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56778A1 - 진주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진주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56778A1
WO2018056778A1 PCT/KR2017/010555 KR2017010555W WO2018056778A1 WO 2018056778 A1 WO2018056778 A1 WO 2018056778A1 KR 2017010555 W KR2017010555 W KR 2017010555W WO 2018056778 A1 WO2018056778 A1 WO 201805677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kin
composition
pearl
fermentation
skin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055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백은종
정강희
전종은
최용호
허병석
유정진
강승현
남진주
노윤화
김연준
Original Assignee
샘표식품 주식회사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1362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980068B1/ko
Application filed by 샘표식품 주식회사,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샘표식품 주식회사
Priority to EP17853492.1A priority Critical patent/EP3517599B1/en
Priority to US16/335,307 priority patent/US20200016063A1/en
Priority to CN201780058463.5A priority patent/CN109790500A/zh
Publication of WO201805677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5677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J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12J1/00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s comprising a pearl fermentation product, and more particularly, a skin condition improving effect using a pearl fermentation product having a significantly increased content of amino acids, polyphenols, organic calcium, etc.
  • a pearl fermentation product having a significantly increased content of amino acids, polyphenols, organic calcium, etc.
  • melanin production, and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and its shelling promoting activity is significantly improved than conventional pearl extract provides a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 the pearl contains a large amount of calcium, which is calcium carbonate secreted by the epithelial cells of the clam shell, and when foreign matter enters the clam, conchiolin protein forms several layers of small particles of aragonite, the crystal of calcium carbonate, forming a nacre. .
  • the major components of pearls are 90-95% composed of calcium carbonate (CaCO 3 ), about 5% protein (conchiolin), and about 20 other minerals and various bioactive substances, amino acids.
  • pearl is widely used as a dietary supplement or skin beauty material. Ingesting pearl powder as a source of calcium or using pearl as an anti-aging and whitening effect is known to increase skin immunity by maintaining the skin in a slightly acidic state.
  • pearl powder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be dissolved in water, so that useful components are difficult to be absorbed into the body, the prior art uses a pearl extract converted to a water-soluble form by treating acetic acid and the like to improve this.
  • the existing pearl extract is only in the form of a water-soluble pearl powder in which the calcium carbonate of the pearl is converted into an ionized state, and a useful effect of pearls and other ingredients in combination with the skin has a better effect on improving skin condition. No composition has been reported for the compositions prepared for presentation.
  •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skin color of the human melanin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skin color of the human melanin, the thickness of the stratum corneum, peripheral blood vessels and hemoglobin, carotene, etc.
  •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the skin color is melanin.
  • the number of melanocytes that produce melanin pigments is constant regardless of ethnic or skin color, but the color of the skin is different due to the different degree of melanination, size and number and distribution of melanocytes, and resolution of melanocytes in keratinocytes. Difference appears.
  • white skin has a lot of melanocytes of stages I and II
  • black skin has a lot of melanocytes of stages III and IV (Lee Seung-heon et al., Skin barrier, Yeomun-gak, 2010). Since the melanin maturation is involved in the pre-melanosomal protein 17 (PMEL17) protein, melanin production efficiency can be used as a major factor in whitening.
  • PMEL17 pre-melanosomal protein 17
  • the stratum corneum which is located at the outermost part of the skin and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outside, is free of nuclei but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in skin barrier function. In other words, it protects the skin from external stimuli and prevents the evaporation of moisture from the skin, which plays a key role in skin health.
  • Keratinocytes are produced in the basal layer and then matured and become keratinized, resulting in a flattened cell morphology, loss of organelles in the cell, production of fibrous proteins, dehydration and thickening of the cell membrane.
  • This process goes through the process of epidermal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shelling and is the most important for maintaining skin regeneration homeostasis.
  • keratinocytes produced in the basal layer of the epidermis reach the granular layer, and the organs of the cells begin to disappear, and calcium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cells to induce transglutaminase. By activating, it induces irreversible binding of proteins constituting keratinocyte membranes such as involucrin, loricrin, and cornifin.
  • Epidermal differentiation which normally occurs through this process, plays an important role in skin barrier function.
  • keratinocytes are shelled off and detached from the skin.
  • the normal shelling process of the stratum corneum keeps the skin shiny and healthy.
  • the shelling process also has a meaning in removing harmful microorganisms and viruses from the outside together with keratin.
  • Various proteases are involved in this process, and these proteases are normally activated in a weakly acidic state. Kallikrein-related peptidases 5 and 7 play an important role as modulators of stratum corneum exfoliation. Therefore, the differentiation of the epidermal layer and the normalization of the shell angle lower the amount of water evaporation as the outermost layer of the skin is kept healthy and the skin barrier function is smoothly performed.
  • the present inventors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rming that the pearl fermented product obtained through the method of adding fermented pearl powder to apple fermented herb exhibits an excellent skin condition improvement effect.
  •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pearl fermentation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high concentration of calcium high absorption rate to the living body derived from apple fermentation and pearl powder, inhibiting melanin production by the complex action of these components when skin administration, and By promoting the differentiation of keratinocytes, it has an excellent effect on improving skin condition such as skin whitening and moisturizing.
  •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kin condition including the pearl fermented product prepared by adding pearl powder in the range of 0.05-20% (w / v) and then fermentation after the fermentation It provides a composition for.
  • the apple fermented vinegar may have a polyphenol content of 50 ⁇ 1000ppm, the amino acid content of 50 ⁇ 500ppm, may have the characteristics of fresh flavor.
  • Apples used in the fermented apples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varieties such as crude species, mesozoic species and late life speci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pple fermented vinegar used in 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ixed with pearl powder and then fermented, thereby effectively extracting useful components such as calcium, conchiolin and amino acids of pearls, as well as useful ingredients of apple fermented vinegar itself.
  • useful components such as calcium, conchiolin and amino acids of pearls, as well as useful ingredients of apple fermented vinegar itself.
  • the pearl fermentation product may have a total polyphenol content of 100 to 1,000 ppm, a total amino acid content of 300 to 1,000 ppm, and a total calcium content of 1,000 to 20,000 ppm.
  • the post fermentation may be performed at 20 to 40 °C for 3 to 7 days.
  • the pearl powd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bout 0.01-30% (w / v), more specifically about 0.03-25% (w / v) More specifically, it may be added in the range of about 0.05-20% (w / v).
  • the pearl fermentation product containing pearl powder within the above range is effective to provide an optimal skin condition improvement effect with the amino acid and polyphenol components of the fermented vinegar.
  • the pearl powder is used in excess of the above range, an unnecessary excess pearl powder is used, there is a pearl powder that does not dissolve and the efficiency is inferior in economic terms.
  • Calcium is not only a component of bone tissue growth, bone and tooth growth, but also important for physiological control functions such as activation of various enzymes in the body, regulation of nervous excitement, muscle contraction and relaxation, regular heartbeat and blood coagulation.
  • Pearl fermentation product obtained through the post fermentation step contains a variety of minerals and amino acids, especially ionized high concentration calcium from pearl powder It contains ions. Therefore, the pearl fermentation product finally obtained in this invention can be applied as a cosmetic raw material containing the useful component and calcium component of apple fermented herb.
  • the improvement of the skin condition by pearl fer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kin regeneration, skin whitening, skin moisturizing, skin elasticity, skin aging or wrinkle improve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inventors confirmed through Experimental Examples 1 to 4 that when amino acids and polyphenols are present together with calcium, they show an excellent effect on improving the skin condition even with a small amount.
  • the pearl fermentation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not only high concentrations of calcium, which is highly absorbed into the body derived from pearl powder, but also amino acids and polyphenol components derived from apple fermented grasses, which are complex to the skin.
  • the same amount of pearl extract and fermented vinegar were used alone, it showed a remarkably superior skin condition improvement effect.
  • This effect is a complex synergistic effect that results from the application of calcium, amino acids and polyphenols to the skin together.
  • the pearl fer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duces melanin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than the fermented herb and pearl extract when administered to the pigment cells.
  • the pearl fer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3a and 3b significantly increases the expression level of IVL and LOR compared to the fermentation and pearl extract, showing excellent skin turnover effect
  • Figures 3c, 3d and 4 As shown in the expression of KLK-5 and KLK-7 by increasing the amount of improved skin barrier strengthening effect and skin moisturizing function than pearl extract.
  • the pearl fer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effect of inhibiting melanin production, promoting the differentiation of keratinocytes, and promoting the removal of the stratum corneum, compared to pearl extracts, thereby improving skin condition improvement compared to pearl extracts.
  • the pearl fer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effect of inhibiting melanin production, promoting the differentiation of keratinocytes, and promoting the removal of the stratum corneum, compared to pearl extracts, thereby improving skin condition improvement compared to pearl extracts.
  • 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the skin cond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a cosmetically effective amount of the above-described pearl fermentation (cosmetically effective amount); And (b) it may be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cosmetically acceptable carrier.
  • cosmetic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achieve the skin improving efficacy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 Cosmetic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any formulation conventionally prepared in the art, for example,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pastes, gels, creams, lotions, powders, soaps,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 Oils, powder foundations, emulsion foundations, wax foundations and sprays,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More specifically, it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a flexible lotion, nutrition lotion, nutrition cream, massage cream, essence, eye cream, cleansing cream, cleansing foam, cleansing water, pack, spray or powder.
  •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ste, cream or gel, animal oils, vegetable oils, waxes, paraffins, starches, trachants, cellulose derivatives, polyethylene glycols, silicones, bentonites, silicas, talc or zinc oxide may be used as carrier components.
  • animal oils, vegetable oils, waxes, paraffins, starches, trachants, cellulose derivatives, polyethylene glycols, silicones, bentonites, silicas, talc or zinc oxide may be used as carrier components.
  • animal oils vegetable oils, waxes, paraffins, starches, trachants, cellulose derivatives, polyethylene glycols, silicones, bentonites, silicas, talc or zinc oxide
  • cellulose derivatives polyethylene glycols
  • silicones bentonites
  • silicas talc or zinc oxide
  •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may be us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pray, additionally chlorofluorohydrocarbon, propane Propellant such as butane or dimethyl ether.
  • a solvent, solubilizer or emulsifier is used as the carrier component, such as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 Fatty acid esters of, 3-butylglycol oil, glycerol aliphatic ester, polyethylene glycol or sorbitan.
  • liquid carrier diluents such as water, ethanol or propylene glycol
  • suspending agents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microcrystals Solubl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y, bentonite, agar or tracant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carrier component is an aliphatic alcohol sulfate, an aliphatic alcohol ether sulfate, a sulfosuccinic acid monoester, an isethionate, an imidazolinium derivative, a methyltaurate, a sarcosinate, a fatty acid amide.
  • Ether sulfates, alkylamidobetaines, aliphatic alcohols, fatty acid glycerides, fatty acid diethanolamides, vegetable oils, lanolin derivatives or ethoxylated glycerol fatty acid esters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components commonly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in addition to the pearl fermentation and the carrier component as active ingredients, and include, for example, antioxidants, stabilizers, solubilizers, vitamins, pigments and perfumes. Conventional adjuvants may be included.
  • the pearl fermentation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not only a high content of amino acids and polyphenols, but also a high content of calcium ions that are easily ionized and absorbed into the body, compared to general vinegar.
  • composition comprising the pearl fermentation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melanin production inhibition,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and its deshelling promoting activity, and can significantly improve skin condition.
  • the pearl fer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rkedly improved skin condition improvement effect than the existing pearl extract.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simply and effectively to the cosmetic composition.
  • Figure 1 shows a process chart of the pearl fer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2 is a measurement result of melanin content in pigmented cells (B16 melanoma cells) of mice treated with alcohol, apple fermentation, pearl extract and pearl fermentation.
  • Figures 3a to 3d is a result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each gene (IVL, LOR, KLK-5 and KLK-7) confirmed by real-time PCR. *: P ⁇ 0.05, **: p ⁇ 0.01 for negative control.
  • con is a dyeing result of observing the degree of shelling of the stratum corneum in artificial skin. con means a control group.
  • Comparative example 2 Apple Fermented Herb
  • the pearl powder was placed in a suitable container,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was added to absorb the water into the pearl powder, and then extra water was added thereto. At this time, the washing was filtered 1 to 2 times. 10 g of acetic acid (CH 3 COOH) aqueous solution was slowly added to a final weight of 90 g to 1 g of the washed pearl solid, and stirred at room temperature at 350 rpm. When no carbon dioxide is generated, the reaction was completed and the supernatant was recovered. The supernatant was neutralized with dilute alkali and water was added to the final product to 100 g, followed by filtration to prepare a pearl extract of 1% by weight, which was used in the following experimental example.
  • CH 3 COOH acetic acid
  • pigment cells B16 melanoma cells, ATCC, CRL-6475 TM
  • TM pigment cells of the mouse to measure the inhibitory effect of melanin production by the composition treatment of Comparative Examples 1, 2, 3 and Example 1, to inhibit melanin production It was compared with the inhibitory effect of melanin production by known arbutin (100 ⁇ g / ml).
  • Mouse pigment cells (B16 F10) were suspended in DMEM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FBS) and inoculated in 6-well plates at 1 ⁇ 10 5 cells per well and incubated until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wells.
  • FBS fetal bovine serum
  • 0.1 ⁇ M ⁇ -MSH was treated and cultured for 3 days after the addition of the sample.
  • the concentration of the material treatment was 100 ⁇ g / ml.
  • Arbutin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for the melanin production test.
  • the cultured cells were washed with phosphate buffered salt solution (PBS) and recovered with trypsin.
  • PBS phosphate buffered salt solution
  • the recovered cells were counted by a hematocytometer to collect the same cell number at 1 ⁇ 10 6 cells / ml for each treatment group, and centrifuged at 1,000 rpm for 10 minutes to obtain cells.
  • the recovered cells were dried at 60 ° C. for 1 hour, and 400 ⁇ l of a 1M NaOH solution containing 10% DMSO was added to obtain intracellular melanin.
  • the inhibition of melanin production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490 nm absorbance of the melanin solution using a microplate reader.
  • Keratinocytes HaCaT (CLS, 300493), a constituent cell line of human skin, was cultured using DMEM culture medium containing 10% FBS and antibiotics.
  • the culture vessel was a 75T-flask and incubated in a 37 °C incubator supplied with 5% CO 2 .
  • the cultures were exchanged every 3-4 days and subcultured when cells proliferated.
  • HaCaT was aliquoted into 5 well plates (5 ⁇ 10 5 / well) and incubated for 24 hours using DMEM, followed by washing with phosphate buffered salt solution (PBS).
  • PBS phosphate buffered salt solution
  • Each well was diluted with 1 mM by weight of 1.2 mM calcium chloride, and the compositions of Comparative Examples 1, 2, 3 and 1 in Ca-free DMEM medium without FBS, and added to each well. After 24 hours, cDNA was synthesized and subjected to PCR to evaluate gene expression.
  • the synthesized cDNA was subjected to real-time PCR using a primer and a cyanine dye, SYBR Green Master Mixture, to finally evaluate gene expression. Expression with respect to genes was compared with relative values through corrective quantification of the internal control gene ⁇ -actin according to the threshold cycle (C t ) method and the primer sequences used are listed in Table 1 below.
  • involukrin IVL
  • lyricin LOR
  • kallikrein-related peptidase-5 kallikrein-related peptidase-5
  • IVL and LOR means that the differentiation of epidermal keratinocytes promotes skin turnover, and the pearl fermented product of Example 1 is an apple fermented herb of Comparative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3 IVL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pearl extract of, especially in the case of LOR expression pearl fermentation showed a significant synergistic effect that can not be easily predicted from other treatment groups, leading to excellent skin turnover effect It was.
  • KLK-5 and KLK-7 means that the outermost stratum corneum is normally de-shelled, as shown in Figure 3c and 3d, the pearl fermentation of Example 1 is epidermal differentiation and shelling compared to the pearl extract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enhances the ability to strengthen the skin barrier and shows an excellent effect on the skin moisturizing function.
  • Example 1 The degree of epidermal differentiation and expression of the shelling factor by the pearl fermentation of Example 1 was confirmed in a three-dimensional cultured skin model (RHE: Reconstructed Human Epidermis) reproduced to be similar to human skin.
  • RHE Reconstructed Human Epidermis
  • the extracted skin tissue was fixed in 10% formalin solution, and then paraffin sections were cut and tissue immunostaining was performed.
  • the group treated with the pearl fermentation product of Example 1 compared to the CON control group can confirm that the stratum corneum was de-normalized as time went by and the thick stratum corneum was not formed.
  • Fibroblast line Hs68 (ATCC, CRL-1635 TM ), a constituent cell line of human skin, was cultured using DMEM medium containing 10% FBS and antibiotics.
  • the culture vessel was a 75T-flask and incubated in a 37 °C incubator supplied with 5% CO 2 . The cultures were exchanged every 3-4 days and subcultured when cells proliferated.
  • Hs68 was aliquoted (4 ⁇ 10 5 / well) into 6 well plates and incubated for 24 hours using DMEM, then washed with phosphate buffered salt solution (PBS).
  • PBS phosphate buffered salt solution
  • the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2, Comparative Example 3, and Example 1 was diluted to 1% in Ca-free DMEM medium without FBS and added to each well. After 24 hours, cDNA was synthesized and subjected to PCR to evaluate gene expression.
  • the synthesized cDNA was subjected to real-time PCR using a primer and a cyanine dye, SYBR Green Master Mixture, to finally evaluate the degree of procollagen gene expression. Expression with respect to genes was compared with relative values through corrective quantification of the internal control gene ⁇ -actin according to the threshold cycle (C t ) method and the primer sequences used are listed in Table 2 below.
  • the expression level of the type 1 procollagen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other treatment groups. More specifically, the increased expression of type 1 procollagen is a precursor of type 1 collagen mainly produced in fibroblasts, which is a major factor in determining the thickness of the dermal dermal layer, and means that it inhibits wrinkle formation.
  • the pearl fermentation product of Example 1 may induce an effect of increasing the production of type 1 collagen, which serves as a supporter in the dermis, to suppress wrinkles and sagging, which is a typical aspect of skin aging. It can be seen.
  • Example 1 (drinking candle) Comparative Example 2 (apple fermented candle) Example 1 (pearl fermentation product) Total amino acid (ppm) 170 372 441 Calcium (ppm) 3 92 11,148 Total polyphenols (ppm) 0 130 12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주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미노산, 폴리페놀, 유기 칼슘 함량 등의 성분이 현저하게 증가된 진주발효물을 이용하여 피부상태 개선 효과, 예를 들어, 멜라닌 생성 억제, 그리고 각질세포 분화 및 이의 탈각 촉진 활성이 기존의 진주추출물보다 현저하게 향상된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진주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본 발명은 진주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미노산, 폴리페놀, 유기 칼슘 함량 등의 성분이 현저하게 증가된 진주발효물을 이용하여 피부상태 개선 효과, 예를 들어, 멜라닌 생성 억제, 그리고 각질세포 분화 및 이의 탈각 촉진 활성이 기존의 진주추출물보다 현저하게 향상된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진주에는 칼슘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조개 외피막의 상피세포가 분비하는 탄산칼슘으로써 조개 속에 이물이 들어가면 콘키올린 단백질이 이것을 탄산칼슘의 결정인 아라고나이트의 작은 입자로 여러 층을 만들어 진주층이 형성된다. 따라서, 진주의 주성분은 90-95%가 탄산칼슘(CaCO3)과 약 5%의 단백질(콘키올린), 그리고 기타 20여종의 미네랄과 각종 생리활성 물질인 아미노산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 성분으로, 진주는 건강 보조식품이나 피부 미용 재료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칼슘의 공급원으로 진주 가루를 섭취하거나, 피부 노화 방지 및 미백 효과로서 진주를 사용할 경우 피부를 약산성 상태로 유지하여 피부 면역력을 증가시켜 준다고 알려져 있다.
다만, 진주 가루는 물에 잘 녹지 않아 유용한 성분들이 체내에 흡수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어, 종래 기술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진주 가루에 초산 등을 처리하여 수용성 형태로 전환된 진주추출물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진주추출물은 진주의 탄산 칼슘이 이온화된 상태로 전환된 수용성 진주분말의 형태일 뿐, 진주의 유용한 성분 및 추가의 다른 성분들이 피부에 복합적으로 작용함으로써 피부 상태 개선에 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제조된 조성물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었다.
한편,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요인들에는 멜라닌, 각질층의 두께, 말초혈관과 혈색소, 카로틴, 등이 있으며 이들 중 피부 색깔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멜라닌이다. 멜라닌 색소를 생성하는 멜라닌 생성세포의 수는 민족이나 피부색에 관계없이 일정하지만, 멜라닌화의 정도, 멜라닌 소체의 크기와 수 그리고 분포상태, 각질형성세포 내에서의 멜라닌 소체의 분해능, 등이 달라서 피부색의 차이가 나타난다. 특히 흰 피부에서는 단계 Ⅰ과 Ⅱ의 멜라닌소체(melanosome)가 많으며 검은 피부에는 단계 Ⅲ와 Ⅳ의 멜라닌소체가 많다(이승헌 등, 피부 장벽학, 여문각, 2010). 이러한 멜라닌의 성숙에는 PMEL17(pre-melanosomal protein 17) 단백질이 관여되어 있어, 멜라닌의 생성 효능은 미백을 나타내는 주요 인자로 활용할 수 있다.
피부의 가장 중요한 기능 중 하나는 장벽으로서의 기능이다. 외부 환경에 직접 노출되는 피부는 체액의 손실을 막고 유해한 환경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가장 중요한 일차 방어선이다. 피부의 가장 최외곽에 위치하여 외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각질층은 핵이 없는 상태이지만 피부 장벽 기능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즉, 외부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며 피부에서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막아주는 피부 보호막으로서 피부건강에 핵심적인 기능을 담당한다.
각질세포는 기저층에서 생성된 후 성숙되면서 각화되어 결국은 세포의 형태가 편평하게 되고, 세포내의 소기관 소실, 섬유성 단백질의 생성, 탈수 및 세포막이 비후된 후에 탈각된다. 이러한 과정은 표피의 증식, 분화, 탈각의 과정을 거치게 되고, 피부 재생 항상성 유지에 가장 중요하다. 특히, 각질형성세포의 분화과정에 있어서, 표피의 기저층에서 생성된 각질세포는 과립층에 도달하면서 세포 내 기관들이 사라지기 시작하고, 칼슘 이온이 세포 내부로 유입되면서 트랜스글루타미나제(transglutaminase)를 활성화시켜서 인볼루크린(involucrin), 로리크린(loricrin), 코니핀(cornifin) 등의 각질세포막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비가역적 결합을 유도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정상적으로 일어난 표피 분화 과정은 피부 장벽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분화 과정의 최종적으로 최상부 층에서 각질 세포는 탈각되어 피부로부터 박리된다. 각질층의 정상적인 탈각 과정은 피부를 윤기있고 건강하게 유지시켜 준다. 탈각 과정은 외부로부터 발생한 유해 미생물 및 바이러스 등을 각질과 함께 제거하는 데 있어서도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각종 프로테아제가 관여하게 되는데, 약산성 상태에서 이러한 프로테아제가 정상적으로 활성화된다. 칼리크레인-관계된 펩티다제(Kallikrein-related peptidase) 5와 7이 피부 각질층 박리의 조절자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표피층의 분화와 탈각의 정상화는 피부 최외곽층을 건강하게 유지시켜 피부 장벽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함에 따라 수분 증발량을 낮추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사과발효초에 진주분말을 첨가하여 후 발효시키는 방법을 통해 얻어진 진주발효물이 우수한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진주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사과발효초의 유효성분 및 진주 분말로부터 유래된 생체로의 흡수율이 높은 칼슘을 고농도로 함유하며, 피부 투여 시, 이들 성분의 복합작용에 의해 멜라닌 생성 억제 및 각질세포의 분화를 촉진하여 피부미백 및 피부보습 같은 피부 상태 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진주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과발효초에 진주분말을 0.05-20% (w/v) 범위로 첨가하고 후 발효(after-fermentation)하여 제조된 진주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사과발효초는 폴리페놀 함량이 50~1000ppm, 아미노산 함량이 50~500ppm일 수 있고, 신선한 향미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사과발효초에 사용된 사과는 조생종, 중생종 및 만생종 등의 품종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에 사용된 사과발효초는 진주 분말과 혼합되고 후 발효됨으로써, 진주의 칼슘, 콘키올린 및 아미노산과 같은 유용한 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뿐만 아니라, 사과발효초 자체의 유용한 성분들이 진주의 유용한 성분들과 함께 복합적으로 작용함으로써, 기존의 진주추출물에 비해 현저하게 향상된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주발효물은 총 폴리페놀 함량이 100 내지 1,000ppm이고, 총 아미노산 함량이 300 내지 1,000ppm이며, 총 칼슘 함량이 1,000 내지 20,000pp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 발효는 20 내지 40 ℃에서 3 내지 7일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진주 분말은 사과발효초의 용량을 기준으로 약 0.01~30%(w/v),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 0.03~25%(w/v) 및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약 0.05~20%(w/v)의 범위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개선용 조성물에 있어서, 진주발효물은 상기 범위 내로 진주 분말을 함유하는 것이 발효식초의 아미노산 및 폴리페놀 성분과 함께 최적의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제공하는데 효과적이다. 진주분말을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불필요한 과량의 진주분말이 사용되어 용해되지 않는 진주분말이 존재하게 되고 경제적 측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칼슘은 골격조직의 성장, 뼈와 치아의 구성성분일 뿐 아니라, 생체 내 각종 효소의 활성화, 신경흥분의 조절, 근육 수축과 이완, 심장의 규칙적인 박동 그리고 혈액응고 등 체내의 생리조절 기능에 중요한 무기질이지만, 생체 내로 흡수가 잘 되지 않는다. 상기 후 발효 단계를 거쳐 얻어진 진주발효물에는 진주 분말로부터 다양한 무기질 및 아미노산들, 특히 이온화된 고농도의 칼슘 이온이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최종적으로 얻어진 진주발효물을 사과발효초의 유용한 성분 및 칼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 원료로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진주발효물에 의한 피부 상태의 개선은 피부재생, 피부미백, 피부보습, 피부탄력, 피부노화 또는 주름 개선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자들은 하기 실험예 1 내지 4를 통해, 아미노산 및 폴리페놀이 칼슘과 함께 존재하는 경우, 적은 양으로도 피부 상태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진주발효물은 진주분말로부터 유래된 생체로 흡수율이 높은 고농도의 칼슘을 포함할 뿐 아니라, 사과발효초로부터 유래된 아미노산 및 폴리페놀 성분 또한 포함하며, 이들 성분은 피부에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동량의 진주추출물 및 발효식초를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 보다 현저하게 우수한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효과는 칼슘, 아미노산 및 폴리페놀이 피부에 함께 적용됨으로써 나타나는 복합적인 상승효과(synergistic effect)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주발효물은 색소세포에 투여 시 발효초 및 진주추출물 보다 뛰어난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유도한다. 또한,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주발효물은 발효초 및 진주추출물에 비해 IVL 및 LOR의 발현량을 현저하게 증가시켜 우수한 피부 턴오버 효과를 나타내고, 도 3c, 3d 및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KLK-5 및 KLK-7의 발현량을 증가시켜 진주추출물보다 개선된 피부 장벽 강화 효과 및 피부 보습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진주발효물이 진주추출물에 비해 멜라닌 생성 억제, 각질세포의 분화 촉진 및 각질층의 제거를 촉진하는 활성이 매우 우수하여 진주추출물에 비해 향상된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은 (a) 상술한 진주발효물의 화장품학적 유효량(cosmetically effective amount); 및 (b)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화장품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피부 개선 효능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진주발효물과 담체 성분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의 진주발효물은 일반 식초에 비해 아미노산, 폴리페놀 등의 성분 함량이 높을 뿐 아니라 이온화되어 체내 흡수가 용이한 칼슘 이온의 함량이 현저하게 높다.
(b) 본 발명의 진주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 억제, 그리고 각질세포 분화 및 이의 탈각 촉진 활성을 가져 피부 상태를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c) 또한, 본 발명의 진주발효물은 기존의 진주추출물보다 현저하게 향상된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제공한다.
(d)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품 조성물에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진주발효물의 제조 공정도를 보여준다.
도 2는 주정초, 사과발효초, 진주추출물 및 진주발효물이 각각 처리된 마우스의 색소세포(B16 melanoma cells)에서의 멜라닌 함량의 측정 결과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실시간 PCR에 의해 확인된 각 유전자(IVL, LOR, KLK-5 및 KLK-7)의 발현 정도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음성 대조군에 대하여 *: p<0.05, **: p<0.01.
도 4는 인공 피부에서 각질층의 탈각 정도를 관찰한 염색 결과이다. con은 대조군을 의미한다.
도 5는 실시간 PCR에 의해 확인된 제 1형 전구 콜라겐 유전자(type 1 procollagen)의 발현 정도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음성 대조군에 대하여 *: p<0.05, **: p<0.01.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시예 ]
실시예 1: 진주발효물의 제조
사과발효초 원액에 10%(w/v)의 진주 분말을 첨가한 후 25℃에서 3-7일 동안 후 발효하였다. 발효가 완료되면 미세 여과(동공 크기: 0.1μL)를 통해 이온화된 칼슘이 고농도로 함유하는 '진주발효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주정초
1 중량%로 희석한 주정초를 비교예 1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사과발효초
1 중량%로 희석한 사과발효초를 비교예 2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3: 진주추출물의 제조
비교예 3의 진주추출물은 진주 분말을 적당한 용기에 넣고 적당량의 물을 가해 진주 분말에 물을 흡수시킨 후 여분의 물을 가하였다. 이때 1 ~ 2회 세척여과를 하였다. 상기 세척이 끝난 진주 고형분 1g에 10%의 초산(CH3COOH) 수용액을 최종 중량이 90g이 되도록 천천히 첨가하고, 350 rpm으로 상온 교반하였다. 이산화탄소가 발생하지 않을 때를 반응이 끝난 것으로 보고 상등액을 회수하였다. 상등액은 묽은 알카리로 중화시킨 다음 최종 산물이 100g이 되도록 물을 첨가한 후, 여과하여 1 중량%의 진주추출물을 제조하였고, 이를 이하 실험예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미백-멜라닌 생성 억제 평가
마우스의 색소세포(B16 melanoma cells, ATCC,CRL-6475™)를 이용하여 비교예 1, 2, 3 및 실시예 1의 조성물 처리에 의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알부틴(arbutin; 100 μg/ml)에 의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와 비교하였다.
마우스 색소세포(B16 F10)를 10% FBS(fetal bovine serum)를 포함하는 DMEM에 현탁시켜 웰 당 1×105 세포로 6-웰 플레이트에 접종하여 웰 바닥에 부착될 때까지 배양시켰다. 멜라닌 생성 유도를 위하여, 0.1 μM α-MSH를 처리하고 시료를 첨가한 후 3일 동안 배양하였다. 물질 처리의 농도는 100 μg/ml로 하였다. 멜라닌 생성능 실험의 양성대조군으로 알부틴을 사용하였다. 배양한 세포는 인산완충화된 염 용액(PBS)으로 세척하고 트립신으로 회수하였다. 회수한 세포를 혈구계(hematocytometer)로 계수하여 각 처리 그룹별로 1×106 세포/ml로 동일한 세포수가 되도록 모아 1,000 rpm으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수득하였다. 상기 회수된 세포를 60℃에서 1시간 건조시킨 후 10% DMSO가 포함된 1M NaOH 용액 400 ㎕을 가하여 세포 내 멜라닌을 얻었다.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를 이용하여 상기 멜라닌 용액의 490 nm 흡광도를 측정하여 멜라닌 생성 저해율을 평가하였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1, 2, 3 및 실시예 1의 조성물 처리에 의해 마우스 색소세포의 멜라닌 양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실시예 1의 진주발효물이 가장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각질형성세포주에서 유전자 발현 분석
2-1. 인간피부 각질형성세포주 HaCaT 세포 배양
인간 피부의 구성 세포주인 각질형성세포 HaCaT(CLS, 300493)는 10% FBS와 항생제가 들어있는 DMEM 배양액을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배양 용기는 75T-플라스크를 사용하였으며 5% CO2가 공급되는 37℃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액은 3-4일마다 교환해 주었으며 세포가 과다하게 증식되었을 때 계대배양하였다. HaCaT을 6웰 플레이트에 분주(5×105/웰)하고 DMEM을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배양시킨 후, 인산 완충화된 염 용액(PBS)으로 세척하였다. 각 웰에 FBS를 넣지 않은 Ca-프리 DMEM 배지에 염화칼슘 1.2 mM,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및 실시예 1의 조성물이 각각 1 중량%가 되도록 희석시켜 각 웰에 첨가하였다. 24시간 후 cDNA를 합성하고 PCR을 실시하여 유전자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
2-2. 실시간 PCR을 이용한 각질형성세포 분화 및 탈각 인자 발현 영향 시험
합성된 cDNA를 프라이머 및 시아닌 염료인 SYBR 그린 마스터 혼합물을 사용하여 실시간(real-time) PCR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유전자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 유전자에 관한 발현은 Ct(threshold cycle) 방법에 따라 내부 대조 유전자 β-액틴의 보정 정량화를 통한 상대적인 값으로 비교되었으며 이용된 프라이머 서열은 하기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프라이머 명칭 서 열(5'-> 3')
IVL 정방향 TGAAACAGCCAACTCCACTG
역방향 GGAGCTCCAACAGTTGCTCT
LOR 정방향 AATAGATCCCCCAGGGTACCA
역방향 CGGTGCCCCTGGAAAAC
KLK-5 정방향 GCCACACTGCAGGAAGAAA
역방향 GGATTTGACCCCCTGGAA
KLK-7 정방향 GCATCCCCGACTCCAAGAA
역방향 CAGGGTACCTCTGCACACCAA
β-액틴 정방향 GGCCATCTCTTGCTCGAAGT
역방향 GACACCTTCAACACCCCAGC
도 3a 및 도 3b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1의 1% 진주발효물 처리에 따라 인볼루크린(IVL), 로리크린(LOR), 칼리크레인-연관 펩티다제-5(kallikrein-related peptidase, KLK-5) 및 KLK-7의 발현량이 다른 처리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IVL 및 LOR의 발현 증가는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분화가 촉진하여 피부 턴오버를 정상적으로 일어나게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실시예 1의 진주 발효물은 비교예 2의 사과발효초 및 비교예 3의 진주추출물에 비해 IVL 발현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며, 특히 LOR 발현량의 경우 진주 발효물은 다른 처리군으로부터 용이하게 예측할 수 없는 현저한 상승효과를 나타내어 탁월한 피부 턴오버 효과를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KLK-5 및 KLK-7의 증가는 최외곽의 각질층이 정상적으로 탈각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도 3c 및 3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진주발효물은 진주추출물에 비해 표피 분화와 탈각 능력을 증진시켜 피부 장벽을 강화하고 피부 보습 기능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피부의 조직학적 관찰
3-1. 인공피부 배양
상기 실시예 1의 진주발효물 의한 표피 분화 및 탈각 인자 발현 정도를 인간피부와 유사하도록 재현한 삼차원 배양피부 모델(RHE: Reconstructed Human Epidermis)에서 확인하였다. RHE가 도착하면 안정화를 위해 성장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시킨 후, 염화칼슘 1.2 mM 및 실시예 1의 진주발효물을 각각 1% 처리하였다.
3-2: H&E 염색을 이용한 각질층 탈각 효과 실험
배양 2일 후 적출한 피부 조직을 10%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시킨 후, 파라핀 절편을 잘라 조직면역염색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CON 대조군에 비해 실시예 1의 진주발효물을 처리한 군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각질층이 정상적으로 탈각되어 두꺼워진 각질층이 형성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피부조직학적으로 실시예 1의 진주발효물이 표피 턴오버를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피부 장벽기능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험예 4: 섬유아세포주에서 유전자 발현 분석
4-1. 인간피부 섬유아세포주 Hs68 세포 배양
인간 피부의 구성 세포주인 섬유아세포주 Hs68(ATCC, CRL-1635TM)은 10% FBS와 항생제가 들어있는 DMEM 배양액을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배양 용기는 75T-플라스크를 사용하였으며 5% CO2가 공급되는 37℃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액은 3-4일마다 교환해 주었으며 세포가 과다하게 증식되었을 때 계대배양하였다. Hs68을 6웰 플레이트에 분주(4×105/웰)하고 DMEM을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배양시킨 후, 인산 완충화된 염 용액(PBS)으로 세척하였다. FBS를 넣지 않은 Ca-프리 DMEM 배지에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의 조성물이 각각 1%가 되도록 희석시켜 각 웰에 첨가하였다. 24시간 후 cDNA를 합성하고 PCR을 실시하여 유전자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
4-2. 실시간 PCR을 이용한 섬유아세포에서의 전구 콜라겐 생성 확인
합성된 cDNA를 프라이머 및 시아닌 염료인 SYBR 그린 마스터 혼합물을 사용하여 실시간(real-time) PCR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전구 콜라겐 유전자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 유전자에 관한 발현은 Ct(threshold cycle) 방법에 따라 내부 대조 유전자 β-액틴의 보정 정량화를 통한 상대적인 값으로 비교되었으며 이용된 프라이머 서열은 하기 표 2에 기재되어 있다.
프라이머 명칭 서 열(5'-> 3')
제 1형 전구콜라겐(type 1 procollagen) 정방향 CTCGAGGTGGACACCACCCT
역방향 CAGCTGGATGGCCACATCGG
β-액틴 정방향 GGCCATCTCTTGCTCGAAGT
역방향 GACACCTTCAACACCCCAGC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1의 1% 진주발효물 처리에 따라 제 1형 전구콜라겐의 발현량이 다른 처리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형 전구콜라겐의 발현 증가는 섬유아세포에서 주로 생성하는 제 1형 콜라겐의 전구 물질로서 피부 진피층의 두께를 결정하는 주요원인이 되며, 주름 생성을 억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결과를 통해, 상기 실시예 1의 진주발효물은 진피 내의 지지대 역할을 하는 제 1형 콜라겐의 생성을 증가시켜 피부 노화의 대표적인 양상인 주름 및 쳐짐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유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일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실험예 5: 진주발효물의 성분 분석
본 실험예에서는 실시예 1에서 조제된 진주발효물의 유효성분 변화를 확인하였다(표 3).
항목 비교예 1(주정초) 비교예 2(사과발효초) 실시예 1(진주발효물)
총 아미노산 (ppm) 170 372 441
칼슘 (ppm) 3 92 11,148
총 폴리페놀 (ppm) 0 130 125

Claims (7)

  1. 진주분말을 0.05~20% (w/v) 범위로 첨가하고, 사과발효초로 후 발효(after-fermentation)하여 제조된 진주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주발효물은 총 폴리페놀 함량이 100 내지 1,000ppm이고, 총 아미노산 함량이 300 내지 1,000ppm이며, 총 칼슘 함량이 1,000 내지 20,000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 발효(after-fermentation)는 20 내지 40 ℃에서 3 내지 7일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개선은 피부 상태 개선은 피부재생, 피부미백, 피부보습, 피부탄력, 피부노화 또는 주름 개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각질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각질층의 제거를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PCT/KR2017/010555 2016-09-23 2017-09-25 진주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WO2018056778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853492.1A EP3517599B1 (en) 2016-09-23 2017-09-25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including fermented pearl product
US16/335,307 US20200016063A1 (en) 2016-09-23 2017-09-25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including fermented pearl product
CN201780058463.5A CN109790500A (zh) 2016-09-23 2017-09-25 包含珍珠发酵物的用于改善皮肤状况的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312 2016-09-23
KR10-2016-0122312 2016-09-23
KR1020170113624A KR101980068B1 (ko) 2017-09-06 2017-09-06 발효 식초의 향미 개선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진주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017-0113624 2017-09-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56778A1 true WO2018056778A1 (ko) 2018-03-29

Family

ID=61690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0555 WO2018056778A1 (ko) 2016-09-23 2017-09-25 진주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00016063A1 (ko)
EP (1) EP3517599B1 (ko)
CN (1) CN109790500A (ko)
WO (1) WO20180567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892A (ko) * 2018-12-20 2020-06-30 코스맥스 주식회사 진주 발효물을 포함하는 두피 또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86082A (zh) * 2005-03-23 2005-10-26 北海东方创美生物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珍珠护肤液及制备方法
JP2007217345A (ja) * 2006-02-16 2007-08-30 Chin Shinraku 真珠酢及びその製造法
KR20120066721A (ko) * 2010-11-17 2012-06-25 파인펄 주식회사 수용성 진주 분말 제조 공법
JP5317301B2 (ja) * 2007-06-07 2013-10-16 ピュラック バイオケム ビー. ブイ. 酢からにおいを除去する方法
KR101321611B1 (ko) * 2012-02-29 2013-10-23 (주)그린팜테크 구절초 및 진주조개껍질을 함유한 기능성 식초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1978A (ja) * 1985-05-28 1986-12-02 Yamani Zousaku Kk 飲料
DE10215342A1 (de) * 2002-03-28 2003-10-23 Coty Bv Hautaufhellendes Kosmetikum
KR100549399B1 (ko) * 2002-07-09 2006-02-03 (주) 진주본 상온 산가수분해법을 이용한 수용성 진주분말의 제조방법
US6932988B2 (en) * 2002-09-16 2005-08-23 Suzanne Cruse Kit and method for migraine headache treatment
CN100350855C (zh) * 2005-12-19 2007-11-28 御品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珍珠果冻及其制造方法
KR101781818B1 (ko) * 2009-10-26 2017-09-26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그리고 의료용 기기
KR101551728B1 (ko) * 2013-07-09 2015-09-09 휴먼바이오텍 주식회사 성장인자 및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30106802A (ko) * 2013-09-03 2013-09-30 서광희 진주를 이용한 수용성 칼슘의 제조방법
CN104523522A (zh) * 2014-12-23 2015-04-22 吴辰 黑枸杞发酵制品面膜
CN105342964A (zh) * 2015-12-02 2016-02-24 青岛新中新新材料有限公司 一种保湿免洗面膜
CN105411972A (zh) * 2015-12-03 2016-03-23 青岛新中新新材料有限公司 一种美白护手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86082A (zh) * 2005-03-23 2005-10-26 北海东方创美生物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珍珠护肤液及制备方法
JP2007217345A (ja) * 2006-02-16 2007-08-30 Chin Shinraku 真珠酢及びその製造法
JP5317301B2 (ja) * 2007-06-07 2013-10-16 ピュラック バイオケム ビー. ブイ. 酢からにおいを除去する方法
KR20120066721A (ko) * 2010-11-17 2012-06-25 파인펄 주식회사 수용성 진주 분말 제조 공법
KR101321611B1 (ko) * 2012-02-29 2013-10-23 (주)그린팜테크 구절초 및 진주조개껍질을 함유한 기능성 식초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517599A4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892A (ko) * 2018-12-20 2020-06-30 코스맥스 주식회사 진주 발효물을 포함하는 두피 또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
KR102152290B1 (ko) * 2018-12-20 2020-09-04 코스맥스 주식회사 진주 발효물을 포함하는 두피 또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17599A4 (en) 2020-05-06
EP3517599B1 (en) 2021-11-10
US20200016063A1 (en) 2020-01-16
EP3517599A1 (en) 2019-07-31
CN109790500A (zh) 201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310731T2 (de) Neue, von noraporphin abgeleitete moleküle
US8647610B2 (en) Use of melanin biosynthesis inhibitors from korean ginseng and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reof for skin whitening
WO2013027984A2 (ko) 녹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100189675A1 (en) Cosmetic use of an imidopercarboxylic acid derivative as desquamating agent
JP2024056871A (ja) 毛髪化粧料
KR101716428B1 (ko) 해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0068B1 (ko) 발효 식초의 향미 개선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진주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00132245A (ko) 전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14122183A (ja) Dna損傷抑制剤
JP2014129267A (ja) Dna損傷抑制剤
WO2018056778A1 (ko) 진주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30104930A (ko) 해삼 유래 사포닌 함유 화장료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한 화장료조성물
JP2000212061A (ja) 美白化粧料
US9480638B2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s of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Hara, Angelica tenuissima and medicinal herbs
KR102082991B1 (ko) 녹용 고압 추출물의 제조 방법
JP5226200B2 (ja) 硫酸化グリコサミノグリカン産生促進剤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CN112386547B (zh) 菠萝萃取物的皮肤保健用途
JP2014125429A (ja) Dna損傷抑制剤
KR101997231B1 (ko) 효소반응을 이용하여 제조된 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13557B1 (ko) 상지 추출물 및 헥사노일트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5B1 (ko) 상지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O2024010355A1 (ko) 고소리술 술지게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WO2021118286A1 (ko) 노화 피부세포 주변 환경변화 유도 촉진용 조성물
WO2022045638A1 (ko) 락토바실러스 속 신균주를 이용한 바다제비집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WO2022055034A1 (ko) 노르데나우수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5349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853492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