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917B1 - 블록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블록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8917B1
KR101258917B1 KR1020110061598A KR20110061598A KR101258917B1 KR 101258917 B1 KR101258917 B1 KR 101258917B1 KR 1020110061598 A KR1020110061598 A KR 1020110061598A KR 20110061598 A KR20110061598 A KR 20110061598A KR 101258917 B1 KR101258917 B1 KR 101258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ckle
hole
connecting portion
block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834A (ko
Inventor
이상모
김성수
변장산
장응윤
김기업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1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8917B1/ko
Publication of KR20130000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Abstract

블록 리프팅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리프팅 장치는 블록 건조용 자재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걸쳐지도록 삽입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단면을 갖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조립되어 있는 일측 샤클부와, 상기 연결부의 길이 방향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조립되어 있는 타측 샤클부와, 상기 연결부의 타측 끝단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 리프팅 장치{APPARATUS FOR LIFTING BLOCK}
본 발명은 인양장치로 블록을 들어올리기 위해 블록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블록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인양하려는 물체를 다루는 사용처 또는 작업장에서 들어올리는 용도로 사용된다.
만일, 크레인의 사용처가 조선소인 경우, 인양하려는 물체는 선체 조립을 위한 블록 건조용 구조재 또는 선박 건조용 블록(이하, 블록이라 칭함)이 될 수 있다.
선체의 블록 건조에서는 선체를 수 십 개 혹은 수 백 개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그 개개의 블록들을 지상에서 조립 제작하고, 제작된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선대위에 탑재하여 하나의 선체로 조립된다.
예컨대, 국내, 외 조선소의 일반적인 블록 제작 시에는 블록을 건조하기 위한 자재가 되는 주판 또는 외판(이하 외판으로 통칭함)에 종방향 보강재인 론지(Longitudinal)를 용접으로 부착하여, 다음 단계의 블록 조립 작업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이동 또는 블록 조립용 자재의 이동을 위해서 리프팅(lifting)용 러그(lug) 또는 아이 피스(1, 2)(eye piece)(이하 아이 피스로 통칭함)를 이동시키려는 외판(3)의 상면에 더 용접하고, 용접된 아이 피스(1, 2)에 크레인(4)용 케이블(5)을 체결하여 인양하는 과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외판(3)에는 복수개의 론지(6)들이 배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리프팅용 아이 피스는 복수개로 외판의 상면에 용접되는 작업과, 인양 작업 이후 모두 제거되는 작업이 수행됨에 따라, 작업 시수 증가로 인해 조립 효율성을 크게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다.
또한, 용접, 제거의 작업이 요구되는 종래의 리프팅용 아이 피스는 제거 이후 외판에 도장 작업을 하더라도, 리프팅용 아이 피스가 부착되어 있던 외판 해당 부위에 용접부 흔적(7)이 남게 되기 때문에 고객의 불만 제기와 함께 품질 향상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측 샤클부와 타측 샤클부에 결합 또는 조립되는 연결부를 제공하여, 블록의 론지에 형성되는 통기공(air hole) 또는 배수공(drain hole)을 블록 리프팅 구멍으로 활용할 수 있고, 별도의 러그 또는 리프팅용 아이 피스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작업 시수를 단축시킬 수 있고, 자재 표면에 용접부 흔적을 남기지 않을 수 있는 블록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블록 건조용 자재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걸쳐지도록 삽입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단면을 갖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조립되어 있는 일측 샤클부와, 상기 연결부의 길이 방향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조립되어 있는 타측 샤클부와, 상기 연결부의 타측 끝단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를 포함하는 블록 리프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일측 샤클부용 힌지핀이 결합되기 위한 힌지구멍을 갖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연결부의 타측 방향을 따라 일체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헤드부보다 작은 크기의 단면을 가지는 단턱부; 상기 단턱부로부터 상기 연결부의 타측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단턱부보다 작은 단면을 가지고 상기 블록 건조용 자재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구멍접촉부; 상기 구멍접촉부로부터 상기 연결부의 타측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구멍접촉부보다 작은 단면을 가지고 상기 타측 샤클부에 형성되어 있는 샤클장착구멍에 삽입될 수 있는 샤클장착부; 상기 샤클장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결부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너트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에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일측 샤클부는 상기 연결부의 헤드부의 힌지구멍에 상기 일측 샤클부가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힌지핀; 상기 힌지핀의 양단부에 체결되는 핀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헤드부를 개재시키도록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힌지링부; 상기 힌지링부의 상부에서 C자 링형상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일측 로프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타측 샤클부는 상기 연결부의 샤클장착부에 삽입되는 샤클장착구멍을 갖고, 상호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장착링부; 상기 장착링부의 상부에서 C자 링형상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타측 로프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존의 아이 피스 또는 러그를 블록에 별도로 용접하여 부착하지 않는 대신, 론지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통기공 또는 배수공에 삽입되는 연결부와, 연결부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일측 샤클부 및 타측 샤클부를 제공하되,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를 일측 샤클부와 타측 샤클부에 결합시켜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러그 또는 리프팅용 아이 피스를 사용함에 따른 부착 또는 해체 작업 시수를 대폭 단축시킬 수 있고, 용접부 흔적이 없어 제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론지의 통기공 또는 배수공과 같은 구멍의 위치가 외판 근처에 형성되어 있는 특성을 고려하여 연결부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차례로 헤드부, 단턱부, 구멍접촉부, 샤클장착부, 나사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있음으로써, 일측 샤클부와 타측 샤클부가 구조적으로 안전하게 연결부에 조립되어 있을 수 있고, 론지의 통기공 또는 배수공에 안전하게 취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연결부의 헤드부에 테이퍼면을 형성하여, 리프트 도중 흔들림이 발생되더라도, 연결부의 헤드부가 리프트 대상물의 외판 표면에 접촉되거나 간섭되지 않게 하여, 안전한 리프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는 일측 샤클부와 타측 샤클부가 직각을 이루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부에 조립되어 있음으로써, 인양 및 이동 중 발생 가능한 흔들림에도 불구하고 안정되게 블록을 인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블록의 인양 방법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리프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연결부의 정면도이다.
도 4와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블록 리프팅 장치에 의한 블록 리프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리프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리프팅 장치는 연결부(10), 일측 샤클부(20), 타측 샤클부(30), 너트부(4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0)는 그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차례로 헤드부(11), 단턱부(12), 구멍접촉부(13), 샤클장착부(14), 나사부(15)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
도 4을 참조하면, 연결부(10)는 블록 건조용 자재에 해당하는 론지(6)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6a)에 걸쳐지도록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블록 건조용 자재는 선박 건조용 블록의 외판(3)과 같은 판부재 또는 외판(3)에 결합된 론지(6)를 비롯하여, 기타 블록 건조를 위한 어떠한 부재일 수 있다.
예컨대, 본 설명에서 블록 건조용 자재인 론지(6)에는 통기공(air hole) 또는 배수공(drain hole)에 해당하는 구멍(6a)이 블록 제조 과정에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특히, 통기공 또는 배수공과 같은 구멍(6a)의 위치는 외판(3)의 근처에 근접하도록 론지(6)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구멍(6a)을 리프팅 구멍으로 활용하면서도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특수한 샤클 결합 구조를 본 실시예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즉, 특수한 샤클 결합 구조란 타측 샤클부(30)가 일측 샤클부(20)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어 T자 형태로 연결부(10)에 조립 또는 장착되어 있는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T자 배치 형태에 의해서, 인양대상물인 블록 건조용 자재의 인양 및 이동시 발생 가능한 흔들림이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고, 또한 외판(3)과의 간섭을 최대한 피하면서 구조적 안전성과 인양 능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타측 샤클부(30), 일측 샤클부(20), 연결부(10)가 본 실시예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부(10)는 통기공 또는 배수공과 같은 론지(6)의 구멍(6a)을 블록 리프팅 구멍으로 활용 또는 차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러그 또는 아이 피스 없이도 블록 건조용 자재를 인양할 수 있게 된다.
이런 연결부(10)는 통기공 또는 배수공 주위의 허용 하중과 구조적 강도 및 인양 하중을 전반적으로 고려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단면을 갖는 핀(pin), 강봉(steel pole), 샤프트(shaft), 빔(beam), 바(bar) 형태로 적절히 제작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부(10)는 연결부(10)의 일측에 형성되고, 일측 샤클부(20)용 힌지핀(21)이 결합되기 위한 힌지구멍(17)을 갖는 헤드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헤드부(11)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테이퍼면(16)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테이퍼면(16)은, 론지(6)의 구멍(6a)에 연결부(10)가 장착된 후, 외판(3)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을 정도의 유격을 고려하여 정한 테이퍼경사각(T)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연결부(10)는 헤드부(11)로부터 연결부(10)의 타측 방향을 따라 일체형으로 연장되고, 헤드부(11)보다 작은 크기의 단면을 가지는 단턱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0)는 단턱부(12)로부터 연결부(10)의 타측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단턱부(12)보다 작은 단면을 가지고 블록 건조용 자재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6a)에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구멍접촉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단턱부(12)와 구멍접촉부(13) 사이에는 직경 차이로 인해 단턱 또는 정지턱(123)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부(10)는 구멍접촉부(13)로부터 연결부(10)의 타측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구멍접촉부(13)보다 작은 단면을 가지고 타측 샤클부(30)에 형성되어 있는 샤클장착구멍(31)에 삽입 또는 조립될 수 있는 샤클장착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0)는 샤클장착부(14)로부터 연장되어 연결부(10)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고, 너트부(40)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측 샤클부(20)는 연결부(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부(10)의 일측에 조립될 수 있다.
예컨대, 일측 샤클부(20)는 연결부(10)의 헤드부(11)의 힌지구멍(17)에 일측 샤클부(20)가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힌지핀(2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측 샤클부(20)는 힌지핀(21)의 양단부에 체결되는 핀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헤드부(11)를 개재시키도록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힌지링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측 샤클부(20)는 힌지링부(22) 각각의 상부에서 C자 링형상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일측 로프연결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일측 샤클부(20)의 일측 로프연결부(23)에는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미 도시)가 결합되어 크레인의 인양력이 전달될 수 있다.
이런 일측 샤클부(20)는 샤클장착부(14)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헤드부(11)에 조립되어 있음에 따라, 타측 샤클부(3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설계되어 있을 수 있다.
반면, 타측 샤클부(30)는 헤드부(1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샤클장착부(14)에 장착되기 때문에, 구조적 안정성과 중량 균형 등을 고려하여, 일측 샤클부(20)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설계되어 있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가 활용하고자 하는 구멍(6a)은 외판(3)의 근처의 론지(6)에 형성되어 있어, 구멍(6a)과 외판(3) 사이의 거리보다 큰 물체를 근접시키면서 구멍(6a)에 삽입 체결시키기에 접근상 한계가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전하게 삽입 체결을 통해 인양 작업을 할 수 있기 위해서, 본 실시에에서는 샤클장착부(14)를 헤드부(11)만큼 작게 만드는 대신, 타측 샤클부(30)를 일측 샤클부(20)와 같은 방식으로 결합시키지 않고 수직하게 배치한 상태로 연결부(10)에 장착시키게 된 것이다.
이를 위해 타측 샤클부(30)는 연결부(10)의 길이 방향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부(10)의 타측에 취부 가능하게 삽입 또는 조립되어 장착 또는 탈착될 수 있게 제작되어 있다.
즉, 타측 샤클부(30)는 연결부(10)의 샤클장착부(14)에 삽입되는 샤클장착구멍(31)을 가지고 있고, 상호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장착링부(32)와, 장착링부(32)의 상부에서 C자 링형상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타측 로프연결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너트부(40)는 연결부(10)의 타측 끝단에 나사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너트부(40)는 연결부(10)의 타측 끝단인 나사부(15)에 나사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런 너트부(40)는 나사결합되어 있는 동안 연결부(10)로부터 타측 샤클부(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사용방법에 따른 블록 리프팅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크레인(4)의 와이어 로프(5)와 일측 샤클부(2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0)와 일측 샤클부(20)는 힌지핀(21)에 의해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일측 샤클부(20)를 수직하게 배치시키는 대신 연결부(10)를 수평하게 회전시켜서, 일측 샤클부(20)의 반대쪽에 위치한 연결부(10)의 끝단을 블록 건조용 자재인 론지(6)의 구멍(6a)에 삽입시킨다.
이후, 정지턱(123)에 의해 연결부(10)의 구멍접촉부(13)는 구멍(6a) 테두리에 밀착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크레인(4)의 와이어 로프(5)의 다른쪽 로프를 타측 샤클부(30)를 연결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타측 샤클부(30)를 연결부(10)의 샤클장착부(14)에 끼워 장착시킨다.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너트부(40)와 연결부(10)의 나사부(15)를 나사결합시켜서, 연결부(10)로부터 타측 샤클부(3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리프팅 장치가 론지(6)의 구멍(6a)에 체결되는 과정은 복수개의 구멍 위치에서 반복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러그 또는 아이 피스를 용접에 의해 부착하지 않고도, 론지(6)와 외판(3)을 포함한 블록 건조용 자재는 크레인(4)에 의해 인양(L) 및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일측 샤클부(20)과 타측 샤클부(30)이 론지(6)의 좌우 측에 배치되어 안정되게 각각 와이어 로프(5)에 의해 인양될 수 있으므로, 블록 건조용 자재의 인양 또는 이동 도중 론지(6)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블록 건조용 자재의 인양 또는 이동 도중 진동 또는 흔들림(R)이 발생되더라도, 연결부(10)의 헤드부(11)가 테이퍼면(16)의 형상적 특징에 의해 외판(3) 표면에 접촉되거나 간섭되지 않게 될 수 있어서, 안전한 리프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연결부 20 : 일측 샤클부
30 : 타측 샤클부 40 : 너트부

Claims (5)

  1. 블록 건조용 자재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걸쳐지도록 삽입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단면을 갖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조립되어 있는 일측 샤클부와,
    상기 연결부의 길이 방향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조립되어 있는 타측 샤클부와,
    상기 연결부의 타측 끝단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일측 샤클부용 힌지핀이 결합되기 위한 힌지구멍을 갖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연결부의 타측 방향을 따라 일체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헤드부보다 작은 크기의 단면을 가지는 단턱부;
    상기 단턱부로부터 상기 연결부의 타측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단턱부보다 작은 단면을 가지고 상기 블록 건조용 자재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구멍접촉부;
    상기 구멍접촉부로부터 상기 연결부의 타측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구멍접촉부보다 작은 단면을 가지고 상기 타측 샤클부에 형성되어 있는 샤클장착구멍에 삽입될 수 있는 샤클장착부;
    상기 샤클장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결부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너트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블록 리프팅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리프팅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샤클부는,
    상기 연결부의 헤드부의 힌지구멍에 상기 일측 샤클부가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힌지핀;
    상기 힌지핀의 양단부에 체결되는 핀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헤드부를 개재시키도록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힌지링부;
    상기 힌지링부의 상부에서 C자 링형상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일측 로프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리프팅 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샤클부는,
    상기 연결부의 샤클장착부에 삽입되는 샤클장착구멍을 갖고, 상호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장착링부;
    상기 장착링부의 상부에서 C자 링형상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타측 로프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리프팅 장치.
KR1020110061598A 2011-06-24 2011-06-24 블록 리프팅 장치 KR101258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598A KR101258917B1 (ko) 2011-06-24 2011-06-24 블록 리프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598A KR101258917B1 (ko) 2011-06-24 2011-06-24 블록 리프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834A KR20130000834A (ko) 2013-01-03
KR101258917B1 true KR101258917B1 (ko) 2013-04-29

Family

ID=47834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598A KR101258917B1 (ko) 2011-06-24 2011-06-24 블록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89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142B1 (ko) * 2013-04-16 2015-03-23 최순환 샤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9173A (ja) * 1994-08-16 1996-03-05 Zojirushi Chain Block Kk シャックル
KR19990033087A (ko) * 1997-10-23 1999-05-15 한창수 자동 개폐형 전동훅
JPH11349278A (ja) * 1998-06-11 1999-12-21 Sanwa Tekki Corp 吊上げクランプ及び深礎基礎鉄筋用吊り装置
KR101002943B1 (ko) 2010-04-29 2010-12-21 김동기 스크류 클램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9173A (ja) * 1994-08-16 1996-03-05 Zojirushi Chain Block Kk シャックル
KR19990033087A (ko) * 1997-10-23 1999-05-15 한창수 자동 개폐형 전동훅
JPH11349278A (ja) * 1998-06-11 1999-12-21 Sanwa Tekki Corp 吊上げクランプ及び深礎基礎鉄筋用吊り装置
KR101002943B1 (ko) 2010-04-29 2010-12-21 김동기 스크류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834A (ko)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6564B2 (ja) コネクタ、組み合わせクレーン及び同コネクタを用いた連結方法
KR20180001175U (ko) 턴오버 지그
KR101258917B1 (ko) 블록 리프팅 장치
US20180222729A1 (en) Counterweight Attachment and Removal Device and Combination of Same with Counterweight
JP5039077B2 (ja) 建設機械用トラックフレーム
KR101505142B1 (ko) 샤클
CN102381623A (zh) 一种断路器专用吊具
KR101694466B1 (ko) 통스크레인의 다단 분리형 통키
CN210012520U (zh) 一种爬升装置及自爬升起重机
JP6436820B2 (ja) 摩耗ゲージ及び点検方法
JP6540652B2 (ja) 着脱機構
CN204607382U (zh) 箱型柱简易翻转器
KR200451145Y1 (ko) 전극봉 홀더의 승하강 가이드 롤러 조정용 지그
JP2006056695A (ja) クレーン
CN102060231A (zh) 一种用于工作辊或中间辊的起吊方法及装置
KR101942213B1 (ko) 신축 붐의 장착 구조
KR102027282B1 (ko) 크레인용 블록 로더
JP2019112183A (ja) 作業機械の手すり
JP2020125187A (ja) 連結装置
CN210105437U (zh) 一种抱杆防磨固定装置
CN216666147U (zh) 一种可快速拼接的铝型材
KR20150027989A (ko) 크레인용 보조공구
CN204224156U (zh) 一种排绳机构的支座及起重机
JP6962425B2 (ja) アダプタ
CN210340028U (zh) 一种机房钢丝绳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