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0984A -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록의 고정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록의 고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0984A
KR20150030984A KR20130110405A KR20130110405A KR20150030984A KR 20150030984 A KR20150030984 A KR 20150030984A KR 20130110405 A KR20130110405 A KR 20130110405A KR 20130110405 A KR20130110405 A KR 20130110405A KR 20150030984 A KR20150030984 A KR 20150030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horizontal frame
plate member
coupling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0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0789B1 (ko
Inventor
신성용
신종석
이재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0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789B1/ko
Publication of KR20150030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록의 고정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는, 하나 이상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골격구조물에 설치되어, 골격구조물에 탑재되는 블록의 턴오버 시, 블록을 고정하는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로서, 수평프레임에 이격 배치되어 블록의 저면을 지지하는 받침부, 및 블록의 저면에 고정되며, 받침부와 결합 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록의 고정 방법{CONNECTION STRUCTURE FOR BLOCK TURNOVER JIG AND MOTHOD FOR FIXING THE BLOCK THEREOF}
본 발명은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록의 고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인양하려는 중량체를 다루는 사용처 또는 작업장에서 들어올리는 용도로 사용된다.
만일, 크레인의 사용처가 조선소인 경우, 인양하려는 중량체 중 어느 하나는 선체 조립 또는 선체 건조용 블록이나, 블록 조립에 사용되는 평판 또는 절곡판, 직각판 등의 판부재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선체의 블록 건조에서는 선체를 수 십 개 혹은 수 백 개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그 개개의 블록들을 지상에서 조립 제작하고, 제작된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선대위에 탑재하여 하나의 선체로 조립된다.
예컨대, 선체의 선수, 선미의 조립에 사용되는 곡블럭을 비롯하여 각종 형상의 블럭은 야드(yard)내의 블록 적재 구조물, 적재용 캐리어 구조 또는 적재대 등에 의해 안정되게 적치되어 있다.
이런 블록 건조 과정 중에는 상부판과 하부판이 직각을 이루는 절곡판이나, 또는 블록의 양측 부위를 크레인으로 인양하여, 세우거나 뒤집는 턴오버(turnover)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턴오버에서는 중량체인 절곡판 또는 블록에 크레인의 인양케이블을 연결한 후, 크레인이 인양케이블을 권양함으로써, 절곡판 또는 블록이 들어올려지고, 이후 공중에서 조립 방향에 대응하게 절곡판 또는 블록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해당 블록에 인양케이블을 직접 연결시켜서 턴오버 시키기 때문에, 턴오버 도중 절곡판 또는 블록에서 처짐 변형이 발생되어, 이후 건조 작업에서 정도 문제가 발생되거나, 상기 처짐 변형을 복원하기 위한 재작업 시수가 많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절곡판은 블록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판부재이므로, 처짐 변형이 과도하게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절곡판 등의 판부재 혹은 블록의 턴오버 시 처짐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골격구조물을 포함하는 블록 턴오버 지그에 설치되어, 상기 골격구조물에 탑재되는 블록을 고정하는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로서, 상기 수평프레임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블록의 저면을 지지하는 받침부, 및 상기 블록의 저면에 고정되며, 상기 받침부와 결합 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하는,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가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수직프레임은 수직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되,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중간 위치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수평프레임은, 상기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는 사각링 형상의 제1수평프레임, 및 상기 제1수평프레임의 내측 공간에서 평행하도록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수평프레임의 단변쪽 내측면에 연결된 제2수평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는 제2수평프레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제2수평프레임의 상면에서 상기 제2수평프레임과 나란한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고, 일면에 다수의 체결구멍이 형성된 제1판부재, 상기 제1판부재와 직교하도록 한 쌍 이상이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2수평프레임의 상면 및 상기 제1판부재의 일면에 연결되는 결합기둥, 및 하나의 상기 결합기둥 및 제1판부재의 상면을 연결하며, 한 쌍 이상이 이격 배치되는 제2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요철(凸) 형상으로서, 상부의 폭은 상기 제2판부재가 이격된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고, 하부의 폭은 상기 결합기둥이 이격된 간격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체결구멍과 일치되는 다수의 결합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구멍과 상기 결합구멍은 샤클 핀 또는 볼트-너트 조립체에 의해 결합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된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를 이용하여 블록을 블록 턴오버 지그에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블록의 저면에 결합부를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블록과 결합된 결합부를 이동하도록 하여 받침부의 결합기둥 및 제2판부재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합부의 일면이 상기 받침부의 제1판부재와 면접촉된 상태에서, 체결구멍과 결합구멍에 결합핀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결합부와 상기 받침부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를 이용한 블록의 고정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는 블록의 턴오버 시 처짐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블록 턴오버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의 받침부가 설치된 블록 턴오버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받침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블록 턴오버 지그에 탑재할 블록의 저면에 구비된 결합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에서 받침부와 결합부 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에서 받침부와 결합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블록 턴오버 지그를 이용한 블록의 턴오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의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가 설치될 수 있는 골격구조물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블록 턴오버 지그(10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120)가 설치되는 블록 턴오버 지그(100)은 골격구조물(110) 및 러그(11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골격구조물(110)은 하나 이상의 수직프레임(111), 수평프레임(112), 돌출프레임(113), 및 보강프레임(114)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수직프레임(111)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수평프레임(112)은 수직프레임(111)의 중간 위치에서 서로 연결된다.
여기에서, 수평프레임(112)은 XY평면을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111)을 서로 연결하는 사각링 형상의 제1수평프레임(112a)과, 상기 제1수평프레임(112a)의 단변쪽 내측면에 연결된 다수의 제2수평프레임(112b)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돌출프레임(113)은 수직프레임(111)의 외측면에, 수평프레임(112)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수직프레임(111), 수평프레임(112), 돌출프레임(113) 등과 같이 골격구조물(110)을 이루는 구성품들은 H빔, 중공형 사각빔, 거더(girder)용 구조재 등의 구조용 강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수직프레임(111), 수평프레임(112), 돌출프레임(113) 등과 같이 골격구조물(110)을 이루는 구조용 강재는 사용하려는 대상물의 하중과 이동 시에 가해지는 각종 외력을 견딜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을 통해 선정된 재질, 두께 등의 치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보강프레임(114)은 돌출프레임(113)과 수직프레임(111)의 코너 부위에 상하 대칭으로 각각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돌출프레임(113)과 수직프레임(111)을 서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러그(115)는 일반적인 조선소에서 사용하는 크레인 연결 부재로서, 특정 러그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러그(115)는 골격구조물(110)의 수직프레임(111)의 상단 및 하단, 상기 수직프레임(111)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프레임(113)의 단부에 용접 등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전술된 블록 턴오버 지그(100)는 주로 박판 블록(예: LQ, DECK HOUSE, ENGINE CASING 등) 등과 같이, 박판으로 이루어진 블록에 적용될 수 있다.
박판 블록의 경우, 블록의 안전성보다는 조립 공장에서 핸들링 가능한 가용성(capacity)에 따라서 블록이 분할되어 있다.
이러한 박판 블록을 턴오버 또는 이동시킬 경우, 블록에서 처짐 또는 변형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구조적 안정성 보다는 핸들링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재가 많이 필요하고, 거의 전 블록 구조 해석이 요구된다.
또한, 보강재의 경우는 삽입할 경우와 제거할 경우에도 손상이 발생되고, 품질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가 안출되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의 받침부(130)가 설치된 블록 턴오버 지그(100´)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는 블록 턴오버 지그(100´)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작업물보다 크고 입체적인 형상을 갖는 다른 작업물, 예컨대 선박 건조용 블록(B)을 블록 턴오버 지그(100´)에 구속 또는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받침부(130) 및 결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받침부(130)는 골격구조물(110)의 제2수평프레임(112b)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받침부(130)가 제2수평프레임(112b)에 설치되도록 도시되었으나, 골격구조물(110)의 제1수평프레임(112a)에도 설치되도록 설계변경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에서 받침부(130)는 제2수평프레임(112b)에 다수개가 이격 배치되어 블록(B) 저면의 일부분을 지지하고, 상기 블록(B) 저면의 타부분과 결합된 결합부(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받침부(130)와 결합부(14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받침부(13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블록 턴오버 지그(100´)에 탑재할 블록(B)의 저면에 구비된 결합부(14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에서 받침부(130)는 제1판부재(131), 결합기둥(133), 및 제2판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판부재(131)는 제2수평프레임(112b)의 상면에서 상기 제2수평프레임(112b)과 나란한 방향으로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제1판부재(131)의 일면에는 판 두께 방향으로 다수 개의 체결구멍(134)이 형성된다.
결합기둥(133)은, 제1판부재(131)와 직교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제2수평프레임(112b)의 상면 및 제1판부재(131)에서 체결구멍(134)이 형성된 상기 일면에 동시에 접하도록 연결된다.
이 때, 결합기둥(113)은 다수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는, 후술되는 결합부(140)의 하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결합기둥(113) 각각이 이격되는 간격은 결합부(140)의 하부의 폭보다 넓게 설계되어야 한다.
도 3에서는, 상기 결합기둥(113)이 한 쌍으로 구성되도록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결합기둥(113)은 미리 정한 길이로 절단된 H빔을 세워서 제2수평프레임(112b)의 상면에 용접으로 고정한 것일 수 있다.
제2판부재(132)는, 하나의 결합기둥(113)과 제1판부재(131)의 상면을 각각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2판부재(132)는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는, 후술되는 결합부(140)의 상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판부재(132) 각각이 이격되는 간격은 결합부(140)의 상부의 폭보다 넓게 설계되어야 한다.
이 때, 전술된 제1판부재(131), 결합기둥(133), 및 제2판부재(132)는 각각 구성되어 결합되도록 설명이 되었으나 일부 또는 전체의 구성이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에서 결합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요철(凸)의 형상의 결합판부재(141)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결합부(140)의 상부(140a)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제2판부재(132) 각각이 이격된 공간에 삽입 가능하여야 하므로 그 폭이 제2판부재(132)가 이격된 간격보다는 좁게 설계되어야 한다.
그리고, 결합부(140)의 하부(140b)는, 전술된 바와 같이, 결합기둥(133) 각각이 이격된 공간에 삽입 가능하여야 하므로 그 폭이 결합기둥(133)이 이격된 간격보다는 좁게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결합부(140)의 하부(140b) 면에는 받침부(130)의 제1판부재(131)에 형성되는 체결구멍(134)과 일치되는 다수 개의 결합구멍(142)이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120)에서 받침부(130)와 결합부(140) 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120)에서 받침부(130)와 결합부(14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결합부(140)의 상부면이 블록의 저면과 결합되도록 한다. 결합부(140)의 상부면은 비교적 그 면적이 좁으므로 용접 등의 결합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결합부(140)와 결합된 블록은 크레인 등에 의하여 견인되어 받침부(130)에 인접하도록 이동된다.
이후, 크레인은 결합부(140)가 결합기둥(133)의 사이 및 제2판부재(132)의 사이에 삽입되어 제1판부재(131)와 면접촉되도록 블록을 이동 및 정지시킨다.
상기의 이동 과정에서, 결합부(140)는 결합기둥(133)의 사이 및 제2판부재(132)의 사이의 간격에 의하여 받침부(130)의 제2판부재(132)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면접촉된 제2판부재(132)의 체결구멍(134) 및 결합부(140)의 결합구멍(142)에 결합핀(150)이 결합됨으로써 받침부(130)와 블록(미도시)이 서로 연결 또는 구속될 수 있다.
이 때, 결합핀(150)으로는 선박 건조용 샤클 핀 또는 볼트-너트 조립체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블록의 턴오버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120)가 설치된 블록 턴오버 지그(100´)를 이용하여 블록(B)을 턴오버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블록 턴오버 지그(100´)를 이용한 블록의 턴오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인양, 이동 또는 턴오버 하려는 블록(B)은 골격구조물(110)의 수직프레임(111)의 내측 공간을 기준으로 수평프레임(112)의 상면에 올려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블록(B)은 전술된 바와 같이 먼저 용접 등에 의하여 결합부의 상부(140a)에 고정 결합되며, 결합부(140)와 결합된 블록(B)은 크레인(미도시) 등에 의하여 견인되어 받침부(130)에 인접하도록 이동된다.
이후, 크레인은 결합부(140)가 결합기둥(133)의 사이 및 제2판부재(132)의 사이에 삽입되어 제1판부재(131)와 면접촉되도록 블록을 이동 및 정지시킨다.
그리고, 서로 면접촉된 제2판부재(132)의 체결구멍 및 결합부(140)의 결합구멍(142)에 결합핀이 결합됨으로써 받침부(130)와 블록(B)이 서로 연결 또는 구속될 수 있으며, 또한 골격구조물(110)의 수직프레임(111) 및 수평프레임(112)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크레인(미도시)으로부터 연장된 일측 케이블(160a)의 끝단은 샤클 등의 일반적인 커플링 수단을 이용하여 돌출프레임(113) 쪽 러그(115a)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일측 케이블(160a)이 상향으로 이동 또는 권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턴오버가 이루어져서, 골격구조물(110) 및 블록(B)이 안정되게 경사질 수 있고, 이후 도 8과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때, 작업물(B)은 골격구조물(110)의 위에 실려 있음으로써, 골격구조물(110)에 의해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는 상태이고, 일측 케이블(160a)에 작용되는 힘은 골격구조물(110)에 작용함에 따라, 블록(B)에서 변형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크레인(미도시)으로부터 연장된 타측 케이블(160b)의 끝단은 역시 샤클 등의 일반적인 커플링 수단을 이용하여 수직프레임(111) 쪽 러그(115b)에 연결될 수 있다.
이후, 크레인은 일측 케이블(160a) 및 타측 케이블(160b)을 동시에 상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경사진 상태에서 골격구조물(110) 및 블록(B)이 공중으로 뜨게 된다.
여기에서, 공중이란 작업자 또는 작업자가 탑승한 승강장치가 도달할 수 있는 높이에 해당하는 공중을 의미할 수 있다.
이후, 크레인은 일측 케이블(160a)을 정지 상태로 유지시키고, 작업자는 타측 케이블(160b)을 수직프레임(111) 쪽 러그(115b)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런 경우, 도 9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골격구조물(110) 및 블록(B)은 도 7의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회전된 상태일 수 있고, 일측 케이블(160a)에 의해 매달려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상기 분리한 타측 케이블(160b)을 상기 러그(115b)의 반대쪽에 위치한 수직프레임(111) 상의 다른 러그(115c)에 연결한다.
또한, 크레인은 일측 케이블(160a)을 정지 상태로 유지하고, 타측 케이블(160b)을 상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 10과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골격구조물(110) 및 블록(B)은 하향 경사진 상태로 공중에 위치할 수 있다.
이후, 크레인은 일측 케이블(160a)을 하향으로 이동시키고, 타측 케이블(160b)을 상향으로 이동시켜서, 일측 케이블(160a)과 타측 케이블(160b)의 높이를 서로 일치시킨다.
이후, 크레인은 일측 케이블(160a)과 타측 케이블(160b)을 동시에 하강시켜서, 골격구조물(110)을 지면에 내려 놓을 수 있다.
즉, 도 11을 참조하면, 블록(B)은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120)에 의해 골격구조물(110)에 매달린 상태로서, 완전히 턴오버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때, 골격구조물(110)이 상, 하 대칭이므로, 다음 번째의 턴오버를 위해서 골격구조물(110)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릴 필요 없이, 상기 블록(B)과 골격구조물(110)을 분리하여, 다른 작업물(미도시)을 턴오버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는 블록의 턴오버 시, 처짐 등과 같은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100´ : 블록 턴오버 지그 110 : 골격구조물
111 : 수직프레임 112 : 수평프레임
112a : 제1수평프레임 112b : 제2수평프레임
113 : 돌출프레임 114 : 보강프레임
115, 115a, 115b, 115c : 러그 B : 블록
120 :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
130 : 받침부 131 : 제1판부재
132 : 제2판부재 133 : 결합기둥
134 : 체결구멍 140 : 결합부
140a : 결합부의 상부 140b : 결합부의 하부
141 : 결합판부재 142 : 결합구멍
150 : 결합핀 160a : 일측 케이블
160b : 타측 케이블

Claims (8)

  1. 하나 이상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골격구조물을 포함하는 블록 턴오버 지그에 설치되어, 상기 골격구조물에 탑재되는 블록을 고정하는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로서,
    상기 수평프레임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블록의 저면을 지지하는 받침부, 및
    상기 블록의 저면에 고정되며, 상기 받침부와 결합 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하는,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수직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되,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중간 위치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수평프레임은, 상기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는 사각링 형상의 제1수평프레임, 및
    상기 제1수평프레임의 내측 공간에서 평행하도록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수평프레임의 단변쪽 내측면에 연결된 제2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제2수평프레임에 배치되는,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제2수평프레임의 상면에서 상기 제2수평프레임과 나란한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고, 일면에 다수의 체결구멍이 형성된 제1판부재;
    상기 제1판부재와 직교하도록 한 쌍 이상이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2수평프레임의 상면 및 상기 제1판부재의 일면에 연결되는 결합기둥; 및
    하나의 상기 결합기둥 및 제1판부재의 상면을 연결하며, 한 쌍 이상이 이격 배치되는 제2판부재를 포함하는,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요철(凸) 형상으로서, 상부의 폭은 상기 제2판부재가 이격된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고, 하부의 폭은 상기 결합기둥이 이격된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는,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체결구멍과 일치되는 다수의 결합구멍이 형성되는,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멍과 상기 결합구멍은 샤클 핀 또는 볼트-너트 조립체에 의해 결합 가능한,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
  8. 상기 제 1 항 내지 상기 제 7 항에 따른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를 이용하여 블록을 블록 턴오버 지그에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블록의 저면에 결합부를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블록과 결합된 결합부를 이동하도록 하여 받침부의 결합기둥 및 제2판부재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합부의 일면이 상기 받침부의 제1판부재와 면접촉된 상태에서, 체결구멍과 결합구멍에 결합핀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결합부와 상기 받침부를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를 이용한 블록의 고정 방법.
KR1020130110405A 2013-09-13 2013-09-13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록의 고정 방법 KR101590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405A KR101590789B1 (ko) 2013-09-13 2013-09-13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록의 고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405A KR101590789B1 (ko) 2013-09-13 2013-09-13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록의 고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984A true KR20150030984A (ko) 2015-03-23
KR101590789B1 KR101590789B1 (ko) 2016-02-02

Family

ID=53024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0405A KR101590789B1 (ko) 2013-09-13 2013-09-13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록의 고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7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666U (ko) * 2017-12-22 2019-07-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스파이더 앤드 짐벌용 시트 장치
KR20220149131A (ko) * 2021-04-30 2022-11-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잠금기능을 구비한 접철식 작업대
CN117477144A (zh) * 2023-12-28 2024-01-30 深圳市德兰明海新能源股份有限公司 储能装置及其外壳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395B1 (ko) 2017-12-01 2019-10-01 주식회사 엔케이 회전 지그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666U (ko) * 2017-12-22 2019-07-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스파이더 앤드 짐벌용 시트 장치
KR20220149131A (ko) * 2021-04-30 2022-11-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잠금기능을 구비한 접철식 작업대
CN117477144A (zh) * 2023-12-28 2024-01-30 深圳市德兰明海新能源股份有限公司 储能装置及其外壳
CN117477144B (zh) * 2023-12-28 2024-05-07 深圳市德兰明海新能源股份有限公司 储能装置及其外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0789B1 (ko) 201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0789B1 (ko)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록의 고정 방법
TW202014616A (zh) 用於實現第一結構及第二結構之連接凸緣之間的螺栓連接的輔助裝置及方法
KR101335261B1 (ko) 탑 사이드 모듈을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이의 건조방법
KR101516296B1 (ko) 블록 턴오버 지그
JP6234206B2 (ja) パネル積載ユニット、パネル積載ラック及びパネル積載方法
JP2018035556A (ja) 屋根構造体の構築方法
KR101185967B1 (ko) 블록 지지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
JP6401937B2 (ja) 作業用足場及びその設置方法
KR100947452B1 (ko) 특수 족장 설비 빅 거더 해체용 지그
KR200485664Y1 (ko) 블록 턴 오버 지그
JP2011020779A (ja) 鋼板ブロック反転装置および鋼板ブロック反転方法
KR101707404B1 (ko)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의 설치방법
KR20140000687U (ko) 선박 블록 또는 해양구조물 블록의 보강재 취부지그
JP4605310B2 (ja) タワークレーン用架台、タワークレーンの支持方法、タワークレーン用架台の取付構造
KR101059998B1 (ko) 대형블록 조립방법
KR101608010B1 (ko)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 이의 제조 방법 및 상부터렛 리프팅 방법
JP2005178940A (ja) タワークレーン用架台およびタワークレーンの支持方法
KR200486664Y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서포트 어셈블리
KR101732377B1 (ko) 파이프 지지용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파이프 조립체 지지 장치
JP5468357B2 (ja) パネル部材の積載ラック
KR101973375B1 (ko) 해양 구조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고정장치
KR200484429Y1 (ko) 선박 블록의 지지장치
KR101863796B1 (ko) 선박 건조용 캐리어 조립체
JP2517450Y2 (ja) プレハブユニット輸送治具
SU1058828A1 (ru) Способ центровки блоков перед их подачей в сборочную зону при строительстве верхнего корпуса полупогружной платформ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