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9980B1 - 신이로부터 분리된 리그난 성분과 그 용도 - Google Patents

신이로부터 분리된 리그난 성분과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9980B1
KR101079980B1 KR1020090011283A KR20090011283A KR101079980B1 KR 101079980 B1 KR101079980 B1 KR 101079980B1 KR 1020090011283 A KR1020090011283 A KR 1020090011283A KR 20090011283 A KR20090011283 A KR 20090011283A KR 101079980 B1 KR101079980 B1 KR 101079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x
inos
lignan
activity
inflamma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2094A (ko
Inventor
류재하
김지선
김재연
Original Assignee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11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9980B1/ko
Publication of KR20100092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 C07D49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3/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Abstract

본 발명은 목련(magnolia)속 약용식물인 ‘신이’ (Flos magnoliae, 목련과)로부터 분리된 리그난 성분과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신이로부터 분리된 항염증 활성을 갖는 7개의 리그난 성분이 제공되며, 이들의 NO, PGE2의 생성억제활성 그리고 그 생성효소인 iNOS 및 COX-2의 발현저해활성이 확인된다. 본 발명에서 분리된 신이의 리그난 성분 화합물들은 과도한 NO 및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을 억제함으로써 이 염증성 매개인자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신이, 목련(magnolia)속, 리그난, NO, PGE2, 프로스타글란딘, 항염증

Description

신이로부터 분리된 리그난 성분과 그 용도 {Lignans from Flos Magnoliae and their Use}
본 발명은 목련(magnolia)속 식물로부터 분리된 생리활성 성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이(Flos magnoliae, 목련과)로부터 분리된 리그난 성분과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산화질소 (Nitric oxide, NO)는 NOS (nitric oxide synthase)효소에 의하여 L-아르기닌(L-arginine)의 산화에 의해 생성되며1 NOS에는 3가지의 subtype이 알려져 있다. eNOS와 nNOS는 각각 혈압의 조절 및 신경전달을 위해 필요한 소량의 NO를 생성한다.2 충추신경계 (CNS)에서 신경전달체로서의 NO는 뇌발달, 고통인식, 기억 등에 관여한다.3 한편 유도형 NOS (iNOS)는 여러 면역학적 자극4 에 의해 유도되어 다량의 NO를 지속적으로 생산한다. 5 iNOS가 생성한 NO는 외부 병원균에 대하여 방어기전으로 작용하기도 하지만, 과도하게 생성된 NO는 만성 염증,6 발암,7 패혈 증, 뇌손상 등의9 병리적인 현상의 원인이 된다.8 또한 NO는 cyclooxygenase-2 (COX-2)를 활성화하여 프로스타글란딘 (PGs)의 생성을 현저하게 증가시킨다.10
프로스타글란딘류(PGs)는 COX 효소작용 경로를 통해 아라키돈산으로부터 합성된다. COX 효소 중 COX-1은 정상적인 조건에서 체내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PGs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유도형인 COX-2는 각종 사이토카인 및 리포폴리사카라이드 (lipopolysaccharide, LPS)와 같은 내독소와 같은 염증매개인자들에 의해 발현되며, COX-2에 의해 대량의 프로스타글란딘을 생성하여 염증을 심화시킨다. 이와 같은 이유로 COX-2는 각종 염증성 질환, 발암, 암전이 및 각종 산화성 뇌질환의 원인을 제공한다.11
소교세포 (microglial cells)는 중추신경계에서 면역조절역할을 하는 세포로서 각종 뇌손상 및 염증 조건에서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소교세포는 NO를 포함한 각종 염증성 매개체들을 포함한 뇌독소를 생성하여 뇌세포를 사멸케 한다.12 활성화된 소교세포에서는 COX-2의 발현도 증가하며,13 COX-2발현을 저해함으로써 뇌세포의 사멸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신이’ (Flos magnoliae, 목련과)는 목련 (magnolia)속의 꽃봉우리를 말려서 사용하는 한약재로써, 전통적으로 알레르기성 비염, 부비동염 등의 각종 염증의 치료목적으로 사용되었다. 15 신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은 항염증, 항알레르기, 항류마티스 관절염, 암전이 억제 활성 등이 보고되었다.16 알려진 화합물들은 magnone A 및 B, fargesone A 및 B, denudatin B, magnolin, lirioresinol-B dimethylether 등이며, fargesin 와 aschantin 는 Ca2+ 길항작용 및 혈소판활성 억제작용을 가진다.17 신이의 리그난성분은 단핵구세포 표면의 부착분자의 발현을 억제한다는 보고도 있다.18
목련속에서 분리된 유효성분에 관한 특허문헌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0-0066932호가 있다. 이 특허문헌에서는 목련속 식물의 잎에서 추출한 세스퀴테르펜 락톤(sesquiterpene lactone) 화합물로서, NO나 종양괴사인자-알파(TNF-α)의 생성을 억제하고 염증매개인자의 발현에 중요한 전사인자인 NF-κB의 활성화를 억제함으로써 염증관련 질환 및 면역질환의 치료에 이용될 수 있는 코스투놀라이드(costunolide) 화합물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신이로부터 NO 및 프로스타글란딘 합성 억제와 관련된 효과를 가진 리그난 성분을 분리하여 그 구조를 확인한 연구결과는 아직까지 없다.
[참고문헌]
1. Steuuhr, D. J. Annual Review of Pharmacology and Toxicology 1997, 37, 339.
2. Alderton, W. K.; Cooper, C. E.; Knowles, R. G. Biochem. J. 2001, 357, 593.
3. Chabrier, P. E.; Demerle-Pallardy, C.; Auguet, M. Cell. Mol. Life Sci. 1999, 55, 1029.
4. MacMicking, J.; Xie, Q. W.; Nathan, C. Annu. Rev. Immunol. 1997, 15, 323.
5. Nathan, C. Faseb J. 1992, 6, 3051.
6. Cuzzocrea, S.; Chatterjee, P. K.; Mazzon, E.; McDonald, M. C.; Dugo, L.; Di Paola, R.; Serraino, I.; Britti, D.; Caputi, A. P.; Thiemermann, C. Eur. J. Pharmacol. 2002, 453, 119.
7. Hussain, S. P.; Hofseth, L. J.; Harris, C. C. Nat. Rev. Cancer 2003, 3, 276.
8. Lehner, M. D.; Marx, D.; Boer, R.; Strub, A.; Hesslinger, C.; Eltze, M.; Ulrich, W. R.; Schwoebel, F.; Schermuly, R. T.; Barsig, J. J. Pharmacol. Exp. Ther. 2006, 317, 181.
9. Colton, C. A.; Vitek, M. P.; Wink, D. A.; Xu, Q.; Cantillana, V.; Previti, M. L.; Van Nostrand, W. E.; Weinberg, J. B.; Dawson, H. Proc. Natl. Acad. Sci. U.S.A. 2006, 103, 12867.
10. Salvemini, D.; Misko, T. P.; Masferrer, J. L.; Seibert, K.; Currie, M. G.; Needleman, P. Proc. Natl. Acad. Sci. U.S.A. 1993, 90, 7240.
8. (a) Xie, W. L.; Chipman, J. G.; Robertson, D. L.; Erikson, R. L.; Simmons, D. L. Proc. Natl. Acad. Sci. U.S.A. 1991, 88, 2692; (b) Fletcher, B. S.; Kujubu, D. A.; Perrin, D. M.; Herschman, H. R. J. Biol. Chem. 1992, 267, 4338.
11. (a) Rimarachin, J. A.; Jacobson, J. A.; Szabo, P.; Maclouf, J.; Creminon, C.; Weksler, B. B. Arterioscler. Thromb. 1994, 14, 1021; (b) McGeer, P. L.; McGeer, E. G. Muscle Nerve 2002, 26, 459.
10. Mitchell, J. A.; Larkin, S.; Williams, T. J. Biochem. Pharmacol. 1995, 50, 1535.
11. Shimizu, T.; Wolfe, L. S. J. Neurochem. 1990, 55, 1.
12. (a) Pawate, S.; Shen, Q.; Fan, F.; Bhat, N. R. J. Neurosci. Res. 2004, 77, 540; (b) Pocock, J. M.; Liddle, A. C. Prog. Brain Res. 2001, 132, 555; (c) Gibbons, H. M.; Dragunow, M. Brain Res. 2006, 1084, 1.
13. Acarin, L.; Peluffo, H.; Gonzalez, B.; Castellano, B. J. Neurosci. Res. 2002, 68, 745.
14. Choi, S. H.; Joe, E. H.; Kim, S. U.; Jin, B. K. J. Neurosci. 2003, 23, 5877.
15. Namba, T. Coloured Illustrations of Wakan-Yaku (Crude Drugs in Japan, China and Neighboring Countries); Hoikusha Publishing; Osaka, 1980; Vol. II.
16. (a) Kimura, M.; Suzuki, J.; Yamada, T.; Yoshizaki, M.; Kikuchi, T.; Kadota, S.; Matsuda, S. Planta Med. 1985, 51, 291; (b) Kim, H. M.; Yi, J. M.; Lim, K. S. Pharmacol. Res. 1999, 39, 107; (c) Kobayashi, S.; Kobayashi, H.; Matsuno, H.; Kimura, I.; Kimura, M. Immunopharmacol. 1998, 39, 139; (d) Kimura, M.; Kobayashi, S.; Luo, B.; Kimura, I. Int. Arch. Allergy Appl. Immunol. 1990, 93, 365.
17. (a) Chen, C. C.; Huang, Y. L.; Chen, H. T.; Chen, Y. P.; Hsu, H. Y. Planta Med. 1988, 54, 438; (b) Jung, K. Y.; Kim, D. S.; Oh, S. R.; Park, S. H.; Lee, I. S.; Lee, J. J.; Shin, D. H.; Lee, H. K. J. Nat. Prod. 1998, 61, 808; (c) Pan, J.-X.; Hensens, O. D.; Zink, D. L.; Chang, M. N.; Hwang, S.-B. Phytochem. 1987, 26, 1377.
18. Ahn, K. S.; Jung, K. Y.; Kim, J. H.; Oh, S. R.; Lee, H. K. Biol. Pharm. Bull. 2001, 24, 1085.
19. Ahmed, A.; Mahmoud, A. A.; Ali, E. T.; Tzakou, O.; Couladis, M.; Mabry, T. J.; Gati, T.; Toth, G. Achillea holosericea. Phytochem. 2002, 59 , 851.
20. Biavatti, M. W.; Vieira, P. C.; da Silva, M, F.; Fernandes, J. B.; Degani, A. L.; Cass, Q. B.; Schefer, A. B.; Ferreira, A. G. Phytochem. Anal. 2001, 12, 64.
21. (a) Miyazawa, M.; Kasahara, H.; Kameoka, H. Phytochem. 1995, 39, 1027; (b) Ahmed, A. A.; Mahmoud, A. A.; Ali, E. T.; Tzakou, O.; Couladis, M.; Mabry, T. J.; Gati, T.; Toth, G. Phytochem. 2002, 59, 851; (c) Xu, G. H.; Kim, J. A.; Park, S. H.; Son, A. R.; Chang, T. S.; Chang, H. W.; Chung, S. R.; Lee, S. H. Kor. J. Pharmacog. 2004, 35, 152.
22. Matsushita, H.; Miyase, T.; Ueno, A. Phytochem. 1991, 30, 2025.
23. Pelter, A.; Ward, R. S.; Rao, E. V.; Sastry, K. V. Tetrahedron 1976, 32, 2783.
본 발명은 약용식물 신이로부터 활성을 나타내는 리그난 성분을 분리하여 그 화학구조와 효과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신이로부터 항염증 작용물질로 7개의 리그난 화합물을 분리하여 도 1과 같이 구조를 확인하였으며, 또한 이들의 NO, PGE2의 생성억제활성 그리고 그 생성효소인 iNOS 및 COX-2의 발현저해활성을 확인하였다.
이 중 에피마그놀린(epimagnolin) B는 천연에서 새로운 구조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들은 활성화한 소교세포에서 NO, PGE2의 생성억제 및 이들의 합성효소인 iNOS와 COX-2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분리된 신이의 리그난 성분들은 과도한 NO 및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을 억제함으로써 이 염증성 매개인자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질환에는 특히 관절염과 같은 각종 염증성 질환, 발암, 산화성 뇌질환 등이 포함되며, 산화성 뇌질환에는 알츠하이머병과 파킨슨병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과도한 NO 및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을 억제함으로써 이 염증성 매개인자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염증성 질환 및 발암을 억제하고 특히 알츠하이머병 또는 파킨슨병과 같은 산화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신이로부터 LPS로 활성화한 소교세포에서 NO생성을 저해하는 활성성분으로, 7종의 리그난 성분: kobusin (1), aschantin (2), fargesin (3), (+)-eudesmin (4), (+)-magnolin (5), (+)-yangambin (6) 과 자연계에서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화학구조를 갖는 성분 epimagnolin B (7) 를 분리하였다. 화합물 1, 2, 3은 NO생성효소인 iNOS의 발현을 억제하였으며, 퍼옥시니트라이트(peroxynitrite)를 소거하는 활성을 나타내었다. 화합물 7은 활성화한 소교세포에서 NO생성 및 PGE2생성을 억제하였으며, 각각의 생성효소인 iNOS와 COX-2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표 1에 신이로부터 분리된 7개의 리그난 성분을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08613562-pat00001
[실시예]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약 및 기기
1H NMR spectra와 13C NMR spectra는 Varian 400 스펙트로메터를 이용하여 테트라메틸실란을 내부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chemical shift는 δ 값 (ppm단위)으로, coupling constant는 Hz 단위로 나타내었다. IR spectra는 Jasco FT/IR-430으로 측정하였으며, frequency는 cm-1 로 표시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는 Kiesel gel 60 F254 (Merck)를, 컬럼크로마토그래피용 실리카겔은 Kisel gel 60, 230-400 mesh (Merck)를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시약들은 알드리치(Aldrich)사에서 구입하였으며 기타 용매는 1급 이상의 시약을 사용하였다.
신이로부터 활성물질의 분리
신이 시료 (Flos magnoliae, 3 kg)를 환류냉각하면서 메탄올을 용매로 3시간씩 3회 추출하여 추출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추출물 (710 g)을 물에 분산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분획 (382 g)을 얻었다.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분획 (10 g)을 n-헥산(hexane) : EtOAc를 이동상으로 10:1부터 1:1까지 기울기 용리하면서 실리카컬럼크로마토그래피하여 10개의 분획 (F1 ~ F10)을 얻었다.
분획 F4 (370 ㎎)를 n-헥산 : 아세톤을 이동상으로 30:1부터 10:1까지 기울기 용리하면서 실리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활성분획 F4-2(46 ㎎)를 얻었다. 분획 8 (559 ㎎)을 CHCl3 : MeOH 을 이동상으로 100:1부터 10:1까지 기울기 용리하면서 활성분획 F8-2(61 ㎎), F8-3(13 ㎎) 을 얻었다. 소분획 F8-2, F8-3, F4-2를 semi-preparative HPLC (컬럼 μ-Bondapak C-18, 10 x 300 ㎜; 이동상 45% CH3CN, 유속 2.0 ㎖/min, 검출기 UV 254 nm)를 시행하여 순수한 물질 kobusin (1, 30 ㎎), aschantin (2, 8 ㎎), fargesin (3, 16 ㎎)을 각각 얻었다.
분획 F9 중 일부 (450 ㎎)에 대해 역상컬럼을 이용한 semi-preparative HPLC (컬럼 Inertsil ODS-2, 10 x 250 mm; 이동상 45% CH3CN, 유속 2.0 ㎖/min, 검출기 UV 254 nm)를 시행하여 (+)-eudesmin (4, 14 ㎎), (+)-magnolin (5, 38 ㎎), (+)-yangambin (6, 11 ㎎) 및 epimagnolin B (7, 14 ㎎)을 각각 순수하게 분리하였다.
활성물질의 구조 분석
신이에서 분리한 활성성분들의 구조는 도 1에 표시한 바와 같다.
화합물 1~6의 구조분석은 NMR 과 Mass 등의 각종 분광학적인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이 화합물들의 물리 화학적 자료들은 문헌에 보고된 값과 잘 일치하였다.19-21
화합물 7 은 노란색 유상물질로 분리되었으며 HRMS 결과로부터 [M]+ m/z 416.1873 (이론값 416.1835) 분자식을 C23H28O7로 확인하였다. 1H-NMR에서 5개의 메톡시기의 피크 (3.83 - 3.89)와 단일피크로 관찰된 3가지 환경의 방향족 수소 5개 (δ 6.59, 6.86, 6.93)를 확인하였다. 전반적인 1H-1H COSY와 HSQC 스펙트럼에서 관찰한 결과들로부터 화합물 7 이 furofuran계열의 2,6-diaryl-3,7-dioxabicyclo[3.3.0]octane22 골격을 가진 리그난의 구조로 예상되었다. H-1(δ 3.34) 과 H-2 (δ 4.88)의 저자장에서 발견되는 것으로부터 C-2위치의 β-arl기를, H-5 (δ 2.92) 와 H-6 (δ 4.43)가 고자장에서 발견되는 것으로부터 C-6위치의 α-aryl기의 결합방식을 각각 확정하였다. H-2 (J = 5.2 Hz) 와 H-6 (J = 7.2 Hz)의 결합상수값이 이 구조해석을 뒷받침하였다.23 방향족환에 소속된 수소와 주변 탄소 간의 원거리 결합에 대한 정보 (HMBC)와 메톡시기가 원거리 결합하는 사급탄소와 연결함으로써 메톡시기의 결합위치와 방향족환의 수소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었다. 또한 두 방향족의 결합위치도 방향족 환에 소속된 수소가 C-2 또는 C-6와 원거리 결합하는 현상을 이용해 환의 결합위치를 정확하게 동정하였다 (도 2 참조). 최종적으로 확정한 화합물 7의 구조는 3',5'-디메톡시페닐기가 dioxabicyclo-[3.3.0]octane 모핵으로 테트라하이드로푸란(tetrahydrofuran)의 C-2에 결합한 화합물이다. 지금까지 자연계로부터 3', 5'-이치환 페닐기를 가진 푸로푸란(furofuran) 계 리그난은 처음으로 발견된 것이다.
(+)-Epimagnolin B (7): yellow oil [α]D + 92.9° (c 0.9, CHCl3) UV (CHCl3) max (log ε) 206.6 (4.84), 274.4 (3.85) nm; IR (KBr) max 3020, 1585, 1510, 1465, 1338, 1250 cm-1; 1H-NMR (CDCl3, 400 MHz) δ 6.93 (1H, s, H-4'), 6.86 (2H, s, H-2', 6'), 6.59 (2H, s, H-2", 6"), 4.88 (1H, d, J = 5.2 Hz, H-2), 4.43 (1H, d, J = 7.2 Hz, H-6), 4.02 (1H, dd, J = 0.4, 9.6 Hz, H-4a), 3.91 (3H, s, OCH3-3'), 3.89 (2H, m, H-4b and H-8a), 3.88 (3H, s, OCH3-5'), 3.87 (6H, s, OCH3-3", 5"), 3.83 (3H, s, OCH3-4"), 3.34 (2H, m, H-1 와 H-8b), 2.92 (1H, m, H-5); 13C-NMR (CDCl3, 100 MHz) δ 153.3 (C-3" and 5"), 148.7 (C-3'), 147.9 (C-5'), 137.4 (C-4"), 136.7 (C-1"), 130.7 (C-1'), 117.6 (C-6'), 110.9 (C-2'), 108.8 (C-4'), 102.8 (C-2" 와 6"), 88.0 (C-6), 82.0 (C-2), 71.0 (C-4), 69.8 (C-8), 60.8 (OCH3-4"), 56.2 (OCH3-3" 와 5"), 55.93 (OCH3-5'), 55.90 (OCH3-3'), 54.6 (C-5), 50.1 (C-1); EI-MS m/z 416 [M]+ (100), 249 (38), 195 (56), 165 (47); HREIMS m/z 416.1873 (계산값 C23H28O7, 416.1835).
신이 리그난 화합물들의 in vitro 소염활성 검정
활성화한 소교세포로부터 생성되는 NO 및 PGE2의 분석은 각각 발색법 및 EIA (enzyme immunoassay)법을 사용하였다.
자세하게는 NO생성저해활성은 소교세포주 BV-2세포에 LPS와 시료를 처리하여 20시간 배양한 배양액 100 ㎕를 96well plate에 취하고 그리스(Griess)시약 (2.5% H3PO4, 1 % sulfanilamide, 0.1% naphthylethylenediamine용액) 150 ㎕씩을 가하고 10분 동안 반응하여 발색시킨 다음 ELISA 판독기를 이용하여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검량선을 작성하기 위하여 아질산나트륨(sodium nitrite)을 NO2 -의 표준품으로 사용하였다. 동일하게 처리한 세포의 배양액 중으로 유리된 PGE2는 PGE2분석용 EIA 키트를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화합물 7 이 활성화한 소교세포에서 PGE2의 생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는 활성 자료 (EIA 실험 자료)는 도 6과 같다. NO 및 PGE2 생성 억제 활성의 기전을 밝히고자 LPS로 활성화된 소교세포에서 iNOS 또는 COX-2 단백질과 mRNA의 발현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화합물들의 존재 하에 LPS로 처리한 소교세포를 20시간 배양하여 iNOS의 발현을 웨스턴블롯(Western blot)으로 검토하였다. 상세하게는, 소교세포를 LPS(0.1 ㎍/㎖)로 활성화하는 동안 본 발명의 화합물을 20시간 처리한 후, 세포를 회수하여 세포질 용액을 얻고 상법에 따라 웨스턴블롯으로 iNOS, COX-2 및 베타-액틴(β-actin) 단백질 양을 결정하였다. 일정한 베타-액틴양으로 표준화한 상대적인 iNOS 또는 COX-2 단백질의 양을 구했다. 단백질의 밴드 크기를 3회 분석하여 평균값 ± SD로 나타내었다. 화합물 1, 2, 3이 활성화한 소교세포에서 iNOS효소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는 활성 자료 (Western blot 자료)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또, 화합물 7이 활성화한 소교세포에서 iNOS 와 COX-2 효소 단백질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는 활성 자료 (Western blot 자료)는 도 7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LPS에 의해 유도된 iNOS 또는 COX-2의 mRNA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RT-PCR법으로 분석하였다. 상세하게는, 소교세포를 LPS(0.1 ㎍/㎖)로 활성화하는 동안 본 발명의 화합물을 6시간 동안 처리한 후, 총 RNA 추출물로부터 RT-PCR로 iNOS, COX-2 및 베타-액틴(β-actin)의 mRNA의 양을 결정하였다. 일정한 베타-액틴 양으로 표준화한 상대적인 iNOS 또는 COX-2의 양을 구하였다. mRNA의 밴드 크기를 3회 분석하여 평균값 ± SD로 나타내었다. 화합물 1, 2, 3이 활성화한 소교세포에서 iNOS효소 mRNA 발현을 억제하는 활성 자료 (RT-PCR자료)를 도 4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7이 활성화한 소교세포에서 iNOS 와 COX-2효소 mRNA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는 활성 자료 (RT-PCR자료)는 도 8과 같다. 이와 같이 웨스턴블롯과 RT-PCR 분석을 통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NO 및 PGE2 생성 저해활성의 작용기전을 iNOS 또는 COX-2 단백질과 mRNA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퍼옥시니트라이트 분석(Peroxynitrite assay)법
NO는 수퍼옥사이드(superoxide) 음이온과 반응하여 독성이 매우 강한 peroxynitrite 음이온 (ONOO-)을 형성한다. 식물재료의 ONOO- 소거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ONOO-에 의해 디하이드로로다민 123(dihydrorhodamine 123, DHR 123)이 산화될 때 발생하는 형광을 측정하였다. 상세하게는, 5 μM DHR 123과 100 μM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diethylenetriaminepentaacetic acid, DTPA)을 포함한 분석 완충액 (50 mM sodium phosphate, 90 mM sodium chloride, 및 5 mM potassium chloride, pH 7.4) 에 시료용액 (10 μl) 과 10 μM의 ONOO- 표준액을 가하여 5분간 반응시켰다. 형성된 형광을 여기파장 485nm, 방출파장 530 nm에서 측정하여 시료에 의해 감소한 형광의 세기를 측정함으로써 시료에 의한 ONOO- 소거활성 (%)을 계산하였으며, 양성대조 시료로 페니실라민(penicillamine)을 이용하였다. 화합물 1, 2, 3이 농도의존적으로 peroxynitrite를 소거하는 활성을 도 5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소염활성결과
소교세포주인 BV-2 세포를 20시간 동안 LPS로 자극하면서 다양한 농도의 시료를 처리한 후 생성된 NO 와 PGE2의 생성량을 검토하였다. 화합물에 의한 이들 염증매개인자들의 합성을 50% 저해하는 농도 (IC50 값)를 구한 결과, 화합물 1-7의 NO생성저해를 위한 IC50 값은 각각 56, 37, 27, 30, 21, 28, 10 μM 이었다. 이들 화합물 중 화합물 1, 2, 3 은 iNOS효소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NO생성을 저해하였고, 생성된 NO로부터 생성되는 강한 독성물질인 퍼옥시니트라이트(peroxynitrite)를 소거하는 활성을 보였으며 50% 소거활성을 보이는 농도 (SC50)는 각각 9.2, 12.3, 16.7 μM 이었다. 가장 활성이 강한 신규 구조의 화합물 7은 활성화한 소교세포에 의한 PGE2생성을 억제하였으며 iNOS 및 COX-2효소의 발현을 억제하는 활성을 보였다.
신이로부터 확인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과도한 NO 및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을 억제함으로써 이 염증성 매개인자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염증성 질환 및 발암을 억제하고 특히 알츠하이머병 또는 파킨슨병과 같은 산화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신이로부터 분리한 활성성분들의 화학구조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신규 화합물 7의 구조를 동정하기 위해 측정한 HMBC 스펙트럼에서 수소와 탄소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화합물 1, 2, 3이 활성화한 소교세포에서 iNOS효소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는 활성 자료 (Western blot 자료)이다.
도 4는 화합물 1, 2, 3이 활성화한 소교세포에서 iNOS효소 mRNA 발현을 억제하는 활성 자료 (RT-PCR자료)이다.
도 5는 화합물 1, 2, 3이 peroxynitrite를 농도의존적으로 소거하는 활성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화합물 7이 활성화한 소교세포에서 PGE2의 생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는 활성 자료 (EIA 실험 자료)이다.
도 7은 화합물 7이 활성화한 소교세포에서 iNOS 와 COX-2 효소 단백질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는 활성 자료 (Western blot 자료)이다.
도 8은 화합물 7이 활성화한 소교세포에서 iNOS 와 COX-2효소 mRNA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는 활성 자료 (RT-PCR자료)이다.

Claims (5)

  1. 신이로부터 분리된 리그난 성분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고, 활성화된 소교세포(microglial cell)에서 iNOS 및 COX-2의 발현저해활성을 갖는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화학식 1]
    Figure 112011032304020-pat00013
  2. 삭제
  3. 소교세포의 활성화 조절에 의해 산화성 뇌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로서, 제1항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며, 상기 산화성 뇌질환은 알츠하이머병 또는 파킨슨병인 약학적 조성물.
  4. 삭제
  5. 삭제
KR1020090011283A 2009-02-12 2009-02-12 신이로부터 분리된 리그난 성분과 그 용도 KR101079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283A KR101079980B1 (ko) 2009-02-12 2009-02-12 신이로부터 분리된 리그난 성분과 그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283A KR101079980B1 (ko) 2009-02-12 2009-02-12 신이로부터 분리된 리그난 성분과 그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094A KR20100092094A (ko) 2010-08-20
KR101079980B1 true KR101079980B1 (ko) 2011-11-04

Family

ID=42757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283A KR101079980B1 (ko) 2009-02-12 2009-02-12 신이로부터 분리된 리그난 성분과 그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99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589B1 (ko) * 2016-07-12 2017-02-08 주식회사 뉴트라팜텍 후박 추출물 및 신이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조직 성장 촉진용 및 치주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13809B1 (ko) * 2015-09-18 2017-03-10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뇌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975B1 (ko) * 2011-04-28 2013-10-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이 활성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57899A (ko) * 2013-11-18 2015-05-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60068194A (ko) 2014-12-05 2016-06-15 (주)아모레퍼시픽 (-)-유데스민을 함유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축소용 조성물
KR102337308B1 (ko) 2014-12-05 2021-12-09 (주)아모레퍼시픽 (-)-유데스민을 함유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 또는 개선하는 조성물
KR20160068292A (ko) 2014-12-05 2016-06-15 (주)아모레퍼시픽 (-)-유데스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모 방지용 및 백반증 개선용 조성물
KR20160068193A (ko) 2014-12-05 2016-06-15 (주)아모레퍼시픽 (-)-유데스민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KR102323455B1 (ko) * 2015-03-20 2021-11-09 (주)아모레퍼시픽 피부미백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CN113480555B (zh) * 2021-08-11 2022-10-18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含3,7-二氧杂双环[3,3,0]辛烷结构的木脂素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4027845A1 (zh) * 2022-08-05 2024-02-08 中国科学院上海药物研究所 双四氢呋喃类化合物作为α-突触核蛋白聚集体形成抑制剂的用途、包含其的药物组合物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rch. Pharm. Res. Vol.21(1), pp. 67-69 (1998.)*
Arch. Pharm. Res. Vol.22(4), pp. 348-353 (1999.)*
Arch. Pharm. Res. Vol.29(12), pp. 1114-1118 (2006.)*
생약학회지 Vol.35(2), pp. 152-156 (2004.)*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809B1 (ko) * 2015-09-18 2017-03-10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뇌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1704589B1 (ko) * 2016-07-12 2017-02-08 주식회사 뉴트라팜텍 후박 추출물 및 신이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조직 성장 촉진용 및 치주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8012848A1 (ko) * 2016-07-12 2018-01-18 주식회사 뉴트라팜텍 후박 추출물 및 신이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조직 성장 촉진용 및 치주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094A (ko) 201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9980B1 (ko) 신이로부터 분리된 리그난 성분과 그 용도
Gao et al. Inhibitory effect on α-glucosidase by the fruits of Terminalia chebula Retz.
Kim et al. In vitro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lignans isolated from Magnolia fargesii
Xu et al.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N-acetyldopamine dimers from Periostracum Cicadae
Meghashri et al. Antioxidant properties of a novel flavonoid from leaves of Leucas aspera
Hsu et al.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the flowers of Nymphaea mexicana Zucc.
Xiang et al. Four new bi-phenylethylchromones from artificial agarwood
Francis et al. Insulin secretagogues from Moringa oleifera with cyclooxygenase enzyme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ory activities
Liu et al. Phenylethyl cinnamides as potential α-glucosidase inhibitors from the roots of Solanum melongena
Ding et al. Design, synthe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hesperetin derivatives as potent anti-inflammatory agent
Rai et al. Evaluation of chemical constituents and in vitro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cytotoxicity potential of rhizome of Astilbe rivularis (Bodho-okhati), an indigenous medicinal plant from Eastern Himalayan region of India
Sawasdee et al. Neolignans from leaves of Miliusa mollis
Ting et al. Biological evaluation of secondary metabolites from the roots of Myrica adenophora
Yamada et al. Stilbenoids of Kobresia nepalensis (Cyperaceae) exhibiting DNA topoisomerase II inhibition
Kim et al. Two new phenolic compounds from the white flower of Impatiens balsamina
Jang et al. Eudesmane-type sesquiterpenoids from Salvia plebeia inhibit IL-6-induced STAT3 activation
Sharp et al. Inhibitory effects of Cissus quadrangularis L. derived components on lipase, amylase and α-glucosidase activity in vitro
Riaz et al. Lipoxygenase inhibiting and antioxidant oligostilbene and monoterpene galactoside from Paeonia emodi
Ticona et al. Alkaloids isolated from Tropaeolum tuberosum with cytotoxic activity and apoptotic capacity in tumour cell lines
Op de Beck et al. Antioxidant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from leaves of Leea guineense G. Don (Leeaceae)
Molčanová et al. Antiproliferative and cytotoxic activities of C-Geranylated flavonoids from Paulownia tomentosa Steud. Fruit
Abdel-Mageed et al. Lipoxygenase inhibitors from the latex of Calotropis procera
CN107021942B (zh) 大别山五针松的树皮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在制药中的用途
Malik Bioactive phenolics from Launaea intybacea
Pathmasiri et al. Aryl ketones from Acronychia pedunculata with cyclooxygenase‐2 inhibitory eff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