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0926A - 화산 송이를 이용한 소주의 제조방법 및 그 소주 - Google Patents

화산 송이를 이용한 소주의 제조방법 및 그 소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0926A
KR20150030926A KR20130110265A KR20130110265A KR20150030926A KR 20150030926 A KR20150030926 A KR 20150030926A KR 20130110265 A KR20130110265 A KR 20130110265A KR 20130110265 A KR20130110265 A KR 20130110265A KR 20150030926 A KR20150030926 A KR 20150030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or
soju
scoria
volcanic
cartridg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0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5403B1 (ko
Inventor
손흥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주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주소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주소주
Priority to KR1020130110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403B1/ko
Publication of KR20150030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02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combined with removal of precipitate or added materials, e.g. adsorption material
    • C12H1/04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combined with removal of precipitate or added materials, e.g. adsorption material with the aid of ion-exchange material or inert clarification material, e.g. adsorption material
    • C12H1/0408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combined with removal of precipitate or added materials, e.g. adsorption material with the aid of ion-exchange material or inert clarification material, e.g. adsorption material with the aid of inorganic add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02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combined with removal of precipitate or added materials, e.g. adsorption material
    • C12H1/06Precipitation by physical means, e.g. by irradiation, vibrations
    • C12H1/063Separation by 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6/00Methods for increas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6/02Methods for increas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by distill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xi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tillation Of Fermentation Liquor, Processing Of Alcohols, Vinegar And Be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소주 제조방법과 달리 주정을 미리 정해진 도수로 희석한 희석주를 화산 송이 칼럼을 통과하게 함으로써, 화산 송이가 가지고 있는 다공질·정화 능력·원적외선 방사율 그리고 음이온 생성 능력 중에서 특히 원적외선 방사 능력을 통해 소주의 숙성 효과를 높여 부드러운 맛의 소주를 얻을 수 있는 화산 송이를 이용한 소주의 제조방법 및 그 소주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러한 화산 송이로서 제주 화산 송이(Scoria)를 이용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산 송이를 이용한 소주의 제조방법은, 주정에 정제수를 투입하여 32%로 희석하는 제1단계; 상기 희석주를 화산 송이 칼럼을 통과시키는 제2단계; 화산 송이로 걸러진 정제주를 탈취와 정제를 위하여 분말탄과 규조토를 차례대로 통과시켜 탈취 정제주를 얻는 제3단계; 상기 탈취 정제주에 정제수· 27%의 증류주 그리고 첨가물을 혼합하여 19.5%의 제성주를 얻는 제4단계; 제성주를 PAD 여과기와 제1카트리지 여과기를 통과하게 하여 여과하는 제5단계; 여과된 제성주를 제2카트리지 여과기를 통과시킨 다음 병에 주입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산 송이를 이용한 소주의 제조방법 및 그 소주{SOJU AND THE METHOD USING SCORIA}
본 발명은 화산 송이를 이용한 소주의 제조방법 및 그 소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공질로 정화 능력과 원적외선 방사율 그리고 음이온 생성이 우수한 화산 송이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비율로 희석된 희석주를 통과하게 함으로써, 이 원적외선 방사를 통해 소주의 숙성 효과를 높여 부드러운 맛의 소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최근 시판하고 있는 소주는 주정을 희석한 다음 여기에 탈취 과정과 감미 과정을 거쳐 약 20% 전후의 알코올 도수를 갖게 한 것을 말한다. 여기서, 주정(酒精)은 술의 정수(精髓)라고도 표현할 수 있는데, 쌀·보리·옥수수·고구마 그리고 타피오카 등의 여러 가지 곡물을 미생물로 발효하여 얻은 순수한 에틸알코올을 말한다. 이는 기계 안에서 연속적으로 증류하면 순도 95%의 에틸알코올을 만들어낼 수 있다.
이러한 소주는 주정을 원료로 희석과 탈취 그리고 감미 과정에 따라 다양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9와 같이 다양한 방법과 원료를 이용하여 제조한다.
한국등록특허 제0100608호(등록일 : 1996.06.13) 한국등록특허 제0311093호(등록일 : 2001.09.22) 한국등록특허 제0400822호(등록일 : 2003.09.24) 한국등록특허 제0474113호(등록일 : 2005.02.22)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119695호(공개일 : 2006.11.24) 한국등록특허 제0554198호(등록일 : 2006.02.15) 한국등록특허 제1039165호(등록일 : 2011.05.30) 한국등록특허 제0925891호(등록일 : 2009.11.02)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64202호(공개일 : 2013.06.18)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소주 제조방법과 달리 주정을 미리 정해진 도수로 희석한 희석주를 화산 송이 칼럼을 통과하게 함으로써, 화산 송이가 가지고 있는 다공질·정화 능력·원적외선 방사율 그리고 음이온 생성 능력 중에서 특히 원적외선 방사 능력을 통해 소주의 숙성 효과를 높여 부드러운 맛의 소주를 얻을 수 있는 화산 송이를 이용한 소주의 제조방법 및 그 소주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러한 화산 송이로서 제주 화산 송이(Scoria)를 이용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산 송이를 이용한 소주의 제조방법은, 주정에 정제수를 투입하여 32%로 희석하는 제1단계; 상기 희석주를 화산 송이 칼럼을 통과시키는 제2단계; 화산 송이로 걸러진 정제주를 탈취와 정제를 위하여 분말탄과 규조토를 차례대로 통과시켜 탈취 정제주를 얻는 제3단계; 상기 탈취 정제주에 정제수· 27%의 증류주 그리고 첨가물을 혼합하여 19.5%의 제성주를 얻는 제4단계; 제성주를 PAD 여과기와 제1카트리지 여과기를 통과하게 하여 여과하는 제5단계; 여과된 제성주를 제2카트리지 여과기를 통과시킨 다음 병에 주입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정제수는, 지하수를 샌드 필터·활성탄 그리고 카트리지를 차례로 통과시켜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류주는, 45%의 증류식 소주를 입상탄 처리와 카트리지 여과기를 투과시켜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카트리지 여과기는 메쉬가 1㎛이고, 상기 제2카트리지 여과기는 메쉬가 0.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화산 송이 칼럼에 갖춰진 화산 송이는 제주 화산 송이(Scoria)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 지름이 1.5~2.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술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소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산 송이를 이용한 소주의 제조방법 및 그 소주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화산 송이가 갖는 특성, 즉 다공질·정화 능력·원적외선 방사율 그리고 음이온 생성 능력, 특히 원적외선 방사능을 통해 희석주가 이 화산 송이를 통과하는 동안 숙성시켜 소주의 식감(마시는 느낌)을 향상할 수 있다.
(2) 특히, 원적외선은 소주를 마실 때 느끼는 식감의 부드러움과 숙취 제거 그리고 체내의 해로운 중금속 등을 배출시켜 주는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3) 주정 과정에서 생기거나 유입된 이물질이 희석주가 화산 송이를 통과하는 동안에 걸러지므로 더욱 깨끗하게 정화된 소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주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 순서를 차례대로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제수를 얻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 순서를 차례대로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증류주를 얻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 순서를 차례대로 도시한 플로우챠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소주의 제조방법)
본 발명에 따른 소주의 제조방법은, 도 1 및 도 3과 같이, 6단계에 걸쳐 이루어진다. 이에 아래에서는 단계별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제1단계는, 도 1과 같이, 주정을 희석하는 단계이다. 이때, 주정은 대한주정판매(주)에서 판매하는 95% 성분의 주정을 구매하여 이용한다. 그리고, 이때의 희석은 주정에 정제수를 가하여 희석한다.
여기서, 정제수는 주정의 알코올 도수를 희석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 희석수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정제수로서 도 2와 같이, 지하수를 정제하여 사용한다.
상기 정제수는, 도 2와 같이, 지하수를 샌드 필터와 활성탄 처리 그리고 카트리지 여과기를 통과시켜 얻는다. 샌드 필터는 비교적 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며, 활성탄 처리는 활성탄의 흡착력을 이용하여 지하수의 맛이나 색 그리고 냄새 등을 유발하는 유기물 등을 제거한다. 그리고 카트리지 여과기는 최종적으로 지하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주정의 희석은, 95% 알코올의 주정에 지하수를 여과하여 얻은 정제수를 투입하여 32%로 희석하는 것이다.
제2단계는, 도 1과 같이, 32%로 희석된 희석주가 화산 송이 칼럼을 통과하게 하는 단계이다. 이는 화산 송이가 갖는 다공질·정화 능력·원적외선 방사율 그리고 음이온 생성 기능을 이용하여 희석주를 숙성하기 위한 단계이다.
여기서, "숙성"이란, 희석주가 부드러운 맛을 갖게 하는 것으로, 화산 송이가 가지고 있는 원적외선 방사를 이용하여 희석주를 구성하는 성분 간의 결합을 안정화하여 평형에 도달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일반적으로 소주는, 위스키·브랜디 그리고 고량주와 같은 증류주로서, 그 주성분은 알코올과 정제수(물)이라고 할 수 있고, 이 외에도 여러 가지 미량 성분을 더 함유하고 있다. 소주가 부드럽다고 하는 것은 '소주의 숙성'에 따른 결과나 효과에 따른 것으로, 이는 소주를 구성하는 여러 성분 간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변해간다는 의미이다. 즉, 이를 다시 표현하면, 소주의 숙성은 알코올과 정제수(물) 그리고 여기에 남아 있는 미량 성분 간에 서로 결합하여 그 평형을 이룸에 따라 생긴 결과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성분 간의 결합은, 화산 송이가 갖는 원적외선의 유기물의 수화성(水化性)을 촉진하는 기능을 통해 소주의 숙성 시간을 단축하면서도 그 효능을 촉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수화(水化)는, 물 분자와 어떤 물질이 제대로 결합하여 안정화하였는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소주에서의 수화는 알코올과 미량 성분이 물 분자와 결합하는 안정성을 의미한다. 즉, 일반적으로 물 분자는 수소 원자 2개와 산소 원자 1개가 결합된 구조인데, 이 물 분자의 특징은 산소 원자 모서리 부분과 수소 원자 모서리 부분에 미량의 전하를 띄는 구조이므로 이러한 성격을 가진 상대 물질들의 특정 원소 성분들과 상호 강한 결합력을 유지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희석주 속에 수 많이 존재하고 있는 물(정제수) 분자의 원자, 알코올, 그리고 미량 성분들이 이렇게 서로 얽히고설키면서 상호 결합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안정화 과정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숙성을 위해 원적외선 방사율이 높은 화산 송이를 이용하고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제주 화산 송이(Scoria)를 이용하고, 이때 사용되는 제주 화산 송이는 그 지름이 1.5~2.5㎜인 것을 사용한다. 이는 화산 송이에는, 아래의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물질들의 물성을 비교한 [표 1]과 같이, 다른 구성에 비하여 원적외선의 방사량과 탈취 그리고 항균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구분

연속기공

흡수율(%)

원적외선 방사량

탈취율(%)

항균성

pH

송이

44~46

23.1

92~93

84~89

99.97

7.8~9.1

맥반석

-

-

90

85

85

7.0~9.0



-

-

91

57~72

67~80

-

황토

-

20~25

93

-

-

8.5~9.5

기존시멘트

-

-

84

63

-

9.0~13.0

제올라이트

-

20~25

90

85

92

7~9



-

33

90

85

92

6~8
제3단계는, 도 1과 같이, 화산 송이로 걸러진 정제주를 탈취와 정제하는 단계이다. 이때의 탈취와 정제는 분말탄과 규조토를 이용한다. 즉, 화산 송이로 걸러진 정제주를 이 분말탄과 규조토를 차례로 통과시켜 탈취 정제주를 얻는다.
여기서, 분말탄과 규조토는 모두 그 자체로서 탈취 기능과 정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필터링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것으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4단계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상기 탈취 정제주로부터 제성주를 얻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성주는 제품으로 판매할 수 있을 정도로 완성에 가까운 소주를 의미한다. 이러한 제성주는, 탈취 정제주에 증류주와 첨가물을 첨가하여 19.5% 알코올의 완제품을 얻는다.
상기 증류주는, 도 3과 같이, 45%의 증류식 소주를 입상탄 처리와 카트리지 여과기를 통과한 다음 여기에 정제수를 혼합하여 27%의 증류주를 얻는다.
여기서, 입상탄은 45%의 증류식 소주에 함유된 이물질이나 일부 알코올 등을 흡수하게 하고, 카트리지는 통상의 기술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정제수는 상술한 제1단계에서 설명한 지하수를 정제한 물을 이용한다.
제5단계는, 도 1과 같이, 제성주를 1차적으로 여과하는 단계이다. 이때의 여과는 제성주를 PAD 여과기와 제1카트리지 여과기를 통과시킴에 따라 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카트리지는 메쉬가 1㎛인 것을 이용하여 제성주에 함유된 미세 물질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PAD 여과기는, 판상 여과(Plate & Frame Filtration 또는 Pad Filtration) 방식의 여과기로, 여러 매의 규조토 판상을 층층이 쌓아 마치 샌드위치 형태로 만든 다음 제성주가 규조토 판상을 통과하면서 여과가 이루어지게 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된 여과기이다.
제6단계는, 도 1과 같이, 제5단계에서 1차적으로 여과된 제성주를 2차적으로 여과한 다음 병에 주입하는 단계이다. 이때의 여과는 제2카트리지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하게 되는데, 이 제2카트리지 여과기는 메쉬가 0.5㎛인 것을 이용하여 가능한 모든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하여 식감과 목 넘김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이처럼 여과된 제성주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병에 주입함에 따라 소주의 제조가 완성된다.
(화산 송이를 이용한 소주)
본 발명은 상술한 화산 송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주를 포함한다.
(관능시험)
본 발명에 따라 제주 화산 송이로 숙성된 소주를 제조하는 데 이용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주정 : 대한주정판매(주)에서 구입한 95% 주정
2) 화산 송이 : 지름이 2㎜인 제주 화산 송이
3) 완성된 소주의 알코올 농도 : 19%
시험 방법은, 100㎖ 실험용 유리관에 제주 화산 송이를 채우고, 상온에서 상부에 연결된 분액 깔때기를 통해 희석한 주정을 서서히 통과시킴. 유속의 조절은 상부에 연결된 분액 깔때기를 통해 100㎖/hr로 조절하였으며, 제주 화산 송이가 처리된 희석용액을 정량용 여지(GF/C여지)로 여과한 뒤 비이커에 받아 보관하였다.
이렇게 제주 화산 송이를 투과한 희석 용액에 대한 관능 시험은 아래와 같이 실시하였다.
(1) 관능시험에 참석한 5명의 패널은 아침 식사 및 양치질 후 커피나 담배 등 혀의 미각세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어떠한 행위도 하지 않았으며, 관능시험의 시작은 오전 10:30분이었다.
(2) 관능에 사용된 샘플은 제주 화산 송이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1개와 제주 화산 송이를 처리한 샘플 2개, 합 3개의 샘플로서, 패널들이 관능에 의해 맛의 변화를 감지하지 못한 대조군 1개를 골라내는 방식으로 시험하였다.
(3) 관능시험은 자극적인 알코올 성분을 고려 1개의 샘플을 관능 후 약 20℃로 유지된 미지근한 물로 입안을 충분히 세척, 잔존 미를 제거한 뒤, 5분간 이상의 간격을 두고 다시 다른 샘플을 시음하는 것으로 진행하였음.
(4) 동일한 과정을 연속으로 3일간 실행하였다.
이와 같은 관능 시험의 결과는 일차별로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1) 1일차 : 대조군을 정확하게 지적한 패널들은 4명이었으며, 나머지 1명 모르겠다로 나왔음.
2) 2일차 : 대조군을 정확하게 지적한 패널들은 4명이었으며, 나머지 1명은 제주 화산 송이 처리 샘플을 대조군이라고 지적하였음.
3) 3일차 : 대조군을 정확하게 지적한 패널들은 4명이었으며, 나머지 1명 다시 모르겠다로 나왔음.
이 같은 시험 결과로부터 3일간 관능 시험한 결과, 적어도 5명 중 4명에 한해서는 정확하게 제주 화산 송이 처리된 샘플과 그렇지 않은 대조군을 구분하였으며, 나머지 1명의 경우 정확하게 구분하지 못한 것으로 나왔다. 이는 제주 화산 송이를 투과한 희석주의 경우 원적외선 방사에 기인한 희석주정 용액의 숙성효과가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주정에 정제수를 투입하여 32%로 희석하는 제1단계;
    상기 희석주를 화산 송이 칼럼을 통과시키는 제2단계;
    화산 송이로 걸러진 정제주를 탈취와 정제를 위하여 분말탄과 규조토를 차례대로 통과시켜 탈취 정제주를 얻는 제3단계;
    상기 탈취 정제주에 정제수· 27%의 증류주 그리고 첨가물을 혼합하여 19.5%의 제성주를 얻는 제4단계;
    제성주를 PAD 여과기와 제1카트리지 여과기를 통과하게 하여 여과하는 제5단계;
    여과된 제성주를 제2카트리지 여과기를 통과시킨 다음 병에 주입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산 송이를 이용한 소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는,
    지하수를 샌드 필터·활성탄 그리고 카트리지를 차례로 통과시켜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산 송이를 이용한 소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류주는,
    45%의 증류식 소주를 입상탄 처리와 카트리지 여과기를 투과시켜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산 송이를 이용한 소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트리지 여과기는 메쉬가 1㎛이고,
    상기 제2카트리지 여과기는 메쉬가 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산 송이를 이용한 소주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산 송이 칼럼에 갖춰진 화산 송이는 제주 화산 송이(Scori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산 송이를 이용한 소주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산 송이는 지름이 1.5~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산 송이를 이용한 소주의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소주.
KR1020130110265A 2013-09-13 2013-09-13 화산 송이를 이용한 소주의 제조방법 및 그 소주 KR101695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265A KR101695403B1 (ko) 2013-09-13 2013-09-13 화산 송이를 이용한 소주의 제조방법 및 그 소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265A KR101695403B1 (ko) 2013-09-13 2013-09-13 화산 송이를 이용한 소주의 제조방법 및 그 소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926A true KR20150030926A (ko) 2015-03-23
KR101695403B1 KR101695403B1 (ko) 2017-01-12

Family

ID=53024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0265A KR101695403B1 (ko) 2013-09-13 2013-09-13 화산 송이를 이용한 소주의 제조방법 및 그 소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4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04110A (zh) * 2017-05-02 2018-05-08 青岛创恩康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用远红外线辐射体制备保健益生酒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794B1 (ko) 2018-10-12 2021-05-17 강모제 산초 열매 소주 제조방법
KR102647756B1 (ko) 2021-06-02 2024-03-21 고려주조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과수 소주 제조방법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2142A (ko) * 1999-01-30 2000-08-16 임건우 희석식 소주의 제조 방법
KR100311093B1 (ko) 2000-04-06 2001-11-03 권상일 술지게미(酒粕) 증류식소주 제조방법
KR100400822B1 (ko) 2001-04-07 2003-10-08 선양주조(주) 소주의 제조방법
KR100474113B1 (ko) 2004-10-11 2005-03-14 대한민국 분말감자를 이용한 감자 증류식소주 및 그 제조방법
KR20050106226A (ko) * 2004-05-04 2005-11-09 이시우 스코리아 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554198B1 (ko) 2005-07-29 2006-02-22 대한민국 콘그릿츠를 이용한 증류식소주의 제조방법
KR20060119695A (ko) 2003-08-29 2006-11-24 야마토이치 브루잉 컴파니 소주의 제조방법
KR100925891B1 (ko) 2009-02-27 2009-11-10 대한민국 벼를 이용한 증류식 소주 제조방법
KR101206187B1 (ko) * 2009-08-21 2012-11-28 오승환 마이크로나노 산소활성수의 특성을 가지는 황토지장수 제조방법과 원적외선의 특성을 활용한 주류의 제조방법
JP2013501603A (ja) * 2009-08-13 2013-01-17 ウォーター ハーべスティング テクノロジーズ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活性炭およびゼオライトを用いた水ろ過システム
KR20130064202A (ko) 2011-12-08 2013-06-18 제천한약영농조합법인 오가피를 함유한 증류식 소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2142A (ko) * 1999-01-30 2000-08-16 임건우 희석식 소주의 제조 방법
KR100311093B1 (ko) 2000-04-06 2001-11-03 권상일 술지게미(酒粕) 증류식소주 제조방법
KR100400822B1 (ko) 2001-04-07 2003-10-08 선양주조(주) 소주의 제조방법
KR20060119695A (ko) 2003-08-29 2006-11-24 야마토이치 브루잉 컴파니 소주의 제조방법
KR20050106226A (ko) * 2004-05-04 2005-11-09 이시우 스코리아 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474113B1 (ko) 2004-10-11 2005-03-14 대한민국 분말감자를 이용한 감자 증류식소주 및 그 제조방법
KR100554198B1 (ko) 2005-07-29 2006-02-22 대한민국 콘그릿츠를 이용한 증류식소주의 제조방법
KR100925891B1 (ko) 2009-02-27 2009-11-10 대한민국 벼를 이용한 증류식 소주 제조방법
JP2013501603A (ja) * 2009-08-13 2013-01-17 ウォーター ハーべスティング テクノロジーズ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活性炭およびゼオライトを用いた水ろ過システム
KR101206187B1 (ko) * 2009-08-21 2012-11-28 오승환 마이크로나노 산소활성수의 특성을 가지는 황토지장수 제조방법과 원적외선의 특성을 활용한 주류의 제조방법
KR20130064202A (ko) 2011-12-08 2013-06-18 제천한약영농조합법인 오가피를 함유한 증류식 소주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04110A (zh) * 2017-05-02 2018-05-08 青岛创恩康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用远红外线辐射体制备保健益生酒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5403B1 (ko) 2017-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11057B (zh) 去污剂、碳/聚合物复合体、去污片构件以及过滤介质
EP2412432B1 (en) Nicotine Adsorbent, Quinoline Adsorbent, Benzopyrene Adsorbent, Toluidine Adsorbent, and Carcinogen Adsorbent
KR101695403B1 (ko) 화산 송이를 이용한 소주의 제조방법 및 그 소주
JP2010138061A (ja) 浄化、活性化、健康維持に用いられる陶磁器材料
TWI285677B (en) Process for producing fermented malt drink
CN106925240A (zh) 一种有机改性颗粒凹凸棒土吸附剂及其制备方法
CN101314473A (zh) 酒用竹活性炭
ZA200703197B (en) Purified beverage products and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Achaerandio et al. Continuous vinegar decolorization with exchange resins
RU2107679C1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смеси этилового спирта и воды
WO2010069097A1 (zh) 用于净化、活化水的陶瓷材料
JP2014212763A (ja) 脱酸原料加工技術を応用した新感覚リキュールの製造方法
Dulka et al. Innovative water preparation technology for production of kombucha fermented beverage
CN103540476B (zh) 利用蛹虫草冷渗法废弃滤液制造虫草保健酒的方法
JP2022513876A (ja) 健康機能に合わせた天然ミネラル活性化複合フィル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04215B1 (ko) 대나무 죽탄 패드 후탈취 및 여과 공정을 이용한 주류의제조방법
CN112423595A (zh) 颜色、气味和风味减弱的缓冲醋产品及其生产方法
KR101252350B1 (ko) 홍삼을 첨가한 일반 증류주의 제조 방법
CN101298590B (zh) 麦饭石灵芝菌养生食疗醋及其制备方法
KR101262171B1 (ko) 맥반석을 이용한 미네랄소주 제조방법
KR19990046755A (ko) 황토수를주조용수로이용한주류의제조방법
KR100274501B1 (ko) 황토를 이용한 주류의 제조방법
JPH01257457A (ja) ビートワインの製造法
KR20000052142A (ko) 희석식 소주의 제조 방법
KR20000036737A (ko) 원적외선 소재를 이용한 순한소주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397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713

Effective date: 201609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