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063U - 러그 취부용 지그 - Google Patents

러그 취부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7063U
KR20130007063U KR2020120004579U KR20120004579U KR20130007063U KR 20130007063 U KR20130007063 U KR 20130007063U KR 2020120004579 U KR2020120004579 U KR 2020120004579U KR 20120004579 U KR20120004579 U KR 20120004579U KR 20130007063 U KR20130007063 U KR 201300070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g
support member
mounting jig
fixing
op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5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45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7063U/ko
Publication of KR201300070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06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러그 취부용 지그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러그 취부용 지그는 개구홀이 형성된 러그의 연결판 사이에 삽입 가능하도록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개구홀과 연통되는 삽입홀을 가지는 한 쌍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형성되고, 다수개의 통공을 가지며 케이블과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각각 설치되고 러그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러그와 지지부재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홀과 개구홀을 경유하여 상기 러그에 삽입된 지지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러그 취부용 지그{Zig for lug}
본 고안은 러그를 취부하는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러그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손쉽게 취부하여 블록에 사용할 수 있는 러그 취부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건조시 선박 전체를 여러 개의 대형 블럭으로 나누어 제작한 후 이들을 쌓고 연결하는 탑재과정을 거쳐 선박을 완성하게 되며 이러한 대형 블럭의 탑재 공정에서는 대형 크레인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선박 블럭을 대형 크레인으로 들어올리거나(Lifting), 뒤집거나 (turning over) 또는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의 블럭에 크레인을 안전하게 연결할 부분이 필요하게 된다. 즉, 연결부분을 만들기 위해 각 블럭에는 적절한 위치에 필요한 수만큼의 러그(Lug)를 설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러그는 고리 걸림공이 형성된 판의 형태로 제작된 상태에서 필요한 블럭상의 위치마다 용접하여 부착하고, 상기 고리 걸림공에 크레인의 훅(미도시)을 걸어 블럭에 대한 운반을 실시한다.
상기 러그는 대형조선소에서 대략 수 십만 개가 사용되고, 운반이 완료된 후에는 제거되어 폐기 처리하고 있으며, 상기 러그의 설치 및 제거에 따른 비용이 대략 수 백억 원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블럭마다 수많은 러그가 사용되고 있으므로 다수의 용접작업이 수행되거나, 제거를 위하여 기계적인 절삭작업이 수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작업자가 상해를 입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137563호 (공개일 : 201년12월23일)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러그의 종류에 상관없이 상기 러그에 취부되는 지그를 통해 블록에 러그를 손쉽게 설치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개구홀이 형성된 러그의 연결판 사이에 삽입 가능하도록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개구홀과 연통되는 삽입홀을 가지는 한 쌍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형성되고, 다수개의 통공을 가지며 케이블과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각각 설치되고 러그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러그와 지지부재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홀과 개구홀을 경유하여 상기 러그에 삽입된 지지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러그 취부용 지그는 상기 고정부재가 개구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핀을 포함한다.
상기 간격 조절 부재는 선단부에 구비된 충격 방지구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모든 러그에 설치 가능한 지그를 제공하여 작업자의 작업성 향상과 함께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블록이 경사진 곳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별다른 어려움 없이 러그의 설치 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블록에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러그 취부용 지그와 러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러그 취부용 지그가 러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러그 취부용 지그의 사용 상태도.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러그 취부용 지그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러그 취부용 지그(1)는 다양한 러그(2)의 형태에 상관없이 모두 취부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하며, 이를 위해 상기 러그(2)에 삽입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100)와, 상기 지지부재(100)의 상부에 형성되고 다수개의 통공(202)을 가지며 케이블과 연결되는 연결부재(200)와, 상기 지지부재(100)가 러그(2)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러그(2)와 지지부재(100)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부재(300)와, 상기 지지부재(100)에 설치되고 상기 러그(2)에 삽입된 지지부재(10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40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00)는 삽입홀(110)이 형성된 한 쌍의 플레이트가 러그(2)가 삽입되도록 세로로 각각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부에 형성된 연결부재(200)를 매개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러그(2)는 개구홀(2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100)는 러그(2)에 삽입된다.
연결부재(200)는 지지부재(100)의 상부에 수평하게 설치되고, 다수개의 통공(202)이 이격 배치되며, 상기 통공(202)에는 케이블이 연결된다. 연결부재(200)는 러그(2)가 블록에 경사지게 설치될 경우에 케이블이 연결되는 위치를 조정하기위해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200)에 의해 러그(2)가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에서 용접을 하고자 할 경우에 상기 러그(2)에 대한 취부를 보다 손쉽게 실시할 수 있다.
지지부재(100)는 러그(2)의 안정적인 삽입을 위한 이격 간격을 가지고 각각 이격되고, 상기 러그(2)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삽입홀(110)과 개구홀(2a)을 경유하여 러그(2)에 삽입된 고정부재(40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400)는 환봉 형태로 상기 삽입홀(110)과 개구홀(2a)의 직경 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홀(110)과 개구홀(2a)에 삽입되어 러그(2)에서 지지부재(100)의 결합 상태를 유지한다.
고정부재(400)는 길이가 지지부재(100)의 이격된 폭 길이 보다는 상대적으로 길게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재(40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러그 취부용 지그(1)에는 고정 핀(10)이 상기 지지부재(100)에 구비된다. 상기 고정 핀(10)은 삽입홀(110)과 개구홀(2a)을 경유한 고정부재(400)에 삽입되고 이로 인해 상기 고정부재(400)의 이탈이 방지된다. 참고로 고정부재(400)는 상기 고정 핀(10)이 삽입되는 홀(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홀에 고정 핀(10)이 삽입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간격 조절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간격 조절 부재(300)는 지지부재(100)에 각각 삽입 설치되고, 러그(2)를 향해 배치된다. 간격 조절 부재(300)는 통상의 볼트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간격 조절 부재(300)는 블록에 경사진 설치된 상태로 러그(2)를 고정할 경우에 상기 러그(2)의 외주면에 대해 볼트의 단부가 접촉된 상태에서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정도에 따라서 상기 러그(2)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켜서 설치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100)의 전방으로 러그(2)를 소정 각도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간격 조절 부재(300)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러그(2)의 외주면을 향해 간격 조절 부재(300)의 선단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러그(2)가 블록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우에도 별다른 어려움 없이 상기 러그(2)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간격 조절 부재(300)는 선단부에 러그(2)와의 접촉에 따른 출격을 방지하는 충격 방지구(302)를 포함한다. 충격 방지구(302)는 일 예로 고무가 사용되며, 충격을 댐핑할 수 있는 다른 부재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러그 취부용 지그의 사용 상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블록에 설치될 러그(2)의 이동을 위해 통공(202)에 케이블(c)을 결합한 상태에서 러그(2)에 지지부재(100)를 삽입시킨 후에 고정부재(400)를 삽입홀(110)과 개구홀(2a) 사이로 이동시키고, 고정 핀(10)을 상기 고정부재(400)에 결합시켜 고정부재(40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간격 조절 부재(300)를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러그(2)가 설치되는 각도를 임으로 조절한다. 예를 들어 러그(2)를 경사진 상태로 설치할 경우에는 작업자는 간격 조절 부재(300)를 일 방향으로 각각 회전시킨다.
상기 간격 조절 부재(300)는 선단에 형성된 충격 방지구(302)가 러그(2)의 외주면을 푸시하여 상기 간격 조절 부재(300)와 러그(2)가 서로 간에 충돌되는 경우에도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러그(2)는 작업자에 의해 원하는 설치 각도로 손쉽게 조절된다.
작업자는 러그(2)와 고정부재(400)의 결합 상태 유무를 다시 한번 확인한 후에 러그(2)가 설치될 장소로 이동시켜 블록에 용접을 실시하면 된다.
이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2 : 러그
2a : 개구홀
2b : 연결판
100 : 지지부재
110 : 삽입홀
200 : 연결부재
300 : 간격 조절 부재
400 : 고정부재

Claims (3)

  1. 개구홀이 형성된 러그의 연결판 사이에 삽입 가능하도록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개구홀과 연통되는 삽입홀을 가지는 한 쌍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형성되고, 다수개의 통공을 가지며 케이블과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각각 설치되고 러그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러그와 지지부재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홀과 개구홀을 경유하여 상기 러그에 삽입된 지지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러그 취부용 지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 취부용 지그는,
    상기 고정부재가 개구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핀을 포함하는 러그 취부용 지그.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 부재는,
    선단부에 구비된 충격 방지구를 더 포함하는 러그 취부용 지그.
KR2020120004579U 2012-05-31 2012-05-31 러그 취부용 지그 KR2013000706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579U KR20130007063U (ko) 2012-05-31 2012-05-31 러그 취부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579U KR20130007063U (ko) 2012-05-31 2012-05-31 러그 취부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063U true KR20130007063U (ko) 2013-12-10

Family

ID=52440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579U KR20130007063U (ko) 2012-05-31 2012-05-31 러그 취부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706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880Y1 (ko) * 2013-09-06 2015-07-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러그 구조체
CN111232153A (zh) * 2020-03-03 2020-06-05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船体分段轴孔定位工装和定位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880Y1 (ko) * 2013-09-06 2015-07-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러그 구조체
CN111232153A (zh) * 2020-03-03 2020-06-05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船体分段轴孔定位工装和定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84965B2 (ja) スライドレールキット及びそのブラケットデバイス
KR20130007063U (ko) 러그 취부용 지그
KR20150000789U (ko) 수직 지지 장치
KR20120128934A (ko) 벌크 케리어의 사이드 프레임 취부용 가이드 피스
US11390305B2 (en) Underfloor device of railway vehicle
KR101872836B1 (ko) 와이어 거치지그
KR101008793B1 (ko) 스카폴딩 브래킷용 어댑터
JP4585228B2 (ja) エレベータの揚重梁固定装置
CN105351333A (zh) 一种车辆及其螺纹连接装置
JP6632499B2 (ja) ガスボンベ固定具
KR20140002541U (ko) 선박용 철재 구조물의 취부기
KR200450226Y1 (ko) 선박의 블록 인양용 러그 설치구조
KR20140004562U (ko) 러그 취부용 장치
KR200324238Y1 (ko) 래들 경동로드 이탈 방지장치
JP6597758B2 (ja) 抜け止め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作業機械
KR20120065004A (ko) 중량물 인양지그
JP6527382B2 (ja) クロージャ支持部材
KR101843408B1 (ko) 굴삭기 작업장치
KR20180002087U (ko) 하이드로릭 텐셔너 지지장치
AU2016101202A4 (en) Bumper Assembly
JP2016215249A (ja) 収納金枠へのプレートの装着方法
JP5130324B2 (ja) アンカープレートの支持具
KR101024584B1 (ko) 크레인용 견인고리의 거치장치
KR200472461Y1 (ko) 선박용 작업대
KR20140002184U (ko) 선박의 고정판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