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802B1 -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802B1
KR102070802B1 KR1020180086045A KR20180086045A KR102070802B1 KR 102070802 B1 KR102070802 B1 KR 102070802B1 KR 1020180086045 A KR1020180086045 A KR 1020180086045A KR 20180086045 A KR20180086045 A KR 20180086045A KR 102070802 B1 KR102070802 B1 KR 102070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group
extract
present
m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3544A (ko
Inventor
채성욱
임아랑
김기모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90013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r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Zo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이 세포 독성이 거의 없으며, 피부 보습을 증진시킬 수 있는 히알루론산의 함량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자외선에 의해 증가된 경피수분손실량을 감소시키고, 피부 보습량을 증가시키며, 피부 두께를 감소시키고, MMP-1 및 MMP-9 단백질의 발현량을 감소시키며, 주름개선 관련 단백질의 발현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 or skin moisturizing comprising Gryllus bimaculatus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쌍별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의 환경과 항상 접하고 있는 기관으로 주로 외부의 물리적 손상 및 화학물질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이 피부로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며, 수분 손실을 막는 보호장벽 역할을 한다. 피부의 구조를 보면 표피, 진피, 피하지방의 3개 층으로 구성되고 표피는 3개 층 중 가장 얇은 층으로 피부의 보습 및 보호를 담당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특히 표피의 각질층에 존재하는 수분에 의하여 피부가 탄력 있고 부드럽게 되는데, 각질층의 탄력이 유지되려면 10% 이상의 수분함유가 필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O. K. Jacobi, Proc. Sci. Sec. Toilet Goods Assoc. 1959, 31, 22).
최근 들어, 환경오염 등의 이유로 강한 자외선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아졌고, 이에 의한 피부의 수분 손실이 증가하면서 피부 노화가 가속화되고, 피부의 손상에 의한 관련 질병의 발병률이 증가함에 따라,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의 보습 유지 및 주름개선 효과를 오랫동안 지속시켜주는 조성물에 대한 요구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편, 쌍별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는 메뚜기목 귀뚜라미과이며, 잡식성으로 곡물, 동물성 먹이, 농업부산물 등 무엇이든지 잘 먹으며 생육기간이 90일 정도로 짧은 편이라 알의 월동이 필요하지 않아 연중 실내 대량 사육이 가능하다. 약충 시기에는 주행성이고 성충 시기에는 야행으로 알려져 있으며, 알은 투명한 백색으로 젖은 성토나 모래흙, 톱밥, 부엽토 등 수분이 많은 부드러운 재질에서 산란한다. 산란은 긴 산란관을 이용하여 산란 배지 깊숙하게 알을 한 개씩 낳는데, 일생동안 100~200개 이상의 알을 낳는다, 알은 일반적인 사육온도에서 13일 정도 발육하면 부화를 시작한다. 약층으로 부화되면 투명한 흰색에서 점차 검은 갈색으로 변하면서 하루 정도 지나면 모두 검은 색으로 변한다. 이때부터 먹이를 먹게 되고 2개월 정도 탈피하면서 발육하여 성충이 된다. 탈피가 모두 끝나 성충으로 우화하면 약 1개월 동안 생존하면서 짝짓기를 위한 구애행동 및 산란을 계속한다.
지금까지 알려진 쌍별귀뚜라미 관련 기술의 일례로는 한국생약학회지(Kor. J. Pharmacogn 35(2): 175~178, 2004)에 '귀뚜라미의 물 및 메탄올 추출물이 알코올 대사에 미치는 효과'가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0599460에 간독성에 대한 예방 효과를 갖는 귀뚜라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유효성분이 세포 외 기질과 기저막의 분해에 관여하는 콜라겐 분해 효소(MMPs; matrix metalloproteinases)인 MMP-1 단백질의 발현량을 감소시키는 것과, 피부 보습 기능과 피부 장벽 손상을 방지하는 히알루론산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것을 확인하였고,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경피수분손실량 감소, 피부보습량 증가, 피부두께 감소, MMP-1 및 MMP-9 단백질의 발현량 및 주름개선 관련 단백질의 발현량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세포 독성이 거의 없으며, 피부 주름 개선과 피부 보습에 효과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및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품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농도별(10, 50, 100, 200 및 250㎍/㎖) 처리에 따른 HaCaT 세포의 세포생존률(%)을 확인한 MTS 어세이 결과이다.
도 2는 UVB 조사에 따른 세포 손상에 대하여,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HaCaT 세포의 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한 것으로, HaCaT 세포(사람 각질형성 세포주)에 24시간 동안 각각의 시료를 농도별(10, 50, 100 및 200㎍/㎖)로 처리하고, 자외선(UV Crosslinker, UltR5 Lum)을 30분간 조사한 후, MTS 어세이를 수행한 결과이다. #은 UVB 조사군의 세포 생존률이 Control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했다는 것으로, p<0.05임을 의미하고, *은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처리하고 UVB를 조사한 실험군의 세포 생존률이 UVB 조사군의 세포 생존률에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5임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 처리에 따른 MMP-1의 발현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은 UVB 조사군의 MMP-1 발현량이 Control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했다는 것으로, p<0.05임을 의미하고, *은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처리하고 UVB를 조사한 실험군의 MMP-1 발현량이 UVB 조사군의 MMP-1 발현량에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5임을 의미한다.
도 4는 UV 조사 및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히알루론산(HA) 함량 변화를 분석한 결과이다. Control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는 정상군이고, UVB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고, 자외선만을 조사한 대조군이다. #은 UVB 조사군의 히알루론산 함량이 Control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했다는 것으로, p<0.05임을 의미하고, *은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처리하고 UVB를 조사한 실험군의 히알루론산 함량이 UVB 조사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5임을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 투여군의 경피수분손실량(TEWL)을 확인한 결과이다. Nor은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정상군이고, Veh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피수분손실을 유도한 군이고, SBG는 자외선 조사(UVB) 및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투여한 군이다. #은 정상군에 비해 자외선 조사군의 경피수분손실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했다는 것으로, p<0.05이고, *은 자외선 조사군에 비해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 투여군의 경피수분손실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5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 투여군의 피부 수분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Nor은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정상군이고, Veh는 자외선 조사군이며, SBG는 자외선 조사 및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투여한 군이다. ####은 정상군에 비해 자외선 조사군의 피부 수분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했다는 것으로, p<0.0001이고, **은 자외선 조사군에 비해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 투여군의 피부 수분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1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 투여군의 피부 두께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Nor은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정상군이고, Veh는 자외선을 조사한 군이고, SBG는 자외선 조사 및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투여한 군이다. ####은 정상군에 비해 자외선 조사군의 피부두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했다는 것으로, p<0.0001이고, ****은 자외선 조사군에 비해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 투여군의 피부 두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001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투여한 무모 생쥐군으로부터 채취한 조직의 H&E 염색을 통한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Normal은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정상군이고, Vehicle은 자외선을 조사한 군이고, SBG는 자외선 조사 및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투여한 군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투여한 무모 생쥐군으로부터 채취한 조직의 Masson's trichrome 염색을 통한 콜라겐 조직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Normal은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정상군이고, Vehicle은 자외선을 조사한 군이고, SBG는 자외선 조사 및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투여한 군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 투여에 따른 MMP-1 및 MMP-9 단백질의 발현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Nor은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정상군이고, Veh는 자외선을 조사한 군이고, SBG는 자외선 조사(UVB) 및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투여한 군이다. #은 정상군에 비해 자외선 조사군의 MMP-1 및 MMP-9 단백질 발현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했다는 것으로, p<0.05이고, *은 자외선 조사군에 비해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 투여군의 MMP-1 및 MMP-9 단백질의 발현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5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 투여에 따른 pERK, pMEK 및 pp38 단백질의 발현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1) 쌍별귀뚜라미 건조 분말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 (1)에서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70%(v/v) 에탄올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추출방법은 여과법,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당 업계에 공지된 모든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건조된 쌍별귀뚜라미 중량의 1~2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5~15배 첨가하는 것이다. 추출온도는 4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0.5~10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0.5~5시간이 더욱 바람직하고, 1시간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 감압 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 건조 또는 동결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주름 생성은 콜라겐의 감소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며, 상기 콜라겐의 감소는 과도한 산화 스트레스나 자외선 조사가 원인일 수 있다.
상기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은 MMP-1 또는 MMP-9 단백질의 발현량을 감소시키며, 히알루론산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 특히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이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첨가되는 성분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성분들 이외에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희석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또는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는 주사 또는 피부에 도포하는 방법으로 투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실시예 1.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제조
쌍별귀뚜라미 건조 분말에 70%(v/v) 에탄올을 사용하여 3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였다. 70%(v/v) 에탄올 추출액을 수득하고 감압증류하여 쌍별귀뚜라미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세포 생존율 분석
HaCaT 세포는 37℃, 5%의 CO2 조건으로, 10%의 FBS(Fetal bovine serum)과 1%의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S, Gibco)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한 HaCaT 세포(사람 각질형성 세포주)에 24시간 동안 각각의 시료를 농도별로 희석하여 처리하고 MTS 어세이(CellTiter Aque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 kit 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ynyl)-2H-tetrazolium, inner salt; MTS, Promega Co. Madison, WI, USA) 기법으로 세포 생존능을 490nm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로 측정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처리하여도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을 기준으로 세포 생존율(%)의 변화가 거의 없어,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은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자외선 조사에 따른 세포 보호 효과 확인
HaCaT 세포에 24시간 동안 각각의 시료를 농도별로 희석하여 처리하고 자외선(UV Crosslinker, Ultra Lum)을 30분간 조사한 후, MTS 어세이(CellTiter Aque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 kit, 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ynyl)-2H-tetrazolium, inner salt; MTS, Promega Co. Madison, WI, USA) 기법으로 세포 생존능을 490nm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 로 측정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개시한 바와 같이 UVB 조사에 의해 세포생존률(%)이 약 50% 정도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UV 조사 후, 본 발명의 200㎍/㎖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UVB 조사만 한 것에 비해 세포생존률(%)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이 200㎍/㎖ 이상의 농도에서는 세포보호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실시예 4. MMP -1 단백질의 발현량 변화 분석
HaCaT 세포에 24시간 동안 각각의 시료를 처리하고 자외선(UV Crosslinker, Ultra Lum)을 20mJ/cm2로 조사한 후, MMP-1 ELISA kit(R&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를 이용하여 MMP-1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상세하게는 96웰 플레이트에 HaCaT 세포를 도말한 후,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각각 농도별(10, 50, 100 및 200㎍/㎖)로 처리하였다. 이후, 자외선(UV) 조사하고, 배양물의 상등액을 수집하고 13,000rpm으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이후 상등액을 취해 ELISA 키트를 이용한 형광 어세이를 수행하여 MMP-1의 발현량을 정량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개시한 바와 같이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정상군에 비해, 자외선을 조사한 군에서 현저하게 MMP-1의 발현량이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고,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처리군에서 MMP-1의 발현량이 자외선 조사군에 비해 현저하게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 HA)의 함량 변화 분석
상기 HaCaT 세포에 24시간 동안 각각의 시료를 처리하고 자외선(UV Crosslinker, Ultra Lum)을 20mJ/cm2로 30분 동안 조사한 후, 배양물의 상등액을 수집하여 히알루론산 ELISA 키트(R&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를 이용하여 HA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반응물은 흡광 어세이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개시한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에 의해, 히알루론산의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처리한 각각의 실험군에서는 히알루론산의 함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동물모델을 이용한 피부보습 및 주름 개선 효과 확인
(1) 실험동물 및 시료투여
무모생쥐는 6주령의 수컷 무모쥐(male HR-1, hairless mice, Japan SLC, Inc.)를 중앙실험동물로부터 구입하여 1주 동안 적응시킨 후 사용하였다. 적응기간 중 일반 상태를 관찰하여 건강한 상태의 동물을 시험에 사용하였다. 사육환경은 온도 23±3℃, 습도 50±5%, 명암주기 12시간 (07:00-19:00/조명시간)으로 유지하였다. 시험기간 중 실험동물은 군당 6마리로 사육하였고 사료는 마우스 전용사료 5L79 (Charles river, USA)를 자유급이 하였으며, 음수는 자외선으로 소독한 상수도수를 자유 급이하였다.
시료투여는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정상군(Nor), 자외선 처리군(UVB+Veh), 자외선 조사 및 쌍별귀뚜라미 추출물(UVB+SBG) 투여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하였다. 시료투여는 마우스 존대를 이용하여 경구투여를 실시하였다. 투여기간은 총 12주로 주 5일 동안 투여하였다.
(2) 자외선조사
자외선조사는 대조군을 제외한 실험군에 12주 동안 주 3회 실시하였고, 자외선은 UVB 램프(Mineralight UV Display lamp, UVP, USA)를 사용하였다. 1~4주는 60mJ/cm2, 5~8주는 90mJ/cm2, 9~12주는 120mJ/cm2의 크기로, 12주 동안 자외선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량은 광측정기(Delta OHM, Italy)를 이용하여 광량을 측정한 후 조사시간으로 조절하였다.
(3) 경피수분손실량(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 평가
경피수분손실량 수치는 피부로부터 발산되는 수분량으로서, 수치가 높을수록 피부의 보습 기능이 떨어져 있음을 의미하며, 피부 고유의 장벽 기능이 손상되었음을 나타낸다.
경피수분손실량은 항온, 항습 조건(23℃, 상대습도 50%)에서 투와미터(Tewameter, Courage & Khazaka, Germany) 장비를 이용하여 피부에서 증발하는 수분의 양을 면적과 시간에 따라 계산하여, 증발하는 수분의 양(g/m2/hr)을 보습 전자센서로 읽고, 이를 수치화하여 피부의 보습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개시한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에 의해 피부 장벽이 손상되어 피부 보습 기능이 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쌍별귀뚜라미 투여군의 경우, 자외선에 의해 유발된 피부 수분 손실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방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4) 피부수분량 측정
피부수분량은 항온, 항습 조건(23℃, 상대습도 50%)에서 코니오미터(Corneometer, Courage & Khazaka, Germany) 장비를 이용하여 피부에 함유된 수분을 측정하였다. 피부의 표피 내에 존재하는 수분의 양을 센서를 이용하여 수분의 이온 정도를 측정하고, 이를 수치화하여 수분의 양을 계산함으로써 보습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개시한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군(Veh)은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정상군(Nor)에 비해 피부 수분량이 감소하였으며, 쌍별귀뚜라미 추출물 투여군(SBG)은 자외선 조사군에 비해 피부 수분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은 피부 보습효과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5) 피부의 조직학적 관찰
주름억제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 실험군의 피부조직을 적출하여 10% 중성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한 후 수세, 탈수, 투명, 침투 과정을 거친 다음 파라핀으로 포매하고 4μm 두께로 절편을 만든 후 H&E(Hematoxylin & Eosin) 염색 및 Masson's trichome 염색을 실시하였다. H&E 염색을 실시한 조직의 케라틴층에서 표피세포 기저막(epidermal basement membrane)까지의 두께를 현미경에 장착된 자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개시한 바와 같이,자외선 조사에 의해 증가된 표피 두께가 본 발명의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 표피 두께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H&E 염색 결과로부터 자외선 조사군은 정상군(Nor)에 비해서 각질층이 일어났으며, 표피두께 또한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쌍별귀뚜라미 추출물(SBG) 투여군은 자외선 조사군에 비해서 각질층이 완화되었고, 표피두께 또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도 8), Masson's trichome 염색 결과인 도 9로부터 자외선에 의해서 콜라겐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고, 쌍별귀뚜라미 투여군에서는 콜라겐의 양이 회복된 것을 확인하였다.
(6) MMP-1 또는 MMP-9 단백질의 발현량 변화 확인
MMP-1 또는 MMP-9 단백질은 피부노화와 연관있는 단백질로 자외선과 같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므로 본 실험에서는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유도된 MMP-1 또는 MMP-9의 억제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쌍별귀뚜라미 추출물(SBG)을 경구투여한 후 피부조직을 적출하여, Quantikine ELISA pro MMP-1 또는 MMP-9 kit(R&D systems, Minneapolis, MN, USA)를 사용하여 MMP-1 또는 MMP-9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자외선 조사에 의해 MMP-1과 MMP-9의 발현량 모두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세포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 발현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0).
(7) 전기영동 및 Western blotting
피부조직 20~30mg에 단백질을 추출하는 용액을 첨가하여 분쇄하여 단백질을 얻어내어 정량하고 같은 양의 단백질을 전기영동하여 PVDF 멤브레인으로 옮긴 후 항체와 반응시켜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도 11에 개시한 바와 같이, 피부에서 주름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로 알려진 pERK, pMEK 및 pp38 단백질의 발현량이 자외선 조사군에서는 조사하지 않은 군에 비하여 pERK, pMEK 및 pp38 단백질의 발현량이 증가하였고, 쌍별귀뚜라미 추출물(SBG) 투여군에서는 pERK, pMEK 및 pp38 단백질의 발현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통계학적 방법]
본 발명에서 얻은 결과치는 one-way ANOVA와 Tukey's 다중비교분석를 이용하여 대조군과 실험군 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Claims (5)

  1. C1~C4의 저급알코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의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은 MMP-1 또는 MMP-9 단백질의 발현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은 히알루론산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C1~C4의 저급알코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180086045A 2017-07-28 2018-07-24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070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273 2017-07-28
KR1020170096273 2017-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544A KR20190013544A (ko) 2019-02-11
KR102070802B1 true KR102070802B1 (ko) 2020-01-29

Family

ID=65041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045A KR102070802B1 (ko) 2017-07-28 2018-07-24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70802B1 (ko)
WO (1) WO201902247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7991A (ko) * 2020-12-02 2022-06-10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276B1 (ko) * 2019-08-01 2021-02-05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쌍별귀뚜라미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소세포성 폐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293B1 (ko) 2016-12-07 2017-03-28 에스폴리오(주)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4658B1 (ko) 2017-02-06 2018-05-04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왕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460B1 (ko) * 2004-06-30 2006-07-12 윤치영 간독성에 대한 예방효과를 갖는 귀뚜라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KR20130013098A (ko) * 2011-07-27 2013-02-06 오석기 이끼를 이용한 액자
KR20130134097A (ko) * 2012-05-30 2013-12-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귀뚜라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29679B1 (ko) * 2012-05-30 2014-08-1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귀뚜라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86420B1 (ko) * 2014-10-06 2016-12-16 대한민국 장수풍뎅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61176B1 (ko) * 2014-11-06 2016-09-29 한국식품연구원 식품용 귀뚜라미 원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식품용 귀뚜라미 원료
KR101809451B1 (ko) * 2015-02-05 2018-01-18 이삼구 비타민, 미네랄, 아미노산 및 지방산의 함량이 증진된 귀뚜라미를 함유하는 황산화효과, 보습효과, 또는 주름개선효과가 증진된 화장료 조성물.
KR101716763B1 (ko) * 2015-05-13 2017-03-15 이삼구 진세노사이드계 사포닌과 인삼다당체를 함유하는 귀뚜라미의 사육방법과 그 사육방법으로 사육된 귀뚜라미의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조성물
KR101747245B1 (ko) * 2015-10-21 2017-06-15 대한민국 귀뚜라미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트롬빈 활성 저해 항응고 조성물 및 식품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293B1 (ko) 2016-12-07 2017-03-28 에스폴리오(주)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4658B1 (ko) 2017-02-06 2018-05-04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왕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7991A (ko) * 2020-12-02 2022-06-10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526287B1 (ko) 2020-12-02 2023-04-27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22478A3 (ko) 2019-04-25
KR20190013544A (ko) 2019-02-11
WO2019022478A2 (ko) 2019-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ujii et al. Effects of amla extract and collagen peptide on UVB-induced photoaging in hairless mice
KR20180037163A (ko) 당 비함유 파인애플 추출물과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
KR20110117376A (ko) 붉은 작두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및 미백용 조성물
KR20170093694A (ko) 콜라겐 트리펩타이드를 고함량으로 함유하는 콜라겐 가수분해물 및 이의 용도
KR102070802B1 (ko)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090054723A (ko) 피부 보습 기능을 갖는 경구용 피부 미용 조성물
KR101135444B1 (ko) 팔미토일올리고펩타이드와 두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70801B1 (ko) 장수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JP2015502942A (ja) 皮膚バリア機能を改善するのに有用なホホバ抽出物
KR102070799B1 (ko)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70073308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75849B1 (ko) 흑효모 균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 항염 및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102041860B1 (ko)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95220B1 (ko) 벼메뚜기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562631B2 (ja) シリンガレシノールを含む皮膚改善用組成物
KR101209220B1 (ko) 생강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0863617B1 (ko) 백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개선용 조성물
KR101349246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용증진용 건강기능보조식품 조성물
KR20210152411A (ko) 해당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1695372B1 (ko) 까치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예방용 조성물
Kim et al. Preventive effect of fermented Gelidium amansii and Cirsium japonicum extract mixture against UVB-induced skin photoaging in hairless mice
KR102277183B1 (ko) 백편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626704B1 (ko) 장미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161354B1 (ko) 물여뀌 추출물에서 분리한 ecg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656322B1 (ko) 가르데노시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