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86724A1 - 꽃벵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꽃벵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86724A1
WO2018186724A1 PCT/KR2018/004158 KR2018004158W WO2018186724A1 WO 2018186724 A1 WO2018186724 A1 WO 2018186724A1 KR 2018004158 W KR2018004158 W KR 2018004158W WO 2018186724 A1 WO2018186724 A1 WO 201818672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formula
composition
m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415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채성욱
임아랑
나민균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ublication of WO201818672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8672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oisturizing or skin wrinkles containing a flower extract or a compound isolated therefrom as an active ingredient.
  • Skin is an organ that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It mainly protects the human body from external physical damage and chemicals, prevents the invasion of bacteria, fungi, viruses, etc. into the skin, and acts as a protective barrier against moisture loss.
  • the structure of the skin consists of three layers of epidermis, dermis and subcutaneous fat.
  • the epidermis is the thinnest of the three layer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moisturizing and protecting the skin.
  • the moisture in the stratum corneum of the epidermis makes the skin elastic and soft, and it is known that moisture content of 10% or more is essential for maintaining the elasticity of the stratum corneum (OK Jacobi, Proc. Sci. Sec. Toilet Goods Assoc. 1959, 31 , 22).
  • the flower larva is a larva of white spotted flower, and the white spotted flower is 17 ⁇ 22mm in length, and the body is bright greenish brown, coppery or reddish, and there are variations such as green, indigo blue, black indigo and black purple.
  • the inner hair of the posterior segment is grayish brown, the end of the middle thorax is bank-shaped, and the tip of the scab is sharply projected.
  • the dormitory is thin and straight.
  • the inner plate is narrow and long, and there is a round protruding part at the end.
  • 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the above requiremen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or moisturizing skin containing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flower extract or formula (1-5) separated therefrom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active ingredient has little cytotoxicity, significantly inhibits the expression of MMP-1 and MMP-9 enhanced by ultraviolet irradiation, reduces the skin thickness increased by ultraviolet irradiation, and can enhance skin moisturization.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increasing the content of hyaluronic acid, reducing the amount of transdermal moisture, and increasing the amount of skin.
  •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oisturizing or wrinkles containing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flower extract or the following formula 1 to 5 isolated from it.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or anti-aging, which contains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flower extract or the following formulas 1 to 5 separated therefrom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oisturizing or skin wrinkles containing a flower extract or a compound separated therefrom as an active ingredient,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little cytotoxicity, MMP- enhanced by ultraviolet irradiation 1 and MMP-9 significantly inhibit the expression, reduce the skin thickness increased by ultraviolet irradiation, enhance the content of hyaluronic acid can enhance skin moisturization, reduce the transdermal moisture loss, increase the skin moisture It is to let. Therefore, the health functional food for improving skin moisturizing or skin wrinkles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applied to medicines for improving wrinkles or anti-aging.
  • Figure 2 i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ression changes of MMP-1 protein according to the UV irradiation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flower extract (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mpound (B) of the formula (1) isolated from it.
  • Control is a negative control that does not process anything
  • UVB is a control group irradiated with ultraviolet light only without treating the flower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mpounds 1 to 5 separated therefrom.
  • Control is a negative control that does not process anything
  • UVB is a control group irradiated with ultraviolet light only without treating the flower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mpounds 1 to 5 separated therefrom.
  • Figure 4 i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transdermal moisture loss according to the UV irradiation and administration of the flower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ntrol is a group treated with nothing as a control group
  • UVB is a control group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only, not administered the flower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UVB + flower extract is a group administered with UV irradiation and flower bud extract.
  • # I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ransdermal moisture loss in the UVB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p ⁇ 0.05
  • * i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e transdermal moisture loss in the UVB + flowerpot extract group compared to the UVB group. P ⁇ 0.05.
  • Control is a group treated with nothing as a control group
  • UVB is a control group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only, not administered the flower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UVB + flower extract is a group administered with UV irradiation and flower bud extract.
  • # Indicates that the UVB grou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epidermal moistur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 ⁇ 0.05, and * indicates that the UVB + flower extract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pidermal moisture compared to the UVB group. p ⁇ 0.05.
  • Control is a group treated with nothing as a control group
  • UVB is a control group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only, not administered the flower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UVB + flower extract is a group administered with UV irradiation and flower bud extract.
  • # Indicates that the skin thicknes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UVB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 ⁇ 0.05, and * indicates that the skin thicknes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UVB + flowerpot extract group compared to the UVB group. p ⁇ 0.05.
  • Control is a group treated with nothing as a control group
  • UVB is a control group irradiated with only ultraviolet rays, not administered the flower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C UVB + flower extract is a UV irradiation and flower extract Group.
  • UVB + flower extract is a group administered with UV irradiation and flower bud extract.
  • # I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xpression level of MMP-1 (A) and MMP-9 (B) proteins in the UVB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 ⁇ 0.05, and * is the UVB + flowerpot extract group.
  • the expression level of MMP-1 (A) and MMP-9 (B) proteins de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ompared to p ⁇ 0.05.
  • Control is a group treated with nothing as a control group
  • UVB is a control group irradiated with only ultraviolet rays, not administered the flower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C UVB + flower extract is a UV irradiation and flower extract Group.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oisturizing or wrinkles containing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flower extract or the following formula 1 to 5 isolated therefrom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flower extract may be prepared by a method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tion solvent in the step (1) is preferably selected from water, lower alcohols of C 1 ⁇ C 4 or mixtures thereof, more preferably ethanol, even more preferably 70% (v / v) ethanol It is not limited to this.
  • the extraction method may use all conventional methods known in the art, such as filtration, hot water extraction, immersion extraction, reflux cooling extraction and ultrasonic extraction.
  • the extraction solvent is preferably extracted by adding 1 to 20 times the weight of dried calendula, more preferably 5 to 15 times.
  • Extraction temperature is preferably 4 to 50 °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tion time is preferably 0.5 to 10 hours, more preferably 0.5 to 5 hours, most preferably 1 hour is not limited thereto.
  • the vacuum concentration in step (3) is preferably used as a vacuum vacuum concentrator or a vacuum rotary evaporator, but not always limited thereto.
  • the drying is preferably reduced pressure drying, vacuum drying, boiling drying, spray drying or freeze dry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 wrinkle generation occurs due to a decrease in collagen, and the decrease in collagen may be caused by excessive oxidative stress or ultraviolet irradiation.
  • the flower extract or one or more compounds selected from Formulas 1 to 5 isolated therefrom may reduce the expression level of MMP-1 protein and increase the content of hyaluronic acid.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ed as a food additive,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may be added as it is or used with other foods or food ingredi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Mixed amounts of active ingredients may be suitably us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prevention or improvement). In general,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in an amount of 15 parts by weight or less, preferably 10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the raw material in the production of food or beverage. However, in the case of long-term intake for health purposes, the amount may be below the above range, and since there is no problem in terms of safety,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used in an amount above the above range.
  • health functional foo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type of health functional food.
  • foods to which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may be added include meat, sausage, bread, chocolate, candy,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other noodles, gums, dairy products, including ice cream, various soups, drinks, tea Drinks, alcoholic beverages and vitamin complexes, and the like includes all of the health food in the conventional sense.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as food, in particular functional food.
  • Functional food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ingredients that are commonly added in food production, and include, for example, proteins, carbohydrates, fats, nutrients and seasonings.
  • natural carbohydrates or flavoring agents may be included as additional ingredients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 the natural carbohydrates may be monosaccharides (e.g. glucose, fructose, etc.), disaccharides (e.g.
  • the flavourant may be a natural flavourant (eg, taumartin, stevia extract, etc.) and a synthetic flavourant (eg, saccharin, aspartame, etc.).
  • the carbonation agent etc. which are used for a drink can be contained further.
  • the ratio of the above-mentioned ingredient is not critical, it is generally selected from 0.01 to 0.1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or anti-aging containing a flower extract or one or more compounds selected from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s 1 to 5 isolated therefrom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includ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ventionally used in the preparation, saline solution, sterile water, Ringer's solution, buffered saline solution, dextrose solution, maltodextrin solution, glycerol, ethanol, lactose, dex Straw, sucrose, sorbitol, mannitol, starch, acacia rubber, calcium phosphate, alginate, gelatin, calcium silicat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cellulose, syrups, methyl cellulose, methylhydroxybenzoate, propyl 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and the like.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and the parenteral administration may be administered by injection or application to the skin.
  • suitable dosages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scrib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the formulation method, mode of administration, age, weight, sex, morbidity, condition of food, time of administration, route of administration, rate of excretion and response to response of the patient. Can be.
  • a yellow ethanol extract (5.17 kg) was extracted with ethanol containing 1% (v / v) acetic acid (5l ⁇ 4) to obtain an ethanol extract, and the ethanol extract was evapo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give a brown ethanol. 968.0 g of extract was obtained.
  • the obtained ethanol extract was suspended in water and sequentially fractionated with n -hexane, ethyl acetate, butanol, and n -hexane fraction (400 g, PBS-1), ethyl acetate fraction (10.0 g, PBS-2) and butanol fraction. (47.3 g, PBS-3) and a water residue fraction (510.0 g, PBS-4) were obtained.
  • Ethyl acetate fraction (PBS-2) comprises hexane / ethyl acetate 5: 1, 4: 1, 2: 1 and 1: 1 (v: v); Hexanes / ethyl acetate / methanol 1/1 / 0.2 (v: v: v); Chloroform / methanol 7: 1 (v: v); Seven small fractions were obtained by performing VLC (vacuum liquid chromatography) under a gradient gradient elution condition of chloroform / methanol 5: 1 (v: v) and methanol washing conditions (PBS-2a to PBS-2g).
  • VLC vacuum liquid chromatography
  • the small fraction PBS-2d (2 g) was purified by HPLC (hexane / ethyl acetate / methanol 1: 1: 0.2 (v: v :) using a Kinetex Biphenyl column under conditions with a concentration gradient of 30-70% (v / v) aqueous methanol solution. elution conditions of v) through cyclo (L-Val-L-Pro) ( t R , 23min, 21 mg) (compound of formula 4) and N-acetyltyramine ( t R , 28min, 115mg) (compound of formula 5) ) was obtained.
  • Butanol fraction (47.8 g, PBS-3) was prepared by VLC with eluting conditions of 9: 1, 7: 1, 6: 1, 4: 1, 2: 1 (v: v) chloroform / methanol (v: v). It was fractionated into six small fractions (PBS-3a ⁇ PBS-3-f). In addition, three small fractions were obtained through MPLC using a methanol aqueous solution eluting condition having a concentration gradient of 20-50% (v / v) from PBS-3f small fraction (20 g) (PBS-3f-a to PBS). -3f-c).
  • methyl 9 H -pyrido [3,4- ⁇ ] indole-1-carboxylate (compound of formula 3) was prepar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concentration of methanol solution was 50 ⁇ 70% (v / v). It was isolated from the PBS-3a (100 g) bovine fraction via HPLC using a Kinetex Biphenyl column.
  • HaCaT cells human keratinocytes
  •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
  • FBS Fetal bovine serum
  • PS penicillin-streptomycin
  • the cultured HaCaT cells (human keratinocytes) were treated by diluting each sample by concentration for 24 hours, and treated with MTS assay (CellTiter Aque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 kit 3- (4,5-dimethylthiazol-2-yl).
  • MTS assay CellTiter Aque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 kit 3- (4,5-dimethylthiazol-2-yl).
  • Microplate reader at 490 nm (Molecular Devices, Sunnyvale) using -5- (3-carboxymethoxyphenyl) -2- (4-sulfophynyl) -2H-tetrazolium, inner salt; MTS, Promega Co. Madison, WI, USA , CA, USA) and tested.
  • the HaCaT cells (human keratinocytes) were treated with each sample for 24 hours and irradiated with UV (UV Crosslinker, Ultra Lum) at 20 mJ / cm 2 for 30 minutes, and then the supernatant of the culture was collected to collect MMP-1 ELISA.
  • the expression level of MMP-1 was measured using a kit (R & 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 and hyaluronic acid (Haluronic acid ELISA kit (R & 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 was used. HA) content was measured.
  • the expression level of MMP-1 was rapidly increased by ultraviolet irradiation, and the content of hyaluronic acid was decreased.
  • the expression level of MMP-1 was significantly reduced (Fig. 2), it was confirmed that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ent of hyaluronic acid in the ultraviolet irradiation group (Fig. 3).
  • Hairless mice were used after 6 weeks old male hairless mice (male HR-1, hairless mice, Japan SLC, Inc.) were purchased from a central laboratory animal and adapted for 1 week. Healthy animals were used for testing by observing general conditions during the adaptation period. The breeding environment wa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23 ⁇ 3 °C, a humidity of 50 ⁇ 5%, and a contrast cycle of 12 hours (07: 00-19: 00 / lighting time). During the test period, 6 animals were raised per group, and feed was freely fed 5L79 (Charles river, USA).
  • Sample administration was performed by dividing the control (control), UV-treated group (UV-vehicle) and the flower extract administration group. Sample administration was performed by oral administration using a mouse zone. The administration period was a total of 12 weeks for 5 days a week.
  • UV irradiation was carried out three times a week for 12 weeks in the experimental group, except for the control group, the UVB lamp (Mineralight UV Display lamp, UVP, USA) was used.
  • UV irradiation dose is 60 mJ / cm 2 for 1-4 weeks, 90 mJ / cm 2 for 5-8 weeks, For 9-12 weeks, irradiation was performed at 120 mJ / cm 2 for 12 weeks.
  • the amount of ultraviolet radiation was adjusted to the irradiation time after measuring the amount of light using a light meter (Delta OHM, Italy).
  • the transdermal moisture loss amount is the amount of water emitted from the skin. The higher the value, the lower the moisturizing function of the skin, indicating that the intrinsic barrier function is impaired.
  • Transdermal moisture evaporation is a measure of the amount of moisture evaporated from the skin by area and time using a Tewameter Courage & Khazaka, Germany under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23 °C, 50% relative humidity). The amount of moisture (g / m 2 / hr) was read with a moisturizing electronic sensor and quantified to measure the moisturizing power of the skin.
  • Skin moisture was measured by measuring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skin using a Cornometer Courage (Korneometer Courage & Khazaka, Germany) at constant temperature, constant humidity (23 °C, 50% relative humidity). The amount of moisture present in the epidermis of the skin was measured using a sensor to measure the ion level of the moisture, and the moisture content was measured by numerically calculating the amount of moisture.
  • the ultraviolet irradiation group confirmed that the skin moisture content was reduc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 ⁇ 0.05), and the flower extract administration group showed higher moisture content than the ultraviolet irradiation group.
  • the hairless mice were used after 6 weeks old male hairless mice (male HR-1, hairless mice, Japan SLC, Inc.) were purchased from a central laboratory animal and adapted for 1 week. Healthy animals were used for testing by observing general conditions during the adaptation period.
  • the breeding environment wa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23 ⁇ 3 °C, a humidity of 50 ⁇ 5% and a contrast cycle of 12 hours (07: 00-19: 00 / lighting time).
  • 6 animals were raised per group, and the feed was free of 5L79 (Charles river, USA) feed for mice.
  • Sample administration was performed by dividing the control (control), UV-treated group (UV-vehicle) and the flower extract administration group. Sample administration was performed by oral administration using a mouse zone. The administration period was a total of 12 weeks for 5 days a week.
  • UV irradiation was carried out three times a week for 12 weeks in the experimental group, except for the control group, the UVB lamp (Mineralight UV Display lamp, UVP, USA) was used.
  • UV irradiation dose is 60 mJ / cm 2 for 1-4 weeks, 90 mJ / cm 2 for 5-8 weeks, For 9-12 weeks, irradiation was performed at 120 mJ / cm 2 for 12 weeks.
  • the amount of ultraviolet radiation was adjusted to the irradiation time after measuring the amount of light using a light meter (Delta OHM, Italy).
  • MMP protein is an enzyme that affects collagen reduction by being involved in the degradation of extracellular matrix and basement membrane. It is a protein associated with skin aging and is known to increase by oxidative stress such as ultraviolet rays.
  • oxidative stress such as ultraviolet rays.
  • the skin tissues of animals administered orally with flower extracts were extracted and the Quantikine ELISA human pro MMP-1 and MMP-9 kit ( R & D systems, Minneapolis, MN, USA) was used to measure the expression levels of MMP-1 and MMP-9.
  • MMP-1 and MMP-9 proteins were analyzed using electrophoresis and Western blot techniques. Specifically, a protein extract solution is added to 20-30 mg of skin tissue, pulverized to extract and quantify the protein, and then the same amount of protein is electrophoresed to a PVDF membrane, and then reacted with an antibody to measure the expression level of the protein. It was.
  • results obta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were tested for significa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one-way ANOVA and Tukey multiple comparison test, and the value of p ⁇ 0.05 was determin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꽃벵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꽃벵이 추출물과 화학식 1~5의 화합물이 세포 독성이 거의 없고, 자외선 조사에 의해 증진된 MMP-1 및 MMP-9의 발현을 현저하게 억제하며 자외선 조사에 의해 증가된 피부두께도 감소시키고, 피부 보습을 증진시킬 수 있는 히알루론산의 함량을 증진시키며, 경피수분손실량을 감소시키고, 피부수분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보습 또는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또는 피부 주름개선 또는 항노화용 약학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꽃벵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본 발명은 꽃벵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의 환경과 항상 접하고 있는 기관으로 주로 외부의 물리적 손상 및 화학물질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이 피부로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며, 수분 손실을 막는 보호장벽 역할을 한다. 피부의 구조를 보면 표피, 진피, 피하지방의 3개 층으로 구성되고 표피는 3개 층 중 가장 얇은 층으로 피부의 보습 및 보호를 담당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특히 표피의 각질층에 존재하는 수분에 의하여 피부가 탄력 있고 부드럽게 되는데, 각질층의 탄력이 유지되려면 10% 이상의 수분함유가 필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O. K. Jacobi, Proc. Sci. Sec. Toilet Goods Assoc. 1959, 31, 22).
최근 들어, 환경오염 등의 이유로 강한 자외선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아졌고, 이에 의한 피부의 수분 손실이 증가하면서 피부 노화가 가속화되고, 피부의 손상에 의한 관련 질병의 발병률이 증가함에 따라,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의 보습 유지 및 주름개선 효과를 오랫동안 지속시켜주는 조성물에 대한 요구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편, 꽃벵이는 흰점박이꽃무지의 유충으로, 흰점박이꽃무지는 몸길이는 17~22mm이며 몸은 광택이 강한 녹갈색이나 구릿빛 또는 붉은빛을 띠는데 녹색, 남색, 흑남색, 흑자색 등의 변이도 있다. 후경절 안쪽의 털은 회갈색이며, 중흉돌기의 끝은 은행모양이고, 딱지날개의 끝은 뾰족하게 돌출하였다. 수컷의 복부복판은 길이로 패였다. 교미구는 가는 직선형이며, 내판은 좁고 긴데 끝에 둥글게 돌출한 부분이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흰점박이꽃무지 관련 기술의 일례로는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J Korean Soc Food Sci Nutr 41(1), 41~48,2012)에 '흰점박이꽃무지 함유 음료의 in vitro 항산화 관련 생리활성효능 및 안전성 검증'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0414187호에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 및 이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꽃벵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꽃벵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학식 1 내지 5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유효성분이 세포 독성이 거의 없고, 자외선 조사에 의해 증진된 MMP-1 및 MMP-9의 발현을 현저하게 억제하며 자외선 조사에 의해 증가된 피부두께도 감소시키고, 피부 보습을 증진시킬 수 있는 히알루론산의 함량을 증진시키며, 경피수분손실량을 감소시키고, 피부수분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꽃벵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하기 화학식 1 내지 5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또는 피부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꽃벵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하기 화학식 1 내지 5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항노화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꽃벵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세포 독성이 거의 없고, 자외선 조사에 의해 증진된 MMP-1 및 MMP-9의 발현을 현저하게 억제하며 자외선 조사에 의해 증가된 피부두께도 감소시키고, 피부 보습을 증진시킬 수 있는 히알루론산의 함량을 증진시키며, 경피수분손실량을 감소시키고, 피부수분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성식품; 피부주름 개선 또는 항노화용 의약품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꽃벵이 추출물(A)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학식 1~5의 화합물(B)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세포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2는 UV 조사 및 본 발명의 꽃벵이 추출물(A)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학식 1~5의 화합물(B)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MMP-1 단백질의 발현량 변화를 분석한 결과이다. Control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는 음성대조군이고, UVB는 본 발명의 꽃벵이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1~5는 처리하지 않고, 자외선만을 조사한 대조군이다.
도 3은 UV 조사 및 본 발명의 꽃벵이 추출물(A)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학식 1~5의 화합물(B)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히알루론산(HA) 변화를 분석한 결과이다. Control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는 음성대조군이고, UVB는 본 발명의 꽃벵이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1~5는 처리하지 않고, 자외선만을 조사한 대조군이다.
도 4는 UV 조사 및 본 발명의 꽃벵이 추출물 투여에 따른 경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Control은 대조군으로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군이고, UVB는 본 발명의 꽃벵이 추출물은 투여하지 않고, 자외선만을 조사한 대조군이며, UVB+꽃벵이 추출물은 UV 조사 및 꽃벵이 추출물을 투여한 군이다. #은 UVB군이 control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경피수분손실량이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5이고, *은 UVB+꽃벵이 추출물군이 UVB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경피수분손실량이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5이다.
도 5는 UV 조사 및 본 발명의 꽃벵이 추출물 투여에 따른 표피수분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Control은 대조군으로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군이고, UVB는 본 발명의 꽃벵이 추출물은 투여하지 않고, 자외선만을 조사한 대조군이며, UVB+꽃벵이 추출물은 UV 조사 및 꽃벵이 추출물을 투여한 군이다. #은 UVB군이 control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표피수분량이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5이고, *은 UVB+꽃벵이 추출물군이 UVB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표피수분량이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5이다.
도 6은 UV 조사 및 본 발명의 꽃벵이 추출물 투여에 따른 표피두께를 측정한 결과이다. Control은 대조군으로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군이고, UVB는 본 발명의 꽃벵이 추출물은 투여하지 않고, 자외선만을 조사한 대조군이며, UVB+꽃벵이 추출물은 UV 조사 및 꽃벵이 추출물을 투여한 군이다. #은 UVB군이 control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표피두께가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5이고, *은 UVB+꽃벵이 추출물군이 UVB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표피두께가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5이다.
도 7은 H&E 염색을 통한 주름개선 효능을 평가한 결과이다. (A) Control은 대조군으로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군이고, (B) UVB는 본 발명의 꽃벵이 추출물은 투여하지 않고, 자외선만을 조사한 대조군이며, (C) UVB+꽃벵이 추출물은 UV 조사 및 꽃벵이 추출물을 투여한 군이다.
도 8은 UV 조사 및 본 발명의 꽃벵이 추출물 투여에 따른 MMP-1(A) 및 MMP-9(B) 단백질의 발현량을 확인한 ELISA 결과이다. Control은 대조군으로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군이고, UVB는 본 발명의 꽃벵이 추출물은 투여하지 않고, 자외선만을 조사한 대조군이며, UVB+꽃벵이 추출물은 UV 조사 및 꽃벵이 추출물을 투여한 군이다. #은 UVB군이 control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MMP-1(A) 및 MMP-9(B) 단백질의 발현량이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5이고, *은 UVB+꽃벵이 추출물군이 UVB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MMP-1(A) 및 MMP-9(B) 단백질의 발현량이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5이다.
도 9는 UV 조사 및 본 발명의 꽃벵이 추출물 투여에 따른 MMP-1(A) 및 MMP-9(B) 단백질의 발현량을 확인한 웨스턴블랏 결과이다. (A) Control은 대조군으로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군이고, (B) UVB는 본 발명의 꽃벵이 추출물은 투여하지 않고, 자외선만을 조사한 대조군이며, (C) UVB+꽃벵이 추출물은 UV 조사 및 꽃벵이 추출물을 투여한 군이다.
본 발명은 꽃벵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하기 화학식 1 내지 5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또는 피부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KR2018004158-appb-C000001
Figure PCTKR2018004158-appb-C000002
Figure PCTKR2018004158-appb-C000003
Figure PCTKR2018004158-appb-C000004
Figure PCTKR2018004158-appb-C000005
상기 꽃벵이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1) 꽃벵이 건조 분말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 (1)에서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70%(v/v) 에탄올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추출방법은 여과법,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당 업계에 공지된 모든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건조된 꽃벵이 중량의 1~2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5~15배 첨가하는 것이다. 추출온도는 4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0.5~10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0.5~5시간이 더욱 바람직하고, 1시간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 감압 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 건조 또는 동결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주름 생성은 콜라겐의 감소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며, 상기 콜라겐의 감소는 과도한 산화 스트레스나 자외선 조사가 원인일 수 있다.
상기 꽃벵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상기 화학식 1 내지 5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은 MMP-1 단백질의 발현량을 감소시키며, 히알루론산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성식품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은 식품, 특히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이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첨가되는 성분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꽃벵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하기 화학식 1 내지 5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항노화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8004158-appb-I000001
[화학식 2]
Figure PCTKR2018004158-appb-I000002
[화학식 3]
Figure PCTKR2018004158-appb-I000003
[화학식 4]
Figure PCTKR2018004158-appb-I000004
[화학식 5]
Figure PCTKR2018004158-appb-I000005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성분들 이외에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희석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또는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는 주사 또는 피부에 도포하는 방법으로 투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실시예 1. 꽃벵이 추출물의 제조 및 5종 화합물의 분리
꽃벵이(흰점박이꽃무지 유충)(5.17kg)를 1%(v/v) 아세트산이 포함된 에탄올로 추출하여(5ℓ×4) 에탄올 추출액을 얻고, 에탄올 추출액을 감압증류하여 갈색을 띠는 에탄올 추출물을 968.0g을 획득하였다.
상기 획득한 에탄올 추출물을 물에 현탁하고,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n-헥산 분획물(400g, PBS-1),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10.0g, PBS-2), 부탄올 분획물(47.3g, PBS-3)과 물 잔사 분획물(510.0g, PBS-4)을 획득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PBS-2)은 헥산/에틸아세테이트 5:1, 4:1, 2:1 및 1:1(v:v);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 1/1/0.2(v:v:v); 클로로포름/메탄올 7:1(v:v); 클로로포름/메탄올 5:1(v:v)의 농도 구배 용리 조건 및 메탄올 세척조건으로 VLC(vacuum liquid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7개의 소 분획물을 획득하였다(PBS-2a~PBS-2g). 소 분획물 PBS-2d(2g)은 30~70%(v/v)의 메탄올 수용액 농도 구배를 갖는 조건에서 Kinetex Biphenyl 칼럼을 이용한 HPLC(헥산/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 1:1:0.2(v:v:v)의 용리조건)를 통해 cyclo(L-Val-L-Pro) (t R, 23min, 21 mg)(화학식 4의 화합물) 및 N-acetyltyramine (t R, 28min, 115mg)(화학식 5의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부탄올 분획물(47.8g, PBS-3)은 9:1, 7:1, 6:1, 4:1, 2:1 (v:v) 클로로포름/메탄올(v:v)의 용리조건을 갖는 VLC를 수행하여 6개의 소 분획물(PBS-3a~PBS-3-f)로 분획 되었다. 또한, PBS-3f 소 분획물(20g)로부터 20~50%(v/v)의 농도 구배를 갖는 메탄올 수용액 용리조건을 이용하여 MPLC를 통해 3개의 소 분획물을 획득하였다(PBS-3f-a~PBS-3f-c).
(1R,3S)-1-methyl-1,2,3,4-tetrahydro-β-carboline-3-carboxylic acid (t R, 58min, 15mg)(화학식 1의 화합물);
(1S,3S)-1-methyl-1,2,3,4-tetrahydro-β-carboline-3-carboxylic acid (t R, 57min, 20mg)(화학식 2의 화합물);
methyl 9H-pyrido[3,4-β]indole-1-carboxylate(t R, 45min, 10mg)(화학식 3의 화합물)는 50~70%(v/v)의 메탄올 수용액 농도구배를 갖는 조건에서 Kinetex Biphenyl 칼럼을 이용한 HPLC를 통해 PBS-3a(100g) 소 분획물로부터 분리되었다.
이후, 화학식 1~5의 화합물 구조는 1H-NMR 및 13C-NMR을 수행하여 확인하였다.
화학식 1의 화합물: 1H NMR (600MHz, D2O) δH 7.62 (1H, d, J = 7.7 Hz, H-5), 7.47 (1H, d, J = 8.0 Hz, H-8), 7.27 (1H, t, J = 7.7 Hz, H-7), 7.18 (1H, t, J = 7.7 Hz, H-6), 4.99 (1H, dd, J = 13.7, 6.8 Hz, H-1), 4.26 (1H, dd, J = 9.2, 5.5 Hz, H-3), 3.40 (1H, dd, J = 16.4, 5.5 Hz, H-4), 3.12 (1H, ddd, J = 16.4, 9.2, 0.9 Hz, H-4), 1.69 (1H, d, J = 6.9 Hz, H-10); 13C NMR (150MHz, DMSO-d6) δc 173.6 (-COOH), 136.2 (C-8a), 130.4 (C-9a), 125.3 (C-4b), 122.4 (C-7), 119.5 (C-6), 118.1 (C-5), 111.4 (C-8), 104.6 (C-4a), 52.9 (C-3), 47.6 (C-1), 21.9 (C-4), 17.4 (C-10)
화학식 2의 화합물: 1H NMR (600MHz, DMSO-d6) δH 11.8 (1H, s, H-9), 7.45 (1H, d, J = 7.7 Hz, H-5), 7.34 (1H, d, J = 7.7 Hz, H-8), 7.09 (1H, d, J = 7.7 Hz, H-7), 7.00 (1H, d, J = 7.7 Hz, H-6), 4.52 (1H, d, J = 6.2 Hz, H-1), 3.63 (1H, dd, J = 11.9, 4.4 Hz, H-3), 3.17 (1H, dd, J = 16.0, 4.4 Hz, H-4), 2.78 (1H, m, H-4), 1.61 (1H, d, J = 6.8 Hz, H-10); 13C NMR (150MHz, DMSO-d6) δc 169.5 (-COOH), 136.4 (C-8a), 132.2 (C-9a), 126.1 (C-4b), 121.4 (C-7), 118.9 (C-6), 118.0 (C-5), 111.2 (C-8), 106.7 (C-4a), 57.6 (C-3), 49.0 (C-1), 23.2 (C-4), 16.9 (C-10)
화학식 3의 화합물: 1H NMR (600MHz, methanol-d4) δH 8.43 (1H, d, J = 5.0 Hz, H-3), 8.34 (1H, d, J = 5.0 Hz, H-4), 8.24 (1H, d, J = 8.3 Hz, H-5), 7.73 (1H, d, J = 8.3 Hz, H-8), 7.62 (1H, ddd, J = 8.3, 7.5, 1.1 Hz H-7), 7.33 (1H, ddd, J = 8.3, 7.5, 1.1 Hz, H-6), 4.12 (1H, s, H-1'); 13C NMR (150MHz, methanol-d4) δc 167.3 (-COOH), 143.3 (C-8a), 138.8 (C-3), 137.8 (C-9a), 133.6 (C-1), 130.7 (C-4a), 130.5 (C-6), 122.8 (C-5), 121.7 (C-7), 121.7 (C-4b), 120.0 (C-4), 113.5 (C-8), 53.0 (-OCH3)
화학식 4의 화합물: 1H NMR (300MHz, methanol-d4) δH4.21 (1H, brt, J = 7.5 Hz, H-6), 4.04 (1H, brs, H-3), 3.53 (2H, m, H2-9), 2.49 (1H, ddd, J = 14.1, 7.05, 2.44 Hz, H-10), 2.32 (1H, m, H-7a), 1.89-2.04 (3H, m, H2-8, H-7b), 1.10 (3H, d, J = 6.9 Hz, H3-11), 0.93 (3H, d, J = 6.9 Hz, H3-12); 13C NMR (75MHz, methanol-d4) δC 172.6 (C-5), 167.6 (C-2), 61.5 (C-3), 60.0 (C-6), 46.2 (C-9), 29.9 (C-7), 29.5 (C-10), 23.3 (C-8), 18.8 (C-11), 16.7 (C-12)
화학식 5의 화합물: 1H NMR (300MHz, methanol-d4) δH 7.00 (2H, d, J = 8.4 Hz, H-2', 6'), 6.71 (2H, d, J = 8.4 Hz, H-3', 5'), 3.31 (2H, t, J = 7.4 Hz, H-3), 2.66 (2H, t, J = 7.4 Hz, H-4), 1.88 (1H, s, H-1); 13C NMR (75MHz, methanol-d4) δc 173.2 (C-2), 156.9 (C-4'), 131.2 (C-1'), 130.7 (C-2', 6'), 116.2 (C-3', 5'), 42.4 (C-3) 35.6 (C-4), 22.5 (C-1)
실시예 2. 꽃벵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학식 1~5의 화합물 처리에 따른 세포 생존율 분석
HaCaT 세포(사람 각질형성 세포주)는 37℃, 5%의 CO2 조건으로, 10%의 FBS(Fetal bovine serum)과 1%의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S, Gibco)이 함유된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한 HaCaT 세포(사람 각질형성 세포주)에 24시간 동안 각각의 시료를 농도별로 희석하여 처리하고 MTS 어세이(CellTiter Aque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 kit 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ynyl)-2H-tetrazolium, inner salt; MTS, Promega Co. Madison, WI, USA) 기법으로 세포 생존능을 490nm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로 측정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꽃벵이 추출물, 이로부터 분리한 화학식 1~5의 화합물을 처리하여도 세포 생존율(%)이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을 기준으로 거의 변화가 없어 세포독성이 거의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MMP-1과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의 발현량 분석
상기 HaCaT 세포(사람 각질형성 세포주)에 24시간 동안 각각의 시료를 처리하고 자외선(UV Crosslinker, Ultra Lum)을 20 mJ/cm2로 30분 동안 조사한 후, 배양물의 상등액을 수집하여 MMP-1 ELISA 키트(R&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를 이용하여 MMP-1의 발현량을 측정하였고, Hyaluronic acid ELISA 키트(R&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를 이용하여 히알루론산(HA)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 및 도 3에 개시한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에 의해 MMP-1의 발현량이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히알루론산의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자외선 조사 및 본 발명의 꽃벵이 추출물 및 화학식 1~5의 화합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각각의 실험군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MMP-1의 발현량이 현저하게 감소하였고(도 2), 자외선 조사군에서의 히알루론산의 함량에 비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3).
실시예 4. 동물모델을 이용한 피부 보습 효능 평가
[실험동물 및 시료투여]
무모 생쥐는 6주령의 수컷 무모쥐(male HR-1, hairless mice, Japan SLC, Inc.)를 중앙실험동물로부터 구입하여 1주 동안 적응시킨 후 사용하였다. 적응기간 중 일반 상태를 관찰하여 건강한 상태의 동물을 시험에 사용하였다. 사육환경은 온도 23±3℃, 습도 50±5%, 명암주기 12시간(07:00-19:00/조명시간)으로 유지하였다. 시험기간 중 실험동물은 군당 6마리로 사육하였고 사료는 마우스 전용사료 5L79 (Charles river, USA)를 자유 급이 하였으며, 음수는 자외선으로 소독한 상수도수를 자유 급이 하였다.
시료투여는 대조군(control), 자외선 처리군(UV-vehicle) 및 꽃벵이 추출물 투여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하였다. 시료투여는 마우스 존대를 이용하여 경구투여를 실시하였다. 투여기간은 총 12주로 주 5일 동안 투여하였다.
[자외선조사]
자외선조사는 대조군을 제외한 실험군에 12주 동안 주 3회 실시하였고, 자외선은 UVB 램프 (Mineralight UV Display lamp, UVP, USA)를 사용하였다. 자외선 조사량은 1~4주 동안은 60 mJ/cm2, 5~8주 동안은 90 mJ/cm2, 9~12주 동안은 120 mJ/cm2로 12주 동안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량은 광 측정기(Delta OHM, Italy)를 이용하여 광량을 측정한 후 조사시간으로 조절하였다.
(1) 꽃벵이 추출물의 경피수분손실량(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 평가
경피수분손실량(TEWL)은 피부로부터 발산되는 수분량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피부의 보습 기능이 떨어져 피부 고유의 장벽 기능이 손상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경피수분증발량은 항온, 항습 조건(23℃, 상대습도 50%)에서 투와미터(Tewameter Courage & Khazaka,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에서 증발하는 수분의 양을 면적과 시간에 따라 측정한 것으로, 증발하는 수분의 양(g/m2/hr)을 보습 전자센서로 읽고, 이를 수치화하여 피부의 보습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개시한 바와 같이 자외선조사에 의해 피부 장벽이 손상되어 피부 보습 기능이 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p<0.05), 꽃벵이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자외선에 의해 유발된 피부 수분 손실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p<0.05).
(2) 피부수분량 측정
피부수분량은 항온, 항습 조건 (23℃, 상대습도 50%)에서 코니오미터(Corneometer Courage & Khazaka, Germany) 장비를 이용하여 피부에 함유된 수분을 측정하였다. 피부의 표피 내에 존재하는 수분의 양을 센서를 이용하여 수분의 이온정도를 측정하고, 이를 수치화하여 수분의 양을 계산함으로써 보습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개시한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군은 피부수분량이 대조군에 비해서 감소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고(p<0.05), 꽃벵이 추출물 투여군은 자외선 조사군에 비해서 수분함유량이 높게 나타났다.
실시예 5. 동물모델을 이용한 주름 개선 효능 평가
[실험동물 및 시료투여]
무모생쥐는 6주령의 수컷 무모쥐(male HR-1, hairless mice, Japan SLC, Inc.)를 중앙실험동물로부터 구입하여 1주 동안 적응시킨 후 사용하였다. 적응기간 중 일반 상태를 관찰하여 건강한 상태의 동물을 시험에 사용하였다. 사육환경은 온도 23±3℃, 습도 50±5%, 명암주기 12시간 (07:00-19:00/조명시간)으로 유지하였다. 시험기간 중 실험동물은 군당 6마리로 사육하였고 사료는 마우스 전용사료 5L79 (Charles river, USA)를 자유급이 하였으며, 음수는 자외선으로 소독한 상수도수를 자유 급이하였다.
시료투여는 대조군(control), 자외선 처리군(UV-vehicle) 및 꽃벵이 추출물 투여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하였다. 시료투여는 마우스 존대를 이용하여 경구투여를 실시하였다. 투여기간은 총 12주로 주 5일 동안 투여하였다.
[자외선조사]
자외선조사는 대조군을 제외한 실험군에 12주 동안 주 3회 실시하였고, 자외선은 UVB 램프 (Mineralight UV Display lamp, UVP, USA)를 사용하였다. 자외선 조사량은 1~4주 동안은 60 mJ/cm2, 5~8주 동안은 90 mJ/cm2, 9~12주 동안은 120 mJ/cm2로 12주 동안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량은 광 측정기(Delta OHM, Italy)를 이용하여 광량을 측정한 후 조사시간으로 조절하였다.
(1) 표피두께 변화에 의한 효능평가
주름억제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 실험군의 피부조직을 적출하여 10% 중성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한 후 수세, 탈수, 투명, 침투 과정을 거친 다음 파라핀으로 포매하고 4μm 두께로 절편을 만든 후 Hematoxylin & Eosin(H&E) 염색 및 Masson's trichome 염색을 실시하였다. H&E 염색을 실시한 조직의 케라틴층에서 표피세포 기저막(epidermal basement membrane)까지의 두께를 현미경에 장착된 자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개시한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에 의해 표피두께가 증가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꽃벵이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자외선 조사군에 비해 표피두께가 감소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조직염색에 의한 효능평가(H&E 염색)
자외선으로 유발된 주름억제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무모생쥐의 피부조직을 떼어낸 후 조직염색을 통해서도 확인하였다.
그 결과, H&E 염색을 실시한 데이터로 자외선 조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각질층이 일어났으며, 표피두께 또한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꽃벵이 추출물 투여군은 자외선 조사군에 비해서 각질층이 완화되었고, 표피두께 또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7).
(3) ELISA 기법을 이용한 MMP-1 및 MMP-9 단백질 발현량 분석
MMP 단백질은 세포외 기질과 기저막의 분해에 관여함으로써, 콜라겐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효소로 피부노화와 연관있는 단백질이며, 자외선과 같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므로, 본 실시예 5에서는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유도된 MMP-1 및 MMP-9 단백질의 발현 억제 효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꽃벵이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동물의 피부조직을 적출하여 Quantikine ELISA human pro MMP-1 및 MMP-9 kit (R&D systems, Minneapolis, MN, USA)를 사용하여 MMP-1 및 MMP-9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자외선 조사에 의해 MMP-1과 MMP-9의 발현량 모두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세포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본 발명의 꽃벵이 추출물 투여군의 조직에서는 MMP-1과 MMP-9의 발현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8).
(4) 전기영동 및 웨스턴 블랏 기법을 이용한 MMP-1 및 MMP-9 단백질의 발현량 분석
전기영동 및 웨스턴 블랏 기법을 이용한 MMP-1 및 MMP-9 단백질의 발현량 분석하였다. 상세하게는 20~30mg의 피부조직에 단백질 추출용액을 첨가하고, 분쇄하여 단백질을 추출하고 정량한 후, 동일 양의 단백질을 전기영동하여 PVDF membrane으로 옮긴 후 항체와 반응시켜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ELISA 분석 결과와 마찬가지로, 자외선 조사에 의해 MMP-1과 MMP-9의 발현량 모두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세포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본 발명의 꽃벵이 추출물 투여군의 조직에서는 MMP-1과 MMP-9의 발현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9).
[통계학적 방법]
본 발명에서 얻은 결과치는 one-way ANOVA와 Tukey multiple comparison test를 이용하여 대조군과 실험군 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으며, p<0.05의 값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Claims (5)

  1. 꽃벵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하기 화학식 1 내지 5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또는 피부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8004158-appb-I000006
    [화학식 2]
    Figure PCTKR2018004158-appb-I000007
    [화학식 3]
    Figure PCTKR2018004158-appb-I000008
    [화학식 4]
    Figure PCTKR2018004158-appb-I000009
    [화학식 5]
    Figure PCTKR2018004158-appb-I0000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꽃벵이 추출물의 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습 또는 피부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꽃벵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상기 화학식 1 내지 5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은 MMP-1 단백질의 발현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습 또는 피부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꽃벵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상기 화학식 1 내지 5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은 히알루론산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습 또는 피부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5. 꽃벵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하기 화학식 1 내지 5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항노화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8004158-appb-I000011
    [화학식 2]
    Figure PCTKR2018004158-appb-I000012
    [화학식 3]
    Figure PCTKR2018004158-appb-I000013
    [화학식 4]
    Figure PCTKR2018004158-appb-I000014
    [화학식 5]
    Figure PCTKR2018004158-appb-I000015
PCT/KR2018/004158 2017-04-07 2018-04-09 꽃벵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WO201818672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222A KR101907850B1 (ko) 2017-04-07 2017-04-07 꽃벵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017-0045222 2017-04-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86724A1 true WO2018186724A1 (ko) 2018-10-11

Family

ID=63713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4158 WO2018186724A1 (ko) 2017-04-07 2018-04-09 꽃벵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07850B1 (ko)
WO (1) WO20181867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16646A (zh) * 2021-09-26 2021-11-09 中国科学院昆明植物研究所 咔啉生物碱在制备抗uvb辐射制剂中的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994B1 (ko) * 2017-12-22 2019-12-10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흰점박이꽃무지유충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659A (ko) * 2001-06-26 2003-01-08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20130083800A (ko) * 2012-01-13 2013-07-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주름 개선 및 미백용 조성물
KR20160032851A (ko) * 2014-09-17 2016-03-25 정기호 흰점박이 꽃무지를 주재료로 하는 환의 제조방법
KR20160042283A (ko) * 2014-10-08 2016-04-1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1635618B1 (ko) * 2014-12-29 2016-07-08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노화 억제와 피부주름 개선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
KR101723206B1 (ko) * 2016-12-07 2017-04-05 전성보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용 환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659A (ko) * 2001-06-26 2003-01-08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20130083800A (ko) * 2012-01-13 2013-07-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주름 개선 및 미백용 조성물
KR20160032851A (ko) * 2014-09-17 2016-03-25 정기호 흰점박이 꽃무지를 주재료로 하는 환의 제조방법
KR20160042283A (ko) * 2014-10-08 2016-04-1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1635618B1 (ko) * 2014-12-29 2016-07-08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노화 억제와 피부주름 개선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
KR101723206B1 (ko) * 2016-12-07 2017-04-05 전성보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용 환 및 그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I, LIN: "Nitrogenous compounds from Holotrichia diomphalia Bates", TIANRAN CHANWU YANJIU YU KAIFA, vol. 25, no. 3, 2013, pages 329 - 332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16646A (zh) * 2021-09-26 2021-11-09 中国科学院昆明植物研究所 咔啉生物碱在制备抗uvb辐射制剂中的应用
CN113616646B (zh) * 2021-09-26 2024-04-02 中国科学院昆明植物研究所 咔啉生物碱在制备抗uvb辐射制剂中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7850B1 (ko) 201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8342B1 (ko) 주름을 방지 또는 개선하기 위한 경구, 주사, 피부 외용제 및 미용 방법
WO2015002393A1 (ko) 감귤 미성숙과 추출물, 또는 시네프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WO2019098468A1 (ko) 양태반 분말과 식물의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주름 개선용 식품 또는 화장료 조성물
WO2017217695A1 (ko) 알파-망고스틴, 베타-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또는 가르탄닌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WO2018186724A1 (ko) 꽃벵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WO2013129723A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s comprising hordenine
US20090170788A1 (en) Novel use of 1, 2, 3, 4, 6-penta-o-galloyl-beta-d-glucose
KR20110078678A (ko) 주름개선용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1080129A1 (ko) 하이드란제놀 또는 필로둘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장벽 강화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WO2017119535A1 (ko) 카노신, 대두 펩타이드 및 천심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WO2020045921A1 (ko) 피부 투명도 및 칙칙함 개선용 조성물
WO2023113111A1 (ko) 수용화 매스틱 검을 이용한 기미, 검버섯 등의 개선을 위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15034247A1 (ko)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022478A2 (ko)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WO2019031655A1 (ko) 티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160021A1 (ko) 벼메뚜기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111540A1 (ko) 안토시아닌-폴리사카라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5188711B (zh) 含有人参皂苷rh4的皮肤外用剂组合物
WO2019225891A1 (ko) 아이리린 b를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 조성물
KR20120131064A (ko) 아위느타리버섯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엘라스타제 저해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70801B1 (ko) 장수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00072398A (ko) 생강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WO2022045638A1 (ko) 락토바실러스 속 신균주를 이용한 바다제비집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WO2018056778A1 (ko) 진주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WO2023277626A1 (ko) 2-phloroeck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78187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78187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