적인 지지 부재로서의 역할과 함께, 광전 복합 케이블 선재(11)가 비틀렸을 경우, 가로로 또는 세로로 구부러졌을 경우 모두에 있어서, 그 최대 변위 및 힘 F는, 굽힘의 중심으로 되는 축의 거리에 비례한다. 따라서 광전 복합 케이블 선재(11)가 비틀렸을 경우, 가로로 또는 세로로 구부러졌을 경우 모두에 있어서, 최대 변위 및 힘 F는 전기 케이블(15) 및 전기 케이블(15)의 피복부(16)에서 가해지게 되어, 케이블(1)에는, 광 파이버 심선(17) 및 그 피복(18)에 대하여 과도한 응력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초래된다.
도 12는 케이블(1)이 가위에 의하여 절단되려고 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가위나 커터, 예리한 모서리 등에 의하여 케이블(1)이 절단될 때도, 처음에 주변의 전기 케이블(15) 및 전기 케이블(15)의 피복부(16)가 절단된다. 따라서 광 파이버 심선(17) 및 광 파이버 심선의 피복(18)은, 전기 케이블(15) 및 전기 케이블(15)의 피복부(16)가 절단된 후에 절단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1)로 소스 기기(2)와 싱크 기기(4)가 접속된 상태에서 광전 복합 케이블 선재(11)가 절단될 때는 전기 케이블(15)이 우선 절단되기 때문에, 싱크 기기(4)로부터 소스 기기(2)에의 급전이 끊겨 소스 기기(2)의 레이저 광의 발진(발광)은 멎게 된다. 즉, 케이블(1)이 전부 또는 일부가 절단된 상태에서는, 인간의 눈에 있어서 에너지 밀도가 높기 때문에 유해하게 될 가능성이 있는 적외광선 또는 가시광이 케이블(1)의 절단면으로부터 발해지는 일은 없게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플러그(12)가 싱크 기기측 리셉터클(5)에 꽂혀 있지 않은 경우에도, 플러그(12)의 단부면이나 광 접점부(14)로부터 적외광선 또는 가시광이 발해지는 일은 없게 된다. 따라서 케이블(1)로 소스 기기(2)와 싱크 기기(4)가 접속된 상태에서 광전 복합 케이블 선재(11)가 절단되었다고 하더라도, 시력 보호를 실현할 수 있다.
계속해서, 케이블(1)의 양 단부에 설치되는 플러그(12)의 구조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케이블(1)의 플러그(12)의 어느 구조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14는 플러그(12)의 다른 구조예의 평면 및 정면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전 복합 케이블 선재(11)는, 복수 개의 광 파이버 심선(17)을 사이에 두는 형태로 전기 케이블(15)이 구비된다. 따라서 플러그(12)의 구조로서는,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가 생각된다.
도 13은 플러그(12)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에 도시한 예에서는, 복수 개의 광 파이버 심선(17)이 일렬로 배열되어 있으며, 광 파이버 심선(17)의 전방면에 광 접점부(14)의 부재가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4는 플러그(12)의 다른 구조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에 도시한 플러그(12)에는 복수 개의 광 파이버 심선(17)이 일렬로 배열되어 있으며, 그 전방면에, 광학 접점부(14)의 부재가 위치 결정 구멍부(61, 62)를 양측에 갖고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4는 플러그(12)의 우측 절반만, 플러그(12)의 내부 구조를 알 수 있도록 도시한 것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구멍부(61, 62)의 광 파이버 심선(17)이 있는 반대측의 측면으로부터, 스프링 요소를 가진 전기 접점부(13)가 위치 결정 구멍부(61, 62)에 들어가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예에서는, 광 접점부(14)의 부재는 복수의 채널의 것이 일체적으로 일렬로 성형되어 있다고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케이블에 있어서의 광 접점부의 형태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플러그(12)와, 소스 기기(2)의 소스 기기측 리셉터클(3), 또는 싱크 기기(4)의 싱크 기기측 리셉터클(5)의 접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a, 도 15b는 플러그(12)와, 소스 기기(2)의 소스 기기측 리셉터클(3), 또는 싱크 기기(4)의 싱크 기기측 리셉터클(5)이 접합되는 모습을 평면도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15a, 도 15b는 플러그(12)의 우측 절반만, 플러그(12)의 내부 구조를 알 수 있도록 도시한 것이다. 도 15a는 플러그(12)와, 소스 기기(2)의 소스 기기측 리셉터클(3) 또는 싱크 기기(4)의 싱크 기기측 리셉터클(5)이 접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b는 플러그(12)와, 소스 기기(2)의 소스 기기측 리셉터클(3) 또는 싱크 기기(4)의 싱크 기기측 리셉터클(5)이 접합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소스 기기측 리셉터클(3) 또는 싱크 기기측 리셉터클(5)에는 위치 결정 핀(63, 64)이 배치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 핀(63, 64)이 소스 기기측 리셉터클(3) 또는 싱크 기기측 리셉터클(5)의 전기 접점으로 되어 있다. 플러그(12)가 소스 기기측 리셉터클(3) 또는 싱크 기기측 리셉터클(5)에 삽입될 때는, 위치 결정 핀(63, 64)이 플러그(12)의 위치 결정 구멍부(61, 62)에 삽입되고, 스프링 요소를 가진 전기 접점부(13)와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인 도통이 행해짐과 함께, 삽입 방향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또한 플러그(12)의 광 접점부(14)가 소스 기기(2)의 발광부(34) 또는 싱크 기기(4)의 수광부(54)에 대하여 위치 결정됨으로써, 소스 기기(2)와 싱크 기기(4) 사이에서 광에 의한 통신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플러그(12)는 조립 시에, 광전 복합 케이블 선재(11)에 있어서는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2개의 전기 케이블(15)(피복을 포함함) 및 광 리본(19)을 플러그(12)의 밑동에서 3개로 분리시킨다. 그리고 전기 케이블(15)은 피복이 박리된 후에 코오킹 등의 수단에 의하여, 복수의 광 파이버 심선(17)의 외측에 위치하는 전기 접점부(13)와 전기적으로 접합된다. 한편, 중앙 부분에 있는 복수 개의 광 파이버 심선(17)은, 그 피치(심선 간격)와 동일한 피치로 배열되는 복수의 광 접점부(14)로 된다. 또한 광 파이버 심선(17)은, 동일한 피치로 배열되는 복수의 채널의 광의 집광용 렌즈 등을 가진, 일체적으로 성형된 광 접점부와 간격을 두고 상대하거나, 또는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간격을 두지 않고 상대하여 밀착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케이블(1)은 휴대 전화나 디지털 카메라에 접속되는 것이므로, 케이블(1)의 플러그(12)의 크기는 비교적 소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마이크로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와 동등한 크기 또는 그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4에서 도시한 플러그(12)의 형상은 일례이며,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의 플러그 형상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케이블(1)의 형상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블 형태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설명에서는, 전기 접점부(13)는 플러그(12)에 2개 설치되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기 접점부(13)는 플러그(12)에 3개, 4개 또는 그 이상 존재시켜도 된다. 플러그(12)에 3개 이상의 전기 접점부(13)를 설치하였을 때는, 예를 들어 +5V 측의 신호를 미소 차동 신호로 하고, 종래의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등의, 기존의 전기 인터페이스의 신호를 전기 접점부(13)를 통하여 흘리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위치 결정 핀의 구조로서, 전기 접점부(13)를, 연마 축을 사용하여 전체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구조를 가져도 된다. 또한 그 연마 축에, 접합의 클릭감을 부여하거나 압착을 유도하거나 하기 위한 홈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광 리본(19)은 반드시 1열은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동일한 12심을 가정하더라도, 12심을 일렬로 배열해도 되고 4심씩 3열로 배열해도 된다. 또한 복수 개의 광 파이버 심선(17)을, 그 피치(심선 간격)와 동일한 피치로 배열되는 복수의 광 접점부(14)와 상대하게 하여 플러그(12)를 구성할 수도 있다.
<2. 정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광전 복합 인터페이스, 및 광전 복합 인터페이스에 사용하는 케이블(1)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1), 소스 기기(2)의 소스 기기측 리셉터클(3) 및 싱크 기기(4)의 싱크 기기측 리셉터클(5)을, 상술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함으로써, 종래의 전기만의 기기 간 인터페이스에 있어서는 실현이 매우 곤란했던, 수십 Gbps 내지 100Gbps 초과의 초고속 통신이 가능한, 종래에 존재하지 않던, CE 기기에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실현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업무용 광 인터페이스와 달리, 가정 등에서 사용되는 CE 기기에 적합한, 취급하기 용이한 형상이면서, 케이블에 내장되어 있는 광 파이버의 파단의 방지, 통신에서 사용되는 레이저 광으로부터의 시력 보호의 실현, 소스 기기의 저소비 전력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1)의 플러그 소형화 박형화를 실현하여 조립 비용을 저감시켜, 저가로의 제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케이블(1), 소스 기기(2) 및 싱크 기기(4)는, 앞으로의 디스플레이의 고화소화에 수반하는 비압축 신호의 전송 속도의 상승에 대응한, 안전하고 저가인, 신규의 광전 복합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의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사람이면,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음은 명확하며,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도 취할 수 있다.
(1)
적어도 1개의 광 파이버 케이블과,
상기 광 파이버 케이블을 사이에 두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2개의 전기 케이블과,
양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전기 케이블의 각각과 접속되는 전기 접점부를 갖는 플러그
를 구비하는 케이블.
(2)
상기 전기 케이블의 피복부의 단면의 직경은, 상기 광 파이버 케이블의 피복부의 두께보다 긴, 상기 (1)에 기재된 케이블.
(3)
상기 광 파이버 케이블의 개수는 2개 이상이며, 복수 개의 상기 광 파이버 케이블이 일렬로 설치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케이블.
(4)
상기 광 파이버 케이블의 개수는 2개 이상이며, 복수 개의 상기 광 파이버 케이블이 2열 이상으로 설치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케이블.
(5)
상기 플러그는, 리셉터클에 접합될 때의 위치 결정부를 구비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케이블.
(6)
상기 전기 접점부는, 상기 플러그가 상기 리셉터클에 접합될 때 상기 위치 결정부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5)에 기재된 케이블.
(7)
상기 전기 접점부는 스프링 요소를 갖는, 상기 (6)에 기재된 케이블.
(8)
적어도 2개의 전기 접점 및 상대측의 전자 기기에 광에 의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레이저 광을 발광하는 적어도 1개의 발광부를 갖는 리셉터클과,
상기 발광부로부터의 레이저 광의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 제어부는, 상기 리셉터클에 케이블이 접속되고, 상기 전기 접점에 상기 상대측의 전자 기기로부터 전류가 흘러 옴으로써, 상기 전류에 의하여 상기 발광부로부터의 레이저 광의 발광 제어를 개시하는 전자 기기.
(9)
상기 발광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로부터의 레이저 광의 발광 제어를 개시한 시점에서는, 상기 상대측의 전자 기기와의 사이의 통신에 필요한 최소한의 상기 발광부만으로부터 발광시키는, 상기 (8)에 기재된 전자 기기.
(10)
적어도 2개의 전기 접점 및 상대측의 전자 기기로부터 발해진 광에 의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레이저 광을 수광하는 적어도 1개의 수광부를 갖는 리셉터클과,
상기 상대측의 전자 기기에 상기 전기 접점을 통한 전류의 공급을 제어하는 공급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공급 제어부는, 상기 리셉터클에 케이블이 접속됨으로써, 상기 전기 접점을 통한 전류의 공급을 개시하는, 전자 기기.
(11)
적어도 2개의 전기 접점 및 상대측의 전자 기기에 광에 의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레이저 광을 발광하는 적어도 1개의 발광부를 갖는 리셉터클에 케이블이 접속되고, 상기 전기 접점에 상기 상대측의 전자 기기로부터 전류가 흘러 옴으로써, 상기 전류에 의하여 상기 발광부로부터의 레이저 광의 발광 제어를 개시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12)
적어도 2개의 전기 접점 및 상대측의 전자 기기로부터 발해진 광에 의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레이저 광을 수광하는 적어도 1개의 수광부를 갖는 리셉터클에 케이블이 접속되면, 상기 상대측의 전자 기기에 상기 전기 접점을 통한 전류의 공급을 개시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1: 케이블
2: 소스 기기
3: 소스 기기측 리셉터클
4: 싱크 기기
5: 싱크 기기측 리셉터클
11: 광전 복합 케이블 선재
12: 플러그
13: 전기 접점부
14: 광 접점부
15: 전기 케이블
16: 피복부
17: 광 파이버 심선
18: 피복
19: 광 리본
22: 통합 칩 세트
23: 메모리
24: 표시부
27: 신호 변환부
31, 32: 전기 접점
34: 발광부
35: 레이저 드라이브 회로
36: 정극 전원부
42: 통합 칩 세트
43: 구동 회로
44: 표시부
51, 52: 전기 접점
53: 신호 처리부
54: 수광부
61, 62: 위치 결정 구멍부
63, 64: 위치 결정 핀

Claims (12)

  1. 적어도 1개의 광 파이버 케이블과,
    상기 광 파이버 케이블을 사이에 두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2개의 전기 케이블과,
    양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전기 케이블의 각각과 접속되는 전기 접점부를 갖는 플러그
    를 구비하는, 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케이블의 피복부의 단면의 직경은, 상기 광 파이버 케이블의 피복부의 두께보다 긴, 케이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파이버 케이블의 개수는 2개 이상이며, 복수 개의 상기 광 파이버 케이블이 일렬로 설치되는, 케이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파이버 케이블의 개수는 2개 이상이며, 복수 개의 상기 광 파이버 케이블이 2열 이상으로 설치되는, 케이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리셉터클에 접합될 때의 위치 결정부를 구비하는, 케이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점부는, 상기 플러그가 상기 리셉터클에 접합될 때 상기 위치 결정부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케이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점부는 스프링 요소를 갖는, 케이블.
  8. 적어도 2개의 전기 접점 및 상대측의 전자 기기에 광에 의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레이저 광을 발광하는 적어도 1개의 발광부를 갖는 리셉터클과,
    상기 발광부로부터의 레이저 광의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 제어부는, 상기 리셉터클에 케이블이 접속되고, 상기 전기 접점에 상기 상대측의 전자 기기로부터 전류가 흘러 옴으로써, 상기 전류에 의하여 상기 발광부로부터의 레이저 광의 발광 제어를 개시하는, 전자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로부터의 레이저 광의 발광 제어를 개시한 시점에서는, 상기 상대측의 전자 기기와의 사이의 통신에 필요한 최소한의 상기 발광부만으로부터 발광시키는, 전자 기기.
  10. 적어도 2개의 전기 접점 및 상대측의 전자 기기로부터 발해진 광에 의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레이저 광을 수광하는 적어도 1개의 수광부를 갖는 리셉터클과,
    상기 상대측의 전자 기기에 상기 전기 접점을 통한 전류의 공급을 제어하는 공급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공급 제어부는, 상기 리셉터클에 케이블이 접속됨으로써, 상기 전기 접점을 통한 전류의 공급을 개시하는, 전자 기기.
  11. 적어도 2개의 전기 접점 및 상대측의 전자 기기에 광에 의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레이저 광을 발광하는 적어도 1개의 발광부를 갖는 리셉터클에 케이블이 접속되고, 상기 전기 접점에 상기 상대측의 전자 기기로부터 전류가 흘러 옴으로써, 상기 전류에 의하여 상기 발광부로부터의 레이저 광의 발광 제어를 개시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12. 적어도 2개의 전기 접점 및 상대측의 전자 기기로부터 발해진 광에 의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레이저 광을 수광하는 적어도 1개의 수광부를 갖는 리셉터클에 케이블이 접속되면, 상기 상대측의 전자 기기에 상기 전기 접점을 통한 전류의 공급을 개시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20157007409A 2012-10-10 2013-09-25 케이블,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500701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24876 2012-10-10
JPJP-P-2012-224876 2012-10-10
PCT/JP2013/075911 WO2014057807A1 (ja) 2012-10-10 2013-09-25 ケーブル、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108A true KR20150070108A (ko) 2015-06-24

Family

ID=50477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7409A KR20150070108A (ko) 2012-10-10 2013-09-25 케이블,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9791650B2 (ko)
EP (1) EP2897136B1 (ko)
JP (2) JPWO2014057807A1 (ko)
KR (1) KR20150070108A (ko)
CN (1) CN104718583B (ko)
BR (1) BR112015007525A2 (ko)
CA (1) CA2887200A1 (ko)
RU (1) RU2665703C2 (ko)
WO (1) WO20140578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39569B2 (en) * 2016-04-05 2018-11-27 Radius Universal, LLC Connector assemblies for hybrid fiber/wire connections
US10277330B2 (en) 2013-09-19 2019-04-30 Radius Universal Llc Fiber optic communications and power network
US10663672B2 (en) 2016-04-05 2020-05-26 Radius Universal Llc Connector assemblies for hybrid fiber/wire connections
US10931915B2 (en) 2016-06-01 2021-02-2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Transmission device, reception device, cable, transmission method, and reception method
CN106205853A (zh) * 2016-08-30 2016-12-07 通鼎互联信息股份有限公司 一种usb3.1传输用光电复合缆
CN107819636A (zh) * 2016-09-13 2018-03-20 联想企业解决方案(新加坡)有限公司 用于定位数据电缆的装置和方法
CN107104330A (zh) * 2017-02-14 2017-08-29 珠海普生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抗干扰的医用电缆
CN109980708B (zh) * 2017-12-28 2021-03-23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供电装置、供电系统以及供电方法
US10739541B2 (en) * 2018-09-07 2020-08-11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Optical cable assemblies having variable output current limits
CN114664216B (zh) * 2022-02-21 2022-10-18 北京富通亚讯网络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带mpo光纤功能的显示系统
CN115185046A (zh) * 2022-07-04 2022-10-14 京东科技信息技术有限公司 光源模块、初始化和控制方法以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9514U (ja) * 1983-08-26 1985-03-19 トヨクニ電線株式会社 平型ケ−ブル
NL8403691A (nl) * 1984-12-05 1986-07-01 Philips Nv Optische verbindingsinrichting.
CN1007020B (zh) * 1985-07-15 1990-02-28 Bicc公众有限公司 一种改进的光导纤维带结构
JPS6344585U (ko) 1986-09-10 1988-03-25
JPS6438910A (en) * 1987-08-04 1989-02-09 Mitsubishi Rayon Co Flat type composite cable
JPH01148662U (ko) * 1988-03-31 1989-10-16
US4969924A (en) 1989-05-18 1990-11-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o-optical connector plug
US5109452A (en) * 1990-07-16 1992-04-28 Puritan-Bennett Corporation Electrical-optical hybrid connector
US5259050A (en) * 1991-09-04 1993-11-02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Multicore optical connector with partitions to separate the optical fibers into groups
JPH0737441A (ja) * 1993-07-20 1995-02-07 Fujikura Ltd 複合プラグ付き電源・光複合コード
JPH0750638A (ja) 1993-08-04 1995-02-21 Hitachi Ltd 光インタコネクト送信回路及び光インタコネクト送信装置
JP4300632B2 (ja) * 1998-06-10 2009-07-22 ソニー株式会社 光送受信装置
JP2000214354A (ja) * 1999-01-21 2000-08-04 Toshiba Corp 光ファイバコ―ドおよび光リンクシステム
EP1168019A3 (en) * 2000-06-21 2004-04-21 Mitsubishi Cable Industries, Ltd. Connector with a connection detection function, optical fiber cable with a connection detection function, and equipment control mechanism for an optical equipment
JP2006157811A (ja) * 2004-12-01 2006-06-15 Fuji Xerox Co Ltd 伝送エラーを減少させる光伝送方法及び光伝送装置
JP4193067B2 (ja) * 2005-04-28 2008-12-1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dviケーブル及び光信号伝送装置
JP2007149499A (ja) * 2005-11-28 2007-06-14 Teac Corp コネクタ及びプラグ並びにジャック
US7272282B1 (en) * 2006-07-31 2007-09-18 Corning Cable Systems. Llc. Fiber optic cables and assemblies suitable for distribution
JP5228398B2 (ja) 2007-08-16 2013-07-03 日立電線株式会社 複合ケーブル
JP2009210906A (ja) * 2008-03-05 2009-09-17 Tomoegawa Paper Co Ltd 光ファイバ集合体
JP5386290B2 (ja) 2009-03-13 2014-01-15 株式会社フジクラ 光結合構造および光送受信モジュール
US8380028B2 (en) 2009-05-18 2013-02-19 Hitachi Cable, Ltd. Composite cable
JP2010272417A (ja) * 2009-05-22 2010-12-02 Hitachi Cable Ltd 複合ケーブル
RU90058U1 (ru) * 2009-10-14 2009-12-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ЭГО"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линия связи между модулями системы безопасности грузоподъемного крана
CN102043204B (zh) * 2009-10-20 2012-12-1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连接器
US8727637B2 (en) * 2010-03-19 2014-05-20 Corning Incorporated Fiber optic interface devices for electronic devices
CN102792202A (zh) 2010-03-19 2012-11-21 康宁公司 具有可平移套管的光纤接口装置
US9046671B2 (en) 2010-05-14 2015-06-02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Composite optical fiber cable and composite optical fiber cable assembly providing protection by flexure
JP5080624B2 (ja) 2010-08-31 2012-11-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光電複合コネクタ及びそのレセプタクル
US8774577B2 (en) * 2010-12-07 2014-07-08 Corning Cable Systems Llc Optical couplings having coded magnetic arrays and devices incorporating the same
US8672559B2 (en) * 2011-01-31 2014-03-18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Thin connector assembly that has optical and electrical capabilities and that includes a plug having an optical surface that can be easily wiped cle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11272A1 (en) 2018-01-11
US9791650B2 (en) 2017-10-17
US20150293322A1 (en) 2015-10-15
US10539755B2 (en) 2020-01-21
BR112015007525A2 (pt) 2017-07-04
US20190094479A1 (en) 2019-03-28
CN104718583A (zh) 2015-06-17
US10222567B2 (en) 2019-03-05
RU2015112230A (ru) 2016-10-20
RU2665703C2 (ru) 2018-09-04
CA2887200A1 (en) 2014-04-17
EP2897136B1 (en) 2021-05-05
EP2897136A1 (en) 2015-07-22
JPWO2014057807A1 (ja) 2016-09-05
EP2897136A4 (en) 2016-09-07
JP2018074586A (ja) 2018-05-10
CN104718583B (zh) 2018-01-26
WO2014057807A1 (ja) 201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70108A (ko) 케이블,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JP3979300B2 (ja) デジタルビデオ信号伝送用インターフェースモジュール
JP4962152B2 (ja) 光電気複合伝送アセンブリ
EP0992820B1 (en) Optical fibre connector module
EP1628475A1 (en) Digital video signal interface module
JP5257527B2 (ja) 光電気複合伝送モジュール
TW201235722A (en) Electrical-to-optical and optical-to-electrical converter plug
TW201404056A (zh) 電子裝置的隨插即用光收發器模組
JP2005315902A (ja) 光コネクタ
JP2007178490A (ja) 光デジタルインタフェース
US20100265349A1 (en) Digital camera module
CN108668177A (zh) 复合电缆
TWM457971U (zh) 光電轉換系統
TWM441837U (en) Optical engine
CN113224567A (zh) 一种光电连接装置、笼子、以及电子设备
TW202206867A (zh) 光電轉換模組插頭及光纜
KR102355876B1 (ko) 광 커넥터
JP2015161940A (ja) 光モジュール付きケーブル
JP2013080059A (ja) 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及び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2006227607A (ja) 通信用ケーブル
CN102326212A (zh) 复合线束及其制造方法
Schlepple et al. Ultracompact 4× 3.4 Gbps optoelectronic package for an active optical HDMI cable
JP2013167899A (ja) 光電気複合伝送モジュール
CN113534447A (zh) 近眼显示光学系统及近眼显示设备
JP5258414B2 (ja) 光モジュール用ソケット及び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