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5970B1 - 항노화 활성을 갖는 노르베르게닌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조성물 - Google Patents

항노화 활성을 갖는 노르베르게닌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5970B1
KR100845970B1 KR1020060041236A KR20060041236A KR100845970B1 KR 100845970 B1 KR100845970 B1 KR 100845970B1 KR 1020060041236 A KR1020060041236 A KR 1020060041236A KR 20060041236 A KR20060041236 A KR 20060041236A KR 100845970 B1 KR100845970 B1 KR 100845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rbergenin
acid
skin
oil
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8786A (ko
Inventor
김기호
김영희
고강일
최봉락
김경태
이수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Priority to KR1020060041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5970B1/ko
Publication of KR20070108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8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9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노화 효과가 뛰어난 노르베르게닌을 함유하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콜라게네이즈 발현억제 효과 및 콜라겐 합성 촉진효과를 나타냄으로서 항노화 활성을 갖는 노르베르게닌을 포함하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노르베르게닌, 항노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항노화 활성을 갖는 노르베르게닌을 함유하는 피부외용 조성물{A topical composition comprising norbergenin showing anti-aging activity}
본 발명은 항노화 효과를 지닌 노르베르게닌(norbergenin)에 관한 것으로 노르베르게닌을 제형에 혼합하였을 때 궁극적으로 우수한 피부항노화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노화는 주름 증가와 탄력감소, 색소 침착 등의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노화의 현상은 바로 주름이다. 이러한 주름을 생성하게 하는 피부의 노화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른 자연적인 노화인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으로 인한 노화이다. 외적 요인으로는 자외선, 공해, 병, 음주, 흡연 등이 있고, 내적 요인으로는 프리라디칼과 염증의 발생, 스트레스, 세포 활성의 저하 및 돌연변이화, 세포대사 불균형 등이다(Physiology Of The Skin, Allured Publishing Corporation, Peter T. Pugliese . MD, pp61-72). 피부의 구조에 따라 주름 발생원인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피부는 크게 표피와 진피로 나뉜다. 표피에서의 주름 생성 원인으로는 각질 형성 세포의 턴-오버(turn- over)의 감소로 각질층의 누적과 이로 인해 각질층의 두꺼워지고, 각질층의 수분 함유 능력이 감소되고, 각질이 경화되어 주름이 발생하게 된다. 표피와 진피의 경계부위는 표피세포 지지, 부착, 영양물질의 이동, 표피 분화의 조절 등에 관여하는데, 각종 노화 요인으로 특히, 자외선(UV)에 인하여 콜라겐 IV, VII이 감소되어 표피, 진피 지지기능이 감소되고, 선별 투과 기능이 약화되어 해로운 성분이 쉽게 진피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주름이 생성된다(Keene, J. Cell Biol ., 104, pp611-621, 1987). 진피는 표피의 아래에 있는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지는 조직으로 표피 세포인 케라티노사이트처럼 치밀하게 채워져 있지 않고 세포외 공간이 많으며 세포외간질(extracellular matrix)이라 불리는 거대 분자의 망상 구조에 의해 채워져 있다. 이 세포외 간질은 진피내의 섬유아세포에서 만들어지며, 콜라겐, 엘라스틴 등의 섬유상 단백질과 히알루론산 등의 산성 무코다당이라 불리는 다당류로 이루어져 있다. 세포외 간질은 피부의 탄력성, 신진대사, 생기 등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고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산성 무코다당은, 대량의 물을 이의 분자내에 유지하여 겔상을 나타내고, 이 겔내의 물이 영양분, 대사산물, 호르몬 등을 혈관으로부터 조직 중의 세포까지 침투시키는 작용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세포외 간질에 있어서의 산성 무코다당의 생산이 촉진되면, 피부가 싱싱하게 될 뿐만 아니라, 피부의 신진 대사가 촉진되어, 피부 노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섬유성 단백질은, 조직의 형태를 유지하거나, 피부에 탄성을 부여하는 등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세포외 간질에 있어서의 섬유성 단백질의 생산이 촉진되면, 피부에 탄력을 주게 되어, 주름 또는 잔주름이 억제된다. 이러한 세포외 간질을 생산하는 섬유아세포의 활성이 내적, 외적인 노화 요인, 특히, UV에 의해 저하되게 되면 콜라겐 생합성이 감소하고 변성된 엘라스틴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세포외 간질을 분해하는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나아제(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특히, 콜라겐 I 은 피부 진피의 주성분으로 MMP-1 에 의해 분해된다. MMP-1의 증가로 콜라겐 등의 간질의 분해가 증가되고 진피 내 쏠라 스카(solar scar)가 발생하게 되고, 표피-진피 경계부가 파괴되어 유해 성분이 유입되고 진피 분해가 가속화된다. 결국에는 피부의 탄력성이나 싱싱함, 생기를 잃게 되고, 주름, 잔주름, 피부의 거칠어짐이 발생하게 되어 피부 노화를 초래하는 하나의 원인이 된다. (Funtional Cosmetology, society of cosmetic chemists of Japan; Herrmann G. et al,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107. N.3, p92, 1996; Brenneisen P. et al, Photochemistry & Photobiology , 64, N.5, p649 ,1996) 위와 같이 주름 생성 요인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콜라겐 등의 세포외 간질의 합성량을 증가시키고 메트릭스 메탈로프로테나아제(MMPs)를 저해함으로서 생기가 있는 젊은 피부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이 피부를 주름이 없는 생생한 피부를 유지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세포외 간질을 생합성하는 섬유아세포의 증식과 대사를 원활히 함은 물론, 생합성을 촉진하는 성분을 발견하고, 세포외 간질 성분 분해 효소(MMPs)를 억제하는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주름, 잔주름, 피부의 거칠어짐 등으로 나타나는 피부 노화를 근본적으로 예방하고, 안정성, 안전성에도 문제가 없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노르베르게닌을 분리정제하기 위해 주원료로 사용된 백량금(Ardisia crenata)은 쌍떡잎식물 앵초목 자금우과의 식물로 섬 골짜기나 숲의 그늘에서 자라는 높이 약 1m의 상록관목이다.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이며 짙은 초록빛으로서 윤이 나고 가장자리의 둔한 톱니 사이에는 선모(腺毛)가 있다. 꽃은 양성화로서 6∼8월에 피는데, 흰 바탕에 검은 점이 있으며 가지와 줄기 끝에 산형꽃차례로 달린다. 열매는 핵과로서 둥글고 9월에 붉게 익으며 다음해 새꽃이 필 때까지 달리며 한국(홍도·제주도)·일본·타이완·중국·인도에 분포한다.
백량금은 동의치료에서 뿌리를 독풀이 약으로 달여 쓰였으며 민간에서는 기생충 약으로도 사용되어져 왔다. 함유되어져 있는 성분으로는 트리터페노이드 사포닌류가 알려져 있으며(Jia et al, Phytochemistry , 37(5), pp. 1389-1396, 1994; Jia et al, Tetrahedron 50(41), pp 11853-11864, 1994) 또한 지방산류와 스테롤(sterol)류의 화합물도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Han et al, Zhonggou Zhong Yao Za Zhi, 14(12), pp 737-739, 1989)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한 결과 피부에 안전성이 우수하며 화장료 배합 시 보존안정화가 쉽고 실질적으로 우수한 항노화 효과가 있는 노르베르게닌을 제조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노화 활성을 갖는 노르베르게닌을 포함하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항노화 활성을 갖는 하기 구조식 1로 표현되는 노르베르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6032228412-pat00001
(1)
상기 약학 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제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노화 활성을 갖는 노르베르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스킨, 로션, 밀크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팩의 제형을 포함한다.
상기한 노르베르게닌은 백량금(Ardisia crenata), 자금우(Ardisia japonica), 예덕나무(Mallotus japonicus), 노루풀(Astilbe chinensis Maxim) 또는 암백채(Bergenia crassifolia)를 건조하여 물, 메탄올, 에탄올 등의 C1 내지 C4의 저급알 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50 내지 100℃, 2 내지 5 시간 추출, 분리하여 추출물을 수득한 후, HPLC를 실시하여 노르베르게닌을 수득하거나, 80 내지 100℃에서 5 내지 10 시간 추출하여 농축한 후, 재결정하여 노르베르게닌을 수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노르베르게닌은, 건조된 백량금(Ardisia crenata), 자금우(Ardisia japonica), 예덕나무(Mallotus japonicus), 노루풀(Astilbe chinensis Maxim) 또는 암백채(Bergenia crassifolia), 바람직하게는 백량금 전초를 건조하여 무게(㎏)의 1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배의 물, 메탄올, 에탄올 등의 C1 내지 C4의 저급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로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에서 30분 내지 20 시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시간 추출, 분리하여 추출물을 수득한 후, HPLC를 실시하여 노르베르게닌을 수득하거나, 5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에서 1시간 내지 20시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시간 추출하여 농축한 후, 재결정하여 노르베르게닌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노르베르게닌은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노르베르게닌을 함유하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은 피부의 염증 및 자극을 완화시키는 피부외용제로서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제 형태의 약학조성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노르베르게닌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노르베르게닌은 1일 0.0001 내지 100 ㎎/㎏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노르베르게닌은 노화를 완화시키는 화장품 및 세안제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화장수, 스킨, 로션, 밀크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팩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 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 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 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 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 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 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 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 중량 백분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3 % 중량 백분율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1. HPLC 를 이용한 분리예 (1)
건조된 백량금 전초 500 g을 메탄올 5 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를 사용하여 70℃에서 3시간 가온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회전증발기에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여 15.1 g 의 추출물을 얻었다. 얻어진 고체상의 추출물 150mg 을 메탄올 5 ml 에 용해하여 표 1의 조건에서 Prep-HPLC를 실시하여 분자량: 314.2, 융용점: 277-278℃인 노르베르게닌(Norbergenin) 25 mg(추출물 대비 16.7%)을 수득하였으며 그 구조분석을 위해 측정한 1H-NMR, 13C-NMR 화학 이동(chemical shift) 값 및 IR 흡수파장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컬럼(column) 캡셀(Capcell) Pak C18 20x250mm시세이도(Shiseido)
이동상(Mobile phase) 18% 메탄올-물(Methanol-Water)
유속(Flow rate) 18ml/min
탐지기(Detector) UV 280nm
주사 용량(Injection volume) 1ml
1H-NMR(DMSO-d6) 6.95(s,1H), 4.95(d,1H), 3.92(t,1H), 3.83(d,1H),3.63(t,1H), 3.55(m,1H),3.42(m,1H), 3.19(t,1H)
13C-NMR(DMSO-d6) 163.7, 145.9, 142.4, 139.7, 116.1, 112.6, 109.2, 81.6, 79.8, 73.5, 72.2, 70.8, 61.2
IR(cm-1) 3297, 1693, 1617, 1309, 1191, 1056
1-2. 재결정법을 이용한 분리예 (1)
건조된 백량금 전초 500g을 증류수 2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를 사용하여 90-95℃에서 8시간 가온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회전증발기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500g의 농축액으로 제조하였다. 농축액을 상온에서 3일 동안 방치시킨 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여액을 100g 까지 농축시켰다. 다시 1일간 상온에 방치한 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건조시킨 다음 에탄올에서 재결정을 2회 실시하여 노르베르게닌 1.87g 을 얻었다. 분석 결과는 실시예 1-1과 일치하였다.
참고예 1. 제형예 1 및 비교제형예 1의 제조
노르베르게닌을 함유한 제형예 1 및 비교제형예 1을 하기 표 3에 기재된 배합성분으로 제조하여 하기 실험예 4 및 실험예 5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비교제형예 1은 노르베르게닌 대신 동량의 글리세린을 추가하여 첨가하였다.
원 료 제형예1 비교제형예1
실시예 1의 노르베르게닌 0.1 -
글리세린 5.00 5.10
트리에탄올아민 0.50 0.50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1.00 1.00
유동파라핀 5.00 5.00
스쿠알란 5.00 5.00
마카다미아너트 오일 15.00 15.00
폴리솔베이트 60 1.00 1.0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0 1.00
카르복실비닐포리머 0.20 0.20
방부제 미량 미량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100.00 100.00
참고예 2. 제형예 2 및 비교제형예 2의 제조
노르베르게닌을 함유한 제형예 2 및 비교제형예 2를 하기 표 4에 기재된 배합성분으로 제조하여 하기 실험예 4 및 실험예 5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비교제형예 2는 노르베르게닌 대신 동량의 시토스테롤을 추가하여 첨가하였다.
번호 원 료 제형예 2 비교제형예 2
1 실시예 1의 노르베르게닌 0.1 -
2 시토 스테롤 1.70 1.80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0 1.50
4 세라마이드 0.7 0.7
5 세테아레스-4 1.2 1.2
6 콜레스테롤 1.5 1.5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0.4
8 농글리세린 5.0 5.0
9 선플라우어오일 15.0 15.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0.2
11 산탄검 0.2 0.2
12 방부제 미량 미량
13 향료 미량 미량
14 정제수 잔량 잔량
100.00 100.00
실험예 1. 세포 독성에 관한 실험
세포 독성 및 세포 생존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내에존재하는 숙신산탈수소효소(succinate dehydrogenase or mitochondrial dehydrogenase)에 의해서 수용성이고 노란색의 염인 MTT(3-[4,5-dimethylthiazole -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가 수불용성인 파란색의 포르마잔(formazan) 유도체로 환원되는 원리를 이용한 MTT 분석법을 실시하였다.
MTT 분석(assay)은 살아있는 세포의 수를 측정함으로서 세포 증식이나 독성에 많이 사용되는 실험법으로, 생성된 포르마잔(formazan) 유도체는 용해제(보통 dimethylsulfoxide 사용)를 넣고 용해시킨 후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인간 섬유아세포 세포주(human fibroblasts cell line; ATCC, CRL-2310)를 1x104 cells/ml의 농도로 하여 24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접종하였다. 배지는 소혈청 10%를 함유한 DMEM(Dubelcco's Modified Eagle Medium, BRL, USA)을 사용하였다. 접종 후 24시간 후 소혈청 2%를 함유한 DMEM으로 교체하고, 시험 시료를 50 ㎍/㎖의 농도로 10 ㎕ 첨가 한 후 3일 동안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상등액을 제거 하고 다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200㎕씩을 가하여 세척하고 MTT 용액을 웰(well)당 1.0 ㎖씩 가한 후 4시간 후에 MTT를 제거하고 DMSO를 웰(well)당 1.0 ㎖씩 가한 후 하룻밤 37℃에서 인큐베이션 후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 하였고, 그 실험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노르베르게닌의 단층 세포배양에서의 세포독성
시료 농도(ug/ml) 세포 생존율(%)
실시예 1의 노르베르게닌 0.1 110.5
0.5 125.7
1 107.9
10 100.0
50 101.9
상기 실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용한 50ug/ml 농도까지 세포독성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노르베르게닌의 타입(type) Ⅰ 콜라겐 생합성량
상기 노르베르게닌에 대하여 콜라겐 생합성량을 측정하였다. 섬유아 세포에서 배지로 배출되는 콜라겐 합성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프로콜라겐 타입I C-펩타이드 ELA 키트(procollagen type I C-peptide ELA kit; TaKaRa사, cat.# MK101)를 사용하였다. 키트(KIT)를 사용하기 전 인간 섬유아세포 세포주(human fibroblasts cell line; ATCC, CRL-2310)를 1x104 cells/ml의 농도로 하여 24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접종하였다. 배지는 소혈청 10%를 함유한 DMEM(Dubelcco'S Modified Eagle Medium, BRL, USA)을 사용하였다. 접종 후 24시간 후 시험 시료를 50㎍/㎖의 농도로 10㎕ 첨가하고 24시간 동안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한 배지를 E-튜브(E-tube)로 옮기고 15,000rpm에서 30초 동안 원심분리 하였다. 이 배지 상층액을 시험 시료로 하여 프로콜라겐 타입I C-펩타이드 ELA 키트(procollagen type I C-peptide ELA kit, MK101)에 의해 실시하였다. 실시 후 흡광도는 450nm에서 측정하였다. 이때 비타민 C를 첨가한 것을 양성 대조군으로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여 상대적인 흡광도의 차이로부터 콜라겐 생성량을 비교하였다. 대조군으로 사용된 비타민 C는 섬유아 세포의 활성을 도와 콜라겐 합성을 촉진시켜주는 물질이다. 그 실험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노르베르게닌의 타입(type) Ⅰ 콜라겐 생합성량
실시예 농도(ug/ml) PIP(ng/㎖) 합성량 증가율(%)
노르베르게닌 1.0 287 140.7
10 326 159.8
20 389 190.7
40 468 229.4
vitamin C 10 323 158.3
50 391 191.7
100 436 213.7
무처리군 204 100
실험예 3. 노르베르게닌의 MMP -1 발현 저해량 측정
상기 노르베르게닌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MMP-1 발현 저해량을 측정하였다. 노르베르게닌에 의한 MMP-1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RT-PCR(Reverse Transcriptase -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실시하였다. 사람 정상 섬유아 세포 (ATCC CCL-110) 를 100mm 디쉬에 1x106의 밀도로 10% 소혈청(Gibco/BRL)을 포함하는 DMEM 배지(Gibco/BRL)로 37℃, 5% CO2 배양기에서 하루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혈청이 첨가되지 않은 배지로 교환해 주고 6~24 시간 세포를 안정화시켰다. 안정화된 세포에 백량금 추출물을 첨가하고 4시간 후 UV A 4J/㎠를 조사하여 MMP-1 발현을 증가시킨 후 24시간동안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로부터 트리졸 시약(Trizol reagent; Gibco/BRL)을 이용한 구아니디움 티오시아네이트-페놀-클로로포름 추출 방법(Guanidium thiocyanate-phenol-chloroform extraction)으로 토탈 RNA를 분리하였다. RT-PCR을 하기 위해 위의 방법으로 얻어진 RNA에 RNA 분해 효소가 없는 DNA 분해 효소 (RNase-free DNase, Promega)를 37℃에서 30분 동안 처리하여 DNA의 오염을 제거하였으며 페놀/클로로포름 추출법과 에탄올 침전으로 순수 RNA를 얻었다. 1ug의 RNA를 올 인 원 RT/PCR 키트(All in one RT/PCR kit, Superbio)를 사용하여 RT-PCR를 실시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베타-엑틴(세포안에 있는 gene 이름임)을 사용하였으며 RT-PCR에 사용된 프라이머(primer)는 표 7과 같다. 반응 조건은 MMP-1은 95℃ 1분, 48℃ 1분, 72℃ 1분, 29사이클이며, 베타 엑틴은 95℃ 1분, 62℃ 1분, 72℃ 1분, 22사이클이며, PCR 생산물은 1.5%(w/v) 아가로즈(agarose, Sigma) 젤에 전기영동하여 젤 이미지 분석기(Biorad)로 정량하였다. 대조군으로 사용된 EGCG 는 MMP-1 발현을 저해하는 물질로 사용되고 있다. 발현양의 결과는 표 8에 나타내었다.
명 칭 정 위 서열번호 프라이머
MMP-1 sense 1 5' TGGGAGCAAACACATCTGA 3'
antisense 2 5' ATCACTTCTCCCCGAATCGT 3'
베타-엑틴 sense 3 5' GAGACCTTCAACACCCCAGCC 3'
antisense 4 5' GGCCATCTCTTGCTCGAAGTC 3'
노르베르게닌의 MMP-1 발현량
시 료 농도(ug/ml) MMP-1 발현량 (%)
노르베르게닌 1.0 84.1
5.0 75.6
10 55.2
20 48.3
EGCG 1.0 91.3
10 78.6
20 72.9
50 69.2
무처리군 100
실험예 4. 피부 상태 개선효과 확인 실험
참고예 1의 제형예 1와 비교예 1의 영양크림에 대한 피부도포시 피부상태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임상 확인 실험을 하였다. 36~69세의 건강한 여성층으로서 30명씩 2그룹으로 나누어 안면 왼쪽 부분에는 참고예 1의 제형예 1의 영양크림을, 안면 오른쪽 부분에는 비교예 1의 영양크림을 매일 아침, 저녁 세안 후 피부에 1일 2회 4주간 도포한 후 피부상태 개선을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상태 개선 정도를 측정하였다. 피부의 탄력, 늘어짐에 대한 개선 효과 및 주름, 잔주름에 대한 개선 효과에 관해서 다음의 평점으로 판정하여, 30명의 평균점으로 평가하였으며(표 9 및 표 10 참조), 그 실험 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피부의 탄력, 늘어짐에 대한 개선 효과의 평점
대단히 개선되었다 3점
개선되었다 2점
약간 개선되었다 1점
개선효과가 없다 0점
악화되었다 -1점
주름, 잔주름에 대한 개선 효과의 평점
대단히 개선되었다 3점
개선되었다 2점
약간 개선되었다 1점
개선효과가 없다 0점
악화되었다 -1점
시료 (가) 피부의 탄력, 늘어짐 (나) 주름, 잔주름
제형예 1 72 63
비교제형예 1 34 27
결과 제형예 1을 사용한 군에서는 (가) 와 (나) 양쪽 모두에서 비교제형예를 사용한 군과 비교하여 훨씬 뛰어난 피부 개선 효과가 확인되었다.
실험예 5. 주름 깊이 감소에 의한 피부 탄력도 개선 효과 측정
피부주름에 대한 노르베르게닌의 영향을 실험하기 위해 제형예 2와 비교제형예 2를 여성 20명씩 2그룹으로 나누어 왼쪽 눈 가장자리에 하루에 세안 후 아침, 저녁 두 번 적용하였다. 비교제형예 2의 에센스는 오른쪽 눈 가장자리에 처리하여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적용 15일, 30일 후 피부 표면의 피부 주름 깊이를 쿠토미터(Cutometer) SEM 474에 의해 측정하였다. 쿠토미터(Cutometer) SEM 474에 의한 피부 탄력도 측정은 주름의 깊이를 측정하는 것이다. 탄력도 값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한 값을 %로 나타내었으며, 피검자 20명의 평균값을 표 12에 나타내었다.
시 료 피부 탄력도(주름깊이 감소) 증가효과(%)
0일 15일 30일
제형예 1 0 7.4 26.8
비교제형예 1 0 0.4 0.9
제제예 1. 친수성 연고제의 제조
원 료 중량%
실시예 1의 노르베르게닌 9.00
백색 바세린 36.00
스테아릴 알콜 31.00
에칠(또는 메칠)p-옥시벤조에이트 미량
프로필렌 글리콜 19.00
라우릴 황산 나트륨 2.40
프로필 p-옥시벤조에이트 미량
100.00
제제예 2. 유연화장수( 스킨 )의 제조
원 료 중량%
실시예 1의 노르베르게닌 0.1
1,3-부틸렌글리콜 2.00
글리세린 3.00
올레일알코올 2.00
폴리솔베이트 20 1.00
에탄올 6.00
방부제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100.00
제제예 3. 밀크로션의 제조
원 료 중량%
실시예 1의 노르베르게닌 0.1
1,3-부틸렌글리콜 4.00
글리세린 3.00
올레일알코올 0.05
폴리솔베이트 20 1.00
방부제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100.00
제제예 4. 영양 크림의 제조
원 료 중량%
실시예 1의 노르베르게닌 0.1
글리세린 5.00
트리에탄올아민 0.50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1.00
유동파라핀 5.00
스쿠알란 5.00
마카다미아너트 오일 15.00
폴리솔베이트 60 1.0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0
카르복실비닐포리머 0.20
방부제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100.00
제제예 5. 에센스의 제조
번호 원 료 중량%
1 노르베르게닌 0.1
2 시토 스테롤 1.70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0
4 세라마이드 0.7
5 세테아레스-4 1.2
6 콜레스테롤 1.5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8 농글리세린 5.0
9 선플라우어오일 15.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1 산탄검 0.2
12 방부제 미량
13 향료 미량
14 정제수 잔량
100.0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콜라게네이즈 발현억제 효과 및 콜라겐 합성 촉진효과를 나타냄으로서 항노화 활성을 갖는 노르베르게닌을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노르베르게닌을 함유하는 주름 생성 억제 및 개선 활성을 갖는 피부외용제 또는 화장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백량금(Ardisia crenata)으로부터 분리된 노르베르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60041236A 2006-05-08 2006-05-08 항노화 활성을 갖는 노르베르게닌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조성물 KR100845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236A KR100845970B1 (ko) 2006-05-08 2006-05-08 항노화 활성을 갖는 노르베르게닌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236A KR100845970B1 (ko) 2006-05-08 2006-05-08 항노화 활성을 갖는 노르베르게닌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8786A KR20070108786A (ko) 2007-11-13
KR100845970B1 true KR100845970B1 (ko) 2008-07-11

Family

ID=39063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236A KR100845970B1 (ko) 2006-05-08 2006-05-08 항노화 활성을 갖는 노르베르게닌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59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3866A (ko) * 2004-01-12 2005-07-1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베르게닌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3866A (ko) * 2004-01-12 2005-07-1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베르게닌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8786A (ko) 2007-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8193B1 (ko) 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조성물
KR100755427B1 (ko)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갖는 녹차씨 오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0773856B1 (ko) 나한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라이터펜계화합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080026924A (ko)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0805386B1 (ko)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0715485B1 (ko) 피부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수련 뿌리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94614A (ko) 흑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00356A (ko)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까실쑥부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01578B1 (ko) 산거울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알파-비니페린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236212B1 (ko) 하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96294B1 (ko)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녹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1094306B1 (ko) 타이모퀴논류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191724B1 (ko) 대청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090097483A (ko) 독성을 경감시킨 반묘 함유 복합 생약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반증의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100865071B1 (ko)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0755425B1 (ko) 항염 및 항자극 활성을 갖는 노르베르게닌을 함유하는피부외용 조성물
KR100888753B1 (ko)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0706285B1 (ko) 주름 생성 억제 및 개선 활성을 갖는 백량금 추출물을함유하는 피부외용 조성물
JP5926506B2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の製造方法、mmp−1阻害剤の製造方法及び皮膚外用組成物の製造方法
KR20200012487A (ko) 수선화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0975819B1 (ko)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0―메틸호노키올을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조성물
KR100714172B1 (ko) 주름 생성 억제 및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042690B1 (ko) 참나도히초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0829831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