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5438A - 인쇄회로기판,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및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및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5438A
KR20150055438A KR1020130137814A KR20130137814A KR20150055438A KR 20150055438 A KR20150055438 A KR 20150055438A KR 1020130137814 A KR1020130137814 A KR 1020130137814A KR 20130137814 A KR20130137814 A KR 20130137814A KR 20150055438 A KR20150055438 A KR 20150055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pattern
package substrate
thickness
semiconductor chip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7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7034B1 (ko
Inventor
김민성
손준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7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034B1/ko
Priority to US14/228,250 priority patent/US20150131254A1/en
Publication of KR20150055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5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1Arrangements for reducing stress or warp in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e.g. caused by loads, vibrations or differences in thermal expan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1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44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building the multilayer layer by layer, i.e. build-up multilayer circuits
    • H05K3/4682Manufacture of core-less build-up multilayer circuits on a temporary carrier or on a metal f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51Die mounting substrate
    • H01L2924/153Connection portion
    • H01L2924/153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 H01L2924/1531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being a ball array, e.g. BGA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3Conductive materials
    • H05K2201/0332Structure of the conductor
    • H05K2201/0335Layered conductors or foils
    • H05K2201/0352Differences between the conductors of different layers of a multilay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136Means for correcting warpag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372Pads and lands
    • H05K2201/094Array of pads or lands differing from one another, e.g. in size, pitch, thickness; Using different connections on the pa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736Varying thickness of a single conductor; Conductors in the same plane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818Shape or layout detail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5K2201/09009 - H05K2201/09809
    • H05K2201/09972Partitioned, e.g. portions of a PCB dedicated to different functions; Boundary lines therefore; Portions of a PCB being processed separately or different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61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non-printed components, e.g. special leads
    • H05K2201/10621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ir electrical contacts
    • H05K2201/10674Flip chip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3Metal processing
    • H05K2203/0353Making conductive layer thin, e.g. by etch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5Patterning and lithography; Masks; Details of resist
    • H05K2203/0562Details of resist
    • H05K2203/0574Stacked resist layers used for different process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30Details of 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5K2203/01 - H05K2203/17
    • H05K2203/302Bending a rigid substrate; Breaking rigid substrates by bend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pport and is thereafter removed from such areas of the surface which are not intended for current conducting or shielding
    • H05K3/0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pport and is thereafter removed from such areas of the surface which are not intended for current conducting or shielding the conductive material being removed chemically or electrolytically, e.g. by photo-etch proces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0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by semi-additive methods; mask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1Surface mounted components
    • H05K3/3431Leadless components
    • H05K3/3436Leadless components having an array of bottom contacts, e.g. pad grid array or ball grid array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인쇄회로기판,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및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반도체칩이 실장되는 실장 영역과 실장 영역을 둘러싸는 외곽 영역을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 패키지 기판의 일면 중 실장 영역에 형성되는 제1 중앙 회로패턴, 패키지 기판의 타면 중 실장 영역에 형성되며 제1 중앙 회로패턴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는 제2 중앙 회로패턴, 패키지 기판의 일면 중 외곽 영역에 형성되는 제1 외곽 회로패턴, 및 패키지 기판의 타면 중 외곽 영역에 형성되며 제1 외곽 회로패턴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제2 외곽 회로패턴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및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PRINTED CIRCUIT BOARD, SEMICONDUCTOR PACKAG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및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패키지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반도체칩을 실장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반도체칩은 인쇄회로기판의 회로패턴과 솔더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조된 반도체 패키지는 메인보드 등의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될 수 있으며, 반도체 패키지와 메인보드 역시 솔더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과 반도체칩 간 접합은 고온의 열을 이용한 리플로우 공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쇄회로기판과 반도체칩은 열팽창률이 서로 상이하여 리플로우 공정을 통해 생산되는 반도체 패키지에는 휨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반도체 패키지에 존재하는 휨은 반도체 패키지와 메인보드와의 접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7-0058409호(1997.07.31)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반도체 패키지의 휨을 저감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여 휨이 저감된 반도체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반도체칩이 실장되는 실장 영역과 실장 영역을 둘러싸는 외곽 영역을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 패키지 기판의 일면 중 실장 영역에 형성되는 제1 중앙 회로패턴, 패키지 기판의 타면 중 실장 영역에 형성되며 제1 중앙 회로패턴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는 제2 중앙 회로패턴, 패키지 기판의 일면 중 외곽 영역에 형성되는 제1 외곽 회로패턴, 및 패키지 기판의 타면 중 외곽 영역에 형성되며 제1 외곽 회로패턴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제2 외곽 회로패턴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이 제공된다.
제1 중앙 회로패턴과 제2 중앙 회로패턴 간 두께 차이는 제1 외곽 회로패턴과 제2 외곽 회로패턴 간 두께 차이와 동일할 수 있다.
제1 중앙 회로패턴의 두께와 제2 외곽 회로패턴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고, 제2 중앙 회로패턴의 두께와 제1 외곽 회로패턴의 두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반도체칩은 패키지 기판의 일면 중 실장 영역에 배치되고, 제1 중앙 회로패턴은 솔더에 의해 반도체칩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반도체칩의 전극은 반도체칩의 하면에 형성되어, 반도체칩은 온도 상승에 따라 반도체칩의 하면 측으로 볼록하게 휨이 발생되고, 실장 영역은 온도 상승에 따라 반도체칩의 휨 방향과 동일하게 패키지 기판의 타면 측으로 볼록하게 휨이 발생되며, 외곽 영역은 온도 상승에 따라 반도체칩의 휨 방향과 반대로 패키지 기판의 일면 측으로 볼록하게 휨이 발생될 수 있다.
패키지 기판은, 서로 적층된 복수의 절연층, 및 복수의 절연층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회로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극이 형성된 반도체칩, 반도체칩이 실장되는 실장 영역과 실장 영역을 둘러싸는 외곽 영역을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 패키지 기판의 일면 중 실장 영역에 형성되는 제1 중앙 회로패턴, 패키지 기판의 타면 중 실장 영역에 형성되며 제1 중앙 회로패턴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는 제2 중앙 회로패턴, 패키지 기판의 일면 중 외곽 영역에 형성되는 제1 외곽 회로패턴, 및 패키지 기판의 타면 중 외곽 영역에 형성되며 제1 외곽 회로패턴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제2 외곽 회로패턴을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가 제공된다.
제1 중앙 회로패턴과 제2 중앙 회로패턴 간 두께 차이는 제1 외곽 회로패턴과 제2 외곽 회로패턴 간 두께 차이와 동일할 수 있다.
제1 중앙 회로패턴의 두께와 제2 외곽 회로패턴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고, 제2 중앙 회로패턴의 두께와 제1 외곽 회로패턴의 두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반도체칩은 패키지 기판의 일면 중 실장 영역에 배치되고, 제1 중앙 회로패턴은 솔더에 의해 반도체칩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반도체칩의 전극은 반도체칩의 하면에 형성되어, 반도체칩은 온도 상승에 따라 반도체칩의 하면 측으로 볼록하게 휨이 발생되고, 실장 영역은 온도 상승에 따라 반도체칩의 휨 방향과 동일하게 패키지 기판의 타면 측으로 볼록하게 휨이 발생되며, 외곽 영역은 온도 상승에 따라 반도체칩의 휨 방향과 반대로 패키지 기판의 일면 측으로 볼록하게 휨이 발생될 수 있다.
패키지 기판은, 서로 적층된 복수의 절연층, 및 복수의 절연층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회로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반도체칩이 실장되는 실장 영역과 실장 영역을 둘러싸는 외곽 영역을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패키지 기판의 일면에 제1 외부 회로패턴을 형성하고, 패키지 기판의 타면에 제2 외부 회로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패키지 기판의 일면 중 실장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외부 회로패턴을 일부 두께만큼 제거하고, 패키지 기판의 타면 중 외곽 영역에 위치하는 제2 외부 회로패턴을 일부 두께만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제1 외부 회로패턴과 제2 외부 회로패턴은 서로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부 회로패턴과 제2 외부 회로패턴은 서로 동일한 두께만큼 제거될 수 있다.
제1 외부 회로패턴 및 제2 외부 회로패턴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는, 패키지 기판의 일면 및 타면에 제1 외부 회로패턴 및 제2 외부 회로패턴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레지스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도금에 의하여 개구부에 도전성 물질을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부 회로패턴 및 제2 외부 회로패턴을 일부 두께만큼 제거하는 단계는, 에칭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반도체 패키지의 휨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의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의 인쇄회로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의 휨 경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의 각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및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장 영역(R1)과 외곽 영역(R2)으로 구성된 패키지 기판(110), 패키지 기판(110)의 실장 영역(R1) 양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중앙 회로패턴(122) 및 제2 중앙 회로패턴(132), 패키지 기판(110)의 외곽 영역(R2) 양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외곽 회로패턴(124) 및 제2 외곽 회로패턴(134)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200) 및 이러한 인쇄회로기판(200)에 반도체칩(10)이 실장된 반도체 패키지(100)가 제시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패키지 기판(110)의 실장 영역(R1)의 양면에 제1 중앙 회로패턴(122) 및 제2 중앙 회로패턴(132)이 서로 상이한 두께(t1, t3)로 형성되고, 패키지 기판(110)의 외곽 영역(R2)의 양면에 제1 외곽 회로패턴(124) 및 제2 외곽 회로패턴(134)이 서로 상이한 두께(t2, t4)로 형성되되, 제2 중앙 회로패턴(132)이 제1 중앙 회로패턴(122) 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제2 외곽 회로패턴(134)이 및 제1 외곽 회로패턴(124) 보다 얇게 형성됨으로써, 리플로우 공정에 의해 제작된 반도체 패키지(100)의 상온에서의 휨이 보다 저감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구조 및 원리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반도체칩(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면에 다수의 전극(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반도체칩(10)은 패키지 기판(110)의 일면 중 실장 영역(R1)에 배치되며, 반도체칩(10)의 전극(12)은 솔더(140)에 의해 인쇄회로기판(200), 구체적으로는 제1 중앙 회로패턴(1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반도체칩(10)의 전극(12)과 제1 중앙 회로패턴(122) 간 접속은 솔더(140)에 고온의 열을 가하는 리플로우 공정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반도체칩(10)은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전극(12)은 구리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리 등의 금속은 실리콘 등의 재질보다 열팽창률이 높으므로, 리플로우 공정을 위해 반도체칩(10)에 열을 가하면 반도체칩(10)은 온도 상승에 따라 전극(12)이 형성된 하면 측으로, 즉 하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휨이 발생될 수 있다. (도 4 참고)
패키지 기판(1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반도체칩(10)이 실장되는 실장 영역(R1)과 이러한 실장 영역(R1)의 외주부를 둘러싸는 외곽 영역(R2)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 기판(110)의 실장 영역(R1)은 반도체칩(10)의 횡단면적과 대응되도록 설정되어 실장 영역(R1)은 반도체칩(10)에 의해 완전히 커버된다.
이러한 실장 영역(R1)과 외곽 영역(R2)은 반도체칩(10)이 실장되는 위치를 고려하여 가상으로 구획된 영역으로 이들 실장 영역(R1)과 외곽 영역(R2)은 경계를 갖는 별개의 구성이 아니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 기판(110)을 구성하는 절연층(112) 각각은 하나의 단일한 층을 이루고 있다. 도 2는 인쇄회로기판(200)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실장 영역(R1)이 별개의 구성이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하기 위해 도 2에는 실장 영역(R1)을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그리고 패키지 기판(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적층된 다수의 절연층(112)과 이들 절연층(112)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회로패턴(114)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 외에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 기판(110)이 단일층으로 구성되어 2층의 회로를 갖는 경우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1과 같이 패키지 기판(110)이 내부 회로패턴(114)을 포함하는 경우 내부 회로패턴(114)은 서로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장 영역(R1)의 양면에는 각각 제1 중앙 회로패턴(122)과 제2 중앙 회로패턴(132)이 서로 상이한 두께(t1, t3)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이러한 상이한 두께 관계를 보다 명시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제1 외부 회로패턴(120)과 제1 외부 회로패턴(120)은 연속된 층 구조로 단순화되어 표시되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중앙 회로패턴(122)은 패키지 기판(110) 일면의 실장 영역(R1)에 형성되고, 제2 중앙 회로패턴(132)은 패키지 기판(110) 타면의 실장 영역(R1)에 형성되며 제1 중앙 회로패턴(122)의 두께(t1)보다 큰 두께(t3)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패키지 기판(110)의 실장 영역(R1)의 경우 반도체칩(10)이 실장되는 일면에 형성된 제1 중앙 회로패턴(122)의 두께(t1)가 타면에 형성된 제2 중앙 회로패턴(132)의 두께(t3)보다 작으므로, 리플로우 공정을 위해 반도체칩(10)과 함께 인쇄회로기판(200)에 열이 가해지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 기판(110)의 실장 영역(R1)은 온도 상승에 따라 패키지 기판(110)의 타면 방향, 즉 하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휨이 발생될 수 있다. 제1 중앙 회로패턴(122)과 제2 중앙 회로패턴(132)은 구리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므로 그 양이 증가될수록 열에 의한 팽창량이 증가되어 금속의 양이 많은 패키지 기판(110)의 타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휨이 발생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반도체칩(10)의 경우 리플로우 공정시 전극(12)이 형성된 하면 측으로 볼록하게 휨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반도체칩(10)의 하면이 실장 영역(R1)의 제1 중앙 회로패턴(122)을 향하도록 배치하고 리플로우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반도체칩(10)과 패키지 기판(110)의 실장 영역(R1)은 동일한 휨 경향을 가질 수 있어 반도체칩(10)의 전극(12)과 제1 중앙 회로패턴(122) 간 접속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반도체칩(10)의 전극(12)에 의해 반도체칩(10)이 하면 측으로 볼록하게 휨이 발생되며 이러한 휨 경향을 고려하여 반도체칩(10)을 실장 영역(R1)의 제1 중앙 회로패턴(122) 상에 실장하는 경우를 일례로 제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반도체칩(10)은 내부 회로 구조 등에 따라 상면 측으로 볼록하게 휨이 발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반도체칩(10)을 실장 영역(R1)의 제2 중앙 회로패턴(132) 상에 실장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조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곽 회로패턴(124)은 패키지 기판(110) 일면의 외곽 영역(R2)에 형성되고, 제2 외곽 회로패턴(134)은 패키지 기판(110) 타면의 외곽 영역(R2)에 형성되며 제1 외곽 회로패턴(124)의 두께(t2)보다 작은 두께(t4)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패키지 기판(110)의 외곽 영역(R2)의 경우, 반도체칩(10)이 실장되는 일면의 외곽에 형성된 제1 외곽 회로패턴(124)의 두께(t2)가 타면의 외곽에 형성된 제2 외곽 회로패턴(134)의 두께(t4)보다 크므로, 리플로우 공정을 위해 반도체칩(10)과 함께 인쇄회로기판(200)에 열이 가해지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 기판(110)의 외곽 영역(R2)은 온도 상승에 따라 패키지 기판(110)의 일면 방향, 즉 상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휨이 발생될 수 있다. 제1 외곽 회로패턴(124)과 제2 외곽 회로패턴(134)은 구리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므로 그 양이 증가될수록 열에 의한 팽창량이 증가되어 금속의 양이 많은 패키지 기판(110)의 일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휨이 발생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플로우 공정이 완료된 후 반도체 패키지(100)가 상온 상태에 있는 경우, 반도체칩(10)과 패키지 기판(110)의 실장 영역(R1)은, 리플로우 공정에 의해 열이 가해지던 도 4의 상태와는 달리 상측 방향으로 약간 볼록하게 휨이 발생될 수 있다. 즉 패키지 기판(110)은 반도체칩(10)에 비해 높은 열팽창률을 가지고 있어 상온으로 복귀시 반도체칩(10)에 비해 수축량도 크게 되므로, 패키지 기판(110)의 실장 영역(R1)과 그에 실장된 반도체칩(10)에는 가열시와는 반대로 상측 방향으로 다소 볼록한 휨이 발생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외곽 회로패턴(124)이 제2 외곽 회로패턴(134)보다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 기판(110)의 외곽 영역(R2)은 리플로우 공정시 상측으로 볼록하게 휨이 발생되나, 리플로우 공정 후 상온으로 복귀시에는 패키지 기판(110)의 외곽 영역(R2)은 반도체칩(10)의 열팽창률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실장 영역(R1)과는 반대 경향으로 수축이 일어나게 되므로, 리플로우 공정 후 상온에서의 반도체 패키지(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휨이 저감되어 전체적으로 평판 형상에 가까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해, 제1 외곽 회로패턴(124)과 제2 외곽 회로패턴(134)의 두께가 동일하거나 제1 중앙 회로패턴(122)과 제2 중앙 회로패턴(132)과 대응되게 제1 외곽 회로패턴(124)이 제2 외곽 회로패턴(134)보다 얇게 형성되는 경우 패키지 기판(110)의 외곽 영역(R2)은 리플로우 공정시 중앙의 실장 영역(R1)과 동일하게 하측으로 볼록하게 휨이 발생된 뒤, 리플로우 완료 후 실장 영역(R1)과 동일한 경향으로 수축이 일어나게 되어, 상온에서 반도체 패키지(100)는 전체적으로 상측으로 크게 볼록한 휨을 가지게 된다.
한편 제1 중앙 회로패턴(122)과 제2 중앙 회로패턴(132) 간 두께 차이(t3-t1)는 제1 외곽 회로패턴(124)과 제2 외곽 회로패턴(134) 간 두께 차이(t2-t4)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중앙 회로패턴(122)과 제2 중앙 회로패턴(132), 제1 외곽 회로패턴(124)과 제2 외곽 회로패턴(134) 간 각 두께 차이를 동일하게 설정하여 열에 의한 휨 경향에 있어 대칭성을 가질 수 있게 되므로, 리플로우 공정후 상온에서의 반도체 패키지(100)에서 전체적인 휨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1 중앙 회로패턴(122)의 두께(t1)와 제2 외곽 회로패턴(134)의 두께(t4)는 서로 동일하고, 제2 중앙 회로패턴(132)의 두께(t3)와 제1 외곽 회로패턴(124)의 두께(t2)는 서로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중앙 회로패턴(122)과 제2 중앙 회로패턴(132), 제1 외곽 회로패턴(124)과 제2 외곽 회로패턴(134) 간 각 두께 차이를 동일하게 하는 것에 더하여 이들 각 회로패턴의 두께를 동일하게 설정함으로써 휨 경향의 대칭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 기판(110)의 양면에는 각각 솔더레지스트층(16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솔더레지스트층(160) 중 패드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중앙 회로패턴(122)의 패드에 해당되는 부분은 노출되어 반도체칩(10)의 전극(12)과 솔더(14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외부 회로패턴(130)의 패드에 해당되는 부분에도 마더보드 등에 전기적 접속을 위한 솔더(1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200)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칩(10)이 실장되는 실장 영역(R1)과 실장 영역(R1)을 둘러싸는 외곽 영역(R2)을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110)을 제공하는 단계(S110), 패키지 기판(110)의 일면에 제1 외부 회로패턴(120)을 형성하고, 패키지 기판(110)의 타면에 제2 외부 회로패턴(130)을 형성하는 단계(S120), 및 패키지 기판(110)의 일면 중 실장 영역(R1)에 위치하는 제1 외부 회로패턴(120)을 일부 두께만큼 제거하고, 패키지 기판(110)의 타면 중 외곽 영역(R2)에 위치하는 제2 외부 회로패턴(130)을 일부 두께만큼 제거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200) 제조 방법이 제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인쇄회로기판(200)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인쇄회로기판(200)의 제조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칩(10)이 실장되는 실장 영역(R1)과 실장 영역(R1)을 둘러싸는 외곽 영역(R2)을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110)을 제공한다(S110). 패키지 기판(110)은 반도체칩(10)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실장 영역(R1), 외곽 영역(R2)으로 구성된 가상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 기판(110)이 단층으로 구성된 경우를 일례로 제시하며, 패키지 기판(110)의 양면에 제1 외부 회로패턴(120) 및 제2 외부 회로패턴(130)의 형성을 위한 시드층(170)이 형성된 경우를 일례로서 제시한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 기판(110)의 일면에 제1 외부 회로패턴(120)을 형성하고, 패키지 기판(110)의 타면에 제2 외부 회로패턴(130)을 형성한다(S120). 본 공정은 제1 레지스트(180)를 형성하는 단계와 도전성 물질을 충전하는 단계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즉 먼저 패키지 기판(110)의 시드층(170) 상에 제1 레지스트(180)를 형성하고, 노광 및 현상에 의해 제1 외부 회로패턴(120) 및 제2 외부 회로패턴(130)에 대응되도록 개구부(182)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어서 시드층(170)을 이용한 전해 도금에 의해 개구부(182)를 도전성 물질로 충전한다.
이 경우 제1 외부 회로패턴(120)과 제2 외부 회로패턴(130)은 서로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패키지 기판(110) 양면에 대하여 동시에 도금을 수행함으로써 이와 같이 동일한 두께를 갖는 제1 외부 회로패턴(120)과 제2 외부 회로패턴(130)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 기판(110)의 일면 중 실장 영역(R1)에 위치하는 제1 외부 회로패턴(120)을 일부 두께만큼 제거하고, 패키지 기판(110)의 타면 중 외곽 영역(R2)에 위치하는 제2 외부 회로패턴(130)을 일부 두께만큼 제거한다(S130). 본 공정은 에칭,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분 에칭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금에 의해 제1 외부 회로패턴(120)과 제2 외부 회로패턴(130)이 형성된 상태에서 패키지 기판(110)의 외곽 영역(R2) 상면 및 실장 영역(R1) 하면에 제2 레지스트(190)를 선택적으로 형성하고, 이어서 에칭에 의해 제1 외부 회로패턴(120) 및 제2 외부 회로패턴(130)을 일부 두께만큼 제거하여 제1 중앙 회로패턴(122) 및 제2 외곽 회로패턴(134)을 각각 형성한다.
이 경우 제1 외부 회로패턴(120)과 제2 외부 회로패턴(130)은 서로 동일한 두께만큼 제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중앙 회로패턴(122)의 두께와 제2 외곽 회로패턴(134)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고, 제2 중앙 회로패턴(132)의 두께와 제1 외곽 회로패턴(124)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지스트(180) 및 제2 레지스트(190)를 제거하고 플래시 에칭 등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시드층(170)을 제거한 뒤, 솔더레지스트층(160) 중 패드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개구부를 형성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반도체 패키지
10: 반도체칩
12: 전극
200: 인쇄회로기판
110: 패키지 기판
R1: 실장 영역
R2: 외곽 영역
112: 절연층
114: 내부 회로패턴
120: 제1 외부 회로패턴
122: 제1 중앙 회로패턴
124: 제1 외곽 회로패턴
130: 제2 외부 회로패턴
132: 제2 중앙 회로패턴
134: 제2 외곽 회로패턴
t1: 제1 중앙 회로패턴의 두께
t2: 제1 외곽 회로패턴의 두께
t3: 제2 중앙 회로패턴의 두께
t4: 제2 외곽 회로패턴의 두께
140, 150: 솔더
160: 솔더레지스트층
170: 시드층
180: 제1 레지스트
182: 개구부
190: 제2 레지스트

Claims (17)

  1. 반도체칩이 실장되는 실장 영역과 상기 실장 영역을 둘러싸는 외곽 영역을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
    상기 패키지 기판의 일면 중 상기 실장 영역에 형성되는 제1 중앙 회로패턴;
    상기 패키지 기판의 타면 중 상기 실장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중앙 회로패턴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는 제2 중앙 회로패턴;
    상기 패키지 기판의 일면 중 상기 외곽 영역에 형성되는 제1 외곽 회로패턴; 및
    상기 패키지 기판의 타면 중 상기 외곽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외곽 회로패턴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제2 외곽 회로패턴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앙 회로패턴과 상기 제2 중앙 회로패턴 간 두께 차이는 상기 제1 외곽 회로패턴과 상기 제2 외곽 회로패턴 간 두께 차이와 동일한, 인쇄회로기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앙 회로패턴의 두께와 상기 제2 외곽 회로패턴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2 중앙 회로패턴의 두께와 상기 상기 제1 외곽 회로패턴의 두께는 서로 동일한, 인쇄회로기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칩은 상기 패키지 기판의 일면 중 상기 실장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중앙 회로패턴은 솔더에 의해 상기 반도체칩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칩의 상기 전극은 상기 반도체칩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반도체칩은 온도 상승에 따라 상기 반도체칩의 하면 측으로 볼록하게 휨(warpage)이 발생되고,
    상기 실장 영역은 온도 상승에 따라 상기 반도체칩의 휨 방향과 동일하게 상기 패키지 기판의 타면 측으로 볼록하게 휨이 발생되며,
    상기 외곽 영역은 온도 상승에 따라 상기 반도체칩의 휨 방향과 반대로 상기 패키지 기판의 일면 측으로 볼록하게 휨이 발생되는, 인쇄회로기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기판은,
    서로 적층된 복수의 절연층; 및
    상기 복수의 절연층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회로패턴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7. 전극이 형성된 반도체칩;
    상기 반도체칩이 실장되는 실장 영역과 상기 실장 영역을 둘러싸는 외곽 영역을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
    상기 패키지 기판의 일면 중 상기 실장 영역에 형성되는 제1 중앙 회로패턴;
    상기 패키지 기판의 타면 중 상기 실장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중앙 회로패턴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는 제2 중앙 회로패턴;
    상기 패키지 기판의 일면 중 상기 외곽 영역에 형성되는 제1 외곽 회로패턴; 및
    상기 패키지 기판의 타면 중 상기 외곽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외곽 회로패턴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제2 외곽 회로패턴을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앙 회로패턴과 상기 제2 중앙 회로패턴 간 두께 차이는 상기 제1 외곽 회로패턴과 상기 제2 외곽 회로패턴 간 두께 차이와 동일한, 반도체 패키지.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앙 회로패턴의 두께와 상기 제2 외곽 회로패턴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2 중앙 회로패턴의 두께와 상기 상기 제1 외곽 회로패턴의 두께는 서로 동일한, 반도체 패키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칩은 상기 패키지 기판의 일면 중 상기 실장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중앙 회로패턴은 솔더에 의해 상기 반도체칩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반도체 패키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칩의 상기 전극은 상기 반도체칩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반도체칩은 온도 상승에 따라 상기 반도체칩의 하면 측으로 볼록하게 휨이 발생되고,
    상기 실장 영역은 온도 상승에 따라 상기 반도체칩의 휨 방향과 동일하게 상기 패키지 기판의 타면 측으로 볼록하게 휨이 발생되며,
    상기 외곽 영역은 온도 상승에 따라 상기 반도체칩의 휨 방향과 반대로 상기 패키지 기판의 일면 측으로 볼록하게 휨이 발생되는, 반도체 패키지.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기판은,
    서로 적층된 복수의 절연층; 및
    상기 복수의 절연층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회로패턴을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13. 반도체칩이 실장되는 실장 영역과 상기 실장 영역을 둘러싸는 외곽 영역을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패키지 기판의 일면에 제1 외부 회로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패키지 기판의 타면에 제2 외부 회로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키지 기판의 일면 중 상기 실장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외부 회로패턴을 일부 두께만큼 제거하고, 상기 패키지 기판의 타면 중 상기 외곽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외부 회로패턴을 일부 두께만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회로패턴과 상기 제2 외부 회로패턴은 서로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회로패턴과 상기 제2 외부 회로패턴은 서로 동일한 두께만큼 제거되는,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회로패턴 및 상기 제2 외부 회로패턴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패키지 기판의 일면 및 타면에 상기 제1 외부 회로패턴 및 상기 제2 외부 회로패턴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레지스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도금에 의하여 상기 개구부에 도전성 물질을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회로패턴 및 상기 제2 외부 회로패턴을 일부 두께만큼 제거하는 단계는, 에칭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
KR1020130137814A 2013-11-13 2013-11-13 인쇄회로기판,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및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 KR102107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814A KR102107034B1 (ko) 2013-11-13 2013-11-13 인쇄회로기판,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및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
US14/228,250 US20150131254A1 (en) 2013-11-13 2014-03-28 Printed circuit board, semiconductor packag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814A KR102107034B1 (ko) 2013-11-13 2013-11-13 인쇄회로기판,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및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438A true KR20150055438A (ko) 2015-05-21
KR102107034B1 KR102107034B1 (ko) 2020-05-07

Family

ID=53043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7814A KR102107034B1 (ko) 2013-11-13 2013-11-13 인쇄회로기판,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및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131254A1 (ko)
KR (1) KR1021070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895A (ko) * 2015-06-24 201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회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반도체 패키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6719B1 (en) 2018-04-30 2019-04-3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and a semiconductor device
US20230129628A1 (en) * 2021-10-25 2023-04-27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Semiconductor Device Package Having Improved Conductive Stub Covera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8409A (ko) 1995-12-29 1997-07-31 김광호 휨 방지를 위한 인쇄회로기판
JP2004281818A (ja) * 2003-03-17 2004-10-07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電子デバイス、電子機器、キャリア基板の製造方法、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2008166527A (ja) * 2006-12-28 2008-07-17 Spansion Llc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09790A (ko) * 2009-07-23 2011-01-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6111A (ja) * 2006-03-27 2007-10-11 Sharp Corp 半導体装置、それを用いた積層型半導体装置、ベース基板、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8227703B2 (en) * 2007-04-03 2012-07-24 Sumitomo Bakelite Company, Ltd. Multilayered circuit board and semiconductor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8409A (ko) 1995-12-29 1997-07-31 김광호 휨 방지를 위한 인쇄회로기판
JP2004281818A (ja) * 2003-03-17 2004-10-07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電子デバイス、電子機器、キャリア基板の製造方法、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2008166527A (ja) * 2006-12-28 2008-07-17 Spansion Llc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09790A (ko) * 2009-07-23 2011-01-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895A (ko) * 2015-06-24 201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회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반도체 패키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7034B1 (ko) 2020-05-07
US20150131254A1 (en) 2015-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9104B2 (en) Circuit board structure with embedded semiconductor chip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143836B1 (ko) 반도체 패키지 및 그 반도체 패키지의 와이어 루프 형성방법
US9324633B2 (en) Multi-level package assembly having conductive vias coupled to chip carrier for each lev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204546B2 (en)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9147165A (ja) 半導体装置
JP7321009B2 (ja) 配線基板、接合型配線基板及び配線基板の製造方法
KR102107034B1 (ko) 인쇄회로기판,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및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
TW201528448A (zh) 配線基板及將半導體元件安裝至配線基板的安裝方法
JP6597502B2 (ja) 電子装置
TWI692846B (zh) 散熱基板及其製作方法
TWI417970B (zh) 封裝結構及其製法
US20140029223A1 (en) Circuit board with reduced adhesive overflow and circuit structure thereof
TW201126677A (en) Leadfr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61175B1 (ko) 반도체 패키지용 기판
JP2007103681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933271B2 (ja) 配線板、電子ユニット及び配線板の製造方法
CN108461405B (zh) 线路载板及其制造方法
JP2015146404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569610B2 (ja) 電子装置
JP2000216282A (ja) エリアアレイ電極型デバイス、それを実装する配線基板構造、及び回路基板実装体、並びにその実装方法
TWI693644B (zh) 封裝結構及其製造方法
JPH0846091A (ja) ボールグリッドアレイ半導体装置
JP2011061055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140115808A (ko) 인쇄회로기판,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및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
TW201545248A (zh) 印刷電路板,具有其之半導體封裝及製造其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