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7102A - 전기 플러그 연결을 위한 접촉부 소켓 - Google Patents

전기 플러그 연결을 위한 접촉부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7102A
KR20150047102A KR1020140141639A KR20140141639A KR20150047102A KR 20150047102 A KR20150047102 A KR 20150047102A KR 1020140141639 A KR1020140141639 A KR 1020140141639A KR 20140141639 A KR20140141639 A KR 20140141639A KR 20150047102 A KR20150047102 A KR 20150047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e
male part
opening
protrusion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1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1656B1 (ko
Inventor
구텐슈바거 라이너
비어트 카를
파나히 마르티나
크바사 에두아르트
Original Assignee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47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 Y10T29/49208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 Y10T29/49218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with defo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전기 연결 수단(1)이 소켓 부분(14) 내에 숫놈형 파트(1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소켓 부분(14)을 갖춘 암놈형 파트(10)를 가지고, 숫놈형 파트(12)는 베이스(40)의 영역 내에 개구부(44)를 포함하고, 소켓 부분(14)은 개구부(44) 내로 돌출하는 돌출부(36)를 포함하고, 개구부(44) 내에서 돌출부(36)는 숫놈형 파트에 형상-끼워맞춤식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전기 플러그 연결을 위한 접촉부 소켓{CONTACT SOCKET FOR AN ELECTRICAL PLUG CONNECTION}
본원 발명은 플러그 접촉부를 수용하기 위한 소켓 부분을 가지는 암놈형 파트, 및 암놈형 파트 내로 삽입되는 플러그 접촉부와 접촉하기 위해서 소켓 부분 내로 삽입되는 숫놈형 파트를 가지는 전기 연결 수단에 관한 것이다.
2개의 피스로 형성되는 연결 수단이 원칙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소켓 부분 내로 삽입된 숫놈형 파트가 소켓 부분 내로 삽입된 플러그 접촉부와 접촉하기 위해서 제공되고, 연결 수단이 전기 라인에 연결될 수 있도록 암놈형 파트가 전형적으로 구성된다. 그에 따라, 라인으로부터 플러그 접촉부까지의 전기 경로가 암놈형 파트 및 숫놈형 파트를 통해서 연결된다. 공지된 연결 수단에서, 개선된 전기적 및 기계적 연결을 구축하기 위해서, 숫놈형 파트 및 암놈형 파트가 함께 용접된다. 용접된 조인트는,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 방법에 의해서, 여러 위치에서 지점-유사(point-like)하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어서, 연결 수단이 전기 전도체, 예를 들어 전기 라인과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전기 라인들을 조립할 때, 종종 초음파-기반의 연결 기술이 이용된다. 그러나, 용접된 조인트에 의해서 개선된 연결 수단은, 진동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초음파 용접 중에 발생하고 연결 수단에서의 용접 지점까지 계속되는 진동으로 인해서, 용접 지점이 파괴될 수 있을 것이다. 용접 지점의 파괴는 예측될 수 없고 연결 수단의 전기적 및 기계적 특성을 변화시킨다. 이는, 라인을 조립할 때, 품질 표준을 유지할 수 없게 만든다.
본 발명은, 진동에 대해서 민감하지 않고, 증가된 전류 유동을 견디고, 동시에, 낮은 경제적 비용을 유도할 수 있는, 전술한 유형의 전기 연결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제1항의 특징을 가지는 전기 연결 수단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전기 연결 수단이 소켓 부분 내에 숫놈형 파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소켓 부분을 갖춘 암놈형 파트를 가지고, 숫놈형 파트는 베이스의 영역 내에 개구부를 포함하고, 소켓 부분은 개구부 내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개구부 내에서 돌출부는 숫놈형 파트에 형상-끼워맞춤식으로(form-fittingly) 연결된다.
전기 연결 수단에서, 탄성 노치(notch) 돌출부가 소켓 부분의 벽의 일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전기 연결 수단에서, 노치 돌출부의 하나의 측부에서 러그(lug)가 소켓 부분의 벽 개구부 내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전기 연결 수단에서, 벽 개구부가 러그보다 커서 노치 돌출부가 이동가능하다.
전기 연결 수단에서, 숫놈형 파트는, 암놈형 파트의 내측 표면을 접촉지지(abut)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스프링 아암 탄성체를 원위 단부에 포함한다.
전기 연결 수단에서, 숫놈형 파트가 슬리브-형상으로 구성된다.
전기 연결 수단에서, 암놈형 파트가 숫놈형 파트의 장착 홀과 협력하는 유지 노치를 내부에 포함한다.
전기 연결 수단에서, 숫놈형 파트는 적어도 하나의 부조물(embossment)을 내측에 포함한다.
전기 연결 수단에서, 암놈형 파트 및 숫놈형 파트가 상이한 금속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전기 연결 수단에서, 암놈형 파트 및 숫놈형 파트가 상이한 벽 두께를 가진다.
연결 수단의 제조 방법은, 중공형 공간 및 돌출부를 일 단부에 포함하는 암놈형 파트를 제공하는 단계와, 개구부를 가지는 숫놈형 파트를 암놈형 파트 내로 삽입하는 단계로서, 돌출부가 개구부 내로 연장하도록 상기 파트들이 정렬되는, 삽입하는 단계와, 돌출부를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연결 수단 제조 방법으로서, 돌출부의 재료는, 상기 재료의 두께가 적어도 스탬핑된 표면에서 숫놈형 파트의 재료의 두께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도록 변형된다.
연결 수단 제조 방법으로서, 돌출부가, 정렬될 때, 개구부 내로 벤딩된다.
연결 수단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돌출부의 재료는, 개구부 내로 연장하는 돌출부가 숫놈형 파트와 개구부 내에서 형상-끼워맞춤식으로 연결되도록 변형된다.
연결 라인이 전기 연결 수단 및 전기 전도체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적인 형태의 유리한 실시예를 기초로 발명을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결 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연결 수단의 길이방향 축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숫놈형 파트 없음)에 따른 삽입 개구부 근처의 소켓 부분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숫놈형 파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소켓 부분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 대상의 유사한 또는 상응하는 상세 내용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제공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수단(1)은, 암놈형 파트(10) 및 숫놈형 파트(12)를 포함하는, 2개의 피스를 가지는 전기 연결 수단(1)이다. 암놈형 파트(10) 및 숫놈형 파트(12) 각각은 스탬핑되고 벤딩된 파트로서 형성되고, 그 각각은 전기 전도성 재료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놈형 파트(10)는, 미도시된, 플러그 접촉부를 수용하기 위한 소켓 부분(14), 및 연결 수단(1)의, 미도시된, 전기 라인과의 전기적 및 기계적 연결을 위한 제1 및 제2 클림핑 탭(18, 20)을 가지는 클림핑 부분(16)을 포함한다. 숫놈형 파트(12)는 암놈형 파트(10) 내로 삽입된다. 암놈형 파트(10)는, 삽입 개구부(62)의 방향을 따라 2개의 대향 측벽(26, 30)으로부터 연장하는 소켓 부분(14) 내의 2개의 브릿지(38)를 포함한다. 돌출부(36)가 상기 브릿지(38)로부터 플러그 방향에 수직으로 연장한다. 숫놈형 파트(12)가 브릿지들(38) 사이에 위치된다. 숫놈형 파트(12)가 소켓 부분(14) 내로 삽입되고, 그에 따라 접촉지지 표면(48)으로 소켓 부분의 접촉지지 표면(24)을 접촉지지 한다. 돌출부(36)는 내측으로 벤딩되고, 그에 따라 돌출부는 숫놈형 파트(12)의 베이스(40)의 개구부(44) 내로 연장하고 그 내부에서 억지-끼워맞춤 스템가공된다(press-fit stemmed). 돌출부(36)는, 억지-끼워맞춤 스템가공된 후에, 유지 영역(60) 내에서 서로에 대해서 연결되고, 그러한 유지 영역에서 돌출부(36) 및 개구부(44)의 스탬핑된 표면(22, 46)이 대향 배열된다.
도 2는 단면 축(A)을 따른 연결 수단(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숫놈형 파트(12)는 그 베이스(40)가 암놈형 파트(10)의 브릿지들(38) 사이에 있는 상태로 배열된다. 2개의 접촉 스프링 아암(50, 52)이 베이스(40)로부터 삽입 개구부(62)의 반대방향으로 연장한다. 베이스(40)로부터 시작하여, 접촉 스프링 아암(50, 52)이 그들의 자유 단부(54)의 방향으로 가면서 서로를 향해서 연장한다. 소켓 부분(14) 내로 삽입된, 플러그 접촉부(미도시)의 전기적 및 기계적 접촉을 위해서 제공된 접촉 영역(56)에서, 접촉 스프링 아암(50, 52)이 서로로부터 최소의 거리에 위치된다. 접촉 영역(56)의 영역에서, 접촉 스프링 아암(50, 52)은 플러그-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길이방향 갭(58)을 각각 구비하고, 이는 소켓 부분(14) 내로 삽입된 플러그 접촉부(미도시)가 접촉 스프링 아암(50, 52)에 의해서 총 4개의 상이한 영역에서 접촉되는 결과를 가져오고, 그에 의해서 접촉의 신뢰성이 증가된다. 접촉 영역(56)으로부터 시작하여, 접촉 스프링 아암(50, 52)이 그들의 자유 단부(54)의 방향으로 가면서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연장하여, 플러그 접촉부의 삽입을 돕는다. 플러그 접촉부가 삽입될 때 접촉 스프링 아암(50, 52)이 암놈형 파트(10)의 내측 측부에 대해서 푸싱되고(pushed), 그에 의해서 숫놈형 파트(12)와 암놈형 파트(10) 사이의 부가적인 접촉 지점을 제공한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부분(14)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대략적으로 정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기본 형상을 가진다. 소켓 부분(14)은, 플러그 접촉부 및 숫놈형 파트(12)를 위한 수용 공간(32)을 형성하는 4개의 측벽(26, 28, 29, 30)을 포함한다.
베이스(40)는 또한, 숫놈형 파트가 암놈형 파트(10) 내로 삽입될 때, 브릿지(38)의 내측 측부를 접촉지지하도록 대략적으로 정사각형인 횡단면을 가지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기본 형상을 가진다. 베이스(40)는 벽(42) 내의 개구부(44)와 함께 4개의 측벽(42)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돌출부(36) 및 개구부(44)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돌출부(36)를 둘러싸는 스탬핑된 표면(22)은, 숫놈형 파트(12)가 삽입되고 돌출부(36)가 벤딩될 때, 베이스(40)의 개구부(44)의 스탬핑된 표면에 대향한다. 숫놈형 파트(12)가 소켓 부분(14) 내로 삽입되고 소켓 부분(14)의 돌출부(36)가 베이스(40)의 개구부(44) 내로 돌출한 후에도, 소켓 부분(14)과 숫놈형 파트(12) 사이의 형상-끼워맞춤 연결이 여전히 구축되지 않는다. 파트들 사이에는 작은 갭이 여전히 존재한다. 기계적인 공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압력이 돌출부(36)로 인가되어 재료를 변형한다. 돌출부(36)의 벽 두께가 압력 충돌 위치에서 감소되도록 하고 금속이 스탬핑된 엣지의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압력이 가해진다. 돌출부(36)의 스탬핑된 표면(22)이 베이스(40)의 개구부(44)의 스탬핑된 표면(46)에 대해서 접촉지지될 때, 유동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압력이 가해진 재료가 더 이상 유동할 수 없을 때, 표면이 함께 프레스된다. 이러한 상태는 압력을 제거한 후에도 지속되고 파트를 함께 유지한다. 이러한 공정은 억지-끼워맞춤 스템가공으로 공지되어 있다. 기술자들 사이에서 억지-끼워맞춤 스템가공은 소성 변형에 의해서 2개의 개별적인 공작물들 사이에서 힘(force)- 및 형상-끼워맞춤 연결을 구축하는 것을 지칭한다.
도 5는 소켓 부분(14)이 4개의 벽 부분(26, 28, 29, 30)으로 박스-형상의 소켓 부분으로 형성된 것을 보여준다. 박스를 형성하는 시트-섹션의 측벽은 3개의 90°벤드에 의해서 폐쇄된 외측 표면으로 형성되었다. 벤딩 후에 박스를 폐쇄하는 외측 엣지는, 억지-끼워맞춤에 의해서, 측벽(29) 내의 윈도우(80) 내로 돌출하는 측방향 돌출 탭(78)에 의해서 그에 연결된다. 상부 측부 벽(26)으로부터, 노치 돌출부(70)가 측벽(26)의 스트립을 컷팅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되고, 일부가 상부 측부 벽(26)과 연결되어 유지된다. 그에 의해서, 노치 돌출부(70)가 상부 측부 벽(26)에 대해서 이동가능하다. 제1 러그(74) 및 제2 러그(75)가 노치 돌출부(70)의 일 측부 상에 형성되고, 이들은 각각 제1 측벽 개구부(76) 및 제2 측벽 개구부(77) 내에서 돌출한다. 러그(74, 75)가 측벽 개구부(76, 77)의 엣지까지 작은 거리를 가지도록, 측벽 개구부(76, 77)의 치수가 결정된다. 그에 의해서, 러그(74, 75)는 측벽 개구부(76, 77)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노치 돌출부(70)의 운동 범위는 러그(74, 75) 및 측벽 개구부의 크기에 의해서 결정된다. 노치 돌출부(70)는, 상부 측벽에 부착되기 위해서 이용되지 않는 단부에서 측벽 개구부(76, 77)가 허용하는 범위까지 외측으로 벤딩된다. 연결 요소(1)의 하우징(미도시) 내로의 삽입시에, 노치 돌출부(70)가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을 것이고, 연결 요소가 하우징 내의 최종 위치에 도달할 때, 외측으로 이동하고 연결 요소(1)를 하우징 챔버(미도시) 내에서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의도하지 않은 외측 당김(pull out)을 위해서 필요한 외측 당김력이 통상적인 노치 장치에 비해서 증가되는데, 이는 노치 돌출부(70)의 러그(74, 75)가 측벽 개구부(76, 77) 내에서 유지되고 그에 따라 노치 돌출부(70)가 벤딩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도 2 및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암놈형 파트는 브릿지(38) 내에 유지 노치(33)를 포함하고, 이는 베이스(40) 내의 장착 홀(34)과 협력하여, 제조 중에 돌출부(36)가 개구부(44) 내로 벤딩되지 않는 한, 암놈형 파트 내에서 숫놈형 파트가 의도하지 않게 이동(shifting)하는 것을 방지한다. 숫놈형 파트(12)가 삽입될 때, 유지 노치(33)가 장착 개구부(34) 내로 돌출하고 그에 따라 숫놈형 파트(12)의 의도하지 않은 이동을 방지한다.
도 4는 베이스(40) 내의 숫놈형 파트(12)가 측벽 내 돔형(domed) 부조물(49)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고, 그러한 돔형 부조물은 플러그 접촉부(미도시)를 위한 삽입 보조부로서의 역할을 한다. 만약 플러그 접촉부가 삽입 개구부(62) 내로 센터링되지(centered) 않는다면, 플러그 접촉부가 부조물(49)에 대해서 접촉지지되고 그리고 돔형 형상에 의해서 보다 유리한 삽입 위치로 안내된다.
숫놈형 파트의 베이스는 소켓 부분 내로 삽입된 플러그 접촉부와 접촉하기 위해서 제공되지 않는다. 그에 따라, 이는 소켓 부분에 대한 안정적인 연결을 위해서 접촉 스프링 아암의 디자인과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템가공 중에, 2개의 파트가, 그 스탬핑된 표면에서 지역적으로(area by area) 서로 연결된다. 이는, 파트들 사이의 비교적 큰 접촉 표면을 가져온다. 이는, 용접형 조인트에 대비하여, 숫놈형 파트와 암놈형 파트 사이의 확실한 기계적 연결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숫놈형 파트와 암놈형 파트의 개선된 전기적 및 열적 커플링을 제공한다. 그에 따라, 연결 영역 내의 연결 수단을 실질적으로 가열하지 않고 연결부를 통해서 보다 큰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연결 수단을 통해서 흐를 수 있는 최대 전류는 함께 용접된 삽입 파트 및 수용 파트를 이용한 연결 수단 보다 상당히 더 크다.
또한, 개시된 연결부는 용접형 조인트 보다 제조가 훨씬 더 쉽다. 특히, 용접 장치,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 장치에 투자할 필요가 없다. 대신에, 스템가공 연결부가, 예를 들어, 숫놈형 파트 및 암놈형 파트의 생산을 위해서 또한 이용되는 스탬핑 및 벤딩 장치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을 것이다. 투자 비용의 감소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수단을 전체적으로 더욱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게 하는데 기여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암놈형 파트 및 숫놈형 파트가 스탬핑되고 벤딩된 파트로서 형성될 수 있을 것이고, 이는 비용-효율적인 생산에 기여한다. 숫놈형 파트와 암놈형 파트는 스탬핑된 표면에 의해서만 연결되고, 그에 의해서 부가적인 유지 장치 또는 접촉 장치의 제공이 필요치 않다. 그에 따라, 수용 영역 내로 돌출하는 파트를 포함하지 않는 연결 수단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고, 이는 연결 수단의 전체적인 단면을 감소시킨다.
바람직하게, 암놈형 파트 및 숫놈형 파트가 상이한 금속 또는 합금으로 제조되는데, 이는 숫놈형 파트에 대한 요건이 연결 수단 내로 삽입되는 상보적인 접촉 파트와 안전하고 영구적으로 접촉하는 것인 반면, 암놈형 파트는 숫놈형 파트를 유지하기 위해서 그리고 전도체(전기 라인)와의 접촉을 제공하기 위해서 그리고 하우징 내에서의 연결 수단의 고정을 위해서 제공되기 때문이다. 숫놈형 파트를 위한 바람직한 재료들은, 예를 들어, 구리-니켈-실리콘 합금인데, 이는 그러한 합금이 특히 양호한 탄성 특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암놈형 파트는 청동 시트로부터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숫놈형 파트와 연결 라인 사이에 양호한 전기 전도도가 보장된다.
바람직하게, 암놈형 파트 및 숫놈형 파트가 상이한 벽 두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암놈형 파트가 숫놈형 파트보다 약간 더 두꺼운 벽 두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는, 2개의 파트의 스탬핑된 엣지에서 벽 두께가 스템가공 후에 대략적으로 동일해지는 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것이 유리한데, 이는 파트들 사이의 전체 접촉 면적이 유지 및 전기 접촉을 위해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분진이 수집되어 부식을 초래할 수 있는 모서리가 존재하지 않는다. 유망한 조합으로서, 0.15 mm의 재료 두께를 가지는 숫놈형 파트 및 암놈형 파트에 대한 0.20 mm의 재료 두께가 포함된다. 동일한 벽 두께를 이용하는 것 그리고 벽 두께가 스탬핑된 표면에서 유지되도록 그리고 재료가 다른 위치에서 더 얇아지도록 스템가공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세스는 생산 중에 제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소켓 부분 및 암놈형 파트의 전기적 접촉이 2개의 파트들의 스탬핑된 표면을 통해서 주로 실시되는데, 이는 이러한 방식에서 큰 접촉 면적이 얻어지기 때문이고, 이는 낮은 전기 저항을 가지고 실질적으로 부식에 대해서 내성을 가지는데, 이는 수분이 분리 표면 내로 접근할 수 없기 때문이다. 플러그 접촉부가 연결 수단 내로 삽입된 후에 숫놈형 파트의 부분이 암놈형 파트에 대해서 프레스될 때, 추가적인 이차적 전류 경로가 생성된다. 숫놈형 파트와 암놈형 파트 사이의 부가적인 연결 위치가 연결 수단의 전체 저항을 추가적으로 감소시킨다.
바람직하게, 숫놈형 베이스가 소켓 부분의 삽입 개구부를 형성하고, 그에 따라 상보적인 플러그 접촉부를 위한 삽입 개구부를 나타내는 영역은, 연결될 때 플러그 접촉부를 숫놈형 파트 내로 최적으로 안내하도록, 플러그 접촉부에 맞춰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암놈형 파트 및 숫놈형 파트가 시트 금속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된다. 암놈형 파트는 시트 금속으로부터 스탬핑되고 접혀져서 형태를 이룬다. 그에 의해서, 비용-효과적인 생산이 가능해진다. 숫놈형 파트가 또한 시트 금속으로부터 스탬핑되어 형태를 이룬다. 숫놈형 파트의 개구부가 스탬핑 중에 숫놈형 파트 내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돌출부가 소켓 부분의 하나 이상의 측벽으로부터 돌출하고, 그에 따라 돌출부가 숫놈형 파트의 개구부 내에 끼워맞춤될 수 있을 것이다. 돌출부의 배열이 매우 다양하게 실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요건은, 돌출부가 숫놈형 파트의 벽 내의 개구부 내로 돌출하도록, 그리고 억지-끼워맞춤 스템가공에 의해서 상기 개구부 내에서 고정될 수 있고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배열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소켓 부분의 측벽으로부터의 돌출부가 연결 방향으로 또는 연결 방향에 수직으로 돌출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가 암놈형 파트로부터 상이한 각도들로 돌출할 수 있을 것이다. 소켓 부분은, 숫놈형 파트를 기계적으로 지지하기에 적합한 브릿지들로 연장된 측벽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브릿지는 측벽으로부터 연장한다. 브릿지로부터, 다시, 돌출부가 연장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숫놈형 파트의 삽입 후에, 돌출부는 개구부 내로 돌출하지 않으나 스템가공 전에 개구부 내로 벤딩된다. 이러한 구조는 연결 수단의 기계적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바람직하게, 소켓 부분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그에 따라 소켓 부분이 왜곡되지 않고 하우징 내에서 지지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원형 또는 타원형 단면을 가지는 소켓 부분을 제공하는 것 그리고 그에 상응하여 숫놈형 파트를 형성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1 연결 수단
10 암놈형 파트
12 숫놈형 파트
14 소켓 부분
16 클림핑 부분
18 제1 클림핑 탭
20 제2 클림핑 탭
22 스탬핑된 표면
24 접촉지지 표면
26 상부 측벽
28 측벽
29 측벽
30 하부 측벽
32 수용 공간
34 장착 홀
36 돌출부
38 브릿지
40 베이스
42 측벽
44 개구부
46 스탬핑된 표면
48 접촉지지 표면
49 부조물
50 접촉 스프링 아암
52 접촉 스프링 아암
54 자유 단부
56 접촉 영역
58 길이방향 갭
60 유지 영역
62 삽입 개구부
70 노치 돌출부
74 제1 러그
75 제2 러그
76 제1 측벽 개구부
77 제2 측벽 개구부
78 탭
80 윈도우

Claims (15)

  1. 소켓 부분(14) 내에 숫놈형 파트(1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소켓 부분(14)을 갖춘 암놈형 파트(10)를 가지는 전기 연결 수단(1)이며, 숫놈형 파트(12)는 베이스(40)의 영역 내에 개구부(44)를 포함하고, 소켓 부분(14)은 개구부(44) 내로 돌출하는 돌출부(36)를 포함하고, 개구부(44) 내에서 돌출부(36)는 숫놈형 파트에 형상-끼워맞춤식으로 연결되는, 전기 연결 수단.
  2. 제1항에 있어서,
    탄성 노치 돌출부(70)가 소켓 부분(14)의 벽(26)의 일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전기 연결 수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노치 돌출부(70)의 하나의 측부에서 러그(74)가 소켓 부분의 벽 개구부(76) 내로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전기 연결 수단.
  4. 제3항에 있어서,
    벽 개구부(76)가 러그(74)보다 커서 노치 돌출부(70)가 이동가능한, 전기 연결 수단.
  5. 제1항에 있어서,
    숫놈형 파트(12)는, 암놈형 파트(10)의 내측 표면을 접촉지지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스프링 아암(50, 52) 탄성체를 일 단부에 포함하는, 전기 연결 수단.
  6. 제1항에 있어서,
    숫놈형 파트(12)가 슬리브-형상으로 구성되는, 전기 연결 수단.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놈형 파트(10)가 숫놈형 파트(12)의 장착 홀(34)과 협력하는 유지 노치(33)를 내부에 포함하는, 전기 연결 수단.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숫놈형 파트(12)는 적어도 하나의 부조물(49)을 내측에 포함하는, 전기 연결 수단.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놈형 파트(10) 및 숫놈형 파트(12)가 상이한 금속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전기 연결 수단.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놈형 파트(10) 및 숫놈형 파트(12)가 상이한 벽 두께를 가지는, 전기 연결 수단.
  11. 중공형 공간(32) 및 돌출부(36)를 일 단부에 포함하는 암놈형 파트(10)를 제공하는 단계, 개구부(44)를 가지는 숫놈형 파트(12)를 암놈형 파트(10) 내로 삽입하는 단계로서, 돌출부(36)가 개구부(44) 내로 연장하도록 상기 파트들이 정렬되는, 삽입하는 단계, 돌출부(36)를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수단(1)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돌출부(36)의 재료는, 상기 재료의 두께가 적어도 스탬핑된 표면(22, 46)에서 숫놈형 파트(12)의 재료의 두께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도록 변형되는, 연결 수단의 제조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돌출부(36)가, 정렬될 때, 개구부(44) 내로 벤딩되는, 연결 수단의 제조 방법.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36)의 재료는, 개구부(44) 내로 연장하는 돌출부(36)가 숫놈형 파트(12)와 개구부(44) 내에서 형상-끼워맞춤식으로 연결되도록 변형되는, 연결 수단의 제조 방법.
  15. 제1항에 따른 전기 연결 수단(1) 및 전기 전도체를 포함하는 연결 라인.
KR1020140141639A 2013-10-23 2014-10-20 전기 플러그 연결을 위한 접촉부 소켓 KR1022516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189848.8A EP2866306B1 (de) 2013-10-23 2013-10-23 Kontaktbuchse für eine elektrische Steckverbindung
EP13189848.8 2013-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102A true KR20150047102A (ko) 2015-05-04
KR102251656B1 KR102251656B1 (ko) 2021-05-13

Family

ID=49447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639A KR102251656B1 (ko) 2013-10-23 2014-10-20 전기 플러그 연결을 위한 접촉부 소켓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55516B2 (ko)
EP (1) EP2866306B1 (ko)
KR (1) KR102251656B1 (ko)
CN (1) CN1045774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10091B1 (de) * 2014-10-16 2017-05-24 Wolf Neumann-Henneberg Elektrischer Steckverbinder
JP1535182S (ko) * 2015-02-13 2015-10-19
JP1535179S (ko) * 2015-02-13 2015-10-19
JP1535178S (ko) * 2015-02-13 2015-10-19
DE102016104828A1 (de) * 2016-03-16 2017-09-21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Elektrische Kontaktvorrichtung, elektrische Kontakteinrichtung sowie elektrischer Verbinder
US9905953B1 (en) 2016-09-30 2018-02-27 Slobodan Pavlovic High power spring-actuated electrical connector
DE102017001166A1 (de) * 2017-01-31 2018-08-02 Kostal Kontakt Systeme Gmbh Kontaktlamelle für ein buchsenartiges Steckverbinderteil und buchsenartiges Steckverbinderteil
JP6872152B2 (ja) * 2017-09-21 2021-05-19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
CN111937250B (zh) 2018-02-26 2022-09-30 皇家精密制品有限责任公司 用于高功率应用的弹簧致动式电连接器
CN108551015B (zh) * 2018-03-31 2021-02-19 温州市力博电子有限公司 一种连接器端子
CN112956085B (zh) * 2018-06-07 2023-09-15 皇家精密制品有限责任公司 具有内部弹簧部件的电连接器系统及其应用
WO2020154330A1 (en) 2019-01-21 2020-07-30 Royal Precision Products, Llc Power distribution assembly with boltless busbar system
CN110212388B (zh) * 2019-07-30 2019-10-25 天立电机(宁波)有限公司 端子装配机
US11721942B2 (en) 2019-09-09 2023-08-08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Connector system for a component in a power management system in a motor vehicle
JP2022547535A (ja) 2019-09-09 2022-11-14 ロイヤル プリシジョン プロダクツ エルエルシー 読み取り可能かつ記録可能な印を有するコネクタ記録システム
DE102019218072B4 (de) * 2019-11-22 2023-06-01 Lear Corporation Mehrteilige elektrische Anschlussbuchse
USD927427S1 (en) * 2019-11-26 2021-08-10 Molex, Llc Connector
USD924149S1 (en) * 2019-11-26 2021-07-06 Molex, Llc Connector
JP2023537688A (ja) 2020-07-29 2023-09-05 イートン インテリジェント パワー リミテッド インターロックシステムを含むコネクタ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4858B1 (en) * 1998-09-09 2002-05-28 Framatome Connectors International Socket contact for electrical connector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39770B1 (fr) * 1988-11-28 1991-01-18 Labinal Perfectionnements aux organes femelles de connexions electriques
DE9017536U1 (ko) * 1990-12-28 1991-03-21 Amp Inc., Harrisburg, Pa., Us
FR2701170B1 (fr) * 1993-02-02 1995-03-17 Framatome Connectors France Contact électrique femelle à lame souple.
DE4322758C2 (de) * 1993-07-08 2002-06-27 Framatome Connectors Int Elektrischer Buchsenkontakt zum Einsetzen in ein Buchsengehäuse
JP3535211B2 (ja) * 1994-05-11 2004-06-07 矢崎総業株式会社 雌端子
US5462459A (en) * 1994-09-30 1995-10-31 Cardell Corporation Spring-type electrical receptacle
US5980336A (en) * 1995-06-09 1999-11-09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Electrical terminal
US5810627A (en) * 1996-01-11 1998-09-22 Molex Incorporated Female electrical terminal
JP3159073B2 (ja) * 1996-08-08 2001-04-23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及びその製造方法
US5897404A (en) * 1996-09-30 1999-04-27 The Whitaker Corporation Socket terminal
DE19835020C2 (de) * 1998-08-03 2001-02-08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Buchsenkontakt
US6273766B1 (en) * 2000-09-08 2001-08-14 Eagle Com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collet assembly with dual receiving sockets
US6860768B2 (en) * 2000-09-15 2005-03-01 Alcoa Fujikura Limited Combination sleeve and spring cage incorporated into a one-piece female terminal for interengaging a corresponding male terminal and method of configuring such a sleeve and spring cage from a blank shape
WO2002047210A1 (fr) * 2000-12-07 2002-06-13 Fci Contact femelle a cage avec un module porte-lames
US20030060090A1 (en) * 2001-09-21 2003-03-27 Allgood Christopher L. High current automotive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US7241190B2 (en) * 2001-11-20 2007-07-10 Fci Americas Technology, Inc. Female electrical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US6767260B2 (en) * 2002-02-28 2004-07-27 Qa Technology Company, Inc. Hyperboloid electrical contact
DE10248809A1 (de) * 2002-10-19 2004-04-29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in der Ausgestaltung eines Buchsenkontakts mit spezieller Lamellengestaltung
CN2772061Y (zh) * 2005-02-04 2006-04-12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EP1720219A1 (de) * 2005-05-03 2006-11-08 Delphi Technologies, Inc. Elektrisches Anschlusselement
DE102005051724B4 (de) * 2005-10-27 2007-10-25 Yazaki Europe Ltd., Hemel Hempstead Elektrischer Kontakt
US7294027B1 (en) * 2006-10-03 2007-11-13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terminal with layered springs
JP2008140589A (ja) * 2006-11-30 2008-06-19 Yazaki Corp 雌型端子
DE202008004957U1 (de) * 2008-04-09 2008-06-12 Phoenix Contact Gmbh & Co. Kg Federkontakt für Steckverbinder
JP5872803B2 (ja) * 2011-06-24 2016-03-01 矢崎総業株式会社 雌型端子金具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4858B1 (en) * 1998-09-09 2002-05-28 Framatome Connectors International Socket contact for electrical connec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577408A (zh) 2015-04-29
EP2866306A1 (de) 2015-04-29
US9455516B2 (en) 2016-09-27
KR102251656B1 (ko) 2021-05-13
EP2866306B1 (de) 2020-07-29
CN104577408B (zh) 2017-10-24
US20150111443A1 (en) 2015-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1656B1 (ko) 전기 플러그 연결을 위한 접촉부 소켓
US9142902B2 (en) Electrical terminal assembly
US8827756B2 (en) Electrical terminal
EP1162698B1 (en) Female terminal fitting
US9601854B2 (en) Female terminal
KR100910682B1 (ko) 개선된 록킹 부재를 구비한 콘택트
US9118131B2 (en) Electrical terminal
JP2007123265A (ja) 電気接点
JPH07335299A (ja) リセプタクル端子
JP6247337B2 (ja) 電気コネクタのためのコンタクト
JP2005050818A (ja) 平らな雄端子用の雌端子
CN101442159A (zh) 电连接器组件
KR102425767B1 (ko) 소켓 형태의 커넥터 부분을 위한 접촉 블레이드, 및 소켓 형태의 커넥터 부분
JP2002025674A (ja) 接続端子
JPH0220763Y2 (ko)
JP4520874B2 (ja) 雌端子及びコネクタ
JP2006172732A (ja)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JP4482391B2 (ja) バスバーと端子の接続構造
CN109216949B (zh) 电连接器
JPH0434274B2 (ko)
JP2013037989A (ja) ソケット
WO2021025088A1 (ja) 電気端子
JP2010092647A (ja) 端子かしめ構造
JP2023104522A (ja) 接続端子
JP2023104542A (ja) 接続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