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22475A2 -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22475A2
WO2019022475A2 PCT/KR2018/008358 KR2018008358W WO2019022475A2 WO 2019022475 A2 WO2019022475 A2 WO 2019022475A2 KR 2018008358 W KR2018008358 W KR 2018008358W WO 2019022475 A2 WO2019022475 A2 WO 2019022475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brown
mmp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835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9022475A3 (ko
Inventor
채성욱
임아랑
김기모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ublication of WO2019022475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22475A2/ko
Publication of WO2019022475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22475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Definitions

  • the invention mealworm (Tenebrio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or moisturizing skin, which contains, as an active ingredient,
  • Skin is an organ that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outside environment. It protects the body from external physical damage and chemical substances, prevents bacteria, fungi, viruses from invading the skin, and acts as a protection barrier against moisture loss.
  • Skin structure consists of three layers: epidermis, dermis, and subcutaneous fat.
  • the epidermis is the thinnest of the three layers,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moisturizing and protecting the skin.
  • the skin is elastic and softened by the water present in the stratum corneum of the epidermis, and it is known that the water content of 10% or more is essential for the elasticity of the stratum corneum to be maintained (OK Jacobi, Proc. , 22).
  • the brown goose is about 15mm in length, and the color of the body is dark brown and glossy like Kowloon.
  • the tip of tactile sense is the same length and butterfly.
  • the pronotum is square, and the vertical grooves of the rear rim are distinct.
  • the middle is a wide pentagram with a butterfly.
  • the wing wings are brown with 8 rows of vertical grooves, the liver is convex, and the small dots are dense.
  • Adults lays eggs mainly in cereals. Eggs are so small that they can not be easily found with the eyes and hatch after 1-2 weeks.
  • the larvae are called mealworms and feed largely on food insects and pets.
  • the larval period is about 10 weeks, but about 2 weeks for artificial breeding.
  • wheat worms are used for pets because they are relatively clean insects because they have relatively short periods of transformation, and they are very clean insects that feed on grain.
  • Larvae moulten 9 to 20 times depending on food and temperature until they become pupae. It becomes a pupa and becomes alien to adult after 2 ⁇ 3 weeks. It becomes light brown or gradually black when it is first allegory.
  • Adults are nocturnal, hiding in the hole during the daytime and active at night. It grows in pupa and adults in spring when it swallows larvae in the grain bag near the main island. It is famous for its grain pests and has recently been feeding on small animals such as birds and hedgehogs in zoos. It is distributed all over the world including Korea.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or skin moisturizing, which comprises an extract of brownish brown gruel as an active ingredient, and the active ingredient is used for the treatment of degradation of extracellular matrix and basement membrane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level of MMP-1 protein, which is collagenase (MMPs), was decreased and the content of hyaluronic acid was increased to prevent skin moisturizing function and skin barrier damage.
  • MMP-1 protein which is collagenase (MMPs)
  • MMPs collagenas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by confirming that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loss, increasing skin moisturizing amount, decreasing skin thickness, expressing amount of MMP-1 and MMP-9 protein, and expression amount of wrinkle-related protei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or skin moisturizing, which comprises an extract of brown gruel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kin wrinkles containing an extract of brown gruel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or skin moisturizing composition containing an extract of brown gruel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little cytotoxicity, and is effective for improving skin wrinkles and skin moisturizing. Therefore,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health functional food for skin wrinkle improvement or skin moisturizing; And a medicam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skin wrinkles.
  • FIG. 1 shows the MTS assay results of confirming the cell viability (%) of HaCaT cell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brown goa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50, 100, 200 and 250 ⁇ g /
  • FIG. 2 shows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change in the expression level of MMP-1 according to the brown gourd extract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 Indicates that the amount of MMP-1 expression in the UVB-irradiated group was statistically increased compared with that in the control group, which means that p ⁇ 0.05.
  • * Indicates that the amount of MMP-1 expressed in the UVB- (P ⁇ 0.05), as compared with the expression level of MMP-1.
  • FIG. 3 shows the results of analysis of changes in hyaluronic acid (HA) content according to the UV irradiation and the treatments of the brown grue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different concentrations.
  • Control is a normal group that does not treat anything
  • UVB is a control group in which only the ultraviolet light is irradiated without treating the brown grue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transdermal water loss (TEWL) of the brown gourd extract-administered group of the present invention.
  • TEWL transdermal water loss
  • Veh is a group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to induce transdermal water loss
  • GGR is a group administered with ultraviolet radiation (UVB) and the brown grue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 Indicates that the transdermal water loss of the UV-irradiated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5, and * the transdermal water loss of the brown gourd extract-treated group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respectively.
  • FIG. 5 show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skin moisture content of the group administered with the brown goa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Veh is a group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 GGR is a group administered with ultraviolet irradiation and a brown goa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P ⁇ 0.01, and * indicates that the skin moisture content of the brown gurr extract-treated group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ultraviolet-irradiated group , P ⁇ 0.05.
  • FIG. 6 is a result of confirming changes in skin thickness of the group administered with the brown goa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Veh is a group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 GGR is a group administered with ultraviolet irradiation and brown grue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indicat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kin thickness of the ultraviolet irradiated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p ⁇ 0.0001, and *** indicates that the skin thickness of the group administered with the brown goa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statistically , Respectively, and p ⁇ 0.001.
  • FIG. 7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rinkles by H & E staining of the tissues collected from the group of hairless mice to which the brown gourd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administered.
  • Normal is a normal group not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 Vehicle is a group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 GGR is a group administered with ultraviolet irradiation and a brown goa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shows the results of examining changes in the expression levels of MMP-1 and MMP-9 proteins according to administration of the brown goa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Veh is a group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 GGR is a group administered with ultraviolet radiation (UVB) and brown goa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p ⁇ 0.05 and * indicates that the MMP-1 and MMP-9 protein expression levels in the UV-irradiated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UV- 1 ⁇ / RTI > and MMP-9 protein, respectivel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 FIG. 9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changes in the expression levels of pERK, pMEK, and pp38 protein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of the brown goa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or skin moisturizing, which comprises an extract of brown gruel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brown gutter extract may be prepared by a method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steps:
  • step (3) The step of extracting the filtered extract of step (2) by concentration under reduced pressure and drying.
  • the extraction solvent is preferably selected from water, a C 1 -C 4 lower alcohol or a mixture thereof, more preferably ethanol, even more preferably 70% (v / v) ethano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ny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such as filtration, hot water extraction, immersion extraction, reflux cooling extraction, and ultrasonic extraction may be used.
  • the extraction solvent is preferably added in an amount of 1 to 20 times, preferably 5 to 15 times, the weight of the dried brown gruel.
  • the extraction temperature is preferably 4 to 50 DEG 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tion time is preferably 0.5 to 10 hours, more preferably 0.5 to 5 hours, most preferably 1 hour, but not always limited thereto.
  • the drying is preferably performed under reduced pressure, vacuum drying, boiling, spray drying or freeze drying, but not always limited thereto.
  • wrinkle formation is caused by reduction of collagen, and reduction of the collagen may be caused by excessive oxidative stress or ultraviolet irradiation.
  • the brown gruel extract decreases the expression level of MMP-1 or MMP-9 protein and can increase the content of hyaluronic acid.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ed as a food additive,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may be added as it is, or may be used together with other food or food ingredients, and suitably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the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to be mixed can be suitably us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prevention or improvement).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in an amount of not more than 15 parts by weight, preferably not more than 10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raw material, when the food or beverage is produced.
  • the amount may be less than the above range, and since there is no problem in terms of safety,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used in an amount of more than the above range.
  • the kind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kind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 foods to which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can be added include meat products, sausages, breads, chocolate, candies,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noodles, other noodles, gums, dairy products including ice cream, various soups, Alcoholic beverages, and vitamin complexes, all of which include health foods in a conventional sense.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as a food, particularly a functional food.
  • the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omponents that are ordinarily added in food production, and includes, for example, proteins, carbohydrates, fats, nutrients, and seasonings.
  • the active ingredient when it is made of a drink, it may contain,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a natural carbohydrate or a flavoring agent as an additional ingredient.
  • the natural carbohydrate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onosaccharides (e.g., glucose, fructose, etc.), disaccharides (e.g., maltose, sucrose, etc.), oligosaccharides, polysaccharides (e.g., dextrin, cyclodextrin, For example, xylitol, sorbitol, erythritol, etc.).
  • the flavoring agent may be a natural flavoring agent (e.g., tau Martin, stevia extract, etc.) and a synthetic flavoring agent (e.g., saccharin, aspartame, etc.).
  • the abov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various nutrients, vitamins, electrolytes, flavors, colorants, pectic acids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its salts,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 thickening agents, pH adjusting agent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 carbonating agent used in beverages, and the like.
  • the ratio of the above-mentioned ingredients is not critical, it is generally selected in the range of 0.01 to 0.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kin wrinkles containing an extract of brown gruel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 the pharmacologically acceptable carrier to be contain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which is usually used at the time of formulation and includes saline, sterilized water, Ringer's solution, buffered saline, dextrose solution, maltodextrin solution, glycerol, ethanol, But are not limited to, sucrose, suc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starch, acacia, calcium phosphate, alginate, gelatin, calcium silicat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cellulose, syrup, methylcellulose, methylhydroxybenzoate, 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and the like.
  • an antioxidant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an antioxidant, a buffer, a bacteriostatic agent, a diluent, a surfactant, a binder, a lubricant, a wetting agent, a sweetener, a flavoring agent, an emulsifier, a suspending agent or a preservative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and parenteral administration can be carried out by injection or application to skin.
  • a suitable dos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prescribed by factors such as the formulation method, the administration method, the age, body weight, sex, pathological condition, food, administration time, administration route, excretion rate and responsiveness of the patient .
  • the dried brown powdery mildew was refluxed for 3 hours using 70% (v / v) ethanol.
  • a 70% (v / v) ethanol extract was obtained and distilled under reduced pressure to prepare a brown goat ethanol extract.
  • Each sample was diluted by concentration for 24 hours in the cultured HaCaT cells (human keratinocyte line), and the cells were treated with MTS assay (CellTiter Aque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 kit 3- (4,5-dimethylthiazol-2-yl) Cell viability was measured at 490 nm using a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lif.) At 490 nm by the method of MTS, Promega Co., Madison, Wis., USA) , CA, USA).
  • MTS assay CellTiter Aque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 kit 3- (4,5-dimethylthiazol-2-yl) Cell viability was measured at 490 nm using a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lif.) At 490 nm by the method of MTS, Promega Co., Madison, Wis., USA) , CA, USA).
  • HaCaT cells were plated on a 96-well plate and then the brown grue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treated with concentrations (10, 50, 100 and 200 ⁇ g / ml), respectively. Then, ultraviolet light (UV) was irradiated, and the supernatant of the culture was collected and centrifuged at 13,000 rpm for 5 minutes. The supernatant was then subjected to fluorescent assay using an ELISA kit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expression level of MMP-1.
  • UV ultraviolet light
  • the HaCaT cells were treated with each sample for 24 hours and irradiated with ultraviolet light (UV Crosslinker, Ultra Lum) at 20 mJ / cm 2 for 30 minutes. Then, the supernatant of the culture was collected and placed in a hyaluronic acid ELISA kit (R & 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 The reactants were subjected to an absorbance assay.
  • UV Crosslinker Ultra Lum
  • Example 5 Using animal models Skin moisturizing And wrinkle improvement effect
  • mice were purchased from 6-week-old male rats (male HR-1, hairless mice, Japan SLC, Inc.) from a central laboratory animal and adapted for 1 week before use. Animals in healthy state were used for the test by observing the general condition during the adaptation period. The breeding environment wa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23 ⁇ 3 ° C, a humidity of 50 ⁇ 5%, and a light period of 12 hours (07: 00-19: 00 / lighting time). During the test period,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fed 6 rats per group. Feeds were fed 5L79 (Charles river, USA) for mouse feed and free water for drinking water.
  • UVB + Veh normal (Nor)
  • UVB + GGR brown goat extract
  • UVB lamp Mineralight UV Display lamp, UVP, USA
  • 1 to 4 weeks are 60 mJ / cm 2
  • 5 to 8 weeks are 90 mJ / cm 2
  • 9 to 12 weeks were irradiated with ultraviolet light for 12 weeks at a size of 120 mJ / cm 2 .
  • Ultraviolet radiation was measured by measuring the amount of ultraviolet light using a photometer (Delta OHM, Italy) and then adjusting the irradiation time.
  • the amount of transdermal water loss is the amount of water emanating from the skin. The higher the value, the lower the moisturizing function of the skin, indicating that the inherent barrier function of the skin is impaired.
  • Percutaneous water loss was calculated by area and time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evaporating from the skin using a tweeter (Tewameter, Courage & Khazaka, Germany) at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23 ° C, 50% relative humidity)
  • the amount of moisture evaporated (g / m 2 / hr) was read by a moisturizing electronic sensor, an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kin was measured by quantifying it.
  • Moisture content of the skin was measured using a Corneometer (Courage & Khazaka, Germany) at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23 ° C, 50% relative humidity).
  • the amount of water present in the epidermis of the skin was measured by measuring the degree of ion of water using a sensor, numerically calculating the amount of moisture, and then measuring the moisture content.
  • the skin tissues of each experimental group were extracted, fixed in 10% neutral formalin solution, washed, dehydrated, transparent, permeated, embedded with paraffin, Eosin) staining.
  • the thickness from the keratin layer to the epidermal basement membrane of H & E stained tissue was measured using a microscope.
  • MMP-1 or MMP-9 protein is known to be increased by oxidative stress such as ultraviolet light, this protein is associated with skin aging. Therefore, in order to measure the inhibitory effect of MMP-1,9 induced from oxidative damage MMP-1 or MMP-9 was measured using Quantikine ELISA pro MMP-1 or MMP-9 kit (R & D systems, Minneapolis, MN, USA)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brown goat extract (GGR) Respectively.
  • Proteins were extracted from 20 ⁇ 30 mg of skin tissue and pulverized to obtain proteins. The same amount of proteins were electrophoretically transferred to PVDF membrane, and reacted with antibodies to measure protein expression.
  • the expression amounts of pERK, pMEK, and pp38 proteins which are known as proteins that play important roles in the wrinkle formation in the skin, were increased in the ultraviolet irradiated group compared to the unirradiated group and in the brown goat extract (GGR) pERK, pMEK, and pp38 protein were decreased.
  • GGR brown goat extra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갈색거저리 추출물이 세포 독성이 거의 없으며, 피부 보습을 증진시킬 수 있는 히알루론산의 함량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자외선에 의해 증가된 경피수분손실량을 감소시키고, 피부 보습량을 증가시키며, 피부 두께를 감소시키고, MMP-1 및 MMP-9 단백질의 발현량을 감소시키며, 주름개선 관련 단백질의 발현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본 발명은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의 환경과 항상 접하고 있는 기관으로 주로 외부의 물리적 손상 및 화학물질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이 피부로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며, 수분 손실을 막는 보호장벽 역할을 한다. 피부의 구조를 보면 표피, 진피, 피하지방의 3개 층으로 구성되고 표피는 3개 층 중 가장 얇은 층으로 피부의 보습 및 보호를 담당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특히 표피의 각질층에 존재하는 수분에 의하여 피부가 탄력 있고 부드럽게 되는데, 각질층의 탄력이 유지되려면 10% 이상의 수분함유가 필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O. K. Jacobi, Proc. Sci. Sec. Toilet Goods Assoc. 1959, 31, 22).
최근 들어, 환경오염 등의 이유로 강한 자외선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아졌고, 이에 의한 피부의 수분 손실이 증가하면서 피부 노화가 가속화되고, 피부의 손상에 의한 관련 질병의 발병률이 증가함에 따라,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의 보습 유지 및 주름개선 효과를 오랫동안 지속시켜주는 조성물에 대한 요구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편, 갈색거저리는 몸길이 약 15mm이고, 몸빛깔이 구룡충(구룡거저리)과 비슷해 어두운 갈색이며 광택이 난다. 머리에 점들이 있으나 촘촘히 나 있지 않고, 촉각(더듬이)의 끝마디는 길이와 나비가 같다. 앞가슴등판은 정사각형이고, 뒷가두리의 세로 홈은 뚜렷하다. 복판은 나비가 넓은 오각형이다. 딱지날개는 갈색으로 8줄의 세로 홈이 있고 간실은 볼록하며 작은 점들이 촘촘히 있다. 성충은 주로 곡류 속에 알을 낳는다. 알은 매우 작아 눈으로 쉽게 찾을 수 없으며 1∼2주일 후 부화한다. 유충은 밀웜(mealworm)이라 하여 먹이곤충이나 애완용으로 많이 사육하는데, 유충 기간은 약 10주이나 인공사육할 때에는 약 2주이다. 밀웜이 애완용으로 이용되는 이유는 변태기간이 비교적 짧아 곤충을 쉽게 체험할 수 있고 곡식을 먹이로 하는 매우 청결한 곤충이기 때문이다. 유충은 번데기가 되기까지 먹이와 온도에 따라 9∼20번 탈피한다. 번데기가 되고 2∼3주가 지나면 성충으로 우화하며 처음으로 우화할 때에는 연한 갈색이나 점차 검게 변한다. 성충은 야행성으로 낮에는 구멍 속에 숨어지내다가 밤에 활동한다. 주로 인가 근처의 곡식부대 속에서 유충으로 월동하다가 봄에 번데기와 성충으로 변태한다. 곡식의 해충으로 유명하며 최근 동물원에서 새나 고슴도치와 같은 작은 동물의 먹이로 많이 기르고 있다. 한국을 비롯하여 전세계에 분포한다.
지금까지 알려진 갈색거저리 관련 기술의 일례로는 대구한의대학교 2016년 김동인 석사학위 논문에 '갈색거저리 물 추출물과 애기 뿔쇠똥구리에서 유래된 CopA3 펩타이드의 NF-kB, MAPK 경로의 염증, 미백 메커니즘 검증 및 WOW 제형 적용에 관한 연구'가 개시되어 있고, 세계곤충학회 2013년 추계학술발표회에서 발표한 갈색거저리 에탄올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가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유효성분이 세포 외 기질과 기저막의 분해에 관여하는 콜라겐 분해 효소(MMPs; matrix metalloproteinases)인 MMP-1 단백질의 발현량을 감소시키는 것과, 피부 보습 기능과 피부 장벽 손상을 방지하는 히알루론산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것을 확인하였고,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경피수분손실량 감소, 피부보습량 증가, 피부두께 감소, MMP-1 및 MMP-9 단백질의 발현량 및 주름개선 관련 단백질의 발현량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세포 독성이 거의 없으며, 피부 주름 개선과 피부 보습에 효과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피부주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품;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의 농도별(10, 50, 100, 200 및 250㎍/㎖) 처리에 따른 HaCaT 세포의 세포생존률(%)을 확인한 MTS 어세이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 처리에 따른 MMP-1의 발현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은 UVB 조사군의 MMP-1 발현량이 Control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했다는 것으로, p<0.05임을 의미하고, *은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처리하고 UVB를 조사한 실험군의 MMP-1 발현량이 UVB 조사군의 MMP-1 발현량에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5임을 의미한다.
도 3은 UV 조사 및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히알루론산(HA) 함량 변화를 분석한 결과이다. Control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는 정상군이고, UVB는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고, 자외선만을 조사한 대조군이다. #은 UVB 조사군의 히알루론산 함량이 Control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했다는 것으로, p<0.05임을 의미하고, *은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처리하고 UVB를 조사한 실험군의 히알루론산 함량이 UVB 조사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5임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 투여군의 경피수분손실량(TEWL)을 확인한 결과이다. Nor은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정상군이고, Veh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피수분손실을 유도한 군이고, GGR은 자외선 조사(UVB) 및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투여한 군이다. #은 정상군에 비해 자외선 조사군의 경피수분손실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했다는 것으로, p<0.05이고, *은 자외선 조사군에 비해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 투여군의 경피수분손실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5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 투여군의 피부 수분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Nor은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정상군이고, Veh는 자외선 조사군이며, GGR은 자외선 조사 및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투여한 군이다. ##은 정상군에 비해 자외선 조사군의 피부 수분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했다는 것으로, p<0.01이고, *은 자외선 조사군에 비해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 투여군의 피부 수분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5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 투여군의 피부 두께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Nor은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정상군이고, Veh는 자외선을 조사한 군이고, GGR은 자외선 조사 및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투여한 군이다. ####은 정상군에 비해 자외선 조사군의 피부두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했다는 것으로, p<0.0001이고, ***은 자외선 조사군에 비해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 투여군의 피부 두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01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투여한 무모 생쥐군으로부터 채취한 조직의 H&E 염색을 통한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Normal은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정상군이고, Vehicle은 자외선을 조사한 군이고, GGR은 자외선 조사 및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투여한 군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 투여에 따른 MMP-1 및 MMP-9 단백질의 발현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Nor은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정상군이고, Veh는 자외선을 조사한 군이고, GGR은 자외선 조사(UVB) 및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투여한 군이다. #은 정상군에 비해 자외선 조사군의 MMP-1 및 MMP-9 단백질 발현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했다는 것으로, p<0.05이고, *은 자외선 조사군에 비해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 투여군의 MMP-1 및 MMP-9 단백질의 발현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5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 투여에 따른 pERK, pMEK 및 pp38 단백질의 발현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1) 갈색거저리 건조 분말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 (1)에서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70%(v/v) 에탄올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추출방법은 여과법,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당 업계에 공지된 모든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건조된 갈색거저리 중량의 1~2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5~15배 첨가하는 것이다. 추출온도는 4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0.5~10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0.5~5시간이 더욱 바람직하고, 1시간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 감압 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 건조 또는 동결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주름 생성은 콜라겐의 감소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며, 상기 콜라겐의 감소는 과도한 산화 스트레스나 자외선 조사가 원인일 수 있다.
상기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MMP-1 또는 MMP-9 단백질의 발현량을 감소시키며, 히알루론산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 특히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이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첨가되는 성분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성분들 이외에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희석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또는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는 주사 또는 피부에 도포하는 방법으로 투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실시예 1. 갈색거저리 추출물의 제조
갈색거저리 건조 분말에 70%(v/v) 에탄올을 사용하여 3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였다. 70%(v/v) 에탄올 추출액을 수득하고 감압증류하여 갈색거저리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갈색거저리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세포 생존율 분석
HaCaT 세포는 37℃, 5%의 CO2 조건으로, 10%의 FBS(Fetal bovine serum)과 1%의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S, Gibco)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한 HaCaT 세포(사람 각질형성 세포주)에 24시간 동안 각각의 시료를 농도별로 희석하여 처리하고 MTS 어세이(CellTiter Aque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 kit 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ynyl)-2H-tetrazolium, inner salt; MTS, Promega Co. Madison, WI, USA) 기법으로 세포 생존능을 490nm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로 측정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처리하여도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을 기준으로 세포 생존율(%)의 변화가 거의 없어,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MMP -1 단백질의 발현량 변화 분석
HaCaT 세포에 24시간 동안 각각의 시료를 처리하고 자외선(UV Crosslinker, Ultra Lum)을 20mJ/cm2로 조사한 후, MMP-1 ELISA kit(R&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를 이용하여 MMP-1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상세하게는 96웰 플레이트에 HaCaT 세포를 도말한 후,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각각 농도별(10, 50, 100 및 200㎍/㎖)로 처리하였다. 이후, 자외선(UV)을 조사하고, 배양물의 상등액을 수집하고 13,000rpm으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이후 상등액을 취해 ELISA 키트를 이용한 형광 어세이를 수행하여 MMP-1의 발현량을 정량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개시한 바와 같이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음성대조군에 비해, 자외선을 조사한 군에서 현저하게 MMP-1의 발현량이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고,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의 처리군에서 MMP-1의 발현량이 자외선 조사군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 HA)의 함량 변화 분석
상기 HaCaT 세포에 24시간 동안 각각의 시료를 처리하고 자외선(UV Crosslinker, Ultra Lum)을 20 mJ/cm2로 30분간 조사한 후, 배양물의 상등액을 수집하여 히알루론산 ELISA 키트(R&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를 이용하여 HA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반응물은 흡광 어세이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개시한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에 의해, 히알루론산의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본 발명의 10, 50, 100 및 200㎍/㎖의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처리한 각각의 실험군에서는 히알루론산의 함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동물모델을 이용한 피부보습 및 주름 개선 효과 확인
(1) 실험동물 및 시료투여
무모생쥐는 6주령의 수컷 무모쥐(male HR-1, hairless mice, Japan SLC, Inc.)를 중앙실험동물로부터 구입하여 1주 동안 적응시킨 후 사용하였다. 적응기간 중 일반 상태를 관찰하여 건강한 상태의 동물을 시험에 사용하였다. 사육환경은 온도 23±3℃, 습도 50±5%, 명암주기 12시간(07:00-19:00/조명시간)으로 유지하였다. 시험기간 중 실험동물은 군당 6마리로 사육하였고 사료는 마우스 전용사료 5L79(Charles river, USA)를 자유급이 하였으며, 음수는 자외선으로 소독한 상수도수를 자유 급이하였다.
시료투여는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정상군(Nor), 자외선 처리군(UVB+Veh), 자외선 조사 및 갈색거저리 추출물(UVB+GGR) 투여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하였다. 시료투여는 마우스 존대를 이용하여 경구투여를 실시하였다. 투여기간은 총 12주로 주 5일 동안 투여하였다.
(2) 자외선조사
자외선조사는 대조군을 제외한 실험군에 12주 동안 주 3회 실시하였고, 자외선은 UVB 램프(Mineralight UV Display lamp, UVP, USA)를 사용하였다. 1~4주는 60mJ/cm2, 5~8주는 90mJ/cm2, 9~12주는 120mJ/cm2의 크기로, 12주 동안 자외선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량은 광측정기(Delta OHM, Italy)를 이용하여 광량을 측정한 후 조사시간으로 조절하였다.
(3) 경피수분손실량(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 평가
경피수분손실량 수치는 피부로부터 발산되는 수분량으로서, 수치가 높을수록 피부의 보습 기능이 떨어져 있음을 의미하며, 피부 고유의 장벽 기능이 손상되었음을 나타낸다.
경피수분손실량은 항온, 항습 조건(23℃, 상대습도 50%)에서 투와미터(Tewameter, Courage & Khazaka, Germany) 장비를 이용하여 피부에서 증발하는 수분의 양을 면적과 시간에 따라 계산하여, 증발하는 수분의 양(g/m2/hr)을 보습 전자센서로 읽고, 이를 수치화하여 피부의 보습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개시한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에 의해 피부 장벽이 손상되어 피부 보습 기능이 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갈색거저리 추출물 투여군의 경우, 자외선에 의해 유발된 피부 수분 손실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방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4) 피부수분량 측정
피부수분량은 항온, 항습 조건(23℃, 상대습도 50%)에서 코니오미터(Corneometer, Courage & Khazaka, Germany) 장비를 이용하여 피부에 함유된 수분을 측정하였다. 피부의 표피 내에 존재하는 수분의 양을 센서를 이용하여 수분의 이온 정도를 측정하고, 이를 수치화하여 수분의 양을 계산함으로써 보습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개시한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군(Veh)은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정상군(Nor)에 비해 피부 수분량이 감소하였으며, 갈색거저리 추출물 투여군(GGR)은 자외선 조사군에 비해 피부 수분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피부 보습효과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5) 피부의 조직학적 관찰
주름억제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 실험군의 피부조직을 적출하여 10% 중성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한 후 수세, 탈수, 투명, 침투 과정을 거친 다음 파라핀으로 포매하고 4μm 두께로 절편을 만든 후 H&E(Hematoxylin & Eosin) 염색을 실시하였다. H&E 염색을 실시한 조직의 케라틴층에서 표피세포 기저막(epidermal basement membrane)까지의 두께를 현미경에 장착된 자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개시한 바와 같이,자외선 조사에 의해 증가된 표피 두께가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 표피 두께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H&E 염색 결과로부터 자외선 조사군은 정상군(Nor)에 비해서 각질층이 일어났으며, 표피두께 또한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갈색거저리 추출물(GGR) 투여군은 자외선 조사군에 비해서 각질층이 완화되었고, 표피두께 또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7).
(6) MMP-1 또는 MMP-9 단백질의 발현량 변화 확인
MMP-1 또는 MMP-9 단백질은 피부노화와 연관있는 단백질로 자외선과 같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므로 본 실험에서는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유도된 MMP-1,9의 억제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갈색거저리 추출물(GGR)을 경구투여한 후 피부조직을 적출하여, Quantikine ELISA pro MMP-1 또는 MMP-9 kit (R&D systems, Minneapolis, MN, USA)를 사용하여 MMP-1 또는 MMP-9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자외선 조사에 의해 MMP-1과 MMP-9의 발현량 모두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세포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 발현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8).
(7) 전기영동 및 Western blotting
피부조직 20~30mg에 단백질을 추출하는 용액을 첨가하여 분쇄하여 단백질을 얻어내어 정량하고 같은 양의 단백질을 전기영동하여 PVDF 멤브레인으로 옮긴 후 항체와 반응시켜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도 9에 개시한 바와 같이, 피부에서 주름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로 알려진 pERK, pMEK 및 pp38 단백질의 발현량이 자외선 조사군에서는 조사하지 않은 군에 비하여 증가하였고, 갈색거저리 추출물(GGR) 투여군에서는 pERK, pMEK 및 pp38 단백질의 발현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통계학적 방법]
본 발명에서 얻은 결과치는 one-way ANOVA와 Tukey's 다중비교분석를 이용하여 대조군과 실험군 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Claims (5)

  1.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갈색거저리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C1~C4의 저급알코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MMP-1 또는 MMP-9 단백질의 발현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히알루론산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CT/KR2018/008358 2017-07-28 2018-07-24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WO2019022475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267 2017-07-28
KR10-2017-0096267 2017-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22475A2 true WO2019022475A2 (ko) 2019-01-31
WO2019022475A3 WO2019022475A3 (ko) 2019-04-18

Family

ID=65041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8358 WO2019022475A2 (ko) 2017-07-28 2018-07-24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70799B1 (ko)
WO (1) WO201902247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8738A (ko) 2021-10-05 2023-04-1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갈색거저리 유충의 추출물 또는 단백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125B1 (ko) * 2012-11-09 2014-08-04 대한민국 갈색거저리 유충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2190896B1 (ko) * 2013-11-18 2020-12-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60041110A (ko) * 2014-10-06 2016-04-1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갈색거저리의 현탁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39803A (ko) * 2015-10-01 2017-04-12 코스맥스 주식회사 영실 및 지부자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62584A (ko) * 2015-11-27 2017-06-08 예랑영농조합법인 천연 생약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725070B1 (ko) * 2016-04-05 2017-04-1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갈색거저리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 및 이의 분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22475A3 (ko) 2019-04-18
KR20190013542A (ko) 2019-02-11
KR102070799B1 (ko) 202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75865A1 (en) Skin-condition improving composition comprising vaccinium uliginosum extract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BRPI0812575B1 (pt) uso de uma substância, composição cosmética ou dermo-cosmética ou neutracêutica, composição farmacêutica, método de cuidado cosmético, e, sequência de nucleotídeos
CN105362151A (zh) 含有香豆雌酚或包含香豆雌酚的豆提取物的、用于皮肤护理的化妆品组合物
Fujii et al. Effects of amla extract and collagen peptide on UVB-induced photoaging in hairless mice
US20160317419A1 (en) Method of improving skin health and compositions therefor
KR20180108209A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jc1225 균주를 포함하는 피부 손상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US20160120792A1 (en)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skin conditions
WO2012002730A2 (ko) 봉독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조성물
WO2017217695A1 (ko) 알파-망고스틴, 베타-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또는 가르탄닌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WO2019022478A2 (ko)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1999309B1 (ko) 흰들버섯 생물전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9022475A2 (ko)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1754222B1 (ko) 천연 생약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여드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09360A (ko) 천연 생약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아토피 개선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022476A2 (ko) 장수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0340185B1 (ko) 눈꽃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41860B1 (ko)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WO2018186724A1 (ko) 꽃벵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995220B1 (ko) 벼메뚜기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18108A (ko) 티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2772255A1 (en) Composition comprising syringaresinol for improving the skin
WO2020226469A1 (ko) 엔테로코쿠스 락티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90013416A (ko)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21239B1 (ko) 황금 붉은덕다리버섯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01272B1 (ko) 백발억제 및 흑모유발 촉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383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383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