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0503A -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0503A
KR20150060503A KR1020140118645A KR20140118645A KR20150060503A KR 20150060503 A KR20150060503 A KR 20150060503A KR 1020140118645 A KR1020140118645 A KR 1020140118645A KR 20140118645 A KR20140118645 A KR 20140118645A KR 20150060503 A KR20150060503 A KR 20150060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osure
housing
instant film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8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은빛
박용식
장호준
진송백
소광혁
이상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4/00895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080370A1/ko
Priority to US15/038,653 priority patent/US10036955B2/en
Publication of KR20150060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05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48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 G03B17/5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with both developing and finishing apparatus
    • G03B17/53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with both developing and finish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elivering a finished picture after a signal causing exposure has been given, e.g. by pushing a button, by inserting a coi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48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 G03B17/5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with both developing and finishing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02Exposure apparatus for contact printing
    • G03B27/10Copying apparatus with a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original and the light source during expo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02Exposure apparatus for contact printing
    • G03B27/14Details
    • G03B27/30Details adapted to be combined with processing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50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with slit or like diaphragm moving over original for progressive expo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52Details
    • G03B27/62Holders for the origin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72Controlling or varying light intensity, spectral composition, or exposure time in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5/00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no immersion is effected; Washing apparatus in which no immersion is effected
    • G03D5/04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no immersion is effected; Washing apparatus in which no immersion is effected using liquid spray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ameras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es (AREA)
  • 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es (AREA)

Abstract

휴대용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는, 하우징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서 발산되는 빛을 통해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배치된 인스턴트 필름을 노광하는 노광부재; 상기 노광부재와 연동하며 상기 인스턴트 필름을 차폐하는 차광부재; 상기 노광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노광부재를 노광 전 위치로 이동시키는 견인부; 및 인스턴트 필름에 구비된 현상제를 인스턴트 필름 전체로 전개하는 현상제 전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견인부 및 상기 현상제 전개부재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구동된다.

Description

휴대용 화상형성장치{PORTABLE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를 인스턴트 필름에 인화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스턴트 카메라는 인스턴트 필름을 내장하고 있으며, 촬영 후 내장된 인스턴트 필름에 노광 및 현상 처리를 수행하여 카메라 외부로 인스턴트 필름을 배출함에 따라 즉석에서 인화된 사진을 획득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인스턴트 카메라는 렌즈와 인스턴트 필름 간의 다소 넓은 간격을 유지해야 하므로 카메라의 전체적인 부피가 커지기 때문에 휴대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인스턴트 카메라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한편, 요즘 출시되고 있는 인스턴트 필름을 사용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또는 소형 휴대용 포토 프린터 등의 경우,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하여 이미지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진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케이블을 구비해야 하는 사용상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스틸 카메라 또는 소형 휴대용 포토 프린터는 전원 공급을 통해 동작(노광 및 현상을 위한 구동)하므로, 장치 내에 전원 공급을 위한 충전 배터리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충전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 충전 배터리를 다시 충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배터리 충전이 불가능한 야외에서 사용 시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 사진을 인화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별도의 케이블 없이 직접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고,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인스턴트 필름을 출력할 수 있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스턴트 필름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를 그대로 인화할 수 있으며, 크기가 작고 저전력 구동이 가능하며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우징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서 발산되는 빛을 통해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배치된 인스턴트 필름을 노광하는 노광부재; 상기 노광부재와 연동하며 상기 인스턴트 필름을 차폐하는 차광부재; 상기 노광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노광부재를 노광 전 위치로 이동시키는 견인부; 및 인스턴트 필름에 구비된 현상제를 인스턴트 필름 전체로 전개하는 현상제 전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견인부 및 상기 현상제 전개부재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구동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노광부재는, 렌즈어레이; 상기 렌즈어레이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셔터를 포함하며, 상기 셔터는, 상기 노광부재가 노광 전 위치로 이동 시 상기 렌즈어레이를 폐쇄하고, 상기 노광부재가 노광 전 위치에서 노광 위치로 이동 시 상기 렌즈어레이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셔터와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광부재는 탄성력을 갖는 불투명한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광부재는 상기 노광부재의 선단 및 후단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차광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차광막은 각각 일부분이 펼침 가능하도록 말린 상태로 상기 하우징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견인부는, 상기 노광부재를 노광 전 위치 또는 노광 완료 위치로 견인하는 레버; 상기 레버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노광부재의 노광 전 위치에서 상기 레버를 록킹 또는 록킹해제하는 록킹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제1 스트링(string)에 의해 상기 노광부재의 선단에 연결되고 제2 스트링(string)에 의해 상기 노광부재의 후단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노광부재가 노광 완료 위치에서부터 노광 전 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노광부재를 탄력 지지하는 댐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핑부는, 상기 노광부재가 가이드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된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핑부는, 상기 노광부재에 연결되는 리니어 댐퍼; 및 상기 리니어 댐퍼에 결합된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핑부는, 상기 노광부재가 가이드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된 코일스프링; 상기 노광부재에 배치되는 로터리 댐퍼; 상기 로터리 댐퍼의 회전축에 중심이 결합된 피니언; 및 상기 노광부재의 이동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피니언과 치합되는 래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핑부는, 상기 노광부재에 배치되는 기계식 진동자; 상기 기계식 진동자의 회전축에 중심이 결합된 피니언; 및 상기 노광부재가 이동하는 방향에 평행하게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과 기어 연결되는 피니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상제 전개부재는 인스턴트 필름이 배출되는 상기 하우징부의 배출구멍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현상제 전개부재는,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인스턴트 필름을 상기 배출구멍으로 피딩하기 위한 한 쌍의 가압롤러; 상기 한 쌍의 가압롤러 중 어느 하나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를 회전시키는 메인기어; 및 상기 하우징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메인기어를 회전하기 위한 회전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부 일측에 상기 회전노브의 회전에 연동하여 인스턴트 필름의 선단을 상기 한 쌍의 가압롤러 사이로 도입시키는 인스턴트 필름 세팅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인스턴트 필름 세팅부는, 복수의 종동기어를 통해 상기 메인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가동기어; 선단부가 상기 가동기어와 캠 연결되어 상기 가동기어의 회전에 따라 인스턴트 필름의 이송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하는 가동부재; 및 상기 가동부재의 후단부에 탄력적으로 힌지 연결되어 인스턴트 필름의 후단부를 밀어주는 푸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기어는 캠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캠 돌기에 캠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캠 팔로워를 구비하며, 상기 가동부재는 캠 팔로워가 캠 돌기에 접촉하는 동안 상기 인스턴트 필름을 상기 한 쌍의 가압롤러 측으로 밀어주고, 상기 캠 돌기와 캠 팔로워 간의 접촉이 해제되면 다음 인스턴트 필름의 후단부를 밀어주기 위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는 입사창이 형성된 측으로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삽입되는 고정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서로 인접한 2개의 측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 탄력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노광부재는 렌즈어레이와 상기 렌즈어레이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견인부와 인스턴트 필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견인부는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삽입방향으로 가압 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견인부는 상기 노광부재와 선택적으로 연결 및 연결 해제되는 걸림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견인부의 걸림부재는, 노광부재의 걸림구멍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돌기; 및 노광 전 위치에서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걸림구멍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걸림해제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의 걸림해제돌기는 노광 전 위치로 이동 시 하우징부 내측의 일부분을 타고 올라가도록 경사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견인부는 노광 전 위치에서 노광 위치로 이동 시 인스턴트 필름의 후단부를 밀어 인스턴트 필름의 선단부가 현상제 전개부재로 도입시켜 주는 인스턴트 필름 세팅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상제 전개부재는,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인스턴트 필름을 상기 하우징부의 배출구멍으로 피딩하기 위한 한 쌍의 가압롤러; 및 상기 견인부의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구동력을 한 쌍의 가압롤러로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견인부의 일부에 연결되는 구동벨트; 상기 구동벨트가 걸리는 한 쌍의 풀리기어; 및 상기 한 쌍의 풀리기어 중 어느 하나의 풀리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한 쌍이 가압롤러 중 어느 하나로 전달하는 한 상의 동력전달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압롤러는 일측에 각각 서로 치합되는 한 쌍의 종동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견인부를 탄성력에 의해 노광 전 위치에서 노광 완료 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스트링을 통해 상기 견인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차광부재는 상기 노광부재의 선단 및 후단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차광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차광막은 일부분이 펼침 가능하도록 말린 상태로 상기 하우징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차광막은 일부분이 펼침 가능하도록 말린 상태로 상기 견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댐핑부는, 상기 노광부재에 배치되는 로터리 댐퍼; 상기 로터리 댐퍼의 회전축에 중심이 결합된 피니언; 및 상기 노광부재의 이동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피니언과 치합되는 래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우징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서 발산되는 빛을 통해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배치된 인스턴트 필름을 노광하는 노광부재; 상기 노광부재와 연동하며 상기 인스턴트 필름을 차폐하는 차광부재; 상기 노광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노광부재를 노광 전 위치로 이동시키는 견인부; 인스턴트 필름에 구비된 현상제를 인스턴트 필름 전체로 전개하는 현상제 전개부재; 상기 차광부재를 통해 상기 노광부재를 간접적으로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현상제 전개부재에 직접적으로 동력을 전단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에 필름 카세트를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분해 사시도로서, 차광부재를 생략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부 하우징 및 차광부재를 생략한 도면,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에서 고정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9는 도 4에 도시된 필름 카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3에 표시된 A-A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 .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노광부재 및 차광부재의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노광부재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B-B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노광부재의 렌즈가 셔터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노광부재의 렌즈가 셔터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 내지 도 17은 렌즈부가 노광 전 위치에서 노광 위치로 이동 시 렌즈부의 이동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댐핑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들,
도 18은 도 4에 도시된 인스턴트 필름 세팅부의 가동부재와 가동기어를 하부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가동부재의 후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통상의 휴대전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휴대전화를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고정부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공간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2a 내지 도 22c는 인스턴트 필름 세팅부의 구동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들,
도 23a 내지 도 23c는 인스턴트 필름 세팅부의 푸셔가 인스턴트 필름을 밀어주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들,
도 24는 인스턴트 필름이 푸셔에 의해 밀려서 현상제 전개부재로 도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7a 및 도 27b는 도 26에 도시된 내부하우징, 노광부재 및 견인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9는 도 28에 표시된 C-C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0은 도 28에 표시된 D-D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필름 카세트를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2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삽입구멍에 삽입하기 전에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에 보조커버를 씌우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4a는 도 33에 표시된 E-E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4b는 도 33에 표시된 F-F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5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삽입 상향으로 가압하여 화상형성장치 내로 밀어 넣은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 단면도,
도 36은 노광부재가 노광 완료 위치에서 노광 후 위치로 복귀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7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당김에 따라 견인부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현상재 전개부재를 구동하여 인스턴트 필름을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 전개부재를 탄성력에 의해 구동하도록 노광부재의 타측에 탄성부재가 연결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에서 디스플레이 고정부를 하우징에 대해 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스턴트 필름과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2는 도 39의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를 G-G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3은 도 40의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를 H-H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4는 도 41의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를 I-I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45는 도 41의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노광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인스턴트 필름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7은 도 42의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의 인화가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
도 4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0은 도 49의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1은 도 49의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에서 핸들을 최대로 민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에서 하우징의 바닥판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3은 도 49의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를 J-J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4는 도 53의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핸들을 끝까지 민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5는 도 49의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노광부재와 이동부재의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6은 도 49의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에 인스턴트 필름을 설치하기 위해 바닥판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7은 도 49의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의 인화가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8은 도 56의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에 인스턴트 필름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9는 도 58의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바닥판을 닫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0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61 및 도 62는 도 60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6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65는 디스플레이부의 밝기에 따른 인스턴트 필름의 인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6은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조절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상부 하우징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1은 도 70에 도시된 커버를 생략한 상부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2는 하부 하우징에 구비된 버튼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3은 및 도 7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개방 상태를 각각 다른 각도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75 및 도 76a는 도 70에 도시된 구동부를 각각 다른 각도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76b는 도 76a에 표시된 J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 및
도 77 및 도 78은 노광부재의 제1 위치 및 제2 위치를 각각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10)은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00) 및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400)로 구성된다.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00)는 수동으로 구동되는 노광부재를 이용하여 인스턴트 필름을 노광하는 인쇄 장치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400,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라고 지칭한다)의 화면을 인스턴트 필름에 노광하여 현상함으로써 인쇄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5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00)가 좋은 화질로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이미지의 위치 보정, 화질 보정, 밝기 보정 등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에서 각종 화질 보정 등을 수행하였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00)는 비전기식/비전자식으로 구동되는바 각종 보정 동작은 디스플레이 장치(400)에서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5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10)은 전원 공급이 필요없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이 가능한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휴대성이 향상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에 필름 카세트를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분해 사시도로서, 차광부재를 생략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부 하우징 및 차광부재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00)는 하우징부(110), 노광부재(130), 차광부재(150), 댐핑부(155,156,157), 견인부(170), 현상제 전개부재(180) 및 인스턴트 필름 세팅부(19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10)는 하부 하우징(111), 상부 하우징(113) 및 측부 하우징(115)을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111)은 노광부재(130), 차광부재(150), 견인부(170) 및 현상제 전개부재(180)가 베이스(111)의 각 부분에 구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하부 하우징(111)의 상측에는 노광부재(130) 및 차광부재(150)가 배치되고, 일측에는 견인부(170)가 배치되며, 타측에는 복수의 종동기어(192a,192b,192c) 및 인스턴트 필름 세팅부(190)가 배치되고, 선단부에는 현상제 전개부재(180)가 각각 배치된다.
하부 하우징(111)은 내측에 인스턴트 필름 카세트(120)가 장착되는 공간부(111a)가 형성된다. 또한, 하부 하우징(111) 저부에는 상기 공간부(111a)로 인스턴트 필름 카세트(12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구멍(111b)이 형성되고, 장착구멍(111b)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112)가 구비된다.
또한, 하부 하우징(111)은 선단부에 현상제 전개부재(180)의 한 쌍의 가압롤러(181,183)가 배치되는 장착공간(111b, 도 10 참조)이 형성되고, 장착공간(111b)을 이루며 서로 마주하는 벽면에는 인스턴트 필름(140)이 통과하는 제1 및 제2 통과구멍(111c,111d)이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하부 하우징(111)은, 도 6과 같이, 상부에 차광부재(150)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 원통홈(111e) 및 제2 원통홈(111f)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 원통홈(111e,111f) 사이에는 노광부재(130)의 양측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111g,111h)가 형성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가이드부(111g,111h)에는 노광부재(13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제1 및 제2 제한턱(111i,111j)이 형성된다.
상부 하우징(113)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하부 하우징(111)의 상부, 선단부, 후단부 및 일측부를 동시에 커버하도록 하부 하우징(1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상부 하우징(113)은 하부 하우징(111)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1 부분(113a), 하부 하우징(111)의 선단부를 커버하는 제2 부분(113b), 하부 하우징(111)의 후단부를 커버하는 제3 부분(113c), 하부 하우징(111)의 일측부를 커버하는 제4 부분(113d)이 일체로 이루어진다.
제1 부분(113a)의 외측면은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평면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제1 부분(113a)에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401)에 대응하는 입사창(113e)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입사창(113e)으로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401)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인스턴트 필름(140)의 감광면(141, 도 23a 참조)으로 입사된다. 이 경우, 화면(401)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은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401)에 표시된 이미지(403)의 명암에 따라 다른 광량으로 인스턴트 필름(140)의 감광면(141)에 입사된다.
제2 부분(113b)에는 현상제 전개부재(180)를 통해 이송되는 인스턴트 필름(140)을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0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멍(113f)이 형성된다.
제3 부분(113c)은 하부 하우징(111)의 후단부를 완전히 폐쇄한 상태로 커버한다. 제4 부분(113d)은 레버(171)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구멍(113g)이 제4 부분(113d)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측부 하우징(115)은 복수의 종동기어(192a,192b,192c) 및 인스턴트 필름 세팅부(190)를 감싸도록 하부 하우징(111)의 타측에 결합된다.
고정부(114)는 얇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상부 하우징(113)과 고정부(114) 사이에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공간(114a)이 마련되도록 상부 하우징(113)의 제1 부분(113a)과 소정 간격을 두고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고정부(114)는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삽입공간(114a)으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도 2와 같이, 2 방향으로 제1 개구(114b) 및 제2 개구(114c)가 형성된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에서 고정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9는 도 4에 도시된 필름 카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한편, 상술한 고정부(114)는 상부 하우징(113)에 일체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부 하우징(113)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고정부(114)는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도 7 및 도 8과 같이, 고정부(117)가 상부 하우징(113)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고정부(117)는 상부 하우징(113)과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고정부(117)는 상부 하우징(113)의 제1 부분(113a)의 단부를 따라 돌출된 돌기부(113h)에 고정부(117)의 단부(117a,117b)가 안착된다.
또한, 고정부(117)는 복수의 가이드핀(118a)에 의해 상부 하우징(113)의 돌기부(113h)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상태가 유지되며, 동시에 복수의 가이드핀(118a)을 따라 상부 하우징(113)의 제1 부분(113a)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가이드핀(118a)에는 각각 코일스프링(118b)이 결합되어 있으며 각 코일스프링(118b)에 의해 고정부(117)가 상기 돌기부(113h)에 밀착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부(117)는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17c)의 높이(H)가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두께에 대응하여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117)를 통해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서로 다른 기종의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견고하게 상부 하우징(113)에 밀착 고정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인스턴트 필름 카세트(120)는 내측에 복수의 인스턴트 필름(140)이 적층 상태로 장입된다. 인스턴트 필름 카세트(120)의 일면에는 인스턴트 필름(140)의 감광면(141)이 노출되도록 노광구멍(121)이 형성된다.
노광구멍(121)은 인스턴트 필름 카세트(120)를 하부 하우징(111)의 공간부(111a)에 장착 시 상부 하우징(113)의 입사창(113e)에 대략적으로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인스턴트 필름 카세트(120)는 선단부(120a)에 인스턴트 필름 배출구멍(123)이 형성되고, 후단부(120b)에는 푸셔(197, 도 19 참조)의 후크부(197g)가 후단부(120b)에 간섭되지 않고 인스턴트 필름 카세트(120)의 후단부(140b, 도 21a 참조)를 밀어줄 수 있도록 후크부(197g)가 통과하는 관통홈(125)이 형성된다.
또한, 인스턴트 필름 카세트(120)는, 도 10과 같이, 내측에 인스턴트 필름(140)이 적재되는 지지판(126)을 구비하며, 지지판(126)은 복수의 코일스프링(127a,127b)에 의해 노광구멍(121) 측으로 탄력 지지된다. 이에 따라, 지지판(126)은 복수의 인스턴트 필름(140)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적층된 인스턴트 필름(140) 중 가장 상측에 위치한 인스턴트 필름(140)이 인스턴트 필름 카세트(120)의 상부 내측면에 밀착시킨다. 이에 따라, 인스턴트 필름 세팅부(190) 동작 시, 가장 상측에 위치한 인스턴트 필름(140)은 인스턴트 필름 배출구멍(123)으로 배출될 수 있다.
노광부재(130)는 입사창(113e)을 따라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401)에서 발산되는 빛을 통해 하우징부(110) 내부에 배치된 인스턴트 필름(140)의 감광면(141)을 노광한다.
도 10은 도 3에 표시된 A-A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노광부재 및 차광부재의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노광부재를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B-B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노광부재의 렌즈가 셔터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노광부재의 렌즈가 셔터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노광부재(130)는 렌즈어레이(lens array)(131), 프레임(133) 및 셔터(135)를 포함한다.
렌즈어레이(131)는 글래스 파이버 내의 굴절률 차이를 이용하는 소형 렌즈군으로서, 스캐너와 같이 스캔 대상과 리더 간 간격이 좁은 경우에 채용하는 통상의 렌즈어레이이다.
프레임(133)은, 도 10과 같이, 렌즈어레이(131)를 노광 전 위치(P1)와 노광 완료 위치(P2)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프레임(133)은, 도 11과 같이, 후술하는 제1 스트링(S1) 및 제2 스트링(S2)이 프레임(133)의 일단부(133c) 및 타단부(133d)에 형성된 제1 및 제2 고리부(133a,133b)에 각각 고정되어 있어, 제1 스트링(S1) 또는 제2 스트링(S1,S2)이 당기는 방향으로 견인된다.
또한, 프레임(133)은 일단부(133c)에 차광부재(150)의 제1 차광막(151) 일단부(151a)가 연결되고, 타단부(133d)에 차광부재(150)의 제2 차광막(153) 일단부(153a)가 연결된다. 따라서, 프레임(133)은 차광부재(150)와 함께 노광 전 위치(P1) 및 노광 완료 위치(P2) 사이를 이동한다.
또한, 프레임(133) 양측의 상면에 복수의 접촉돌기(133e,133f)가 형성되며, 이러한 복수의 접촉돌기(133e,133f)는 프레임(133)과 셔터(135) 저면(135a,135b)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한다. 이 경우, 셔터(135)는 상면(135c,135d)이 상부 하우징(113)의 제1 부분(113a)의 저면과 접촉하는데 이 접촉면적이 상기 복수의 접촉돌기(133e,133f)에 의한 프레임(133)과 셔터(135) 저면과의 접촉면적보다 넓다.
이에 따라, 프레임(133)이 제1 스트링(S1) 또는 제2 스트링(S2)에 의해 견인될 때, 셔터(135)는 상부 하우징(113)의 제1 부분(113a)의 저면 간 발생하는 마찰력이 프레임(133) 간 마찰력보다 크기 때문에 프레임(133)의 이동속도보다 느리게 된다.
따라서, 도 13과 같이, 프레임(133)이 노광 완료 위치(P2)에서 노광 전 위치(P1)로 이동할 때(C 방향), 프레임(133)과 셔터(135) 간 이동속도의 차이에 따라 프레임(133)의 일단부(133c)가 셔터(135)의 제1 걸림턱(135e,135f)을 밀고 이동한다. 이때, 셔터(135)의 광통과구멍(135i)의 위치는 렌즈어레이(131)의 위치와 어긋나게 되므로, 렌즈어레이(131)는 셔터(135)에 의해 폐쇄된다. 결국, 렌즈어레이(131)가 노광 완료 위치(P2)에서 노광 전 위치(P1)로 이동하는 동안 인스턴트 필름(140)은 셔터(135) 및 차광부재(150)에 의해 차폐된다.
반대로, 도 14와 같이, 프레임(133)이 노광 전 위치(P1)에서 노광 완료 위치(P2)로 이동할 때(D 방향), 프레임(133)과 셔터(135) 간 이동속도의 차이에 따라 프레임(133)의 일단부(133d)가 셔터(135)의 제2 걸림턱(135g,135h)을 밀고 이동한다. 이때, 셔터(135)의 광통과구멍(135i)의 위치는 렌즈어레이(131)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변경되므로 렌즈어레이(131)는 개방된다. 이에 따라 렌즈어레이(131)가 노광 전 위치(P1)에서 노광 완료 위치(P2)로 이동하는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401)에서 발산되는 빛이 렌즈어레이(131)를 통해 인스턴트 필름(140)에 입사되어 인스턴트 필름(140)의 감광면(141)이 노광된다.
차광부재(150)는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갖는 불투명한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차광막(151) 및 제2 차광막(153)을 포함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차광막(151)은 타단부(151b)가 동그랗게 말려있는 상태로 제1 원통홈(111e)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타단부(151b)는 프레임(133)이 노광 전 위치(P1)로 이동 시 풀리면서 펼쳐졌다가 프레임(133)이 노광 완료 위치(P2)로 이동 시 자체 탄성력에 의해 다시 말리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 차광막(153)은 타단부(153b)가 동그랗게 말려있는 상태로 제2 원통홈(111f)에 삽입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타단부(153b)는 프레임(133)이 노광 완료 위치(P2)로 이동 시 풀리면서 펼쳐졌다가 프레임(133)이 노광 전 위치(P1)로 이동 시 자체 탄성력에 의해 다시 말리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인스턴트 필름(140)에 인화되는 이미지가 선명하게 나타나도록, 노광 전 위치(P1)에서 노광 완료 위치(P2)로 이동하는 렌즈어레이(131)의 이동속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노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15 내지 도 17과 같이 다양한 구조의 댐핑부(155,156,157)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프레임(133)은 도 11에 도시된 프레임(133)과 동일하게 렌즈어레이(131) 및 셔터(135)가 결합되고 제1 및 제2 스트링(S1,S2)에 의해 견인되며 차광부재(150)와 연결되어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프레임(133)의 상세한 구성, 제1 및 제2 스트링(S1,S2) 및 차광부재(150)는 도시하지 않는다.
도 15 내지 도 17은 렌즈부가 노광 전 위치에서 노광 위치로 이동 시 렌즈부의 이동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댐핑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댐핑부(155)는 프레임(133)의 양측을 관통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55a)과, 각 가이드레일(155a)에 결합되는 한 쌍의 탄성부재(155b)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레일(155a)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양단이 하부 하우징(111)의 소정 위치에 각각 고정된다. 이와 같은 한 쌍의 가이드레일(155a)은 프레임(133)을 노광 전 위치(P1)와 노광 완료 위치(P2) 사이를 왕복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한 쌍의 탄성부재(155b)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렌즈어레이(131)를 기준으로 상부 하우징(113)의 인스턴트 필름 배출구멍(113f) 측으로 위치하면서 프레임(133)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탄성부재(155b)는 렌즈어레이(131)가 노광 전 위치(P1)에서 노광 완료 위치(P2)로 이동 시 이동속도를 저감시켜 렌즈어레이(131)를 통해 인스턴트 필름(140)에 적절한 노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댐핑부(156)는 프레임(133)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통상의 리니어 댐퍼(156a)와, 각 리니어 댐퍼(156a)에 결합되는 한 쌍의 탄성부재(156d)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리니어 댐퍼(156a)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렌즈어레이(131)를 기준으로 인스턴트 필름 배출구멍(113f) 측으로 위치한다. 이와 같은 한 쌍의 리니어 댐퍼(156a)는 각 피스톤(156b)의 일단이 프레임(133)의 일측에 연결되고, 각 실린더(156c)의 일단이 하부 하우징(111)의 소정 위치에 각각 고정된다.
탄성부재(156d)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피스톤(156b)에 결합되어 프레임(133)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이 경우, 댐핑부(156)는 상술한 댐핑부(155)와 마찬가지로 렌즈어레이(131)가 노광 전 위치(P1)에서 노광 완료 위치(P2)로 이동 시 이동속도를 저감시켜 인스턴트 필름(140)에 적절한 노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댐핑부(157)는 프레임(133)의 양측을 관통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57a)과, 각 가이드레일(157a)에 결합되는 한 쌍의 탄성부재(157b)와, 통상의 로터리 댐퍼(157c)와, 피니언(157e) 및 래크(157f)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레일(157a)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양단이 하부 하우징(111)의 소정 위치에 각각 고정된다. 이와 같은 한 쌍의 가이드레일(157a)은 프레임(133)을 노광 전 위치(P1)와 노광 완료 위치(P2) 사이를 왕복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한 쌍의 탄성부재(157b)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렌즈어레이(131)를 기준으로 인스턴트 필름 배출구멍(113f) 측에 위치하면서 프레임(133)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로터리 댐퍼(157c)는 프레임(133)의 상면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로터리 댐퍼(157c)의 회전축(157d)에는 피니언(157e)이 결합된다. 피니언(157e)은 회전축(157d)과 함께 연동하여 회전하며, 하부 하우징(111)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 래크(157f)와 치합된다.
이와 같은 댐핑부(157)는 한 쌍의 탄성부재(157b)와 로터리 댐퍼(157c)에 의해 렌즈어레이(131)가 노광 전 위치(P1)에서 노광 완료 위치(P2)로 이동 시 이동속도를 저감시켜 인스턴트 필름(140)에 적절한 노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댐핑부(157)는 상기 로터리 댐퍼(157c)를 통상의 기계식 진동자(미도시)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견인부(170)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노광부재(130)를 노광 완료 위치(P2)에서부터 노광 전 위치(P1) 까지 이동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 하우징(111) 일측에 배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견인부(170)는 레버(171), 록킹부재(173), 탄성부재(175) 및 제1 및 제2 스트링(S1,S2)을 포함한다.
레버(171)는 하부 하우징(111)의 일측을 따라 배치된 가이드축(17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레버(171)의 일부분(171a)은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도 2와 같이,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된다.
록킹부재(173)는 록킹해제버튼(173a)과, 레버(171)를 록킹하기 위한 걸림부(173b)와, 록킹해제버튼(173a)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173c)를 포함한다.
록킹해제버튼(173a)은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상부 하우징(113)의 제4 부분(113d)을 관통하여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00)의 외부로 노출된다. 록킹해제버튼(173a)은 록킹해제버튼(173a)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걸림부(173b)를 힌지축(173d)을 중심으로 동작시켜 레버(171)의 록킹을 해제한다. 탄성부재(173c)는 걸림부(173b)가 레버(171) 록킹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록킹해제버튼(173a)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탄성부재(175)는 레버(171)가 인스턴트 필름 배출구멍(113f)의 반대측으로 당겨지도록, 일단이 레버(171)의 일측부(171b)에 고정되고 타단이 하부 하우징(111)에 형성된 제1 고정핀(176)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레버(171)는 록킹부재(173)에 의해 록킹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록킹해제버튼(173a)을 눌러 레버(171)의 록킹을 해제시키면 상기 탄성부재(175)에 의해 록킹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노광부재(130)는 노광 전 위치(P1)에서 노광 완료 위치(P2)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1 스트링(S1) 및 제2 스트링(S2)은 일단이 각각 레버(171)의 타측부(171c)에 각각 고정되고 타단이 각각 제1 및 제2 고리부(133a,133b)에 고정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스트링(S1,S2)은 하부 하우징(111)에 고정된 복수의 제1 고정핀(178a,178b)과 복수의 제2 고정핀(178c,178d)에 각각 거치되어 있어 레버(171)의 이동 시 즉각적으로 노광부재(130)가 연동하도록 팽팽하게 유지된다.
현상제 전개부재(180)는, 도 5 및 도 10을 참조하면, 한 쌍의 가압롤러(181,183)와, 종동기어(185) 메인기어(187) 및 회전노브(189)를 포함한다.
한 쌍의 가압롤러(181,182)는 하부 하우징(111)의 장착공간(111b, 도 10 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인스턴트 필름(140)을 가압한 상태로 피딩할 수 있도록 상호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가압롤러(181,183)는 각각 일측에 기어(181a,183a)를 구비한다. 상기 기어(181a,183a)는 서로 연동하도록 치합되어 있어 어느 하나가 회전하는 경우 한 쌍의 가압롤러(181,183)를 동시에 회전시킨다.
종동기어(185)는 하부 하우징(111)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한 쌍의 가압롤러(181,183)의 기어(181a,183a) 중 어느 하나(181a)와 치합된다. 이에 따라 종동기어(185)는 메인기어(187)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메인기어(187)는 하부 하우징(111)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종동기어(185)와 치합된다. 이 경우, 메인기어(187)는 회전노브(189)가 결합되는 결합부(187a)가 연장 형성된다. 결합부(187a)는 가이드패널(188)의 관통구멍(188a) 및 측부 하우징(115)의 관통구멍(115a)을 각각 관통한다.
회전노브(189)는 메인기어(187)의 결합부(187a)에 결합되며 측부 하우징(115)의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회전노브(189)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며 메인기어(187)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현상제 전개부재(180)는 인스턴트 필름 세팅부(190)에 의해 도입된 인스턴트 필름(140)을 가압 및 피딩하여 인스턴트 필름 배출구멍(113f)으로 배출한다. 이때, 한 쌍의 가압롤러(181,183)는 인스턴트 필름(140)을 피딩하면서 인스턴트 필름(140)의 선단 내부에 구비된 액상으로 이루어진 현상제(145, 도 24 참조)를 인스턴트 필름(140) 전체로 점진적으로 전개시킨다.
도 18은 인스턴트 필름 세팅부의 가동부재와 가동기어를 하부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인스턴트 필름 세팅부(190)는 메인기어(187)가 배치되는 하부 하우징(111) 일측에 회전노브(189)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메인기어(187)와 연동하여 인스턴트 필름(140)의 선단부(140a, 도 24 참조)를 한 쌍의 가압롤러(181,183) 사이로 도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스턴트 필름 세팅부(190)는, 도 18을 참조하면, 가동기어(191)와, 가동부재(195)와, 푸셔(197)를 포함한다.
가동기어(191)는 하부 하우징(111) 일측에 돌출된 축돌기(111k)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가동기어(191)는 하부 하우징(111)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서로 치합되는 복수의 종동기어(192a,192b,192c)를 통해 메인기어(187)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또한, 가동기어(191)는 가동부재(195)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캠구조를 통해 가동부재(193)를 한 쌍의 가압롤러(181,183) 측으로 구동한다.
이와 같은 캠구조는 가동부재(195)와 마주하는 가동기어(191)의 일면에 가동기어(191)와 일체로 형성되는 캠돌기(193, 도 22a 참조)와, 상기 캠돌기(193)과 캠 접촉 가능하도록 가동부재(195)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캠 팔로워(194a,194b)를 포함한다.
캠돌기(193)는 제1 및 제2 캠 팔로워(194a,194b)와 접촉하는 접촉면(193a, 도 22a 참조)이 형성된다. 상기 접촉면(193a)은 가동기어(191)의 중심에 인접한 곳에서부터 점차 기동기어(191)의 외주연에 인접하는 곳까지 가동기어(191)의 곡률보다 더 큰 곡률로 만곡 형성된다.
또한, 캠돌기(193)는, 도 22a를 참조하면, 타단(193c)이 일단(193b)보다 넓게 되어 있어 가동기어(191)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 제2 캠 팔로워(194b)에 간섭되어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가동기어(191)는 일방향(시계방향)으로만 회전한다.
가동부재(195)는 가동기어(187)의 회전에 연동하여 인스턴트 필름(140)의 이송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가동부재(195)에 결합된 푸셔(197)를 통해 인스턴트 필름(140)의 선단부(140a)를 한 쌍의 가압롤러(181,183)에 맞물릴 수 있는 위치까지 인스턴트 필름(140)을 밀어준다.
이와 같은 가동부재(195)는 축돌기(111k)가 관통하며 동시에 가이드돌기(111m)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장공(195a)이 형성된다. 또한, 탄성부재(196, 도 5 참조)에 의해 하부 하우징(111)에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96)는 일단이 가동부재(195)의 걸림돌기(195b)에 고정되고 타단이 하부 하우징(111)의 걸림돌기(111p)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가동부재(195)는 가동기어(191)의 회전에 따라 상술한 캠 구조를 통해 인스턴트 필름(140)을 한 쌍의 가압롤러(181,183)로 도입시킨 후, 캠 접촉이 해제되면 탄성부재(196)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가동부재(195)는 일면에 가이드돌기(195c)가 형성되며, 가이드패널(188)의 내주면 소정 위치에 형성된 장공(미도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돌기(195c)는 하부 하우징(111)의 가이드돌기(111m)와 함께 가동부재(195)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한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가동부재의 후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푸셔(197)는, 도 19와 같이, 가동부재(195)의 후단부 일면에 설치된다. 상기 푸셔(197)는 일단이 힌지핀(197a)에 의해 가동부재(195)에 힌지 연결되고,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제한구멍(197b)이 형성된다.
상기 제한구멍(197b)에는 고정구(197c)의 결합돌기(197d)가 관통 결합된다. 이때 제한구멍(197b)은 푸셔(197)가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대략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푸셔(197)가 가동부재(195)와 함께 원위치로 이동 시 후크부(197g)가 인스턴트 필름(140)에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가동부재(195)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푸셔(197)는 타단부에 탄성부재(198)의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돌기(197e)가 형성된다. 이때 탄성부재(198)는 타단이 가동부재(195)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고정돌기(195d)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푸셔(197)는 탄성부재(198)에 의해 하방향으로 당겨진 상태로 고정구(197c)의 결합돌기(197d)에 의해 하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푸셔(197)는 가동부재(195)의 후단부 일면으로부터 인스턴트 필름(140) 측을 향해 연결돌기(197f)가 돌출되고, 연결돌기(197f)의 일단에는 후크부(197g)가 연장 형성된다.
후크부(197g)는 하부 하우징(111)에 형성된 관통구멍(111n)에 삽입되어 인스턴트 필름 카세트(120)의 관통홈(125, 도 9 참조)을 따라 삽입될 수 있는 위치로 설정된다.
이와 같은 후크부(197g)는 푸셔(197)가 인스턴트 필름(140)을 향해 이동 시 인스턴트 필름(140)의 표면에 슬라이딩 되는 경사부(197h)와, 인스턴트 필름(140)의 후단부(140b)에 걸려 인스턴트 필름(140)을 밀어주는 걸림부(197i)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00)의 작용을 도 20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20은 통상의 휴대전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휴대전화를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고정부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공간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2a 내지 도 22c는 인스턴트 필름 세팅부의 구동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도 23a 내지 도 23c는 인스턴트 필름 세팅부의 푸셔가 인스턴트 필름을 밀어주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도 24는 인스턴트 필름이 푸셔에 의해 밀려서 현상제 전개부재로 도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먼저, 도 4와 같이, 인스턴트 필름(140)이 장입된 인스턴트 필름 카세트(120)를 하우징부(110) 내측에 장착한다.
이어서, 도 20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401)에 인쇄하고자 하는 이미지(403)를 표시한 후, 도 20과 같이, 화면(401)이 입사창(113e, 도 2 참조)을 향하도록 하여 상부 하우징(113)과 고정부(114) 사이에 형성된 삽입공간(114a, 도 4 참조)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도 21과 같이, 견인부(170)가 록킹부재(173)에 의해 록킹되도록 레버(171)의 일부분(171a)을 록킹해제버튼(173a) 측으로 당긴다. 이 경우, 레버(171)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이동된다.
이때 노광부재(130)는 레버(171)의 이동과 연동하여 노광 완료 위치(P2, 도 10 참조)에서 노광 전 위치(P1, 도 10 참조)로 이동하며, 이동 시 도 13과 같이 렌즈어레이(131)가 셔터(133)에 의해 폐쇄된다. 이에 따라 인스턴트 필름(140)의 감광면(141)은 셔터(133) 및 차광부재(150)에 의해 화면(401)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에 노출되지 않는다.
그 후, 록킹해제버튼(173a)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면, 레버(171)는 록킹부재(173)에 의한 록킹이 해제되고 탄성부재(175, 도 6 참조)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노광부재(130)는 상기 레버(171)의 이동과 연동하여 노광 전 위치(P1)에서 노광 완료 위치(P2)로 이동한다. 상기 노광부재(130) 이동 시 도 14와 같이 셔터(133)의 광통과구멍(135i)이 렌즈어레이(131)에 대응하게 되면서 렌즈어레이(131)가 개방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401)에서 이미지(403)를 표시하면서 발산하는 빛이 렌즈어레이(131)를 통해 인스턴트 필름(140)을 따라 조사되면서 인스턴트 필름(140)의 감광면(141)에 노광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노광부재(130)는 상술한 댐핑부(155,156,15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노광 완료 위치(P2)를 향해 이동하는 속도가 제어(저감)되며, 인스턴트 필름(140)의 감광면(141)에 적절한 정도의 노광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인스턴트 필름(140) 내부에 액상 현상제를 전개시키고 이와 동시에 인스턴트 필름 배출구멍(113f)을 통해 인스턴트 필름(140)을 배출시키기 위해 회전노브(189)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메인기어(187)의 회전력이 복수의 종동기어(192a,192b,192c)를 통해 가동기어(191)로 전달된다. 가동기어(191)는, 도 22a 내지 도 22c와, 같이 캠 돌기(193)가 회전하면서 접촉면(193a)에 제1 및 제2 캠 팔로워(194a,194b)가 순차적으로 접촉하면서 가동부재(195)가 한 쌍의 가압롤러(181,183) 측으로 직선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푸셔(197)는, 도 23a 내지 도 23c와 같이, 인스턴트 필름(140)의 후단을 향해 이동한다. 이에 따라 후크부(197g)는 인스턴트 필름 카세트(120)의 관통홈(125, 도 9 참조)에 삽입된 후 후크부(197g)의 걸림부(197i)가 인스턴트 필름(140)의 후단부(140b)에 걸린 상태로 인스턴트 필름(140)을 한 쌍의 가압롤러(181,183) 측으로 밀어준다.
따라서, 인스턴트 필름(140)은, 도 24와 같이, 선단부(140a)가 한 쌍의 가압롤러(181,183) 사이에 맞물리도록 도입된다. 이 경우, 가동부재(183)는 캠 접촉이 해제되면 탄성부재(196)에 의해 다음 인스턴트 필름(140)의 후단을 밀어줄 수 있는 위치로 복귀한다.
한 쌍의 가압롤러(181,183)는 회전노브(189)의 회전에 따라 메인기어(187)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통해 인스턴트 필름(140)의 선단부(140a)를 한 쌍의 가압롤러(181,183) 사이로 인입시켜 배출구멍(113f)을 향해 피딩한다.
이때, 인스턴트 필름(140)의 내부에 구비된 액상 현상제가 한 쌍의 가압롤러(181,183)에 의해 가압되면서 액상의 현상제(145)가 인스턴트 필름(140)에 대하여 점진적으로 전개된다. 이에 따라, 현상제(145)는 인스턴트 필름(140) 내부에 배치된 3층의 유제(乳劑)(미도시)로 흡수되어 현상이 이루어진다.
인스턴트 필름(140)은 한 쌍의 가압롤러(181,183)에 의해 배출구멍(113f)을 통해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된 후, 대략 수 분 후에 인스턴트 필름(140)의 인화면에 이미지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00)는 별도의 전원 공급을 위한 구조 예를 들면, 별도의 배터리 또는 전원공급장치를 요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별도의 전원 공급 구조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00)의 무게를 줄일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유지 관리가 간편한 이점이 있다.
이하, 도 25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7a 및 도 27b는 도 26에 도시된 내부하우징, 노광부재 및 견인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9는 도 28에 표시된 C-C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0은 도 28에 표시된 D-D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100)는 하우징부(1110), 노광부재(1130), 차광부재(1150), 댐핑부(1157), 견인부(1170), 현상제 전개부재(1180) 및 인스턴트 필름 세팅부(119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110)는 제1 및 제2 외부 하우징(1111,1113)과, 상기 제1 및 제2 외부 하우징(1111,1113)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 하우징(1115)을 포함한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제1 외부 하우징(1111)은 내부 하우징(115)의 상부를 감싸며, 선단부에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삽입되는 삽입구멍(1111a)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구멍(1111a)에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가변되는 통상의 홀더 타입의 가변구조(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기종에 따른 다양한 크기(폭과 두께)를 가지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삽입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제2 외부 하우징(1113)은 내부 하우징(115)의 하부를 감싸며, 선단부(제1 외부 하우징(1111)의 삽입구멍(1111a)가 형성된 동일한 측)에는 인스턴트 필름(1140)이 배출되는 배출구멍(1113a)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외부 하우징(1113)의 저부에는 내부 하우징(1115)의 공간부(1115a)로 인스턴트 필름 카세트(112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구멍(1113b)이 형성되고, 장착구멍(1113b)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1112)를 구비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100)의 경우, 제1 외부 하우징(1111)의 삽입구멍(1111a)에 삽입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인출될 때, 이와 동시에 제2 외부 하우징(1113)의 배출구멍(1113a)으로 인스턴트 필름(140)이 배출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100)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7a 및 도 27b를 참조하면, 내부 하우징(1115)은 내측에 인스턴트 필름 카세트(1120)가 삽입되는 공간부(1115a)가 형성되고, 선단부에는 현상제 전개부재(1180)가 배치된다. 또한, 내부 하우징(1115)의 일측에는 현상제 전개부재(118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1187)가 배치된다.
또한, 내부 하우징(1115)은 상부의 선단부 측으로 차광부재(1150)의 제1 차광막(1151)의 타단부(1151b)가 동그랗게 말려있는 상태로 삽입되는 제1 원통홈(1115b)이 형성된다.
내부 하우징(1115)은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제1 및 제2 브라켓(1117a,a117b)이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체결구(1116)에 의해 고정된다.
제1 브라켓(1117a)은 내측을 따라 견인부(1170)의 직선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 가이드레일(1118a)이 형성된다. 이 경우, 내부 하우징(1115)의 일측 내면에는 노광부재(1130)의 직선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3 가이드레일(1118c)이 배치된다.
제2 브라켓(1117b)은 내측을 따라 견인부(1170)의 직선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2 가이드레일(1118b)과, 노광부재(1130)의 직선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4 가이드레일(1118d)이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다.
노광부재(1130)는 내부 하우징(1115)을 따라 이동하면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401)에서 발산되는 빛을 통해 하우징부(1110) 내부에 배치된 인스턴트 필름(1140)의 감광면을 노광한다.
이와 같은 노광부재(1130)는 렌즈어레이(lens array)(1131), 프레임(1133), 장착부(1135) 및 탄성부재(1137)를 포함한다.
렌즈어레이(1131)는 프레임(1133)에 결합되며, 글래스 파이버 내의 굴절률 차이를 이용하는 소형 렌즈군으로서, 스캐너와 같이 스캔 대상과 리더 간 간격이 좁은 경우에 채용하는 통상의 렌즈어레이이다.
프레임(1133)은 렌즈어레이(1131)를 노광 전 위치(P1, 도 29 참조)와 노광 완료 위치(P2, 도 29 참조)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킨다. 또한, 프레임(1133)은 양측에 각각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1118a,1118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블록(1133)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프레임(1133)은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왕복 이동한다.
장착부(1135)는 내부 하우징(1115)의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로터리 댐퍼(1157a)가 장착되는 장착홈(1135a)이 형성되고, 제1 스트링(S1)의 일단이 고정되는 고리부(1135b)를 함께 구비한다.
도 29를 참조하면, 제1 스트링(S1)은 타단이 탄성부재(1137)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고, 탄성부재(1137)의 타단이 내부 하우징(1115)의 고정돌기(1115c)에 각각 고정된다. 이에 따라, 노광부재(1130)는 노광부재(1130)가 견인부(1170)에 의해 노광 완료 위치(P2)에서 노광 전 위치(P1) 까지 견인된 후, 견인부(1170)와의 연결이 해제될 때 탄성부재(1137)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노광 완료 위치(P2)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133)은 일부분에 견인부(1170)의 걸림돌기(1173a)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구멍(1138)이 형성된다. 이때, 견인부(1170)의 걸림돌기(1173a)가 프레임(1133)의 걸림구멍(1138)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 견인부(1170)는 노광부재(1130)를 노광 완료 위치(P2)에서 노광 전 위치(P1) 까지 견인할 수 있다. 반대로 노광 전 위치(P1)에서 견인부(1170)의 걸림돌기(1173a)가 걸림구멍(1138)으로부터 이탈되면, 견인부(1170)는 노광부재(1130)와의 연결이 해제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1137)의 탄성력에 의해 노광부재(1130)가 노광 완료 위치(P2)로 복귀한다.
차광부재(1150)는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갖는 불투명한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34b와 같이, 제1 차광막(1151) 및 제2 차광막(1153)을 포함한다.
제1 차광막(1151)은 일단부(1151a)가 프레임(1133)의 선단부(1134a)에 고정되고, 타단부(1151b)가 동그랗게 말려있는 상태로 제1 원통 홈(1115b)에 삽입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차광막(1151)의 타단부(1151b)는 견인부(1170)가 노광부재(1130)와 함께 노광 전 위치(P1)로 이동 시 풀리면서 펼쳐졌다가, 노광부재(1130)가 노광 완료 위치(P2)로 복귀 시 자체 탄성력에 의해 다시 말리게 된다.
제2 차광막(1153)은 일단부(1153a)가 프레임(1133)의 후단부(1134b)에 고정되고, 타단부(1153b)가 동그랗게 말려있는 상태로 견인부(1170)의 제2 원통홈(1179, 도 34b 참조)에 삽입되어 있다. 이 경우, 제2 차광막(1153)의 타단부(1153b)는 견인부(1170)가 노광 전 위치(P1)에 머문 상태에서 노광부재(1130)가 노광 완료 위치(P2)로 복귀 시 풀리면서 펼쳐졌다가, 견인부(1170)가 노광부재(1130)가 위치해 있는 노광 완료 위치(P2)로 복귀 시 자체 탄성력에 의해 다시 말리게 된다.
본 발명은 인스턴트 필름(1140)에 인화되는 이미지가 선명하게 나타나도록, 노광 전 위치(P1)에서 노광 완료 위치(P2)로 이동하는 렌즈어레이(1131)를 구비한 노광부재(1130)의 이동속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노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29와 같이 댐핑부(1157)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7a 및 도 29를 참조하며, 댐핑부(1157)는 통상의 로터리 댐퍼(1157a)와, 피니언(1157c) 및 래크(1157d)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리 댐퍼(1157a)는 상기 장착홈(1135a)에 삽입 고정되며, 로터리 댐퍼(1157a)의 회전축(1157b)에는 피니언(1157c)이 결합된다. 피니언(1157c)은 로터리 댐퍼(1157a)의 회전축(1157b)에 결합되어 있어, 회전축(1157b)과 함께 연동하여 회전하며, 내부 하우징(1115)의 타측에 고정된 래크(1157d)와 치합된다.
이와 같은 댐핑부(1157)는 상기 탄성부재(1137)의 탄성력에 의해 노광부재(1130)가 노광 전 위치(P1)에서 노광 완료 위치(P2)로 이동 시 로터리 댐퍼(1157a)에 의해 노광부재(1130)의 이동속도를 저감하여 렌즈어레이(1131)를 통해 인스턴트 필름(1140)에 적절한 노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댐핑부(1157)는 상기 로터리 댐퍼(1157a)를 통상의 기계식 진동자(미도시)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견인부(1170)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즉,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삽입구멍(1111a)으로 삽입한 후 삽입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면 노광부재(1130)와 결함된 상태로 상기 노광부재(1130)를 노광 완료 위치(P2)에서부터 노광 전 위치(P1) 까지 견인한다.
도 27a 및 도 27b를 참조하면, 상기 견인부(1170)는 내측에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171)이 형성된다.
또한, 견인부(1170)는 선단에 한 쌍의 후크부(1173a,1173b)가 형성된다. 한 쌍의 후크부(1173a,1173b)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결합하는 견인용 커버(420, 도 32 참조)의 한 쌍의 삽입구멍(421a,421b)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도 34a와 같이 견인용 커버(420)가 결합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일단부를 삽입구멍(1111a)을 통해 견인부(1170)의 삽입홈(1171)에 삽입하는 경우, 한 쌍의 후크부(1173a,1173b)는 견인용 커버(420)의 한 쌍의 삽입구멍(421a,421b)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밀어 견인부(1170)가 노광 완료 위치(P2)에서 노광 전 위치(P1)로 이동시킨 후,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당기면 한 쌍의 후크부 (1173a,1173b)가 견인용 커버(420)의 한 쌍의 삽입구멍(421a,421b)에 걸린 상태가 유지되면서 견인부(1170)를 노광 완료 위치(P2)로 이동시킬 수 있다.
견인부(1170)는 후단 일측에 걸림부재(1173)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1173)는 결림돌기(1173a)와 걸림해제돌기(1173b)를 구비한다.
걸림돌기(1173a)는 노광부재(1130)의 걸림구멍(1138)에 결합 및 결합 해제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 경우, 걸림돌기(1173a)는 견인부(1170)를 노광 완료 위치(P2)에서 노광 전 위치(P1)로 이동 시 걸림구멍(1138)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견인부(1170) 상기 이동 시 노광부재(1130)를 노광 완료 위치(P2)에서 노광 전 위치(P1)로 견인할 수 있다.
걸림해제돌기(1173b)는 걸림돌기(1173a)의 상측에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해제돌기(1173b)는 견인부(1170)가 노광 전 위치(P1)로 이동되면 제1 외부 하우징(1111)의 후단 내측에 돌설된 돌기(1111b)에 의해, 도 35와 같이, 걸림해제돌기(1173b)가 돌기(1111b)를 타고 올라가게 된다. 이에 따라, 걸림구멍(1138)에 삽입되어 있던 걸림돌기(1173a)가 걸림구멍(1138)을 이탈하게 되고, 노광부재(1130)는 견인부(1170)와의 연결이 해제되면서 탄성부재(1137)의 탄성력에 의해 노광 완료 위치(P2)로 이동한다.
또한, 견인부(1170)는 양측에 각각 제3 및 제4 가이드레일(1118c,1118d)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및 제4 가이드블록(1174a,1174b)이 결합된다. 이에 따라, 견인부(1170)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왕복 이동한다.
또한, 견인부(1170)는 구동부(1187)가 위치하는 측으로 아암(1175)이 하향 형성되며, 상기 아암(1175)은 구동부(1187)의 구동벨트(1187a)의 일부분을 파지하는 파지홈(1175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아암(1175)은 견인부(1170)가 인쇄 전 위치(P1)에서 인쇄 완료 위치(P2)로 이동 시 구동부(1187)를 구동시킨다.
또한, 견인부(1170)는 후단에 인스턴트 필름 세팅부재(1176)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인스턴트 필름 세팅부재(1176)는 푸시바(1176a)가 일측에 연장 형성된다.
푸시바(1176a)는 견인부(1170)가 노광 전 위치(P1)에서 노광 완료 위치(P2)로 이동 시 인스턴트 필름(1140)의 선단부가 현상제 전개부재(1180)의 한 쌍의 가압롤러(1181,1183)에 맞물려 배출구멍(1113a)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인스턴트 필름(1140)의 후단부를 한 쌍의 가압롤러(1181,1182)에 맞물리는 도입부까지 밀어준다. 상기 푸시바(1176a)는 인스턴트 필름(1140)를 안정적으로 밀어주도록 푸시바(1176a)의 선단부에 인스턴트 필름(1140)의 후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176b)이 형성된다.
현상제 전개부재(1180)는 한 쌍의 가압롤러(1181,1183), 한 쌍의 종동기어(1184,1185) 및 구동부(1187)를 포함한다.
한 쌍의 가압롤러(1181,1183)는 내부 하우징(1115)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인스턴트 필름(1140)을 가압한 상태로 피딩할 수 있도록 상호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다.
한 쌍의 종동기어(1184,1185)는 한 쌍이 가압롤러(1181,1183)의 회전축(1181a,1183a)의 일측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종동기어(1181a,1183a)는 서로 연동하도록 치합되어 있어 어느 하나가 회전하는 경우 한 쌍의 가압롤러(1181,1183)를 동시에 회전시킨다.
구동부(1187)는 내부 하우징(1115)의 일측에 선후단 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기어풀리(1187a,1187b), 각 기어풀리(1187a,1187b)에 연결된 구동벨트(1187c), 제1 및 제2 동력전달기어(1187d,1187e)를 구비한다.
제1 동력전달기어(1187d)는 제1 기어풀리(1187a)와 동일한 회전축에 고정되어 있어 제1 기어풀리(1187a)와 함께 회전한다.
도 31 내지 도 3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필름 카세트를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2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삽입구멍에 삽입하기 전에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에 보조커버를 씌우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4a는 도 33에 표시된 E-E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4b는 도 33에 표시된 F-F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5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삽입 상향으로 가압하여 화상형성장치 내로 밀어 넣은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 단면도이고, 도 36은 노광부재가 노광 완료 위치에서 노광 후 위치로 복귀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7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당김에 따라 견인부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현상재 전개부재를 구동하여 인스턴트 필름을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31과 같이, 인스턴트 필름 카세트(1120)를 내부 하우징(1115)의 내부에 장착한다.
이어서, 도 32와 같이, 견인용 커버(420)을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후방에 결합한 후,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401, 도 20 참조)에는 인쇄하고자 하는 소정의 이미지(403, 도 20 참조)를 미리 표시해 놓은 상태에서 화면(401)이 인스턴트 필름(1140)을 향하도록 하여, 도 33과 같이,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일단부를 삽입구멍(1111a)을 통해 견인부(1170)의 삽입공간(1171)으로 밀어 넣는다.
이때, 도 34a와 같이 견인부(1170)의 한 쌍의 후크부(1172a,1172b)는 각각 견인용 커버(420)의 삽입구멍(421a,421b)에 스냅 결합되고, 견인부(1170)의 걸림돌기(1173a)가 노광부재(1130)의 걸림구멍(1138)에 스냅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노광부재(1130)의 렌즈어레이(1131)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401)을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므로, 노광부재(1130)가 견인부(1170)에 의해 노광 완료 위치(P2)에서 노광 전 위치(P1)로 이동하는 동안 인스턴트 필름(1140)은 화면(401)에서 발산되는 빛에 노출되지 않는다.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일단부가 견인부(1170)의 삽입공간(1171)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400)을 삽입방향으로 밀면, 노광부재(1130)는 상기 결림돌기(1173a)에 의해 견인부(1170) 함께 노광 전 위치(P1)로 이동한다.
도 35를 참조하면, 견인부(1170)가 노광 전 위치(P1)에 다다르면 걸림해제돌기(1173b)가 돌기(1173b)를 타고 올라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걸림돌기(1173a)가 노광부재(1130)의 걸림구멍(1138)으로부터 이탈된다.
이에 따라, 노광부재(1130)는 견인부(1170)와의 연결이 해제되면서 탄성부재(1137)의 탄성력에 의해, 도 36과 같이 노광 완료 위치(P2)로 이동한다. 이때 노광부재(1130)는 노광 완료 위치(P2)로 이동 시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401)에서 이미지(403)를 표시하면서 발산하는 빛이 렌즈어레이(1131)를 통해 인스턴트 필름(1140)을 따라 조사되면서 인스턴트 필름(1140)의 감광면에 노광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노광부재(130)는 상술한 댐핑부(1157)에 의해 노광 완료 위치(P2)를 향해 이동하는 속도가 제어(저감)되며, 인스턴트 필름(1140)의 감광면에 적절한 정도의 노광이 이루어진다.
그 후, 사용자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당기면, 견인부(1170)가 노광 완료 위치(P2)로 이동하면서 인스턴트 필름 세팅부재(1176)의 푸시바(1176a)가 인스턴트 필름(1140)의 후단부를 밀어 인스턴트 필름(1140)의 선단부를 현상제 전개부재(1180)의 한 쌍의 가압롤러(1181,1183)에 맞물릴 수 있는 위치까지 도입시킨다.
이와 동시에 한 쌍의 가압롤러(1181,1183)는 견인부(1170)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구동부(1187)에 의해 회전하면서 인스턴트 필름(140)의 선단부(140a)를 배출구멍(1113a)을 향해 피딩한다.
이때, 인스턴트 필름(1140)의 내부에 구비된 액상 현상제가 한 쌍의 가압롤러(1181,1183)에 의해 가압되면서 액상의 현상제(145, 도 24 참조)가 인스턴트 필름(1140)에 대하여 점진적으로 전개된다. 이에 따라, 현상제(145)는 인스턴트 필름(1140) 내부에 배치된 3층의 유제(乳劑)(미도시)로 흡수되어 현상이 이루어진다.
인스턴트 필름(1140)은 한 쌍의 가압롤러(1181,1183)에 의해 배출구멍(1113a)을 통해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100)의 외부로 배출된 후, 대략 수 분 후에 인스턴트 필름(1140)의 인화면에 이미지가 표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100)는 사용자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당김으로써 견인부(1170)가 노광 전 위치(P1)에서 노광 후 위치(P2)까지 이동하는 구조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도 38과 같이, 견인부(1170)의 일측에 제2 스트링(S2)을 통해 연결된 탄성부재(119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견인부(1170)가 노광 전 위치(P1)에서 노광 후 위치(P2)까지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부재(1190)는 일단이 제2 외부 하우징(1113)에 형성된 고정돌기(1191)에 고정되며, 타단이 제2 스트링(S2)의 일단에 연결된다. 이 경우 제2 스트링(S2)는 내부 하우징(1115)에 형성된 한 쌍의 거치돌기(1193a,1193b)에 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스트링(S2)의 타단이 견인부(1170)의 일측에 연결됨에 따라, 견인부(1170)가 노광 완료 위치(P2)에서 노광 전 위치(P1)까지 이동하는 동안 탄성부재(1190)의 탄성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노광부재(1130)가 노광 전 위치(P1)에서 견인부(1170)와의 연결이 해제된 후 노광 완료 위치(P2)로 이동한 후, 사용자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대하여 삽입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는 힘을 제거하면 견인부(1170)는 탄성부재(1190)의 탄성력에 의해 노광 완료 위치(P2)로 이동하면서 구동부(1187)를 구동시켜 현상제 전개장치(1180)를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1190)를 채용하는 경우,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결합하는 견인용 커버(420)와, 견인부(1170)의 한 쌍의 후크부(1172a,1172b)는 생략할 수 있다.
도 34b 및 도 36에 기재된 미설명부호 1121은 노광구멍이고, 1123은 인스턴트 필름이 배출되는 인스턴트 필름 카세트(1120)의 배출구멍이고, 1126은 인스턴트 필름(1140)이 적재되는 지지판이고, 1127a, 1127b는 지지판(1126)을 노광구멍(1121) 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복수의 코일스프링을 각각 나타낸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에서 디스플레이 고정부를 하우징에 대해 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스턴트 필름과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2는 도 39의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를 G-G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3은 도 40의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를 H-H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4는 도 41의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를 I-I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9 내지 도 4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200)는 하우징(210), 노광부재(220), 이동부재(230), 및 가압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스마트 폰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401)에 대응하도록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닥면(211)에는 인스턴트 필름(290)을 장착할 수 있는 필름 장착 홈(211a)이 마련된다. 하우징(210)의 양쪽 내측면에는 하우징(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안내 홈(213)이 마련된다. 하우징(210)의 상단에는 후술하는 중간판(25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우징(210)의 둘레를 따라 소정의 깊이로 형성한 지지부(215)가 마련된다. 하우징(210) 상단에서 지지부(215)까지의 깊이는 중간판(250)의 두께에 대응하는 크기로 결정될 수 있다. 하우징(210)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는 지지부(215)에서 돌출된 하우징(210)의 상단 부분이 제거되어 있다. 이 하우징(210)의 일부가 제거된 부분(216)은 하우징(210)의 바닥면(211)에 고정된 인스턴트 필름(290)의 차광 커버 연장부(294)를 하우징(210)의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틈을 형성한다.
노광부재(220)는 하우징(210)의 내부에 하우징(210)의 바닥면(211)에 장착된 인스턴트 필름(29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노광부재(220)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401)에 디스플레이된 화상을 인스턴트 필름(290)에 결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노광부재(220)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401)에서 방출되는 빛을 인스턴트 필름(290)에 결상시켜 인스턴트 필름(290)을 노광시킨다. 이러한 노광부재(220)는 렌즈 어레이(221)와 렌즈 어레이(221)를 지지하는 렌즈지지부(223)를 포함한다.
렌즈 어레이(221)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401)에 디스플레이된 화상을 인스턴트 필름(290)에 결상시킨다. 렌즈 어레이(221)로는 유리 섬유 내의 굴절률 차이에 의해 결상하는 렌즈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구조의 렌즈 어레이는 일반적인 스캐너에서 사용되고 있다. 렌즈 어레이(221)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401)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 어레이(221)의 상단은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401)과 일정 거리 이격되고, 렌즈 어레이(221)의 하단은 하우징(210)의 바닥면(211)에 장착된 인스턴트 필름(290)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렌즈 어레이(221)의 상단과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401) 사이의 거리 및 렌즈 어레이(221)의 하단과 인스턴트 필름(290) 사이의 거리는 렌즈 어레이(221)의 사양에 따라 동일하거나 다르게 정해질 수 있다.
렌즈지지부(223)는 렌즈 어레이(221)를 고정하고, 렌즈 어레이(221)가 하우징(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렌즈지지부(223)의 상면에는 이동시 중간판(250)과의 마찰을 최소로 하기 위해 마찰 돌기(224)가 마련된다. 마찰 돌기(224)는 렌즈지지부(223)와 중간판(250) 사이의 접촉 면적을 최소로 할 수 있으면서,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도 41 및 도 4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한 쌍의 마찰 돌기(224)를 렌즈 어레이(221) 양측에 평행하게 형성하였다. 렌즈지지부(223)의 전후면에는 가압부재(240)와 이동부재(230)가 평행하게 설치된다. 도 45는 도 41의 휴대용 화상형성장치(200)의 노광부재(220)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5를 참조하면, 가압부재(240)와 이동부재(230)는 노광부재(220)와 하나의 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240)는 대략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며, 노광부재(220)의 렌즈지지부(221)의 후면에 결합되어 노광부재(220)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가압부재(240)는 렌즈지지부(223)에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압부재(240)의 양단에는 한 쌍의 안내 돌기(241)가 마련되고, 한 쌍의 안내 돌기(241) 각각에는 안내 링(243)이 삽입된다. 따라서, 가압부재(240)가 하우징(210)의 내부에 설치되어 가압부재(240)의 한 쌍의 안내 돌기(241)가 하우징(210)의 한 쌍의 안내 홈(213)에 위치할 때, 안내 링(243)은 안내 돌기(241)와 안내 홈(213)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안내 링(243)은 가압부재(240)가 안내 홈(213)을 따라 이동할 때, 가압부재(240)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부재(240)가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가압부재(24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압부재(240)는 인스턴트 필름(290)의 상면을 가압하여 인스턴트 필름(290)에 내장된 현상액이 인스턴트 필름(290)의 노광된 부분을 현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도 45에서는 가압부재(240)의 양단의 안내 돌기(241)에 안내 링(243)이 삽입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안내 링(243) 없이, 가압부재(240)의 양단의 안내 돌기(241)가 직접 하우징(210)의 안내 홈(213)에 의해 안내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부재(240)는 노광부재(220)가 이동할 때, 하우징(210)의 바닥면(211)에 장착된 인스턴트 필름(290)의 상면을 가압하여 인스턴트 필름(290)에 내장된 현상액이 인스턴트 필름(290)의 전 부분으로 확산되어 렌즈 어레이(221)에 의해 노광된 부분이 현상되도록 한다.
이동부재(230)는 노광부재(220)와 가압부재(240)를 하우징(210)에 대해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이동부재(23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노광부재(220)와 가압부재(24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노광부재(220), 가압부재(240), 및 이동부재(230)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필요에 따라 노광부재 조립체(205)(도 45 참조)로 칭한다. 도 45를 참조하면, 이동부재(230)는 대략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렌즈 어레이(221)를 중심으로 가압부재(240)의 반대편, 즉 노광부재(220)의 전면에 노광부재(220)의 렌즈지지부(223)에 일체로 설치된다. 이동부재(230)는 렌즈지지부(223)의 하면에서 상기 가압부재(240)와 대략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세하게, 이동부재(230)는 인스턴트 필름(290)의 차광 커버(293)의 두께에 해당하는 만큼 가압부재(240)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230)와 노광부재(220)의 렌즈지지부(223) 사이에는 인스턴트 필름(290)의 폭, 구체적으로는 인스턴트 필름(290)의 차광 커버 연장부(294)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개구(231)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231)의 폭은 인스턴트 필름(290)의 차광 커버 연장부(294)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210)의 바닥면(211)에 장착된 인스턴트 필름(290)의 차광 커버 연장부(294)는 이동부재(230)의 개구(231)를 통과할 수 있으므로, 차광 커버 연장부(294)의 선단은 이동부재(230)의 개구(231)에 삽입된 후, 도 42, 도 43 및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의 틈(216)을 통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도 45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가압부재(240)의 양단에는 한 쌍의 안내 돌기(241)가 설치되고, 이동부재(230)의 양단에 한 쌍의 안내 돌기가 설치되지 않았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동부재(230)의 양단에도 가압부재(240)의 양단에 설치된 안내 돌기(241)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한 쌍의 안내 돌기를 설치할 수도 있다.
하우징(210)의 상단에는 인스턴트 필름(290)을 고정하고, 노광부재(220)의 렌즈 어레이(221)와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203)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중간판(250)이 설치될 수 있다. 중간판(250)은 도 40 및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의 일단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255)로 설치될 수 있다. 중간판(250)은 하우징(210)의 상단에 마련된 지지부(215)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중간판(250)의 두께는 하우징(210)의 지지부(215)의 깊이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중간판(250)은 하우징(210)의 지지부(215) 깊이와 동일하거나 큰 크기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간판(250)의 중앙에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401)에서 방출되는 빛이 통과하는 입력 창(251)이 마련된다. 입력 창(251)에는 투명한 유리(251a)가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입력 창(251)은 투명한 유리(251a)를 설치하지 않고, 빈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입력 창(251)의 크기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401)의 크기와 인스턴트 필름(290)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41을 참조하면, 중간판(250)의 일단, 즉 힌지(255)에 인접한 부분에 인스턴트 필름(290)을 하우징(2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돌기(253)가 설치된다. 따라서,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판(250)이 하우징(210)을 덮은 상태에서는 고정 돌기(253)는 인스턴트 필름(290)을 하우징(210)의 바닥면(211)에 대해 누름으로써 인스턴트 필름(290)을 고정한다.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을 인화하기 위해서는 하우징(210)에 대해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고정할 필요가 있다. 하우징(210)에 대해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고정하기 위해, 하우징(210)의 상측으로 중간판(250)의 상측에 디스플레이 고정부(26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9 내지 도 4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고정하는 디스플레이 고정부(260)는 하우징(210)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고정부(260)는 하우징(210)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삽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고정부(260)는 하우징(2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고정부(260)는 플렉시블 판(270)으로 하우징(210)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고정부(260)는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에 대해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고정하기 위해 하우징(210)에 대응하며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삽입할 수 있는 직사각형상의 디스플레이 고정부(260)를 마련하였으나,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하우징(210)에 대해 고정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고정구 또는 사용자의 손으로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하우징(210)의 상부, 즉 중간판(250)의 상면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200)에 사용되는 인스턴트 필름(29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6은 차광 커버(293)가 일부 벗겨져서 인스턴트 필름 부재(292)의 일부가 노출된 경우를 나타낸다.
인스턴트 필름(290)은 보호판(291), 인스턴트 필름 부재(292), 차광 커버(293), 및 차광 커버 연장부(294)로 구성된다. 보호판(291)은 하우징(210)의 바닥면(211)에 놓이는 것으로서, 하우징(210)의 바닥면(211)에 마련된 필름 장착 홈(211a)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인스턴트 필름 부재(292)는 노광부재(220)의 렌즈 어레이(221)에 의해 노광되고 현상액에 의해 현상되는 부분으로서, 보호판(291)의 윗면에 마련된다. 현상액은 도 46에서 노출된 인스턴트 필름 부재(292)의 부분에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차광 커버(293)는 외부의 빛이 인스턴트 필름 부재(292)를 노광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서, 인스턴트 필름 부재(292)를 덮을 수 있도록 보호판(291)에 설치된다. 차광 커버(293)의 일단에는 차광 커버 연장부(294)가 연장된다.
차광 커버 연장부(294)는 이동부재(230)를 이동시키는 손잡이의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보호판(291)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차광 커버 연장부(294)를 이동부재(230)의 개구(231)를 통과시킨 후, 인스턴트 필름(290)을 하우징(210)의 필름 장착 홈(211a)에 장착하면, 차광 커버 연장부(294)의 선단이 하우징(210)의 틈(216)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사용자가 하우징(210) 외부로 노출된 차광 커버 연장부(294)의 선단을 잡아당기면, 차광 커버 연장부(294)에 의해 이동부재(230)가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차광 커버(293)가 보호판(291)에서 분리되어 인스턴트 필름 부재(292)가 노출되게 된다. 사용자가 차광 커버 연장부(294)를 계속 잡아당기면, 보호판(291)에서 분리된 차광 커버(293) 부분이 이동부재(230)의 개구(231)를 통해 하우징(210)의 틈(216)을 향해 이동하면서 이동부재(230)를 이동시키게 된다. 차광 커버 연장부(294)와 차광 커버(293)에 의해 이동부재(230)가 이동하면, 이동부재(230)와 일체로 형성된 노광부재(220)와 가압부재(240)도 이동하여 노출된 인스턴트 필름 부재(292)를 노광하고, 현상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2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401)에 디스플레이된 화상을 인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하우징(210)에 인스턴트 필름(290)을 장착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고정부(260)를 하우징(210)에 대해 회전시켜 하우징(210)의 상단이 개방되도록 하고, 이어서 중간판(250)을 회전시켜 노광부재 조립체(205)가 도 41과 같이 노출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인스턴트 필름(290)을 하우징(210)의 바닥면(211)의 필름 고정 홈(211a)에 장착하고, 인스턴트 필름(290)의 차광 커버 연장부(294)의 선단을 노광부재 조립체(205), 구체적으로 이동부재(230)의 개구(231)에 삽입한다. 노광부재 조립체(205)의 개구(231)를 통해 인스턴트 필름(290)의 차광 커버 연장부(294)를 완전히 빼내면, 차광 커버 연장부(294)의 선단이 하우징(210)의 외부로 노출된다. 그 후, 중간판(250)을 덮어 하우징(210)의 지지부(215)에 위치시키면, 도 40 및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 커버 연장부(294)의 선단이 하우징(210)과 중간판(25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조작하여 화면(401)에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그 후,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고정부(260)에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401)이 상부를 향하도록 장착하고, 디스플레이 고정부(260)를 하우징(210)의 상단에 덮는다. 그러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200)는 도 39 및 도 47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화상이 디시플레이된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401)이 중간판(250)의 입력 창(251)을 마주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한 손으로 하우징(210)과 디스플레이 고정부(260)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하우징(210) 외부로 노출된 차광 커버 연장부(294)의 선단부를 도 42의 화살표 D1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그러면, 사용자가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노광부재 조립체(205)가 하우징(210)의 한 쌍의 안내 홈(213)을 따라 차광 커버 연장부(294)와 동일하게 화살표 D1방향으로 이동하고, 차광 커버(293)가 보호판(291)에서 분리되어 차광 커버(293)의 아래에 위치한 인스턴트 필름 부재(292)가 노출되기 시작한다.
사용자가 차광 커버 연장부(294)를 계속 잡아당기면, 노광부재 조립체(205)가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203)에서 방출된 빛이 노광부재 조립체(205)의 렌즈 어레이(221)를 통해 인스턴트 필름 부재(292)를 노광시키게 된다. 노광부재 조립체(205)가 화살표 D1방향으로 이동하면, 렌즈 어레이(221)의 뒤쪽에 마련된 가압부재(240)가 인스턴트 필름(290)에 마련된 현상액을 누르게 되어 현상액이 인스턴트 필름 부재(292)의 노광된 부분을 현상하게 된다.
노광부재 조립체(205)의 안내 돌기(241)가 하우징(210)의 안내 홈(213)의 끝단(213-2)에 위치하면, 사용자가 차광 커버 연장부(294)를 잡아당겨도 노광부재 조립체(205)는 더 이상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노광부재 조립체(205)가 하우징(210)의 안내 홈(213)의 끝단(213-2)에 위치하면, 차광 커버(293)가 완전히 벗겨져서 인스턴트 필름 부재(292)가 완전히 노출되고, 인스턴트 필름 부재(292)에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401)에 디스플레이된 화상이 전부 노광되어 현상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고정부(260)를 개방하고 중간판(250)을 열면, 하우징(210)의 바닥면(211)에 장착된 인스턴트 필름(290)을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401)에 디스플레이된 화상이 인화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노광부재, 가압부재, 및 이동부재가 한 개의 몸체로 형성된 노광부재 조립체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노광부재 조립체를 이동시키는 방법이 수동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한 경우, 노광부재 조립체를 모터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노광부재 조립체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구조의 일 예가 도 48에 도시되어 있다. 도 48은 도 41의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하우징만 분리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따라서, 도 41과 유사하게 도 48에 도시된 하우징(210')에 중간판(250)과 디스플레이 고정부(26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48을 참조하면, 하우징(210')의 일측에는 노광부재 조립체(205')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유닛(280)이 설치된다. 구동유닛(280)은 피니언(283), 스크류(282), 및 모터(281)를 포함한다. 피니언(283)은 노광부재 조립체(205')의 일단의 안내돌기(241')에 고정된다. 스크류(282)는 하우징(210')과 평행하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피니언(283)과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모터(281)는 스크류(282)의 일단에 결합되며, 스크류(282)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모터(281)가 작동하면, 스크류(282)가 회전하고, 스크류(282)가 회전에 의해 피니언(283)이 하우징(21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피니언(283)이 설치된 노광부재 조립체(205')가 하우징(21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피니언(283)과 스크류(282)를 이용하여 노광부재 조립체(205')를 이동시키는 구조이나, 이외에도 볼스크류 등과 같이 모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꿀 수 있는 다양한 기구를 사용하여 구동유닛을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49 내지 도 5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4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0는 도 49의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1은 도 50의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에서 핸들을 최대로 민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에서 하우징 바닥면을 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3은 도 49의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를 J-J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4는 도 53의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핸들을 하우징 속으로 완전히 민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5는 도 49의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노광부재와 이동부재의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9 내지 도 5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300)는 하우징(310), 노광부재(320), 이동부재(330), 및 가압부재(340)를 포함한다.
하우징(310)은 스마트 폰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401)에 대응하도록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310)의 상단은 전 둘레가 상측으로 연장되어 소정 깊이의 디스플레이 고정부(360)를 형성한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술한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200)와 달리 디스플레이 고정부(360)와 하우징(310)은 하나의 몸체로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고정부(360)와 하우징(310) 사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지지하는 고정판(350)이 마련된다. 따라서, 고정판(350)의 상측에는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수용되고, 고정판(350)의 아래에는 노광부재(320)와 인스턴트 필름(390)이 수용된다. 고정판(35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에 대응하는 입력 창(351)이 형성된다. 고정판(350)의 아래로 하우징(310)의 양쪽 내측면에는 하우징(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안내 홈(313)이 마련된다. 도 52에는 한 개의 안내 홈(313)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도시되지 않은 맞은 편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동일한 안내 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술한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200)와 달리 하우징(310)의 바닥면은 하우징(310)에 대해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도 52를 참조하면, 하우징(310)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판(311)은 하우징(310)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317)로 결합된다. 하우징(310)의 전면에는 후술하는 차광판(370)이 통과하는 슬릿(316)이 형성된다. 바닥판(311)에는 인스턴트 필름(390)이 장착되는 필름 장착 홈(311a)이 마련된다.
하우징(310)의 양 측면에는 바닥판(311)을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부(380)가 설치된다. 고정부(380)는 클램프(381), 클램프(381)의 양단에서 돌출된 회전축(382), 상기 회전축(382)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돌기(383), 및 클램프(381)의 일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384)를 포함한다. 지지돌기(383)에는 회전축(382)이 삽입되는 회전구멍이 마련된다. 탄성부재(384)는 하우징(310)의 측면과 클램프(381)의 일단 사이에 설치되어 클램프(381)의 타단이 항상 바닥판(311)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한 쌍의 고정부(380)의 클램프(381)의 일단을 누르면, 탄성부재(384)가 압축되어 클램프(381)의 타단이 바닥판(311)의 측면에서 이격되므로 바닥판(311)을 하우징(310)의 하단에서 개방할 수 있다. 탄성부재(384)로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노광부재(320)는 하우징(310)의 내부에 하우징(310)의 길이 방향, 즉, 한 쌍의 안내 홈(31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노광부재(320)는 하우징(310)의 바닥판(311)에 장착된 인스턴트 필름(390)의 상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노광부재(320)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화상을 인스턴트 필름(390)에 결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노광부재(320)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에서 방출되는 빛을 인스턴트 필름(390)에 결상시켜 인스턴트 필름(390)을 노광시킨다. 이러한 노광부재(320)는 렌즈 어레이(321), 렌즈지지부(323), 및 차광판(370)을 포함한다.
렌즈 어레이(321)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화상을 인스턴트 필름(390)에 결상시키는 것으로서, 상술한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렌즈 어레이(221)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렌즈 어레이(331)로는 유리 섬유 내의 굴절률 차이에 의해 결상하는 렌즈를 사용할 수 있다. 렌즈 어레이(321)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 어레이(321)의 상단은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고, 렌즈 어레이(321)의 하단은 하우징(310)의 바닥판(311)에 장착된 인스턴트 필름(390)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렌즈 어레이(321)의 상단과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 사이의 거리 및 렌즈 어레이(321)의 하단과 인스턴트 필름(390) 사이의 거리는 렌즈 어레이(321)의 사양에 따라 동일하거나 다르게 정해질 수 있다.
렌즈지지부(323)는 렌즈 어레이(321)를 고정하고, 렌즈 어레이(321)가 하우징(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5를 참조하면, 렌즈 지지부(323)의 양 측면에는 적어도 한 쌍의 안내 돌기(325)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렌즈지지부(323)의 양 측면에 2쌍의 안내 돌기(325)가 마련되고, 각각의 안내 돌기(325)에는 안내 링(326)이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노광부재(320)가 하우징(3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노광부재(320)의 적어도 한 쌍의 안내 돌기(325)가 하우징(310)의 한 쌍의 안내 홈(313)에 위치할 때, 안내 링(326)은 안내 돌기(325)와 안내 홈(313)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안내 링(326)은 노광부재(320)가 안내 홈(313)을 따라 이동할 때, 노광부재(320)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55에서는 노광부재(320)의 양단의 안내 돌기(325)에 안내 링(326)이 삽입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안내 링(326) 없이, 노광부재(320)의 양 측면의 안내 돌기(325)가 직접 하우징(310)의 안내 홈(313)에 의해 안내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5에 도시된 렌즈지지부(323)의 양 측면에 마련된 안내 돌기(325)의 개수는 일 예일 뿐이며, 안내 돌기(325)는 렌즈지지부(323)의 일 측면에 한 개 또는 3개 이상 설치할 수도 있다.
렌즈지지부(323)에는 노광부재(320)가 이동할 때 함께 이동하면서 바닥판(311)에 장착된 인스턴트 필름(390)을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재(340)가 설치될 수 있다. 가압부재(340)는 원통 형상의 가압롤러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지지부(323)의 하면에는 가압롤러(34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 홈(324)이 마련된다. 가압롤러(340)의 양단에는 하우징(310)의 한 쌍의 안내 홈(313)에 삽입되는 한 쌍의 안내 돌기(341)가 형성된다. 한 쌍의 안내 돌기(341) 각각에는 안내 링(343)이 삽입될 수 있다. 가압롤러(340)가 설치된 렌즈지지부(323)를 하우징(310)의 내부에 한 쌍의 안내 홈(313) 사이에 설치하면, 가압롤러(340)는 렌즈지지부(323)의 하면에서 돌출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노광부재(320)가 이동할 때, 노광부재(320)의 렌즈지지부(323)에 설치된 가압롤러(340)는 하우징(310)의 바닥판(311)에 장착된 인스턴트 필름(390)의 상면을 가압하여 인스턴트 필름(390)에 내장된 현상액이 인스턴트 필름(390)의 전 부분으로 확산되어 렌즈 어레이(321)에 의해 노광된 부분이 현상되도록 한다.
렌즈지지부(323)의 전후면에는 차광판(370)과 이동부재(330)가 설치된다. 차광판(370)은 렌즈 어레이(321)에 인접한 렌즈지지부(323)의 전면에 설치되고, 이동부재(330)는 차광판(370)의 반대쪽, 즉 롤러 홈(324)에 인접한 렌즈지지부(323)의 후면에 설치된다.
차광판(370)은 하우징(310)의 바닥판(311)에 장착된 인스턴트 필름(390)을 덮어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에서 방출되는 빛이 인스턴트 필름(390)을 노광시키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차광판(390)은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며, 빛을 흡수하는 검은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동부재(33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노광부재(32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핸들로 형성할 수 있다. 도 55 및 도 56을 참조하면, 핸들(330)은 한 쌍의 팔(331)과 한 쌍의 팔(331)의 양단을 연결하는 가로 봉(333)으로 구성된다. 한 쌍의 팔(331)은 하우징(310)의 후면을 서로 평행하게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한 쌍의 팔(331) 각각의 일단은 노광부재(320)의 렌즈지지부(323)에 롤러 홈(324)에 인접한 후면에 서로 이격되어 고정된다. 한 쌍의 팔(331) 사이의 간격은 하우징(310)의 바닥판(311)에 장착된 인스턴트 필름(39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핸들(330)로 노광부재(320)를 이동시킬 때, 핸들(330)에 의해 인스턴트 필름(390)이 간섭되지 않는다. 또한, 핸들(330), 구체적으로 한 쌍의 팔(331)은 차광판(37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한 쌍의 팔(331)의 길이는 차광판(370)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3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인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하우징(310)에 인스턴트 필름(390)을 장착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10)의 바닥판(311)을 개방하고 바닥판(311)의 필름 장착 홈(311a)에 인스턴트 필름(390)을 장착한다. 이때, 바닥판(311)을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는 한 쌍의 고정부(380)의 클램프(381)를 가압하여 클램프(381)의 일단을 바닥판(311)의 측면에서 이격시킨다. 인스턴트 필름(390)은 상술한 제3실시예에서 사용한 인스턴트 필름(290)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턴트 필름(390)을 필름 장착 홈(311a)에 장착하고, 차광 커버 연장부(294)의 선단(390a)을 하우징(310)의 슬릿(316)으로 삽입하여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그 후, 사용자는 바닥판(311)을 회전시켜 하우징(310)의 하단을 덮는다. 그러면, 바닥판(311)이 하우징(310)의 양 측면에 설치된 한 쌍의 고정부(380)의 탄성력에 의해 한 쌍의 클램프(381) 사이에 고정되어 도 59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 인스턴트 필름(390)도 차광 커버 연장부(294)의 선단(390a)이 하우징(31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외부로 돌출된 인스턴트 필름(390)의 차광 커버 연장부(294)의 선단(390a)을 잡아당기면, 차광 커버(293)(도 46 참조)가 보호판(291)(도 46 참조)에서 분리되어 인스턴트 필름 부재(292)(도 46 참조)가 노출되어 노광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는 인스턴트 필름(390)의 상측에 있는 차광판(370)이 외부 광을 차단하고 있으므로, 인스턴트 필름 부재(292)가 노광되지 않는다.
이어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조작하여 화면(401)에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그 후, 디스플레이 고정부(360)에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이 고정판(350)의 입력 창(351)을 향하도록 장착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300)는 도 49 및 도 53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화상이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이 고정판(350)의 입력 창(351)을 마주하게 되고, 입력 창(351)은 고정판(350) 아래에 설치된 차광판(370)에 의해 차단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401)에 디스플레이된 화상은 바닥판(311)에 장착된 인스턴트 필름(390)을 노광하지 못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한 손으로 하우징(310)과 디스플레이 고정부(360)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하우징(310) 외부로 돌출된 핸들(330)의 가로 봉(333)을 잡고 하우징(310)을 향하여 민다.
그러면, 사용자가 핸들(330)을 미는 힘에 의해 노광부재(320)가 하우징(310)의 안내 홈(313)을 따라 도 53의 화살표 D2 방향으로 이동하여 노광부재(320)의 렌즈 어레이(321)가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에서 방출된 빛에 의해 바닥판(311)에 장착된 인스턴트 필름(390)이 노광되기 시작한다.
사용자가 핸들(330)을 계속 밀면, 노광부재(320)가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에서 방출된 빛이 노광부재(320)의 렌즈 어레이(321)를 통해 인스턴트 필름(390)을 계속적으로 노광시키게 된다. 또한, 노광부재(320)가 화살표 D2 방향으로 이동하면, 렌즈 어레이(321)의 뒤쪽에 마련된 가압롤러(340)가 인스턴트 필름(390)에 마련된 현상액을 누르게 되어 현상액이 인스턴트 필름(390)의 노광된 부분을 현상하게 된다.
노광부재(320)가 하우징(321)의 안내 홈(313)의 끝단(313-2)에 위치하면, 사용자가 핸들(330)을 밀어도 노광부재(320)가 더 이상 이동하지 않는다, 도 54와 도 57는 노광부재(320)가 하우징(310)의 안내 홈(313)의 끝단(313-2)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54 및 도 5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광부재(320)가 하우징(310)의 안내 홈(313)의 끝단(313-2)에 위치하면, 차광판(370)이 하우징(310)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고, 인스턴트 필름(390)에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화상이 전부 노광되어 현상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한 쌍의 고정부(380)를 눌러 하우징(310)의 바닥판(311)을 개방하면, 하우징(310)의 바닥판(311)에 장착된 인스턴트 필름(390)을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화상이 인화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는 별도의 구동원 없이 사용자가 수동으로 노광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인스턴트 필름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액정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을 인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는 모터와 같은 구동원과 동력전달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으며 소형화에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는 수동으로 인화할 수 있으므로, 구동원을 사용하는 다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와 달리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구동원을 사용하는 다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에 비해 휴대성이 향상된다.
도 60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410), 디스플레이부(420), 입력부(430), 저장부(440), 촬상부(450), 감지부(460), 이미지 처리부(470) 및 제어부(480)로 구성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노트북, 태블릿 PC, 휴대폰, 스마트폰, PMP, MP3 player, 스마트 와치, 모니터, TV 등일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410)는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외부 장치(미도시)에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장치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예를 들어, GSM, UMTS, LTE, WiBRO 등의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서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410)는 외부 장치(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410)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00)에 부착된 NFC 태그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해당 NFC 태그로부터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00)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정보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사용하는 인스턴트 필름의 종류(또는 크기) 정보, 노광 속도, 요구되는 밝기 값, 인스턴트 필름의 남아 있는 개수 등의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410)는 외부 장치(미도시)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된 컨텐츠는 이미지일 수 있으며, 후술할 저장부(440)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410)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저장된 컨텐츠를 외부 클라우드 서버(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으며,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00)에 필요한 소모품 주문을 위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420)는 이미지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420)는 기설정된 밝기 및 기설정된 리프레쉬 레이트(Refresh rate)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420)는 후술할 이미지 처리부(470)에서 이미지 처리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으며, 후술할 제어부(480)의 제어에 따라 기설정된 밝기 및/또는 리프레쉬 레이트를 조정하여 이미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420)는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LCD 등의 표시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420)에서 표시될 수 있는 화면의 예에 대해서는 도 61, 도 62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입력부(430)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입력부(430)는 사용자로부터 이미지 표시 명령을 입력받거나, 표시된 이미지에 대한 인쇄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420)와 입력부(430)가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이 입력 및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구현시에는 터치 스크린과 함께 별도의 물리 키가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입력부(430)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00)를 이용한 인쇄 작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의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43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상태에서 인쇄될 이미지(또는 컨텐츠)를 선택받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선택 이후에 이미지를 선택받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사용자의 이미지 선택 이후의 사용자 인쇄 명령에 대응하여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는 디스플레이부(420)에서 표시되는 화면 빛을 이용하여 인스턴트 필름에 노광하는 인쇄 장치로 앞서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인스턴트 인쇄 장치, 도 25와 관련하여 설명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인쇄 장치, 도 39와 관련하여 설명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인쇄 장치, 및 도 49와 관련하여 설명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인쇄 장치일 수 있으며, 상술한 구조를 갖는 장치뿐만 아니라, 수동으로 구동되는 노광부재(130)를 이용하여 인스턴트 필름을 노광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그리고 입력부(430)는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인쇄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입력부(43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이러한 인쇄 명령은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00) 상에 배치된 복수의 터치 센서의 배치 형태에 대응되는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에 인쇄 명령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430)는 해당 이미지의 인쇄 옵션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인쇄 옵션은 밝기, 노출, 채도 등일 수 있으며, 이외에 다른 인쇄 옵션을 선택받을 수도 있다.
저장부(440)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440)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구동시 필요한 각종 명령어의 집합인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특정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응용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위한 운영프로그램을 포함한다. 그리고 여기서 응용 프로그램은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한 인쇄 작업을 위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440)는 컨텐츠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440)는 후술할 촬상부(450)에서 생성된 컨텐츠(예를 들어, 사진 이미지, 동영상)뿐만 아니라, 통신 인터페이스부(410)를 통하여 수신된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440)는 후술할 감지부(460)에서 감지된 노광 속도를 저장할 수 있으며, 통신 인터페이스부(410)를 통하여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00)에 부착된 NFC 패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부(440)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에 대응되는 리프레쉬 레이트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440)는 디스플레이 장치(4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 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네트워크를 통한 웹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촬상부(450)는 이미지를 촬상한다. 구체적으로, 촬상부(450)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노광 위치를 촬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영 결과는 후술할 감지부(460)에 전송할 수 있다.
감지부(460)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00)의 노광 영역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감지부(460)는 터치 스크린 상의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복수의 터치 센서의 위치에 따라 노광 영역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노광 속도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00)의 노광 부재의 이동 속도를 의미하며,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00)의 스캔 속도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감지 방식에 대해서는 도 63과 관련하여 후술한다. 이때, 감지부(46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복수의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배치 방향을 감지할 수도 있다.
감지부(460)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00)의 노광 속도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감지부(460)는 터치 스크린 상의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터치 센서의 위치에 따라 노광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지 방식에 대해서는 도 64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또는, 감지부(460)는 촬상부(450)에서 촬영된 노광 위치에 따라 노광 속도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감지된 노광 속도는 저장부(44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미지 처리부(470)는 디스플레이부(420)에서 표시될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한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처리부(470)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노광 영역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부(420)의 영역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이미지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처리부(470)는 디스플레이부(420)에서 표시되는 이미지의 밝기를 조정한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처리부(470)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노광 위치별로 동일한 광량이 인스턴트 필름에 제공되도록 이미지의 밝기 값을 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는 수동으로 구동되는 노광부재(130)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노광시의 노광부재(130)의 이동 속도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이러한 노광 속도의 편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감지부(460)에서 노광부재(130)의 이동 속도(즉, 노광 속도)를 감지하고, 노광 방향에 대응되는 이미지의 방향에 대해서 감지된 노광 속도에 대응되는 밝기 값을 갖도록 이미지의 밝기를 조정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 전체가 동일한 밝기 값을 갖는 경우에 노광부재(130)의 이동 속도가 빠르면, 해당 구간에서의 노광은 다른 영역보다 부족할 수 있다. 반대로, 노광부재(130)의 이동 속도가 느리면, 해당 구간에서의 노광은 다른 영역보다 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부(470)는 노광 구간에 대응되는 복수의 이미지 영역 각각에 대해서 이미지 영역의 이동 속도에 대응되는 이미지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가 A 영역, B 영역, C 영역으로 구분되고, A 영역의 이동 속도가 가장 빠르고, B 영역이 평균 속도를 가지고, C 영역의 이동 속도가 가장 느린 경우, 이미지 처리부(470)는 이미지 전체에 대해서 B 영역의 이동 속도에 대응되는 밝기 값을 갖도록 보정하되, A 영역에 대해서는 B 영역보다 높은 밝기 값을 갖도록 보정하고, C 영역에 대해서는 B 영역보다 낮은 밝기 값을 갖도록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3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이미지 밝기를 조정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3개 이상의 영역으로 이미지를 구분할 수 있으며, 영역을 노광 방향에 대응되는 픽셀 수 만큼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이미지 처리부(470)가 이미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복수의 영역별로 밝기 값을 조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노광 속도의 감지가 인쇄 명령 전에 수행된 경우이고, 노광 속도의 감지와 그에 따른 밝기 값의 보정이 실시간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노광 속도에 대응하여 이미지 전체의 밝기를 감지된 노광 속도에 맞춰 보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480)는 디스플레이 장치(400) 내의 각 구성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80)는 사용자의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표시 중인 이미지에 대한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인쇄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420), 감지부(460) 및 이미지 처리부(47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80)는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감지된 노광 영역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부(420)의 표시 영역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4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80)는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부(420)의 밝기가 기설정된 밝기 이상을 갖도록 조정하고, 조정된 디스플레이부의 밝기 상에서 이미지의 밝기가 조정되도록 이미지 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디스플레이부(420)가 AMOLED로 구현되는 경우의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80)는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부(420)의 리프레쉬 레이트가 기설정된 제1값(일반적인 동작 상태에서의 값)과 다른 값의 리프레쉬 레이트로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4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80)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노광 속도에 대응되는 리프레쉬 레이트로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42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함에 있어서 기설정된 리프레쉬 레이트를 가지고 영상을 표시한다. 그런데 노광부재(130)의 이동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노광부재(130)의 이동 속도와 리프레쉬 레이트의 교차에 의하여 도 65의 좌측 이미지(a)와 같은 검은색 라인이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제조사 또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제조사에서는 다양한 실험에 의하여 다양한 노광부재(130)의 이동 속도에 따른 검은색 라인이 생성되지 않는 리프레쉬 레이트값을 결정해 놓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80)는 저장부(440)에 기저장된 정보 또는 감지된 노광부재(130)의 속도(노광 속도)에 대응되는 리프레쉬 레이트로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4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420)가 리프레쉬 레이트가 0인 상태로 이미지를 표시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검은색이 생성될 여지가 없는 바, 제어부(480)는 디스플레이부(420)가 리프레쉬 레이트가 0인 상태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80)는 인쇄 명령이 입력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변경된 리프레쉬 레이트를 원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리프레쉬 레이트를 변경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복수의 터치 센서의 배치 형태에 대응되는 터치가 더이상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리프레쉬 레이트를 변경할 수 있다. 즉,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호 이격된 것을 감지한 경우에 리프레쉬 레이트를 원 상태로 변경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수동으로 구동되는 노광부재를 이용하여 인스턴트 필름을 노광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한 인쇄 작업에서도 화질 보정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노광부재가 수동으로 동작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화질 저하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노광부재의 노광 속도와 리프레쉬 라인의 교차에 의한 화질 저하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도 61 및 도 62는 도 60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1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500)은 밝기 조정 영역(510), 노출 조정 영역(520), 이미지 표시 영역(530), 이미지 선택 영역(530), 표시 영역(550), 인쇄 영역(560), 리셋 영역(570)을 포함한다.
밝기 조정 영역(510)은 선택된 이미지에 적용될 밝기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영역이다. 사용자가 밝기 조정 영역을 선택한 경우에는, 선택받은 밝기 값을 반영하여 표시되는 이미지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노출 조정 영역(520)은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인쇄를 위한 표시를 몇 초 동안 지속할 것인지를 선택받는 영역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인쇄 명령에 의하여 도 62와 같은 이미지를 표시한 이후에, 사용자로부터 설정받은 시간이 경과되면, 도 61과 같은 화면으로 복구될 수 있다.
이미지 선택 영역(530)은 현재 선택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이미지 선택 영역(530)은 저장부(440)에 기재된 이미지 중 현재 표시중인 이미지 앞의 이미지를 선택받거나, 현재 표시중인 이미지 후의 이미지의 표시를 선택받는 영역이다.
표시 영역(550)은 인쇄 가능한 이미지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영역이다.
인쇄 영역(560)은 이미지 선택 영역(530)에서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인쇄 명령을 입력받는 영역이다. 사용자가 인쇄 영역(560)을 선택하면, 이미지 선택 영역(530)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에서 화질 저하 없이 인쇄할 수 있는 상태로 이미지 조정하여 도 62와 같이 표시한다.
리셋 영역(570)은 사용자가 기선택된 옵션을 초기화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영역이다.
도 63은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3을 참조하면, 제5 실시예에 다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00')는 제1 실시예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성에 추가적으로 복수의 터치 센서(116)가 구비된다. 복수의 터치 센서(116)가 추가적으로 구비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바,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복수의 터치 센서(116)는 입사창(113e)의 주변에 배치된다. 따라서,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인쇄를 위하여 도 21과 같이 부착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터치 스크린은 복수의 터치 센서(116)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입사창(113e)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가 입사창(113e)과 5mm 이격되어 배치된다는 점을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알고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감지된 두 위치의 거리에서 10mm 빼어 입사창의 크기를 알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터치 센서가 입사창(113e)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면(예를 들어, 입사창의 꼭지점에 위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감지된 위치를 통하여 입사창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복수의 터치 센서(116)는 인스턴트 인쇄 장치에 대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 방향을 파악할 수 있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부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상부에 하나의 터치가 감지되고 하부에 두 개의 터치 감지된다. 만약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부가 바뀌어 맞닿는다면, 터치 스크린 상의 상부에 두 개의 터치가 감지되고, 터치 스크린 상의 하부에 한 개의 터치가 감지될 것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터치 센서(116)의 배치 형태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400)와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00')간의 부착 형태를 인식할 수 있으며, 제조사의 의도에 부합하지 않는 부착 형태인 경우, 에러 메시지(음성)가 출력되도록 하거나 표시되는 이미지의 180도 회전되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복수의 터치 센서(116)는 인스턴트 인쇄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정확하게 배치되었는지를 파악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장치가 정확하게 맞다는 경우, 상부의 터치 위치가 특정 좌표에 있어야 하는데 현재 감지되는 터치 위치가 특정 좌표가 아닌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현재 정확하게 배치되어 있지 않음을 출력할 수 있으며,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제대로 배치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도 64는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4를 참조하면, 제6 실시예에 다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00")는 제1 실시예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성에 추가적으로 노광부재(130)의 이동에 대응되게 이동되는 터치 센서(117)가 구비된다. 터치 센서(117)가 추가적으로 구비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바,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터치 센서(117)는 입사창(113e)의 주변에 배치되며, 노광부재(130)의 이동에 대응되게 이동된다. 따라서,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인쇄를 위하여 도 21과 같이 부착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터치 스크린은 터치 센서(117)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노광부재(130)를 수동으로 구동시키면,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터치 센서의 이동을 감지하고, 이를 통하여 노광부재(130)의 이동 속도(노광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도 65는 디스플레이부(420)가 AMOLED로 구현되는 경우의 밝기 값에 따른 인스턴트 필름의 인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좌측의 이미지는 AMLED의 밝기를 71% 설정한 경우의 인화 이미지이고, 우측의 이미지는 AMLED의 밝기를 72%로 설명한 경우의 인화 이미지이다.
AMOLED는 고휘도 영역에서는 휘도 밝기에 대해서 선형적으로 동작하고, 중 휘도 내지 저 휘도 영역에서는 AID(AMOLED Impulsive Driving) 기능을 적용하여 구동하는데 대략, 중휘도에서는 AID 고정 구간(Of duty 40%), 저휘도 영역(110cd 이하)에서는 가변 AID 구간(off Duty가변) 적용하여 밝기 변화를 구현하고 있다.
이와 같이 AMOLED는 휘도 구간별로 구동 방식이 다르다는 점에서,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AMOLED가 고휘도 영역에서 동작하도록, 즉 밝기 값 72% 이상에서 동작하도록 디스플레이부(42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420)의 밝기 값이 높아지면, 인쇄 출력물 역시 밝기 값이 높아진다. 따라서,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도 49와 같이 노광부재(130)와 디스플레이부(420) 사이에 ND 필터를 구비하여,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00)로 전달되는 광량을 줄일 수 있다.
또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00)에서의 광량은 동일하게, 디스플레이부(420)의 조정된 밝기에 대응되게 이미지의 밝기를 어둡게 이미지 처리할 수 있다.
도 6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7을 참조하면, 먼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빛을 이용하여 인스턴트 필름에 노광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노광 속도를 감지한다(S6710). 구체적으로, 터치 스크린 상의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터치 센서의 위치에 따라 노광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지 방식에 대해서는 도 64와 관련하여 상술하였는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구현시에는 노광 위치를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 속에서의 노광 위치 변화를 통하여 노광 속도를 감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는 디스플레이부(420)에서 표시되는 화면 빛을 이용하여 인스턴트 필름에 노광하는 인쇄 장치이다.
그리고 감지된 노광 속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될 이미지의 밝기를 조정하여, 밝기가 조정된 이미지를 표시한다(S6720). 구체적으로,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노광 위치별로 동일한 광량이 인스턴트 필름에 제공되도록 이미지의 밝기 값을 조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노광부재(130)가 수동으로 동작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화질 저하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도 50과 같은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도 60의 구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상에서도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6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8을 참조하면, 기설정된 리프레쉬 레이트(Refresh rate)로 이미지를 표시한다(S6810).
그리고 인쇄 명령을 입력받는다(S6820). 이러한 인쇄 명령은 터치 스크린 상의 기설정된 영역의 선택일 수 있으며,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와의 접촉에 의하여,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된 터치 센서의 감지를 통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터치 센서의 터치 스크린 상의 접속을 이용하여 인쇄 명령을 입력받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터치 센서 이외에 덮개 스위치(lid switch)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기설정된 리프레쉬 레이트와 다른 리프레쉬 레이트로 상기 이미지를 조정하여 표시한다(S6830). 구체적으로,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노광 속도에 대응되는 리프레쉬 레이트로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의 리프레쉬 레이트를 가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노광부재의 노광 속도와 리프레쉬 라인의 교차에 의한 화질 저하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도 68과 같은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도 60의 구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상에서도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도 69 내지 도 7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는 전술한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00,200,300,400)가 수동으로 동작한 것과 상이하게 전력을 공급받아 노광부재를 구동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400)에서 표시하는 이미지를 즉석에서 인스턴트 필름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0은 상부 하우징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1은 커버를 생략한 상부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2는 하부 하우징에 구비된 버튼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3은 및 도 74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의 개방 상태를 각각 다른 각도에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5 및 도 76a는 구동부를 각각 다른 각도에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6b는 도 76a에 표시된 J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77 및 도 78은 노광부재의 제1 위치 및 제2 위치를 각각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69 내지 도 7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2000)는 하우징부(2110), 노광부재(2700), 노광부재(2700)가 이동하는 경로(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 구간) 상에서 노광부재가 점유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차광하는 차광부재(2720), 노광부재(2700)를 제1 및 제2 위치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2800), 및 현상제 전개부재(2843,2853)를 포함한다.
도 69를 참조하면, 하우징부(2110)는 상부 하우징(2111)과, 힌지(2215)에 의해 상부 하우징(2111)에 연결되는 하부 하우징(2112)을 포함한다.
도 70을 참조하면, 상부 하우징(2111)은 커버(2111a)와 커버(2111a)에 의해 감싸지는 프레임(2400)을 포함한다.
이 경우, 커버(2111a)는 상면에 디스플레이 장치(400, 도 20 참조)의 화면(401)에 대응하는 입사창(2211)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입사창(2211)으로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401)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인스턴트 필름(140)의 감광면(141, 도 23a 참조)으로 입사된다. 이 경우, 화면(401)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은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401)에 표시된 이미지(403)의 명암에 따라 다른 광량으로 인스턴트 필름(140)의 감광면(141)에 입사된다.
또한, 커버(2111a)는 입사창(2211) 주변에 적어도 3개의 센서(2221,2222,2223)가 배치된다. 다수의 센서(2221,2222,2223)는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화면(401)의 외곽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가상의 선으로 순차적으로 이을 경우 가상의 삼각형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곳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배치된 3개의 센서(2221,2222,2223)는 전술한 제5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휴대용 화상형성장치(2000)와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인쇄를 위하여 부착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터치 스크린은 다수의 터치 센서(2221,2222,2223)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입사창(2211)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가 입사창(2211)과 5mm 이격되어 배치된다는 점을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알고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감지된 두 위치의 거리에서 10mm 빼어 입사창의 크기를 알 수 있다. 또한, 다수의 터치 센서(2221,2222,2223)가 입사창(2211)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면(예를 들어, 입사창의 꼭지점에 위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감지된 위치를 통하여 입사창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복수의 터치 센서(2221,2222,2223)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2000)에 대한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배치 방향을 파악할 수 있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부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상부에 하나의 터치가 감지되고 하부에 두 개의 터치 감지된다. 만약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부가 바뀌어 맞닿는다면, 터치 스크린 상의 상부에 두 개의 터치가 감지되고, 터치 스크린 상의 하부에 한 개의 터치가 감지될 것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터치 센서(2221,2222,2223)의 배치 형태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400)와 휴대용 화상형성장치(2000)간의 부착 형태를 인식할 수 있으며, 제조사의 의도에 부합하지 않는 부착 형태인 경우, 에러 메시지(음성)가 출력되도록 하거나 표시되는 이미지의 180도 회전되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복수의 터치 센서(2221,2222,2223)는 화상형성장치(2000) 상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정확하게 배치되었는지를 파악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장치가 정확하게 맞다는 경우, 상부의 터치 위치가 특정 좌표에 있어야 하는데 현재 감지되는 터치 위치가 특정 좌표가 아닌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현재 정확하게 배치되어 있지 않음을 출력할 수 있으며,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제대로 배치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제7 실시예의 휴대용 화상형성장치(2000)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커버(2111a)의 상면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14, 117, 도 1 및 7 참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2111a)는 선단에 인스턴트 필름이 배출되는 필름 배출구(2213)가 형성된다.
도 70을 참조하면, 프레임(2400)은 상측에 노광부재(270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일측에 구동부(2800)가 배치되며, 인스턴트 필름이 배출되는 측으로 현상제 전개부재(2843,2853)가 각각 배치된다.
도 71을 참조하면, 프레임(2400)은 대략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후단부에는 모터(2801)가 설치되는 제1 공간(2401)이 형성되고, 선단부에는 배터리(2300)가 장착되는 제2 공간(2403)이 형성되며, 제1 및 제2 공간(2401,2403) 사이에는 필름 카세트(2500)가 장착되는 제3 공간(2405)이 형성된다. 이 경우 제3 공간(2405)은 상하측이 모두 개방되어 있으며, 상측 개구를 통해 노광부재(2700)에 의해 인스턴트 필름에 노광이 이루어질 수 있고, 하측 개구를 통해 인스턴트 필름 카세트(2500)를 장/탈착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400)의 일측면에는 도 71과 같이 하부 하우징(2112)이 닫혔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1 센서(2610)가 배치되고, 프레임(2400)의 타측면에는 노광부재(270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도 70과 같이 간격을 두고 제2 및 제3 센서(2620,2630)가 배치된다. 제1 내지 제3 센서(2610,2620,2630)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72 내지 도 74를 참고하면, 하부 하우징(2112)은 상부 하우징(2111)의 저부를 개폐하는 도어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하부 하우징(2112)은 제1 부분(2113)과 제2 부분(2115)으로 이루어지며, 제1 및 제2 부분(2113,2115) 사이에는 제어부(미도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제어부는 인화처리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와, 다수의 터치 센서(2221,2222,2223)와 제1 내지 제3 센서(2610,2620,25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이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이 신호에 따라 인화처리를 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2113)은 후면에 기능버튼(2217)이 구비된다. 이 경우, 제어부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2000)가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기능버튼(2217)이 눌리면 슬립 모드가 오프하고, 슬립 모드가 오프된 상태에서 기능버튼(2217)이 다시 눌리면 인화처리를 진행한다. 또한, 제어부는 슬립 모드가 오프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초과하면 다시 슬립 모드로 전환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 기능버튼(2217)을 통해 슬립 모드의 온/오프와 인화처리 명령을 입력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각 기능에 대응하는 기능버튼을 별도로 각각 구비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74를 참조하면, 제2 부분(2113)의 내측에는 힌지(2215)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1 피검출부(2611)가 돌출 형성된다. 제1 피검출부(2611)는 하부 하우징(2112)을 힌지(2215)를 중심으로 선회하여 상부 하우징(2111)의 저부를 폐쇄할 때 제1 센서(2610)에 의해 검출되는 곳에 배치된다.
또한, 제2 부분(2113)은 상부 하우징(2111)의 저부를 폐쇄하는 경우, 인스턴트 필름 카세트(2500) 내에 적층된 다수의 인스턴트 필름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돌기(2116,2117)가 형성된다. 다수의 지지돌기(2116,2117)는 인스턴트 필름 카세트(2500)의 저부에 형성된 각 관통구멍(2501,2503)으로 인입된 후 다수의 인스턴트 필름을 지지하게 된다.
인스턴트 필름 카세트(2500, 도 23 참조)는 프레임(2400)의 제3 공간(2405)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인스턴트 필름 카세트(25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인스턴트 필름 카세트(120)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7 실시예에 대한 도면에서는 인스턴트 필름을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인스턴트 필를(140)이 인스턴트 필름 카세트(2500)에 장입되어 사용된다.
도 71에 도시된 제1 센서(2610)는 하부 하우징(2112)이 상부 하우징(2111)의 하부를 폐쇄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수광부 및 발광부를 가지는 광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센서(2610)는 하부 하우징(2112)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 제1 피검출부(2611)를 검출한다. 제어부는 제1 센서(2610)에 의해 하부 하우징(2112)이 열렸을 경우 구동부(2800)로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반대로 하부 하우징(2112)이 닫혔을 경우 구동부(28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 경우, 제1 센서(2610)는 광센서 외에 제1 피검출부(2611)에 의해 가압되면서 신호를 발생하는 푸시 스위치 타입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70을 참조하면, 제2 및 제3 센서(2620,2630)는 노광부재(2700)의 제1 위치(초기 위치, 도 77 참조) 및 제2 위치(노광완료 위치, 도 78 참조)를 검출한다. 제2 및 제3 센서(2620,2630)는 전술한 제1 센서(2610)와 마찬가지로 광센서로 이루어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푸시 스위치 타입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제2 센서(2620)는 현상제 전개부재(2843,2853)에 인접한 프레임(2400)의 선단부에 인접한 곳에 배치되는 제1 위치(초기 위치)에 설정된다. 제2 센서(2620)는 프레임(2400)에 고정된 제1 지지부재(2621)에 설치되며 노광부재(2700)에 구비되어 노광부재(2700)와 함께 이동하는 제2 피검출부(2715)를 검출한다.
제3 센서(2630)는 프레임(2400)의 후단부에 인접한 곳에 배치되는 제2 위치(노광완료 위치)에 설정된다. 제3 센서(2630)는 프레임(2400)에 고정된 제2 지지부재(2631)에 설치되며 제2 피검출부(2715)를 검출한다.
이와 같은 제2 및 제3 센서(2630)는 노광부재(2700)의 제1 및 제2 위치를 각각 검출하는 경우, 제어부로 해당 검출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는 이 검출신호에 따라 노광부재(2700)의 위치를 검출하고, 파악된 위치에 따라 구동부(2800)의 모터(2801)의 구동을 오프한다.
도 70을 참조하면, 노광부재(2700)는 프레임(2400)의 상부에서 프레임(2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왕복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서 발산되는 빛을 통해 인스턴트 필름 카세트(2500)에 장입된 인스턴트 필름의 감광면을 노광한다.
이와 같은 노광부재(270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노광부재(130)와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예의 노광부재(130)와 상이한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노광부재(2700)는 도 70과 같이 일단에 형성된 연장부(2714)가 프레임(2400)의 상부 일단을 따라 돌출 형성된 가이드 레일(240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고, 도 71과 같이 타단에 돌출된 한 쌍의 가이드 돌기(2716,2717)가 프레임(2400)의 상부 타단을 따라 관통 형성된 직선 가이드 홀(246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 경우, 노광부재(2700)의 연장부(2714)는 하단에 대략 얇은 리브형태로 이루어진 제2 피검출부(2715)가 연장 형성된다. 연장부(2714)는 제2 피검출부(2715)가 제2 및 제3 센서(2620,2630)에 의해 제1 및 제2 위치에서 각각 검출될 수 있도록 노광부재(2700)와 함께 이동한다.
노광부재(2700)는 일단부(2711)에 차광부재(2720)의 제1 차광막(2721)이 연결되고, 타단부(2713)에는 차광부재(2720)의 제2 차광막(2723)이 연결된다. 이에 따라 노광부재(2700)가 제1 및 제2 위치를 왕복할 때, 차광부재(2720)는 노광부재(2700)가 점유하는 공간의 전후를 커버함에 따라 입사창(2211)을 통해 상부 하우징(2111) 내로 입사되는 빛이 상부 하우징(2111) 내의 인스턴트 필름의 감광면으로 조사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노광부재(2700)는 렌즈(2710)를 통해 인스턴트 필름의 감광면으로 조사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셔터(2716)를 구비한다. 셔터(2716)는 렌즈어레이(2710)를 가리거나 가리지 않는 위치로 선회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셔터(2716)는 제1 위치로 복귀하는 시점에서 프레임(2400)에 형성된 제1 걸림턱(2411)에 의해 렌즈어레이(2710)를 가리지 않는 위치로 선회된다(도 77 참조). 또한 셔터(2716)는 제2 위치에 다다르는 시점에서 프레임(2400)에 형성된 제2 걸림턱(2413)에 의해 렌즈어레이(2710)를 가리는 위치로 선회된다(도 78 참조).
따라서 노광부재(2700)는 제1 위치(초기 위치)에서 렌즈어레이(2710)를 통해 노광을 행할 수 있는 상태로 대기하고, 제2 위치(노광완료 위치)에서 노광부재(2700)가 제1 위치로 복귀 시 현재 인화 처리가 진행되는 인스턴트 필름의 하부에서 다음 인화 처리를 위해 대기하는 인스턴트 필름에 빛이 조사되지 않도록 렌즈어레이(2710)을 가린 상태로 대기한다.
도 76b를 참조하면, 노광부재(2700)는 타단의 저면에 하측으로 푸시돌기(2718)가 연장 형성되고, 이 푸시돌기(2718)에는 요홈(2719)이 형성된다. 이러한 푸시돌기(2718)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후크부(197g)와 동일한 역할을 한다. 즉, 푸시돌기(2718)는 노광부재(2700)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귀할 때, 인스턴트 필름(140)의 후단부(140b, 도 23c 참조)를 밀어주며 이때, 요홈(2719)에는 후단부(140b)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차광부재(2720)는 서로 분리된 제1 차광막(2721) 및 제2 차광막(2723)으로 이루어진다. 제1 차광막(2721)은 일단이 노광부재(2700)의 일단부(2711)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1 종동축(2835)에 고정된다. 제2 차광막(2723)은 일단이 광부재(2720)의 타단부(2713)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 종동축(2823)에 고정된다.
제1 및 제2 차단막(2721,2723)은 빛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불투명하게 이루어지면서 동시에 제1 종동축(2835) 및 제2 종동축(2823)에 각각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플렉시블(flexible)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5 및 도 76a를 참조하면, 구동부(2800)는 노광부재(2700)를 제1 및 제2 위치로 왕복 이동시키고, 현장제 전개부재(2843,2853)를 구동시킨다.
구동부(2800)는 동력원에 해당하는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2801)와, 구동축(2815)과, 구동축(2815)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 종동축(2835) 및 제2 종동축(2823)을 포함한다. 또한, 각 축들(2815,2823,2835) 사이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기어를 포함한다.
모터(2801)는 단일로 이루어지며 노광부재(2700)의 구동과 현상제 전개부재(2843,2853)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동시에 제공한다.
한편, 종래의 휴대용 화상장치의 경우, LED 헤드를 통해 인스턴스 필름에 이미지를 주사하기 위한 구동에 있어 스텝모터를 통하여 제어하였고, 배지 및 현상 롤러의 구동은 DC 모터의 구동으로 이루어졌다. 이때, LED 헤드 주사를 통한 노광은 라인 바이 라인(line by line)의 정확한 주사가 필요하기 때문에 스텝모터를 사용 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용 화상형성장치(2000)는 하나의 DC 모터로 상기 2가지 구동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
구동축(2815)은 양단부가 제1 및 제2 지지부재(2621,2631)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구동축(2815)은 일단에 모터(2801)의 구동축에 결합된 제1 기어(2803)와 치합하는 제2 기어(2813)를 구비하며, 제2 기어(2813)에 인접하게 동축으로 배치되는 제3 기어(2819)를 구비한다. 제3 기어(2819)는 제2 종동축(2823)의 일단에 결합된 제4 기어(2821)와 치합된다. 더욱이 구동축(2815)은 타단에 제1 종동축(2835)의 일단에 결합된 제5 기어(2831)와 치합되는 제6 기어(2817)가 결합된다.
제1 종동축(2835)은 제5 기어(2831)와 인접하게 동축으로 배치되는 제7 기어(2841)를 구비한다. 제7 기어(2841)는 한 쌍의 현상제 전개부재(2843,2853) 중 상측에 배치된 현상제 전개부재(2843)의 일단에 구비된 제8 기어(2841)와 치합한다. 제8기어(2841)는 한 쌍의 현상제 전개부재(2843,2853) 중 하측에 배치된 현상제 전개부재(2853)의 일단에 구비된 제9 기어(2851)와 치합한다.
따라서 구동축(2815)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종동축(2835) 및 제2 종동축(2823)이 동시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차단막(2721)은 제1 종동축(2835)으로부터 풀리고 제2 차단막(2723)은 제2 종동축(2823)에 감기면서 노광부재(270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구동축(2815)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종동축(2835) 및 제2 종동축(2823)이 동시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차단막(2721)은 제1 종동축(2835)에 감기고 제2 차단막(2723)은 제2 종동축(2823)으로부터 풀리면서 노광부재(2700)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제1 종동축(2835)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현상제 전개부재(2843,2853)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인스턴트 필름을 필름 배출구(2213)으로 밀어냄과 동시에 인스턴트 필름을 가압하여 현상제를 인스턴트 필름의 감광면의 반대 면에 도포한다.
현상제 전개부재(2843,2853)는 고무 롤러로 이루어진다. 이는 종래의 휴대용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하였던 금속으로 제작된 배지 롤러는 재료 고유의 강성으로 인하여 별도 스프링을 구비하여 인스턴트 필름 내 현상액이 고루 분포되도록 조정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현상제 전개부재(2843,2853)를 고무 롤러로 형성함에 따라 별도의 추가 스프링이나 이러한 탄성구조를 위한 복잡한 구조 없이 자체 탄성만으로 고르게 현상액이 전개할 수 있다.
제7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2000)의 경우, 전동방식으로 구동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의 휴대용 화상형성장치(100)와 상이하지만, 노광부재(270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면서 인스턴트 필름에 노광을 하는 과정과, 노광 완료 후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귀 시 인스턴트 필름의 선단을 현상제 전개부재(2843,2853)에 맞물릴 수 있도록 밀어주는 과정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7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상형성장치(2000)를 통해 인화 처리되는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다만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인쇄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한다.
이 상태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입사창(2211)에 마주하도록 상부 하우징(2111)에 올려 놓는다. 이때, 다수의 터치 센서(2221,2222,2223) touch 센서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미지의 위치가 조정된다.
그 후, 기능버튼(2217)을 누르면 슬립 모드가 오프되고, 이 상태에서 다시 한번 기능버튼을 누르면 구동부(2800)가 구동하고, 이에 따라 노광부재(2700) 및 현상제 전개부재(2843,2853)가 구동하면서 인스턴트 필름에 인화 처리된 후 필름 배출구(2213)를 통해 인스턴트 필름이 배출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화상 형성 시스템 100: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110: 하우징 130: 노광부재
131: 렌즈어레이 135: 셔터
140: 인스턴트 필름 150: 차광부재
170: 견인부 171: 레버
173: 록킹부재 180: 현상제 전개부재
181,183: 가압롤러 187: 메인기어
189: 회전노브 190: 인스턴트 필름 세팅부
191: 가동기어 193: 캠 돌기
194a: 제1 캠 팔로워 194b: 제2 캠 팔로워
195: 가동부재 197: 후크부
400,400,400; 디스플레이 장치 210,310; 하우징
211,311; 바닥면 213,313; 안내 홈
220,320; 노광부재 221,321; 렌즈 어레이
230,330; 이동부재 240,340; 가압부재
250; 중간판 251,351; 입력 창
260,360; 디스플레이 고정부 290,390; 인스턴트 필름
294; 차단 커버 연장부 350; 고정판
370; 차광판 380; 고정부
410: 통신 인터페이스부 420: 디스플레이부
430: 입력부 440: 저장부
450: 촬상부 460: 감지부
470: 이미지 처리부 480: 제어부

Claims (59)

  1. 하우징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서 발산되는 빛을 통해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배치된 인스턴트 필름을 노광하는 노광부재;
    상기 노광부재와 연동하며 상기 인스턴트 필름을 차폐하는 차광부재;
    상기 노광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노광부재를 노광 전 위치로 이동시키는 견인부; 및
    인스턴트 필름에 구비된 현상제를 인스턴트 필름 전체로 전개하는 현상제 전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견인부 및 상기 현상제 전개부재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구동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부재는,
    렌즈어레이;
    상기 렌즈어레이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셔터를 포함하며,
    상기 셔터는, 상기 노광부재가 노광 전 위치로 이동 시 상기 렌즈어레이를 폐쇄하고, 상기 노광부재가 노광 전 위치에서 노광 위치로 이동 시 상기 렌즈어레이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셔터와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는 탄성력을 갖는 불투명한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는 상기 노광부재의 선단 및 후단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차광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차광막은 각각 일부분이 펼침 가능하도록 말린 상태로 상기 하우징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상기 노광부재를 노광 전 위치 또는 노광 완료 위치로 견인하는 레버;
    상기 레버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노광부재의 노광 전 위치에서 상기 레버를 록킹 또는 록킹해제하는 록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제1 스트링(string)에 의해 상기 노광부재의 선단에 연결되고 제2 스트링(string)에 의해 상기 노광부재의 후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부재가 노광 완료 위치에서부터 노광 전 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노광부재를 탄력 지지하는 댐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는,
    상기 노광부재가 가이드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된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는,
    상기 노광부재에 연결되는 리니어 댐퍼; 및
    상기 리니어 댐퍼에 결합된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는,
    상기 노광부재가 가이드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된 코일스프링;
    상기 노광부재에 배치되는 로터리 댐퍼;
    상기 로터리 댐퍼의 회전축에 중심이 결합된 피니언; 및
    상기 노광부재의 이동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피니언과 치합되는 래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는,
    상기 노광부재에 배치되는 기계식 진동자;
    상기 기계식 진동자의 회전축에 중심이 결합된 피니언; 및
    상기 노광부재가 이동하는 방향에 평행하게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과 기어 연결되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전개부재는 인스턴트 필름이 배출되는 상기 하우징부의 배출구멍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전개부재는,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인스턴트 필름을 상기 배출구멍으로 피딩하기 위한 한 쌍의 가압롤러;
    상기 한 쌍의 가압롤러 중 어느 하나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를 회전시키는 메인기어; 및
    상기 하우징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메인기어를 회전하기 위한 회전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 일측에는 상기 회전노브의 회전에 연동하여 인스턴트 필름의 선단을 상기 한 쌍의 가압롤러 사이로 도입시키는 인스턴트 필름 세팅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턴트 필름 세팅부는,
    복수의 종동기어를 통해 상기 메인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가동기어;
    선단부가 상기 가동기어와 캠 연결되어 상기 가동기어의 회전에 따라 인스턴트 필름의 이송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하는 가동부재; 및
    상기 가동부재의 후단부에 탄력적으로 힌지 연결되어 인스턴트 필름의 후단부를 밀어주는 푸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기어는 캠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캠 돌기에 캠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캠 팔로워를 구비하며,
    상기 가동부재는 캠 팔로워가 캠 돌기에 접촉하는 동안 상기 인스턴트 필름을 상기 한 쌍의 가압롤러 측으로 밀어주고, 상기 캠 돌기와 캠 팔로워 간의 접촉이 해제되면 다음 인스턴트 필름의 후단부를 밀어주기 위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입사창이 형성된 측으로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삽입되는 고정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서로 인접한 2개의 측(side)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부재는 렌즈어레이와 상기 렌즈어레이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견인부와 인스턴트 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삽입방향으로 가압 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직선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상기 노광부재와 선택적으로 연결 및 연결 해제되는 걸림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의 걸림부재는,
    노광부재의 걸림구멍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돌기; 및
    노광 전 위치에서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노광부재의 걸림구멍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걸림해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의 걸림해제돌기는 노광 전 위치로 이동 시 하우징부 내측의 일부분을 타고 올라가도록 경사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노광 전 위치에서 노광 위치로 이동 시 인스턴트 필름의 후단부를 밀어 인스턴트 필름의 선단부가 현상제 전개부재로 도입시켜 주는 인스턴트 필름 세팅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전개부재는,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인스턴트 필름을 상기 하우징부의 배출구멍으로 피딩하기 위한 한 쌍의 가압롤러; 및
    상기 견인부의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구동력을 한 쌍의 가압롤러로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견인부의 일부에 연결되는 구동벨트;
    상기 구동벨트가 걸리는 한 쌍의 풀리기어; 및
    상기 한 쌍의 풀리기어 중 어느 하나의 풀리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한 쌍이 가압롤러 중 어느 하나로 전달하는 한 상의 동력전달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압롤러는 일측에 각각 서로 치합되는 한 쌍의 종동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를 탄성력에 의해 노광 전 위치에서 노광 완료 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스트링을 통해 상기 견인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3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는 상기 노광부재의 선단 및 후단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차광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차광막은 일부분이 펼침 가능하도록 말린 상태로 상기 하우징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차광막은 일부분이 펼침 가능하도록 말린 상태로 상기 견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3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는,
    상기 노광부재에 배치되는 로터리 댐퍼;
    상기 로터리 댐퍼의 회전축에 중심이 결합된 피니언; 및
    상기 노광부재의 이동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피니언과 치합되는 래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33. 인스턴트 필름이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인스턴트 필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노광부재;
    상기 노광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인스턴트 필름을 가압하여 상기 인스턴트 필름에 수용된 현상액이 상기 인스턴트 필름의 노광된 부분을 현상하도록 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노광부재와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노광부재, 상기 가압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노광부재와 상기 가압부재가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고정하는 디스플레이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고정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대응하는 입력 창이 형성된 중간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에는 상기 인스턴트 필름을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38.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재와 평행하게 상기 노광부재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노광부재 사이에는 상기 인스턴트 필름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턴트 필름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 놓이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위면에 마련되는 인스턴트 필름 부재;
    상기 인스턴트 필름 부재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바닥판에 설치되는 차광 커버; 및
    상기 차광 커버에서 연장되며, 상기 바닥판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차광 커버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광 커버 연장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개구에 삽입되며,
    사용자가 상기 차광 커버 연장부를 잡아당기면 상기 이동부재, 노광부재 및 가압부재가 함께 이동하여,
    상기 인스턴트 필름의 차광 커버가 벗겨지면서 상기 인스턴트 필름 부재에 화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부재는,
    렌즈 어레이; 및
    상기 렌즈 어레이를 지지하는 렌즈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렌즈지지부의 양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양단에는 한 쌍의 안내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의 양측 내면에는 상기 한 쌍의 안내 돌기가 삽입되는 한 쌍의 안내 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안내 돌기 각각에는 안내 링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43.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응하는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44.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고정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는 고정판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판에는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대응하는 입력 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판은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는 상기 바닥판을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47.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부재는,
    렌즈 어레이;
    상기 렌즈 어레이를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이동하는 렌즈지지부; 및
    상기 인스턴트 필름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렌즈지지부에 고정되는 차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가압롤러로 형성되며,
    상기 렌즈지지부에는 상기 가압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롤러 홈이 상기 렌즈 어레이와 평행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부재의 렌즈지지부의 양 측면에는 적어도 한 쌍의 안내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는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안내 돌기를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 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롤러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안내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51.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안내 돌기와 상기 가압롤러의 양단 각각에는 안내 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52.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차광판과 반대쪽으로 상기 노광부재의 렌즈지지부에 설치된 핸들로 형성되며,
    상기 핸들은 상기 차광판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53. 하우징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서 발산되는 빛을 통해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배치된 인스턴트 필름을 노광하는 노광부재;
    상기 노광부재와 연동하며 상기 인스턴트 필름을 차폐하는 차광부재;
    상기 노광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노광부재를 노광 전 위치로 이동시키는 견인부;
    인스턴트 필름에 구비된 현상제를 인스턴트 필름 전체로 전개하는 현상제 전개부재;
    상기 차광부재를 통해 상기 노광부재를 간접적으로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현상제 전개부재에 직접적으로 동력을 전단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재는 상기 노광부재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차광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차광막은 상기 구동부에 각각 감기거나 풀림에 따라 상기 노광부재의 이동구간 중 상기 노광부재가 점유하는 영역 외의 나머지 영역을 차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정회전 및 역회전 가능한 단일 모터;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의 양단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 및 제2 차광막을 감거나 푸는 한 쌍의 종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종동축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현상제 전개부재로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노광부재의 제1 및 제2 위치를 각각 감지하기 위한 한쌍의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노광부재가 노광을 시작하기 위한 위치이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노광부재의 노광이 완료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부재는 노광부재에 구비된 렌즈어레이를 가리거나 노출하는 셔터가 구비되며,
    상기 셔터는 상기 제1 위치에서 렌즈어레이를 노출하고, 제2 위치에서 렌즈어레이를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8.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전개부재는 한 쌍의 고무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59.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부 하우징과, 상부 하우징에 힌지 연결되며 상부 하우징의 저부를 개폐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하부 하우징이 상부 하우징의 저부 개폐여부를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KR1020140118645A 2013-11-26 2014-09-05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KR2015006050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8950 WO2015080370A1 (ko) 2013-11-26 2014-09-25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US15/038,653 US10036955B2 (en) 2013-11-26 2014-09-25 Portable image-form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4339 2013-11-26
KR20130144347 2013-11-26
KR1020130144347 2013-11-26
KR1020130144339 2013-11-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503A true KR20150060503A (ko) 2015-06-03

Family

ID=53505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8645A KR20150060503A (ko) 2013-11-26 2014-09-05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36955B2 (ko)
KR (1) KR2015006050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4585A (ko) * 2018-01-08 2019-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10157367A (ko) * 2020-06-19 2021-12-28 (주)이오시스템 비균일 보정용 셔터 기구 및 이를 구비한 열영상 카메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3097B2 (en) * 2016-03-03 2017-11-07 Kwame Appiah Moisture resistant mobile phone case
JP6835440B2 (ja) * 2016-07-29 2021-02-24 株式会社沖データ レンズユニット、プリントヘッド、イメージセンサヘッド、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CN108946273B (zh) * 2018-07-27 2024-04-30 东莞市福桔电子有限公司 一种输送机构及过胶机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9350A (ja) 1998-09-10 2000-03-31 Fuji Photo Film Co Ltd インスタントカメラ
JP2001256011A (ja) 2000-03-10 2001-09-21 Fuji Photo Film Co Ltd プリント方法、携帯通信端末及び携帯型プリンタ
JP2001264874A (ja) * 2000-03-21 2001-09-26 Fuji Photo Film Co Ltd 光プリンタモジュール
JP2001268422A (ja) 2000-03-22 2001-09-28 Fuji Photo Film Co Ltd プリンタ付きカメラ
EP1197340B1 (en) * 2000-10-10 2004-04-07 Fuji Photo Film Co., Ltd. Transfer apparatus
US6734948B2 (en) * 2001-01-25 2004-05-11 Citizen Watch Co., Ltd. Optical printer
JP2004164098A (ja) 2002-11-11 2004-06-10 Fuji Photo Film Co Ltd ウェブカメラ
JP2004294608A (ja) 2003-03-26 2004-10-21 Fuji Photo Film Co Ltd 印刷装置、及び表示装置
US9126396B2 (en) * 2013-11-21 2015-09-08 Pacific Opal LLC Instant film printer for light emitting display screen incorporating optical collimation layer
KR20150060500A (ko) * 2013-11-26 2015-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4585A (ko) * 2018-01-08 2019-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10157367A (ko) * 2020-06-19 2021-12-28 (주)이오시스템 비균일 보정용 셔터 기구 및 이를 구비한 열영상 카메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91473A1 (en) 2016-10-06
US10036955B2 (en) 201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60503A (ko) 휴대용 화상형성장치
US11726417B2 (en) Component movement mechanism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1154375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76820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029388B2 (ja) 画像形成装置
US9046871B2 (en) Process cartridge, main cartridge, sub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29375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4194485A (ja) 画像形成装置
KR2015006050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900760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ree-dimensional objects
US9645612B1 (en) Image-reading apparatus and image-reading auxiliary apparatus
US9832355B2 (en) Image-reading apparatus and image-reading auxiliary apparatus
US10708465B2 (en) Correction of image captured by camera of portable terminal with image reading device or image forming apparatus
US6817787B2 (en) Shutter apparatus and camera
JPH11218854A (ja) 画像取込装置
US2023006950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95325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1036288A (ja) 画像形成装置
JPH03264942A (ja) 写真印画紙画像再生装置
JPH11305301A (ja) カメラ
JPH06308605A (ja) 帯状フィルム搬送装置
JPH11218852A (ja) 画像取込装置
JP2006078842A (ja) 画像記録装置
JP2004017620A (ja) プリンタ
JP2007206314A (ja) フィルム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