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7761A - 백선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자유라디칼 소거) 화장료 - Google Patents

백선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자유라디칼 소거)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7761A
KR20020047761A KR1020000076357A KR20000076357A KR20020047761A KR 20020047761 A KR20020047761 A KR 20020047761A KR 1020000076357 A KR1020000076357 A KR 1020000076357A KR 20000076357 A KR20000076357 A KR 20000076357A KR 20020047761 A KR20020047761 A KR 20020047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ringworm
cosmetics
ringworm ski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헌
엄상용
정의수
Original Assignee
김광석
주식회사 참 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석, 주식회사 참 존 filed Critical 김광석
Priority to KR1020000076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7761A/ko
Publication of KR20020047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776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선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자유라디칼 소거)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백선피 추출물은 뛰어난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를 보임으로써 우수한 항산화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백선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자유라디칼 소거) 화장료{Cosmetics comprising dictamnus root extracts for antioxidation}
본 발명은 백선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자유라디칼 소거)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자유 라디칼 이론은 1950년대 중반 디 하만(D. Harman)에 의해서 제시되었으며, 최근들어 학회와 관련업계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라디칼이 인체에 존재하는 원인은 여러 가지 원인이 있으며, 이 라디칼은 세포를 파괴하거나 피부 진피층의 결합조직을 절단하거나 교차 결합을 일으키므로 주름형성, 피부암, 세포살상, 류마티스성 관절염, 아토피성 피부염, 여드름 등 여러 가지 문제를 발생시킨다. 라디칼이 생성되는 원인은 백혈구의 식작용, 미토콘드리아에서의 ATP 생산과정중 전자 전달계, 미엘로퍼 옥사이드(Myeloper Oxide(MPO))의 작용, 자외선, 담배, 정상적인 대사 과정, 스트레스, 공해 물질, 세균 등이다.
물론 인체에는 항산화물질(라디칼 소거제)인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SuperOxide Dismutase: SOD), 카탈라아제(Catalase), 비타민 E, 비타민 C, 유비퀴놀(Uviquinol) 등이 있다. 그러나 점차적으로 항산화 체계는 나이, 공해, 자외선,스트레스 등에 의해 깨지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항산화 체계가 무력화되고, 라디칼이 점차로 증가하게 된다.
이 증가된 라디칼은 진피의 결합조직인 콜라겐(Collagen), 엘라스틴 (Elastin),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 등을 파괴하여 피부의 일정부위 침하 현상을(주름) 일으키며 또한 세포막의 지질 부분을 산화시켜 세포의 파괴 현상을 일으켜 피부염, 여드름, 피부암 등의 질병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 라디칼은 멜라닌형성과정 중 자발적인 산화반응 (도파퀴논 -→멜라닌)에 관여하여 기미, 주근깨 등의 원인 및 주름생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대한 화장품학회지 23권 1호 75~ 132). 종래, 아스코르브산, α-토코페롤, SOD 등이 자유 라디칼 소거 효과를 가지는 물질로 화장료나 의약품에 배합함으로써 주름 및 기타 피부 질환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이용되어 왔으나, 가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배합시 화학적 안정성이 좋지 못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얻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우수한 원료를 찾고자 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여러 천연물을 검색한 결과, 백선피의 추출물이 라디칼 소거제로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백선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자유라디칼 소거)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화장료는 자유 라디칼 소거 성분으로 백선피 추출물을 포함한다.
백선피 추출물은 운향과(芸香科 ;Rutaceae) 식물인 백선(白蘚 : Dictamnus albus L. var. dasycarpus (Turcz.) T. N. Liou et Y. H. Chang.)의 근피추출물을 말한다. 백선피는 한방에서 간헐열, 두통, 류마티스, 척수 신경근염, 뇌막염, 월경장애, 황달, 해열, 진통, 거풍, 진경, 진정, 이뇨, 습진, 사상균성 피부질환, 태선 , 악창, 종창, 옴, 두드러기, 대머리 등에 사용된다( 참조:약초의 성분과 이용 ). 또한 백선피의 성분으로는 딕탐닌(Dictamnine), 딕탐노락톤(Dictamnolactone), 오바큘락톤(Obaculactone), 리모닌(Limonin), 시토스테롤(Sitosterol), 오바큐논산 (Obacunonic acid), 트리고넬린(Trigonelline), 콜린(Choline), 프락시넬론(Fracx- inellone), 캄페스테롤(Campesterol), 스킴미아닌(Skimmianin), 독시카파인(Doxyc- arpaine), γ-파가린(Fagarin) 등이 있다(참조: 중약 대사전, 약초의 성분과 이용 ).
상기 백선피 추출물은 건조된 백선피를 탄소수 1∼3의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 내지 에틸 아세테이트로 4∼30℃에서 3∼20일간 추출한 다음,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선피 추출물은 백선피를 물, 탄소수 1∼3의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 내지 에틸 아세테이트로 50∼100℃에서 3∼24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농축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한편, 추출공정의 수행 전 또는 후에 디에틸에테르 가용성분을 제거한 다음, 농축함으로써 더욱 정제된 백선피 추출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공정에 있어서, 백선피를 잘게 세절하여 사용하고, 추출용매는 시료중량에 대하여 1∼15배 부피량으로 가하며, 유효 성분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각 콘덴서를 장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백선피 추출물은 통상적인 기초 화장료,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스킨), 영양화장수(밀크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엣센스, 팩 등에 첨가되어 항산화 화장료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에 첨가되는 백선피 추출물량은 화장료의 중량에 대하여 0.0001∼5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3중량%로 첨가된다. 0.0001중량% 이하의 농도에서는 라디칼소거의 실질적인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5중량% 이상의 농도에서는 제품 안정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백선피 100g를 잘게 세절하여 70% 에틸알코올 1L에 넣고 실온에서 10일간 침적시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1주일간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7번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완전히 농축하여 건조 중량 17.38g을 얻었다.
실시예 2
백선피 100g를 잘게 세절하여 30% 에틸알코올 1L에 넣고 실온에서 10일간 침적시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1주일간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7번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50℃로 완전히 농축하여 건조 중량 20.04g을 얻었다.
실시예 3
백선피 100g를 잘게 세절하여 70% 에틸알코올 1L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00℃로 8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1주일간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7번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완전히 농축하여 건조 중량 22.38g을 얻었다.
실시예 4
백선피 100g를 잘게 세절하여 30% 에틸알코올 1L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00℃로 8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1주일간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7번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50℃로 완전히 농축하여 건조 중량 28.46g을 얻었다.
실시예 5
백선피 100g를 잘게 세절하여 30% 에틸알코올 1L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00℃로 8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1주일간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7번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이 추출물을 디에틸에테르 1L를 가하여 잘 섞어준 후 두 층으로 완전히 분리시킨 다음, 하층인 수층에 다시 1L의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잘 섞어준 후 두 층으로 완전히 분리시켰다. 이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50℃로 완전히 농축하여 건조 중량 9.12g를 얻었다.
실험예 1
실시예 1∼5에 대하여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를 측정하였다.
DPPH(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 방법(참조:Blois, M.S. Nature 181, 1190, 1958)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DPPH는 시그마(SIGMA)사의 것을 사용하였다. 0.2mM DPPH 메탄올 용액 1ml에 여러 농도의 추출물 에탄올, 메탄올 용액 2ml을 첨가하고 잘 교반한 후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을 시켰다.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대조군으로는 백선피 추출물 대신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자유라디칼 소거효과를 구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백선피 추출물의 자유라디칼 소거효과
실험물질 최종 실험 농도(%) 항산화(자유라디칼 소거) 효과(%) SC50
실시예 1 0.15% 91.09 % 0.067%
실시예 2 0.15% 93.18 % 0.068%
실시예 3 0.15% 90.78 % 0.077%
실시예 4 0.15% 91.65 % 0.089%
실시예 5 0.05% 92.78 % 0.021%
SC50: 자유라디칼을 50% 소거하는 시료의 농도 (50% Scavenging
Concentration)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백선피 추출물은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처방예 1
백선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중 유연화장수(스킨)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백선피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1의 것을 말한다.
성 분 함량(중량%)
부틸렌글리콜글리세린카르복시비닐폴리머디소디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틱에시드에탄올트리에탄올아민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하이드로지네이티드 캐스터 오일페닐트리메티콘방부제향료색소정제수백선피 추출물 4.08.00.060.017.00.20.80.43.50.40.10.01잔량5.0
100
처방예 2
백선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중 로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백선피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1의 것을 말한다.
성 분 함량(중량%)
스테아린산세틸알코올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유동파라핀스쿠알란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카르복시비닐폴리머부틸렌글리콜트리에탄올아민방부제향료색소정제수백선피 추출물 1.01.01.01.01.04.03.04.00.15.00.20.40.10.01잔량5.0
100
처방예 3
백선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백선피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1의 것을 말한다.
성 분 함량(중량%)
스테아린산세틸알코올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왁스유동파라핀스쿠알란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카르복시비닐폴리머부틸렌글리콜글리세린트리에탄올아민방부제향료색소정제수백선피 추출물 2.02.02.00.50.51.01.04.04.04.00.35.03.00.50.40.10.01잔량5.0
100
본 발명에 따른 백선피 추출물는 기존의 자유 라디칼 소거물질과는 달리 천연물에서 추출한 성분이기 때문에 피부자극이 적고 자유라디칼 소거효과가 우수하며 배합시 안정성이 뛰어나 주름 및 피부노화의 방지에 탁월한 항산화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백선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화장료.
  2. 제1항에 있어서, 백선피 추출물이 백선피를 탄소수 1∼3의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 내지 에틸 아세테이트로 4∼30℃에서 3∼20일간 추출한 다음, 농축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화장료.
  3. 제1항에 있어서, 백선피 추출물이 백선피를 물, 탄소수 1∼3의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 내지 에틸 아세테이트로 50∼100℃에서 3∼24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농축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화장료.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백선피 추출물이 추출공정의 수행 전 또는 후에 디에틸에테르 가용성분을 제거한 다음, 농축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화장료.
  5. 제1항에 있어서, 백선피 추출물이 화장료에 건조 중량으로 0.0001∼5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화장료.
  6. 제1항에 있어서, 백선피 추출물이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엣센스 또는 팩에서 선택된 기초 화장료에 첨가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화장료.
KR1020000076357A 2000-12-14 2000-12-14 백선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자유라디칼 소거) 화장료 KR200200477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357A KR20020047761A (ko) 2000-12-14 2000-12-14 백선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자유라디칼 소거) 화장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357A KR20020047761A (ko) 2000-12-14 2000-12-14 백선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자유라디칼 소거) 화장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761A true KR20020047761A (ko) 2002-06-22

Family

ID=27681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357A KR20020047761A (ko) 2000-12-14 2000-12-14 백선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자유라디칼 소거) 화장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77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7908A (ko) * 2013-11-18 2015-05-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4005A (ja) * 1983-11-08 1985-06-08 Kobayashi Kooc:Kk 美白化粧料
JPH07126149A (ja) * 1993-10-28 1995-05-16 Suntory Ltd 美白用化粧料組成物
KR970061238A (ko) * 1996-02-01 1997-09-12 이동빈 한약 약초 분말 맛사지 용품
KR20010111964A (ko) * 2000-06-14 2001-12-20 김정웅 항균성 한방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이 함입된약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4005A (ja) * 1983-11-08 1985-06-08 Kobayashi Kooc:Kk 美白化粧料
JPH07126149A (ja) * 1993-10-28 1995-05-16 Suntory Ltd 美白用化粧料組成物
KR970061238A (ko) * 1996-02-01 1997-09-12 이동빈 한약 약초 분말 맛사지 용품
KR20010111964A (ko) * 2000-06-14 2001-12-20 김정웅 항균성 한방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이 함입된약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7908A (ko) * 2013-11-18 2015-05-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67278B2 (ja) 皮膚化粧料
KR100793019B1 (ko)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갖는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53278B1 (ko) 항염 및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020080657A (ko) 합환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US7527813B2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n extract of Limnocitrus littoralis
JP4906179B2 (ja) 皮膚外用剤
JPH11171723A (ja) 抗酸化剤
KR20060093164A (ko) 주름완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37462A (ko) 님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99999B1 (ko) 창이자(도꼬마리)추출물을함유하는자유라디칼소거화장료
KR20020047762A (ko) 지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자유라디칼 소거) 화장료
KR100367563B1 (ko) 감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JP2000096050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KR20020047761A (ko) 백선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자유라디칼 소거) 화장료
KR100770512B1 (ko) 상기생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KR20140019964A (ko)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증류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00045576A (ko) 산사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유라디칼 소거용 화장료
KR20110081514A (ko) 마디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10018665A (ko) 죽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9990085303A (ko) 피부 미백재
KR100787782B1 (ko) 블루 로터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N112516014B (zh) 一种罗布麻提取物及其制备方法、抗紫外抗氧化美白化妆品及其制备方法
KR20020047760A (ko) 백선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제
KR20020080656A (ko) 편축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KR20010018663A (ko) 가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