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4081A - 다공성 막, 재료, 복합재, 적층물, 텍스타일 및 관련 방법 - Google Patents

다공성 막, 재료, 복합재, 적층물, 텍스타일 및 관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4081A
KR20150064081A KR1020157009444A KR20157009444A KR20150064081A KR 20150064081 A KR20150064081 A KR 20150064081A KR 1020157009444 A KR1020157009444 A KR 1020157009444A KR 20157009444 A KR20157009444 A KR 20157009444A KR 20150064081 A KR20150064081 A KR 20150064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orous membrane
membrane
microporous
membranes
impr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9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3463B1 (ko
Inventor
칼 에프. 휴미스턴
제랄드. 피. 루미에즈
디키 제이. 브루어
Original Assignee
셀가드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셀가드 엘엘씨 filed Critical 셀가드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50064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comprising a deformed thin sheet, i.e. the layer having its entire thickness deformed out of the plane, e.g. corrugated, crump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3Laminat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3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with respect to the orientation of features
    • B32B7/03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with respect to the orientation of features using arrangements of stretched films, e.g. of mono-axially stretched films arranged alternat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Fibrous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4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a non-fibrous layer and a fibrous layer superimposed on on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4Tensile streng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446Wrinkled, creased, crinkled or crep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Manufacturing Of Multi-Layer Textile Fabric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텍스타일 관련 적용분야에서 사용하기 위한 신규하거나, 개선되거나, 개질되거나 또는 처리된 미세다공성 막에 관한 것이며,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열, 압축 및/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함께 적층된 2 이상의 다른 다공성 막 또는 재료층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적층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은, 기계적 강도, 탄력성 및/또는 탄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적층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 내로, 영구적인 소형의 규칙적으로 이격된, 크레이프, 윤곽, 압착, 플리트 또는 주름을 도입하도록 마이크로크레이핑과 같은 기법 또는 처리를 사용하여 개질된다. 또한, 본 발명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미세다공성 적층막은 더 바람직하게는 상당히 개선된 '감촉' 또는 유연도를 가지며, '피부에 접하는' 유연도를 가지고/가지거나, 움직이는 동안 잔주름 노이즈 없이 차분한 상태인데, 이는 텍스타일 의류, 재료 또는 적용분야의 또는 텍스타일 의류, 재료 또는 적용분야에서 목적으로 하는 성능 특성 또는 특징일 수 있다.

Description

다공성 막, 재료, 복합재, 적층물, 텍스타일 및 관련 방법{POROUS MEMBRANES, MATERIALS, COMPOSITES, LAMINATES, TEXTILES AND RELATED METHODS}
적어도 선택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신규하거나, 개선되거나, 개질되거나 또는 처리된 다공성 막, 재료, 복합재, 적층물, 텍스타일, 의류, 텍스타일 재료 및 관련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텍스타일 의류, 텍스타일 재료 또는 관련된 적용분야에서 사용하기 위한 신규하거나, 개선되거나, 개질되거나 또는 처리된 미세다공성 막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특정 선택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열, 압축(compression) 및/또는 접착을 이용하여 함께 적층된 2 이상의 다른 다공성 막 또는 재료층으로 구성된, 신규하거나, 개질되거나 또는 처리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composite microporous membrane)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특정 선택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층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은 기계적 강도, 탄력성 및 탄성과 같은 특정 특징 또는 성능을 변화시키거나, 개질시키거나 또는 개선시키기 위하여 적층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 내로 영구적인 소형의 규칙적으로 이격된 크레이프, 윤곽, 압착(compaction), 플리트(pleat) 또는 주름(wrinkle)을 도입하도록 마이크로크레이핑(microcreping)과 같은 기법 또는 처리를 사용하여 개질된다. 추가로, 본 발명의 신규하거나, 개선되거나, 개질되거나, 처리되거나 또는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미세다공성 적층막은 텍스타일 의류, 재료 또는 적용분야에서 목적으로 하는 특징 또는 성능 특성인 유의하게 개선된 '감촉(hand)' 또는 유연도(softness)를 가질 수 있다.
미세다공성 막은 보통 폴리올레핀으로 만들어지며, 의학적 및 산업적 여과, 배터리 세퍼레이터 막, 분리 방법, 탈기, 물 및 유체 정화 등과 같은 수많은 최종 용도 적용분야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막은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 소재한 셀가드 엘엘씨(Celgard, LLC)로부터 입수가능하다. 그들의 화학적 특성에 기인하여, 폴리올레핀 미세다공성 막은 소수성이고, 발수성이다. 액체 상태에서의 물은 폴리올레핀 다공성 막에 의해 발수되지만, 수증기 분자는 그들의 기체 상태에서 막의 다공성 구조 내로 침투하고 그의 기공을 통과할 수 있다.
수분 불침투성이며 공기 침투성인 미세다공성 막은 방수성/통기성 텍스타일 재료 및 신발류를 포함하는 의류뿐만 아니라 방수성과 통기성의 조합이 바람직할 수 있는 빌딩 건축과 같은 특정 산업적 적용분야용 재료로서 유용할 수 있었다. 이러한 막은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Charlotte)에 소재한 셀가드 엘엘씨(Celgard, LLC)로부터 입수가능하다.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도록 뿐만 아니라 반복적 사용의 혹독함을 견뎌내는 증가된 기계적 강도, 의류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거나 또는 비틀림 및 구부림에 대한 막의 순응성(conformability)을 개선시키는 신축성 및 복원성 정도를 갖고/갖거나 개선된 '감촉(hand)' 또는 드레이프(drape)를 갖도록 적어도 특정 용도 또는 적용분야에 대해 이러한 막의 필요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적어도 선택된 실시형태, 목적 또는 양태는 상기 필요를 처리하고/하거나 방수성 및 통기성에 추가로, 크게 향상된 유용성 및 적용 범주, 반복적 사용의 혹독함을 견뎌내는 증가된 기계적 강도, 의류의 편안함의 향상시키거나 또는 비틀림 및 구부림에 대한 순응성을 개선시키는 신축성 및 회복성 정도 및/또는 개선된 '감촉' 또는 드레이프를 갖는 신규하거나, 개선되거나, 개질되거나 또는 처리된 다공성 막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선택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신규하거나, 개선되거나, 개질되거나 또는 처리된 다공성 막, 재료, 복합재, 적층물, 텍스타일, 의류, 텍스타일 재료 및 관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텍스타일 의류, 텍스타일 재료 또는 관련 적용분야에서 사용하기 위한 신규하거나, 개선되거나, 개질되거나 또는 처리된 미세다공성 막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특정 선택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열, 압축 및/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함께 적층된 2 이상의 다른 다공성 막 또는 재료층을 구성하는 신규하거나, 개질되거나 또는 처리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특정 선택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층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은 기계적 강도, 탄력성 및 탄성과 같은 특정 특징 또는 성능을 변화시키거나, 개질시키거나 또는 개선시키기 위하여 적층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 내로, 영구적인 소형의 규칙적으로 이격된, 크레이프, 윤곽, 압착, 플리트 또는 주름을 도입하도록 마이크로크레이핑과 같은 기법 또는 처리를 사용하여 개질된다. 추가로, 본 발명의 신규하거나, 개선되거나, 개질되거나, 처리되거나 또는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미세다공성 적층된 막은 텍스타일 의류, 재료 또는 적용분야에서 목적으로 하는 특징 또는 성능 특성인 상당히 개선된 '감촉' 또는 유연도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선택된 실시형태, 목적 또는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텍스타일 의류, 텍스타일 재료 또는 관련된 적용분야에서 사용하기 위한 신규하거나, 개선되거나, 개질되거나 또는 처리된 미세다공성 막에 관한 것이고, 기계적 강도, 탄력성 및 탄성과 같은 특정 특징 또는 성능을 변화시키거나, 개질시키거나 또는 개선시키기 위하여 적층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 내로, 소형의 규칙적으로 이격된, 크레이프, 윤곽, 압착, 플리트 또는 주름을 도입하도록 마이크로크레이핑과 같은 기법 또는 처리를 사용하여 개질된 적층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에, 예를 들어, 열, 압축 및/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함께 적층된 2 이상의 다른 다공성 막 또는 재료층으로 구성된 신규하거나, 개질되거나 또는 처리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에 관한 것이며, 텍스타일 의류, 재료 또는 적용분야 등에서 목적으로 하는 특징 또는 성능 특성인 상당히 개선된 '감촉' 또는 유연도를 갖는 처리되거나 또는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미세다공성 적층 막에 관한 것이다.
가능하게는 바람직한 본 발명의 적층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은 막 내로, 바람직하게는 영구적인 소형의 규칙적으로 이격된, 크레이프, 윤곽, 압착, 플리트 또는 주름을 도입하는 마이크로크레이핑과 같은 기법 또는 처리를 사용하여 개질된다. 미세다공성 막의 크레이핑, 플리팅 또는 폴딩은 기계적 강도에서의 그리고 신축성 및 복원성 수준에서의 현저한 증가를 바람직하게 초래하는 막의 아키텍처(architecture) 또는 윤곽에 대한 3-D 차원성을 만든다. 추가로, 적층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의 처리 또는 마이크로크레이핑은 바람직하게는 전형적인 '플라스틱'(특정 폴리올레핀 막의 강성 느낌)과 반대인 미세다공성 막에서의 부드러운 '감촉' 또는 드레이프를 만든다. 비싸지 않은 플라스틱 우의(raincoat)의 뻣뻣한 느낌과 달리, 본 발명의 미세다공성 막은 바람직하게는 '피부에 접하는(next-to-the-skin)' 유연도를 가지며, 움직이는 동안 잔주름 노이즈 없이 차분한 상태이다.
마이크로크레이핑은 크레이프 또는 윤곽을 만들기 위해 재료의 망 또는 길이를 압축하는 공정에서 다공성 막 또는 필름 구조의 적어도 일부 내로 영구한, 작은 크레이프 또는 윤곽의 도입을 수반한다. 이 공정은 또한 압착으로서 알려질 수 있다. 도 1은 직물의 인접한 영역에서 개더링(gathering) 또는 주름의 줄을 만들어 내는 마이크로크레이핑된 영역의 줄을 만드는,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텍스타일 직물의 예를 나타낸다. 크레이핑 패턴에 따라서, 마이크로크레이핑된 재료는 반복된 평행 형식으로 펼쳐진 작은 크레이프 및 더 큰 개더링 또는 주름의 줄무늬 영역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
마이크로크레이핑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지만(예를 들어, 각각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 미국 특허 제3,260,778호, 제5,666,703호 및 제5,678,288호 및 미국 공개 특허 제2008/0036135 A1호 참조), 텍스타일 재료로서 사용하기 위한 부직포 재료에 적층된 본 발명의 미세다공성 막, 미세다공성 복합재 또는 적층물 및 미세다공성 중합체 막을 마이크로크레이핑하는 것의 컨셉트는 텍스타일 의류, 재료 및/또는 적용분야, 및/또는 다른 최종 적용분야용의 차별화되거나, 신규하거나 또는 개선된 컨셉트 및/또는 제품이다.
보통 "마이크로크레이핑"으로서 지칭되는 망을 크레이핑하는 일 방법은 리차드 알. 월튼(Richard R. Walton)의 1966년 7월 12일 등록된 미국 특허 제3,260,778호(발명의 명칭: Treatment of Materials)(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됨)에 기재되어 있다. 이 3,260,778호 특허는 망이 회전 드럼의 표면 상에서 지지되고, 회전 드럼의 표면에 의해 분명히 나타나는 처리 구멍에서 길이방향으로 압축되는 방법, 회전 드럼에 대해 망을 프레싱하는 주요 블레이드, 및 망의 전방 움직임을 지연시키고 회전 드럼의 표면으로부터 망을 벗어나게 만드는 강성의 경향이 있는 리타더 블레이드를 기재한다. 처리 구멍은 망이 처리 구멍의 치수 이상으로 조여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이는 크레이핑을 초래하는 망의 길이방향 또는 세로방향 압축(machine direction compression)을 야기한다.
존재하는 적층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의 마이크로크레이핑은 3차원 아키텍처를 막의 구조 내로 도입하여 바람직하게는 기계적 강도 및 탄력성 수준을 현저하게 증가시킨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미세다공성 막은 마이크로크레이핑 공정에서 얻은 크레이핑 또는 압착성의 정도에 따라서 상당히 개선된 '감촉' 또는 유연도를 가진다.
폴리올레핀 미세다공성 막(예컨대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 소재한 셀가드 엘엘씨의 셀가드(Celgard)(등록상표) 폴리올레핀 미세다공성 막)은 탄소-수소 중합체성 재료의 내재한 소수성 특성에 기인하여 전형적으로 방수이되, 그들은 작은 기공 크기로 구성된다. 액체 상태에서의 물은 폴리올레핀 미세다공성 막에 의해 발수되지만, 수증기는 미세다공성 구조를 침투하고, 막의 기공을 통과할 수 있다. 미세다공성 막의 다공성 구조는 분자의 기체 상태로 막을 통한 분자의 침투 및 통과를 허용한다. 미세다공성 막 내의 및 바깥의 기체 물질의 통과는 막의 투기율(air permeability) 및 수증기 전달 성능을 나타낸다.
적어도 선택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더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부직포이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중합체성 다공성 막일 수 있는 제2 다공성 막 또는 재료에 적층된 제1 미세다공성 중합체 막을 포함하는 마이크로크레이핑 복합 미세다공성 막에 관한 것이며, 또는 강도, 다공성 및 표면 마찰 특성을 위해 선택된 중합체성 기능성 재료와 같은 재료로 이전에 코팅된 다공성 막에 관한 것이다. 다공성 중합체 부직포 재료 또는 메쉬, 예컨대 폴리올레핀 부직포 메쉬에 적층된 셀가드(등록상표)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막, 더 구체적으로는 다공성 폴리올레핀 부직포 재료에 적층된 셀가드(등록상표) Z-시리즈(즉, 이축연신) 미세다공성 폴리올레핀 막 제품과 같은 미세다공성 중합체 막을 마이크로크레이핑하는 것의 성공의 중요한 성분은 두 다공성 막 또는 재료(예를 들어, 중합체 막과 중합체 부직포 각각이 상이한 마찰 특성을 가짐)의 마찰 특성에서의 차이, 부직포 재료(예를 들어, 중합체 부직포)의 불균일, 그립 또는 마찰 특성 등에 부분적으로 기인할 수 있다. 도 3은 마이크로크레이핑 전에 및 후에 Z-시리즈 셀가드 막 EZL2090의 사진을 나란히 나타낸다. 적층 절차는 열을 수반하기 때문에, EZL2090에서 적층 다이아몬드 패턴은 막 내에서 별개의 다공성 및 비다공성 영역을 만든다. 이 다이아몬드 적층 패턴이 바람직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임의의 특정 적층 패턴 또는 크레이핑 패턴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마이크로크레이핑에 추가로, 직물 유연도는, 예를 들어 재료 선택; 필로잉(pillowing) 효과를 만드는 것과 같은 엠보싱; 적층 기법의 선택, 예컨대 유연도를 최대화하는 접착성 및/또는 저온 적층; 적층물(또는 적어도 외부 표면 또는 층)에 기계적 작업/두드림의 실시; 외면 중 하나 또는 둘 다에 대한 더 유연한 재료의 적층; 및/또는 직물 유연 가공을 이용한 적층물(또는 적어도 외면 또는 층)의 처리를 통해 향상될 수 있다.
마이크로크레이핑 공정을 통해 제조된, 얻어진 본 발명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미세다공성 막은 방수/통기성 성능 특성을 지니는 차별화된 텍스타일 재료의 범위를 제공할 수 있다.
2 이상의 다른 다공성 막 또는 재료층, 적층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 등으로 구성된, 얻어진 본 발명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되거나 또는 연화된 신규하거나, 개선되거나, 개질되거나 또는 처리된 다공성 막, 재료, 복합재, 적층물, 텍스타일, 의류, 텍스타일 재료, 미세다공성 막, 재료, 복합재, 적층물, 텍스타일, 의류, 텍스타일 재료, 복합 미세다공성 막은 바람직하게는 방수/통기성 성능 특성을 지니는 차별화된 재료, 텍스타일 재료 등의 범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마이크로크레이핑된 직물의 10x 배율에서의 사진 영상을 도시한 도면. 편평한 부분은 마이크로크레이핑이 일어나서 남아있는 재료의 개더링을 초래하는 경우이다. 마이크렉스 코포레이션(Micrex Corporation) 웹사이트 www.micrex.com으로부터의 사진.
도 2는 마이크로크레이핑된 셀가드(등록상표) Z-시리즈 미세다공성 막의 표면 외관의 개략적 표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마이크로크레이핑 전에(좌) 및 후에(우) 나타난 셀가드(등록상표) Z-시리즈 복합 미세다공성 막 및 마이크로크레이핑된 셀가드(등록상표) Z-시리즈 복합 미세다공성 막의 샘플의 사진 영상을 나란히 도시한 도면.
도 4는 실시예 2 EZL3030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의 사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부직포 막(1), 미세다공성 기저막(2) 및 본 발명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미세다공성 막(3)의 드레이프/유연도/감촉을 나타내는 일련의 사진(1 내지 3)을 도시한 도면.
적어도 특정의 가능하게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텍스타일 관련 및 다른 적용분야에서 사용하기 위한 신규하거나, 개질되거나 또는 처리된 미세다공성 막에 관한 것이다. 선택된 가능하게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열, 압축, 초음파 결합 및/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함께 적층된 2 이상의 다른 다공성 막 또는 재료층으로 구성된 신규하거나, 개질되거나 또는 처리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특정의 가능하게 바람직한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함께 적층된 2 이상의 다른 다공성 막 또는 재료로 구성된 적층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은 기계적 강도, 탄력성 및/또는 탄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적층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 내로, 영구적인 소형의 규칙적으로 이격된, 크레이프, 윤곽, 압착, 플리트 또는 주름을 도입하도록 마이크로크레이핑과 같은 기법 또는 처리를 사용하여 개질된다. 추가로, 본 발명의 개질되거나, 처리되거나 또는 마이크로크레이핑된 적층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은 상당히 개선된 '감촉' 또는 유연도, '피부에 접하는' 유연도를 가지고/가지거나, 차분한 상태이거나 또는 움직이는 동안 잔주름 노이즈가 없는데, 이들 각각은 텍스타일 의류, 재료 또는 적용범위에서 목적으로 하는 성능 특성이다.
일례로서, 매사추세츠주 월폴에 소재한 마이크렉스 코포레이션은 이동 재료 길이 또는 망에 대해 다양한 패턴의 마이크로크레이프를 부여하는 마이크렉스(Micrex)(등록상표)/마이크로크레퍼스(Microcrepers)(상표명)로서 알려진 일련의 기계 구성의 개발자이다.
적층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의 크레이핑 또는 마이크로크레이핑은 현저하게 증가된 수준의 기계적 강도 및 탄력성을 바람직하게 초래하는 막 구조 내로 3차원 아키텍처를 도입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미세다공성 막은 크레이핑 또는 마이크로크레이핑의 정도 또는 크레이핑 또는 마이크로크레이핑 공정에서 얻은 압착성에 따라서 상당히 개선된 '감촉' 또는 유연도를 가질 수 있다.
폴리올레핀 미세다공성 막은 탄소-수소 중합체성 재료의 내재하는 소수성 특성 때문에 방수이고, 그들은 작은 기공 크기로 구성된다. 액체 상태에서의 물은 폴리올레핀 다공성 막에 의해 발수되지만, 수증기는 막의 다공성 구조를 침투하고 미소공을 통과할 수 있다. 미세다공성 막의 다공성 구조는 막을 통해 분자가 그들의 기체 상태에서 침투하고 통과하게 한다. 다공성 막 내의 및 밖의 기체 물질의 통과는 막의 투기율 및 수증기 전달 성능을 나타낸다.
적어도 선택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부직포이지만, 강도, 다공성 및 표면 마찰 특성을 위해 선택된 중합체성 기능성 재료, 또는 직포(woven) 또는 편포(knit) 다공성 직물로 이전에 코팅된 하나 이상의 다른 중합체성 다공성 막 또는 다공성 막일 수 있는 제2의 다공성 막 또는 재료에 적층되거나, 결합되거나, 연결되거나 또는 부착된 제1 중합체 미세다공성 막을 포함하는 마이크로크레이핑 적층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에 관한 것이다.
가능하게는 부직포층, 재료 또는 직물에 적층된 셀가드(등록상표) 다공성 막, 더 구체적으로는 폴리올레핀(PO) 부직포 재료에 적층된 셀가드(등록상표) Z-시리즈 PO, PP, PE 또는 PP/PE/PP 미세다공성 막 제품과 같은 마이크로크레이핑 다공성 막의 성공의 중요한 성분은 다공성 막과 부직포의 각각의 외면의 마찰 특성에서의 차이, 부직포의 외면의 마찰 특성 등에 부분적으로 기인할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막은 나일론, PET, PP, 면, 레이온, 아크릴 또는 기타 재료 또는 재료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직포 직물에 적층될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막은 또한 두 부직포 층 사이에, 부직포 층과 직포 직물 층 사이에, 또는 두 직포 직물 층 사이에 적층될 수 있고, 열적으로, 초음파적으로 또는 접착제에 의해 함께 결합된다.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은 성공적인 마이크로크레이핑에 필요하다면 그의 마찰 특성을 변경하기 위한 하나의 개질된 표면을 갖는 단일층 미세다공성 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압착 또는 마이크로크레이핑을 통해 만들어진 얻어진 본 발명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미세다공성 막은 방수/통기성 성능 특성을 지니는 차별화된 텍스타일 재료 범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미세다공성 막의 가능한 산업적 텍스타일 관련 최종 용도의 예는 유연포장, 차음, 구성 장벽 필름, 쿠션재 적용, 및 여과 및/또는 기체 확산 적용을 위한 증가된 표면적 필름을 포함한다. 가능한 텍스타일 관련 의류 적용분야의 예는 일회용 및/또는 재사용가능한 의학적 의류, 청정실 수트, 아웃도어 텍스타일 재료, 아웃도어 의복 또는 장비, 신발류 등을 포함한다.
강도, 신축성, 복원성, 신축성 및 복원성, 탄성, 가요성 및 유연도의 얻어진 수준은 크레이핑 또는 압착, 예를 들어 세로방향으로 막의 적어도 일부의 압착 또는 마이크로크레이핑의 정도를 달리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속도, 압력 및 온도와 같은 압착 또는 크레이핑 파라미터의 조절은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다공성 막의 기계적 강도, 신축성 및 복원성, 탄성, 및 부드러운 감촉의 달성된 수준을 조절할 수 있다. 더 높은 압착은 더 높은 탄성, 즉, 회복가능한 세로방향 신축성을 지니는 더 밀집한 마이크로크레이핑된 재료를 만들 수 있다.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막의 부드러운 촉감 또는 유연도, 크레이핑된 재료의 걸리거나(hang) 또는 늘어지는(droop) 능력 등은,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내는 막에서 마이크로크레이핑된 영역 또는 지역의 평행한 줄 및 인접한 개더에 의해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미세다공성 막(3)의 드레이프 및 유연도를 구성성분 부직포(1) 및 기저 다공성 막(2)과 비교하여 도 5에서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2개의 연질의, 용이하게 드레이핑된 막을, 드레이프 및 유연도가 보유되거나 또는 심지어 개선된 본 발명의 미세다공성 막을 만들기 위해 마이크로크레이핑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한다.
셀가드(등록상표) 폴리올레핀 미세다공성 막, 더 구체적으로는 부직포 재료에 적층된 셀가드(등록상표) Z-시리즈 미세다공성 막 제품의 마이크로크레이핑은 의류 적용 분야, 예컨대 겉옷, 우의, 방수 신발류, 사냥 및 모터사이클 장비, 수술용 의류 등에 유용하고, 또한 텐트 및 차양 재료 등을 사용하는 텍스타일 아웃도어 적용분야에서 유용한 고도로 통기성의, 방수, 탄성 재료 등을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의 표 1은 마이크로크레이핑된 셀가드 적층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한 복합 재료의 특성과 함께 실시예 1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셀가드(등록상표) 적층 제품을 열거한다. 실시예 1을 사양 번호 C2000에 따라 마이크렉스 코포레이션 마이크로크레이핑 공정을 통해 처리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셀가드 Z-시리즈 EZL2090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의 일 실시형태의 마이크로크레이핑 전 및 후의 사진을 포함한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1. 셀가드(등록상표) EZ2090 Z 시리즈 폴리프로필렌(PP) 마이크로다공성 막을 평량이 15g/㎡인 부직포 폴리프로필렌(PP) 직물에 대해 다이아몬드 사선 표면 패턴을 사용하여 열에 의해 적층하였다. 얻어진 제품 EZL2090을, 약 150도F 및 약 40psi의 압력에서 사양 번호 C2000에 따른 마이크렉스(등록상표) 코포레이션 마이크로크레이핑 공정을 사용하여 마이크로크레이핑하였다. 20㎛ 미세다공성 셀가드(등록상표) EZ2090에 대한 130㎛ 부직포 PP 직물의 83㎛ EZL2090 복합재의 마이크로크레이핑은 평량이 44g/㎡인 263㎛ 두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을 만들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복합재 막은 비마이크로크레이핑 EZL2090과 비교할 때, 천공 강도에서 대략 20% 증가 및 파단시 MD 연신율에서 100% 증가가 있었다.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복합재 막의 시험 샘플을 완전히 늘어나도록 세장시키고 해제한 후에, 복원성은 거의 100%였다. 44초/10cc의 낮은 걸리(Gurley) 값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복합재 막의 높은 투기율을 나타낸다.
실시예 2. 셀가드(등록상표) EZ3030 18㎛ 폴리프로필렌(PP) 미세다공성 막을 평량이 11.7g/㎡인 106㎛ 부직포 폴리프로필렌(PP) 직물에 대해 도트(dot) 표면 패턴을 사용하여 열에 의해 적층하였다. 도 4에서 나타낸 마이크로크레이핑된 EZL3030을 약 150도F 및 약 40psi의 압력에서 사양 번호 C2000에 따른 마이크렉스(등록상표) 코포레이션 마이크로크레이핑 공정을 사용하여 준비하였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EZL3030은 159㎛ 두께이며, 복합재층의 천공 강도와 비교할 때, 천공 강도에서 대략 30% 증가가 있었다. 마이크로크레이핑한 EZL3090에 대해 관찰한 0의 걸리 값은 매우 높은 투기율을 나타낸다. 추가로, 천공 강도 시험 동안 측정한 부하 시 변형률%에서 60% 증가를 관찰하였는데, 이는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막에 대한 부하 하에서 연신성(extensibility) 또는 강도에서의 증가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시험 방법
걸리를 ASTM D-726 방법에 의해 측정하고, 걸리 투기도시험기(Gurley Densometer) 모델 4120 투과 시험기를 사용하여 기체 투과성 시험을 측정한다. ASTM 걸리는 12.2 인치 물의 일정한 압력에서 10cc의 공기가 1 평방 인치의 필름을 통과하는데 필요한 시간(초)이다.
엠베코 마이크로게이지(Emveco Microgage) 210-A 마이크로미터 두께 시험기 및 시험 절차 ASTM D374를 사용하여 두께를 마이크로미터(㎛)로 측정한다.
ASTM-882 절차에 따라 인스트론 모델 4201을 사용하여 MD 인장 강도를 측정한다.
파단 시 MD 연신율%는 샘플 파단에 필요한 최대 인장 강도에서 측정한 시험 샘플의 신장%이다.
ASTM D3763에 기반한 인스트론(Instron) 모델 4442를 사용하여 천공 강도를 측정한다. 미세다공성 막의 폭을 가로질러 측정하고, 천공 강도를 시험 샘플을 천공하는데 필요한 힘으로서 정의한다.
평량(Basis Weight)은 재료의 단위 샘플 면적 당 중량이며, 그램/평방 미터로 표현할 수 있다. 이는 알려진 면적(평방 미터)의 시험 샘플의 중량(그램)이다.
필름, 특히 박막은 취급, 마이크로크레이핑, 압착 등하기가 가장 어려운 재료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얇은 다공성 막 또는 다공성 필름(예를 들어, 5 내지 50㎛ 두께 미세다공성 막)은 고체 필름보다 다루기가 훨씬 더 어려울 수 있지만, 약 10% 이상의 다공성, 바람직하게는 약 30% 이상의 다공성 및 더 바람직하게는 약 50% 이상의 다공성으로서 고체 필름보다 마이크로크레이핑 또는 압착을 더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고, 크레이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얇은 복합재 또는 적층된 다공성 막(예를 들어, 15 내지 500㎛ 두께 복합 미세다공성 막 또는 적층물)은 부직포 또는 직물층 때문에 다루기가 더 용이할 수 있다.
적어도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마이크로크레이핑, 압착, 연화, 신축성 부여 등을 위하여 얇은 다공성 재료, 특히 미세다공성 막 및 그에 연결된 부직포로 형성된 다공성 재료의 세로방향 처리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특정 마이크로크레이핑에서, 얇고, 가요성이며, 세장형인 다공성 재료(길이, 망, 시트)를 지연 수단에 대해 공급하고, 구동면에 대해 구속시키며 재료를 지연면과 체결시키는 구속면과 동일 측면의 재료상에서 구속시키고, 움직이는 구동면을 지니는 구동 체결부 내로 프레싱 어셈블리에 의해 가요성 재료를 프레싱함으로써 가요성 재료의 직선 길이의 연속적 세로방향의 압축 처리를 실시하되, 프레싱 어셈블리는, 재료가 구속면 아래로부터 나온 후에 지연면과 구동면 사이를 통과하도록, 구속면과 지연면이 둘 다 구동면에 마주하고, 지연면은 구속면 다음에 위치되도록 제공되며, 프레싱 어셈블리는 (1) 프레서 멤버 및 (2) 프레서 멤버의 힘을 재료에 전달하기 위한 커플링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커플링 수단은 (1) 구속면을 한정하는 구속 수단, (2)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속 수단 건너편에 위치되고 지연면을 한정하는 지연 수단 및 (3) 프레서 멤버와 구속 수단 및 지연 수단 사이의 힘 전달 수단을 포함하며, 프레서 멤버 및 커플링 수단은 이동 구동면의 세로로 서로에 관한 움직임을 위해 장착되고, 이러한 상대적 움직임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한편, 상기 프레서 멤버는 상기 커플링 수단과 프레싱 체결되고, 커플링 수단은 프레서 멤버에 대해 이렇게 배치되고 배열되며, 일 방향으로 이러한 상대적 움직임 동안, 상대적으로 원거리의 비효과적인 위치로부터 이러한 표면에 더 가까운 위치로 이동 구동면에 더 가깝게 지연면에 점점 더 힘을 가하여서 구동면에 의해 구동되는 재료 상에서 지연면의 지연 효과를 점점 더 증가시키고, 이 동일한 상대적 움직임 동안, 미끄러지지 않고 있는 아래쪽의 재료를 유지하도록 구속면에 충분한 힘을 전달함에 따라, 지연면의 시작 부근에 대해 구동면과의 구동 체결이 있으며, 지연면이 이들 지점 사이에서 시작하는 지점 앞에서(일반적으로 1 인치 미만, 얇은 직물의 경우에, 1/4 인치 미만) 가요성 재료는 구속면과 가깝지만 구속면 아래에 있는 지점에 대해 미끄러짐 없이 구동면을 이용하여 이동하도록 야기되고, 재료는 제한된 두께로 미끄러질 수 있게 제한되며, 제1 지점에 대한 구동면에 의한 전달은 재료에 힘을 가하여서 지연면에 도달하기 전에 압축된 재료의 구속된 칼럼에 대해 그 자신의 면을 즉시 압축시키되, 지연면은 연신가능하지 않으며, 조절 후에 재료의 이동 방향으로 고정되고; 다른 한편으로, 이는 바람직하게는 재료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수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지연면은 응집 지연 효과를 갖는 다수의 재료 그리핑 돌출부(예를 들어, 비-연신성 백킹(backing) 시트 또는 경질 금속의 돌출부에 결합된 경질 그릿(grit) 알갱이)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임의의 특정 적층 또는 크레이핑 패턴, 공정, 장비 등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마이크렉스(등록상표)/마이크로크레퍼스(상표명) 크레이핑 장비 및 플리세(Plisse) 패턴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앞서 생각한 텍스타일의 매우 개략적인 일반화는 가장 넓은 범위의 크레이핑 패턴을 허용할 것이기 때문에, 이후에 부직포(종이는 좀 덜함) 및 마지막으로는 필름을 허용할 것이다. 마이크로크레이프는 그들의 주파수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진폭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고, 매우 미세 내지 미세, 내지 중간, 내지 거대 등의 범위일 수 있다. 크레이핑에서 일반적인 규칙으로서, 미세한 것보다는 조대한 패턴을 만드는 것이 더 용이하다. 또한 두 수준의 크레이프를 사용할 수 있거나, 좁은 밴드에서 마이크로크레이프를 사용하여 플리세 효과를 만들 수 있다. 플리세 패턴은 다운타임(downtime) 또는 폐기 재료가 거의 또는 전혀 없이 용이하게 개질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새로운 패턴의 소자는 블루 스틸 조각으로부터 가위로 절단된다. 다른 패턴은 "스킵" 패턴, "시어서커(seersucker)" 패턴, 미세한 마이크로크레이프와 조대 마이크로크레이프를 둘 다 의미하는 "이중 크레이프" 등을 포함한다. 마이크로크레이핑, 압착 또는 크레이핑에 부가해서, 본 발명의 얇은 가요성 다공성 재료는 한 면 또는 양면, 이들의 조합상에서, 표면 중 하나 또는 둘 다 등에서, 엠보싱, 천공, 스코어링, 플럭(flocked), 스캐빈저, 브러슁, 코듀로이, 그라비어 인쇄, 롤, 립(rib), 비트(beat), 표면 상승, 열 고정, 스웨이드, 폴딩, 롤 폴딩, 플리트, 물결 모양, 웨이브 등으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선택된 실시형태, 목적 또는 양태는 텍스타일 관련 적용분야에서 사용하기 위한 신규하거나, 개질되거나 또는 처리된 미세다공성 막에 관한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열, 압축 및/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함께 적층된 2 이상의 다른 다공성 막 또는 재료층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적층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은 기계적 강도, 탄력성 및/또는 탄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적층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 내로, 영구적인 소형의 규칙적으로 이격된, 크레이프, 윤곽, 압착, 플리트 또는 주름을 도입하도록 마이크로크레이핑과 같은 기법 또는 처리를 사용하여 개질된다. 추가로, 본 발명의 개질되거나, 처리되거나 또는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미세다공성의 적층된 막은 더 바람직하게는 상당히 개선된 '감촉' 또는 유연도를 가지며, '피부에 접하는' 유연도를 가지고/가지거나, 움직이는 동안 잔주름 노이즈 없이 차분한 상태인데, 이는 텍스타일 의류, 재료 또는 적용분야의 또는 텍스타일 의류, 재료 또는 적용분야에서 목적으로 하는 성능 특성 또는 특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선택된 실시형태는 텍스타일 관련 적용분야에서 사용하기 위한 신규하거나, 개선되거나, 개질되거나 또는 처리된 미세다공성 막에 관한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열, 압축 및/또는 접착제와 함께 적층된 2 이상의 다른 다공성 막 또는 재료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적층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은 바람직하게는, 기계적 강도, 탄력성 및/또는 탄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적층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 내로, 영구적인 소형의 규칙적으로 이격된, 크레이프, 윤곽, 압착, 플리트 또는 주름을 도입하도록 마이크로크레이핑과 같은 기법 또는 처리를 사용하여 개선되거나, 처리되거나 또는 개질된다. 추가로, 본 발명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미세다공성 적층막은 더 바람직하게는 상당히 개선된 '감촉' 또는 유연도를 가지며, '피부에 접하는' 유연도를 가지고/가지거나, 움직이는 동안 잔주름 노이즈 없이 차분한 상태인데, 이는 텍스타일 의류, 재료 또는 적용분야의 또는 텍스타일 의류, 재료 또는 적용분야에서 목적으로 하는 성능 특성 또는 특징일 수 있다.
적어도 특정 실시형태, 본 발명의 목적 또는 양태는 함께 적층된 2 이상의 다른 다공성 막 또는 재료층으로 구성된 마이크로크레이핑되거나 또는 연화된 신규하거나, 개선되거나, 개질되거나 또는 처리된 다공성 막, 재료, 복합재, 적층물, 텍스타일, 의류, 텍스타일 재료, 미세다공성 막, 재료, 복합재, 적층물, 텍스타일, 의류, 텍스타일 재료, 복합 미세다공성 막에 관한 것이되, 마이크로크레이핑 공정을 통해 제조된 적층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은 방수/통기성 성능 특성을 지니는 차별화된 텍스타일 재료의 범위를 제공할 수 있다.
적어도 선택된 실시형태, 목적 또는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신규하거나, 개선되거나, 개질되거나 또는 처리된 다공성 막, 재료, 복합재, 적층물, 텍스타일, 의류, 텍스타일 재료, 및 관련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텍스타일 의류, 텍스타일 재료 또는 관련된 적용분야에서 사용하기 위한 신규하거나, 개선되거나, 개질되거나 또는 처리된 미세다공성 막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특정 선택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열, 압축 및/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함께 적층된 2 이상의 다른 다공성 막 또는 재료층으로 구성된 신규하거나, 개질되거나 또는 처리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특정 선택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층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은 기계적 강도, 탄력성 및 탄성과 같은 특정 특징 또는 성능을 변화시키거나, 개질시키거나 또는 개선시키기 위하여 적층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 내로, 영구적인 소형의 규칙적으로 이격된, 크레이프, 윤곽, 압착, 플리트 또는 주름을 도입하도록 마이크로크레이핑과 같은 기법 또는 처리를 사용하여 개질된다. 추가로, 본 발명의 신규하거나, 개선되거나, 개질되거나, 처리되거나 또는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미세다공성 적층 막은 텍스타일 의류, 재료 또는 적용분야에서 목적으로 하는 특징 또는 성능인 상당히 개선된 '감촉' 또는 유연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텍스타일 관련 적용분야에서 사용하기 위한 신규하거나, 개선되거나, 개질되거나 또는 처리된 미세다공성 막에 관한 것이며, 열, 압축 및/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함께 적층된 2 이상의 다른 다공성 막 또는 재료층으로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적층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은 기계적 강도, 탄력성 및/또는 탄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적층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 내로, 영구적인 소형의 규칙적으로 이격된, 크레이프, 윤곽, 압착, 플리트 또는 주름을 도입하도록 마이크로크레이핑과 같은 기법 또는 처리를 사용하여 개질된다. 추가로, 본 발명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미세다공성 적층막은 더 바람직하게는 상당히 개선된 '감촉' 또는 유연도를 가지고, '피부에 접하는 유연도를 가지고/가지거나, 움직이는 동안 잔주름 노이즈 없이 차분한 상태인데, 이는 텍스타일 의류, 재료 또는 적용분야의 또는 텍스타일 의류, 재료 또는 적용분야에서 목적으로 하는 성능 특성 또는 특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매우 다른 변형 및 변화는 본 명세서의 교시에 비추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대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다공성 또는 마이크로다공성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막은 비다공성, 다공성 또는 미세다공성 코팅 또는 층으로 코팅될 수 있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기재된 것 이외의 본 발명이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Claims (15)

  1. 신규하거나, 개선되거나, 처리되거나 또는 개질된 다공성 막, 재료, 복합재, 적층물, 텍스타일, 의류, 텍스타일 재료, 텍스타일 관련 적용분야에서 사용하기 위한 미세다공성 막, 예를 들어, 열, 압축 및/또는 접착제를 이용해서 함께 적층된 2 이상의 다른 다공성 막 또는 재료층으로 구성된 신규하거나, 개질되거나 또는 처리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composite microporous membrane), 기계적 강도, 탄력성 및 탄성과 같은 특정 특징 또는 성능을 변화, 개질 또는 개선시키기 위하여 적층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 내로, 소형의 규칙적으로 이격된, 크레이프, 윤곽(profile), 압착(compaction), 플리트(pleat) 또는 주름(wrinkle)을 도입하도록 마이크로크레이핑(microcreping)과 같은 기법 또는 처리를 사용하여 개질된 적층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 텍스타일 의류 재료 또는 적용분야에서 목적으로 하는 특징 또는 성능 특성인 상당히 개선된 '감촉'(hand) 또는 유연도(softness)를 갖는 개질되거나, 처리되거나 또는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미세다공성 적층막, 관련된 방법, 제조 방법, 사용 방법, 및/또는 본 명세서에 도시되거나 또는 기재된 것.
  2. 마이크로크레이핑된(microcreped) 복합 미세다공성 막으로서,
    복합 미세다공성 막 내로, 영구적인 소형의 규칙적으로 이격된, 크레이프, 윤곽, 압착, 플리트 또는 주름을 도입하도록 마이크로크레이핑 공정 또는 처리를 사용하여 개질된 적층된 상기 복합 미세다공성 막을 포함하되, 상기 복합 미세다공성 막은 직포(woven) 또는 부직포 다공성 재료에 적층된 미세다공성 중합체 막을 포함하고, 상기 적층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은, 소형의 규칙적으로 이격된, 크레이프, 윤곽, 압착, 플리트 또는 주름을 가지되,
    상기 개질되거나, 처리되거나 또는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은 바람직하게는 개선된 천공 강도, 증가된 파단 시 MD 연신율%, 개선된 신축성 및 복원성 수준을 갖고/갖거나, 탄성이 있고/있거나, 부드러운 '감촉' 또는 드레이프(drape)를 갖는 것인,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다공성 중합체 막 내의 기공의 평균 직경이 0.02 내지 0.20㎛의 범위인 것인,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
  4. 제2항에 있어서, 부직포의 하나 이상의 층이 변형, 처리 또는 마이크로크레이핑 전에 상기 미세다공성 중합체 막에 열적으로, 초음파적으로 또는 접착제의 사용에 의해 적층된 것인,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
  5. 제2항에 있어서, 세로방향 신장(machine direction stretch)이 200%까지 일 수 있는 것인,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막의 상기 복원성은 연신 후에 20 내지 100%인 것인,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막은 수분 불침투성인 것인,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막은 수증기 침투성인 것인,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복합 미세다공성 막.
  9.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미세다공성 막으로서,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미세다공성 막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미세다공성 막 내로, 영구적인 소형의 규칙적으로 이격된, 크레이프, 윤곽, 압착, 플리트 또는 주름을 도입하도록 마이크로크레이핑 공정 또는 처리를 사용하여 개질된 미세다공성 막을 포함하되,
    상기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미세다공성 막은 개선된 천공 강도, 증가된 파단 시 MD 연신율%, 개선된 신축성 및 복원성 수준을 가지고, 탄성이 있고/있거나 부드러운 '감촉' 또는 드레이프를 갖는,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미세다공성 막.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미세다공성 막은 개선된 천공 강도, 증가된 파단 시 MD 연신율%, 개선된 신축성 및 복원성 수준, 개선된 탄성을 가지고, 마이크로크레이핑되지 않은 미세다공성 막에 비해 부드러운 '감촉' 또는 드레이프를 갖는 것인,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미세다공성 막.
  11. 텍스타일 또는 의류에서의 상기 제9항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미세다공성 막을 포함하는 개선.
  12.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미세다공성 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개선된 천공 강도, 증가된 파단 시 MD 연신율%, 개선된 신축성 및 복원성 수준을 갖고/갖거나 탄성이 있고/있거나 부드러운 '감촉' 또는 드레이프를 갖는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미세다공성 막을 형성하기 위해 미세다공성 막 내로, 영구적인 소형의 규칙적으로 이격된, 크레이프, 윤곽, 압착, 플리트 또는 주름을, 마이크로크레이핑 공정 또는 처리를 통해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미세다공성 막의 형성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다공성 막은 다중층을 갖는 것인,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미세다공성 막의 형성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하나의 층이 부직포층 또는 재료인 것인,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미세다공성 막의 형성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하나의 층이 코팅인 것인, 마이크로크레이핑된 미세다공성 막의 형성 방법.
KR1020157009444A 2012-09-28 2013-09-26 다공성 막, 재료, 복합재, 적층물, 텍스타일 및 관련 방법 KR1022234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06990P 2012-09-28 2012-09-28
US61/706,990 2012-09-28
PCT/US2013/061903 WO2014052576A1 (en) 2012-09-28 2013-09-26 Porous membranes, materials, composites, laminates, textiles and related method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514A Division KR20210024679A (ko) 2012-09-28 2013-09-26 다공성 막, 재료, 복합재, 적층물, 텍스타일 및 관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081A true KR20150064081A (ko) 2015-06-10
KR102223463B1 KR102223463B1 (ko) 2021-03-08

Family

ID=5038549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9444A KR102223463B1 (ko) 2012-09-28 2013-09-26 다공성 막, 재료, 복합재, 적층물, 텍스타일 및 관련 방법
KR1020217005514A KR20210024679A (ko) 2012-09-28 2013-09-26 다공성 막, 재료, 복합재, 적층물, 텍스타일 및 관련 방법
KR1020227009002A KR102488751B1 (ko) 2012-09-28 2013-09-26 다공성 막, 재료, 복합재, 적층물, 텍스타일 및 관련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514A KR20210024679A (ko) 2012-09-28 2013-09-26 다공성 막, 재료, 복합재, 적층물, 텍스타일 및 관련 방법
KR1020227009002A KR102488751B1 (ko) 2012-09-28 2013-09-26 다공성 막, 재료, 복합재, 적층물, 텍스타일 및 관련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046537B2 (ko)
JP (2) JP6396298B2 (ko)
KR (3) KR102223463B1 (ko)
CN (2) CN104661734A (ko)
WO (1) WO20140525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3226A1 (en) 2014-08-26 2016-03-03 Curt G. Joa,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securing elastic to a carrier web
JP6496762B2 (ja) 2017-03-03 2019-04-03 住友化学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
US20210219663A1 (en) * 2017-12-28 2021-07-22 Rival Company Limited A Shoe Upper Blank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WO2019148156A1 (en) 2018-01-29 2019-08-01 Curt G. Joa, Inc.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astic composite structure for an absorbent sanitary product
CN112534635B (zh) * 2018-05-10 2023-11-10 赛尔格有限责任公司 微米层膜、电池隔板、电池及相关方法
KR102357880B1 (ko) * 2018-12-06 2022-02-03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작약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1925538B2 (en) 2019-01-07 2024-03-12 Curt G. Joa, Inc.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astic composite structure for an absorbent sanitary product
WO2021035568A1 (en) * 2019-08-28 2021-03-04 Rival Shoes Design Limited A shoe upper blank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US11173072B2 (en) 2019-09-05 2021-11-16 Curt G. Joa, Inc. Curved elastic with entrapment
JP7348314B2 (ja) 2020-01-21 2023-09-20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及びカートリッジ、並びにカートリッジの種別を判定する方法
JP7300526B2 (ja) 2020-01-21 2023-06-2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及びカートリッジ、並びにカートリッジの種別を判定する方法
WO2021149124A1 (ja) 2020-01-21 2021-07-2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及びカートリッジ、並びにカートリッジの種別を判定する方法
US20220193588A1 (en) * 2020-12-18 2022-06-23 Hollingsworth & Vose Company Undulated filter media
CN117480201A (zh) * 2021-04-14 2024-01-30 赛尔格有限责任公司 宽幅微孔薄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1163A (ko) * 2005-05-11 2008-04-08 알스트롬 코포레이션 고탄력의 치수로 회복 가능한 부직포 물질
KR100848750B1 (ko) * 2000-10-27 2008-07-25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천-유사 미감을 갖는 이축 탄성 신축성 통기성 라미네이트 및 라미네이트 유체 차단막
KR20100017382A (ko) * 2007-04-27 2010-02-16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상용화된 중합체 블렌드로부터의 α미공성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45733A (en) * 1931-10-16 1936-06-30 Wood Conversion Co Insulation structure
US3260778A (en) 1964-01-23 1966-07-12 Richard R Walton Treatment of materials
US3937640A (en) * 1972-02-19 1976-02-10 Tajima Roofing Co., Ltd. Process for manufacturing a waterproofing assembly of laminated bituminous roofing membranes
US4039706A (en) * 1972-02-19 1977-08-02 Tajima Roofing Co., Ltd. Laminated bituminous roofing membrane
US4610915A (en) * 1983-03-11 1986-09-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wo-ply nonwoven fabric laminate
JPH05138786A (ja) * 1991-11-21 1993-06-08 Unitika Ltd 積層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5405643A (en) * 1993-01-25 1995-04-1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icrocreping of fabrics for orthopedic casting tapes
US5678288A (en) 1993-02-22 1997-10-21 Richard R. Walton Compressively treating flexible sheet materials
US5666703A (en) 1994-02-04 1997-09-16 Richard C. Walton Apparatus for compressively treating flexible sheet materials
KR100242363B1 (ko) * 1994-05-12 2000-02-01 나카히로 마오미 다공성 다층 필름
EP0805662B1 (en) 1995-01-26 2000-11-02 Advanced Medical Solutions Limited Wound dressing
US6114595A (en) * 1996-04-11 2000-09-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retchable, extensible composite topsheet for absorbent articles
US6187138B1 (en) 1998-03-17 2001-02-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creping paper
FI19992142A (fi) * 1999-10-05 2001-04-06 Suominen Oy J W Vesineulattu kuitukangas,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ja sen käyttö
EP1290289B1 (en) * 2000-04-25 2008-12-31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tretchable flashing materials and method of installing
US20020104576A1 (en) * 2000-08-30 2002-08-08 Howland Charles A. Multi-layer and laminate fabric systems
JP2004197287A (ja) 2002-12-17 2004-07-15 Polymer Processing Res Inst 機械的に収縮された透湿防水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MXPA05009663A (es) * 2003-03-13 2005-10-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 Telas compuestas y sistemas de cierre.
US8399088B2 (en) * 2004-10-15 2013-03-1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elf-adhering flashing system having high extensibility and low retraction
CN101253289B (zh) 2005-07-29 2010-09-08 纤维网公司 具有阻液性的双组分片材
JP5124477B2 (ja) 2006-01-06 2013-01-23 マイクレッ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移動するシート材料のミクロクレーピング
JP5128336B2 (ja) 2008-03-26 2013-01-23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伸縮性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0038486A1 (ja) 2008-10-02 2010-04-08 名古屋油化株式会社 吸音材料、複層吸音材料、成形複層吸音材料、吸音性内装材料及び吸音性床敷材料
US8048516B2 (en) * 2008-11-21 2011-11-01 Bha Group, Inc. Air permeable waterproof bicomponent film
US8501644B2 (en) * 2009-06-02 2013-08-06 Christine W. Cole Activated protective fabric
JP2011084855A (ja) * 2009-09-15 2011-04-28 Nagoya Oil Chem Co Ltd 熱接着性不織布、吸音性繊維シートおよび吸音材料
WO2011075619A1 (en) * 2009-12-17 2011-06-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imensionally stable nonwoven fibrous webs, melt blown fine fibe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750B1 (ko) * 2000-10-27 2008-07-25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천-유사 미감을 갖는 이축 탄성 신축성 통기성 라미네이트 및 라미네이트 유체 차단막
KR20080031163A (ko) * 2005-05-11 2008-04-08 알스트롬 코포레이션 고탄력의 치수로 회복 가능한 부직포 물질
KR20100017382A (ko) * 2007-04-27 2010-02-16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상용화된 중합체 블렌드로부터의 α미공성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96298B2 (ja) 2018-09-26
KR20210024679A (ko) 2021-03-05
KR20220039840A (ko) 2022-03-29
JP6644117B2 (ja) 2020-02-12
CN108146045B (zh) 2021-05-11
US20140093687A1 (en) 2014-04-03
CN108146045A (zh) 2018-06-12
JP2015535760A (ja) 2015-12-17
KR102488751B1 (ko) 2023-01-18
WO2014052576A1 (en) 2014-04-03
KR102223463B1 (ko) 2021-03-08
US10046537B2 (en) 2018-08-14
CN104661734A (zh) 2015-05-27
JP2019014260A (ja) 2019-01-31
US20180333933A1 (en) 2018-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3463B1 (ko) 다공성 막, 재료, 복합재, 적층물, 텍스타일 및 관련 방법
KR100682113B1 (ko) 통기성 탄성 복합 재료와 제조방법
KR100625161B1 (ko) 탄성 물질층 및 비탄성 시트층의 횡방향 신장 및수축가능한 네킹된 적층체를 포함하는 연신 및 회복성을갖는 복합재
CA2357868C (en) Three dimensionally structured non-woven fiber aggregate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CA3105755C (en) Polyethylene film
AU7315591A (en) Elastomeric composite fabric
MX2015005397A (es) Articulo(s) con trama no tejida suave.
JP7328890B2 (ja) 延伸性ラミネート
WO2012070556A1 (ja) 止血ベルト
JPH0760886A (ja) テキスタイル・ウェブと不織弾性ウェブとからなる平らな積層材料
US20100304085A1 (en) Method for producing a non-woven/sheet laminate
WO2015143106A1 (en) Embossed microporous membrane wip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WO2017112509A1 (en) Short fiber nonwoven fabric, loop member for surface fastener, and sanitary article
AU2005292A (en) Soft stretchable composite fabric
JP6566802B2 (ja) 成形用繊維シート
JP2634820B2 (ja) エアーバッグ用基布
JPH0369654A (ja) シート物
JP7420649B2 (ja) 積層体不織布
JP2021098922A (ja) 表面材とその製造方法
JP2023164210A (ja) 不織布
MXPA01003976A (es) Laminados elasticos respirab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