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0580A - 모종 이식기 - Google Patents

모종 이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0580A
KR20150030580A KR20140021276A KR20140021276A KR20150030580A KR 20150030580 A KR20150030580 A KR 20150030580A KR 20140021276 A KR20140021276 A KR 20140021276A KR 20140021276 A KR20140021276 A KR 20140021276A KR 20150030580 A KR20150030580 A KR 20150030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case
shutter
shaft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21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7077B1 (ko
Inventor
세이시로오 가도와키
겐키치 노사카
마사토 스기오카
유우키 아베
다츠야 유리노
쇼오타 구리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89436A external-priority patent/JP607181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89435A external-priority patent/JP609662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89437A external-priority patent/JP597397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50030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2Hand tools for making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예비 모종대와 전후륜 지지용의 지지 부재를 상호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모종 이식구에 대한 모종 공급구의 위치를 간단 또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확대 구멍을 팔 때, 두렁의 흙으로부터 받는 저항을 작게 할 수 있어, 두렁으로부터 상방 이동할 때에 확대 구멍의 전방부측으로 압동한 흙이 남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동 기체(T)에 모종 이식 장치(U)와 모종 공급 장치(K)를 구비하고, 이동 기체(T)는 미션 케이스(M)의 전방부에 엔진(E) 및 가대(7)를 설치하고, 미션 케이스(M)로부터 후방으로 메인 프레임(8)을 연장 설치하고, 이 메인 프레임(8)에 조종 핸들(H)을 연결하고 있다. 가대(7)에 피봇 지지된 좌우 한 쌍의 전방 각축(68)에 연결한 전륜 지지 아암(67)을 개재하여 전륜(40A)을 현가하고, 미션 케이스(M)에 설치한 좌우 한 쌍의 차축 케이스(59)에 피봇 지지된 후륜 전동 케이스(62)를 개재하여 후륜(41A)을 현가하고 있다. 좌우 각각의 전방 각축(68)과 차축 케이스(59)에 전후 지지체(72)의 전후방부를 상대 회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고, 이 전후 지지체(72)와 메인 프레임(8)에 걸쳐서 지지 부재(123)의 전후 다리부(123F, 123R)를 연결하고, 좌우의 지지 부재(123)에 모종(N)을 적재하는 예비 모종대(Y)를 장착하고 있다. 또한, 두렁(R)을 넘어서 이동 가능한 이동 기체(T)와, 이 이동 기체(T)에 설치되어 있어서 이식 구동축(30)의 회동에 의해 주기적으로 상하 이동하여 두렁(R)에 돌입하여 모종 이식용 구멍(W1)을 형성하면서 모종(N)을 이식하는 모종 이식구(U1)를 갖는 모종 이식 장치(U)와, 이 모종 이식 장치(U)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어서 상승 위치의 모종 이식구(U1)에 모종(N)을 공급하는 모종 공급 장치(K)를 구비한다. 모종 공급 장치(K)는, 종축(10)의 상부에 설치한 장착체(20)와, 이 장착체(20)에 적재된 턴테이블(S)과, 이 턴테이블(S)의 주위부에 다수 배치되어 있어서 모종(N)을 수납하고 또한 낙하 가능한 모종 공급구(K1)와, 모종 이식구(U1)의 상하 이동에 동기하여 종축(10)을 구동하는 공급 구동 기구(K2)를 구비하고 있고, 장착체(20)와 턴테이블(S)의 사이에 턴테이블(S)의 회전 방향의 위상을 조정하는 위상 조정 수단(21)을 설치한다. 또한, 이동 기체(T)에 모종 이식구(U1)를 갖는 모종 이식 장치(U)와, 모종 이식구(U1)에 모종(N)을 공급하는 모종 공급 장치(K)와, 두렁(R)에 확대 구멍(W2)을 형성하는 확대 굴착 기구(130)를 구비하고 있다. 확대 굴착 기구(130)는, 그 전방부가 이동 기체(T)에 피봇 지지되고 또한 모종 이식구(U1)의 상하 이동과 연동하여 상하 이동하는 지지 로드(132)와, 이 지지 로드(132)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있어서 지지 로드(132)의 하방 이동에서 두렁(R)에 돌입하여 모종 이식용 구멍(W1)의 형성 예정 위치의 후방부터 전방까지 확대 구멍(W2)을 형성하는 괭이 부재(131)를 갖는다. 괭이 부재(131)는, 두렁(R)에 돌입하여 두렁의 흙을 중앙측으로부터 좌우로 압동하는 좌우 날개부(131L, 131R)와, 이 좌우 날개부(131L, 131R)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어서 두렁의 흙을 퍼올리는 퍼내기부(131S)를 갖는다.

Description

모종 이식기{SEEDLING TRANSPLANTER}
본 발명은 담배 모종, 양상추 모종 등의 모종을 이식하는 모종 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모종 이식기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두렁을 넘어서 이동 가능한 이동 기체와, 이 이동 기체에 설치되어 있어서 이식 구동축의 회동에 의해 주기적으로 상하 이동하여 두렁에 돌입하여 모종 이식용 구멍을 형성하면서 모종을 이식하는 모종 이식구를 갖는 모종 이식 장치와, 이 모종 이식 장치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어서 상승 위치의 모종 이식구에 모종을 공급하는 모종 공급 장치와, 보닛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어서 이식하는 모종을 적재하는 예비 모종 적재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예비 모종 적재대는, 이동 기체에 고정된 1개의 예비 모종 지지 보강판과, 좌우 방향으로 긴 예비 모종 지주 지지 프레임을 개재하여 세워 설치된 2개의 예비 모종대 지주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모종 이식기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두렁을 넘어서 이동 가능한 이동 기체와, 이 이동 기체에 설치되어 있어서 이식 구동축의 회동에 의해 주기적으로 상하 이동하여 두렁에 돌입하여 모종 이식용 구멍을 형성하면서 모종을 이식하는 모종 이식구를 갖는 모종 이식 장치와, 이 모종 이식 장치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어서 상승 위치의 모종 이식구에 모종을 공급하는 모종 공급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모종 공급 장치는, 상단부와 하단부에 개구를 갖는 공급 컵을 8개 관통시켜서 루프 형상으로 고정 배치한 회전 가능한 공급 회전대와, 거의 C자형의 공급 컵 개폐 가이드와, 공급 회전대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 기구 등을 구비하고, 공급 회전대의 중앙부에는, 회전 구동 기구로부터의 회전력에 의해 공급 회전대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회전축이 고정 배치되어 있고, 이 회전축은, 회전력 전달 부재로부터 한 쌍의 베벨 기어 및 한 쌍의 슈퍼 기어를 개재하여 구동되고 있다.
모종 이식기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두렁을 넘어서 이동 가능한 이동 기체와, 이 이동 기체에 설치되어 있어서 이식 구동축의 회동에 의해 주기적으로 상하 이동하여 두렁에 돌입하여 모종 이식용 구멍을 형성하면서 모종을 이식하는 모종 이식구를 갖는 모종 이식 장치와, 이 모종 이식 장치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어서 상승 위치의 모종 이식구에 모종을 공급하는 모종 공급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모종 이식 장치의 모종 이식구의 전방에 위치하여 두렁에 확대 구멍을 형성하는 확대 굴착 기구를 설치하고 있고, 이 확대 굴착 기구는, 지지 아암의 하부에 구멍 형성판을 피봇 지지하고, 지지 아암을 상하 이동하는 모종 이식구로 압입하여 구멍 형성판을 두렁에 돌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구멍 형성판을 상하 이동하는 기구는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지만, 모종 이식용 구멍의 형성 예정 위치에 대하여 적정 형상의 확대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져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모종 이식기에 있어서는, 모종 공급 장치와 모종 이식 장치를 구비한 모종 이식기에, 이식 기구보다 전방에 두렁 상면에 적시에 전후 간격으로 오목부를 형성하기 위한 배토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모종 이식 장치에는, 모종 공급 장치로부터 포트 모종을 상승 위치의 이식용 컵에 계승시키기 위한 모종 취출 갈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계승 기구를 구비하고, 이식용 컵이 상승 위치에 있을 때, 배토 장치는 그 배토체가 두렁 상면보다 하방에 일정 구간 유지되고, 이식용 컵이 하강할 때, 배토체가 두렁 상면보다 상방 위치에 유지되도록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토 장치는, 캠판으로 회동 레버 및 턴 버클을 개재하여 회동편을 회동시키고, 비틀림 용수철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배토체를 두렁의 상면보다 하방으로 밀어 내리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밀어 내림의 타이밍은, 이식용 컵이 상승 위치에서 일정 시간 정지하고 있는 동안에 실행되고, 배토체가 묘의 상면보다 하방의 레벨에서 일정 구간 유지된다. 그리고, 이식용 컵이 하강할 때, 종동 롤러가 캠판이 없는 위상에 위치하여 비틀림 용수철의 가압력으로 배토체가 두렁의 상면보다 상방 위치에 유지되도록 연동한다.
이 특허문헌 2에 있어서는, 배토체를 두렁의 상면보다 하방으로 밀어 내리는 타이밍을, 이식용 컵이 상승 위치에서 일정 시간 정지하고 있는 동안에 실행되므로, 이식용 컵을 하강시켜서 이식하는 동작과 시간적으로 어긋나 있어서, 주간 거리를 길게 하거나, 모종 이식기의 주행 속도를 느리게 하거나 할 필요가 있어, 굴착 이식 작업의 효율을 높이는 것이 곤란해져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2131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75513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이동 기체를 구성하는 전륜 및 후륜의 현가를 보강하는 지지 구조는 존재하지 않고, 예비 모종 적재대는 이식하는 모종을 적재하는 기능을 성공할 수 있지만, 예비 모종 적재대를 지지하는 기구는 이동 기체에 지지되어 있는 것만으로 다른 구조물을 보강하기에는 곤란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모종 이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예비 모종대와 전후륜 지지용의 지지 부재를 상호 보강할 수 있도록 한 모종 이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공급 회전대(턴테이블)가 회전축(종축)에 고정 배치되어 있으므로, 모종 이식구에 대하여 공급 회전대 상의 공급 컵(모종 공급구)이 적정 위치로 이동해 오도록 하기 위해서는, 한 쌍의 베벨 기어 또는 슈퍼 기어의 맞물림 위치를 조정하거나, 회전력 전달 부재의 회전 위상을 조정하거나 해야되므로 공급 컵의 위상 조정이 곤란 또한 번거로워져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모종 이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종 이식구에 대한 모종 공급구의 위치를 간단 또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모종 이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특허문헌 1, 2에 있어서는, 구멍 형성판 및 배토체는 평판 형상이므로, 두렁의 흙으로부터 받는 저항이 커서 구멍 형성판을 대면적으로 하는 것, 즉, 두렁에 의해 큰 확대 구멍을 형성하기가 곤란하며, 두렁으로부터 상방 이동할 때, 확대 구멍의 전방부측으로 압동한 흙이 남는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모종 이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확대 구멍을 팔 때, 두렁의 흙으로부터 받는 저항을 작게 할 수 있어, 두렁으로부터 상방 이동할 때에 확대 구멍의 전방부측으로 압동한 흙이 남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모종 이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 수단은 다음과 같다.
첫번째, 두렁(R)을 넘어서 이동 가능한 이동 기체(T)와, 이 이동 기체(T)에 설치되어 있어서 주기적으로 상하 이동하여 두렁(R)에 돌입하여 모종 이식용 구멍(W1)을 형성하면서 모종(N)을 이식하는 모종 이식구(U1)를 갖는 모종 이식 장치(U)와, 이 모종 이식 장치(U)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어서 상승 위치의 모종 이식구(U1)에 모종(N)을 공급하는 모종 공급 장치(K)를 구비하고 있고,
이동 기체(T)는, 미션 케이스(M)의 전방부에 엔진(E) 및 가대(7)를 설치하여 미션 케이스(M)로부터 후방으로 메인 프레임(8)을 연장 설치하고, 이 메인 프레임(8)에 조종 핸들(H)을 연결하고 있고,
상기 가대(7)에 피봇 지지된 좌우 한 쌍의 전방 각축(68)에 연결한 전륜 지지 아암(67)을 개재하여 전륜(40A)을 현가하고, 미션 케이스(M)에 설치한 좌우 한 쌍의 차축 케이스(59)에 피봇 지지된 후륜 전동 케이스(62)를 개재하여 후륜(41A)을 현가하고 있고,
상기 좌우 각각의 전방 각축(68)과 차축 케이스(59)에 전후 지지체(72)의 전후방부를 상대 회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고, 이 전후 지지체(72)와 메인 프레임(8)에 걸쳐서 지지 부재(123)의 전후 다리부(123F, 123R)를 연결하고, 좌우의 지지 부재(123)에 모종(N)을 적재하는 예비 모종대(Y)를 장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두번째, 상기 예비 모종대(Y)는, 좌우 지지 부재(123)를 연결하는 다이 프레임(Y1)과 저판(Y2)을 갖고, 이 저판(Y2)에 다수의 배수용의 구멍(Ya)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번째, 상기 예비 모종대(Y)는, 엔진(E)을 덮는 보닛(B)의 상방에서 이동 기체(T)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또한 후방부로부터 전방부에 상향 경사 자세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네번째, 상기 좌우 각 후륜 전동 케이스(62)는, 차축 케이스(59)에 연결되고 또한 선단축(58)을 지지하는 기초부 케이스(62A)와, 후륜(41A)의 차륜축(63)을 지지하는 선단 케이스(62B)와, 상기 기초부 케이스(62A)와 선단 케이스(62B)를 연결하고 또한 선단축(58)으로부터 차륜축(63)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수단(64)을 수납하는 중간 케이스(62C)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섯번째, 상기 예비 모종대(Y)보다 후방 위치의 모종 이식구(U1)에, 상승 시에 흙 낙하용 진동을 부여가능한 가진 수단(148)을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섯번째, 상기 가대(7)의 전방부에 범퍼(47)를 설치하고 있고, 이 범퍼(47)에 로프 걸이용의 로프 후크(47A)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곱번째, 상기 미션 케이스(M) 내에 이동 기체(T)의 전진 및 후진 및 모종 이식 장치(U)의 작동을 전환 가능하게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53)를 갖고, 이 동력 전달 기구(53)의 전환 조작을 조작 연동 부재(116)를 개재하여 행하는 이식 클러치 레버(115)의 하부를 메인 프레임(8)의 후방부에서 지지하고, 이 이식 클러치 레버(115)의 하부와 메인 프레임(8)의 사이에 이식 클러치 레버(115)의 회동 각도를 설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121)을 설치하고 있고, 이 위치 결정 수단(121)의 거의 바로 위에 조작 패널(122)을 배치하고, 이 조작 패널(122)을 조종 핸들(H)에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덟번째, 두렁(R)을 넘어서 이동 가능한 이동 기체(T)와, 이 이동 기체(T)에 설치되어 있어서 이식 구동축(30)의 회동에 의해 주기적으로 상하 이동하여 두렁(R)에 돌입하여 모종 이식용 구멍(W1)을 형성하면서 모종(N)을 이식하는 모종 이식구(U1)를 갖는 모종 이식 장치(U)와, 이 모종 이식 장치(U)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어서 상승 위치의 모종 이식구(U1)에 모종(N)을 공급하는 모종 공급 장치(K)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모종 공급 장치(K)는, 종축(10)의 상부에 설치한 장착체(20)와, 이 장착체(20)에 적재된 턴테이블(S)과, 이 턴테이블(S)의 주위부에 다수 배치되어 있어서 모종(N)을 수납하고 또한 낙하 가능한 모종 공급구(K1)와, 모종 이식구(U1)의 상하 이동에 동기하여 종축(10)을 구동하는 공급 구동 기구(K2)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장착체(20)와 턴테이블(S)의 사이에 턴테이블(S)의 회전 방향의 위상을 조정하는 위상 조정 수단(21)을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홉번째, 상기 위상 조정 수단(21)은, 턴테이블(S)에 종축(10)을 곡률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주방향 복수의 원호 구멍(21A)과, 이 각 원호 구멍(21A)을 관통하여 장착체(20)에 나사 결합하는 체결구(21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번째, 상기 공급 구동 기구(K2)는, 종축(10)에 설치한 웜 휠(22)과, 이 웜 휠(22)과 맞물림하는 웜 기어(23)와, 이 웜 기어(23)를 설치한 횡축(14)과, 이 횡축(14)을 이식 구동축(30)로부터의 동력으로 회동하는 공급 연동 수단(13)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한번째, 상기 모종 공급구(K1)는, 모종(N)을 수납하는 공급 컵(34)과, 이 공급 컵(34)의 바닥에서 모종(N)을 담당하는 개폐 가능한 셔터(35)와, 이 셔터(35)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모종 공급 위치(P)부터 한바퀴 회전하여 다음에 모종 공급 위치(P)에 올 때까지 셔터(35)를 개방 자세로부터 폐쇄하고 또한 모종 공급 위치(P)에서 폐쇄를 해제하는 셔터 폐쇄 부재(36)를 갖고 있으며,
상기 셔터 폐쇄 부재(36)는, 종축(10)과 거의 동심의 원호 형상이고 또한 셔터(35)를 모종 공급 위치(P) 전방부터 모종 공급 위치(P) 직전까지 폐쇄 자세로 하는 중도 폐쇄부(36b)와, 모종 공급 위치(P) 전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경사져서 중도 폐쇄부(36b)에 연결되고 또한 셔터(35)를 개방 자세로부터 폐쇄하는 시단부 폐쇄부(36c)와, 이 시단부 폐쇄부(36c)에 연결되어 있어서 모종 공급 위치(P)에서 개방 자세의 셔터(35)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개방부(36a)와, 이 개방부(36a)와 중도 폐쇄부(36b)를 연결하는 이음부(36d)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두번째, 상기 모종 공급구(K1)는, 셔터(35)를 개방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3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세번째, 상기 모종 공급구(K1)의 공급 컵(34)은, 턴테이블(S)에 설치된 공급 외부 컵(34a)과, 이 공급 외부 컵(34a)보다 내경이 작아서 공급 외부 컵(34a)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는 공급 내부 컵(34b)을 갖고 있으며,
상기 공급 내부 컵(34b)의 상하 중도부의 외주면에 공급 외부 컵(34a)의 상부 테두리에 외부 끼움하는 끼워맞춤부(34c)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네번째, 두렁(R)을 넘어서 이동 가능한 이동 기체(T)와, 이 이동 기체(T)에 설치되어 있어서 이식 구동축(30)의 회동에 의해 주기적으로 상하 이동하여 두렁(R)에 돌입하여 모종 이식용 구멍(W1)을 형성하면서 모종(N)을 이식하는 모종 이식구(U1)를 갖는 모종 이식 장치(U)와, 이 모종 이식 장치(U)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어서 상승 위치의 모종 이식구(U1)에 모종(N)을 공급하는 모종 공급 장치(K)와, 상기 모종 이식 장치(U)의 모종 이식구(U1)의 전방에 위치하여 두렁(R)에 확대 구멍(W2)을 형성하는 확대 굴착 기구(130)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확대 굴착 기구(130)는, 그 전방부가 이동 기체(T)에 피봇 지지되고 또한 모종 이식구(U1)의 상하 이동과 연동하여 상하 이동하는 지지 로드(132)와, 이 지지 로드(132)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있어서 지지 로드(132)의 하방 이동으로 두렁(R)에 돌입하여 모종 이식용 구멍(W1)의 형성 예정 위치의 후방부터 전방까지 확대 구멍(W2)을 형성하는 괭이 부재(131)를 갖고 있으며,
상기 괭이 부재(131)는, 두렁(R)에 돌입하여 두렁의 흙을 중앙측으로부터 좌우로 압동하는 좌우 날개부(131L, 131R)와, 이 좌우 날개부(131L, 131R)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어서 두렁의 흙을 퍼올리는 퍼내기부(131S)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다섯번째, 상기 괭이 부재(131)는, 좌우 날개부(131L, 131R)의 중앙부를 지지 로드(132)의 후단부에 설치한 설치체(132C)에 높이 조정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고, 좌우 양단으로부터 중앙부에 걸쳐서 상하 폭이 점차 넓게 형성되고, 또한 퍼내기부(131S)의 하부 테두리가 정면에서 볼 때 사발의 바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여섯번째, 상기 괭이 부재(131)는, 좌우 양단으로부터 중앙부에 걸쳐서 상하 폭이 점차 넓게 형성되고, 좌우 날개부(131L, 131R)가 좌우 양단보다 중앙부가 선행이 되는 좌우 경사면을 형성하고, 떠내기부(131S)가 좌우 날개부(131L, 131R)의 하부 테두리로부터 전방 하향으로 돌출되어 전방 상향의 경사면을 형성하고, 또한 퍼내기부(131S)의 하부 테두리가 정면에서 볼 때 사발의 바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일곱번째, 상기 괭이 부재(131)는, 상승 대기 자세 시에 좌우 날개부(131L, 131R)의 후방부가 모종 이식 동작 개시 시의 모종 이식구(U1)와 전후 방향에서 오버랩 되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여덟번째, 상기 확대 굴착 기구(130)는, 상기 지지 로드(132)가 전후 방향에 길게 배치되고, 이 지지 로드(132)의 전후 방향 중도부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133)와, 지지 로드(132)의 전후 방향 중도부에 연동 연결되고 또한 이식 구동축(30)의 회동에 의해 하방 이동하여 지지 로드(132)를 하강시키는 작동 부재(13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비 모종대와 전후륜 지지용의 지지 부재를 상호 보강할 수 있다.
즉,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전륜(40A)을 현가하는 전방 각축(68)과, 후륜(41A)을 현가하는 차축 케이스(59)에 전후 지지체(72)의 전후방부를 상대 회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고, 이 전후 지지체(72)와 메인 프레임(8)에 걸쳐서 지지 부재(123)의 전후 다리부(123F, 123R)를 연결하고, 좌우의 지지 부재(123)에 모종(N)을 적재하는 예비 모종대(Y)를 장착하고 있으므로, 전후륜(40A, 41A)을 지지 보강하는 지지 부재(123)를 메인 프레임(8)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좌우 한 쌍의 지지 부재(123)에 모종(N)을 적재하는 예비 모종대(Y)를 장착하고 있으므로, 예비 모종대(Y)와 좌우 지지 부재(123)를 상호 보강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예비 모종대(Y)는 저판(Y2)에 다수의 배수용의 구멍(Ya)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모종(N)으로부터 떨어지는 물을 정상적으로 배제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예비 모종대(Y)는 이동 기체(T)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고 또한 후방부로부터 전방부에 상향 경사 자세가 되어 있으므로, 반주 작업자가 예비 모종대(Y)로부터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은, 후륜 전동 케이스(62)는 기초부 케이스(62A)와 선단 케이스(62B)와 중간 케이스(62C)의 3부품으로 이루어지고, 중간 케이스(62C)는 길이가 상이한 것으로도 기초부 케이스(62A) 및 선단 케이스(62B)와 연결할 수 있어, 다리 길이가 상이한 후륜 전동 케이스(62)를 구성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은, 모종 이식구(U1)에 가진 수단(148)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모종 이식구(U1)에 진동을 부여하여 부착되어 있는 흙을 낙하시킬 수 있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은, 가대(7)의 전방부에 설치한 범퍼(47)에 로프 걸이용의 로프 후크(47A)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차량 탑재 운반 시에 로프를 걸어서 고정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은, 미션 케이스(M) 내의 동력 전달 기구(53)를 전환 조작하는 이식 클러치 레버(115)를 메인 프레임(8)의 후방부에서 지지하고, 이 이식 클러치 레버(115)의 하부와 메인 프레임(8)의 사이에 이식 클러치 레버(115)의 회동 각도를 설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121)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이식 클러치 레버(115)의 전환 조작을 정확하게 할 수 있고, 이 위치 결정 수단(121)의 거의 바로 위에 조종 핸들(H)에 설치된 조작 패널(122)을 배치하고 있으므로, 이식 클러치 레버(115)가 거의 수직 자세가 되어 회동 조작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축에 고정의 장착체에 대하여 턴테이블의 회전 방향의 위상을 조정함으로써, 모종 이식구에 대한 모종 공급구의 위치를 간단 또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즉,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은, 종축(10)의 상부에 설치한 장착체(20)와, 이 장착체(20)에 적재된 턴테이블(S)의 사이에 위상 조정 수단(21)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위상 조정 수단(21)을 개재하여 턴테이블(S)의 회전 방향의 위상을 조정할 수 있고, 모종 이식구(U1)에 대한 턴테이블(S) 상의 모종 공급구(K1)의 위치를 간단 또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은, 위상 조정 수단(21)은, 턴테이블(S)의 주방향 복수의 원호 구멍(21A)과 장착체(20)에 나사 결합하는 체결구(21B)를 가지므로, 모종 공급구(K1)의 위치를 조정하는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관한 발명은, 공급 구동 기구(K2)는, 종축(10)에 설치한 웜 휠(22)과, 이식 구동축(30)으로부터의 동력으로 회동하는 횡축(14)에 설치한 웜 기어(23)를 가지므로, 턴테이블(S)를 소수의 기어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관한 발명은, 공급 컵(34)의 바닥에서 모종(N)을 담당하는 개폐 가능한 셔터(35)를 개방 자세로부터 폐쇄하고 또한 모종 공급 위치(P)에서 폐쇄를 해제하는 셔터 폐쇄 부재(36)는, 중도 폐쇄부(36b), 시단부 폐쇄부(36c) 및 개방부(36a) 이외에, 상기 시단부 폐쇄부(36c)와 개방부(36a)를 연결하는 이음부(36d)를 가지므로, 셔터 폐쇄 부재(36)는 양단이 자유단부의 경우보다도 보형성 및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12에 관한 발명은, 모종 공급구(K1)는 셔터(35)를 개방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37)을 가지므로, 셔터(35)의 개방을 신속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13에 관한 발명은, 공급 컵(34)의 공급 내부 컵(34b)은, 상하 중도부의 외주면에 공급 외부 컵(34a)의 상부 테두리에 외부 끼움하는 끼워맞춤부(34c)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공급 외부 컵(34a)에 대한 장착을 적정 자세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확대 구멍을 팔 때, 두렁의 흙으로부터 받는 저항을 작게 할 수 있어, 두렁으로부터 상방 이동할 때, 확대 구멍의 전방부측으로 압동한 흙이 남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청구항 14에 관한 발명은, 모종 이식구(U1)의 전방에, 모종 이식구(U1)의 상하 이동과 연동하여 상하 이동함으로써 모종 이식용 구멍(W1)의 형성 예정 위치의 후방부터 전방까지 확대 구멍(W2)을 형성하는 괭이 부재(131)를 갖고 있으므로, 모종 이식식(U1)에 의한 모종 이식 동작과 연동하여 모종 이식용 구멍(W1)의 형성 예정 위치에서 바닥이 되는 사발 형상의 확대 구멍(W2)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게다가 괭이 부재(131)는, 두렁(R)에 돌입하여 두렁의 흙을 중앙측으로부터 좌우로 압동하는 좌우 날개부(131L, 131R)와, 이 좌우 날개부(131L, 131R)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어서 두렁의 흙을 퍼올리는 퍼내기부(131S)를 갖고 있으므로, 확대 구멍을 팔 때, 괭이 부재(131)는 두렁의 흙으로부터 받는 저항이 작아져서 대면적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괭이 부재(131)는 두렁으로부터 상방 이동할 때에 확대 구멍(W2)의 전방부측에서는 압동한 흙은 적어지고, 또한 퍼내기부(131S)에서 퍼올리므로 흙이 남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청구항 15에 관한 발명은, 괭이 부재(131)는, 좌우 날개부(131L, 131R)의 중앙부를 지지 로드(132)의 후단부에 설치한 설치체(132C)에 높이 조정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으므로, 두렁(R)에 대한 모종(N)의 이식 깊이에 따라서 확대 구멍(W2)의 깊이를 변경할 수 있다.
청구항 16에 관한 발명은, 괭이 부재(131)는, 좌우 양단으로부터 중앙부에 걸쳐서 상하 폭이 점차 넓게 형성되고, 또한 퍼내기부(131S)의 하부 테두리가 정면에서 볼 때 사발의 바닥 형상이므로, 확대 구멍(W2)을 정면에서 볼 때에도 측면에서 볼 때에도 사발의 바닥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17에 관한 발명은, 좌우 날개부(131L, 131R)가 두렁의 흙을 중앙측으로부터 좌우로 압동하는 형상이어도, 모종 이식구(U1)와 전후 방향에서 오버랩 되는 근접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확대 구멍(W2)을 모종 이식용 구멍(W1)에 대하여 적정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18에 관한 발명은, 괭이 부재(131)를 가급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어, 모종 이식구(U1)의 이식 동작과 연동하여 확대 구멍(W2)을 형성하는 기구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모종 이식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동일 전체 측면도이다.
도 3은 동일 전체 평면도이다.
도 4는 이동 기체의 배면도이다.
도 5는 이동 기체의 전방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이동 기체의 전방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모종 이식 장치 및 모종 공급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모종 이식 장치 및 모종 공급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모종 공급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모종 공급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모종 이식 장치의 주요부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모종 이식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확대 굴착 기구 및 이식 깊이 조정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확대 굴착 기구 및 이식 깊이 조정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확대 굴착 기구 및 이식 깊이 조정 기구의 배면도이다.
도 16은 확대 굴착 기구의 주요부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확대 굴착 기구의 굴착 동작 후반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확대 굴착 기구의 굴착 동작 개시 직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확대 굴착 기구의 굴착 동작 도중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굴착 동작중인 모종 이식 동작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1은 전후 스탠드 및 예비 모종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2는 이동 기체의 전방부 및 예비 모종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전방 스탠드 및 범퍼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4에 있어서, 두렁(R)을 넘어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담배, 야채 등의 셀 성형 모종, 소일 블록 모종, 포트 모종 등으로 칭해지는 모종(N)을 소정 간격을 두고 이식해 가는 보행형의 모종 이식기(1)를 예시하고 있다.
이 모종 이식기(1)는 크게 구별하여 주행 가능한 이동 기체(T)와, 이 이동 기체(T)의 후방부에 설치된 모종 이식 장치(U)와, 이 모종 이식 장치(U)의 후방 상방에 설치되어 있어서 모종 이식 장치(U)에 모종(N)을 공급하는 모종 공급 장치(K)와, 두렁(R)에 확대 구멍(W2)을 형성하는 확대 굴착 기구(130)와, 이동 기체(T)의 전방 상부에 좌우에 걸쳐서 배치된 예비 모종대(Y)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 기체(T)는, 미션 케이스(M)로부터 전방으로 가대(7)가 돌출되어 그 상부에 엔진(구동원)(E)을 탑재하고, 미션 케이스(M)의 후방부에 메인 프레임(8)을 설치하고, 이들에 의해 기 본체(T1)를 구성하고, 기 본체(T1)의 후방부, 즉 메인 프레임(8)의 후단부에 조종 핸들(H)을 연결하고 있고, 미션 케이스(M) 및 가대(7)에 의해 전륜(40A)을 갖는 전방 주행 장치(40)와 후륜(41A)을 갖는 후방 주행 장치(41)를 현가하고 있다.
전방 주행 장치(40)는 크롤러식이어도 되지만, 밭고랑 홈을 구름 이동하는 좌우 한 쌍의 타이어륜의 전륜(40A)을 갖고, 이동 기체(T)에 대하여 좌우 위치 조정 가능하다. 후방 주행 장치(41)는 크롤러식이어도 되지만, 밭고랑 홈을 구름 이동하는 좌우 한 쌍의 타이어륜의 후륜(41A)을 갖고, 이동 기체(T)에 대하여 좌우 위치 조정 가능하다.
도 1 내지 8, 21, 22에 있어서, 미션 케이스(M)는 엔진(E)으로부터의 동력을 벨트 전동 수단(52)을 개재하여 입력되고, 그 동력을 클러치 및 변속 기구 등을 갖는 동력 전달 기구(53)를 개재하여 변속하고, 주행 출력축(54)으로부터 주행 동력을 출력함과 함께, 이식 출력축(55)으로부터 작업 동력을 출력하고 있다. 동력 전달 기구(53)는 이동 기체(T)의 전진 및 후진 및 모종 이식 장치(U)의 작동을 전환 가능하게 하고 있다.
주행 출력축(54)은 미션 케이스(M)를 관통하여 좌우로 돌출되어 있고, 좌우 양단에는 신축 전동축(57)이 연결되고, 신축 전동축(57)의 선단에 선단축(58)이 직결되고, 이 신축 전동축(57) 및 선단축(58)은 차축 케이스(59) 내에 삽입 관통되어 관통 지지되어 있다.
차축 케이스(59)는 미션 케이스(M)의 측면에 고정된 설치 부재(61)와, 이 설치 부재(61)에 지지된 외통 케이스(59A)와, 이 외통 케이스(59A)에 삽입된 내통 케이스(59B)를 갖는다.
도 3 내지 6, 22에 있어서, 설치 부재(61)는, 내부에 주행 출력축(54)이 삽입 관통되고, 외부에 외통 케이스(59A)가 주행 출력축(54)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외통 케이스(59A)에는 후방 연동 아암(66)이 설치되어 있다. 내통 케이스(59B)는 각통 형상이며, 외통 케이스(59A)에 대하여 일체 회동 가능하게 또는 좌우 방향 위치 조정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 내통 케이스(59B)의 좌우 방향 외측 단부에는 후륜 전동 케이스(62)의 상부가 연결되고, 이 후륜 전동 케이스(62)의 상부에는 상기 선단축(58)이 지지되고, 하부에는 후륜(41A)을 지지한 차륜축(63)이 지지되고, 선단축(58)과 차륜축(63)의 사이에 체인 전동 수단(6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행 출력축(54)으로부터의 동력은, 신축 전동축(57), 선단축(58), 체인 전동 수단(64) 및 차륜축(63)을 개재하여 후륜(41A)에 전달된다. 또한, 차륜축(63)에 대하여 후륜(41A)은 좌우 방향 위치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좌우 각 후륜 전동 케이스(62)는 주조제이며, 차축 케이스(59)에 연결되어 또한 선단축(58)을 지지하는 기초부 케이스(62A)와, 후륜(41A)의 차륜축(63)을 지지하는 선단 케이스(62B)와, 상기 기초부 케이스(62A)와 선단 케이스(62B)를 연결하고 또한 선단축(58)으로부터 차륜축(63)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수단(64)을 수납하는 중간 케이스(62C)를 갖고 있다.
이동 기체(T)는 전방 주행 장치(40)와 후방 주행 장치(41)의 다리 길이가 상이한 기종을 제작하는 경우가 있고, 그 경우, 후방 주행 장치(41)의 후륜 전동 케이스(62)는 길이가 상이한 중간 케이스(62C)를 다른 것과 공통인 기초부 케이스(62A)와 선단 케이스(62B)의 사이에 연결하면 된다. 전방 주행 장치(40)의 다리 길이 변경에는 전륜 지지 아암(67)의 길이가 상이한 것을 준비한다.
도 1 내지 3, 5, 6, 21 내지 23)에 있어서, 상기 좌우 전륜(40A)은 각각 전륜 지지 아암(67)의 하부에 전방축(67a)을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또한 좌우 위치 조정 가능하게 지지되고, 전륜 지지 아암(67)의 상부에는 각통부(67b)가 설치되고, 전방 각축(68)의 각축 부분에 좌우 방향 위치 변경 가능 또한 일체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좌우 각 전방 각축(68)의 좌우 방향 내측 단부측은, 가대(7)의 전방부에 설치한 전방 지지 브래킷(69)에 전방 횡축(69a)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전방 각축(68)의 각축 부분에는 전방 연동 아암(70)이 일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전방 연동 아암(70)의 선단에 연동부(71)가 연결되어 있다.
연동부(71)의 후단부는 외통 케이스(59A)의 후방 연동 아암(66)과 연결되어 있고, 외통 케이스(59A)의 회동이 전방 각축(68)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고, 이들의 회동에 의해, 외통 케이스(59A)를 중심으로 하는 후륜 전동 케이스(62)의 각도와 전방 각축(68)을 중심으로 하는 전륜 지지 아암(67)의 각도가 동시에 동일 각도 변경되어 이동 기체(T)가 수평 자세에서 승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좌우 각 전방 각축(68)과 좌우 각 외통 케이스(59A)에는, 전후 지지체(72)의 전후방부가 상대 회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고, 이 좌우 전후 지지체(72)의 후단부는, 미션 케이스(M)의 저면에 고정의 파이프제의 지지 부재(73)와 연결되어 있고, 이들 전후 지지체(72) 및 지지 부재(73)에 의해, 전방 각축(68)과 외통 케이스(59A)는 이동 기체(T)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외측 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2, 5, 23에 있어서, 상기 가대(7)의 전방부에는, 전방 각축(68) 및 전방 연동 아암(70)보다도 전방으로 돌출된 범퍼(47)를 설치하고 있고, 이 범퍼(47)의 전방 상부에는, 모종 이식기(1)를 트랙에 탑재하여 운반할 때, 로프를 걸어서 고정하기 위한 전방 로프 후크(47A)를 설치하고 있다. 후방 로프 후크(48)는 도 2,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종 핸들(H)에 설치되어 있다.
도 2 내지 6에 있어서, 이동 기체(T)의 가대(7)와 후륜 전동 케이스(62)의 사이에는 승강 기구(4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대(7)에는, 이동 기체(T) 승강용의 승강 실린더(75)와, 이 승강 실린더(75)에 의해 전후로 압인 이동되는 축 서포트(76)가 설치되고, 이 축 서포트(76)에 롤링 축(77)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롤링 축(77)에는 승강 레버(77a, 77b)와 롤링 아암(77c)이 고정되어 있다. 승강 레버(77a, 77b)는 롤링 축(77)의 좌우 양단에 직경 방향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고, 외통 케이스(59A)에 설치한 연동 부재(78)와 연동 링크(79)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고, 롤링 아암(77c)의 선단에는 축 서포트(76)에 지지된 롤링 실린더(74)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롤링 실린더(74)의 신축 작동으로, 롤링 아암(77c)을 개재하여 롤링 축(77)을 회동하여 승강 레버(77a, 77b)를 반대 방향으로 요동하고, 연동 부재(78) 및 연동 링크(79)를 개재하여 좌우 외통 케이스(59A)를 역방향으로 회동하여 이동 기체(T)의 좌우 한쪽을 상승하고 또한 다른 쪽을 하강시켜서 좌우 틸팅시킨다. 이들에 의해 승강 기구(42)의 롤링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 실린더(75)의 신축 작동으로, 축 서포트(76), 롤링 축(77) 및 승강 레버(77a, 77b)는 일체적으로 전후 이동하고, 연동 부재(78)와 연동 링크(79)를 개재하여 좌우 외통 케이스(59A)를 동일 방향으로 회동하여 이동 기체(T)를 승강시킨다. 이들에 의해 승강 기구(42)의 승강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 기구(42)는, 롤링 아암(77c) 및 롤링 실린더(74) 등의 롤링 수단을 생략하고 승강 실린더(75)로 이동 기체(T)에 승강 동작을 행하게 하는 승강 수단만으로 구성해도 된다.
도 7, 8, 11, 12, 21에 있어서, 미션 케이스(M)의 후방부에는 메인 프레임(8)이 설치되고, 이 메인 프레임(8)의 하측에 이식 프레임(82)이 장착되고, 이 이식 프레임(82)의 좌우 일측(좌측)에 작업 전동 케이스(83)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이식 프레임(82)은, 미션 케이스(M)의 후방부 및 메인 프레임(8)의 전방부에 고정의 좌우 판재(82A)와, 이 좌우 판재(82A)의 후방부에 연결된 평면에서 볼 때 역ㄷ자 형상의 보조판(82B)과, 이 보조판(82B)의 후방부를 메인 프레임(8)의 전후 중도부에 연결하는 연결 부재(82C)로 구성되어 있다.
작업 전동 케이스(83)의 전방부는 미션 케이스(M)의 측면에 위치하고, 이식 출력축(55)과 직결된 전방축(84)을 지지하고 있고, 작업 전동 케이스(83)의 후방부는 원동축(85)을 지지하고, 전방축(84)과 원동축(85)의 사이에 체인 전동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원동축(85)이 모종 이식 장치(U)와 모종 공급 장치(K)의 공통의 동력 전달축으로 되어 있다.
원동축(85)은 이식 프레임(82)에 피봇 지지된 동중심의 좌우 단축(85a)과, 양쪽 단축(85a)의 내측 단부에 설치된 아암(85b)과, 좌우 아암(85b)에 가설된 링크축(85c)을 갖고, 도 8, 12의 평면에서 볼 때 거의 크랭크형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좌측 단축(85a)과 링크축(85c)이 모종 이식 장치(U)의 구동을 담당하는 이식 구동축(30)을 구성하고, 우측 단축(85a)이 모종 공급 장치(K)의 구동을 담당하고 있다.
도 7 내지 12, 21에 있어서, 상기 모종 공급 장치(K)는, 종축(10) 방향으로 간헐 회전 가능한 턴테이블(S)과, 이 턴테이블(S)의 주위부에 다수 배치되어 있어서 모종(N)을 수납하고 또한 낙하 가능한 모종 공급구(K1)와, 모종 이식구(U1)의 상하 이동에 동기하여 턴테이블(S)을 구동하는 공급 구동 기구(K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원동축(85)의 우측 단축(85a)은 공급 구동 기구(K2)의 공급 연동 수단(13)의 전동 시단부이며, 이 우측 단축(85a)에는 브레이크 디스크(86)가 고정되고, 이 브레이크 디스크(86)에는 외주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브레이크 아암(87)의 롤러(87a)가 스프링(87b)에 의해 탄압되어 있으며, 우측 단축(85a)이 일정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브레이크 디스크(86)로 제동하도록 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8)에는 지지 부재(19)가 세워 설치되어 있고, 이 지지 부재(19)에는 턴테이블(S)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종축(10)을 설치한 종축 지지 로드(19a)와, 횡축(1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횡축 지지부(19b)와, 주위 지지 로드(19c)가 설치되어 있다.
턴테이블(S)은, 원반의 주위부에 모종 공급구(K1)가 주방향 등간격으로 다수 배치되어 있다. 이 모종 공급구(K1)는, 공급 외부 컵(34a) 및 그 안에 삽입되어 있어서 실질적으로 모종(N)을 수납하는 공급 내부 컵(슬리브)(34b)을 갖는 공급 컵(34)과, 공급 외부 컵(34a)의 바닥구의 하방에 힌지(35a)를 개재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모종(N)을 담당하는 셔터(35)와, 이 셔터(35)를 개방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스프링)(37)을 갖고 있다.
공급 외부 컵(34a)과 공급 내부 컵(34b)은 모두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내경이 확대된 나팔 형상이며, 도 7, 9, 21에 있어서는, 내경이 상이한 3종류의 공급 내부 컵(34b)을 예시하고 있고, 모종(N)의 크기, 종류 등에 따라서 구분지어 사용되며, 동시에는 1종류가 사용된다.
각종 공급 내부 컵(34b)의 하부는, 공급 외부 컵(34a)보다 내경이 작아서 공급 외부 컵(34a)에 착탈 가능하게 감입되어 있고, 그 상하 중도부의 외주면에 공급 외부 컵(34a)의 상부 테두리에 외부 끼움하는 환 형상의 끼워맞춤부(34c)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공급 내부 컵(34b)은 끼워맞춤부(34c)를 가짐으로써, 공급 외부 컵(34a)에 대하여 경사가 없는 적정 자세로 장착할 수 있다.
상기 모종 공급구(K1)는 14개 설치되어 있다. 모종 공급구(K1)는 7, 8개이어도 되지만, 12 내지 17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개수를 배증함으로써 이식 속도를 배증하여 이식 작업을 할 수 있다. 14개의 공급 컵(34)은 1개 간격으로 표시를 붙이고, 2명의 반주 작업자가 교대로 모종(N)을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턴테이블(S)의 원반은 판금제이며, 종축(10)의 상부에 설치한 디스크 형상의 장착체(20)의 상면에 적재 장착되어 있다. 이 장착체(20)와 턴테이블(S)의 사이에는 턴테이블(S)의 회전 방향의 위상을 조정하는 위상 조정 수단(21)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위상 조정 수단(21)은, 턴테이블(S)에 종축(10)을 곡률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주방향 복수(3군데)의 원호 구멍(21A)과, 이 각 원호 구멍(21A)을 관통하여 장착체(20)에 나사 결합하는 체결구(21B)를 갖고, 체결구(21B)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턴테이블(S)은 종축(10)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고, 모종 공급구(K1)의 회동 방향의 위치를 미묘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종축(10)은, 지지 부재(19)의 종축 지지 로드(19a)에 지지되어 있고, 하부에 웜 휠(22)을 갖고, 이 웜 휠(22)과 맞물림하는 웜 기어(23)는 횡축 지지부(19b)에 지지된 횡축(14)에 설치되고, 이 횡축(14)은 공급 연동 수단(13)을 개재하여 이식 구동축(30)(우측 단축(85a))으로부터의 동력으로 간헐 구동된다.
턴테이블(S)의 하방에는, 셔터(35)를 개폐하는 셔터 폐쇄 부재(36)가 지지 부재(19)의 주위 지지부(19c)에 담당되어 있다. 이 셔터 폐쇄 부재(36)는 봉재를 평면에서 볼 때 환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고, 모종 공급구(K1)의 셔터(35)의 하면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턴테이블(S)은 도 3, 8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그 위의 모종 공급구(K1)는, 메인 프레임(8)의 좌우 방향 중앙으로 이동한 위치가 셔터(35)를 개방하여 모종(N)을 낙하 공급하는 모종 공급 위치(P)가 된다.
상기 셔터 폐쇄 부재(36)는, 환 형상의 전방부가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그 전방 부위가 모종 공급 위치(P)에 대응하고 있고, 턴테이블(S)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이 모종 공급 위치(P) 이외의 모종 공급 위치(P) 전방부터 모종 공급 위치(P) 직전까지는 셔터(35)를 개방 자세로부터 폐쇄하고 있고, 모종 공급 위치(P)에서는 셔터 폐쇄 부재(36)의 후단부가 자유단부로 되어 있음으로써 셔터(35)의 폐쇄가 해제된다.
환 형상의 셔터 폐쇄 부재(36)는, 종축(10) 및 턴테이블(S)과 거의 동중심인 원호 형상이고 또한 셔터(35)를 모종 공급 위치(P) 전방부터 모종 공급 위치(P) 직전까지 폐쇄 자세로 하는 중도 폐쇄부(36b)와, 모종 공급 위치(P) 전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경사져서 중도 폐쇄부(36b)에 연결되고 또한 셔터(35)를 개방 자세로부터 폐쇄하는 시단부 폐쇄부(36c)와, 이 시단부 폐쇄부(36c)에 연결되고 있어서 모종 공급 위치(P)에서 개방 자세의 셔터(35)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개방부(36a)와, 이 개방부(36a)와 중도 폐쇄부(36b)를 연결하는 이음부(36d)를 갖고 있다.
셔터 폐쇄 부재(36)의 시단부 폐쇄부(36c)는 직선 형상이며, 원호 형상의 중도 폐쇄부(36b)의 시단부로부터 평면에서 볼 때 전방측으로 또한 좌우 중앙측으로 경사지고, 측면에서 볼 때 하향으로 경사져 있다.
개방부(36a)는 시단부 폐쇄부(36c)의 시단부로부터 평면에서 볼 때 턴테이블(S)의 회전 방향과 반대측에 원호 형상으로 연장 설치되어 턴테이블(S)의 외주부의 원호를 따라 있고, 측면에서 볼 때 턴테이블(S)의 외주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고 있으며, 가압 수단(37)에 의해 개방되는 셔터(35)를 도 7,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의 수직 자세에서 접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셔터 폐쇄 부재(36)의 이음부(36d)는, 개방부(36a)의 시단부측과 중도 폐쇄부(36b)의 후방부를 연결하고 있지만, 중도 폐쇄부(36b)의 후단부를 자유단부로서 남기고 있고, 중도 폐쇄부(36b)의 후단부보다 앞에서 연결하고, 셔터 폐쇄 부재(36)를 절취선이 없는 환 형상으로 하여 보형 강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상기 중도 폐쇄부(36b)의 후단부가 이음부(36d)와 연결되지 않는 자유단부가 되어 있음으로써, 셔터(35)는 중도 폐쇄부(36b)의 자유단부와 접촉하고 있는 동안에는 폐쇄되고, 자유단부를 통과함으로써 가압 수단(37)에 의해 급격 또한 확실하게 개방되어 개방부(36a)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공급 구동 기구(K2)는 턴테이블(S)의 종축(10), 횡축(14) 및 공급 연동 수단(13) 등으로 구성되고, 공급 연동 수단(13)은 원동축(85)의 우측 단축(85a), 브레이크 디스크(8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급 구동 기구(K2)가 모종 이식구(U1)를 구동하는 원동축(85)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 원동축(85)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모종 이식구(U1)와 승강 동작과 동기하고 있어 원동축(85)의 1회전마다 1개의 모종 공급구(K1)를 모종 공급 위치(P)에 간헐 이동하고, 모종 이식구(U1)를 1회 승강한다.
도 2 내지 4, 7, 8, 11, 12, 17 내지 20에 있어서, 상기 모종 이식 장치(U)는, 이동 기체(T)의 이식 프레임(82)의 좌우 판재(82a)의 전방 상부에 피봇 지지된 한 쌍의 제1 링크(26)와, 이 한 쌍의 제1 링크(26)에 설치된 이식 요동체(27)와, 이 이식 요동체(27)에 피봇 지지되어 있어서 후방 상방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2 링크(28)와, 이 한 쌍의 제2 링크(28)의 선단에 개폐 가능하게 지지된 모종 이식구(U1)와, 한 쌍의 제2 링크(28)의 한쪽과 링크축(85c)을 개재하여 연결된 회전 아암(29)(아암(85b))과, 이 회전 아암(29)을 구동하는 이식 구동축(30)(단축(85a))과, 방출 수단(95)을 갖고 있으며, 또한 이식 깊이 조정 기구(44), 확대 굴착 기구(130) 등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이식 구동축(30)과 회전 아암(29)은, 상기 원동축(85)의 좌측의 단축(85a)과 아암(85b)이며, 단축(85a)이 1회전함으로써 아암(85b)을 개재하여 링크축(85c)이 공전하고, 한 쌍의 제2 링크(28)의 전후 중도부를 원형으로 회전함으로써, 한 쌍의 제1 링크(26)의 요동에 구속되면서 제2 링크(28)의 선단의 모종 이식구(U1)가 상하로 긴 거의 타원 형상의 궤적(L)(도 18에 도시함)을 이동한다.
모종 이식구(U1)는 내부 공동인 측면에서 볼 때 거의 부리 형상이며, 한 쌍의 제2 링크(28)의 선단에 장착된 지지체(96)와, 이 지지체(96)에 상측으로부터 모종(N)이 공급될 수 있도록 개방한 가이드 부재(97)와, 지지체(96)에 피봇 지지되어 있어서 하부가 두렁(R)에 찌르기 가능한 첨단 형상의 전후 한 쌍의 부리 부재(98)를 갖고 있다.
한 쌍의 부리 부재(98)는 상부에서 피봇 지지하여 하부를 개폐 가능하게 하고, 주기적(간헐적)인 상하 이동에 의해 두렁(R)에 돌입하여 모종 이식용 구멍(W1)을 형성하면서, 내부에 보유 지지한 모종(N)을 하방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방출 수단(95)은, 이식 요동체(27)에 피봇 지지한 지지 아암(95a)과, 이 지지 아암(95a)과 한쪽의 부리 부재(98)를 연결하는 로드(95b)와, 한쪽의 부리 부재(98)와 연동하여 다른 쪽의 부리 부재(98)를 반대 요동시키는 연동 핀(95c)과, 지지 아암(95a)을 상하 요동 시키는 캠(95d)을 갖고 있다.
캠(95d)은 링크축(85c)에 설치되어 있으며, 단축(85a)의 주위를 공전하고, 지지 아암(95a)의 중도부와 접촉하여 이것을 상하 요동시키고, 모종 이식구(U1)가 상하 이동 범위의 하사점 부근까지 하강했을 때, 한쪽의 부리 부재(98)가 방출 수단(95)의 로드(95b) 및 지지 아암(95a)에 의해 외측으로 요동하고, 한쪽의 부리 부재(98)의 요동이 연동 핀(95c)에 의해 다른 쪽의 부리 부재(98)를 반대 방향으로 요동을 발생시키고, 이에 의해 한 쌍의 부리 부재(98)는 개방되게 된다(도 17의 상태).
모종 이식구(U1)는 상하 이동 범위의 상사점에 있어서 한 쌍의 부리 부재(98)가 폐쇄된 상태이며, 모종 공급 위치(P)의 턴테이블(S)의 모종 공급구(K1)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모종 공급구(K1)로부터 모종(N)의 공급을 받아 상사점으로부터 전방 하향으로 이동하고, 그 도중부터 두렁(R)에 돌입하고, 하사점에 접근함에 따라서 한 쌍의 부리 부재(98)를 개방하여 모종 이식용 구멍(W1)을 형성하는 동시에 모종(N)을 방출하고, 모종 방출 후에 한 쌍의 부리 부재(98)를 폐쇄하면서 후방 상향으로 이동한다.
모종 이식구(U1)의 거의 타원 궤적(L)에 있어서의 전후 이동은, 이동 기체(T)가 전진하고 있으므로 상쇄되고, 모종 이식구(U1)는 두렁(R)에 대하여 수직에 가까운 자세에서 돌입하고 또한 거의 수직에 가까운 자세에서 빠져 나가서 모종(N)을 거의 직립 자세로 하여 이식한다.
상기 모종 이식구(U1)의 상부에는 가진 수단(148)이 설치되어 있다. 가진 수단(148)은, 모종 이식구(U1)에 연결되는 제2 링크(28)의 피봇 핀에 핸들을 장착하여 구성하고 있다. 모종 이식구(U1)는 이식 작업을 하고 있지 않을 때에 상승 위치에 있으므로, 가진 수단(148)의 핸들을 쥐고 진동시킬 수 있고, 모종 이식구(U1)에 진동을 부여하여 부착되어 있는 흙을 낙하시킬 수 있다. 이 가진 수단(148)은 예비 모종대(Y)보다 후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반주 공간(G)측부터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도 2 내지 8, 13 내지 15에 있어서, 상기 모종 이식구(U1)의 전방에는 두렁(R) 상면을 검출하고 또한 땅을 고르기 위하여 접지 구름 이동하는 접지체(43)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접지체(43)는 두렁 상면에 대한 이동 기체(T) 및 모종 이식구(U1)의 높이를 조정하고 또한 모종 이식구(U1)의 이식 깊이를 설정하는 이식 깊이 조정 기구(44)를 구성하고 있고, 이식 깊이 조정 기구(44)는 조종 핸들(H)에 설치한 조정 레버(45)에 의해 조정된다.
접지체(43)는 두렁 상면의 모종(N)을 이식하는 예정의 위치를 광폭에 걸쳐서 구름 이동하는 원통 형상(또는 거의 북 형상)이며, 지지 프레임(105)의 후방부에 지지축(106)을 개재하여 횡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105)의 좌우 전방부는 미션 케이스(M)의 하방부에 고정의 지지 부재(73)에 브래킷(73a) 및 지지축(107)을 개재하여 상하 요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다.
좌측의 지지축(107)에는 통재(111)가 끼움 장착되어 있고, 이 통재(111)에 제1 센서 아암(108)이 설치되고, 이 제1 센서 아암(108)의 상단부는 제2 센서 아암(109)을 개재하여 승강 밸브(110)와 연동 연결되어 있고, 이 승강 밸브(110)는 미션 케이스(M)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어서 승강 실린더(75)를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통재(111)에는 포오크 아암(112)이 설치되어 있고, 이 포오크 아암(112)의 제1 아암(112a)과 지지 프레임(105)의 사이에 접지체(43)를 두렁(R)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113)이 설치되고, 포오크 아암(112)의 제2 아암(112b)에는 조정 레버(45)와 연결하기 위한 보덴 케이블(114)의 아우터 케이블(114a)의 전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조정 레버(45)는 메인 프레임(8)의 후방부에 피봇 축을 개재하여 피봇 지지되고, 이 조정 레버(45)와 일체 회동하는 케이블 아암과 지지 프레임(105)이 보덴 케이블(114)의 이너 케이블(114b)로 연결되어 있고, 이너 케이블(114b)의 선단은 지지 프레임(105)에 걸려 있다.
조정 레버(45)를 전후 조작함으로써, 보덴 케이블(114)을 개재하여 지지 프레임(105)과 제1 센서 아암(108)의 협각이 변화하고, 지지 프레임(105)이 상하 요동 하여 접지체(43)의 높이가 변경되고, 접지체(43)에 대한 이동 기체(T) 및 모종 이식구(U1)의 상대 높이가 조정된다. 승강 밸브(110)를 중립 상태로 하고 있을 때의 접지체(43)의 높이로 모종 이식구(U1)의 상하 이동의 하사점이 정해지고, 두렁(R)의 상면으로부터의 돌입 깊이가 결정되므로, 모종 이식구(U1)의 이식 깊이가 설정된다.
상기 접지체(43)를 설정 높이에서 두렁(R)에 접지시키면 승강 밸브(110)는 중립 상태에 있고, 이동 기체(T)는 승강하지 않지만, 접지하고 있는 두렁(R)의 높이가 변화하면, 예를 들어, 두렁(R)이 높아지면, 접지체(43) 및 지지 프레임(105)이 상향 요동하고, 통재(111) 및 포오크 아암(112)을 개재하여 제1 센서 아암(108)을 하방 이동시키고, 이에 의해 승강 밸브(110)를 작동하여 승강 실린더(75)를 신장시켜서 전후륜(40A, 41A)을 밀어 내리고, 상대적으로 이동 기체(T)를 상승시켜서 모종 이식구(U1)를 두렁(R) 상면부터 설정 높이로 조정한다.
조정 레버(45)는 전방으로 요동하면, 이너 케이블(114b)을 개재하여 지지 프레임(105)이 하방 이동하여 접지체(43)가 이동 기체(T)로부터 하방으로 분리되고, 제1 센서 아암(108) 및 제2 센서 아암(109)이 상방 이동하여 승강 밸브(110)를 작동하여 승강 실린더(75)를 상승측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두렁 상면부터 이동 기체(T) 및 모종 이식구(U1)의 높이가 높아져서 모종 이식구(U1)에 의한 이식 깊이가 얕고, 즉, 모종 이식구(U1)의 하사점의 높이가 얕아진다.
반대로, 조정 레버(45)를 후방으로 요동시키면, 지지 프레임(105)이 상방 이동하여 제1 센서 아암(108), 제2 센서 아암(109) 및 승강 밸브(110)를 개재하여 승강 실린더(75)를 하강측으로 제어하고, 접지체(43)가 이동 기체(T)에 근접하여 두렁 상면부터 이동 기체(T) 및 모종 이식구(U1)의 높이가 낮아지고, 모종 이식구(U1)에 의한 이식 깊이가 깊어진다.
조종 핸들(H)에는 조정 레버(45)의 전후 요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120)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가이드 부재(120) 및 조정 레버(45)는 턴테이블(S)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고, 조정 레버(45)는 조종 핸들(H)의 파지부의 전방에서 또한 턴테이블(S)의 좌우 측방이며, 턴테이블(S)의 모종 공급구(K1)와 거의 동일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1 내지 3에 있어서, 상기 조종 핸들(H)의 파지부보다 전방에서 또한 턴테이블(S)의 좌우 양측방은, 모종 공급구(K1)에 모종(N)을 공급하는 작업자가, 모종 이식기(1)와 반주 가능한 반주 공간(G)으로 되어 있고, 좌측의 반주 공간(G) 내의 작업자는 모종 공급구(K1)에 모종(N)을 공급하면서 그대로의 자세에서 조정 레버(45)를 조작할 수 있다.
도 1 내지 3, 21, 22에 있어서, 이동 기체(T)의 전방 상부에는 모종(N)을 적재하는 예비 모종대(Y)가 배치되어 있다. 좌우 각각의 전방 각축(68)과 차축 케이스(59)에 전후 지지체(72)의 전후방부를 상대 회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고, 이 전후 지지체(72)와 메인 프레임(8)에 걸쳐서 지지 부재(123)의 전후 다리부(123F, 123R)를 연결하여 좌우의 지지 부재(123)에 예비 모종대(Y)를 장착하고 있다.
상기 예비 모종대(Y)는, 좌우 지지 부재(123)를 연결하는 다이 프레임(Y1)과 저판(Y2)를 갖고, 다이 프레임(Y1)은 앵글 부재(또는 띠판)를 직사각형으로 짜맞추어서 좌우 중도부에 2개의 판재(Y1a)로 전후 앵글 부재를 연결하고, 전후 중도부에 1개의 판재(Y1a)로 좌우 앵글 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좌우 2개의 판재(Y1a)를 좌우의 지지 부재(123)에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저판(Y2)은 다공판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다수의 배수용의 구멍(Ya)을 갖고 있다.
이 예비 모종대(Y)는, 엔진(E)을 덮는 보닛(B)의 상방에서 이동 기체(T)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또한 후방부로부터 전방부에 상향 경사 자세로 되어 있고, 반주 공간(G) 내의 작업자가 모종(N)을 취출하기 쉽게 하고 있다.
모종 공급구(K1)에 공급되는 모종(N)은 셀 트레이(육묘 트레이)에 넣은 상태에서 육성되어 있고, 예비 모종대(Y)에는 셀 트레이마다 적재되어 셀 트레이로부터 모종(N)을 취출하여 모종 공급구(K1)에 공급된다.
상기 조종 핸들(H)에는 주행 클러치 레버부(124), 이식 클러치 레버(115), 기체 승강 레버(126) 등이 설치되어 있고, 주행 클러치 레버부(124)는 조종 핸들(H)의 좌측부에 배치되고, 조정 레버(45)의 후방이며, 조정 레버(45)와 마찬가지로 좌측 반주 공간(G)을 걷는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2, 3, 7, 8에 있어서, 상기 이식 클러치 레버(115)는 하부가 메인 프레임(8)의 후방부에 고정의 브래킷(117)에 관통 지지되어 있고, 그 하부에 회동체(118)를 고정하고, 이 회동체(118)에 조작 연동 부재(116)를 연결하고, 이 조작 연동 부재(116)로 동력 전달 기구(53)를 전환 조작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117)에는 평면에서 볼 때 V자 형상의 판재(117A)가 고정되고, 이 판재(117A)에 2개의 조정 볼트(117B)가 나사 결합되어 있고, 이 2개의 조정 볼트(117B)는 회동체(118)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했을 때에 접촉한다.
상기 2개의 조정 볼트(117B)는, 이식 클러치 레버(115)의 하부와 메인 프레임(8)의 사이에서 이식 클러치 레버(115)의 회동 각도를 설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121)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동력 전달 기구(53)는 미션 케이스(M) 내에 배치되고, 이동 기체(T)의 전진 및 후진 및 모종 이식 장치(U)의 작동을 전환 가능하게 동력을 전달한다. 위치 결정 수단(121)은 이식 클러치 레버(115)의 전환 위치를 적정하게 하기 위하여 회동 각도가 조정된다.
이식 클러치 레버(115)는, 브래킷(117)으로부터 거의 바로 위에 상승하여 조작 패널(122)을 관통한 상부에서 거의 직각으로 굴곡되어 있다. 이식 클러치 레버(115)는 직립 자세이며, 위치 결정 수단(121)의 거의 바로 위에 조작 패널(122)이 위치하므로, 전환 회동 조작이 하기 쉽고, 전환 위치도 보기 쉽게 되어 있다.
도 2, 4, 21, 23에 있어서, 이동 기체(T)의 전후 하부에는, 장시간의 정지나 유지 보수를 위하여 들어 올려 보유 지지하는 전방 스탠드(127)와 후방 스탠드(128)가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전방 스탠드(127)는 가대(7)에 피봇 지지되어 있어서 스탠딩 자세와 퇴피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하며, 가대(7)의 전방부에 상부가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우 한 쌍의 지주부(127a)와, 좌우 지주부(127a)의 하부를 연결하고 또한 좌우 지주부(127a)로부터 좌우 외측으로 돌출된 가로부(127b)를 갖고 있다.
후방 스탠드(128)는 메인 프레임(8)의 후방부 또는 연결 부재(82C)에 상부가 피봇 지지되어 있어서 스탠딩 자세와 퇴피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하며,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우 한 쌍의 지주부(128a)와, 좌우 지주부(128a)의 하부를 연결하는 가로부(128b)를 갖고, 배면에서 볼 때 역ㄷ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후방 스탠드(128)의 스탠드 높이는 전방 스탠드(127)의 스탠드 높이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고, 전륜(40A) 및 후륜(41A)이 접지된 상태로부터 전방 스탠드(127) 및 후방 스탠드(128)를 세워서 접지시키는 스탠딩 자세로 하면, 이동 기체(T)는 전방 하향 경사 형상으로 된다.
이러한 스탠딩 자세에서는 전륜(40A)을 접지시켜도 후륜(41A)을 부상시킨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좌우 후륜(41A)의 좌우 위치 조정, 즉, 바퀴 거리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 내지 8, 13 내지 20에 있어서, 상기 모종 이식구(U1)의 직전에는 접지체(43)의 후방에 확대 구멍(W2)을 형성하는 확대 굴착 기구(130)가 배치되어 있다. 이 확대 굴착 기구(130)는 모종 이식 장치(U)의 제1 링크(26), 이식 요동체(27) 및 제2 링크(28)의 하방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확대 굴착 기구(130)는, 그 전방부가 이동 기체(T)에 피봇 지지되고 또한 모종 이식구(U1)의 상하 이동과 연동하여 상하 이동 하는 지지 로드(132)와, 이 지지 로드(132)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있어서 지지 로드(132)의 하방 이동으로 두렁(R)에 돌입하여 모종 이식용 구멍(W1)의 형성 예정 위치의 후방부터 전방까지 확대 구멍(W2)을 형성하는 괭이 부재(131)와, 상기 지지 로드(132)의 전후 방향 중도부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133)와, 지지 로드(132)의 전후 방향 중도부에 연동 연결되고 또한 이식 구동축(30)의 회동에 의해 하방 이동하여 지지 로드(132)를 하강시키는 작동 부재(134)를 갖고 있다.
지지 로드(132)는, 전후 방향에 길게 배치되고, 전단부에 통체(132A)와 스토퍼(132B)를 갖고, 후단부에 평면에서 볼 때 V자 형상의 설치체(132C)를 갖고 있으며, 통체(132A)가 미션 케이스(M)에 고정의 지지 부재(73)에 지지된 지지축(107)에 끼워 맞춰져서 지지되어 있고, 스토퍼(132B)는 지지 로드(132)가 최상승 위치까지 상승했을 때에 지지 부재(73)와 접촉하여 그 상승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괭이 부재(131)는 판재를 굴곡하여 형성한 것으로, 두렁(R)에 돌입하여 두렁의 흙을 중앙측으로부터 좌우로 압동하는 좌우 날개부(131L, 131R)와, 이 좌우 날개부(131L, 131R)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어서 두렁을 흙을 퍼올리는 퍼내기부(131S)를 갖고 있다.
이 괭이 부재(131)는, 좌우 날개부(131L, 131R)의 중앙부를 지지 로드(132)의 후단부의 설치체(132C)에 높이 조정 가능하게 볼트 체결되어 있고, 좌우 양단으로부터 중앙부에 걸쳐서 상하폭이 점차 넓게 형성되고, 또한 퍼내기부(131S)의 하부 테두리가 정면에서 볼 때 사발의 바닥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괭이 부재(131)는, 좌우 양단부터 중앙부에 걸쳐서 상하폭이 점차 넓게 형성되고, 좌우 날개부(131L, 131R)가 좌우 양단보다 중앙부가 선행이 되는 좌우 경사면을 형성하고, 퍼내기부(131S)가 좌우 날개부(131L, 131R)의 하부 테두리로부터 전바 하향으로 돌출되어 전방 상향의 경사면을 형성하고, 또한 퍼내기부(131S)의 하부 테두리가 정면에서 볼 때 사발의 바닥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괭이 부재(131)는, 상승 대기 자세 시에 좌우 날개부(131L, 131R)의 후방부가 모종 이식 동작 개시 시의 모종 이식구(U1)와 전후 방향에서 오버랩되는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괭이 부재(131)는, 두렁(R)의 상면에 모종 이식용 구멍(W1)의 형성 예정 위치의 앞부터 돌입하여 두렁의 흙을 중앙측으로부터 좌우로 압동하면서 파서 형성 예정 위치에서 가장 깊어지고, 형성 예정 위치로부터 상승하여 전방까지 구멍을 파낸다. 괭이 부재(131)는, 굴착 전체 행정에서, 퍼내기부(131S)가 두렁의 흙을 퍼올려서 파내므로, 두렁의 흙으로부터 받는 저항은 적어서 종기의 잔토가 적어지고, 모종 이식용 구멍(W1)보다 얕게 또한 크게, 게다가 모종 이식용 구멍(W1)의 형성 예정 위치에서 바닥이 되는 사발 형상의 확대 구멍(W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괭이 부재(131)는 측면에서 볼 때,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대 구멍(W2)을 파기 시작한 후부터 종료 전까지 약간 후방으로 기울어진 자세가 되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하여 대기하고 있을 때에 전방으로 기울어진 자세가 된다. 또한, 지지 로드(132)의 전방 지지점이 괭이 부재(131)로부터 전방으로 멀리 이격된 위치에 있으므로, 괭이 부재(131)는 가급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상하 이동한다.
상기 지지 로드(132)는, 전후 방향의 중도부는 접지체(43)와의 간섭을 피하고 또한 이식 구동축(30)에 근접하도록 상측으로 굴곡되어 있고, 이 중도 상부에 덧댐판(132a)과 봉재(132b)와 가이드 핀(132c)이 고착되어 있다.
지지 로드(132)의 봉재(132b)에 가압 부재(133)로서의 인장 스프링의 하단부가 걸리고, 이 인장 스프링의 상단부는 메인 프레임(8)에 설치한 조정 로드(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조정 로드의 상하 위치 조정으로 지지 로드(132)를 인상하는 가압력이 조정된다.
도 13 내지 20에 있어서, 상기 이식 구동축(30)은 회전 동력이 전달되는 단축(85a)에 회동 아암(29)(아암(85b))을 개재하여 링크축(85c)을 지지하고 있고, 이 링크축(85c)에 요동 아암(135)의 기초부를 피봇 지지하고, 이 요동 아암(135)의 선단에 작동 부재(134)를 피봇 지지하고 있다. 단축(85a)의 회전에 의해, 아암(85b)을 개재하여 링크축(85c)은 원 궤적(J)을 그리고 공전한다.
상기 작동 부재(134)는, 원통 형상의 보스 부재에 4개 다리 형상의 판재를 고착시킨 형상이며, 보스 부재가 요동 아암(135)에 요동축(137)을 개재하여 연결되고, 도 16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다리부에 규제부(134a)를 형성하고, 전방 상측에 위치하는 다리부에 소축(140)을 고정하여 롤러(141)를 끼워 맞춰서 밀어 내림부(134b)를 형성하고, 전방 하측에 위치하는 다리부에 가이드 핀(132c)에 끼워 맞추는 긴 구멍(142)을 설치하여 요동 안내부(134c)를 형성하고, 후방 상측에 위치하는 다리부에 스토퍼부(134d)를 형성하고 있다.
작동 부재(134)의 밀어 내림부(134b)는, 롤러(141)가 덧댐판(132a)과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고, 밀어 내림부(134b)가 하방 이동함으로써 지지 로드(132)의 전후 중도부를 밀어 내린다.
작동 부재(134)의 규제부(134a)는, 작동 부재(134)가 요동축(137) 방향으로 회동할 때, 요동 아암(135)의 기초부와 접촉하여 상향 회동을 규제할 수 있다.
요동 안내부(134c)의 긴 구멍(142)은 가이드 핀(132c)에 끼워 맞춰져 있고, 지지 로드(132)는 가압 부재(133)에 의해 항상 상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므로, 가이드 핀(132c)이 긴 구멍(142)의 상단부에 있을 때, 작동 부재(134)에는 상향의 가압력이 가해져서 규제부(134a)를 요동 아암(135)의 기초부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고, 가이드 핀(132c)이 긴 구멍(142)을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상기 스토퍼부(134d)는 요동 아암(135)의 기초부에 접촉 가능하고, 작동 부재(134)가 요동축(137) 방향으로, 도 18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상 회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규제부(134a)가 지지 로드(132)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상향 회동이 규제되어 요동 아암(135)과 접촉하고 있으면, 작동 부재(134)는 요동 아암(135)과 일체가 되어 회동 아암(29)에 눌려 내려가면서 단축(85a)의 방향을 회동하게 되고, 링크축(85c)의 하향 회동에 따라 작동 부재(134)가 하방 이동되고, 이 회동에 의해 밀어 내림부(134b)의 롤러(141)가 지지 로드(132)의 덧댐판(132a)과 접촉하여 지지 로드(132)를 하강시킨다.
단축(85a)의 하방에서 링크축(85c)과 요동축(137)이 직선 형상으로 배열, 즉, 회동 아암(29)과 요동 아암(135)이 직선 형상이 되었을 때가 괭이 부재(131)를 가장 하강시키는 때이고, 그 상태를 넘어서 링크축(85c)이 공전하면, 지지 로드(132)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요동 아암(135)은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고, 작동 부재(134)는 규제부(134a)가 요동 아암(135)의 기초부로부터 일단 이격된다. 이 때, 요동 아암(135)에 접촉하여 작동 부재(134)의 요동축(137) 방향으로 반시계 방향의 회동을 규제한다.
그리고, 또한 링크축(85c)이 공전하여 상향으로 이동하면, 규제부(134a)는 요동 아암(135)에 다시 접촉하고, 작동 부재(134)는 링크축(85c)의 상방 이동과 함께 상방 이동한다.
도 13은 모종 이식구(U1) 및 괭이 부재(131)가 거의 상사점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18은 모종 이식 장치(U)의 모종 이식 동작 개시 직후를 도시하고, 도 19, 20은 모종 이식 장치(U)의 모종 이식 동작중을 도시하고, 도 17은 확대 굴착 기구(130)의 굴착 동작 후반을 도시하고 있다.
도 13, 16 내지 20에 있어서, 단축(85a)의 회전에 의해, 링크축(85c)은 단축(85a)을 중심으로 하는 원 궤적(J)을 그려서 공전하고, 제2 링크(28)를 전후 이동시키면서 상하 이동시키고, 모종 이식구(U1)에 궤적(L)을 그리도록 상하 이동시키고, 이 모종 이식구(U1)의 궤적(L)의 하반부의 이동과 연동하여 링크축(85c)의 공전에 의해 괭이 부재(131)를 상하 이동시킨다.
도 18에 있어서, 회동 아암(29)은 중심선(Q)이 거의 수평 자세(크랭크각 약 1°)에 있고, 모종 이식구(U1)의 선단은 궤적(L)의 상하 방향 거의 중앙에 위치하고, 괭이 부재(131)는 두렁(R)에 물려 들어감을 개시하여 확대 구멍(W2)을 형성하기 시작한다.
이 때, 작동 부재(134)의 규제부(134a)는 요동 아암(135)과 접촉하여 상향 회동이 규제되고, 밀어 내림부(134b)의 롤러(141)가 지지 로드(132)의 덧댐판(132a)과 접촉하여 지지 로드(132)를 밀어 내리는 동작을 개시한다.
도 19에 있어서, 단축(85a)이 회전하여 회동 아암(29)은 중심선(Q)이 전방 하향 자세(크랭크각 약 30°)가 되면, 괭이 부재(131)는 점차 두렁(R)에 물려 들어가고, 동시에, 이 때부터 부리 부재(98)의 선단은 괭이 부재(131)가 형성하는 확대 구멍(W2)의 상면부터 두렁(R)에 물려 들어가고, 도 20의 크랭크각 60° 부근이 되면, 또한 괭이 부재(131)의 두렁(R)으로의 물려 들어감이 깊어져서, 부리 부재(98)에 의한 모종 이식용 구멍(W1)의 형성도 급속하게 행해진다.
상기 상태로부터 또한 단축(85a)의 회전이 진행되고, 단축(85a)의 거의 바로 아래에 링크축(85c)이 이동할 때까지, 캠(95d)에 의해 방출 수단(95)이 작동을 개시하고, 모종 이식구(U1)의 부리 부재(98)가 개방되어 모종 이식용 구멍(W1)을 형성함과 동시에, 수납하고 있었던 모종(N)을 낙하하여 이식한다.
단축(85a)의 거의 바로 아래에 링크축(85c)이 이동했을 때가 부리 부재(98)가 가장 크게 개방되는 때이며, 회동 아암(29)과 요동 아암(135)이 직선 형상이 되었을 때가 괭이 부재(131)가 가장 하강될 때이며, 모종 이식용 구멍(W1)의 형성 예정 위치에서 사발 형상의 확대 구멍(W2)의 가장 낮은 바닥을 형성한다.
요동 아암(135)은 회동 아암(29)과의 직선 상태를 통과하면, 작동 부재(134)의 긴 구멍(142)이 가이드 핀(132c)과 연계되어 있음으로써, 요동 아암(135)이 링크축(85c) 방향으로 회동하고, 작동 부재(134)는 스토퍼부(134d)가 요동 아암(135)의 기초부에 접촉할 때까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상태에서는, 부리 부재(98)가 가장 크게 개방되지만, 지지 로드(132)는 가압 부재(133)에 의해 인상되고, 이 지지 로드(132)의 인상에 의해 작동 부재(134)가 상방 이동하고 있다.
단축(85a)에 의해 회동 아암(29)이 또한 회동할 때, 요동 아암(135)은 후방 상방으로 인장되는 상태가 되고, 작동 부재(134)는 가이드 핀(132c)과 연계에 의해 회동하여 규제부(134a)가 요동 아암(135)과 접촉하지만, 지지 로드(132)의 상부 이동을 허용하여 두렁(R)으로의 괭이 부재(131)의 물려 들어감은 점차 얕아진다.
그리고 도 17의 크랭크각 180°로 나타내는 상태가 되면, 부리 부재(98)는 모종 이식용 구멍(W1)으로부터 빠져 나가서 폐쇄 동작을 개시하고, 괭이 부재(131)도 두렁(R)으로부터 상방으로 빠져 나간다.
상기 확대 구멍(W2)은 모종 이식용 구멍(W1)보다 크고 또한 얕은 사발 형상이며, 모종 이식용 구멍(W1)과 오버랩되어 있어서 측면에서 볼 때 모종 이식용 구멍(W1)에서 가장 깊어져 있고, 또한, 정면에서 볼 때에는 괭이 부재(131)의 하부 테두리(131a)의 원호 형상에 의해 모종 이식용 구멍(W1)에서 가장 깊어져 있고, 확대 구멍(W2) 내에 들어간 관수는, 가장 깊은 모종 이식용 구멍(W1)에 모여서 모종(N)에 효과적으로 공급된다.
모종 이식구(U1)의 부리 부재(98)는, 괭이 부재(131)이 확대 구멍(W2)을 파기 시작하는 당초부터 두렁(R)에 돌입해도, 그 선단은 첨단 형상이므로 저항은 작고, 또한 확대 구멍(W2)을 부수는 경우도 없다. 선행하여 확대 구멍(W2)을 형성하므로, 후행의 모종 이식구(U1)는 부리 부재(98)를 확대 구멍(W2)이 없는 경우보다도 작은 저항으로 깊게 찌를 수 있어, 깊은 모종 이식용 구멍(W1)을 형성하고, 또한 모종(N)을 깊이 이식시킬 수 있다.
상기 모종 이식기(1)에 의한 이식 작업을 설명한다.
모종 이식기(1)를 두렁(R)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이동 기체(T)의 진행에 맞춰서 작업자가 좌측의 후륜(41A)의 후방의 반주 공간(G)을 걸어서, 예비 모종대(Y)에 적재되어 있는 육묘 트레이의 포트 모종(N)을 각 모종 공급구(K1)에 보급한다. 1명 작업일 때는 모종(N)을 각 모종 공급구(K1)에 연속하여 투입하고, 2명 작업일 때는 각 사람이 1개 걸러 모종 공급구(K1)에 투입한다.
미션 케이스(M)의 주행 구동계로부터 분기된 동력으로, 이식 구동축(30)으로부터 모종 이식 장치(U)의 이식 구동 기구(U2)에 동력을 전달하여 모종 이식구(U1)를 상하로 긴 거의 타원형의 궤적(L)을 그리게 하면서 주기적인 상하 이동을 시키고, 모종 이식구(U1)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확대 굴착 기구(130)의 괭이 부재(131)를 상하 이동하고, 또한 이식 구동 기구(U2)에 전달되는 동력을 이식 구동축(30)으로부터 분기되어 모종 공급 장치(K)의 공급 구동 기구(K2)에 전달하여 턴테이블(S)을 종축(10) 방향으로 간헐 회전 구동한다.
턴테이블(S)의 회전에 의해 다수의 모종 공급구(K1)가 원 궤도 상을 간헐적으로 이동한다. 모종 이식구(U1)는 셔터 폐쇄 부재(36)의 중도 폐쇄부(36b)에 의해 셔터(35)가 폐쇄되어 있으며, 그 위에 모종(N)이 공급되고, 모종 이식구(U1)가 모종 공급 위치(P)에 이르기 전에, 셔터 폐쇄 부재(36)의 후단부를 통과하여 모종 이식구(U1)가 모종 공급 위치(P)에 달했을 때에 셔터(35)가 가압 수단(37)에 의해 순식간에 전면 개방되어 모종(N)이 낙하되고, 모종 공급 위치(P)의 바로 아래의 상사점에 와 있던 모종 이식구(U1)에 공급한다.
모종 이식 장치(U)의 모종 이식구(U1)는 상사점 부근에서 모종 공급구(K1)로부터 모종(N)의 공급을 받아서 이동 기체(T)의 이동과 함께 하방 이동하고, 하사점에 이르기까지 두렁(R)에 꽂히면서 개방되고, 모종 이식용 구멍(W1)을 형성하면서 내부에 수납되어 있었던 모종(N)을 두렁(R)에 방출하여 상방 이동하면서 폐쇄된다. 이 상하 이동 및 개폐 동작을 턴테이블(S)의 회동과 동기하여 주기적으로 행하고, 두렁(R)에 일정 간격으로 모종(N)을 이식해 간다.
두렁(R)의 상면에 대한 모종 이식구(U1)의 침입 깊이, 즉, 이식 깊이를 조정하고 싶은 경우에는, 좌측의 반주 공간(G)에 있는 작업자가 이식 깊이 조정 기구(44)의 조정 레버(45)를 전후 요동하여 접지체(43)의 설정 높이를 변경한다.
모종 이식구(U1)의 부리 부재(98)에 의한 모종 이식용 구멍(W1)에 선행하여 괭이 부재(131)가 두렁(R)에 꽂히면서 점차 깊어져서, 모종 이식용 구멍(W1)을 형성하는 예정의 위치에서 최대 깊이가 되는 사발 형상의 확대 구멍(W2)을 형성하고, 부리 부재(98)가 모종 이식용 구멍(W1)으로부터 이탈될 때, 괭이 부재(131)도 상방 이동하여 대기 위치에 이른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 부재의 형상 및 각각의 전후·좌우·상하의 위치 관계는, 도 1 내지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 최선이다. 그러나,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부재, 구성을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조합을 변경하거나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괭이 부재(131)는, 지지 로드(132)의 후단부에 직접 고착하거나, 좌우 날개부(131L, 131R)를 별개로 형성하여 각각을 설치체(132C)에 고정하거나 해도 된다.
턴테이블(S)은, 장착체(20)에 스터드 볼트를 심어 설치해 두고, 그 스터드 볼트에 턴테이블(S)의 원호 구멍(21A)을 끼워 맞춰서 너트로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예비 모종대(Y)는, 그 자체로부터 전후 다리부(123F, 123R)를 하방 돌출하여 전후 다리부(123F, 123R)를 지지 부재(123)로 해도 된다.
또한, 모종 이식기(1)는, 모종 이식구(U1)보다 후방측의 이식 프레임(82)의 후방부측에, 두렁(R)과 접촉하는 좌우 한 쌍의 진압륜을 높이 조정 가능하게 배치하여 두렁(R) 상면의 모종(N)의 이식 위치의 좌우 양측을 구름 이동시키고, 좌우 진압륜에서 모종 공급구(K1)로 형성된 모종 이식용 구멍(W1)에 투입된 모종(N)의 좌우 양측의 흙을 가압하여 복토하도록 해도 된다.
1 : 모종 이식기
7 : 가대
8 : 메인 프레임
10 : 종축
20 : 장착체
21 : 위상 조정 수단
30 : 이식 구동축
34 : 공급 컵
40A : 전륜
59 : 차축 케이스
62 : 후륜 전동 케이스
67 : 전륜 지지 아암
68 : 전방 각축
72 : 전후 지지체
122 : 조작 패널
123 : 지지 부재
123F, 123R : 전후 다리부
130 : 확대 굴착 기구
131 : 괭이 부재
131L, 131R : 좌우 날개부
131S : 퍼내기부
132 : 지지 로드
H : 조종 핸들
J : 원 궤적
K : 모종 공급 장치
K1 : 모종 공급구
K2 : 공급 구동 기구
L : 궤적
M : 미션 케이스
N : 포트 모종
N : 모종
R : 두렁
S : 턴테이블
T : 이동 기체
T1 : 기 본체
U1 : 모종 이식구
W1 : 모종 이식용 구멍
W2 : 확대 구멍
Y : 예비 모종대

Claims (18)

  1. 두렁(R)을 넘어서 이동 가능한 이동 기체(T)와, 이 이동 기체(T)에 설치되어 있어서 주기적으로 상하 이동하여 두렁(R)에 돌입하여 모종 이식용 구멍(W1)을 형성하면서 모종(N)을 이식하는 모종 이식구(U1)를 갖는 모종 이식 장치(U)와, 이 모종 이식 장치(U)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어서 상승 위치의 모종 이식구(U1)에 모종(N)을 공급하는 모종 공급 장치(K)를 구비하고 있고,
    이동 기체(T)는, 미션 케이스(M)의 전방부에 엔진(E) 및 가대(7)를 설치하고, 미션 케이스(M)로부터 후방으로 메인 프레임(8)을 연장 설치하고, 이 메인 프레임(8)에 조종 핸들(H)을 연결하고 있고,
    상기 가대(7)에 피봇 지지된 좌우 한 쌍의 전방 각축(68)에 연결한 전륜 지지 아암(67)을 개재하여 전륜(40A)을 현가하고, 미션 케이스(M)에 설치한 좌우 한 쌍의 차축 케이스(59)에 피봇 지지된 후륜 전동 케이스(62)를 개재하여 후륜(41A)을 현가하고 있고,
    상기 좌우 각각의 전방 각축(68)과 차축 케이스(59)에 전후 지지체(72)의 전후방부를 상대 회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고, 이 전후 지지체(72)와 메인 프레임(8)에 걸쳐서 지지 부재(123)의 전후 다리부(123F, 123R)를 연결하고, 좌우의 지지 부재(123)에 모종(N)을 적재하는 예비 모종대(Y)를 장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모종대(Y)는, 좌우 지지 부재(123)를 연결하는 다이 프레임(Y1)과 저판(Y2)을 갖고, 이 저판(Y2)에 다수의 배수용의 구멍(Ya)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모종대(Y)는, 엔진(E)을 덮는 보닛(B)의 상방에서 이동 기체(T)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또한 후방부로부터 전방부에 상향 경사 자세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각 후륜 전동 케이스(62)는, 차축 케이스(59)에 연결되고 또한 선단축(58)을 지지하는 기초부 케이스(62A)와, 후륜(41A)의 차륜축(63)을 지지하는 선단 케이스(62B)와, 상기 기초부 케이스(62A)와 선단 케이스(62B)를 연결하고 또한 선단축(58)으로부터 차륜축(63)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수단(64)을 수납하는 중간 케이스(62C)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모종대(Y)보다 후방 위치의 모종 이식구(U1)에, 상승 시에 흙 낙하용 진동을 부여 가능한 가진 수단(148)을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대(7)의 전방부에 범퍼(47)를 설치하고 있고, 이 범퍼(47)에 로프 걸이용의 로프 후크(47A)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션 케이스(M) 내에 이동 기체(T)의 전진 및 후진 및 모종 이식 장치(U)의 작동을 전환 가능하게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53)를 갖고, 이 동력 전달 기구(53)의 전환 조작을 조작 연동 부재(116)를 개재하여 행하는 이식 클러치 레버(115)의 하부를 메인 프레임(8)의 후방부에서 지지하고, 이 이식 클러치 레버(115)의 하부와 메인 프레임(8)의 사이에 이식 클러치 레버(115)의 회동 각도를 설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121)을 설치하고 있고, 이 위치 결정 수단(121)의 대략 바로 위에 조작 패널(122)을 배치하고, 이 조작 패널(122)을 조종 핸들(H)에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8. 제1항에 있어서, 두렁(R)을 넘어서 이동 가능한 이동 기체(T)와, 이 이동 기체(T)에 설치되어 있어서 이식 구동축(30)의 회동에 의해 주기적으로 상하 이동하여 두렁(R)에 돌입하여 모종 이식용 구멍(W1)을 형성하면서 모종(N)을 이식하는 모종 이식구(U1)를 갖는 모종 이식 장치(U)와, 이 모종 이식 장치(U)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어서 상승 위치의 모종 이식구(U1)에 모종(N)를 공급하는 모종 공급 장치(K)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모종 공급 장치(K)는, 종축(10)의 상부에 설치한 장착체(20)와, 이 장착체(20)에 적재된 턴테이블(S)과, 이 턴테이블(S)의 주위부에 다수 배치되어 있어서 모종(N)을 수납하고 또한 낙하 가능한 모종 공급구(K1)와, 모종 이식구(U1)의 상하 이동에 동기하여 종축(10)을 구동하는 공급 구동 기구(K2)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장착체(20)와 턴테이블(S)의 사이에 턴테이블(S)의 회전 방향의 위상을 조정하는 위상 조정 수단(21)을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조정 수단(21)은, 턴테이블(S)에 종축(10)을 곡률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주방향 복수의 원호 구멍(21A)과, 이 각 원호 구멍(21A)을 관통하여 장착체(20)에 나사 결합하는 체결구(21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구동 기구(K2)는, 종축(10)에 설치한 웜 휠(22)과, 이 웜 휠(22)과 맞물림하는 웜 기어(23)와, 이 웜 기어(23)를 설치한 횡축(14)과, 이 횡축(14)을 이식 구동축(30)으로부터의 동력으로 회동하는 공급 연동 수단(13)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 공급구(K1)는, 모종(N)을 수납하는 공급 컵(34)과, 이 공급 컵(34)의 바닥에서 모종(N)을 담당하는 개폐 가능한 셔터(35)와, 이 셔터(35)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모종 공급 위치(P)로부터 1주 회전하여 다음에 모종 공급 위치(P)에 올 때까지 셔터(35)를 개방 자세로부터 폐쇄하고 또한 모종 공급 위치(P)에서 폐쇄를 해제하는 셔터 폐쇄 부재(36)를 갖고 있으며,
    상기 셔터 폐쇄 부재(36)는, 종축(10)과 대략 동중심인 원호 형상이고 또한 셔터(35)를 모종 공급 위치(P) 전방부터 모종 공급 위치(P) 직전까지 폐쇄 자세로 하는 중도 폐쇄부(36b)와, 모종 공급 위치(P) 전방으로부터 상향 경사져서 중도 폐쇄부(36b)에 연결되고 또한 셔터(35)를 개방 자세로부터 폐쇄하는 시단부 폐쇄부(36c)와, 이 시단부 폐쇄부(36c)에 연결되고 있어서 모종 공급 위치(P)에서 개방 자세의 셔터(35)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개방부(36a)와, 이 개방부(36a)와 중도 폐쇄부(36b)를 연결하는 이음부(36d)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 공급구(K1)는, 셔터(35)를 개방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3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 공급구(K1)의 공급 컵(34)은, 턴테이블(S)에 설치된 공급 외부 컵(34a)과, 이 공급 외부 컵(34a)보다 내경이 작아서 공급 외부 컵(34a)에 착탈 가능하게 감입되는 공급 내부 컵(34b)을 갖고 있으며,
    상기 공급 내부 컵(34b)의 상하 중도부의 외주면에 공급 외부 컵(34a)의 상부 테두리에 외부 끼움하는 끼워맞춤부(34c)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14. 제1항에 있어서, 두렁(R)을 넘어서 이동 가능한 이동 기체(T)와, 이 이동 기체(T)에 설치되어 있어서 이식 구동축(30)의 회동에 의해 주기적으로 상하 이동하여 두렁(R)에 돌입하여 모종 이식용 구멍(W1)을 형성하면서 모종(N)을 이식하는 모종 이식구(U1)를 갖는 모종 이식 장치(U)와, 이 모종 이식 장치(U)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어서 상승 위치의 모종 이식구(U1)에 모종(N)을 공급하는 모종 공급 장치(K)와, 상기 모종 이식 장치(U)의 모종 이식구(U1)의 전방에 위치하여 두렁(R)에 확대 구멍(W2)을 형성하는 확대 굴착 기구(130)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확대 굴착 기구(130)는, 그 전방부가 이동 기체(T)에 피봇 지지되고 또한 모종 이식구(U1)의 상하 이동과 연동하여 상하 이동하는 지지 로드(132)와, 이 지지 로드(132)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있어서 지지 로드(132)의 하방 이동에서 두렁(R)에 돌입하여 모종 이식용 구멍(W1)의 형성 예정 위치의 후방부터 전방까지 사발 형상의 확대 구멍(W2)을 형성하는 괭이 부재(131)를 갖고 있으며,
    상기 괭이 부재(131)는, 두렁(R)에 돌입하여 두렁의 흙을 중앙측으로부터 좌우로 압동하는 좌우 날개부(131L, 131R)와, 이 좌우 날개부(131L, 131R)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어서 두렁의 흙을 퍼올리는 퍼올리기부(131S)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괭이 부재(131)는, 좌우 날개부(131L, 131R)의 중앙부를 지지 로드(132)의 후단부에 설치한 설치체(132C)에 높이 조정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괭이 부재(131)는, 좌우 양단으로부터 중앙부에 걸쳐서 상하 폭이 점차 넓게 형성되고, 좌우 날개부(131L, 131R)가 좌우 양단보다 중앙부가 선행이 되는 좌우 경사면을 형성하고, 퍼내기부(131S)가 좌우 날개부(131L, 131R)의 하부 테두리로부터 전방 하향으로 돌출되어 전방 상향의 경사면을 형성하고, 또한 퍼내기부(131S)의 하부 테두리가 정면에서 볼 때 사발의 바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17.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괭이 부재(131)는, 상승 대기 자세 시에 좌우 날개부(131L, 131R)의 후방부가 모종 이식 동작 개시 시의 모종 이식구(U1)와 전후 방향에서 오버랩 되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18.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굴착 기구(130)는, 상기 지지 로드(132)가 전후 방향에 길게 배치되고,
    이 지지 로드(132)의 전후 방향 중도부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133)와, 지지 로드(132)의 전후 방향 중도부에 연동 연결되고 또한 이식 구동축(30)의 회동에 의해 하방 이동하여 지지 로드(132)를 하강시키는 작동 부재(13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KR1020140021276A 2013-09-12 2014-02-24 모종 이식기 KR1016170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89437 2013-09-12
JP2013189436A JP6071817B2 (ja) 2013-09-12 2013-09-12 苗移植機
JPJP-P-2013-189436 2013-09-12
JP2013189435A JP6096625B2 (ja) 2013-09-12 2013-09-12 苗移植機
JPJP-P-2013-189435 2013-09-12
JP2013189437A JP5973974B2 (ja) 2013-09-12 2013-09-12 苗移植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580A true KR20150030580A (ko) 2015-03-20
KR101617077B1 KR101617077B1 (ko) 2016-04-29

Family

ID=53024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276A KR101617077B1 (ko) 2013-09-12 2014-02-24 모종 이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70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595A (ko) * 2018-03-23 2019-10-02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전동 이식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5513A (ja) 1998-12-18 2000-06-27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苗移植機
JP2003153612A (ja) * 2001-11-19 2003-05-27 Iseki & Co Ltd 甘薯苗の移植栽培方法及び移植機
JP2003230306A (ja) * 2001-12-04 2003-08-19 Seirei Ind Co Ltd 野菜移植機
JP2006320212A (ja) * 2005-05-17 2006-11-30 Iseki & Co Ltd 苗植付機
JP2010263867A (ja) * 2009-05-18 2010-11-25 Iseki & Co Ltd 施用装置付き移植機
JP2013121318A (ja) 2011-12-09 2013-06-20 Iseki & Co Ltd 移植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5513A (ja) 1998-12-18 2000-06-27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苗移植機
JP2003153612A (ja) * 2001-11-19 2003-05-27 Iseki & Co Ltd 甘薯苗の移植栽培方法及び移植機
JP2003230306A (ja) * 2001-12-04 2003-08-19 Seirei Ind Co Ltd 野菜移植機
JP2006320212A (ja) * 2005-05-17 2006-11-30 Iseki & Co Ltd 苗植付機
JP2010263867A (ja) * 2009-05-18 2010-11-25 Iseki & Co Ltd 施用装置付き移植機
JP2013121318A (ja) 2011-12-09 2013-06-20 Iseki & Co Ltd 移植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595A (ko) * 2018-03-23 2019-10-02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전동 이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7077B1 (ko) 2016-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6238B2 (ja) 苗移植機
JP2013070623A (ja) 移植機
KR101617077B1 (ko) 모종 이식기
JP6090414B2 (ja) 移植機
JP6071817B2 (ja) 苗移植機
JP5973974B2 (ja) 苗移植機
JP2016171766A (ja) 移植機
JP2008054581A (ja) 苗植機
JP2007312674A (ja) 苗植機
JP5103262B2 (ja) 移植機
JP5069169B2 (ja) 移植機
JP5609814B2 (ja) 移植機
JP3678001B2 (ja) 苗移植機
CN104429244B (zh) 苗移植机
JP2001213368A (ja) 走行体の前輪取付構造
JP5103261B2 (ja) 移植機
JP6096625B2 (ja) 苗移植機
JP3719011B2 (ja) 苗移植機
JP2015202060A5 (ko)
JP2013111041A (ja) 移植機
KR100432087B1 (ko) 모종 이식기
JP2011030451A (ja) 移植機
JP3634656B2 (ja) 苗移植機
JP4085811B2 (ja) 苗移植機の苗供給装置
JP2009284830A (ja) 苗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