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4378A -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 Google Patents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4378A
KR20150054378A KR1020130136752A KR20130136752A KR20150054378A KR 20150054378 A KR20150054378 A KR 20150054378A KR 1020130136752 A KR1020130136752 A KR 1020130136752A KR 20130136752 A KR20130136752 A KR 20130136752A KR 20150054378 A KR20150054378 A KR 20150054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ring
pad
fastening
pa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6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승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6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4378A/ko
Publication of KR20150054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3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mechanical damper or dynamic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2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어 암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어 스프링이 안착되는 스프링 패드를 포함하는 차량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패드는,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는 패드 본체; 상기 패드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스프링의 말단이 삽입되는 체결 고리; 및 상기 체결 고리에 내장되어 상기 스프링의 말단을 고정하는 스틸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Spring pad for vehicle suspension}
본 발명은 자동차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리어 스프링을 리어암에 안착시키는 스프링 패드와 스프링 사이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는 차체와 휠 사이에 존재하며, 이 두 강체를 하나 혹은 다수의 링크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주는 장치로서, 상하방향으로는 스프링과 쇽업쇼버 등에 의해 지지되고, 기타방향으로는 높은 강성과 유연성을 적절히 조화시킴으로써, 차체와 휠 사이의 상대운동을 기계적으로 적절히 조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차량의 주행 중에 발생하는 노면의 불규칙한 입력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탑승자의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하고, 운전자의 운전행위 및 노면의 굴곡에 의해 발생된 차체의 흔들림을 적절히 제어하여 운전 편의성을 제공하여야하며, 불규칙한 노면의 주행 시, 타이어 접지면에서의 수직하중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선회, 제동 구동시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하여야 하는 기본 조건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현가장치가 개발되어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차량의 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너클은 그 하단이 로워 컨트롤 아암을 매개로 차체와 연결되고, 상기 너클의 상단은 너클 마운팅유닛을 통하여 쇽 업소버와 더불어 스프링과 일체로 형성되는 스트럿 어셈블리의 하단부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스트럿 어셈블리의 상단부는 미도시한 차체에 인슐레이터를 개재시켜 현가 지지되며, 스트럿 어셈블리의 중간부 내측에는 스테빌라이저가 연결된다.
이러한 현가장치에 채용되어 휠의 충격을 직접적으로 흡수하는 스프링은 리어(로워)암을 이용해 안착되고, 리어암과 스프링의 접촉부위는 고무 재질의 스프링 패드를 적용한다.
이와 같은 스프링 패드는 리어암에 대한 스프링의 안착과 조립성이 중요하므로, 그 형상도 이를 고려해 조립상태에서 스프링의 안착부위를 잘 감쌀수 있도록 수평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080080호(출원일 : 2012.01.04)
본 발명은 스프링 패드와 스프링 사이의 조립이 용이한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리어 암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어 스프링이 안착되는 스프링 패드를 포함하는 차량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패드는,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는 패드 본체; 상기 패드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스프링의 말단이 삽입되는 체결 고리; 및 상기 체결 고리에 내장되어 상기 스프링의 말단을 고정하는 스틸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드 본체와 상기 체결 고리는 상기 스프링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마찰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 본체는,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는 원반형 안착부; 상기 스프링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의 내측을 지지하는 원기둥형 지지부; 상기 지지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말단의 코일 상부를 지지하는 제1단턱부; 상기 안착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말단의 코일 측부를 지지하는 제2단턱부(114)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 고리가 고정되도록 상기 안착부를 관통하여 제1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측면부를 관통하여 제2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 고리는 그 내부에 상기 스틸 고리가 삽입되어 상기 스틸 고리를 감싸도록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틸 고리는 상기 스프링의 말단을 파지하는 반고리형의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양측 말단에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며 상기 제1 및 제2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스틸 고리 및 체결 고리를 상기 패드 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에 따르면, 스프링 패드에 구비된 체결 고리에 스프링의 말단이 삽입됨에 따라 스프링 패드와 스프링의 조립 및 고정 체결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패드의 사시도; 및
도 2는 도 1의 스프링 패드의 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공지된 구조 및 공지된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100)는 패드 본체(110), 체결 고리(120) 및 스틸 고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 본체(110)는 리어 암(10)과 스프링(20) 사이에 배치되며, 스프링(2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마찰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패드 본체(110)는 스프링(20)의 말단이 안착되는 원반형 안착부(111)와 스프링(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스프링(20)의 내측을 지지하는 원기둥형 지지부(112)와 이 지지부(112)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스프링(20) 말단의 코일 상부를 지지하는 제1단턱부(113)와 안착부(111)의 외주연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스프링(20) 말단의 코일 측부를 지지하는 제2단턱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패드 본체(110)는 스프링(20) 말단의 1개의 코일의 말단을 지지하는 체결 고리(120)가 고정되는 두 개의 체결공(115a,115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체결공(115a)은 안착부(111)를 관통하게 형성되고 제2체결공(115b)은 지지부(112)의 측면부를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체결 고리(120)는 스프링(20) 말단의 코일을 삽입시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패드 본체(110)와 별도로 고무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체결 고리(120)의 양 말단은 패드 본체(110)에 형성된 제1 및 제2체결공(115a,115b)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결 고리(120)는 스프링(20)은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해 그 내부에 금속 재질의 스틸 고리(130)가 별도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체결 고리(120)는 그 내부에 스틸 고리(130)가 삽입되도록 스틸 고리(130)를 감싸도록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체결 고리(120)는 양 말단이 제1 및 제2체결공(115a,115b)에 삽입 결합된 후, 패드 본체(110)와의 사이에 스프링(20) 말단 코일이 삽입되는 삽입공(120a)을 형성할 수 있다.
스틸 고리(130)는 체결 고리(1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스프링(20)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소정 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틸 고리(130)는 스프링(20)의 말단을 파지하는 반고리형의 파지부(131)와 이 파지부(131)의 양측 말단에 굴곡지게 형성되어 파지부(13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며 제1 및 제2체결공(115a,115b)에 삽입되어 스틸 고리(130) 및 체결 고리(120)를 패드 본체(11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132)가 굴곡지게 형성됨에 따라 파지부(131)의 개방 정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직경의 스프링(20)이 삽입공(120a)에 삽입되더라도 스프링(20)을 고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스틸 고리(130)의 파지부(131)는 스프링(20)을 단단히 고정할 수 있도록, 스프링(20)의 외경보다 작은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의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스프링 패드
111 : 안착부
112 : 지지부
113 : 제1단턱부
114 : 제2단턱부
115a,115b : 제1 및 제2체결공
120 : 체결 고리
130 : 스틸 고리

Claims (5)

  1. 리어 암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어 스프링이 안착되는 스프링 패드를 포함하는 차량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패드는,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는 패드 본체;
    상기 패드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스프링의 말단이 삽입되는 체결 고리; 및
    상기 체결 고리에 내장되어 상기 스프링의 말단을 고정하는 스틸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드 본체와 상기 체결 고리는 스프링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마찰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패드 본체는,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는 원반형 안착부; 상기 스프링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의 내측을 지지하는 원기둥형 지지부; 상기 지지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말단의 코일 상부를 지지하는 제1단턱부; 상기 안착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말단의 코일 측부를 지지하는 제2단턱부(114)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 고리가 고정되도록 상기 안착부를 관통하여 제1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측면부를 관통하여 제2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체결 고리는 그 내부에 상기 스틸 고리가 삽입되어 상기 스틸 고리를 감싸도록 일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틸 고리는 상기 스프링의 말단을 파지하는 반고리형의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양측 말단에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며 상기 제1 및 제2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스틸 고리 및 체결 고리를 상기 패드 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KR1020130136752A 2013-11-12 2013-11-12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KR201500543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752A KR20150054378A (ko) 2013-11-12 2013-11-12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752A KR20150054378A (ko) 2013-11-12 2013-11-12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378A true KR20150054378A (ko) 2015-05-20

Family

ID=53390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752A KR20150054378A (ko) 2013-11-12 2013-11-12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437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5106336U1 (de) 2015-11-12 2015-11-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ede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5222333A1 (de) 2015-11-12 2017-05-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ede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5222330A1 (de) 2015-11-12 2017-05-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ede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WO2019199120A1 (ko) * 2018-04-13 2019-10-17 이상욱 차량 현가장치용 코일스프링 지지대
CN112693270A (zh) * 2020-12-07 2021-04-23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后减震器安装板及其冲压模具、冲压工艺、车辆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5106336U1 (de) 2015-11-12 2015-11-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ede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5222333A1 (de) 2015-11-12 2017-05-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ede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5222330A1 (de) 2015-11-12 2017-05-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ede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WO2019199120A1 (ko) * 2018-04-13 2019-10-17 이상욱 차량 현가장치용 코일스프링 지지대
US11421748B2 (en) 2018-04-13 2022-08-23 Sang Wuk Lee Coil spring support for vehicular suspension system
CN112693270A (zh) * 2020-12-07 2021-04-23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后减震器安装板及其冲压模具、冲压工艺、车辆
CN112693270B (zh) * 2020-12-07 2022-09-13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后减震器安装板及其冲压模具、冲压工艺、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54378A (ko)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US8191862B2 (en) Portable spring-damper compressor
US7065875B2 (en) Bushing support ring for stabilizer bar
KR20130135492A (ko) 차량용 현가장치 및 상기 차량용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하부 스프링 시트
JP2000120769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8068723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5155808A (ja) 油圧緩衝器の懸架ばね支持構造
US10471793B2 (en) Seat mounts for side load spring on a twist beam axle
KR102464486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01766067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KR101611752B1 (ko) 차량의 ctba 구조
JP3196517U (ja) ロアブラケット及びエアスプリング取付け構造
KR101454622B1 (ko) 스냅링을 구비하는 자동차용 로워암장치
KR20110096264A (ko) 현가장치용 부시
KR100986085B1 (ko)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유닛
JP3931292B2 (ja) スプリングシート及び懸架装置
JP2007022249A (ja) 車体下部構造
KR102563031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트럿 마운트
KR200438361Y1 (ko) 차량 코일스프링용 완충기
KR101357655B1 (ko) 차량용 현가장치 및 상기 차량용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하부 스프링 시트
KR20220150622A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JP3192072U (ja) ロアブラケット及びエアスプリング取付け構造
KR101624506B1 (ko) 캠버각 조절식 리어 액슬
KR20100058967A (ko) 차량용 현가장치
KR20100007181A (ko) 스트럿 어셈블리용 스프링 어퍼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