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7573A - 대형 연소용기 - Google Patents

대형 연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7573A
KR20150057573A KR1020130141091A KR20130141091A KR20150057573A KR 20150057573 A KR20150057573 A KR 20150057573A KR 1020130141091 A KR1020130141091 A KR 1020130141091A KR 20130141091 A KR20130141091 A KR 20130141091A KR 20150057573 A KR20150057573 A KR 20150057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ir
gas
burner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9152B1 (ko
Inventor
이향천
Original Assignee
이향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향천 filed Critical 이향천
Priority to KR1020130141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152B1/ko
Publication of KR20150057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enlarged bott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화력을 향상시키고, 과열에 의한 폭발의 위험을 방지하며, 내구성 및 안전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국솥의 회전 및 고정을 구조적으로 안정화 구현한 대형 연소용기가 개시된다. 대형 연소용기는 내피(731)와 외피(732)가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피(731)의 상부 개구부로 음식물을 수용하는 국솥(73)과, 상기 국솥(73)을 지면에 대해 지지시키는 본체부(71)와, 상기 국솥(73)의 내부 공간부로 열원을 공급하는 버너(79)와, 상기 버너(79) 측으로 혼합된 연소용 가스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배관 파이프(76)와, 일 측에 공기 유입구(756)가 형성되어 상기 배관 파이프(76)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75)와, 상기 배관 파이프(76)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관(758)을 포함하며; 상기 가스 공급관(758)은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송풍기(75)의 상류 측에 연결되어, 상기 송풍기(75)에 의해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어 공급된다. 따라서, 화력의 저하를 방지하여 안정적인 조리가 가능하고, 과열 시 팽창을 억제하여 폭발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점화봉 배선이 잦은 움직임으로 인한 마찰 또는 열원 등에 의해 손상을 입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하고 외관도 깔끔해질 뿐 아니라, 위생적이며 국솥 내부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대형 연소용기{LARGE SIZE COMBUSTION INSTRUMENT FOR COOKING}
본 발명은 대형 연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당이나 급식소 등에서 국 등의 조리를 수행하도록 대형 용기와 연소 수단을 구비한 대형 연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연소용기는 대용량 탕 등의 종류를 취급하며 비교적 큰 식당이나 단체 급식소 등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대형 연소용기는 크게 탕을 수용하는 국솥과, 상기 국솥을 저면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저면에서 국솥으로 열원을 공급하는 버너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대형 연소용기에 의해서 국솥에 수용된 탕 종류의 액상 조리 대상물이 장시간 가열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대형 연소용기는 국솥의 상부에 뚜껑을 구비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열기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선 출원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7835호(2010.06.22)에는 업소용 국솥 버너의 연소효율 증강장치가 개시된바 있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7986(2003.09.16)에는 대형 조리용기의 기울기 조절장치가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업소용 국솥 버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업소용 국솥 버너는 내부에 화염과 열기 및 배기가스가 유동될 수 있는 공간부를 갖는 국솥(10)과, 국솥(10)을 지면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지몸체부(20)와, 국솥(10)의 저면부 케이스(32)에 설치되어 가스의 연소를 통해 열원을 공급하는 버너(30)와, 일 측에 손잡이(41)를 구비하고 국솥(10)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하는 뚜껑(40)과, 지지몸체부(20)와 뚜껑(40) 사이에 설치되어 뚜껑(40)의 회동 구심점으로 작용하는 경첩(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지만, 종래의 대형 연소용기는 버너를 연소하기 위한 공기를 송풍기가 강제 흡입하고 연소용 가스는 벤츄리의 차압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와 가스를 혼합하게 된다. 결국, 종래의 대형 연소용기는 가스를 유입하기 위한 가스 공급부가 공기 유동 방향으로 송풍기의 하류 측에 연결되어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어 버너 측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가스와 공기의 혼합성이 떨어져 화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대형 연소용기는 국솥 내피와 외피의 사이가 가열됨에 따라 부피가 팽창하여 오랜 시간 조리를 수행할 경우 자칫 폭발할 수 있는 위험이 있었고, 버너의 점화부가 내구성 및 안전성 측면에서 유리하지 못하며, 국솥의 회전 및 고정이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7835호(2010.06.2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7986(2003.09.16)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화력을 향상시키고, 과열에 의한 폭발의 위험을 방지하며, 내구성 및 안전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국솥의 회전 및 고정을 구조적으로 안정화 구현한 대형 연소용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연소용기는 내피(731)와 외피(732)가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피(731)의 상부 개구부로 음식물을 수용하는 국솥(73)과, 상기 국솥(73)을 지면에 대해 지지시키는 본체부(71)와, 상기 국솥(73)의 내부 공간부로 열원을 공급하는 버너(79)와, 상기 버너(79) 측으로 혼합된 연소용 가스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배관 파이프(76)와, 일 측에 공기 유입구(756)가 형성되어 상기 배관 파이프(76)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75)와, 상기 배관 파이프(76)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관(758)을 포함하며; 상기 가스 공급관(758)은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송풍기(75)의 상류 측에 연결되어, 상기 송풍기(75)에 의해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어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연소용기는 화력의 저하를 방지하여 안정적인 조리가 가능하고, 과열 시 팽창을 억제하여 폭발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점화봉 배선이 잦은 움직임으로 인한 마찰 또는 열원 등에 의해 손상을 입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하고 외관도 깔끔해질 뿐 아니라, 위생적이며 국솥 내부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의 업소용 국솥 버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형 연소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형 연소용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형 연소용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형 연소용기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형 연소용기의 배관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형 연소용기의 핸드휠 잠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형 연소용기의 핸드휠 잠금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대형 연소용기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형 연소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형 연소용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형 연소용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형 연소용기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형 연소용기의 배관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형 연소용기의 핸드휠 잠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형 연소용기의 핸드휠 잠금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형 연소용기(7)는 국솥(73)과, 본체부(71)와, 버너(79)와, 배관 파이프(76)와, 송풍기(75)와, 가스 공급관(758)과, 핸드휠(771)과, 핸드휠 잠금부(77)와, 뚜껑(7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국솥(73)은 내피(731)와 외피(732)가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피(731)의 상부 개구부로 음식물을 수용한다. 상기 내피(731)의 내부에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진공 공간부에 열매체(7311)가 구비된다. 열매체(7311)는 써미놀 등의 열매체유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진공 공간부 및 열매체(7311)는 과열 시 팽창을 억제하여 폭발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국솥(73)은 수용된 음식물을 덜거나 일 측으로 모으기 위해 후술할 본체부(7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국솥(73)에는 점화 상태 등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점화 확인창(736)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71)는 대형 연소용기(7)의 메인 프레임으로서, 상기 국솥(73)을 지면에 대해 지지시킨다. 본체부(71)의 하부에는 지면에 견고히 고정되기 위한 앙카고정발(715)이 다수개 구비된다. 아울러, 본체부(71)는 내부 장치들을 커버하여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711)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71)에는 국솥(73)을 원활히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베어링(735)이 구비된다.
버너(79)는 상기 국솥(73)의 내부 공간부로 열원을 공급한다. 국솥(73)의 외피(732) 하부에는 버너 케이스(791)가 결합되고, 버너(79)는 국솥(73)의 공간부 내측으로 형성되어 불꽃을 발생시킨다. 상기 버너(79)는 세라믹 점화봉 히터(793)를 구비한다. 후술할 배관 파이프(76)의 일 측에 상기 점화봉 히터(793)의 배선을 내부로 삽입시켜 커버하는 점화봉 배선 파이프(792)가 구비된다.
상기 점화봉 배선 파이프(792)는 배관 파이프(76)에 결합될 수 있다. 버너(79)가 세라믹 점화봉 히터(793)로 구성되어 스파크 방식과 비교하여 내구성 및 안전성 측면에서 유리하며, 점화봉 배선이 점화봉 배선 파이프(792)의 내부로 들어감에 따라 점화봉 배선이 잦은 움직임으로 인한 마찰 또는 열원 등에 의해 손상을 입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하고 외관도 깔끔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점화봉 배선 파이프(792)가 배관 파이프(76)에 결합되어 심플한 배관 및 배선 정리가 가능하다.
배관 파이프(76)는 상기 버너(79) 측으로 혼합된 연소용 가스와 공기를 공급한다. 배관 파이프(76)의 일 단부는 버너(79) 측에 유니온(765)에 의해 연결되며 타 단부는 샤프트(738)에 연결된다. 상기 샤프트(738)는 일 측이 국솥(73)에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국솥(73)을 일체로 회전시킨다. 아울러, 샤프트(738)의 타 측은 베어링 수단 등에 의해 본체부(7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결국, 후술할 송풍기(75)를 통해 혼합되어 유입되는 공기와 가스는 샤프트(738)의 내부를 지나 배관 파이프(76)를 통해 버너(79)로 공급된다.
송풍기(75)는 일 측에 공기 유입구(756)가 형성되어 상기 배관 파이프(76)로 공기를 공급한다. 아울러, 송풍기(75)는 후술할 가스 공급관(758)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를 공기와 혼합시켜 배관 파이프(76)로 강제 송풍하게 된다.
가스 공급관(758)은 상기 배관 파이프(76)로 가스를 공급한다. 가스 공급관(758) 상에는 가스의 유동을 개폐하기 위한 볼 밸브(757)와, 가스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거버너(755)가 설치된다. 상기 가스 공급관(758)은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송풍기(75)의 상류 측에 연결되어, 상기 송풍기(75)에 의해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어 공급된다.
이와 같이, 가스 공급관(758)은 공기 유동 방향으로 송풍기(75)의 상류 측에 연결되어 송풍기(75)의 강제 흡입력에 의해 공기와 가스가 함께 송풍기(75) 내부로 흡입 및 혼합되어 배관 파이프(76)를 통해 버너(79)로 공급되는 구조를 통해 공급압을 높여 화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의 구조는 차압에 의해 가스를 별도의 벤츄리 구조를 통해 공급하는 구조와 비교하여, 일정한 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국솥(73)은 본체부(71)에 대해 샤프트(738)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738)에 기어로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국솥(73)을 회전시키는 핸드휠(771)을 구비한다. 핸드휠 잠금부(77)는 상기 핸드휠(771)의 회전을 구속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핸드휠 잠금부(77)는 본체부(71)에 결합되는 프레임(774)과, 상기 프레임(77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축부재(775)와, 상기 축부재(775)의 일 측에 결합되는 조작부재(773)와, 상기 축부재(775)의 타 측에 결합되어 조작부재(773)의 조작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핸드휠(771)의 축을 걸림 또는 걸림 해제시켜 핸드휠(771)을 고정하는 고정홈(777)이 형성된 스토퍼(776)와, 상기 스토퍼(776)가 핸드휠(771)의 축 측으로 향하도록 축부재(775)를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778)을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국솥(73)에는 공간부를 퍼지하는 연도(737)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형 연소용기(7)는 컨트롤러(78)를 더 구비한다. 컨트롤러(78)는 상기 버너(79)의 연소가 종료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송풍기(75)를 구동시켜, 공기를 국솥(73)의 공간부 측으로 강제 송풍함으로써 국솥(73)의 공간부를 퍼지한다. 따라서, 일정시간 대형 연소용기(7)를 사용한 후 점화 OFF 시점 이후의 잔류하는 가스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뚜껑(733)은 상기 국솥(73)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하며, 일 측에 손잡이(7341)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71)에는 경첩(734)을 통해 받침부재(735)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뚜껑(733)은 단일체로 이루어져 원터치로 개폐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는 뚜껑(733)을 2단으로 접이식 구성한 구조와 비교하여 중간 접이 부위에서 발생하는 틈으로 인해 이물질이 국솥(73)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이며 국솥(73) 내부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연소용기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7 : 대형 연소용기
71 : 본체부 73 : 국솥
75 : 송풍기 76 : 배관 파이프
77 : 핸드휠 잠금부 78 : 컨트롤러
79 : 버너

Claims (6)

  1. 내피(731)와 외피(732)가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피(731)의 상부 개구부로 음식물을 수용하는 국솥(73)과, 상기 국솥(73)을 지면에 대해 지지시키는 본체부(71)와, 상기 국솥(73)의 내부 공간부로 열원을 공급하는 버너(79)와, 상기 버너(79) 측으로 혼합된 연소용 가스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배관 파이프(76)와, 일 측에 공기 유입구(756)가 형성되어 상기 배관 파이프(76)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75)와, 상기 배관 파이프(76)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관(758)을 포함하며; 상기 가스 공급관(758)은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송풍기(75)의 상류 측에 연결되어, 상기 송풍기(75)에 의해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연소용기.
  2. 내피(731)와 외피(732)가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피(731)의 상부 개구부로 음식물을 수용하는 국솥(73)과, 상기 국솥(73)을 지면에 대해 지지시키는 본체부(71)와, 상기 국솥(73)의 내부 공간부로 열원을 공급하는 버너(79)와, 상기 버너(79) 측으로 혼합된 연소용 가스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배관 파이프(76)와, 일 측에 공기 유입구(756)가 형성되어 상기 배관 파이프(76)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75)와, 상기 배관 파이프(76)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관(758)을 포함하며; 상기 내피(731)의 내부에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진공 공간부에 열매체(731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연소용기.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79)는 세라믹 점화봉 히터(793)를 구비하고, 상기 배관 파이프(76)의 일 측에 상기 점화봉 히터(793)의 배선을 내부로 삽입시켜 커버하는 점화봉 배선 파이프(792)가 구비되며, 상기 점화봉 배선 파이프(792)는 배관 파이프(76)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연소용기.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국솥(73)은 본체부(71)에 대해 샤프트(738)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738)에 기어로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국솥(73)을 회전시키는 핸드휠(771)을 구비하며, 상기 핸드휠(771)의 회전을 구속하는 핸드휠 잠금부(77)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휠 잠금부(77)는 본체부(71)에 결합되는 프레임(774)과, 상기 프레임(77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축부재(775)와, 상기 축부재(775)의 일 측에 결합되는 조작부재(773)와, 상기 축부재(775)의 타 측에 결합되어 조작부재(773)의 조작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핸드휠(771)의 축을 걸림 또는 걸림 해제시켜 핸드휠(771)을 고정하는 고정홈(777)이 형성된 스토퍼(776)와, 상기 스토퍼(776)가 핸드휠(771)의 축 측으로 향하도록 축부재(775)를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77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연소용기.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국솥(73)의 공간부를 퍼지하는 연도(737)를 구비하고, 상기 버너(79)의 연소가 종료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송풍기(75)를 통해 공기를 강제 송풍하여 국솥(73)의 공간부를 퍼지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7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연소용기.
  6.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국솥(73)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하는 뚜껑(733)과, 상기 본체부(71)에 경첩(734)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뚜겅(734)과 결합되는 받침부재(735)를 구비하며; 상기 뚜껑(733)은 단일체로 이루어져 원터치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연소용기.
KR1020130141091A 2013-11-20 2013-11-20 대형 연소용기 KR101579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091A KR101579152B1 (ko) 2013-11-20 2013-11-20 대형 연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091A KR101579152B1 (ko) 2013-11-20 2013-11-20 대형 연소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573A true KR20150057573A (ko) 2015-05-28
KR101579152B1 KR101579152B1 (ko) 2015-12-22

Family

ID=53392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091A KR101579152B1 (ko) 2013-11-20 2013-11-20 대형 연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91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206B1 (ko) * 2019-01-29 2019-07-03 김은식 식당용 대형 조리기
WO2019243277A1 (de) * 2018-06-19 2019-12-26 Rational International Ag Gargerät mit einem träger und einem garkörpe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937A (ko) * 1994-05-12 1995-12-18 이현직 전기밥솥
JP2003117367A (ja) * 2001-10-18 2003-04-22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混合器
KR200327986Y1 (ko) 2003-07-10 2003-09-26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대형 조리용기의 기울기 조절장치
KR200429044Y1 (ko) * 2006-07-19 2006-10-17 주식회사 금호조리기 업소용 대형 국솥
KR20100067835A (ko) 2008-12-12 2010-06-2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업소용 국솥 버너의 연소효율 증강장치
KR101246246B1 (ko) * 2011-10-12 2013-03-21 주식회사3차버너 업소용 대형 국솥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937A (ko) * 1994-05-12 1995-12-18 이현직 전기밥솥
JP2003117367A (ja) * 2001-10-18 2003-04-22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混合器
KR200327986Y1 (ko) 2003-07-10 2003-09-26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대형 조리용기의 기울기 조절장치
KR200429044Y1 (ko) * 2006-07-19 2006-10-17 주식회사 금호조리기 업소용 대형 국솥
KR20100067835A (ko) 2008-12-12 2010-06-2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업소용 국솥 버너의 연소효율 증강장치
KR101246246B1 (ko) * 2011-10-12 2013-03-21 주식회사3차버너 업소용 대형 국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3277A1 (de) * 2018-06-19 2019-12-26 Rational International Ag Gargerät mit einem träger und einem garkörper
KR101996206B1 (ko) * 2019-01-29 2019-07-03 김은식 식당용 대형 조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9152B1 (ko) 201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1839B2 (en) Heating apparatus with fan
US20170198917A1 (en) Kamado style cooker with improved control means
US9441840B2 (en) Heating apparatus with fan
US20160061456A1 (en) Portable burner
JP2007075471A (ja) 加熱調理器
KR20150117416A (ko) 양방향조리기구
ES2285212T3 (es) Aparato de calefaccion de alto rendimiento.
JP4453907B2 (ja) ガスコンロ
KR101579152B1 (ko) 대형 연소용기
JP2003207135A (ja) ガスこんろ
EP3726142B1 (en) Wood stove
KR101474898B1 (ko) 로스톨 없는 간텍기
CN103629700A (zh) 覆盖保温、余热榨干式、取暖、做饭、烧水、烘烤与餐桌多功能炉灶
KR101932451B1 (ko) 복합기능을 갖는 구이기
JP2002267163A (ja) コンロ
JP2000325230A (ja) ガス回転釜
KR200384374Y1 (ko) 열풍가열식 고기구이구
KR20160107623A (ko) 온수보일러 겸용 휴대용 난로
JP2004100976A (ja) ガスこんろ
KR20110032119A (ko) 가스 그리들 장치
JP3184300U (ja) 携帯調理器
KR102274907B1 (ko) 조리기 일체형 테이블
JP2003090544A (ja) ビルトインコンロ
CN207990744U (zh) 隔热罩和燃气灶具总成
JP3080177U (ja) 卓上小型ガスコン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