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7990A - 제설장치 - Google Patents

제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7990A
KR20150027990A KR20130106503A KR20130106503A KR20150027990A KR 20150027990 A KR20150027990 A KR 20150027990A KR 20130106503 A KR20130106503 A KR 20130106503A KR 20130106503 A KR20130106503 A KR 20130106503A KR 20150027990 A KR20150027990 A KR 20150027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lastic piece
snow
shaf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6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3114B1 (ko
Inventor
최금진
Original Assignee
최금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금진 filed Critical 최금진
Priority to KR1020130106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114B1/ko
Publication of KR20150027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1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by scraper blades
    • E01H5/062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by scraper blades by scraper blades displaceable for shock-absorbing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3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by snow-plough blades tiltable for shock-absorb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제설장치는 차량에 결합되는 제 1프레임과; 제 1프레임과 마주 보도록 배치되며 제설삽날이 연결되는 제 2프레임과; 일측은 제 1프레임의 상부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제 2프레임의 상부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과; 일측은 제 1프레임의 하부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제 2프레임의 하부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과; 제 1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에 힌지결합되어 상부 프레임을 승하강시킴으로써 제설삽날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와; 그리고 하부 프레임에 배치되어 제설장치에 전달되는 상하방향의 진동을 흡수하는 상하진동 흡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설장치{Apparatus for removing snow}
본 발명은 제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제설작업중 제설삽날에 발생할 수 있는 상하방향이나 전후방향의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는 제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의 도로에 쌓이는 눈을 제설하는 방식으로 염화나트륨을 뿌려 눈을 녹이거나, 전면부에 삽날이 설치된 제설차량에 의하여 제설하는 방식이 있다.
염화나트륨을 사용하는 것은 일반 도로에 사용되기엔 많은 양의 염화나트륨을 필요로 하여 많은 비용이 소비되며 환경적인 문제까지 함께 발생하므로 도로의 전 구간을 염화나트륨을 사용하여 제설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겨울철 도로의 제설을 위해 제설차량을 많이 사용하며, 제설차량 전면부에는 삽날이 도로 위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작업자가 제설차량을 운전하면서 도로 위에 쌓인 눈을 도로의 측 방향으로 밀어 제설작업을 행한다.
도 1에는 이러한 제설차량의 일 예로서, 특허출원 제10-2012-89651호(명칭:제설기)가 제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면부에 제설장치가 장착되는 바, 제설장치는 차량에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400)과, 상기 고정 프레임(400)에 구비되어 제설판(500)을 전후좌우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틸팅 실린더(630)와, 제설판(50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하강 실린더(620)와, 눈을 밀어내는 제설판(500)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제설차량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제설판에는 상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완충 스프링이 구비되는 바, 완충 스프링은 제설판 본체에 복잡한 고정부재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교체나 수리시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공정이 복잡한 문제점 있다.
둘째, 제설작업시 제설판에 전달되는 상하방향의 진동은 완충 스프링에 의하여 1차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나, 제설차량 등에서 상하진동이 전달되어 프레임이 상하방향으로 틸팅되는 경우 이를 흡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셋째, 제설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하강 실린더는 구조가 복잡하여 보수 및 교체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특허출원 제10-2012-89651호(제설기)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제설삽날에 전달되는 상하방향 혹은 전후방향의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제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설삽날을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부분과, 상하 진동을 흡수하는 부분의 구조를 간단화함으로써 보수 및 교체가 간편한 제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결합되는 제 1프레임과;
제 1프레임과 마주 보도록 배치되며 제설삽날이 연결되는 제 2프레임과;
일측은 제 1프레임의 상부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제 2프레임의 상부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과;
일측은 제 1프레임의 하부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제 2프레임의 하부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과;
제 1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에 힌지결합되어 상부 프레임을 승하강시킴으로써 제설삽날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와; 그리고
하부 프레임에 배치되어 제설장치에 전달되는 상하방향의 진동을 흡수하는 상하진동 흡수부를 포함하는 제설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제설삽날을 차량에 연결하는 프레임 구조가 제 1 및 제 2프레임과, 상,하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일체형 구조이므로 고장이 적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둘째, 각도 조절부는 제 1 및 제 2실린더 조립체를 적용함으로써 제설삽날을 좌우로 용이하게 틸팅시킬 수 있으며, 암베어링에 의하여 링크시킴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틸팅이 가능하다.
셋째, 제설삽날을 상하로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를 실린더 방식으로 함으로써 조작이 간편하고 교체가 용이하다.
넷째, 제설장치에 전달되는 상하방향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차량에 설치되는 제 1프레임과 제설삽날에 설치되는 제 2프레임을 연결하는 하부 프레임을 힌지구조로 하고, 스프링을 장착함으로써 상하방향의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다섯째, 축부재와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완충부를 구비함으로써 제설삽날의 상하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제설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장치가 차량에 구비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설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승하강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상하진동 흡수부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완충부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상하진동 흡수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설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제설장치(1)는 차량에 결합되는 제 1프레임(5)과;
제 1프레임(5)과 마주 보도록 배치되며 제설삽날(7)이 연결되는 제 2프레임(6)과;
일측은 제 1프레임(5)의 상부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제 2프레임(6)의 상부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9)과;
일측은 제 1프레임(5)의 하부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제 2프레임(6)의 하부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11)과;
제 2프레임(6)에 연결되어 제설삽날(7)의 좌우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15)와;
제 1프레임(5)과 상부 프레임(9)에 힌지결합되어 상부 프레임(9)을 승하강시킴으로써 제설삽날(7)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13)와;
하부 프레임(11)에 배치되어 제설장치(1)에 전달되는 상하방향의 진동을 흡수하는 상하진동 흡수부(19)와; 그리고
제설삽날(7)에 구비되어 제설삽날(7)의 상하진동을 흡수하는 완충부(17)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설장치(1)에 있어서, 제 1프레임(5)은 차량의 전면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 1프레임(5)에는 제설삽날(7)을 포함한 상기 구성요소들이 결합된다. 따라서, 제설작업 등 필요시에는 제 1프레임(5)을 차량에 결합함으로써 제설삽날(7)을 차량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 1프레임(5)의 상부에는 상부 프레임(9)이 힌지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에는 하부 프레임(11)이 힌지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제설삽날(7)에 연결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9)과 하부 프레임(11)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부 프레임(9)의 일측은 프레임의 상부에 베어링 등에 의하여 힌지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제 2프레임(6)을 통하여 제설삽날(7)에 연결된다.
또한, 하부 프레임(11)은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부 프레임(11)의 일측은 제 1프레임(5)의 하부에 베어링 등에 의하여 힌지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제 2프레임(6)을 통하여 제설삽날(7)에 연결된다.
따라서, 승하강부(13)가 구동하여 상부 프레임(9)을 상부로 들어 올리게 되면, 제 2프레임(6) 및 하부 프레임(11)도 같이 들어 올려지게 되고, 제설삽날(7)도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러한 승하강부(13)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방식이며 상부 프레임(9)을 승하강시킨다. 즉, 승하강부(13)는 제 1프레임(5)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는 실린더(60)와; 실린더(60)에 장착되어 전개 및 수축(42)함으로써 상부 프레임(9)을 승하강시키는 피스톤(63)을 포함한다.
실린더(60)의 하부는 제 1프레임(5)에 힌지핀(62)에 의하여 연결되며, 피스톤(63)의 선단은 상부 프레임(9)에 힌지핀에 의하여 연결된다.
그리고, 실린더(60)는 외부의 유압장치(도시안됨)에 연결됨으로써 유압이 공급되는 경우 피스톤(63)이 전개 또는 수축(42)된다.
따라서, 제설삽날(7)을 들어올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실린더(60)에 유압이 전달되어 피스톤(63)이 상승하여 상부 프레임(9)을 들어올림으로써 제 2프레임(6)을 통하여 제설삽날(7)이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제설삽날(7)을 내리는 경우에는 실린더(60)의 피스톤(63)을 수축(42)시킴으로써 상부 프레임(9)을 내려서 제 2프레임(6)을 통하여 제설삽날(7)이 하강하게 된다.
한편, 제설삽날(7)은 승하강 뿐만 아니라 좌우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틸팅도 가능하다. 이러한 각도 조절부(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프레임(6)과 제설삽날(7)을 연결하는 한 쌍의 실린더 조립체(15a,15b)로 이루어진다.
즉, 각도 조절부(15)는 제 2프레임(6)과 제설삽날(7)을 연결하는 제 1 및 제 2실린더 조립체(15a,15b)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실린더 조립체(15a,15b)의 일단은 제 2프레임(6)에 힌지핀에 의하여 연결되고, 타단은 제설삽날(7)의 후면에 힌지핀에 의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제 1실린더 조립체(15a)를 전진시키는 경우 제설삽날(7)은 타측으로 기울어지고, 제 2실린더 조립체(15b)를 전진시키는 경우 제설삽날(7)은 일측으로 기울어진다.
결과적으로, 제설작업시 각도 조절부(15)에 의하여 제설삽날(7)의 좌우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제설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하진동 흡수부(19)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하부 프레임(11)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프레임(22,27)과; 중간 프레임(22,27)의 상부에 힌지 가능하게 장착되어 하부 프레임(11)의 상부에 접촉하는 상부 탄성편(31)과; 중간 프레임(22,27)의 하부에 힌지 가능하게 장착되어 하부 프레임(11)의 하부에 접촉하는 하부 탄성편(33)과; 상부 및 하부 탄성편(31,33)을 관통하는 축(42)과; 축(42)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부 탄성편(31)을 하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41)과; 축(42)의 상단에 체결되어 스프링(41)의 탄력성을 조절하는 조절너트(43)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상하진동 흡수부(19)에 있어서, 중간 프레임(22,27)은 수평바(27)와 수직바(22)로 이루어지는 "ㄱ" 자 형상을 갖는다. 수평바(27)는 중간 프레임(22,27)에 용접 등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며, 수직바(22)는 제 1프레임(5)의 하부에 힌지핀(P)에 의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하부 프레임(11)이 외부 진동 등에 의하여 상하로 진동하는 경우, 중간 프레임(22,27)도 같이 상하로 진동한다.
그리고, 수평바(27)의 상하에는 상부 및 하부 탄성편(31,33)이 각각 힌지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상부 탄성편(31)은 "∩" 자 형상을 갖으며, 수평바(27)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부로부터 결합되어 힌지핀(35)에 의하여 고정된다.
또한, 하부 탄성편(33)은 "∪자 형상을 갖으며 수평바(27)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하부로터 결합되고 힌지핀(35)에 의하여 고정된다. 결국, 상부 및 하부 탄성편(31,33)은 수평바(27)의 상하부를 서로 감싸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부 탄성편(31)의 선단(32)은 하부 프레임(11)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하고, 하부 탄성편(33)의 선단(34)은 하부 프레임(11)의 하면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한다.
결국, 상부 탄성편(31) 및 하부 탄성편(33)의 선단(32,34)이 하부 프레임(11)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하부 프레임(11)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경우 상부 탄성편(31) 혹은 하부 탄성편(33)에 교차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 탄성편(31)과 하부 탄성편(33)에는 축(42)이 수직방향으로 관통한 구조이다. 즉, 축(42)은 상부 탄성편(31)에 형성된 관통홀(h)을 관통하여 하부 탄성편(33)의 상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부 탄성편(31)의 상부로 돌출된 축(42) 구간에는 상기 스프링(41)이 배치된다. 이 스프링(41)은 바람직하게는 인장 스프링이며, 스프링(41)의 상단은 조절너트(43)에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하단은 상부 탄성편(31)의 상면에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상부 탄성편(31)은 이 스프링(41)에 의하여 하부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상부 탄성편(31)이 눌린 상태에서, 하부 프레임(11)이 상승하는 경우, 중간 프레임(22,27)도 상승하게 되고, 중간 프레임(22,27)이 상승하면서 상부 탄성편(31)의 저면에 접촉하여 상부로 밀어 올리게 된다. 상부 탄성편(31)이 상승하는 경우, 스프링(41)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이므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반대로, 하부 프레임(11)이 하강하는 경우, 중간 프레임(22,27)도 하강하게 되고, 중간 프레임(22,27)이 하강하면서 축(42)도 하강하게 된다. 이때, 축(42)은 스프링(41)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태이므로, 결국 하부 탄성편(33)에 전달된 충격이 흡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 프레임(11)에 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되어 승하강 하는 경우, 상부 및 하부 탄성편(31,33)에 의하여 충격이 흡수되어 완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하진동 흡수부(19)의 다른 실시예가 도 7에 도시된다. 본 실시예의 상하진동 흡수부(19)는 전 실시예에 비교하여 제 1 및 제 2탄성편(74,72)과 스프링이 한 쌍 더 구비되는 차이점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상하진동 흡수부(70)는 한 쌍의 하부 프레임(11)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및 제 2중간 프레임(88,89)과; 제 1중간 프레임(88)에 연결되어 상하 유동하는 제 1탄성편(74)과; 제 2중간 프레임(89)에 연결되며 제 1탄성편(74)과 힌지연결되어 상하 유동하는 제 2탄성편(72)과; 제 1 및 제 2탄성편(74,72)의 일측을 상하로 관통하는 제 1축(82)과; 제 1 및 제 2탄성편(74,72)의 타측을 상하로 관통하는 제 2축(83)과; 제 1축(82)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 1탄성편(74)을 하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제 1스프링(82)과; 제 2축(83)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 2탄성편(72)을 하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제 2스프링(85)과; 제 1 및 제 2스프링(84,85)의 상단에 체결되어 스프링의 탄력성을 조절하는 제 1 및 제 2조절너트(86,8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상하진동 흡수부(19)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중간 프레임(88,89)은 힌지핀(P1)에 의하여 제 1프레임(5)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하부 프레임(11)이 진동 등에 의하여 유동하는 경우 제 1 및 제 2중간 프레임(88,89)도 같이 유동한다.
제 1탄성편(74)은 "
Figure pat00001
"자 형상을 갖음으로써 일측은 제 1하부 프레임(23)의 상부에 위치하며, 타측은 제 2하부 프레임(21)의 하부에 위치한다. 또한, 제 2탄성편(72)은 "
Figure pat00002
"자 형상을 갖음으로써 일측은 제 1하부 프레임(23)의 하부에 위치하며, 타측은 제 2하부 프레임(21)의 상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탄성편(74,72)의 중간은 힌지핀(76)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또한, 제 1탄성편(74)은 제 1중간 프레임(88)에 일체로 연결되고, 제 2탄성편(72)은 제 2중간 프레임(89)에 일체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중간 프레임(88,89)이 상하로 진동하는 경우, 제 1 및 제 2탄성편(74,72)도 상하로 진동하게 된다.
이때, 제 1탄성편(74)의 일측과 제 2탄성편(72)의 타측은 제 1축(82)에 의하여 상하로 연결된 상태이고, 제 1탄성편(74)의 타측과 제 2탄성편(72)의 일측은 제 2축(83)에 의하여 상하로 연결된 상태이다.
그리고, 제 1축(82)의 상부에는 제 1스프링(82)이 배치됨으로써 제 1탄성편(74)을 아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한다. 즉, 제 1스프링(82)은 압축 스프링으로써, 그 상부는 제 1조절너트(86)에 지지되고, 하부는 제 1탄성편(74)의 상면에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제 1스프링(82)은 제 1축(82)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 1탄성편(74)을 아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제 1탄성편(74)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 이를 흡수한다.
또한, 제 2축(83)의 상부에는 제 2스프링(85)이 배치됨으로써 제 2탄성편(72)을 아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한다. 즉, 제 2스프링(85)은 압축 스프링으로써, 그 상부는 제 2조절너트(80)에 지지되고, 하부는 제 2탄성편(72)의 상면에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제 2스프링(85)은 제 2축(83)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 2탄성편(72)을 아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제 2탄성편(72)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 이를 흡수한다.
아울러, 제 1조절너트(86)는 제 1축(82)의 상부에 체결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제 1조절너트(86)를 적절하게 조이거나 푸는 경우, 제 1스프링(82)이 아래 방향으로 가압되거나 원상태로 복귀함으로써 탄성력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조절너트(80)는 제 2축(83)의 상부에 체결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제 2조절너트(80)를 조이거나 푸는 경우, 제 2스프링(85)이 아래 방향으로 가압되거나 원상태로 복귀함으로써 탄성력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완충부(1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설삽날(7)의 상하진동을 흡수한다. 이러한 완충부(17)는 제설삽날(7)의 하부에 배치된 날부(8)에 장착된 지지 브래킷(49)과; 하부는 지지 브래킷(49)에 연결되고 상부는 제설삽날(7)에 돌출된 고정 브래킷(55)에 삽입되는 축부재(43)와; 축부재(43)에 삽입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스프링(45)을 포함한다.
제설삽날(7)은 날부(8)와 본체(10)의 2부분으로 구성되는 바, 지지 브래킷(49)은 날부(8)에 배치되고, 고정 브래킷(55)은 본체(10)에 배치된다. 그리고, 축부재(43)는 하부가 지지 브래킷(49)에 볼 베어링(47)에 의하여 연결된다. 또한, 축부재(43)의 상부에는 아암(53)이 수평방향으로 장착되어 고정 브래킷(55)에 결합된다. 이 아암(53)은 삽입홀(h1)이 형성됨으로써 축부재(43)가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양측면에는 돌출부(54)가 각각 형성된다.
이 돌출부(54)는 고정 브래킷(55)의 안착홈(h2)에 각각 삽입되며, 고정 플레이트(57)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축부재(43)가 아암(53)에 의하여 고정 브래킷(55)에 고정된 상태에서, 날부(8)의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 스프링(45)에 의하여 충격이 흡수될 수 있다.
이때, 스프링(45)은 바람직하게는 인장 스프링을 포함하며, 이 스프링(45)의 상단은 상부 지지판(51)에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하단은 하부 지지판(59)에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날부(8)의 진동에 의하여 상승한 축부재(43)가 하강할 때 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충격이 흡수될 수 있다.
1: 제설장치 5: 제 1프레임
6: 제 2프레임 7: 제설삽날
9: 상부 프레임 11: 하부 프레임
13: 승하강부 15: 각도 조절부
17: 완충부 19: 상하진동 흡수부

Claims (8)

  1. 차량에 결합되는 제 1프레임과;
    제 1프레임과 마주 보도록 배치되며 제설삽날이 연결되는 제 2프레임과;
    일측은 제 1프레임의 상부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제 2프레임의 상부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과;
    일측은 제 1프레임의 하부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제 2프레임의 하부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과;
    제 1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에 힌지결합되어 상부 프레임을 승하강시킴으로써 제설삽날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와; 그리고
    하부 프레임에 배치되어 제설장치에 전달되는 상하방향의 진동을 흡수하는 상하진동 흡수부를 포함하는 제설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는 제 1프레임의 하부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는 실린더와; 실린더에 장착되어 전개 및 수축함으로써 상부 프레임을 승하강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제설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하진동 흡수부는 일측은 제 1프레임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한 쌍의 하부 프레임중 하나에 연결되는 중간 프레임과; 중간 프레임에 힌지핀에 의하여 장착되어 중간 프레임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탄성편과; 중간 프레임에 힌지핀에 의하여 장착되어 중간 프레임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부 탄성편과; 상부 및 하부 탄성편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축과; 축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부 탄성편을 하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과; 축의 상단에 체결되어 스프링의 탄력성을 조절하는 조절너트를 포함하는 제설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하진동 흡수부는 일측은 제 1프레임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한 쌍의 하부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및 제 2중간 프레임과; 제 1중간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하 유동하는 제 1탄성편과; 제 2중간 프레임에 연결되며 제 1탄성편과 힌지연결되어 상하 유동하는 제 2탄성편과; 제 1 및 제 2탄성편의 일측을 상하로 관통하는 제 1축과; 제 1 및 제 2탄성편의 타측을 상하로 관통하는 제 2축과; 제 1축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 1탄성편을 하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제 1스프링과; 제 2축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 2탄성편을 하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제 2스프링과; 제 1 및 제 2스프링의 상단에 체결되어 스프링의 탄력성을 조절하는 제 1 및 제 2조절너트를 포함하는 제설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제 1탄성편은 일측은 제 1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며, 타측은 제 2하부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 2탄성편은 일측은 제 1하부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며, 타측은 제 2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 1 및 제 2탄성편의 중간은 힌지핀에 의하여 서로 연결됨으로써, 제 1 및 제 2중간 프레임이 상하로 진동하는 경우, 제 1 및 제 2탄성편도 상하로 진동하게 되는 제설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제 2프레임과 제설삽날을 연결함으로써 제설삽날의 좌우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각도 조절부는 제 2프레임과 제설삽날을 연결하는 제 1 및 제 2실린더 조립체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실린더 조립체의 일단은 제 2프레임에 힌지핀에 의하여 연결되고, 타단은 제설삽날의 후면에 힌지핀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제설삽날에 구비되어 제설삽날의 상하진동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는 제설삽날의 하부에 배치된 날부에 장착된 지지 브래킷과; 하부는 지지 브래킷에 연결되고 상부는 제설삽날에 돌출된 고정 브래킷에 삽입되는 축부재와; 축부재에 삽입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스프링과; 축부재의 상부에 체결되어 장력을 조절하는 조절너트를 포함하는 제설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축부재는 하부가 지지 브래킷에 힌지핀에 의하여 연결되고, 축부재의 상부에는 아암이 수평방향으로 장착되어 고정 브래킷에 결합되며, 이 아암은 삽입홀이 형성됨으로써 축부재가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양측면에는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며, 이 돌출부는 고정 브래킷의 안착홈에 각각 삽입되며, 고정 플레이트에 의 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장치.









KR1020130106503A 2013-09-05 2013-09-05 제설장치 KR101573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503A KR101573114B1 (ko) 2013-09-05 2013-09-05 제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503A KR101573114B1 (ko) 2013-09-05 2013-09-05 제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990A true KR20150027990A (ko) 2015-03-13
KR101573114B1 KR101573114B1 (ko) 2015-12-01

Family

ID=53023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6503A KR101573114B1 (ko) 2013-09-05 2013-09-05 제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11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62645A (zh) * 2016-05-11 2016-08-17 山东汇强重工科技有限公司 变形双刃除雪铲
KR20180009549A (ko) * 2016-07-19 2018-01-29 주식회사 자동기 완충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제설삽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80128885A (ko) * 2016-07-19 2018-12-04 주식회사 자동기 완충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제설삽 장치
KR102563011B1 (ko) * 2022-06-28 2023-08-04 (주)에스엔건설 차량 적재형 섬유그리드 도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788B1 (ko) * 2009-01-09 2009-09-21 김용주 트랙터용 제설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62645A (zh) * 2016-05-11 2016-08-17 山东汇强重工科技有限公司 变形双刃除雪铲
KR20180009549A (ko) * 2016-07-19 2018-01-29 주식회사 자동기 완충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제설삽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80128885A (ko) * 2016-07-19 2018-12-04 주식회사 자동기 완충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제설삽 장치
KR102563011B1 (ko) * 2022-06-28 2023-08-04 (주)에스엔건설 차량 적재형 섬유그리드 도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3114B1 (ko) 201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3114B1 (ko) 제설장치
CN1069373C (zh) 带驾驶室的工程机械
CN202850074U (zh) 全自动整平机
CN201520235U (zh) 一种可调节的防雷减震座椅
ATE390341T1 (de) Frontstruktur eines kraftfahrzeuges
CN112692401A (zh) 一种在线对轨道车辆轮对再制造处理的明弧焊移动系统
CN202380507U (zh) 震动型松土器
KR20140143903A (ko) 승마 운동 기구
CN103114730B (zh) 震动装置
CN101712288A (zh) 防雷减震座椅
CN201520236U (zh) 一种防雷减震座椅
CN106005138A (zh) 摩托车脚蹬
CN211106927U (zh) 一种组合式发动机悬置结构及矿山机械车
CN202138433U (zh) 一种引导轮
CN208855345U (zh) 电动车后轮减震装置
CN205837043U (zh) 摩托车脚蹬
CN212709817U (zh) 一种抗震缓冲摩托车架
JP5704942B2 (ja) 緩衝装置及び緩衝装置付き車両
JP4595799B2 (ja) アーム部材の取り付け装置
KR20060132108A (ko) 캡 오버 트럭의 캡 틸팅장치
CN220242916U (zh) 三轮车后桥减震结构
CN1994768A (zh) 无轨无线电动公交车前悬架装置
KR20130083629A (ko) 승강 이동 및 좌우 롤링 가능한 블레이드를 갖는 제설기
CN202656851U (zh) 车辆的动力总成的悬置结构和悬置系统
CN214946880U (zh) 一种市政道路管道保护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