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4097A - 귀뚜라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귀뚜라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4097A
KR20130134097A KR1020120057370A KR20120057370A KR20130134097A KR 20130134097 A KR20130134097 A KR 20130134097A KR 1020120057370 A KR1020120057370 A KR 1020120057370A KR 20120057370 A KR20120057370 A KR 20120057370A KR 20130134097 A KR20130134097 A KR 20130134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mmation
skin
extract
lotion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남주
이효기
장희승
김영아
김지안
권오석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엔토리서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엔토리서치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57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4097A/ko
Publication of KR20130134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0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61K35/644Beeswax; Propolis; Royal jelly; Hon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귀뚜라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귀뚜라미 추출물은 자외선으로 유도된 염증관련 효소인 COX-2의 프로모터 활성과, 이의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하는 전사인자 NF-κB 프로모터와 AP-1 프로모터의 활성을 억제하여 피부 염증 예방 및 치료 능력을 효과적으로 나타내므로, 이와 관련된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갖는 약학 조성물 및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귀뚜라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reventive and therapeutic compositions for skin inflammation comprising cricket extracts}
본 발명은 귀뚜라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삶의 질이 향상되고 평균 수명이 늘어나면서 아름다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피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기능성 화장품 분야의 시장규모가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천연물을 활용한 기능성 화장품 연구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너뷰티(inner beauty), 즉 건강과 아름다움이 직결된다는 평범한 진리가 일반인들에게 재인식되기 시작하면서 건강미용 시장 또한 주목을 받고 있으며, 기능성 화장품에 국한되어 있던 미용 산업이 먹는 미용식품 분야로 그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더불어 자연 친화적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합성품 대신 다양한 천연 원료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미용관련 산업 대부분의 원재료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 소재의 천연물로부터 미용 기능성 소재를 확보한다면 미용 소재의 수입 의존도를 낮출 수 있으며 경쟁력 강화에도 도움이 된다.
최근 들어 현대인의 환경오염 노출과 스트레스의 증가, 식생활 변화에 따라 우리 몸의 면역 체계가 교란되면서 각종 피부 질환이 급증하고 있다. 피부의 염증은 오, 남용된 의약품이나 태양으로부터 나오는 자외선, 독성 및 병원체에 의한 감염 등의 요인들이 면역반응에 관여하여 신호전달체계가 염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태양 빛은 가시광선, 자외선 및 적외선으로 구성된다. 이 중 자외선은 체내에서 비타민 D를 합성하고, 살균작용의 역할이 있으나, 피부염, 피부암, 일광 화상, 피부노화, 건조, 잔주름 등을 생기게도 한다. 자외선(Ultraviolet, UV)은 파장 길이에 따라 A, B, C의 3가지로 나뉘는데, 이 중 UVC는 오존층에서 차단되고 UVA와 UVB가 피부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중간 파장인 UVB (290-320 nm)는 급성이나 만성적으로 노출되었을 경우, 심각한 피부 손상을 야기하는데, 주로 피부에 염증을 일으켜 홍반이나 수포를 만드는 일광화상을 일으킨다. 또한, 과다하게 조사했을 경우 피부 염증을 일으켜 암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Oro, A.E. et al., Science, 276:817-821, 1997; Kim HJ et al., Apoptosis 9:449-456, 2004). 염증반응에는 사이토카인(cytokines),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PGE2) 등 다양한 매개물질이 관여하고 있는데, 특히 사이토카인,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와 같은 자극은 세포의 핵 내로 이동하여 NF-κB(Nuclear factor-κB) 및 AP-1(activating protein 1)을 활성화시킨다. NF-κB와 AP-1은 세포 분화, 염증반응, 세포 부착 등 다양한 세포 활동을 조절하는 유전자들의 발현에 중대한 역할을 하는 전사인자이며, 이들의 활성화는 염증에 중요하게 관여하는 효소인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COX-2)를 과발현시켜 과량의 PGE2가 생성됨으로써 염증이 유발된다. 따라서 피부염증 및 피부손상 예방 및 치료제로서 COX-2 발현을 억제시킬 수 있는 천연 소재 물질의 개발이 요구된다.
곤충은 오래전부터 양잠과 양봉 등으로 인간의 일상생활에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곤충의 가치가 지구상의 마지막 미개발 생물자원으로 재평가되면서 곤충산업의 분야의 성장이 가속화되고 있다. 또한 현대의 곤충산업은 첨단 기술과의 융복합화를 통해 여러 분야로 확대되어 그 활용 범위 또한 보다 다양화될 전망이다. 예로부터 우리 선조들은 곤충류를 각종 질병이나 건강유지를 위한 민간 약제로 이용하였다. 즉, 조선시대 의학서인 허준의 ‘동의보감’을 보면 95종에 달하는 약용 곤충이 소개되어 있다. 최근 서양 의학에서도 기능성 신약 개발을 위하여 곤충에서 추출한 물질에 주목하고 연구개발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파리의 유충 ‘구더기’가 욕창과 족부궤양 등의 상처치료에 효과를 나타낸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현대의 미용 산업에 있어서 곤충을 이용한 미용제품들은 곤충에서 유래한 효소를 이용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를 제품으로 개발할 경우 안정성 면에 있어서 효율이 떨어지며 대량생산이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 귀뚜라미의 경우, 다른 곤충 소재들보다 배양이 용이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으며, 아직까지 귀뚜라미에 대한 피부 염증 예방과 관련된 연구는 전무하다. 지금까지, 화장품이 아닌 의약품으로 자극완화 및 염증 완화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합성 물질로는 비스테로이드계인 프루페남산(flufenamic acid), 이부프로펜(ibuprofen), 벤지다민(benzydamine),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등이 있고 스테로이드 계통으로는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등이 있으나, 대부분 피부 안정성 면과 피부용 조성물 배합시 안전성 면에서 문제점을 안고 있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인체에 부작용이 적으면서도 항염증 효과가 있는 천연 물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귀뚜라미 추출물이 자외선에 의해 증가한 염증관련 전사인자들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피부염증을 예방 및 치료에 효능이 있다는 사실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염증관련 전사인자인 COX-2, AP-1 및 NF-κB의 활성 저해를 통해 염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귀뚜라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귀뚜라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곤충에서 분리한 효소를 이용한 피부 생리활성 증진 소재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미용소재 연구 개발이 전무하며 안전하고 질병예방 효능이 뛰어난 귀뚜라미 추출물에 주목하게 되었다. 상기 귀뚜라미 추출물이 자외선에 의해 증가한 염증관련 전사인자들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피부염증을 예방 및 치료에 효능이 있다는 사실을 규명함으로써,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추출물은 염증관련 전사인자인 싸이클로옥시게나제-2(cyclooxygenase-2, COX-2), 에이피-원(activating protein 1, AP-1) 또는 핵인자 카파-B(Nuclear factor-κB, NF-κB)의 활성 저해를 통해 염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NF-κB와 AP-1은 세포 분화, 염증반응, 세포 부착 등 다양한 세포 활동을 조절하는 유전자들의 발현에 중대한 역할을 하는 전사인자이며, 이들의 활성화는 염증에 중요하게 관여하는 효소인 COX-2를 과발현시켜 과량의 프로스타글란딘 E2가 생성됨으로써 염증이 유발된다. 상기 COX-2, AP-1 및 NF-kB는 모두 직접적인 염증관련 인자들로서 염증성 마커(marker)로 이미 잘 알려져 있고 항염증 효과를 측정하는 실험에 주로 사용된다. 즉, 상기 COX-2 유전자 전사의 조절을 통해 염증을 억제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Kang, Y. J et al. (2006) Cyclooxygenase-2 gene transcription in a macrophage model of inflammation. J. Immunol. 177, 81118122) 또한, NF-κB와 AP-1의 활성 저해를 통해 염증을 억제시킬 수 있다는 것도 이미 잘 알려져 있다 (Konstantinopoulos, P. A et al. (2007) NF-kappaB/PPAR gamma and/or AP-1/PPAR gamma ‘on/off’ switches and induction of CBP in colon adenocarcinomas:correlation with COX-2 expression. Int. J. Colorectal Dis., 22,5768; Cooper, S .J. et al. (2007) Ultraviolet B regulation of transcription factor families: roles of nuclear factor-kappa B (NF-kappaB) and activator protein-1 (AP-1) in UVB-induced skin carcinogenesis. Curr. Cancer Drug Targets, 7, 325334). 따라서 COX-2 발현을 억제시키거나 이를 과발현시키는 전사인자인 NF-κB와 AP-1의 활성 저해를 통해 피부염증을 억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추출물은 귀뚜라미 자체, 건조물 또는 건조분말을 물 또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추출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으며, 사용할 수 있는 유기용매로는 에탄올, 메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함수에탄올, 함수부틸렌글리콜, 함수프로필렌글리콜,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방법은 통상적인 추출방법 예컨대, 열수추출, 유기용매 추출, 환류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귀뚜라미 건조물 또는 그 분쇄물을 상기 추출용매에 투입하고 필요에 따라 교반하면서 5-40℃에서 1-15일간 침적시키거나 40-100℃에서 4-20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는 것이 적당하다. 추출에 사용되는 용매의 양은 추출원료의 통상 1 내지 20배량(중량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추출물이 첨가되는 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기 위한 약학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통상적인 첨가량을 고려하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귀뚜라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의약품에 적용할 경우에는,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상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경구 투여제 혹은 비경구 투여제로 제제화 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서는 정제, 환제, 과립제, 연경 캡슐제, 산제, 세립제, 분제, 유탁제, 시럽제, 펠렛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는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좌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실시하면 용이하게 제제화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 부형제, 착색료, 향신료, 보존료, 안정제, 완충제, 현탁제,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01 mg/kg/일 내지 대략 2000 mg/kg/일의 범위이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증 예방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귀뚜라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인 피부염증 예방과 관련하여 최근 기능성 화장품 개발을 고려하면, 합성품 대신 다양한 천연 원료 개발이 미용개선의 필수적인 요소로 대두됨에 따라 항염증 활성을 갖는 기능성 화장료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스킨로션, 스킨소프트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영양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 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클린져, 바디로션, 샴푸, 유액, 파운데이션,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새도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귀뚜라미 추출물은 자외선으로 유도된 염증관련 효소인 COX-2 활성, 염증관련 전사인자 NF-κB와 AP-1의 활성을 억제하여 피부 염증 예방 및 치료 능력을 효과적으로 나타낸다. 따라서 피부염증을 예방하고 치료하거나 완화시키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귀뚜라미 추출물의 세포독성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귀뚜라미 추출물을 이용하여 염증관련 전사인자 COX-2의 활성저해 효능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귀뚜라미 추출물을 이용하여 염증관련 전사인자 AP-1의 활성저해 효능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4는 귀뚜라미 추출물을 이용하여 염증관련 전사인자 NF-κB의 활성저해 효능을 측정한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제조예. 귀뚜라미 추출물의 제조
귀뚜라미(Velarifictorus aspersus)를 동결시킨 후 분쇄하여 이 중 300 g을 80%의 에탄올 500 ml을 사용하여 80℃에서 5시간 동안 2회 환류 추출하고 농축하여 38.59 g의 귀뚜라미 추출물을 얻었다. 이렇게 얻은 귀뚜라미 추출물을 이하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귀뚜라미 추출물의 세포독성검사
상기 귀뚜라미 추출물에 대하여 MTT assay를 이용하여 표피세포(JB6 P+ epidermal cell; Gene Regulation Section, Laboratory of Biochemical Physiology, National Cancer InstituteFrederick Cancer Research)에서 4일 동안 세포독성 검사를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먼저, 귀뚜라미 추출물이 세포독성이 있는지 검사하기 위해, 표피세포를 FBS(Fetal Bovine Serum) 5% 및 항생제가 첨가된 MEM(Minimum Essential Medium; Cellgro, USA) 배지를 사용하여 96-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씨딩(seeding)하고 37℃, 5% CO2의 조건 하에서 70-80% 정도 차도록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200 mg을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40 mL에 녹인 후 여과하여 5 mg/mL MTT 용액을 준비하였다.
귀뚜라미 추출물 각각 25, 50, 100 μg/mL의 농도로 함유하는 배지를 상기 96-웰 플레이트에 첨가한 후 4시간 후 25, 50, 100 μg/mL의 귀뚜라미 추출물이 함유된 배지를 첨가하였고, 24시간 후 5 mg/mL MTT 용액 20 μL을 배양한 세포가 있는 96-웰 플레이트에 넣고 37℃, 5% CO2 조건 하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2시간 후에 배지와 MTT 용액을 제거한 후에 DMSO(Dimethyl sulfoxide) 200 μL씩 넣고 실온에서 30분간 혼합시켰다. 반응을 정지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 Sunrise-Basic Tecan, Austria)를 이용하여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하기 식에 따라 세포생존율을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01

도 1은 귀뚜라미 추출물의 세포독성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귀뚜라미 추출물은 다양한 농도(25, 50, 100 μg/ml)에서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귀뚜라미 추출물의 COX-2 발현 저해 효과 측정
귀뚜라미 추출물의 염증관련 전사인자 활성저해 효능 측정하기 위하여, COX-2 luciferase reporter plasmid (Gene Regulation Section, Laboratory of Biochemical Physiology, National Cancer InstituteFrederick Cancer Research로부터 입수; Dominant-negative activator protein 1 (TAM67) targets cyclooxygenase-2 and osteopontin under conditions in which it specifically inhibits tumorigenesis. Cancer Res. 15;67(6):2430-8 참조)가 트랜스펙션(transfection)된 JB6 P+ epidermal stable cell line (Gene Regulation Section, Laboratory of Biochemical Physiology, National Cancer InstituteFrederick Cancer Research)을 이용하여 luciferase assay를 수행하였다.
JB6 stable cell line을 기준으로 G418(an aminoglycoside antibiotic similar in structure to gentamicin B1)이 들어가지 않은 MEM (Cellgro, USA) 배지를 사용하여 96-웰 플레이트에 1일 후에 90% 정도 차도록 씨딩(seeding)하였다.
1일 후, 세포가 90% 정도 차면 96-웰 플레이트에 들어있는 배지를 공중에서 털어낸 후 0.1% FBS MEM을 100 μL씩 넣고 1일 정도 스타베이션(starvation)하였다. 스타베이션 후 귀뚜라미 추출물을 50, 100, 200 μg/ml 씩 1시간 전 처리한 후 유도물질인 UVB 50 mJ/㎠ (Cedex 1, France)를 처리하였다. 단, 유도(induction) 시간은 COX-2의 경우는 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UVB 처리 후 공중에서 배지를 털어 완전히 제거하고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를 100 μL 씩 넣어 워싱(washing)하였다. 인산완충식염수를 털어내고 1X Lysis bfr (Prpmega, USA)를 100 μL씩 넣고 5분간 혼합(shaking)하였다. Lysis 후 cell lysate를 luminometer 용 96-웰 플레이트에 50 μL 씩 옮긴 뒤, luminometer (Promega, USA)를 이용하여 검출(detection)하였다.
도 2는 귀뚜라미 추출물에 대하여 luciferase assay를 이용하여 JB6 P+ epidermal cell에서 염증관련 전사인자 COX-2(cyclooxygenase-2)의 활성저해 효능을 측정한 것으로, 자외선 조사 후 피부 염증 관련 세포 신호간 신호전달에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하는 COX-2 promoter 활성을 측정하여 귀뚜라미 추출물의 자외선 조사에 의한 피부염증억제 효능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자외선을 조사한 실험군에 비해 귀뚜라미 추출물(CE)을 처리 시 농도가 증가할수록 COX-2 활성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귀뚜라미 추출물이 UVB로 유도된 COX-2의 발현 저해 효과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강되었음을 나타낸다.
실험예 3. 귀뚜라미 추출물의 염증유발 전사인자 AP -1 활성 저해 효과
귀뚜라미 추출물의 염증관련 전사인자 AP-1의 활성저해 효능 측정하기 위하여, AP-1 luciferase reporter plasmid (Gene Regulation Section, Laboratory of Biochemical Physiology, National Cancer InstituteFrederick Cancer Research로부터 입수; Transformation reversion induced in JB6 RT101 cells by AP-1 inhibitors. Carcinogenesis 16:749756 참조)가 트랜스펙션(transfection)된 JB6 P+ epidermal stable cell line((Gene Regulation Section, Laboratory of Biochemical Physiology, National Cancer InstituteFrederick Cancer Research)을 이용하여 상기 실험예 2의 방법과 동일하게 luciferase assay를 수행하였다. 단, 유도(induction) 시간으로 AP-1은 3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도 3은 귀뚜라미 추출물에 대하여 luciferase assay를 이용하여 JB6 P+ epidermal cell에서 염증관련 전사인자 AP-1(activating protein 1)의 활성저해 효능을 측정한 것으로, 자외선 조사 후 피부 염증 관련 세포 신호간 신호전달에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하는 AP-1 promoter 활성을 측정하여 귀뚜라미 추출물의 자외선 조사에 의한 피부염증억제 효능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자외선 조사에 비해 귀뚜라미 추출물(CE)을 처리 시 농도가 증가할수록 AP-1의 활성을 저해하며 특히, 200 μg/ml에서 강하게 저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귀뚜라미 추출물이 UVB로 유도한 AP-1 전사인자의 활성을 저해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외선에 의해 증가된 AP-1 전사인자의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킴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귀뚜라미 추출물의 염증유발 전사인자 NF -κB 활성 저해 효과
귀뚜라미 추출물의 염증관련 전사인자 NF-κB의 활성저해 효능 측정하기 위하여, NF-κB luciferase reporter plasmid (Gene Regulation Section, Laboratory of Biochemical Physiology, National Cancer InstituteFrederick Cancer Research로부터 입수; Activation of NF-kappaB is required for PDGF-B chain to transform NIH3T3 cells. Exp Cell Res. 2002 Mar 10;274(1):157-67 참조)가 트랜스펙션(transfection)된 JB6 P+ epidermal stable cell line (Gene Regulation Section, Laboratory of Biochemical Physiology, National Cancer InstituteFrederick Cancer Research)을 이용하여 상기 실험예 2의 방법과 동일하게 luciferase assay를 수행하였다. 단, 유도(induction) 시간으로 NF-κB는 3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도 4는 귀뚜라미 추출물에 대하여 luciferase assay를 이용하여 JB6 P+ epidermal cell에서 염증관련 전사인자 NF-κB의 활성저해 효능을 측정한 것으로, 자외선 조사 후 피부 염증 관련 세포 신호간 신호전달에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하는 NF-κB promoter 활성을 측정하여 귀뚜라미 추출물의 자외선 조사에 의한 피부염증억제 효능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자외선 조사에 비해 귀뚜라미 추출물(CE)을 처리 시 농도가 증가할수록 NF-κB 활성을 저해하며, 특히, 200 μg/ml에서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귀뚜라미 추출물이 UVB로 유도된 NF-κB 전사인자의 활성을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외선에 의해 증가된 NF-κB 전사인자의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염증성 마커로 잘 알려져 있는 COX-2, AP-1, NF-kB라는 인자들을 플라스미드를 이용해 세포내로 도입시킨 후 이들의 활성 억제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의 귀뚜라미 추출물이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제형예 1.
상기 제조예의 귀뚜라미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화장수(스킨)의 제형예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번호 원 료 제형예 1
1 귀뚜라미 추출물 10.0
2 1,3-부틸렌 글라이콜 2.00
3 글리세린 3.00
4 올레일알콜 2.00
5 폴리솔베이트 20 1.00
6 에탄올 6.00
7 방부제 미량
8 조합향료 미량
9 정제수 잔량
100.00
제형예 2.
상기 제조예의 귀뚜라미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화장수(로션)의 제형예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번호 원 료 실시제형예 2
1 귀뚜라미 추출물 10.0
2 1,3-부틸렌글라이콜 4.00
3 글리세린 3.00
4 올레일알콜 0.05
5 폴리솔베이트 20 1.00
6 방부제 미량
7 조합향료 미량
8 정제수 잔량
100.00

Claims (6)

  1. 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염증관련 전사인자인 싸이클로옥시게나제-2(cyclooxygenase-2, COX-2), 에이피-원(activating protein 1, AP-1) 또는 핵인자 카파-B(Nuclear factor-κB, NF-κB)의 활성 저해를 통해 염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함수에탄올, 함수부틸렌글리콜, 함수프로필렌글리콜,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증 예방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 스킨로션, 스킨소프트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영양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 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클린져, 바디로션, 샴푸, 유액, 파운데이션,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새도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염증 예방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20057370A 2012-05-30 2012-05-30 귀뚜라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1340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370A KR20130134097A (ko) 2012-05-30 2012-05-30 귀뚜라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370A KR20130134097A (ko) 2012-05-30 2012-05-30 귀뚜라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097A true KR20130134097A (ko) 2013-12-10

Family

ID=49981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370A KR20130134097A (ko) 2012-05-30 2012-05-30 귀뚜라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4097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6096A1 (ko) * 2015-02-05 2016-08-11 이삼구 항산화, 항노화 및 피부미용 개선 효과가 증진된 귀뚜라미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6295A (ko) 2015-02-05 2016-08-16 이삼구 항암 효과 물질이 증가된 귀뚜라미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KR20190013544A (ko) * 2017-07-28 2019-02-11 한국 한의학 연구원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068521B1 (ko) * 2018-10-29 2020-01-2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테레오그릴루신 2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여드름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14893A (ko) 2020-03-11 2021-09-24 엄상희 복숭아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및 의약외품 조성물
KR20220077991A (ko) * 2020-12-02 2022-06-10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489767B1 (ko) * 2022-03-23 2023-01-18 이재홍 귀뚜라미 발효물의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피부재생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525129B1 (ko) 2022-12-30 2023-04-24 이승민 미숙 자두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6096A1 (ko) * 2015-02-05 2016-08-11 이삼구 항산화, 항노화 및 피부미용 개선 효과가 증진된 귀뚜라미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6295A (ko) 2015-02-05 2016-08-16 이삼구 항암 효과 물질이 증가된 귀뚜라미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KR20190013544A (ko) * 2017-07-28 2019-02-11 한국 한의학 연구원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WO2019022478A3 (ko) * 2017-07-28 2019-04-25 한국 한의학 연구원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068521B1 (ko) * 2018-10-29 2020-01-2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테레오그릴루신 2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여드름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14893A (ko) 2020-03-11 2021-09-24 엄상희 복숭아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및 의약외품 조성물
KR20220077991A (ko) * 2020-12-02 2022-06-10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489767B1 (ko) * 2022-03-23 2023-01-18 이재홍 귀뚜라미 발효물의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피부재생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525129B1 (ko) 2022-12-30 2023-04-24 이승민 미숙 자두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4097A (ko) 귀뚜라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076534B2 (ja) 鉄皮石斛(デンドロビウム・カンディダム)花の抽出物を含む化粧料組成物
US7994141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compounds of natural origin for damaged skin
KR100825450B1 (ko)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21519806A (ja) トリシン含量が増加した真菰草酵素処理抽出物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美白、しわ改善、抗炎症、抗アレルギー、保湿用組成物
KR20160056268A (ko) 구아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CN110072516B (zh) 包含作为有效成分的中药材提取物的化妆料组合物
KR20120058850A (ko) 항염증 및 항균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KR101477959B1 (ko) 알로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자극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3297B1 (ko) 클로로겐산 및 루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30134480A (ko) 효소 처리 토레야 속 추출물
KR101394550B1 (ko) 장미의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689318B1 (ko) 에보디아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01538B1 (ko) 손바닥선인장 종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755425B1 (ko) 항염 및 항자극 활성을 갖는 노르베르게닌을 함유하는피부외용 조성물
KR20150108088A (ko) 능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자극에 의한 피부노화 억제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00120211A (ko) 밀웜 및 귀뚜라미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3032331A (ja) 脂質産生抑制剤、皮脂産生抑制剤およびトリアシルグリセロール産生抑制剤
KR20150066098A (ko) D-피니톨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피부 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09526A (ko) 복합 히아루론산을 함유하는 화장료용 조성물
KR20150048478A (ko) 산수유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항균, 항염 조성물
KR102637204B1 (ko) 살비아놀산 b가 증강된 단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12206961A (ja) 抗菌剤及び皮膚外用剤
KR102305942B1 (ko)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70210B1 (ko) 개미취속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