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836B1 - 와이어 거치지그 - Google Patents

와이어 거치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836B1
KR101872836B1 KR1020160138273A KR20160138273A KR101872836B1 KR 101872836 B1 KR101872836 B1 KR 101872836B1 KR 1020160138273 A KR1020160138273 A KR 1020160138273A KR 20160138273 A KR20160138273 A KR 20160138273A KR 101872836 B1 KR101872836 B1 KR 101872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ing harness
harness
seating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4583A (ko
Inventor
최정재
김수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60138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836B1/ko
Publication of KR20180044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4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mounting or secu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링 하네스의 포선 작업이 이루어지는 판도(版圖) 상에 설치되는 판도설치부와, 상기 판도설치부 상에 마련되며,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하면이 안착되는 와이어 안착부와, 상기 와이어 안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 안착부 상에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가 안착되면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측면과 접하며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이동을 방지하는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와이어 안착부 상에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안착 시,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일 측면과 접하는 제1 와이어 고정부와, 상기 제1 와이어 고정부와 마주하며, 상기 와이어 안착부 상에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안착 시,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타 측면과 접하는 제2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가 마주하는 초기위치와, 상기 와이어 안착부 상에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안착되면, 상기 와이어 안착부의 양 단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 사이에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가 안착되는 안착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거치지그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와이어 거치지그{SUPPORTING JIG FOR WIRE HARNESS}
본 발명은 와이어 거치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와이어링 하네스의 굵기에 관계없이 와이어링 하네스가 거치, 고정될 수 있는 와이어 거치지그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와이어링 하네스의 포선(Cable grapping) 작업에 있어서, 조립 지그를 이용하여 포선 작업 및 테이핑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포선 작업 및 테이핑 작업은 와어이링 하네스가 판도(版圖)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게 하는 작업이다. 상기의 작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판도 제작 시에 와이어링 하네스의 분기점 및 길이에 따라 조립 지그의 위치와 방향 등을 설정하고 반복적인 확인을 거쳐 조립 지그를 판도 상에 장착하는 작업이 함께 이루어진다.
상기 종래의 포선 작업에 사용되는 와이어링 하네스는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굵기의 와이어링 하네스가 사용된다. 이때, 와이어링 하네스가 거치되는 와이어 거치지그(10A, 10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링 하네스가 거치되는 거치부의 너비가 와이어링 하네스의 굵기에 따라 다르게 제작되어 있다.
즉, 포선 작업이 이루어지는 사양에 따라 와이어링 하네스의 굵기가 다른데, 포선 작업마다 사용되는 와이어링 하네스의 굵기와 대응하는 와이어 거치지그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동일한 판도와 지그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와이어링 하네스의 고정점에 따라 와이어링 하네스의 굵기가 다르게 설치되기도 한다. 이때, 와이어링 하네스의 고정점에 대응하는 와이어링 하네스의 굵기와 이를 고정하는 와이어 거치지그의 크기가 다른 경우 와이어 거치지그에 맞춰 와이어링 하네스를 고정하기 때문에 실제 제품의 와이어링 하네스의 고정점과 다른 위치에 와이어링 하네스가 고정되어 포선 작업이 이루어진 도면과 실제 제품과의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용 와이어링 하네스의 포선 작업에 사용되는 와이어링 하네스의 굵기에 관계없이 와이어링 하네스가 거치, 고정될 수 있는 와이어 거치지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선 작업이 이루어진 와이어링 하네스의 고정점과 실제 제품의 와이어링 하네스의 고정점의 차이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와이어 거치지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와이어 거치지그는, 와이어링 하네스의 포선 작업이 이루어지는 판도(版圖) 상에 설치되는 판도설치부와, 상기 판도설치부 상에 마련되며,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하면이 안착되는 와이어 안착부와, 상기 와이어 안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 안착부 상에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가 안착되면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측면과 접하며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이동을 방지하는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와이어 안착부 상에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안착 시,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일 측면과 접하는 제1 와이어 고정부와, 상기 제1 와이어 고정부와 마주하며, 상기 와이어 안착부 상에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안착 시,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타 측면과 접하는 제2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가 마주하는 초기위치와, 상기 와이어 안착부 상에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안착되면, 상기 와이어 안착부의 양 단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 사이에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가 안착되는 안착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와이어 거치지그에 거치되는 와이어링 하네스의 직경 굵기 따라 와이어 고정부의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가 좌, 우로 벌어지면서 와이어링 하네스와 접할 수 있다. 따라서, 포선 작업에 사용되는 와이어링 하네스의 굵기에 관계없이 하나의 지그를 이용하여 판도에 와이어링 하네스를 거치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와이어링 하네스의 직경에 따라 거치지그를 제작하지 않아 와이어 거치지그의 제작 비용 절감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선 작업 시, 동일한 판도와 지그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와이어링 하네스의 고정점에 따라 와이어링 하네스의 직경 굵기가 다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와이어 거치지그가 판도에 설치되면 와이어링 하네스의 직경에 관계없이 와이어링 하네스가 고정되는 고정점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판도에 형성된 와이어링 하네스의 고정점 위치와 실제 제품의 와이어링 하네스의 고정점 위치의 오차 범위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와이어 거치지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와이어 거치지그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와이어 거치지그에 와이어링 하네스가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와이어 거치지그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와이어 거치지그에 와이어링 하네스가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와이어 거치지그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와이어 거치지그에 와이어링 하네스가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와이어 거치지그(100)는, 와이어링 하네스(50)의 포선 작업이 이루어지는 판도(版圖) 상에 설치되는 판도설치부(120)와, 상기 판도설치부(120) 상에 마련되며, 와이어링 하네스(50)의 하면이 안착되는 와이어 안착부(140)와, 상기 와이어 안착부(140)에 설치되어 와이어 안착부(140) 상에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안착되면, 와이어링 하네스(50)의 측면과 접하며 와이어링 하네스(50)의 이동을 방지하는 와이어 고정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판도는 차량용 와이어링 하네스(50)의 고정점 설치 제작을 위하여 와이어링 하네스(50)를 배열하여 테이핑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의미하며, 판도의 형상이나 영역 등은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판도설치부(120)는 와이어 거치지그(100)가 판도 상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구성이고, 판도 상에 안착되도록 판도와 접하는 바닥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거나, 판도 상면에 끼워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안착부(140)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며, 와이어링 하네스(50)의 하면이 안착된다. 설명된 바와 같이 와이어 안착부(140)가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와이어 안착부(140)에 안착되면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와이어 안착부(140) 상면을 따라 좌, 우로 이동 가능하다(도 2의 방향축 참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와이어 안착부(140) 상에 와이어 고정부(160)를 설치한다.
상기 와이어 고정부(160)는 와이어 안착부(140) 상에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안착되면 와이어링 하네스(50)의 양 측면과 접하며 와이어링 하네스(50)의 이동을 방지한다.
보다 자세하게, 와이어 고정부(160)는 와이어 안착부(140) 상에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안착되면, 와이어링 하네스(50)의 일 측면과 접하는 제1 와이어 고정부(160a)와, 제1 와이어 고정부(160a)와 마주하며, 와이어 안착부(140) 상에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안착되면 와이어링 하네스(50)의 타 측면과 접하는 제2 와이어 고정부(160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 고정부(160)의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160a, 160b)는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160a, 160b)가 마주하는 초기위치(도 2 참고)에서 와이어 안착부(140) 상에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안착되면 와이어 안착부의 양 단을 향해 이동하여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160a, 160b) 사이에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안착되는 안착위치(도 4 참고)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와이어 거치지그(100)에 거치되는 와이어링 하네스(50)의 직경 굵기 따라 와이어 고정부(160)의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160a, 160b)가 좌, 우로 벌어지면서 와이어링 하네스(50)와 접할 수 있다. 따라서, 포선 작업에 사용되는 와이어링 하네스(50)의 굵기에 관계없이 하나의 지그를 이용하여 판도에 와이어링 하네스(50)를 거치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고정부(160)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제1 와이어 고정부(160a)는 와이어 안착부(140)의 상면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와이어 안착부(140) 상에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안착되는 안착위치 시, 와이어링 하네스(50)의 일 측면과 접하는 제1 측면 지지부(162a)와, 제1 측면 지지부(162a)의 일 단에서 와이어 안착부(140)의 좌측의 일 단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와이어 안착부(140)에 설치되어 와이어 안착부(140)에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안착되면 초기위치에서 안착위치로 이동하는 제1 이동부(164a)와, 제1 이동부(164a)에 삽입, 설치되며, 와이어 안착부(140) 상에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안착되면, 탄성 변형되고, 와이어 안착부(140) 상에서 와이어링 하네스(50)가 배출되면 탄성 변형이 해제되는 복원력에 의해 제1 이동부(164a)를 이동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1 스프링(166a)을 포함한다.
또한, 제2 와이어 고정부(160b)는 제1 와이어 고정부(160a)와 대향되되, 제1 와이어 고정부(160a)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성된다. 즉, 제2 와이어 고정부(160b)는 상기 안착위치 시, 와이어링 하네스(50)의 타 측면과 접하는 제2 측면 지지부(162b)와, 제2 측면 지지부(162b)의 일 단에서 와이어 안착부(140)의 우측의 타 단 단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와이어 안착부(140)에 설치되어 와이어 안착부(140)에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안착되면 초기위치에서 안착위치로 이동하는 제2 이동부(164b)와, 제2 이동부(164b)에 삽입, 설치되며, 와이어 안착부(140) 상에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안착되면, 탄성 변형되고, 와이어 안착부(140) 상에서 와이어링 하네스(50)가 배출되면 탄성 변형이 해제되는 복원력에 의해 제2 이동부(164b)를 이동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2 스프링(166b)을 포함한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제1 및 제2 측면 지지부(162a, 162b)는,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제1 및 제2 측면 지지부(162a, 162b) 사이에 삽입되도록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측면 지지부(162a, 162b)는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안착위치일 때, 와이어링 하네스(50)의 측면과 접하며 와이어링 하네스(50)의 이동을 방지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측면 지지부(162a, 162b)가 와이어링 하네스(50)의 양 측면을 막아 바(bar) 형상의 와이어 안착부(140) 상에 안착된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와이어 안착부(140) 상면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이동부(164a, 164b)는 와이어 안착부(140)의 상면과 인접한 제1 및 제2 측면 지지부(162a, 162b)의 끝 단에서 와이어 안착부(140)의 끝 단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160a, 160b)는 예를 들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160a, 160b)의 형상 및 구조는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이동부(164a, 164b)는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안착위치일 때, 와이어 안착부(140)의 양 단을 향해 이동하면서 와이어링 하네스(50)의 직경에 따라 제1 및 제2 측면 지지부(162a, 162b)의 간격이 증가하도록 한다.
즉,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160a, 160b) 사이에 삽입되면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제1 및 제2 측면 지지부(162a, 162b)가 좌, 우로 밀어내는 힘에 의해 제1 및 제2 이동부(164a, 164b)가 와이어 안착부(140)의 양 단을 향해 이동하고, 이로 인해, 제1 및 제2 측면 지지부(162a, 162b) 사이가 와이어링 하네스(50)의 직경 굵기에 맞춰 증가하게 된다.
한편,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160a, 160b) 사이에서 와이어링 하네스(50)가 배출되면 제1 및 제2 측면 지지부(162a, 162b)가 초기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1 및 제2 이동부(164a, 164b)가 와이어 안착부(140)의 중심을 향해 재 이동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이동부(164a, 164b)에는 제1 및 제2 스프링(166a, 166b)이 삽입,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166a, 166b)은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안착위치일 때, 제1 및 제2 이동부(164a, 164b)가 와이어 안착부(140)의 양 단을 향해 이동하면 가압되어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스프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166a, 166b)에 의해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160a, 160b)가 안착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위치가 복원될 때, 복원력에 의해 보다 쉽게 복원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160a, 160b)가 삽입, 설치되는 와이어 안착부(140)는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160a, 160b) 사이에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삽입됨에 따라 제1 및 제2 이동부(164a, 164b)가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와이어 안착부(140)는 제1 및 제2 이동부(164a, 164b)에 설치된 제1 및 제2 스프링(166a, 166b)이 와이어 안착부(140)의 양 단에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프링 이탈방지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 이탈방지부(142)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와이어 안착부(140)의 양 단을 밀폐한다. 이로 인해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안착위치일 때, 제1 및 제2 스프링(166a, 166b)이 제1 및 제2 이동부(164a, 164b)와 상기 스프링 이탈방지부(142) 사이에서 가압되며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이탈방지부(142)는 와이어 안착부(140)의 양 단에 억지끼움되어 장착되거나,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160a, 160b)가 와이어 안착부(140) 상에 삽입되어 와이어링 하네스(50)의 굵기에 따라 제1 및 제2 이동부(164a, 164b)가 와이어 안착부(140)의 양 단으로 이동할 때, 제1 및 제2 측면 지지부(162a, 162b)의 사이가 증가하므로 와이어 안착부(140) 내에 제1 및 제2 이동부(164a, 164b)가 수납될 공간이 부족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스프링 이탈방지부(142)에는 와이어 안착부(140) 상에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안착되어 제1 및 제2 이동부(164a, 164b)가 와이어 안착부(140)의 양 단을 향해 이동하면 제1 및 제2 이동부(164a, 164b)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홀(144)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이동부(164a, 164b)의 끝 단의 일부가 배출홀(144)에 끼워진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와이어 안착부(140) 상에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안착되어 제1 및 제2 이동부(164a, 164b)가 와이어 안착부(140)의 양 단을 향해 이동하면 제1 및 제2 이동부(164a, 164b)의 끝 단이 배출홀(144) 내면에 걸림 없이 배출홀(144)에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와이어 안착부(140)는,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160a, 160b)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와이어 안착부(140)에 설치될 수 있도록 간극 형성부(146)와, 와이어 안착부(140) 상면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160a, 160b)의 좌, 우 이동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확인창(148)을 포함한다.
다시 도면을 참고하면, 제1 측면 지지부(162a)와 제1 이동부(164a) 사이에는 탄성부(168)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168)는 와이어 안착부(140)를 향하는 제1 측면 지지부(162a)의 단부에서 제1 이동부(164a)가 시작되는 선단까지를 의미하며, 보다 자세하게, 탄성부(168)는 제2 와이어 고정부(160b)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1 이동부(164a)의 선단과 탄성부(168)는 곡면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측면 지지부(162b)와 제2 이동부(164b) 사이에도 탄성부(168)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168)에 의해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160a, 160b) 사이로 보다 쉽게 와이어링 하네스(50)의 삽입,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160a, 160b) 사이로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삽입될 때,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삽입되는 제1 및 제2 측면 지지부(162a, 162b)의 상단의 간격이 일시적으로 증가하며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삽입된다. 상기 제1 및 제2 측면 지지부(162a, 162b)의 상단 간격이 증가하면서 제1 및 제2 측면 지지부(162a, 162b)가 탄성부(168)를 압입하는 힘이 발생하게 되고, 탄성부(168)가 압입되어 탄성 변형되어 제1 및 제2 측면 지지부(162a, 162b)의 상단 간격이 증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로 인해,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160a, 160b) 사이로 와이어링 하네스(50)를 억지 끼우지 않아도 삽입되고, 와이어링 하네스(50)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작동 관계를 살펴보면,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160a, 160b) 사이에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삽입되면, 제1 및 제2 이동부(164a, 164b)는 와이어링 하네스(50)의 직경에 맞게 각각 와이어 안착부(140)의 양 단을 향해 이동하고,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제1 및 제2 측면 지지부(162a, 162b)를 좌, 우로 밀어내는 힘에 의해 탄성부(168)가 가압, 탄성 변형된다. 이때, 제1 및 제2 이동부(164a, 164b)의 단부는 스프링 이탈방지부(142)의 배출홀(144)을 통해 제1 및 제2 이동부(164a, 164b)의 단부가 배출된다(도 4 참고).
상기 제1 및 제2 측면 지지부(162a, 162b) 사이로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삽입되어 장착되면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제1 및 제2 측면 지지부(162a, 162b)를 억지로 밀어내는 힘과 탄성부(168)를 압입하는 힘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탄성부(168)가 초기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이후,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안착위치에 위치하면서, 제1 및 제2 측면 지지부(162a, 162b)는 와이어링 하네스(50)의 측면과 접함과 동시에 와이어 안착부(140) 상에서 와이어링 하네스(50)의 거치 상태를 고정하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와이어 거치지그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와이어 거치지그에 와이어링 하네스가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의 설명에 앞서, 도 5 내지 도 7의 도면 부호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도면 부호가 동일한 경우 동일 구성이라고 가정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거치지그(100)의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160a, 160b)의 제1 및 제2 측면 지지부(172a, 172b)와 제1 및 제2 이동부(164a, 164b) 사이에는 별도의 탄성부(168)가 마련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160a, 160b) 사이에 와이어링 하네스(50)가 끼움될 때 와이어링 하네스(50)가 제1 및 제2 측면 지지부(172a, 172b)를 밀어내는 힘으로 제1 및 제2 이동부(164a, 164b)가 와이어 안착부(140)의 양 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 이동부(164a, 164b)에 설치된 제1 및 제2 스프링(166a, 166b)이 스프링 이탈방지부(142)와 제1 및 제2 이동부(164a, 164b) 사이에서 압입되어 탄성 변형되면서 제1 및 제2 측면 지지부(172a, 172b)가 좌, 우로 밀려 와이어링 하네스(50)의 직경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측면 지지부(172a, 172b)의 사이 간격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와이어 거치지그(100)에 거치되는 와이어링 하네스(50)의 직경 굵기 따라 와이어 고정부(160)의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160a, 160b)가 좌, 우로 벌어지면서 와이어링 하네스(50)와 접할 수 있다. 따라서, 포선 작업에 사용되는 와이어링 하네스(50)의 굵기에 관계없이 하나의 지그를 이용하여 판도에 와이어링 하네스(50)를 거치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와이어링 하네스(50)의 직경에 따라 거치지그를 제작하지 않아 와이어 거치지그(100)의 제작 비용 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포선 작업 시, 동일한 판도와 지그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와이어링 하네스(50)의 고정점에 따라 와이어링 하네스(50)의 직경 굵기가 다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와이어 거치지그(100)가 판도에 설치되면 와이어링 하네스(50)의 직경에 관계없이 와이어링 하네스(50)가 고정되는 고정점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판도에 형성된 와이어링 하네스(50)의 고정점 위치와 실제 제품의 와이어링 하네스의 고정점 위치의 오차 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와이어 거치지그
120: 판도설치부
140: 와이어 안착부
160: 와이어 고정부

Claims (5)

  1. 와이어링 하네스의 포선 작업이 이루어지는 판도(版圖) 상에 설치되는 판도설치부;
    상기 판도설치부 상에 마련되며,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하면이 안착되는 와이어 안착부;
    상기 와이어 안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 안착부 상에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가 안착되면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측면과 접하며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이동을 방지하는 와이어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와이어 안착부 상에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안착 시,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일 측면과 접하는 제1 와이어 고정부와,
    상기 제1 와이어 고정부와 마주하며, 상기 와이어 안착부 상에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안착 시,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타 측면과 접하는 제2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가 마주하는 초기위치와, 상기 와이어 안착부 상에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가 안착되면 상기 와이어 안착부의 일 단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고정부 사이에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가 안착되는 안착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와이어 안착부와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안착부 상에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안착 시,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일 측면과 접하는 제1 측면 지지부와,
    상기 제1 측면 지지부의 일 단에서 상기 와이어 안착부의 일 단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 안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 안착부에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가 안착되면,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안착위치로 이동하는 제1 이동부와,
    상기 제1 이동부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 안착부 상에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안착 시, 탄성 변형되고 상기 와이어 안착부 상에서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배출 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이동부가 상기 안착위치에서 상기 초기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1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거치지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와이어 안착부 상에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안착 시,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타 측면과 접하는 제2 측면 지지부와,
    상기 제2 측면 지지부의 일 단에서 상기 와이어 안착부의 타 단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 안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 안착부에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가 안착되면,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안착위치로 이동하는 제2 이동부와,
    상기 제2 이동부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 안착부 상에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안착 시, 탄성 변형되고 상기 와이어 안착부 상에서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배출 시, 발생하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안착위치에서 상기 초기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거치지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안착부는,
    상기 와이어 안착부의 일 단과 타 단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이 상기 와이어 안착부의 일 단과 타 단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프링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거치지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이탈방지부는,
    상기 와이어 안착부 상에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 안착 시, 상기 제1 및 제2 이동부가 배출되는 배출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거치지그.
KR1020160138273A 2016-10-24 2016-10-24 와이어 거치지그 KR101872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273A KR101872836B1 (ko) 2016-10-24 2016-10-24 와이어 거치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273A KR101872836B1 (ko) 2016-10-24 2016-10-24 와이어 거치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583A KR20180044583A (ko) 2018-05-03
KR101872836B1 true KR101872836B1 (ko) 2018-06-29

Family

ID=62245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273A KR101872836B1 (ko) 2016-10-24 2016-10-24 와이어 거치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8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3361B1 (ko) * 2022-12-05 2023-09-01 (주)일광테크 봉재 가공장비를 이용하여 가공한 부품의 불량 검사 및 선별 배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487A (ko) 2020-10-28 2022-05-06 김성환 코드반주 학습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233U (ko) * 2009-10-22 2011-04-2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와이어링 하네스 지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3361B1 (ko) * 2022-12-05 2023-09-01 (주)일광테크 봉재 가공장비를 이용하여 가공한 부품의 불량 검사 및 선별 배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583A (ko) 2018-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3509B2 (ja) ケーブル保持具
CN102016333B (zh) 将两个零件保持在一起的夹子
JP5591357B2 (ja) ケーブル固定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ケーブル固定構造
US8979600B2 (en) Fuse holder and fuse clip assembly with dual directional bias element support
JP6052105B2 (ja) プロテクタ
KR101872836B1 (ko) 와이어 거치지그
US10833443B2 (en) Connector
WO2011021335A1 (ja) 電気機器のレール取付け構造
US9774102B2 (en) Connector for magnetic coil
CN104716771A (zh) 马达端子、具有该马达端子的马达端子组件以及使用该马达端子组件组装马达的方法
EP3760489A1 (en) Wiring member fixing body
CN111446680B (zh) 带支架的导电路
US11117531B2 (en) Wire harness module
US20170327059A1 (en) Wire harness
KR20160074271A (ko) 프로브 장치
JP2020082286A (ja) 把持機構及び組み立て装置
JP2008162393A (ja) 車両のワイヤハーネス配索用クランプ
EP2763255B1 (en) Connector comprising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a connector housing
US9673541B2 (en) Spring clip and connection box
US20160141141A1 (en) Fuse unit
JP6131913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固定装置およびハーネスモジュール
WO2020240943A1 (ja) フラットハーネス取付構造、フラットハーネス取付部品及び取付部品付フラットハーネス
US20190123458A1 (en) Socket
US20220189662A1 (en) Connector for device
KR20130007063U (ko) 러그 취부용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