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7750A -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7750A
KR20150047750A KR1020130127597A KR20130127597A KR20150047750A KR 20150047750 A KR20150047750 A KR 20150047750A KR 1020130127597 A KR1020130127597 A KR 1020130127597A KR 20130127597 A KR20130127597 A KR 20130127597A KR 20150047750 A KR20150047750 A KR 20150047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supporting
body portion
support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7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7750A/ko
Publication of KR20150047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7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28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는, 웨브(web)와 웨브에 연결되는 플랜지(flange)를 갖는 론지가 마련된 선박 건조용 자재를 승강시키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로써, 론지에 체결되며 론지의 외형에 형상 맞춤되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 가능한 분리형 클램프유닛과, 분리형 클램프유닛에 연결되며 분리형 클램프유닛을 승강시키는 리프팅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본 발명은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체 건조를 위해 론지가 용접 결합된 선박 건조용 주판을 승강시키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지상에서 조립 제작된 다수의 선체용 블록을 선대위에 순차적으로 탑재하는 방식으로 건조된다.
이러한 선체용 블록의 자재가 되는 주판 또는 외판(이하 “주판”이라 한다)에는 종방향 보강재인 론지(Longitudinal frame)가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된다.
이렇게 론지가 결합된 주판은, 크레인 등으로 리프팅되어 다음 단계의 작업 위치로 이동된다.
이러한 주판의 이동을 위해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lifting)용 러그(lug) 또는 아이 피스(eye piece, 1)를 이동시키려는 주판(3)의 상면에 더 용접하고, 용접된 아이 피스(1)에 리프팅용 케이블(5)을 체결하여 리프팅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여기서, 주판(3)에는 다수개의 론지(6)들이 설치되어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론지(6)에 관통공(미도시)을 형성하고 이러한 관통공을 관통하는 별도의 샤클(미도시)에 리프팅용 케이블(5)을 체결하여 주판(3)을 리프팅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주판(3)에 아이 피스(1)를 용접하는 방식은, 아이 피스(1)를 용접하는 작업 및 사용된 아이 피스(1)를 다시 제거하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수반되므로, 작업 시수 증가로 인해 조립 효율성을 크게 떨어진다.
또한, 아이 피스(1)의 제거 후 주(3)판에 도장 작업을 하더라도, 아이 피스(1)가 부착되어 있던 부위에 흔적이 남게 되기 때문에 주판(3) 품질에 악영향을 끼친다.
한편, 론지(6)에 형성된 관통공(미도시)을 관통하는 별도의 샤클(미도시)을 사용하는 방식은, 론지(6)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작업이 수반되어 작업 시간이 늘어나며, 론지(6)에 형성된 관통공에 의해 론지(6)의 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론지(6) 또는 주판(3)의 구조에 물리적인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도 주판(3)을 간편하게 승강시킬 수 있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13-0000834(삼성중공업 주식회사), 2013.01.03.
따라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론지 또는 주판에 물리적인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도 주판을 간편하게 승강시킬 수 있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웨브(web)와 상기 웨브에 연결되는 플랜지(flange)를 갖는 론지가 마련된 선박 건조용 자재를 승강시키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로써, 상기 론지에 체결되며, 상기 론지의 외형에 형상 맞춤되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 가능한 분리형 클램프유닛; 및 상기 분리형 클램프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분리형 클램프유닛을 승강시키는 리프팅유닛을 포함하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분리형 클램프유닛은, 상기 리프팅유닛이 연결되며, 상기 론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론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2 지지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론지의 플랜지를 지지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1 몸체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플랜지의 측벽부를 지지하는 제1 세로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세로플레이트에서 연장되며, 상기 플랜지의 하벽부를 지지하는 제1 가로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로 플레이트에는, 상기 플랜지의 하벽부에 연결되는 제1 자성체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2 지지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론지의 웨브를 지지하는 제3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마련되는 제4 몸체부; 및 상기 제4 몸체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론지의 플랜지를 지지하는 제5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 몸체부는, 상기 제4 몸체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플랜지의 측벽부를 지지하는 제2 세로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세로플레이트에서 연장되며, 상기 플랜지의 하벽부를 지지하는 제2 가로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로 플레이트에는, 상기 플랜지의 하벽부에 연결되는 제2 자성체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몸체부에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나사공 및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나사공에 연통되는 제2 나사공에 치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적어도 둘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 가능한 분리형 클램프유닛이 론지의 외형에 형상 맞춤되어 론지에 체결됨으로써, 분리형 클램프유닛을 론지에 간편하게 체결 및 체결 해제시킬 수 있으며, 분리형 클램프유닛의 체결 및 체결 해제 시 론지 및 선박 건조용 자재의 구조에 물리적인 손상을 입히지 않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리형 클램프유닛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4는 도 3의 분리형 클램프유닛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는, 웨브(web, W)와 웨브(W)에 연결되는 플랜지(flange, F)를 갖는 론지(R1)가 마련된 선박 건조용 자재(M)를 승강시키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로써, 론지(R1)에 체결되며 론지(R1)의 외형에 형상 맞춤되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 가능한 분리형 클램프유닛(100)과, 분리형 클램프유닛(100)에 연결되며 분리형 클램프유닛(100)을 승강시키는 리프팅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선박 건조용 자재(M)는, 선박 건조용 블록(미도시)에 사용되는 선박 건조용 판부재를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 론지(R1)는,'T'형상으로 마련되며, 소정의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선박 건조용 자재(M)에 용접방식으로 결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론지(R1)는 철재질로 마련된다.
분리형 클램프유닛(100)은, 론지(R1)의 외형에 형상 맞춤되며 론지(R1)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 가능하다.
이러한 분리형 클램프유닛(100)은, 리프팅유닛(미도시)이 연결되며 론지(R1)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110)와, 제1 지지부(110)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론지(R1)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120)와, 제1 지지부(110)와 제2 지지부(120)를 결합하는 결합부(130)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110)는, 리프팅유닛(미도시)에 연결되며, 론지(R1)를 지지한다. 이러한 제1 지지부(110)는, 제2 지지부(120)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13)이 형성되는 제1 몸체부(111)와, 제1 몸체부(111)에서 연장되며 론지(R1)의 플랜지(F)를 지지하는 제2 몸체부(112)를 포함한다.
제1 몸체부(111)에는, 제2 지지부(120)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13)이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홈(113)에는 제2 지지부(120)의 일부(제2 지지부(120)의 돌출부(121)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함)가 삽입되며, 삽입홈(113)은 제2 지지부(12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또한 제1 몸체부(111)에는,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나사공(114)이 마련된다. 이러한 제1 나사공(114)은 삽입홈(113)과 연통된다.
제2 몸체부(112)는, 제1 몸체부(111)에서 연장되며 론지(R1)의 플랜지(F)를 지지한다. 이러한 제2 몸체부(112)는, 제1 몸체부(111)에서 연장되며 플랜지(F)의 측벽부를 지지하는 제1 세로 플레이트(115)와, 제1 세로 플레이트(115)에서 연장되며 플랜지(F)의 하벽부를 지지하는 제1 가로 플레이트(116)를 포함한다.
제1 세로 플레이트(115)는, 제1 몸체부(111)에서 제1 몸체부(111)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다. 이러한 제1 세로 플레이트(115)는, 론지(R1)에 체결 시 플랜지(F)의 측벽부에 형상 맞춤되어 플랜지(F)를 지지함으로써, 론지(R1)가 분리형 클램프유닛(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가로 플레이트(116)는, 제1 세로 플레이트(115)에서 제1 세로 플레이트(115)에 교차하며 제1 몸체부(111)에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다. 이러한 제1 가로 플레이트(116)는, 론지(R1)에 체결 시 플랜지(F)의 하벽부에 형상 맞춤되어 플랜지(F)를 지지함으로써, 론지(R1)가 분리형 클램프유닛(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 지지부(110)는, 제1 몸체부(111)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리프팅유닛(미도시)이 체결되는 체결용 브라켓(117)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체결용 브라켓(117)에는, 리프팅유닛(미도시)의 리프팅 와이어(미도시)가 체결되는 체결공(118)이 형성된다.
한편 제2 지지부(120)는, 제1 지지부(110)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론지(R1)를 지지한다. 이러한 제2 지지부(120)는, 제1 몸체부(111)의 삽입홈(113)에 삽입되는 돌출부(121)가 마련되는 제4 몸체부(122)와, 제4 몸체부(122)에서 연장되며 론지(R1)의 플랜지(F)를 지지하는 제5 몸체부(123)를 포함한다.
제4 몸체부(122)에는, 제1 몸체부(111)의 삽입홈(113)에 삽입되는 돌출부(121)가 마련된다. 이러한 돌출부(121)에는 제1 나사공(114)에 연통되는 제2 나사공(124)이 형성된다.
제5 몸체부(123)는, 제4 몸체부(122)에서 연장되며 론지(R1)의 플랜지(F)를 지지한다. 이러한 제5 몸체부(123)는, 제4 몸체부(122)에서 연장되며 플랜지(F)의 측벽부를 지지하는 제2 세로 플레이트(125)와, 제2 세로 플레이트(125)에서 연장되며 플랜지(F)의 하벽부를 지지하는 제2 가로 플레이트(126)를 포함한다.
제2 세로 플레이트(125)는, 제4 몸체부(122)에서 제4 몸체부(122)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다. 이러한 제2 세로 플레이트(125)는, 론지(R1)에 체결 시 플랜지(F)의 측벽부에 형상 맞춤되어 플랜지(F)를 지지함으로써, 론지(R1)가 분리형 클램프유닛(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가로 플레이트(126)는, 제2 세로 플레이트(125)에서 제2 세로 플레이트(125)에 교차하며 제4 몸체부(122)에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다. 이러한 제2 가로 플레이트(126)는, 론지(R1)에 체결 시 플랜지(F)의 하벽부에 형상 맞춤되어 플랜지(F)를 지지함으로써, 론지(R1)가 분리형 클램프유닛(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결합부(130)는 제1 지지부(110)와 제2 지지부(120)를 결합한다. 이러한 결합부(130)는, 복수의 제1 나사공(114) 및 제2 나사공(124)에 치합되는 결합부재(13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재(131)는 결합용 볼트로 이루어진다.
한편, 리프팅유닛(미도시)은, 분리형 클램프유닛(100)에 연결되며, 분리형 클램프유닛(100)을 승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리프팅유닛(미도시)은, 상술한 리프팅 와이어(미도시)가 마련되는 크레인(미도시)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론지(R1)에 분리형 클램프유닛(100)을 체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분리형 클램프유닛(100)의 제1 지지부(110)를 론지(R1)에 접근시켜 플랜지(F)의 외형에 형상 맞춤시킨다. 이때 리프팅 와이어(미도시)는, 체결용 브라켓(117)에 미리 체결된 상태일 수도 있고, 분리형 클램프의 체결이 완료된 후 체결용 브라켓(117)에 체결될 수도 있다.
다음 제2 지지부(120)를 제1 지지부(110)쪽으로 이동시켜 제2 지지부(120)를 플랜지(F)의 외형에 형상 맞춤시킨다. 이때 제2 지지부(120)의 이동에 따라 돌출부(121)가 삽입홈(113)에 삽입되며, 삽입홈(113)은 제2 지지부(120)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후 결합부재(131)를 제1 나사공(114) 및 제1 나사공(114)에 연통되는 제2 나사공(124)에 치합시킴으로써, 제1 지지부(110)와 제2 지지부(120)를 결합시킨다.
이러한 론지(R1)에 대한 분리형 클램프유닛(100)의 체결이 완료된 후, 리프팅유닛(미도시)을 작동시켜 선박 건조용 자재(M)를 리프팅시켜 다음 작업 위치로 이동시킨다.
선박 건조용 자재(M)가 다음 작업 위치로 이동된 후에는 앞서 설명한 론지(R1)에 분리형 클램프유닛(100)을 체결하는 과정을 반대로 진행하여 론지(R1)에서 분리형 클램프를 체결 해제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 가능한 분리형 클램프유닛(100)이 론지(R1)의 외형에 형상 맞춤되어 론지(R1)에 체결됨으로써, 분리형 클램프유닛(100)을 론지(R1)에 간편하게 체결 및 체결 해제시킬 수 있으며, 분리형 클램프유닛(100)의 체결 및 체결 해제 시 론지(R1) 및 선박 건조용 자재(M)의 구조에 물리적인 손상을 입히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는, 선박 건조용 자재(M)을 리프팅유닛(미도시)에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어 선박 건조용 자재(M)를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선박 건조용 자재(M)의 구조나 강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서 선박 건조용 자재(M)를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제1 자성체(141) 및 제2 자성체(142)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2 내지 도 7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1 자성체(141) 및 제2 자성체(142)의 구성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가로 플레이트(116a)에는, 플랜지(F)의 하벽부에 연결되는 제1 자성체(141)가 마련된다. 또한 본 실시예 따른 제2 가로 플레이트(126a)에는, 플랜지(F)의 하벽부에 연결되는 제2 자성체(142)가 마려된다.
이러한 제1 자성체(141) 및 제2 자성체(142)는, 제1 지지부(110a)와 제2 지지부(120a)를 자기력을 통해 플랜지(F)에 결함시킴으로써, 선박 건조용 자재(M)의 이동과정에서 분리형 클램프유닛(100)이 론지(R1)의 플랜지(F)를 따라 슬립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는, 제1 지지부(110a) 및 제2 지지부(120a)에 각각 제1 자성체(141) 및 제2 자성체(142)가 마련됨으로써, 선박 건조용 자재(M)의 이동과정에서 분리형 클램프유닛(100)이 론지(R1)의 플랜지(F)를 따라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론지(R2)와 제3 몸체부(119)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2 내지 도 7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론지(R2)와 제3 몸체부(119)의 구성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론지(R2)는, 'ㄱ'자 형상으로 마련되며, 소정의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선박 건조용 자재(M)에 용접방식으로 결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부(110b)는, 제2 지지부(120)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13)이 형성되는 제1 몸체부(111)와, 제1 몸체부(111)에서 연장되며 론지(R2)의 웨브(W)를 지지하는 제3 몸체부(119)를 포함한다.
제3 몸체부(119)는, 제1 몸체부(111)에서 연장되며, 론지(R2)의 웨브(W)를 지지한다. 이러한 제3 몸체부(119)는 제1 몸체부(111)에서 제1 몸체부(111)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마련된다. 또한 제3 몸체부(119)는, 론지(R2)에 체결 시 론지(R2)의 웨브(W)에 형상 맞춤되어 웨브(W)를 지지함으로써 론지(R2)가 분리형 클램프유닛(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는, 웨브(W)에 형상 맞춤되어 웨브(W)를 지지하는 제3 몸체부(119)가 마련됨으로써, 'ㄱ'자 형상을 갖는 론지(R2)가 마련된 선박 건조용 자재(M)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분리형 클램프유닛 110, 110a, 110b: 제1 지지부
111: 제1 몸체부 112: 제2 몸체부
113: 삽입홈 114: 제1 나사공
115: 제1 세로 플레이트 116, 116a: 제1 가로 플레이트
117: 체결용 브라켓 118: 체결공
119: 제3 몸체부 120, 120a: 제2 지지부
121: 돌출부 122: 제4 몸체부
123: 제5 몸체부 124: 제2 나사공
125: 제2 세로 플레이트 126, 126a: 제2 가로 플레이트
130: 결합부 131: 결합부재
141: 제1 자성체 142: 제2 자성체
W: 웨브 F: 플랜지
R1, R2: 론지 M: 선박 건조용 자재

Claims (10)

  1. 웨브(web)와 상기 웨브에 연결되는 플랜지(flange)를 갖는 론지가 마련된 선박 건조용 자재를 승강시키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로써,
    상기 론지에 체결되며, 상기 론지의 외형에 형상 맞춤되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 가능한 분리형 클램프유닛; 및
    상기 분리형 클램프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분리형 클램프유닛을 승강시키는 리프팅유닛을 포함하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클램프유닛은,
    상기 리프팅유닛이 연결되며, 상기 론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론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2 지지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론지의 플랜지를 지지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제1 몸체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플랜지의 측벽부를 지지하는 제1 세로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세로플레이트에서 연장되며, 상기 플랜지의 하벽부를 지지하는 제1 가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로 플레이트에는, 상기 플랜지의 하벽부에 연결되는 제1 자성체가 마련되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2 지지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론지의 웨브를 지지하는 제3 몸체부를 포함하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
  7. 제3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마련되는 제4 몸체부; 및
    상기 제4 몸체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론지의 플랜지를 지지하는 제5 몸체부를 포함하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몸체부는,
    상기 제4 몸체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플랜지의 측벽부를 지지하는 제2 세로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세로플레이트에서 연장되며, 상기 플랜지의 하벽부를 지지하는 제2 가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로 플레이트에는, 상기 플랜지의 하벽부에 연결되는 제2 자성체가 마련되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몸체부에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나사공 및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나사공에 연통되는 제2 나사공에 치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
KR1020130127597A 2013-10-25 2013-10-25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 KR201500477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597A KR20150047750A (ko) 2013-10-25 2013-10-25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597A KR20150047750A (ko) 2013-10-25 2013-10-25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750A true KR20150047750A (ko) 2015-05-06

Family

ID=53386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597A KR20150047750A (ko) 2013-10-25 2013-10-25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77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352U (ko) * 2015-12-22 2017-07-0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중량물 인양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352U (ko) * 2015-12-22 2017-07-0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중량물 인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75847B (zh) 一种集装箱船中间横隔舱的快速搭载方法
KR20150047750A (ko)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
JP6472224B2 (ja) 杭打機の下部リーダ着脱治具
KR101014509B1 (ko) 차체 조립지그의 클램프장치
KR20100133705A (ko)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
KR20150001390U (ko) 리프팅 러그
KR20130110467A (ko) 선박의 수직 브라켓 취부용 지그
KR200456465Y1 (ko) 포크레인용 보조집게
JP2006056695A (ja) クレーン
CN203807102U (zh) 一种分段企口保护装置
CN108163713B (zh) 一种简易箱形构件翻身装置及方法
KR20160002045U (ko) 리프팅 러그
KR101942213B1 (ko) 신축 붐의 장착 구조
KR200473953Y1 (ko) 데크설치용 메인파일
KR100940931B1 (ko) 분해조립식 러그
JP6197686B2 (ja) 連結ピン装置
KR101258917B1 (ko) 블록 리프팅 장치
CN102996141A (zh) 星轮装置、包括星轮装置的铲板及包括该铲板的掘进机
JP6443017B2 (ja) ジブの着脱機構
KR20120051226A (ko) 조립 위치 설정을 위한 가이드 핀 및 가이드 핀을 이용한 어셈블리 조립 위치 설정 구조
JP2019027046A (ja) 杭打機
CN212292524U (zh) 一种钢箱梁的u肋板单元翻身用工装
CN206588840U (zh) 一种模具加工支撑装置
CN210629228U (zh) 一种翻转式抽油机电机顶丝支座
JP2012097412A (ja) 杭打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