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474A -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 - Google Patents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68474A KR20150068474A KR1020157012397A KR20157012397A KR20150068474A KR 20150068474 A KR20150068474 A KR 20150068474A KR 1020157012397 A KR1020157012397 A KR 1020157012397A KR 20157012397 A KR20157012397 A KR 20157012397A KR 20150068474 A KR20150068474 A KR 201500684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ylindrical
- spring
- spring plate
- plate portions
- type electron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20—Driving mechanisms allowing angular displacement of the operating part to be effective in either dire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14—Adjustable resistors adjustable by auxiliary driving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46—Arrangements of fixed resistors with intervening connectors, e.g. tap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8—Turn knob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54—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the operating part having at least five or an unspecified number of operative positions
- H01H19/56—Angularly-movable actuating part carrying contacts, e.g. drum switch
- H01H19/58—Angularly-movable actuating part carrying contacts, e.g. drum switch having only axial contact pressure, e.g. disc switch, wafer switch
- H01H19/585—Angularly-movable actuating part carrying contacts, e.g. drum switch having only axial contact pressure, e.g. disc switch, wafer switch provided with printed circuit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8—Turn knobs
- H01H3/10—Means for securing to shaft of driving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설계가 용이한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을 제공한다. 원기둥형상의 조작축과, 관통축구멍을 가지는 베어링과, 베어링의 일단에 부착되고, 조작축의 회전 조작에 의해 전기 신호를 제어하는 전기 신호 제어부와, 조작축의 외주면과 관통축구멍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스프링 수용 갭 내에 수용되고, 중심축 방향으로 환이 절단된 원통형상 스프링을 포함하고, 원통형상 스프링은 조작축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조작축의 외주면에 그 둘레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배열된 복수의 스프링판부를 가지고, 복수의 스프링판부는 그들의 길이 방향의 중앙영역부가 원통형상 스프링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만곡 돌출되고, 조작축의 외주면과 관통축구멍의 내주면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그 압압력에 의해 중심축 방향 길이가 연신 가능하게 유지된 구조에 의해, 스프링판부 수와 스프링판부의 최대 휨량을 독립적으로 설정 가능하게 하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작축의 회전 조작에 의해 단자간의 전기 저항을 변화시키거나, 단자간의 전기 접속을 전환하거나 하는 주로 휴대전자기기에 사용되는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휴대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있는 회전형 스위치 또는 회전형 가변저항기(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이라고 부름)를 장갑을 낀 상태에서 조작하는 경우나, 세세한 조작이 곤란한 환경에서 조작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에 대응하여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을 회전 조작하기 위한 조작 손잡이를 크게 하여 조작을 용이하게 한 휴대형 전자기기가 요구된다. 그러나, 조작 손잡이를 크게 하면, 그만큼 큰 조작 토크를 조작축에 부여하게 되므로, 과잉으로 회동하거나, 조작시에 외부로부터의 예기치 않은 힘이나 돌연한 음향, 빛 등에 의해 놀라서 원하지 않는 회동을 부여하거나 하는 것에 의한 오조작이 일어나기 쉽다. 또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소형화에 따라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을 소형화한 결과, 필연적으로 회전 조작에 필요한 조작 토크가 작아져버려, 마찬가지의 오조작이 일어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회동 조작에 필요한 토크를 크게 한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이 특허문헌 1에 제안되어 있다.
도 1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베어링(100)에 형성된 관통축구멍(100a)의 내주면과, 관통축구멍(100a) 내에 삽입된 조작축(20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다각형으로 절곡(折曲)된 탄성 금속 박판(이하, 다각형 판스프링이라고 부름)(300)이 삽입되어 있다. 다각형 판스프링(300)은 그 각 절곡변의 중심이 조작축(200)의 외주면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압압되어 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조작축(200)을 회동하고자 하면 판스프링(300)과 조작축(200) 사이의 슬라이딩 마찰력이 회동 조작에 필요한 토크로서 발생한다. 이러한 다각형 판스프링(300)을 삽입하여 회전 조작에 필요한 토크를 크게 함으로써 오동작을 줄일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특허문헌 1에 의한 구성에서는, 조작 토크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각 절곡변의 휨량을 크게 할 필요가 있지만, 구조상 취할 수 있는 최대 휨량(휨량을 확보할 수 있는 클리어런스)은 관통축구멍(100a)의 내경을 2r이라고 하고, 다각형 판스프링(300)의 절곡수를 N(단, 판스프링의 두께를 무시하고, 다각형 판스프링의 양단이 서로 접속되어 1개의 절곡각을 이루는 것으로 간주함)으로 하면 r(1-cosπ/N)이 되고, 클리어런스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N을 작게 할 필요가 있다. N을 작게 하면, 다각형 판스프링(300)과 조작축(200)의 접촉 위치수가 감소하므로, 그만큼 판스프링의 접촉 위치에서의 마모가 크게 된다. 한편, 마모를 작게 하도록 N을 크게 하면, 그만큼 판스프링의 각 절곡변이 짧아지므로, 약간의 휨량의 변화로 조작 토크에 큰 변화를 발생시키고, 원하는 토크를 얻기 위한 절곡변의 휨량의 설정 정밀도를 높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소형의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을 제조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이 발명의 목적은 종래에 비해 설계, 제조가 용이한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은, 원기둥형상의 조작축과, 조작축이 삽입되는 원형의 관통축구멍을 가지는 베어링과, 베어링의 일단에 부착되고, 조작축의 회전 조작에 의해 전기 신호를 제어하는 전기 신호 제어부와, 조작축의 외주면과 관통축구멍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환형상의 스프링 수용 갭 내에 조작축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수용되고, 중심축 방향으로 환이 절단된 원통형상 스프링을 포함하고, 원통형상 스프링은 각각이 조작축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조작축의 외주면에 그 둘레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배열된 복수의 스프링판부를 가지고, 복수의 스프링판부는 그들의 길이 방향의 중앙영역부가 원통형상 스프링의 반경 방향 내측 또는 외측의 동일한 일방의 측으로 만곡 돌출되어 만곡 돌출부를 형성하고, 조작축의 외주면과 관통축구멍의 내주면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각 상기 스프링판부의 양단부와 상기 만곡 돌출부에 반경 방향에 있어서 서로 역방향의 압압력이 부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통형상으로 배열된 스프링판부의 수와, 스프링판부의 최대 휨량을 서로 독립하여 설정할 수 있으므로,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의 설계가 용이하며, 또한 보다 소형화가 가능하다.
도 1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의 단면도.
도 2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의 부분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에 사용되는 원통형상 스프링의 사시도.
도 4b는 원통형상 스프링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c는 원통형상 스프링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d는 원통형상 스프링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는 원통형상 스프링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b는 원통형상 스프링의 제5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c는 원통형상 스프링의 제6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d는 원통형상 스프링의 제7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의 부분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에 사용되는 원통형상 스프링의 사시도.
도 4b는 원통형상 스프링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c는 원통형상 스프링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d는 원통형상 스프링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는 원통형상 스프링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b는 원통형상 스프링의 제5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c는 원통형상 스프링의 제6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d는 원통형상 스프링의 제7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의 각 부를 중심축(X) 방향으로 분해 배열한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은 조립된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의 중심축(X) 방향 부분 단면을 나타낸다. 이 발명에 의한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은 금속으로 형성된 원기둥형상의 조작축(10)과, 스프링성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환이 절단된 원통형상 스프링(20)과, 금속 또는 수지로 형성된 베어링(30)과, 전기 신호 제어부(40)와, 환이 절단된 금속 재료의 빠짐 방지 링(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작축(10)은 중심축(X)과 평행하게 원하는 길이로 절제되어 평탄면(11a)이 형성된 원기둥형상의 조작부(11)와, 그 조작부(11)로부터 동축심으로 연장되고, 직경이 작게 된 원기둥형상의 중간부(12)와, 그 중간부(12)로부터 동축심으로 연장되고, 더욱 직경이 작게 되고, 원통형상 스프링(20)이 주위에 장착되는 원기둥형상의 유지부(13)와, 유지부(13)로부터 동축심으로 연장되고, 더욱 직경이 작게 된 원기둥형상의 구동부(14)를 가진다. 중간부(12)와 유지부(13)의 경계에는 단차(13s)가 형성되어 있다.
유지부(13)의 구동부측 단부에 인접하여 외주에 빠짐 방지 링(50)이 장착되는 환형상 홈(13a)이 형성되어 있다. 또, 구동부(14)는 중심축(X)과 평행하며, 또한 중심축(X)을 끼우고 서로 평행한 절제면이 형성되고, 하우징(41) 내의 도시하지 않는 회동 기구와 걸어맞춰져 있다. 조작부(11)에 평탄면(11a)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조작부(11)에 부착되는 도시하지 않는 조작 손잡이의 부착 구멍에 대한 회전 방향의 상대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원통형상 스프링(20)은 예를 들면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는 가상의 원기둥 둘레면 상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각각이 중심축(X)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복수의 스프링판부(20A)와, 그들 스프링판부(20A)의 양단을 각각 둘레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2개의 연결대(20B)를 가진다. 각 스프링판부(20A)의 중심축(X)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영역부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만곡 돌출되어 만곡 돌출부(20Aa)를 형성하고 있다. 복수의 스프링판부(20A)의 서로 인접하는 1개의 세트의 스프링판부(20A) 사이에 있어서, 연결대(20B)는 분리되어 간극(20C)이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30)은 사각형 블록형상의 기부(基部)(31)와, 그 전면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된 원통부(32)를 가지고 있다. 원통부(32)에는 중심축(X)을 축으로 하는 원형의 관통축구멍(32A)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축구멍(32A)의 선단은 외측을 향해 직경이 확대되는 테이퍼면(32d)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축구멍(32A)은 원통부(32)의 선단측에 형성되고, 조작축(10)의 중간부(12)가 끼워맞춤 삽입되는 내경, 따라서 중간부(12)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대경축구멍부(32a)와, 그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고, 조작축(10)의 유지부(13)가 끼워맞춤 삽입되는, 따라서 유지부(13)의 외경보다 크며, 중간부(12)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소경축구멍부(32b)를 가지고, 대경축구멍부(32a)와 소경축구멍부(32b)의 경계에 단차(32s)가 형성되어 있다. 소경축구멍부(32b)의 후단은 조작축(10)이 베어링(30)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환형상 홈(13a)의 중간부(12)측 에지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관통축구멍(32A)은 그 소경축구멍부(32b)의 후단으로부터 내경이 확대된 확대축구멍부(32c)로 되어 있다. 기부(31) 내에는 그 확대축구멍부(32c)로부터 더욱 확대하여 후면으로 연통하는 연통 스페이스(31A)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12)의 중심축(X) 방향의 길이는 대경축구멍부(32a)의 중심축(X) 방향의 길이보다 작고, 조작축(10)이 관통축구멍(32A)에 가장 안쪽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대경축구멍부(32a)의 내주면과 중간부(12)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환형상의 스프링 수용 갭(33)이 형성된다.
전기 신호 제어부(40)는 그 일면이 기부(31)의 후면과 동일한 사변형을 가지는 직육면체형상이며, 내부에 구동부(14)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가변저항기 또는 전환 스위치를 수용하는 하우징(41)과, 하우징의 개구를 닫는 덮개(42)와, 전기 신호를 도입 도출하는 단자(43)와, 하우징(41)을 기부(31)에 고정하는 고정 나사(44)를 포함한다. 덮개(42)에는 하우징(41) 내에 구동부(14)를 도입시키는 도입구멍(42a)이 형성되어 있다. 전기 신호 제어부(40)로서 전환 스위치를 가지는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18883호가 있다. 또, 전기 신호 제어부(40)로서 가변저항기를 가지는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86792호, 또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47832호가 있다. 그 밖에 전기 신호 제어부(40)로서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한 자기 센서와 마그넷을 사용한 각도 센서의 예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236314호에 나타나 있다.
도 4a에 나타내는 원통형상 스프링(20)이 조작축(10)의 유지부(13)의 외주에 장착되고, 조작축(10)이 베어링(30)에 장착된 상태에서 유지부(13)의 환형상 홈(13a)이 소경축구멍부(32b)의 외측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환형상 홈(13a)에 빠짐 방지 링(50)이 장착됨으로써 조작축(10)이 베어링(30)으로부터 빠짐 방지된다. 이 상태에서 유지부(13)의 외주면과 대경축구멍부(32a)의 내주면의 사이에는 스프링 수용 갭(33)이 형성되어 있고, 그 중심축(X) 방향의 길이가 원통형상 스프링(20)을 중심축(X) 방향으로 평탄하게 연장시킨 길이보다 크게 되도록 조작축(10)의 단차(13s)의 중심축(X) 방향 위치와 관통축구멍(32A)의 단차(32s)의 중심축(X) 방향 위치가 정해져 있다. 조작축(10)의 구동부(14)는 베어링(30)의 기부(31)의 연통 스페이스(31A)를 통과하여 전기 신호 제어부(40)의 하우징(41) 내에 침입하고 있다.
원통형상 스프링(20)은 이하와 같이 하여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성을 가지는 직사각형의 금속판에, 그 단변 방향(폭방향으로 함)으로 긴 직사각형의 슬릿(20D)을 일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장변 방향으로 배열 형성함으로써 일단과 타단이 각각 2개의 연결대(20B)로 서로 연결된 직사각형의 복수의 스프링판부(20A)를 형성한다. 각 스프링판부(20A)의 길이 방향 중앙영역부는 원래의 금속판의 판면에 대하여 동일한 일방의 측으로 돌출되도록 모든 스프링판부(20A)가 프레스에 의해 일괄되어 만곡 변형된다. 그 만곡 변형 영역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또한, 2개의 연결대(20B)로 연결된 스프링판부(20A)의 배열의 양단의 스프링판부(20A)가 서로 인접하도록, 스프링판부(20A)를 연결한 2개의 연결대(20B)를 둥글게 하여 원통형상 스프링(20)을 얻는다.
각 스프링판부(20A)의 양단부(20Ab)를 형성하고 있는 연결대(20B)는 스프링판부의 양단이 지지점으로서 작용하고, 만곡 돌출한 중앙영역부는 작용점으로서 작용한다.
원통형상 스프링(20)은 자유 상태에서 그 최소 내경(연결대(20B)의 내경)이 유지부(13)의 외경보다 작게 되어 있으므로, 원통형상 스프링(20)을 유지부(13)에 장착하면 배열의 양단의 인접 스프링판부(20A)간의 간극(20C)이 탄성적으로 넓어져서 원통형상 스프링(20)은 그 스프링력에 의해 유지부(13)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원통형상 스프링(20)의 최대 외경(스프링판부(20A)의 중앙영역부에 있어서의 외경)은 관통축구멍(32A)의 대경축구멍부(32a)의 내경보다 크게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원통형상 스프링(20)이 장착된 조작축(10)을 베어링(30)에 장착하면, 스프링판부(20A)의 유지부(13)에 대한 반경 방향의 높이가 중심축(X)를 향하여 낮게 되도록 대경축구멍부(32a)의 내주면에 의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밀려내려가고, 스프링판부(20A)의 중심축(X) 방향의 길이가 증대하도록 탄성 변형한다. 이것에 의해 각 스프링판부(20A)의 만곡 돌출부(20Aa)와 양단부(20Ab)에 반경 방향에 있어서 서로 역방향으로 압압력이 부여되어, 스프링판부(20A)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만곡 돌출부(20Aa)와 관통축구멍(32A)의 내주면 사이에 압력(P1)이 발생하고, 또, 각 스프링판부(20A)의 양단부(20Ab)를 형성하는 연결대(20B)의 내주면과 유지부(13)의 외주면 사이에도 압력(P2)이 발생한다. 후자의 압력(P2)에는 원통형상 스프링(20)이 유지부(13)를 탄성적으로 유지하는 압력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P1<P2이다. 게다가, 연결대(20B)는 환형상으로 변형됨으로써 그 내주 표면이 수축하고, 그 수축에 의해 표면 거칠기가 크게 되어 있다. 한편, 스프링판부(20A)의 외주 표면은 만곡에 의해 신장되고, 그것에 의해 표면 거칠기는 작게 되고 있다. 그 결과, 스프링판부(20A)와 관통축구멍(32A)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정지 마찰력은 연결대(20B)와 유지부(13)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정지 마찰력보다 작게 되어 있고, 조작축(10)을 회전 조작하면 원통형상 스프링(20)은 조작축(10)과 함께 회전하고(즉, 원통형상 스프링(20)은 조작축(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고), 한편, 관통축구멍(32A)의 내주면에 대해서는 슬라이딩 회전한다.
회동 조작에 필요한 토크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원통형상 스프링(20)과 베어링(30) 사이의 마찰을 크게 하면 된다. 이 발명에 있어서는, 원통형상 스프링(20)의 스프링판부(20A)의 수를 늘리는 것, 및 스프링판부(20A)의 가능한 최대 탄성 변위량(스프링판부(20A)의 만곡의 높이)를 늘림으로써 용이하게 마찰을 크게 할 수 있다. 이들 스프링판부(20A)의 수와 가능한 변위량은 서로 독립하여 선택할 수 있으므로, 설계의 자유도가 높고, 소형의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의 설계·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있다.
[원통형상 스프링의 변형예]
도 2, 3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원통형상 스프링(20)의 제1 변형예를 도 4b에 나타낸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는, 각 스프링판부(20A)의 만곡 돌출한 중앙영역부가 서로 연결되어 연결대(20B)를 형성하고, 각 스프링판부(20A)의 양단부(20Ab)는 인접 스프링판부(20A)의 양단부(20Ab)와 분리되어 있는 점이 도 4a와 상이하다.
도 4c는 원통형상 스프링(20)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고, 도 4a에 있어서의 연결대(20B)를 둘레 방향으로 스프링판부 2개 간격으로 2개의 인접 스프링판부(20A)의 일단 사이에서 분리하고, 상기 일단 사이에서 분리된 인접 스프링판부(20A)와 둘레 방향으로 스프링판부 1개 어긋난 2개의 인접 스프링판부(20A)의 타단 사이를 둘레 방향으로 스프링판부 2개 간격으로 분리한 구조로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각각의 인접 스프링판부(20A)의 일단끼리와 타단끼리가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스프링판부 1개씩 어긋나 연결대(20B)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 4d는 원통형상 스프링(20)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변형예는 도 4c에 있어서 각 인접 스프링판부(20A)를 서로 V자를 이루도록 중심축(X)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배치하고, 인접 스프링판부(20A)의 일단 및 타단이 연결대(20B)에 의하지 않고 직접 병합되어 있다.
도 4a의 원통형상 스프링(20)을 사용한 도 2, 3의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상 스프링(20)은 조작축(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고, 베어링(32)에 대하여 슬라이딩 회전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반대로, 원통형상 스프링(20)은 베어링(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고, 조작축(10)에 대하여 슬라이딩 회전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원통형상 스프링(20)의 각 스프링판부(20A)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만곡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표면 거칠기를 늘림으로써, 원통형상 스프링(20)과 베어링 구멍(32A)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마찰력을 원통형상 스프링(20)과 조작축(10) 사이의 마찰력보다 크게 하면 실현할 수 있다. 도 4b~4d도 마찬가지이다.
도 5a는 원통형상 스프링(20)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변형예는 도 4a에 나타낸 원통형상 스프링(20)에 있어서의 스프링판부(20A)의 중앙영역부를 도 4a와는 반대로 반경 방향 내측으로 만곡 돌출시킨 것이다. 이 변형예의 경우, 회전 조작형 전기 부품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우선, 원통형상 스프링(20)을 베어링(30)의 대경축구멍부(32a) 내에 장착해두고, 그 후에 조작축(10)의 유지부(13)가 원통형상 스프링(20)에 삽입되도록 조작축(10)을 베어링(30)의 관통축구멍(32A)에 장착한다. 따라서, 원통형상 스프링(20)의 연결대(20B)의 외주면이 베어링(30)의 대경축구멍부(32a)의 내주면과 탄성적으로 맞닿고, 만곡 돌출부(20Aa)가 조작축(10)의 유지부(13)의 외주면과 탄성적으로 맞닿는다.
도 5b는 원통형상 스프링(20)의 제5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변형예는 도 4b에 나타낸 원통형상 스프링(20)에 있어서의 스프링판부(20A)의 연결대(20B)로 연결된 중앙영역부를 도 4b와는 반대로 반경 방향 내측으로 만곡 돌출시킨 것이다.
도 5c는 원통형상 스프링(20)의 제6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변형예는 도 4c에 나타낸 원통형상 스프링(20)에 있어서의 스프링판부(20A)의 중앙영역부를 도 4c와는 반대로 반경 방향 내측으로 만곡 돌출시킨 것이다.
도 5d는 원통형상 스프링(20)의 제7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변형예는 도 4d에 나타낸 원통형상 스프링(20)에 있어서의 스프링판부(20A)의 중앙영역부를 도 4d와는 반대로 반경 방향 내측으로 만곡 돌출시킨 것이다.
도 5a의 변형예에서는 조작축(10)의 회동시에 원통형상 스프링(20)을 조작축(10)에 고정하고, 원통형상 스프링(20)이 관통축구멍(32A)의 내주면에 대하여 회전 슬라이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스프링판부(20A)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만곡 돌출한 내주면 및/또는 조작축(10)의 유지부(13)의 외주면의 표면 거칠기를 크게 하면 된다. 반대로, 원통형상 스프링(20)을 베어링(30)에 고정하고, 원통형상 스프링(20)에 대하여 조작축(10)의 유지부(13)를 회전 슬라이딩시키기 위해서는, 연결대(20B)의 외주면 및/또는 대경축구멍부(32a)의 내주면의 표면 거칠기를 크게 하면 된다. 도 5B~5D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단, 도 5D의 경우는, 인접 스프링판부(20A)의 서로 연결된 단부가 다른 변형예의 연결대(20B)에 대응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휴대 무선기의 가변저항기나 전환 스위치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2)
- 원기둥형상의 조작축;
상기 조작축이 삽입되는 원형의 관통축구멍을 가지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의 일단에 부착되고, 상기 조작축의 회전 조작에 의해 전기 신호를 제어하는 전기 신호 제어부; 및
상기 조작축의 외주면과 상기 관통축구멍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스프링 수용 갭 내에 상기 조작축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수용되고, 중심축 방향으로 환이 절단된 원통형상 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상 스프링은 각각 상기 조작축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조작축의 외주면에 그 둘레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배열된 복수의 스프링판부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스프링판부는 그들의 길이 방향의 중앙영역부가 상기 원통형상 스프링의 반경 방향 내측 또는 외측이 동일한 일방의 측으로 만곡 돌출되어 만곡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축의 외주면과 상기 관통축구멍의 내주면 사이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각 상기 스프링판부의 양단부와 상기 만곡 돌출부에 반경 방향에 있어서 서로 역방향의 압압력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축은, 원기둥형상의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로부터 동축심으로 연장되고 직경이 작게 된 원기둥형상의 중간부와, 상기 중간부로부터 동축심으로 연장되고 직경이 더욱 작게 된 원기둥형상의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로부터 동축심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기 신호 제어부에 침입한 원기둥형상의 구동부를 가지고,
상기 베어링은, 상기 관통축구멍이 형성된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중심축 방향 일단에 상기 원통부와 일체 형성되고 상기 관통축구멍으로부터 상기 전기 신호 제어부에 연통하는 연통 스페이스가 형성된 기부를 가지고,
상기 관통축구멍은, 상기 중간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대경축구멍부와, 상기 대경축구멍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유지부의 외경보다 크며 상기 중간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소경축구멍부를 가지고,
상기 원통형상 스프링은, 상기 중간부와 상기 유지부의 경계의 단차와 상기 대경축구멍부와 상기 소경축구멍부의 경계의 단차와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의 외주면과 상기 대경축구멍부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수용 갭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 -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 스프링의 상기 복수의 스프링판부는 그들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제1 및 제2 연결대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
-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 스프링의 상기 복수의 스프링판부는 그들의 상기 중앙영역부가 연결대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
-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인접 스프링판부의 일단끼리와 타단끼리가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스프링판부 1개씩 어긋나 연결대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
-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 스프링의 상기 복수의 스프링판부의 각 인접하는 2개가 V자를 이루도록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
-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 스프링의 상기 복수의 스프링판부의 중앙영역부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만곡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 스프링의 상기 복수의 스프링판부의 중앙영역부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만곡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 스프링의 상기 복수의 스프링판부의 중앙영역부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만곡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
-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 스프링의 상기 복수의 스프링판부의 중앙영역부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만곡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 스프링의 상기 복수의 스프링판부의 중앙영역부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만곡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 스프링의 상기 복수의 스프링판부의 중앙영역부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만곡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2267990A JP5914312B2 (ja) | 2012-12-07 | 2012-12-07 | 回転操作型電子部品 |
JPJP-P-2012-267990 | 2012-12-07 | ||
PCT/JP2013/079982 WO2014087783A1 (ja) | 2012-12-07 | 2013-11-06 | 回転操作型電子部品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8474A true KR20150068474A (ko) | 2015-06-19 |
KR101698024B1 KR101698024B1 (ko) | 2017-01-19 |
Family
ID=50883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12397A KR101698024B1 (ko) | 2012-12-07 | 2013-11-06 |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9412538B2 (ko) |
EP (1) | EP2930730B1 (ko) |
JP (1) | JP5914312B2 (ko) |
KR (1) | KR101698024B1 (ko) |
CN (1) | CN104903987B (ko) |
HK (1) | HK1210867A1 (ko) |
MY (1) | MY172418A (ko) |
TW (1) | TWI587344B (ko) |
WO (1) | WO201408778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80238749A1 (en) * | 2015-01-13 | 2018-08-23 | Hokuriku Electric Industry Co., Ltd. | Force sensor unit |
JP6469551B2 (ja) * | 2015-08-27 | 2019-02-13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入力装置 |
JP6496225B2 (ja) * | 2015-09-29 | 2019-04-03 |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 回転型電気部品 |
US11206897B2 (en) | 2016-02-23 | 2021-12-28 | Nike, Inc. | Ground-engaging structures for articles of footwear |
CN106024479A (zh) * | 2016-07-01 | 2016-10-12 | 海信(广东)空调有限公司 | 一种旋钮式开关结构 |
JP6767821B2 (ja) * | 2016-09-14 | 2020-10-14 |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 操作装置及び軸受部製造方法 |
DE202017100925U1 (de) * | 2017-02-20 | 2018-05-24 | Hans Heidolph GmbH | Bedienelement für ein Laborgerät |
KR102229310B1 (ko) * | 2017-03-02 | 2021-03-17 | 도쿄코스모스덴키가부시키가이샤 | 회전 조작 부품 |
CN107131893B (zh) * | 2017-05-04 | 2019-06-18 | 湖南科技大学 | 高压断路器操动机构在线监测用角位移传感器 |
JP7262240B2 (ja) | 2019-02-15 | 2023-04-21 | 株式会社小松製作所 | 作業機械の操作装置、および作業機械 |
JPWO2021153432A1 (ko) * | 2020-01-27 | 2021-08-05 | ||
USD1003260S1 (en) * | 2021-03-12 | 2023-10-31 | Shin-Etsu Polymer Co., Ltd. | Push button for switche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81006A (ja) * | 1994-12-26 | 1996-07-12 | Alps Electric Co Ltd | 回転操作型電気部品 |
JPH11329806A (ja) | 1998-05-12 | 1999-11-30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車載用回転操作型電子部品 |
JP2003115237A (ja) * | 2001-10-04 | 2003-04-1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回転型電子部品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20201A (ja) | 1990-05-15 | 1992-01-23 | Iseki & Co Ltd | 苗植機等のローリング装置 |
JP2510372Y2 (ja) * | 1990-06-08 | 1996-09-11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電子部品の軸受装置 |
EP0623942A1 (de) * | 1993-04-20 | 1994-11-09 | FRITZ HARTMANN GERÄTEBAU GMBH & CO KG | Codiervorrichtung |
JP3475549B2 (ja) | 1995-02-24 | 2003-12-08 | 株式会社デンソー | 非接触型位置センサ |
JP3855498B2 (ja) * | 1998-10-23 | 2006-12-13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回転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3952642B2 (ja) * | 1999-09-20 | 2007-08-01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押圧・回転操作型電子部品 |
US6570105B1 (en) * | 2002-05-06 | 2003-05-27 | Lear Corporation | Retractable rotary switch cell |
JP2006147832A (ja) | 2004-11-19 | 2006-06-08 | Alps Electric Co Ltd | 可変抵抗器 |
CN201107801Y (zh) * | 2007-07-30 | 2008-08-27 | 升威电子制品(东莞)有限公司 | 一种自动复位开关 |
US8084703B2 (en) * | 2007-12-18 | 2011-12-27 | Panasonic Corporation | Rotating operation type electronic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JP4458181B2 (ja) * | 2008-04-24 | 2010-04-28 | ソニー株式会社 | 電気接触子および電子機器 |
JP5256070B2 (ja) | 2009-02-10 | 2013-08-07 | 東京コスモス電機株式会社 | 電子部品のクリック機構、可変抵抗器 |
JP4759071B2 (ja) | 2009-03-17 | 2011-08-31 | 東京コスモス電機株式会社 | 回転型スイッチ |
US8766121B2 (en) * | 2011-05-26 | 2014-07-01 | Motorola Solutions, Inc. | Rotary control switch |
-
2012
- 2012-12-07 JP JP2012267990A patent/JP5914312B2/ja active Active
-
2013
- 2013-11-06 EP EP13861175.1A patent/EP2930730B1/en active Active
- 2013-11-06 CN CN201380063144.5A patent/CN104903987B/zh active Active
- 2013-11-06 WO PCT/JP2013/079982 patent/WO201408778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11-06 US US14/438,391 patent/US9412538B2/en active Active
- 2013-11-06 MY MYPI2015701384A patent/MY172418A/en unknown
- 2013-11-06 KR KR1020157012397A patent/KR10169802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11-07 TW TW102140487A patent/TWI587344B/zh active
-
2015
- 2015-11-23 HK HK15111533.4A patent/HK1210867A1/xx unknow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81006A (ja) * | 1994-12-26 | 1996-07-12 | Alps Electric Co Ltd | 回転操作型電気部品 |
JPH11329806A (ja) | 1998-05-12 | 1999-11-30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車載用回転操作型電子部品 |
JP2003115237A (ja) * | 2001-10-04 | 2003-04-1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回転型電子部品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903987B (zh) | 2017-05-10 |
MY172418A (en) | 2019-11-25 |
TWI587344B (zh) | 2017-06-11 |
EP2930730A4 (en) | 2016-07-13 |
JP2014116125A (ja) | 2014-06-26 |
TW201432767A (zh) | 2014-08-16 |
HK1210867A1 (en) | 2016-05-06 |
EP2930730A1 (en) | 2015-10-14 |
JP5914312B2 (ja) | 2016-05-11 |
KR101698024B1 (ko) | 2017-01-19 |
WO2014087783A1 (ja) | 2014-06-12 |
EP2930730B1 (en) | 2017-03-15 |
CN104903987A (zh) | 2015-09-09 |
US20150287557A1 (en) | 2015-10-08 |
US9412538B2 (en) | 2016-08-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98024B1 (ko) |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 | |
EP3100933A1 (en) | Rotational operation device | |
EP2755219A2 (en) | Switch | |
KR101662825B1 (ko) |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 | |
US7814619B2 (en) | Opening and closing device | |
JP4687246B2 (ja) | 回転型電子部品 | |
JP2005130688A (ja) | 磁石埋込型ロータ、及び電動機 | |
EP1981050B1 (en) | Component for input operation | |
JP2010176971A (ja) | 操作モード選択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 |
JP2008301679A (ja) | モータ | |
JPWO2013065507A1 (ja) | 回転操作型電子部品の軸受構造 | |
JP5852668B2 (ja) | 回転操作型電子部品の軸受構造 | |
JP5166363B2 (ja) | ポテンショメータ | |
JP2007335191A (ja) | 多機能型電子部品 | |
JP5042116B2 (ja) | アクチュエータ | |
KR102005152B1 (ko) | 듀얼 매스 플라이휠 | |
JP6857845B2 (ja) | 回転操作型電子部品 | |
WO2021153432A1 (ja) | 回転操作型電子部品 | |
WO2019073693A1 (ja) | モータ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4601718B2 (ja) | 多機能型電子部品 | |
JP6303380B2 (ja) | クリック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るダイヤル | |
JP6192551B2 (ja) | モータ | |
US10128065B2 (en) | Rotation transmitting mechanism and lever switch adopting rotation transmitting mechanism | |
JP2022042411A (ja) | 回転操作型電子部品 | |
JP6403270B2 (ja) | 節度機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