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7401A - 어태치먼트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어태치먼트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7401A
KR20110077401A KR1020090133968A KR20090133968A KR20110077401A KR 20110077401 A KR20110077401 A KR 20110077401A KR 1020090133968 A KR1020090133968 A KR 1020090133968A KR 20090133968 A KR20090133968 A KR 20090133968A KR 20110077401 A KR20110077401 A KR 20110077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slider
loader
coupling
dr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3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0723B1 (ko
Inventor
김중호
Original Assignee
대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호 (주) filed Critical 대호 (주)
Priority to KR1020090133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723B1/ko
Publication of KR20110077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7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8Cantilever beams, i.e. boo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booms; Dipper-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dipper-arms; Bucket-arms
    • E02F3/382Connections to the frame; Supports for booms or arms
    • E02F3/386Connections to the frame; Supports for booms or arms the boom being laterally shiftable relative to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 등과 같은 이동작업차에 설치된 로더에 장착되는 버킷, 베일 집게, 후크 등의 각종 작업용 장비인 어태치먼트 중 어느 하나를 장착하여 상기 장착된 어태치먼트를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어태치먼트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보다 간단하고 상기 어태치먼트의 장착이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 및 작업의 안정성을 극대화한 어태치먼트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이 주동 슬라이더부와 상기 주동 슬라이더부의 좌우 이동에 따라 연동하여 좌우 이동을 하는 종동 슬라이더부를 상하로 배치하되, 상기 주동 슬라이더부는 제1 유압실린더의 동작에 의하여 좌우 이동되는 제1 주동 슬라이더와 상기 제1 주동 슬라이드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2 유압실린더의 동작에 의하여 좌우 이동되는 제2 주동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종동 슬라이더부는 제1 종동 슬라이더와 상기 제1 종동 슬라이드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종동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작업차, 어태치먼트, 장착장치, 주동 슬라이더, 종동 슬라이더

Description

어태치먼트 장착장치{APPARATUS OF EQUIPPING THE ATTACHMENT}
본 발명은 트랙터 등과 같은 이동작업차에 설치된 로더에 장착되는 버킷, 베일 집게, 후크 등의 각종 작업용 장비인 어태치먼트 중 어느 하나를 장착하여 상기 장착된 어태치먼트를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어태치먼트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보다 간단하고 상기 어태치먼트의 장착이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 및 작업의 안정성을 극대화한 어태치먼트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동 작업차의 하나인 트랙터는 전방부에 전방 로더를 장착하여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운반, 내리기, 싣기 등의 작업을 하고, 상기 로더에는 단순히 버킷만을 고정 부착하여 흙이나 퇴비의 상 하차 작업을 주로 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근래 농 축산업이 중. 대규모화 되면서 수작업을 하기 위한 인건비의 상승 및 인력부족으로 인하여 기계 장비에 의한 작업이 요구되고 또한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게 상기 로더의 선단부에 베일 집게, 버킷, 후크 등의 각종 작업용 장비인 어태치먼트를 장착할 수 있는 작업용 어태치먼트가 개발된 바 있다.
본 출원인은 이동 작업차에 베일 집게, 버킷, 후크 등의 각종 작업용 장비인 어태치먼트를 착탈할 수 있는 작업용 어태치먼트 장착장치를 개발함에 있어서 2조의 유압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어태치먼트가 각각 또는 동시에 좌우 이동 및 폭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발명을 특허출원 제2008-68405호, 특허출원 제2008-68406 호 및 특허출원 제2008-74184호로 하여 특허출원한 바 있다.
상기 본 출원인에 의한 상기 발명들은 상기 어태치먼트가 장착된 좌우 한 쌍의 어태치먼트 결합부를 서로 동일 방향 및 반대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게 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각종 어태치먼트의 고유 작업이 가능(상기 어태치먼트가 한 쌍의 베일 집게 또는 한 쌍의 지게 발인 경우 상기 어태치먼트가 장착된 좌우 한 쌍의 어태치먼트 결합부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작업이 가능)하게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한 쌍의 어태치먼트 결합부 전체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어 다양한 작업이 가능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상기 발명들은 상기 어태치먼트가 장착된 좌우 한 쌍의 어태치먼트 결합부를 좌우 이동하기 위하여 상부에 주동 슬라이더부를 수평으로 배치하고 하부에 종동 슬라이더부를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어 그 설치공간이 크게 되고 상기 주동 슬라이더부 및 종동 슬라이더부에 고정 결합되는 어태치먼트 결합부의 형상이 뒤틀림에 약한 구조로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발명들은 이동작업차의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는 어태치먼트 결합부가 잘 보이지 않아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에 어태치먼트를 결합하는 데 다소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발명들은 로더가 제조사에 따라 상기 로더의 폭이 다를 경우에 상기 로더의 폭에 맞게 상기 어태치먼트를 장착하기 위하여 다수의 결합 홈을 구비하고 있으나, 상기 다수의 결합 홈의 구비로 인하여 설치공간을 크게 차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동작업차에 설치된 로더에 장착되는 버킷, 베일 집게, 후크 등의 각종 작업용 장비인 어태치먼트가 장착되는 좌우 한 쌍의 어태치먼트 결합부를 서로 동일 방향 및 반대 방향으로 좌우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어태치먼트 장착장치를 주동 슬라이더부를 수직으로 배치하고 종동 슬라이더부를 수직으로 배치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상기 주동 슬라이더부 및 종동 슬라이더부에 고정 결합되는 어태치먼트 결합부를 사각형 박스 형태로 제작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프레임의 설치 공간이 축소되면서 그 구조가 보다 단순화되고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의 뒤틀림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어태치먼트 장착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에 대하여 그 상부에 상기 어태치먼트를 걸어 결합할 수 있는 후크가 형성되고 그 후크의 일면이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보다 높게 형성되게 함으로써. 이동작업차의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은 채로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의 위치를 용이하게 볼 수 있어 버킷 등의 어태치먼트를 보다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어태치먼트 장착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더가 제조사에 따라 상기 로더의 폭이 다를 경우에도 상기 로더 결합 브래킷의 폭 사이에 스페이서를 삽입하면 상기 로더가 상기 로더 결합 브래킷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상기 로더의 폭에 구애 받지 않고 간단한 방법으 로 상기 로더에 장착할 수 있는 어태치먼트 장착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 장착 장치는 트랙터 등과 같은 이동작업차에 설치된 로더의 좌우측 선단부와 그 일면이 결합되는 한 쌍의 로더 결합 브래킷과, 상기 한 쌍의 로더 결합 브래킷과 고정 결합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고 어태치먼트를 장착하여 상기 어태치먼트를 좌우 이동하게 하는 한 쌍의 어태치먼트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어태치먼트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주동 슬라이더부와 상기 주동 슬라이더부의 좌우 이동에 따라 연동하여 좌우 이동을 하는 종동 슬라이더부를 상하로 배치하되, 상기 주동 슬라이더부는 제1 유압실린더의 동작에 의하여 좌우 이동되는 제1 주동 슬라이더와 상기 제1 주동 슬라이드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2 유압실린더의 동작에 의하여 좌우 이동되는 제2 주동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종동 슬라이더부는 상기 제1 주동 슬라이더의 좌우 이동됨에 따라 연동하여 좌우 이동되는 제1 종동 슬라이더와 상기 제1 종동 슬라이드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주동 슬라이더의 좌우 이동됨에 따라 연동하여 좌우 이동되는 제2 종동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주동 슬라이더와 상기 제1 종동 슬라이더에 하나의 어태치먼트 결합부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2 주동 슬라이더와 상기 제2 종동 슬라이더에는 다른 하나의 어태치먼트 결합부가 고정 결합되어, 상기 제1 주동 슬라이더 및 제2 주동 슬라이더가 좌우 이동함에 따라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가 각각 좌우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가 상기 어태치먼트를 장착하기 위하여 그 상부에 후크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장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후크의 일면이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로더가 제조사에 따라 상기 로더의 폭이 다를 경우 상기 로더 결합 브래킷의 폭 사이에 스페이서를 삽입하여 상기 로더가 상기 로더 결합 브래킷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 장착장치는 이동작업차에 설치된 로더에 장착되는 버킷, 베일 집게, 후크 등의 각종 작업용 장비인 어태치먼트가 장착되는 좌우 한 쌍의 어태치먼트 결합부를 서로 동일 방향 및 반대 방향으로 좌우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어태치먼트 장착장치를 주동 슬라이더부를 수직으로 배치하고 종동 슬라이더부를 수직으로 배치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프레임의 구조가 단순화되고, 상기 주동 슬라이더부 및 종동 슬라이더부에 고정 결합되는 어태치먼트 결합부를 사각형 박스 형태로 제작할 수 있어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의 뒤틀림 현상을 감소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에 대하여 그 상부에 상기 어태치먼트를 걸어 결합할 수 있는 후크가 형성되고 그 후크의 일면이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보다 높게 형성되게 함으로써. 이동작업차의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은 채로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의 위치를 용이하게 볼 수 있어 버킷 등의 어태치먼트를 보다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더가 제조사에 따라 상기 로더의 폭이 다를 경우에도 상기 로더 결합 브래킷의 폭 사이에 스페이서를 삽입하면 상기 로더가 상기 로더 결합 브래킷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상기 로더의 폭에 구애 받지 않고 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로더에 어태치먼트 장착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 장착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 장착장치를 트랙터 반대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 장착장치를 트랙터 똑에서 본 후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 장착장치의 측면 상세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 장착장치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 다.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 장착장치는 트랙터 등과 같은 이동작업차 에 설치된 로더의 좌우측 선단부에 버킷, 베일 집게, 후크 등의 각종 작업용 장비인 어 태치먼트 중 어느 하나를 장착하여 상기 장착된 어태치먼트를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어태치먼트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 장착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터 등과 같은 이동 작업차에 설치된 로더의 좌우측 선단부와 그 일면이 장착공(40a, 40b)를 통하여 결합되는 좌우 한 쌍의 로더 결합 브래킷(40)과, 상기 로더 결합 브래킷(40)과 고정 결합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과 고정 결합된 좌우 수평 이동하는 좌우 한 쌍의 어태치먼트 결합부(21,2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그 상부에 주동 안내레일(15)을 배치하고 상기 주동 안내레일(15)의 하부에는 종동 안내레일(16)을 배치하는데, 상기 주동 안내레일(15) 및 종동 안내레일(16)은 각각 상부 안내레일 및 하부 안내레일을 상하로 인접하여 배치하고 있고, 각 안내레일은 관통 공간이 형성되고 그 관통 공간 내로 슬라이더(11, 12, 13, 14)가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좌우로 이동될 때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주동 안내레일(15)과 종동 안내레일(16)의 사이에는 일정 간격을 가지는 공간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11, 12, 13, 14)는 유압실린더(31, 32)의 작동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되는 주동 슬라이더부와 상기 주동 슬라이더의 좌우 이동에 따라 연동하여 좌우 이동을 하는 종동 슬라이더부가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주동 슬라이더부는 제1 유압실린더(31)의 동작에 의하여 주동 안내레일(15)의 상부 안내레일을 따라 좌우 이동되는 제1 주동 슬라이더(11)와 제2 유압 실린더(32)의 동작에 의하여 주동 안내레일(15)의 하부 안내레일을 따라 좌우 이동되는 제2 주동 슬라이더(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종동 슬라이더부는 상기 제1 주동 슬라이더(11)의 좌우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종동 안내레일(16)의 상부 안내레일을 따라 좌우 이동되는 제1 종동 슬라이더(13)와 상기 제2 주동 슬라이더(12)의 좌우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종동 안내레일(16)의 하부 안내레일을 따라 좌우 이동되는 제2 종동 슬라이더(1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어태치먼트를 장착시키는 어태치먼트 결합부(21)는 그 상부에 제1 주동 슬라이더(11)가 고정 결합되고 그 하부에는 상기 제1 종동 슬라이더(13)가 고정 결합되어 있어, 상기 제1 주동 슬라이더(11)의 좌우 이동될 때 상기 제1 종동 슬라이더(13)가 연동하여 좌우 이동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어태치먼트 결합부(22)도 그 상부에 제2 주동 슬라이더(12)가 고정 결합되고 그 하부에는 상기 제2 종동 슬라이더(14)가 고정 결합되어 있어, 상기 제2 주동 슬라이더(12)의 좌우 이동될 때 상기 제2 종동 슬라이더(14)가 연동하여 좌우 이동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주동 안내레일(15) 및 상기 종동 안내레일(16)에서 각각의 상부 및 하부 안내레일의 일면에는 상기 주동 안내레일(15) 및 상기 종동 안내레일(16)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슬라이더(11, 12, 13, 14)의 내부 이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전면(트랙터 반대 방향에서 볼 때의 전면)에 긴 절개홈(17)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10)의 구조를 주동 슬라이더부와 종동 슬라이더부에 대 하여 수직으로 배치함으로써, 상기 주동 슬라이더부 및 종동 슬라이더부에 고정 결합되는 어태치먼트 결합부(21. 22)를 사각형 박스 형태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21, 22)는 상기 어태치먼트를 장착하기 위하여 상부에 결합후크(21a, 22a)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장착공(21a. 2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21, 22)에 상기 어태치먼트를 장착하는 방법은 상기 어태치먼트의 상부 결합링크(미도시)를 상기 결합후크(21a, 22a)에 걸고 상기 어태치먼트의 하부 결합링크(미도시)를 상기 장착공(21b, 22b)에 맞춘 다음 핀 결합에 의하여 고정 결합하면 된다. 이와 같이 장착공에 의한 고정 결합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종래에 하부 홈이 한쪽으로 개방되는 후크 방식에 의한 고정 결합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이탈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21, 22)의 일면[슬라이더(11, 12, 13, 14)와 고정 결합되는 부분과 반대측 일면], 즉 상기 결합후크(21a, 22a)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부분의 길이를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면 높이보다 높게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21, 22)의 일면이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면 높이보다 높게 형성됨으로써, 이동작업차의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은 채로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21, 22)의 위치를 용이하게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트랙터 등과 같은 이동작업차에 설치되는 로더가 제조사에 따라 상기 로더의 폭이 다를 경우에 있는데, 이와 같이 로더의 폭이 다를 경우에도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단한 구조 및 방법으로 상기 로더에 어태치먼트 장착장치를 장착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더가 결합되는 로더 결합 브 래킷(40)에 상기 로더의 폭에 따라 상기 로더 결합 브래킷(40)의 폭 사이에 일정 폭을 가진 스페이서(41)를 1개 이상 삽입하여 상기 로더의 폭에 맞추고 결합핀(42)에 의하여 고정 결합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 장착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어태치먼트 장착장치의 설치 폭이 감소되어 상기 어태치먼트와 로더의 선단부간의 거리를 줄일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로더에 의하여 어태치먼트가 스윙되는 힘이 감소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아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 장착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 장착장치의 후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 장착장치를 위에서 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태치먼트 장착장치의 측면 상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레임 11: 제1 주동 슬라이더
12: 제2 주동 슬라이더 13: 제1 종동슬라이더
14: 제2 종동 슬라이더 15: 주동 안내레일
16: 종동 안내레일 17: 절개홈
18: 공간부 21, 22: 어태치먼트 결합부
21a, 22a: 결합 후크 21b, 22b: 장착공
31: 제1 유압실린더 32: 제2 유압실린더
40: 로더 결합 브래킷 40a, 40b: 장착공
41: 스페이서 42: 결합핀

Claims (5)

  1. 트랙터 등과 같은 이동작업차에 설치된 로더의 좌우측 선단부와 그 일면이 결합되는 한 쌍의 로더 결합 브래킷과, 상기 한 쌍의 로더 결합 브래킷과 고정 결합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고 어태치먼트를 장착하여 상기 어태치먼트를 좌우 이동하게 하는 한 쌍의 어태치먼트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어태치먼트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주동 슬라이더부와 상기 주동 슬라이더부의 좌우 이동에 따라 연동하여 좌우 이동을 하는 종동 슬라이더부를 상하로 배치하되,
    상기 주동 슬라이더부는 제1 유압실린더의 동작에 의하여 좌우 이동되는 제1 주동 슬라이더와 상기 제1 주동 슬라이드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2 유압실린더의 동작에 의하여 좌우 이동되는 제2 주동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종동 슬라이더부는 상기 제1 주동 슬라이더의 좌우 이동됨에 따라 연동하여 좌우 이동되는 제1 종동 슬라이더와 상기 제1 종동 슬라이드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주동 슬라이더의 좌우 이동됨에 따라 연동하여 좌우 이동되는 제2 종동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어태치먼트 장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동 슬라이더와 상기 제1 종동 슬라이더에는 하나의 어태치먼트 결합부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2 주동 슬라이더와 상기 제2 종동 슬라이더에는 다른 하나의 어태치먼트 결합부가 고정 결합되어, 상기 제1 주동 슬라이더 및 제2 주동 슬라이더가 좌우 이동함에 따라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가 각각 좌우 이동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어태치먼트 장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는 상기 어태치먼트를 장착하기 위하여 그 상부에 후크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장착공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어태치먼트 장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그 일면이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어태치먼트 장착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에 있어서,
    상기 로더가 제조사에 따라 상기 로더의 폭이 다를 경우 상기 로더 결합 브래킷의 폭 사이에 스페이서를 삽입하여 상기 로더가 상기 로더 결합 브래킷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어태치먼트 장착장치.
KR1020090133968A 2009-12-30 2009-12-30 어태치먼트 장착장치 KR101150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968A KR101150723B1 (ko) 2009-12-30 2009-12-30 어태치먼트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968A KR101150723B1 (ko) 2009-12-30 2009-12-30 어태치먼트 장착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729A Division KR20110134344A (ko) 2011-10-31 2011-10-31 어태치먼트 장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7401A true KR20110077401A (ko) 2011-07-07
KR101150723B1 KR101150723B1 (ko) 2012-06-08

Family

ID=44916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3968A KR101150723B1 (ko) 2009-12-30 2009-12-30 어태치먼트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07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980B1 (ko) 2019-07-23 2019-11-05 홍운표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
CN110525938A (zh) * 2019-07-31 2019-12-03 重庆机电职业技术学院 输送气门杆用的自动换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8818B2 (ja) 2005-01-12 2011-08-03 三陽機器株式会社 作業機のスライド型スナップヒッチ
KR200440007Y1 (ko) 2007-11-22 2008-05-20 김문수 트랙터용 다기능 작업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980B1 (ko) 2019-07-23 2019-11-05 홍운표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
CN110525938A (zh) * 2019-07-31 2019-12-03 重庆机电职业技术学院 输送气门杆用的自动换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0723B1 (ko) 201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0063B2 (en) Attachment mounting apparatus for movable work vehicle
CN102155031B (zh) 工作机
US7845503B2 (en) Pipe-laying machine
CN204491688U (zh) 将器具附接至机器的接合器及器具
US9732497B2 (en) Traveling device and working machine
US8979468B2 (en) Loading work apparatus with attachment tools
KR101150723B1 (ko) 어태치먼트 장착장치
CN102155029B (zh) 工作机
CN101161574A (zh) 双动力扒装机
KR20120137334A (ko) 어태치먼트 장착장치
CN100429110C (zh) 工业机器的司机室滑移装置
CA2529655A1 (en) Lifting construction method and raising/lowering equipment of boiler module
KR20110134344A (ko) 어태치먼트 장착장치
US20150191895A1 (en) Side frame for construction machine
KR100986138B1 (ko) 좌우 이동 가능한 베일 집게장치
KR101074292B1 (ko) 이동 작업차용 로더 어태치먼트 장착장치
KR101958848B1 (ko) 트랙터용 써레
JP6735256B2 (ja) 建設機械用作業機の載置台装置
CN204590146U (zh) 上部旋转体
JP5430607B2 (ja) 双腕型作業機
CN217973872U (zh) 一种道岔铺换机
JP5843724B2 (ja) ローダ作業機
KR100986146B1 (ko) 이동 작업차용 로더 어태치먼트 장착장치 및 그 장착장치가설치된 로더
JP4126404B1 (ja) 車両系建設機械搭載用傾斜面昇降台車
JP5045703B2 (ja) 移動式クレ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