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2281A - 녹용, 녹각 및 조릿대가 포함된 장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녹용, 녹각 및 조릿대가 포함된 장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2281A
KR20150062281A KR1020130146745A KR20130146745A KR20150062281A KR 20150062281 A KR20150062281 A KR 20150062281A KR 1020130146745 A KR1020130146745 A KR 1020130146745A KR 20130146745 A KR20130146745 A KR 20130146745A KR 20150062281 A KR20150062281 A KR 20150062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ler
meju
deer
control group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6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7115B1 (ko
Inventor
박규열
최지숙
최영준
Original Assignee
박규열
최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규열, 최지숙 filed Critical 박규열
Priority to KR1020130146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115B1/ko
Publication of KR20150062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0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용, 녹각 및 조릿대를 포함한 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콩으로 메주를 만들어 준비하는 메주준비단계; 상기 메주준비단계와 동시에 또는 그 전후에 실시되며, 녹용 및 녹각을 포함하는 한약재료를 준비하는 한약재료준비단계; 상기 준비된 녹용 및 녹각에 물과 소금을 혼합하는 1차혼합단계; 상기 1차혼합된 혼합물에 미리 준비한 메주를 투입하는 메주혼합단계; 메주가 혼합된 혼합물을 숙성시키는 1차숙성단계; 상기 1차 숙성된 혼합물에서 메주를 분리하는 메주분리단계; 및 메주가 제거된 후 남은 액상 혼합물을 다시 숙성시키는 2차숙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및 면역활성기능이 있는 기능성 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녹용, 녹각 및 조릿대를 포함한 장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포제법을 통해 포제한 녹용, 녹각 및 조릿대를 이용하여 된장을 제조함으로써 원재료 그대로 첨가하여 장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녹용, 녹각 및 조릿대의 영양성분이 장에 그대로 포함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기존의 장에 부족했던 각종 영양성분을 첨가하여 항암 및 면역활성기능이 있는 기능성 장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녹용, 녹각 및 조릿대가 포함된 장 및 그 제조방법{Fermented food made by adding the young antler of the deer, hard antler of the deer and sasa borealis and manufacturing process for the same}
본 발명은 녹용, 녹각 및 조릿대가 포함된 된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체적으로 개발한 포제법을 통해 포제한 녹용, 녹각 및 조릿대를 이용하여 된장을 제조함으로써 원재료 그대로 첨가하여 장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녹용, 녹각 및 조릿대의 영양성분이 장에 그대로 포함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기존의 장에 부족했던 각종 영양성분을 첨가하여 항암 및 면역활성기능이 있는 기능성 장과 그 장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醬)'이란 간장, 된장, 고추장, 청국장 등을 통틀어서 일컫는 말로, 동양권(한국, 중국, 일본 등)에서 주로 식용되고 있는 조미료적 식품이다.
간장은 대두, 탈지 대두, 맥류 또는 쌀 등을 원료로 사용하여 제국한 후, 식염수 등을 섞어 발효, 숙성시킨 후 그 여액을 가공하여 제조하는 양조간장, 단백질 또는 탄수화물을 함유한 원료를 산으로 가수 분해한 후 중화하여 얻은 여액을 가공하여 제조하는 산 분해 간장, 양조간장 원액과 산분해 간장 원액을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가공하거나, 산 분해 간장 원액에 단백질 또는 탄수화물 원료를 가하여 발효, 숙성시킨 여액을 가공하여 제조하는 혼합 간장, 단백질 또는 탄수화물을 함유한 원료를 효소로 가수 분해한 후 그 여액을 가공하여 제조하는 효소분해 간장 및 메주를 주원료로 하여 식염수 등을 섞어 발효, 숙성시킨 후 그 여액을 가공하여 제조하는 한식 간장, 신선한 선어(鮮魚)를 염장하여 발효 숙성시켜 주로 김치제조 시에 사용하였던 액젓과 어간장이 있다.
또한, 예로부터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어 오던 전통 재래식 간장에 해당하는 한식 간장은 콩이 주원료가 되는 메주를 발효시켜 얻어지는데, 콩에는 단백질, 탄수화물,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떨어뜨리는 아미노산, 피테이츠(Phytates), 사포닌(Saponins) 및 항암 작용을 하는 프로테아제 저해제(Protease Inhibitors) 등 인체에 생리학적으로 도움을 주는 영양소가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된장은 메주로 장을 담가서 장물을 떠내고 남은 건더기로 만든 장이다. 된장은 간장과 함께 예로부터 전해진 우리나라의 조미식품(調味食品)으로 음식의 간을 맞추고 맛을 내는 데 기본이 되는 식품이다. 콩에는 단백질이 38%나 함유되어 있고, 리놀산 및 리놀렌산 등의 불포화 지방산이 많이 함유된 지방이 18% 함유되어 있어 영양상으로 우수하다. 이 콩을 이용하여 만든 된장도 영양이 풍부하다. 100g당 열량이 128cal, 단백질 12g, 지방 4.1g, 탄수화물 14.5g, 회분 17.9g, 칼슘 122㎎, 인 141㎎, 철분 5.1㎎이 함유되어 있고, 비타민 B1과 B2도 0.04㎎, 0.2㎎씩 함유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영양이 풍부한 된장은 나물을 무치는 조미료나 토장국 끓이는 데 이용되고 장땡이와 같은 반찬을 만드는 데에도 이용된다. 뿐만 아니라 약으로도 이용되어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두통한열(頭痛寒熱)을 다스리고 땀을 내게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콩으로 메주를 쑨 다음, 이를 다른 원료와 혼합하여 숙성시킨 우리의 대표적 발효식품의 하나인 된장은, 곡류를 위주로 한 우리의 식생활에 있어서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 그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콩 속에 포함된 생리활성 물질들이 성인병 예방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연구 발표되어 관심을 끌고 있다. 예컨대, 콩 속의 이소플라본 중 제니스타인 등은 암세포의 증식을 감소시키고, 정상 세포의 분열을 촉진하는 항암작용을 나타내며, 이소플라본의 유도체인 이피리플라본은 뼈의 재흡수를 저해하는 동시에 뼈의 밀도를 높여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발표되었다.
이러한 콩 속에 포함된 유효성분들은 된장을 담아 발효시키는 과정 중에도 그대로 유지됨은 물론이거니와, 된장의 발효과정 중에는 단백질이 분해되어 각종 아미노산이 생성되고, 새로운 항산화성 물질이 생성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우리의 전통 발효식품인 된장의 높은 영양적 가치와 그 속에 함유된 유효성분들이 밝혀져 감에 따라, 된장은 우리의 식탁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식재로서 뿐만 아니라, 건강식품으로서도 새롭게 자리매김해 가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맛과 영양을 겸비한 건강식품인 된장이지만, 감칠맛이나 단맛보다는 씁쓰름한 뒷맛이나 특유의 냄새를 가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재차 조리하여 먹어야 할 뿐만 아니라, 칼슘이나 철분 등의 각종 무기질 성분은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조리시에는 이러한 성분을 보충할 다른 재료를 첨가하여 조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시중에 판매하고 있는 장에 부족한 영양성분을 첨가하고, 맛과 기능이 개선된 장을 개발하기 위해, 장류 제조시 녹용이나 녹각과 같은 한약재를 첨가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96928호 녹용 함유 된장 및 그 제조방법에는 미숙성 된장 100중량부에 대해 1~20중량부의 녹용 분말을 첨가하여 함께 숙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용 함유 된장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또한, 녹용 특유의 냄새를 없애기 위해 상기 녹용에 알코올을 첨가한 다음, 볶아서 분쇄한 녹용 분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용 함유 된장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53776호에는 녹용 엑기스를 첨가하여 제조한 발효식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녹용을 냉동 보관하는 제1단계, 냉동 보관된 녹용을 달이는 제2단계, 녹용을 달인 후 압출기를 이용하여 녹용의 엑기스를 추출하는 제3단계, 추출한 녹용 엑기스를 끓이는 제4단계, 끓인 녹용 엑기스의 식힌 물을 이용하여 간장, 된장, 청국장 또는 고추장을 담그는 제5단계로 발효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와 같은 방법은 녹용 자체를 가지고 장을 제조할 경우 썩어버리는 단점 때문에 녹용을 엑기스로 만들어 장에 첨가하거나, 녹용 엑기스 대신 녹용 분말을 사용하기는 하나 불에 볶아 사용하는 등 녹용 자체를 장에 첨가하지는 못했다. 또한, 녹용 엑기스를 얻기 위해서는 장시간 달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녹용 엑기스를 첨가한 된장은 수분의 증가로 맛이 떨어지고 저장성이 나빠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녹용의 전통적인 이용방법이었던 엑기스를 이용하는 방법에서 벗어난 다른 방법에 의해 녹용의 뛰어난 영양 및 보양효과를 장에 부여하여 전통 장을 우수한 식품으로 개발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녹용, 녹각 및 조릿대를 모두 첨가하여 제조한 장류는 아직 개발되지 않았으므로, 녹용, 녹각 및 조릿대의 영양성분이 모두 포함된 장류를 개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녹용뿐만 아니라 녹각 및 조릿대를 원재료 그대로 첨가하여 장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녹용, 녹각 및 조릿대의 영양성분이 장에 그대로 포함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기존의 장에 부족했던 각종 영양성분을 첨가한 기능성 장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형태의 목적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포제법을 통해 포제한 녹용, 녹각 및 조릿대를 이용하여 된장을 제조함으로써 원재료 그대로 첨가하여 장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녹용, 녹각 및 조릿대의 영양성분이 장에 그대로 포함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기존의 장에 부족했던 각종 영양성분을 첨가하여 항암 및 면역활성기능이 있는 기능성 장과 그 장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콩으로 메주를 만들어 준비하는 메주준비단계; 상기 메주준비단계와 동시에 또는 그 전후에 실시되며, 녹용 및 녹각을 포함하는 한약재료를 준비하는 한약재료준비단계; 상기 준비된 녹용 및 녹각에 물과 소금을 혼합하는 1차혼합단계; 상기 1차혼합된 혼합물에 미리 준비한 메주를 투입하는 메주혼합단계; 메주가 혼합된 혼합물을 숙성시키는 1차숙성단계; 상기 1차 숙성된 혼합물에서 메주를 분리하는 메주분리단계; 및 메주가 제거된 후 남은 액상 혼합물을 다시 숙성시키는 2차숙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및 면역활성기능이 있는 기능성 장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메주준비단계는 콩(대두)을 삶아 찧어 메주를 만드는 것으로 선별 - 씻기(수세) - 불리기(수침) - 익히기 - 찧기 - 성형 - 겉 말림 - 띄우기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1차혼합단계에서는 녹용 및 녹각 2~15중량%, 소금 1~6중량% 및 물 80~95중량%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녹용 100중량부에 대해 녹각 300~50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한약재료준비단계는 녹용 및 녹각의 털을 제거한 후 따뜻한 물에 세척하여 건조하고, 녹용 및 녹각의 제일 윗부분을 잘라 주정이 흡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전처리하는 전처리단계; 전처리된 녹용 및 녹각을 주정에 담그고, 38~50℃의 온도에서 분골까지 주정이 올라올때까지 주침하는 1차주침단계; 다시 주정에 담궈 12~24시간 동안 주침하는 2차주침단계; 주침된 녹용 및 녹각을 12~24시간 동안 냉동 보관하는 냉동단계; 냉동된 녹용 및 녹각을 저온건조기로 17~40℃의 온도에서 10~24시간 동안 건조하는 건조단계; 및 건조된 녹용 및 녹각을 뜨거운 물에 살짝 데운 후 분골, 상대, 중대, 하대 부위로 슬라이스하는 슬라이스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1차숙성단계에서는 15~45℃의 온도에서 40~80일간 통기성 용기에서 숙성시키며, 상기 2차숙성단계에서는 15~45℃의 온도에서 285~325일간 통기성 용기에서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한약재료에는 조릿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녹용 100중량부에 대해 조릿대 300~50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메주혼합단계에서는 혼합액 1리터당 메주 0.3~0.5kg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메주분리단계 이후에는, 분리된 메주를 15~45℃의 온도에서 40~365일간 숙성시키는 메주숙성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용, 녹각 및 조릿대를 포함한 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녹용, 녹각 및 조릿대가 포함된 장은 장에 녹용, 녹각 및 조릿대의 영양성분이 첨가되면서 항암 및 면역활성기능이 있는 기능성 장으로 제조할 수 있다.
기존의 녹용이나 녹각과 같은 한약재를 첨가하여 제조하는 장류의 제조방법과 달리 자체적으로 개발한 포제법을 이용하여 포제한 녹용, 녹각 및 조릿대를 장류에 첨가함으로써, 종래의 제조방법인 녹용이나 녹각을 엑기스로 만들어 첨가하는 제조방법의 단점인 엑기스를 얻기 위해서 장시간 달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녹용 및 녹각 엑기스를 첨가한 된장은 수분의 증가로 맛이 떨어지고 저장성이 나빠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자체적으로 개발한 포제법을 사용함으로써 녹용뿐만 아니라 녹각 및 조릿대를 원재료 그대로 첨가하여 장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녹용, 녹각 및 조릿대의 영양성분이 장에 그대로 포함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저장성이 뛰어나게 증진되고, 기존의 장에 부족했던 각종 영양성분을 첨가한 기능성 장을 개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녹용, 녹각 및 조릿대를 포함한 장의 제조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세포독성 시험결과 일반간장의 HCT116세포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세포독성 시험결과 녹용녹각간장의 HCT116세포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세포독성 시험결과 녹용녹각조릿대간장의 HCT116세포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세포독성 시험결과 Paclitaxel의 HCT116세포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HCT116 이식 마우스에서 항암활성 시험 결과 체중 및 증체량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7은 HCT116 이식 마우스에서 항암활성 시험 결과 종양 크기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HCT116 이식 마우스에서 항암활성 시험 결과 종양 중량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HCT116 이식 마우스에서 항암활성 시험 결과 종량 중량의 변화, 비장 중량의 변화, 악하임파절 중량의 변화, 난소주위 지방 중량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HCT116 이식 마우스에서 항암활성 시험 결과 혈중 IL-6 및 IFN-γ 함량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HCT116 이식 마우스에서 항암활성 시험 결과 NK cell 활성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HCT116 이식 마우스에서 항암활성 시험 결과 비장 cytokine 함량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HCT116 이식 마우스에서 항암활성 시험 결과 조직학적 변화 중 종괴의 일반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HCT116 이식 마우스에서 항암활성 시험 결과 조직학적 변화 중 종괴내 caspase-3, PARP 및 COX-2 면역반응세포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HCT116 이식 마우스에서 항암활성 시험 결과 조직학적 변화 중 종괴내 iNOS 및 TNF-α 면역반응세포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HCT116 이식 마우스에서 항암활성 시험 결과 조직학적 변화 중 종괴의 일반 조직병리학적 변화, 종괴내 caspase-3, PARP 및 COX-2 면역반응세포의 변화, 종괴내 iNOS 및 TNF-α 면역반응세포의 변화를 함께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HCT116 이식 마우스에서 항암활성 시험 결과 조직학적 변화 중 비장의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HCT116 이식 마우스에서 항암활성 시험 결과 조직학적 변화 중 악하 임파절의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HCT116 이식 마우스에서 항암활성 시험 결과 조직학적 변화 중 난소주위 지방의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원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상에"또는 "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적 시계열적인 관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각 단계 후의 혼합하는 단계와 같이 두 단계의 순서에 시계열적 순서가 바뀔 수 있는 간접적 시계열적 관계에 있는 경우와 동일한 권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용어 "~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녹용, 녹각 및 조릿대를 포함한 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콩으로 메주를 만들어 준비하는 메주준비단계; 상기 메주준비단계와 동시에 또는 그 전후에 실시되며, 녹용 및 녹각을 포함하는 한약재료를 준비하는 한약재료준비단계; 상기 준비된 녹용 및 녹각에 물과 소금을 혼합하는 1차혼합단계; 상기 1차혼합된 혼합물에 미리 준비한 메주를 투입하는 메주혼합단계; 메주가 혼합된 혼합물을 숙성시키는 1차숙성단계; 상기 1차 숙성된 혼합물에서 메주를 분리하는 메주분리단계; 및 메주가 제거된 후 남은 액상 혼합물을 다시 숙성시키는 2차숙성단계;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녹용, 녹각 및 조릿대를 포함한 장은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것이다.
녹용은 꽃사슴과 마록(馬鹿) 등 각종 숫사슴의 미골화(未骨化:아직 뼈로 굳어지지 않음)된 어린 뿔을 채취하여 가공한 약재이다.
녹용은 양기를 도와주고 혈액을 충만케 하는 작용이 있다. 성장기의 어린이들의 성장발육을 촉진시키고 질병을 이기도록 면역력을 길러주기 때문에, 감기에 잘 걸리거나 코피가 자주 나는 허약한 아이나 이가 더디 나고 행동 발달이 뒤처지는 등 성장발육이 느린 아이들에게 복용시키면 기초대사를 왕성하게 해주므로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성인에게 있어서는 무력감이나 허리와 무릎이나 다리에 힘이 없는 경우, 추위를 타거나 속이 차서 복통 설사하는 경우나 하복부가 차가운 경우 등에 사용한다. 부인과에는 월경을 고르게 하고 하혈을 개선한다.
또한, 녹용은 신양을 도와 정수를 생하게 하므로 콩팥 기능이 허약해서 나타나는 오줌소태, 야뇨증, 음위증, 유뇨 등을 개선하고, 생식선을 흥분케 하여 성욕을 항진케 하며 남성의 조루증이나 발기불능, 성욕감퇴, 유정, 몽정 등을 치료하는 기능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근골을 강하게 하여 허약체질을 개선하고 신체장부의 기능을 원활하게 도와준다.
더 나아가 약리학적으로 연구된 바에 의하면, 녹용은 성장발육을 빠르게 하고, 조혈기능을 자극하며 적혈구 및 백혈구의 생산을 늘리고 빈혈을 낫게 하며, 골수세포를 늘이는 작용이 있다.
또한, 녹용은 성선 기능에 영향을 미쳐 에스트로겐 배설을 늘리고, 많은 양을 쓰면 모세혈관이 확장되고 혈압을 내리게 하는 이외에, 화농성창구 또는 궤양성창면에서 새살을 빨리 살아 나오게 하며, 골절의 유합도 빠르게 하는 등 여러 가지 뛰어난 기능을 갖고 있다. 녹용은 상대, 중대, 하대의 각 부위에 따라 효능의 쓰임새가 다르므로 중하대의 무기질과 철분을 극대화 시키고자한다.
녹각은 사슴과에 속하는 마녹 또는 매화녹 등 각종 사슴의 각질화(角質化)된 뿔이다. 맛은 짜고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어혈(瘀血)을 없애주며 신장기능과 간기능을 도와준다. 또 칼슘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뼈를 튼튼하게 해준다. 흔히 녹용(鹿茸)의 대용으로 많이 쓰이고 있으나, 그 효력은 녹용에 비해 약하다.
또한, 녹각은 근육과 골격을 강하게 하며 정력을 증강시키고, 허리나 무릎이 아프거나 척추디스크, 관절염(關節炎), 임질(淋疾), 종기(腫起)등을 치료하는 약재로 알려져 있다.
즉, 녹각은 녹용에 비해서는 효능이 약하기는 하지만 독이 없으며 성질이 따뜻하다. 발산성이 있어 상처 부위의 혈액 순환을 촉진하여 신진대사를 증가시킴으로써 통증을 치료하며 허약증상에 사용하는데, 나쁜 피를 제거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 임산부가 녹각을 복용할 시 태아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사지 냉증에 효과적이다. 일반적으로 강장효과가 많이 알려져 있으며, 무기질과 철분, 칼슘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뼈를 튼튼하게 해준다고 알려져 있다.
조릿대는 벼과의 여러 해살이 식물로서, 우리나라 중부이남 지방 및 제주도의 산에 빽빽하게 무리지어 흔히 자란다. 조릿대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1∼2m, 지름 3∼6mm이고 포는 2∼3년간 줄기를 싸고 있으며 털과 더불어 끝에 바소꼴의 잎조각이 있다. 마디 사이는 역모(逆毛)와 흰 가루로 덮이지만 4년째 잎집 모양의 잎이 벗겨지면서 없어진다. 잎은 긴 타원상 바소꼴로 길이 10∼25cm이고 끝으로 갈수록 뾰족하거나 꼬리처럼 길다. 잎 양면에 털이 없거나 뒷면 밑동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가시 같은 잔 톱니가 있으며 잎집에 털이 있다.
조릿대는 인삼을 훨씬 능가한다고 할만큼 놀라운 약성을 지닌 약초로, 대나무 중에서 약성이 제일 강하여, 조릿대 한 가지만 써서 당뇨병, 고혈압, 위염, 위궤양, 만성 간염, 암 등의 난치병이 완치된 경우가 적지 않다. 조릿대에는 열을 내리고 독을 풀며, 가래를 없애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하며,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며, 염증을 치료하고 암세포를 억제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릿대에는 상당히 강한 항암작용이 있다. 일본에서 실험한 것에 따르면, 조릿대 추출물은 간 복수 암세포에 대해 100퍼센트 억제작용이 있었고, 동물실험에서 암세포를 옮긴 흰쥐한테 조릿대 추출물을 먹였더니 30일 뒤에 종양세포의 70~90%가 줄어들었다고 한다. 당뇨병, 고혈압, 간염, 위궤양 등에는 조릿대 뿌리 10∼20g을 진하게 달여 그 물을 수시로 마시면 효과가 있다. 조릿대는 잎, 줄기, 뿌리까지 다 약으로 쓰이며, 차로 끓이거나 우려서 마실 수 있으나, 특히, 조릿대의순(삥이)만으로 차를 제조하게 되면, 잎, 줄기 뿌리로 제조된 차에 비하여, 더 부드럽고 구수하며 달콤한 맛이 나는 차를 얻을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조릿대는 잎, 줄기, 뿌리 등을 차로 끓이거나 우려서 식음하는 방법과, 음료에 첨가하여 식음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 등 섭취 방법이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조릿대는 마시는 차 또는 음료 등으로 식음 되어 왔을 뿐 다양한 음식을 통해 섭취되진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조릿대를 장에 첨가함으로써 조릿대의 우수한 영양성분을 일상생활에서 쉽고 다양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영양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녹용, 녹각 및 조릿대를 장 제조시 첨가함으로써 항암 및 면역활성기능이 있는 기능성 장을 제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녹용, 녹각 및 조릿대가 포함된 장 제조방법의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녹용, 녹각 및 조릿대가 포함된 장은 이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특정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녹용, 녹각 및 조릿대가 포함된 장의 제조방법은 콩으로 메주를 만들어 준비하는 메주준비단계; 상기 메주준비단계와 동시에 또는 그 전후에 실시되며, 녹용 및 녹각을 포함하는 한약재료를 준비하는 한약재료준비단계; 상기 준비된 녹용 및 녹각에 물과 소금을 혼합하는 1차혼합단계; 상기 1차혼합된 혼합물에 미리 준비한 메주를 투입하는 메주혼합단계; 메주가 혼합된 혼합물을 숙성시키는 1차숙성단계; 상기 1차 숙성된 혼합물에서 메주를 분리하는 메주분리단계; 및 메주가 제거된 후 남은 액상 혼합물을 다시 숙성시키는 2차숙성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녹용, 녹각 및 조릿대가 포함된 장의 제조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우선, 콩으로 메주를 만들어 준비하는 메주준비단계이다(S1).
콩(대두)을 삶아 찧어 메주를 만드는 것으로 선별 - 씻기(수세) - 불리기(수침) - 익히기 - 찧기 - 성형 - 겉 말림 - 띄우기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먼저 선별로는 벌레 먹은 것이나 썩은 콩을 골라낸다. 씻기(수세) 과정에서 모래, 돌, 기타 불순물을 가려낸 다음 깨끗한 물에 2~3번 헹구어낸다. 불리기(수침) 과정에서는 하루 정도 물에 불리어 놓는다. 익히기 과정에서는 깨끗하게 씻은 물기 뺀 콩을 가마솥에서 90℃ 내외의 온도에서 김이 오른 후에 4~8시간 동안 완전히 무르도록 푹 삶은 다음 끊으면 불을 줄여 뭉근하게 뜸을 들이며 익힌다. 찧기 과정에서는 손으로 비벼 모아 반으로 갈라지거나, 뭉그러지거나 약간 불그스름하게 색을 띄게 되었을때 소쿠리에 건져 물기를 뺀 후 식기 전에 절구에 담아 찧는다. 성형 과정에서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거나, 메주 틀에 배 보자기를 깔고 찧은 메주콩을 넣은 뒤 배 보자기를 감싸 덮고 꼭꼭 밟아서 육면체의 형태로 메주를 만든다. 겉 말림 과정에서는 메주를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간격을 두어 펼쳐놓아 꾸덕꾸덕 해질 때까지 말려 겉 말림을 한다. 띄우기 과정에서는 겉면이 완전히 말라 굳으면 새끼줄로 역어 통풍이 잘되는 곳에 매달아 띄운다.
다음으로, 상기 메주준비단계와 동시에 또는 그 전후에 실시되며, 녹용 및 녹각을 포함하는 한약재료를 준비하는 한약재료준비단계이다(S2).
상기 한약재료준비단계는 녹용 및 녹각의 털을 제거한 후 따뜻한 물에 세척하여 건조하고, 녹용 및 녹각의 제일 윗부분을 잘라 주정이 흡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전처리하는 전처리단계; 전처리된 녹용 및 녹각을 주정에 담그고, 38~50℃의 온도에서 분골까지 주정이 올라올때까지 주침하는 1차주침단계; 다시 주정에 담궈 12~24시간 동안 주침하는 2차주침단계; 주침된 녹용 및 녹각을 12~24시간 동안 냉동 보관하는 냉동단계; 냉동된 녹용 및 녹각을 저온건조기로 17~40℃의 온도에서 10~24시간 동안 건조하는 건조단계; 및 건조된 녹용 및 녹각을 뜨거운 물에 살짝 데운 후 분골, 상대, 중대, 하대 부위로 슬라이스하는 슬라이스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준비된 녹용 및 녹각에 물과 소금을 혼합하는 1차혼합단계이다(S3).
자체 개발한 포제법으로 포제한 한약재료에 물과 소금을 혼합한다. 녹용 및 녹각 2~15중량%, 소금 1~6중량% 및 물 80~95중량%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녹용 100중량부에 대해 녹각 300~50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녹용 100중량부에 대해 조릿대 300~50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1차혼합된 혼합물에 미리 준비한 메주를 투입하는 메주혼합단계이다(S4).
준비된 한약재료에 물과 소금을 혼합한 혼합물에 혼합액 1리터당 메주 0.3~0.5kg의 비율로 혼합되도록 혼합물과 메주를 혼합한다.
다음으로, 메주가 혼합된 혼합물을 숙성시키는 1차숙성단계이다(S5).
메주가 혼합된 혼합물을 1차숙성시키는 1차숙성단계에서는 15~45℃의 온도에서 40~80일간 통기성 용기에서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1차 숙성시 온도가 45℃의 온도이상이 되게 되면 일반세균의 번식으로 인하여 골가지가 피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1차 숙성시 40일 이하로 숙성시키게 되면 생간장의 향이 미숙하고 각종 효소와 미생물이 그대로 있어 저장성과 향미가 줄어들게 되기 때문에 40~80일간 숙성시켜 향미가 더 깊고 맛이 좋은 간장을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1차 숙성된 혼합물에서 메주를 분리하는 메주분리단계이다(S6).
1차 숙성된 혼합물을 통기성 용기에서 메주를 분리하고 여과함으로써 간장액을 얻을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분리된 메주를 15~45℃의 온도에서 40~365일간 숙성시키는 메주숙성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메주가 제거된 후 남은 액상 혼합물을 다시 숙성시키는 2차숙성단계이다(S7).
메주가 제거된 후 남은 액상 혼합물 즉 간장액을 2차 숙성시킴으로써 녹용, 녹각 및 조릿대가 포함된 기능을 간장을 제조할 수 있다.
2차숙성단계에서는 60~75℃의 온도에서 10~20분 동안 간장액을 달이고, 달이는 과정에서 생기는 거품은 걷어낸 뒤, 완전히 식혀서 2차숙성시킨다.
상기 2차숙성단계에서는 15~45℃의 온도에서 285~325일간 통기성 용기에서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1차 숙성과 2차 숙성 시 온도가 45℃의 온도 이상이 되면 생간장의 향이 미숙하고 각종 효소와 미생물이 그대로 있어 저장성과 향미가 줄어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2차 숙성시 285~325일간 숙성시키게 되면 향미가 더 깊고 맛이좋은 간장을 제조할 수 있고, 1차 숙성한 간장에 다시 메주를 넣는 겹장을 만들 수 도 있다.
[비교예] 일반간장제조
대두를 선별하여 깨끗이 세척한 후 이를 물에 담궈 가마솥에서 90℃의 온도에서 충분히 삶은 후 물기를 제거한다. 이후 물기가 제거된 삶은 대두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한 다음 육면체의 형태로 메주를 만든다. 만들어진 메주를 통기성 용기에 넣은 후 30℃의 온도에서 70일간 1차숙성시킨다. 1차 숙성된 혼합물을 통기성 용기에서 메주를 분리하고 여과함으로써 간장액을 얻는다. 메주가 제거된 후 남은 액상 혼합물 즉 간장액을 30℃의 온도에서 300일간 2차 숙성시켜 일반 간장을 제조한다.
[실시예 1] 녹용녹각간장 제조
대두를 선별하여 깨끗이 세척한 후 이를 물에 담궈 가마솥에서 90℃의 온도에서 충분히 삶은 후 물기를 제거한다. 이후 물기가 제거된 삶은 대두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한 다음 육면체의 형태로 메주를 만든다. 메주를 만드는 것과 동시에 자체적으로 개발한 포제법을 이용하여 한약재료를 준비한다. 한약재료준비단계에서는 녹용 및 녹각의 털을 제거한 후 따뜻한 물에 세척하고 건조한 뒤, 녹용 및 녹각의 제일 윗부분을 잘라 주정이 흡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전처리한 다음, 45℃의 온도에서 주정에 담궈 분골까지 주정이 올라올 때 까지 1차 주침하고, 다시 주정에 담궈 20시간 동안 2차 주침한다. 주침된 녹용 및 녹각을 18시간 동안 냉동 보관 한 다음, 저온건조기를 이용하여 28℃의 온도로 맞추어 20시간 동안 건조시킨뒤, 기름분골의 딱딱한 부분은 뜨거운 물에 살짝 데운 후 분골, 상대, 중대, 하대 부위로 슬라이스 하는 방법으로 포제한다. 자체 개발한 포제법으로 포제한 한약재료에 물과 소금을 혼합하는데, 녹용3중량%, 녹각 10중량%, 소금 5중량% 및 물 82중량%로 혼합한다. 준비된 한약재료에 물과 소금을 혼합한 혼합물 10리터에 메주 3.4kg를 첨가하여 혼합한다. 그 후, 메주가 혼합된 혼합물을 통기성 용기에 넣은 후 30℃의 온도에서 70일간 1차숙성시킨다. 1차 숙성된 혼합물을 통기성 용기에서 메주를 분리하고 여과함으로써 간장액을 얻는다. 메주가 제거된 후 남은 액상 혼합물 즉 간장액을 30℃의 온도에서 300일간 2차 숙성시켜 녹용녹각간장을 제조한다.
[실시예 2] 녹용녹각조릿대간장 제조
대두를 선별하여 깨끗이 세척한 후 이를 물에 담궈 가마솥에서 90℃의 온도에서 충분히 삶은 후 물기를 제거한다. 이후 물기가 제거된 삶은 대두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한 다음 육면체의 형태로 메주를 만든다. 메주를 만드는 것과 동시에 자체적으로 개발한 포제법을 이용하여 한약재료를 준비한다. 한약재료준비단계에서는 녹용 및 녹각의 털을 제거한 후 따뜻한 물에 세척하고 건조한 뒤, 녹용 및 녹각의 제일 윗부분을 잘라 주정이 흡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전처리한 다음, 45℃의 온도에서 주정에 담궈 분골까지 주정이 올라올 때 까지 1차 주침하고, 다시 주정에 담궈 20시간 동안 2차 주침한다. 주침된 녹용 및 녹각을 18시간 동안 냉동 보관 한 다음, 저온건조기를 이용하여 28℃의 온도로 맞추어 20시간 동안 건조시킨뒤, 기름분골의 딱딱한 부분은 뜨거운 물에 살짝 데운 후 분골, 상대, 중대, 하대 부위로 슬라이스 하는 방법으로 포제한다. 자체 개발한 포제법으로 포제한 한약재료에 물과 소금을 혼합하는데, 녹용 2중량%, 녹각 6.5중량%, 조릿대 6.5중량%, 소금 4중량% 및 물 81중량%로 혼합한다. 준비된 한약재료에 물과 소금을 혼합한 혼합물 10리터에 메주 3.4kg를 첨가하여 혼합한다. 그 후, 메주가 혼합된 혼합물을 통기성 용기에 넣은 후 30℃의 온도에서 70일간 1차숙성시킨다. 1차 숙성된 혼합물을 통기성 용기에서 메주를 분리하고 여과함으로써 간장액을 얻는다. 메주가 제거된 후 남은 액상 혼합물 즉 간장액을 30℃의 온도에서 300일간 2차 숙성시켜 녹용녹각간장을 제조한다.
[실시예 3] 일반영양학적 검사
상기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일반간장, 상기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녹용녹각간장 및 상기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녹용녹각조릿대간장에 대해 일반영양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의 일반영양학적 검사는 (열량(kcal/100ml), 총 탄수화물, 당, 단백질, 총 지방, 트랜스 지방, 포화 지방, 콜레스테롤 및 나트륨 함량 (g/100ml))에 대해서 일반 영양학적 검사 방법 [AOVA, 2000]에 준하여, 검증기관인 대구테크노파크 대구한의대특화센타 식품위생검사소에서 실시하였다.
비교예,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간장의 일반영양학적 검사 수치는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
열량 45kcal/100ml 50kcal/100ml 55kcal/100ml
탄수화물 5g/100ml 6g/100ml 7g/100ml
단백질 6g/100ml 6g/100ml 5g/100ml
나트륨 4960g/100ml 5180g/100ml 4390g/100ml
- - -
지방 - - -
트랜스지방 - - -
포화지방 - - -
콜레스테롤 - - -
상기 표1에서 나타나듯이,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일반간장의 열량은 45kcal/100ml로 측정되었으며, 5g/100ml의 총 탄수화물과 6g/100ml의 단백질 함량을 나타내었고, 4960g/100ml의 나트륨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당, 총 지방, 트랜스 지방, 포화지방 및 콜레스테롤은 함유하지 않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녹용녹각간장의 열량은 50kcal/100ml로 측정되었으며, 각각 6g/100ml의 총 탄수화물과 단백질 함량을 나타내었고, 5180g/100ml의 나트륨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당, 총 지방, 트랜스 지방, 포화지방 및 콜레스테롤은 함유하지 않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녹용녹각조릿대간장의 열량은 55kcal/100ml로 측정되었으며, 7g/100ml의 총 탄수화물과 5g/100ml의 단백질 함량을 나타내었고, 4390g/100ml의 나트륨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당, 총 지방, 트랜스 지방, 포화지방 및 콜레스테롤은 함유하지 않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일반영양학적 검사를 실시한 결과,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의 열량은 각각 45, 50 및 55kcal/100ml로 측정되었으며, 각각 5, 6 및 7g/100ml의 총 탄수화물 함량과 6, 6 및 5g/100ml의 단백질 함량을 나타내었고, 각각 4960, 5180 및 4390g/100ml의 나트륨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당, 총 지방, 트랜스 지방, 포화지방 및 콜레스테롤은 함유하지 않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실시예 4] 세포독성 시험 결과
상기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일반간장, 상기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녹용녹각간장 및 상기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녹용녹각조릿대간장에 대해 세포독성(Cytotoxity)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세포독성 평가는 후보물질의 세포에 대한 독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항암제는 정상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은 낮고, 악성 종양세포에 대해 선택적으로 세포독성을 나타내어야 한다[Sandhya et al., 2006; Chargari et al., 2009].
1.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간장이 HCT116 세포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매체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는 (p<0.01) HCT116세포 생존률의 감소가 일반간장 0.001% 처리군에서부터 인정되기 시작하여, IC50가 0.043% (430.00μg/ml)로 산출되었다(도 2).
비교예의 일반간장 0.001, 0.01, 0.1, 1 및 10% 농도 처리군에서는 무처리 매체 대조군 (0% 처리군)에 비해 각각 -19.80, -42.29, -61.82, -70.22 및 -82.71%의 HCT116 세포생존률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2.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녹용녹각간장이 HCT116 세포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매체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는(p<0.01) HCT116세포 생존률의 감소가 녹용녹각간장 0.001% 처리군에서부터 인정되기 시작하여, IC50가 0.002% (20.00μg/ml)로 산출되었다(도 3).
실시예 1의 녹용녹각간장은 0.001, 0.01, 0.1, 1 및 10% 농도 처리군에서는 무처리 매체 대조군(0% 처리군)에 비해 각각 -50.47, -61.04, -71.90, -79.24 및 -96.86%의 HCT116세포 생존률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3. 실시예 3에 의해 제조된 녹용녹각조릿대간장이 HCT116 세포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매체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는(p<0.01) HCT116세포 생존률의 감소가 녹용녹각조릿대간장 0.001% 처리군에서부터 인정되기 시작하여, IC50가 0.00005% (0.50μg/ml)로 산출되었다(도 4).
실시예 1의 녹용녹각조릿대간장은 0.001, 0.01, 0.1, 1 및 10% 농도 처리군에서는 무처리 매체 대조군(0% 처리군)에 비해 각각 -66.46, -79.56, -86.70, -92.24 및 -96.91%의 HCT116세포 생존률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4. Paclitaxel의 HCT116 세포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매체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는(p<0.01) HCT116세포 생존률의 감소가 paclitaxel 0.0001μM 농도 처리군에서부터 인정되기 시작하여, IC50가 0.00098μM (0.837μg/ml)로 산출되었다(도 5).
Paclitaxel은 0.0001, 0.001, 0.01, 0.1 및 1μM 농도 처리군에서는 무처리 매체 대조군(0μM 처리군)에 비해 각각 -22.64, -48.43, -86.14, -87.48 및 -89.91%의 HCT116세포 생존률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세포독성시험 결과, 비교예의 일반간장, 실시예 1의 녹용녹각간장, 실시예 3의 녹용녹각조릿대간장 및 paclitaxel은 각각 HCT116 세포에 대한 IC50가 0.043% (430.00μg/ml), 0.002% (20.00μg/ml), 0.00005% (0.50μg/ml) 및 0.00098μM (0.837μg/ml)로 산출되어, 일반간장의 항암활성이 녹용녹각 추출물 첨가에 의해 현저히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조릿대의 첨가에 의해 더욱 현저한 항암활성의 증가가 초래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HCT116 세포는 paclitaxel에 대해 감수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 있으며, 대략적인 IC50는 0.0017μM로 알려져 있다[Lee et al., 2001; Rose et al., 2001; Chou et al., 2005].
[실시예 5] 항암효과 시험 결과
상기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일반간장, 상기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녹용녹각간장 및 상기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녹용녹각조릿대간장에 대해 항함효과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항암효과는 HCT116 이식 마우스에서 항암활성을 측정함으로써 확인하였다.
누드 마우스는 전형적인 무흉선(無胸腺, athymic) 동물로, 동종 유래의 종양 세포뿐만 아니라, 사람 유래의 종양세포 역시 이식 가능하여, 항암제 개발 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실험동물로[Clark et al., 2009; Kim, 2009], 종양 이식 누드 마우스 모델에서 항암효과는 주로 이식한 종괴의 성장 억제를 기준으로 이루어지고 있다[Liu et al., 1999; Nishimura et al., 1999]. 본 실험의 결과,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 현저한 종양의 크기 및 중량의 감소가 각각 인정되었으며,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일반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 현저한 종양의 크기 및 중량의 감소가 인정되었고, 특히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녹용녹각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 현저한 종양의 크기 및 중량의 감소가 인정되었다. 따라서 세포독성실험, MTT test에서의 결과와 잘 일치되어 일반간장의 항암활성이 녹용녹각 추출물의 첨가에 의해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조릿대 추출물의 첨가에 의해 더욱 현저한 항암활성의 증가가 초래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paclitaxel 투여군에서도 종양 이식대조군에 비해 현저한 종양의 크기 및 중량의 감소가 인정되었다.
종양이식 후 현저한 면역억제가 유발되며, 이러한 면역 억제는 주로 T 임파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Finke et al., 1999; Pawelec et al., 2000], 최근 자신의 면역세포를 자극시켜 cytokine 생성을 유도함으로써 종양에 대한 생체 방어를 강화시키는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면역활성을 통한 항암제 개발이 주목 받고 있다[Ha et al., 2004; Yu and Hwang, 2004]. 또한 항산화제 역시 면역활성과 연계하여, 유효한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ates et al., 2011; Tsubura et al., 2011]. 본 실험의 결과, HCT116 종양 세포 이식에 기인한 현저한 면역억제가 인정되었으며, 면역장기의 중량 감소와 함께 조직병리학적으로도 비장 및 임파절의 임파구 감소에 의한 현저한 위축소견이 인정되었다. 한편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 현저한 면역 활성 소견이 인정되었고,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일반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 현저한 면역 활성 증가 소견이 인정되었으며, 특히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녹용녹각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 현저한 면역 활성 증가 소견이 인정되었다. 따라서 녹용녹각 추출물의 첨가는 일반간장의 항암 활성뿐만 아니라, 면역활성 효과 역시 현저히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되고, 조릿대 추출물의 첨가에 의해 면역활성 소견이 더욱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paclitaxel 단독 투여군에서는 이전의 보고들[Lee et al., 2000; Lichtor et al., 2006; Zhu et al., 2011]과 유사하게, 이러한 종양 이식 관련 면역 억제 소견이 더욱 악화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TNF-α는 비장세포를 포함한 여러 종류의 세포에서 생산되는 대표적인 cytokine의 일종으로 T-임파구의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amira et al., 2004]. TNF-α는 일반적으로 세포성 면역을 활성화시키며, 항체 생산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IL-2의 기능을 증가시킨다[Isaacs, 1995]. 또한 IL-1은 대식세포, 수지상 세포, 임파구, 내피세포, 섬유세포 및 각질세포 등 다양한 세포에서 분비되는 다른 종류의 cytokine으로 세포의 분비형태인 IL-1β와 막 부착형인 IL-1α의 두 종류가 존재하며, 면역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Unanue, 1995]. IL-10은 전형적인 면역억제 cytokine으로 Th2 세포, 일부 B 림프구 및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분비되고, 주로 활성화된 대식세포의 기능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saacs, 1995]. IFN-γ 는 CD8+ T 림프구, Th1 세포 및 natural killer(NK) 세포에서 분비되며, B 및 T 세포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고, NK 세포와 대식세포의 기능을 강화시킨다[Isaacs, 1995]. 본 실험의 결과, 이전의 보고들[Sogn, 1998; Finke et al., 1999; Pawelec et al., 2000]과 유사하게, 사람 대장암 세포인 HCT116 세포의 이식에 의해 면역활성 cytokine인 TNF-α, IL-1β의 비장내 함량 및 IFN-γ 의 혈중 함량의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T 임파구 및 면역억제에 따른 면역억제성 cytokine인 IL-10의 비장내 감소 역시 인정되었다. 한편, 이러한 TNF-α, IL-1β 및 IL-10 의 비장내 함량과 IFN-γ의 혈중 함량의 감소가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 간장 투여에 의해 현저히 억제되었으며, 특히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일반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 TNF-α, IL-1β 및 IL-10의 비장내 함량과 IFN-γ의 혈중 함량의 증가 인정되었으며,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녹용녹각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 TNF-α, IL-1β 및 IL-10 의 비장내 함량과 IFN-γ의 혈중 함량의 증가가 인정되었다. 한편 paclitaxel 단독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서도 현저한 TNF-α, IL-1β 및 IL-10의 비장내 함량과 IFN-γ의 혈중 함량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또한 종양관련 면역억제의 일환으로, NK cell 및 대식구 등 면역 담당세포의 기능이 억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들 면역 담당세포의 활성은 현재 또 다른 개념의 항암제 개발에 각광받고 있다[Ha et al., 2004; Yu and Hwang, 2004]. 본 실험의 결과에서도, 종양 이식 대조군에서는 비장세포 및 복강 대식세포의 활성 감소가 인정되었고, paclitaxel 투여군에서는 NK cell의 활성을 더욱 억제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 복강 및 비장 NK cell활성 증가가 인정되었고,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일반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 복강 및 비장 NK cell활성 증가가 인정되었으며, 특히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녹용녹각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 복강 및 비장 NK cell활성 증가가 인정되었다.
Caspase-3 및 PARP는 대표적인 apoptosis 마커로[Nunez et al., 1998; Barrett et al., 2001], 종괴내 이들 caspase-3 및 PARP 면역반응성의 증가는 종양세포의 apoptosis를 의미한다[Fang et al., 2012; Qin et al., 2012]. 본 실험의 결과에서도, paclitaxel,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또는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와 관련된 caspase-3 및 PARP 면역반응성의 증가가 인정되었으며, 특히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일반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 caspase-3 및 PARP 면역반응성의 증가가 인정되었고,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녹용녹각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 종괴내 caspase-3 및 PARP 면역반응성의 증가가 인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녹용녹각 추출물의 첨가에 의해 일반간장의 항암활성이 현저히 증가되는 직접적인 증거로 판단되며, 조릿대 추출물의 첨가에 의해 일반간장 및 녹용녹각간장의 항암 활성이 더욱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대표적인 염증 매개체물인 prostaglandins의 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종양에서 혈관신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COX-2[Watanabe et al., 2000; Chell et al., 2006] 면역반응성의 억제가 paclitaxel 투여군을 포함한 모든 투여군에서 인정되었고, 이들 역시 녹용녹각의 첨가에 의해 현저히 억제되었으며, 조릿대 추출물 첨가에 의해 더욱 현저히 억제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일반적으로 iNOS의 활성 증가는 endotoxin, IL-1β, TNF-α 및 IFN-γ와 연계하여, shock와 과도한 염증반응을 유발하며[Szabㆃ, 1995; Southan and Szabㆃ, 1996], 종양에서 혈관신생 등 종양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Kostourou et al., 2012], macrophage 등 면역활성 세포에서 분비되는 iNOS는 종양세포의 apoptosis를 유발하여, 종양의 성장 억제를 초래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Xie et al., 1995]. 본 연구에서는 HCT116 세포 이식 종괴에서 현저한 iNOS 면역반응성의 증가가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 각각 인정되었으며, 특히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일반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 iNOS 면역 반응성의 증가가 인정되었고,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녹용녹각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 종괴내 iNOS 면역 반응성의 증가가 인정되었다. 이러한 iNOS 면역 반응성의 증가는 이들 세 종류의 간장 투여에 따른 면역활성의 결과로 판단되며, 종양 이식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종괴내 종양괴사를 촉진하는 TNF-α[Milanovic et al., 2012; Yan et al., 2012] 면역반응성의 증가가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 각각 인정되었으며, 이들 역시 녹용녹각 추출물 첨가에 의해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조릿대 추출물 투여에 의해 더욱 현저히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한편 paclitaxel 투여군에서는 종양 이식 대조군과 비교하여 의미 있는 종괴내 iNOS 및 TNF-α 면역반응세포의 수적 변화는 인정되지 않았다.
종양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작용의 일환인 악액질은 악성 종양 환자에서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가장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으며, 현저한 영양실조, 탈수, 체중감소 등을 포함한 각종 만성 합병증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Oka et al., 1996; Tisdale, 1997; Inui, 1999]. 현재까지의 다양한 연구[Strassmann et al., 1992; Fujita et al., 1996; Kurebayashi et al., 1999]에 따르면, 종양세포에서 생산 분비되는 IL-6이 종양 악액질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실제 종양 환자에서도 현저한 혈중 IL-6 함량의 증가가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Oka et al., 1996]. 본 실험의 결과에서도, 현저한 혈중 IL-6 함량의 증가와 함께, 체중의 감소, 축적 지방조직의 위축과 감소가 종양 이식 후 인정되었으나, 이들 종양 관련 악액질 현상의 현저한 억제가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 각각 인정되었으며, 특히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일반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 혈중 IL-6 함량의 감소와 함께, 체중 감소 및 지방 조직 위축 억제 소견이 인정되었고,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녹용녹각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 종양 관련 악액질 억제 소견이 인정되었다. 따라서 녹용녹각 추출물의 첨가에 의해 일반간장의 종양 관련 악액질 억제 소견이 현저히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조릿대 추출물의 첨가에 의해 종양 관련 악액질 억제 효과가 더욱 증가되는 직접적인 증거로 판단된다. 한편 paclitaxel 투여군에서는 이전의 연구들[Yamamoto et al., 2001; Strube et al., 2009; Sun et al., 2011]과 유사하게, 종양 관련 악액질 소견이 더욱 악화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1. 체중 및 증체량의 변화
종양이식 대조군에서는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또는 p<0.05) 체중의 감소가 투여 14일 후부터 인정되기 시작하여, 35일간의 투여기간 동안의 증체량의 유의성 있는(p<0.01) 감소를 나타내었다.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체중의 증가가 최종희생일에 국한되어 일반간장 투여군에서 인정된 이외에, 종양 이식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체중의 변화는 모든 투여군에서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나, 35일간의 투여기간동안의 증체량의 현저한 증가가 각각 인정된 반면, paclitaxel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없는 증체량의 감소가 인정되었다. 일반간장 투여군에 비해 의미 있는 체중 및 증체량의 변화 역시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 인정되지 않았다(도 6).
투여기간 동안의 증체량(35일)은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175.19%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paclitaxel 20mg/kg,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10ml/kg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95.00, 97.00, 101.00 및 99.00% 변화를 나타내었다.
2. 종양 크기의 변화
Paclitaxel,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투여 7일 후부터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또는 p<0.05) 종양 크기의 감소를 나타내어, 투여기간 동안의 종양 크기의 변화량 역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유의성 있는(p<0.01) 감소를 나타내었다. 한편 일반간장 투여군에서도 투여 14일 후부터 종양 이식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또는 p<0.05) 종양 크기의 감소가 인정되기 시작하여, 투여기간 동안의 종양 크기의 변화량 역시 유의성 있는(p<0.01) 감소를 나타내었다. 특히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일반간장 투여군에 비해서 유의성 있는(p<0.01 또는 p<0.05) 종양 크기의 감소가 각각 투여 14 및 7일후부터 인정되기 시작하여, 투여기간 동안의 종양 크기의 변화량 역시 일반간장 투여군에 비해 각각 유의성 있는(p<0.01 또는 p<0.05)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녹용녹각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p<0.01) 종양 크기의 감소를 투여 28일 이후부터 나타내어, 투여기간 동안의 종양 크기의 변화량 역시 유의성 있는(p<0.01) 감소를 나타내었다(도 7).
약물 투여기간 동안의 tumor volume의 변화량(5주; 최종 희생일의 tumor volume - 투여 시작일의 tumor volume)은 paclitaxel 20mg/kg,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10ml/kg 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84.28, -53.88, -69.03 및 -80.65% 변화를 나타내었다.
3. 종양 중량의 변화
Paclitaxel을 포함한 모든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종양 상대 및 절대 중량의 감소가 인정되었으며,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일반간장 투여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또는 p<0.05) 종양 중량의 감소를 각각 나타내었고, 녹용녹각조릿대 간장 투여군에서는 녹용녹각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p<0.01) 종양 상대 및 절대 중량의 감소를 각각 나타내었다(도 8, 도 9).
Paclitaxel 20mg/kg,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10ml/kg 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74.77, -33.01, -55.77 및 -71.02%의 종양 절대 중량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73.93, -39.00, -59.39 및 -73.11%의 상대 중량 변화를 각각 나타내었다.
4. 비장 중량의 변화
종양이식 대조군에서는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비장 절대 및 상대 중량의 감소가 각각 인정되었으나,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각각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또는 p<0.05) 비장 중량의 증가가 인정되었고, 특히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일반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p<0.01) 비장 중량의 증가가 각각 인정되었고,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녹용녹각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p<0.01) 비장 중량의 증가가 인정되었다. 한편 paclitaxel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p<0.01) 비장 상대 및 절대 중량의 감소가 각각 인정되었다(도 9).
비장 절대 중량은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51.03%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paclitaxel 20mg/kg,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10ml/kg 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32.25, 35.51, 77.16 및 105.57% 변화를 나타내었다.
비장 상대 중량은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42.87%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paclitaxel 20mg/kg,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10ml/kg 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29.03, 23.31, 63.73 및 92.08% 변화를 나타내었다.
5. 악하임파절 중량의 변화
종양이식 대조군에서는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악하임파절 절대 및 상대 중량의 감소가 각각 인정되었으나,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각각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또는 p<0.05) 악하임파절 중량의 증가가 인정되었고, 특히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일반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p<0.01) 악하임파절 중량의 증가가 각각 인정되었고,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녹용녹각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p<0.01) 악하임파절 중량의 증가가 인정되었다. 한편 paclitaxel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p<0.05) 악하임파절 상대 및 절대 중량의 감소가 각각 인정되었다(도 9).
악하임파절 절대 중량은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61.90%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paclitaxel 20mg/kg,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 조릿대간장 10ml/kg 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42.50, 55.00, 105.00 및 152.50% 변화를 나타내었다.
악하임파절 상대 중량은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55.09%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paclitaxel 20mg/kg,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 조릿대간장 10ml/kg 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39.35, 39.33, 85.90 및 133.87% 변화를 나타내었다.
6. 난소주위 지방 중량의 변화
종양이식 대조군에서는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난소주위 지방 절대 및 상대 중량의 감소가 각각 인정되었으나,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각각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현저한 난소주위 지방 중량의 증가가 인정되었고, 특히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일반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현저한 난소주위 지방 중량의 증가가 각각 인정되었고,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녹용녹각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p<0.01) 난소주위 지방 중량의 증가가 인정되었다. 한편 paclitaxel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p<0.01 또는 p<0.05) 난소주위 지방 상대 및 절대 중량의 감소가 각각 인정되었다(도 9).
난소주위 지방 절대 중량은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52.66%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paclitaxel 20mg/kg,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 조릿대간장 10ml/kg 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41.25, 30.00, 57.50 및 98.75% 변화를 나타내었다.
난소주위 지방 상대 중량은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43.52%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paclitaxel 20mg/kg,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 조릿대간장 10ml/kg 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39.84, 17.50, 43.39 및 84.24% 변화를 나타내었다.
7. 혈중 IL-6 및 IFN-γ 함량의 변화
종양이식 대조군에서는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혈중 IL-6 함량의 증가와 IFN-γ 함량의 감소가 각각 인정되었으나,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각각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또는 p<0.05) 혈중 IL-6 함량의 감소와 IFN-γ 함량의 증가가 인정되었고, 특히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일반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p<0.01 또는 p<0.05) 혈중 IL-6 함량의 감소와 IFN-γ 함량의 증가가 각각 인정되었고,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녹용녹각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p<0.01 또는 p<0.05) 혈중 IL-6 함량의 감소와 IFN-γ 함량의 증가가 인정되었다. 한편 paclitaxel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p<0.01) 혈중 IL-6 함량의 증가와 IFN-γ 함량의 감소가 각각 인정되었다 (도 10).
혈중 IL-6 함량은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561.59%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paclitaxel 20mg/kg,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 조릿대간장 10ml/kg 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32.81, -24.22, -47.61 및 -61.61% 변화를 나타내었다.
혈중 IFN-γ 함량은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49.32%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paclitaxel 20mg/kg,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 조릿대간장 10ml/kg 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19.71, 24.33, 45.86 및 60.10% 변화를 나타내었다.
8. NK cell 활성의 변화
종양이식 대조군에서는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비장 및 복강 NK cell 활성의 감소가 각각 인정되었으나,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각각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비장 및 복강 NK cell 활성의 증가가 인정되었고, 특히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일반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p<0.01 또는 p<0.05) 비장 및 복강 NK cell 활성의 증가가 각각 인정되었고,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녹용녹각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p<0.01 또는 p<0.05) 비장 및 복강 NK cell 활성의 증가가 인정되었다. 한편 paclitaxel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p<0.01) 비장 NK cell 활성의 감소가 유의성 없는 복강 NK cell 활성의 감소와 함께 인정되었다(도 11).
비장 NK cell 활성은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70.14%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paclitaxel 20mg/kg,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 조릿대간장 10ml/kg 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29.62, 46.85, 90.79 및 136.35% 변화를 나타내었다.
복강 NK cell 활성은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65.38%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paclitaxel 20mg/kg,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 조릿대간장 10ml/kg 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24.60, 44.30, 81.86 및 121.27% 변화를 나타내었다.
9. 비장 cytokine 함량의 변화
종양이식 대조군에서는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비장 TNF-α, IL-1β 및 IL-10함량의 감소가 각각 인정되었으나,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각각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또는 p<0.05) 비장 TNF-α, IL-1β 및 IL-10함량의 증가가 인정되었고, 특히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일반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p<0.01 또는 p<0.05) 비장 TNF-α, IL-1β 및 IL-10 함량의 증가가 각각 인정되었고,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녹용녹각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p<0.01 또는 p<0.05) 비장 TNF-α, IL-1β 및 IL-10 함량의 증가가 인정되었다. 한편 paclitaxel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p<0.05) 비장 TNF-α, IL-1β 및 IL-10함량의 감소가 인정되었다(도 12).
비장 TNF-α 함량은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64.07%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paclitaxel 20mg/kg,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 조릿대간장 10ml/kg 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38.79, 40.63, 64.89 및 108.88% 변화를 나타내었다.
비장 IL-1β 함량은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73.39%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paclitaxel 20mg/kg,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 조릿대간장 10ml/kg 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27.08, 65.00, 112.16 및 166.39% 변화를 나타내었다.
비장 IL-10 함량은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60.72%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paclitaxel 20mg/kg,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 조릿대간장 10ml/kg 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36.65, 45.14, 77.16 및 113.30% 변화를 나타내었다.
10. 조직학적 변화
10-1. 종괴의 일반 조직병리학적 변화
종양이식 대조군의 종괴는 비교적 잘 분화된 HCT116 대장암 세포로 치밀하게 구성되어 있었으며, 일부 세포에서 apoptosis에 의한 세포질의 호산성 증가 및 핵 농축이 인정되었다. 한편 paclitaxel 및 세종류의 모든 간장 투여군에서는 각각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apoptotic 세포의 현저한 증가가 인정되었고, 결과적으로 HCT116 세포가 차지하는 비율 역시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특히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일반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p<0.01) 종양세포 크기의 감소 및 apoptotic 세포의 수적 증가가 인정되었고,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녹용녹각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p<0.01) 종양세포 크기의 감소 및 apoptotic 세포의 수적 증가가 인정되었다(도 13, 도16).
종양 조직에서 종양세포가 차지하는 비율은 paclitaxel 20mg/kg,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 조릿대간장 10ml/kg 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45.86, -22.62, -39.81 및 -53.78% 변화를 나타내었다.
종양 조직에서 apoptotic 세포가 차지하는 비율은 paclitaxel 20mg/kg,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 조릿대간장 10ml/kg 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289.07, 192.28, 314.67 및 437.88% 변화를 나타내었다.
10-2. 종괴내 caspase-3, PARP 및 COX-2 면역반응세포의 변화
Paclitaxel,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서 비해 유의성 있는(p<0.01) 종괴내 caspase-3 및 PARP 면역반응세포의 수적 증가와 함께 COX-2 면역반응세포의 수적 감소가 인정되었으며, 특히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일반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p<0.01 또는 p<0.05) 종괴내 caspase-3 및 PARP 면역반응세포의 수적 증가와 함께 COX-2 면역반응세포의 수적 감소가 인정되었고,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녹용녹각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p<0.01 또는 p<0.05) 종괴내 caspase-3 및 PARP 면역반응세포의 수적 증가와 함께 COX-2 면역반응세포의 수적 감소가 인정되었다(도 14, 도16).
종양 조직에서 caspase-3 면역반응세포가 차지하는 비율은 paclitaxel 20mg/kg,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 조릿대간장 10ml/kg 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322.77, 170.30, 403.96 및 533.66% 변화를 나타내었다.
종양 조직에서 PARP 면역반응세포가 차지하는 비율은 paclitaxel 20mg/kg,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 조릿대간장 10ml/kg 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232.39, 103.52, 223.94 및 319.01% 변화를 나타내었다.
종양 조직에서 COX-2 면역반응세포가 차지하는 비율은 paclitaxel 20mg/kg,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 조릿대간장 10ml/kg 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30.43, -28.99, -46.56 및 -66.12% 변화를 나타내었다.
10-3. 종괴내 iNOS 및 TNF-α 면역반응세포의 변화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종양 이식 대조군에 비해 현저한 종괴내 iNOS 및 TNF-α 면역반응세포의 수적 증가가 인정되었고,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일반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p<0.01) 종괴내 iNOS 및 TNF-α 면역반응세포의 수적 증가가 인정되었으며,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녹용녹각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p<0.01) 종괴내 iNOS 및 TNF-α 면역반응세포의 수적 증가가 인정되었다. 한편 paclitaxel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과 유사한 종괴내 iNOS 및 TNF-α 면역반응세포의 수적 변화가 인정되었다(도 15, 도16).
종양 조직에서 iNOS 면역반응세포가 차지하는 비율은 paclitaxel 20mg/kg,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 조릿대간장 10ml/kg 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10.48, 165.71, 230.48 및 318.10% 변화를 나타내었다.
종양 조직에서TNF-α면역반응세포가 차지하는 비율은 paclitaxel 20mg/kg,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 조릿대간장 10ml/kg 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5.41, 150.45, 291.89 및 406.31% 변화를 나타내었다.
10-4. 비장의 조직병리학적 변화
종양이식 대조군에서는, 정상 매체 대조군 비해 비장 백색수질 부분의 현저한 임파구 감소를 특징으로 하는 위축이 인정되어, 유의성 있는(p<0.01) 비장 두께, 백색수질 직경 및 수의 감소가 각각 인정되었다.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종양 이식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또는 p<0.05) 비장 두께, 백색수질 직경 및 수의 증가가 인정되었고,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일반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 (p<0.01 또는 p<0.05) 비장 두께, 백색수질 직경 및 수의 증가가 인정되었으며,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녹용녹각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 (p<0.01) 비장 두께, 백색수질 직경 및 수의 증가가 인정되었다. 한편 paclitaxel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p<0.01 또는 p<0.05) 비장 두께, 백색수질 직경 및 수의 감소가 각각 인정되었다(도 17).
비장 전체 두께는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45.81%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paclitaxel 20mg/kg,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 조릿대간장 10ml/kg 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16.93, 17.45, 37.51 및 59.35% 변화를 나타내었다.
비장 백색수질의 수는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69.57%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paclitaxel 20mg/kg,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 조릿대간장 10ml/kg 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38.78, 48.98, 112.24 및 175.51% 변화를 나타내었다.
비장 백색 수질의 직경은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69.97%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paclitaxel 20mg/kg,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 조릿대간장 10ml/kg 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23.76, 62.14, 92.81 및 130.68% 변화를 나타내었다.
10-5. 악하 임파절의 조직병리학적 변화
종양이식 대조군에서는, 정상 매체 대조군 비해 임파절 피질 부분의 현저한 임파구 감소를 특징으로 하는 위축이 인정되어, 유의성 있는(p<0.01) 악하 임파절 두께, 피질 두께 및 피질내 follicle 수의 감소가 각각 인정되었다. 세 종류의 모든 간장 투여군에서는 종양 이식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또는 p<0.05) 악하 임파절 두께, 피질 두께 및 피질 내 follicle 수의 증가가 인정되었고,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일반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p<0.01 또는 p<0.05) 악하 임파절 두께, 피질 두께 및 피질내 follicle 수의 증가가 인정되었으며,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녹용녹각 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p<0.01) 악하 임파절 두께, 피질 두께 및 피질 내 follicle 수의 증가가 인정되었다. 한편 paclitaxel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p<0.01 또는 p<0.05) 현저한 악하 임파절 위축의 악화가 인정되었다(도 18).
악하 임파절 전체 두께는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57.14%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paclitaxel 20mg/kg,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 조릿대간장 10ml/kg 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25.04, 27.17, 54.17 및 80.27% 변화를 나타내었다.
악하 임파절 피질내 follicle의 수는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64.02%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paclitaxel 20mg/kg,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 조릿대간장 10ml/kg 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33.90, 38.98, 81.36 및 128.81% 변화를 나타내었다.
악하 임파절 피질 두께는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51.12%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paclitaxel 20mg/kg,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 조릿대간장 10ml/kg 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40.80, 26.25, 51.96 및 103.02% 변화를 나타내었다.
10-6. 난소주위 지방의 조직병리학적 변화
종양이식 대조군에서는, 정상 매체 대조군 비해 현저한 백색 지방세포의 크기 감소를 특징으로 하는 위축이 인정되어, 유의성 있는(p<0.01) 축적 지방 두께 및 백색 지방세포 평균 직경의 감소가 각각 인정되었다.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종양 이식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축적 지방 두께 및 백색 지방세포 평균 직경의 증가가 인정되었고,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일반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p<0.01) 축적 지방 두께 및 백색 지방세포 평균 직경의 증가가 인정되었으며,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녹용녹각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p<0.01) 축적 지방 두께 및 백색 지방세포 평균 직경의 증가가 인정되었다. 한편 paclitaxel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p<0.01) 축적 지방 두께 및 백색 지방세포 평균 직경의 감소가 각각 인정되었다(도 19).
난소주위 축적 지방의 두께는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78.39%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paclitaxel 20mg/kg,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 조릿대간장 10ml/kg 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57.60, 71.26, 130.08 및 217.69% 변화를 나타내었다.
난소주위 백색 지방세포의 평균 직경은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64.44%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paclitaxel 20mg/kg,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 조릿대간장 10ml/kg 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26.06, 25.26, 49.74 및 85.18% 변화를 나타내었다.
식생활의 변화와 환경오염 등 다양한 원인으로 신종 질병의 발병률이 증가하여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우리의 전통적인 식습관과 전통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Jung et al., 2006; Kim et al., 2007]. 특히 전통 발효식품인 간장[Cheigh et al., 1993; Lee et al., 2003; Kim et al., 2007]과 된장 [Jung et al., 2006]에 대한 생리 활성효과가 입증됨에 따라 전통발효식품이 재조명되고 있고, 그에 따른 연구와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간장과 된장은 우리의 중요한 조미료로서, 과거 삼국시대부터 우리 식생활에 이용되어온 가장 대표적인 발효식품이다[Kim et al., 2007]. 이러한 간장의 생리 활성은 발효기간이 증가할수록 상승되고[Jung et al., 2006], 다른 활성 약제의 첨가에 의해서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et al., 200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어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온 녹용[Wang et al., 1988; Cho et al., 2012], 녹각[Yook et al., 2006; Hijikata et al., 2009; Hwang et al., 2010] 및 조릿대[Kim et al., 2007; Yang et al., 2010; Nam et al., 2013] 추출물의 첨가에 따른 간장의 항암활성 증대효과를 대표적인 paclitaxel 감수성 대장암 세포주인 HCT116 세포[Lee et al., 2001; Rose et al., 2001; Chou et al., 2005]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1년 숙성시킨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녹용녹각조릿대간장 및 paclitaxel의 HCT116 세포 주에 대한 세포독성을 일반적인 MTT 방법으로 평가하고, HCT116 대장암 세포 주 이식 15일 후부터 athymic nude 마우스에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원액을 설치류의 일반적 경구 투여용량인 10ml/kg의 용량 [Flecknell, 1996]으로 1일 1회씩 35일간 경구 투여한 다음, 체중, 종양 크기, 종양 무게, 면역장기 (가슴샘 및 악하 임파절) 중량, 혈중 IFN-γ 함량, NK cell 활성도, 비장내 TNF-α, IL-1β 및 IL-10 함량의 변화를 종양 및 임파장기의 조직병리학적 변화와 함께 관찰하여, 항암 및 면역 활성효과를 각각 관찰하였다. 또한 종양 관련 악액질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난소 주위 지방 중량의 변화와 혈중 IL-6 함량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난소 주위 지방의 두께 및 지방세포의 직경의 변화를 각각 조직 병리학적으로 각각 관찰하였고, 형성된 종괴내에서 apoptotic marker인 caspase-3 및 PARP, 염증 및 혈관 신생 인자인 COX-2, 면역활성과 관련된 cytokine인 iNOS 및 TNF-α면역반응성을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각각 관찰하였다. 실험결과는 paclitaxel 20mg/kg 복강투여군과 비교하였으며, 녹용녹각조릿대간장의 항암활성을 녹용녹각간장 및 일반간장과 비교 검토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녹용녹각조릿대간장 및 paclitaxel은 각각 HCT116 세포에 대한 IC50가 0.043% (430.00μg/ml), 0.002% (20.00μg/ml), 0.00005% (0.50μg/ml) 및 0.00098μM (0.837μg/ml)로 산출되었으며, 종양세포 이식에 의해 현저한 비장 및 슬와 임파절 중량, 혈중 IFN-γ 함량, 비장내 TNF-α, IL-1β 및 IL-10 함량, 비장세포 및 복강 대식구 활성의 감소가 비장 및 슬와 임파절의 임파구 감소에 의한 조직병리학적 위축 소견과 함께 인정되었고, 체중 및 증체량의 감소 역시 인정되었으며, 혈중 IL-6 함량의 증가, 난소주위 지방 중량의 감소 및 조직병리학적으로 난소주위 주위 축적 지방 조직의 위축 현상이 인정되었다. 따라서 종양 이식 후, 전형적인 종양 관련 면역억제와 악액질 현상이 유발되었다. 일반간장,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종양 이식 대조군에 비해 의미 있는 항암, 면역활성 및 종양관련 악액질의 억제 소견이 인정되었으며, 특히 녹용녹각간장 및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일반간장 투여군에서 비해 유의성 있는(p<0.01 또는 p<0.05) 항암 및 면역 활성의 증가와 함께 악액질 감소 효과의 증가가 인정되었고, 녹용녹각조릿대간장 투여군에서는 녹용녹각간장 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p<0.01 또는 p<0.05) 항암 및 면역 활성의 증가와 함께 악액질 감소 효과의 증가가 인정되었다. 따라서 일반간장의 항암활성, 면역증가 및 종양관련 악액질 억제 효과가 녹용녹각 추출물의 첨가에 의해 증가 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특히 조릿대의 첨가에 의해 더욱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paclitaxel 20mg/kg 단독 투여에 의해 종괴 크기 및 중량의 감소가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 종괴내 apoptosis 세포의 증가에 의한 종양세포의 비율 감소와 함께 인정되었고, 종괴내 caspase-3 및 PARP 면역반응성의 증가와 COX-2 면역반응성의 감소가 인정되었으나, 종양관련 악액질(체중, 난소주위 지방 및 혈중 IL-6 함량의 변화) 및 면역억제(비장 및 악하 임파절 중량, 혈중 IFN-γ 함량, NK cell 활성도, 비장내 TNF-α, IL-1β 및 IL-10 함량의 변화, 면역장기의 조직학적 변화, 종괴내 iNOS 및TNF-α 면역반응성의 변화) 소견은 오히려 악화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상, 비교예 및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구현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또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콩으로 메주를 만들어 준비하는 메주준비단계;
    상기 메주준비단계와 동시에 또는 그 전후에 실시되며, 녹용 및 녹각을 포함하는 한약재료를 준비하는 한약재료준비단계;
    상기 준비된 녹용 및 녹각에 물과 소금을 혼합하는 1차혼합단계;
    상기 1차혼합된 혼합물에 미리 준비한 메주를 투입하는 메주혼합단계; 및
    메주가 혼합된 혼합물을 숙성시키는 1차숙성단계;
    상기 1차 숙성된 혼합물에서 메주를 분리하는 메주분리단계; 및
    메주가 제거된 후 남은 액상 혼합물을 다시 숙성시키는 2차숙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및 면역활성기능이 있는 기능성 장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혼합단계에서는 녹용 및 녹각 2~15중량%, 소금 1~6중량% 및 물 80~95중량%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및 면역활성기능이 있는 기능성 장의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녹용 100중량부에 대해 녹각 300~50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및 면역활성기능이 있는 기능성 장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료준비단계는 녹용 및 녹각의 털을 제거한 후 따뜻한 물에 세척하여 건조하고, 녹용 및 녹각의 제일 윗부분을 잘라 주정이 흡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전처리하는 전처리단계; 전처리된 녹용 및 녹각을 주정에 담그고, 38~50℃의 온도에서 분골까지 주정이 올라올때까지 주침하는 1차주침단계; 다시 주정에 담궈 12~24시간 동안 주침하는 2차주침단계; 주침된 녹용 및 녹각을 12~24시간 동안 냉동 보관하는 냉동단계; 냉동된 녹용 및 녹각을 저온건조기로 17~40℃의 온도에서 10~24시간 동안 건조하는 건조단계; 및 건조된 녹용 및 녹각을 뜨거운 물에 살짝 데운 후 분골, 상대, 중대, 하대 부위로 슬라이스하는 슬라이스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및 면역활성기능이 있는 기능성 장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숙성단계에서는 15~45℃의 온도에서 40~80일간 통기성 용기에서 숙성시키며,
    상기 2차숙성단계에서는 15~45℃의 온도에서 285~325일간 통기성 용기에서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및 면역활성기능이 있는 기능성 장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료에는 조릿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및 면역활성기능이 있는 기능성 장의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녹용 100중량부에 대해 조릿대 300~50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및 면역활성기능이 있는 기능성 장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주혼합단계에서는 혼합액 1리터당 메주 0.3~0.5kg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및 면역활성기능이 있는 기능성 장의 제조방법.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및 면역활성기능이 있는 기능성 간장.
  10. 청구항 1 내지 8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주분리단계 이후에는,
    분리된 메주를 15~45℃의 온도에서 40~365일간 숙성시키는 메주숙성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및 면역활성기능이 있는 기능성 장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10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및 면역활성기능이 있는 기능성 된장.
KR1020130146745A 2013-11-29 2013-11-29 대장암 세포주인 hct116 세포에 대해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녹용, 녹각 및 조릿대가 포함된 기능성 간장 KR101577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745A KR101577115B1 (ko) 2013-11-29 2013-11-29 대장암 세포주인 hct116 세포에 대해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녹용, 녹각 및 조릿대가 포함된 기능성 간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745A KR101577115B1 (ko) 2013-11-29 2013-11-29 대장암 세포주인 hct116 세포에 대해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녹용, 녹각 및 조릿대가 포함된 기능성 간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281A true KR20150062281A (ko) 2015-06-08
KR101577115B1 KR101577115B1 (ko) 2015-12-15

Family

ID=53500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6745A KR101577115B1 (ko) 2013-11-29 2013-11-29 대장암 세포주인 hct116 세포에 대해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녹용, 녹각 및 조릿대가 포함된 기능성 간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11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7115B1 (ko) 2015-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907B1 (ko) 갈색거저리 유충의 추출물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현탁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96902B1 (ko) 한방 개량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한방 개량 고추장 조성물
KR101274254B1 (ko) 황토지장수를 이용한 삼계탕용 육수 및 삼계탕의 제조방법
CN105533503A (zh) 一种桂花醉大黄鱼的加工方法
KR101153596B1 (ko) 달콤한 소금가루와 녹차 비타 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海苔) 조성물
KR101342517B1 (ko) 건강 기능성 죽 및 상기 죽의 제조방법
KR100703897B1 (ko) 약초 성분을 주원료로 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879016B1 (ko) 한방 개량간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방 개량간장 조성물
KR101139064B1 (ko) 달콤한 소금과 비타녹차조미유를 함유하는 조미 김(海苔) 조성물
KR20090031707A (ko) 무궁화꽃 침출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100082689A (ko) 월드 인삼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896905B1 (ko) 한방 개량된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한방 개량된장 조성물
KR20100137100A (ko) 전복 동결건조 육을 함유한 숙취해소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647917B1 (ko) 초석잠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재 추출액과 밤 약술 및 그 제조방법
KR101479228B1 (ko) 옥수수 감자 백숙의 제조방법 및 그 백숙
KR20110080686A (ko) 달콤한 향미의 미세(微細)한 후코이단을 함유하는 마른김(海苔)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190006650A (ko) 양념 게장용 소스의 제조방법
KR101577115B1 (ko) 대장암 세포주인 hct116 세포에 대해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녹용, 녹각 및 조릿대가 포함된 기능성 간장
KR100660175B1 (ko)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KR20040095909A (ko) 건 해태에 약효가 있는 음식재료를 첨가한 건 해태 식품및 가공 제조방법
KR20090122319A (ko) 고소한 메생이 티백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상 차의 제조방법
KR101111288B1 (ko) 기능성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11346A (ko) 고소하고 달콤한 침출 칡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100072143A (ko) 월드 인삼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915786B1 (ko) 생굴과 검은콩을 함유하는 소팔메토 티백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