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1064A - 아위느타리버섯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엘라스타제 저해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위느타리버섯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엘라스타제 저해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1064A
KR20120131064A KR1020110049264A KR20110049264A KR20120131064A KR 20120131064 A KR20120131064 A KR 20120131064A KR 1020110049264 A KR1020110049264 A KR 1020110049264A KR 20110049264 A KR20110049264 A KR 20110049264A KR 20120131064 A KR20120131064 A KR 20120131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pleuron
composition
skin 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5214B1 (ko
Inventor
유익동
이익수
류인자
권경열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뜰아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뜰아채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49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214B1/ko
Publication of KR20120131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19/041,3-Dioxanes; Hydrogenated 1,3-dioxanes
    • C07D319/061,3-Dioxanes; Hydrogenated 1,3-dioxane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two or more oxygen atoms in the same ring, e.g. crown ethers, guanadr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위느타리버섯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엘라스타제 저해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병에 따른 아위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DDL01(기탁번호: KACC93085P)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인 플레우론(Pleurone)은 피부의 진피조직 속에 있으면서 피부의 탄력성을 유지시키는 엘라스틴을 저해하는 효소인 인간 호중구 엘라스테아제(HNE)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주름을 예방하거나 개선할 수 있으므로,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또는 피부 노화 방지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위느타리버섯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엘라스타제 저해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Noble elastease inhibitor isolated from 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and composition of the prevention or treatment for anti aging contain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아위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DDL01(기탁번호: KACC93085P)으로부터 분리된 인간 호중구 엘라스타제(Human Neutrophil Elastase, HNE)를 저해하는 신규한 플레우론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노화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자연히 발생하는 자연노화(intrinsic aging, 내인성 노화)와 주위 환경, 특히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photoaging)로 나눌 수 있다. 광노화는 오랫동안 햇빛에 노출된 얼굴, 손등, 목 뒤 등의 피부에서 관찰되는 노화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내인성 노화 현상과 자외선에 의한 영향이 합쳐진 결과로 발생한다. 자연노화와 광노화 사이에는 주름이 생성되는 기전이 세부적으로 차이는 있으나, 표피 세포의 증식이나 신진대사가 저하되며, 표피-진피 사이의 결합이 약해 조그만 자극에도 손상을 입기 쉽고, 콜라겐 합성이 감소하고, 콜라겐 분해 효소인 MMPs(Matrix Metalloproteinases)의 과다한 발현 증가 등의 생리적 변화들이 나타나 피부가 건조해지며 표피, 진피층의 구조적인 차이로 인해 탄력성을 잃어버리고, 점차 주름이 깊어지게 되는 것이다.
주름생성의 주요한 원인으로 나이가 들면서 체세포의 분열능력이 떨어지고 세포 수가 감소하는 노화와 반응성이 높은 활성산소가 세포의 주요 구성물질을 파괴하면서 세포의 기능을 저하시켜 진행되는 노화, 및 장기간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피부 속의 교원질(콜라겐)과 탄력섬유(엘라스틴) 등의 기질 단백질이 손상되어 피부 내 교원질의 양이 부족해지고 탄력섬유의 변형을 유발하는 피부 노화가 있다.
피부 노화의 임상적 특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 사람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점차 탄력을 상실하게 되는데 어릴 때의 탄력섬유(oxytalane fiber)는 수직으로 구성되어 있다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차츰 분해되고 없어지면서 수평으로 배열된 탄력섬유(elastic fiber)가 증가한다. 이러한 탄력섬유의 구성성분 변화가 노화된 피부에서 탄력성 상실의 큰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된바 있다(손의동 외, NICE, 25(2), 133~138, 2007).
피부주름 개선에는 콜라겐(collagen)뿐만 아니라 탄력섬유인 엘라스틴(elastin) 등도 기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더 나아가 자외선에 의하여 사람의 피부에서 광노화 현상이 나타나며 자외선 조사 후 엘라스타제(elastase)의 활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엘라스타제의 활성증가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탄성도의 감소 및 주름 생성의 주요원인으로 판단되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콜라겐 생성의 증가가 피부주름 개선에 주된 요소임은 분명하나 콜라겐 이외에 탄력섬유인 엘라스틴 등도 주름 개선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어, 콜라겐의 생성 증가효과나 분해 억제효과만을 기능성 화장품의 유효성 평가방법으로 사용하는 데에는 무리가 있으며, 새로운 평가기준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며, 세계적으로 콜라겐뿐만이 아니라 엘라스틴의 생성과 분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므로 엘라스틴 및 관련효소를 이용한 주름개선 후보물질의 탐색은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뿐만 아니라 주름치료용 의약품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종래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899335호에서는 엘라스테아제 저해 효과를 보이는 아다만탄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637423호에 트라이테르페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10283호에서는 활성성분으로 플라바논 화합물 또는 그 유도체 또는 그 혼합물을, 주름개선에 유효한 양으로 함유하는 화장 또는 약학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5612호에서는 남극 지의류인 Ramalina terebrata로부터 분리된 라말린을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피부 노화에 유용한 신규 치료제의 개발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의 진피조직 속에 있으면서 피부의 탄력성을 유지시키는 엘라스틴을 저해하는 효소인 인간 호중구 엘라스테아제(HNE)의 발현을 억제 활성을 가진 물질을 연구하던 중, 아위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DDL01(기탁번호: KACC93085P) 추출물로부터 인간 호중구 엘라스테아제 억제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순수하게 분리 정제한 후 물리화학적 특성 및 화학구조를 결정하여 신규한 화합물임을 확인하고 플레우론(Pleurone)이라고 명명하였으며, 신규한 플레우론(Pleurone) 화합물이 인간 호중구 엘라스테아제(HNE)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또는 피부 노화 방지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플레우론 화합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신규한 플레우론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레우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레우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레우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효량의 플레우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개체에 투여하여 피부 노화를 예방 또는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플레우론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
또한, 본 발명은 아위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DDL01(기탁번호: KACC93085P)에 물, C1~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가하여 아위느타리버섯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아위느타리버섯 추출물을 물, n-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분획물을 얻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수득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기용매를 유출용매로 사용하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화합물을 분리하고 정제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상기 플레우론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레우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플레우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플레우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효량의 플레우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개체에 투여하여 피부 노화를 예방 또는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위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DDL01(기탁번호: KACC93085P)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인 플레우론(Pleurone)은 피부의 진피조직 속에 있으면서 피부의 탄력성을 유지시키는 엘라스틴을 저해하는 효소인 인간 호중구 엘라스테아제(HNE)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주름을 예방하거나 개선할 수 있으므로,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 또는 피부 노화 방지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1H-NMR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13C-NMR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농도에 따른 인간 호중구 엘라스테아제(HNE)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플레우론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02
또한, 본 발명은 아위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DDL01(기탁번호: KACC93085P)에 물, C1~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가하여 아위느타리버섯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아위느타리버섯 추출물을 물, n-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분획물을 얻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수득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기용매를 유출용매로 사용하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화합물을 분리하고 정제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상기 플레우론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플레우론 화합물의 제조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살펴본다(도 1 참조).
상기 단계 1은 아위느타리버섯에 물, C1~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가하여 아위느타리버섯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아위느타리버 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건조된 아위느타리버섯을 세절하여 추출용기에 넣고, 물, C1~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넣어 상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는다. 아위느타리버섯의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과정을 수회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추출액을 일정 시간 동안 방치 한 다음 거름종이 등으로 여과하여 아위느타리버섯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 2는 단계 1에서 얻은 아위느타리버섯 추출물을 물, n-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아위느타리버섯 분획물을 얻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아위느타리버섯 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킨 후, 추출용매로서 n-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n-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물 분획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단계 3은 상기 단계 2에서 수득한 아위느타리버섯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기용매를 유출용매로 하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화합물을 분리하고 정제하는 단계이다(도 1 참조).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2로부터 얻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메틸렌클로라이드(MC):메탄올(MeOH)을 기울기 용출용매로 이용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3개의 분획물(A~C)로 분획하고, 상기 분리된 분획물 C를 MC:MeOH(10:1 ~ 1:1)를 기울기 용출용매로 이용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4개의 분획물(C-1 ~ C-4)을 분획한 후, 상기 분리된 4개의 분획물 중, C-2 분획물을 MeOH:H2O(15:85 ~ 25:75(v/v))을 용출용매로 사용하고, RP-HPLC를 수행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플레우론 화합물을 분리, 정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신규 화합물은 핵자기공명스펙트럼(NMR), 질량분석, 녹는점, 적외선 분광도 등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레우론 화합물뿐만 아니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가능한 용매화물, 수화물, 라세미체, 또는 입체이성질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레우론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학식 1의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동량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레우론 화합물 및 산 수용액 또는 알코올을 가열하고, 이어서 이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하거나 또는 석출 된 염을 흡입 여과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을 수 있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음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레우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조성물의 투여로 발병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선"이란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일반적인 모든 경로를 통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조성물은 활성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의 플레우론 화합물의 피부의 진피 조직 속에 존재하면서 피부의 탄력성을 유지시키는 엘라스틴을 저해하는 효소인 사람 호중구 엘라스테아제(HNE)의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61.5±1.2(μM)의 IC50값을 나타냄으로써 사람 호중구 엘라스테아제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1 및 도 4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플레우론 화합물은 피부 주름을 예방하거나 개선할 수 있으므로, 피부 노화, 예를 들면, 피부 위축, 콜라겐 손실, 탄성 섬유 손실, 결합 조직 손실, 셀룰라이트, 주름 형성 등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치 또는 분무제 등을 포함하나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함유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본 발명의 플레우론 화합물을 1 내지 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또는 10 중량부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플레우론 화합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플레우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의 탄력성을 유지시키는 엘라스틴을 저해하는 효소인 사람 호중구 엘라스테아제(HNE)의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 주름을 예방하거나 개선할 수 있으므로, 피부 노화, 예를 들면, 피부 위축, 콜라겐 손실, 탄성 섬유 손실, 결합 조직 손실, 셀룰라이트, 주름 형성 등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상기 플레우론 화합물을 식품, 음료 등의 건강보조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킷, 떡,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유제품 및 유가공 제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플레우론 화합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식품 중의 상기 화합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플레우론 화합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플레우론 화합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아위느타리버섯으로부터 분리된 플레우론 화합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플레우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의 탄력성을 유지시키는 엘라스틴을 저해하는 효소인 사람 호중구 엘라스테아제(HNE)의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 주름을 예방하거나 개선할 수 있으므로, 피부 노화, 예를 들면 피부 위축, 콜라겐 손실, 탄성 섬유 손실, 결합 조직 손실, 셀룰라이트, 주름 형성 등의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효량의 플레우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개체에 투여하여 피부 노화를 예방 또는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자, 산제, 과립제, 캡슐제, 트로키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하나 이상의 본 발명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1 ㎏당 0.1 내지 100 m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비만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플레우론의 제조
단계 1: 아위느타리버섯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아위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DDL01(기탁번호: KACC93085P)을 세절한 후, 4 kg에 8 ℓ의 에탄올을 가하여 상온에서 7일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농축하여 아위느타리버섯 추출물 110 g을 수득하였다.
단계 2: 아위느타리버섯 분획물의 제조
상기 단계 1의 아위느타리버섯 추출물을 물 2ℓ에 분산시키고, n-헥산 3 ℓ 및 에틸아세테이트 4 ℓ를 이용하고,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n-헥산 분획물 20 g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8 g을 얻었다.
단계 3: 플레우론 화합물의 분리 및 동정
상기 단계 2에서 수득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8 g을 50:1 내지 1:1의 메틸렌클로라이드(MC):에탄올(EtOH)을 기울기 용출용매로 이용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3개의 A~C의 분획물을 얻었다. 이중, 분획물 C(1.8 g)를 10:1 내지 1:1의 MC:EtOH를 기울기 용출용매로 이용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C-1 내지 C-4의 4개의 분획물을 얻었다.
상기 분획물 중, 분획물 C2를 RP-HPLC[YMC-pack Pro C18(250×10 mm) 컬럼; 254 nm에서 자외선(UV) 검출]를 사용하고, 20:80(v/v)의 EtOH:H2O를 용출용매로 사용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5 mg)을 얻었다. 구조분석을 위하여 NMR 분석 및 질량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플레우론(pleurone)으로 확인되었다(도 2 및 3 참조).
[화학식 1]
Figure pat00004
UV(EtOH) λmax(log ε): 227(3.2), 258(3.8) nm;
IR(KBr) υmax 1714, 1654 cm-1;
1H NMR(DMSO-d 6 , 400 MHz): δ 5.44(d, J = 7.6 Hz, H-3), 7.38(d, J = 7.6 Hz, H-4);
13C NMR(DMSO-d 6 , 125 MHz): δ 151.5(C-2), 164.3(C-4), 100.2(C-5), 142.2(C-6);
EIMS m/z(rel int): 114 [M]+(2), 112 [M-2H]+(100), 78(18), 69(49), 68(18), 64(16), 63(22);
HREIMS m/z 113.9950 [M]+(calcd for C4H2O4, 113.9953).
< 실험예 1> 사람 호중구 엘라스테아제(HNE)의 발현 억제효과 측정
본 발명에 따른 플레우론의 피부의 진피 조직 속에 존재하면서 피부의 탄력성을 유지시키는 엘라스틴을 저해하는 효소인 인간 호중구 엘라스테아제(HNE)의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실험을 수행하였다.
96-웰 플레이트 각각에 10 mM Tris-HCl 완충용액(pH 7.5), 1.4 mM MeO-Suc-Ala-Ala-Pro-Val-p-니트로아닐라이드, 0.18 U HNE 및 다양한 농도의 플레우론을 첨가한 시약을 100 ㎖ 첨가하고, 암실에서 2시간 동안 37 ℃로 배양하였다. 그 후, 0.2 mg/㎖의 대두 트립신 저해제(soybean trypsin inhibitor) 100 ㎖을 첨가하여 상기 반응을 종결하고, 흡광도는 ELISA 리더기를 이용하여 405 nm에서 즉시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 화합물 에피갈로카테친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IC50(μM)

실시예 1(플레우론)

61.5±1.2

양성 대조군(EGCG)

56.16±5.6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레우론 화합물은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HNE 저해 효과가 동등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인간 호중구 엘라스테아제(HNE)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 주름을 예방하거나 개선할 수 있으므로,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 또는 피부 노화 방지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 실험예 2> 플레우론의 농도에 따른 HNE 발현 억제효과 측정
본 발명의 플레우론 화합물의 HNE 발현 억제 작용을 결정하기 위한 동력학적 연구는 플레우론 30 내지 100 mM의 다른 농도의 존재 유무에서 표준 반응 배지를 제거하고, 다음으로 기질 농도는 0.25 nM 내지 1 mM 사이이다.
반응은 10분 시간 간격으로 기록하고, 기질 희석제를 첨가하여 시작하였다. 최대 속도 평가치(V max) 및 미카엘 상수(K m)는 아이젠탈 및 코니시-보우던(Eisenthal and Cornish-Bowden)에 따라 정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레우론의 존재하에 상기 효소의 동력학적 연구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플레우론 화합물은 효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플레우론 화합물이 증가함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미카엘 상수 및 속도 평가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플레우론 화합물은 기질-효소에 영향을 받지 않고,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인간 호중구 엘라스테아제(HNE)를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 주름을 예방하거나 개선할 수 있으므로,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 또는 피부 노화 방지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레우론 화합물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제제화가 가능하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제제화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제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1. 크림의 제조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8 중량부
밀납 2.6 중량부
스테아린산 1.4 중량부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 중량부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1 중량부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탈 1.4 중량부
호호바오일 4 중량부
스쿠알란 3.8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 60 1.1 중량부
마카다이아오일 2 중량부
초산토코페롤 0.2 중량부
메칠폴리실록산 0.4 중량부
에칠파라벤 0.1 중량부
프로필파라벤 0.1 중량부
Euxyl K-400 0.1 중량부
1,3-부칠렌글리콜 7 중량부
메칠파라벤 0.05 중량부
글리세린 6 중량부
d-판데놀 0.2 중량부
플레우론 화합물 4.6 중량부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부
pt 41891 0.2 중량부
p-H2O 46.05 중량부
2. 로션의 제조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6 중량부
스테아린산 1.4 중량부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1.8 중량부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2.6 중량부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탈 0.6 중량부
스쿠알렌 4.8 중량부
마카다이아오일 2 중량부
호호바오일 2 중량부
초산토코페롤 0.4 중량부
메칠폴리실록산 0.2 중량부
에칠파라벤 0.1 중량부
프로필파라벤 0.1 중량부
1,3-부칠렌글리콜 4 중량부
메칠파라벤 0.1 중량부
산탄검 0.1 중량부
글리세린 4 중량부
d-판데놀 0.15 중량부
알란토인 0.1 중량부
플레우론 화합물 3.5 중량부
카르보머(2% aq. Sol) 4 중량부
트리에탄올아민 0.15 중량부
에탄올 3 중량부
pt 41891 0.1 중량부
p-H20 48.3 중량부
< 제조예 2> 건강식품의 제조
1. 건강식품의 제조
플레우론 화합물 500 n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2. 건강 음료의 제조
플레우론 화합물 500 ng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건강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 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 제조예 3> 약제의 제조
1. 산제의 제조
플레우론 화합물 500 n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 정제의 제조
플레우론 화합물 500 ng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 캡슐제의 제조
플레우론 화합물 500 ng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4. 주사제의 제조
플레우론 화합물 500 ng
만니톨 180 ㎎
Na2HPO4ㆍ2H2O 26 ㎎
증류수 2974 ㎎
통상적인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제시된 함량으로 함유시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플레우론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5
    .
  2. 아위느타리버섯에 물, C1~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가하여 아위느타리버섯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아위느타리버섯 추출물을 물, n-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분획물을 얻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수득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기용매를 유출용매로 사용하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화합물을 분리하고 정제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제1항의 플레우론 화합물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알코올은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상기 단계 2로부터 얻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메틸렌클로라이드(MC):에탄올(EtOH)을 기울기 용출용매로 이용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3개의 분획물(A~C)로 분획하고;
    상기 분리된 분획물 C를 MC:EtOH(10:1 ~ 1:1)를 기울기 용출용매로 이용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4개의 분획물(C-1 ~ C-4)을 분획한 후;
    상기 분리된 4개의 분획물 중, C-2 분획물을 EtOH:H2O(15:85 ~ 25:75(v/v))을 용출용매로 사용하고, RP-HPLC를 수행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플레우론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레우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6
    .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노화는 피부 위축, 콜라겐 손실, 탄성 섬유 손실, 결합 조직 손실, 셀룰라이트 또는 주름 형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레우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7
    .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노화는 피부 위축, 콜라겐 손실, 탄성 섬유 손실, 결합 조직 손실, 셀룰라이트 또는 주름 형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9.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레우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8
    .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노화는 피부 위축, 콜라겐 손실, 탄성 섬유 손실, 결합 조직 손실, 셀룰라이트 또는 주름 형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0110049264A 2011-05-24 2011-05-24 아위느타리버섯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엘라스타제 저해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325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264A KR101325214B1 (ko) 2011-05-24 2011-05-24 아위느타리버섯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엘라스타제 저해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264A KR101325214B1 (ko) 2011-05-24 2011-05-24 아위느타리버섯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엘라스타제 저해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064A true KR20120131064A (ko) 2012-12-04
KR101325214B1 KR101325214B1 (ko) 2013-11-04

Family

ID=47515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264A KR101325214B1 (ko) 2011-05-24 2011-05-24 아위느타리버섯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엘라스타제 저해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2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10634A (zh) * 2013-10-11 2014-03-05 芽美化妆品有限公司 皮肤外用剂组合物
KR101455702B1 (ko) * 2013-03-28 2014-11-03 권경열 아위느타리버섯 신균주 p49ab64
KR20230062700A (ko) 2021-10-29 2023-05-09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갖는 퀴놀린 유도체 화합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8144A (ja) * 1996-12-03 1998-06-16 Pola Chem Ind Inc 皮膚化粧料
JP2010215574A (ja) 2009-03-18 2010-09-30 Kose Corp メラニン生成抑制剤、及び皮膚外用剤又は化粧料
KR20100130109A (ko) * 2009-06-02 2010-12-10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식용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19464B1 (ko) * 2011-05-24 2014-07-14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뜰아채 아위느타리버섯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702B1 (ko) * 2013-03-28 2014-11-03 권경열 아위느타리버섯 신균주 p49ab64
CN103610634A (zh) * 2013-10-11 2014-03-05 芽美化妆品有限公司 皮肤外用剂组合物
KR101402193B1 (ko) * 2013-10-11 2014-06-03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아위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아위버섯 균사체 추출물 또는 아위버섯 균사체 배양액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62700A (ko) 2021-10-29 2023-05-09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갖는 퀴놀린 유도체 화합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5214B1 (ko) 2013-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4378B1 (ko)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167419B1 (ko) 식물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이의 추출 방법 및 용도
KR20160103655A (ko) 캠페롤 유도체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20110043194A (ko) 마테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736916B1 (ko) 프탈라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101419464B1 (ko) 아위느타리버섯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325214B1 (ko) 아위느타리버섯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엘라스타제 저해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077229B1 (ko) 마테차로부터 분리한 메가스티그만 유도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046688B1 (ko) 아스퍼질러스 테리우스 추출물, 신규 부티로락톤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989011B1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415170B1 (ko)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72567B1 (ko) 한방향 유효성분 사비넨(Sabinene)을 피부 유용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9014B1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89811B1 (ko)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3128B1 (ko) 한방향 유효성분 트리데칸(Tridecane)을 피부 유용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8988B1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01048B1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00520B1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142492B1 (ko) 오란티오-옵투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503106B1 (ko) 테누이폴린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072568B1 (ko) 한방향 유효성분 알파-테르피넨(Alpha―Terpinene)을 피부 유용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72570B1 (ko) 한방향 유효성분 에스트라골(Estragole)을 피부 유용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68292A (ko) 픽펠타라에닌 ia를 유효성분으로 활용한 피부 미백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57078B1 (ko) 한방향 유효성분 캄펜(Camphene)을 피부 유용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033388A (ko) 푸른여로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