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6098A - D-피니톨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피부 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D-피니톨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피부 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6098A
KR20150066098A KR1020130151212A KR20130151212A KR20150066098A KR 20150066098 A KR20150066098 A KR 20150066098A KR 1020130151212 A KR1020130151212 A KR 1020130151212A KR 20130151212 A KR20130151212 A KR 20130151212A KR 20150066098 A KR20150066098 A KR 20150066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itol
skin
cream
loti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1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주
이지훈
이형주
이상준
임태규
허원범
송다솜
이기원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51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6098A/ko
Publication of KR20150066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0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75Ethers or ace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피니톨을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염증, 피부암 또는 피부 광노화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또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D-피니톨은 자외선 조사에 의해 증가한 COX-2, COX-2의 대표적인 전사인자 AP-1, NF-κB와 MKK7/JNKs/c-Jun 신호전달체계, MEKs/ERKs/p90RSK 신호전달체계 억제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D-피니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염증, 피부암 또는 피부 광노화 치료와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매우 유용하다.

Description

D-피니톨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피부 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skin inflammation induced by UV radiation comprising pinitol}
본 발명은 D-피니톨을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염증, 피부암 또는 피부 광노화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또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현대인의 환경오염 노출과 스트레스의 증가, 식생활 변화에 따라 우리 몸의 면역 체계가 교란되고 따라서 각종 피부병 질환이 급증하고 있다.
태양 빛은 가시광선, 자외선, 적외선으로 구성된다. 이중 자외선은 체내에서 비타민D를 합성하고, 살균작용의 역할이 있으나, 피부염, 피부암, 일광 화상, 피부노화, 건조, 잔주름 등을 생기게도 한다. 자외선(Ultraviolet, UV)은 파장길이에 따라 A,B,C의 3가지로 나뉘는데, 이 중 UVC는 오존층에서 차단되고 UVA와 UVB가 피부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중간 파장인 UVB (290-320 nm)는 급성이나 만성적으로 노출되었을 경우, 심각한 피부 손상을 야기하는데, 주로 피부에 염증을 일으켜 홍반이나 수포를 만드는 일광화상을 일으킨다. 과다하게 조사했을 경우 피부 염증을 일으켜 암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Oro, A.E. et al., Science, 276:817-821, 1997; Kim HJ et al., Apoptosis 9:449-456, 2004).
염증물질이 과도하게 생성될 경우, 과도한 면역반응을 야기하여 각종 염증성 질환이나 피부 손상을 유발하게 된다. 염증에 중요하게 관여하는 효소인 싸이클로옥시게나제-2(cyclooxygenase, 이하 COX-2라 함)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을 염증성 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류(prostaglandins)를 생성하는 대표적인 효소이다(Hla Tand Neilson K. Proc Natl Acad Sci U S A. 89(16):7384-8, 1992, Grewe M et al., J Invest Dermatol. 101(4):528-31, 1993; Joyce E. Rundhaug et al., Mol Carcinog., 46:692-698, 2007). 최근 연구에서 여러 종류의 암종에서 COX-2의 활성이 증가되어 있음이 보고되었다(Dubois RN, FASEB J, 12:1063-73, 1998, Brecher AR., J Drugs Dermatol., 1(1):44-7, 2002).
피부의 노화는 광노화와 자연노화로 나눈다. 광노화의 주요한 원인은 반복적인 자외선의 노출이며 자외선에 의해 생성되는 염증성 싸이토카인 (cytokine) 들은 피부에서 콜라겐 (collagen) 의 합성을 억제하며,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들의 발현을 증가시켜 불규칙적인 콜라겐을 형성한다. 이러한 특징적인 변화들은 광노화를 유도하며 피부홍반, 거칠기, 깊은 주름 및 흑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Fisher, G. J et al., N. Engl. J.Med, 337:1419-1428., 1997; Moon HJ et al., Biol Pharm Bull. 31(2):284-9, 2008).
이에, 자외선에 의한 피부염증 및 피부손상, 광노화 예방 및 치료제로써 COX-2 발현을 억제시킬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일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9-0119085호는 검정콩에서 유래한 안토시아닌이 NF-κB 및/또는 PI3 키나제/Akt 경로 조절을 통하여 COX-2와 같은 염증성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여 자외선에 의한 염증과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9-0119085호
본 발명의 과제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증가된 싸이클로옥시게나제-2 (cyclooxygenase-2, COX-2)의 발현 억제를 하여 피부 염증 및 피부질환 예방 능력을 효과적으로 나타내므로, 이와 관련된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유용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D-피니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염증, 피부암 또는 피부 광노화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01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D-피니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D-피니톨은 자외선 조사에 의해 증가한 COX-2, COX-2의 대표적인 전사인자 AP-1, NF-κB와 MKK7/JNKs/c-Jun 신호전달체계, MEKs/ERKs/p90RSK 신호전달체계 억제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D-피니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염증, 피부암 또는 피부 광노화 치료와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D-피니톨의 쥐 상피세포주에 대한 세포 독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 염증마커, COX-2(cyclooxygenase-2)에 대한 D- 피니톨의 발현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는 COX-2의 전사활성에 대한 D-피니톨의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의 A는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는 COX-2의 대표적인 전사인자 AP-1(Activator protein-1)의 활성에 대한 D-피니톨의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B는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는 COX-2의 대표적인 전사인자 NF-κB(Nuclear factor-κB)의 활성에 대한 D-피니톨의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의 A는 자외선에 의해 증가한 MKK7/JNKs/c-Jun 신호전달체계에 대한 D-피니톨의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B는 자외선에 의해 증가한 MEKs/ERKs/p90RSK 신호전달체계에 대한 D-피니톨의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은 자외선에 의한 DNA 손상, 활성산소의 증가, 이들로 인한 세포의 변성 또는 사멸을 포함하며,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증상으로는 자외선에 의해 표피 또는 진피에 발생하는 염증, 화상, 홍반 또는 색소침착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유효 성분으로 함유되는 D-피니톨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진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자외선 조사에 의해 증가된 COX-2 발현, 자외선 조사에 의해 증가한 COX-2의 대표적인 전사인자 AP-1, NF-κB를 저해하고, 자외선에 의해 증가한 MKK7/JNKs/c-Jun 신호전달체계와 MEKs/ERKs/p90RSK 신호전달체계를 억제한다. 이때 D-피니톨은 직접 제조하거나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염증, 피부암 또는 피부 광노화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또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약학 조성물로 제제화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분야에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제화할 수 있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과 혼합하여 통상의 약학적 제제, 예를 들면 액제, 시럽제, 캡슐제, 과립제, 분말, 연고, 에멀젼, 겔, 크림 등으로 제제화할 수 있으며, 이를 여러 경로로 투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으로 외용액제, 에멀젼, 연고제 등의 경피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전체 약학 조성물 중 상기 화학식 1의 D-피니톨을 0.001 내지 10 중량%로 함유한다. 이렇게 제조된 약학조성물은 1회 당 0.00001㎎/㎏ 내지 400㎎/㎏의 유효함량으로 사용하고, 활성 성분의 실제 투여량은 증상의 중증도, 선택된 투여 경로,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및 건강상태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내지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로 제제화되는 경우, 상기 화학식 1의 D-피니톨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 중량%이다. 최소한의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개선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D-피니톨의 함량은 상기 최소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과량 첨가에 따른 사용감 저하 및 각종 제형에의 적용 가능성을 고려하여 D-피니톨의 함량은 상기 최대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D-피니톨의 함량은 제형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성분들의 함량에 따라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D-피니톨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젤, 파우더, 보디로션, 보디크림, 보디오일, 보디에센스, 선크림, 선로션, 선오일, 선스틱, 비비크림, 메이크업베이스, 리퀴드파운데이션, 투웨이케이크, 파우더팩트, 아이쉐도우,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립밤, 립크림 등의 화장료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D- 피니톨의 세포독성 측정
JB6 P+ 세포주(쥐 상피세포주)를 96-웰 플레이트에 48시간 배양하였다(MEM배지 + 5% 우태아혈청). 우태아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MEM 배지를 이용하여 기존의 배지와 교환하였다. D-피니톨을 농도에 맞게 1, 10, 50, 100, 200 μM로 넣고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MTT 용액을 웰당 20 ㎕ 처리하고 2시간 추가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DMSO를 웰당 200 ㎕ 넣고 15분간 쉐이커에서 반응시켰다.
분광 광도계(Spectro photometer)를 이용하여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하였다.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D-피니톨 200 μM의 농도까지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예 2: D- 피니톨의 COX -2 발현 저해 효과 측정
JB6 P+ 세포주 (쥐 상피세포주)를 6 cm 디쉬에 48시간 배양하였다(MEM배지 + 5% 우태아혈청). 우태아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MEM 배지를 이용하여 기존의 배지와 교환하였다. D-피니톨을 농도에 맞게 세포에 처리하고 1시간 배양하였다. UVB를 0.05 J/cm2 강도로 세포에 조사하였다. UVB조사 후 4시간 후 RIPA버퍼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거두었다. SDS-PAGE 전기영동장치를 이용하여 단백질 크기대로 분리하였다. 분리 후 PVDF 멤브레인에 단백질을 트랜스퍼해 주고 5% 스킴 밀크를 이용하여 멤브레인을 블락킹하였다(2시간). 각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1차 항체를 TBST에 적정농도로 희석하여 멤브레인에 4 ℃ 하룻밤 동안 반응시켰다. TBST 용액을 활용하여 30분간 1차 항체를 씻어주고 2차 항체를 1시간 반응시켰다. 암실에서 X-ray 필름을 활용하여 각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면, 5, 10, 20 μM의 D-피니톨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자외선에 의한 COX-2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실험예 3: D- 피티놀의 COX -2 전사활성 저해 효과 측정
JB6 P+세포에 COX-2 루시퍼레이즈 플라스미드(luciferase reporter plasmid)를 안정적으로 도입시켜 COX-2 프로모터 활성 여부를 측정하였다. JB 6 P+ 세포주를 96-웰 플레이트에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MEM배지 + 5% 우태아혈청). 우태아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MEM 배지를 이용하여 기존의 배지와 교환하였다. D-피니톨을 농도에 맞게 세포에 처리하고 1시간 배양하였다. UVB를 0.05 J/cm2 강도로 세포에 조사하였다. UVB 조사 4시간 후 Lysis 버퍼를 처리하고 차광상태에서 쉐이커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1시간 후 루시퍼라제(Luciferase) 활성을 측정할 수 있는 플레이트에 옮겨 담고 루미노미터로 루시퍼라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D-피니톨 20, 40, 80 μM에 의해 자외선에 의한 COX-2 전사활성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D-피니톨은 COX-2 발현을 전사인자 수준에서 억제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UVB 에 의해 활성화된 AP -1, NF -κB 경로에 미치는 D- 피니톨의 효과
JB6 P+세포에 염증유발 전사인자인 NF-kB 루시퍼레이즈 플라스미드 (luciferase reporter plasmid), AP-1 루시퍼레이트 프라스미드를 각각 안정적으로 도입시켜 활성여부를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상기 실험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였고, 그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면, 자외선에 의해 증가한 COX-2의 대표적인 전사인자 AP-1(Activator protein-1)와 NF-κB(Nuclear factor-κB)의 활성이 D-피니톨에 의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자외선에 의해 증가한 MKK7 / JNKs /c- Jun , MEKs / ERKs / p90 RSK 신호전달체계에 대한 D- 피니톨의 저해 효과
JB6 P+ 세포주 (쥐 상피세포주)를 6 cm 디쉬에 48시간 배양하였다(MEM배지 + 5% 우태아혈청). 우태아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MEM 배지를 이용하여 기존의 배지와 교환하였다. D-피니톨을 농도에 맞게 세포에 처리하고 1시간 배양하였다. UVB를 0.05 J/cm2 강도로 세포에 조사하였다. UVB 조사 30분 후 RIPA버퍼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거두었다. SDS-PAGE 전기영동장치를 이용하여 단백질 크기대로 분리하였다. 분리 후 PVDF 멤브레인에 단백질을 트랜스퍼해 주고 5% 스킴 밀크를 이용하여 멤브레인을 블락킹하였다(2시간). 각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1차 항체를 TBST에 적정농도로 희석하여 멤브레인에 4 ℃ 하룻밤 동안 반응시켰다. TBST 용액을 활용하여 30분간 1차 항체를 씻어주고 2차 항체를 1시간 반응시켰다. 암실에서 X-ray 필름을 활용하여 각 단백질의 발현 정도 및 인산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를 참조하면, 자외선에 의해 증가한 MKK7/JNKs/c-Jun, MEKs/ERKs/p90RSK 신호전달체계가 D-피니톨에 의해 억제됨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형예로서 피부 외용연고,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및 팩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 조성물의 제형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피부 외용연고
하기의 표 1과 같이 D-피니톨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연고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D-피니톨 10
디에틸 세바케이트 8
경납 5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6
벤조산 나트륨 적량
바셀린 잔량
합계 100
제형예 2: 유연화장수 ( 스킨 )
하기의 표 2와 같이 D-피니톨을 함유하는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D-피니톨 1
글리세린 5
1,3-부틸렌글리콜 3
베타인 1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파우더 0.05
에탄올 5
옥틸도데세스-16 0.2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0.2
적량
방부제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3: 영양화장수 (로션)
하기의 표 3과 같이 D-피니톨을 함유하는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D-피니톨 3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1.5
세테아릴알콜 1.0
쉐어버터 1.5
폴리솔베이트 60 1.3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경화식물유 1
광물유 5
스쿠알란 3
사이클로메치콘 2
디메치콘 0.8
초산 토코페롤 0.5
카보머 0.12
글리세린 5
1,3-부틸렌글리콜 3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파우더 0.05
트리에탄올아민 0.12
적량
방부제 적량
색소 적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4: 영양크림
하기의 표 4와 같이 D-피니톨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D-피니톨 3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
세테아릴알콜 2
스테아린산 1.5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1
스쿠알란 3
광물유 5
사이클로메치콘 5
디메치콘 1
초산토코페롤 0.5
글리세린 5
베타인 3
트리에탄올아민 1
산탄검 0.05
적량
방부제 적량
색소 적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5 : 맛사지 크림
하기의 표 5와 같이 D-피니톨을 함유하는 맛사지 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D-피니톨 3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5
세테아릴알콜 1.5
스테아린산 1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레이트 5
스쿠알란 5
광물유 35
디메치콘 0.5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12
글리세린 6
1,3-부틸렌글리콜 3
트리에탄올아민 0.3
적량
방부제 적량
색소 적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6 : 에센스
하기의 표 6과 같이 D-피니톨을 함유하는 에센스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D-피니톨 3
글리세린 6
베타인 5
PEG 1500 2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친 0.6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파우더 0.08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트리에탄올아민 0.2
세라마이드 0.2
옥틸도데칸올 3
스쿠알란 3
폴리소르베이트 60 0.4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1.5
적량
방부제 적량
색소 적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7: 팩
하기의 표 7과 같이 D-피니톨을 함유하는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D-피니톨 1
폴리비닐알콜 15
셀룰로오스 검 0.15
글리세린 3
PEG 1500 2
베타인 2
DL-판테놀 0.4
알란토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니코틴아미드 0.5
에탄올 6
PEG 40 경화피마자유 0.3
적량
방부제 적량
색소 적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의 D-피니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염증, 피부암 또는 피부 광노화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3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피니톨의 함량은 전체 약학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하기 화학식 1의 D-피니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4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D-피니톨의 함량은 전체 약학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젤, 파우더, 보디로션, 보디크림, 보디오일, 보디에센스, 선크림, 선로션, 선오일, 선스틱, 비비크림, 메이크업베이스, 리퀴드파운데이션, 투웨이케이크, 파우더팩트, 아이쉐도우,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립밤, 및 립크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30151212A 2013-12-06 2013-12-06 D-피니톨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피부 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660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212A KR20150066098A (ko) 2013-12-06 2013-12-06 D-피니톨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피부 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212A KR20150066098A (ko) 2013-12-06 2013-12-06 D-피니톨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피부 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098A true KR20150066098A (ko) 2015-06-16

Family

ID=53514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1212A KR20150066098A (ko) 2013-12-06 2013-12-06 D-피니톨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피부 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60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502B1 (ko) 2015-07-13 2016-11-02 주식회사 디와이내츄럴 피니톨, d-카이로-이노시톨, 또는 이들의 유사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93150A3 (ko) * 2016-11-15 2018-07-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을 개선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502B1 (ko) 2015-07-13 2016-11-02 주식회사 디와이내츄럴 피니톨, d-카이로-이노시톨, 또는 이들의 유사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93150A3 (ko) * 2016-11-15 2018-07-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을 개선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3459B2 (ja) 出穂前に収穫されたエンバク地上部の抽出物
KR100812596B1 (ko) 천연 유래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보호 조성물
KR20130134097A (ko) 귀뚜라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4015792B2 (ja) 美白剤及びそれ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101477959B1 (ko) 알로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자극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1669B1 (ko) 항균펩타이드를 이용한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5139694B2 (ja) メラニン産生抑制剤及び皮膚外用剤
KR101863297B1 (ko) 클로로겐산 및 루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50066098A (ko) D-피니톨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피부 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7269705A (ja) c−kit遺伝子発現抑制剤
KR101841118B1 (ko) 세네데스무스 속 미세조류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80081327A (ko) 사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EP3225238A1 (en) Composition for inducing facilitation of cell rejuvenation comprising genistein or epigallocatechin gallate
JP4035481B2 (ja) 皮膚外用剤
KR102493627B1 (ko) 호르데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2012051837A (ja) グルタチオン産生促進剤
JP5047511B2 (ja) 顆粒球・マクロファージコロニー刺激因子(gm−csf)産生抑制剤i
JP2013032331A (ja) 脂質産生抑制剤、皮脂産生抑制剤およびトリアシルグリセロール産生抑制剤
KR20190067701A (ko) 갈근초 및 아데노신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H09263526A (ja) イヌカタヒバ有機溶媒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および医薬組成物
KR101923966B1 (ko) Ly294002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70130159A (ko) 수용성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여드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70802B1 (ko) 민들레 뿌리 추출물, 카페인 및 토코페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00120211A (ko) 밀웜 및 귀뚜라미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0125254A (ja) 化粧料、紫外線に対する細胞保護剤、光老化防止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