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2633A - 작업 기계 - Google Patents

작업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2633A
KR20150032633A KR20140122661A KR20140122661A KR20150032633A KR 20150032633 A KR20150032633 A KR 20150032633A KR 20140122661 A KR20140122661 A KR 20140122661A KR 20140122661 A KR20140122661 A KR 20140122661A KR 20150032633 A KR20150032633 A KR 20150032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plate
engine
intubation
exhaust port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22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6340B1 (ko
Inventor
유스케 이나다
아스카 우시로구치
Original Assignee
코벨코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벨코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벨코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2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2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08Improving mounting or assembling, e.g. frame elements, disposition of all the components on the super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01N13/082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of tailpipe, e.g. with means for mixing air with exhaust for exhaust cooling, dilution or evac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4Shields, e.g. for heat prot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70/00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 F01N2470/02Tubes being perfor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heavy duty applications, e.g. trucks, buses, tractors, locomot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엔진룸 내에 부재가 밀집되어 스페이스의 여유가 없는 상태라도, 배기 가스의 온도 및 소음을 완화하면서 당해 배기 가스를 배기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는 작업 기계를 제공한다.
상부 선회체(4)는, 엔진룸(8)을 후방으로부터 덮는 후방벽부(12)와, 엔진룸(8)을 하방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되고, 또한 상기 엔진룸을 하방으로 개방하는 배기구(27)를 갖는 저판(20)과, 저판(20)에 있어서의 배기구(27)의 좌우 양측에 기립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엔진(11)의 하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세로판(21, 23)을 갖는다. 세로판(23)의 후단부는, 후방벽부(12)에 근접하는 근접 후단부면(23a, 51b)과, 당해 근접 후단부면(23a, 51b)에 대해 세로판(23)의 후단부면을 전방을 향해 우묵하게 들어가게 함으로써 형성된 절결부(50)를 갖는다. 테일 파이프(11c)의 선단 부분은, 세로판(21, 23)의 외측의 위치로부터 절결부(50)를 통해 세로판(21, 23)의 사이에 도입되고, 또한 테일 파이프(11c)의 선단 부분이 배기구(27)와 대향한 상태에서 당해 배기구(27)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Description

작업 기계{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유압 셔블 등의 작업 기계에 관한 것으로, 그 중에서도 특히, 엔진룸을 하방으로부터 덮는 바닥벽부에 형성된 배기구를 통해 배기가 행해지는 기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 기계에서는, 엔진룸을 덮는 상벽부 또는 후방벽부에 배기구가 설치되고, 배기구를 통해 횡방향으로 배기가 행해지고 있다.
그런데, 이 경우, 주위가 개방된 운전석을 갖는 미니 셔블 등에서는, 배기구의 부근에 운전석이 배치됨으로써, 작업자가 배기의 열이나 소음의 영향을 받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배기의 열 등의 영향이 운전석에 미치기 어렵게 하기 위해, 배기 가스가 분출되는 배기관의 선단 부분(테일 파이프)을 엔진룸의 내부에 배치하고, 엔진룸을 하방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된 바닥벽부에 형성된 배기구를 통해 배기하는 배기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4078호 공보.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의 미니 셔블은 엔진의 옆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 형상의 덕트를 구비하고 있다. 이 덕트는, 엔진룸의 하측에서 개구되는 배기구에 대해 엔진룸 내의 기체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덕트 내에는, 테일 파이프가 삽입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엔진룸 내의 기체와 배기 가스가 덕트 내에서 혼합되어 배기 가스의 온도나 소음이 완화된 후, 그 혼합기가 배기구로부터 하향으로 배출된다.
특허문헌 1에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지만, 미니 셔블 등의 소형 기종에서는, 다수의 부재가 밀집된 상태에서 당해 다수의 부재가 엔진룸 내에 가득 차 있다. 그로 인해, 엔진룸의 내부에는 스페이스의 여유가 거의 없는 것이 실정이다.
특히, 엔진룸에 있어서의 엔진의 양 사이드의 스페이스는 좁기 때문에, 특허문헌 1과 같은 통 형상의 덕트를 설치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룸을 하방으로부터 덮는 바닥벽부에 형성된 배기구를 통해 배기가 행해지는 작업 기계에 있어서, 엔진룸 내에 부재가 밀집되어 스페이스의 여유가 없는 상태라도, 배기 가스의 온도 및 소음을 완화하면서 당해 배기 가스를 배기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는 작업 기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작업 기계이며, 하부 주행체와,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작업자의 조작에 따른 작업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상부 선회체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선회체는, 당해 상부 선회체의 후방부에 설치된 엔진과, 배기 가스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엔진으로부터 연장되는 배기관과, 상기 엔진을 수용하는 엔진룸을 후방으로부터 덮는 후방벽부와, 상기 엔진룸을 하방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되고, 또한 상기 엔진룸을 하방으로 개방하는 배기구를 갖는 바닥벽부와, 상기 바닥벽부에 있어서의 상기 배기구의 좌우 양측에 기립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엔진의 하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세로판을 갖고, 상기 한 쌍의 세로판 중 한쪽의 세로판은, 삽관용 세로판이며, 상기 삽관용 세로판은, 당해 삽관용 세로판과 상기 후방벽부 사이에 상기 배기관이 통과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상기 후방벽부에 근접하는 근접 후단부면과, 당해 근접 후단부면에 대해 상기 삽관용 세로판의 후단부면을 전방을 향해 우묵하게 들어가게 함으로써 형성된 절결부를 갖는 후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관은, 상기 절결부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세로판의 외측 위치와 상기 한 쌍의 세로판의 내측 위치에 걸쳐 배치되고, 또한 배기 가스를 방출하기 위한 선단 부분을 갖고, 상기 배기관의 선단 부분은, 상기 한 쌍의 세로판의 내측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배기관의 선단 부분이 상기 배기구와 대향한 상태에서 상기 배기구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작업 기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작업 기계에 의하면, 엔진룸 내에 부재가 밀집되어 스페이스의 여유가 없는 상태라도, 배기 가스의 온도 및 소음을 완화하면서 당해 배기 가스를 배기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유압 셔블을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2는 어퍼 프레임의 주된 구조와, 어퍼 프레임에 조립되는 주된 부재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3은 어퍼 프레임의 주된 구조와, 어퍼 프레임에 조립되는 주된 부재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4는 어퍼 프레임의 후방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5는 어퍼 프레임의 후방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성격의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유압 셔블(1)(작업 기계의 일례)을 도시한다. 유압 셔블(1)은, 5t 이하의 중량을 갖는 소형 기종(이른바, 미니 셔블)이다. 유압 셔블(1)은, 주행 가능한 한 쌍의 크롤러(2a, 2a)를 갖는 하부 주행체(2)와,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베어링(3)을 통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선회체(4)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선회체(4)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회축 Js 주위로 선회 가능하다.
상부 선회체(4)는, 어퍼 프레임(5)과, 어태치먼트(6)와, 운전석(7)과, 엔진(11)과, 배기관(도 3의 부호 11a∼11c 참조)과, 프레임(45)(도 3 참조)과, 엔진룸(8)을 구비하고 있다. 어퍼 프레임(5)은 상부 선회체(4)의 하부에 설치되고, 어태치먼트(6)는 상부 선회체(4)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있다. 엔진(11)은 상부 선회체(4)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있다. 엔진룸(8)은 엔진(11)을 수용하고, 상부 선회체(4)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있다. 운전석(7)은 엔진룸(8)[엔진(11)]과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상부 선회체(4)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설명에서 사용하는 상하, 전후, 좌우의 방향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상부 선회체(4)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각 도면에 화살표로 나타내어진다.
어태치먼트(6)는, 작업자의 조종에 따라서 작업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며, 스윙 브래킷(6a)과, 붐(6b)과, 아암(6c)과, 버킷(6d)과, 복수의 유압 실린더(10)를 구비하고 있다. 붐(6b)은 스윙 브래킷(6a)에 대해 횡축 J1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기단부를 갖는다. 아암(6c)은, 붐(6b)의 선단부에 대해 횡축 J2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기단부를 갖는다. 버킷(6d)은 아암(6c)의 선단부에 대해 횡축 J3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윙 브래킷(6a)은, 어퍼 프레임(5)의 전방부에 설치된 브래킷 지지부(9)에 대해 종축 J4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유압 셔블(1)에서는, 붐(6b), 아암(6c) 및 버킷(6d)이 좌우로 요동 가능하다.
복수의 유압 실린더(10)는, 당해 유압 실린더(10)가 유압 제어됨으로써 신축 가능하고, 이 신축 동작에 연동하여 붐(6b), 아암(6c) 및 버킷(6d)이 작동한다.
엔진룸(8)은 엔진(11) 등을 수용한다. 상부 선회체(4)는, 후방벽부(12) 등을 갖는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엔진룸(8)을 후방으로부터 덮는 후방벽부(12)는, 상하 2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후방벽부(12)는 강판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엔진룸(8)을 후방으로 개방하기 위한 개구부(도시하지 않음)를 개폐 가능한 도어를 갖는 후방부 커버(12a)와, 고중량의 주조물에 의해 형성되고, 카운터 웨이트로서 기능하는 웨이트 벽부(12b)를 갖고 있다.
운전석(7)은, 작업자가 착좌하는 시트(7a)와, 시트(7a)의 주위에 배치된 조작 레버(7b) 등의 조작 기기류와, 시트(7a)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캐노피(7c)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7a)가 캐노피(7c)에 의해 덮인 상태에서, 시트(7a)는 그 주위(전후 및 좌우 방향)로 개방되어 있다. 또한, 상자 형상의 커버(캡)에 의해 운전석(7)의 주위가 덮여 있어도 된다.
운전석(7)은, 시트(7a)와 조작 기기류가 일체로 조립된 상태에서 어퍼 프레임(5)에 조립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간략화하여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어퍼 프레임(5)은 저판(20)과, 복수의 세로판(21∼23)과, 복수의 빔판(24, 25)과, 복수의 엔진 받침대(37, 38, 41, 52)와, 복수의 웨이트 받침대(31∼33)를 구비하고 있다. 저판(20), 세로판(21∼23), 빔판(24, 25), 엔진 받침대(37, 38, 41, 52) 및 웨이트 받침대(31∼33)는, 강도 및 강성이 우수한, 큰 두께를 갖는 금속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서로 접합(용접)됨으로써 일체로 조립되어 있다.
저판(20)은, 선회축 Js와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 확대되는 대략 원형의 판 형상 부재이다. 저판(20)의 저면의 중앙부는, 선회 베어링(3)을 통해 하부 주행체(2)에 지지되어 있다. 저판(20)의 전방부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중간 위치에는, 브래킷 지지부(9)가 설치되어 있다. 브래킷 지지부(9)는, 저판(20)보다도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브래킷 지지부(9)의 우측부에는, 제1 세로판(21)의 전단부가 접합되어 있는 한편, 브래킷 지지부(9)의 좌측부에는, 제2 세로판(22)의 전단부가 접합되어 있다. 제1 세로판(21) 및 제2 세로판(22)은, 저판(20)의 상면에 기립 설치되어 있다. 양 세로판(21, 22)은, 좌우 방향으로 서로 대향함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후방을 향함에 따라서 양 세로판(21, 22)의 간격이 커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유압 셔블(1)에서는, 우측의 제1 세로판(21)은 좌측의 제2 세로판(22)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세로판(21)의 후단부는, 저판(20)의 후단부 테두리의 근방에 위치하고, 제2 세로판(22)의 후단부는, 저판(20)의 전후 방향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빔판(24)[이하, 제1 빔판(24)이라 함]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저판(20) 상에 기립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빔판(24)은, 저판(20)의 전후 방향의 중간, 상세하게는, 선회축 Js보다 후방이며, 또한 전후 방향에 있어서 선회 베어링(3)이 설치되어 있는 범위 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빔판(24)은 당해 제1 빔판(24)의 일부가 선회 베어링(3)에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빔판(24)의 좌측 단부는, 저판(20)의 좌측 단부 테두리의 근방에 위치하고, 제1 빔판(24)의 우측 단부는, 제1 세로판(21)의 좌측면에 접합되어 있다. 제2 세로판(22)의 후단부는, 제1 빔판(24)의 전방면에 접합되어 있다.
세로판(23)[이하, 제3 세로판(23)이라 함]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저판(20) 상에 기립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세로판(23)의 전단부는, 제1 빔판(24)의 후방면에 있어서 제2 세로판(22)의 후단부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접합되어 있다. 한편, 제3 세로판(23)의 후단부는, 저판(20)의 후단부 테두리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빔판(25)[이하, 제2 빔판(25)이라 함]은, 우측을 향함에 따라서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경사짐과 함께 저판(20) 상에 기립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빔판(25)의 좌측 단부는, 제1 세로판(21)의 우측면에 있어서의 제1 빔판(24)의 우측 단부로부터 후방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접합되어 있다.
배기구(27)는, 저판(20)에 있어서 제1 빔판(24), 제1 세로판(21) 및 제3 세로판(23)에 의해 전방측 및 좌우 양측이 둘러싸인 부위[이하, 구획 부위(26)라 함]에 설치되어 있다. 배기구(27)는, 저판(20)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함과 함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로 긴 개구이다. 배기구(27)는, 구획 부위(26)의 후방부에 위치하고, 제1 세로판(21) 및 제3 세로판(23)의 양 후단부 사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엔진룸(8)은, 대체로 제1 빔판(24)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저판(20) 중, 제1 빔판(24)보다 후방의 부분이, 엔진룸(8)의 하부를 덮는 바닥벽부에 상당한다. 즉, 저판(20)의 제1 빔판(24)보다 후방의 부분은, 엔진룸(8)을 하방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되고, 또한 엔진룸(8)을 하방으로 개방하는 배기구(27)를 갖는다.
또한, 제1 세로판(21)의 후단부 및 제3 세로판(23)은, 바닥벽부에 있어서의 배기구(27)의 좌우 양측에 기립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엔진(11)의 하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세로판에 상당한다.
또한, 제1 빔판(24)은 바닥벽부에 있어서의 배기구(27)의 전방측에 기립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엔진(11)의 하방에서 한 쌍의 세로판끼리를 연결하는 빔판에 상당한다.
저판(20)의 제1 빔판(24)의 좌측 단부의 후방에는, 좌측 웨이트 받침대(31)가 배치되어 있고, 저판(20)의 제2 빔판(25)의 우측 단부의 후방에는, 우측 웨이트 받침대(32)가 배치되어 있다. 양 웨이트 받침대(31, 32)는, 저판(20)에 있어서 좌우 대칭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저판(20)의 제1 세로판(21)의 후단부와 제3 세로판(23)의 후단부 사이의 위치에는, 배기구(27)의 후방측에서 저판(20)의 후단부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는 중간 웨이트 받침대(웨이트 지지 부재)(33)가 배치되어 있다.
웨이트 받침대(31, 32, 33)는, 웨이트 벽부(12b)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웨이트 받침대(31, 32, 33)는, 각각 큰 두께를 갖는 금속판에 의해 형성되고, 웨이트 받침대(31, 32, 33)가 저판(20)의 상면에 겹쳐진 상태에서 저판(20)에 접합되어 있다. 각 웨이트 받침대(31, 32, 33)에는, 웨이트 벽부(12b)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 구멍(34)의 배치에 대응하여, 저판(20) 및 받침대(31, 32, 33)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삽입 관통 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웨이트 받침대(31, 32, 33) 상에 웨이트 벽부(12b)가 적재된 상태에서, 각 삽입 관통 구멍(35)에 삽입 관통한 볼트를 각 체결 구멍(34)에 체결함으로써, 웨이트 벽부(12b)는 어퍼 프레임(5)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된다. 즉, 저판(20) 및 받침대(31, 32, 33)는, 웨이트 벽부(12b)의 장착 및 제거를 허용하는 후방벽 장착부에 상당한다.
우측 전방 엔진 받침대(37)는, 엔진(11)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제1 빔판(24)에 있어서의 제2 세로판(22)에 대한 접합 위치의 우측에 접합되어 있다. 좌측 전방 엔진 받침대(38)는, 엔진(11)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제1 빔판(24)에 있어서의 제3 세로판(23)에 대한 접합 위치의 근방에 접합되어 있다.
제1 세로판(21)의 후단부에는, 저판(20) 상에 기립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우측 브래킷(40)이 접합되어 있다. 우측 브래킷(40)의 하단부는, 당해 우측 브래킷(40)의 강도 및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간 웨이트 받침대(33)에 접합되어 있다. 우측 브래킷(40)의 상단부에는, 서로 횡방향(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우측 후방 엔진 받침대(41) 및 우측 프레임 받침대(42)가 장착되어 있다.
유압 셔블(1)에서는, 좌측 브래킷, 좌측 후방 엔진 받침대, 및 좌측 프레임 받침대가 우측 브래킷(40), 우측 후방 엔진 받침대(41) 및 우측 프레임 받침대(42)와 좌우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좌측 브래킷, 좌측 후방 엔진 받침대, 및 좌측 프레임 받침대는, 배기관의 배치를 조정함으로써, 제3 세로판(23)을 이용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 상세는 후술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11) 및 프레임(45)은 어퍼 프레임(5)에 조립되어 있다.
엔진(11)은, 크랭크 샤프트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횡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4개소의 엔진 받침대에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저판(20)의 구획 부위(26)의 상방은, 엔진(11)에 의해 폐색되므로, 구획 부위(26)와 엔진(11) 사이의 공간은, 이른바 데드 스페이스로 되어 있다.
배기관은, 배기 가스를 안내하기 위해 엔진(11)으로부터 연장된다. 배기관은, 머플러(11a)와, 중계 파이프(11b)와, 테일 파이프(11c)를 구비하고 있다. 유압 셔블(1)에 있어서, 중계 파이프(11b)는, 엔진(11)의 상면으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고, 머플러(11a)를 경유하여 엔진(11)의 후방측의 테두리를 따라 하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테일 파이프(11c)는, 중계 파이프(11b)의 선단부에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엔진(11)의 후방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배기관의 배치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테일 파이프(11c)의 선단 부분에는, 배기 가스를 방출하기 위한 복수의 분출 구멍(11d)이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프레임(45)은 좌우로 대향한 한 쌍의 지지 기둥부(45a)와, 이들 지지 기둥부(45a)의 상단부끼리의 사이에 걸쳐진 빔부(45b)를 갖고, 아치 형상을 갖는다. 각 지지 기둥부(45a)의 하단부에는, 체결용 플랜지부(45c)가 설치되고, 빔부(45b)에는, 운전석(7)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45d)가 설치되어 있다.
각 플랜지부(45c)를, 좌우의 프레임 받침대(42, 52)에 장착함으로써, 프레임(45)은 어퍼 프레임(5)에 조립되어 있다.
유압 셔블(1)에서는, 테일 파이프(11c)가 엔진룸(8)의 내부에 설치되고, 배기구(27)를 통해 엔진룸(8)의 하측으로부터 배기가 행해진다.
여기서, 엔진룸(8)의 제한된 스페이스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배기를 행함과 함께, 테일 파이프(11c)의 조립이나 메인터넌스의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엔진룸(8)의 내부 구조가 고안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상세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세로판(23)의 후단부는, 후방에 면함과 함께 당해 제3 세로판(23)과 웨이트 벽부(12b) 사이에 배기관[테일 파이프(11c)]이 통과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웨이트 벽부(12b)에 근접하는 근접 후단부면(23a, 51b)과, 근접 후단부면(23a, 51b)에 대해 제3 세로판(23)의 후단부면을 전방을 향해 우묵하게 들어가게 함으로써 형성된 큰 절결부(50)를 구비하고 있다. 즉, 제3 세로판(23)은 근접 후단부면(23a, 51b)과 절결부(50)를 갖는 삽관용 세로판에 상당한다.
구체적으로, 제3 세로판(23)의 후단부는, 연장부(51)를 갖고, 연장부(51)는 제3 세로판(23)에 있어서 당해 연장부(51)에 대해 전방측에 인접하는 부분의 상단부보다도 상방으로 연장된다. 연장부(51)는, 후술하는 공용 받침대(52)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브래킷으로서 겸용된다. 구체적으로, 연장부(51)의 전방 단부면(51a)은, 제3 세로판(23)에 있어서의 연장부(51)의 전방측에 인접하는 부분의 상단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연장부(51)의 후단부면(51b)은, 전방 단부면(51a)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고, 또한 제3 세로판(23)의 후단부면(23a)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절결부(50)는, 제3 세로판(23)의 후단부에 있어서 연장부(51) 및 연장부(51)의 하방의 부분의 양쪽에 걸치는 범위에서 당해 제3 세로판(23)의 후단부면을 전방을 향해 크게 우묵하게 들어가게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50)는, 좌우 방향으로 보아(도 5의 시점에 있어서), 상저측이 전방에 위치하고, 하저측이 후방으로 개구되는 대략 사다리꼴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절결부(50)의 상저측에 인접하는 제3 세로판(23)의 테두리부(50a)의 후단부면은, 연장부(51)의 전후 방향의 폭의 대략 중간 부위에 위치하고 있다.
절결부(50)의 상측에 인접하는 제3 세로판(23)의 테두리부(50b)의 하단부면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서 하방으로 경사진다. 또한, 절결부(50)의 하측에 인접하는 제3 세로판(23)의 테두리부(50c)의 상단부면은, 저판(20)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절결부(50)의 상하 코너부에는, 곡면의 가공(R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절결부(50)를 이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절결부(50)에 인접하는 제3 세로판(23)의 테두리부의 단면적의 급격한 변화를 저감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연장부(51)[후술하는 공용 받침대(52)]에 상방으로부터 큰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라도, 절결부(50)에 인접하는 제3 세로판(23)의 테두리부에 대한 치우친 응력 집중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큰 절결부(50)를 형성한 경우라도, 연장부(51)는 공용 받침대(52)를 지지하기 위한 브래킷으로서 안정적으로 기능한다.
연장부(51)의 상단부에는, 엔진(11)의 좌측 후방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좌측 후방 엔진 받침대, 및 프레임(45)의 좌측의 플랜지부(45c)를 지지하기 위한 좌측 프레임 받침대의 양쪽의 기능을 하는 공용 받침대(52)가 접합되어 있다. 공용 받침대(52)는, 미리 설정된 기기[프레임(45)]를 절결부(50)의 상방에서 지지하기 위한 기기 지지 부재에 상당한다.
구체적으로, 공용 받침대(52)의 전방측에는, 좌측 후방 엔진 받침대로서 기능하고, 또한 방진 장치(11e)를 통해 엔진(11)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52a)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공용 받침대(52)의 후방측에는, 좌측 프레임 받침대로서 기능하고, 또한 프레임(45)[운전석(7)]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52b)가 설치되어 있다. 양 지지부(52a, 52b)는, 공용 받침대(52)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고하중이 가해지는 2개소의 지지부(52a, 52b)가, 하나의 공용 받침대(52)에 통합하여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이 공용 받침대(52)를 제3 세로판(23)의 후단부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세로판(23)[연장부(51)]이 연장되는 전후 방향, 즉, 연장부(51)의 강도 및 강성이 유리한 방향을 따라 양 지지부(52a, 52b)가 나뉘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연장부(51)에 양 지지부(52a, 52b)에 가해진 하중을 밸런스 좋게 전달할 수 있어, 양 지지부(52a, 52b)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3 세로판(23)의 후단부는, 저판(20)뿐만 아니라, 중간 웨이트 받침대(33)에도 접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3 세로판(23)의 후단부의 우측면의 하부에는, 중간 웨이트 받침대(33)의 좌측 단부가 접하고 있고, 이 접촉 개소를 따라 제2 세로판(23)과 중간 웨이트 받침대(33)가 용접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3 세로판(23)의 후단부는, 저판(20)에 대해 강고하게 고정되어, 제3 세로판(23)의 강도 및 강성이 강화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3 세로판(23)의 후단부는, 구조적으로 강도 및 강성이 강화되어 있으므로, 당해 제3 세로판(23)에 큰 절결부(50)가 형성된 상태에 있어서도 고하중이 가해지는 공용 받침대(52)의 브래킷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기관의 중계 파이프(11b)는, 제3 세로판(23)의 후단부에 형성된 절결부(50)를 통해 한 쌍의 세로판(21, 23)의 외측 위치[제3 세로판(23)의 좌측 위치]와 한 쌍의 세로판(21, 23)의 내측 위치[양 세로판(21, 23)의 사이의 위치]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중계 파이프(11b)의 선단부에 접속된 테일 파이프(배기관의 선단 부분)(11c)는, 양 세로판(21, 23)의 내측 위치[구획 부위(26) 상의 스페이스]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테일 파이프(11c)는, 배기구(27)와 상하 방향으로 대향한 상태에서 배기구(27)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엔진(11)의 하방에 설치된 데드 스페이스를 덕트로서 이용함으로써 종래 설치되어 있었던 덕트를 생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엔진(11)과 한 쌍의 세로판(21, 23)과 저판(20)과 후방벽부(1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데드 스페이스) 내에 배기관의 선단 부분[테일 파이프(11c)]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공간 내에서 엔진룸(8) 내의 기체와 배기 가스가 혼합되고, 이 혼합기가 배기구(27)로부터 배출된다.
따라서, 엔진룸(8) 내에 부재가 밀집되어 스페이스의 여유가 없는 상태라도, 배기 가스의 온도 및 소음을 완화하면서 당해 배기 가스를 배기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세로판(23)에는 엔진(11)이 상방으로부터 겹쳐지므로, 당해 제3 세로판(23)의 엔진(11)이 겹치는 부분(이하, 엔진 겹침 부분이라고 함)의 높이 치수는 제한된다. 그로 인해, 예를 들어 제3 세로판(23)의 엔진 겹침 부분에 구멍을 뚫거나, 제3 세로판(23)의 엔진 겹침 부분의 상단부를 절결하거나 하여, 테일 파이프(11c)의 삽입 부위를 형성한 경우, 엔진 탑재 부분의 단면적(높이 치수)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 따라서, 제3 세로판(23)의 강도 및 강성이 저하되어, 본래의 기능이 손상된다. 이 경우, 또한 제3 세로판(23)을 저판(20)으로부터 제거할 수 없어, 엔진(11)의 주위의 스페이스에는 여유가 없으므로, 테일 파이프(11c)의 조립이나 분해의 작업이 현저하게 곤란해져 버린다.
이에 반해, 상기 건설 기계(1)는, 제3 세로판(23)의 후단부가 당해 제3 세로판(23)의 근접 후단부면(23a, 51b)에 대해 제3 세로판(23)의 후단부면을 전방을 향해 우묵하게 들어가게 함으로써 형성된 절결부(50)를 갖는다. 그로 인해, 제3 세로판(23)의 엔진 겹침 부분보다도 후방에 절결부(50)를 형성한 경우, 제3 세로판(23)의 단면적(높이 치수)을 크게 함으로써 제3 세로판(23)의 강도 및 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3 세로판(23) 본래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절결부(50)는, 후방으로 개방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후방으로부터 절결부(50)에 테일 파이프(11c)를 삽입할 수 있음과 함께, 테일 파이프(11c)를 엔진룸(8)의 후방 코너부에 배치할 수 있다. 그로 인해, 테일 파이프(11c)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예를 들어, 머플러(11a) 및 테일 파이프(11c)를 중계 파이프(11b)에 대해 사전에 조립하여 일체화한 상태라도, 테일 파이프(11c)를 그대로 어퍼 프레임(5)에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 작업성이 우수하다.
메인터넌스시에는, 후방부 커버(12a)의 도어를 개방하면, 도어의 바로 아래에 테일 파이프(11c)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테일 파이프(11c)를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음과 함께 작업 스페이스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일 파이프(11c)의 분해 및 조립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테일 파이프(11c)는, 배기구(27)를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엔진룸(8)의 하측을 향해 배기 가스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테일 파이프(11c)의 선단 부분이 엔진(11)의 하방 데드 스페이스[저판(20)의 구획 부위(26)와 양 세로판(21, 23)과 후방벽부(12)와 제1 빔판(24)에 의해 둘러싸인 스페이스]에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다른 부재의 방해로 되지 않고, 엔진룸(8) 내에 테일 파이프(11c)를 배치할 수 있어, 덕트를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공용 받침대(52)를 지지하기 위한 브래킷으로서 제3 세로판(23)의 연장부(51)를 겸용할 수 있다. 여기서, 연장부(51)는 제3 세로판(23)에 있어서의 연장부(51)에 대해 전방측에 인접하는 부분의 상단부보다도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연장부(51) 분만큼 제3 세로판(23)의 후단부의 높이 치수를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세로판(23)의 강도 및 강성을 유지하면서, 큰 절결부(50)를 형성할 수 있음과 함께, 브래킷을 생략함으로써 부재 개수나 가공 공정수가 저감되어,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3 세로판(23)에 있어서의 절결부(50)의 상측에 인접하는 테두리부(50b)의 단면적이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서서히 커지므로, 당해 단면적이 전후 방향으로 급격하게 변화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연장부(51) 및 연장부(51)의 하방의 부분의 양쪽에 걸쳐 큰 절결부(50)를 형성한 경우에 공용 받침대(52)[연장부(51)]에 상방으로부터 큰 하중이 가해져도, 제3 세로판(23)의 일부에 치우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고하중이 가해지는 2개의 지지부(52a, 52b)가 1개의 공용 받침대(52)에 통합하여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이 공용 받침대(52)를 제3 세로판(23)의 후단부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세로판(23)[연장부(51)]이 연장되는 전후 방향, 즉, 연장부(51)의 강도 및 강성이 유리한 방향을 따라 양 지지부(52a, 52b)가 나뉘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연장부(51)에 양 지지부(52a, 52b)에 가해진 하중을 밸런스 좋게 전달할 수 있어, 양 지지부(52a, 52b)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중간 웨이트 받침대(33)는, 카운터 웨이트로서 기능하는 웨이트 벽부(12b)를 지지하기 위해 비교적 높은 강성 및 강도를 갖는다. 그로 인해, 이 중간 웨이트 받침대(33)에 제3 세로판(23)의 후단부를 접합함으로써, 제3 세로판(23)의 후단부와 저판(20)이 보다 강고하게 고정되어, 제3 세로판(23)의 후단부의 강도 및 강성을 강화할 수 있다.
절결부(50)는, 후방으로 개방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후방벽부(12)를 웨이트 받침대(31∼33)로부터 제거한 상태에서, 후방으로부터 테일 파이프(11c)의 선단 부분을 절결부(50)에 끼우고 뺄 수 있어, 테일 파이프(11c)의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한, 절결부(50)에 조립된 테일 파이프(11c)의 선단 부분은, 상부 선회체(4)의 후방부에 위치하므로, 후방벽부(12)를 웨이트 받침대(31∼33)로부터 제거한 상태에서 상부 선회체(4)의 후방으로부터 테일 파이프(11c)의 선단 부분에 대해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어, 테일 파이프(11c)의 메인터넌스도 용이해진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엔진(11)의 하방의 공간을 전방으로부터 제1 빔판(24)에 의해 덮을 수 있으므로, 엔진(11)의 하방의 공간을 배기 가스와 엔진룸(8) 내의 기체를 혼합하기 위한 덕트로서 보다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작업 기계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이외의 다양한 구성도 포함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테일 파이프(11c)의 선단 부분이 배기구(27)의 후방부에 대향하도록 테일 파이프(11c)가 배치되어 있지만(도 5 참조), 예를 들어 테일 파이프(11c)를 굴곡하여 당해 테일 파이프(11c)의 선단부가 배기구(27)의 중앙에 대향하도록 테일 파이프(11c)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연장부(51)는 필수는 아니다. 즉, 제3 세로판(23)의 후단부는 공용 받침대(52)의 브래킷을 겸용하지 않아도 된다. 제1 세로판과 제3 세로판(23)은 따로따로 하지 않고, 제2 세로판(22)과 마찬가지로 1개의 세로판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구체적 실시 형태에는 이하의 구성을 갖는 발명이 주로 포함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작업 기계이며, 하부 주행체와,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작업자의 조작에 따른 작업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상부 선회체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선회체는, 당해 상부 선회체의 후방부에 설치된 엔진과, 배기 가스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엔진으로부터 연장되는 배기관과, 상기 엔진을 수용하는 엔진룸을 후방으로부터 덮는 후방벽부와, 상기 엔진룸을 하방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되고, 또한 상기 엔진룸을 하방으로 개방하는 배기구를 갖는 바닥벽부와, 상기 바닥벽부에 있어서의 상기 배기구의 좌우 양측에 기립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엔진의 하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세로판을 갖고, 상기 한 쌍의 세로판 중 한쪽의 세로판은, 삽관용 세로판이며, 상기 삽관용 세로판은, 당해 삽관용 세로판과 상기 후방벽부 사이에 상기 배기관이 통과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상기 후방벽부에 근접하는 근접 후단부면과, 당해 근접 후단부면에 대해 상기 삽관용 세로판의 후단부면을 전방을 향해 우묵하게 들어가게 함으로써 형성된 절결부를 갖는 후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관은, 상기 절결부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세로판의 외측 위치와 상기 한 쌍의 세로판의 내측 위치에 걸쳐 배치되고, 또한 배기 가스를 방출하기 위한 선단 부분을 갖고, 상기 배기관의 선단 부분은, 상기 한 쌍의 세로판의 내측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배기관의 선단 부분이 상기 배기구와 대향한 상태에서 상기 배기구에 따라 연장되어 있는, 작업 기계를 제공한다.
이 작업 기계에서는, 엔진룸을 하방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된 바닥벽부에, 엔진의 하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세로판이 기립 설치되어 있다. 바닥벽부에 있어서의 한 쌍의 세로판의 사이에는,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삽관용 세로판의 후단부는, 근접 후단부면에 대해 삽관용 세로판의 후단부면을 전방을 향해 우묵하게 들어가게 함으로써 형성된 절결부를 갖는다. 배기관은, 절결부를 통해 한 쌍의 세로판의 외측 위치와 한 쌍의 세로판의 내측 위치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배기관의 선단 부분은, 한 쌍의 세로판의 내측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배기관의 선단 부분이 배기구와 대향한 상태에서 당해 배기구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의 하방에 설치된 데드 스페이스를 덕트로서 이용함으로써 종래 설치되어 있었던 덕트를 생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엔진과 한 쌍의 세로판과 바닥벽부와 후방벽부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데드 스페이스) 내에 배기관의 선단 부분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공간 내에서 엔진룸 내의 기체와 배기 가스가 혼합되고, 이 혼합기가 배기구로부터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룸 내에 부재가 밀집되어 스페이스의 여유가 없는 상태라도, 배기 가스의 온도 및 소음을 완화하면서 당해 배기 가스를 배기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삽관용 세로판의 측면에 구멍을 뚫거나 삽관용 세로판의 상단부를 절결하거나 하지 않고, 삽관용 세로판의 후단부를 절결하고 있을 뿐이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삽관용 세로판의 엔진 탑재 부분보다도 후방에 절결부를 형성한 경우, 삽관용 세로판의 강도 및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작업 기계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선회체는, 미리 설정된 기기를 상기 절결부의 상방에서 지지하기 위한 기기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삽관용 세로판의 후단부는, 연장부를 갖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삽관용 세로판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 대해 전방측에 인접하는 부분의 상단부보다도 상방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기기 지지 부재를 지지하는 브래킷으로서 겸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 의하면, 기기 지지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브래킷으로서 삽관용 세로판의 연장부를 겸용할 수 있다. 여기서, 연장부는, 삽관용 세로판에 있어서의 연장부에 대해 전방측에 인접하는 부분의 상단부보다도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연장부 분만큼 삽관용 세로판의 후단부의 높이 치수를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삽관용 세로판의 강도 및 강성을 유지하면서, 큰 절결부를 형성할 수 있음과 함께, 브래킷을 생략함으로써 부재 개수나 가공 공정수가 저감되어,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도 있다.
상기 작업 기계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는, 상기 삽관용 세로판의 후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하방의 부분의 양쪽에 걸치는 범위에 형성되고, 상기 절결부의 상측에 인접하는 상기 삽관용 세로판의 테두리부의 하단부면은, 전방에 향함에 따라서 하방으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 의하면, 삽관용 세로판에 있어서의 절결부의 상측에 인접하는 테두리부의 단면적이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서서히 커지므로, 당해 단면적이 전후 방향으로 급격하게 변화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연장부 및 연장부의 하방의 부분의 양쪽에 걸쳐 큰 절결부를 형성한 경우에 기기 지지부(연장부)에 상방으로부터 큰 하중이 가해져도, 삽관용 세로판의 일부에 치우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부 선회체가 엔진에 인접하여 설치된 운전석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경우, 상기 기기 지지 부재는, 상기 엔진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와 전후 방향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운전석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 의하면, 고하중이 가해지는 2개의 지지부가 1개의 기기 지지 부재에 통합하여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이 기기 지지 부재를 삽관용 세로판의 후단부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삽관용 세로판(연장부)이 연장되는 전후 방향, 즉, 지지부의 강도 및 강성이 유리한 방향을 따라 양 지지부가 나뉘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연장부에 양 지지부에 가해진 하중을 밸런스 좋게 전달할 수 있어, 양 지지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작업 기계에 있어서, 상기 후방벽부의 하부에는, 카운터 웨이트로서 기능하는 웨이트 벽부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선회체는, 상기 바닥벽부의 상기 배기구의 후방측의 부분에 겹쳐진 상태에서 당해 바닥벽부에 접합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웨이트 벽부를 지지하는 웨이트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삽관용 세로판의 후단부는, 상기 웨이트 지지 부재에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웨이트 지지 부재는, 카운터 웨이트로서 기능하는 웨이트 벽부를 지지하기 위해 비교적으로 높은 강성 및 강도를 갖는다. 그로 인해, 이 웨이트 지지 부재에 삽관용 세로판의 후단부를 접합함으로써, 삽관용 세로판의 후단부와 바닥벽부가 보다 강고하게 고정되어, 삽관용 세로판의 후단부의 강도 및 강성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작업 기계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선회체는, 상기 후방벽부의 장착 및 제거를 허용하는 후방벽 장착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결부는 후방으로 개방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후방벽부를 후방벽 장착부로부터 제거한 상태에서, 후방으로부터 배기관의 선단 부분을 절결부에 끼우고 뺄 수 있어, 배기관의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한, 절결부에 조립된 배기관의 선단 부분은, 상부 선회체의 후방부에 위치하므로, 후방벽부를 후방벽 장착부로부터 제거한 상태에서 상부 선회체의 후방으로부터 배기관의 선단 부분에 대해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어, 배기관의 메인터넌스도 용이해진다.
종래의 작업 기계(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는, 배기관의 선단 부분이 덕트 내에 삽입되고, 또한 배기관의 선단 부분이 엔진룸의 안쪽에 위치하므로, 조립이나 분해가 곤란하지만, 상기 형태에 의하면, 이들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작업 기계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선회체는, 상기 바닥벽부에 있어서의 상기 배기구의 전방측에 기립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엔진의 하방에서 상기 한 쌍의 세로판끼리를 연결하는 빔판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 의하면, 엔진의 하부의 공간을 전방으로부터 빔판에 의해 덮을 수 있으므로, 엔진의 하부의 공간을 배기 가스와 엔진룸 내의 기체를 혼합하기 위한 덕트로서 보다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Claims (7)

  1. 작업 기계이며,
    하부 주행체와,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작업자의 조작에 따른 작업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상부 선회체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선회체는,
    당해 상부 선회체의 후방부에 설치된 엔진과,
    배기 가스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엔진으로부터 연장되는 배기관과,
    상기 엔진을 수용하는 엔진룸을 후방으로부터 덮는 후방벽부와,
    상기 엔진룸을 하방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되고, 또한 상기 엔진룸을 하방으로 개방하는 배기구를 갖는 바닥벽부와,
    상기 바닥벽부에 있어서의 상기 배기구의 좌우 양측에 기립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엔진의 하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세로판을 갖고,
    상기 한 쌍의 세로판 중 한쪽의 세로판은, 삽관용 세로판이고, 상기 삽관용 세로판은, 당해 삽관용 세로판과 상기 후방벽부 사이에 상기 배기관이 통과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상기 후방벽부에 근접하는 근접 후단부면과, 당해 근접 후단부면에 대해 상기 삽관용 세로판의 후단부면을 전방을 향해 우묵하게 들어가게 함으로써 형성된 절결부를 갖는 후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관은, 상기 절결부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세로판의 외측 위치와 상기 한 쌍의 세로판의 내측 위치에 걸쳐 배치되고, 또한 배기 가스를 방출하기 위한 선단 부분을 갖고,
    상기 배기관의 선단 부분은, 상기 한 쌍의 세로판의 내측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배기관의 선단 부분이 상기 배기구와 대향한 상태에서 상기 배기구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작업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선회체는, 미리 설정된 기기를 상기 절결부의 상방에서 지지하기 위한 기기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삽관용 세로판의 후단부는, 연장부를 갖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삽관용 세로판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 대해 전방측에 인접하는 부분의 상단부보다도 위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기기 지지 부재를 지지하는 브래킷으로서 겸용되는, 작업 기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는, 상기 삽관용 세로판의 후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하방의 부분의 양쪽에 걸치는 범위에 형성되고,
    상기 절결부의 상측에 인접하는 상기 삽관용 세로판의 테두리부의 하단부면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서 하방으로 경사지는, 작업 기계,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선회체는, 상기 엔진에 인접하여 설치된 운전석을 더 구비하고,
    상기 기기 지지 부재는, 상기 엔진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와 전후 방향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운전석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작업 기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벽부의 하부에는, 카운터 웨이트로서 기능하는 웨이트 벽부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선회체는, 상기 바닥벽부의 상기 배기구의 후방측의 부분에 겹쳐진 상태에서 당해 바닥벽부에 접합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웨이트 벽부를 지지하는 웨이트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삽관용 세로판의 후단부는, 상기 웨이트 지지 부재에 접합되어 있는, 작업 기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선회체는, 상기 후방벽부의 장착 및 제거를 허용하는 후방벽 장착부를 갖는, 작업 기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선회체는, 상기 바닥벽부에 있어서의 상기 배기구의 전방측에 기립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엔진의 하방에서 상기 한 쌍의 세로판끼리를 연결하는 빔판을 더 구비하고 있는, 작업 기계.
KR1020140122661A 2013-09-19 2014-09-16 작업 기계 KR1021963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93939A JP5842887B2 (ja) 2013-09-19 2013-09-19 作業機械
JPJP-P-2013-193939 2013-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633A true KR20150032633A (ko) 2015-03-27
KR102196340B1 KR102196340B1 (ko) 2020-12-29

Family

ID=51589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2661A KR102196340B1 (ko) 2013-09-19 2014-09-16 작업 기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43383B2 (ko)
EP (1) EP2851474B1 (ko)
JP (1) JP5842887B2 (ko)
KR (1) KR102196340B1 (ko)
CN (1) CN1044528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8588B2 (ja) * 2013-01-22 2016-11-1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JP5803985B2 (ja) * 2013-06-14 2015-11-04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配索構造
KR20210089676A (ko) * 2018-11-14 2021-07-16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쇼벨, 쇼벨의 제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9501A (ja) * 2003-09-03 2005-03-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運搬用把手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20130006338A (ko) * 2011-07-08 2013-01-16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건설기계
JP2013079501A (ja) * 2011-10-03 2013-05-02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の排気構造
EP2735712A1 (en) * 2011-07-19 2014-05-28 Kobelco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9152A (ja) * 1999-12-03 2001-06-1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冷却装置
JP4539133B2 (ja) 2004-03-01 2010-09-08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排気構造
JP2006200313A (ja) * 2005-01-24 2006-08-03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2009030559A (ja) * 2007-07-30 2009-02-12 Caterpillar Japan Ltd 建設機械における排気構造
JP4705130B2 (ja) * 2008-06-25 2011-06-2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EP2540915B1 (en) * 2010-02-22 2019-02-20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Tierra Co., Ltd. Electrical construction machine
JP5172898B2 (ja) * 2010-06-15 2013-03-27 日立建機株式会社 電動式建設機械
JP5189155B2 (ja) * 2010-11-05 2013-04-24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JP2012106836A (ja) * 2010-11-17 2012-06-07 Tcm Corp 産業車両用ディーゼル・パティキュレート・フィルター取付構造
DE112012000007B4 (de) * 2011-02-01 2016-08-04 Komatsu Ltd. Baumaschine
JP5510466B2 (ja) * 2012-01-10 2014-06-04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9501A (ja) * 2003-09-03 2005-03-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運搬用把手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20130006338A (ko) * 2011-07-08 2013-01-16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건설기계
EP2735712A1 (en) * 2011-07-19 2014-05-28 Kobelco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JP2013079501A (ja) * 2011-10-03 2013-05-02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の排気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340B1 (ko) 2020-12-29
JP5842887B2 (ja) 2016-01-13
US20150075895A1 (en) 2015-03-19
CN104452858A (zh) 2015-03-25
CN104452858B (zh) 2018-05-11
EP2851474A1 (en) 2015-03-25
US9243383B2 (en) 2016-01-26
JP2015059345A (ja) 2015-03-30
EP2851474B1 (en) 201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84868B1 (en) Construction machine
JP4953191B2 (ja) 建設機械
US8006991B2 (en) Construction machine
WO2009107483A1 (ja) 作業車両
JP2007056627A (ja) 建設機械
US8646557B2 (en) Construction machine
KR20150032633A (ko) 작업 기계
JP2009243119A (ja) 作業機の上部構造
KR20140145555A (ko) 시트 스탠드 및 이것을 구비한 작업 기계
JP2011196046A (ja) 建設機械のポンプサクション配管構造
JP5733335B2 (ja) 建設機械の排気構造
JP2004300675A (ja) 作業機械
JP4474222B2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構造
JPH10331195A (ja) 旋回式建設機械
JP2012077536A (ja) 建設機械
JP5154466B2 (ja) 旋回作業機のボンネット装置
JP4864777B2 (ja) バックホー
JP2005335475A (ja) 建設機械
JP4576601B2 (ja) バックホー
JP2017002646A (ja) 油圧ショベル
JP5158013B2 (ja) 建設機械
JP6411973B2 (ja) 小型油圧ショベル
JP2006274598A (ja) 旋回作業機
JP2001348911A (ja) 旋回作業機
JP5935326B2 (ja) 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