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6358A - E1 활성화 효소의 억제제로서 유용한 헤테로아릴 화합물 - Google Patents

E1 활성화 효소의 억제제로서 유용한 헤테로아릴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6358A
KR20150036358A KR20157002922A KR20157002922A KR20150036358A KR 20150036358 A KR20150036358 A KR 20150036358A KR 20157002922 A KR20157002922 A KR 20157002922A KR 20157002922 A KR20157002922 A KR 20157002922A KR 20150036358 A KR20150036358 A KR 20150036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
amino
dimethyl
compound
mm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7002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토퍼 에프. 클라이본
스티븐 크리츨리
스티븐 피. 랭스턴
에드워드 제이. 올하바
슈테판 페루소
가브리엘 에스. 웨더헤드
슈테판 비스코실
이라체 비지어스
히로타케 미츠타니
코트니 컬리스
Original Assignee
밀레니엄 파머슈티컬스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밀레니엄 파머슈티컬스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밀레니엄 파머슈티컬스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36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635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9/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9/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9/46Two or more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s
    • C07D239/48Two nitro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2Nitrogen atoms
    • C07D213/74Amino or imino radicals substituted by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07D213/81Amides;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07D213/81Amides; Imides
    • C07D213/82Amides; Imides in position 3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9/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9/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9/32One oxygen, sulfur or nitrogen atom
    • C07D239/34One oxy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9/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9/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9/32One oxygen, sulfur or nitrogen atom
    • C07D239/42One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9/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9/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9/46Two or more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s
    • C07D239/47One nitrogen atom and one oxygen or sulfur atom, e.g. cytos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9/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9/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9/46Two or more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s
    • C07D239/52Two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5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5-triazine rings
    • C07D25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5-tr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5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5-tr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5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5-tr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at least one ring carbon atom
    • C07D251/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5-tr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at least one ring carbon atom to only one ring carbon atom
    • C07D251/1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5-tr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at least one ring carbon atom to only one ring carbon atom with nit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two other ring carbon atoms, e.g. guan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li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 C07D473/2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with an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or 6, but not in both
    • C07D473/28Oxygen atom
    • C07D473/30Oxygen atom attached in position 6, e.g. hypoxanth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 C07D473/2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with an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or 6, but not in both
    • C07D473/32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 C07D473/2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with an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or 6, but not in both
    • C07D473/32Nitrogen atom
    • C07D473/34Nitrogen atom attached in position 6, e.g. aden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8/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8/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8/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mmu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nc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1 활성화 효소를 억제하는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이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 및 이러한 화합물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장애, 특히 암을 포함하는 세포 증식 장애, 염증성 장애 및 신경퇴행성 장애; 및 감염 및 악액질(cachexia)과 관련된 염증을 치료하는 데에 유용하다.

Description

E1 활성화 효소의 억제제로서 유용한 헤테로아릴 화합물 {HETEROARYL COMPOUNDS USEFUL AS INHIBITORS OF E1 ACTIVATING ENZYMES}
우선권 주장
본 출원은 2006년 8월 8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 60/836,158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가특허출원은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장애, 특히 암을 포함하는 세포 증식 장애 및 염증성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화합물,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E1형 활성화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유비퀴틴 유사 분자(ubiquitin-like molecule)(ubl)에 의한 단백질의 번역후 수식(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은 세포 분열, 세포 신호전달 및 면역 반응을 포함하는 다수의 생물학적 작용을 제어하는 데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중요한 세포내 조절 작용이다. ubl은 ubl의 C-말단 글리신과의 이소펩티드 결합을 통해 표적 단백질상의 리신에 공유결합되는 작은 단백질이다. 유비퀴틴 유사 분자는 표적 단백질의 분자 표면을 변경시켜서, 표적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효소 활성, 안정성 및 세포내 국재화(cellular localization)와 같은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유비퀴틴 및 다른 ubl은 ubl의 C-말단 글리신과의 아실-아데닐레이트 중간체의 형성을 촉매하는 특이적 E1 효소에 의해 활성화된다. 그 후, 활성화된 ubl 분자는 티오에스테르 결합 중간체의 형성을 통해 E1 효소내의 촉매 시스테인 잔기에 전달된다. E1-ubl 중간체와 E2가 회합하여, ubl이 E2의 활성 부위 시스테인에 전달되는 티오에스테르 교환을 일으킨다. 그 후, ubl은 직접적으로 또는 E3 리가아제와 함께 표적 단백질 중의 리신 측쇄의 아미노기와 이소펩티드 결합을 형성하여 표적 단백질에 컨쥬게이션된다.
ubl 수식의 생물학적 결과는 해당 표적에 좌우된다. 유비퀴틴은 ubl중에서 가장 잘 특성된 것이고, 유비퀴틴화에 의한 수식의 결과는 26S 프로테오솜에 의한 폴리유비퀴틴화된(poly-ubiquitinated) 단백질의 분해이다. 유비퀴틴은 이의 특이적 E1 활성화 효소인 Ubal (유비퀴틴 활성화 효소, UAE), E2 패밀리로부터의 컨쥬게이팅 효소 및 E3의 RING 또는 HECT 부류로부터의 유비퀴틴 리가아제를 포함하는 효소 케스케이드(cascade)를 통해 이의 표적 단백질에 컨쥬게이션된다 (참조: Huang et al, Oncogene.23:1958-71 (2004)). 표적 특이성은 E2 및 E3 단백질의 특정 조합에 의해 제어되는데, 40을 초과하는 E2와 100을 초과하는 E3가 현재 알려져 있다. 유비퀴틴 이외에, 적어도 10개의 유비퀴틴 유사 단백질이 존재하는데, 이들 각각은 특이적 E1 활성화 효소에 의해 활성화되고, 유사하지만 구별되는 다운스트림 컨쥬게이션 경로를 통해 프로세싱되는 것으로 믿어진다. E1 활성화 효소가 확인된 그 밖의 ubl로는 Nedd8 (APPBP1-Uba3), ISG15 (UBE1L) 및 SUMO 패밀리 (Aos1-Uba2)가 있다.
ubl Nedd8은 이종이량체인 Nedd8-활성화 효소(APPBP1-Uba3)(NAE)에 의해 활성화되고, 하나의 E2 (Ubcl2)에 전달되어, 궁극적으로 큘린(cullin) 단백질에 리게이션된다. 네딜레이션(neddylation)의 기능은 유비퀴틴화에 관여하는 큘린-기초(cullin-based) 유비퀴틴 리가아제의 활성화 및 이에 따른 p27 및 I-κB를 포함하는 다수의 세포 주기 및 세포 신호전달 단백질의 턴오버(turnover)이다 (참조: Pan et al., Oncogene. 23:1985-97, (2004)). ubl SUMO는 이종이량체인 sumo 활성화 효소(Aosl-Uba2)(SAE)에 의해 활성화되고, 하나의 E2 (Ubc9)에 전달된 다음, 다수의 E3 리가아제와 배위하여, 궁극적으로 표적 단백질의 수모일레이션(sumoylation)을 일으킨다. sumo 수식은 표적 단백질의 세포내 국재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SUMO 패밀리 구성원에 의해 수식된 단백질은 핵 수송, 신호 전달 및 스트레스 반응에 관여한다 (참조: Seeler and Dejean, Nat Rev Mol Cell Biol. 4:690-9, (2003)). 수모일레이션의 기능은 전사 조절에 관여하는 세포 신호전달 경로 (예를 들어, 시토카인, WNT, 성장 인자 및 스테로이드 호르몬 신호전달)의 활성화 뿐만 아니라 게놈 완전성(genomic integrity)의 제어에 관여하는 경로 (예를 들어, DNA 복제, DNA 손상에 대한 반응, 재조합 및 복구)를 포함한다 (참조: Muller et al, Oncogene. 23:1998-2006, (2004)). 생물학적 기능이 아직 연구 중에 있는 다른 ubl (예를 들어, ISG15, FAT1O, Apg12p)이 존재한다.
E1 활성화 효소 활성을 통해 조절되는 중요한 특정 경로는 유비퀴틴-프로테아솜 경로 (UPP)이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UAE 및 NAE 효소는 유비퀴틴 케스케이드의 2가지 상이한 단계에서 UPP를 조절한다. UAE는 케스케이드의 첫 번째 단계에서 유비퀴틴을 활성화시키며, NAE는 Nedd8의 활성화를 통해 큘린-기초 리가아제의 활성화를 초래하는데, 이러한 큘린-기초 리가아제는 유비퀴틴을 특정 표적 단백질에 최종 전달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기능적 UPP 경로가 정상적인 세포 유지를 위해 필요하다. UPP는 종양 세포를 포함하는 질병 상태에서 모두 중요한 인자인 전사, 세포 주기 진행 및 아폽토시스에 관여하는 다수의 핵심적인 조절 단백질의 턴오버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참조: King et al., Science 274: 1652-1659 (1996); Vorhees et al, Clin. Cancer Res., 9: 6316-6325 (2003); 및 Adams et al, Nat. Rev. Cancer, 4: 349-360 (2004)). 증식성 세포는 UPP의 억제에 대해 특히 민감하다 (참조: Drexler, Proc. Natl. Acad. Sci, USA 94: 855-860 (1977)). 종양발생에서 UPP 경로의 역할은 잠재적인 항암 요법으로서 프로테아솜 억제를 연구하게 하였다. 예를 들어, VELCADE®(보르테조밉(bortezomib))에 의한 26S 프로테아솜의 억제에 의해 UPP 경로를 조절하는 것은 특정 암에서 유효한 치료법인 것으로 입증되었고, 과거 1회 이상 치료받은 적이 있는 다발 골수종 및 외투세포 림프종(mantle cell lymphoma) 환자의 치료를 위해 승인되어 있다. NAE 및 UAE 활성의 다운스트림에 있는 큘린-기초 유비퀴틴 리가아제에 의해 수준이 제어되는 단백질의 예로는 CDK 억제제인 p27Kip1 및 NFκB의 억제제인 IκB가 있다 (참조: Podust et al, Proc. Natl. Acad. Sci, 97: 4579-4584, (2000), 및 Read et al, Mol. Cell Biol, 20: 2326-2333, (2000)). p27의 분해의 억제는 세포 주기의 G1기 및 S기를 통해 세포가 진행하는 것을 차단할 것으로 예상된다. IκB의 분해가 간섭되면 NF-κB의 핵 국재화, 악성 표현형과 관련된 다양한 NF-κB 의존성 유전자의 전사 및 표준 세포독성 요법에 대한 내성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NF-κB는 다수의 향염증성(pro-inflammatory) 매개물질의 발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데, 이는 염증 질병에서 이러한 억제제의 역할을 암시한다. 또한, UPP의 억제는 추가의 치료제를 위한 유용한 표적으로서 관련되어 왔는데, 해당 질병의 예로는 류마티스성 관절염, 천식, 다발 경화증, 건선 및 재관류 손상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애;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트리플렛 반복 장애(triplet repeat disorder)를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장애; 신경병증성 동통; 허혈 장애, 예를 들어 뇌졸중, 경색, 신장 장애; 및 악액질(cachexia)이 있다 (참조: Elliott and Ross, Am J Clin Pathol. 116:637-46 (2001); Elliott et al, J Mol Med. 81:235-45 (2003); Tarlac and Storey, J. Neurosci. Res.74: 406-416 (2003); Mori et al., Neuropath. Appl. Neurobiol., 31: 53-61 (2005); Manning, Curr Pain Headache Rep. 8: 192-8 (2004); Dawson and Dawson, Science 302: 819-822 (2003); Kukan, J Physiol Pharmacol. 55: 3-15 (2004); Wojcik and DiNapoli, Stroke. 35:1506-18 (2004); Lazarus et al, Am J Physiol. 27:E332-41 (1999)).
E1 활성화 효소를 표적화하는 것은 세포 분열 및 세포 신호전달의 완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다양한 생화학적 경로를 간섭하는 유일한 기회를 제공한다. E1 활성화 효소는 ubl 컨쥬게이션 경로의 첫 번째 단계에서 기능하는데, 이에 따라 E1 활성화 효소를 억제하면 ubl 수식의 다운스트림 생물학적 결과가 특이적으로 조절된다. 이와 같이, 이러한 활성화 효소의 억제 및 이에 따른 ubl-컨쥬게이션의 다운스트림 효과의 억제는 세포 분열, 세포 신호전달, 및 질병 메커니즘을 위해 중요한 세포 생리학의 다수의 일면의 완전성을 간섭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따라서, 다양한 세포 기능의 조절물질로서의 UAE, NAE 및 SAE와 같은 E1 효소는 질병 및 장애의 신규한 치료 방법을 확인하기 위한 잠재적으로 중요한 치료 표적이다.
본 발명은 E1 활성화 효소, 특히 NAE의 효과적인 억제제인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시험관내 및 생체내에서 E1 활성을 억제하기 위해 유용하며, 세포 증식 장애, 특히 암, 및 E1 활성과 관련된 다른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유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고리 A는 5원 또는 6원 아릴, 헤테로아릴, 시클로지방족 또는 헤테로시클릭 고리에 융합되거나 비융합된 6원의 질소-함유 헤테로아릴 고리이고, 상기 고리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되며, 하나의 고리 질소 원자는 산화되거나 비산화되고;
*W는 -CH2-, -CHF-, -CF2-, -CH(R1)-, -CF(R1)-, -NH-, -N(R1)-, -O-, -S-, 또는 -NHC(O)-이고;
R1은 C1 -4 지방족 또는 C1 -4 플루오로지방족이거나; R1은 5원, 6원 또는 7원 융합 고리를 형성하도록 고리 A상의 고리 위치에 결합되는 C2 -4 알킬렌 사슬이며, 여기서 상기 알킬렌 사슬은 C1 -4 지방족, C1 -4 플루오로지방족, =O, -CN, 또는 -C(O)N(R4)2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X는 -CH2-, -CHF-, -CF2-, -NH-, 또는 -O-이고;
Y는 -O, -S-, 또는 -C(Rm)(Rn)-이고;
Ra는 수소, 플루오로, -CN, -N3, -OR5, -N(R4)2, -NR4CO2R6, -NR4C(O)R5, -C(O)N(R4)2, -C(O)R5, -OC(O)N(R4)2, -OC(O)R5, -OCO2R6, 또는 -OR5x, -N(R4x)(R4y), -CO2R5x 또는 -C(O)N(R4x)(R4y)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 -4 지방족 또는 C1 -4 플루오로지방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a 및 Rc는 함께 결합을 형성하고;
Rb는 수소, 플루오로, C1 -4 지방족, 및 C1 -4 플루오로지방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c는 수소, 플루오로, -CN, -N3, -OR5, -N(R4)2, -NR4CO2R6, -NR4C(O)R5, -C(O)N(R4)2, -C(O)R5, -OC(O)N(R4)2, -OC(O)R5, -OCO2R6, 또는 -OR5x, -N(R4x)(R4y), -CO2R5x 또는 -C(O)N(R4x)(R4y)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 -4 지방족 또는 C1 -4 플루오로지방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c 및 Ra는 함께 결합을 형성하고;
Rd는 수소, 플루오로, C1 -4 지방족, 및 C1 -4 플루오로지방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e는 수소, 또는 C1 -4 지방족이거나; Re는 하나의 Rf 및 개재(intervening) 탄소 원자와 함께 취해져 3원 내지 6원 스피로시클릭 고리를 형성하거나; Re는 Rm 및 개재 탄소 원자와 함께 취해져 플루오로 또는 C1 -4 지방족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는 융합된 시클로프로판 고리를 형성하고;
Re'는 수소 또는 C1 -4 지방족이거나; Re'는 Rm 및 개재 탄소 원자와 함께 취해져 플루오로 또는 C1 -4 지방족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는 융합된 시클로프로판 고리를 형성하고;
각각의 Rf는 독립적으로 수소, 플루오로, C1 -4 지방족, 또는 C1 -4 플루오로지방족이거나; 2개의 Rf가 함께 취해져 =O를 형성하거나; 2개의 Rf가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취해져 3원 내지 6원 카르보시클릭 고리를 형성하거나; 하나의 Rf가 Re 및 개재 탄소 원자와 함께 취해져 3원 내지 6원 스피로시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Rm은 수소, 플루오로, -N(R4)2,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 -4 지방족기이거나; Rm 및 Rn은 함께 =O 또는 =C(R5)2를 형성하거나; Rm 및 Re는 개재 탄소 원자와 함께 취해져 플루오로 또는 C1 -4 지방족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는 융합된 시클로프로판 고리를 형성하거나; Rm 및 Re'는 개재 탄소 원자와 함께 취해져 플루오로 또는 C1 -4 지방족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는 융합된 시클로프로판 고리를 형성하고;
Rn은 수소, 플루오로,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 -4 지방족기이거나; Rm 및 Rn은 함께 =O 또는 =C(R5)2를 형성하고;
각각의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지방족,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 기이거나; 동일한 질소 원자상의 2개의 R4는 질소 원자와 함께 취해져 질소 원자에 더하여 N, O 및 S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0 내지 2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지닌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4원 내지 8원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하고;
R4x는 수소, C1 -4 알킬, C1 -4 플루오로알킬, 또는 아릴 부분이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는 C6 -10 아르(C1-4)알킬이고;
R4y는 수소, C1 -4 알킬, C1 -4 플루오로알킬, 아릴 부분이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는 C6 -10 아르(C1-4)알킬,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5원 또는 6원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이거나;
R4x 및 R4y는 이들의 결합되어 있는 질소 원자와 함께 취해져, 질소 원자에 더하여 N, O 및 S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0 내지 2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지닌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4원 내지 8원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하고;
각각의 R5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지방족,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 기이고;
각각의 R5x는 독립적으로 수소, C1 -4 알킬, C1 -4 플루오로알킬,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 -10 아릴 또는 C6 -10 아르(C1-4)알킬이고;
각각의 R6는 독립적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지방족,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기이고;
m은 0, 1, 2 또는 3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상기 개괄적으로 기재된 화합물을 포함하며, 본원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한정되고 예시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El," "El 효소," 또는 "El 활성화 효소"는 표적 분자로의 유비퀴틴 또는 유비퀴틴 유사물질(ubiquitin-like)(집합적으로 "ubl") 컨쥬게이션을 활성화시키거나 촉진시키는 데에 관여하는 관련 ATP 의존성 활성화 효소 패밀리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El 활성화 효소는 아데닐화/티오에스테르 중간체 형성을 통해 작용하여 트랜스티올레이션(transthiolation) 반응을 통해 적절한 ubl를 각각의 E2 컨쥬게이팅 효소에 전달한다. 생성된 활성화된 ubl-E2는 표적 단백질로의 ubl의 궁극적인 컨쥬게이션을 촉진시킨다. 세포 신호전달, 세포 주기 및 단백질 턴오버에서 역할을 하는 다양한 세포 단백질이 E1 활성화 효소 (예를 들어, NAE, UAE, SAE)를 통해 조절되는 ubl 컨쥬게이션을 위한 기질이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E1 효소"라는 용어는 임의의 E1 활성화 효소 단백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며, 이의 예로는 비제한적으로 nedd8 활성화 효소 (NAE (APPBP1/Uba3)), 유비퀴틴 활성화 효소 (UAE (Uba1)), sumo 활성화 효소 (SAE (Aos1/Uba2)), 또는 ISG15 활성화 효소 (Ube1L)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E1 효소"라는 용어는 인간 NAE, SAE 또는 UAE을 의미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NAE를 의미한다.
"E1 효소 억제제" 또는 "E1 효소의 억제제"라는 용어는 E1 효소와 상호작용하여 이의 효소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본원에 정의된 구조를 지닌 화합물을 의미하기 위해 사용된다. E1 효소 활성을 억제한다는 것은 기질 펩티드 또는 단백질로의 유비퀴틴 유사물질 (ubl) 컨쥬게이션 (예를 들어, 유비퀴틴화, 네딜레이션(neddylation), 수모일레이션(sumoylation))을 활성화시키는 E1 효소의 능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다양한 구체예에서, 이러한 E1 효소 활성의 감소는 약 50% 이상, 약 75% 이상, 약 90% 이상, 약 95% 이상 또는 약 99% 이상이다. 다양한 구체예에서, E1 효소 활성을 감소시키는 데에 필요한 E1 효소 억제제의 농도는 약 1 μM 미만, 약 500 nM 미만, 약 100 nM 미만, 약 50 nM 미만, 또는 약 10 nM 미만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이러한 억제는 선택적인데, 즉, E1 효소 억제제는 또 다른 관련없는 생물학적 효과를 생성시키는 데에 필요한 억제제의 농도 보다 낮은 농도, 바람직하게는 2배, 5배, 10배, 50배 또는 100배 이상 낮은 농도에서 기질 펩티드 또는 단백질로의 ubl 컨쥬게이션을 촉진시키는 하나 이상의 E1 효소 (예를 들어, NAE, UAE, 또는 SAE)의 능력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일부 구체예에서, E1 효소 억제제는 하나의 E1 효소의 활성을, 상이한 E1 효소의 효소 활성을 감소시키는 데에 필요한 억제제의 농도 보다 낮은 농도에서 감소시킨다. 다른 구체예에서, E1 효소 억제제는 또 다른 E1 효소의 효소 활성을 또한 감소시키는데, 이러한 효소는 바람직하게는 암에 관여하는 경로의 조절과 관련된 효소 (예를 들어, NAE 및 UAE)이다.
"약"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대략, 부근, 대강 또는 근사를 의미하기 위해 사용된다. "약"이란 용어가 수치 범위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이는 제시된 수치의 아래위로 한계를 확장함으로써 그러한 범위를 변경시킨다. 일반적으로, "약"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수치를 지정된 값의 아래위로 10%의 변화율 만큼 변경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지방족"은 완전히 포화되거나 하나 이상의 불포화 단위를 함유하지만 방향족은 아닌, 직쇄, 분지형 또는 시클릭 C1-C12 탄화수소이다. 예를 들어, 적합한 지방족기로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선형, 분지형 또는 시클릭 알킬, 알케닐, 알키닐 기 및 이들의 하이브리드, 예를 들어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알킬, (시클로알케닐)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알케닐이 있다. 다양한 구체예에서, 지방족기는 1개 내지 10개, 1개 내지 8개, 1개 내지 6개, 1개 내지 4개, 또는 1개, 2개 또는 3개의 탄소를 지닌다.
"알킬", "알케닐" 및 "알키닐"이라는 용어는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 또는 보다 큰 잔기의 일부로서 사용되는 경우 1개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지닌 직쇄 및 분지쇄 지방족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알킬"이란 용어는 지방족기를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결합시키는 탄소 원자가 포화 탄소 원자인 경우에 사용된다. 그러나, 알킬기는 다른 탄소 원자에서 불포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알킬기로는 비제한적으로 메틸, 에틸, 프로필, 알릴, 프로파길, 부틸, 펜틸, 및 헥실이 있다. "알콕시"라는 용어는 -O-알킬 라디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알케닐"이란 용어는 지방족기를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결합시키는 탄소 원자가 탄소-탄소 이중 결합의 일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알케닐기로는 비제한적으로 비닐, 1-프로페닐, 1-부테닐, 1-펜테닐, 및 1-헥세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알키닐"이란 용어는 지방족기를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결합시키는 탄소 원자가 탄소-탄소 삼중 결합의 일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알키닐기로는 비제한적으로 에티닐, 1-프로피닐, 1-부티닐, 1-펜티닐, 및 1-헥시닐이 있다.
"시클로지방족"이라는 용어는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 또는 보다 큰 잔기의 일부로서 사용되는 경우 3원 내지 약 14원을 지닌 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 시클릭 지방족 고리 시스템을 의미하는데, 여기서 지방족 고리 시스템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시클로지방족은 3개 내지 8개 또는 3개 내지 6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지닌 모노시클릭 탄화수소이다. 비제한적인 예로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펜테닐, 시클로헥실, 시클로헥세닐, 시클로헵틸, 시클로헵테닐, 시클로옥틸, 시클로옥테닐 및 시클로옥타디에닐이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시클로지방족은 6개 내지 12개, 6개 내지 10개, 또는 6개 내지 8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지닌 다리결합되거나 융합된 비시클릭 탄화수소이며, 여기서 비시클릭 고리 시스템 중의 임의의 개별 고리는 3원 내지 8원을 지닌다.
일부 구체예에서, 시클로지방족 고리상의 2개의 인접한 치환기는 개재 고리 원자와 함께 취해져, O, N, 및 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0 내지 3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지닌 치환되거나 비치환되는 융합된 5원 내지 6원 방향족 고리 또는 3원 내지 8원 비방향족 고리를 형성한다. 따라서, "시클로지방족"이란 용어는 하나 이상의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에 융합된 지방족 고리를 포함하며, 여기서 라디칼 또는 결합 지점은 지방족 고리상에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는 인다닐, 5,6,7,8-테트라히드로퀴녹살리닐, 데카히드로나프틸, 또는 테트라히드로나프틸이 있으며, 여기서 라디칼 또는 결합 지점은 지방족 고리상에 존재한다.
"할로지방족", "할로알킬", "할로알케닐" 및 "할로알콕시"란 용어는 경우에 따라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지방족, 알킬, 알케닐 또는 알콕시 기를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할로겐" 또는 "할로"는 F, Cl, Br, 또는 I를 의미한다. "플루오로지방족"이란 용어는 할로겐이 플루오로인 할로지방족을 의미한다. 플루오로지방족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CH2F, -CHF2, -CF3, -CH2CF3, -CF2CH3, 및 -CF2CF3가 있다.
"아릴" 또는 "아르-"라는 용어는 단독으로 사용된 경우 또는 "아르알킬", "아르알콕시" 또는 "아릴옥시알킬"과 같은 보다 큰 잔기의 일부로서 사용된 경우 1개 내지 3개의 고리를 포함하는 C6 내지 C14 방향족 탄화수소를 의미하며, 여기서 상기 고리 각각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바람직하게는, 아릴기는 C6 -10 아릴기이다. 아릴기로는 비제한적으로 페닐, 나프틸, 및 안트라세닐이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아릴 고리상의 2개의 인접한 치환기는 개재 고리 원자와 함께 취해져, O, N, 및 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0 내지 3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지닌 치환되거나 비치환되는 융합된 5원 내지 6원 방향족 고리 또는 4원 내지 8원 비방향족 고리를 형성한다. 따라서,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아릴"은 방향족 고리가 하나 이상의 헤테로아릴, 시클로지방족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에 융합된 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라디칼 또는 결합 지점은 방향족 고리상에 존재한다. 이러한 융합된 고리 시스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인돌릴, 이소인돌릴, 벤조티에닐, 벤조푸라닐, 디벤조푸라닐, 인다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즈티아졸릴, 퀴놀릴, 이소퀴놀릴, 신놀리닐, 프탈라지닐, 퀴나졸리닐, 퀴녹살리닐, 카르바졸릴, 아크리디닐, 페나지닐, 페노티아지닐, 페녹사지닐, 테트라히드로퀴놀리닐,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리닐, 플루오레닐, 인다닐, 페난트리디닐, 테트라히드로나프틸, 인돌리닐, 페녹사지닐, 벤조디옥사닐, 및 벤조디옥솔릴이 있다. 아릴기는 모노시클릭, 비시클릭, 트리시클릭, 또는 폴리시클릭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모노시클릭, 비시클릭, 또는 트리시클릭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노시클릭 또는 비시클릭일 수 있다. "아릴"이란 용어는 "아릴기", "아릴 잔기", 및 "아릴 고리"라는 용어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르알킬" 또는 "아릴알킬" 기는 알킬기에 공유결합된 아릴기를 포함하며, 알킬기 및 아릴기는 독립적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바람직하게는, 아르알킬기는 C6 -10 아릴(C1-6)알킬이며, 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벤질, 페네틸, 및 나프틸메틸이 있다.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아르-"라는 용어는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 또는 헤테로아르알킬 또는 "헤테로아르알콕시"와 같은 보다 큰 잔기의 일부로서 사용되는 경우 5개 내지 14개의 고리 원자, 바람직하게는 5개, 6개, 9개, 또는 10개의 고리 원자를 지니고, 시클릭 어레이(cyclic array)에 공유된 6개, 10개, 또는 14개의 π 전자를 지니고, 탄소 원자에 더하여 1개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닌 기를 의미한다. "헤테로원자"라는 용어는 질소, 산소, 또는 황을 의미하며, 질소 또는 황의 임의의 산화된 형태, 및 염기성 질소의 임의의 4차화된 형태를 포함한다. 따라서, 헤테로아릴의 고리 원자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경우, "질소"라는 용어는 산화된 질소 (피리딘 N-옥사이드의 경우)를 포함한다. 5원 헤테로아릴기의 특정 질소 원자는 또한 하기 추가로 정의되는 바와 같이 치환가능할 수 있다. 헤테로아릴기로는 비제한적으로 티에닐, 푸라닐, 피롤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옥사디아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피리딜, 피리다지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인돌리지닐, 퓨리닐, 나프티리디닐, 및 프테리디닐이 있다.
일부 구체에에서, 헤테로아릴 고리상의 2개의 인접한 치환기는 개재 고리 원자와 함께 취해져, O, N, 및 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0 내지 3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지닌 치환되거나 비치환되는 융합된 5원 내지 6원 방향족 고리 또는 4원 내지 8원 비방향족 고리를 형성한다. 따라서, 본원에 사용된 용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아르-"는 헤테로방향족 고리가 하나 이상의 아릴, 시클로지방족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에 융합된 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라디칼 또는 결합 지점은 헤테로방향족 고리상에 존재한다. 비제한적인 예로는 인돌릴, 이소인돌릴, 벤조티에닐, 벤조푸라닐, 디벤조푸라닐, 인다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즈티아졸릴, 퀴놀릴, 이소퀴놀릴, 신놀리닐, 프탈라지닐, 퀴나졸리닐, 퀴녹살리닐, 4H-퀴놀리지닐, 카르바졸릴, 아크리디닐, 페나지닐, 페노티아지닐, 페녹사지닐, 테트라히드로퀴놀리닐,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리닐, 및 피리도[2,3-b]-1,4-옥사진-3(4H)-온이 있다. 헤테로아릴기는 모노시클릭, 비시클릭, 트리시클릭, 또는 폴리시클릭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모노시클릭, 비시클릭, 또는 트리시클릭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노시클릭 또는 비시클릭일 수 있다. "헤테로아릴"이란 용어는 "헤테로아릴 고리" 또는 "헤테로아릴기"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들 용어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고리를 포함한다. "헤테로아르알킬"이란 용어는 헤테로아릴에 의해 치환된 알킬기를 의미하며, 여기서 알킬 및 헤테로아릴 부분은 독립적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방향족 고리" 및 "방향족 고리 시스템"은 0 내지 6개, 바람직하게는 0 내지 4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지니며 시클릭 어레이에 공유된 6개, 10개 또는 14개의 π 전자를 지닌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모노시클릭, 비시클릭, 또는 트리시클릭 기를 의미한다. 따라서, "방향족 고리" 및 "방향족 고리 시스템"이라는 용어는 아릴 및 헤테로아릴 기 둘 모두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헤테로사이클",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시클릭 라디칼", 및 "헤테로시클릭 고리"는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고, 안정한 3원 내지 7원 모노시클릭 잔기, 또는 융합된 7원 내지 10원 또는 다리결합된 6원 내지 10원 비시클릭 헤테로시클릭 잔기를 의미하며, 이러한 잔기는 포화되거나 부분 불포화되고, 탄소 원자에 더하여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4개의 상기 규정된 헤테로원자를 지닌다. 헤테로사이클의 고리 원자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경우, "질소"라는 용어는 치환된 질소를 포함한다. 예로서, 산소, 황 또는 질소로부터 선택된 1개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닌 헤테로시클릴 고리에서, 질소는 N (3,4-디히드로-2H-피롤릴의 경우), NH (피롤리디닐의 경우), 또는 +NR (N-치환된 피롤리디닐의 경우)일 수 있다. 헤테로시클릭 고리는 안정한 구조를 초래하는 임의의 헤테로원자 또는 탄소 원자에서 이의 펜던트(pendant) 기에 결합될 수 있고, 고리 원자 중 어느 하나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다. 이러한 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 헤테로시클릭 라디칼의 예로는 비제한적으로 테트라히드로푸라닐, 테트라히드로티에닐, 피롤리디닐, 피롤리도닐, 피페리디닐, 피롤리닐, 테트라히드로퀴놀리닐,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리닐, 데카히드로퀴놀리닐, 옥사졸리디닐, 피페라지닐, 디옥사닐, 디옥솔라닐, 디아제피닐, 옥사제피닐, 티아제피닐, 모르폴리닐, 및 퀴누클리디닐이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헤테로시클릭 고리상의 2개의 인접한 치환기는 개재 고리 원자와 함께 취해져, O, N, 및 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0 내지 3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지닌 치환되거나 비치환되는 융합된 5원 내지 6원 방향족 또는 3원 내지 8원 비방향족 고리를 형성한다. 따라서, "헤테로사이클",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시클릴 고리", "헤테로시클릭 기", "헤테로시클릭 잔기", 및 "헤테로시클릭 라디칼"은 본원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고, 헤테로시클릴 고리가 하나 이상의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시클로지방족 고리, 예를 들어 인돌리닐, 3H-인돌릴, 크로마닐, 페난트리디닐 또는 테트라히드로퀴놀리닐에 융합되어 있는 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라디칼 또는 결합 지점은 헤테로시클릴 고리상에 존재한다. 헤테로시클릴기는 모노시클릭, 비시클릭, 트리시클릭, 또는 폴리시클릭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모노시클릭, 비시클릭, 또는 트리시클릭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노시클릭 또는 비시클릭일 수 있다. "헤테로시클릴알킬"이란 용어는 헤테로시클릴에 의해 치환된 알킬기를 의미하며, 여기서 알킬 및 헤테로시클릴 부분은 독립적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부분 불포화"는 고리 원자들 사이에 하나 이상의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포함하는 고리 잔기를 의미한다. "부분 불포화"라는 용어는 다수의 불포화 부위를 지닌 고리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지만, 본원에 정의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잔기를 포함하는 것으로는 의도되지 않는다.
"링커기(linker group)" 또는 "링커"라는 용어는 화합물의 2개의 부분을 연결하는 유기 잔기를 의미한다. 링커는 전형적으로 산소 또는 황과 같은 원자, -NH-, -CH2-, -C(O)-, -C(O)NH-와 같은 단위, 또는 알킬렌 사슬과 같은 원자들의 사슬을 포함한다. 링커의 분자량은 전형적으로 약 14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96이며, 약 6개 이하의 원자의 길이를 지닌다. 일부 구체예에서, 링커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 -6 알킬렌 사슬이다.
"알킬렌"이란 용어는 2가 알킬기를 의미한다. "알킬렌 사슬"은 폴리메틸렌기, 즉, -(CH2)n- 이며, 여기서 n은 양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1 내지 4, 1 내지 3, 1 내지 2, 또는 2 내지 3 이다. 치환된 알킬렌 사슬은 하나 이상의 메틸렌 수소 원자가 치환기에 의해 대체된 폴리메틸렌기이다. 적합한 치환기로는 치환된 지방족기에 대해 하기 기재된 것들이 있다. 또한, 알킬렌 사슬은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지방족기 또는 치환된 지방족기로 치환될 수 있다.
또한, 알킬렌 사슬은 작용기가 개재되거나 개재되지 않을 수 있다. 알킬렌 사슬은 내부 메틸렌 단위가 작용기로 대체되는 경우 상기 작용기가 "개재(interrupted)"된다. 적합한 "개재 작용기"의 예로는 -C(R*)=C(R*)-, -C≡C-, -O-, -S-, -S(O)-, -S(O)2-, -S(O)2N(R+)-, -N(R*)-, -N(R+)CO-, -N(R+)C(O)N(R+)-, -N(R+)CO2-, -C(O)N(R+)-, -C(O)-, -C(O)-C(O)-, -CO2-, -OC(O)-, -OC(O)O-, -OC(O)N(R+)-, -C(NR+)=N, -C(OR*)=N-, -N(R+)-N(R+)-, 또는 -N(R+)S(O)2- 가 있다. 각각의 R+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지방족,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 기이거나, 동일한 질소 원자상의 2개의 R+는 질소 원자와 함께 취해져 질소 원자에 더하여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0 내지 2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지닌 5원 내지 8원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 고리를 형성한다. 각각의 R*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지방족,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 기이다.
-O-가 "개재된" C3 -6 알킬렌 사슬의 예로는 -CH2OCH2-, -CH2O(CH2)2-, -CH2O(CH2)3-, -CH2O(CH2)4-, -(CH2)2OCH2-, -(CH2)2O(CH2)2-, -(CH2)2O(CH2)3-, -(CH2)3O(CH2)-, -(CH2)3O(CH2)2-, 및 -(CH2)4O(CH2)-가 있다. 작용기가 "개재된" 알킬렌 사슬의 다른 예로는 -CH2GCH2-, -CH2G(CH2)2-, -CH2G(CH2)3-, -CH2G(CH2)4-, -(CH2)2GCH2-, -(CH2)2G(CH2)2-, -(CH2)2G(CH2)3-, -(CH2)3G(CH2)-, -(CH2)3G(CH2)2-, 및 -(CH2)4G(CH2)-가 있으며, 여기서 G는 상기 열거된 "개재" 작용기 중 하나이다.
명확함을 위해, 예를 들어 상기 기재된 알킬렌 사슬 링커 및 변수 D, E, F, G, Q, U, W, Y, V1, T1, T2, T3 및 T4를 포함하는 본원에 기재된 모든 2가 기는 좌에서 우로 읽혀지는 것으로 의도되며, 변수가 존재하는 화학식 또는 구조식은 상응하게 좌에서 우로 읽혀진다. 2가 기가 고리내에 함유되어 있는 경우, 변수를 좌에서 우로 읽는 것은 변수가 존재하는 고리 구조를 시계방향으로 읽는 것에 해당한다.
당업자는 개재된 알킬렌 사슬이 작용기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 특정 조합이 약제학적 용도를 위해 충분히 안정하지 않음을 인식할 것이다. 안정하거나 화학적으로 가능한 화합물만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안정하거나 화학적으로 가능한 화합물은 수분 또는 다른 화학적으로 반응성인 조건의 부재하에서 약 -80℃ 내지 약 +40℃,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40℃의 온도에서 1주일 이상 유지되는 경우 화학 구조가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는 화합물, 또는 환자에 대한 치료적 또는 예방적 투여를 위해 유용할 정도로 충분히 길게 완전성을 유지하는 화합물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치환된"은 지시된 잔기의 수소 라디칼이 특정된 치환기의 라디칼로 대체됨을 의미하는데, 단, 치환은 안정하거나 화학적으로 가능한 화합물을 생성시킨다. "치환가능한"이란 용어는 명시된 원자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경우 적절한 치환기의 라디칼로 대체될 수 있는 수소 라디칼이 상기 원자에 결합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어구 "하나 이상의 치환기"란 이용가능한 결합 부위의 수를 기초로 하여 1개 내지 가능한 최대 치환기의 수를 나타내는 다수의 치환기를 의미하며, 단, 상기 안정성 및 화학적 가능성 조건은 충족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임의로 치환된 기는 이러한 기의 각각의 치환가능한 위치에서 치환기를 지니며, 치환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독립적으로 선택된"이란 용어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값이 하나의 화합물에서 다수로 존재하는 주어진 변수에 대해 선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릴 (아르알킬, 아르알콕시, 아릴옥시알킬 등에서의 아릴 잔기를 포함함) 또는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르알킬 및 헤테로아르알콕시 등에서의 헤테로아릴 잔기를 포함함) 기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함유할 수 있다.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기의 불포화 탄소 원자상의 적절한 치환기의 예로는 -할로, -NO2, -CN, -R*, -C(R*)=C(R*)2, -C≡C-R*, -OR*, -SR0, -S(O)R0, -SO2R0, -SO2N(R+)2, -N(R+)2, -NR+C(O)R*, -NR+C(O)N(R+)2, -NR+CO2R0, -O-CO2R0, -OC(O)N(R+)2, -O-C(O)R*, -CO2R*, -C(O)-C(O)R*, -C(O)R*, -C(O)N(R+)2, -C(O)N(R+)OR*, -C(O)N(R+)C(=NR+)-N(R+)2, -C(=NR+)-N(R+)2, -C(=NR+)-N(R+)-OR*, -C(=NR+)-OR*, -C(Ro)=N-OR*, -N(R+)-N(R+)2, -N(R+)OR*, -N(R+)C(=NR+)-N(R+)2, -N(R+)C(=NR+)-N(R+)-C(O)R*, -N(R+)C(=NR+)-Ro, -NR+SO2R0, -NR+SO2N(R+)2, -P(O)(R*)2, -P(O)(OR*)2, -0-P(O)-OR*, 및 -P(O)(NR+)-N(R+)2가 있으며, 여기서 R0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지방족 또는 아릴 기이고, R+ 및 R*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거나, 2개의 인접한 치환기는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취해져 N, O, 및 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0 내지 3개의 고리 원자를 지닌 5원 내지 6원의 불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 고리를 형성한다.
지방족기 또는 비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고리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지방족기 또는 비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고리의 포화 탄소상의 적절한 치환기의 예로는 비제한적으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기의 불포화 탄소에 대해 상기 열거된 것들 및 =O, =S, =C(R*)2, =N-N(R+)2, =N-OR*, =N-NHC(O)R*, =N-NHCO2R0, =N-NHSO2R0, 또는 =N-R*이 있으며, 여기서 =는 이중 결합을 나타내고, 각각의 R* 및 R0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당업자라면 이중 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치환기들은 치환가능한 탄소 원자상의 2개의 수소 라디칼을 대체할 것을 필요로 함을 인식할 것이다. 명확함을 위해, "치환된 지방족"이란 용어는 하나 이상의 비지방족 치환기를 지닌 지방족기를 의미한다.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릭 고리의 치환가능한 질소 원자상의 적절한 치환기로는 -R*, -N(R*)2, -C(O)R*, -CO2R0, -C(O)-C(O)R*, -C(O)CH2C(O)R*, -SO2R0, -SO2N(R*)2, -C(=S)N(R*)2, -C(=NH)-N(R*)2, 및 -NR*SO2R0가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R* 및 R0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원에 도시된 구조식은 하나 이상의 동위원소 풍부한(isotopically enriched) 원자가 존재한다는 점에서만 상이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수소 원자가 중수소 또는 삼중수소에 의해 대체되거나 탄소 원자가 13C- 또는 14C-풍부 탄소에 의해 대체된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구조식을 지닌 화합물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이 토토머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화합물의 이러한 모든 토토머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입체화학적 배열이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 도시된 구조식은 구조식의 모든 입체화학적 형태, 즉, 각각의 비대칭 중심에 대한 R 및 S 배열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하나의 입체화학적 이성질체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화합물의 거울상이성질체와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예로서, Ra가 히드록시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Ra를 함유하는 탄소 원자에서 R 또는 S 배열을 지닐 수 있다. R 및 S 입체화학 이성질체 둘 모두 뿐만 아니라 이들의 모든 혼합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주어진 비대칭 중심에서의 입체화학적 배열이 구조식에 의해 정의되는 경우,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도시된 배열은 분자내의 다른 비대칭 중심에 대한 입체화학을 나타낸다. 입체화학적 배열이 화학물 명칭에 의해 정의되는 경우, (rel), (R*), 및 (S*)이란 표시는 상대 입체화학을 나타내며, (+), (-), (R), (S), 및 (abs)라는 표시는 절대 입체화학을 나타낸다.
상대 입체화학이 정의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경우, 화합물의 부분입체이성질체 순도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부분입체이성질체 순도"는 도시된 상대 입체화학을 지닌 화합물의 양을 의미하며, 이는 존재하는 모든 부분입체이성질체의 전체량의 비율로서 표현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별표로 표시된 위치에 도시된 입체화학적 배열은 상대 입체화학 뿐만 아니라 절대 입체화학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화합물의 거울상이성질체 순도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거울상이성질체 순도"는 도시된 절대 입체화학을 지닌 화합물의 양을 의미하며, 이는 도시된 화합물 및 이의 거울상이성질체의 전체량의 비율로서 표현된다.
부분입체이성질체 및 거울상이성질체 순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당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부분입체이성질체 순도는 화합물 및 이의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정량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임의의 분석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적절한 분석 방법의 예로는 비제한적으로 핵자기 공명 분광법 (NMR),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GC),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가 있다. 유사하게는, 거울상이성질체 순도는 화합물 및 이의 거울상이성질체를 정량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임의의 분석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적절한 분석 방법의 예로는 비제한적으로 키랄 컬럼 팩킹 물질을 사용하는 GC 또는 HPLC가 있다. 또한, 거울상이성질체는 광학적으로 풍부한(opically enriched) 유도체화제, 예를 들어 모셔산(Mosher's acid)으로 먼저 유도체화된 경우 NMR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X는 -CH2-, -CHF-, -CF2-, -NH-, 또는 -O- 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X는 -CH2-, -NH-, 또는 -O- 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X는 -NH-, 또는 -O- 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X는 -O- 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Y는 -O-, -S-, 또는 -C(Rm)(Rn)- 이며, 여기서 Rm 및 Rn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다. 일부 구체예에서, Rm은 수소, 플루오로, -NH2, -NH(C1-4 지방족), -N(C1 -4 지방족)2, 또는 C1 -4 지방족이다. 일부 다른 구체예에서, Rm 및 Rn은 함께 =O 를 형성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Rm 및 Re는 개재 탄소 원자와 함께 취해져 플루오로 또는 C1 -4 지방족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는 융합된 시클로프로판 고리를 형성하거나; Rm 및 Re'는 개재 탄소 원자와 함께 취해져 플루오로 또는 C1 -4 지방족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는 융합된 시클로프로판 고리를 형성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Y는 -O- 또는 -CH2 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Y는 -CH2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W는 -CH2-, -CHF-, -CF2-, -CH(R1)-, -CF(R1)-, -NH-, -N(R1)-, -O-, -S-, 또는 -NHC(O)-이고, 여기서 R1은 C1 -4 지방족 또는 C1 -4 플루오로지방족이거나; R1은 5원, 6원 또는 7원 융합 고리를 형성하도록 고리 A상의 고리 위치에 결합되는 C2 -4 알킬렌 사슬이며, 여기서 상기 알킬렌 사슬은 C1 -4 지방족, C1 -4 플루오로지방족, =O, -CN, 또는 -C(O)N(R4)2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W는 -CH(R1)- 또는 -N(R1)이고, R1은 5원 또는 6원 융합 고리를 형성하도록 고리 A상의 고리 위치에 결합되는 C2 -3 알킬렌 사슬이며, 여기서 상기 알킬렌 사슬은 C1 -4 지방족, C1 -4 플루오로지방족, =O, -CN, 또는 -C(O)N(R4)2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일부 다른 구체예에서, W는 -CH2-, -CHF-, -CF2-, -NH-, -O-, -S-, 또는 -NHC(O)-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W는 -O-, -NH-, 또는 -NHC(O)-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W는 -NH-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Ra는 수소, 플루오로, -CN, -N3, -OR5, -N(R4)2, -NR4CO2R6, -NR4C(O)R5, -C(O)N(R4)2, -C(O)R5, -OC(O)N(R4)2, -OC(O)R5, -OCO2R6, 또는 -OR5x, -N(R4x)(R4y), -CO2R5x 또는 -C(O)N(R4x)(R4y)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 -4 지방족 또는 C1 -4 플루오로지방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a 및 Rc는 함께 결합을 형성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Ra는 수소, 플루오로, -CN, N3, C1 -4 지방족, C1 -4 플루오로지방족, -OR5x, -NH(R4), -N(H)CO2R5, -N(H)C(O)R5, -C(O)NHR4, -C(O)R5, -OC(O)NHR4, -OC(O)R5, 및 -OC(O)OR5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Ra는 수소, -OH, -OCH3, C1 -4 지방족, C1 -4 플루오로지방족, 및 플루오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Ra는 수소, -OH, -OCH3, -CH3, 및 플루오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Ra는 -OH 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Rc는 수소, 플루오로, -CN, -N3, -OR5, -N(R4)2, -NR4CO2R6, -NR4C(O)R5, -C(O)N(R4)2, -C(O)R5, -OC(O)N(R4)2, -OC(O)R5, -OCO2R6, 또는 -OR5x, -N(R4x)(R4y), -CO2R5x 또는 -C(O)N(R4x)(R4y)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 -4 지방족 또는 C1 -4 플루오로지방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c 및 Ra는 함께 결합을 형성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Rc는 수소, 플루오로, -CN, N3, C1 -4 지방족, C1 -4 플루오로지방족, -OR5x, -NH(R4), -N(H)CO2R5, -N(H)C(O)R5, -C(O)NHR4, -C(O)R5, -OC(O)NHR4, -OC(O)R5, 및 -OC(O)OR5 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Rc는 수소, -OH, -OCH3, 또는 플루오로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Rc는 수소 또는 -OH 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Rb 및 Rd 각각은 독립적으로 수소, 플루오로, C1 -4 지방족, 및 C1 -4 플루오로지방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Rb 및 Rd 중 하나는 C1 -4 지방족이고, 나머지 하나는 수소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Rb 및 Rd는 각각 수소이다.
한 가지 구체예에서, Ra 및 Rc는 각각 -OH이고, Rb 및 Rd는 각각 수소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Ra는 -OH이고, Rb, Rc, 및 Rd 각각은 수소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Ra는 -OH이고, Rc는 플루오로 또는 -OCH3이고, Rb 및 Rd는 각각 수소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Ra는 -OH이고, Rb는 -CH3이고, Rc는 수소 또는 -OH이고, Rd는 수소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Ra 및 Rc는 함께 결합을 형성하고, Rb 및 Rd는 각각 수소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각각의 Rf는 독립적으로 수소, 플루오로, C1 -4 지방족, 또는 C1 -4 플루오로지방족이거나; 2개의 Rf가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취해져 3원 내지 6원 시클로지방족 고리를 형성하거나; 하나의 Rf가 Re 및 개재 탄소 원자와 함께 취해져 3원 내지 6원 스피로시클릭 고리를 형성하거나; 2개의 Rf가 함께 =O를 형성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X가 -O- 또는 -NH-인 경우 Rf는 플루오로가 아니다. 일부 구체예에서, 각각의 Rf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4 지방족이다. 이러한 일부 구체예에서, 각각의 Rf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H3 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하나의 Rf는 수소 또는 -CH3 이며, 나머지 Rf는 수소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각각의 Rf는 수소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Re는 수소, 또는 C1 -4 지방족이거나; Re는 하나의 Rf 및 개재 탄소 원자와 함께 취해져, 3원 내지 6원 스피로시클릭 고리를 형성하거나; Re는 Rm 및 개재 탄소 원자와 함께 취해져, 플루오로 또는 C1 -4 지방족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는 융합된 시클로프로판 고리를 형성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Re는 수소 또는 C1 -4 지방족이다. 이러한 일부 구체예에서, Re는 수소 또는 -CH3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Re는 수소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Re'는 수소 또는 C1 -4 지방족이거나; Re'는 Rm 및 개재 탄소 원자와 함께 취해져, 플루오로 또는 C1 -4 지방족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는 융합된 시클로프로판 고리를 형성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Re'는 수소 또는 C1 -4 지방족이다. 이러한 일부 구체예에서, Re'는 수소 또는 -CH3 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Re'는 수소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변수 m은 1, 2, 또는 3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m은 1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고리 A는 5원 또는 6원 아릴, 헤테로아릴, 시클로지방족 또는 헤테로시클릭 고리에 융합되거나 비융합된 6원의 질소-함유 헤테로아릴 고리이고, 상기 고리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되며, 하나의 고리 질소 원자는 산화되거나 비산화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고리 A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피리딘, 피리미딘, 또는 1,3,5-트리아진 고리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고리 A는 5원 또는 6원 아릴, 헤테로아릴, 시클로지방족 또는 헤테로시클릭 고리에 융합된 피리딘 또는 피리미딘 고리이며, 상기 고리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이러한 일부 구체예에서, 고리 A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벤젠, 이미다졸, 피롤, 또는 옥사졸 고리에 융합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하기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특징지워지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관한 것이다:
(a) X는 -O-이고;
(b) Y는 -CH2-이고;
(c) W는 -NH-이고;
(d) Ra는 -OH이고;
(e) Rb 및 Rd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4 지방족이고;
(f) Rc는 수소, 플루오로, 또는 -OR5이고;
(g) Re 및 Re'는 각각 수소이고;
(h) 각각의 Rf는 수소이고;
(i) m은 1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A) 또는 (I-B)로 표현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아속(subgenus)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at00002
상기 식에서, 고리 A 및 변수 W, X, Y, Ra, Rb, Rc, Rd, Re, Re', Rf, 및 m은 화학식 (I)에 대해 상기 설명된 값 및 바람직한 값을 지닌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I), (II-A) 또는 (II-B)로 표현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아속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at00003
상기 식에서,
D는 -N= 또는 -C(Rh)=이고;
E는 -N= 또는 -C(Rh)=이고;
Rg는 수소, 할로, 시아노, -C(R5)=C(R5)2, -C≡C-R5, -OR5, -SR6, -S(O)R6, -SO2R6, -SO2N(R4)2, -N(R4)2, -NR4C(O)R5, -NR4C(O)N(R4)2, -N(R4)C(=NR4)-N(R4)2, -N(R4)C(=NR4)-R6, -NR4CO2R6, -N(R4)SO2R6, -N(R4)SO2N(R4)2, -O-C(O)R5, -OCO2R6, -OC(O)N(R4)2, -C(O)R5, -CO2R5, -C(O)N(R4)2, -C(O)N(R4)-OR5, -C(O)N(R4)C(=NR4)-N(R4)2, -N(R4)C(=NR4)-N(R4)-C(O)R5, -C(=NR4)-N(R4)2, -C(=NR4)-OR5, -N(R4)-N(R4)2, -N(R4)-OR5, -C(=NR4)-N(R4)-OR5, -C(R6)=N-OR5,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지방족,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이고;
각각의 Rh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CN, -OR5, -N(R4)2, -SR6,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 -4 지방족 기이고;
변수 W, X, Y, Ra, Rb, Rc, Rd, Re, Re', Rf, 및 m은 화학식 (I)에 대해 상기 설명된 값 및 바람직한 값을 지닌다.
일부 구체예에서, 화학식 (II), (II-A) 및 (II-B)의 각각의 Rh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CN, -OH, -O-(C1 -4 지방족), -NH2, -NH-(C1 -4 지방족), -N(C1 -4 지방족)2, -SH, -S-(C1 -4 지방족),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 -4 지방족 기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각각의 Rh는 독립적으로 수소, 플루오로, -CH3, -CF3, 또는 -OH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Rh는 수소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고리 A는 하기 화학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at00004
일부 구체예에서, Rg는 수소, C1 -6 지방족, C1 -6 플루오로지방족, 할로, -R1g, -R2g, -T1-R1g, -T1-R2g, -V1-T1-R1g, -V1-T1-R2g, -V1-R1g, 또는 -T1-V1-R1g 이며, 여기서 변수 R1g, R2g, V1, 및 T1은 하기 기재된 값을 지닌다.
T1은 0 내지 2개의 독립적으로 선택된 R3a 또는 R3b로 치환된 C1 -6 알킬렌 사슬이며, 여기서 상기 알킬렌 사슬은 -C(R5)=C(R5)-, -C≡C-, -O-, -S-, -S(O)-, -S(O)2-, -SO2N(R4)-, -N(R4)-, -N(R4)C(O)-, -NR4C(O)N(R4)-, -N(R4)C(=NR4)-N(R4)-, -N(R4)-C(=NR4)-, -N(R4)CO2-, -N(R4)SO2-, -N(R4)SO2N(R4)-, -OC(O)-, -OC(O)N(R4)-, -C(O)-, -CO2-, -C(O)N(R4)-, -C(=NR4)-N(R4)-, -C(NR4)=N(R4)-, -C(=NR4)-O-, 또는 -C(R6)=N-O- 가 개재되거나 개재되지 않고, T1 또는 이의 일부는 3원 내지 7원 고리의 부분을 형성하거나 형성하지 않는다. 일부 구체예에서, T1은 플루오로, C1 -4 지방족, 및 C1 -4 플루오로지방족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 -4 알킬렌 사슬이다.
각각의 R3a는 독립적으로 -F, -OH, -O(C1 -4 알킬), -CN, -N(R4)2, -C(O)(C1 -4 알킬), -CO2H, -CO2(C1 -4 알킬), -C(O)NH2, 및 -C(O)NH(C1-4 알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각각의 R3b는 독립적으로 R3a 또는 R7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 -3 지방족이거나, 동일한 탄소 원자상의 2개의 치환기 R3b는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취해져, 3원 내지 6원 시클로지방족 고리를 형성한다.
각각의 R7은 독립적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이다.
V1은 -C(R5)=C(R5)-, -C≡C-, -O-, -S-, -S(O)-, -S(O)2-, -SO2N(R4)-, -N(R4)-, -N(R4)C(O)-, -NR4C(O)N(R4)-, -N(R4)C(=NR4)-N(R4)-, -N(R4)C(=NR4)-, -N(R4)CO2-, -N(R4)SO2-, -N(R4)SO2N(R4)-, -OC(O)-, -OC(O)N(R4)-, -C(O)-, -CO2-, -C(O)N(R4)-, -C(O)N(R4)-O-, -C(O)N(R4)C(=NR4)-N(R4)-, -N(R4)C(=NR4)-N(R4)-C(O)-, -C(=NR4)-N(R4)-, -C(NR4)=N(R4)-, -C(=NR4)-O-, 또는 -C(R6)=N-O- 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V1는 -N(R4)C(O)-, -N(R4)C(O)N(R4)-, -N(R4)SO2-, -N(R4)SO2N(R4)-, 또는 -N(R4)CO2- 이다. 이러한 특정 구체예에서, V1은 -N(R4)C(O)- 또는 -N(R4)C(O)N(R4)- 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V1는 -C(R5)=C(R5), -C≡C-, -O-, -S-, 또는 -N(R4)- 이다.
각각의 R1g는 독립적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시클릴, 또는 시클로지방족 고리이다.
각각의 R2g는 독립적으로 -NO2, -CN, -C(R5)=C(R5)2, -C≡C-R5, -OR5, -SR6, -S(O)R6, -SO2R6, -SO2N(R4)2, -N(R4)2, -NR4C(O)R5, -NR4C(O)N(R4)2, -N(R4)C(=NR4)-N(R4)2, -N(R4)C(=NR4)-R6, -NR4CO2R6, -N(R4)SO2R6, -N(R4)SO2N(R4)2, -O-C(O)R5, -OCO2R6, -OC(O)N(R4)2, -C(O)R5, -CO2R5, -C(O)N(R4)2, -C(O)N(R4)-OR5, -C(O)N(R4)C(=NR4)-N(R4)2, -N(R4)C(=NR4)-N(R4)-C(O)R5, -C(=NR4)-N(R4)2, -C(=NR4)-OR5, -N(R4)-N(R4)2, -N(R4)-OR5, -C(=NR4)-N(R4)-OR5, 또는 -C(R6)=N-OR5 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II)으로 표현되는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아속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at00005
상기 식에서,
Q는 -T1- 또는 -V1-T1-이고;
V1은 -N(R8)-, -O-, 또는 -S-이고;
R8은 수소 또는 C1 -4 지방족이고;
T1은 플루오로, C1 -4 지방족, 및 C1 -4 플루오로지방족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 -4 알킬렌 사슬이고;
고리 C는 3원 내지 8원 헤테로시클릴 또는 시클로지방족 고리, 또는 5원 또는 6원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이고;
변수 D, E, W, X, Y, Ra, Rb, Rc, Rd, Re, Re', Rf, Rh 및 m은 화학식 (I) 및 (II)에 대해 상기 설명된 값 및 바람직한 값을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II-A), (III-B), (III-C) 또는 (III-D)로 포현되는 화학식 (III)의 화합물의 아속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at00006
상기 식에서, 모든 변수는 화학식 (III)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다.
일부 구체예에서, 고리 C는 0 내지 2개의 Ro 및 0 내지 2개의 R8o로 치환되며, 여기서,
각각의 Ro는 독립적으로 할로, -NO2, -CN, -C(R5)=C(R5)2, -C≡C-R5, -OR5, -SR6, -S(O)R6, -SO2R6, -SO2N(R4)2, -N(R4)2, -NR4C(O)R5, -NR4C(O)N(R4)2, -N(R4)C(=NR4)-N(R4)2, -N(R4)C(=NR4)-R6, -NR4CO2R6, -N(R4)SO2R6, -N(R4)SO2N(R4)2, -O-C(O)R5, -OCO2R6, -OC(O)N(R4)2, -C(O)R5, -CO2R5, -C(O)N(R4)2, -C(O)N(R4)-OR5, -C(O)N(R4)C(=NR4)-N(R4)2, -N(R4)C(=NR4)-N(R4)-C(O)R5, -C(=NR4)-N(R4)2, -C(=NR4)-OR5, -C(=NR4)-N(R4)-OR5, -C(R6)=N-OR5,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지방족,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릴, 헤테로시클릴 또는 헤테로아릴 기이거나; 동일한 포화 고리 탄소 원자상의 2개의 Ro는 탄소 원자와 함께 취해져,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3원 내지 8원 스피로시클릭 시클로지방족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하거나; 2개의 인접한 Ro는 개재 고리 원자와 함께 취해져, O, N, 및 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0 내지 3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지닌 치환되거나 비치환되는 융합된 4원 내지 8원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 고리를 형성하고;
각각의 R8o는 독립적으로 C1 -4 지방족, C1 -4 플루오로지방족, 할로, -OR5x, -N(R4x)(R4y), 또는 -OR5x, -N(R4x)(R4y), -CO2R5x 또는 -C(O)N(R4x)(R4y)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 -4 지방족 또는 C1 -4 플루오로지방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변수 R4x, R4y, 및 R5x는 화학식 (I)에 대해 상기 설명된 값을 지닌다.
이러한 일부 구체예에서, 고리 C는 C3 -6 시클로지방족, 페닐, 피롤릴, 이미다졸릴, 옥사졸릴, 티아졸릴, 이속사졸릴, 이소티아졸릴, 피라졸릴,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옥사디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피롤리닐, 이미다졸리닐, 피라졸리닐, 피롤리디닐, 이미다졸리디닐, 피라졸리디닐, 피페리디닐, 모르폴리닐, 피페라지닐, 피리딜, 피리다지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또는 테트라히드로피리미디닐 고리이며, 이들 중 어느 고리는 0 내지 2개의 Ro 및 0 내지 2개의 R8o에 의해 치환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고리 C는 C3 -6 시클로지방족, 페닐, 옥사졸릴, 또는 이속사졸릴 고리이며, 이들 중 어느 고리는 0 내지 2개의 Ro에 의해 치환되고,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벤젠, 디옥솔란 또는 디옥산 고리에 융합되거나 비융합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V), (IV-A) 또는 (IV-B)로 표현되는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아속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at00007
상기 식에서,
V1는 -N(R8)-, -O-, 또는 -S-이고;
R8은 수소 또는 C1 -4 지방족이고;
고리 D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모노시클릭 또는 비시클릭 고리 시스템이고;
변수 D, E, W, X, Y, Ra, Rb, Rc, Rd, Re, Re', Rf, Rh, 및 m은 화학식 (II)에 대해 상기 설명된 값 및 바람직한 값을 지닌다.
일부 구체예에서, 고리 D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푸라닐, 티에닐, 피롤릴, 옥사졸릴, 티아졸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이속사졸릴, 이소티아졸릴, 옥사디아졸릴, 트리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페닐, 나프틸, 피라닐, 피리딜, 피리다지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트리아지닐, 인돌리지닐, 인돌릴, 이소인돌릴, 인다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즈티아졸릴, 벤조티에닐, 벤조푸라닐, 퓨리닐, 퀴놀릴, 이소퀴놀릴, 신놀리닐, 프탈라지닐, 퀴나졸리닐, 퀴녹살리닐, 나프티리디닐, 프테리디닐, 테트라히드로푸라닐, 테트라히드로티에닐, 피롤리디닐, 피롤리도닐, 피페리디닐, 피롤리닐, 테트라히드로퀴놀리닐,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리닐, 데카히드로퀴놀리닐, 옥사졸리디닐, 피페라지닐, 디옥사닐, 디옥솔라닐, 디아제피닐, 옥사제피닐, 티아제피닐, 모르폴리닐, 퀴누클리디닐, 테트라히드로퀴놀리닐,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리닐, 인다닐, 페난트리디닐, 테트라히드로나프틸, 인돌리닐, 벤조디옥사닐, 벤조디옥솔릴, 크로마닐,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펜테닐, 시클로헥실, 시클로헥세닐, 시클로헵틸, 시클로헵테닐, 시클로옥틸, 시클로옥테닐, 시클로옥타디에닐, 비시클로헵타닐 또는 비시클로옥타닐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고리 D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시클로펜틸 또는 시클로헥실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고리 D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인다닐, 테트라히드로나프틸 또는 크로마닐이다.
고리 D는 이의 성분 고리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상에서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고, 치환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특히, 고리 D 중의 각각의 치환가능한 포화 고리 탄소 원자는 =O, =S, =C(R5)2, =N-N(R4)2, =N-OR5, =N-NHC(O)R5, =N-NHCO2R6, =N-NHSO2R6, =N-R5 또는 -RP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고리 D 중의 각각의 치환가능한 불포화 고리 탄소 원자는 -RP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고리 D 중의 각각의 치환가능한 고리 질소 원자는 -R9p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변수 RP 및 R9p는 하기 설명되는 값을 지닌다.
각각의 RP는 독립적으로 할로, -NO2, -CN, -C(R5)=C(R5)2, -C≡C-R5, -OR5, -SR6, -S(O)R6, -SO2R6, -SO2N(R4)2, -N(R4)2, -NR4C(O)R5, -NR4C(O)N(R4)2, -N(R4)C(=NR4)-N(R4)2, -N(R4)C(=NR4)-R6, -NR4CO2R6, -N(R4)SO2R6, -N(R4)SO2N(R4)2, -O-C(O)R5, -OCO2R6, -OC(O)N(R4)2, -C(O)R5, -CO2R5, -C(O)N(R4)2, -C(O)N(R4)-OR5, -C(O)N(R4)C(=NR4)-N(R4)2, -N(R4)C(=NR4)-N(R4)-C(O)R5, -C(=NR4)-N(R4)2, -C(=NR4)-OR5, -C(=NR4)-N(R4)-OR5, -C(R6)=N-OR5,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지방족,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릴, 헤테로시클릴 또는 헤테로아릴 기이거나; 동일한 포화 고리 탄소 원자상의 2개의 RP는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취해져,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3원 내지 6원 스피로시클릭 시클로지방족 고리를 형성한다.
각각의 R9p는 독립적으로 -C(O)R5, -C(O)N(R4)2, -CO2R6, -SO2R6, -SO2N(R4)2, 또는 R3 또는 R7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 -4 지방족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각각의 RP는 독립적으로 할로, C1 -6 지방족, C1 -6 플루오로지방족, -R1p, -R2p, -T2-R1p, 및 -T2-R2p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동일한 포화 탄소 원자상의 2개의 RP는 이들의 결합되어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취해져,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3원 내지 6원 스피로시클릭 시클로지방족 고리를 형성한다. 변수 R1p, R2p, 및 T2는 하기 설명되는 값을 지닌다.
T2는 R3a 또는 R3b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 -6 알킬렌 사슬이다.
각각의 R1p는 독립적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 기이다.
각각의 R2p는 독립적으로 -NO2, -CN, -C(R5)=C(R5)2, -C≡C-R5, -OR5, -SR6, -S(O)R6, -SO2R6, -SO2N(R4)2, -N(R4)2, -NR4C(O)R5, -NR4C(O)N(R4)2, -N(R4)C(=NR4)-N(R4)2, -N(R4)C(=NR4)-R6, -NR4CO2R6, -N(R4)SO2R6, -N(R4)SO2N(R4)2, -O-C(O)R5, -OCO2R6, -OC(O)N(R4)2, -C(O)R5, -CO2R5, -C(O)N(R4)2, -C(O)N(R4)-OR5, -C(O)N(R4)C(=NR4)-N(R4)2, -N(R4)C(=NR4)-N(R4)-C(O)R5, -C(=NR4)-N(R4)2, -C(=NR4)-OR5, -C(=NR4)-N(R4)-OR5, 또는 -C(R6)=N-OR5 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고리 D는 하기 화학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at00008
상기 식에서, 각각의 RP는 독립적으로 플루오로, -OR5x, -N(R4x)(R4y), -CO2R5x, 또는 -C(O)N(R4x)(R4y), 또는 -OR5x, -N(R4x)(R4y), -CO2R5x 또는 -C(O)N(R4x)(R4y)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 -4 지방족 또는 C1 -4 플루오로지방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8p는 독립적으로 플루오로, -OR5x, -N(R4x)(R4y), -CO2R5x, 또는 -C(O)N(R4x)(R4y), 또는 -OR5x, -N(R4x)(R4y), -CO2R5x 또는 -C(O)N(R4x)(R4y)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 -4 지방족 또는 C1 -4 플루오로지방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동일한 탄소 원자상의 2개의 R8p는 함께 =O 또는 =C(R5x)2를 형성하며, 단, R8p는 고리 산소 원자에 인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OR5x 또는 -N(R4x)(R4y)가 아니고;
s는 0, 1, 2, 3, 또는 4이고;
t는 0, 1, 또는 2이고;
변수 R4x, R4y, R5x는 화학식 (I)에 대해 상기 설명된 값을 지닌다.
일부 구체예에서, s는 0, 1, 또는 2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s는 0, 1, 2 또는 3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고리 D는 하기 화학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at00009
특정 구체예에서, 고리 D는 하기 화학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at00010
상기 식에서, 입체화학적 표시는 절대 배열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기 정의가 다음과 같은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아속에 관한 것이다:
Rg는 -N(R8)(R9)이고;
R8은 수소 또는 C1 -4 지방족이고;
R9는 수소, C1 -4 지방족, -T3-R9a 또는 -T4-R9b이고;
T3는 0 내지 2개의 독립적으로 선택된 R3a 또는 R3b로 치환된 C1 -6 알킬렌 사슬이고;
T4는 0 내지 2개의 독립적으로 선택된 R3a 또는 R3b로 치환된 C2 -6 알킬렌 사슬이고;
R9a는 -C(R5)=C(R5)2, -C≡C-R5, -S(O)R6, -SO2R6, -SO2-N(R4)2, -C(R5)=N-OR5, -CO2R5, -C(O)-C(O)R5, -C(O)R5, -C(O)N(R4)2, -C(=NR4)-N(R4)2, 또는 -C(=NR4)-OR5이고;
R9b는 할로, -NO2, -CN, -OR5, -SR6, -N(R4)2, -N(R4)C(O)R5, -N(R4)C(O)N(R4)2, -N(R4)CO2R5, -O-CO2-R5, -OC(O)N(R4)2, -OC(O)R5, -N(R4)-N(R4)2, -N(R4)S(O)2R6, 또는 -N(R4)SO2-N(R4)2 이다.
이러한 일부 구체예에서, R9는 수소, 또는 -OR5x, -N(R4x)(R4y), -CO2R5x, -C(O)N(R4x)(R4y)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 -6 지방족 또는 C1 -6 플루오로지방족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V), (V-A) 또는 (V-B)로 표현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아속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at00011
상기 식에서,
고리 E는 5원 또는 6원 아릴, 헤테로아릴, 시클로지방족 또는 헤테로시클릭 고리이고;
E는 -N= 또는 -C(Rh)=이고;
각각의 Rh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CN, -OR5, -N(R4)2, -SR6,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 -4 지방족 기이고;
각각의 Rk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NO2, -CN, -OR5, -SR6, -S(O)R6, -SO2R6, -SO2N(R4)2, -N(R4)2, -NR4C(O)R5, -NR4C(O)N(R4)2, -N(R4)C(=NR4)-N(R4)2, -N(R4)C(=NR4)-R6, -NR4CO2R6, -N(R4)SO2R6, -N(R4)SO2N(R4)2, -O-C(O)R5, -OCO2R6, -OC(O)N(R4)2, -C(O)R5, -CO2R5, -C(O)N(R4)2, -C(O)N(R4)-OR5, -C(O)N(R4)C(=NR4)-N(R4)2, -N(R4)C(=NR4)-N(R4)-C(O)R5, -C(=NR4)-N(R4)2, -C(=NR4)-OR5, -N(R4)-N(R4)2, -N(R4)-OR5, -C(=NR4)-N(R4)-OR5, -C(R6)=N-OR5,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지방족,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이고;
n은 0, 1, 2 또는 3이고;
변수 W, X, Y, Ra, Rb, Rc, Rd, Re, Re', Rf, 및 m은 화학식 (I)에 대해 상기 설명된 값 및 바람직한 값을 지닌다.
일부 구체예에서, Rk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 -6 지방족,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5원 또는 6원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VI), (VI-A) 또는 (VI-B)로 표현되는 화학식 (V)의 화합물의 아속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at00012
상기 식에서,
U는 공유결합, C1 -3 알킬렌, -O-, -S-, -S(O)-, 또는 -S(O)2-이고;
R8k는 할로, C1 -4 지방족 또는 C1 -4 플루오로지방족이고;
고리 F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모노시클릭, 비시클릭 또는 트리시클릭 시스템이고;
고리 E, 및 변수 E, W, X, Y, Ra, Rb, Rc, Rd, Re, Re', Rf, Rh 및 m은 화학식 (V)에 대해 상기 설명된 값 및 바람직한 값을 지닌다.
*일부 구체예에서, 고리 F는 푸라닐, 티에닐, 피롤릴, 옥사졸릴, 티아졸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이속사졸릴, 이소티아졸릴, 옥사디아졸릴, 트리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페닐, 나프틸, 피라닐, 피리딜, 피리다지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트리아지닐, 인돌리지닐, 인돌릴, 이소인돌릴, 인다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즈티아졸릴, 벤조티에닐, 벤조푸라닐, 퓨리닐, 퀴놀릴, 이소퀴놀릴, 신놀리닐, 프탈라지닐, 퀴나졸리닐, 퀴녹살리닐, 나프티리디닐, 프테리디닐, 카르바졸릴, 플루오레닐, 디벤조푸라닐, 테트라히드로푸라닐, 테트라히드로티에닐, 피롤리디닐, 피롤리도닐, 피페리디닐, 피롤리닐, 디히드로벤조푸라닐, 디히드로벤조티에닐, 테트라히드로퀴놀리닐,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리닐, 데카히드로퀴놀리닐, 옥사졸리디닐, 피페라지닐, 디옥사닐, 디옥솔라닐, 디아제피닐, 옥사제피닐, 티아제피닐, 모르폴리닐, 퀴누클리디닐, 테트라히드로퀴놀리닐,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리닐, 인다닐, 페난트리디닐, 테트라히드로나프틸, 인돌리닐, 벤조디옥사닐, 벤조디옥솔릴, 크로마닐,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펜테닐, 시클로헥실, 시클로헥세닐, 시클로헵틸, 시클로헵테닐, 시클로옥틸, 시클로옥테닐, 시클로옥타디에닐, 비시클로헵타닐 및 비시클로옥타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들 중 어느 하나는 임의의 치환가능한 탄소 원자 및 임의의 치환가능한 고리 질소 원자상에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고리 F는 티에닐, 옥사졸릴, 티아졸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이속사졸릴, 이소티아졸릴, 페닐, 나프틸, 인돌릴, 이소인돌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즈티아졸릴, 벤조티에닐, 벤조푸라닐, 퀴놀릴, 이소퀴놀릴, 나프티리디닐, 카르바졸릴, 플루오레닐, 디벤조푸라닐, 디히드로벤조푸라닐, 디히드로벤조티에닐, 테트라히드로퀴놀리닐,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리닐, 테트라히드로나프틸, 인돌리닐, 벤조디옥사닐, 벤조디옥솔릴,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들 중 어느 하나는 임의의 치환가능한 탄소 원자 및 임의의 치환가능한 고리 질소 원자상에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고리 F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페닐, 나프틸, 테트라히드로나프틸, 또는 디히드로벤조푸라닐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고리 F의 각각의 치환가능한 고리 질소 원자는 R9f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며, 치환가능한 고리 탄소 원자는 0 내지 4개의 R8f로 치환되는데,
여기서, 각각의 R8f는 독립적으로 C1 -4 지방족, C1 -4 플루오로지방족, 할로, -OR5x, -N(R4x)(R4y),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5원 또는 6원 방향족 고리, 또는 -OR5x, -N(R4x)(R4y), -CO2R5x 또는 -C(O)N(R4x)(R4y)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 -4 지방족 또는 C1-4 플루오로지방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9f는 독립적으로 -C(O)R5, -C(O)N(R4)2, -CO2R6, -SO2R6, -SO2(R4)2, 또는 R3 또는 R7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 -4 지방족이고;
변수 R3, R4x, R4y, R5x, 및 R7은 화학식 (I)에 대해 상기 설명된 값을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VII), (VII-A) 또는 (VII-B)로 표현되는 화학식 (V)의 화합물의 아속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at00013
상기 식에서,
E는 -N= 또는 -C(Rh)=이고;
F는 -N(R9k)-, -O-, 또는 -S-이고;
G는 =N- 또는 =C(Rk)-이고;
R9k는 수소, -C(O)R5, -C(O)N(R4)2, -CO2R6, -SO2R6, -SO2(R4)2, 또는 R3 또는 R7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 -4 지방족이고;
각각의 Rh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CN, -OR5, -N(R4)2, -SR6,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 -4 지방족 기이고;
각각의 Rk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NO2, -CN, -OR5, -SR6, -S(O)R6, -SO2R6, -SO2N(R4)2, -N(R4)2, -NR4C(O)R5, -NR4C(O)N(R4)2, -N(R4)C(=NR4)-N(R4)2, -N(R4)C(=NR4)-R6, -NR4CO2R6, -N(R4)SO2R6, -N(R4)SO2N(R4)2, -O-C(O)R5, -OCO2R6, -OC(O)N(R4)2, -C(O)R5, -CO2R5, -C(O)N(R4)2, -C(O)N(R4)-OR5, -C(O)N(R4)C(=NR4)-N(R4)2, -N(R4)C(=NR4)-N(R4)-C(O)R5, -C(=NR4)-N(R4)2, -C(=NR4)-OR5, -N(R4)-N(R4)2, -N(R4)-OR5, -C(=NR4)-N(R4)-OR5, -C(R6)=N-OR5,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지방족,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릴이고;
변수 W, X, Y, Ra, Rb, Rc, Rd, Re, Re', Rf, R3, R4, R5, R6, R7, 및 m은 화학식 (I)에 대해 상기 설명된 값 및 바람직한 값을 지닌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VII-C) 또는 (VII-D)로 표현되는 화학식 (VII)의 화합물의 아속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at00014
상기 식에서,
점선은 단일 또는 이중 결합을 나타내고;
각각의 R2f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OR5x, -N(R4x)(R4y), 또는 -OR5x, -N(R4x)(R4y), -CO2R5x 또는 -C(O)N(R4x)(R4y)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 -4 지방족 또는 C1-4 플루오로지방족이거나; R2f 둘 모두는 개재 고리 탄소 원자와 함께 취해져, 치환되거나 비치환되는 융합된 5원 또는 6원 시클로지방족,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VIII), (VIII-A) 또는 (VIII-B)로 표현되는 화학식 (V)의 아속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at00015
상기 식에서, 변수 E, W, X, Y, Ra, Rb, Rc, Rd, Re, Re', Rf, Rh, Rk, 및 m은 화학식 (VII), (VII-A) 및 (VII-B)에 대해 상기 설명된 값 및 바람직한 값을 지닌다.
일부 구체예에서, 화학식 (VII), (VII-A), (VII-B), (VIII), (VIII-A) 또는 (VIII-B)의 Rk는 화학식 -U-고리 F를 지니며, 여기서 변수 U 및 고리 F는 화학식 (VI)에 대해 상기 설명된 값 및 바람직한 값을 지닌다. 이러한 일부 구체예에서, 변수 U는 공유결합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X-A) 또는 (IX-B)로 표현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아속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at00016
상기 식에서, 변수 D, E, Ra, Rb, Rc, Rd, Rp, R8p, s 및 t는 화학식 (I) 내지 (IV)에 대해 상기 설명된 값 및 바람직한 값을 지닌다.
일부 구체예에서, 임의의 상기 기재된 화학식의 별표로 표시된 위치에서 입체화학적 배열은 상대 입체화학을 나타낸다. 다른 구체예에서, 별표로 표시된 위치에서 입체화학적 배열은 절대 입체화학을 나타낸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A), (II-A), (III-A), (IV-A), (V-A), (VI-A), (VII-A), (VIII-A) 또는 (IX-A)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별표로 표시된 위치에서 입체화학적 배열은 절대 입체화학을 나타낸다.
화학식 (I)에 대해 설명된 고리 A 및 변수 W, X, Y, Ra, Rb, Rc, Rd, Re, Re' 및 Rf에 대한 아속 정의는 또한 화학식 (II) 내지 (IX)에 적용된다. 본원에 기재된 변수들에 대한 바람직한 값들의 임의의 조합이 구체화된 화합물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대표적인 예는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표 1: El 활성화 효소 억제제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3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6
Figure pat00027
Figure pat00028
Figure pat00029
Figure pat00030
Figure pat00031
Figure pat00032
Figure pat00033
Figure pat00034
Figure pat00035
상기 표 1의 화합물은 또한 하기 화합물 명칭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Figure pat00036
Figure pat00037
Figure pat00038
Figure pat00039
Figure pat00040
Figure pat00041
Figure pat00042

일반적 합성 방법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되거나 하기 도시된 반응식 및 이어지는 합성예를 참조로 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시적인 합성 경로는 하기 반응식 1 내지 21, 및 실시예에 제시되어 있다.
반응식 1: 2- 및 6-치환된 ((1 R ,2 R ,3 S ,4 R )-4-[(피리미딘-4-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의 합성을 위한 일반적 경로
Figure pat00043
상기 반응식 1은 W가 -NH-이고 Rc가 -OH인 화학식 (I-B)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일반적 경로를 도시한다. 당업자는 고리 A가 피리미딘이 아닌 화학식 (I-B)의 화합물이 ii와 유사한 적절한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동일한 일반적 경로에 의해 제조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화학식 iii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것은 마이크로파 조사의 존재하에서 DIPEA 또는 Et3N과 같은 적절한 염기를 사용하여 EtOH 또는 BuOH와 같은 양성자성 용매 중에서 상승된 온도에서 적절하게 치환된 피리미딘과 커플링시킴으로써 달성한다 (방법 A). 화학식 iii의 화합물의 인접 디올(vicinal diol)의 선택적 보호는 이러한 단계에서 MeOH 또는 아세톤과 같은 용매 중에서 p-TsOH와 같은 유기산의 존재하에서 2,2-디메톡시프로판으로 처리함으로써 수행한다 (방법 B). 화학식 iv의 아릴 클로라이드의 치환은 용매의 부재하에서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상승된 온도에서 아민, 알코올 또는 티올과 같은 적절히 치환된 친핵체와 커플링시킴으로써 달성한다. 새로 제조된 클로로설폰아미드 vi를 추가 처리하여 설파메이트 vii를 수득한다 (방법 D). 방법 E에 따라 물의 존재하에서 TFA와 같은 강산으로 처리함으로써 아세탈을 분해하여 화학식 viii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반응식 2: 6-치환된 [(1 S ,2 S ,4 R )-4-[(피리미딘-4-일)아미노]-2-모노 및 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의 합성을 위한 경로
Figure pat00044
화학식 (I-A)의 화합물은 반응식 2로 설명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중간체인 알칸 디올 ix의 합성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Nucleosides, Nucleotides & Nucleic Acids, 2002, 21, 65-72). m-CPBA로 처리시에, 디올 ix는 에폭시 디올 x로 전환된다. 피리디늄 p-톨루엔설포네이트의 존재하에서 p-아니스알데히드 디메틸 아세탈을 사용하여 디올을 후속 보호시켜서 에폭시드 xi를 수득한다. 상승된 온도에서 DMSO 중의 프탈이미드와 프탈이미드 칼륨염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에폭시드를 개환시켜서 알코올 xii를 수득한다. 그 후, 이러한 알코올을 DCM 중의 클로로페닐티오노카르보네이트와 DMAP로 처리함으로써 알킬화시켜서 티오카르보네이트 xiii를 수득한다 (방법 F). 이러한 단계에서 톨루엔 중의 공기와 트리스(트리메틸실릴)실란으로 처리한 후 톨루엔 중의 BEt3로 처리함으로써 탈산소화를 달성하여 화학식 xiv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방법 G). 상승된 온도에서 EtOH 중의 히드라진으로 후속 탈보호시켜서 아민 xv를 수득한다 (방법 H).
아민 xv를 화학식 xvi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것은 밀봉 튜브에서 Et3N과 같은 적절한 염기를 사용하여 EtOH 또는 BuOH와 같은 양성자성 용매 중에서 상승된 온도에서 적절히 치환된 피리미딘과 커플링시킴으로써 달성한다 (방법 I). 또 다시, 당업자는 고리 A가 피리미딘이 아닌 화학식 xxi 및 xxii의 화합물이 ii와 유사한 적절한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동일한 일반적 경로에 의해 제조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화학식 xvi를 지닌 화합물을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상승된 온도에서 용매의 부재하에서 벤질아민과 같은 아민으로 처리하여 디올을 탈보호시킨 후,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EtOH 또는 BuOH와 같은 양성자성 용매 중에서 상승된 온도에서 DIPEA 또는 Et3N과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서 공정을 반복하여 치환된 피리미딘 xviii를 수득한다 (방법 J 및 K).
3차-부틸 클로로설포닐카르바메이트 xix의 합성 방법은 공지되어 있고 (Hirayama et al, Biorg. Med. Chem., 2002, 10, 1509- 1523), 이러한 시약을 AcCN과 같은 용매 중에서 2,6-디-3차-부틸-4-메틸피리딘과 같은 장애된(hindered) 염기를 사용하여 1차 알코올과 선택적으로 반응시켜서, 화학식 xx의 Boc 설파메이트를 수득한다 (방법 L). TFA와 같은 양성자성 산으로 실록시 기를 제거하여 (방법 M) 화학식 xxi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대안적으로, 화합물 xii를 방법 H-M에서 설명된 조건에 직접 노출시켜서 화학식 xxii의 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 메틸 설파메이트를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3: 4-아미도 치환된 {(1 R ,2 R ,3 S ,4 R )-2,3- 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 } 메틸 설파메이트의 합성을 위한 일반적 경로
Figure pat00045
W가 -NHC(O)-인 화학식 (I-B)의 화합물은 상기 반응식 3에 도시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비시클릭 락탐 xxiii의 합성을 위한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Daluge et al., Nucleosides, Nucleotides & Nucleic Acids, 2000, 19, 297-327). 아세톤과 같은 용매 중에서 N-메틸모르폴린 옥시드와 같은 유기 N-옥시드의 존재하에서 오스뮴 테트록사이드를 사용하여 디히드록실화(dihydroxylation)시켜서 디올 xxiv를 수득한다. DCM과 같은 용매 중에서 Et3N과 같은 염기와 벤질 클로라이드 및 DMAP와 같은 촉매를 사용하여 둘 모두의 알코올을 전체적으로 보호하여 화합물 xxv를 수득한다. 생성된 비시클릭 락탐을 NaBH4를 사용하여 환원시켜서 Boc-보호된 아민 xxvi를 수득하는데, 이는 후속하여 물의 부재하에서 HCl로 처리시에 탈보호된다. 생성된 2차 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xxvii를 방법 N에 따라 DCM과 같은 비양성자성 용매 중에서 Et3N 또는 DIPEA와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서 화학식 xxviii의 아실 클로라이드로 처리하여 화학식 xxix의 아미드를 수득한다. 그 후, 화학식 xxx의 1차 알코올을 ACN과 같은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중에서 DBU와 같은 염기 및 클로로설폰아미드 vi로 처리함으로써 설파모일화시킨다. MeOH와 같은 극성 용매 중에서 암모니아를 사용하여 둘 모두의 2차 알코올을 전체적으로 탈보호시켜서 화학식 xxxi의 최종 설파메이트를 수득한다 (방법 P).
반응식 4: 2- 및 6-치환된 [(1 R ,2 S ,4 R )-4-[(피리미딘-4-일)아미노]-2- 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의 합성
Figure pat00046
W가 -NH-이고 Rc 및 Rd가 수소인 화학식 (I-B)의 화합물은 상기 반응식 4에 도시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아미노 디올 xxxii (Ober, M.; Muller, H.; Pieck, C.; Gierlich, J.; Carell, T. J. Am. Chem. Soc. 2005, 127, 18143-18149)을 방법 I에 따라 화학식 ii의 디클로로피리미딘으로 처리하여 화학식 xxxiii의 클로로피리미딘을 수득한다. 방법 C 또는 방법 K에 따라 적절히 치환된 친핵체와 추가로 반응시켜서 화학식 xxxiv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이러한 디올을 후속하여 반응식 2에 개설된 방법 L-M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파모일화시키고 탈보호시킨다.
반응식 5: [(1 R ,2 R ,3 S ,4 R )-4-({4-[(1 S )-2,3- 디히드로 -1 H - 인덴 -1- 일아미노 ]-1,3,5-트리아진-2-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의 합성
Figure pat00047
고리 A가 트리아진 고리인 화학식 (I-B)의 화합물은 반응식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감소된 온도에서 DIPEA와 같은 염기를 사용하여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시아누르산 클로라이드 xxxv를 1차 또는 2차 아민과 커플링시켜서 디클로라이드 xxxvi를 수득한다. 하나의 클로라이드를 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xxxvii로 치환시킨 다음 피리디늄 p-톨루엔 설포네이트의 존재하에서 2,2-디메톡시프로판을 사용하여 인접 히드록실 기들을 선택적으로 보호하여 알코올 xxxix를 수득한다. 탄소상 팔라듐의 존재하에서 수소를 사용하여 나머지 아릴 클로라이드를 제거 (방법 Q)한 다음 클로로설폰아미드 vi를 사용하여 설파모일화시켜서 설파메이트 xli를 수득한다.
반응식 6: 2- 및 6-치환된 ((1 S ,2 S ,4 R )-4-[(피리미딘-4-일) 옥시 ]-2- 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의 합성을 위한 일반적 경로
Figure pat00048
W가 -O-인 화학식 (I-A)의 화합물은 상기 반응식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디올 xlii의 합성 방법은 공지되어 있고 (MacKeith et al., Biorg. Med. Chem., 1994, 2, 387-394), 이러한 시약은 상승된 온도에서 DMAP의 존재하에서 TBS-Cl 및 Et3N을 사용하여 이중-보호된다(bis-protected). 후속하여 카테콜보란 및 윌킨슨(Wilkinson) 촉매에 이어 NaOH, 과산화수소 및 최종적으로 아황산나트륨을 사용하여 히드로붕소화-산화시켜서 시클로펜탄올 xliv를 수득한다. 이러한 2차 알코올을 수소화나트륨을 사용하여 탈양성자화시킨 후, 감소된 온도에서 화학식 ii의 디클로로피리미딘과 반응시켜서 화학식 xlv의 커플링된 클로로피리미딘을 수득한다. 아릴 클로라이드의 치환은 BuOH와 같은 용매 중에서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상승된 온도에서 아민, 알코올 또는 티올과 같은 적절히 치환된 친핵체와 커플링시킴으로써 달성한다 (방법 R). 방법 S에 따라 TBAF와 같은 플루오라이드 시약을 사용하여 실릴 에테르를 전체적으로 탈보호시켜서 화학식 xlvii의 디올을 수득한다. 그 후, 화학식 xlvii의 화합물을 반응식 2에 개설된 방법 L-M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파모일화시키고 탈보호시킨다.
반응식 7: 2- 및 6-치환된 ((2 R ,3 S ,4 R ,5 R )-5-[(피리미딘-4-일)아미노]-3,4-디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틸 설파메이트의 합성을 위한 일반적 경로
Figure pat00049
W가 -NH-이고 Y가 -O-인 화학식 (I-B)의 화합물은 상기 반응식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메틸 카르바메이트 xlviii의 합성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Nicolaou et al., J. Am. Chem. Soc., 2004, 126, 6234-6235). 물의 부재하에서 HCl과 같은 산을 사용하여 탈보호시켜서 아미노 알코올 il을 수득한다. 그 후, 화합물 il을 방법 A에 이어 C-E에 따라 적절한 치환기로 치환시킨 후, 반응식 1에 따라 화학식 (I-B)의 화합물로 전환시킨다.
반응식 8: 2- 및 6-치환된 ((2 R ,3 S ,5 R )-5-[(피리미딘-4-일)아미노]-3- 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틸 설파메이트의 합성을 위한 일반적 경로
Figure pat00050
W가 -NH-이고 Y가 -O-이고 Rc가 -H인 화학식 (I-B)의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일반적 경로는 상기 반응식 8에 개설되어 있다. 화학식 l의 화합물은 공지되어 있다 (Kita, et al., J. Org. Chem., 1988, 53, 554-561). 방법 C에 따라 적절히 치환된 친핵체를 사용하여 아릴 클로라이드를 치환시켜서 화학식 li의 피리미딘을 수득한다. 그 후, 화합물 li를 반응식 2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파모일화시키고 탈보호시켜서 최종 화합물을 수득한다 (방법 L-M).
반응식 9: 2- 및 6-치환된 ((1 S ,2 S ,4 R )-4-[(피리미딘-4-일) 설파닐 ]-2-모노 및 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의 합성을 위한 일반적 경로
Figure pat00051
W가 -S-이고 Rc가 -OH인 화학식 (I-A)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것은 반응식 9에 설명되어 있다. 화학식 liv의 화합물을 DMF와 같은 용매 중에서 아민과 같은 친핵체와 커플링시켜서 화학식 lv의 치환된 화합물을 수득한다 (방법 T). 후속하여 DMF와 같은 용매 중에서 탄산칼륨과 같은 염기를 사용하여 에폭시드 xi를 개환시켜서 알코올 lvi를 수득한다 (방법 U). 그 후, 화합물 lvi를 임의로 탈산소화시키고 (방법 F-G), 방법 J에 이어 L-M에 따라 적절한 치환기로 치환시키고, 반응식 2에 따라 화학식 (I-A)의 화합물로 전환시킨다.
반응식 10: 2- 및 6-치환된 ((1 S ,2 S ,4 S )-4-[(피리미딘-4-일) 메틸 ]-2-모노 및 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의 합성을 위한 일반적 경로
Figure pat00052
W가 -CH2-인 화학식 (I-A)의 화합물은 상기 반응식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lvii의 메틸 피리미딘을 방법 I에 따라 아민과 같은 친핵체와 커플링시켜서, 화학식 lviii의 2-클로로피리미딘을 수득한다. 방법 Q에 따라 히드로-탈염소화(hydro-dechlorination)시켜서 화학식 lviii의 메틸피리미딘을 수득한다. 페닐리튬과 같은 강염기로 처리함으로써 lviii의 메틸기를 탈양성자화시키고, 이러한 카르보음이온(carbanion)을 사용하여 에폭시드 xi를 개환시킨다 (방법 V). 그 후, 생성된 화학식 lix의 화합물을 임의의 탈산소화시키고 (방법 F-G), 탈보호시키고 선택적으로 설파모일화시키고 (방법 J에 이어 L-M), 반응식 2에 따라 화학식 (I-A)의 화합물로 전환시킨다.
반응식 11: 2- 및 6-치환된 ((2 S ,3 S ,5 S )-5-[(피리미딘-4-일) 메틸 ]-3-모노 및 3,4-디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틸 설파메이트의 합성을 위한 일반적 경로
*
Figure pat00053
W가 -CH2-이고 Y가 -O-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상기 반응식 11에서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화합물 lx는 공지되어 있다 (Renz, et al., Liebigs Annalen der Chemie, 1986, 6, 957-966). 화합물 lx를 방법 K에 따라 아민과 같은 적절히 치환된 친핵체와 커플링시켜서 치환되고 완전히 탈보호된 트리올 lxi를 수득한다. 그 후, 화학식 lxi의 화합물을 반응식 2에 따라 전환시킨다 (방법 L-M).
반응식 12: 2- 및 6-치환된 N -[((1 R ,2 R ,3 S ,4 R )-4-[(피리미딘-4-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설파미드의 합성을 위한 일반적 경로
Figure pat00054
X가 -NH-인 화학식 (I-B)의 화합물은 반응식 12에 개설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3차-부틸 (아미노설포닐)카르바메이트를 합성하는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Masui, et al., Tet. Lett., 2004, 45, 1853-1856).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EtOAc와 같은 용매 중에서 트리페닐포스핀의 존재하에서 디이소부틸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와 같은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의 존재하에서 상기 카르바메이트와 커플링시켜서 화학식 lxiii의 Boc-보호된 화합물을 수득한다 (방법 W). 그 후, 이러한 화합물을 방법 T 및 E에 따라 적절한 치환기로 치환시키고 전체적으로 탈보호시켜서 화학식 (I-B)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반응식 9 및 1)
반응식 13: 2- 및 6-치환된 2-((1 R ,2 R ,3 S ,4 R )-4-[(피리미딘-4-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에탄설폰아미드의 합성을 위한 일반적 경로
Figure pat00055
X가 CH2인 화학식 (I-B)의 화합물은 반응식 13에 개설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v의 화합물을 DCM과 같은 용매 중에서 데스-마틴 퍼요오디난(Dess-Martin periodinane)과 같은 산화제를 사용하여 산화시킨다 (방법 X). lxv의 합성 방법은 공지되어 있고 (Carretero, et al., Tetrahedron., 1987, 43, 5125-5134), 이러한 화합물을 THF 중에서 n-BuLi를 사용하여 탈양성자화시키고 알데히드 lxiv에 첨가하여 화학식 lxvi의 알켄을 수득한다. EtOH 중의 NaBH4를 사용하여 이중 결합을 환원시킨 다음 생성된 설포네이트 에스테르를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DCM 중에서 Et3N과 함께 가열하여 설폰산 lxviii를 수득한다. DMF와 같은 촉매의 존재하에서 DCM 중에서 감소된 온도에서 티오닐 클로라이드로 처리하여 화학식 lxix의 설포닐 클로라이드를 수득한다. 최종적으로, 감소된 온도에서 DCM 중의 DIPEA의 존재하에서 1,4-디옥산과 같은 용매 중에서 암모니아로 처리하여 화학식 lxx의 설폰아미드를 수득한다.
반응식 14: 2- 및 6-치환된 2-((1 R ,2 R ,3 S ,4 R )-4-[(피리미딘-4-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1,1-디플루오로에탄설폰아미드의 합성을 위한 경로
Figure pat00056

*X가 CF2인 화학식 (I-B)의 화합물은 반응식 14에 개설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카르복실산 lxxi를 물 중의 황산나트륨을 사용하여 탈카르복실화시켜서 설포닐 플루오라이드 lxxii를 수득한 후, 이를 1,4-디옥산 중의 암모니아를 사용하여 상응하는 설폰아미드로 전환시킨다. DCM 중의 DMAP 및 Et3N의 존재하에서 Boc 무수물을 사용하여 질소를 Boc-보호하여 Boc 설폰아미드 lxxiv를 수득한다.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감소된 온도에서 LiHMDS와 같은 강염기를 사용하여 CF2H 기를 탈양성화시킨 다음 화학식 lxxvi의 트리플레이트 (알코올 lxxv를 DCM 중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과 Et3N로 처리함으로써 생성됨)로 처리하여 화학식 lxxvii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방법 Y). 그 후, 이러한 화합물을 방법 T 및 E에 따라 적절한 치환기로 치환시키고 전체적으로 탈보호시켜서 화학식 (I-B)를 수득한다 (반응식 9 및 1).
반응식 15: 2- 및 6-치환된 2-((1 R ,2 R ,3 S ,4 R )-4-[(피리미딘-4-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1-플루오로에탄설폰아미드의 합성을 위한 경로
Figure pat00057
X가 CHF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반응식 15에 개설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를 DCM 중의 Et3N과 DMAP의 존재하에서 비스(2,4-디메톡시벤질)아민과 커플링시켜서 설폰아미드 lxxviii를 수득한다. 감소된 온도에서 THF 중의 n-BuLi 및 HMPA에 이어 N-플루오로벤젠설폰아미드로 추가로 처리하여 플루오로메틸설폰아미드 lxxix를 수득한다. 그 후, 이러한 화합물을 반응식 14에 설명된 절차에 의해 화학식 (I)의 화합물로 전환시킨다.
반응식 16: 치환된 2 ((1S,2S,4R)-2-히드록시-4-(2- 페닐 -3H- 이미다조 -피리딘-7-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의 합성을 위한 경로
Figure pat00058
W가 NH인 화학식 (VII-A)의 화합물은 반응식 16에 개설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 128a-c에서와 같이 제조된 lxxx의 나트륨염을 니트로 방향족 lxxxi와 축합시킨다. 후속하여 아세트산 중의 아연으로 환원시켜서 lxxxii를 수득한다. Na2S2O5의 존재하에서 나프트알데히드와 같은 적절한 알데히드를 산화적 커플링시켜서 화학식 lxxxiii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물/THF 중의 아세트산을 사용하여 탈보호 (Tetrahedron Lett. 1998, 29, 6331)시킨 다음 클로로설폰아미드로 설파메이션(sulfamation)시키며 동시에 2차 히드록실을 탈보호시켜서 화학식 VII-A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반응식 17: 치환된 ((1S,2S,4R)-2-히드록시-4-(8-( 설포닐 )-9H-퓨린-6- 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의 합성을 위한 대표적 경로
Figure pat00059
W가 O이고 Rk가 -SO2R6인 화학식 (VII-A)의 화합물은 반응식 17에 개설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xliv의 나트륨염을 6-클로로-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과 축합시킨 후, 이를 THF 중의 NIS로 요오드화시켜서 화합물 lxxxiv를 수득한다. 3-메틸벤젠티올과 같은 아릴 티올레이트의 나트륨염을 DMF 중에서 축합시켜서 중간체 lxxxv를 수득하고, 이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탈보호시키고 설파메이션시켜서 화합물 lxxxvi를 수득한다. 수성 메탄올 중의 옥손과 같은 산화 조건에 노출시켜서 화학식 VI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반응식 18: 9-치환된 ((1S,2S,4R)-4-(9H-퓨린-6- 일옥시 )-2- 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의 합성을 위한 경로
Figure pat00060
W가 O이고 Rk가 아릴 및 헤테로아릴인 화학식 (VII)의 화합물은 반응식 18에 개설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lxxxiv의 중간체를 붕소산과 Pd-매개 커플링시켜서 화학식 lxxxvii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탈보호시킨 다음 클로로설폰아미드 또는 디페닐카르바모일설파모일 클로라이드 (미국 공개 특허 출원 (2005)인 US 2005282797 A1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됨)로 설파메이션시킨 다음 HCl과 같은 양성자산으로 2차 실록시기를 제거하여 화학식 VII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반응식 19: (S)-N-(2,3- 디히드로 -1H- 인덴 -1-일)-6,7- 디히드로 -5H- 피롤로[2,3-d]피리미딘-4-아민의 합성.
Figure pat00061
(S)-N-(2,3-디히드로-1H-인덴-1-일)인돌린-4-아민은 반응식 19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합성한다. 2-(4,6-디클로로피리미딘-5-일)아세트알데히드를 수소화붕소나트륨으로 환원시켜서 알코올 lxxxviii을 수득하고, 후속하여 이를 (S)-2,3-디히드로-1H-인덴-1-아민과 같은 적절한 아미노인단과 축합시켜서 치환된 피리미딘 lxxxix를 수득한다. 미츠노부형(Mitsunobu type) 조건하에서 프탈이미드 및 DIAD로 치환시킨 다음 프탈로일기를 히드라진으로 제거하여 아민 중간체 xc를 수득한다. 염기성 조건하에서 고리화하여 최종 화합물인 (S)-N-(2,3-디히드로-1H-인덴-1-일)-6,7-디히드로-5H-피롤로[2,3-d]피리미딘-4-아민을 수득한다.
반응식 20: 치환된 ((1S,2S,4R)-2-히드록시-4-(피리미딘-4- 일아미노 ) 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의 합성.
Figure pat00062

*W가 NH인 화학식 (IV)의 화합물은 반응식 20에 개설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아민 lxxx을 화학식 xci의 클로로치환된 헤테로사이클과 축합시켜서 xcii로서 표현되는 생성물을 수득한다. 수성 아세트산을 사용하여 1차 실록시기를 탈보호시킨 다음 클로로설폰아미드 또는 디페닐카르모일설파모일 클로라이드로 설파메이션시켜서 화학식 xciii의 중간체를 수득한다. 1차 히드록실기를 TBAF와 같은 플루오라이드원(Fluoride source) 또는 HCl과 같은 양성자산으로 제거하여 화학식 VI의 최종 화합물을 수득한다.
반응식 21: 2- 및 6-치환된 2-((1 R ,2 R ,3 S ,4 R )-4-[(피리미딘-4-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1-플루오로에탄설폰아미드의 합성을 위한 경로
Figure pat00063
반응식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xciv (Ruediger, E; Martel, A; Meanwell, N; Solomon, C; Turmel, B. Tetrahedron Lett. 2004, 45, 739-742)를 W가 NH인 화학식 I-A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것은 팔라듐 촉매된 수소화에 이어 메실레이트 형성에 의해 xcv를 수득함으로써 수행한다. 1차 벤질기를 가수소분해한 다음 DMF 중의 나트륨 아지드를 사용하여 메실레이트를 치환시켜서 xcvi를 수득한다. xcvi를 수소화 조건에 노출시켜서 요망되는 아미노 알코올 xcvii를 수득하는데, 이는 후속하여 ii와 같은 클로로-치환된 헤테로사이클과의 커플링 반응에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xcviii의 아릴 클로라이드를 치환시키는 것은 용매의 부재하에서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상승된 온도에서 아민, 알코올 또는 티올과 같은 적절히 치환된 친핵체와 커플링시킴으로써 달성한다 (방법 C 참조). 새로 제조된 클로로설폰아미드 vi로 추가로 처리한 다음 TBAF, HF 피리딘 또는 HCl과 같은 적절한 시약을 사용하여 TBS-보호기를 분해하여 xcxix로 표현되는 설파메이트 I-A를 수득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용도
본 발명의 화합물은 E1 효소 활성의 유용한 억제제이다. 특히, 본 발명의 화합물은 NAE, UAE, 및/또는 SAE의 억제제가 되도록 설계된다. 억제제는 표적 단백질에 대한 ubl 컨쥬게이션에서 E1 효소의 촉진 효과를 감소시키고 (예를 들어, 유비퀴틴화, 네딜레이션, 수모일레이션의 감소), ubl 컨쥬게이션에 의해 매개되는 세포내 신호전달을 감소시키고/거나 ubl 컨쥬게이션에 의해 매개되는 단백분해를 감소시키는 (예를 들어, 큘린 의존성 유비퀴틴화 및 단백분해 (예를 들어, 유비퀴틴-프로테아솜 경로)의 억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본원에 추가로 상세히 제공된 방법 또는 당 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시험관내 또는 생체내에서, 또는 세포 또는 동물 모델에서 E1 효소를 억제하는 능력에 대해 검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E1 효소와 결합하거나 E1 효소 활성을 직접 매개하는 능력에 대해 평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화합물의 활성은 간접적 세포 검정, 또는 E1 억제의 다운스트림 효과의 억제 (예를 들어, 큘린-의존성 유비퀴틴화 및 단백분해의 억제)를 평가하기 위한 E1 활성화의 다운스트림 효과를 측정하는 검정을 통해 평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은 ubl 컨쥬게이션된 기질 (예를 들어, ubl 컨쥬게이션된 E2, 네딜레이션된 큘린, 유비퀴틴화된 기질, 수모일레이션된 기질)의 검출; 다운스트림 단백질 기질 안정화 (예를 들어, p27의 안정화, IκB의 안정화)의 검출; UPP 활성의 억제의 검출; 단백질 E1 억제의 다운스트림 효과 및 기질 안정화의 검출 (예를 들어, 리포터 검정, 예를 들어 NFκB 리포터 검정, p27 리포터 검정)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활성을 평가하기 위한 검정은 하기 실험 섹션에 설명되어 있고/있거나 당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생체내에서 모화합물로 다시 전환될 수 있는 프로드러그 유도체를 제공하도록 작용기에서 유도체화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된다. 이러한 프로드러그의 예로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대사적으로 불안정한 에스테르 유도체, 예를 들어 메톡시메틸 에스테르, 메틸티오메틸 에스테르, 또는 화합물의 아미노기로부터 유래된 카르바모일 잔기 또는 화합물의 히드록실기로부터 유래된 피발로일옥시메틸 에스테르가 있다. 또한, 생체내에서 본원에 설명된 모화합물을 생성시킬 수 있는, 대사적으로 불안정한 에스테르 또는 카르바메이트와 유사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임의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등가물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이러한 조성물에 사용되는 경우, 염은 바람직하게는 무기산 또는 유기산 및 염기로부터 유래된다. 적절한 산의 개관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문헌 [Berge et al, J. Pharm. Sci. 66:1-19 (1977)] 및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0th Ed., ed. A. Gennaro,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0]이 참조된다.
적절한 산 부가염의 비제한적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아세테이트, 아디페이트, 알기네이트, 아스파르테이트, 벤조에이트, 벤젠 설포네이트, 비설페이트, 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캄포레이트, 캄포르 설포네이트, 시클로펜탄프로피오네이트, 디글루코네이트, 도데실설페이트, 에탄설포네이트, 푸마레이트, 루코헵타노에이트, 글리세로포스페이트, 헤미설페이트, 헵타노에이트, 헥사노에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히드로브로마이드, 히드로요오다이드, 2-히드록시에탄설포네이트, 락테이트, 말레에이트, 메탄설포네이트, 2-나프탈렌설포네이트, 니코티네이트, 옥살레이트, 파모에이트, 펙티네이트, 퍼설페이트(persulfate), 3-페닐-프로피오네이트, 피크레이트, 피발레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숙시네이트, 타르트레이트, 티오시아네이트, 토실레이트 및 운데카노에이트.
적절한 염기 부가염으로는 비제한적으로 암모늄염, 알칼리 금속염, 예를 들어 나트륨염 및 칼륨염, 알칼리 토금속염, 예를 들어 칼슘염 및 마그네슘염, 유기 염기와의 염, 예를 들어 디시클로헥실아민염, N-메틸-D-글루카민, 및 아르기닌, 리신 등과 같은 아미노산과의 염이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적용가능한 경우 설파메이트 (X = O) 잔기, 설파미드 (X = NH) 잔기 또는 설폰아미드 (X = CH2) 잔기의 탈양성자화에 의해 형성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염기 부가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일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나트륨염 또는 칼륨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염기성 질소-함유기는, 저급 알킬 할라이드,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및 부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및 요오다이드; 디알킬 설페이트, 예를 들어 디메틸, 디에틸, 디부틸 및 디아밀 설페이트, 장쇄 할라이드, 예를 들어 데실, 라우릴, 미리스틸 및 스테아릴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및 요오다이드, 아랄킬 할라이드, 예를 들어 벤질 및 페네틸 브로마이드 및 그 밖의 것들와 같은 작용제로 4차화될 수 있다. 이로써, 수용성 또는 오일-가용성 또는 분산성 생성물이 수득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수용자 피검체,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간에게 투여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존재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라는 용어는 수용자 피검체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고 활성제의 활성을 정지시키지 않으며 활성제를 표적 부위에 전달하는 데에 적합한 물질을 의미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된다. 담체와 관련된 독성 또는 유해 효과는 존재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활성제의 의도된 사용에 대한 합리적인 위험/이익 비에 상응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 분야에 널리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다른 것들 중에서 통상적인 과립화, 혼합, 용해, 캡슐화, 동결건조 또는 에멀젼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조성물은 과립, 침전물, 또는 미립자, 동결 건조된 분말, 회전 건조된 분말 또는 분무 건조된 분말, 비정질 분말을 포함하는 분말, 정제, 캡슐, 시럽, 좌약, 주사액, 에멀젼, 엘릭서, 현탁액 또는 용액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제형은 임의로 안정화제, pH 조절제, 계면활성제, 가용화제, 생체이용률 조절제 및 이들의 조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비제한적으로 이온 교환물질, 알루미나,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레시틴, 혈청 단백질, 예를 들어 인간 혈청 알부민, 완충 물질, 예를 들어 포스페이트 또는 카르보네이트, 글리신, 소르브산, 칼륨 소르베이트, 포화 식물성 지방산의 부분 글리세리드 혼합물, 물, 염 또는 전해질, 예를 들어 황산 프로타민, 인산 수소 이나트륨, 인산 수소 칼륨, 염화나트륨, 아연염, 콜로이드성 실리카, 마그네슘 트리실리케이트, 폴리비닐 피롤리돈, 셀룰로오스-기초 물질, 폴리에틸렌 글리콜,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레이트, 왁스, 폴리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 중합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양모지(wool fat)가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인간에게 약제학적으로 투여하기 위해 제형화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흡입 분무에 의해, 국소, 직장, 비강, 협측(buccally), 질 또는 이식된 저장소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비경구"란 피하, 정맥내, 복강내, 근내, 관절내, 활액막내(intra-synovial), 복장내(intrasternal), 경막내(intrathecal), 간내(intrahepatic), 병변내(intralesional) 및 두개내(intracranial) 주사 또는 주입(infusion) 기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경구, 정맥내 또는 피하 투여된다. 본 발명의 제형은 단기간 작용성, 신속 방출성 또는 장기간 작용성으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화합물은 전신 수단에 의한 투여 보다는 국소 투여되는데, 예를 들어 종양 부위에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사에 의해).
약제학적 제형은 액체,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오일, 물, 알코올 및 이들의 조합물을 사용하여 액체 현탁액 또는 용액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가용화제가 포함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적합한 계면활성제, 현탁제 또는 에멀젼화제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해 첨가될 수 있다. 현탁액은 오일,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땅콩유, 참깨유, 면실유, 옥수수유 및 올리브유를 포함할 수 있다. 현탁액 제제는 또한 지방산의 에스테르, 예를 들어 에틸 올레에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지방산 글리세리드 및 아세틸화된 지방산 글리세리드를 함유할 수 있다. 현탁액 제형은 알코올,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헥사데실 알코올,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에테르,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 석유 탄화수소, 예를 들어 광유 및 페트로라텀(petrolatum); 및 물이 또한 현탁액 제형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멸균 주사용 형태는 수성 또는 유성(oleaginous) 현탁액일 수 있다. 이러한 현탁액은 적절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제를 사용하여 당 분야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멸균 주사용 제제는 비독성의 비경구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용매 중의 멸균 주사용 용액 또는 현탁액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3-부탄디올 중의 용액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허용되는 비히클 및 용매로는 물, 링거 용액 및 등장성 염화나트륨 용액이 있다. 또한, 멸균성 고정유(fixed oil)가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이를 위해, 합성 모노- 또는 디-글리세리드를 포함하는 임의의 블랜드(bland) 고정유가 사용될 수 있다. 지방산, 예를 들어 올레산 및 이의 글리세리드 유도체가 주사용물질(injectable)의 제조에서 유용한데, 이는 특히 폴리옥시에틸화된 변형체 형태의 천연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오일, 예를 들어 올리브유 또는 아주까리유이다. 이러한 오일 용액 또는 현탁액은 또한 장쇄 알코올 희석제 또는 분산제, 예를 들어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또는 에멀젼 및 현탁액을 포함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투여형의 제형화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사한 분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다른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트윈(Tween), 스판(Span)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고체, 액체 또는 다른 투여형의 제조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에멀젼화제 또는 생체이용률 향상제가 또한 제형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화합물은 주사, 예를 들어 볼루스(bolus) 주사 또는 연속 주입에 의한 비경구 투여를 위해 제형화될 수 있다. 주사를 위한 단위 투여형은 앰풀 또는 다회-투여 용기내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비제한적으로 캡슐, 정제, 수성 현탁액 또는 용액을 포함하는 임의의 경구적으로 허용되는 투여형으로 경구 투여될 수 있다. 수성 현탁액이 경구적 사용을 위해 필요한 경우, 활성 성분은 에멀젼화제 및 현탁제와 배합된다. 요망되는 경우, 특정 감미제, 착향제 또는 착색제가 또한 첨가될 수 있다. 캡슐 형태로 경구 투여하는 경우, 유용한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및 건조 옥수수 전분이 있다. 경구적 사용을 위한 정제의 경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로는 락토오스 및 옥수수 전분이 있다. 윤활제, 예를 들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가 또한 전형적으로 첨가된다. 코팅은 다양한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풍미를 감추거나, 용해 또는 흡수 부위에 영향을 미치거나, 약물 작용을 연장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코팅은 정제에 적용되거나 캡슐에 사용되는 과립화된 입자에 적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직장 투여를 위해 좌약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활성성분을, 실온에서는 고체이지만 직장 온도에서는 액체이어서 직장에서 용해되어 약물을 방출시키는 적절한 무자극성 부형제와 혼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로는 코코아 버터, 밀랍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국소 투여될 수 있는데, 특히 치료 표적이 눈, 피부 또는 하부 위장관 질병을 포함하는 국소 적용에 의해 용이하게 접근가능한 부위 또는 장기를 포함하는 경우에 그러하다. 적절한 국소 제형은 이러한 부위 또는 장기 각각에 대해 용이하게 제조된다.
하부 위장관에 대한 국소 적용은 직장 좌약 제형 (상기 참조) 또는 적절한 관장제(enema) 제형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국소 경피 패치(patch)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국소 적용의 경우, 약제학적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담체에 현탁되거나 용해된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적절한 연고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국소 투여를 위한 담체로는 비제한적으로 광유, 액체 페트로라텀, 화이트 페트로라텀(white petrolatum),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화합물, 에멀젼화 왁스 및 물이 있다. 대안적으로, 약제학적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에 현탁되거나 용해된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적절한 로션 또는 크림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적절한 담체로는 비제한적으로 광유,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60, 세틸 에스테르 왁스, 세테아릴 알코올, 2-옥틸도데칸올, 벤질 알코올 및 물이 있다.
안과적 사용의 경우, 약제학적 조성물은 등장성이고 pH 조정된 멸균 식염수 중의 미분화된(micronized) 현탁액으로서, 또는 바람직하게는 등장성이고 pH 조정된 멸균 식염수 중의 용액으로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이는 벤질알코늄 클로라이드와 같은 방부제를 함유하거나 비함유한다. 대안적으로, 안과적 사용의 경우, 약제학적 조성물은 페트로라텀과 같은 연고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비강 에어로졸 또는 흡입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약제학적 제형 분야에 널리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조되며, 벤질 알코올 또는 다른 적절한 방부제, 생체이용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흡수 촉진제, 플루오로카본, 및/또는 다른 통상적인 가용화제 또는 분산제를 사용하여 식염수 중의 용액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본원에 기재된 장애(예를 들어, 증식 장애, 예를 들어 암, 염증성 장애, 신경퇴행성 장애)에 관한 치료적 적용에서 특히 유용하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치료하려는 관련 장애를 지니거나 이러한 장애를 일으키거나 재발을 경험할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해 제형화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환자"는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정맥내 또는 피하 투여를 위해 제형화된 것들이다. 그러나, 치료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상기 투여형 중 어느 하나는 정례적 실험의 경계에 충분히 속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에 충분히 속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 다른 치료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다른 치료제는 치료하려는 장애, 질병 또는 질환에 걸린 환자에게 일반적으로 투여되는 것이다.
"치료적 유효량"이란 1회 또는 다회 용량 투여시에 E1 효소 활성 및/또는 치료하려는 장애 또는 질병 상태의 중증도를 검출가능하게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양을 의미한다. 또한, "치료적 유효량"이란 세포를 치료하거나, 치료하려는 장애 또는 질병 상태의 진행을 연장 또는 억제시키거나(예를 들어, 암의 추가의 종양 성장을 억제하고, 추가의 염증성 반응을 억제함), 이러한 치료가 없는 경우 예상되는 정도를 넘어서 피검체 장애의 증상을 개선, 경감, 완화 또는 향상시키기에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필요한 E1 효소 억제제의 양은 주어진 조성물의 특정 화합물, 치료하려는 장애의 유형, 투여 경로 및 장애를 치료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에 좌우된다. 또한, 임의의 특정 환자에 대한 특정 투여량 및 치료법은 사용되는 특정 화합물의 활성, 환자의 연령, 체중, 전반적인 건강, 성별, 및 식이, 투여 횟수, 배출율, 약물 병용, 치료의사의 판단, 및 치료하려는 특정 질병의 중증도를 포함하는 다양한 인자에 좌우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억제제가 또 다른 작용제와 함께 투여되는 특정 일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존재하는 추가의 치료제의 양은 전형적으로 유일한 활성제로서 그러한 치료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서 일반적으로 투여되는 양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추가의 치료제의 양은 그러한 치료제를 유일한 치료적 활성제로서 포함하는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양의 약 50% 내지 약 100%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는 샘플을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샘플에서 E1 효소 활성을 억제하거나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샘플은 정제되거나 부분 정제된 E1 효소를 포함하는 샘플, 배양된 세포 또는 세포 배양물의 추출물; 포유동물로부터 수득된 생검 세포 또는 유체, 또는 이의 추출물; 및 체액 (예를 들어, 혈액, 혈청, 타액, 소변, 대변, 정액, 눈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샘플에서 E1 효소 활성을 억제하는 것은 시험관내 또는 생체내, 인셀룰로(in cellulo) 또는 인시튜(in situ)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장애, 장애의 증상을 지니거나 장애를 일으키거나 재발을 경험할 위험이 있는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이러한 방법은 환자에게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치료는 장애, 장애의 증상 또는 장애에 대한 소인을 치료하거나, 치유하거나, 경감시키거나, 완화시키거나, 변경시키거나, 개선시키거나, 향상시키거나, 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일 수 있다. 이론에 국한시키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 치료는 시험관내 또는 생체내에서 세포 또는 조직의 성장의 억제, 제거 또는 치사를 일으키거나, 장애, 예를 들어 본원에 기재된 장애(예를 들어, 증식 장애, 예를 들어 암, 염증성 장애)를 매개하는 세포 또는 조직(예를 들어, 비정상적 세포, 질병 조직)의 능력을 다른 방식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믿어진다. 본원에 사용된 세포 또는 조직 (예를 들어, 증식성 세포, 종양 조직)의 "성장을 억제하는" 또는 "성장의 억제"란 세포 또는 조직의 성장 및 전이를 늦추거나, 간섭하거나, 정지시키거나 중지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반드시 성장의 완전한 제거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적용되는 질병은 E1 효소 활성의 억제가 질병 세포 또는 조직의 생존 및/또는 증식에 유해한 (예를 들어, 세포가 E1 억제에 민감하고; E1 활성의 억제가 질병 메커니즘을 붕괴시키고; E1 활성의 감소가 질병 메커니즘의 억제제인 단백질을 안정화시키고; E1 활성의 감소가 질병 메커니즘의 활성화제인 단백질을 억제시킴) 장애를 포함한다. 적용되는 질병은 효과적인 큘린 및/또는 유비퀴틴화 활성을 필요로 하는 임의의 장애, 질병 또는 질환을 포함하는 것으로 또한 의도되는데, 상기 활성은 E1 효소 활성 (예를 들어, NAE, UAE 활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방법은 질병 상태의 유지 및/또는 진행을 위해 효과적인 큘린 의존성 유비퀴틴화 및 단백분해 경로 (예를 들어, 유비퀴틴 프로테아솜 경로)를 필요로 하는 장애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세포 증식을 포함하는 장애의 치료에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방법은 E1 활성 (예를 들어, NAE 활성, UAE 활성, SAE 활성)에 의해 조절되는 단백질 (예를 들어, NPκB 활성화, p27Kip 활성화, p21WAF / CIP1 활성화, p53 활성화)을 통해 매개되는 장애의 치료에서 유용하다. 관련 장애로는 증식 장애, 가장 특히 암 및 염증성 장애(예를 들어, 류마티스성 관절염, 염증성 장 질병,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병(COPD), 골관절염, 피부병 (예를 들어, 아토피성 피부염, 건선), 혈관 증식 장애(예를 들어, 죽상경화증, 재협착), 자가면역 질병(예를 들어, 다발성 경화증, 조직 및 장기 거부)); 뿐만 아니라 감염과 관련된 염증(예를 들어, 면역 반응), 신경퇴행성 장애(예를 들어,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운동 뉴런 질병, 신경병증성 동통, 트리플렛 반복 장애, 성상세포종(astrocytoma), 및 알코올성 간 질병의 결과로써의 신경퇴행), 허혈 손상 (예를 들어, 뇌졸중), 및 악액질 (예를 들어, 다양한 생리학적 및 병리학적 상태를 수반하는 가속된 근육 단백질 파괴 (예를 들어, 신경 손상(nerve injury), 공복(fasting), 발열, 산증, HIV 감염, 암 고통(cancer affliction), 및 특정 내분비병증))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약제학적 조성물은 암을 치료하는 데에 특히 유용하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암"은 제어되지 않거나 조절되지 않는 세포 증식, 감소된 세포 분화, 주변 조직을 침범하는 부적절한 능력 및/또는 이소성 부위(ectopic site)에서 새로운 성장을 확립하는 능력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장애를 의미한다. "암"이란 용어는 비제한적으로 고형 종양 및 혈액성 종양을 포함한다. "암"이란 용어는 피부, 조직, 장기, 뼈, 연골, 혈액 및 혈관의 질병을 포함한다. "암"이란 용어는 추가로 원발성 암 및 전이 암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암은 고형 종양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치료될 수 있는 고형 종양의 비제한적 예로는 췌장암; 방광암; 결장직장암; 전이성 유방암을 포함하는 유방암; 안드로겐 의존성 전립선암 및 안드로겐 비의존성 전립선암을 포함하는 전립선암; 예를 들어 전이성 신장 세포 암종을 포함하는 신장암; 간세포암; 예를 들어 비소세포 폐암 (NSCLC), 세기관지폐포암종 (BAC) 및 폐의 선암종을 포함하는 폐암; 예를 들어 진행성 상피 또는 원발성 복막암을 포함하는 난소암; 자궁경부암; 위암; 식도암; 예를 들어 두경부의 편평세포암종을 포함하는 두경부암; 흑색종; 전이성 신경내분비 종양을 포함하는 신경내분비암; 예를 들어 신경아교종(glioma), 역형성 희소돌기아교세포종(anaplastic oligodendroglioma), 성인 다형성 아교모세포종, 및 성인 역형성 성상세포종을 포함하는 뇌종양; 골암(bone cancer); 및 연질 조직 육종이 있다.
일부 다른 구체예에서, 암은 혈액 악성종양이다. 혈액 악성종양의 비제한적 예로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 (AML); 가속된 CML 및 CML 급성기(blast phase)(CML-BP)를 포함하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 (CML);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ALL); 만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CLL); 호지킨병 (HD); 여포성 림프종 및 맨틀 세포(mantle cell) 림프종을 포함하는 비호지킨 림프종 (NHL); B-세포 림프종; T-세포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MM); 왈덴스트롬 마크로글로불린혈증(Waldenstrom's macroglobulinemia); 불응성 빈혈 (RA), 윤상 철적모구 불응성 빈혈(refractory anemia with ringed siderblast)(RARS), 과다 모세포 불응성 빈혈(refractory anemia with excess blast)(RAEB), 및 변형중인 과다 모세포 불응성 빈혈(RAEB in transformation)(RAEB-T)을 포함하는 골수이형성 증후군 (MDS); 및 골수증식성 증후군이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결장직장암, 난소암, 폐암, 유방암, 위암, 전립선암 및 췌장암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암을 지니거나 이러한 암을 일으키거나 재발을 경험할 위험이 있는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정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암은 페암, 결장직장암, 난소암 및 혈액암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치료하고자 하는 특정 장애 또는 질환에 따라, 일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E1 효소 억제제는 추가의 치료제(들)과 함께 투여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추가의 치료제(들)은 치료하려는 장애 또는 질환을 지닌 환자에게 일반적으로 투여되는 것이다. 본원에서, 특정 장애 또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투여되는 추가의 치료제는 "치료하려는 장애 또는 질환에 대해 적절한" 것으로 공지된 것이다.
본 발명의 E1 억제제는 단일 투여형으로 또는 개별 투여형으로서 다른 치료제와 투여될 수 있다. 개별 투여형으로서 투여되는 경우, 다른 치료제는 본 발명의 E1 억제제의 투여 전에 투여되거나, 이러한 억제제와 동시에 투여되거나, 이러한 억제제의 투여 후에 투여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E1 억제제는 증식성 장애 및 암의 치료에 적합한 세포독성제, 방사선요법 및 면역요법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료제와 함께 투여된다. 본 발명의 E1 효소 억제제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세포독성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예를 들어 카페시티빈(capecitibine), 겜시타빈(gemcitabine), 5-플루오로우라실 또는 5-플루오로우라실/류코보린, 플루다라빈, 시타라빈, 메르캅토퓨린, 티오구아닌, 펜토스타틴 및 메토트렉세이트를 포함하는 항대사물질; 예를 들어 에토포시드, 테니포시드, 캄프토테신, 토포테칸, 이리노테칸, 독소루비신 및 다우노루비신을 포함하는 토포이소머라아제 억제제; 예를 들어 빈크리스틴 및 빈블라스틴을 포함하는 빈카 알칼로이드; 예를 들어 파클리탁셀 및 도세탁셀을 포함하는 택산; 예를 들어 시스플라틴, 카르보플라틴 및 옥살리플라틴을 포함하는 백금제; 예를 들어 악티노마이신 D, 블레오마신, 미토마이신 C, 아드리아마이신, 다우노루비신, 이다루비신, 독소루비신 및 페길화된 리포솜 독소루비신을 포함하는 항생제; 멜팔란, 클로르암부실, 부설판, 티오테파, 이포스파미드, 카르뮤스틴, 로뮤시틴, 세뮤스틴, 스트렙토조신, 데카르바진(decarbazine) 및 시클로포스파미드와 같은 알킬화제; 예를 들어 CC-5013 및 CC-4047를 포함하는 것; 예를 들어 이마티닙 메실레이트 및 게피티닙을 포함하는 단백질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 예를 들어 보르테조밉을 포함하는 프로테아솜 억제제; 탈리도미드 및 관련 유사체; 예를 들어 트라스투주맙, 리툭시맙, 세툭시맙 및 베바시주맙을 포함하는 항체; 미톡산트론; 덱사메타손; 프레드니손; 및 테모졸로미드가 있다.
본 발명의 억제제와 배합될 수 있는 작용제의 다른 예로는 항염증제, 예를 들어 코르티코스테로이드, TNF 차단제, Il-1 RA, 아자티오프린,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설파살라진; 면역조절 및 면역억제 작용제, 예를 들어 시클로스포린, 타크롤리무스, 라파마이신,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 인터페론,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시클로포스파미드, 아자티오프린, 메토트렉세이트 및 설파살라진; 항균 및 항바이러스 작용제; 및 알츠하이머 치료제, 예를 들어 도네페질, 갈란타민, 메만틴 및 리바스티그민이 있다.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이해를 위해, 하기 제조예 및 시험예가 제시된다. 이러한 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어떠한 식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약어
AA 암모늄 아세테이트
AcOH 아세트산
ACN 아세토니트릴
d 일(day)
DBU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크-7-엔
DCM 디클로로메탄
DEAD 디에틸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DIAD 디이소프로필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DIPEA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DMAP N,N-디메틸-4-아미노피리딘
DMF 디메틸포름아미드
DMSO 디메틸설폭시드
Et2O 디에틸 에테르
EtOAc 에틸 아세테이트
EtOH 에탄올
Et3N 트리에틸아민
FA 포름산
H2O 물
h 시간(hour)
HCl 염산
LC/MS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스펙트럼
MeOH 메탄올
MeOD d4-메탄올
MgSO4 황산 마그네슘
m-CPBA 메타-클로로퍼벤조산
min 분(minute)
MS 질량 스펙트럼
MWI 마이크로파 조사
Na2CO3 탄산나트륨
NaHCO3 중탄산나트륨
NaOH 수산화나트륨
NIS N-요오도숙신이미드
TBAF 테트라-n-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TEA 트리에틸아민
p-TsOH 파라-톨루엔설폰산
rt 실온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HF 테트라히드로푸란
분석 LC - MS 방법
스펙트럼은 하기 조건을 사용하여 휴렛-팩커드(Hewlett-Packard) HP11OO으로 수득하였다:
FA Standard: 페노미넥스 루나(Phenominex Luna) 5μm C18 50 x 4.6 mm 컬럼, 3분간 H2O 중의 0.1% 포름산 0 내지 100 퍼센트를 함유하는 2.5 ml/분의 ACN 구배
AA Standard: 페노미넥스 루나 5μm C18 50 x 4.6 mm 컬럼, 3분간 H2O 중의 10mM 아세트산암모늄 0 내지 100 퍼센트를 함유하는 2.5 ml/분의 ACN 구배
FA Waters: 워터스 시메트리(Waters Symmetry) C18 3.5μm 4.6mm x 100mm 컬럼, 10분간 H2O 중의 0.1% 포름산 0 내지 95 퍼센트를 함유하는 1ml/분의 ACN 구배
AA Waters: 워터스 시메트리 C18 3.5μm 4.6mm x 100mm 컬럼, 10분간 메탄올 중의 10mM 아세트산암모늄 0 내지 75 퍼센트를 함유하는 1ml/분의 ACN 구배
FA Long: 워터스 시메트리 C18 3.5μm 4.6mm x 100mm 컬럼, 12분간 H2O 중의 0.1% 포름산 5 내지 100 퍼센트를 함유하는 1ml/분의 ACN 구배
AA Long: 워터스 시메트리 C18 3.5μm 4.6mm x 100mm 컬럼, 12분간 H2O 중의 10mM 아세트산암모늄 5 내지 100 퍼센트를 함유하는 1ml/분의 ACN 구배
실시예 1: [(1R,2R,3S,4R)-4-({6-[(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29)
단계 a: (1 R ,2 S ,3 R ,5 R )-3-[(6- 클로로피리미딘 -4-일)아미노]-5-( 히드록시메틸)시클로펜탄-1,2-디올
EtOH (3.00 mL) 중의 (1R,2S,3R,5R)-3-아미노-5-(히드록시메틸)시클로펜탄-1,2-디올 히드로클로라이드 (200 mg, 1.09 mmol), 4,6-디클로로피리미딘 (240. mg, 1.61 mmol) 및 Et3N (0.380 mL, 2.73 mmol)의 혼합물을 MWI를 이용하여 15분간 150℃로 가열하였다. 미정제 혼합물을 DCM 중의 0 내지 15% MeOH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255 mg, 90%). LC/MS: Rt = 1.13 min, ES+ 260. (AA standard).
단계 b: {(3 a R ,4 R ,6 R ,6 a S )-6-[(6- 클로로피리미딘 -4-일)아미노]-2,2- 디메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메탄올
MeOH (5.00 mL) 중의 (1R,2S,3R,5R)-3-[(6-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5-(히드록시메틸)시클로펜탄-1,2-디올 (255 mg, 0.982 mmol), p-톨루엔설폰산 모노히드레이트 (187 mg, 0.982 mmol) 및 2,2-디메톡시프로판 (0.670 mL, 0.545 mmol)의 용액을 밤새 교반하였다. 포화 수성 NaHCO3 용액 (10 mL)을 첨가하여 반응물을 켄칭시키고, MeOH를 진공하에서 제거하였다. 수성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하고 (4 x 20 mL), 합쳐진 유기물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혼합물을 DCM 중의 0 내지 10% MeOH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35 mg, 45.8%). LC/MS: Rt = 1.77 min, ES+ 300. (AA standard).
단계 c: [(3 a R ,4 R ,6 R ,6 a S )-6-({6-[(1 S )-2,3- 디히드로 -1 H - 인덴 -1- 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메탄올
{(3aR,4R,6R,6aS)-6-[(6-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메탄올 (200 mg, 0.667 mmol) 및 (S)-(+)-1-아미노인단 (0.188 mL, 1.47 mmol)의 혼합물을 MWI를 이용하여 밀봉된 튜브에서 3시간 동안 180℃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DCM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현탁액을 H2O에 이어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EtOAc 중의 0 내지 10% MeOH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정형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218 mg, 82.4%). LC/MS: Rt = 1.44 min, ES+ 397 (AA standard).
단계 d: [(3 a R ,4 R ,6 R ,6 a S )-6-({6-[(1 S )-2,3- 디히드로 -1 H - 인덴 -1- 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메틸 설파메이트
ACN 중의 클로로설폰아미드 2.00 M 용액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FA (2.30 mL, 61.0 mmol)를 0℃에서 질소 분위기하에서 클로로설포닐 이소시아네이트 (5.20 mL, 59.7 mmol)에 적가하며 교반하였다. 첨가가 완료되고 혼합물이 고화된 후, ACN (22.5 m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통기되는(vented) 질소원하에서 정치시켰다.
DCM (2.50 mL) 중의 [(3aR,4R,6R,6aS)-6-({6-[(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메탄올 (100. mg, 0.252 mmol)과 Et3N (0.0527 mL, 0.378 mmol)의 용액에 0℃에서 ACN 중의 클로로설폰아미드 2.00 M 용액 (0.190 mL, 0.380 mmol)을 적가하고,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DCM으로 희석시키고, H2O로 켄칭시키고, 유기층을 분리한 후,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DCM 중의 0 내지 10% MeOH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65.0 mg, 54%). LC/MS: Rt = 1.58 min, ES+ 476 (AA standard).
단계 e: [(1 R ,2 R ,3 S ,4 R )-4-({6-[(1 S )-2,3- 디히드로 -1 H - 인덴 -1- 일아미노 ]피리미딘-4-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29)
[(3aR,4R,6R,6aS)-6-({6-[(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메틸 설파메이트 (60.0 mg, 0.126 mmol)의 용액을 H2O 중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9:1 혼합물 (5.00 mL, 58.4 mmol)로 처리하고, 혼합물을 10분간 교반한 후,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16분에 걸쳐 0.1% FA/99% H2O/1% ACN 중의 0.1% FA/95% ACN/5% H2O의 5 내지 70%의 구배로 용리되는 역상 C18 제조 HPLC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27.0 mg, 49%).
Figure pat00064
실시예 2: {(1R,2R,3S,4R)-4-[(6-{[(1S)-3,3-디메틸-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21)
단계 a: (2 R )-2-{[(1 S )-3,3-디메틸-2,3- 디히드로 -1 H - 인덴 -1-일]아미노}-2-페닐에탄올
톨루엔 (10.0 mL) 중의 3,3-디메틸인단-1-온 (925 mg, 5.77 mmol)과 (R)-(-)-2-페닐글리시놀 (893 mg, 6.51 mmol)의 용액에 p-톨루엔설폰산 모노히드레이트 (62.5 mg, 0.328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질소 분위기하에서 90분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이 시점에서,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톨루엔 (10.0 mL)으로 희석시켰다. 혼합물을 포화 수성 NaHCO3 용액과 H2O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THF (10.0 mL)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켰다. AcOH (1.13 mL, 19.9 mmol)에 이어 수소화붕소나트륨 (251 mg, 6.64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밤새 23℃로 가온시켰다. 혼합물을 DCM과 포화 수성 NaHCO3 용액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농축시키고, DCM 중의 5 내지 35% EtOAc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49 g, 74%). LC/MS: Rt = 1.92 min, ES+ 282 (AA standard).
단계 b: (1 S )-3,3- 디메틸인단 -1-아민
MeOH (40.0 mL) 중의 (2R)-2-{[(1S)-3,3-디메틸-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2-페닐에탄올 (1.44 g, 5.13 mmol) 용액을 0℃에서 20분에 걸쳐 MeOH (60.0 mL) 중의 납 테트라아세테이트(lead tetraacetate) (3.75 g, 8.03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적가하였다. 45분간 교반한 후, 반응물을 H2O (76.0 mL) 중의 10% Na2CO3 용액을 첨가하여 켄칭시키고, 혼합물을 10분간 교반하였다. 그 후, DCM (200 mL)을 첨가하고, 층들을 분리하였다. 수성층을 DCM (50.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EtOH (190. mL)에 용해시키고, HCl 10.4 M 수용액 (5.70 mL, 59.3 mmol)으로 처리하였다. 그 후, 생성된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냉각된 반응물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H2O (150. mL)와 Et2O (50.0 mL) 사이에 분배시켰다. Na2CO3를 첨가하여 수성층을 pH 10으로 조정하고, Et2O로 추출하였다 (3 x 50.0 mL). 합쳐진 유기층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DCM 중의 0 내지 10% MeOH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엷은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420. mg, 51%).
Figure pat00065
단계 c: {(1 R ,2 R ,3 S ,4 R )-4-[(6-{[(1 S )-3,3-디메틸-2,3- 디히드로 -1 H - 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21)
표제 화합물을 단계 c에서 (1S)-3,3-디메틸인단-1-아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1a-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66
실시예 3: {(1R,2R,3S,4R)-4-[(6-{[(1S)-4-클로로-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24)
표제 화합물을 단계 a에서 4-클로로인단-1-온을 사용하여 실시예 2a-c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67
실시예 4: {(1R,2R,3S,4R)-4-[(6-{[(1S)-5,6-디플루오로-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7)
표제 화합물을 단계 a에서 5,6-디플루오로인단-1-온을 사용하여 실시예 2a-c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68
실시예 5: {(1R,2R,3S,4R)-4-[(6-{[(1S)-4,7-디플루오로-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6)
표제 화합물을 단계 a에서 4,7-디플루오로인단-1-온을 사용하여 실시예 2a-c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69
실시예 6: {(1R,2R,3S,4R)-4-[(6-{[(1S)-4-플루오로-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
표제 화합물을 단계 a에서 4-플루오로인단-1-온을 사용하여 실시예 2a-c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70

*실시예 7: [(1R,2R,3S,4R)-4-({6-[(1R)-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8)
표제 화합물을 단계 c에서 (R)-(-)-1-아미노인단을 사용하여 실시예 1a-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71
실시예 8: ((1R,2R,3S,4R)-4-{[6-(벤질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27)
표제 화합물을 단계 c에서 벤질아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1a-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72
실시예 9: [(1R,2R,3S,4R)-4-({6-[벤질(메틸)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22)
표제 화합물을 단계 c에서 N-메틸벤질 아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1a-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73
실시예 10: {(1R,2R,3S,4R)-4-[(6-{[(1S)-5-클로로-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9)
표제 화합물을 단계 a에서 5-클로로인단-1-온을 사용하여 실시예 2a-c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74
실시예 11: [(1R,2R,3S,4R)-2,3-디히드록시-4-({6-[(1S)-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2)
표제 화합물을 단계 c에서 (S)-(+)-1,2,3,4-테트라히드로-1-나프틸아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1a-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75
실시예 12: {(1R,2R,3S,4R)-2,3-디히드록시-4-[(6-{[(1R,2S)-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2)
단계 a: 3차 -부틸 [(1 R ,2 S )-2-히드록시-2,3- 디히드로 -1 H - 인덴 -1-일] 카르바메이트
(1R,2S)-1-아미노인단-2-올 (1.83 g, 12.3 mmol)을 DCM (70.0 mL)에 용해시키고, TEA (3.42 mL, 24.5 mmol)를 첨가하였다. 디-3차-부틸디카르보네이트 (2.81 g, 12.9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헥산 중의 0 내지 100% EtOAc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3.12 g, 100%). LC/MS: Rt = 1.55 min, ES+ 250. (AA standard).
단계 b: 3차 -부틸 [(1 R ,2 S )-2- 메톡시 -2,3- 디히드로 -1 H - 인덴 -1-일] 카르바메이트
3차-부틸 [(1R,2S)-2-히드록시-2,3-디히드로-1H-인덴-1-일]카르바메이트 (680. mg, 2.73 mmol), DMF (21.1), 바륨 모노옥시드 (5.02 g, 32.7 mmol), 바륨 히드록시드 (2.80 g, 16.4 mmol) 및 요오도메탄 (1.70 mL, 27.3 mmol)의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LC/MS는 출발 물질을 나타내지 않았다. 포화 NaHCO3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물을 켄칭시키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H2O로 세척하고 (3x),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0 내지 50% EtOAc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78 mg, 25%). LC/MS: Rt = 1.24 min, ES+ 264 (AA standard).
단계 c: (1 R ,2 S )-2- 메톡시인단 -1-아민
3차-부틸 [(1R,2S)-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카르바메이트 (253 mg, 0.961 mmol)에 1,4-디옥산 (5.00 mL) 중의 HCl 4.00 M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0분간 교반하였는데, 그 후 백색 고형물이 빠져나왔다(crash out). 현탁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톨루엔과 공동-증발(co-evaporation)시켜서 백색 고형물을 수득하고, 이를 H2O에 용해시켰다. Na2CO3를 첨가하여 용액을 pH 10으로 조정하였다. 그 후, 혼합물을 Et2O로 추출하고 (3 x 30 mL), 유기 추출물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50. mg, 99%). LC/MS: Rt = 0.85 min, ES+ 164 (AA standard).
단계 d: {(1 R ,2 R ,3 S ,4 R )-2,3-디히드록시-4-[(6-{[(1 R ,2 S )-2- 메톡시 -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2)
표제 화합물을 단계 a에서 (1R,2S)-2-메톡시인단-1-아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2a-c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76
실시예 13: [(1R,2R,3S,4R)-4-({6-[(시클로헥실메틸)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4)
표제 화합물을 단계 c에서 시클로헥산메틸아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1a-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77
실시예 14: [(1R,2R,3S,4R)-2,3-디히드록시-4-({2-[(3-메틸-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0)
단계 a: 3- 메틸인단 -1-온 옥심
MeOH (4.00 mL) 중의 3-메틸인단-1-온 (221 mg, 1.51 mmol)과 히드록실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295 mg, 4.25 mmol)의 용액에 H2O (2.00 mL) 중의 NaOH (200 mg, 5.00 mmol)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8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된 반응물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켜서 MeOH의 대부분을 제거하고, 잔류물을 DCM과 H2O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켜서, 표제 화합물을 왁스질(waxy)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232 mg, 95%). LC/MS: Rt = 1.51 min, ES+ 162 (AA standard).
단계 b: 3- 메틸인단 -1-아민
MeOH (5.00 mL) 중의 3-메틸인단-1-온 옥심 (223 mg, 1.38 mmol)과 10% 탄소상 팔라듐 (14.7 mg, 50% 물 습윤(water wet))의 혼합물을 수소 분위기하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그 후,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시키고, MeOH로 철저히 세척하고, 합쳐진 여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95 mg, 96%).
Figure pat00078
단계 c: [(1 R ,2 R ,3 S ,4 R )-2,3-디히드록시-4-({2-[(3- 메틸 -2,3- 디히드로 -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0)
표제 화합물을 단계 a에서 2,4-디클로로피리미딘을 사용하고 단계 c에서 3-메틸인단-1-아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1a-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79
실시예 15: {(1R,2R,3S,4R)-4-[(2-{[(1S)-3,3-디메틸-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5)
표제 화합물을 단계 a에서 2,4-디클로로피리미딘을 사용하고 단계 c에서 (1S)-3,3-디메틸인단-1-아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1a-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80
실시예 16: [(1R,2R,3S,4R)-4-({2-[(시클로헥실메틸)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4)
표제 화합물을 단계 a에서 2,4-디클로로피리미딘을 사용하고 단계 c에서 시클로헥산메틸아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1a-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81
실시예 17: [(1R,2R,3S,4R)-4-({2-[벤질(메틸)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20)
표제 화합물을 단계 a에서 2,4-디클로로피리미딘을 사용하고 단계 c에서 N-메틸벤질 아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1a-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82
실시예 18: ((1R,2R,3S,4R)-4-{[2-(벤질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7)
표제 화합물을 단계 a에서 2,4-디클로로피리미딘을 사용하고 단계 c에서 벤질아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1a-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83
실시예 19: [(1R,2R,3S,4R)-4-({6-[(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2-메틸피리미딘-4-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및 {(1R,2R,3S,4R)-4-[(6-아미노-2-메틸피리미딘-4-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8 및 I-13)
표제 화합물을 단계 a에서 4,6-디클로로-2-메틸피리미딘을 사용하고 단계 c에서 (S)-(+)-1-아미노인단을 사용하여 실시예 1a-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1R,2R,3S,4R)-4-({6-[(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2-메틸피리미딘-4-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8)에 대한 분석 데이터:
Figure pat00084
{(1R,2R,3S,4R)-4-[(6-아미노-2-메틸피리미딘-4-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3)에 대한 분석 데이터:
Figure pat00085
실시예 20: ((1R,2R,3S,4R)-4-{[6-(벤질아미노)-2-메틸피리미딘-4-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30)
표제 화합물을 단계 a에서 2,4-디클로로피리미딘을 사용하고 단계 c에서 벤질아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1a-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86
실시예 21: [(1R,2S,4R)-4-({6-[(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25)
단계 a: (1 S ,2 R ,4 R )-4-[(6- 클로로피리미딘 -4-일)아미노]-2-( 히드록시메틸)시클로펜탄올
(1S,2R,4R)-4-아미노-2-(히드록시메틸)시클로펜탄올 (3.00 g, 22.9 mmol)과 4,6-디클로로피리미딘 (3.70 g, 24.8 mmol)의 순수한(neat) 혼합물에 이소프로필 알코올 (30.0 mL)과 Et3N (8.00 mL, 57.4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시간 동안 90℃로 가열하였다. 그 후, 혼합물을 23℃로 냉각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DCM 중의 5 내지 7% MeOH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고, 화합물을 EtOAc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3.30 g, 59%). LC/MS: Rt = 0.84 min, ES+ 244 (AA standard).
단계 b: (1 S ,2 R ,4 R )-4-({6-[(1 S )-2,3- 디히드로 -1 H - 인덴 -1- 일아미노 ]피리미딘-4-일}아미노)-2-(히드록시메틸)시클로펜탄올
(1S,2R,4R)-4-[(6-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2-(히드록시메틸)시클로펜탄올 (500. mg, 2.05 mmol), 1-부탄올 (4.00 mL) 및 (S)-(+)-1-아미노인단 (0.806 mL, 6.16 mmol)의 혼합물을 MWI를 이용하여 밀봉 튜브에서 90분간 200℃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DCM 중의 5 내지 25% MeOH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정형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513 mg, 73%). LC/MS: Rt = 1.20 min, ES+ 341 (AA standard).
단계 c: 3차 -부틸 ( 클로로설포닐 ) 카르바메이트
23℃의 수조(water bath)에서 벤젠 (15.0 mL) 중의 클로로설포닐 이소시아네이트 (3.20 mL, 36.0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서 시린지(syringe)에 의해 3차-부틸 알코올 (3.50 mL, 36.2 mmol)을 적가하였다. 2시간 후, 혼합물을 헥산 (30.0 mL)으로 희석시키고, 생성된 백색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헥산으로 세척하였다 (3 x 20 mL). 수집된 고형물을 하우스 진공(house vacuum)하에서 진공 데시케이터(desiccator)에서 10분간 건조시켜서,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5.08 g, 65%). 생성물을 냉동장치(freezer)에서 질소하에서 저장하였다.
Figure pat00087
참고문헌: F. Hirayama et al., Biorg . Med . Chem ., 2002, 10, 1509-1523.
단계 d: 3차 -부틸 ({[(1 R ,2 S ,4 R )-4-({6-[(1 S )-2,3- 디히드로 -1 H - 인덴 -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톡시}설포닐)카르바메이트
(1S,2R,4R)-4-({6-[(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2-(히드록시메틸)시클로펜탄올 (100. mg, 0.294 mmol)과 2,6-디-3차-부틸-4-메틸피리딘 (181 mg, 0.881 mmol)의 순수한 혼합물을 ACN (5.00 mL)에 용해시킨 후, 3차-부틸 (클로로설포닐)카르바메이트 (95.0 mg, 0.441 mmol, 실시예 21c에서 제조된 것)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MeOH (2 mL)를 첨가하여 켄칭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DCM 중의 10 내지 20% MeOH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정형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50.0 mg, 33%). LC/MS: Rt = 1.24 min, ES+ 520. (AA standard).
단계 e: [(1 R ,2 S ,4 R )-4-({6-[(1 S )-2,3- 디히드로 -1 H - 인덴 -1- 일아미노 ]피리미딘-4-일}아미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25)
DCM (2.00 mL) 중의 3차-부틸 ({[(1R,2S,4R)-4-({6-[(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톡시}설포닐)카르바메이트 (50.0 mg, 0.0962 mmol)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0.500 mL, 6.49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30분간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DCM 중의 10% MeOH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고, 생성물을 MeOH에 용해시키고, 고형 NaHCO3로 처리하였다. 현탁액을 여과시키고, 여액을 10% MeOH/DCM으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정형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12.0 mg, 30%).
Figure pat00088
실시예 22: {(1R,2R,3S,4R)-2,3-디히드록시-4-[(8-페닐-9H-퓨린-6-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9)
표제 화합물을 단계 a에서 6-클로로-8-페닐-9H-퓨린을 사용하여 실시예 1a-b에 기재된 절차에 이어 실시예 1d-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89
실시예 23: [(1R,2R,3S,4R)-2,3-디히드록시-4-(9H-퓨린-6-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3)
단계 a: [(3 a R ,4 R ,6 R ,6 a S )-6-아미노-2,2- 디메틸테트라히드로 -3 a H - 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메탄올
표제 화합물을 (1R,2S,3R,5R)-3-아미노-5-(히드록시메틸)시클로펜탄-1,2-디올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b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90
단계 b: [(3 a R ,4 R ,6 R ,6 a S )-2,2-디메틸-6-(9 H -퓨린-6- 일아미노 ) 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메탄올
표제 화합물을 [(3aR,4R,6R,6aS)-6-아미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메탄올을 사용하여 실시예 1a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LC/MS: Rt = 1.39 min, ES+ 306 (AA standard).
단계 c: [(1 R ,2 R ,3 S ,4 R )-2,3-디히드록시-4-(9 H -퓨린-6- 일아미노 ) 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3)
DCM (5.00 mL) 중의 [(3aR,4R,6R,6aS)-2,2-디메틸-6-(9H-퓨린-6-일아미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메탄올 (288 mg, 0.943 mmol)과 Et3N (0.400 mL, 2.87 mmol)의 현탁액을 0℃로 냉각시켰다. ACN 중의 클로로설폰아미드 2.00 M 용액 (0.94 mL, 1.88 mmol, 실시예 1d에서 제조된 것)을 적가하고, DMF (1.50 mL)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용액이 되게 하였다. 용액을 23℃로 가온되게 하고, 5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진공하에서 농축 건조시켰다. 미정제 혼합물을 H2O 중의 HCl 1.00 M 용액 (5.00 mL, 5.00 mmol)으로 처리하고, 10분간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 건조시키고, 16분에 걸쳐 0.1% FA/99% H2O/1% ACN 중의 0.1% FA/95% ACN/5% H2O의 0 내지 40%의 구배로 용리되는 역상 C18 제조 HPLC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95.0 mg, 29%).
Figure pat00091
실시예 24: [(1S,2S,4R)-4-({6-[(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5)
단계 a: (1 R ,2 R ,3 S ,5 S )-3-( 히드록시메틸 )-6- 옥사비시클로[3.1.0]헥산 -2-
(1S,5S)-5-(히드록시메틸)-시클로펜트-2-엔-1-올 (3.19 g, 27.9 mmol)을 DCM (143 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0℃로 냉각시켰다. 3-클로로퍼벤조산 (7.52 g, 33.5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3℃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완전한 전환을 나타내었다. 실리카겔 (20 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농축 건조시키고, DCM 중의 0 내지 100% EtOAc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2.75g, 76%).
Figure pat00092
단계 b: (1 a S ,1 b R ,5 a S ,6 a S )-3-(4- 메톡시페닐 ) 헥사히드로옥시레노 [4,5] 클로펜타[1,2-d][1,3]디옥신
(1R,2R,3S,5S)-3-(히드록시메틸)-6-옥사비시클로[3.1.0]헥산-2-올 (3.65 g, 21.0 mol)을 DCM (121 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0℃로 냉각시켰다. 1-(디메톡시메틸)-4-메톡시벤젠 (10.7 mL, 63.1 mmol)에 이어 피리디늄 p-톨루엔설포네이트 (530. mg, 2.11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3℃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TLC는 완전한 전환을 나타내었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헥산 중의 0 내지 50% EtOAc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4.10 g, 78%).
Figure pat00093
단계 c: 2-[(4 a S ,6 R ,7 S ,7 a R )-7-히드록시-2-(4- 메톡시페닐 ) 헥사히드로시클로펜타[d][1,3]디옥신-6-일]-1H-이소인돌-1,3(2H)-디온
(1aS,1bR,5aS,6aS)-3-(4-메톡시페닐)헥사히드로옥시레노[4,5]시클로펜타[1,2-d][1,3]디옥신 (600. mg, 2.42 mmol), 프탈이미드 (1.07 g, 7.25 mmol) 및 프탈이미드 칼륨염 (1.34 g, 7.25 mmol)의 순수한 혼합물에 DMSO (15.0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12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H2O로 처리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DCM 중의 0 내지 15% EtOAc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602 mg, 63%). LC/MS: Rt = 1.68 min, ES+ 396 (AA standard).
단계 d: O -[(4 a S ,6 R ,7 S ,7 a R )-6-(1,3- 디옥소 -1,3- 디히드로 -2 H - 이소인돌 -2-일)-2-(4-메톡시페닐)헥사히드로시클로펜타[d][1,3]디옥신-7-일]-O-페닐 티오카르보네이트
DCM (150. mL) 중의 2-[(4aS,6R,7S,7aR)-7-히드록시-2-(4-메톡시페닐)헥사히드로시클로펜타[d][1,3]디옥신-6-일]-1H-이소인돌-1,3(2H)-디온 (1.26 g, 3.19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아르곤 분위기하에서 DMAP (1.17 g, 9.54 mmol)와 페닐 클로로티오노포르메이트 (0.661 mL, 4.78 mmol)를 첨가하였다. 2시간 후,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DCM 중의 0 내지 5% EtOAc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무정형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1.64 g, 97%). LC/MS: Rt = 2.21 min, ES+ 532 (AA standard).
단계 e: 2-[(4 a S ,6 R ,7 a S )-2-(4- 메톡시페닐 ) 헥사히드로시클로펜타[d][1,3]디옥신-6-일]-1H-이소인돌-1,3(2H)-디온
톨루엔 (4.00 mL) 중의 O-[(4aS,6R,7S,7aR)-6-(1,3-디옥소-1,3-디히드로-2H-이소인돌-2-일)-2-(4-메톡시페닐)헥사히드로시클로펜타[d][1,3]디옥신-7-일]-O-페닐 티오카르보네이트 (56.9 mg, 0.107 mmol) 용액에 트리스(트리메틸실릴)실란 (0.0700 mL, 0.227 mmol)을 첨가하였다. 공기 (2.00 mL)를 용액을 통해 버블링시키고, 헥산 중의 1.00 M 트리에틸보란 (0.0320 mL, 0.0320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트리스(트리메틸실릴)실란 (0.0700 mL, 0.227 mmol) 및 헥산 중의 트리에틸보란 1.00 M 용액 (0.0300 mL, 0.0300 mmol)을 더 첨가하고, 혼합물을 추가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DCM 중의 0 내지 20% EtOAc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6.9 mg, 42%). LC/MS: Rt = 2.03 min, ES+ 380. (AA standard).
단계 f: (4 a S ,6 R ,7 a S )-2-(4- 메톡시페닐 ) 헥사히드로시클로펜타 [ d ][1,3] 옥신-6-아민
2-[(4aS,6R,7aS)-2-(4-메톡시페닐)헥사히드로시클로펜타[d][1,3]디옥신-6-일]-1H-이소인돌-1,3(2H)-디온 (390. mg, 1.03 mmol), EtOH (11.3 mL) 및 히드라진 (0.0362 mL, 1.13 mmol)의 혼합물을 9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DCM 중의 10 내지 50% MeOH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LC/MS: Rt = 1.08 min, ES+ 250. (AA standard).
단계 g: 6- 클로로 - N -[(4 a S ,6 R ,7 a S )-2-(4- 메톡시페닐 ) 헥사히드로시클로펜타[d][1,3]디옥신-6-일]피리미딘-4-아민
(4aS,6R,7aS)-2-(4-메톡시페닐)헥사히드로시클로펜타[d][1,3]디옥신-6-아민 (120. mg, 0.481 mmol), 4,6-디클로로피리미딘 (143 mg, 0.963 mmol), DIPEA (0.0920 mL, 0.528 mmol) 및 EtOH (30.0 mL)를 함유하는 밀봉 튜브를 20시간 동안 110℃로 가열하였다. 냉각된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DCM 중의 0 내지 5% MeOH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120. mg, 69%). LC/MS: Rt = 1.74 min, ES+ 362 (AA standard).
단계 h: (1 S ,2 S ,4 R )-4-[(6- 클로로피리미딘 -4-일)아미노]-2-( 히드록시메틸)시클로펜탄올
6-클로로-N-[(4aS,6R,7aS)-2-(4-메톡시페닐)헥사히드로시클로펜타[d][1,3]디옥신-6-일]피리미딘-4-아민 (120. mg, 0.332 mmol)과 (S)-(+)-1-아미노인단 (0.170 mL, 1.33 mmol)의 순수한 혼합물을 MWI를 이용하여 밀봉 튜브에서 6시간 동안 180℃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DCM 중의 0 내지 15% MeOH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33.1 mg, 41%). LC/MS: Rt = 0.90 min, ES+ 244 (AA standard).
단계 i: (1 S ,2 S ,4 R )-4-({6-[(1 S )-2,3- 디히드로 -1 H - 인덴 -1- 일아미노 ]피리미딘-4-일}아미노)-2-(히드록시메틸)시클로펜탄올
(1S,2S,4R)-4-[(6-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2-(히드록시메틸)시클로펜탄올 (33.1 mg, 0.136 mmol), 6-클로로-N-[(4aS,6R,7aS)-2-(4-메톡시페닐)헥사히드로시클로펜타[d][1,3]디옥신-6-일]피리미딘-4-아민 (81.6 mg, 0.226 mmol), (S)-(+)-1-아미노인단 (0.222 mL, 1.73 mmol) 및 1-부탄올 (1.00 mL)의 혼합물을 MWI를 이용하여 밀봉 튜브에서 6시간 동안 180℃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DCM 중의 0 내지 15% MeOH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77.8 mg, 63%). LC/MS: Rt = 1.29 min, ES+ 341 (AA standard).
단계 j: [(1 S ,2 S ,4 R )-4-({6-[(1 S )-2,3- 디히드로 -1 H - 인덴 -1- 일아미노 ]피리미딘-4-일}아미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5)
표제 화합물을 단계 d에서 (1S,2S,4R)-4-({6-[(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2-(히드록시메틸)시클로펜탄올과 THF를 사용하여 실시예 21d-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94
실시예 25: [(1S,2R,3S,4R)-4-({6-[(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1)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24의 단계 a-c에 기재된 절차에 이어 단계 f-g에 기재된 절차에 이어 마지막으로 단계 i-j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95
실시예 26: [(1R,2R,3S,4R)-4-({4-[(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1,3,5-트리아진-2-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26)
단계 a: 4,6- 디클로로 - N -[(1 S )-2,3- 디히드로 -1 H - 인덴 -1-일]-1,3,5- 트리아진-2-아민
0℃에서 THF (2.00 mL) 중의 시아누르산 클로라이드(cyanuric chloride) (631 mg, 3.42 mmol) 용액에 (S)-(+)-1-아미노인단 (0.385 mL, 3.00 mmol)과 DIPEA (0.596 mL, 3.42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H2O내로 붓고, DCM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0 내지 20% EtOAc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738 mg, 87%). LC/MS: Rt = 1.99 min, ES+ 281 (FA standard).
단계 b: (1 R ,2 S ,3 R ,5 R )-3-({4- 클로로 -6-[(1 S )-2,3- 디히드로 -1 H - 인덴 -1-일아미노]-1,3,5-트리아진-2-일}아미노)-5-(히드록시메틸)시클로펜탄-1,2-디올
밀봉 튜브 내의 4,6-디클로로-N-[(1S)-2,3-디히드로-1H-인덴-1-일]-1,3,5-트리아진-2-아민 (735 mg, 2.61 mmol), (1R,2S,3R,5R)-3-아미노-5-(히드록시메틸)시클로펜탄-1,2-디올 히드로클로라이드 (400. mg, 218 mmol), 탄산칼륨 (602 mg, 4.36 mmol) 및 1,4-디옥산 (3.60 mL)의 혼합물을 MWI를 이용하여 20분간 150℃로 가열하였다. DCM 중의 2 내지 7% MeOH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750. mg, 88%). LC/MS: Rt = 1.42 min, ES+ 392 (FA standard).
단계 c: [(3 a R ,4 R ,6 R ,6 a S )-6-({4- 클로로 -6-[(1 S )-2,3- 디히드로 -1 H - 인덴 -1-일아미노]-1,3,5-트리아진-2-일}아미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메탄올
표제 화합물을 (1R,2S,3R,5R)-3-({4-클로로-6-[(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1,3,5-트리아진-2-일}아미노)-5-(히드록시메틸)시클로펜탄-1,2-디올을 사용하여 실시예 1b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LC/MS: Rt = 1.81 min, ES+ 432 (FA standard).
단계 d: [(3 a R ,4 R ,6 R ,6 a S )-6-({4-[(1 S )-2,3- 디히드로 -1 H - 인덴 -1- 일아미노]-1,3,5-트리아진-2-일}아미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메탄올
EtOH (2.91 mL) 중의 [(3aR,4R,6R,6aS)-6-({4-클로로-6-[(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1,3,5-트리아진-2-일}아미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메탄올 (182 mg, 0.421 mmol) 용액에 10% 탄소상 팔라듐 (44.8 m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수소 분위기하에서 2일간 정치시켰다.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한 후, DCM 중의 5% MeOH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80.0 mg, 48%). LC/MS: Rt = 1.24 min, ES+ 398 (FA standard).
단계 e: [(1 R ,2 R ,3 S ,4 R )-4-({4-[(1 S )-2,3- 디히드로 -1 H - 인덴 -1- 일아미노]-1,3,5-트리아진-2-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표제 화합물을 [(3aR,4R,6R,6aS)-6-({4-[(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1,3,5-트리아진-2-일}아미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메탄올과 피리딘을 사용하여 실시예 1d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96
실시예 27: [(1R,2R,3S,4R)-2,3-디히드록시-4-(이소니코티노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28)
단계 a: 3차 -부틸 (1 R ,4 S ,5 R ,6 S )-5,6-디히드록시-3-옥소-2- 아자비시클로[2.2.1]헵탄-2-카르복실레이트
아세톤 (20.0 mL) 중의 3차-부틸 (1R,4S)-3-옥소-2-아자비시클로[2.2.1]헵트-5-엔-2-카르복실레이트 (500. mg, 2.39 mmol) 용액에 H2O 중의 사산화오스뮴 4% 수용액 (0.015 mL, 0.00239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에 N-메틸모르몰린 N-옥시드 10.2 M 수용액 (0.262 mL, 2.67 mmol)을 1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이 시점에서, 중아황산나트륨 0.240 M 수용액 (1.00 mL, 0.240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DCM 중의 20 내지 70% EtOAc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420. mg, 72%). LC/MS: Rt = 0.94 min, ES+ 244 (FA standard).
단계 b: 3차 -부틸 (1 R ,4 S ,5 R ,6 S )-5,6- 비스 ( 벤조일옥시 )-3-옥소-2- 아자비시클로[2.2.1]헵탄-2-카르복실레이트
DCM (5.00 mL) 중의 3차-부틸 (1R,4S,5R,6S)-5,6-디히드록시-3-옥소-2-아자비시클로[2.2.1]헵탄-2-카르복실레이트 (2.00 g, 8.22 mmol), 피리딘 (5.00 mL, 61.8 mmol), Et3N (2.29 mL, 16.4 mmol) 및 DMAP (100. mg, 0.818 mmol)의 용액을 0℃로 냉각시키고, 벤조일 클로라이드 (4.77 mL, 41.1 mmol)를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23℃로 가온되게 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물을 DCM으로 희석시키고, 포화 수성 NaHCO3 (3x), 황산구리(II) 용액 (3x) 및 물 (3x)로 세척하였다. 그 후,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5 내지 40% EtOAc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2.92 g, 79%). LC/MS: Rt = 2.15 min, ES+ 452 (FA standard).
단계 c: (1 R ,2 S ,3 R ,5 R )-3-[( 3차 - 부톡시카르보닐 )아미노]-5-( 히드록시메틸)시클로펜탄-1,2-디일 디벤조에이트
MeOH (60.0 mL) 중의 3차-부틸 (1R,4S,5R,6S)-5,6-비스(벤조일옥시)-3-옥소-2-아자비시클로[2.2.1]헵탄-2-카르복실레이트 (2.09 g, 4.62 mmol) 용액에 0℃에서 수소화붕소나트륨 (700. mg, 18.5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으로 가온되게 하였다. 1.5시간 후, 혼합물을 1.00 N HCl 용액 (20.0 mL)으로 켄칭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수성층을 DCM으로 추출하고 (3 x 50 mL), 합쳐진 유기층을 H2O (100. mL)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20 내지 60% EtOAc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50 g, 80%). LC/MS: Rt = 1.95 min, ES+ 456 (FA standard).
단계 d: (1 R ,2 S ,3 R ,5 R )-3-아미노-5-( 히드록시메틸 )시클로펜탄-1,2- 디일 디벤조에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1R,2S,3R,5R)-3-[(3차-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5-(히드록시메틸)시클로펜탄-1,2-디일 디벤조에이트 (1.42 g, 3.11 mmol)를 1,4-디옥산 중의 HCl 4.00 M 용액 (17.0 mL, 69.3 mmol)으로 처리하고, 반응물을 35분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Et2O를 첨가하여 생성물을 침전시키고, 이를 Et2O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1.05 g, 90%). LC/MS: Rt = 1.06 min, ES+ 356 (FA standard).
단계 e: (1 S ,2 R ,3 R ,5 R )-3-( 히드록시메틸 )-5-( 이소니코티노일아미노 )시클로펜탄-1,2-디일 디벤조에이트
0℃에서 DCM (10.0 mL) 중의 (1R,2S,3R,5R)-3-아미노-5-(히드록시메틸)시클로펜탄-1,2-디일 디벤조에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150. mg, 0.380 mmol) 용액을 Et3N (0.170 mL, 1.22 mmol)로 처리하고, 20분간 교반하였다. 그 후, 이소니코티노일 클로라이드 (88.0 mg, 0.49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염화암모늄 포화 수용액 (50 mL)으로 처리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2 x 50 mL). 합쳐진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DCM 중의 0 내지 10% MeOH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00. mg, 60%). LC/MS: Rt = 1.49 min, ES+ 461 (FA standard).
단계 f: (1 S ,2 R ,3 R ,5 R )-3-{[( 아미노설포닐 ) 옥시 ] 메틸 }-5-( 이소니코티노일아미노)시클로펜탄-1,2-디일 디벤조에이트
0℃에서 ACN (10.0 mL) 중의 (1S,2R,3R,5R)-3-(히드록시메틸)-5-(이소니코티노일아미노)시클로펜탄-1,2-디일 디벤조에이트 (160. mg, 0.350 mmol) 용액에 DBU (0.0600 mL, 0.401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15분간 교반하였다. 그 후, 새로 제조된 클로로설폰아미드 1.40 M 용액 (0.500 mL, 0.700 mmol, 실시예 1d에서 제조된 것)을 시린지를 통해 적가하고, 혼합물을 0℃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실온으로 가온되게 하였다.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DCM 중의 0 내지 10% MeOH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50.0 mg, 27%). LC/MS: Rt = 1.57 min, ES+ 540. (FA standard).
단계 g: [(1 R ,2 R ,3 S ,4 R )-2,3-디히드록시-4-( 이소니코티노일아미노 ) 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28)
MeOH 중의 암모니아 7.00 M 용액 (1.50 mL, 10.5 mmol) 중의 (1S,2R,3R,5R)-3-{[(아미노설포닐)옥시]메틸}-5-(이소니코티노일아미노)시클로펜탄-1,2-디일 디벤조에이트 (61.1 mg, 0.113 mmol) 용액을 2일간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16분에 걸쳐 0.1% FA/99% H2O/1% ACN 중의 0.1% FA/95% ACN/5% H2O의 5 내지 70% 구배로 용리되는 역상 C18 제조 HPLC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5.0 mg, 40%).
Figure pat00097
실시예 28: {(1R,2R,3S,4R)-2,3-디히드록시-4-[(피리딘-2-일카르보닐)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23)
표제 화합물을 단계 c에서 피리딘-2-카르보닐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27a-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98
실시예 29: {(1R,2R,3S,4R)-2,3-디히드록시-4-[(피리딘-3-일카르보닐)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6)
표제 화합물을 단계 c에서 니코티노일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27a-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99
하기 추가의 화합물을 또한 제조하였다.
실시예 30: [(1S,2S,4R)-4-({6-[(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31)
표제 화합물을 (S)-2-아미노인단을 사용하여 실시예 34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요망 화합물과 (1S,2S,4R)-4-({6-[(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2-(히드록시메틸)시클로펜틸 설파메이트의 4:1 혼합물로서 제조하였다. [(1S,2S,4R)-4-({6-[(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에 대한 분석 데이터:
Figure pat00100
(1S,2S,4R)-4-({6-[(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2-(히드록시메틸)시클로펜틸 설파메이트에 대한 분석 데이터:
Figure pat00101
실시예 31: [(1S,2S,4R)-4-({6-[(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5-메틸피리미딘-4-일}옥시)-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32)
표제 화합물을 (S)-2-아미노인단과 4,6-디클로로-5-메틸피리미딘을 사용하여 실시예 34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02
실시예 32: [(1S,2S,4S)-4-({6-[(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메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33)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85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03
실시예 33: ((1S,3S)-3-{[8-(1-나프틸)-9H-퓨린-6-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52)
단계 a: 6- 클로로 -8-(1- 나프틸 )-9 H -퓨린
포스포릴 클로라이드 (2.0 mL, 0.021 mol) 중의 6-클로로-4,5-디아미노피리미딘 (519 mg, 0.00359 mol)과 1-나프탈렌카르복실산 (618 mg, 0.00359 mol)의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하에서 110℃에서 5.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잔류물을 에테르로 수 회 세척하였다. 잔류물을 CH2Cl2와 수성 NaHCO3에 용해시켰다. 층들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EtOAc (1x) 및 CH2Cl2 (1x)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물을 포화 수성 NaHCO3,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수집하여, 오렌지색 고형물 810 mg (80%)을 수득하였다. LC/MS: Rt = 1.68 min, ES+ 261 (FA standard).
단계 b: 6- 클로로 -8-(1- 나프틸 )-9-( 테트라히드로 -2 H- 피란-2-일)-9 H -퓨린
THF (32.4 mL, 0.399 mol) 중의 6-클로로-8-(1-나프틸)-9H-퓨린 (810 mg, 0.0029 mol) 용액에 피리디늄 p-톨루엔설포네이트 (70 mg, 0.0003 mol)와 디히드로피란 (11.0 mL, 0.121 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밤새 60℃에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포화 수성 NaHCO3를 첨가하여 켄칭시키고,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 (3x). 유기층들을 합치고,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어두운 색의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내지 4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연황색 고형물 534.5 (51%) mg을 수득하였다. LC/MS: Rt = 2.03 min, ES+ 365 (FA standard).
단계 c: (1 S ,3 S )-3-( 히드록시메틸 ) 시클로펜탄올
0℃에서 THF (13.2 mL) 중의 메틸 (1S,3S)-3-히드록시시클로펜탄카르복실레이트 (472.3 mg, 0.003276 mol) 용액에 LiAlH4 (145 mg, 0.00382 mol)를 첨가하였다 (경고: 현저한 가스 발생).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물 (145 μL, 0.00805 mol), 15% 수성 NaOH (145 μL) 및 물 (435 μL)을 적가하여 0℃에서 켄칭시켰다. 생성된 회색 현탁액을 밤새 격렬히 교반하였다. 생성된 오프 화이트(off white) 현탁액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시키고, THF와 MeOH로 린싱하였다. 합쳐진 유기물을 농축시켜서 오프-옐로우(off-yellow) 고형물 454.3 mg (>99%)을 수득하였다. 상기 물질을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단계 d: (1 S ,3 S )-3-({[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 메틸 ) 시클로펜탄올
질소 분위기하에서 DMF (35.8 mL) 중의 (1S,3S)-3-(히드록시메틸)시클로펜탄올 (453.0 mg, 0.003276 mol)과 1H-이미다졸 (669 mg, 0.00983 mol)의 용액에 3차-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 (494 mg, 0.00328 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25시간 동안 교반한 후, 3차-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 (49 mg, 0.00033 mol)를 첨가하였다. 추가로 1시간 교반시킨 후, 반응물을 물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3x),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30% EtOAc/헥산을 사용하는 실리카의 플러그를 통해 여과시켜, 표제 화합물 234.1 mg (31%)을 수득하였다.
단계 e: 6-{[(1 S ,3 S )-3-({[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 메틸 ) 시클로펜틸 ]옥시}-8-(1-나프틸)-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
질소 분위기하에서 0℃에서 DMF (3.6 mL) 중의 (1S,3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탄올 (111.0 mg, 0.0004817 mol) (톨루엔과 공비증류됨) 용액에 수소화나트륨 (24.1 mg, 0.000602 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분간 교반하였다. 이러한 차가운 용액에 DMF (1.8 mL) 중의 6-클로로-8-(1-나프틸)-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 (163 mg, 0.000401 mol) 용액을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DMF (1.0 mL)로 린싱하고, 이를 또한 반응물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켄칭시키고,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 (3x). 합쳐진 유기층들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수집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크로마토그래피 (10 내지 4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백색 고형물로서 표제 화합물 156.9 mg (70%)을 수득하였다.
단계 f: ((1 S ,3 S )-3-{[8-(1- 나프틸 )-9H-퓨린-6-일] 옥시 } 시클로펜틸 )메탄
THF (3.8 mL) 중의 6-{[(1S,3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8-(1-나프틸)-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 (156.9 mg, 0.0002808 mol)의 교반된 용액에 물 (3.8 mL) 및 AcOH (7.6 m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NaHCO3를 서서히 첨가하여 켄칭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 (3x). 합쳐진 유기층들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5% MeOH/CH2Cl2)에 의해 정제하여, 백색 고형물로서 표제 화합물 85.7 mg (85%)을 수득하였다. LC/MS: Rt = 1.51 min, ES+ 361 (FA standard).
단계 g: ((1 S ,3 S )-3-{[8-(1- 나프틸 )-9H-퓨린-6-일] 옥시 } 시클로펜틸 ) 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52)
0℃에서 DMA (8.12 mL) 중의 ((1S,3S)-3-{[8-(1-나프틸)-9H-퓨린-6-일]옥시}시클로펜틸)메탄올 (66.1 mg, 0.000183 mol) 용액에 CH3CN (2.0 mL) 중의 클로로설폰아미드 (106 mg, 0.000917 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10분간 교반한 후, 23℃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로 켄칭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3x). 합쳐진 유기물을 물로 세척하고 (2x),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6% MeOH/CH2Cl2)에 의해 정제하여, 백색 고형물로서 표제 화합물 56.3 mg (70%)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04
실시예 34: {(1S,2S,4R)-2-히드록시-4-[(6-{[(1R,2S)-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15)
단계 h: 4-{[(1 R ,3 S ,4 S )-3-{[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6-클로로피리미딘
질소 분위기하에서 0℃의 THF (2 mL) 중의 수소화나트륨 (75.6 mg, 0.00189 mol) 현탁액에 0℃에서 1.5 mL THF 중의 (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탄올 (0.60 g, 0.0017 mol)을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10분간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혼합물에 0℃에서 2 mL THF 중의 4,6-디클로로-피리미딘 (0.225 g, 0.00151 mol)을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9 mL 포화 수성 NH4Cl로 켄칭시키고, t-BuOMe로 추출하였다 (3x). 유기층들을 합치고,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MgSO4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켜서, 오일 0.804 g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1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0.63 g (80%)을 수득하였다.
단계 b: 6-{[(1 R ,3 S ,4 S )-3-{[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N-[(1R,2S)-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피리미딘-4-아민
1-부탄올 (0.97 mL, 0.011 mol) 중의 4-{[(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6-클로로피리미딘 (260.0 mg, 0.0005494 mol), (1R,2S)-2-메톡시인단-1-아민 (0.359 g, 0.00220 mol) 및 트리에틸아민 (115 μL, 0.000824 mol)의 혼합물을 30분간 마이크로파 조사 (300 watts, 200℃) 처리하였다. 생성된 암갈색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15%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0.26 g (79%)을 수득하였다. LC/MS: Rt = 3.42 min, ES+ 600 (AA standard).
단계 c: {(1 S ,2 S ,4 R )-2-{[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6-{[(1 R ,2 S )-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탄올
THF (2.88 mL), 물 (2.88 mL) 및 아세트산 (8.64 mL) 중의 6-{[(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N-[(1R,2S)-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피리미딘-4-아민 (0.32 g, 0.00053 mol) 용액을 3일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농축시키고, 톨루엔과 2회 공비증류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30 내지 8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0.20 g (77%)을 수득하였다. LC/MS: Rt = 1.59 min, ES+ 486 (FA standard).
단계 d: {(1 S ,2 S ,4 R )-2-{[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4-[(6-{[(1R,2S)-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의 단계 d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LC/MS: Rt = 2.16 min, ES+ 565 (FA standard).
단계 e: {(1 S ,2 S ,4 R )-2-히드록시-4-[(6-{[(1R,2S)-2- 메톡시 -2,3- 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15)
피리딘 (3.44 mL)과 THF (3.44 mL) 중의 {(1S,2S,4R)-2-{[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6-{[(1R,2S)-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0.239 g, 0.000423 mol) 용액에 피리딘 히드로플루오라이드 (0.953 mL, 0.0106 mol)를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추가량의 피리딘 히드로플루오라이드 (0.50 mL, 0.0055 mol)를 첨가하였다. 2.75시간 후, 포화 수성 NaHCO3를 서서히 적가하여 반응물을 켄칭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4x). 합쳐진 유기상을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10% MeOH/CH2Cl2)에 의해 정제한 후, 제조 플레이트 크로마토그래피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00 mg (52%)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05
실시예 35: {(1S,2S,4R)-2-히드록시-4-[(4-{[(1R,2S)-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1,3,5-트리아진-2-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25)
단계 a: (1 S ,3 S ,4 S )-3-[( 벤질옥시 ) 메틸 ]-4-{[ 3차 -부틸(디메틸)실릴] 시}시클로펜탄올
EtOAc (90 mL) 중의 (1R,4S)-3-[(벤질옥시)메틸]-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시클로펜트-2-엔-1-올 (7.54 g, 0.0225 mol) (Ruediger, E; Martel, A; Meanwell, N; Solomon, C; Turmel, B. Tetrahedron Lett . 2004, 45, 739-742), 탄산나트륨 (5.7 g, 0.054 mol) 및 10% Pd/C (2 g, 0.002 mol)의 현탁액을 수소 분위기하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플라스크를 질소로 퍼징하고, 혼합물을 EtOAc를 사용하는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시켰다. 여액을 농축시켜서, 4:1 부분입체이성질체 (요망:비요망) 혼합물로서 표제 화합물 7.16 g (76%)을 수득하였다.
단계 b: (1 S ,3 S ,4 S )-3-[( 벤질옥시 ) 메틸 ]-4-{[ 3차 -부틸(디메틸)실릴] 시}시클로펜틸 메탄설포네이트
CH2Cl2 (96 mL) 중의 (1S,3S,4S)-3-[(벤질옥시)메틸]-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시클로펜탄올 (2.04 g, 0.00606 mol)의 교반된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서 피리딘 (2.4 mL, 0.030 mol), DMAP (100 mg, 0.001 mol) 및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700 μL, 0.0091 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3℃에서 45분간 교반한 후, 3시간 동안 40℃로 가온시켰다. 반응물에 DMAP (100 mg, 0.001 mol) 및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700 mL, 0.0091 mol)를 첨가하였다. 40분간 교반시킨 후, 반응물을 냉각시킨 후,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15%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하나의 이성질체 (단계 a로부터의 분리된 비요망 부분입체이성질체)로서 표제 화합물 1.39 g (55%)을 수득하였다.
단계 c: ({(1 S ,2 S ,4 R )-4- 아지도 -2-[( 벤질옥시 ) 메틸 ] 시클로펜틸 } 옥시 )( 3 차-부틸)디메틸실란
0℃에서 THF (2.7 mL) 중의 (1S,3S,4S)-3-[(벤질옥시)메틸]-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시클로펜탄올 (138.9 mg, 0.0004127 mol)과 PPh3 (118 mg, 0.000451 mol) 용액에 DEAD (71.1 μL, 0.000451 mol)를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5분간 교반한 후, 디페닐포스폰산 아지드 (97.4 μL, 0.000452 mol)를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과 EtOAc를 사용하여 분배시켰다. 층들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EtOAc로 추출하였다 (2x). 합쳐진 유기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1x),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수집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1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93.5 mg (63%)을 수득하였다.
단계 d: (1 R ,3 S ,4 S )-3-[( 벤질옥시 ) 메틸 ]-4-{[ 3차 -부틸(디메틸)실릴] 시}시클로펜탄아민
EtOAc (23.9 mL) 중의 ({(1S,2S,4R)-4-아지도-2-[(벤질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3차-부틸)디메틸실란 (2.20 g, 0.00608 mol)과 10% Pd/C (0.16 g, 0.00015 mol)의 현탁액을 수소 분위기하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질소로 퍼징하고, 혼합물을 EtOAc를 사용하는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시켰다. 여액을 농축시켜서 표제 화합물 2.01 g (98%)을 수득하였다.
단계 e: 4,6- 디클로로 -N-[(1 R ,2 S )-2- 메톡시 -2,3- 디히드로 -1H- 인델 -1-일]-1,3,5-트리아진-2-아민
THF (1 mL) 중의 (1R,2S)-2-메톡시인단-1-아민 (242.8 mg, 0.001488 mol) 용액에 0℃에서 시아누르산 클로라이드 (313 mg, 0.00170 mol)에 이어 DIPEA (300 μL, 0.002 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에 붓고, CH2Cl2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15%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29.1 mg (49%)을 수득하였다. LC/MS: Rt = 2.03 min, ES+ 311 (FA standard).
단계 f: N -((1 R ,3 S ,4 S )-3-[( 벤질옥시 ) 메틸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시클로펜틸)-6-클로로-N'-[(1R,2S)-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1,3,5-트리아진-2,4-디아민
THF (2.1 mL) 중의 (1R,3S,4S)-3-[(벤질옥시)메틸]-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시클로펜탄아민 (486.5 mg, 0.001450 mol)과 트리에틸아민 (0.55 mL, 0.0040 mol)의 용액에 4,6-디클로로-N-[(1R,2S)-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1,3,5-트리아진-2-아민 (410 mg, 0.0013 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25%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50 mg (31%)을 수득하였다. LC/MS: Rt = 2.96 min, ES+ 610 (FA standard).
단계 g: {(1 S ,2 S ,4 R )-2-{[3차-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4-{[(1 R ,2 S )-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1,3,5-트리아진-2-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탄올
메탄올 (1.61 mL) 중의 N-((1R,3S,4S)-3-[(벤질옥시)메틸]-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시클로펜틸)-6-클로로-N'-[(1R,2S)-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1,3,5-트리아진-2,4-디아민 (250 mg, 0.00041 mol)과 10% Pd/C (44 mg, 0.000041 mol)의 현탁액을 수소 분위기하에서 2일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질소로 퍼징하고, EtOAc를 사용하는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시켰다. 여액을 농축시켜서 황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상기 오일을 CH2Cl2와 포화 NaHCO3에 취하였다. 층들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CH2Cl2로 추출하였다 (1x). 합쳐진 유기물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10% MeOH/CH2Cl2)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14 mg (57%)을 수득하였다. LC/MS: Rt = 1.68 min, ES+ 486 (FA standard).
단계 h: {(1 S ,2 S ,4 R )-2-히드록시-4-[(4-{[(1 R ,2 S )-2- 메톡시 -2,3- 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1,3,5-트리아진-2-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34의 단계 d-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1H NMR (화합물은 1H NMR에 의해 ~1:1 로타머(rotamer) 혼합물로서 존재함)
Figure pat00106
실시예 36: [(1S,2S,4R)-4-({4-[(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1,3,5-트리아진-2-일}아미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53)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35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1H NMR (화합물1H NMR에 의해 ~1:1 로타머(rotamer) 혼합물로서 존재함)
Figure pat00107
실시예 37: [(1S,2S,4R)-2-히드록시-4-({6-[(1S)-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40)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34의 단계 a-c (단계 b에서 (S)-(+)-1,2,3,4-테트라히드로-1-나프틸아민을 사용함) 및 실시예 65의 단계 d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08
실시예 38: ((1S,2S,4R)-4-{[6-(1,3-디히드로-2H-이소인돌-2-일)피리미딘-4-일]옥시}-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20)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34의 단계 a-c (단계 b에서 이소인돌린을 사용함) 및 실시예 65의 단계 d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09
실시예 39: ((1S,2S,4R)-4-{[6-(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피리미딘-4-일]옥시}-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61)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34의 단계 a-c (단계 b에서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을 사용함) 및 실시예 65의 단계 d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10
실시예 40: [(1S,2S,4R)-2-히드록시-4-(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97)
단계 a: 4-{[(1 R ,3 S ,4 S )-3-{[3차-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피리미딘
메탄올 (1.1 mL) 중의 4-{[(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6-클로로피리미딘 (115.5 mg, 0.0002441 mol), 탄산나트륨 (62 mg, 0.00058 mol) 및 10% Pd/C (26 mg, 0.000024 mol)의 현탁액을 수소 분위기하에서 2일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질소로 퍼징하고, EtOAc를 사용하는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시켰다. 여액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15%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80 mg (70%)을 수득하였다.
단계 b: [(1 S ,2 S ,4 R )-2-히드록시-4-(피리미딘-4- 일옥시 ) 시클로펜틸 ] 메틸 설파메이트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34의 단계 b 및 실시예 65의 단계 d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11
실시예 41: [(1S,2S,4R)-4-({6-[(4-클로로벤질)옥시]피리미딘-4-일}옥시)-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89)
단계 a: 4-{[(1 R ,3 S ,4 S )-3-({[3차-부틸(디메틸)실릴] 옥시 } 메틸 )-4-(1,1,2,2-테트라메틸프로폭시)시클로펜틸]옥시}-6-[(4-클로로벤질)옥시]피리미딘
질소 분위기하에서 DMF (1 mL) 중의 4-{[(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6-클로로피리미딘 (0.205 g, 0.000433 mol)과 4-클로로벤질 알코올 (0.130 g, 0.000910 mol)의 용액에 수소화나트륨 (36.4 mg, 0.000910 mol) (오일 중의 60%)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3.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로 반응물을 켄칭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MgSO4),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7%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98 mg (40%)을 수득하였다.
단계 b: [(1 S ,2 S ,4 R )-4-({6-[(4- 클로로벤질 ) 옥시 ]피리미딘-4-일} 옥시 )-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34의 단계 b 및 실시예 65의 단계 d (이어서 2차 실릴기가 TBAF 제거됨)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12
실시예 42: N-({(1S,2S,4R)-2-히드록시-4-[(6-{[(1R,2S)-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설파미드 (화합물 I-82)
단계 a: 3차 -부틸 ( 아미노설포닐 )({(1 S ,2 S ,4 R )-2-{[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4-[(6-{[(1R,2S)-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카르바메이트
질소 분위기하에서 EtOAc (4.15 mL) 중의 {(1S,2S,4R)-2-{[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6-{[(1R,2S)-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탄올 (105.3 mg, 0.0002168 mol), N-Boc-설폰아미드 (58.9 mg, 0.000300 mol) 및 트리페닐포스핀 (85.3 mg, 0.000325 mol)의 용액에 디에틸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51.9 μL, 0.000330 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오렌지색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내지 5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35.2 mg (94%)을 수득하였다.
단계 b: 3차 -부틸 ( 아미노설포닐 )({(1 S ,2 S ,4 R )-2-히드록시-4-[(6-{[(1R,2S)-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카르바메이트
0℃에서 THF (1.84 mL, 0.0228 mol)와 피리딘 (1.84 mL) 중의 3차-부틸 (아미노설포닐)({(1S,2S,4R)-2-{[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6-{[(1R,2S)-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카르바메이트 (331.5 mg, 0.0004094 mol) 용액에 피리딘 히드로플루오라이드 (0.25 mL, 0.0028 mol)를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23℃로 서서히 가온되게 하고, 19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에 피리딘 히드로플루오라이드 (0.25 mL, 0.0028 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추가로 6시간 교반하였다. 포화 수성 NaHCO3를 첨가하여 반응물을 켄칭시켰다. 혼합물을 추가의 포화 수성 NaHCO3 및 EtOAc를 사용하여 분배시키고, 분리하고, 수성층을 EtOAc (2x) 및 CH2Cl2 (2x)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30 내지 7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34.5 mg (15%)을 수득하였다. LC/MS: Rt = 1.64 min, ES+ 550 (FA standard).
단계 c: N -({(1 S ,2 S ,4 R )-2-히드록시-4-[(6-{[(1 R ,2 S )-2- 메톡시 -2,3- 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설파미드
CH2Cl2 (1.4 mL) 중의 3차-부틸 (아미노설포닐)({(1S,2S,4R)-2-히드록시-4-[(6-{[(1R,2S)-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카르바메이트 (34.5 mg, 0.0000628 mol)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0.70 mL, 0.0091 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5분간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톨루엔으로 희석시키고,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10% MeOH/CH2Cl2)에 의해 정제하여, 백색 잔류물로서 표제 화합물 23.8 mg (84%)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13
실시예 43: [(1R,2R,3S,4R)-4-({4-[(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6-메틸-1,3,5-트리아진-2-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45)
단계 a: 4- 클로로 - N -[(1 S )-2,3- 디히드로 -1H- 인덴 -1-일]-6- 메틸 -1,3,5- 리아진-2-아민
0℃에서 DMF (3.50 mL)와 톨루엔 (1.5 mL) 중의 2,4-디클로로-6-메틸-1,3,5-트리아진 (0.90 g, 0.0055 mol) 용액에 (S)-(+)-1-아미노인단 (0.64 mL, 0.0050 mol)에 이어 DIPEA (0.991 mL, 0.00569 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에 붓고, CH2Cl2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15 %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0.69 g (53%)을 수득하였다.
*단계 b: N -[(3 a S ,4 R ,6 S ,6 a R )-6-({[3차-부틸(디메틸)실릴] 옥시 } 메틸 )-2,2-디메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N'-[(1S)-2,3-디히드로-1H-인덴-1-일]-6-메틸-1,3,5-트리아진-2,4-디아민
1,4-디옥산 (0.77 mL) 중의 (3aS,4R,6R,6aR)-6-({[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아민 (141.8 mg, 0.0004703 mol), 4-클로로-N-[(1S)-2,3-디히드로-1H-인덴-1-일]-6-메틸-1,3,5-트리아진-2-아민 (127.1 mg, 0.0004876 mol) 및 탄산칼륨 (0.130 g, 0.000940 mol)의 혼합물을 30분간 마이크로파 조사 (300 watts, 160℃)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CH2Cl2를 사용하여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내지 10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60 mg (24%)을 수득하였다. LC/MS: Rt = 2.03 min, ES+ 279 (FA standard).
단계 c: [(3 a R ,4 R ,6 R ,6 a S )-6-({4-[(1 S )-2,3- 디히드로 -1H- 인덴 -1- 일아미노]-6-메틸-1,3,5-트리아진-2-일}아미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메탄올
THF (1 mL) 중의 N-[(3aS,4R,6S,6aR)-6-({[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N'-[(1S)-2,3-디히드로-1H-인덴-1-일]-6-메틸-1,3,5-트리아진-2,4-디아민 (0.23 g, 0.00044 mol) 용액에 THF (1.31 mL) 중의 1.00 M TBAF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30분간 교반하였다. 용액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4% MeOH/EtOAc)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10 mg (>99%)을 수득하였다. LC/MS: Rt = 1.24 min, ES+ 412 (FA standard).
단계 d: [(1 R ,2 R ,3 S ,4 R )-4-({4-[(1 S )-2,3- 디히드로 -1H- 인덴 -1- 일아미노]-6-메틸-1,3,5-트리아진-2-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65의 단계 d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14
실시예 44: {(1S,2S,4R)-2-히드록시-4-[(6-{[(1R,2S)-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47)
단계 d: N -[(1 R ,3 S ,4 S )-3-{[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6-클로로피리미딘-4-아민
EtOH (3.0 mL) 중의 (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탄아민 (0.400 g, 1.11 mmol) 용액에 4,6-디클로로-피리미딘 (0.199 g, 1.33 mmol) 및 Et3N (0.310 mL, 2.2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마이크로파 조사를 사용하여 밀봉 튜브에서 1시간 동안 140℃로 가열한 후,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CH2Cl2에 용해시키고,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CH2Cl2)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300 g, 57%).
단계 b: N -[(1 R ,3 S ,4 S )-3-{[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N'-[(1R,2S)-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피리미딘-4,6-디아민
N-[(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6-클로로피리미딘-4-아민 (0.114 g, 2.42 mmol), (1R,2S)-2-메톡시인단-1-아민 (0.170 g, 1.04 mmol) 및 Na2CO3 (0.10 g, 0.97 mmol)의 혼합물을 오일조(oil bath)을 사용하여 밀봉 튜브에서 2시간 동안 180℃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여과시켰다. 여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50 내지 60 %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베이지색 포움(foam)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066 g, 46%). LC/MS: Rt = 2.20 min, ES+ 599 (포름산).
단계 c: {(1 R ,2 R ,4 S )-2-{[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6-{[(1 S ,2 R )-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탄올
THF (1.70 mL)와 H2O (1.70 mL) 중의 N-[(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N'-[(1R,2S)-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피리미딘-4,6-디아민 (0.188 g, 0.314 mmol) 용액에 AcOH (5.08 m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밤새 교반한 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5 % MeOH/EtOAc)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112 g, 74%). LC/MS: Rt = 1.46 min, ES+ 485 (포름산).
단계 d: {(1 R ,2 R ,4 S )-2-히드록시-4-[(6-{[(1 S ,2 R )-2- 메톡시 -2,3- 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47)
무수 아세토니트릴 (2.3 mL) 중의 {(1R,2R,4S)-2-{[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6-{[(1S,2R)-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탄올 (0.112 g, 0.231 mmol) (톨루엔과 공비증류됨)과 피리딘 (0.0374 mL, 0.462 mmol)의 용액을 0℃로 냉각시켰다. 아세토니트릴 (0.116 mL) 중의 클로로설폰아미드 2 N 용액을 적가하고, 반응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로 아세토니트릴 (0.026 mL) 중의 클로로설폰아미드 2 N 용액과 피리딘 (0.0041 g, 0.052 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메탄올로 켄칭시켰다. 용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10%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백색 고형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059 g, 57%).
Figure pat00115
실시예 45: {(1S,2S,4R)-4-[(6-{[(1S)-3,3-디메틸-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24)
표제 화합물을 단계 b에서 (1S)-3,3-디메틸인단-1-아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34의 단계 a-e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16
실시예 46: {(1S,2S,4R)-4-[(4-{[(1S)-3,3-디메틸-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1,3,5-트리아진-2-일)아미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34)
단계 a: 4,6- 디클로로 - N -[(1 S )-3,3-디메틸-2,3- 디히드로 -1 H- 인덴 - 1-일]-1,3,5-트리아진-2-아민
0℃로 냉각된 THF (3 mL) 중의 (1S)-3,3-디메틸인단-1-아민 (0.67 g, 4.2 mmol) 용액에 시아누르산 클로라이드 (0.874 g, 4.74 mmol)를 첨가하여, 백색 고형물을 생성시켰다. DIPEA (0.724 mL, 4.16 mmol)를 첨가하고, 황색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H2O로 반응물을 켄칭시키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3x). 합쳐진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수집하여, 엷은 황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25%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백색 고형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771 g, 60%). LC/MS: Rt = 2.20 min, ES+ 310 (FA standard).
단계 b: N -[(1 R ,3 S ,4 S )-3-{[3차-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6-클로로-N'-[(1S)-3,3-디메틸-2,3-디히드로-1H-인덴-1-일]-1,3,5-트리아진-2,4-디아민
THF (0.80 mL) 중의 (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탄아민 (0.200 g, 0.556 mmol), TEA (0.21 mL, 1.50 mmol)의 용액에 4,6-디클로로-N-[(1S)-3,3-디메틸-2,3-디히드로-1H-인덴-1-일]-1,3,5-트리아진-2-아민 (0.160 g, 0.500 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3.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제조 TLC (10% EtOAc/헥산)에 이어 DCM에 의해 정제하였다. 관련 밴드를 절단하고, 아세톤을 사용하여 세척하고,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228 g, 71%). LC/MS: Rt = 2.77 min, ES+ 633 (FA standard).
단계 c: {(1 R ,2 R ,4 S )-2-{[3차-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4- 클로로 -6-{[(1R)-3,3-디메틸-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1,3,5-트리아진-2-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탄올
표제 화합물을 N-[(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6-클로로-N'-[(1S)-3,3-디메틸-2,3-디히드로-1H-인덴-1-일]-1,3,5-트리아진-2,4-디아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44의 단계 c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LC/MS: Rt = 2.20 min, ES+ 518, 520 (FA standard).
단계 d: {(1 S ,2 S ,4 R )-2-{[3차-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4-{[(1 S )-3,3-디메틸-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1,3,5-트리아진-2-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탄올
EtOH (1.11 mL) 중의 {(1R,2R,4S)-2-{[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4-클로로-6-{[(1R)-3,3-디메틸-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1,3,5-트리아진-2-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탄올 (0.083 g, 0.16 mmol) 용액에 Pd (탄소상 10%) (0.0170 g, 0.016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수소 분위기하에서 4일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30분간 질소로 퍼징한 후, Pd(OH)2 (탄소상 20%, 건조 중량) (0.022 g, 0.016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수소 분위기하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시킨 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50-100 %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027 g, 35%). LC/MS: Rt = 1.81 min, ES+ 484 (FA standard).
단계 e: {(1 S ,2 S ,4 R )-4-[(4-{[(1 S )-3,3-디메틸-2,3- 디히드로 -1 H - 인덴 -1-일]아미노}-1,3,5-트리아진-2-일)아미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34)
표제 화합물을 {(1S,2S,4R)-2-{[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4-{[(1S)-3,3-디메틸-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1,3,5-트리아진-2-일)아미노]시클로펜틸} 메탄올을 사용하여 실시예 44의 단계 d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17
실시예 47: {(1R,2R,3S,4R)-2,3-디히드록시-4-[(4-{[(1R,2S)-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1,3,5-트리아진-2-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55)
표제 화합물을 {(3aR,4R,6R,6aS)-6-[(4-{[(1R,2S)-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1,3,5-트리아진-2-일)아미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메탄올 (실시예 26에서 제조된 것)을 사용하여 실시예 46 (단계 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18
실시예 48: ((1R,2R,3S,4R)-2,3-디히드록시-4-{[6-(페닐에티닐)피리미딘-4-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08)
단계 a: (1 R ,2 S ,3 R ,5 R )-3-[(6- 클로로피리미딘 -4-일)아미노]-5-( 히드록시메틸)시클로펜탄-1,2-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8 mL) 중의 (1R,2S,3R,5R)-3-아미노-5-(히드록시메틸)시클로펜탄-1,2-디올ㆍHCl (1.00 g, 5.44 mmol)과 2-아미노-4,6-디클로로피리미딘 (0.982 g, 5.99 mmol)의 용액에 Et3N (1.90 mL, 13.6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오일조에서 1시간 동안 90℃로 가열한 후, 냉각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CH2Cl2에 용해시키고,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20 내지 50% MeOH/CH2Cl2)에 의해 정제하여, 오프-화이트 고형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2.025 g, >99%). LC/MS: Rt = 0.81 min ES+ 260 (FA standard).
단계 b: (1 S ,2 R ,3 R ,5 R )-3-( 히드록시메틸 )-5-[(6- 요오도피리미딘 -4-일)아미노]시클로펜탄-1,2-디올
히드로요오드산 (23.9 mL) 중의 (1R,2S,3R,5R)-3-[(6-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5-(히드록시메틸)시클로펜탄-1,2-디올 (1.880 g, 7.239 mmol) 용액에 요오드화나트륨 (5.42 g, 36.2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분간 70℃로 가열한 후, 농축시키고, 톨루엔을 사용하여 공비증류시켰다 (3x). 잔류물을 아세톤에 용해시키고, NaHCO3를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여과시키고, 여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24 g, >99%). LC/MS: Rt = 0.76 min ES+ 352 (FA standard).
단계 c: {(3 a R ,4 R ,6 R ,6 a S )-6-[(6- 요오도피리미딘 -4-일)아미노]-2,2- 디메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메탄올
표제 화합물을 (1S,2R,3R,5R)-3-(히드록시메틸)-5-[(6-요오도피리미딘-4-일)아미노]시클로펜탄-1,2-디올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b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LC/MS: Rt 1.24 min ES+ 392 (FA standard).
단계 d: N -[(3 a S ,4 R ,6 R ,6 a R )-6-({[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 메틸 )-2,2-디메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6-요오도피리미딘-4-아민
DMF (16.9 mL) 중의 {(3aR,4R,6R,6aS)-6-[(6-요오도피리미딘-4-일)아미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메탄올 (1.321 g, 3.38 mmol)과 1H-이미다졸 (0.552 g, 8.10 mmol)의 용액에 3차-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 (0.534 g, 3.54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용액을 H2O로 희석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3x). 합쳐진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혼합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내지 4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465 g, 86%). LC/MS: Rt = 2.47 min ES+ 506 (FA Standard).
단계 e: N -[(3 a S ,4 R ,6 R ,6 a R )-6-({[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 메틸 )-2,2-디메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6-(페닐에티닐)피리미딘-4-아민
DMF (2.46 mL) 중의 N-[(3 aS ,4R,6R,6 aR)-6-({[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6-요오도피리미딘-4-아민 (0.300 g, 0.594 mmol) 용액에 CuI (0.0113 g, 0.0594 mmol) 및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클로라이드 (0.0292 g, 0.0415 mmol)를 첨가하였다. 튜브를 밀봉하고, 아르곤으로 플러싱시켰다. Et3N (0.165 mL, 1.19 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페닐아세틸렌 (0.216 mL, 1.96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현탁액을 여과시키고, 여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혼합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내지 4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238 g, 84%). LC/MS: Rt = 2.47 min, ES+ 480 (FA standard).
단계 f: ((3 a R ,4 R ,6 R ,6 a S )-2,2-디메틸-6-{[6-( 페닐에티닐 )피리미딘-4-일]아미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 [d][1,3]디옥솔-4-일)메탄올
테플론 바이알내의 THF (2 mL)와 피리딘 (2 mL) 중의 N-[(3aS,4R,6R,6aR)-6-({[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6-(페닐에티닐)피리미딘-4-아민 (0.275 g, 0.573 mmol) 용액에 피리딘 히드로플루오라이드 (1.3 mL, 0.014 mol)를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1.5시간 동안 교반한 후, 포화 Na2CO3 수용액 (15 mL)과 EtOAc를 사용하여 켄칭시켰다. 수성층을 EtOAc로 추출하였다 (3 x 20 mL). 합쳐진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5 % MeOH/EtOAc)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고형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172 g, 82%). LC/MS: Rt = 1.29 min, ES+ 366 (FA standard).
단계 g: ((1 R ,2 R ,3 S ,4 R )-2,3-디히드록시-4-{[6-( 페닐에티닐 )피리미딘-4-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08)
표제 화합물을 ((3aR,4R,6R,6aS)-2,2-디메틸-6-{[6-(페닐에티닐)피리미딘-4-일]아미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메탄올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d-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19
실시예 49: [(1S,2S,4R)-2-히드록시-4-({6-[(1-나프틸메틸)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42)
표제 화합물을 단계 b에서 1-나프탈렌메틸아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34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20
실시예 50: [(1S,2S,4R)-2-히드록시-4-({6-[(1-나프틸메틸)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19)
단계 a: 4-{[(1 R ,3 S ,4 S )-3-{[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6-(1-나프틸메톡시)피리미딘
DMF (1 mL) 중의 4-{[(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6-클로로피리미딘 (0.200 g, 0.423 mmol)와 1-나프탈렌메탄올 (0.140 g, 0.888 mmol)의 용액에 수소화나트륨 (0.0355 g, 0.888 mmol)을 첨가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H2O로 희석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2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139 g, 55%).
단계 b: [(1S,2S,4R)-2-히드록시-4-({6-[(1- 나프틸메틸 )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표제 화합물을 4-{[(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6-(1-나프틸메톡시) 피리미딘을 사용하여 실시예 44 (단계 c-d) 및 실시예 48 (단계 f)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21
실시예 51: ((1S,2S,4R)-2-히드록시-4-{[6-(2-페닐에틸)피리미딘-4-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81)
단계 a: N -[(1 R ,3 S ,4 S )-3-{[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6-요오도피리미딘-4-아민
표제 화합물을 4,6-디요오도피리미딘을 사용하고 300초 동안 150℃로 가열하여 실시예 44의 단계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b: N -[(1 R ,3 S ,4 S )-3-{[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6-(페닐에티닐)피리미딘-4-아민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48의 단계 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LC/MS: Rt = 3.56 min, ES+ 538 (FA standard).
단계 c: N -[(1 R ,3 S ,4 S )-3-{[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6-(2-페닐에틸)피리미딘-4-아민
표제 화합물을 N-[(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6-(페닐에티닐)피리미딘-4-아민과 탄소상 Pd(OH)2 (20% 건조 중량)를 사용하여 실시예 3d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LC/MS: Rt = 2.30 min, ES+ 542 (FA standard).
단계 d: ((1S,2S,4R)-2-히드록시-4-{[6-(2- 페닐에틸 )피리미딘-4-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81)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46의 단계 c와 e 및 실시예 48의 단계 f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22
실시예 52: ((1S,2S,4R)-2-히드록시-4-{[6-(2-나프틸메톡시)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41)
표제 화합물을 2-나프탈렌메탄올을 사용하여 실시예 50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23
실시예 53: {(1S,2S,4R)-2-히드록시-4-[(6-{[(1R,2S)-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옥시}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96)
단계 a: (1 R ,2 S )-1-[(6- 클로로피리미딘 -4-일) 옥시 ]인단-2-올 및 (1R,2S)-2-[(6-클로로피리미딘-4-일)옥시]인단-1-올
표제 화합물을 (1R,2S)-인단-1,2-디올 (0.5 g, 3.00 mmol) (Yanagimachi, K. S; Stafford, D; Dexter, A; Sinskey, A; Drew, S; Stephanopoulos, G. European Journal of Biochemistry. 2001, 268, 4950-4960)을 사용하여 실시예 34의 단계 a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1.2:1 비의 2-O-피리미딘 대 1-O-피리미딘으로서 제조하였다.
* 단계 b: 4- 클로로 -6-{[(1 R ,2 S )-2- 메톡시 -2,3- 디히드로 -1 H - 인덴 -1-일] 시}피리미딘 및 4-클로로-6-{[(1R,2S)-1-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2-일]옥시}피리미딘 및 4-클로로-6-{[(1R,2S)-1-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2-일]옥시}피리미딘
질소하에서 냉각되고 환류 응축기가 구비된 4Å 분자체 (0.700g)를 함유하는 화염 건조된 플라스크에 산화은(I) (3 g, 10.0 mmol), (1R,2S)-1-[(6-클로로피리미딘-4-일)옥시]인단-2-올 (0.365 g, 1.39 mmol) 및 Et2O (10 mL)를 첨가하였다. MeI (3.08 mL, 49.5 mmol)를 알루미나 플러그를 통해 예비정제하고,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2시간 동안 40℃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Et2O로 희석시키고,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5 내지 3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1:1 혼합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540 g, 70%).
단계 c: 4-{[(1 R ,3 S ,4 S )-3-{[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6-{[(1R,2S)-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옥시}피리미딘, 및 3차-부틸{[(1S,2S,4R)-2-{[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1R,2S)-1-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2-일]옥시}페녹시)시클로펜틸]메톡시}디메틸실란, 및 4-{[(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6-{[(1S,2R)-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옥시}피리미딘, 및 3차-부틸{[(1S,2S,4R)-2-{[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1S,2R)-1-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2-일]옥시}페녹시)시클로펜틸]메톡시}디메틸실란
DMF (3 mL) 중의 (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탄올 (0.334 g, 0.928 mmol)과 수소화나트륨 (0.0779 g, 1.95 mmol)의 용액에 4-클로로-6-{[(1R,2S)-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옥시}피리미딘 (0.539 g, 1.95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H2O로 켄칭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3x). 합쳐진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MgSO4),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30 %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124 g, 22%).
단계 d: {(1 S ,2 S ,4 R )-2-히드록시-4-[(6-{[(1 R ,2 S )-2- 메톡시 -2,3- 디히드로-1H-인덴-1-일]옥시}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및 {(1S,2S,4R)-2-히드록시-4-[(6-{[(1R,2S)-1-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2-일]옥시}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및 {(1S,2S,4R)-2-히드록시-4-[(6-{[(1S,2R)-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옥시}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및 {(1S,2S,4R)-2-히드록시-4-[(6-{[(1S,2R)-1-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2-일]옥시}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96, I-79, I-98, I-77)
표제 화합물을 4-{[(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6-{[(1R,2S)-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옥시}피리미딘, 및 3차-부틸{[(1S,2S,4R)-2-{[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1R,2S)-1-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2-일]옥시}페녹시)시클로펜틸]메톡시}디메틸실란, 및 4-{[(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6-{[(1S,2R)-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옥시}피리미딘, 및 3차-부틸{[(1S,2S,4R)-2-{[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1S,2R)-1-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2-일]옥시}페녹시)시클로펜틸]메톡시}디메틸실란을 사용하여 실시예 51의 단계 d에 기재된 절차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54: {(1S,2S,4R)-2-히드록시-4-[(6-{[(1R,2S)-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옥시}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96)
Figure pat00124
실시예 55: {(1S,2S,4R)-2-히드록시-4-[(6-{[(1R,2S)-1-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2-일]옥시}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79)
Figure pat00125
실시예 56: {(1S,2S,4R)-2-히드록시-4-[(6-{[(1S,2R)-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옥시}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98)
Figure pat00126
실시예 57: {(1S,2S,4R)-2-히드록시-4-[(6-{[(1S,2R)-1-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2-일]옥시}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77)
Figure pat00127
실시예 58: {(1S,2S,4R)-2-히드록시-4-[(6-페닐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14)
단계 a: 4-{[(1 R ,3 S ,4 S )-3-{[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6-페닐피리미딘
4-{[(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6-클로로피리미딘 (0.300 g, 0.634 mmol), 페닐붕소산 (0.0696 g, 0.570 mmol), H2O (0.317 mL) 중의 K2CO3 2.00 M 용액, EtOH (0.0944 mL) 및 톨루엔 (1.417 mL)을 함유하는 플라스크를 20분간 아르곤으로 퍼징하였다.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0.0264 g, 0.0229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밤새 환류시켰다.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H2O로 희석시켰다. 수성층을 CH2Cl2로 추출하였다 (3x). 합쳐진 유기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MgSO4),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1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224 g, 76%).
단계 b: {(1 S ,2 S ,4 R )-2-히드록시-4-[(6- 페닐피리미딘 -4-일) 옥시 ] 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14)
표제 화합물을 4-{[(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6-페닐피리미딘을 사용하여 실시예 46의 단계 c와 e 및 실시예 48의 단계 f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28
실시예 59: {(1S,2S,4R)-4-[(6-벤질피리미딘-4-일)옥시]-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32)
단계 a: 4-벤질-6-{[(1 R ,3 S ,4 S )-3-{[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 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피리미딘
THF (9 mL) 중의 4-{[(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6-클로로피리미딘 (0.264 g, 0.559 mmol)과 철 아세틸아세토네이트 (ferric acetylacetonate) (0.0395 g, 0.112 mmol)의 용액에 THF (2.52 mL) 중의 벤질마그네슘 브로마이드 1.00 M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NH4Cl를 사용하여 반응물을 켄칭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3x). 합쳐진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15%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투명한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254 g, 86%).
단계 b: {(1 S ,2 S ,4 R )-4-[(6- 벤질피리미딘 -4-일) 옥시 ]-2- 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32)
표제 화합물을 4-벤질-6-{[(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피리미딘을 사용하여 실시예 46의 단계 c와 e 및 실시예 48의 단계 f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29
실시예 60: ((1R,2R,3S,4R)-2,3-디히드록시-4-{[6-(2-페닐에틸)피리미딘-4-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86)
단계 a: ((3 a R ,4 R ,6 R ,6 a S )-2,2-디메틸-6-{[6-(2- 페닐에틸 )피리미딘-4-일]아미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메탄올
표제 화합물을 ((3aR,4R,6R,6aS)-2,2-디메틸-6-{[6-(페닐에티닐)피리미딘-4-일]아미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메탄올을 사용하여 실시예 46의 단계 d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b: ((1 R ,2 R ,3 S ,4 R )-2,3-디히드록시-4-{[6-(2- 페닐에틸 )피리미딘-4-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86)
표제 화합물을 ((3aR,4R,6R,6aS)-2,2-디메틸-6-{[6-(2-페닐에틸)피리미딘-4-일]아미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메탄올을 사용하여 실시예 48의 단계 g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30
실시예 61: [(1S,3R,4R)-3-({6-[(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4-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76)
단계 a: (1 R ,2 R ,4 R )-2-아미노-4-( 히드록시메틸 ) 시클로펜탄올
수산화암모늄 (7.22 mL) 중의 (1R,3R,5S)-6-옥사비시클로[3.1.0]헥스-3-일메탄올 (0.419 g, 3.67 mmol) (Feeya, David.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1981, 46, 3512-3519) 용액을 밤새 65℃로 가열하였다. 용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톨루엔과 공비증류시켜서 (3x), 투명한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473 g, 98%).
단계 b: 1 R ,2 R ,4 R )-4-({[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 메틸 )-2-({6-[(1 S )-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시클로펜탄올
표제 화합물을 (1R,2R,4R)-2-아미노-4-(히드록시메틸)시클로펜탄올을 사용하여 실시예 48의 단계 c-d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c: (1 R ,2 R ,4 R )-4-({[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 메틸 )-2-({6-[(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시클로펜틸 아세테이트
DCM (2.1 mL) 중의 (1R,2R,4R)-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6-[(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시클로펜탄올 (0.193 g, 0.424 mmol),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 (4.7 mg, 0.039 mmol) 및 피리딘 (0.281 mL, 3.48 mmol)의 용액에 아세트산 무수물 (0.044 mL, 0.46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CH2CL2 (10 mL)과 H2O (20 mL)로 희석시킨 후, 10분간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CH2CL2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물을 H2O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MgSO4),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Rt = 1.74 min, ES+ 498 (FA Standard).
단계 d: [(1 S ,3 R ,4 R )-3-({6-[(1 S )-2,3- 디히드로 -1 H - 인덴 -1- 일아미노 ]피리미딘-4-일}아미노)-4-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76)
표제 화합물을 (1R,2R,4R)-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6-[(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시클로펜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57의 단계 d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31
실시예 62: [(1R,3R,4R)-3-({6-[(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4-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58)
표제 화합물을 (1S,2S,4R)-2-아미노-4-(히드록시메틸)시클로펜탄올을 사용하여 실시예 59의 단계 a-d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32
실시예 63: {(1R,2R,3S,4R)-4-[{6-[(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메틸)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06)
단계 a: N -[(3 a S ,4 R ,6 R ,6 a R )-6-({[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 메틸 )-2,2-디메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6-클로로-N-메틸피리미딘-4-아민
THF (10.0 mL)과 DMF (2.50 mL) 중의 N-[(3aS,4R,6R,6aR)-6-({[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6-클로로피리미딘-4-아민 (405 mg, 0.98 mmol)의 혼합된 용액에 아르곤 분위기하에서 수소화나트륨 (47.0 mg, 1.17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15분간 교반하였다. 요오드화메틸 (0.08 mL, 1.27 mmol)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염수 (20.0 mL)를 첨가하여 켄칭시킨 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3 x 40.0 mL). 유기층들을 합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DCM 중의 5 내지 15 % 에틸 아세테이트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381 mg, 91 %). LC / MS : Rt = 2.55 min, ES+ 428.3 (AA standard).
단계 b: {(3 a R ,4 R ,6 R ,6 a S )-6-[(6- 클로로피리미딘 -4-일)-( 메틸 )아미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메탄올
THF (10.0 mL) 중의 N-[(3aS,4R,6R,6aR)-6-({[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6-클로로-N-메틸피리미딘-4-아민 (400 mg, 0.93 mmol)의 교반된 용액에 THF 중의 테트라-n-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1M 용액 (1.00 mL, 1.00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염수 (20.0 mL)를 첨가하여 켄칭시킨 후,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3 x 40.0 mL). 유기층들을 합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DCM 중의 40 내지 100 % 에틸 아세테이트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261 mg, 89 %). LC / MS : Rt = 1.24 min, ES+ 314.2 (AA standard).
단계 c: {(3 a R ,4 R ,6 R ,6 a S )-6-[{6-[(1 S )-2,3- 디히드로 -1 H - 인덴 -1- 일아미노]피리미딘-4-일}-(메틸)아미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메탄올
{(3aR,4R,6R,6aS)-6-[(6-클로로피리미딘-4-일)-(메틸)아미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메탄올 (130 mg, 0.41 mmol)을 마이크로파 반응 튜브내로 칭량해 넣고, 1-부탄올 (1.50 mL)에 용해시켰다. 이러한 용액에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22 mL, 1.24 mmol)과 (S)-(+)-1-아미노인단 (0.16 mL, 1.24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00℃에서 4시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하에서 밀봉 튜브에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DCM 중의 2 내지 5 % 메탄올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40.5 mg, 24 %). LC / MS : Rt = 1.49 min, ES+ 411.5 (AA standard).
단계 d: {(3 a R ,4 R ,6 R ,6 a S )-6-[{6-[(1 S )-2,3- 디히드로 -1 H - 인덴 -1- 일아미노]피리미딘-4-일}-(메틸)아미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메틸 설파메이트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의 단계 d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LC / MS : Rt = 1.68 min, ES+ 490.3 (AA standard).
단계 e: {(1 R ,2 R ,3 S ,4 R )-4-[{6-[(1 S )-2,3- 디히드로 -1 H - 인덴 -1- 일아미노 ]피리미딘-4-일}(메틸)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06)
메탄올 (3.00 mL) 중의 {(3aR,4R,6R,6aS)-6-[{6-[(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메틸)아미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메틸 설파메이트 (12.0 mg, 0.02 mmol)의 교반된 용액에 1.00 M 염산 (0.10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NaHCO3 용액을 첨가하여 켄칭시킨 후, 생성된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DCM 중의 5 내지 10 % 메탄올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7.80 mg, 71 %).
Figure pat00133
실시예 64: [(1R,2R,3S,4R)-4-({2-[(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13)
단계 a: (1 R ,2 S ,3 R ,5 R )-3-[(2- 클로로 -5- 플루오로피리미딘 -4-일)아미노]-5-(히드록시메틸)시클로펜탄-1,2-디올
표제 화합물을 단계 a에서 2,4-디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LC / MS : Rt = 0.89 min, ES+ 278.0 (FA standard).
단계 b: {(3 a R ,4 R ,6 R ,6 a S )-6-[(2- 클로로 -5- 플루오로피리미딘 -4-일)아미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메탄올
표제 화합물을 단계 b에서 (1R,2S,3R,5R)-3-[(2-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5-(히드록시메틸)시클로펜탄-1,2-디올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LC / MS : Rt = 1.42 min, ES+ 318.1(FA standard).
단계 c: [(3 a R ,4 R ,6 R ,6 a S )-6-({2-[(1 S )-2,3- 디히드로 -1 H - 인덴 -1- 일아미노]-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메탄올
표제 화합물을 단계 c에서 {(3aR,4R,6R,6aS)-6-[(2-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2,2-디메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메탄올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LC / MS : Rt = 1.20 min, ES+ 415.6 (FA standard).
단계 d: [(1 R ,2 R ,3 S ,4 R )-4-({2-[(1 S )-2,3- 디히드로 -1 H - 인덴 -1- 일아미노]-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13)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65의 단계 d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63.5 mg, 62 %)
Figure pat00134
실시예 65: {(1S,2S,4R)-4-[(5-플루오로-6-{[(1R,2S)-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83)
단계 a: 4-{[(1 R ,3 S ,4 S )-3-{[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6-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
THF (5.00 mL) 중의 수소화나트륨 (37.4 mg, 0.93 mmol)의 교반된 현탁액에 아르곤 분위기하에서 0℃에서 THF (2.50 mL) 중의 (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탄올 (285 mg, 0.79 mmol)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5분간 교반하였다. 이러한 냉각된 현탁액에 0℃에서 THF (2.50 mL) 중의 4,6-디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 (120 mg, 0.72 mmol) 용액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23℃에서 19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NH4Cl 용액 (50.0 mL)을 첨가하여 켄칭시킨 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3 x 70.0 mL). 유기층들을 합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5 내지 7 % 에틸 아세테이트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295 mg, 79 %).
Figure pat00135
단계 b: 6-{[(1 R ,3 S ,4 S )-3-{[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5-플루오로-N-[(1R,2S)-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피리미딘-4-아민
4-{[(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6-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 (260 mg, 0.53 mmol), (1R,2S)-2-메톡시인단-1-아민 (364 mg, 2.12 mmol), 및 탄산나트륨 (224 mg, 2.12 mmol)을 마이크로파 반응 튜브내로 칭량해 넣었다. 이러한 혼합물을 180℃에서 2시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하에서 밀봉 튜브에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 (100 mL)으로 희석시키고, 현탁액을 여과시켰다. 여액을 포화 NH4Cl 용액 (100 mL)으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켰다. 이러한 현탁액을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DCM 중의 0 내지 10 % 메탄올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313 mg, 91 %).
단계 c: {(1 S ,2 S ,4 R )-2-{[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5- 플루오로 -6-{[(1R,2S)-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탄올
표제 화합물을 단계 c에서 6-{[(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5-플루오로-N-[(1R,2S)-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피리미딘-4-아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34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LC / MS : Rt = 2.60 min, ES+ 504.5 (FA standard).
단계 d: {(1 S ,2 S ,4 R )-4-[(5- 플루오로 -6-{[(1 R ,2 S )-2- 메톡시 -2,3- 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83)
THF (5.40 mL) 중의 {(1S,2S,4R)-2-{[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5-플루오로-6-{[(1R,2S)-2-메톡시-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탄올 (190 mg, 0.36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아르곤 분위기하에서 0℃에서 트리에틸아민 (0.08 mL, 0.54 mmol) 및 [(디페닐아미노)카르보닐]설파모일 클로라이드 (186 mg, 0.54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23℃에서 1.00 M 염산 (5.40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NaHCO3 용액 (80.0 mL)을 첨가하여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3 x 100 mL). 유기층들을 합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DCM 중의 0 내지 10 % 메탄올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91.0 mg, 51 %).
Figure pat00136
실시예 66: {(1S,2S,4R)-4-[(6-{[(1S)-3,3-디메틸-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71)
단계 a: N -[(1 R ,3 S ,4 S )-3-{[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6-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아민
에탄올 (2.00 mL) 중의 4,6-디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 (102 mg, 0.61 mmol), (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탄아민 (200 mg, 0.56 mmol) 및 트리에틸아민 (0.16 mL, 1.11 mmol)의 용액을 140℃에서 1시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하에서 밀봉 튜브에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15 %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연황색 고형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213 mg, 70 %). LC / MS : Rt = 2.60 min, ES+ 490.5 (AA standard).
단계 b: N -[(1 R ,3 S ,4 S )-3-{[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N'-[(1S)-3,3-디메틸-2,3-디히드로-1H-인덴-1-일]-5-플루오로피리미딘-4,6-디아민
N-[(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6-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아민 (205 mg, 0.38 mmol), (1S)-3,3-디메틸인단-1-아민 (243 mg, 1.51 mmol) 및 탄산나트륨 (160 mg, 1.51 mmol)의 혼합물을 오일조에서 18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으로 희석시키고, 현탁액을 여과시켰다. 여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5 내지 10 %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무색의 무정형 고형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213 mg, 70 %).
단계 c: {(1 S ,2 S ,4 R )-2-{[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6-{[(1 S )-3,3-디메틸-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탄올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34의 단계 c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LC / MS : Rt = 2.51 min, ES+ 501.5 (AA standard).
단계 d: {(1 S ,2 S ,4 R )-4-[(6-{[(1 S )-3,3-디메틸-2,3- 디히드로 -1 H - 인덴 -1-일]아미노}-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71)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65의 단계 d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63.5 mg, 62 %).
Figure pat00137
실시예 67: ((1R,2R,3S,4R)-2,3-디히드록시-4-{[6-(5,6,7,8-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18)
단계 a: (1 S ,2 R ,3 R ,5 R )-3-( 히드록시메틸 )-5-{[6-(5,6,7,8-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시클로펜탄-1,2-디올
표제 화합물을 단계 c에서 5,6,7,8-테트라히드로-1-나프틸아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a와 c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LC / MS : Rt = 1.29 min, ES+ 371.3 (AA standard).
단계 b: ((3 a R ,4 R ,6 R ,6 a S )-2,2-디메틸-6-{[6-(5,6,7,8-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테트라히드로-3aH-시클로펜타[d][1,3]디옥솔-4-일)메탄올
아세톤 (5.00 mL) 중의 (1S,2R,3R,5R)-3-(히드록시메틸)-5-{[6-(5,6,7,8-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시클로펜탄-1,2-디올 (70.0 mg, 0.19 mmol)의 교반된 용액에 2,2-디메톡시프로판 (0.21 mL, 1.70 mmol)과 피리디늄 p-톨루엔설포네이트 (57.0 mg, 0.23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5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NaHCO3 용액 (50.0 mL)을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켄칭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3 x 50.0 mL). 유기층들을 합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2 내지 10 % 메탄올/DCM)에 의해 정제하여, 연황색의 무정형 고형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72.0 mg, 85 %). LC / MS : Rt = 1.59min, ES+ 411.3 (AA standard).
단계 c: ((1 R ,2 R ,3 S ,4 R )-2,3-디히드록시-4-{[6-(5,6,7,8-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18)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65의 단계 d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38
실시예 68: {(1S,2S,4R)-4-[(6-{[(1S)-3,3-디메틸-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65)
단계 a: (1S,3S,4S)-3-[( 벤질옥시 ) 메틸 ]-4-{[ 3차 -부틸(디메틸)실릴] 시}시클로펜탄올
EtOAc (20 mL, 0.2 mol) 중의 (1R,4S)-3-[(벤질옥시)메틸]-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시클로펜트-2-엔-1-올 (1.47 g, 0.00439 mol), 탄산나트륨 (1.1 g, 0.010 mol) 및 10% Pd/C (0.3 g, 0.0003 mol)의 현탁액을 수소 분위기하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질소로 퍼징하고, EtOAc를 사용하는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시켰다. 여액을 농축시켜서, 5:1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 (요망:비요망)로서 표제 화합물 1.45 g (98%)을 수득하였다.
단계 b: (1S,3S,4S)-3-[( 벤질옥시 ) 메틸 ]-4-{[ 3차 -부틸(디메틸)실릴] 시}시클로펜틸 메탄설포네이트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35의 단계 b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c: (1S,3S,4S)-3-{[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히드록시메틸 )시클로펜틸 메탄설포네이트
메탄올 (10 mL, 0.2 mol) 중의 (1S,3S,4S)-3-[(벤질옥시)메틸]-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시클로펜틸 메탄설포네이트 (690 mg, 0.0017 mol) 및 20 wt.% 탄소상 Pd인 팔라듐 히드록시드 (160 mg, 0.00012 mol)의 현탁액을 수소 분위기하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질소로 퍼징하고, 혼합물을 DCM을 사용하는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시켰다. 여액을 농축시켜서 350 mg (65%)을 수득하였다.
단계 d: ((1S,2S,4R)-4- 아지도 -2-{[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 시클로펜틸)메탄올
N,N-디메틸포름아미드 (6 mL, 0.08 mol) 중의 (1S,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히드록시메틸)시클로펜틸 메탄설포네이트 (0.470 g, 0.00145 mol) 용액에 23℃에서 나트륨 아지드 (0.4 g, 0.006 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55℃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23℃로 냉각시키고, 물을 첨가하여 켄칭시키고, Et2O로 추출하고 (3x),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내지 25%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11 mg (53.7%)을 수득하였다.
단계 e: ((1S,2S,4R)-4-아미노-2-{[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 시클로펜틸)메탄올
EtOAc (6 mL, 0.06 mol) 중의 ((1S,2S,4R)-4-아지도-2-{[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시클로펜틸)메탄올 (0.211 g, 0.000777 mol)과 10% Pd/C (0.047 g, 0.000044 mol)의 현탁액을 수소 분위기하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질소로 퍼징하고, 혼합물을 DCM을 사용하는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시켰다. 여액을 농축시켜서, 표제 화합물 167 mg (87.5%)을 수득하였다.
단계 f: {(1S,2S,4R)-2-{[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6- 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탄올
에탄올 (1.5 mL, 0.025 mol) 중의 ((1S,2S,4R)-4-아미노-2-{[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시클로펜틸)메탄올 (0.132 g, 0.000538 mol), 피리미딘, 4,6-디클로로- (0.096 g, 0.00064 mol) 및 트리에틸아민 (0.1 mL, 0.001 mol)의 혼합물을 60분간 마이크로파 조사 (140℃) 처리하였다. 생성된 암갈색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10%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158 mg (82%)을 수득하였다.
단계 g: {(1S,2S,4R)-4-[(6-{[(1S)-3,3-디메틸-2,3- 디히드로 -1H- 인덴 -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65)
표제 화합물을 (1S)-3,3-디메틸인단-1-아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44 (단계 b와 d)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39
실시예 69: {(1S,2S,4R)-2-히드록시-4-[(6-{[(1S,2S)-2-메틸-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설파메이트 (화합물 I-43)
표제 화합물을 단계 b에서 (1S,2S)-2-메틸-2,3-디히드로-1H-인덴-1-아민 (Zhang, Z.; Zhu, G.; Jiang, Q.; Xiao, D.; Zhang, Z. J. Org . Chem . 1999, 64, 1774)을 사용하여 실시예 34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40

*실시예 70: {(1S,2S,4R)-4-[(4-{[(1R)-2,2-디플루오로-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1,3,5-트리아진-2-일)아미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47)
표제 화합물을 단계 a에서 (1R)-5-클로로-2,2-디플루오로인단-1-아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46의 단계 a-d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65의 단계 d의 절차에 따라 설파메이션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at00141
실시예 71: {(1S,2S,4R)-2-히드록시-4-[(6-{[(1R,2S)-2-메톡시-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42 및 I-143)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34의 절차에 따라 1:1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로서 제조하였다. 문헌 [Marcune, B. F.; Karady, S.; Reider, P. J.; Miller, R. A.; Biba, M.; DiMichele, L.; Reamer, R. A. J. Org . Chem . 2003, 68, 8088-8091]에 기재된 방법을 적합시킴으로써 생성된 Rel-(1R,2S)-2-메톡시-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아민을 단계 b에서 커플링 파트너로서 사용하였다. 그 후, 혼합물을 키랄 HPLC (Chiralpak AD 20x250, 20 mL/min의 용리액 85/15/0.1% hex/EtOH/DEA)에 의해 분리하였다. {(1S,2S,4R)-2-히드록시-4-[(6-{[(1R,2S)-2-메톡시-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42)에 대한 분석 데이터:
Figure pat00142
{(1S,2S,4R)-2-히드록시-4-[(6-{[(1S,2R)-2-메톡시-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43)에 대한 분석 데이터:
Figure pat00143
실시예 72: {(1R,2R,3S,4R)-4-[(6-{[(1R,2R)-2-(벤질옥시)시클로펜틸]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85)
표제 화합물을 (1R,2R)-(+)-2-벤질옥시시클로펜틸아민을 사용하는 실시예 1의 단계 a-c에 기재된 절차 및 실시예 65의 단계 d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44
실시예 73: {(1R,2R,3S,4R)-4-[(6-{[(1S,2S)-2-(벤질옥시)시클로펜틸]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92)
표제 화합물을 (1S,2S)-(+)-2-벤질옥시시클로펜틸아민을 사용하는 실시예 1의 단계 a-c에 기재된 절차 및 실시예 65의 단계 d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45
실시예 74: ((1R,2R,4S)-4-{[6-({(1R,2R)-2-[(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rel-설파메이트 (화합물 I-66)
단계 a: 3차 -부틸 rel -(2 a R ,7 b R )-2-옥소-2,2a,3,7b- 테트라히드로 -1 H - 데노[1,2-b]아제트-1-카르복실레이트
아세토니트릴 (24.0 mL) 중의 rel-(2aR,7bR)-1,2a,3,7b-테트라히드로-2H-인데노[1,2-b]아제트-2-온 (1.20 g, 7.54 mmol)과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 (0.20 g, 2.00 mmol)의 혼합된 용액에 아르곤 분위기하에서 0℃에서 디-3차-부틸디카르보네이트 (3.29 g, 15.1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23℃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 (약 200 mL)에 첨가한 후, 유기층을 포화 NaHCO3 용액과 염수로 세척하였다. MgSO4로 건조시킨 후, 현탁액을 여과시키고, 여액을 진공하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내지 30 %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연분홍색 고형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85 g, 90 %).
Figure pat00146
단계 b: 3차 -부틸 rel -{(1 R ,2 R )-2-[(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2,3- 디히드로-1H-인덴-1-일}-카르바메이트
3차-부틸 rel-(2aR,7bR)-2-옥소-2,2a,3,7b-테트라히드로-1H-인데노[1,2-b]아제트-1-카르복실레이트 (200 mg, 0.77 mmol)에 밀봉 튜브에서 THF 중의 2.00 M 디메틸아민 (1.90 mL, 3.80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20℃에서 30분간 마이크로파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소량의 헥산으로 세척하여, 백색 고형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226 mg, 91%).
단계 c: rel -(1 R ,2 R )-1-아미노- N , N - 디메틸인단 -2- 카르복사미드
DCM (25.0 mL) 중의 3차-부틸 rel-{(1R,2R)-2-[(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2,3-디히드로-1H-인덴-1-일}-카르바메이트 (690 mg, 2.15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아연 디브로마이드 (970 mg, 4.31 mmol)와 에탄올 (0.25 mL, 4.31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20.0 mL)을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켄칭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러한 혼합물에 1.00 M NaOH (30.0 mL)을 첨가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3 x 100 mL). 유기층들을 합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내지 30 % 메탄올/DCM)에 의해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438 mg, 95 %). LC / MS : Rt = 0.89 min, ES+ 205.2 (AA standard).
단계 d: ((1 R ,2 R ,4 S )-4-{[6-({(1 R ,2 R )-2-[(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rel-설파메이트 (화합물 I-66)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34의 단계 a-c에 기재된 절차 및 실시예 65의 단계 d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47
실시예 75: ((1R,2R,4S)-4-{[6-({(1R,2S)-2-[(디메틸아미노)메틸]-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rel-설파메이트 (화합물 I-53)
단계 a: rel -(1 R ,2 S )-2-[(디메틸아미노) 메틸 ]-인단-1-아민
THF (20.0 mL) 중의 리튬 테트라히드로알루미네이트 (256 mg, 6.74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아르곤 분위기하에서 0℃에서 THF (10.0 mL) 중의 rel-(1R,2R)-1-아미노-N,N-디메틸인단-2-카르복사미드 (580 mg, 2.70 mmol) 용액을 첨가한 후, 혼합물을 6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23℃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과 1.00 M NaOH (5.00 mL)을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켄칭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러한 현탁액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시키고, 여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5 내지 20 % 메탄올/DCM과 1 % NH4OH)에 의해 정제하여 연갈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438 mg, 95 %).
단계 b: ((1 R ,2 R ,4 S )-4-{[6-({(1 R ,2 S )-2-[(디메틸아미노) 메틸 ]-2,3- 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rel-설파메이트 (화합물 I-53)
표제 화합물을 rel-(1R,2S)-2-[(디메틸아미노)메틸]-인단-1-아민을 사용하는 실시예 34의 단계 a-c에 기재된 절차 및 실시예 65의 단계 d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48
실시예 76: {(1S,2S,4R)-4-[(2-{[(1S)-5-클로로-3,3-디메틸-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딘-4-일)옥시]-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35)
단계 a: 1-(4- 클로로페닐 )-3- 메틸부탄 -2-올
에테르 (30 mL) 중의 마그네슘 (2.98 g, 0.123 mol) 현탁액에 요오드 (0.165 g, 0.000651 mol)를 첨가하였다. 여기에 에테르 (100 mL) 중의 4-클로로벤질 브로마이드 (24.00 g, 0.1168 mol)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약 1 mL의 용액의 첨가시에, 발열이 관찰되었고, 혼합물은 환류에 도달하였다. 용액을 계속 서서히 첨가하여 약한 환류를 유지시켰다 (~90분). 첨가의 완료시에, 반응물을 45℃에서 30분간 가열하였다. 그 후, 반응물을 0℃로 냉각시켰다. 그 후, 에테르 (10 mL) 중의 이소부티르알데히드 (12.7 mL, 0.140 mol)를 2시간에 걸쳐 서서히 첨가하였다. 첨가의 완료시에, 반응물을 실온으로 가온되게 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얼음 (~200 g)을 사용하여 반응물을 켄칭시키고, 2M HCl (~100 mL)로 산성화시켰다. 이를 에테르로 2회 추출하고, 유기상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10% MeOH/CH2Cl2)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9.89 g, 43%).
단계 b: 6- 클로로 -1,1- 디메틸인단
물 (0.28 mL, 0.0156 mol) 중의 농축된 황산 (3.00 mL, 0.056 mol) 용액에 1-(4-클로로페닐)-3-메틸부탄-2-올 (1.00 g, 0.00503 mol)을 30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추가의 황산을 첨가하여 고형물을 용해시켰다.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얼음상으로 부은 후,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세척하고 (물), 건조시키고 (MgSO4),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CH2Cl2를 사용하는 실리카의 플러그를 통해 여과시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568 g, 63%).
단계 c: 5- 클로로 -3,3- 디메틸인단 -1-온
아세톤 (100 mL, 2 mol) 중의 6-클로로-1,1-디메틸인단 (6.00 g, 0.0332 mol) 용액에 물 (30 mL) 중의 1.5 M 황산마그네슘과 과망간산칼륨 (12.3 g, 0.0780 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밤새 교반하고, 생성된 침착물을 여과시키고, 용액을 감소된 부피로 농축시켰다. 용액을 EtOAc로 추출하고 (3 x 100 ml), 유기층을 농축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1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백색 고형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4.33 g, 67%).
단계 d: (2 R )-2-{[(1 S )-5- 클로로 -3,3-디메틸-2,3- 디히드로 -1H- 인덴 -1-일]아미노}-2-페닐에탄올
톨루엔 (200 mL) 중의 5-클로로-3,3-디메틸인단-1-온 (4.33 g, 0.0222 mol)과 (R)-(-)-2-페닐글리시놀 (3.2 g, 0.0234 mol)의 혼합물에 p-톨루엔설폰산 모노히드레이트 (241 mg, 0.00127 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질소 분위기하에서 환류 (140℃)에서 밤새 교반하고, 냉각시키고, 톨루엔으로 희석시켰다. 혼합물을 포화 수성 NaHCO3과 물로 세척하고, 유기상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질소 분위기하에서 THF (200 mL)에 용해시키고, 0℃에서 냉각시켰다. 여기에 아세트산 (3.79 mL, 0.0667 mol)과 수소화붕소나트륨 (1.26 g, 0.0334 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질소 분위기하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CH2Cl2와 포화 수성 NaHCO3 용액 사이에 분배시키고, 분리하고, 유기상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20 내지 10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백색 고형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6.25 g, 90%).
단계 e: (1 S )-5- 클로로 -3,3- 디메틸인단 -1-아민ㆍ HCl
질소 분위기하에서 0℃에서 메탄올 (80 mL) 중의 납(IV) 아세테이트 (9.92 g, 0.0212 mol) 용액에 (2R)-2-{[(1S)-5-클로로-3,3-디메틸-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2-페닐에탄올 (4.288 g, 0.01358 mol)을 메탄올 (80 mL) 중의 용액으로서 10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첨가의 완료시에, 혼합물을 23℃로 가온시키고, 90분간 교반하였다. 여기에 물 (194 mL) 중의 0.943 M 탄산나트륨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0분간 교반하였다. CH2Cl2 (500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CH2Cl2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수집하고, 유기상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CH2Cl2 (25 ml)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물을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에탄올 (500 mL)에 용해시키고, 물 (15.6 mL) 중의 10.4 M 염산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가열 환류 (95℃)시켰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에테르로 처리하고, 음파처리(sonication)하였다. 고형물을 여과에 의해 단리하고, 에테르로 세척하고, 건조시켜서, HCl 염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2.704 g, 86%).
단계 f: 4-{[(1 R ,3 S ,4 S )-3-{[3차-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N-[(1S)-5-클로로-3,3-디메틸-2,3-디히드로-1H-인덴-1-일]피리딘-2-아민
아르곤 분위기하에서 [1,3-비스(2,6-디이소프로필페닐)이미다졸리딘-2-일]-(클로로)[(2,3-
Figure pat00149
)-(1Z)-1-페닐프로프-1-엔-2,3-디일]팔라듐(2+) (3.4 mg, 0.0000052 mol)과 칼륨 3차-부톡시드 (32.0 mg, 0.000286 mol)의 혼합물에 1.00 ml DME 중의 4-{[(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2-클로로피리딘 (0.1226 g, 0.0002596 mol)에 이어 1 ml DME 중의 (1S)-5-클로로-3,3-디메틸인단-1-아민 (0.048 g, 0.00025 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고, 용액을 50 ml EtOAc내로 붓고, 10 ml 물로 세척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제조 플레이트 크로마토그래피 (7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28.0 mg, 18.0%).
단계 g: {(1 S ,2 S ,4 R )-2-{[3차-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2-{[(1 S )-5-클로로-3,3-디메틸-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탄올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34의 단계 c와 유사한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단계 h: {(1 S ,2 S ,4 R )-2-{[3차-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2-{[(1 S )-5-클로로-3,3-디메틸-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DMA (1.00 mL) 중의 {(1S,2S,4R)-2-{[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2-{[(1S)-5-클로로-3,3-디메틸-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탄올 (28.1 mg, 0.0000543 mol) 용액에 0.50 ml 아세토니트릴 중의 클로로설폰아미드 (0.0251 g, 0.000217 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0분간 교반한 후, 50 ml EtOAc와 1.00 ml Et3N내로 부었다. 층들을 분리하고, 유기층을 세척하고 (물),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제조 플레이트 크로마토그래피 (85%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백색 고형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28.7 mg, 89%).
단계 i: {(1 S ,2 S ,4 R )-4-[(2-{[(1 S )-5- 클로로 -3,3-디메틸-2,3- 디히드로 -1H-인덴-1-일]아미노}피리딘-4-일)옥시]-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에탄올 (25.0 ml) 중의 3.0% (V/V) HCl 중의 {(1S,2S,4R)-2-{[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2-{[(1S)-5-클로로-3,3-디메틸-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0.0287 g, 0.0000481 mol) 용액을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농축시키고, 50 ml EtOAc와 1.00 ml 트리에틸아민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물로 세척하고,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제조 플레이트 크로마토그래피 (5% MeOH/EtOAc)에 의해 단리하여, 백색 고형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6.5 mg, 71%).
Figure pat00150
실시예 77: ((1S,2S,4R)-2-히드록시-4-{[2-(1-나프틸)-3H-이미다조[4,5-b]피리딘-7-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09)
단계 a: 2-아미노-4- 클로로 -3- 니트로피리딘
0℃에서 교반중인 황산 (40.8 mL) 중의 2-아미노-4-클로로피리딘 (5.00 g, 0.0389 mol) 용액에 질산 (2.72 g, 0.0389 mol)과 황산 (3.89 g, 0.0389 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교반시킨 (1시간) 후, 200 g 얼음 및 100 ml 물내로 부었다. 고형물을 여과시키고, 수집하였다. 용액을 물 중의 28% NH3를 사용하여 pH ~5로 중화시켰다. 용액을 EtOAc로 추출하였다 (3 x 300 ml). 또한, 고형물을EtOAc에 용해시키고, H2O 중의 28% NH3를 사용하여 중화시켰다. 유기층들을 합치고, 30 g 실리카겔을 사용하여 농축시키고,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20 내지 6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고형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2.40 g, 36%).
*단계 b: 4-{[(1 R ,3 S ,4 S )-3-{[3차-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3-니트로피리딘-2-아민
THF (30.0 mL) 중의 (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탄올 (0.782 g, 0.00217 mol) 용액에 NaH (0.156 g, 0.00650 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여기에 2-아미노-4-클로로-3-니트로피리딘 (0.376 g, 0.00217 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용액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25%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고형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381 g, 35%).
단계 c: 4-{[(1 R ,3 S ,4 S )-3-{[3차-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피리딘-2,3-디아민
CH2Cl2 (6.00 mL)과 아세트산 (3.00 mL) 중의 4-{[(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3-니트로피리딘-2-아민 (0.361 g, 0.000725 mol) 용액에 아연 (0.474 g, 0.00725 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30분간 교반하였다. 현탁액을 여과시키고, 여액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50 ml EtOAc와 3 ml Et3N에 용해시킨 후, 물로 세척하였다 (2 x 10 mL).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MgSO4), 농축시켜서, 미정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0.297 g, 88%).
단계 d: 7-{[(1 R ,3 S ,4 S )-3-{[3차-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2-(1-나프틸)-3H-이미다조[4,5-b]피리딘
아세토니트릴 (2.00 mL) 중의 1-나프탈렌카르복스알데히드 (115 mg, 0.000738 mol), 4-{[(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피리딘-2,3-디아민 (115.1 mg, 0.0002460 mol) 및 메타중아황산나트륨(sodium metabisulfite) (0.140 g, 0.000738 mol)의 혼합물을 180℃에서 25분간 마이크로파 조사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여액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레이트 크로마토그래피 (25%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백색 고형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101 g, 68%).
단계 e: ((1 S ,2 S ,4 R )-2-{[3차-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2-(1- 나프틸)-3H-이미다조[4,5-b]피리딘-7-일]옥시}시클로펜틸)메탄올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34의 단계 c와 유사한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단계 f: ((1S,2S,4R)-2-히드록시-4-{[2-(1- 나프틸 )-3H- 이미다조[4,5-b]피리딘-7-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09)
DMA (2.00 mL) 중의 ((1S,2S,4R)-2-{[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2-(1-나프틸)-3H-이미다조[4,5-b]피리딘-7-일]옥시}시클로펜틸)메탄올 (0.0624 g, 0.000127 mol) 용액에 클로로설폰아미드 (0.0736 g, 0.000637 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10분간 교반하였다. 여기에 0℃에서 물 (2.00 mL) 중의 12 M 염산을 적가하고, 혼합물을 10분간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2N Na2CO3 용액 50 mL에 적가하고, CH2Cl2에 의해 추출하였다(3 x 30 ml). 합쳐진 유기층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10% MeOH/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백색 고형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4.5 mg, 25%).
Figure pat00151
실시예 78: ((1S,2S,4R)-4-{[6-클로로-2-(1-나프틸)-3H-이미다조[4,5-b]피리딘-7-일]아미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56)
단계 a: N (4)-[(1 R ,3 S ,4 S )-3-{[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5-클로로-3-니트로피리딘-2,4-디아민
에탄올 (10.0 mL) 중의 4,5-디클로로-3-니트로피리딘-2-아민 (0.0365 g, 0.000175 mol) (Johansson, H; Lawitz, K; Nikitidis, G; Sjoe, P; Storm, P. PCT Int. Application WO2004/016611), (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탄아민 (0.0947 g, 0.000263 mol) 및 DIPEA (0.0907 g, 0.000702 mol)의 용액을 밤새 환류시켰다. 반응물을 농축시키고,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3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고형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0768 g, 82%).
단계 b: N(4)-[(1 R ,3 S ,4 S )-3-{[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5-클로로피리딘-2,3,4-트리아민
N(4)-[(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5-클로로-3-니트로피리딘-2,4-디아민 (0.875 g, 0.00165 mol)과 아연 (0.431 g, 0.00659 mol)을 아세트산 (40.0 mL, 0.704 mol)에 10분간 교반하며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분간 교반하고, 고형물을 여과해내었다. 여액을 농축시키고, EtOAc (50 mL)에 용해시키고, 물로 세척하였다 (2 x10). 유기상에 2 ml Et3N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0 mL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농축시키고,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3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백색 고형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746 g, 90%).
단계 c: ((1 S ,2 S ,4 R )-4-{[6- 클로로 -2-(1- 나프틸 )-3H- 이미다조[4,5-b]피리딘-7-일]아미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56)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77의 단계 d-f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52
실시예 79: ((1S,2S,4R)-4-{[6-(시클로펜틸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27)
표제 화합물을 시클로펜탄아민을 사용하는 실시예 34의 단계 b 및 실시예 76의 단계 g-i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53
실시예 80: [(1S,2S,4R)-4-({2-[(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딘-4일}옥시)-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94)
단계 a: 4-{[(1 R ,3 S ,4 S )-3-{[3차-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2-클로로피리딘
DMF (8.00 mL, 0.103 mol) 중의 (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탄올 (973.5 mg, 0.002699 mol) 용액에 NaH (202 mg, 0.00504 mol) (오일 중의 60%)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분간 교반시킨 후, 2-클로로-4-니트로-피리딘 (400.0 mg, 0.00252 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여 반응물을 켄칭시키고, 추출하였다 (3 x 50 ml EtOAc). 합쳐진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1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투명한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9859 g, 83%).
단계 b: 4-{[(1 R ,3 S ,4 S )-3-{[3차-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N-[(1S)-2,3-디히드로-1H-인덴-1-일]피리딘-2-아민
아르곤 분위기하에서 [1,3-비스(2,6-디이소프로필페닐)-이미다졸리딘-2-일]-(클로로)[(2,3-
Figure pat00154
)-(1Z)-1-페닐프로프-1-엔-2,3-디일]팔라듐(2+) (7.8 mg, 0.000012 mol)과 칼륨 3차-부톡시드 (73.7 mg, 0.000656 mol)의 혼합물에 1 ml DME 중의 4-{[(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2-클로로피리딘 (281.8 mg, 0.0005968 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5분간 교반한 후, 1.0 ml DME 중의 (S)-(+)-1-아미노인단 (0.10 mL, 0.000776 mol)을 15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용액을 밤새 교반한 후, 50 mL EtOAc에 용해시키고, 물로 세척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3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백색 고형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3219 g, 95%).
단계 c: [(1 S ,2 S ,4 R )-4-({2-[(1 S )-2,3- 디히드로 -1H- 인덴 -1- 일아미노 ]피리딘-4-일}옥시)-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94)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76의 단계 g-i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55
실시예 81: {(1S,2S,4R)-4-[(6-{[(1R,2S)-2,7-디메톡시-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49)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34의 단계 a-d에 이어 HCl-매개 데실릴레이션(desilylation)에 따라 실시예 82의 화합물과의 1:1 혼합물로서 제조하였다. 실시예 71에 기재된 참고문헌에 따라 제조한 Rel-(1R,2S)-2,7-디메톡시-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아민을 단계 b에서 커플링 파트너로서 사용하였다. 그 후, 표제 화합물을 키랄 HPLC (Chiralcel OD 20x250, 20 mL/min의 용리액 88/12/0.2% hex/EtOH/DEA)에 의해 단리하였다. 
Figure pat00156
실시예 82: {(1S,2S,4R)-4-[(6-{[(1S,2R)-2,7-디메톡시-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48)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34의 단계 a-d에 이어 HCl-매개 데실릴레이션에 따라 실시예 81의 화합물과의 1:1 혼합물로서 제조하였다. 실시예 71에 기재된 참고문헌에 따라 제조한 Rel-(1R,2S)-2,7-디메톡시-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아민을 단계 b에서 커플링 파트너로서 사용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키랄 HPLC (Chiralcel OD 20x250, 20 mL/min의 용리액 88/12/0.2% hex/EtOH/DEA)에 의해 단리하였다. 
Figure pat00157
실시예 83: {(1S,2S,4R)-2-히드록시-4-[(6-{[(1S,2R)-2-메톡시-4,4-디메틸-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51)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34의 단계 a-d에 이어 HCl-매개 데실릴레이션에 따라 실시예 84의 화합물과의 1:1 혼합물로서 제조한 후, 메탄올 중의 용액으로서 1.0 당량의 수산화칼륨으로 처리하여, 상응하는 칼륨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71에 기재된 참고문헌에 따라 제조한 Rel-(1R,2S)-2-메톡시-4,4-디메틸-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아민을 단계 b에서 커플링 파트너로서 사용하였다. 그 후, 표제 화합물을 키랄 HPLC (Chiralpak AD 20x250, 20 mL/min의 용리액 85/15/0.1% hex/EtOH/DEA)에 의해 단리하였다.
Figure pat00158
실시예 84: {(1S,2S,4R)-2-히드록시-4-[(6-{[(1R,2S)-2-메톡시-4,4-디메틸-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일]아미노}피리미딘-4-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50)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34의 단계 a-d에 이어 HCl-매개 데실릴레이션에 따라 실시예 83의 화합물과의 1:1 혼합물로서 제조한 후, 메탄올 중의 용액으로서 1.0 당량의 수산화칼륨으로 처리하여, 상응하는 칼륨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71에 기재된 참고문헌에 따라 제조한 Rel-(1R,2S)-2-메톡시-4,4-디메틸-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아민을 단계 b에서 커플링 파트너로서 사용하였다. 그 후, 표제 화합물을 키랄 HPLC (Chiralpak AD 20x250, 20 mL/min의 용리액 85/15/0.1% hex/EtOH/DEA)에 의해 단리하였다. 
Figure pat00159
실시예 85: [(1S,2S,4S)-4-({6-[(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메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I-33)
단계 a: 2- 클로로 - N -[(1 S )-2,3- 디히드로 -1 H - 인덴 -1-일]-6- 메틸피리미딘 -4-아민
2,4-디클로로-6-메틸피리미딘 (2.54 g, 0.156 mol)을 에탄올 (100 mL)에 용해시키고,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07 mL, 0.23 mol)에 이어 (S)-1-아미노인단 (2.00 mL, 0.156 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2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TLC는 완전한 전환을 나타내었다.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헥산 중의 0 내지 50% 에틸 아세테이트의 구배가 사용되는 실리카겔상에서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95 g, 46%). LC/MS: Rt = 1.90 min, ES+ 260 (AA standard).
단계 b: N -[(1 S )-2,3- 디히드로 -1 H - 인덴 -1-일]-6- 메틸피리미딘 -4-아민
2-클로로-N-[(1S)-2,3-디히드로-1H-인덴-1-일]-6-메틸피리미딘-4-아민 (1.95 g, 7.5 mmol)을 에탄올 (5 mL)에 용해시키고, 10% Pd/C (0.140 g, 0.13 mmol)를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수소로 채우고, 밤새 교반하였다. 이 시점에서, TLC는 완전한 전환을 나타내었다. 팔라듐을 여과해내고,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50 내지 100% 에틸 아세테이트의 구배가 사용되는 실리카겔상에서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65 g, 93%). LC/MS: Rt = 1.51 min, ES+ 226 (AA standard).
단계 c: (4 a S ,6 S ,7 S ,7 a R )-6-{6-[(1 S )-2,3- 디히드로 -1 H - 인덴 -1- 일아미노 ]피리미딘-4-일}메틸)-2-(4-메톡시페닐)헥사히드로시클로펜타-[d]-[1,3]-디옥신-7-올
N-[(1S)-2,3-디히드로-1H-인덴-1-일]-6-메틸피리미딘-4-아민 (0.575 g, 2.55 mmol)을 THF (24 mL)에 용해시키고, 디-n-부틸 에테르 중의 1.8M 페닐리튬 (2.98 mL, 5.36 mmol)을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THF (15 mL) 중의 (1aS,1bR,5aS,6aS)-3-(4-메톡시페닐)헥사히드로옥시레노[4,5]시클로펜타[1,2-d][1,3]디옥신 (0.634 g, 2.55 mmol)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45분간 교반하고, 23℃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시점에서, LCMS는 ~70% 전환을 나타내었다. 포화 염화암모늄 (30 mL)을 사용하여 반응물을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3 x 20 mL),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50 내지 100% 에틸 아세테이트의 구배가 사용되는 실리카겔상에서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465 g, 38%). LC/MS: Rt = 1.77 min, ES+ 474 (AA standard).
단계 d: O- [(4 a S ,6 S ,7 S ,7 a R )-6-{-[(1 S )-2,3- 디히드로 -1 H - 인덴 -1- 일아미노]피리미딘-4-일}메틸)-2-(4-메톡시페닐)헥사히드로시클로펜타-[d]-[1,3]-디옥신-7-일] O-페닐 티오카르보네이트
(4aS,6S,7S,7aR)-6-{6-[(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메틸)-2-(4-메톡시페닐)헥사히드로시클로펜타-[d]-[1,3]-디옥신-7-올 (0.465 g, 0.98 mmol)을 아르곤 분위기하에서 DCM (17 mL)에 용해시키고,4-(디메틸아미노)피리딘 (0.24 g, 1.96 mmol)에 이어 페닐 클로로티오노카르보네이트 (.204 mL, 1.47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헥산 중의 1% TEA로 사전처리된 컬럼상에서 헥산 중의 50 내지 100% EtOAc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508 g, 84%). LC/MS: Rt = 2.38 min, ES+ 610 (AA standard).
단계 e: N- [(1 S )-2,3- 디히드로 -1 H - 인덴 -1-일]-6-{[(4 a S ,6 S ,7 a S )-2-(4- 톡시페닐)헥사히드로시클로펜타-[d]-[1,3]디옥신-6-일]메틸}피리미딘-4-아민
O-[(4aS,6S,7S,7aR)-6-{-[(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4-일}메틸)-2-(4-메톡시페닐)헥사히드로시클로펜타-[d]-[1,3]-디옥신-7-일] O-페닐 티오카르보네이트 (0.508 g, 0.83 mmol)를 질소 분위기하에서 톨루엔 (14 mL)에 용해시키고, 트리-n-부틸틴 히드라이드 (0.448 mL, 1.67 mmol)에 이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027 mg, 0.17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1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키고,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용매를 30 mL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헥산 중의 50 내지 100% EtOAc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280 g, 73%). LC/MS: Rt = 1.94 min, ES+ 458 (AA standard).
단계 f: (1 S ,2 S ,4 S )-4-({6-[(1 S )-2,3- 디히드로 -1 H - 인덴 -1- 일아미노 ]피리미딘-4-일}메틸)-2-(히드록시메틸)시클로펜탄올
N-[(1S)-2,3-디히드로-1H-인덴-1-일]-6-{[(4aS,6S,7aS)-2-(4-메톡시페닐)헥사히드로시클로펜타-[d]-[1,3]-디옥신-6-일]메틸}피리미딘-4-아민 (0.280 g, 0.61 mmol)을 THF (2 mL)에 용해시키고, 물 (2 mL)과 AcOH (6 mL, 0.106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아르곤 분위기하에서 6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DCM 중의 0 내지 10% MeOH의 구배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190 g, 91%). LC/MS: Rt = 1.29 min, ES+ 340 (AA standard).
단계 g: [(1 S ,2 S ,4 S )-4-({6-[(1 S )-2,3- 디히드로 -1 H - 인덴 -1- 일아미노 ]피리미딘-4-일}메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I-33)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65의 단계 d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60
실시예 86: ((1S,2S,4R)-4-{4-[(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5,6-디히드로-7H-피롤로-[2,3-d]피리미딘-7-일}-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46)
단계 a: 2-(4,6- 디클로로피리미딘 -5-일)에탄올
(4,6-디클로로피리미딘-5-일)아세트알데히드 (2.96 g, 15.5 mmol)를 메탄올 (60 mL)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켰다. 나트륨 테트라히드로보레이트 (0.879 g, 23.2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완전한 전환을 나타내었다. 물 (20 mL)로 반응물을 켄칭시키고, 메탄올을 진공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3 x 30 mL). 합쳐진 유기 추출물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중의 0 내지 100% 에틸 아세테이트의 구배가 사용되는 실리카겔상에서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90 g, 63%). LC/MS: Rt = 0.93 min, ES+ 194 (AA standard).
단계 b: 2-{4- 클로로 -6-[(1 S )-2,3- 디히드로 -1 H - 인덴 -1- 일아미노 ]피리미딘-5-일}에탄올
2-(4,6-디클로로피리미딘-5-일)에탄올 (1.90 g, 9.84 mmol)을 1-부탄올 (97 mL)에 용해시키고,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3.43 mL, 19.7 mmol)과 (S)-1-아미노인단 (1.26 mL, 9.84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130℃에서 3일간 가열하였다.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중의 0 내지 100% 에틸 아세테이트의 구배가 사용되는 실리카겔상에서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2.80 g, 98%). LC/MS: Rt = 1.63 min, ES+ 290 (AA standard).
단계 c: 2-(2-{4- 클로로 -6-[(1 S )-2,3- 디히드로 -1 H - 인덴 -1- 일아미노 ]피리미딘-5-일}에틸)-1H-이소인돌-1,3(2H)-디온
2-{4-클로로-6-[(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5-일}에탄올 (2.80 g, 9.66 mmol), 프탈이미드 (1.56 g, 10.6 mmol) 및 트리페닐포스핀 (2.79 g, 10.6 mmol)을 THF (105 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0℃에서 냉각시켰다. DIAD (2.09 mL, 10.6 mmol)을 적가하고, 혼합물을 23℃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헥산 중의 10 내지 50% 에틸 아세테이트의 구배가 사용되는 실리카겔상에서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3.50 g, 86%). LC/MS: Rt = 2.12 min, ES+ 419 (AA standard).
단계 d: 5-(2- 아미노에틸 )-6- 클로로 - N -[(1 S )-2,3- 디히드로 -1 H - 인덴 -1-일]피리미딘-4-아민
2-(2-{4-클로로-6-[(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피리미딘-5-일}에틸)-1H-이소인돌-1,3(2H)-디온 (3.50 g, 8.32 mmol)을 에탄올 (102 mL)에 현탁시키고, 히드라진 히드레이트 (1.62 mL, 33.3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이 시점에서, LCMS는 완전한 전환을 나타내었다. 혼합물을 23℃로 냉각시키고, 결정을 여과해내고, 잔류물을 진공하에서 증발시키고, 메틸렌 클로라이드 중의 0 내지 20% MeOH의 구배가 사용되는 실리카겔상에서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20 g, 50%). LC/MS: Rt = 1.29 min, ES+ 289 (AA standard).
단계 e: N -[(1 S )-2,3- 디히드로 -1 H - 인덴 -1-일]-6,7- 디히드로 -5 H - 피롤로[2,3-d]피리미딘-4-아민
5-(2-아미노에틸)-6-클로로-N-[(1S)-2,3-디히드로-1H-인덴-1-일]피리미딘-4-아민 (1.00 g, 3.46 mmol)과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21 mL, 6.92 mmol)을 1,4-디옥산 (19 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160℃에서 48시간 동안 압력 튜브(pressure tube)에서 가열하였다. 이 시점에서, LCMS는 완전한 전환을 나타내었다.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중의 0 내지 20% MeOH의 구배가 사용되는 실리카겔상에서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81 g, 93%). LC/MS: Rt = 1.55 min, ES+ 253 (AA standard).
단계 f: 7-[(1 R ,3 S ,4 S )-3-{-[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테닐-N-[(1S)-2,3-디히드로-1H-인덴-1-일]-6,7-디히드로-5H-피롤로-[2,3-d]피리미딘-4-아민
N-[(1S)-2,3-디히드로-1H-인덴-1-일]-6,7-디히드로-5H-피롤로[2,3-d]피리미딘-4-아민 (0.460 mg, 1.82 mmol)을 DMF (20 mL)에 용해시키고, NaH (60%, 0.146 g, 3.65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0℃에서 5분간 가열하였다. DMF (10 mL) 중의 (1S,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 메탄설포네이트 (0.800 g, 1.82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0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용액을 23℃로 냉각시키고, 포화 염수 (20 mL)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3 x 30 mL),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0 내지 30% 에틸 아세테이트의 구배가 사용되는 실리카겔상에서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0.22 g, 20%). LC/MS: Rt = 7.17 min, ES+ 596 (AA Nonpolar: Phenominex Luna 5um C18 50 X 4.6 mm 컬럼, H2O 중의 10 mM 암모늄 아세테이트 50 내지 0 %를 함유하는 2.5 ml/min ACN 구배, 3분간)
단계 g: ((1 S ,2 S ,4 R )-4-{4-[(1 S )-2,3- 디히드로 -1 H - 인덴 -1- 일아미노 ]-5,6-디히드로-7H-피롤로-[2,3-d]피리미딘-7-일}-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46)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34의 단계 c에 기재된 절차 및 실시예 65의 단계 d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61
실시예 87: ((1R,2R,3S,4R)-4-{[2-2,3-디히드로-1H-인돌-1-일카르보닐)피리딘-4-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설파메이트 (화합물 I-145)
Figure pat00162
실시예 88: {(1R,2R,3S,4R)-4-[(2-{[(1S)-2,3-디히드로-1H-인덴-1-일아미노]카르보닐}피리딘-4-일)아미노]-2,3-디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설파메이트 (화합물 I-144)
Figure pat00163
실시예 89: ((1S,2S,4R)-4-{[8-(3-클로로페닐)-9H-퓨린-6-일]아미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60)
단계 a: 6- 클로로 -4,5- 디아미노피리미딘
암모니아 (25 mL, 7N/MeOH, 0.175 mole) 중의 5-아미노-4,6-디클로로피리미딘 (3 g, 0.02 mol) 현탁액을 118℃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압력하에서). 반응물을 23℃로 냉각시키고, 여과시키고, 에탄올로 세척하여, 1.92 g (70%)을 수득하였다.
단계 b: 6- 클로로 -8-(3- 클로로페닐 )-9 H -퓨린
플라스크 중의 6-클로로-4,5-디아미노피리미딘 (0.70 g, 4.84 mmol)과 3-클로로벤조산 (0.76 g, 4.84 mmol)의 혼합물에 포스포릴 클로라이드 (40.0 mL)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0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과량의 포스포릴 클로라이드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물 (20 mL)에 첨가하였다.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5 % 메탄올/DCM)에 의해 정제하여, 황색 고형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28 g, 31 %). LC / MS : Rt = 1.59 min, ES+ 265.0 (FA standard).
단계 c: N -[(1 R ,3 S ,4 S )-3-{[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8-(3-클로로페닐)-9H-퓨린-6-아민
에탄올 (2.00 mL) 중의 6-클로로-8-(3-클로로페닐)-9H-퓨린 (155 mg, 0.58 mmol), (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탄아민 (200 mg, 0.56 mmol) (실시예 128, 단계 a-c)과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20 mL, 1.17 mmol)의 용액을 160℃에서 30분간 마이크로파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5 % 메탄올/DCM)에 의해 정제하여, 연황색 고형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275 mg, 76 %).
단계 d: ((1 S ,2 S ,4 R )-2-{[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8-(3- 클로로페닐)-9H-퓨린-6-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탄올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34의 단계 c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LC / MS : Rt = 2.07 min, ES+ 474.2 (AA standard).
단계 e: ((1S,2S,4R)-4-{[8-(3- 클로로페닐 )-9H-퓨린-6-일]아미노}-2- 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60)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65의 단계 d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64
실시예 90: ((1S,2S,4R)-4-{[8-(2,6-디메톡시페닐)-9H-퓨린-6-일]아미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93)
표제 화합물을 2,6-디메톡시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89 (단계 a-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65
실시예 91: [(1S,2S,4R)-2-히드록시-4-({8-[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9H-퓨린-6-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22)
표제 화합물을 α,α,α-트리플루오로-o-톨루엔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89 (단계 a-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66
실시예 92: ((1S,2S,4R)-2-히드록시-4-{[8-(2-페녹시페닐)-9H-퓨린-6-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37)
표제 화합물을 2-페녹시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89 (단계 a-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67
실시예 93: ((1S,2S,4R)-2-히드록시-4-{[8-(1-나프틸)-9H-퓨린-6-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49)
표제 화합물을 1-나프탈렌카르복실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89 (단계 a-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68
실시예 94: {(1S,2S,4R)-4-[(8-디벤조[b,d]푸란-4-일-9H-퓨린-6-일)아미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39)
표제 화합물을 디벤조푸란-4-카르복실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89 (단계 a-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69
실시예 95: {(1S,2S,4R)-4-[(8-비페닐-3-일-9H-퓨린-6-일)아미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05)
표제 화합물을 비페닐-3-카르복실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89 (단계 a-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70
실시예 96: ((1S,2S,4R)-2-히드록시-4-{[8-(5,6,7,8-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일)-9H-퓨린-6-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26)
표제 화합물을 5,6,7,8-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카르복실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89 (단계 a-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71
실시예 97: ((1S,2S,4R)-2-히드록시-4-{[8-(1-나프틸)-9H-퓨린-6-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87)
표제 화합물을 (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탄올을 사용하여 실시예 33 (단계 a-b, e-f)에 기재된 절차 및 실시예 65 (단계 d)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72
실시예 98: {(1S,2S,4R)-4-[(8-비페닐-2-일-9H-퓨린-6-일)아미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48)
표제 화합물을 2-비페닐카르복실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89 (단계 a-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73
실시예 99: ((1S,2S,4R)-4-{[8-(2,2-디메틸-2,3-디히드로-1-벤조푸란-7-일)-9H-퓨린-6-일]아미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00)
표제 화합물을 2,2-디메틸-2,3-디히드로-1-벤조푸란-7-카르복실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89 (단계 a-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74
실시예 100: [(1S,2S,4R)-4-({8-[4-(디메틸아미노)-1-나프틸]-9H-퓨린-6-일}아미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64)
표제 화합물을 4-디메틸아미노나프탈렌-1-카르복실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89 (단계 a-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75
실시예 101: ((1S,2S,4R)-2-히드록시-4-{[8-(3-메톡시페닐)-9H-퓨린-6-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99)
표제 화합물을 3-메톡시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89 (단계 a-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76
실시예 102: {(1S,2S,4R)-4-[(8-벤질-9H-퓨린-6-일)아미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88)
표제 화합물을 벤젠아세트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89 (단계 a-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77
실시예 103: ((1S,2S,4R)-2-히드록시-4-{[8-(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일)-9H-퓨린-6-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21)
표제 화합물을 1,2,3,4-테트라히드로-1-나프탈레닐 히드로퍼옥시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89 (단계 a-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78
실시예 104: [(1S,2S,4R)-4-({8-[2-(디메틸아미노)페닐]-9H-퓨린-6-일}아미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37)
표제 화합물을 2-디메틸아미노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89 (단계 a-e)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79
실시예 105: ((1S,2S,4R)-4-{[8-(2,3-디히드로-1,4-벤조디옥신-5-일)-9H-퓨린-6-일]아미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41)
표제 화합물을 2,3-디히드로-1,4-벤조디옥신-5-카르복실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89 (단계 a-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80
실시예 106: [(1S,2S,4R)-4-({8-[2-(벤질옥시)페닐]-9H-퓨린-6-일}아미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68)
표제 화합물을 2-벤질옥시벤조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89 (단계 a-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81
실시예 107: {(1S,2S,4R)-4-[(8-시클로헥실-9H-퓨린-6-일)아미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28)
표제 화합물을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89 (단계 a-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82
실시예 108: {(1S,2S,4R)-4-[(8-3차-부틸-9H-퓨린-6-일)아미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31)
표제 화합물을 트리메틸아세트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89 (단계 a-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83
실시예 109: ((1S,2S,4R)-4-{[8-(4-클로로페닐)-9H-퓨린-6-일]아미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11)
단계 a: 6- 클로로 -8-(4- 클로로페닐 )- 9H -퓨린
1,4-디옥산 (60 mL, 0.8 mol) 중의 6-클로로-4,5-디아미노피리미딘 (1 g, 0.007 mol) (실시예 89, 단계 a) 용액에 28.6 g의 실리카겔과 혼합된 철 클로라이드 (2.5 g, 0.015 mol)와 4-클로로벤즈알데히드 (2.2 g, 0.016 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100℃에서 20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23℃로 냉각시키고, 여과시키고, 10% 에탄올/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물, 염수로 세척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 중에서 분쇄시켜서, 272 mg (10%)을 수득하였다. LC/MS: Rt = 1.54 min, ES+ 265 (AA standard).
단계 b: ((1 S ,2 S ,4 R )-4-{[8-(4- 클로로페닐 )- 9H -퓨린-6-일]아미노}-2- 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11)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89 (단계 c-d)에 기재된 절차 및 실시예 1의 단계 d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84

*실시예 110: {(1S,2S,4R)-2-히드록시-4-[(8-페닐-9H-퓨린-6-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69)
표제 화합물을 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하는 실시예 109 (단계 a) 및 실시예 1 (단계 d)에 기재된 절차에 이어 TBS 기를 TBAF 탈보호시킴으로써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85
실시예 111: [(1S,2S,4R)-2-히드록시-4-({8-[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9H-퓨린-6-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62)
표제 화합물을 2-(트리플루오로메톡시) 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09 (단계 a)와 실시예 89 (단계 c-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86
실시예 112: ((1S,2S,4R)-2-히드록시-4-{[8-(2-메톡시페닐)-9H-퓨린-6-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33)
표제 화합물을 2-메톡시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11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87
실시예 113: ((1S,2S,4R)-2-히드록시-4-{[6-(1-나프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74)
단계 a: 4- 클로로 -6-(1- 나프틸 )-7-( 페닐설포닐 )-7 H - 피롤로[2,3- d ]피리미
THF (3.00 mL) 중의 N,N-디이소프로필아민 (265 mL, 1.89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아르곤 분위기하에서 -78℃에서 헥산 (1.17 mL) 중의 1.60 M n-부틸리튬을 적가하고, 혼합물을 -78℃에서 20분간 교반하였다. 이러한 혼합물에 THF (5.00 mL) 중의 4-클로로-7-(페닐설포닐)-7H-피롤로[2,3-d]피리미딘 (500 mg, 1.70 mmol) 용액을 적가하고, 혼합물을 -78℃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HF (2.00 mL) 중의 염화아연 (278 mg, 2.04 mmol) 용액을 적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냉각조에서 꺼내어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HF (2.00 mL) 중의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100 mg, 0.08 mmol) 현탁액에 1-요오도나프탈렌 (0.30 mL, 2.06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황색 용액을 바로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8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23℃로 냉각시킨 후, 물 (70.0 mL)을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켄칭시키고, 수층(water layer)을 1.00 M 염산으로 산성화시켰다.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하고 (3 x 100 mL), 유기층들을 합쳤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3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되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665 mg, 82%). LC / MS : Rt = 11.11 min, ES+ 420.0 (FA long).
단계 b: 4- 클로로 -6-(1- 나프틸 )-7 H - 피롤로[2,3- d ]피리미딘
THF (2.50 mL) 중의 4-클로로-6-(1-나프틸)-7-(페닐설포닐)-7H-피롤로[2,3-d]피리미딘 (350 mg, 0.73 mmol)의 교반된 용액에 메탄올 (1.19 mL) 중의 NaOH (205 mg, 5.13 mmol)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5분간 교반하였다. 포화 NH4Cl 용액 (80.0 mL)을 첨가하여 켄칭시킨 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3 x 100 mL). 유기층들을 합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소량의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현탁액을 유리 패드 필터(glass pad filter)를 통해 여과시켰다. 백색 고형물을 높은 진공하에서 건조시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41 mg, 65 %).
단계 c: ((1 S ,2 S ,4 R )-2-히드록시-4-{[6-(1- 나프틸 )-7 H - 피롤로[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74)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89 (단계 c-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88
실시예 114: {(1S,2S,4R)-2-히드록시-4-[(6-페닐-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38)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13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89
실시예 115: ((1S,2S,4R)-4-{[8-(7-클로로퀴놀린-4-일)-7H-퓨린-6-일]옥시}-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73)
단계 a: 6-{[(1 R ,3 S ,4 S )-3-{[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
DMF (4 mL, 0.05 mol)에 0℃에서 수소화나트륨 (47 mg, 0.0012 mol)을 현탁시키고, 여기에 2.5 mL DMF 중의 (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탄올 (0.200 g, 0.000554 mol)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10분간 교반하고, 4 mL DMF 중의 6-클로로-9-(테트라히드로피라닐)퓨린 (0.265 g, 0.00111 mol) (실시예 33, 단계 b)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23℃로 밤새 가온시켰다. 포화 수성 NH4Cl을 첨가하여 반응물을 켄칭시키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5% 아세톤/톨루엔)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71 mg (86.8%)을 수득하였다.
단계 b: 6-{[(1 R ,3 S ,4 S )-3-{[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8-요오도-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
THF (10 mL, 0.1 mol) 중의 6-{[(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 (288 mg, 0.000512 mol) 용액에 N-요오도숙신이미드 (0.576 g, 0.00256 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7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포화 수성 NaHSO3을 첨가하여 켄칭시키고,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하고 (3x), 물,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1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71 mg (76.9%)을 수득하였다. 참고문헌: Nolsoe, J.M.J.; Gundersen, L-L.; Rise, F. Acta Chemica Scandinavica, 1999, 53, 366-372.
단계 c: 4-[6-{[(1 R ,3 S ,4 S )-3-{[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8-일]-7-클로로퀴놀린
1,2-디메톡시에탄 (3.0 mL, 0.029 mol) 중의 6-{[(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8-요오도-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 (258.4 mg, 0.0003752 mol) 용액에 7-클로로퀴놀린-4-붕소산 피나콜 에스테르 (0.158 g, 0.000546 mol), 바륨 히드록시드 (0.228 g, 0.00133 mol), 물 (0.5 mL, 0.03 mo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O) (0.02 g, 0.00002 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9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물을 첨가하여 켄칭시키고,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하고 (3x), 물,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3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80 mg (66.2%)을 수득하였다. 참고문헌: Cammidge, A.N.; Crepy, K.V.L. Tetrahedron, 2004, 60, 4377-4386.
단계 d: ((1 S ,2 S ,4 R )-4-{[8-(7- 클로로퀴놀린 -4-일)- 7H -퓨린-6-일] 옥시 }-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73)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89 (단계 d-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90
실시예 116: ((1S,2S,4R)-2-히드록시-4-{[8-(1H-인돌-3-일)-7H-퓨린-6-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40)
표제 화합물을 1-(페닐설포닐)-인돌-3-붕소산 피나콜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실시예 115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91
실시예 117: [(1S,2S,4R)-4-({8-[4-(디메틸아미노)-1-나프틸]-7H-퓨린-6-일}옥시)-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03)
표제 화합물을 N,N-디메틸-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나프탈렌-1-아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115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92
실시예 118: ((1S,2S,4R)-4-{[8-(1-벤질-1H-피라졸-4-일)-7H-퓨린-6-일]옥시}-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29)
표제 화합물을 1-벤질파라졸-4-붕소산 피나콜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실시예 115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93
실시예 119: {(1S,2S,4R)-2-히드록시-4-[(8-이소퀴놀린-4-일-7H-퓨린-6-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12)
표제 화합물을 4-이소퀴놀린붕소산 피나콜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실시예 115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94
실시예 120: ((1S,2S,4R)-2-히드록시-4-{[8-(4-피롤리딘-1-일-1-나프틸)-7H-퓨린-6-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39)
단계 a: 1-(4- 브로모 -1- 나프틸 ) 피롤리딘
톨루엔 (5.00 mL, 0.0469 mol) 중의 1,4-디브로모나프탈렌 (500 mg, 0.002 mol), 피롤리딘 (0.18 mL, 0.0021 mol), (R)-(+)-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0.022 g, 0.000035 mol), 나트륨 3차-부톡시드 (0.24 g, 0.0024 mol)의 용액에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 (0.008 g, 0.000009 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7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물을 첨가하여 켄칭시키고,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하고 (3x), 물,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25% 헥산/DC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400 mg (80%)을 수득하였다. 참고문헌: Jean, L.; Rouden, J.; Maddaluno, J.; Lasne, M-C. J. Org . Chem . 2004, 69, 8893-8902.
단계 b: 1-[4-(4,4,5,5- 테트라메틸 -1,3,2- 디옥사보롤란 -2-일)-1- 나프틸 ]피롤리딘
N,N-디메틸포름아미드 (8 mL, 0.1 mol) 중의 1-(4-브로모-1-나프틸)피롤리딘 (400 mg, 0.001 mol), 비스(피나콜라토)디보론 (0.40 g, 0.0016 mol), 칼륨 아세테이트 (0.43 g, 0.0043 mol)의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0.050 g, 0.000043 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0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물을 첨가하여 켄칭시키고, 혼합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추출하고, 물,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25% DCM / 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21 mg (50%)을 수득하였다. 참고문헌: Miyashita, K.; Sakai, T.; Imanishi, T. Org . Lett. 2003, 5, 2683-2686.
단계 c: ((1 S ,2 S ,4 R )-2-히드록시-4-{[8-(4- 피롤리딘 -1-일-1- 나프틸 )- 7H -퓨린-6-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39)
표제 화합물을 1-[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나프틸]피롤리딘을 사용하여 실시예 115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95
실시예 121: [(1S,2S,4R)-2-히드록시-4-({8-[(3-메틸페닐)설파닐]-7H-퓨린-6-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36)
단계 a: 6-{[(1 R ,3 S ,4 S )-3-{[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8-[(3-메틸페닐)설파닐]-9H-퓨린
DMF (10 mL, 0.2 mol) 중의 3-메틸벤젠티올 (0.55 mL, 0.0046 mol) 용액에 수소화나트륨 (0.093 g, 0.0023 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간 교반한 후, 6-{[(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8-요오도-9-(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9H-퓨린 (400 mg, 0.0006 mol) (실시예 115, 단계 a-b)을 첨가하고, 용액을 150℃에서 8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물을 첨가하여 켄칭시키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물,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30% 에틸 아세테이트 / 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96 mg (80%)을 수득하였다.
단계 b: [(1 S ,2 S ,4 R )-2-히드록시-4-({8-[(3- 메틸페닐 ) 설파닐 ]- 7H -퓨린-6-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36)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89 (단계 d-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96
실시예 122: [(1S,2S,4R)-2-히드록시-4-({8-[(3-메틸페닐)설포닐]-9H-퓨린-6-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01)
0℃에서 메탄올 (1.0 mL, 0.025 mol) 중의 [(1S,2S,4R)-2-히드록시-4-({8-[(3-메틸페닐)설파닐]-9H-퓨린-6-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13 mg, 0.000029 mol) 용액에 물 (0.5 mL, 0.03 mol) 중의 옥손® (0.0354 g, 0.0000576 mol)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밤새 23℃로 가온시켰다. 반응물을 물과 에틸 아세테이트:이소프로판올을 사용하여 분배시켰다. 층들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이소프로판올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물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수집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20%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9 mg (60%)을 수득하였다. 참고문헌: Ref.: Ramani R. Ranatunge,* et Al., J. Med . Chem., 2004, 47, 2180-2193.
Figure pat00197
실시예 123: {(1S,2S,4R)-4-[(9-벤질-9H-퓨린-6-일)옥시]-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80)
단계 a: 5-아미노-4- 벤질아미노 -6- 클로로피리미딘
1-부탄올 (50.0 mL, 0.547 mol) 중의 5-아미노-4,6-디클로로피리미딘 (8.4 g, 0.051 mol)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12 mL, 0.084 mol)과 벤질아민 (17 mL, 0.15 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0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냉각시키고, 여과시키고, 에탄올로 세척하였다. 잔류물을 CH2Cl2에 용해시키고, 포화 수성 NaHCO3로 세척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 중에서 분쇄시켜서, 연갈색 고형물 11.5 g (96%)을 수득하였다.
단계 b: 6- T 클로로 -9- 벤질퓨린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0 mL, 0.129 mol) 중의 1,4-디옥산 (2.3 mL) 중의 4.0 M 염산 용액에 에틸 오르토포르메이트 (2.00 mL, 0.0120 mol)와 N 4-벤질-6-클로로피리미딘-4,5-디아민 (500 mg, 0.002 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일간 교반하였다. 트리에틸아민 (1.5 mL, 0.011 mol)을 첨가하여 반응물을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포화 수성 중탄산나트륨, 물,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3 내지 5%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336 g (60%)을 수득하였다. LC/MS: Rt = 1. 49 min, ES+ 245.08 (AA standard).
단계 c: {(1 S ,2 S ,4 R )-4-[(9-벤질- 9H -퓨린-6-일) 옥시 ]-2- 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80)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15 (단계 a와 d)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98
실시예 124: ((1S,2S,4R)-4-{[8-(2,3-디히드로-1-벤조푸란-7-일)-7H-퓨린-6-일]아미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17)
표제 화합물을 적절한 카르복실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89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199
실시예 125: {(1S,2S,4R)-2-히드록시-4-[(8-퀴놀린-8-일-7H-퓨린-6-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84)
표제 화합물을 적절한 카르복실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89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00
실시예 126: [(1S,2S,4R)-4-({8-[4-(벤질옥시)페닐]-7H-퓨린-6-일}아미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02)
표제 화합물을 적절한 카르복실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89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01
실시예 127: ((1S,2S,4R)-4-{[8-(2,3-디메톡시페닐)-9H-퓨린-6-일]아미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67)
표제 화합물을 적절한 카르복실산을 사용하는 실시예 89 (단계 a-d)에 기재된 절차 및 실시예 1 (단계 d, TBS 탈보호를 위해 HCl을 사용함)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02
실시예 128: ((1S,2S,4R)-2-히드록시-4-{메틸[8-(1-나프틸)-9H-퓨린-6-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46)
단계 a: (1 S ,3 S ,4 S )-3-{[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 메탄설포네이트
0℃에서 CH2Cl2 (55.0 mL, 0.858 mol) 중의 (1S,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탄올 (2.02 g, 0.00560 mol)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서 트리에틸아민 (1.8 mL, 0.013 mol)과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0.650 mL, 0.00840 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1시간 동안 23℃로 가온시켰다. 포화 수성 중탄산나트륨을 첨가하여 반응물을 켄칭시키고, DCM으로 추출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시키고, 농축시켜서, 표제 화합물 2.66 g (100 %)을 수득하였다.
단계 b: [((1 S ,2 S ,4 R )-4- 아지도 -2-{[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 시클로펜틸)메톡시](3차-부틸)디메틸실란
N,N-디메틸포름아미드 (20 mL, 0.2 mol) 중의 (1S,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 메탄설포네이트 (2.66 g, 0.00606 mol) 용액에 나트륨 아지드 (1.21 g, 0.0186 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55℃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23℃로 냉각시키고, 물을 첨가하여 켄칭시키고, Et2O로 추출하고 (3x), 물,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15%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13 g (91.1%)을 수득하였다.
단계 c: (1 R ,3 S ,4 S )-3-{[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탄아민
EtOAc (45.0 mL, 0.461 mol) 중의 [((1S,2S,4R)-4-아지도-2-{[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시클로펜틸)메톡시](3차-부틸)디메틸실란 (2.13 g, 0.00552 mol)과 10% Pd/C (0.27 g, 0.00026 mol)의 현탁액을 수소 분위기하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질소로 퍼징하고, EtOAc를 사용하는 셀라이트를 통해 혼합물을 여과시켰다. 여액을 농축시켜서, 표제 화합물 1.83 g (92.1%)을 수득하였다.
단계 d: 벤질-[(1 R ,3 S ,4 S )-3-{[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카르바메이트
0℃에서 메틸렌 클로라이드 (2.0 mL, 0.031 mol) 중의 (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탄아민 (0.098 g, 0.00027 mol)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0.076 mL, 0.00054 mol)과 벤질 클로로포르메이트 (0.044 mL, 0.00031 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밤새 23℃로 가온시켰다. 물을 첨가하여 반응물을 켄칭시키고, 혼합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추출하였다 (3x). 유기층들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8%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73 mg (54%)을 수득하였다.
단계 e: 벤질-[(1 R ,3 S ,4 S )-3-{[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메틸카르바메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 (2 mL, 0.02 mol) 중의 벤질-[(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카르바메이트 (0.073 g, 0.00015 mol) 용액에 수소화나트륨 (0.028 g, 0.0012 mol)을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10분간 교반하고, 요오드화메틸 (0.023 mL, 0.00037 mol) (알루미나상에서 정제됨)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을 첨가하여 반응물을 켄칭시키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단계 f: (1 R ,3 S ,4 S )-3-{[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N-메틸시클로펜탄아민
에탄올 (5.0 mL) 중의 벤질-[(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메틸카르바메이트 (0.394 g, 0.000776 mol)와 10% Pd/C (0.04 g, 0.00004 mol)의 현탁액을 수소 분위기하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질소로 퍼징하고, 에탄올을 사용하는 셀라이트를 통해 혼합물을 여과시켰다. 여액을 농축시켜서, 표제 화합물 0.290 g (99%)을 수득하였다.
단계 g: ((1 S ,2 S ,4 R )-2-히드록시-4-{메틸[8-(1- 나프틸 )- 9H -퓨린-6-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46)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89 (단계 c-d)에 기재된 절차 및 실시예 1 (단계 d, TBS 탈보호를 위해 HCl을 사용함)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03
실시예 129: ((1S,2S,4R)-2-히드록시-4-{[8-(2-메틸페닐)-9H-퓨린-6-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07)
표제 화합물을 적절한 카르복실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89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04
실시예 130: {(1S,2S,4R)-2-히드록시-4-[메틸(9-메틸-8-페닐-9H-퓨린-6-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23)
단계 a: 6- 클로로 -9- 메틸 -8- 페닐 -9 H -퓨린
DMF (8.0 mL, 0.10 mol) 중의 6-클로로-8-페닐-7H-퓨린 (0.200 g, 0.000867 mol) (실시예 109, 단계 a) 용액에 수소화나트륨 (0.025 g, 0.0010 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분간 교반하고, 여기에 요오드화메틸 (0.065 mL, 0.0010 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수성 NH4Cl을 첨가하여 반응물을 켄칭시키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물,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3 내지 10% 아세톤 / 톨루엔)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45 mg (68%)을 수득하였다.
단계 b: N -[(1 R ,3 S ,4 S )-3-{[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9-메틸-8-페닐-9H-퓨린-6-아민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89 (단계 c)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c: N -[(1 R ,3 S ,4 S )-3-{[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차 -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N,9-디메틸-8-페닐-9H-퓨린-6-아민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 0.1 mol) 중의 N-[(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9-메틸-8-페닐-9H-퓨린-6-아민 (200 mg, 0.0004 mol) 용액에 수소화나트륨 (0.112 g, 0.00280 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0분간 교반하고, 여기에 요오드화메틸 (0.05 mL, 0.0008 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포화 수성 NH4Cl을 첨가하여 반응물을 켄칭시키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물,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0 내지 10% MeOH / DC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00 mg (100%)을 수득하였다.
단계 d: {(1 S ,2 S ,4 R )-2-히드록시-4-[메틸(9- 메틸 -8- 페닐 - 9H -퓨린-6-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23)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89 (단계 d-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05
실시예 131: {(1S,2S,4R)-2-히드록시-4-[(9-메틸-8-페닐-9H-퓨린-6-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130)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30 (단계 a)에 기재된 절차 및 실시예 89 (단계 c-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06
실시예 132: {(1S,2S,4R)-2-히드록시-4-[(7-메틸-8-페닐-7H-퓨린-6-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36)
단계 a: N -(4,6- 디클로로피리미딘 -5-일) 벤즈아미드
5-아미노-4,6-디클로로피리미딘 (1.15 g, 0.00701 mol)과 벤조일 클로라이드 (1.0 mL, 0.0086 mol)의 혼합물을 10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분쇄시키고, 여과시키고, 수집하여, 표제 화합물 1.6 g (85%)을 수득하였다.
단계 b: N -(4,6- 디클로로피리미딘 -5-일)- N - 메틸벤즈아미드
테트라히드로푸란 (70 mL, 0.9 mol) 중의 N-(4,6-디클로로피리미딘-5-일)벤즈아미드 (3.0 g, 0.011 mol) 용액에 탄산세슘 (9.8 g, 0.030 mol)을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5분간 교반하고, 여기에 요오드화메틸 (1.4 mL, 0.022 mol) (산화알루미늄상에서 정제됨)을 첨가하였다.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탄산세슘 (5.0 g, 0.015 mol)과 요오드화메틸 (0.70 mL, 0.011 mol) (알루미나상에서 정제됨)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고, 포화 수성 NH4Cl을 첨가하여 켄칭시키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물,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시키고, 농축시키고, 디에틸 에테르 중에서 분쇄시켜서, 표제 화합물 2.54 g (80%)을 수득하였다.
단계 c: N -(4-아미노-6- 클로로피리미딘 -5-일)- N - 메틸벤즈아미드
1-부탄올 (5 mL, 0.05 mol) 중의 N-(4,6-디클로로피리미딘-5-일)-N-메틸벤즈아미드 (0.455 g, 0.00161 mol) 용액에 수산화암모늄 (0.50 mL, 0.013 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물에 수산화암모늄 (1.0 mL, 0.026 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냉각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이소프로판올의 혼합물로 추출하고, 포화 수성 중탄산나트륨,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시키고, 농축시키고, 디에틸 에테르 중에서 분쇄시켜서, 표제 화합물 284 mg (67.1%)을 수득하였다.
단계 d: 6- 클로로 -7- 메틸 -8- 페닐 - 7H -퓨린
포스포릴 클로라이드 (8 mL, 0.08 mol) 중의 N-(4-아미노-6-클로로피리미딘-5-일)-N-메틸벤즈아미드 (0.285 g, 0.00108 mol) 현탁액을 115℃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농축시키고, 디에틸 에테르 중에서 분쇄시켜서, 황색 고형물 224 mg (84.4%)을 수득하였다. LC/MS: Rt = 1.30 min, ES+ 245.08 (AA standard).
단계 e: {(1 S ,2 S ,4 R )-2-히드록시-4-[(7- 메틸 -8- 페닐 - 7H -퓨린-6-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36)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89 (단계 c-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07
실시예 133: ((1S,2S,4R)-4-{[8-(2-클로로페닐)-9H-퓨린-6-일]아미노}-2-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34)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89 (단계 a, c-d)에 기재된 절차, 실시예 109 (단계 a)에 기재된 절차, 및 실시예 1 (단계 d, TBS 기 탈보호를 위해 TBAF를 사용함)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08
실시예 134: {(1S,2S,4R)-2-히드록시-4-[(8-페닐-9H-퓨린-6-일)옥시]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63)
단계 a: 9-벤질-6-{[(1 R ,3 S ,4 S )-3-{[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 3 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8-페닐-9H-퓨린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23 (단계 a)에 기재된 절차, 실시예 109 (단계 a)에 기재된 절차, 및 실시예 115 (단계 a)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b: {(1 S ,2 S ,4 R )-2-{[ 3차 -부틸(디메틸)실릴] 옥시 }-4-[(8- 페닐 - 9H -퓨린-6-일)옥시]시클로펜틸}메탄올
메탄올 (11.0 mL, 0.272 mol) 중의 9-벤질-6-{[(1R,3S,4S)-3-{[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4-({[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시클로펜틸]옥시}-8-페닐-9H-퓨린 (0.161 g, 0.000249 mol), 10% Pd/C (0.04 g, 0.00004 mol) 및 포름산 (0.1 mL, 0.003 mol)의 현탁액을 질소 분위기하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포름산 (0.2 mL, 0.005 mol) 및 10% Pd/C (0.04 g, 0.00004 mol)를 반응물에 첨가하고, 24시간 교반하였다. 10% Pd/C (0.060 g, 0.000056 mol) 및 포름산 (0.2 mL, 0.005 mol)을 반응물에 첨가하고, 추가로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질소로 퍼징하고, DCM을 사용하는 셀라이트를 통해 혼합물을 여과시켰다. 여액을 농축시키고,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30 내지 5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30 mg (27%)을 수득하였다. LC/MS: Rt = 2.08 min, ES+ 441.18 (AA standard).
단계 c: {(1 S ,2 S ,4 R )-2-히드록시-4-[(8- 페닐 - 9H -퓨린-6-일) 옥시 ] 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63)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89 (단계 e)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09
실시예 135: {(1S,2S,4R)-2-히드록시-4-[(2-페닐[1,3]옥사졸로[5,4-d]피리미딘-7-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90)
단계 a: 7- 클로로 -2- 페닐[1,3]옥사졸로 [5,4- d ]피리미딘
5-아미노-4,6-디클로로피리미딘 (1.05 g, 0.00640 mol)과 벤조일 클로라이드 (0.89 mL, 0.0077 mol)의 혼합물을 2시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 (100℃) 처리하였다.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분쇄시키고, 여과시키고, 수집하여, 황색 고형물 1.15 g (77.5%)을 수득하였다. LC/MS: Rt = 1.84 min, ES+ 232.19 (AA standard).
단계 c: {(1 S ,2 S ,4 R )-2-히드록시-4-[(2- 페닐[1,3]옥사졸로 [5,4- d ]피리미딘-7-일)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설파메이트 (화합물 I-90)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89 (단계 c-d)에 기재된 절차 및 실시예 1 (단계 d, TBS 탈보호를 위해 TBAF를 사용함)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210
실시예 136: 효소 제조
본원에 제공된 모든 단백질 수탁 번호는 내셔널 센터 포 바이오테크놀로지 인포메이션(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 (Bethesda, MD)에 의해 유지되는 엔트레즈 프로테인 데이터베이스(Entrez Protein database)를 참조한다.
E1 효소의 생성
제조업체 지시에 따라, 다음과 같은 단백질에 대한 Bac-to-Bac 발현 시스템 (Invitrogen)을 지닌 바큘로바이러스를 생성시켰다: 태깅되지 않은(untagged) NAEα (APPBPl; NP_003896.1), N-말단 His-태깅된 NAEβ (UBElC; NP_003959.3), 태깅되지 않은 SAEα (SAEl; NP_005491.1), N-말단 His-태깅된 SAEβ (UBA2; NP_005490.1), N-말단 His-태깅된 뮤린 UAE (UBE1X; NP_033483). NAEα/His-NAEβ 및 SAEα/His-SAEβ 복합체를 Sf9 세포의 동시감염(co-infection)에 의해 생성시키고, 이를 48시간 후에 수거하였다. His-mUAE를 Sf9 세포의 단일 감염에 의해 생성시키고, 이를 72시간 후에 수거하였다. 발현된 단백질을 표준 완충액을 사용하여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Ni-NTA 아가로오스, Qiagen)에 의해 정제하였다.
E2 효소의 생성
Ubcl2 (UBE2M; NP_003960.1), Ubc9 (UBE2I; NP_003336.1), Ubc2 (UBE2A; NP_003327.2)를 pGEX (Pharmacia)내로 서브클로닝하고, 대장균에서 N-말단 GST 태깅된 융합 단백질로서 발현시켰다. 발현된 단백질을 표준 완충액을 사용하는 통상적인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Ubl 단백질의 생성
Nedd8 (NP_006147), Sumo-1 (NP_003343) 및 유비퀴틴 (최적화된 코돈을 지님)을 pFLAG-2 (Sigma)내로 서브클로닝하고, 대장균에서 N-말단 Flag 태깅된 단백질로서 발현시켰다. 발현된 단백질을 표준 완충액을 사용하는 통상적인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실시예 137: El 효소 검정
Nedd8 -활성화 효소 ( NAE ) HTRF 검정
NAE 효소 반응물의 총 부피는 50 μL였고, 50 mM HEPES (pH 7.5), 0.05% BSA, 5 mM MgCl2, 20 μM ATP, 250 μM GSH, 0.01 μM Ubcl2-GST, 0.075 μM Nedd8-Flag 및 0.20 nM 재조합 인간 NAE 효소를 함유하였다. 효소 반응 혼합물을 억제제 화합물의 존재 및 부재하에서 384-웰 플레이트에서 24℃ 실온에서 105분간 인큐베이션시킨 후, 25 μL의 중지/검출(Stop/Detection) 완충액 ((0.1M HEPES pH 7.5, 0.05% Tween20, 20 mM EDTA, 410 mM KF, 0.53 nM 유로퓸-크립테이트 표지된 모노클로날 항-FLAG M2 항체 (CisBio International) 및 8.125 μg/mL PHYCOLINK 염소 항-GST 알로피코시아닌 (XL-APC) 항체 (Prozyme))으로 종결시켰다. 24℃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FRET의 정량화를 Analyst™ HT 96.384 (Molecular Devices)로 수행하였다.
화합물 I-1 내지 I-153을 이러한 검정에서 시험하였다. 화합물 I-1, I-2, I-3, I-5, I-6, I-8 내지 I-12, I-14, I-15, I-17, I-18, I-19, I-21, I-24 내지 I-27, I-29, I-32, I-34, I-37 내지 I-43, I-45, I-46, I-47, I-49, I-55, I-56, I-60, I-62 내지 I-65, I-67, I-68, I-69, I-71, I-73, I-74, I-82, I-83, I-84, I-87, I-88, I-90, I-93, I-99, I-100, I-101, I-102, I-103m, I-105 내지 I-109, I-111, I-112, I-115, I-117, I-118, I-121, I-122, I-124, I-125, I-126, I-128 내지 I-131, I-133, I-134, I-136, I-137, I-139, I-140, I-142, I-143, I-146, I-147, I-150, I-151, 및 I-153은 이러한 검정에서 500 nM 또는 이 보다 작은 IC50 값을 나타내었다. 화합물 I-4, I-7, I-16, I-28, I-33, I-35, I-36, I-48, I-53, I-54, I-59, I-66, I-77, I-79, I-80, I-81, I-86, I-92, I-94, I-96, I-98, I-110, I-113, I-114, I-119, I-120, I-123, I-127, I-132, I-138, I-141, I-148, I-149, 및 I-152는 이러한 검정에서 500 nM 보다 크지만 10 mM 미만의 IC50 값을 나타내었다. 화합물 I-13, I-20, I-22, I-23, I-30, I-31, I-58, I-61, I-76, I-85, I-89, I-97, I-144, 및 I-145는 이러한 검정에서 10 μM 보다 큰 IC50 값을 나타내었다.
Sumo -활성화 효소 ( SAE ) HTRF 검정
SAE 효소 반응을 NAE에 대해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수행하였는데, 단, Ubcl2-GST 및 Nedd8-Flag 대신 각각 0.01 μM Ubc9-GST 및 0.125 μM Sumo-Flag를 사용하였고, ATP의 농도는 0.5 μM 였다. 재조합 인간 SAE (0.11 nM)가 효소원이었다.
유비퀴틴 -활성화 효소 ( UAE ) HTRF 검정
UAE 효소 반응을 NAE에 대해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수행하였는데, 단, Ubcl2-GST 및 Nedd8-Flag 대신 각각 0.005 μM Ubc2-GST 및 0.125 μM 유비퀴틴-Flag를 사용하였고, ATP의 농도는 0.1 μM 였다. 재조합 마우스 UAE (0.3 nM)가 효소원이었다.
실시예 138: 세포 검정
항-증식 검정 ( WST )
10% 우태아 혈청 (Invitrogen)이 보충된 적절한 세포 배양 배지 (Calu6의 경우 MEM, Invitrogen) 80 μL 중의 Calu-6 (2400개/웰) 또는 다른 종양 세포를 96-웰 세포 배양 플레이트의 웰에 시딩(seeding)하고, 조직 배양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억제제 화합물을 20 μL 배양 배지 중에서 웰에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37℃에서 7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10% 최종 농도의 WST-1 시약 (Roche)을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37℃에서 3.5시간 (Calu6의 경우)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각각의 웰의 광학 밀도를 분광광도계 (Molecular Devices)를 사용하여 450nm에서 판독하였다. 억제율을 100% 생존율로 설정된 DMSO 대조표준으로부터의 값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항-증식 검정 ( ATPLite )
Calu-6 (1500개 세포/웰) 또는 다른 종양 세포를 10% 우태아 혈청 (Invitrogen)이 보충된 적절한 세포 배양 배지 (Calu6의 경우 MEM, Invitrogen) 72 μL 중에서 384-웰 폴리-D-리신(Poly-D-Lysine) 코팅된 세포 배양 플레이트의 웰에 시딩하였다. 억제제 화합물을 8 μL의 10%DMSO/PBS 중에서 웰에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37℃에서 7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세포 배양 배지를 흡출시켜서, 각각의 웰 당 25 μL가 남게 하였다. 25 μL의 ATPlite 1stepTM 시약 (Perkin Elmer)을 각각의 웰에 첨가하였다. 각각의 웰에 대한 발광을 리드시커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LeadSeeker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를 사용하여 판독하였다. 억제율을 100% 생존율로 설정된 DMSO 대조표준으로부터의 값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실시예 139: 생체내 검정
생체내 종양 효능 모델
100 μL의 포스페이트 완충 식염수 중의 Calu6 (5 x 1O6개 세포), HCT116 (2 x 1O6개 세포) 또는 다른 종양 세포를 26-게이지(gauge) 니들을 사용하여 암컷 Ncr 누드 마우스 (5 내지 8주령, Charles River)의 우측 등쪽 옆구리(dorsal flank)의 피하 공간내로 무균적으로 주사하였다. 접종한 지 7일째부터 시작하여, 버어니어 캘리퍼를 사용하여 종양을 1주일에 2회 측정하였다. 표준 절차를 이용하여 종양 부피를 계산하였다 (0.5 x (길이 x 폭2)). 종양 부피가 약 200 mm3에 도달한 경우, 마우스를 무작위로 그룹화하고, 다양한 용량 및 스케줄로 억제제 화합물 (100μL)을 사용하여 꼬리 정맥에 정맥내 주사하였다. 대안적으로, 억제제 화합물을 복강내 또는 피하 주사 또는 경구 투여에 의해 마우스에 전달할 수 있다. 모든 대조군은 비히클만을 투여받았다. 종양 크기 및 체중을 1주일에 2회 측정하고, 대조 종양이 약 2000mm3에 도달한 경우 실험을 종결하였다.
본원에 언급된 특허 및 학술 문헌은 당업자가 이용할 수 있는 지식을 확인시켜준다. 달리 규정되어 있지 않은 한, 본원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 및 학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허여된 특허, 출원, 및 본원에 인용된 참고문헌은 각각이 참조로 포함되는 것으로 구체적이고 개별적으로 지시된 것과 동일한 정도로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불일치의 경우,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한다.
본 발명의 다수의 구체예가 설명되었지만, 제공된 기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방법을 이용하는 다른 구체예를 포함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본원에 예로서 제시되어 있지만 이는 특정 구체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Claims (1)

  1. 하기 화학식 ( II )의 화합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필요로 하는 환자에 있어 암을 치료하는 방법:
    Figure pat00211

    상기 식에서,
    W는 -CH2-, -CHF-, -CF2-, -NH-, -O-, -S-, 또는 -NHC(O)-이고;
    X는 -CH2-, -NH-, 또는 -O-이고;
    Y는 -CH2-이고;
    Ra는 수소, 플루오로, -OH, -OCH3, C1 -4 지방족 또는 C1 -4 플루오로지방족이고;
    Rb는 수소, 플루오로, C1 -4 지방족, 또는 C1 -4 플루오로지방족이고;
    Rc는 수소, 플루오로, -OH 또는 -OCH3이고;
    Rd는 수소, 플루오로, C1 -4 지방족, 또는 C1 -4 플루오로지방족이고;
    Re는 수소 또는 -CH3이고;
    Re'는 수소 또는 -CH3이고;
    각각의 Rf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H3이고;
    D는 -N= 또는 -C(Rh)=이고;
    E는 -N= 또는 -C(Rh)=이고;
    Rg는 수소, -N(R4)2, 또는 페닐이고;
    각각의 Rh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 또는 C1 -4 지방족 기이고;
    각각의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페닐 기에 융합된 3원 내지 6원 모노시클릭 탄화수소이거나; 동일한 질소 원자상의 2개의 R4는 질소 원자와 함께 취해져 페닐 기에 융합된 4원 내지 8원 헤테로시클릴 고리를 형성하고;
    m은 1이다.
KR20157002922A 2006-08-08 2007-08-06 E1 활성화 효소의 억제제로서 유용한 헤테로아릴 화합물 KR201500363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3615806P 2006-08-08 2006-08-08
US60/836,158 2006-08-08
PCT/US2007/017463 WO2008019124A1 (en) 2006-08-08 2007-08-06 Heteroaryl compounds useful as inhibitors of e1 activating enzyme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9659A Division KR101555258B1 (ko) 2006-08-08 2007-08-06 E1 활성화 효소의 억제제로서 유용한 헤테로아릴 화합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6358A true KR20150036358A (ko) 2015-04-07

Family

ID=3866927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812A KR101538103B1 (ko) 2006-08-08 2007-08-06 E1 활성화 효소의 억제제로서 유용한 헤테로아릴 화합물
KR20157002922A KR20150036358A (ko) 2006-08-08 2007-08-06 E1 활성화 효소의 억제제로서 유용한 헤테로아릴 화합물
KR1020147009659A KR101555258B1 (ko) 2006-08-08 2007-08-06 E1 활성화 효소의 억제제로서 유용한 헤테로아릴 화합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812A KR101538103B1 (ko) 2006-08-08 2007-08-06 E1 활성화 효소의 억제제로서 유용한 헤테로아릴 화합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9659A KR101555258B1 (ko) 2006-08-08 2007-08-06 E1 활성화 효소의 억제제로서 유용한 헤테로아릴 화합물

Country Status (30)

Country Link
EP (1) EP2049491B1 (ko)
JP (4) JP5274460B2 (ko)
KR (3) KR101538103B1 (ko)
CN (2) CN103923021B (ko)
AR (1) AR062270A1 (ko)
AT (1) ATE485276T1 (ko)
AU (1) AU2007281993B2 (ko)
BR (1) BRPI0715176A8 (ko)
CA (1) CA2659894C (ko)
CO (1) CO6150159A2 (ko)
CY (1) CY1111121T1 (ko)
DE (1) DE602007009998D1 (ko)
DK (1) DK2049491T3 (ko)
EA (2) EA201501088A1 (ko)
ES (1) ES2354925T3 (ko)
HK (1) HK1130803A1 (ko)
HR (1) HRP20110017T1 (ko)
IL (4) IL196845A (ko)
ME (1) ME02789B (ko)
MX (1) MX2009001309A (ko)
MY (1) MY157177A (ko)
NO (1) NO20090434L (ko)
NZ (1) NZ574513A (ko)
PL (1) PL2049491T3 (ko)
PT (1) PT2049491E (ko)
RS (1) RS51549B (ko)
SI (1) SI2049491T1 (ko)
TW (2) TWI472516B (ko)
WO (1) WO2008019124A1 (ko)
ZA (1) ZA2009006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33225B2 (en) * 2007-08-02 2015-01-13 Millennium Pharmaceuticals, Inc. Process for the synthesis of E1 activating enzyme inhibitors
AU2013204618B2 (en) * 2007-08-02 2015-11-05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Process for the synthesis of E1 activating enzyme inhibitors
CA2987743A1 (en) 2009-03-13 2010-09-16 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 K.U.Leuven R&D Pur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immunosuppressive agents
EP2430026A1 (en) * 2009-05-14 2012-03-21 Millennium Pharmaceuticals, Inc. Hydrochloride salt of ((1s,2s,4r)-4-{4-[(1s)-2,3-dihydro-1h-inden-1-ylamino]-7h-pyrrolo [2,3-d]pyrimidin-7-yl}-2-hydroxycyclopentyl)methyl sulfamate
KR20130001272A (ko) * 2010-03-17 2013-01-03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이미다조피리딘 및 푸린 화합물, 조성물 및 사용 방법
GB201012889D0 (en) 2010-08-02 2010-09-15 Univ Leuven Kath Antiviral activity of novel bicyclic heterocycles
US8815881B2 (en) 2010-08-09 2014-08-26 Hoffmann-La Roche Inc. 1,4,5,6-tetrahydro-pyrimidin-2-ylamine compounds
GB201015411D0 (en) 2010-09-15 2010-10-27 Univ Leuven Kath Anti-cancer activity of novel bicyclic heterocycles
AU2012298813B2 (en) 2011-08-24 2016-07-28 Millennium Pharmaceuticals, Inc. Inhibitors of Nedd8-activating enzyme
WO2013052814A2 (en) * 2011-10-07 2013-04-11 Millennium Pharmaceuticals, Inc. E1 enzyme mutants and uses thereof
JP6238900B2 (ja) 2011-10-28 2017-11-29 ミレニアム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Millennium Pharmaceuticals, Inc. Nae阻害物質に対する応答のバイオマーカー
MX357835B (es) 2011-11-03 2018-07-26 Millennium Pharm Inc Administración de inhibidor de enzimas que activa nedd8 y agente de hipometilación.
UA117095C2 (uk) 2011-12-22 2018-06-25 Аліос Біофарма, Інк. Нуклеозидна сполука або її фармацевтично прийнятна сіль
KR20140123104A (ko) 2012-02-17 2014-10-21 밀레니엄 파머슈티컬스 인코퍼레이티드 유비퀴틴 활성화 효소의 피라졸로피리미디닐 억제제
USRE48171E1 (en) 2012-03-21 2020-08-25 Janssen Biopharma, Inc. Substituted nucleosides, nucleotides and analogs thereof
US9441007B2 (en) 2012-03-21 2016-09-13 Alios Biopharma, Inc. Substituted nucleosides, nucleotides and analogs thereof
EP2674432A1 (en) 2012-06-14 2013-12-18 LEK Pharmaceuticals d.d. New synthetic route for the preparation of ß aminobutyryl substituted 5,6,7,8-tetrahydro[1,4]diazolo[4,3-alpha]pyrazin-7-yl compounds
CN104822844B (zh) 2012-10-01 2019-05-07 米伦纽姆医药公司 预测对抑制剂的反应的生物标记物和方法以及其用途
CN104918939B (zh) * 2012-11-16 2018-08-28 默沙东公司 人磷脂酰肌醇3-激酶δ的嘌呤抑制剂
EP2764866A1 (en) * 2013-02-07 2014-08-13 IP Gesellschaft für Management mbH Inhibitors of nedd8-activating enzyme
EP2996773B1 (en) 2013-05-14 2020-09-16 Millennium Pharmaceuticals, Inc. Administration of nedd8-activating enzyme inhibitor and chemotherapeutic agents
WO2015002994A2 (en) * 2013-07-02 2015-01-08 Millennium Pharmaceuticals, Inc. Heteroaryl compounds useful as inhibitors of sumo activating enzyme
US9334273B1 (en) 2014-03-05 2016-05-10 University Of Georgia Research Foundation, Inc. Efficient and stereoselective synthesis of 2′-fluoro-6′-methylene-carbocyclic adenosine (FMCA)
DK3164130T3 (da) * 2014-07-01 2019-10-28 Millennium Pharm Inc Heteroaryle forbindelser anvendelige som inhibatorer af sumo-aktiverende enzym
CN105061220A (zh) * 2015-08-26 2015-11-18 吴玲 一种制备r-3-甲基-1-氨基茚满的方法
CN105111091A (zh) * 2015-08-26 2015-12-02 吴玲 制备s-3-甲基-1-氨基茚满的方法
CN105085279A (zh) * 2015-08-26 2015-11-25 吴玲 制备r-5-氯-1-氨基茚满
CN105130824A (zh) * 2015-08-31 2015-12-09 吴玲 一种制备s-5-溴-1-氨基茚满的方法
US20200377958A1 (en) 2017-12-01 2020-12-03 Millennium Pharmaceuticals, Inc. Biomarkers and methods for treatment with nae inhibitors
KR20210106506A (ko) 2018-12-21 2021-08-30 셀진 코포레이션 Ripk2의 티에노피리딘 억제제
US11198699B2 (en) 2019-04-02 2021-12-14 Aligos Therapeutics, Inc. Compounds targeting PRMT5
CN110229067A (zh) * 2019-06-05 2019-09-13 南京焕然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2-氨基茚制备方法
US11540867B2 (en) 2019-08-13 2023-01-03 Pioneer Surgical Technology, Inc. Driver for a bone screw
CN110563655A (zh) * 2019-09-24 2019-12-13 上海毕得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5-(2-溴乙基)嘧啶的制备方法
KR20220124176A (ko) 2019-12-06 2022-09-13 버텍스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나트륨 채널의 조절제로서의 치환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CR20220484A (es) * 2020-02-28 2022-12-15 Remix Therapeutics Inc Amidas heterocíclicas y su uso para modular el empalme
AU2022284886A1 (en) 2021-06-04 2023-11-30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N-(hydroxyalkyl (hetero)aryl) tetrahydrofuran carboxamides as modulators of sodium channels
WO2023021498A1 (en) * 2021-08-16 2023-02-23 Moya Bio Ltd. Fused azole and furan based nucleoside analogs and uses thereof
CN115124534B (zh) * 2021-11-23 2023-09-15 中山大学 非核苷酸类prmt5小分子抑制剂、制备方法及用途
WO2024067676A1 (zh) * 2022-09-30 2024-04-04 微境生物医药科技(上海)有限公司 作为sumo活化酶抑制剂的化合物
WO2024099438A1 (zh) * 2022-11-11 2024-05-16 微境生物医药科技(上海)有限公司 作为sumo活化酶抑制剂的化合物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957B2 (ja) * 1987-03-09 1995-02-22 理化学研究所 2′−デオキシ−5−フルオロウリジン誘導体及び制癌剤
AU6500696A (en) * 1995-07-28 1997-02-26 Cubist Pharmaceuticals, Inc. Aminoacyl adenylate mimics as novel antimicrobial and antiparasitic agents
AU2003291024A1 (en) * 2002-11-13 2004-06-03 Rigel Pharmaceuticals, Inc. Rhodanin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WO2005037845A1 (en) * 2003-10-17 2005-04-28 Rigel Pharmaceuticals, Inc. Benzothiazole and thiazole[5,5-b] pyridine compositions and their use as ubiquitin ligase inhibitors
JP4643156B2 (ja) * 2004-03-02 2011-03-02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N−アシルスルホンアミド結合を有する新規ホスミドシン類縁体
EP1758873A1 (en) * 2004-06-22 2007-03-07 Rigel Pharmaceuticals, Inc. Ubiquitin ligase inhibitors
CA2596424C (en) * 2005-02-04 2016-03-29 Millennium Pharmaceuticals, Inc. Inhibitors of e1 activating enzymes
CN101379061B (zh) * 2006-02-02 2016-06-15 千禧药品公司 E1活化酶抑制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00368A (ja) 2013-05-23
TWI472516B (zh) 2015-02-11
CY1111121T1 (el) 2015-06-11
IL242112A0 (en) 2015-11-30
DK2049491T3 (da) 2011-02-14
PL2049491T3 (pl) 2011-04-29
IL242113A0 (en) 2015-11-30
EP2049491A1 (en) 2009-04-22
JP5906297B2 (ja) 2016-04-20
CN101516850A (zh) 2009-08-26
AU2007281993B2 (en) 2013-08-29
ME02789B (me) 2011-06-30
JP5274460B2 (ja) 2013-08-28
NZ574513A (en) 2012-02-24
BRPI0715176A2 (pt) 2013-06-11
EA024793B1 (ru) 2016-10-31
JP2015013904A (ja) 2015-01-22
ES2354925T3 (es) 2011-03-21
IL196845A0 (en) 2009-11-18
MY157177A (en) 2016-05-13
EA201501088A1 (ru) 2017-01-30
KR101538103B1 (ko) 2015-07-22
SI2049491T1 (sl) 2011-05-31
CN103923021A (zh) 2014-07-16
HK1130803A1 (en) 2010-01-08
CN103923021B (zh) 2018-03-30
ATE485276T1 (de) 2010-11-15
HRP20110017T1 (hr) 2011-02-28
IL254784A0 (en) 2017-12-31
WO2008019124A1 (en) 2008-02-14
DE602007009998D1 (de) 2010-12-02
PT2049491E (pt) 2011-01-26
ZA200900670B (en) 2010-04-28
MX2009001309A (es) 2009-02-13
KR101555258B1 (ko) 2015-09-24
IL242112A (en) 2017-10-31
AR062270A1 (es) 2008-10-29
EA200900285A1 (ru) 2009-08-28
WO2008019124A8 (en) 2014-01-30
TWI515181B (zh) 2016-01-01
CA2659894C (en) 2018-03-27
CN101516850B (zh) 2014-05-07
CO6150159A2 (es) 2010-04-20
KR20140066753A (ko) 2014-06-02
BRPI0715176A8 (pt) 2018-04-10
EP2049491B1 (en) 2010-10-20
KR20090038931A (ko) 2009-04-21
JP2010500353A (ja) 2010-01-07
JP2016106157A (ja) 2016-06-16
TW201439065A (zh) 2014-10-16
AU2007281993A1 (en) 2008-02-14
CA2659894A1 (en) 2008-02-14
TW200815369A (en) 2008-04-01
NO20090434L (no) 2009-02-16
IL196845A (en) 2015-11-30
RS51549B (en) 201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5258B1 (ko) E1 활성화 효소의 억제제로서 유용한 헤테로아릴 화합물
US9718788B2 (en) Heteroaryl compounds useful as inhibitors of E1 activating enzymes
KR101450533B1 (ko) E1 활성화 효소의 억제제
US7951810B2 (en) Substituted pyrrolo[2,3-d]pyrimidines as inhibitors of E1 activating enzymes
AU2013203433B2 (en) Heteroaryl compounds useful as inhibitors of E1 activating enzy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