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4034B1 - 베르게닌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베르게닌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4034B1
KR100544034B1 KR1020040001975A KR20040001975A KR100544034B1 KR 100544034 B1 KR100544034 B1 KR 100544034B1 KR 1020040001975 A KR1020040001975 A KR 1020040001975A KR 20040001975 A KR20040001975 A KR 20040001975A KR 100544034 B1 KR100544034 B1 KR 100544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aging
skin
present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1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3866A (ko
Inventor
이근수
정지헌
조병기
이강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40001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4034B1/ko
Publication of KR20050073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3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4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40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2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르게닌을 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아세포의 단백질 생성 증진용 조성물 및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 증진 및 인테그린의 발현 증진을 통하여 피부 주름 및 피부 탄력을 개선함으로써, 현저하게 향상된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나타낸다.
베르게닌, 콜라겐, 인테그린, 노화, 주름, 탄력, 화장료

Description

베르게닌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Anti-aging Comprising Bergenin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베르게닌 (Bergenin)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아세포의 단백질 생성 증진용 조성물 및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나이를 먹으면서 끊임없이 변화하게 된다. 피부 노화는 크게 자연 노화 (혹은 내인성 노화) 및 외적 노화로 구분되며 (E.B. Doris, Cosmetics & Toiletories, 111:31-37 1996), 자연 노화 (내인성 노화)는 유전적인 요소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인위적인 조절이 어려운 반면 외적 노화는 환경적인 요소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인위적인 조절이 비교적 용이하다. 대표적인 외적 노화 인자로는 자외선을 들 수 있으며, 가장 두드러진 노화 현상이 바로 주름 생성이다 (H.M.Daniel, Ann Intern Med, 75:873-880 1971; M.J. Grove, J Am Acad Dermatol, 21:631-637 1989; and T.S. Griffiths 등, Arch Dermatol, 128:347-351 1992). 따라서 노화방지를 통하여 주름 형성을 억제하고, 주름을 개선시키기 위한 노력들이 많이 행하여져 왔다.
주름 생성은 진피층 내의 매트릭스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단백질 (콜라겐 및 엘라스틴)들의 전환 (turn over)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등에 의해 과생성된 단백질 분해효소인 MMP (Matrix Metallo Proteinase)은 콜라겐 등을 분해하게 되며, 이것은 피부의 깊은 주름을 생성시키데 상당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자외선 등으로 인한 주름 생성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 일차적으로 자외선을 차단하여야 하며 이차적으로는 자외선에 의해 일어나는 생리적 반응들을 억제해 주어야 한다.
한편, 콜라겐 및 엘라스틴등 진피의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단백질은 피부 탄력에도 영향을 준다.
주름 생성 및 피부 탄력의 저하는 진피층 내의 매트릭스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콜라겐 및 엘라스틴 등의 양뿐만 아니라 상기 성분의 조직화된 상태 또는 매트리스와 피부 세포간의 상호 작용 정도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피부 세포에 존재하는 막 단백질의 한 종류인 인테그린은 피부 세포간 접착 및 세포-단백질간의 상호 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결과적으로 피부 탄력에 영향을 미친다.
인테그린의 발현 정도가 세포 접착 정도, 즉 피부 탄력과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 보고되어 있는데, UV-A 및 UV-B 조사를 통해 노화가 유도된 섬유아세포 표면 의 인테그린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면 조사된 세포의 인테그린 발현 정도가 조사되지 않은 세포의 인테그린 발현 정도보다 떨어진다고 한다 (Laetitia Moreau, Cosmetics & Toiletries, 118(1):75-84 2003).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자외선 등에 의해 손상되는 피부 단백질의 합성을 촉진함으로써 피부 노화 현상을 개선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베르게닌 (Bergenin)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을 증진하고 인테그린 발현을 증진시킴으로써, 피부 주름을 개선하고 피부탄력을 개선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베르게닌 (Bergen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르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아세포의 인테그린의 발현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르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베르게닌 (Bergen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베르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아세포의 인테그린 β1의 발현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으로 포함되는 베르게닌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물질로, 분자량은 대략 328이다.
Figure 112004001116995-pat00001
본 발명의 베르게닌은 암백채, 노루풀 또는 예덕나무 등의 자연원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화학적으로 합성될 수 있다 (Lim et al.,J Ethnopharmacol. 70(1):69-72 2000 Apr).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된 베르게닌를 분리하는 데 이용된 암백채 (Bergenia crassifolia)는 호이초과 (Saxifrigae)의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가 20-30 ㎝이며, 잎이 크고 두껍다. 꽃 색상은 분홍색에서 흰색까지 있다. 주로 사천성, 운남성 및 티벳 등에서 서식하고 해발이 약 1590 m 지점의 돌 틈에서 성장한다. 암백채는 중국 소수 민족사이에서 민간 약초로 사용되며 주로 뿌리 및 줄기를 사용하고 있다. 맛은 달고 떫으며, 해열, 해독, 지혈, 기침 및 피토함 등에 효능이 있다.
본 발명의 베르게닌은 피부세포의 단백질 합성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콜라겐 합성 및 인테그린의 발현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피부세포는 피부에 존재하는 세포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섬유아세포이다. 상기 단백질은 피부세포의 구조 형성 및 기능에 필요한 단백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엘라스틴 및 인테그린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백질 특히, 콜라겐 합성을 증진하거나 인테그린의 발현을 증진시킬 수 있는 유효량의 베르게닌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베르게닌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0001-15.0 중량%이다.
한편, 베르게닌의 수화물 및 베르게닌의 염으로 인테그린 발현 증진 및/또는 콜라겐 생합성 증진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은 당업계의 기술수준을 고려하여 당업자에 명확하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베르게닌 화합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치환기의 부가 또는 치환 반응을 하여 얻어지는 유도체 중 인테그린 생합성 증진 및/또는 콜라겐 생합성 증진을 나타내는 유도체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은 당업계의 기술수준을 고려하여 당업자에 명확하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베르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베르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기 때문에,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중복된 내용은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노화 방지의 용도를 갖는다. 피부와 관련하여 언급되는 용어 "노화 방지"는 피부 노화 예방 및 치료를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의 베르게닌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진피의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단백질, 특히 콜라겐의 합성을 증진하고 진피의 매트릭스 및 세포간의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인테그린의 발현을 증진함으로써, 주름 및 피부의 탄력을 개선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용도인 피부 노화 방지는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개선 용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베르게닌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0001-15.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0001-10.0 중량%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1-5.0 중량%이다. 상기 베르게닌의 함량이 0.000001 중량% 미만인 경 우에는 효과를 나타내는데 문제점이 있고, 1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 자극 및 제품의 안정성에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피부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 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베르게닌의 분리 및 확인
본 발명에 사용된 베르게닌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리 및 확인되었다.
암백채 200 g을 에틸 알코올 1.2 ℓ에 3 일간 침적시킨 후 여과하고 상기 여액을 감압건조하였다. 상기 농축물을 실리카 230-400메쉬가 충진된 컬럼관에 로드하고 전개용매로서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메탄올을 30:1에서 10:1 구배로 흘러주면서 20 ㎖씩을 분획하였다. 얇은막크로마트그래프로 정성분석하여 Rf=0.35-4.0까지의 분획을 농축하였으며, 검출기로는 UV 램프를 사용하였다. 기기분석기 (varian 300 M 1H NMR 및 LC-mass)을 이용하여 구조를 동정하여 베르게닌임을 확인하였다.
분리된 베르게닌의 물성은 다음과 같았다.
mp : 235℃
UV λmax : 220, 275 ㎚
실험예 1: 베르게닌의 단백질 합성 촉진 효과 실험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 (한국 세포주 은행)를 48-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각 웰에 1 x 106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에서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배지를 제조예 1에서 얻은 베르게닌의 최종 농도가 각각 5, 10, 20, 50 및 100 ppm이 되도록 제조한 혈청이 없는 DMEM 배지 (실험군) 및 베르게닌이 포함되지 않은 혈청이 없는 DMEM 배지 (대조군)로 교체하고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웰의 상층액을 모아 단백질 분석 키트 (Protein assay kit, 바이오 래드사, 미합중국)를 이용하여 새로 합성된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나 있다.
농도 (㎍/㎖) 단백질 생성량 (㎍/㎖)
0 61.7
5 94.2
10 95.3
20 90.2
50 108.3
100 109.2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베르게닌을 첨가한 실험군에서 생성된 단백질의 양이 대조군에서 생성된 단백질의 양보다 월등히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베르게닌은 섬유아세포의 단백질 합성을 촉진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베르게닌의 진피층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 (한국세포주 은행)를 48-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각 웰에 1 x 106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에서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 배지를 베르게닌의 최종 농도가 각각 5, 10, 20, 50 및 100 ppm되도록 제조한 혈청이 없는 DMEM 배지 (실험군) 및 베르게닌이 포함되지 않은 혈청이 없는 DMEM 배지 (대조군)로 교체하고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웰의 상층액을 모아 키트 (PICP collagen assay kit, Takara, 일본국)를 이용하여 새로 합성된 프로콜라겐 타입 I의 C-펩타이드 (PICP) 양을 측정하였다. PICP 양은 ng/㎖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나 있다.
농도 (㎍/㎖) 콜라겐 합성량 (ng/㎖)
0 227.8
5 545.8
10 661.8
20 416.5
50 428.6
100 361.8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베르게닌을 첨가한 실험군에서 생성된 콜라겐의 양이 대조군에서 생성된 콜라겐의 양보다 월등히 많았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베르게닌은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인테그린 β1 발현 증진 효과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를 48-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각 웰에 1 x 106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에서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 상기 베르게닌의 최종 농도가 각각 5, 10, 20, 50 및 100 ppm되도록 제조한 혈청이 없는 DMEM 배지 (실험군) 및 베르게닌이 포함되지 않은 혈청이 없는 DMEM 배지 (대조군)로 교체하고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배양 후, EIA (Enzyme immnoassay)법에 따라 인테그린 β1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MK008 키트, Takara, 일본국). 상술하면, 원심분리로 세포를 회수하고 세포추출액을 제조한 후 항-인테그린 β1 항체가 코팅되어있는 웰에 상기 세포추출액을 처리하였다. 이차 항체 를 첨가하고 4℃에서 45분간 반응시킨 후 OPD (ο-Phenylenediamine-HCl)로 검출하였다. 염색되어있는 OPD를 OPD 용해액으로 용해한 후 530nm에서 엘라이자 리더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농도 (㎍/㎖) O.D.530
0 0.605
0.5 0.632
1 0.685
2 0.773
5 0.897
10 1.056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베르게닌은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의 접착에 중요한 작용을 수행하는 인테그린 β1의 합성을 촉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본 발명의 베르게닌을 함유하는 크림 화장료 및 베르게닌을 함유하지 않은 크림 화장료를 사용하여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 효과에 대한 임상 시험을 실시하였다. 임상시험에 사용된 크림은 하기의 표 4와 같이하여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 비교예 1
베르게닌 2.0 -
글리세린 4.0 4.0
바셀린 3.5 3.5
트리에탄올아민 2.1 2.1
유동파라핀 5.3 5.3
스쿠알란 3.0 3.0
밀납 2.6 2.6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5.4 5.4
폴리솔베이트 60 3.2 3.2
카르복실비닐 폴리머 1.0 1.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3.1 3.1
미량 미량
방부제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100 100
실험예 4-1: 피부 주름 개선 효과 실험
30세 이상의 여성 30명 (평균 연령 33.7세)을 A 및 B 그룹으로 나누고, A 그룹에는 상기 실시예 1을 B 그룹에는 상기 비교예 1을 각각 주름이 있는 눈가를 중심으로 12주 동안 도포하고, 숙련자의 객관적 평가와 피검자의 주관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기준은 극히 심하게 악화된 것은 -3, 매우 개선된 것은 3으로 하고, 7등급 (-3, -2, -1, 0, 1, 2, 3)으로 하여 피부 주름의 개선정도를 측정하였다. 객관적 평가의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나 있고, 주관적 평가의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나있다.
피부주름 개선정도 (숙련자의 객관적 평가)
실시예 1 비교예 1
2.67* 1.87*
*: 숙련자에 의해 평가된 각 피검자들의 개선정도를 평균한 값으로 각 피검자들의 점수차이 (12주-0주)의 값을 평균한 값.
두 그룹사이의 유의수준은 p<0.05이다.
피부주름 개선정도 (피검자의 주관적 평가)
실시예 1 비교예 1
2.97* 1.36*
*:각 피검자에 의해 평가된 피검자들의 피부 주름 개선정도를 평균한 값으로 각 피검자들의 점수차이 (12주-0주)의 값을 평균한 값.
두 그룹사이의 유의수준은 p<0.05이다.
상기 표 5 및 6에서 알 수 있듯이 숙련자의 객관적 평가 및 피검자의 주관적 평가 모두에서 베르게닌 함유 크림의 주름 개선 효과가 베르게닌을 함유하지 않은 크림에 비해 월등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2: 피부 탄력 개선 효과
22℃ 및 상대습도 45%의 항온 항습실에서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크림 화장료를 건강한 여성 30명 (평균 연령 33.7세)의 눈가에 일정량 (0.03 g/16 ㎠)을 12주 동안 도포 하였다. 그 후, 피부탄력측정기 (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독일연방국)를 이용하여 각 군의 피부 탄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나있다.
피부탄력 개선정도(%)
실시예 1 비교예 1
32.6 12.8
상기 표 7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의 본 발명의 베르게닌을 함유한 크림 화장료의 피부 탄력 개선도가 비교예 1보다 훨씬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은 베르게닌을 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아세포의 단백질 생성 증진용 조성물 및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 증진 및 인테그린의 발현 증진을 통하여 피부 주름 및 피부 탄력을 개선함으로써, 현저하게 향상된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8)

  1. 베르게닌 (Bergen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 증진용 조성물.
  2. 베르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아세포의 인테그린의 발현 증진용 조성물.
  3. 베르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콜라겐 생성 촉진 및 인테그린의 발현 증진을 통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노화 방지 용도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개선 용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르게닌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 0.000001-1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르게닌은 암백채, 노루풀 또는 예덕나무에서 분리하거나 화학적 합성을 통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40001975A 2004-01-12 2004-01-12 베르게닌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44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975A KR100544034B1 (ko) 2004-01-12 2004-01-12 베르게닌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975A KR100544034B1 (ko) 2004-01-12 2004-01-12 베르게닌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866A KR20050073866A (ko) 2005-07-18
KR100544034B1 true KR100544034B1 (ko) 2006-01-23

Family

ID=37262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975A KR100544034B1 (ko) 2004-01-12 2004-01-12 베르게닌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40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193B1 (ko) 2009-12-02 2012-04-23 (주)더페이스샵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리소포스파티딜콜린과 노루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3633A (ko) * 2004-11-17 2006-05-2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예덕나무 추출물, 아보카도 오일 및 올리브 오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45970B1 (ko) * 2006-05-08 2008-07-11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항노화 활성을 갖는 노르베르게닌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조성물
CN110151629B (zh) * 2019-06-26 2022-04-12 广州鹰远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促进胶原蛋白合成的抗衰老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0870862B (zh) * 2019-12-06 2021-11-05 中国农业大学 岩白菜素在制备治疗体内肺炎克雷伯氏菌感染药物中的用途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9452A (ja) * 1994-08-26 1996-03-05 Kanebo Ltd 皮膚化粧料
JPH08283172A (ja) * 1995-04-14 1996-10-29 Kose Corp 活性酸素消去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H1017435A (ja) * 1996-06-25 1998-01-20 Shiseido Co Ltd 抗酸化剤組成物
JPH11180869A (ja) * 1997-12-16 1999-07-06 Maruzen Seiyaku Kk 血中脂質改善剤、サイクリックamp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阻害剤、飲食品および皮膚外用剤
KR20050039327A (ko) * 2003-10-24 2005-04-29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예덕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9452A (ja) * 1994-08-26 1996-03-05 Kanebo Ltd 皮膚化粧料
JPH08283172A (ja) * 1995-04-14 1996-10-29 Kose Corp 活性酸素消去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H1017435A (ja) * 1996-06-25 1998-01-20 Shiseido Co Ltd 抗酸化剤組成物
JPH11180869A (ja) * 1997-12-16 1999-07-06 Maruzen Seiyaku Kk 血中脂質改善剤、サイクリックamp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阻害剤、飲食品および皮膚外用剤
KR20050039327A (ko) * 2003-10-24 2005-04-29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예덕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193B1 (ko) 2009-12-02 2012-04-23 (주)더페이스샵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리소포스파티딜콜린과 노루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866A (ko) 2005-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2948B2 (ja) 大山蓮華抽出物を含有する光老化防止用及び皮膚皺改善用化粧料組成物
KR100844275B1 (ko) 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JP2010527994A (ja) 大山蓮華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皮膚美白用化粧料組成物
KR20070019120A (ko) 작약 추출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100787783B1 (ko)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0122A (ko) 이소사쿠라네틴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36291B1 (ko) 엘루테로사이드 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2357B1 (ko) 짝자래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44034B1 (ko) 베르게닌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83310B1 (ko) 짝자래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79016A (ko) 천녀목란의 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76692B1 (ko) 구골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070111636A (ko) 발아 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18180B1 (ko) 조직배양한 라울리아 오스트라리스 신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40087644A (ko) 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968716B1 (ko) 악티게닌 또는 악티게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95454B1 (ko) 피토라이트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248549B1 (ko) 곰보 배추 추출물, 3′,4′,5,6,7-펜타하이드록시플라바논 및 그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20100029114A (ko) 악티게닌 또는 악티게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6179B1 (ko) 해녀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5B1 (ko) 상지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13557B1 (ko) 상지 추출물 및 헥사노일트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01167A (ko) 쿼시트린 및/또는 미리시트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117561B1 (ko)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1664878B1 (ko) 삼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