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980B1 -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 - Google Patents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980B1
KR102040980B1 KR1020190089090A KR20190089090A KR102040980B1 KR 102040980 B1 KR102040980 B1 KR 102040980B1 KR 1020190089090 A KR1020190089090 A KR 1020190089090A KR 20190089090 A KR20190089090 A KR 20190089090A KR 102040980 B1 KR102040980 B1 KR 102040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frame
cylinder member
tracto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운표
Original Assignee
홍운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운표 filed Critical 홍운표
Priority to KR1020190089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9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627Devices to connect beams or arms to tractors or similar self-propelled machines, e.g. driv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 A01B59/04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supported at three points, e.g. by quick-releas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on the tractor, e.g. on the rear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Abstract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트랙터의 후륜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후륜의 차동축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부재;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재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변실린더부재; 상기 가변실린더부재의 선단측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부재; 상기 가변실린더부재가 승강되도록 상기 고정브래킷부재의 일측에 설치되는 승강실린더부재; 상기 승강실린더부재의 승강을 억제하도록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의 타측에 설치되는 록킹부재; 상기 고정브래킷부재가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 상기 고정브래킷부재의 하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동축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링크부재;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재(10)와 상기 하부링크부재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리프트로드부재;를 마련하여 어태치먼트에 형성된 상부고정링크와 하부고정링크에 대응되는 하부장착홈부와 장착홈부에 의해 어태치먼트를 간편하게 장착 및 분리시킬 수 있고, 가변실린더부재의 구동에 의해 고정브래킷부재를 승강 및 회전시켜 어태치먼트를 장착 및 분리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는 트랙터에 승차한 상태에서 어태치먼트를 장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Tractor attachment detachable device}
본 발명은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터의 후방에 어태치먼트를 간편하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랙터는 견인력을 이용해서 농업 또는 건설 분야에서 각종 작업을 하는 작업용 자동차로써, 현재 농업용 트랙터는 전방에 전방 로더를 설치하여 그 로더에 각종 작업용 어태치먼트를 장착하여 운반, 내리기, 싣기 등의 각종 작업을 수행하고, 후방부에는 후방 연결링크를 통해 로터베이터 등을 장착하여 경운 등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농업용 트랙터는 엔진에서 발생한 동력을 트랜스미션을 통하여 주행에 필요한 바퀴를 구동시키는 주행계 동력과, 트랙터에 장착되는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PTO(Power take off)계 동력으로 구분된다. 상기 주행계 동력은 4륜 구동방식이 일반적이다.
일반적인 4륜 구동방식 트랙터의 동력 시스템 및 구조는 디젤 엔진 등의 엔진부로부터 발생한 회전 동력이 클러치부를 통하여 변속장치로 전달되고, 상기 변속장치는 엔진의 동력을 트랙터의 주행 상태에 알맞도록 회전력과 속도를 바꾸어 전륜 추진축 및 후방 추진축으로 전달하고 상기 전륜 추진축 및 상기 후륜 추진축에 전달된 동력은 각각 전륜 차동장치 및 후륜 차동장치에 전달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트랙터는 후방이나 전방에 작업기를 장착하여 용도에 따라 다양한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유리한 구조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로더(loader), 레이크(rake), 로터베이터(rotavator), 플로우(plow), 해로우(harrow) 등의 작업기를 전방 또는 후방에 부착하여 토사 운반, 경운, 쇄토 작업, 양수, 탈곡 등 각종 농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트랙터에 장착되는 다양한 작업기 중 토사나 골재 등을 운반기계에 싣거나 다른 곳으로 옮기는 작업 등에 버킷(Bucket)을 갖는 로더(Front loader)가 사용된다.
로더는 차체와 연결되는 로더 프레임을 기반으로, 승강 아암과 붐, 승강 실린더와 붐 실린더, 그리고 붐 선단에 설치되는 상기 버킷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트랙터용 로더는 상기 승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를 신축 구동시켜 승강 아암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과 함께, 붐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를 신축 구동시켜 상기 붐에 대한 버킷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작업 예컨대, 토사를 퍼 올리거나 밀어서 다른 곳으로 옮기거나 퍼 올린 토사를 쏟아 내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트랙터를 이용하여 배토작업을 수행하거나 파종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트랙터의 후방에 트랙터용 배토기 혹은 파종기를 매달아 견인하면서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 때, 트랙터용 배토기나 파종기는 별개의 장치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파종 전에 밭갈이를 하고 지표면에 이랑과 고랑을 형성한 후 파종을 하는 작업을 각각 수행하게 된다.
또한, 트랙터용 배토기 및 파종기는 각각 별개의 장치로 운용되어 왔기 때문에, 사용자의 비용부담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배토 및 파종작업을 동시에 수행하고자 할 때에는 각각의 장치를 모두 작업장소로 이동시켜서 사용해야 하는 등 번거로운 것이었다.
트랙터용 파종기 이외에도 트랙터의 후방에 매달려 견인되면서 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씨앗을 파종할 구멍을 천공하는 천공기 역시 배토기와는 별개의 장치로 이루어져 작업이 별도로 이루어짐에 따라 각각의 어태치먼트를 수시로 장착 또는 탈거하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작업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어태치먼트를 교체하기 위하여 어태치먼트가 놓여진 장소로 트랙터를 이동해야 됨에 따라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고, 잦은 교체 작업 시 각각의 어태치먼트에 따라 트랙터 운전자가 어태치먼트의 교체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어태치먼트 장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어태치먼트 장착장치는 트랙터 등과 같은 이동작업차에 설치된 로더의 좌우측 선단부와 그 일면이 결합되는 한 쌍의 로더 결합 브래킷과, 상기 한 쌍의 로더 결합 브래킷과 고정 결합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고 어태치먼트를 장착하여 상기 어태치먼트를 좌우 이동하게 하는 한 쌍의 어태치먼트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어태치먼트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주동 슬라이더부와 상기 주동 슬라이더부의 좌우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좌우 이동을 하는 종동 슬라이더부를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주동 슬라이더부는 제1 유압실린더의 동작에 의하여 좌우 이동되는 제1 주동 슬라이더와 상기 제1 주동슬라이더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2 유압실린더의 동작에 의하여 좌우 이동되는 제2 주동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상기 종동 슬라이더부는 상기 제1 주동 슬라이더와 연동되는 제1 종동 슬라이더와 상기 제2 주동 슬라이더와 연동되는 제2 종동 슬라이더로 구성되되,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의 하나는 상기 제1 주동 슬라이더와 상기 제1 종동 슬라이더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의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주동 슬라이더와 상기 제2 종동 슬라이더와 고정 결합되어, 상기 제1 주동 슬라이더 및 제2 주동 슬라이더가 좌우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 종동 슬라이더 및 제2 종동 슬라이더가 각각 연동하여 좌우 이동되면서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부도 각각 좌우 이동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트랙터용 포크 어태치먼트'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트랙터용 포크 어태치먼트는 트랙터에 분리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으로부터 승강 운동하며, 전면 양단부에 고정판이 각각 돌출되어 있고, 상기 고정판 사이에는 한 쌍의 포크가 가이드봉(126)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판의 외측에는 중공의 제2 체결관이 구비되어 있는 승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 운동시키도록 작동하는 구동모듈, 상기 승강프레임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포크에 적재되어 있는 물품을 잡아주도록 작동하는 집게모듈 및 상기 제2 체결관에 끼워져 결합되는 한 쌍의 세로지지바 및 상기 세로지지바들의 상단부와 중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의 가로지지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포크에 적재되어 있는 물품이 뒤쪽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물품의 후면을 지탱해주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집게모듈은 상기 승강프레임의 양측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한 쌍의 제1 체결관, 상기 승강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1 체결관을 슬라이딩 이동시켜주는 제2 유압실린더 및 상기 제1 체결관에 분리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며 상기 포크에 적재되어 있는 물품의 측면을 잡아주는 한 쌍의 가압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체결관 및 지지프레임은 상기 승강프레임의 전면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체결관은 상기 승강프레임의 양측면에 위치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077401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78678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트랙터에 각각 다른 종류의 어태치먼트를 간편하게 장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랜터 운전자가 트랙터의 운전석에서 간편하게 어태치먼트를 장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는 트랙터의 후륜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후륜의 차동축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부재(10);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재(10)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변실린더부재(20); 상기 가변실린더부재(20)의 선단측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부재(30); 상기 가변실린더부재(20)가 승강되도록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의 일측에 설치되는 승강실린더부재(40); 상기 승강실린더부재(40)의 승강을 억제하도록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의 타측에 설치되는 록킹부재(50);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가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의 하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동축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링크부재(60);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재(10)와 상기 하부링크부재(6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리프트로드부재(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실린더부재(20)는 일단이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재(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변실린더부재(20)의 타단은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변실린더부재(20)의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가 상기 가변실린더부재(20)의 일단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며,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는 상기 가변실린더부재(20)의 신축에 따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프레임(31); 상기 제1 프레임(31)과 대칭되게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프레임(32); 상기 제1 프레임(31) 및 상기 제2 프레임(32)의 하부 일측에 상기 한 쌍의 하부링크부재(6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1 브래킷(33); 상기 제1 프레임(31) 및 상기 제2 프레임(32)의 하부 타측에 어태치먼트가 탈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제2 브래킷(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실린더부재(40)는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의 일측에 설치되는 승강실린더본체(41); 상기 승강실린더본체(41)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로드(42); 상기 피스톤로드(42)의 상단에 상기 가변실린더부재(20)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로드(43); 어태치먼트에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탈착브래킷(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부재(50)는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의 일측에 고정되는 록킹본체(51); 상기 록킹본체(51)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로드의 외측에 설치되는 스프링(52); 상기 로드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브래킷(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에 의하면, 어태치먼트에 형성된 상부고정링크와 하부고정링크에 대응되는 하부장착홈부와 장착홈부에 의해 어태치먼트를 간편하게 장착 및 분리시킬 수 있고, 가변실린더부재의 구동에 의해 고정브래킷부재를 승강 및 회전시켜 어태치먼트를 장착 및 분리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는 트랙터에 승차한 상태에서 어태치먼트를 장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에 장착되는 어태치먼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는 트랙터의 후륜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후륜의 차동축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부재(10),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재(10)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변실린더부재(20), 상기 가변실린더부재(20)의 선단측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부재(30), 상기 가변실린더부재(20)가 승강되도록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의 일측에 설치되는 승강실린더부재(40), 상기 승강실린더부재(40)의 승강을 억제하도록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의 타측에 설치되는 록킹부재(50),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가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의 하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동축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링크부재(60),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재(10)와 상기 하부링크부재(6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리프트로드부재(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는 트랙터(미도시)의 후륜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구비된 차동축(미도시)에 가변실린더부재(20)를 후방으로 설치하고, 상기 가변실린더부재(20)에 고정브래킷부재(30)를 설치하여 상기 가변실린더부재(20)에 의해 고정브래킷부재(30)를 상하로 승강시킴은 물론 가변실린더부재(20)의 길이 변화에 따라 고정브래킷부재(30)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켜 줌으로써, 트랙터에 장착하고자 하는 어태치먼트(80)를 간편하게 장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는 트랙터(미도시)의 후륜을 회전시키는 자동축(미도시)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부재(1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재(1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변실린더부재(20)와, 상기 가변실린더부재(20)의 선단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부재(30)와,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의 일측에 설치되는 승강실린더부재(40)와, 상기 승강실린더부재(40)의 타측에 설치되는 록킹부재(50)와, 상기 차동축과 고정브래킷부재(30)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링크부재(60)와, 상기 고정브래킷부재(10)와 하부링크부재(60) 사이에 설치되는 리프트로드부재(7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재(10)는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11)와, 상기 제1 플레이트(11)의 일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12)와, 상기 제2 플레이트(12)와 소정의 거리만큼 여격되게 형성되는 제3 플레이트(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플레이트(12)와 제3 플레이트(13)에는 가변실린더부재(20)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결합구멍(14)이 형성된다.
상기 가변실린더부재(20)는 고정브래킷부재(30)를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킴은 물론 가변실린더부재(20)의 신축에 따라 고정브래킷부재(30)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가변실린더부재(2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실린더본체(21)와, 상기 실린더본체(21)에 결합되는 피스톤로드(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본체(21)의 일측은 결합구멍(1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로드(22)는 고정브래킷부재(30)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변실린더부재(20)는 일단이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재(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변실린더부재(20)의 타단은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변실린더부재(20)의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가 상기 가변실린더부재(20)의 일단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며,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는 상기 가변실린더부재(20)의 신축에 따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프레임(31)와, 상기 제1 프레임(31)과 대칭되게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프레임(32)와, 상기 제1 프레임(31) 및 상기 제2 프레임(32)의 하부 일측에 상기 한 쌍의 하부링크부재(6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1 브래킷(33)와, 상기 제1 프레임(31) 및 상기 제2 프레임(32)의 하부 타측에 어태치먼트가 탈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제2 브래킷(3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는 트랙터(미도시)에 어태치먼트(80, 도 7 참조)를 필요에 따라 교체하여 장착하거나 분리시키는 것으로,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는 소정의 각도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1 프레임(31)과 제2 프레임(32)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프레임(31)과 제2 프레임(32)은 대략 'ㅅ'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31)은 한 쌍으로 이루어진 하부링크부재(6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상기 제2 프레임(32)은 한 쌍으로 이루어진 하부링크부재(60)의 다른 하나에 결합된다.
상기 제1 프레임(31)의 하부에는 제1 하부링크(61)가 결합되도록 제1 브래킷(33)이 고정되고, 상기 제2 프레임(32)의 하부에는 제2 하부링크(62)가 결합되도록 제2 브래킷(34)이 고정된다.
상기 제1 프레임(31)과 제2 프레임(32)의 상부에는 승강실린더부재(40)에 의해 승강되는 탈착브래킷(44)이 끼워지도록 삽입홈부(35)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브래킷(33) 및 제2 브래킷(34)의 일측에는 하부링크부재(6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링크부(36)가 설치된다.
상기 링크부(36)에는 하부링크부재(60)의 끝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브래킷(33) 및 제2 브래킷(34)의 타측에는 어태치먼트(80)가 결합되도록 상면에 개방된 하부장착홈부(37)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는 가변실린더부재(20)의 신축에 따라 링크부(36)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는 가변실린더부재(20)의 하강에 의해 하강될 뿐만 아니라 가변실린더부재(20)의 피스톤로드(22)가 인출되면서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는 링크부(36)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후퇴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링크부(36)의 타측에는 하부장착홈부(37)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장착홈부(37)에는 어태치먼트(80)의 하부고정링크(85)가 탈착 가능하도록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에는 가변실린더부재(20)의 일측에 승강실린더부재(40)가 설치되고, 상기 가변실린더부재(20)의 타측에 록킹부재(50)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실린더부재(40)는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의 일측에 설치되는 승강실린더본체(41), 상기 승강실린더본체(41)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로드(42), 상기 피스톤로드(42)의 상단에 상기 가변실린더부재(20)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로드(43), 어태치먼트에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탈착브래킷(44)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실린더부재(40)는 어태치먼트(80)의 상부고정링크(83)에 결합되도록 탈착브래킷(44)을 상하로 승강된다. 즉, 상기 승강실린더부재(40)는 제1 프레임(31)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승강실린더본체(41)와, 상기 승강실린더본체(41)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스톤로드(42)와, 상기 피스톤로드(42)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고정로드(43)와, 상기 고정로드(43)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탈착브래킷(4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실린더본체(41)에는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피스톤로드(42)가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로드(42)의 상단에는 탈착브래킷(44)이 설치되도록 고정로드(43)가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로드(43)는 제2 프레임(32)의 상단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고정로드(43)에는 삽입홈부(35)에 끼워지는 탈착브래킷(44)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탈착브래킷(44)에는 저면이 개방된 장착홈부(45)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부(45)에는 어태치먼트(80)의 상부고정링크(83)가 결합되도록 저면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2 프레임(32)에는 승강실린더부재(40)를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록킹부재(50)가 설치된다.
상기 록킹부재(50)는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의 일측에 고정되는 록킹본체(51)와, 상기 록킹본체(51)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로드의 외측에 설치되는 스프링(52)와, 상기 로드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브래킷(53)를 포함한다.
상기 록킹본체(51)는 제2 프레임(32)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록킹본체(51)와, 상기 록킹본체(51)의 상면에 설치되는 스프링(52) 및 상기 승강실린더부재(40)의 고정로드(43)의 상면에 접촉되는 록킹브래킷(5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52)은 록킹브래킷(53)의 동작 시 탄성을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록킹브래킷(53)은 스프링(52)의 지지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의 링크부(36)에는 각각 하부링크부재(60)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1 프레임(31)의 링크부(36)에는 제1 하부링크(61)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32)의 링크부(36)에는 제2 하부링크(62)가 설치된다.
상기 제1 하부링크(61)와 제2 하부링크(62)의 일단은 링크부(3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하부링크(61)와 제2 하부링크(62)의 타단은 차동축(미도시)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하부링크부재(60)의 일단은 힌지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링크부재(60)의 타단은 링크부(3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변실린더부재(20)의 피스톤로드(22)의 신장 또는 가변실린더부재(20)의 회전에 따라 고정브래킷부재(30)를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하부링크(61)와 제2 하부링크(62)에는 하부링크부재(60)의 승강이 양호하게 이루어지도록 리프로로드부재(70)가 설치된다.
상기 리프트로드부재(7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리프트로드부재(70)의 일단은 고정플레이트부재(10)의 결합구멍(14)에 결합되는 고정축(15)에 결합되며, 상기 리프트로드부재(70)의 타단은 각각 제1 하부링크(61)와 제2 하부링크(62)의 소정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리프로로드부재(70)의 양단은 가변실린더부재(20)의 신장과 수축에 따라 고정브래킷부재(30)의 상승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고정플레이트부재(10)와 하부링크부재(6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는 후륜을 구동시키는 차동축(미도시)에 고정플레이트부재(10)를 고정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재(10)의 결합구멍(14)에는 가변실린더부재(20)의 실린더본체(21)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가변실린더부재(20)에 결합된 피스톤로드(22)의 선단에는 고정브래킷부재(30)를 고정한다.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의 제1 프레임(31)에는 어태치먼트(80)의 상부고정링크(83)에 탈착 가능하게 승강실린더부재(40)를 설치하며,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의 제2 프레임(32)에는 승강실린더부재(40)의 상승을 제한시키는 록킹부재(50)를 설치한다.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의 삽입홈부(35)에는 승강실린더부재(40)의 탈착브래킷(44)이 승강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탈착브래킷(44)은 승강실린더본체(41)에 결합된 피스톤로드(42)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한다.
아울러 상기 제2 프레임(32)에는 승강실린더부재(40)의 상승을 제한시키는 록킹부재(50)를 설치하며, 상기 록킹부재(50)의 록킹브래킷(53)은 록킹본체(51)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의 제1 브래킷(33)에는 하부링크부재(60)의 제1 하부링크(61)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제2 브래킷(34)에는 하부링크부재(60)의 제2 하부링크(62)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또 상기 제1 하부링크(61)와 제2 하부링크(62)의 타단은 차동축(미도시)에 힌지 결합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재(10)와 하부링크부재(60) 사이에는 하부링크부재(60)가 안정되게 승강되도록 리프트로드부재(7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다음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에 장착되는 어태치먼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태치먼트(8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 어태치먼트(80)는 트랙터에 의한 작업의 용도에 따라 각각 다른 어태치먼트를 사용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어태치먼트(80)에는 트랙터에 장착되도록 어태치먼트(80)의 상면에 소정의 각도로 제1 고정브래킷(81)이 고정되고, 상기 어태치먼트(80)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제1 고정브래킷(81)의 좌우 양측에 각각 제2 고정브래킷(82)이 고정된다.
상기 제1 고정브래킷(81)에는 승강실린더부재(40)의 탈착브래킷(44)에 결합되도록 상부고정링크(83)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고정브래킷(82)의 하부에는 하부고정링크(85)를 설치하도록 하부고정브래킷(84)이 설치되며, 상기 하부고정브래킷(84)에는 고정브래킷부재(30)의 하부장착홍부(37)에 결합되도록 하부고정링크(85)가 설치된다.
작업자는 트랙터에 어태치먼트(80)를 장착 또는 분리하게 되는데, 어태치먼트를 장착하기 위하여 승강실린더부재(40)의 피스톤로드(42)를 상승시킨다. 이에 상기 탈착브래킷(44)의 장착홈부(45)와 하부장착홈부(37)와의 간격은 상하로 이격되어 어태치먼트(80)의 상부고정링크(83)와 하부고정링크(85)의 간격보다 더 넓게 이격된다.
또한 작업자는 고정브래킷부재(3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가변실린더부재(20)를 구동하게 되며, 상기 가변실린더부재(20)의 피스톤로드(22)가 인출됨에 따라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의 링크부(36)가 하강된다.
즉, 상기 가변실린더부재(20)의 피스톤로드(22)가 인출됨에 따라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는 하강되면서 링크부(36)를 중심으로 상기 탈착브래킷(44)이 어태치먼트(80)의 상부고정링크(83)를 향해 회전된다.
이에 상기 하부장착홈부(37)에는 어태치먼트(80)의 하부고정링크(85)가 결합되며, 이와 같이 하부장착홈부(37)에 하부고정링크(85)가 결합된 상태에서 승강실린더부재(40)의 피스톤로드(42)를 하강시킴에 따라 탈착브래킷(44)의 장착홈부(45)에는 어태치먼트(80)의 상부고정링크(83)가 결합된다.
한편 작업자는 어태치먼트(80)를 분리하기 위하여 승강실린더부재(40)의 탈착브래킷(44)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가변실린더부재(20)를 후진시켜 상부고정링크(83)를 분리하고, 가변실린더부재(20)를 하강시켜 하부고정링크(85)와 하부장착홈부(37)를 분리시키게 된다.
또한 작업자는 록킹부재(50)의 록킹브래킷(53)을 회전시켜 상기 탈착브래킷(44)의 승강을 제한시킴으로써 어태치먼트(80)를 견고하게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고정플레이트부재 11: 제1 플레이트
12: 제2 플레이트 13: 제3 플레이트
14: 결합구멍 15: 고정축
20: 가변실린더부재 21: 실린더본체
22: 피스톤로드
30: 고정브래킷부재 31: 제1 프레임
32: 제2 프레임 33: 제1 브래킷
34: 제2 브래킷 35: 삽입홈부
36: 제1 링크 37: 하부장착홈부
40: 승강실린더부재 41: 승강실린더본체
42: 피스톤로드 43: 고정로드
44: 탈착브래킷 45: 장착홈부
50: 록킹부재 51: 록킹본체
52: 스프링 53: 록킹브래킷
60: 하부링크부재 70: 리프트로드부재

Claims (5)

  1. 트랙터의 후륜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후륜의 차동축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부재(10);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재(10)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변실린더부재(20);
    상기 가변실린더부재(20)의 선단측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부재(30);
    상기 가변실린더부재(20)가 승강되도록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의 일측에 설치되는 승강실린더부재(40);
    상기 승강실린더부재(40)의 승강을 억제하도록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의 타측에 설치되는 록킹부재(50);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가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의 하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동축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링크부재(60);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재(10)와 상기 하부링크부재(6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리프트로드부재(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실린더부재(20)는 일단이 상기 고정플레이트부재(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변실린더부재(20)의 타단은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변실린더부재(20)의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가 상기 가변실린더부재(20)의 일단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며,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는 상기 가변실린더부재(20)의 신축에 따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프레임(31);
    상기 제1 프레임(31)과 대칭되게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프레임(32);
    상기 제1 프레임(31) 및 상기 제2 프레임(32)의 하부 일측에 상기 한 쌍의 하부링크부재(6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제1 브래킷(33);
    상기 제1 프레임(31) 및 상기 제2 프레임(32)의 하부 타측에 어태치먼트가 탈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제2 브래킷(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실린더부재(40)는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의 일측에 설치되는 승강실린더본체(41);
    상기 승강실린더본체(41)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로드(42);
    상기 피스톤로드(42)의 상단에 상기 가변실린더부재(20)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로드(43);
    어태치먼트에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탈착브래킷(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50)는 상기 고정브래킷부재(30)의 일측에 고정되는 록킹본체(51);
    상기 록킹본체(51)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로드의 외측에 설치되는 스프링(52);
    상기 로드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브래킷(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
KR1020190089090A 2019-07-23 2019-07-23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 KR102040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090A KR102040980B1 (ko) 2019-07-23 2019-07-23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090A KR102040980B1 (ko) 2019-07-23 2019-07-23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0980B1 true KR102040980B1 (ko) 2019-11-05

Family

ID=68576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090A KR102040980B1 (ko) 2019-07-23 2019-07-23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9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170A (ko) * 2019-09-16 2021-03-24 박기혁 그레이더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5047A1 (en) * 2001-11-05 2003-05-08 Horst Ollefs Coupling for coupling pulled implements or trailer having a drawbar to a tractor
JP2005006518A (ja) * 2003-06-17 2005-01-13 Matsuyama Plow Mfg Co Ltd オートヒッチ装置
JP2008278760A (ja) * 2007-05-08 2008-11-20 Kubota Corp 作業機装着装置
KR20110077401A (ko) 2009-12-30 2011-07-07 대호 (주) 어태치먼트 장착장치
KR20150086471A (ko) * 2012-09-24 2015-07-28 트랙토-락 농업용 기구를 농업용 트랙터의 3-점 리프팅 시스템과 결합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1786785B1 (ko) 2017-01-16 2017-10-18 (주)씨앤씨테크 트랙터용 포크 어태치먼트
KR20190023543A (ko) * 2017-08-29 2019-03-08 주식회사 아세아텍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5047A1 (en) * 2001-11-05 2003-05-08 Horst Ollefs Coupling for coupling pulled implements or trailer having a drawbar to a tractor
JP2005006518A (ja) * 2003-06-17 2005-01-13 Matsuyama Plow Mfg Co Ltd オートヒッチ装置
JP2008278760A (ja) * 2007-05-08 2008-11-20 Kubota Corp 作業機装着装置
KR20110077401A (ko) 2009-12-30 2011-07-07 대호 (주) 어태치먼트 장착장치
KR20150086471A (ko) * 2012-09-24 2015-07-28 트랙토-락 농업용 기구를 농업용 트랙터의 3-점 리프팅 시스템과 결합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1786785B1 (ko) 2017-01-16 2017-10-18 (주)씨앤씨테크 트랙터용 포크 어태치먼트
KR20190023543A (ko) * 2017-08-29 2019-03-08 주식회사 아세아텍 승용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170A (ko) * 2019-09-16 2021-03-24 박기혁 그레이더
KR102265631B1 (ko) 2019-09-16 2021-06-16 박기혁 그레이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7314B2 (en) Multi-configurable tractor
CA2673138C (en) Disc gang assembly for an agricultural implement
US5113956A (en) Forwardly folding tool bar
US20110284252A1 (en) Agricultural implement tool frame actuating system
US5535832A (en) Land leveler and cultivator
CA2909652C (en) Soil cultivation implement for attaching to a towing vehicle
CA3073428A1 (en) Implement support apparatus
US4116283A (en) Agricultural tillage equipment
US4173260A (en) Soil cultivating implements
KR102040980B1 (ko) 트랙터 어태치먼트 탈부착장치
US2883776A (en) Scraper blade attachments for tractors having hydraulicallycontrolled draw bars
CA1131493A (en) Ground working implement
US2952323A (en) Implement attaching structure
US5343972A (en) Belly mount tractor
US2369759A (en) Agricultural implement
US20060118313A1 (en) Surface-contouring implement
CA2955638A1 (en) Agricultural implement
US3763937A (en) Auxiliary tool bar lift mechanism
GB2356848A (en) Mechanical linkage quick attachment system
JP3627847B2 (ja) 乗用管理機の農作業用付帯設備
KR20240030633A (ko) 농업용 차량에 장착되는 도저의 장착구조
US2092609A (en) Tractor attachment
KR102132403B1 (ko) 트랙터용 전방 웨이트 장착구조
US2634516A (en) Scoop attachment for tractors
US2563185A (en) Tractor implement attach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