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5389A -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45389A KR20150045389A KR20140141143A KR20140141143A KR20150045389A KR 20150045389 A KR20150045389 A KR 20150045389A KR 20140141143 A KR20140141143 A KR 20140141143A KR 20140141143 A KR20140141143 A KR 20140141143A KR 20150045389 A KR20150045389 A KR 201500453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ype lithium
- lithium manganese
- spinel
- composite oxide
- manganese composite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52596 spin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11029 spin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0
- 229910021445 lithium manganese complex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KLARSDUHONHPRF-UHFFFAOYSA-N [Li].[Mn] Chemical compound [Li].[Mn] KLARSDUHONHPRF-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NUJOXMJBOLGQSY-UHFFFAOYSA-N manganese dioxide Chemical compound O=[Mn]=O NUJOXMJBOLGQSY-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11572 mangane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11164 primary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150000002696 manganese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163 secondary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03002 lithium salt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59000000002 lith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694 spray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29910015643 LiMn 2 O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ZOXJGFHDIHLPTG-UHFFFAOYSA-N Boron Chemical compound [B] ZOXJGFHDIHLPT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96 bo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OIFBSDVPJOWBCH-UHFFFAOYSA-N Di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OC(=O)OCC OIFBSDVPJOWBC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MTRUDSVKNLOMY-UHFFFAOYSA-N Ethylene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1OCCO1 KMTRUDSVKNLOM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12851 LiCo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3290 LiN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74 posi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46 solid phase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671 solid-state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8088 Li-M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870 LiPF 6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6327 Li—M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SECXISVLQFMRJM-UHFFFAOYSA-N N-Methylpyrrolidone Chemical compound CN1CCCC1=O SECXISVLQFMR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30 acetylene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37 ann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6 cath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51 cyc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8 electrochem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29 gener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76 industrial pro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97 manganese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7 uniform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3/00—Compounds of nickel
- C01G53/40—Complex oxides containing nickel and at least one other metal element
- C01G53/42—Complex oxides containing nickel and at least one other metal element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NiO2
- C01G53/44—Complex oxides containing nickel and at least one other metal element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NiO2 containing manganese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30—Three-dimensional structures
- C01P2002/32—Three-dimensional structures spinel-type (AB2O4)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0—Electric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을 제공할 수 있다.
[화학식 1]
Li1 + xMn2 - yMgyO4
(상기 식에서 0≤x≤0.2, 0<y≤0.1 임)
[화학식 1]
Li1 + xMn2 - yMgyO4
(상기 식에서 0≤x≤0.2, 0<y≤0.1 임)
Description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입자가 균일하게 성장할 수 있는 새로운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온 2차 전지용 캐소드 물질로서 사용되는 관심을 끄는 물질에는 LiCoO2, LiNiO2, 및 LiMn2O4가 포함된다. LiCoO2 및 LiNiO2와 달리, LiMn2O4 스피넬 화합물(spinel compounds)은 과충전에 더 안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순수한 LiMn2O4의 경우 전체 용량 범위(full capacity range)를 넘는 사이클링이 안전하게 수행될 수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LiMn2O4의 비용량(specific capacity)은 낮다. 구체적으로, LiMn2O4의 이론 용량은 단지 148 mAh/g이며 우수한 사이클 특성(cycleability)을 가지는 경우는 전형적으로 단지 약 115~120 mAh/g가 얻어진다.
LiMn2O4 스피넬 화합물의 일반적인 제조방법은 헌터에 의해 먼저 기술되었다. 대기중 600-650 ℃ 상태와 Li/Mn의 몰비가 1/2인 조건 속에서 Li2CO3와 Mn2O3 또는 Mn3O4의 고체 상태 반응을 통해 제조되었고, 그 후에 대기 중에서 상기 화합물은 800-900 ℃로 가열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 의해서 결과물로 얻어지는 합성물은 용량이 낮고 가역성 또한 빈약하였다.
미국 특허 NO.5,192,629에서는 큰 용량을 갖는 스피넬 LixMn2O4를 제조하기 위해 공기 중에서 Li2CO3 와 MnO2를 반응시키고 800 ℃에서 3회(매회 24시간 동안) 연속적인 소둔 열처리를 한 후에 획득된 스피넬 화합물을 약 1~2 μm 정도의 입자크기로 분쇄하였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대기 중에서 실행 가능하지만, 산업 생산에 적용하기에는 너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상 반응에서 구형으로 LixMn2O4를 제조하기 위해서 망간 화합물로서 전해 이산화망간(EMD)이 아닌 구형의 화학 이산화망간(CMD)을 사용하고, 일반적으로 소결 촉진 역활을 해줄 수 있는 융제(FLUX)로서 B(Boron)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건식 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구형의 LixMn2O4은 습식이나 공침대비 상대적으로 혼합도가 낮아 융제로서 보론 첨가 시, 보론 자체가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아 보론이 몰려있는 부분에서는 거대 이상 입자가 발생하는 등, 1차 입자간 불균일하게 입자가 성장하여 상온 사이클 및 고온 사이클 등 전기화학 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입자가 균일하게 성장할 수 있는 새로운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Li1 + xMn2 - yMgyO4
(상기 식에서 0≤x≤0.2, 0<y≤0.1 임)
상기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의 탭밀도는 1.8 g/ml 이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1.8 내지 2.0g/ml 일 수 있다. 이는 균일한 1차 입자로 인해 탭밀도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상기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은 1차 입자가 응집된 2차 입자이고, 상기 1차 입자의 직경은 0.1 ㎛ 내지 3 ㎛ 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2차 입자의 직경은 10 내지 20㎛ 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서는, 리튬염, 망간염, 및 융제(flux)를 용매 내에서 혼합하는 공정; 상기 혼합물을 분쇄하는 공정; 상기 분쇄된 혼합물을 분무 건조하여 입자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분무 건조된 입자를 700 내지 900 ℃에서 열처리하는 공정; 상기 열처리된 입자를 분쇄하는 공정; 및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인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Li1 + xMn2 - yMgyO4
(상기 식에서 0≤x≤0.2, 0<y≤0.1 임)
상기 공정에서 용매를 사용하여 1차 입자의 균일한 분포를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망간염은 화학 이산화망간(CMD)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융제는 Mg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은 1차 입자의 크기가 균일하게 조절되면서 성장하여 전기 화학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의 SEM 사진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의 입도 분포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의 단면 사진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활물질을 포함하는 코인셀을 이용하여 충·방전 특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의 입도 분포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의 단면 사진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활물질을 포함하는 코인셀을 이용하여 충·방전 특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
실시예
>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의 제조
융제로서 Mg를 사용하고, 망간염으로서 화학 이산화망간(MnO2,CMD,Chemical Manganese Dioxide)을 준비하고 용매로서 증류수에 리튬염으로서 Li2CO3를 함께 혼합한 후 분쇄하였다.
각각의 혼합 비율은 Li1 .04Mn1 .88Mg0 .08O4 이 되도록 조절하였다.
분쇄된 혼합물을 분무건조기에서 분무 건조하여 입자를 형성하였다.
제조된 1차 입자의 직경은 2.3㎛였다.
이후, 700 ℃ 에서 열처리하여 직경이 17 ㎛인 2차 입자 형태의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
망간염으로서 전해 이산화망간(MnO2,EMD,Electolytic Manganese Dioxide)을 사용하고, 융제 및 용매를 사용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
SEM
사진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의 SEM 사진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
실험예
> 입도 분포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의 입도 분포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입자의 경우 비교예에 비하여 입도 분포가 개선되는 것을 알수 있다.
<
실험예
> 단면 공극률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의 단면 사진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의 경우 중앙부에 공극이 형성되는데 비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경우 공극이 형성되지 않아,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보다 입자 치밀도가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
제조예
>
본 발명에 따른 양극 활성 물질 입자 분말을 이용하여 CR2032형 코인셀에 의한 전지 평가를 행하였다.
양극 활성 물질로서 Li-Mn 복합 산화물을 92 중량%, 도전재로서 아세틸렌 블랙을 2.5 중량% 및 결합제로서 N-메틸피롤리돈에 용해한 폴리불화비닐리덴 3 중량%를 혼합한 후, Al 금속박에 도포하여 110 ℃에서 건조하였다. 이 시트를 16 mmφ로 펀칭한 후, 1.7 t/cm2 로 압착하여, 전극 두께를 50 ㎛로 한 것을 양극에 이용하였다. 음극은 16 mmφ로 펀칭한 두께 500 ㎛의 금속 리튬으로 하고, 전해액은 1 mol/l의 LiPF6을 용해한 Ethylene carbonate(EC)와 Diethyl carbonate(DEC)를 부피비 3:7로 혼합한 용액을 이용하였다.
<
실험예
> 전기화학 특성 평가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활물질을 포함하는 CR2032형 코인셀을 이용하여 충·방전 특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
실험예
> 고온 수명 특성 평가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활물질을 포함하는 CR2032형 코인셀을 이용하여 55 ℃의 고온에서 리튬 금속 대비 3.0~4.45 V의 전압 범위에서 1 C rate의 정전류로 50 회 충·방전시키고, 50번째 사이클에서의 수명특성을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활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고온에서 수명 특성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5 ℃ | |
실시예 | 96.6 % |
비교예 | 96 % |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7)
-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화학식 1]
Li1 + xMn2 - yMgyO4
(상기 식에서 0≤x≤0.2, 0<y≤0.1 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의 탭밀도는 1.8 g/ml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은 1차 입자가 응집된 2차 입자이고, 상기 1차 입자의 직경은 0.1 ㎛ 내지 3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입자의 직경은 10 내지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 리튬염, 망간염, 및 융제(flux)를 용매 내에서 혼합하는 공정;
상기 혼합물을 분쇄하는 공정;
상기 분쇄된 혼합물을 분무 건조하여 입자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분무 건조된 입자를 700 내지 900 ℃에서 열처리하는 공정;
상기 열처리된 입자를 분쇄하는 공정; 및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인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화학식 1]
Li1 + xMn2 - yMgyO4
(상기 식에서 0≤x≤0.2, 0<y≤0.1 임)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망간염은 화학 이산화망간(CM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융제는 M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23910 | 2013-10-17 | ||
KR1020130123910 | 2013-10-1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5389A true KR20150045389A (ko) | 2015-04-28 |
KR101589293B1 KR101589293B1 (ko) | 2016-01-29 |
Family
ID=53037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41143A KR101589293B1 (ko) | 2013-10-17 | 2014-10-17 |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89293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33101A (ja) * | 2000-07-14 | 2002-01-31 |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 リチウムーマンガン系酸化物及びこ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
KR20040083915A (ko) * | 2003-03-25 | 2004-10-0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고신뢰성 및 고출력 밀도의 장수명 비수 전해액 리튬 이차전지 |
JP2012012273A (ja) * | 2010-07-05 | 2012-01-19 | Sumitomo Chemical Co Ltd | アルカリ金属複合金属酸化物の原料混合物 |
KR20120089382A (ko) * | 2010-11-08 | 2012-08-10 | 주식회사 포스코이에스엠 |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
2014
- 2014-10-17 KR KR1020140141143A patent/KR10158929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33101A (ja) * | 2000-07-14 | 2002-01-31 |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 リチウムーマンガン系酸化物及びこ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
KR20040083915A (ko) * | 2003-03-25 | 2004-10-0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고신뢰성 및 고출력 밀도의 장수명 비수 전해액 리튬 이차전지 |
JP2012012273A (ja) * | 2010-07-05 | 2012-01-19 | Sumitomo Chemical Co Ltd | アルカリ金属複合金属酸化物の原料混合物 |
KR20120089382A (ko) * | 2010-11-08 | 2012-08-10 | 주식회사 포스코이에스엠 |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89293B1 (ko) | 2016-0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462250B2 (ja) |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その製造方法、そして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 |
KR101746187B1 (ko) |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
KR101904896B1 (ko) |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
JP2010135285A (ja) |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977995B1 (ko) | 붕소 화합물이 코팅된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20030083476A (ko) | 수명 특성과 안전성이 우수한 리튬 금속 복합 산화물 및이의 제조 방법 | |
CN102738451A (zh) | 一种改性锂离子电池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 | |
JPWO2007034823A1 (ja) | 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非水電解質電池 | |
KR20160059781A (ko) |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
KR20160091172A (ko) | 잔류 리튬이 감소된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잔류 리튬이 감소된 양극활물질 | |
KR20160075404A (ko) |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활물질 | |
JPH10188986A (ja) |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 | |
KR20150144613A (ko) |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
JPWO2018169004A1 (ja) | ニッケルマンガン系複合酸化物及びその製造方法 | |
CN107919473B (zh) | 锂离子电池电极活性材料的制备方法 | |
KR101338371B1 (ko) | 리튬-니켈-코발트-알루미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니켈-코발트-알루미늄 복합 산화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
KR101418060B1 (ko) |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 |
Guo et al. | Preparation of manganese oxide with high density by decomposition of MnCO3 and its application to synthesis of LiMn2O4 | |
KR101539408B1 (ko) | 리튬 망간 보레이트계 화합물 및 망간 산화물을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11233052A (zh) | 镍钴锰酸锂三元正极材料、其制备方法、正电极及电池 | |
JP2004155631A (ja) | 非水リチウム二次電池用のリチウムマンガン系複酸化物粒子、その製造方法及び非水リチウム二次電池 | |
KR101589293B1 (ko) | 스피넬형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1437886B1 (ko) | 리튬이차전지용 캐쏘드 활물질 나노복합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 |
KR20160043862A (ko) |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활물질 | |
KR20220026284A (ko) | 강화된 초격자 피크를 가지는 복합양극활물질,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리튬이온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