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686A - 내환경성이 향상된 솔더링 가능한 전기접속단자 - Google Patents

내환경성이 향상된 솔더링 가능한 전기접속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686A
KR20190106686A KR1020190017725A KR20190017725A KR20190106686A KR 20190106686 A KR20190106686 A KR 20190106686A KR 1020190017725 A KR1020190017725 A KR 1020190017725A KR 20190017725 A KR20190017725 A KR 20190017725A KR 20190106686 A KR20190106686 A KR 20190106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electrical connection
lead
block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한
김선기
정병선
홍순규
조성호
Original Assignee
조인셋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셋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인셋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910167171.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0247211A/zh
Publication of KR20190106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6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35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opposite contact points, e.g. C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2Connections between conductors of different materials; Connections between or with aluminium or steel-core aluminium conductors
    • H01R4/625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내환경성과 내부식성이 향상되고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는 전기접속단자가 개시된다. 상기 전기접속단자는, 시트 형상의 금속 코어; 상기 코어의 솔더링 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는 납오름 방지블록; 및 상기 납오름 방지블록을 제외한 상기 코어의 외면에 형성되는 쉘(shell)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내환경성이 향상된 솔더링 가능한 전기접속단자{Solderable electric connecting terminal}
본 발명은 전기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환경성과 내부식성이 향상되고 납오름 현상 및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는 전기접속단자에 관련한다.
대향하는 전기전도성 대상물, 가령 회로기판의 도전패턴과 금속 케이스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탄성를 가지며 전기 전도성인 탄성 메탈 클립이 사용된다.
가령, 탄성 메탈 클립이 회로기판의 도전패턴이나 금속 케이스에 고정되어 대향하는 금속 케이스나 회로기판의 도전패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경도(hardness vickers)가 비교적 큰 메탈 클립이 경도가 비교적 낮은 회로기판의 도전패턴이나 금속 케이스에 반복하여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경우 접촉부분이 쉽게 마모되거나 닳아서 신뢰성 있는 전기적 접촉을 계속 제공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탄성 메탈 클립과 접촉하는 회로기판의 도전패턴이나 금속 케이스의 해당 부분에 강도가 높은 금 도금된 평면의 금속 전기접속단자를 부착할 수 있다.
그러나 높이가 낮은 전기접속단자를 표면실장하여 리플로우 솔더링으로 회로기판의 도전패턴에 실장할 때, 솔더 크림이 용융된 용융 솔더가 높이가 낮은 전기접속단자의 측벽을 타고 올라 용융 솔더의 일부가 전기접속단자의 상면까지 솔더링 된다.
그 결과, 전기접속단자의 상면에 접촉하는 메탈 클립이 솔더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전기접속단자와 메탈 클립의 전기적 접촉 및 물리적 접촉에 신뢰성이 저하한다. 또한, 전기접속단자의 상면에 형성된 솔더에 의해 전기접속단자의 상면이 평면을 이루지 않아 대향하는 메탈 클립과의 불균일한 접촉을 이룰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은 국내 등록특허 제1934577호에서, 금속 코어와 금속 코어를 감싸는 니켈 도금층, 니켈 도금층의 적어도 상면과 하면에 형성되는 금 도금층을 구비한 전기접속단자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기접속단자를 회로기판 등에 솔더링시 전기접속단자를 따라 접속단자의 상면에 납오름이 발생하지 않아 대상물이 접촉층에만 접촉함으로써 전기적 접촉 및 물리적 접촉의 신뢰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그런데 상기의 전기접속단자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전기접속단자를 리드프레임에 연결하는 지지 리드를 레이저나 프레스 금형 등으로 절단하는데 절단에 의한 절단면에서 금속 시트, 가령 구리 시트의 측벽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환경에 의해 부식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금속 시트를 일정 크기로 절단한 후 니켈 도금층과 금 도금층을 순차적으로 벌크 도금하여 전기접속단자를 제조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전기접속단자의 경우, 모든 외면에 금 도금층이 형성되므로 솔더 크림이 용융된 솔더가 금 도금층의 측벽을 따라 올라가서 전기접속단자의 상면에 납오름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솔더링시 용융 솔더에 의한 납오름을 신뢰성 있게 방지할 수 있는 두께가 낮은 전기접속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환경성과 내부식성이 향상되면서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는 전기접속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공 픽업에 의한 표면 실장이 용이하고, 용융 솔더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전기접속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리 박으로 된 도전패턴 위에 솔더크림으로 솔더링 되어 구리 박의 도전패턴의 부식을 방지하고, 메탈 클립과 마찰 시 마모를 줄여주는 전기접속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회로기판의 도전패턴에 솔더링 되는 전기접속단자이며, 시트 형상의 금속 코어; 상기 코어의 솔더링 되는 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폭으로 상기 면에 접착되어 형성되는 납오름 방지블록; 및 상기 납오름 방지블록을 제외한 상기 코어의 외면에 형성되는 금속 쉘(shel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단자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금속 코어는 평면 형상이 사각형으로 구리합금으로 구성되고, 상기 쉘은 니켈 또는 니켈합금 위에 금 또는 금합금이 순차적으로 도금된 도금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금층은 벌크 도금으로 형성되고 상기 납오름 방지블록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전패턴은 구리 박 위에 니켈과 금이 도금되어 구성되고, 상기 쉘의 각 도금층의 두께는 상기 구리 박 위에 도금된 니켈과 금의 두께보다 두껍고, 상기 솔더링은 솔더 크림에 의한 솔더링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납오름 방지블록은 상기 가장자리와 일치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납오름 방지블록은 전기 절연의 내열성 폴리머 수지나 고무 또는 감광 레지스트(photo sensitive resist)로 구성되며, 액상의 폴리머 수지나 액상의 고무 또는 액상의 감광 레지스트가 인쇄되고 경화에 의해 접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납오름 방지블록은 좌우 방향과 상하 방향에서 대칭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납오름 방지블록의 높이는 상기 쉘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납오름 방지블록은 사각형의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납오름 방지블록의 내측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쉘 부분이 솔더 크림에 의해 솔더링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솔더 크림의 평면 형상은 원형, 사각형 또는 좌우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접속단자는 캐리어에 릴 테이핑 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전기접속단자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도 회로기판의 도전패턴 위에서 솔더 크림으로 솔더링 될 때, 솔더링 면에 형성된 납오름 방지블록이 용융 솔더의 납오름을 신뢰성 있게 방지하며, 그 결과 대상물과 전기접속단자의 전기적 접촉 및 물리적 접촉의 신뢰성을 갖는다.
또한, 납오름 방지블록을 제외한 외부로 노출된 모든 면에 금 도금층을 형성되어 내환경성과 내부식성이 좋다.
또한, 레이저 절단이나 에칭 공정이 없고, 벌크 도금을 이용하여 도금층을 형성하여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면과 하면이 구별되고 상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져 릴 테이핑 및 진공 픽업과 이에 따른 표면 실장이 용이하다.
또한, 납오름 방지블록의 내측에만 솔더 크림을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므로 용융 솔더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구리 박이 외부로 노출된 회로기판의 도전패턴 위에 전기접속단자가 솔더링되어 장착되면 구리 박으로 된 도전패턴의 부식을 억제하고, 대향하는 메탈 클립과의 마찰 시 마모가 적게 된다.
도 1은 회로기판에 적용되는 전기접속단자를 분해하여 보여준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속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A-A를 따른 단면도이며, 도 2(c)는 저면도이다.
도 3은 회로기판의 도전패턴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전기접속단자의 제조방법의 일 예를 간략하게 보여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회로기판에 적용되는 전기접속단자를 분해하여 보여준다.
전기접속단자(100)는 전기전도성 대상물, 가령 회로기판(10)의 도전패턴(12)에 진공 픽업과 솔더크림에 의한 리플로우 솔더링으로 표면실장된다.
전기전도성 대상물은 가령 휴대전화의 본체(42)에 장착된 회로기판(10) 또는 본체(42)에 결합하는 금속 케이스(40)일 수 있으며, 금속 케이스(40)에 장착되는 메탈로 된 탄성 단자(30)가 회로기판(10)의 도전패턴(12)에 실장된 전기접속단자(100)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탄성 접촉함으로써 도전패턴(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반대로, 금속 케이스(40) 대신에 다른 인쇄회로기판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속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A-A를 따른 단면도이며, 도 2(c)는 저면도이다.
전기접속단자(100)는, 금속 재질의 코어(110), 코어(110)의 솔더링 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는 납오름 방지블록(120), 및 납오름 방지블록(120)을 제외한 코어(110)의 외면에 형성되는 금속 쉘(shell)(130)로 구성된다.
전기접속단자(100)의 두께는 0.05㎜ 내지 0.2㎜이고, 폭과 길이는 1㎜ 내지 5㎜의 범위 내에서 사각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제조원가를 줄이기 위해 코어(110)의 두께는 쉘(130)의 두께보다 두껍게 구성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코어(110)는 구리나 구리합금, 또는 철 합금으로 구성되고, 쉘(130)은 니켈 또는 니켈합금 도금층(131) 위에 도금된 금 또는 금합금 도금층(132)으로 구성되거나, 니켈 또는 니켈합금 도금층(131) 위에 도금된 주석 도금층이나 은 도금층으로 구성될 수 있고, 벌크 도금으로 형성된다.
코어(110)는 코어(110) 자체의 경도, 가격, 전기전도도 또는 쉘(130)의 재료를 고려하여 인청동 등의 구리합금이 바람직하나 전기접속단자(100)의 용도에 따라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코어(110)는 두께가 얇은 평면의 시트 형태를 구비하며, 전기접속단자(100)를 제조할 때 경제적으로 절단되기 위해 다이싱(Dicing) 절단기로 절단되어 평면 형상이 사각형이다.
따라서, 코어(110)의 각 모서리는 직각을 이루지만, 연마 공정에 의해 다소 라운드 질 수 있다.
벌크 도금으로 납오름 방지블록(120)을 제외한 코어(110)의 전면에 신뢰성 있게 균일하게 연속하여 쉘(13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쉘(13)로써, 니켈합금으로 니켈-팔라듐 합금이 사용되고, 금합금으로 금-코발트 합금이 사용되어 쉘(130)의 경도를 크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쉘(130)의 경도를 회로기판(10)의 순 구리박 재질로 된 도전패턴(12)의 경도보다 크게 함으로써, 경도가 높은 구리합금 재질의 클립(30)이 경도가 낮은 순 구리박 재질로 된 도전패턴(12)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경도가 높은 전기접속단자(100)에 기계적 접촉을 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회로기판(10)의 도전패턴(12)을 클립(30)과의 마찰로부터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순 구리박 재질의 도전패턴(12)은 외부 환경에 의해 부식이 잘 되지만, 클립(30)과 접촉하는 전기접속단자(100)의 쉘(130)은 금도금이나 금합금 도금으로 구성되어 있어 외부에 노출되어도 부식이 안 되어 전기적 접촉 및 기계적 접촉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여기서, 순 구리박은 통상의 회로기판에 적용된 불순물이 가능한 적게 포함된 구리 박을 의미한다.
상기 실시 예에서는, 회로 기판의 도전패턴(12)으로 순 구리박 재질을 예로 들었지만 순 구리박 재질의 도전패턴(12) 위에 니켈과 금이 순차적으로 도금되어 형성된 FPCB의 도전 패턴의 경우, 전기접속단자(100)의 니켈 도금층(131)과 금 도금층(132)을 얇게 형성하여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쉘(130)의 니켈 도금층(131)과 금 도금층(132)의 두께를 FPCB의 도전패턴(12)의 니켈과 금의 두께보다 두껍게 할 수 있다.
솔더 크림으로 솔더링 시 금 또는 금 합금이 도금된 면에는 용융 솔더가 잘 퍼지거나 잘 오른다
납오름 방지블록(120)은 솔더 크림에 의한 솔더링시 용융 솔더가 전기접속단자(100)의 금 또는 금 합금으로 된 외면을 따라 퍼지거나 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 전기 절연이고 솔더링 온도를 수용할 수 있는 내열성을 가지는 솔더링 되지 않는 폴리머 수지, 가령 에폭시 수지나 실리콘 고무 또는 감광 레지스트(photo sensitive resist)가 적용될 수 있다.
납오름 방지블록(120)은, 액상의 폴리머 수지나 고무 또는 감광 레지스트가 코어(110)의 가장자리에 인쇄에 의해 형성된 후 경화에 의해 접착되어 형성된다.
납오름 방지블록(120)의 높이는 쉘(130)에 융착되는 솔더 크림의 양과 형상을 고려하여 쉘(130)의 높이보다 높아 쉘(130) 위로 돌출된다.
납오름 방지블록(120)의 높이는, 예를 들어, 0.01㎜ 내지 0.1㎜ 이하이고 폭은 0.1㎜ 내지 0.8㎜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납오름 방지블록(120)은 코어(110)의 솔더링 면의 가장자리에 좌우 방향과 상하 방향에서 대칭이 되도록 형성하여 솔더 크림에 의한 리플로우 솔더링 시 전기접속단자(100)의 흔들림이 적게 할 수 있다.
납오름 방지블록(120)은 구성 재질이 솔더 크림에 의해 솔더링이 되지 않고, 댐(dam) 역할을 하여 리플로우 솔더링시 용융 솔더가 납오름 방지블록(120)을 넘어가지 않게 하고 댐 역할을 할 수 있는 솔더 크림의 양과 형상을 제공한다.
납오름 방지블록(120)은 코어(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사각형의 폐루프 구조를 가지지만 용융된 솔더의 적은 양이 폐루프로부터 외부로 빠져나오게 하여 도전 패턴(12)의 상면과 전기접속단자(100)의 솔더링이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솔더 크림을 납오름 방지블록(120)의 내부에만 도포하고, 도전 패턴(12)의 크기를 납오름 방지블록(12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면적의 크기보다 작게 하여 도전 패턴(12)의 상면과 전기접속단자(100)의 하면의 솔더링이 용이하게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전기접속단자(100)의 두께가 얇더라도 용융된 솔더가 납오름 방지블록(120)에 의해 넘어가지 못하기 때문에, 가령 클립(30)은 전기접속단자(100)의 상면에서 쉘(130)의 금 또는 금합금 도금층(132)에만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접속단자(100)와 클립(30)의 전기적 접촉 및 기계적 접촉은 신뢰성이 있다.
도 3은 회로기판의 도전 패턴(12)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전기접속단자(100)는 표면실장이 용이하게 캐리어 포켓에 릴 테이핑 되어 공급되고, 회로기판(10)의 도전패턴(12) 위의 솔더 크림(50) 위에 진공 픽업에 의해 표면 실장되고 리플로우 솔더링에 의해 장착된다.
납오름 방지블록(120)에 의해 전기접속단자(100)의 상면과 하면의 형상이 다르므로 릴 테이핑하기 용이하다.
도전패턴(12) 위의 솔더 크림(50)은 납오름 방지블록(120)의 내측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솔더링 시 솔더 크림(50)이 납오름 방지블록(120)의 내측에 위치하여 측면을 통하여 용융 솔더가 오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기접속단자(100)는 납오름 방지블록(120) 내측에 위치한 쉘(130)에서만 솔더 크림에 의해 리플로우 솔더링된다.
솔더 크림(50)의 형상은 전기접속단자(100)가 리플로우 솔더링 될 때 흔들림이 적도록 원형, 사각형 또는 좌우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금속 케이스(40)에 장착된 탄성 클립(30)이 전기접속단자(100)에 기계적으로 접촉하며, 그 결과 클립(30)은 도전패턴(12)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탄성을 가지며 연결된다.
도 4는 전기접속단자의 제조방법의 일 예를 간략하게 보여준다.
대략 가로×세로×두께가 100㎜×100㎜×0.15㎜ 정도의 평면의 구리 시트(1110)를 준비하여 절단 후 전기접속단자(100)의 코어(110)가 되는 부분을 설계한다. 가령, 도면부호 1로 표시된 점선은 각 코어(110)의 경계, 즉 가장자리를 이루며, 이후 절단 공정시 절단선으로 적용된다.
절단선(1)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일정한 폭만큼 액상의 내열성 에폭시 수지를 인쇄하고 고온 또는 자외선으로 경화하여 납오름 방지블록(1120)을 형성한다.
이후, 절단선(1)을 기준으로 다이싱 쏘우(dicing saw)나 다이싱 칼날을 이용하여 직각으로 절단한 후 절단에 의해 생긴 버(burr)를 연마 공정 등으로 제거한다.
직각으로 절단된 사각 형상의 코어(110)는 한 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폭으로 납오름 방지블록(120)이 형성되며, 이후 절단된 코어(110)의 전면에 바렐을 사용하여 전해 또는 무전해 도금 공정을 진행하여 쉘(130)을 형성함으로써 제작을 완료한다.
즉, 납오름 방지블록(120)에는 도금이 안되고 납오름 방지블록(120)을 제외한 코어(110)의 전체 외면에 니켈 또는 니켈합금이 도금되고 그 위에 다시 금 또는 금합금이 연속적으로 도금되어 쉘(130)이 형성된다.
이후, 캐리어에 릴 테이핑하여 표면실장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조방법에서는 납오름 방지블록(1120)의 중간을 절단하여 코어(110)의 가장자리에 맞추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납오름 방지블록(120)을 코어(110)의 가장자리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전기접속단자
110: 금속 코어
120: 납오름 방지블록
130: 쉘(shell)
131, 132: 도금층

Claims (15)

  1. 회로기판의 도전패턴에 솔더링 되는 전기접속단자이며,
    상기 전기접속단자는,
    시트 형상의 금속 코어;
    상기 코어의 솔더링 되는 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폭으로 상기 면에 접착되어 형성되는 납오름 방지블록; 및
    상기 납오름 방지블록을 제외한 상기 코어의 외면에 형성되는 금속 쉘(shel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단자.
  2. 청구항 1에서,
    상기 금속 코어는 평면 형상이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단자.
  3. 청구항 1에서,
    상기 코어는 구리합금으로 구성되고, 상기 쉘은 니켈 또는 니켈합금 위에 금 또는 금합금이 순차적으로 도금된 도금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단자.
  4. 청구항 3에서,
    상기 도금층은 벌크 도금으로 형성되고 상기 납오름 방지블록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단자.
  5. 청구항 3에서,
    상기 도전패턴은 구리 박 위에 니켈과 금이 도금되어 구성되고,
    상기 쉘의 각 도금층의 두께는 상기 구리 박 위에 도금된 니켈과 금의 두께보다 두껍고,
    상기 솔더링은 솔더 크림에 의한 솔더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단자.
  6. 청구항 1에서,
    상기 납오름 방지블록은 상기 가장자리와 일치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단자.
  7. 청구항 1에서,
    상기 납오름 방지블록은 전기 절연의 내열성 폴리머 수지나 고무 또는 감광 레지스트(photo sensitive resist)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단자.
  8. 청구항 7에서,
    상기 납오름 방지블록은, 액상의 폴리머 수지나 액상의 고무 또는 액상의 감광 레지스트가 인쇄되고 경화에 의해 접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단자.
  9. 청구항 1에서,
    상기 납오름 방지블록은 좌우 방향과 상하 방향에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단자.
  10. 청구항 1에서,
    상기 납오름 방지블록의 높이는 상기 쉘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단자.
  11. 청구항 1에서,
    상기 납오름 방지블록은 사각형의 폐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단자.
  12. 청구항 1에서,
    상기 납오름 방지블록의 내측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쉘 부분이 솔더 크림에 의해 솔더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단자.
  13. 청구항 12에서,
    상기 솔더 크림의 평면 형상은 원형, 사각형 또는 좌우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단자.
  14. 청구항 1에서,
    상기 전기접속단자는 캐리어에 릴 테이핑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단자.
  15. 청구항 1에서,
    상기 도전패턴은 구리 박이고, 상기 솔더링은 솔더 크림에 의한 솔더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단자.
KR1020190017725A 2018-03-08 2019-02-15 내환경성이 향상된 솔더링 가능한 전기접속단자 KR201901066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167171.6A CN110247211A (zh) 2018-03-08 2019-03-06 电连接端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689 2018-03-08
KR20180027689 2018-03-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686A true KR20190106686A (ko) 2019-09-18

Family

ID=68071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725A KR20190106686A (ko) 2018-03-08 2019-02-15 내환경성이 향상된 솔더링 가능한 전기접속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66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577B1 (ko) 리플로우 솔더링 가능한 전기접속단자
JP5345654B2 (ja) 電磁波遮蔽用シールドケース
CN103280436B (zh) 表贴器件及其制备方法
KR101662264B1 (ko) 솔더링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20150056033A (ko)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
KR100888238B1 (ko) 리플로우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1562938B1 (ko) 전기접촉단자
JP2018174022A (ja) コネクタ
KR101870842B1 (ko) 탄성 전기접촉단자
US10854362B2 (en) Guide-connected contactor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20190106686A (ko) 내환경성이 향상된 솔더링 가능한 전기접속단자
KR101600510B1 (ko) 리플로우 솔더링에 의한 표면실장이 가능한 포켓형 전기접촉단자
KR101314555B1 (ko) 표면실장이 가능한 탄성 접촉단자 및 그 제조방법
CN112737272B (zh) 一种焊接有电子元件的基座及其生产工艺和音圈马达
KR20100041975A (ko) 표면 실장용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1591658B1 (ko) 리플로우 솔더링에 의한 표면실장이 가능한 전기접촉단자
KR20170108772A (ko) 탄성 전기접촉단자
KR200396866Y1 (ko) 압접형 커넥터
KR102594639B1 (ko) 응력 집중을 방지한 클립 개스킷
KR102638220B1 (ko) 탄성을 갖는 전기접촉단자 및 그 실장 구조
JP6047973B2 (ja) 同軸コネクタ
KR200364189Y1 (ko) 회로기판용 표면실장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944997B1 (ko) 금속패드 인터페이스
KR102040290B1 (ko) 탄성 전기단자의 장착 구조
JP2012113852A (ja) スイッチ部品及びスイッチ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