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6030A -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 Google Patents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6030A
KR20150056030A KR1020140059417A KR20140059417A KR20150056030A KR 20150056030 A KR20150056030 A KR 20150056030A KR 1020140059417 A KR1020140059417 A KR 1020140059417A KR 20140059417 A KR20140059417 A KR 20140059417A KR 20150056030 A KR20150056030 A KR 20150056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movable member
connection terminal
electrical connect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기
강태만
Original Assignee
조인셋 주식회사
김선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셋 주식회사, 김선기 filed Critical 조인셋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56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0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8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comprising means for preventing flowing or wicking of solder or flux in parts not desir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1Surface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31Surface mounted metallic connecto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전기기기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고정되고, 구조물에 결합된 전자소자를 포함하는 전자모듈 유닛으로서, 상기 전자모듈 유닛은,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입출력 도전패드와, 상기 입출력 도전패드 위에 솔더링에 의해 실장된 탄성 전기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전자모듈 유닛이 개시된다. 상기 전기접속단자는, 통 형상의 금속 재질의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끼워져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통 형상의 금속 재질의 가동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수납되어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의 바닥에 접촉하고 타단이 상기 가동부재의 바닥에 접촉하여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탄성적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전기전도성 금속 스프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Electronic module unit having surface-mount typed electric connect terminal}
본 발명은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향하는 도전성 대상물과 신뢰성 있게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대상물에 의해 눌리는 힘과 복원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솔더링시 들뜸과 치우침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제품의 높이 대비 이동거리가 크고 제조 원가가 저렴하면서 신뢰성 있는 품질을 갖는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 또는 전기기기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전자모듈 유닛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자부품으로 이루어지며 회로기판의 도전패턴에 실장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일부 전자모듈 유닛은 기능적으로 독립된 구조를 이루어 별도로 제공되어 장착되는데, 가령 스마트폰에 적용되는 스피커 유닛이나 마이크로폰 유닛 또는 카메라 유닛은 회로기판에 실장되지 않고 하우징에 직접 장착된 다음 전원이나 신호를 공급받거나 출력하기 위해 회로기판의 도전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독립된 구조를 갖는 전자모듈 유닛과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며, 특히 탄성을 갖는 전기접속단자가 필요하다.
종래에는 이러한 전기접속단자로 통상 코일 스프링이 사용되어 코일 스프링의 일단이 전자모듈 유닛에 고정되고 타단이 가압에 의해 회로기판의 도전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하우징 내에 전자모듈 유닛을 장착한 다음, 회로기판을 결합하여 전자모듈 유닛의 코일 스프링이 회로기판의 도전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경우, 회로기판의 가압에 의해 스프링이 수평방향으로 밀리면 정확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의 단부가 회로기판의 도전패턴에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접촉저항이 증가하고 전기적 접촉의 신뢰성이 저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의 일단을 전자모듈 유닛에 기계적 결합에 의해 고정하기 때문에 작업속도가 늦고 접촉 불량이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자모듈 유닛을 취급하는 과정에서 정전기 방지를 위해 착용하는 장갑 등에 의해 코일 스프링의 모서리 부분이 걸려 형상이 변형되어 불량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상물의 변형 하중에 대해 우수한 텐션 기능을 갖는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취급 과정에서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공픽업에 의한 리플로우 솔더링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낮은 높이를 갖고 이동거리가 큰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원가가 저렴한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솔더링을 위한 장착 시 또는 솔더링 장착 후 쉽게 분리되지 않는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하방향의 전기저항 또는 전기접촉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공 픽업에 의한 솔더크림에 의한 리플로우 솔더링 시 들뜸이나 치우침이 발생하지 않아 솔더링의 신뢰성이 향상된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은 사이즈를 갖는 제품에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밑면의 면적에 대비하여 높이가 높은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공 픽업에 의한 솔더크림에 의한 리플로우 솔더링 시 솔더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전기기기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고정되고, 구조물에 결합된 전자소자를 포함하는 전자모듈 유닛으로서, 상기 전자모듈 유닛은,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입출력 도전패드와, 상기 입출력 도전패드 위에 솔더링에 의해 실장된 탄성 전기접속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접속단자는, 상기 도전패턴에 솔더크림에 의한 리플로우 솔더링되어 실장되는 통 형상의 금속 재질의 고정부재; 상면에 진공픽업을 위한 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재에 끼워져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통 형상의 금속 재질의 가동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수납되어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의 바닥에 접촉하고 타단이 상기 가동부재의 바닥에 접촉하여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탄성적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금속 재질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항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받아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걸림부에 의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개구 가장자리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턱; 및 상기 가동부재의 개구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플랜지로 구성되며,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플랜지의 폭은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도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상기 플랜지의 단부면과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을 가능한 크게 유지하는 정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턱은 상기 고정부재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 또는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재의 총 중량을 상기 가동부재의 총 중량보다 무겁게 하여 상기 전기접속단자의 무게 중심이 상기 고정부재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재의 직경과 두께는 상기 가동부재의 직경과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재의 하면 모서리와 상기 가동부재의 상면 모서리는 라운드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재의 하면은 가장자리로부터 중심으로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움푹 패인 구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재의 하면 중심에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바닥 내측으로 엠보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엠보싱에 끼워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프링은 적어도 상기 고정부재의 바닥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촉하는 큰 직경부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재의 하면에는 솔더크림에 의한 솔더링이 용이하지 않은 비 솔더링 영역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비 솔더링 영역은 상기 고정부재의 하면 중심 부분에 원형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프링은 전기전도성을 갖는 금속 와이어를 다수 회 감아서 형성하며, 각 턴(turn)이 서로 이격되도록 하여 수직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의 두께가 각각 동일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높이는 상기 가동부재의 높이보다 상기 살 두께만큼 높은 경우, 상기 가동부재가 최대로 눌릴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가동부재는 각각 금속 시트를 프레스 가공하여 제조한 프레스물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가동부재는 원통 형상이거나 타원통 형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접속단자의 높이는 0.5mm 이상 3㎜ 이하일 수 있고, 상기 전기접속단자의 상하의 전기저항은 압착되기 전에 0.5ohm 이하이고, 상기 가동부재가 가압될수록 감소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접속단자는 진공 픽업에 의해 상기 도전패드 위의 솔더크림에 장착되어 리플로우 솔더링되어 상기 도전패드에 실장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가동부재는 폭에 비해 길이가 긴 형상이고, 각각 중앙에 형성된 협폭부와 상기 협폭부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협폭부보다 큰 폭을 갖는 한 쌍의 광폭부로 구성되며, 상기 각 광폭부에 상기 스프링이 수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가동부재는 폭에 비해 길이가 긴 형상이고, 각각 중앙에 형성된 광폭부와 상기 광폭부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광폭부보다 작은 폭을 갖는 한 쌍의 협폭부로 구성되며, 상기 광폭부에 상기 스프링이 수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가동부재는 폭에 비해 길이가 긴 형상이고, 각각 길이가 긴 협폭부와 상기 협폭부의 적어도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협폭부보다 큰 폭을 갖는 광폭부로 구성되며, 상기 각 광폭부에 상기 스프링이 수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전기기기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고정되고, 구조물에 결합된 전자소자를 포함하는 전자모듈 유닛으로서, 상기 전자모듈 유닛은,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입출력 도전패드와, 상기 입출력 도전패드 위에 솔더링에 의해 실장된 탄성 전기접속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접속단자는, 상기 도전패턴에 솔더크림에 의한 리플로우 솔더링되어 실장되는 사각 통 형상의 금속 재질의 고정부재; 상면에 진공픽업을 위한 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재에 끼워져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사각 통 형상의 금속 재질의 가동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수납되어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의 바닥에 접촉하고 타단이 상기 가동부재의 바닥에 접촉하여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탄성적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금속 재질의 플랫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플랫 스프링에 의해 항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플랫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받아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걸림부에 의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재, 상기 가동부재 및 상기 플랫 스프링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 시트가 프레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플랫 스프링은 상기 고정부재의 바닥과 상기 가동부재의 바닥에 접촉하는 한 쌍의 접촉부와 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접촉부를 서로 연결하면서 외부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하는 탄성변형부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플랫 스프링은 Z 형상, C 형상,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Σ 형상, 또는 벤딩된 스트립 형상의 수직 단면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촉부와 상기 탄성변형부의 경계는 일정한 곡률 반경으로 구부러지거나 일정한 사잇각을 이룬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촉부 각각의 폭과 길이를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의 바닥의 폭과 길이보다 같거나 짧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전자모듈 유닛의 전기접속단자에 있어서 통 형상의 고정부재가 전자모듈 유닛의 도전패드에 솔더링에 의해 고정되고 통 형상의 가동부재가 대상물의 변형 하중에 의해 고정부재에 대해 슬라이드 되므로 안정적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안정적이고 우수한 텐션 기능을 갖게 된다.
또한, 통 형상의 고정부재와 가동부재가 서로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전자모듈 유닛을 취급하는 과정에서 전기접속단자의 변형이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가동부재의 상면을 진공 픽업이 가능하도록 편평한 수평면으로 구성함으로써 진공픽업에 의한 리플로우 솔더링이 용이하며, 가동부재가 고정부재에 의해 확실하게 걸림으로써 리플로우 솔더링 중이나 대상물의 움직임이 많은 경우에도 가동부재의 이탈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동부재와 고정부재가 서로 슬라이딩(sliding)이 용이하게 되면서 기구적으로 분리가 안되게 결합되어 솔더링을 위한 장착 시 또는 솔더링 장착 후 고정부재에서 가동부재가 신뢰성 있게 결합을 유지한다.
또한, 가동부재의 하단에 살 두께에 대응하는 플랜지를 형성하여 고정부재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같은 높이에서 이동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어 낮은 높이를 갖고 이동거리가 큰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가동부재와 고정부재를 모두 금속 시트를 프레스하여 제조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여 수율이 향상되고 제조원가가 저렴하다.
또한, 고정부재의 바닥의 중앙 부분에 내측으로 돌출된 엠보싱에 의해 코일 스프링의 일단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고정부재의 내부에 수용된 코일 스프링이 뒤틀릴 확률이 적다.
엠보싱 대신에 스프링의 고정부재 바닥에 접촉하는 부분의 직경을 크게 하여 고정부재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엠보싱 없이도 스프링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의 하면에 솔더링이 용이하지 않은 비 솔더링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솔더크림에 의한 리플로우 솔더링 시 움직임이 적어 신뢰성 있는 솔더링이 가능하다.
또한, 가동부재의 플랜지와 고정부재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을 가능한 크게 구성하여 가동부재의 플랜지가 고정부재의 내측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가동부재의 이동을 매끄럽게 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를 구성하는 재질의 경도를 가동부재를 구성하는 재질의 경도보다 낮게 하여 반복 압축 시 가동부재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적게 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와 가동부재의 조립품으로 이루어져 밑면의 면적 대비 높이가 높은 구조를 갖기 용이하다.
또한, 살 두께를 조정하는 등의 방법을 통하여, 고정부재의 총 중량이 가동부재의 총 중량보다 크게 하여 무게 중심이 전기접속단자의 하부 쪽으로 치우쳐 리플로우 솔더링 시 움직임이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와 가동부재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일정한 두께와 면적을 갖는 플랫 스프링의 전기저항은 얇은 금속선이 감겨진 코일 스프링보다 작기 때문에 고정부재와 가동부재를 작은 전기저항으로 연결해 줄 수 있다.
또한, 플랫 스프링의 접촉부의 면적이 고정부재와 가동부재 각각의 바닥의 면적과 대략 유사하기 때문에 접촉면적이 커서 전기저항 또는 전기접촉저항이 적어짐과 동시에 플랫 스프링이 뒤틀릴 확률이 적다.
또한, 고정부재의 내부에 탄성을 갖는 내열 탄성 충진재를 충진하여 접착하면, 플랫 스프링의 누르는 힘과 탄성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의 크기를 가동부재의 크기보다 크게 하고 사각 통 형상의 고정부재의 폭을 도전 패턴의 폭과 유사하게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전자모듈 유닛의 도전패드에 실장할 수 있고 솔더링 강도가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모듈 유닛이 전자기기의 하우징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a)와 4(b)는 각각 가동부재를 가압하기 전후의 상태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나타낸다.
도 5a는 전기접속단자가 전자모듈 유닛의 도전패드 위에 형성된 솔더크림 위에 리플로우 솔더링 위에 장착된 것을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나타낸다.
도 8(a)과 8(b)은 전기접속단자의 고정부재의 하면이 솔더링 되는 부분와 솔더링이 되지 않는 부분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보여준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나타내는데, 도 9(a)는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나타내는데, 도 10(a)은 사시도이고 도 10(b)은 도 10(a)의 C-C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A-A와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a)과 13(b)은 각각 가동부재와 고정부재를 나타낸다.
도 14(a)와 14(b)는 각각 고정부재를 가공하기 전후의 상태를 보여준다.
도 15는 플랫 스프링의 변형 모습을 보여준다.
도 16(a)과 16(b)은 각각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의 작동을 보여준다.
도 17(a) 내지 17(c)은 각각 다른 플랫 스프링을 적용한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모듈 유닛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모듈 유닛이 전자기기의 하우징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는 도 2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4(a)와 4(b)는 각각 가동부재를 가압하기 전후의 상태를 보여준다.
도 1을 보면, 전기기기 또는 전자기기의 하우징(10)에는 다양한 전자모듈 유닛(20, 30)이 설치되는데, 하우징(10)과 일체로 형성된 수납용 리브(14)에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 12는 개구를 나타낸다.
전자모듈 유닛(20, 30)은, 가령 도 1에서 원안에 확대하여 도시한 스피커 유닛(20)이거나, 마이크로폰 유닛(30) 또는 모터 유닛, 안테나 유닛, 센서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카메라 유닛일 수 있다.
납작한 사각박스 형상의 스피커 유닛(20)는 사출물과 같은 구조물(21) 내에 스피커와 같은 전기소자(미도시)가 매립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구조물(21)은 하우징(10)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리브(14)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도 1에는 스피커 유닛(20)의 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시되지 않은 전면에 대응하여 하우징(10)에 음향 출력구멍이 형성된다.
구조물(21)의 후면에는 한 쌍의 개구(22)가 형성되고, 각 개구(22)에는 입력 패드(24)가 형성되며, 입력 도전패드(24)에는 탄성 전기접속단자(100)가 솔더링에 의해 실장된다. 형성되는 개구(22)의 개수는 이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전원이나 신호의 공급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전기접속단자(100)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회로기판(미도시)의 신호패턴을 통하여 음향신호가 입력되며, 입력 도전패드(24)를 통하여 스피커에 전달되고, 스피커를 통하여 음향으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이 예에서는 구조물(21)에 형성된 도전패드가 신호 입력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마이크로폰 유닛(30)과 같이 신호를 출력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이외에 전원이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자모듈 유닛(20, 30)의 한 부분을 구성하는 탄성 전기접속단자(100)는 외부의 대상물과 전자모듈 유닛(20, 30)의 전기소자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역할을 하며, 표면실장형으로 리플로우 솔더링에 의해 전자모듈 유닛(20, 30)에 실장된다.
도 2와 3을 참조하면,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100)는 전자모듈 유닛(20, 30)의 도전패드(24)에 솔더링에 의해 실장되는 금속 재질의 고정부재(110)와, 고정부재(110)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금속 재질의 가동부재(120), 및 가동부재(120)가 고정부재(110)에 끼워져 탄성적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탄성과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금속 재질의 스프링(13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고정부재(110)가 전자모듈 유닛(20, 30)의 도전패드(24)에 솔더링에 의해 고정되고 가동부재(120)가 대상물, 가령 회로기판 등의 변형 하중에 의해 고정부재(110)에 대해 슬라이드 되므로 안정적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130)에 의해 안정적이고 우수한 텐션 기능을 갖게 된다.
또한, 고정부재(110)와 가동부재(120)가 서로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여 외관이 매끄러움을 유지하므로 전자모듈 유닛(20, 30)을 취급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장갑 등에 의해 걸려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기접속단자(100)의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특히 0.5㎜ 이상 내지 3㎜ 이하의 높이를 갖는 작은 사이즈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가동부재(120)는 일정한 간극을 두고 고정부재(110)에 끼워져 슬라이드되는데, 각각의 직경이 높이에 비해 큰 치수를 갖기 때문에 가동부재(120)가 상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흔들림이 적고, 고정부재(110)의 하면의 직경이 가동부재(120)의 상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솔더링에 의한 도전패드(24)에서의 고정이 더욱 단단하게 이루어지므로 가동부재(120)의 흔들림을 더욱 줄일 수 있다.
고정부재(110)와 가동부재(120)는 분리된 상태에서 대략 유사한 높이를 가지는데, 각각의 살 두께가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고정부재(110)의 높이가 가동부재(120)의 높이보다 살 두께만큼 높게 형성되는 경우 가동부재(120)의 최대 이동거리(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다.
이때, 가동부재(120)의 돌출 높이가 결국 이동거리(스트로크)가 되며, 가동부재(120)의 상면과 고정부재(110)의 상면이 같은 레벨을 이룰 때 최대 이동거리가 된다. 따라서, 고정부재(110)의 내부의 깊이를 가동부재(120)의 돌출 높이와 같도록만 하면 최대 이동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데, 실제에 있어서는 가동부재(120)가 최대로 가압되더라도 가동부재(120)의 상면이 고정부재(110)의 상면보다 돌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실제 제작시의 치수를 예를 들면, 결합 상태에서 고정부재(110)의 높이는 1.2㎜, 가동부재(120)가 돌출된 높이는 0.8㎜, 고정부재(110)의 직경은 2㎜, 가동부재(120)의 직경은 고정부재(110)의 직경보다 작도록 1.3㎜ 정도일 수 있는데, 이는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치수를 변경할 수 있다.
고정부재(110)와 가동부재(120)는, 도 1과 같이 원통이나 이에 유사한 형상, 가령 타원통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통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도전패드(24)의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도전패드(24)가 사각형일 경우 모서리가 라운드진 정사각이나 직사각 통 형상이 적절할 수 있으며, 양단에 원호가 형성된 정사각이나 직사각 통 형상 등이 있을 수 있다.
전기접속단자(100)의 상하의 전기저항은 가동부재(120)가 눌릴수록 감소하는데, 통상 어떠한 조건에서도 0.5ohm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고정부재(110)와 가동부재(120)의 내부와 스프링(130)에는 리플로우 솔더링의 온도 조건을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의 내열성을 갖는 탄성고무 접착제가 접착되어 충진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고무 접착제에 의해 스프링(130)이 고정되어 작업성이 편리하고, 스프링(130)이 뒤틀릴 확률이 적으며, 스프링(130)의 누르는 힘과 복원력을 조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탄성고무 접착제는, 가령 경화 후 접착력을 갖는 실리콘고무 접착제일 수 있다.
<고정부재(110)>
고정부재(110)는 금속 재질의 단일의 몸체(111)로 이루어지는데, 가동부재(120)보다 경도가 낮은, 가령 동 합금으로 구성되어 가동부재(120)의 외측면이 마찰에 의해 스크래치가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재(110)는 프레스물인데, 가령 0.05㎜ 내지 0.15㎜ 사이의 두께를 갖는 금속 시트를 드로잉 금형에 의한 프레스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금속 시트를 프레스하여 형성함으로써 대량 생산이 용이하며 작업성이 좋고 제조가 용이하여 수율이 향상되며, 제조 원가가 작다는 이점을 갖는다.
외관을 보면, 고정부재(110)는 일단(하면)에 개구(115)가 형성되고 타단(상면)이 막힌 원통 형상으로 단일의 몸체(111)로 이루어지며, 이 실시 예에서는 개구(115)도 원형이고 몸체(111)도 원통 형상이지만 몸체(111)와 개구(115)를 조합하여 여러가지의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것처럼, 고정부재(110)는 프레스에 의해 제조되므로 고정부재(110)의 양단, 즉 상면과 하면의 모서리는 자연스럽게 라운드질 수 있다.
고정부재(110)의 개구(115)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폭으로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턱(112)이 형성되는데, 후술하는 것처럼, 걸림턱(112)에는 가동부재(120)의 플랜지(122)가 접촉되어 걸림으로써 가동부재(120)의 이동이 제한된다.
제조상으로 볼 때, 고정부재(110)의 일단을 통해 가동부재(120)를 끼운 상태에서 고정부재(110)의 일단부를 일정한 폭으로 프레스에 의해 내측으로 절곡함으로써 해당 폭만큼의 폭을 갖는 걸림턱(112)이 형성되고, 걸림턱(112)의 가장자리에 의해 개구(115)가 형성된다.
도 3를 보면, 걸림턱(112)은 구부러지도록 가공되어 상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도시되지만, 실제 걸림턱(112)은 하방이나 상방으로 경사질 수 있는데, 하방으로 경사진 경우 대상물에 의해 가동부재(120)가 완전히 눌리면 가동부재(120)의 상면은 걸림턱(112)의 상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걸림턱(112)의 단부면, 즉 가동부재(120)와 이격된 부분은 연마 등에 의해 매끄럽게 처리되어 전기접속단자(100)가 반복하여 압축되거나 해제됨에 따라 가동부재(120)가 고정부재(110)의 개구(115)를 통하여 상하로 반복 이동할 때 가동부재(120)의 외측면에 스크래치가 적게 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것처럼, 고정부재(110)와 가동부재(120)는 균일한 두께를 갖는 금속 시트를 프레스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고정부재(110)의 몸체(111)에 사용되는 금속 시트의 두께를 가동부재(120)의 몸체(121)에 사용되는 금속 시트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전기접속단자(100)의 무게 중심이 하부, 즉 고정부재(110)에 위치하도록 하여 리플로우 솔더링시 흔들림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가동부재(120)가 고정부재(110)에 끼워지는데, 고정부재(110)의 직경을 가동부재(120)의 직경보다 훨씬 크게 하여 결과적으로 고정부재(110)의 무게를 가동부재(120)의 무게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고정부재(110)의 총 중량을 가동부재(120)의 총 중량보다 크게 하여 무게 중심이 고정부재(110)에 위치하도록 하여 리플로우 솔더링시 흔들림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고정부재(110)의 적어도 하면의 최외부층은 솔더크림에 의한 리플로우 솔더링이 가능한 금속, 가령 주석, 은 또는 금 중 어느 하나로 도금될 수 있는데, 후술하는 것처럼, 하면의 일부 영역은 솔더링 시 들뜸이나 치우침을 적게 하기 위해 솔더링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가동부재(120)>
가동부재(120)는 금속 재질의 단일의 몸체(121)로 이루어지는데, 고정부재(110)보다 경도가 같거나 높은 재질, 가령 동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철 합금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가동부재(120)의 재질이 고정부재(110)의 재질보다 경도가 높은 경우, 가동부재(120)의 상하 이동시 고정부재(110)와 마찰하게 되면, 경도가 낮은 고정부재(110)에서 마모나 스크래치가 발생하여 가동부재(120)의 외측면이 손상을 입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가동부재(120)의 경도를 고정부재(110)의 경도와 같거나 그보다 높게 하기 위해서, 가동부재(120)와 고정부재(110)의 재질 자체의 경도를 다르게 할 수 있지만, 가동부재(120)와 고정부재(110)의 최외부층의 경도만 다르게 할 수 있다. 가령, 가동부재(120)의 최외부층의 경도를 높게 하기 위하여 크롬 등을 도금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전기저항이 커진다는 단점이 있다.
가동부재(120)는 프레스물로서, 가령 0.05㎜ 내지 0.15㎜ 사이의 두께를 갖는 금속 시트를 드로잉 금형으로 프레스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금속 시트를 프레스하여 형성함으로써 작업성이 좋고 제조가 용이하여 수율이 향상되며, 제조 원가가 작다는 이점을 갖는다.
가동부재(120)는, 고정부재(110)와 같이, 일단(하면)에 개구(126)가 형성되고 타단(상면)이 막힌 통 형상으로 단일의 몸체(121)로 이루어지며, 이 실시 예에서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한 것처럼, 가동부재(120)는 프레스에 의해 제조되므로 가동부재(120)의 양단, 즉 상면과 하면의 모서리는 자연스럽게 라운드질 수 있다.
가동부재(120)의 개구(126)의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으로 수평으로 연장하는 플랜지(122)가 형성된다. 상기한 것처럼, 플랜지(122)는 고정부재(110)의 걸림턱(112)에 의해 걸림으로써 이동이 제한된다.
플랜지(122)가 가동부재(120)의 이동거리(스트로크)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서, 가능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플랜지(122)의 형상에 대응하여 걸림턱(112)의 형상이 만들어진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플랜지(122)의 폭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고정부재(110)의 걸림턱(112)에 걸려 스프링(1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도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면 충분하며, 가능한 플랜지(112)의 단부면과 고정부재(110)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이 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대상물이 가동부재(120)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가압부재(120)가 기울어지더라도 플랜지(122)가 고정부재(110)의 내측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야 가동부재(120)의 원활한 슬라이드를 보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플랜지(122)는 가동부재(120)의 살 두께에 해당하는 높이를 갖기 때문에 두께가 얇아 플랜지(122)에 의해 가동부재(120)의 이동거리가 크게 줄어 들지 않는다. 다시 말해, 플랜지(122)가 가동부재(120)의 살 두께 정도의 높이를 갖기 때문에 전기접속단자(100)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게 하면서도 최대의 이동거리를 얻을 수 있다.
가동부재(120)의 상면은 진공픽업을 위해 적어도 편평한 면이 제공된다. 이와 같이, 가동부재(120)의 상면에 편평한 면을 제공함으로써, 부가적으로 가동부재(120)의 바닥도 편평한 면이 되므로 스프링(130)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줌으로써 상하방향으로의 전기저항이나 접촉저항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면의 편평 정도는 진공픽업이 가능한 정도를 의미하며, 실제 제조과정에서는 상면이 하방으로 약간 패이거나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동부재(120)의 최외부층은 부식 방지 및 전기전도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금이 도금될 수 있다.
<스프링(130)>
스프링(130)은 전기전도성의 탄성이 좋은 금속 재질로 만들어지고, 고정부재(110) 내부에 수납되어 일단은 고정부재(110)의 바닥에 접촉하고 타단은 가동부재(120)의 바닥에 접촉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가동부재(120)에 탄성과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스프링(130)은 전기전도성을 갖는 금속 와이어를 다수 회 감아서 형성하며, 각 턴(turn)이 서로 이격되도록 하여 수직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한다.
스프링(130)는 가동부재(120)가 탄성을 갖고 상하 이동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전기접촉단자(100) 자체에 탄성을 제공하는 것 이외에 다른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즉, 상기한 것처럼, 가동부재(120)의 플랜지(122)가 고정부재(110)의 내측면에 접촉하지 않아야 가동부재(120)가 원활하게 상하 이동할 수 있는데, 그 결과 가동부재(120)가 대상물에 의해 눌리는 경우 가동부재(120)와 고정부재(110) 사이에 일정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 가동부재(120)와 고정부재(1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스프링(130)을 전기전도성의 재질로 구성하여 가동부재(120)와 고정부재(110)를 항상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프링(130)이 가동부재(120)와 고정부재(110) 사이의 주 전기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스프링(130)은, 가령 코일 스프링일 수 있으며, 경도가 높고 탄성이 좋은 직경이 대략 0.05㎜ 내지 0.2㎜인 피아노선, 스테인레스 스틸 선, 동 합금 선 중 어느 하나가 스파이럴 와인딩(spiral winding)된 것으로, 누르는 힘은 30gf 내지 500gf 정도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코일 스프링의 경우, 스프링(130)의 탄성 복원력(또는 압축력)은 코일 스프링을 구성하는 선의 직경, 피치 및 압축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의 길이(자유길이)의 조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스프링(130)은 전기전도성이 좋게 최외부층에 금이 도금될 수 있다.
스프링(130)이 감긴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감긴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것처럼, 고정부재(110)의 바닥 중앙에 돌출된 엠보싱에 스프링(130)의 일단이 끼워져 가동부재(120)의 가압에 의해 스프링(130)의 단부가 고정부재(110)의 바닥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a)와 4(b)는 각각 가동부재를 가압하기 전후의 상태를 보여준다.
전기접속단자(100)는 캐리어에 릴 테이핑되거나 팔레트에 정렬되어 공급되며, 가동부재(120)의 상면을 진공픽업하여 전자모듈 유닛(20, 30)의 도전패드(24) 위에 배치하고 솔더크림(26)에 의한 리플로우 솔더링에 의해 실장된다.
도 4(a)와 같이, 실장된 전기접속단자(100)의 상면에는 회로기판 등과 같은 전기전도성 대상물이 가압 접촉하며, 가동부재(120)는 대상물로부터 인가되는 가압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는데, 스프링(130)에 의해 탄성을 받으면서 이동한다.
가동부재(120)가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스프링(130)은 탄성 변형되어 높이 방향으로 수축된다.
한편, 가동부재(120)에 대한 가압력이 제거되어 가동부재(120)가 스프링(1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가동부재(120)의 플랜지(122)가 고정부재(110)의 걸림턱(112)에 의해 확실하게 걸림으로써 리플로우 솔더링 중이나 대상물의 움직임이 많은 경우에도 스프링(130)의 복원력에 의한 가동부재(120)의 이탈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나타낸다.
이 예에 의하면, 고정부재(110)의 바닥 중심에는 내측으로 엠보싱(113)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몸체(111)의 하면에는 내부로 움푹 패인 홈(114)이 형성된다.
이 예에 의한 엠보싱(113)과 홈(114)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먼저, 고정부재(110)의 하면을 신뢰성 있게 수평면으로 확보하는 것이 대량생산에 따른 제조공정상 매우 어렵기 때문에, 하면의 중심에 홈(114)을 형성함으로써 고정부재(110)의 하면이 다소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더라도 솔더링을 신뢰성 있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솔더링시 전자모듈 유닛(20, 30)의 도전패드(24)에 도포된 솔더크림의 두께가 균일하지 않아 고정부재(110)가 용융 솔더크림에 의해 기울어지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는 전기접속단자가 전자모듈 유닛의 도전패드 위에 형성된 솔더크림 위에 리플로우 솔더링 위에 장착된 것을 보여준다.
전자모듈 유닛(20, 30)의 도전패드(24) 위에 도포된 솔더크림(26)이 균일한 두께로 도포되지 않거나 전기접속단자(100)가 중앙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또는 고정부재(110)의 하면이 신뢰성 있게 수평면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 수직 중심 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솔더링시 좌우에 위치한 솔더크림(26)의 양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에 고정부재(110)가 용융 솔더크림에 의해 기울어지거나 뒤틀릴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솔더링시 용융된 솔더크림(26) 위에 놓인 전기접촉단자(100)가 자체 중량으로 솔더크림(26)을 가압하며, 그 결과 상기한 것처럼 고정부재(110)의 하면에서 좌우에 위치한 솔더크림(26)의 양에서 차이가 생기더라도 차이에 해당하는 만큼의 남는 잉여 솔더크림(26a)이 홈(114)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고정부재(110)의 하면에서의 솔더크림(26)은 균일한 두께를 유지하여 전기접촉단자(100)가 들뜨거나 치우쳐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홈(114) 내부에 유입되는 솔더크림(26a)에 의해 형성되는 솔더층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솔더링 면적을 증가시켜 솔더링 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엠보싱(113)은 고정부재(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스프링(130)의 일단에 끼워져 스프링(130)을 지지함으로써 가동부재(120)가 대상물에 의해 이동하는 경우 스프링(130)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 고정부재(110)의 하면을 가장자리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아래로 기울어지는 경사면(117)으로 형성하여 움푹 패이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110)의 하면이 가장자리에서 중심을 향하여 움푹 패이도록 함으로써 솔더링시 용융된 솔더크림이 끓어 올라 고정부재(110)를 움직이더라도 고정부재(110)의 하면의 움푹패인 부분이 솔더크림의 움직임을 일부 흡수하여 고정부재(11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바로 잡아 들뜸이나 치우침 현상을 방지하며, 그 결과 솔더링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움푹패인 부분에 의해 고정부재(110)의 하면의 표면적이 증대하며 그 결과 솔더링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6과 같이, 고정부재(110)의 하면을 가장자리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아래로 기울어지는 경사면(117)으로 형성하여 움푹 패이도록 한 구조에서, 움푹패인 중심에 도 5와 같은 홈(114)을 형성할 수 있다. 통상, 고정부재(110)의 두께가 얇고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엠보싱(113)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고정부재(110)의 하면이 같이 끌려 들어가면서 자연스럽게 경사면(117)이 형성되어 움푹 패인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더 많은 솔더링 면적을 확보하여 솔더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많은 양의 잉여 솔더크림(26a)을 수용하여 고정부재(110)의 하면에서의 솔더크림의 두께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유지하여 솔더링시 들뜸이나 치우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나타낸다.
이 예에 의하면, 스프링(180)을 작은 직경부(181)와 큰 직경부(182)로 구성하는데, 작은 직경부(181)는 가동부재(120)의 바닥에 접촉하고 큰 직경부(182)는 고정부재(110)의 바닥에 접촉한다.
여기서, 큰 직경부(182)는 고정부재(110)의 바닥에 접촉하는 1턴(turn) 정도를 구비하도록 하여 가동부재(120)의 이동에 제한을 주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프링(180)의 큰 직경부(182)가 고정부재(110)의 바닥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도록 하여 고정부재(110)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를 받도록 함으로써, 엠보싱(113) 없이도 가동부재(120)의 가압에 의해 스프링(180)의 단부가 고정부재(110)의 바닥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고정부재(110)의 하면이 중심으로 향하여 움푹패인 구조에 스프링(180)을 적용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고정부재(110)의 하면이 편평한 구조에 작은 직경부(181)와 큰 직경부(182)를 갖는 스프링(180)을 적용해도 된다.
도 8(a)과 8(b)은 전기접속단자(100)의 고정부재(110)의 하면이 솔더링 되는 부분와 솔더링이 되지 않는 부분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보여준다.
통상, 고정부재(110) 하면의 최외부층은 솔더크림에 의한 리플로우 솔더링이 가능한 금속, 가령 주석, 은 또는 금 중 어느 하나로 도금되어 솔더링이 용이한 솔더링 영역을 형성한다.
도 8(a)은 고정부재(110)의 하면 전체가 솔더링 영역인 것을 보여주는데, 실제는 전자모듈 유닛(20, 30)의 도전패드(24) 위에 솔더크림(26)이 하면의 솔더링 영역과 같은 패턴으로 도포되거나 또는 중심의 일정 영역을 비우는 도넛 형상으로 도포될 수 있다.
특히, 고정부재(110) 하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포되는 솔더크림의 솔더 패턴이 도넛과 같이 중앙에 솔더크림이 도포되지 않은 경우, 솔더크림에 의한 리플로우 솔더링 시 중앙의 비어 있는 부분이 끓어오르는 용융 솔더크림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솔더링 중에 고정부재(110)가 들뜨거나 치우치는 현상을 방지하며, 그 결과 솔더링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b)는 고정부재(110)의 하면의 중심 부분에 비 솔더링 영역(140)이 형성된 것을 보여준다.
여기서, 비 솔더링 영역은 통상의 솔더크림에 의한 솔더링이 용이하지 않은 영역을 의미한다.
비 솔더링 영역(140)은, 가령 내열 폴리머를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내열 폴리머는 접착력을 갖는 에폭시 수지, 폴리이미드 또는 실리콘 고무 수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110)의 하면의 중심 부분에 비 솔더링 영역(140)을 형성함으로써 비 솔더링 영역(140)이 끓어오르는 용융 솔더크림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솔더링 중에 고정부재(110)가 들뜨거나 치우치는 현상을 방지하며, 그 결과 솔더링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도 8(b)과 같이, 고정부재(110)의 하면 중심 부분에 비 솔더링 영역(140)을 원형으로 형성하는 경우, 비 솔더링 영역(140)이 좌우 또는 상하의 방향성을 갖지 않기 때문에 전기접속단자(100)를 표면실장하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8(a)과 8(b)은 고정부재(110)의 하면이 편평한 구조에 비 솔더링 영역(140)을 형성한 경우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고정부재(110)의 하면에 홈(114)이 형성되거나 움푹패여 경사면(117)이 형성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비 솔더링 영역(140)을 형성함으로써 전자모듈 유닛(20, 30)의 도전패드(24)에 도포되는 솔더크림(26)의 양을 줄일 수 있어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나타내는데, 도 9(a)는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전기접속단자(200)의 고정부재(210)와 가동부재(220)는, 각각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광폭부(211, 212)(221, 222)와, 이들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협폭부(213, 223)를 구비하여 위에서 볼 때 가령 아령형이나 땅콩형으로 구성된다.
도 9(b)를 참조하면, 한 쌍의 광폭부(211, 212)(221, 222)에는 스프링(230, 231)이 각각 수납되어 양측에서 대칭적으로 가동부재(220)에 탄성을 제공한다.
한 쌍의 광폭부(211, 212)(221, 222)에 수납되는 스프링(230, 231)은 대략 광폭부(211, 212)(221, 222)의 직경보다 작지만 협폭부(213, 223)의 직경보다는 크게 형성되어 스프링(230, 231)이 광폭부(211, 212)(221, 222)에서 이탈하여 협폭부(213, 223)로 들어가지는 않는다.
이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속단자(200)는 일 실시 예와 동일한 기술 원리에 의해 동작하는데, 도전패드가 좁은 폭과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경우, 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기 때문에 효율적이라는 이점이 있다.
이 실시 예에서, 전기접속단자(200)의 고정부재(210)와 가동부재(220)는 각각 한 쌍의 광폭부(211, 212)(221, 222)를 갖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하나의 광폭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나타내는데, 도 10(a)은 사시도이고 도 10(b)은 도 10(a)의 C-C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속단자(300)는 도 9의 실시 예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데, 고정부재(310)와 가동부재(320)는 각각 중앙에 형성된 광폭부(313, 323)와 그 양측에 한 쌍의 협폭부(311, 312)(321, 322)를 구비한다.
도 10(b)을 참조하면, 광폭부(313, 323)에는 하나의 스프링(330)이 수납되어 중앙에서 가동부재(320)에 탄성을 제공한다.
이 실시 예에서도, 광폭부(313, 323)에 수납되는 스프링(330)은 대략 광폭부(313, 323)의 직경보다 작지만 협폭부(311, 312)(321, 322)의 직경보다는 크게 형성되어 스프링(330)이 광폭부(313)에서 이탈하여 협폭부(311, 312)(321, 322)로 들어가지는 않는다.
이 실시 예에서, 전기접속단자(300)의 고정부재(310)와 가동부재(320)는 각각 한 쌍의 협폭부(311, 312)(321, 322)를 갖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하나의 협폭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9와 10의 예에서, 광폭부와 협폭부를 구별하지 않고 같은 폭을 제작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 경우 스프링이 위치하는 부분에서 스프링의 단부를 지지하는 엠보싱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전기접속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A-A와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13(a)과 13(b)은 각각 가동부재와 고정부재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기접속단자(400)는 금속 재질의 고정부재(410)와, 고정부재(410)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금속 재질의 가동부재(420), 및 가동부재(420)가 고정부재(410)에 대해 탄성적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탄성과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플랫 스프링(4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플랫 스프링(flat spring, 430)은 일정한 두께를 구비하는 판(plate) 형상의 스프링을 말하며, 가령 일정한 두께를 갖는 고 탄성의 금속 시트를 벤딩 및 프레스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전기접속단자(400)를 구성하는 고정부재(410)와 가동부재(420)는 각각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전기접속단자(400)는 직육면체 형상을 구비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기접속단자(400)의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특히 3㎜ 이하의 높이를 갖는 작은 사이즈가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가령, 고정부재(410)와 가동부재(420)는 분리된 상태에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결합 상태에서 고정부재(410)의 높이는 2.0㎜, 가동부재(420)가 돌출된 높이는 0.9㎜ 정도일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410)의 폭과 길이는 1.0 ㎜와 3.0㎜ 정도이고, 가동부재(420)의 폭과 길이는 0.8㎜와 2.7㎜ 정도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치수를 변경할 수 있다.
전기접속단자(400)는 실제 사용되는 경우, 고정부재(410)의 높이가 전기접속단자(400)의 높이와 유사하거나 동일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솔더링되는 면적에 비해 높이가 낮은 납작한 형상을 가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3(b)과 같이, 고정부재(410)는 상면에 개구(413)가 형성된 장방형의 사각박스 형상으로 단일의 몸체(411)로 이루어지며, 각 모서리는 일정한 곡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모서리가 일정한 곡률을 구비할 필요는 없으나, 곡률을 구비하여 절곡되지 않는 경우 제조공정상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고정부재(410)의 개구(413) 가장자리의 일정 부분은 내측으로 절곡되어 걸림턱(412)을 형성하는데, 후술하는 것처럼, 걸림턱(412)에는 가동부재(420)의 플랜지(422)가 접촉하여 가동부재(420)의 이탈을 방지한다.
도 14(a)와 14(b)는 각각 고정부재를 가공하기 전후의 상태를 보여준다.
개구(413)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몸체(411)를, 가령 프레스하여 두께가 얇아진 립(lip)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립을 형성함으로써, 도 14(a)에 화살표로 나타낸 것처럼, 고정부재(410)의 개구(413)의 가장자리의 일부를 내측으로 구부릴 때, 립이 시작되는 일정한 위치에서 쉽게 절곡되어 걸림턱(412)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부재(410)의 내부에 플랫 스프링(430)과 함께 탄성을 갖는 폴리머 충진재, 가령 내열성을 갖는 실리콘고무를 넣으면, 누르는 힘과 탄성 복원력을 조정하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가동부재(420)는 하면에 개구(123)가 형성된 장방형의 사각박스 형상으로 단일의 몸체(421)로 이루어지며, 각 모서리는 일정한 곡률을 갖는다.
가동부재(420)의 개구(123)의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으로 수평으로 연장하는 플랜지(422)가 형성된다. 상기한 것처럼, 플랜지(422)는 고정부재(410)의 걸림턱(412)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다.
가동부재(420)는 고정부재(410)에 끼워지기 때문에 가동부재(420)의 몸체(421)의 직경은 고정부재(410)의 몸체(41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특히 플랜지(422)가 돌출되기 때문에 가동부재(420)의 몸체(421)는 더욱 작게 형성된다.
가동부재(420)의 상면은 진공픽업을 위한 적어도 평면이 제공되고 대상물에 직접 접촉하는데, 전기접속단자(400)의 진공픽업을 위한 공간만 확보된다면 가동부재(420)의 상면에 접촉돌기를 형성하여 대상물과의 전기적 접촉을 더욱 신뢰성 있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플랫 스프링의 변형 모습을 보여준다.
플랫 스프링(430)은 전기전도성을 가지며, 각각 고정부재(410)와 가동부재(420)의 바닥에 접촉하는 접촉부(431, 433), 접촉부(431, 433)를 서로 연결하면서 외부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하는 탄성변형부(432)로 이루어진다.
접촉부(431, 433)와 탄성변형부(432)의 경계는 일정한 곡률 반경으로 구부러지거나 일정한 사잇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접촉부(431, 433)와 탄성변형부(432)의 폭은 동일하게 이루어지거나, 탄성변형부(432)의 폭을 접촉부(431, 433)의 폭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접촉부(431, 433)의 폭과 길이를 각각 고정부재(410)와 가동부재(420)의 바닥의 폭과 길이와 같거나 짧게 함으로써, 최대한의 접촉 면적을 확보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접촉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플랫 스프링(430)을 금으로 도금하는 등의 방법으로 가능한 플랫 스프링(430)의 전기저항이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플랫 스프링(430)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플랫 스프링(430)은 가동부재(420)에 전달된 압력을 받아 수축하는데, 코일 스프링과 비교하여 넓은 면적을 갖는 플랫 스프링(430)의 접촉부(433)에 의해 가동부재(420)에 인가되는 압력을 균일하게 전달받을 수 있다. 그 결과, 가동부재(420)가 대상물에 의해 압력을 받더라도 기울어지지 않고 수직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부재(410)와 가동부재(420)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일정한 두께와 면적을 갖는 플랫 스프링(430)의 전기저항은 얇은 금속선이 감겨진 코일 스프링의 전기저항보다 작기 때문에 고정부재(410)과 가동부재(420)를 작은 전기저항으로 연결해 줄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플랫 스프링(430)은 Z 형상의 단면을 갖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7(a) 내지 17(c)은 각각 다른 플랫 스프링을 적용한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나타낸다.
도 17(a)의 경우, 플랫 스프링(440)은 C 형상을 구비하고, 도 17(b)의 경우, 플랫 스프링(450)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Σ 형상을 구비하는데, 한 쌍의 접촉부와 적어도 하나의 탄성변형부를 구비하면 된다.
도 17(c)은 더 특이한 경우로, 고정부재(410)와 가동부재(420)의 길이가 길고 폭이 좁으며 높이가 낮은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바, 플랫 스프링(460)은 중앙 부분이 상방으로 벤딩된 스트립 형상을 수직 단면형상으로 구비한다.
플랫 스프링(430)은 경도가 높고 탄성이 좋은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철 합금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한 것처럼, 최외부층은 부식 방지 및 전기전도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금이 도금될 수 있다.
플랫 스프링(430)의 탄성 복원력(또는 압축력)은 플랫 스프링(430)의 두께나 폭, 그리고 접촉부(131, 133)과 탄성변형부(132)의 경계에서의 곡률반경 등의 조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16(a)과 16(b)은 각각 전기접속단자의 작동을 보여준다.
도 16(a)과 같이, 전기접속단자(400)는 릴 테이핑되어 진공픽업과 솔더크림(26)에 의한 리플로우 솔더링으로 전자모듈 유닛(20, 30)의 도전패드(24) 위에 실장될 수 있다.
전기접속단자(400)의 상면에는 회로기판 등과 같은 전기전도성 대상물이 가압 접촉함으로써, 가동부재(420)는 대상물로부터 인가되는 가압력에 의해 하방으로 슬라이드 되는데, 플랫 스프링(430)에 의해 탄성을 받으면서 슬라이드 된다.
플랫 스프링(430)의 접촉부(131, 133)가 각각 고정부재(410)와 가동부재(420)에 접촉하는 면적은 거의 고정부재(410)와 가동부재(420)의 바닥 면적과 유사하기 때문에 접촉 면적이 매우 커서 결과적으로 접촉저항이 감소한다.
가동부재(420)가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플랫 스프링(430)의 탄성변형부(132)는 탄성 변형되어, 도 15의 점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높이 방향에서 수축되는데, 탄성변형부(132)의 탄성 변형은 수평방향으로 균일하게 발생하여 접촉부(133)는 탄성 변형 과정에서 수평을 유지한다.
가동부재(420)에 대한 가압력이 제거되어 가동부재(420)가 플랫 스프링(4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가동부재(420)의 플랜지(422)가 고정부재(410)의 걸림턱(412)에 의해 확실하게 걸림으로써 리플로우 솔더링 중이나 대상물의 움직임이 많은 경우에도 플랫 스프링(430)의 복원력에 의한 가동부재(420)의 이탈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410)의 크기를 가동부재(420)의 크기보다 크게 하고 고정부재(410)의 폭을 도전 패턴의 폭과 유사하게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전자모듈 유닛의 도전패드에 실장할 수 있고 솔더링 강도가 좋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100, 200, 300, 400: 전기접속단자
110, 210, 310, 410: 고정부재
111, 211, 311, 311: 몸체
112, 412: 걸림턱
113: 엠보싱
114: 홈
115: 개구
120, 220, 320, 420: 가동부재
122, 422: 플랜지
130, 230, 330, 430: 스프링
140: 비 솔더링 영역

Claims (35)

  1. 전기기기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고정되고, 구조물에 결합된 전자소자를 포함하는 전자모듈 유닛으로서,
    상기 전자모듈 유닛은,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입출력 도전패드와, 상기 입출력 도전패드 위에 솔더링에 의해 실장된 탄성 전기접속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접속단자는,
    상기 도전패턴에 솔더크림에 의한 리플로우 솔더링되어 실장되는 통 형상의 금속 재질의 고정부재;
    상면에 진공픽업을 위한 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재에 끼워져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통 형상의 금속 재질의 가동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수납되어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의 바닥에 접촉하고 타단이 상기 가동부재의 바닥에 접촉하여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탄성적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금속 재질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항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받아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걸림부에 의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개구 가장자리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턱; 및
    상기 가동부재의 개구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플랜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폭은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도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상기 플랜지의 단부면과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을 가능한 크게 유지하는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고정부재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 또는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총 중량을 상기 가동부재의 총 중량보다 무겁게 하여 상기 전기접속단자의 무게 중심이 상기 고정부재에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직경과 두께는 상기 가동부재의 직경과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하면 모서리와 상기 가동부재의 상면 모서리는 라운드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하면은 가장자리로부터 중심으로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움푹 패인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9. 청구항 1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하면 중심에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바닥 내측으로 엠보싱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엠보싱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적어도 상기 고정부재의 바닥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촉하는 큰 직경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하면에는 솔더크림에 의한 솔더링이 용이하지 않은 비 솔더링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비 솔더링 영역은 상기 고정부재의 하면 중심 부분에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전기전도성을 갖는 금속 와이어를 다수 회 감아서 형성하며, 각 턴(turn)이 서로 이격되도록 하여 수직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의 두께가 각각 동일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높이는 상기 가동부재의 높이보다 상기 살 두께만큼 높은 경우, 상기 가동부재가 최대로 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가동부재는 각각 금속 시트를 프레스 가공하여 제조한 프레스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가동부재는 원통 형상이거나 타원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접속단자의 높이는 0.5mm 이상 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접속단자의 상하의 전기저항은 압착되기 전에 0.5ohm 이하이고, 상기 가동부재가 가압될수록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접속단자는 진공 픽업에 의해 상기 도전패드 위의 솔더크림에 장착되어 리플로우 솔더링되어 상기 도전패드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가동부재는 폭에 비해 길이가 긴 형상이고, 각각 중앙에 형성된 협폭부와 상기 협폭부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협폭부보다 큰 폭을 갖는 한 쌍의 광폭부로 구성되며,
    상기 각 광폭부에 상기 스프링이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2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가동부재는 폭에 비해 길이가 긴 형상이고, 각각 중앙에 형성된 광폭부와 상기 광폭부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광폭부보다 작은 폭을 갖는 한 쌍의 협폭부로 구성되며,
    상기 광폭부에 상기 스프링이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2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가동부재는 폭에 비해 길이가 긴 형상이고, 각각 길이가 긴 협폭부와 상기 협폭부의 적어도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협폭부보다 큰 폭을 갖는 광폭부로 구성되며,
    상기 각 광폭부에 상기 스프링이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24. 전기기기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고정되고, 구조물에 결합된 전자소자를 포함하는 전자모듈 유닛으로서,
    상기 전자모듈 유닛은,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입출력 도전패드와, 상기 입출력 도전패드 위에 솔더링에 의해 실장된 탄성 전기접속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접속단자는,
    상기 도전패턴에 솔더크림에 의한 리플로우 솔더링되어 실장되는 사각 통 형상의 금속 재질의 고정부재;
    상면에 진공픽업을 위한 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재에 끼워져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사각 통 형상의 금속 재질의 가동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수납되어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의 바닥에 접촉하고 타단이 상기 가동부재의 바닥에 접촉하여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탄성적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금속 재질의 플랫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플랫 스프링에 의해 항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플랫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받아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걸림부에 의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 상기 가동부재 및 상기 플랫 스프링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 시트가 프레스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플랫 스프링은 상기 고정부재의 바닥과 상기 가동부재의 바닥에 접촉하는 한 쌍의 접촉부와 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접촉부를 서로 연결하면서 외부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하는 탄성변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플랫 스프링은 Z 형상, C 형상,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Σ 형상, 또는 벤딩된 스트립 형상의 수직 단면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28.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와 상기 탄성변형부의 경계는 일정한 곡률 반경으로 구부러지거나 일정한 사잇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29.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 각각의 폭과 길이를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의 바닥의 폭과 길이보다 같거나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30.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개구 가장자리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턱; 및
    상기 가동부재의 개구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으로 수평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플랜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31.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가동부재는 각각 모서리가 일정한 곡률로 라운드지고 폭과 길이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32.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전기접속단자의 높이는 0.5mm 이상 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33.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의 두께가 각각 동일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높이는 상기 가동부재의 높이보다 상기 살 두께만큼 높은 경우, 상기 가동부재가 최대로 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34.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전기접속단자는 진공 픽업에 의해 상기 도전패턴 위의 솔더크림에 장착되어 리플로우 솔더링되어 상기 도전패드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35. 청구항 1 또는 24에 있어서,
    상기 전자모듈 유닛은 스피커 유닛, 마이크로폰 유닛, 모터 유닛, 안테나 유닛, 센서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카메라 유닛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KR1020140059417A 2013-11-14 2014-05-19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KR201500560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8676 2013-11-14
KR1020130138676 2013-11-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030A true KR20150056030A (ko) 2015-05-22

Family

ID=51759408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738A KR101437935B1 (ko) 2013-11-14 2014-04-11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
KR1020140046947A KR101517840B1 (ko) 2013-11-14 2014-04-18 전기접속단자
KR1020140059417A KR20150056030A (ko) 2013-11-14 2014-05-19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KR1020140059416A KR20150056029A (ko) 2013-11-14 2014-05-19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
KR1020140080154A KR20150056032A (ko) 2013-11-14 2014-06-27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
KR1020140087235A KR20150056033A (ko) 2013-11-14 2014-07-11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738A KR101437935B1 (ko) 2013-11-14 2014-04-11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
KR1020140046947A KR101517840B1 (ko) 2013-11-14 2014-04-18 전기접속단자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416A KR20150056029A (ko) 2013-11-14 2014-05-19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
KR1020140080154A KR20150056032A (ko) 2013-11-14 2014-06-27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
KR1020140087235A KR20150056033A (ko) 2013-11-14 2014-07-11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6) KR10143793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579A1 (ko) * 2016-12-21 2018-06-28 주식회사 아모텍 기능성 컨택터
KR20180072260A (ko) * 2016-12-21 2018-06-29 주식회사 아모텍 기능성 컨택터
KR20180072261A (ko) * 2016-12-21 2018-06-29 주식회사 아모텍 기능성 컨택터
WO2018128433A1 (ko) * 2017-01-06 2018-07-12 조인셋 주식회사 금속패드 인터페이스
KR102040290B1 (ko) * 2018-07-18 2019-11-04 조인셋 주식회사 탄성 전기단자의 장착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046B1 (ko) * 2015-04-22 2016-12-20 조인셋 주식회사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
WO2016056783A1 (ko) * 2014-10-07 2016-04-14 조인셋 주식회사 표면실장형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1644123B1 (ko) * 2014-10-07 2016-07-29 조인셋 주식회사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2326244B1 (ko) * 2015-05-20 2021-11-15 (주)에스알테크날러지 고주파 신호 감쇠기용 커넥터
KR101792554B1 (ko) * 2015-06-10 2017-11-03 고려오트론(주)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KR101793717B1 (ko) 2015-08-07 2017-11-03 조인셋 주식회사 전기접속단자
WO2017026625A1 (ko) 2015-08-07 2017-02-16 조인셋 주식회사 전기접속단자
CN114284774A (zh) * 2021-12-10 2022-04-05 苏州和林微纳科技股份有限公司 探针防爬锡结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4158A (ja) * 1997-03-31 1998-10-23 Amp Japan Ltd 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3923889B2 (ja) 2002-12-11 2007-06-06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表面実装型スプリング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04247170A (ja) * 2003-02-13 2004-09-02 Smk Corp 押圧式スプリングコネクタ
US7955140B1 (en) * 2010-03-08 2011-06-07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Spring connector with a bottom cover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579A1 (ko) * 2016-12-21 2018-06-28 주식회사 아모텍 기능성 컨택터
KR20180072260A (ko) * 2016-12-21 2018-06-29 주식회사 아모텍 기능성 컨택터
KR20180072261A (ko) * 2016-12-21 2018-06-29 주식회사 아모텍 기능성 컨택터
US11165182B2 (en) 2016-12-21 2021-11-02 Amotech Co., Ltd. Functional contactor
WO2018128433A1 (ko) * 2017-01-06 2018-07-12 조인셋 주식회사 금속패드 인터페이스
CN109155476A (zh) * 2017-01-06 2019-01-04 卓英社有限公司 金属焊盘接口
KR102040290B1 (ko) * 2018-07-18 2019-11-04 조인셋 주식회사 탄성 전기단자의 장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029A (ko) 2015-05-22
KR101437935B1 (ko) 2014-09-12
KR101517840B1 (ko) 2015-05-08
KR20150056032A (ko) 2015-05-22
KR20150056033A (ko) 2015-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56030A (ko)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전자모듈 유닛
JP5869055B2 (ja) 表面実装型電気接続端子及びそれを具備する電子モジュールユニット,回路基板
US20120218727A1 (en) Shield case for emi shielding
JP6335385B2 (ja) 電気接続端子
US9350105B2 (en) Surface-mount type electric connecting terminal, and electronic module unit and circuit board using the same
US9240657B2 (en) Socket connector with shielding structure
KR101870842B1 (ko)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1626030B1 (ko) 탄성 전기접촉단자
US11162979B2 (en) Plate spring-type connecting pin
US20110294365A1 (en) Elastic electrical contact
US20160224061A1 (en) Electrical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20180057844A (ko) 전기접속단자
KR20160023513A (ko) 리플로우 솔더링에 의한 표면실장이 가능한 포켓형 전기접촉단자
KR101591658B1 (ko) 리플로우 솔더링에 의한 표면실장이 가능한 전기접촉단자
KR102594639B1 (ko) 응력 집중을 방지한 클립 개스킷
KR20090093577A (ko) 리플로우 솔더링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US20100261359A1 (en) Emi shield spring device
CN213547796U (zh) 耳机
KR101443526B1 (ko) 표면 실장용 접속장치
US20240014589A1 (en) 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 minimizing generation of crack of metal layer
KR101740282B1 (ko) 전기접촉단자
KR101525581B1 (ko) 터미널 콘택트
KR20190106686A (ko) 내환경성이 향상된 솔더링 가능한 전기접속단자
JP2011228215A (ja) 接続端子、コネクタ、ソケットおよび半導体パッケージ
KR20170096496A (ko) C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