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860B1 -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860B1
KR102041860B1 KR1020170177552A KR20170177552A KR102041860B1 KR 102041860 B1 KR102041860 B1 KR 102041860B1 KR 1020170177552 A KR1020170177552 A KR 1020170177552A KR 20170177552 A KR20170177552 A KR 20170177552A KR 102041860 B1 KR102041860 B1 KR 102041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moisturizing
lotion
cosmetic composition
c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3418A (ko
Inventor
채성욱
임아랑
김기모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77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860B1/ko
Publication of KR20190013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이 세포 독성이 거의 없으며, 자외선 조사에 의해 증진된 MMP-1의 발현을 현저하게 억제하고, 피부 보습을 증진시킬 수 있는 히알루론산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 or skin moisturizing comprising Gryllus bimaculatus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쌍별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의 환경과 항상 접하고 있는 기관으로 주로 외부의 물리적 손상 및 화학물질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이 피부로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며, 수분 손실을 막는 보호장벽 역할을 한다. 피부의 구조를 보면 표피, 진피, 피하지방의 3개 층으로 구성되고 표피는 3개 층 중 가장 얇은 층으로 피부의 보습 및 보호를 담당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특히 표피의 각질층에 존재하는 수분에 의하여 피부가 탄력 있고 부드럽게 되는데, 각질층의 탄력이 유지되려면 10% 이상의 수분함유가 필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O. K. Jacobi, Proc. Sci. Sec. Toilet Goods Assoc. 1959, 31, 22).
최근 들어, 환경오염 등의 이유로 강한 자외선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아졌고, 이에 의한 피부의 수분 손실이 증가하면서 피부 노화가 가속화되고, 피부의 손상에 의한 관련 질병의 발병률이 증가함에 따라,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의 보습 유지 및 주름개선 효과를 오랫동안 지속시켜주는 조성물에 대한 요구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편, 쌍별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는 메뚜기목 귀뚜라미과이며, 잡식성으로 곡물, 동물성 먹이, 농업부산물 등 무엇이든지 잘 먹으며 생육기간이 90일 정도로 짧은 편이라 알의 월동이 필요하지 않아 연중 실내 대량 사육이 가능하다. 약충 시기에는 주행성이고 성충 시기에는 야행으로 알려져 있으며, 알은 투명한 백색으로 젖은 성토나 모래흙, 톱밥, 부엽토 등 수분이 많은 부드러운 재질에서 산란한다. 산란은 긴 산란관을 이용하여 산란 배지 깊숙하게 알을 한 개씩 낳는데, 일생동안 100~200개 이상의 알을 낳는다, 알은 일반적인 사육온도에서 13일 정도 발육하면 부화를 시작한다. 약층으로 부화되면 투명한 흰색에서 점차 검은 갈색으로 변하면서 하루 정도 지나면 모두 검은 색으로 변한다. 이때부터 먹이를 먹게 되고 2개월 정도 탈피하면서 발육하여 성충이 된다. 탈피가 모두 끝나 성충으로 우화하면 약 1개월간 생존하면서 짝짓기를 위한 구애행동 및 산란을 계속한다.
지금까지 알려진 쌍별귀뚜라미 관련 기술의 일례로는 한국생약학회지(Kor. J. Pharmacogn 35(2): 175~178, 2004)에 '귀뚜라미의 물 및 메탄올 추출물이 알코올 대사에 미치는 효과'가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0599460에 간독성에 대한 예방 효과를 갖는 귀뚜라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유효성분이 세포 외 기질과 기저막의 분해에 관여하는 콜라겐 분해 효소(MMPs; matrix metalloproteinases)인 MMP-1의 발현량을 감소시키는 것과, 피부 보습 기능과 피부 장벽 손상을 방지하는 히알루론산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세포 독성이 거의 없으며, 피부 주름 개선과 피부 보습에 효과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농도별(10, 50, 100, 200 및 250㎍/㎖) 처리에 따른 HaCaT 세포의 세포생존률(%)을 확인한 MTS 어세이 결과이다.
도 2는 UVB 조사에 따른 세포 손상에 대하여,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HaCaT 세포의 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한 것으로, HaCaT 세포(사람 각질형성 세포주)에 24시간 동안 각각의 시료를 농도별(10, 50, 100 및 200㎍/㎖)로 처리하고, 자외선(UV Crosslinker, UltR5 Lum)을 30분간 조사한 후, MTS 어세이를 수행한 결과이다. #은 UVB 조사군의 세포 생존률이 Control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했다는 것으로, p<0.05임을 의미하고, *은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처리하고 UVB를 조사한 실험군의 세포 생존률이 UVB 조사군의 세포 생존률에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5임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 처리에 따른 MMP-1의 발현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은 UVB 조사군의 MMP-1 발현량이 Control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했다는 것으로, p<0.05임을 의미하고, *은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처리하고 UVB를 조사한 실험군의 MMP-1 발현량이 UVB 조사군의 MMP-1 발현량에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5임을 의미한다.
도 4는 UV 조사 및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히알루론산(HA) 함량 변화를 분석한 결과이다. Control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는 음성대조군이고, UVB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고, 자외선만을 조사한 대조군이다. #은 UVB 조사군의 히알루론산 함량이 Control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했다는 것으로, p<0.05임을 의미하고, *은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처리하고 UVB를 조사한 실험군의 히알루론산 함량이 UVB 조사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5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1) 쌍별귀뚜라미 건조 분말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 (1)에서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70%(v/v) 에탄올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추출방법은 여과법,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당 업계에 공지된 모든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건조된 쌍별귀뚜라미 중량의 1~2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5~15배 첨가하는 것이다. 추출온도는 4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0.5~10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0.5~5시간이 더욱 바람직하고, 1시간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 감압 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 건조 또는 동결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주름 생성은 콜라겐의 감소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며, 상기 콜라겐의 감소는 과도한 산화 스트레스나 자외선 조사가 원인일 수 있다.
상기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은 MMP-1 단백질의 발현량을 감소시키며, 히알루론산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외용 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젤,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 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 로션 및 바디 클렌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각 제형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아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형광물질, 살진균제, 굴수성 유발물질, 방향제, 방향제 담체, 단백질, 용해화제, 당 유도체, 일광차단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부형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성분들 이외에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희석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또는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는 주사 또는 피부에 도포하는 방법으로 투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실시예 1.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제조
쌍별귀뚜라미 건조 분말에 70%(v/v) 에탄올을 사용하여 3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였다. 70%(v/v) 에탄올 추출액을 수득하고 감압증류하여 쌍별귀뚜라미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세포 생존율 분석
HaCaT 세포는 37℃, 5%의 CO2 조건으로, 10%의 FBS(Fetal bovine serum)과 1%의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S, Gibco)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한 HaCaT 세포(사람 각질형성 세포주)에 24시간 동안 각각의 시료를 농도별로 희석하여 처리하고 MTS 어세이(CellTiter Aque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 kit 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ynyl)-2H-tetrazolium, inner salt; MTS, Promega Co. Madison, WI, USA) 기법으로 세포 생존능을 490nm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로 측정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처리하여도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을 기준으로 세포 생존율(%)의 변화가 거의 없어,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은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자외선 조사에 따른 세포 보호 효과 확인
HaCaT 세포에 24시간 동안 각각의 시료를 농도별로 희석하여 처리하고 자외선(UV Crosslinker, Ultra Lum)을 30분간 조사한 후, MTS 어세이(CellTiter Aque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 kit, 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ynyl)-2H-tetrazolium, inner salt; MTS, Promega Co. Madison, WI, USA) 기법으로 세포 생존능을 490nm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 로 측정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개시한 바와 같이 UVB 조사에 의해 세포생존률(%)이 약 50% 정도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UV 조사 후, 본 발명의 200㎍/㎖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UVB 조사만 한 것에 비해 세포생존률(%)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이 200㎍/㎖ 이상의 농도에서는 세포보호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실시예 4. MMP -1 단백질의 발현량 변화 분석
HaCaT 세포에 24시간 동안 각각의 시료를 처리하고 자외선(UV Crosslinker, Ultra Lum)을 20mJ/cm2로 조사한 후, MMP-1 ELISA kit(R&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를 이용하여 MMP-1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상세하게는 96웰 플레이트에 HaCaT 세포를 도말한 후,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각각 농도별(10, 50, 100 및 200㎍/㎖)로 처리하였다. 이후, 자외선(UV) 조사하고, 배양물의 상등액을 수집하고 13,000rpm으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이후 상등액을 취해 ELISA 키트를 이용한 형광 어세이를 수행하여 MMP-1의 발현량을 정량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개시한 바와 같이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음성대조군에 비해, 자외선을 조사한 군에서 현저하게 MMP-1의 발현량이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고,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처리군에서 MMP-1의 발현량이 자외선 조사군에 비해 현저하게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 HA)의 함량 변화 분석
상기 HaCaT 세포에 24시간 동안 각각의 시료를 처리하고 자외선(UV Crosslinker, Ultra Lum)을 20 mJ/cm2로 30분간 조사한 후, 배양물의 상등액을 수집하여 히알루론산 ELISA 키트(R&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를 이용하여 HA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반응물은 흡광 어세이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개시한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에 의해, 히알루론산의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처리한 각각의 실험군에서는 히알루론산의 함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5)

  1. C1~C4의 저급알코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은 MMP-1 단백질의 발현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은 히알루론산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젤,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 로션 및 바디 클렌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177552A 2017-12-21 2017-12-21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41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552A KR102041860B1 (ko) 2017-12-21 2017-12-21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552A KR102041860B1 (ko) 2017-12-21 2017-12-21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273 Division 2017-07-28 2017-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418A KR20190013418A (ko) 2019-02-11
KR102041860B1 true KR102041860B1 (ko) 2019-11-07

Family

ID=65370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552A KR102041860B1 (ko) 2017-12-21 2017-12-21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8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7991A (ko) * 2020-12-02 2022-06-10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489767B1 (ko) * 2022-03-23 2023-01-18 이재홍 귀뚜라미 발효물의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피부재생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293B1 (ko) * 2016-12-07 2017-03-28 에스폴리오(주)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09451B1 (ko) * 2015-02-05 2018-01-18 이삼구 비타민, 미네랄, 아미노산 및 지방산의 함량이 증진된 귀뚜라미를 함유하는 황산화효과, 보습효과, 또는 주름개선효과가 증진된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451B1 (ko) * 2015-02-05 2018-01-18 이삼구 비타민, 미네랄, 아미노산 및 지방산의 함량이 증진된 귀뚜라미를 함유하는 황산화효과, 보습효과, 또는 주름개선효과가 증진된 화장료 조성물.
KR101720293B1 (ko) * 2016-12-07 2017-03-28 에스폴리오(주)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7991A (ko) * 2020-12-02 2022-06-10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526287B1 (ko) * 2020-12-02 2023-04-27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489767B1 (ko) * 2022-03-23 2023-01-18 이재홍 귀뚜라미 발효물의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피부재생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418A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0507B1 (ko) 천녀목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광노화 방지용 및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41243A (ko)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4467B1 (ko) 꽃벵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3394A (ko) 하마멜리스 비르기니아나 추출물의 미용 또는 피부과 용도
KR102041860B1 (ko)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08077B1 (ko) 천연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131574B1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40012456A (ko) 아케비아 사포닌-디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BR112014012858B1 (pt) Extrato de jojoba útil em melhorar as funções de barreira da pele
KR102070802B1 (ko)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1907850B1 (ko) 꽃벵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20082744A (ko)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81208B1 (ko) 크립토탄시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02169B1 (ko) 장수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63617B1 (ko) 백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개선용 조성물
KR101558186B1 (ko) 여우구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49956B1 (ko) 벼메뚜기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6179B1 (ko) 해녀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44034B1 (ko) 베르게닌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13416A (ko)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FR3030273A1 (fr) Composition comprenant un extrait de lotus, un extrait d&#39;hamamelis et du zinc, et son utilisation cosmetique
KR102277183B1 (ko) 백편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0713557B1 (ko) 상지 추출물 및 헥사노일트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5988B1 (ko)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68130B1 (ko) 큰옥매듭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