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7921A -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7921A
KR20150057921A KR1020140000453A KR20140000453A KR20150057921A KR 20150057921 A KR20150057921 A KR 20150057921A KR 1020140000453 A KR1020140000453 A KR 1020140000453A KR 20140000453 A KR20140000453 A KR 20140000453A KR 20150057921 A KR20150057921 A KR 20150057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skin
acid
formula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0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8956B1 (ko
Inventor
이상화
김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50057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9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븐립(Stevenleaf)는 피부의 NO 생성을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 및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여 미백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 가능하다.

Description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Composition for skin cell anti-inflammation or skin whitening}
본 발명은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은 상처나 질병에 반응하는 인체의 면역 반응으로, 자외선이나 활성산소, 자유라디칼 등의 산화적 스트레스 등이 염증성 인자를 활성화시켜 각종 질병 및 피부의 노화를 일으킨다. 혈관 활성 폴리펩타이드인 키닌(kinin), 플라스민(plasmin), 보체 (complement) 등이 혈관 확장과 수축 및 주화성(chemotaxis) 작용을 하고, 그 외에 인터루킨-6(IL-6) 등과 같은 림포카인과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등이 염증 반응을 담당한다. 아라키돈산은 싸이클로옥시게나아제(cyclooxygenase) 혹은 리포옥시게 나아제(lipooxygenase)의 2가지 경로를 거쳐 염증 매개체인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류코트리엔(lukotriene)들로 대사되어 다양한 염증 반응을 매개한다.
한편, 염증을 소실시키기 위해 염증원의 제거, 생체 반응 및 증상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을 항염제라 한다. 현재까지 항염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물질로는 비스테로이드계로 플루폐나믹산(flufenamic acid), 이부프로펜(ibuprofen), 벤지다민(benzydamine),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등이 있고 스테로이드계통으로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덱사메타손 (dexamethasone) 등이 있다. 또한, 알란토인, 아즈엔, 하이드로코티손 등이 항염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들 물질은 피부에 대한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염증 완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희고 고운 피부를 갖고자 하는 것은 일반적인 소망이다. 피부의 색깔 또는 밝기는 사람의 피부 내 멜라닌(melanin)의 농도와 분포에 따라 유전적으로 결정되나, 태양 자외선, 피로 또는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또는 생리적 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멜라닌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에 티로시나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촉매로 작용하여 도파(DOPA) 및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순차적으로 바뀐 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멜라닌이 만들어지는 경로는 알려져 있으나, 멜라닌 합성을 유도하는 메커니즘에서 티로시나제가 촉발되는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자세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알려진 미백 성분으로서, 코지산(Kojic acid) 또는 알부틴(Arbutin) 등과 같은 티로시나제 효소활성을 억제하는 물질,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비타민 C(L-Ascorbic acid) 또는 이들의 유도체와 각종 식물 추출물이 있다. 이들은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톤을 밝게 하여 피부 미백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또는 유전에 기인한 기미나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의 개선이 가능하다. 그러나 피부 적용 시, 자극과 발적 등의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생체에 안전하고, 유효성분이 안정하며, 무엇보다도 기존의 항염증 및 미백 효과가 있는 물질보다 효과가 우수한 성분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스티븐립(Stevenleaf)이 피부의 NO 생성을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가 있으며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여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본 발명에 따른 스티븐립(Stevenleaf)은 피부의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NO 생성을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가 뛰어나며,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여 미백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의약품, 화장료에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항염증 및 미백 성분이 실제 피부에 적용 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저농도에서 고활성의 항염증 및 미백 활성을 나타내고, 피부를 투과하여 흡수되는 능력이 우수하고, 항염증 및 미백 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머무를 수 있도록 휘발성이 낮고, 조성물이나 피부 상에서 활성 성분이 안정하게 유지되고, 의약이나 화장품으로의 제형화가 용이하며, 또한 피부에 안전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공지의 성분 중 상기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성분은 흔치 않다. 예를 들어, 몇몇 항염증 및 미백 성분들은 시험관 내 실험 시 저농도에서도 항염증 및 미백 활성은 우수하나, 피부를 투과하여 흡수되는 능력이 떨어져 실제 피부에 적용하기엔 어렵다. 또 다른 활성 성분들은 친수성이 낮아 의약이나 화장품으로 제형화가 어렵다. 또한, 몇몇 항염증 및 미백 성분들은 열, 광, 또는 산소에 노출되었을 때 상기 활성 성분이 분해되거나 다른 화합물로 변형되어 피부에 적용하기 전에 이미 효과가 사라지는 경우도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티븐립(Stevenleaf)은 저농도에서 월등히 우수한 항염증 효과 및 미백효과를 나타내므로 항염증 및 피부 미백을 위한 의약품, 화장료 등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그러므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식물 추출물로부터 분리 또는 합성하여 이용하거나, 시판되고 있는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배당체, 비배당체 또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이용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일 수 있으며, 상기 유기산은, 예를 들면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락트산,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말산, 말레산, 말론산, 푸마르산, 숙신산, 숙신산 모노아미드, 글루탐산, 타르타르산, 옥살산, 시트르산, 글리콜산, 글루쿠론산, 아스코르브산, 벤조산, 프탈산, 살리실산, 안트라닐산, 디클로로아세트산, 아미노옥시 아세트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및 메탄술폰산계 염을 포함하며 무기산은 예를 들면 염산, 브롬산, 황산, 인산, 질산, 탄산 및 붕산계 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염산염 또는 아세트산염 형태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염산염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산 부가염은 a)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산을 직접 혼합하거나, b) 이들 중 한 가지를 용매 또는 함수 용매 중에 용해시키고 혼합시키거나, 또는 c)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용매 또는 수하 용매 중의 산에 위치시키고 이들을 혼합하는 일반적인 염 제조방법으로 제조된다.
위와는 별도로 추가적으로 염이 가능한 형태는 가바염, 가바펜틴염, 프레가발린염, 니코틴산염, 아디페이트염, 헤미말론산염, 시스테인염, 아세틸시스테인염, 메티오닌염, 아르기닌염, 라이신염, 오르니틴염, 아스파르트산염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의약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예컨대, 공지의 항염증 및 피부 미백 성분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인 항염증 및 피부 미백 성분을 포함하게 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항염증 및 피부 미백 효과는 더욱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성분 추가 시에는 복합 사용에 따른 피부 안전성, 제형화의 용이성, 유효성분들의 안정성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미백 성분으로서, 코지산(Kojic acid), 알부틴(Arbutin) 등과 같은 티로시나제 효소활성을 억제하는 물질,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비타민-C(L-Ascorbic acid) 및 이들의 유도체와 각종 식물 추출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성분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함량 범위는 피부 안전성,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형화 시의 용이성 등의 요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완충액, 주사용 멸균수, 일반 식염수 또는 인산염 완충 식염수, 슈크로스, 히스티딘, 염 및 폴리솔베이트 등과 같은 여러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일반 의약품 제제의 형태, 예를 들어, 임상 투여 시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염증 효과"라 함은 염증을 억제하는 것을 말하며, 상기 염증은 어떤 자극에 대한 생체조직의 방어반응의 하나로, 조직 변질, 순환 장애와 삼출, 조직 증식의 세 가지를 병발하는 복잡한 병변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염증은 선천성 면역의 일부이며 다른 동물에서처럼 인간의 선천성 면역은 병원체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세포 표면의 패턴을 인식한다. 식세포는 그런 표면을 가진 세포를 비자기로 인식하고 병원체를 공격한다. 만일 병원균이 신체의 물리적 장벽을 깨고 들어온다면 염증반응이 일어난다. 염증반응은 상처부위에 침입한 미생물들에 대한 적대 환경을 만드는 비특이적인 방어작용이다. 염증반응에서, 상처가 나거나 외부 감염체가 체내로 들어왔을 때, 초기단계 면역반응을 맡고 있는 백혈구들이 몰려들어 사이토카인을 발현한다. 따라서 세포 내 사이토카인의 발현양이 염증반응 활성화의 지표가 된다. 염증과 관련된 피부질환의 예로는 아토피 피부염, 건선, 방사선, 화학물질, 화상 등에 의해 촉발되는 홍반성 질환, 산 화상, 수포성 피부병, 태선 모양 종류 질환, 알레르기에 기한 가려움증, 지루성 습진, 장미 여드름, 심상성 천포창, 다형 삼출성 홍반, 결절 홍반, 귀두염, 음문염, 원형 탈모증과 같은 염증성 모발 손실, 피부 T-세포 림프종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미백 효과"라 함은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톤을 밝게 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또는 유전에 기인한 기미나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을 개선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량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할 때 바람직한 항염증 효과 및 미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량'이라 함은 피부의 염증을 억제하거나, 미백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화합물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유효량은 조성물이 제품화되는 형태, 상기 화합물이 피부에 적용되는 방법 및 피부에 머무르는 시간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이 의약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는 일상적으로 피부에 적용하게 되는 화장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 비해 높은 농도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해당 용도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및 미백용 피부 외용제의 제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피부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피부 외용제 제형으로 제공될 경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와 같은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및 미백용 화장료의 제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화장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제조되는 화장품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과 같은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과 같은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과 같은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과 같은 메이크업 제거제, 클렌징 폼, 비누, 바디 워쉬 등과 같은 세정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화장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 유효성분이 단기간 내에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메이크업 제거제, 세정제 등과 같은 워쉬-오프(wash-off)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비교적 높은 농도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유효성분이 장기간 동안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등의 리브-온(leave-on)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워쉬-오프 타입의 화장품에 비해 낮은 농도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해도 무방할 것이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바람직하게는 0.0001 중량% 내지 1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0.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충분한 항염증 및 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알러지 등 원치 않는 반응이 발생하거나 피부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조예 1: 스티븐립 ( Stevenleaf ) 물질 정보
[화학식 1]
Figure pat00005
(2R,3R,4S,5S,6R)-2-[[(10R,12S,14R)-17-[(2R)-2-[[(2S,3R,4R,5S,6R)-6-[[(2S,3R,4S,5R)-4,5-dihydroxy-3-methoxy-2-oxanyl]oxymethyl]-3,4,5-trihydroxy-2-oxanyl]oxy]-6-methylhept-5-en-2-yl]-12-hydroxy-4,4,10,14-tetramethyl-1,2,3,5,6,7,8,9,11,12,13,15,16,17-tetrad
CAS No.: 80321-63-7
구입처: Sichuan Hongjie Import&Export CO., LTD
실시예 1: 미백 효과-멜라닌 총량 감소 효과 확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쥐의 멜라노마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 수준에서의 미백 효과를 실험하였다. (Lotan R., Lotan D. Cancer Res. 40:3345-3350, 1980).
실험 전 쥐의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독성을 평가하여 독성이 없는 농도를 선정하여 미백평가를 수행하였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을 배양액에 최종농도가 1 ppm, 2.5 ppm, 5 ppm, 10 ppm, 20 ppm가 되도록 하여 실험하였으며, 대조군인 알부틴은 200 ppm가 되도록 배지에 첨가하여 각각 B-16 멜라노마 세포에 처리하여 3일간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들을 트립신(trypsin) 처리하여 배양용기로부터 떼어내 원심분리 한 후 멜라닌을 추출하였다. 떼어낸 세포는 수산화 나트륨 용액(1N) 1 ml을 가하여 10분간 끓여 멜라닌을 녹이고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4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멜라닌의 양을 측정하였다.
상기 멜라닌 양은 단위 세포수당(106 cell)의 흡광도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멜라닌 생성량을 저해율(%)로 계산하고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였다. 또한, 실험은 3번 반복된 것이다.
농도에 따른 세포수준에서의 멜라닌 총량 감소 효과
시료 멜라닌생성량(Abs.) 저해율(%)
대조군(무첨가) 0.234 -
대조군 1: 알부틴(200 ppm) 0.156 33.3
화학식1의 화합물(20 ppm) 0.078 66.7
화학식1의 화합물(10 ppm) 0.131 44
화학식1의 화합물(5 ppm) 0.142 39.3
표 1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화학식1의 화합물은 기존에 알려진 미백 물질인 알부틴(Arbutin)과 비교할 때 배양된 쥐의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월등히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항염증 효과- NO 생성 억제 효과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항염증 효과 및 피부트러블 완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RAW264.7 세포주 (ATCC number: CRL-2278)를 이용한 GRIESS 법으로 nitric oxide(NO) 형성억제력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생쥐의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를 수차례 계대 배양하고, 웰 하나에 3×105 개씩 들어가도록 24-웰 플레이트에 넣은 후, 24 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이어서, 하기 표 2에 나타난 농도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희석하여 함유한 세포 배지로 교체하였다. 이때, NO-생성 억제물질인 L-NMMA(L-NG-Monomethylarginine) 0.001%를 양성 대조군으로 함께 처리하여 30분 동안 배양하였고, 자극원으로 LPS(Lipopolysaccharide)를 1 μg씩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층액을 100 μl씩 취해 96-웰 플레이트에 옮기고, 그리스(GRIESS) 용액을 100 μl씩 가해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고, 54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화합물 1의 NO 억제 효과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NO 생성 억제 효과
시료 NO 생성 억제율(%)
L-NMMA (양성 대조군) 44.33
화학식1의 화합물(0.001 %) 17.21
화학식1의 화합물(0.01 %) 25.42
화학식1의 화합물(0.1 %) 29.54
화학식1의 화합물(1 %) 35.27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대표적인 항염 의약물질인 L-NMMA와 비교하였을 때, 그 활성이 유사하며, 천연물질로써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어, 미백 또는 주름 개선에 있어, 항염 효과가 보조적인 역할로 작용하여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 산제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0.001g
유당 1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 정제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0.2㎎
옥수수전분 100㎎
유 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 캡슐제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0.2㎎
옥수수전분 100㎎
유 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4. 환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0.003 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5. 과립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2 ㎎
대두 추출물 50 ㎎
포도당 200 ㎎
전분 60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제제예 2: 화장품의 제조
1. 유연화장수(스킨로션)의 제조
하기 조성과 같이,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화학식 1의 화합물 0.1 중량%
베타-1,3-글루칸 1.0 중량%
부틸렌글리콜 2.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2.0 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중량%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중량%
폴리솔베이트80 0.4 중량%
에탄올 10.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1 중량%
방부제 0.05 중량%
색소 0.05 중량%
향료 0.05 중량%
정제수 to 100 중량%
2. 영양화장수(밀크로션)의 제조
하기 조성과 같이,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화학식 1의 화합물 0.1 중량%
베타-1,3-글루칸 1.0 중량%
밀납 4.0 중량%
폴리솔베이트60 1.5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중량%
유동파라핀 0.5 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중량%
글리세린 3.0 중량%
부틸렌글리콜 3.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3.0 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
방부제 0.05 중량%
색소 0.05 중량%
향료 0.05 중량%
정제수 to 100 중량%
3. 영양크림의 제조
하기 조성과 같이,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화학식 1의 화합물 0.2중량%
베타-1,3-글루칸 5.0 중량%
밀납 10.0 중량%
폴리솔베이트60 1.5 중량%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중량%
유동파라핀 10.0 중량%
스쿠알란 5.0 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중량%
글리세린 5.0 중량%
부틸렌글리콜 3.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3.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
방부제 0.05 중량%
색소 0.05 중량%
향료 0.05 중량%
정제수 to 100 중량%
4. 마사지크림의 제조
하기 조성과 같이,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마사지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화학식 1의 화합물 0.1 중량%
베타-1,3-글루칸 3.0 중량%
밀납 10.0 중량%
폴리솔베이트60 1.5 중량%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중량%
유동파라핀 40.0 중량%
스쿠알란 5.0 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중량%
글리세린 5.0 중량%
부틸렌글리콜 3.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3.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
방부제 0.05 중량%
색소 0.05 중량%
향료 0.05 중량%
정제수 to 100 중량%
5. 팩의 제조
하기 조성과 같이,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화학식 1의 화합물 0.2 중량%
베타-1,3-글루칸 1.0 중량%
폴리비닐알콜 13.0 중량%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중량%
글리세린 5.0 중량%
알란토인 0.1 중량%
에탄올 6.0 중량%
피이지 -12 노닐페닐에테르 0.3 중량%
폴리솔베이트 60 0.3 중량%
방부제 0.05 중량%
색소 0.05 중량%
향료 0.05 중량%
정제수 to 100 중량%
제제예 3: 피부외용제의 제조
1. 젤의 제조
하기 조성과 같이,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젤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화학식 1의 화합물 0.1 중량%
베타-1,3-글루칸 0.1 중량%
에틸렌디아민초산나트륨 0.05 중량%
글리세린 5.0 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중량%
에탄올 5.0 중량%
피이지-60 경화피마자유 0.5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3 중량%
방부제 0.05 중량%
색소 0.05 중량%
향료 0.05 중량%
정제수 to 100 중량%
2. 연고의 제조
하기 조성과 같이,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연고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화학식 1의 화합물 0.5 중량%
베타-1,3-글루칸 10.0 중량%
밀납 10.0 중량%
폴리솔베이트60 5.0 중량%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중량%
바셀린 5.0 중량%
유동파라핀 10.0 중량%
스쿠알란 5.0 중량%
쉐어버터 3.0 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중량%
글리세린 10.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10.2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
방부제 0.05 중량%
색소 0.05 중량%
향료 0.05 중량%
정제수 to 100 중량%
3. 국소투여용 약제(겔 연고제) 의 제조
하기 조성과 같이,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겔 연고제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화학식 1의 화합물 0.5 중량%
베타-1,3-글루칸 10.0 중량%
폴리아크릴산(Carbopol 940) 1.5 중량%
이소프로판올 5.0 중량%
헥실렌글리콜 25.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1.7 중량%
탈이온수 to 100 중량%
4. 국소 투여용 약제(패취제)의 제조
하기 조성과 같이,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취제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화학식 1의 화합물 0.5 중량%
베타-1,3-글루칸 3.0 중량%
헥실렌글리콜 20.0 중량%
디에틸아민 0.7 중량%
폴리아크릴산(Carbopol 934P) 1.0 중량%
아황산나트륨 0.1 중량%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E.O=9) 1.0 중량%
폴리히드록시에틸렌세틸스테아릴에테르(Cetomacrogol 1000) 1.0 중량%
점성의 파라핀 오일 2.5 중량%
카프릴산에스테르/카프르산에스테르(Cetiol LC) 2.5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400 3.0 중량%
탈이온수 to 100 중량%

Claims (4)

  1.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6

  2.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7

  3.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8

  4.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9


KR1020140000453A 2013-11-18 2014-01-02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489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0056 2013-11-18
KR1020130140056 2013-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921A true KR20150057921A (ko) 2015-05-28
KR102248956B1 KR102248956B1 (ko) 2021-05-07

Family

ID=53392654

Family Applications (2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388A KR102190896B1 (ko) 2013-11-18 2014-01-02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452A KR102141081B1 (ko) 2013-11-18 2014-01-02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443A KR20150057911A (ko) 2013-11-18 2014-01-02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384A KR20150057899A (ko) 2013-11-18 2014-01-02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385A KR102214376B1 (ko) 2013-11-18 2014-01-02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447A KR20150057915A (ko) 2013-11-18 2014-01-02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445A KR102132833B1 (ko) 2013-11-18 2014-01-02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389A KR102282748B1 (ko) 2013-11-18 2014-01-02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441A KR20150057909A (ko) 2013-11-18 2014-01-02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453A KR102248956B1 (ko) 2013-11-18 2014-01-02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442A KR20150057910A (ko) 2013-11-18 2014-01-02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393A KR102201194B1 (ko) 2013-11-18 2014-01-02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446A KR20150057914A (ko) 2013-11-18 2014-01-02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454A KR20150057922A (ko) 2013-11-18 2014-01-02 피부 항염증용 조성물
KR1020140000390A KR20150057904A (ko) 2013-11-18 2014-01-02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391A KR102201192B1 (ko) 2013-11-18 2014-01-02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449A KR102144670B1 (ko) 2013-11-18 2014-01-02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394A KR102141080B1 (ko) 2013-11-18 2014-01-02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382A KR20150057897A (ko) 2013-11-18 2014-01-02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383A KR102146879B1 (ko) 2013-11-18 2014-01-02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451A KR102092849B1 (ko) 2013-11-18 2014-01-02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386A KR102100270B1 (ko) 2013-11-18 2014-01-02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392A KR102201193B1 (ko) 2013-11-18 2014-01-02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381A KR102248954B1 (ko) 2013-11-18 2014-01-02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450A KR20150057918A (ko) 2013-11-18 2014-01-02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448A KR20150057916A (ko) 2013-11-18 2014-01-02 피부 재생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0140000444A KR102248955B1 (ko) 2013-11-18 2014-01-02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200179361A KR102214378B1 (ko) 2013-11-18 2020-12-21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388A KR102190896B1 (ko) 2013-11-18 2014-01-02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452A KR102141081B1 (ko) 2013-11-18 2014-01-02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443A KR20150057911A (ko) 2013-11-18 2014-01-02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384A KR20150057899A (ko) 2013-11-18 2014-01-02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385A KR102214376B1 (ko) 2013-11-18 2014-01-02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447A KR20150057915A (ko) 2013-11-18 2014-01-02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445A KR102132833B1 (ko) 2013-11-18 2014-01-02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389A KR102282748B1 (ko) 2013-11-18 2014-01-02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441A KR20150057909A (ko) 2013-11-18 2014-01-02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442A KR20150057910A (ko) 2013-11-18 2014-01-02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393A KR102201194B1 (ko) 2013-11-18 2014-01-02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446A KR20150057914A (ko) 2013-11-18 2014-01-02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454A KR20150057922A (ko) 2013-11-18 2014-01-02 피부 항염증용 조성물
KR1020140000390A KR20150057904A (ko) 2013-11-18 2014-01-02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391A KR102201192B1 (ko) 2013-11-18 2014-01-02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449A KR102144670B1 (ko) 2013-11-18 2014-01-02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394A KR102141080B1 (ko) 2013-11-18 2014-01-02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382A KR20150057897A (ko) 2013-11-18 2014-01-02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383A KR102146879B1 (ko) 2013-11-18 2014-01-02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451A KR102092849B1 (ko) 2013-11-18 2014-01-02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386A KR102100270B1 (ko) 2013-11-18 2014-01-02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392A KR102201193B1 (ko) 2013-11-18 2014-01-02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381A KR102248954B1 (ko) 2013-11-18 2014-01-02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450A KR20150057918A (ko) 2013-11-18 2014-01-02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00448A KR20150057916A (ko) 2013-11-18 2014-01-02 피부 재생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0140000444A KR102248955B1 (ko) 2013-11-18 2014-01-02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200179361A KR102214378B1 (ko) 2013-11-18 2020-12-21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8) KR1021908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896B1 (ko) * 2013-11-18 2020-12-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58838B1 (ko) * 2014-08-13 2021-05-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그놀린을 포함하는 흑화,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397975B1 (ko) * 2015-09-10 2022-05-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키레놀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725714B1 (ko) 2016-01-21 2017-04-1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락시넬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611504B1 (ko) * 2016-05-27 2023-12-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키레놀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US11654169B2 (en) 2016-09-06 2023-05-23 Sinphar Pharmaceutical Co., Ltd. Methods for protecting skin and/or promoting wound healing
CN106749288B (zh) * 2016-11-25 2018-07-10 郑州大学 N-(取代苯基)吡唑并梣酮类衍生物、其制备方法及应用
CN108785322B (zh) * 2017-04-28 2020-11-27 南京葆赫生物技术有限公司 黑骨藤c21甾类在制备ido抑制剂中的用途
WO2019022475A2 (ko) * 2017-07-28 2019-01-31 한국 한의학 연구원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222919B1 (ko) * 2018-07-06 2021-03-04 주식회사 씨케이바이오텍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324869B1 (ko) * 2018-10-02 2021-11-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N109394774A (zh) * 2018-10-30 2019-03-01 青岛大学 连翘酯苷b在制备抑制瞬时感受器电位香草素受体3通道治疗瘙痒产品中的应用
CN109223810A (zh) * 2018-10-30 2019-01-18 青岛大学 异毛蕊花糖苷在制备抑制瞬时感受器电位香草素受体3通道治疗瘙痒产品中的应用
CN109432109A (zh) * 2018-10-30 2019-03-08 青岛大学 松果菊苷在制备抑制瞬时感受器电位香草素受体3通道治疗瘙痒产品中的应用
CN109091485A (zh) * 2018-10-30 2018-12-28 青岛大学 金石蚕苷在制备抑制瞬时感受器电位香草素受体3通道治疗瘙痒产品中的应用
KR102161851B1 (ko) * 2018-11-23 2020-10-06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프락시넬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급성 췌장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CN111494360B (zh) * 2020-04-29 2021-02-12 陕西师范大学 朝藿定c治疗糖尿病肝损伤的药物应用
CN113143895B (zh) * 2021-04-06 2022-12-09 山东大学 奇任醇在早产儿脑损伤中的应用
KR20220169510A (ko) 2021-06-18 2022-12-2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불멸화 줄기세포의 엑소좀 풍부 배양액 및 보툴리눔 독소를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2010A (ko) * 2006-09-05 2008-03-10 코스맥스 주식회사 돌외 조사포닌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조성물
KR20100056722A (ko) * 2008-11-20 2010-05-28 주식회사 롯데주류비지 생물전환 삼 사포닌을 함유한 발효주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9769A (en) 1994-12-20 1996-06-25 Chesebrough-Pond's Usa Co., Division Of Conopco, Inc.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betulinic acid
JPH08231370A (ja) 1995-02-23 1996-09-10 Taiyo Kagaku Co Ltd 皮膚化粧料
JPH0940523A (ja) 1995-07-28 1997-02-10 Ichimaru Pharcos Co Ltd クロレラ水抽出物含有線維芽細胞増殖促進物質
JP3966922B2 (ja) 1996-07-18 2007-08-29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
KR20020047761A (ko) * 2000-12-14 2002-06-22 김광석 백선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자유라디칼 소거) 화장료
KR100638056B1 (ko) * 2000-12-15 2006-10-2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연교추출물을 함유한 미백제
DE10121252A1 (de) * 2001-04-30 2002-11-07 Christos C Zouboulis Behandlung der Akne
JP3793714B2 (ja) 2001-12-05 2006-07-05 第一製薬株式会社 抗アレルギー剤
KR20040049999A (ko) 2002-12-06 2004-06-14 주식회사 태평양 신규한 미백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외용제 조성물
EP1711194B1 (en) * 2003-10-24 2009-11-25 Cognis France, S.A.S. A plant extract and its pharmaceutical and cosmetic use
US20080095866A1 (en) * 2004-09-14 2008-04-24 Ajinomoto Omnichem S.A. Topical Compositions Containing Phosphorylated Polyphenols
US20060205679A1 (en) * 2004-10-22 2006-09-14 Azaya Therapeutics, Inc. Topical and oral formulations of cardiac glycosides for treating skin diseases
US20080274068A1 (en) 2005-10-05 2008-11-06 Tomoko Tanaka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Containing a Phosphorlated Saccharide
KR100825450B1 (ko) * 2006-06-30 2008-04-28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1209255B (zh) * 2006-12-28 2013-04-03 山东新时代药业有限公司 连翘酯苷注射制剂及其制备方法
KR100846125B1 (ko) * 2007-03-30 2008-07-15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피페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JP2010090069A (ja) 2008-10-09 2010-04-22 Shiseido Co Ltd 美白剤および皮膚外用剤
KR101079980B1 (ko) * 2009-02-12 2011-11-04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신이로부터 분리된 리그난 성분과 그 용도
ES2689170T3 (es) 2009-08-31 2018-11-08 Avon Products, Inc. Usos cosméticos de extractos de levadura estresada modificados y composiciones relacionadas
JP2011219402A (ja) * 2010-04-08 2011-11-04 Pola Chemical Industries Inc Pomc産生抑制剤
KR101155753B1 (ko) * 2010-09-29 2012-06-12 동아제약주식회사 퀴놀린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1832283B1 (ko) * 2012-01-13 2018-02-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CN102631362B (zh) * 2012-01-19 2013-04-24 中国人民解放军第二军医大学 射干异黄酮类化合物在制备预防和治疗紫外线致皮肤损伤药物中的应用
KR101452582B1 (ko) * 2012-09-28 2014-10-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테트라하이드로팔마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90896B1 (ko) * 2013-11-18 2020-12-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2010A (ko) * 2006-09-05 2008-03-10 코스맥스 주식회사 돌외 조사포닌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조성물
KR20100056722A (ko) * 2008-11-20 2010-05-28 주식회사 롯데주류비지 생물전환 삼 사포닌을 함유한 발효주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NCER BIOTHERAPY, Volume 8, Number 3, (199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898A (ko) 2015-05-28
KR20150057913A (ko) 2015-05-28
KR102282748B1 (ko) 2021-07-29
KR20150057906A (ko) 2015-05-28
KR102141081B1 (ko) 2020-08-04
KR20150057899A (ko) 2015-05-28
KR20150057920A (ko) 2015-05-28
KR20150057917A (ko) 2015-05-28
KR20210005820A (ko) 2021-01-15
KR20150057914A (ko) 2015-05-28
KR102092849B1 (ko) 2020-03-24
KR20150057897A (ko) 2015-05-28
KR20150057900A (ko) 2015-05-28
KR102144670B1 (ko) 2020-08-14
KR20150057916A (ko) 2015-05-28
KR102248956B1 (ko) 2021-05-07
KR20150057909A (ko) 2015-05-28
KR20150057922A (ko) 2015-05-28
KR102141080B1 (ko) 2020-08-04
KR20150057901A (ko) 2015-05-28
KR20150057904A (ko) 2015-05-28
KR102248955B1 (ko) 2021-05-07
KR20150057908A (ko) 2015-05-28
KR20150057896A (ko) 2015-05-28
KR102146879B1 (ko) 2020-08-21
KR20150057919A (ko) 2015-05-28
KR102248954B1 (ko) 2021-05-07
KR20150057905A (ko) 2015-05-28
KR20150057911A (ko) 2015-05-28
KR102100270B1 (ko) 2020-04-14
KR102214378B1 (ko) 2021-02-10
KR102132833B1 (ko) 2020-07-13
KR102190896B1 (ko) 2020-12-15
KR20150057903A (ko) 2015-05-28
KR20150057902A (ko) 2015-05-28
KR102214376B1 (ko) 2021-02-10
KR20150057915A (ko) 2015-05-28
KR20150057918A (ko) 2015-05-28
KR102201194B1 (ko) 2021-01-12
KR20150057910A (ko) 2015-05-28
KR102201192B1 (ko) 2021-01-12
KR20150057912A (ko) 2015-05-28
KR20150057907A (ko) 2015-05-28
KR102201193B1 (ko) 202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8956B1 (ko)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31978B1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50019569A (ko) 피부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89011B1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89479B1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50019545A (ko)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1989014B1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99948B1 (ko) 피부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73818B1 (ko) 피부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5671211B2 (ja) ヒドロキシカルボン酸誘導体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102000520B1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99539B1 (ko)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89015B1 (ko)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89013B1 (ko)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50019570A (ko) 피부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50019547A (ko)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91432B1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50019554A (ko)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00515B1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89429B1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50019673A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50019561A (ko) 피부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50019542A (ko)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50019671A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