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011B1 - 차량 적재형 섬유그리드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적재형 섬유그리드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011B1
KR102563011B1 KR1020220079050A KR20220079050A KR102563011B1 KR 102563011 B1 KR102563011 B1 KR 102563011B1 KR 1020220079050 A KR1020220079050 A KR 1020220079050A KR 20220079050 A KR20220079050 A KR 20220079050A KR 102563011 B1 KR102563011 B1 KR 102563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grid
work
coupling
rol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건설
김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건설, 김정훈 filed Critical (주)에스엔건설
Priority to KR1020220079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0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 E01C19/522Apparatus for laying the elements by rolling or unfolding, e.g. for temporary pav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팔트의 반사균열방지 및 소성변형 억제를 위해 아스팔트 도로의 표층 아래(기층 및 절삭면 상부)에 섬유그리드를 도포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트럭에 섬유그리드를 적재한 상태에서 섬유그리드의 연속적인 도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 적재형 섬유그리드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섬유그리드 롤을 적재함에 싣고 운반하는 작업트럭의 적재함에 섬유그리드를 싣고 내리는 크레인을 설치하는 한편 작업트럭의 전방에 섬유그리드 롤을 탑재하여 바닥에 도포하는 도포장치를 장착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러 개의 섬유그리드 롤을 작업트럭의 적재함에 싣고 작업 현장에 이동한 후 작업트럭의 전방에 도포장치를 장착시킨 다음 적재트럭에 설치된 크레인을 이용하여 적재함에 실린 섬유그리드 롤을 도포장치에 탑재한 후 도포장치를 아스팔트 작업면에 밀착시키면서 작업트럭을 이동시켜 섬유그리드의 도포가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차량 적재형 섬유그리드 도포장치{Vehicle loading type fiber grid}
본 발명은 아스팔트의 반사균열방지 및 소성변형 억제를 위해 아스팔트 도로의 표층 아래(기층 및 절삭면 상부)에 섬유그리드를 도포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트럭에 섬유그리드를 적재한 상태에서 섬유그리드의 연속적인 도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 적재형 섬유그리드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스팔트는 교통하중, 지반거동 뿐만 아니라 결빙, 해빙 및 결빙을 없애는 염화물의 침입이 포장면에 수직 또는 수평 변형을 일으키는 포장균열 발생의 원인이 되고, 이러한 아스팔트는 포장체의 파손을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아스팔트의 표층 아래에 공지의 섬유그리드를 도포한 후 아스팔트 표층을 성형하고 있으며, 유리섬유 및 탄소섬유 등을 이용하여 일정 크기의 격자망 형태로 제작되는 섬유그리드는 롤 형태로 운반이 이루어지고, 지게차나 스키드로더 등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도포장치에 섬유그리드 롤을 탑재하여 도포 작업이 이루어지게 하고 있으며, 하나의 섬유그리드 롤을 장착하여 일정 길이의 도포가 이루어지면, 다른 섬유그리드 롤을 도포장치에 장착하여 연속적인 도포가 이루어지게 하고 있다.
그러나, 섬유그리드 롤이 통상 약 50m의 섬유그리드를 롤 형태로 제작되고, 그 무게는 70kg 정도가 되며, 하루의 작업 구간은 통상 3-5Km 정도이기 때문에 섬유그리드를 도포하기 위해서는 운반트럭에 여러 개의 섬유그리드 롤을 적재한 후 작업구간을 따라 이동하면서 50m 단위로 섬유그리드 롤을 도로 갓길에 배치시킨 다음 지게차나 스키드로더 등으로 이동하는 도포장치에 작업 구간에 배치된 섬유그리드 롤을 탑재하여 50m의 섬유그리드를 도포한 다음 새로운 섬유그리드 롤을 탑재하여 연속적인 작업이 이루어지게 하고 있다.
이러한 섬유그리드 도포작업은 작업구간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섬유그리드 1개의 롤이 섬유그리드 도포작업이 끝나는 위치에 정확히 배치시키기가 쉽지 않아, 작업 구간에 배치된 섬유그리드 롤을 도포장치에 탑재할 때 거리가 맞지 않아 별도의 작업자가 상당 거리를 소운반할 경우가 발생하고, 또한, 섬유그리드 롤의 무게가 많이 나가기 때문에 도포장치에 탑재할 때 작업자가 어려움을 겪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또한, 섬유그리드의 도포 작업이 진행될 때 섬유그리드 롤의 운반과정에 사용된 작업트럭은 사용하지 않고, 지게차 등의 다른 장비를 사용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인 작업이 된다.
특허등록 10-1640389호(2016.07.18. 공고) 특허등록 10-1934513호(2019.01.02. 공고) 특허등록 10-2235729호(2021.04.02. 공고) 특허등록 10-0536146호(2005.12.14. 공고)
기존의 아스팔트용 섬유그리드 도포작업은 작업구간을 따라 일정 길이마다 섬유그리드 롤을 도로 갓길에 배치한 후 지게차 등으로 이동시키는 도포장치에 섬유그리드 롤을 거치하여 도포를 한 다음 새로운 섬유그리드 롤을 거치하여 도포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섬유그리드의 도포 작업을 하기 전에 작업트럭으로 운반하는 섬유그리드 롤을 일정거리마다 배치하는 별도의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고, 정확한 위치에 섬유그리드 롤이 배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작업자가 고중량의 섬유그리드 롤을 운반하는 어려움이 있고, 또한, 섬유그리드 롤의 도포 작업시 지게차를 이용하고 섬유그리드 롤을 운반한 작업트럭은 사용하지 않는 불합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섬유그리드를 적재하여 운반하게 되는 작업트럭에 도포장치를 장착하여 작업트럭의 적재함에 실린 섬유그리드 롤을 도포장치에 탑재시킨 후 섬유그리드 도포 작업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섬유그리드 롤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작업과 별도의 작업자가 섬유그리드 롤을 소운반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한편 섬유그리드의 도포 작업시 별도로 지게차나 스키드로더 등의 추가 장비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섬유그리드 롤을 적재함에 싣고 운반하는 작업트럭의 적재함에 섬유그리드를 싣고 내리는 크레인을 설치하는 한편 작업트럭의 전방에 섬유그리드 롤을 탑재하여 바닥에 도포하는 도포장치를 장착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러 개의 섬유그리드 롤을 작업트럭의 적재함에 싣고 작업 현장에 이동한 후 작업트럭의 전방에 도포장치를 장착시킨 다음 적재트럭에 설치된 크레인을 이용하여 적재함에 실린 섬유그리드 롤을 도포장치에 탑재한 후 도포장치를 아스팔트 작업면에 밀착시키면서 작업트럭을 이동시켜 섬유그리드의 도포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섬유그리드의 도포 작업을 하기 전에 섬유그리드 롤을 작업구간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문제와 작업자가 섬유그리드 롤의 탑재하거나 일정 거리를 운반할 때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한편 섬유그리드 롤을 운반하는 트럭을 도포 작업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 길이를 갖고 롤 형태로 제작된 섬유그리드 롤을 아스팔트 작업 현장에서 도포할 때 작업구간을 따라 도로 갓길에 일정 간격으로 섬유그리드 롤을 배치시킨 후 도포하는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작업트럭의 적재함에 적재시킨 상태에서 작업트럭을 이동시키면서 도포가 이루어지게 하되 적재함에 실린 섬유그리드 롤을 크레인으로 도포장치로 이동시켜 작업의 연속성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섬유그리드 롤을 작업구간을 따라 도로 갓길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는 효과와 함께 섬유그리드 롤을 도포장치에 탑재시킬 때나 배치 간격이 맞지 않아 작업자가 추가로 운반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고, 섬유그리드의 도포 작업에서 지게차나 스키드로더 등을 이용하지 않고 섬유그리드 롤을 운반하는 작업트럭을 이용하여 빠른 시간에 작업을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작업상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섬유그리드 롤의 탑재상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도포장치에 섬유그리드 롤의 탑재 상태를 보인 요부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포장치 승하강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섬유그리드 도포상태 요부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으 섬유그리드 롤의 텐션 조절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도포장치 요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도포장치가 작업트럭에 장착하기 전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 도포장치의 결합틀 장착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 도포장치의 결합틀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도포장치가 소형 작업트럭에 장착된 상태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도포장치가 중형 작업트럭에 장착된 상태의 평면도
본 발명은 섬유그리드의 도포 작업에 있어서, 섬유그리드 롤을 적재함에 적재한 작업트럭의 전방에 도포장치를 장착하여 도포가 이루어지되 적재함의 섬유그리드 롤은 작업트럭에 탑재된 소형 크레인을 이용하여 도포장치로 이동시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작업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1-2톤 중량을 갖고, 적재함이 구비된 작업트럭의 전방에 도포장치를 장착하거나 분리하여 탈,부착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적재함의 일측 전방에는 소형 크레인을 설치하여 적재함에 실린 섬유그리드 롤을 크레인으로 들어서 도포장치로 이동시켜 탑재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적재함에 크레인이 구비된 작업트럭의 적재함에 섬유그리드 롤을 적재시키는 단계; 작업트럭을 작업현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작업트럭의 전방에 섬유그리드를 도포하는 도포장치를 장착하는 단계; 작업트럭의 적재함에 실린 섬유그리드 롤을 크레인으로 들어서 도포장치에 탑재시키는 단계; 도포장치에 탑재된 섬유그리드 롤에서 섬유그리드를 풀어서 도포장치로 누르며 도포 작업이 이루어지는 단계; 섬유그리드의 도포 작업 시 섬유그리드 롤의 섬유그리드가 완전히 도포되면 크레인으로 적재함의 섬유그리드 롤을 도포장치로 이동시켜 탑재시킴으로써 섬유그리드의 연속적인 도포작업이 이루어지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섬유그리드 롤(10)을 적재함에 여러 개 적재시키는 작업트럭(20)을 구비하되 상기 작업트럭(20)의 적재함에는 일측으로 소형 크레인(21)을 설치하고, 상기 작업트럭(20)의 전방에서 도포장치(100)를 장착하여 섬유그리드 롤(10)을 탑재시킨 상태에서 도 1과 같이 작업트럭(20)을 전진시키며 섬유그리드(11)의 도포가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에서 작업트럭(20)의 적재함에 도 2와 같이 소형 크레인(21)을 설치하고, 상기 크레인(21)을 운전하여 섬유그리드 롤(10)을 적재함에 적재하거나 적재함에 적재된 섬유그리드 롤(10)을 도포장치(100)로 이동시키는 과정은 일반적인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 10과 같이 작업트럭(20)의 전방으로 샤시에 도포장치(100)를 구성하는 결합틀(30)의 사각 결합관(31)이 끼워지는 고정구(23)를 고정한 후 결합틀(30)의 결합관(31)이 고정구(23)에 끼워진 후에는 고정핀(24)을 박아 이탈되지 않게 하고, 상기 결합관(31)은 후방으로 운반틀(40)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두 개의 결합관(31)은 일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고정관(50)으로 고정되게 하는 것으로, 고정관(50)에는 양쪽 하측으로 결합관(31)이 끼워지는 끼움구(51)를 형성한 후 끼움구(51)에 결합관(31)이 끼워지면 고정핀(52)을 끼움구(51)에 끼워 결합관(31)이 고정관(50)의 고정구(51)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고정관(50)과 운반틀(40)의 전방에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유압 실린더(60)를 힌지 결합시킴으로써 작업트럭(20)의 전방에 결합틀(30)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유압실린더(60)의 신축에 따라 운반틀(40)이 상부로 들리거나 하부로 내려지게 한다.
상기 운반틀(40)에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하측으로 스프링(41)에 탄지된 압착롤러(42)를 여러 개 설치하고, 후방에는 안내롤러(43)를 설치하는 한편 상측에는 섬유그리드 롤(10)의 중심관(12)이 끼워지는 걸이구(44)를 구비하고, 운반틀(40)의 전방에는 상측으로 섬유그리드 롤(10)에 밀착되어 섬유그리드(11)의 풀림을 조절하는 텐션 조절기(70)를 설치한다.
본 발명에서 결합틀(30)의 결합관(31)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고정관(50)의 하측으로 형성된 끼움구(51)에 결합관(31)을 끼워서 고정핀(52)으로 고정시키게 되는 것으로, 결합관(31)은 운반틀(40)에 힌지 볼 또는 유니버설 죠인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사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끼움구(51) 사이의 간격이 다른 고정관(50)을 교체함으로써, 결합관(31)이 이루는 사이 간격이 조절 될 수 있도록 한다.
즉, 고정관(50)을 교체하면 결합관(31)이 평행을 이루게 고정하거나, 결합관(31)이 벌어지는 형태로 고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며, 이 같이 결합관(31)의 선단 간격을 달리하는 이유는 1톤 작업트럭(20)에 고정되는 고정구(23)와 2.5톤 작업트럭(20a)에 고정된 고정구(23a) 사이의 간격이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1톤 작업트럭(20)의 경우, 결합관(31)을 평행인 채로 끼워서 고정구(23)에 끼운 후 고정핀(24)으로 고정하고, 2.5톤 작업트럭(20a)의 경우에는 결합관(31)이 약간 벌어진 상태로 고정구(23a)에 끼워진 후 고정핀(24)으로 고정되게 한다.
그 이유는 1톤과 2.5톤 작업트럭(20)(20a)은 샤시의 간격이 다르기 때문에 고정구(23)(23a)의 사이 간격이 다르게 되고, 이 때문에 고정관(50)(50a)을 교체하여 결합관(31)의 사이 간격을 조절한 후 작업트럭(20)(20a)의 샤시에 고정된 고정구(23)(23a)에 끼워져 고정핀(24)으로 고정되게 한다.
본 발명의 운반틀(40)과 결합틀(30) 사이에 설치된 유압실린더(60)는 고정된 결합틀(30)의 선단에서 운반틀(40)을 상부로 들어 올리거나 내리게 하는 것이고, 유압실린더(60)의 수축시 운반틀(40)의 후방이 상부로 들리게 되고, 유압실린더(60)의 신장시 운반틀(40)의 후방이 아스팔트면을 향하여 내려오게 된다.
운반틀(40)의 하부에는 일열로 스프링(41)에 탄지된 롤러(42)를 설치함으로써, 롤러(42)가 운반틀(40)의 무게에 의해 지면을 압착하게 되고, 롤러(42)는 스프링(41)에 받쳐져 있기 때문에 롤러(42)가 일정한 압력으로 아스팔트면을 누르게 되며, 상기 롤러(42)의 저면으로 섬유그리드(11)가 도포되기 때문에 롤러(42)는 섬유그리드(11)를 일정한 압력으로 누르게 된다.
즉, 운반틀(40)의 걸이구(44)에 중심관(12)이 끼워진 섬유그리드 롤(10)에서 풀리게 되는 섬유그리드(11)는 안내롤러(43)에 받쳐진 후 압착롤러(42)의 하측에 받쳐지기 때문에 작업차량(20)의 전진에 따라 섬유그리드(11)는 압착롤러(42)에 받쳐진 채로 펼쳐지게 된다.
이러한, 섬유그리드 롤(10)은도 6과 같은 텐션조절기(70)에 의해 풀림이 조절되는 것으로, 조절롤러(71)가 작업레버(72)에 의해 회동하면서 섬유그리드 롤(10)의 외측에 밀착되거나 분리되고, 상기 조절롤러(71)는 스프링(73)에 탄지된 채로 설치되기 때문에 작업레버(72)로 조절롤러(71)가 섬유그리드 롤(10)의 외측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섬유그리드(11)가 일정한 속도로 펼쳐지게 한다.
본 명은 적재함에 크레인(21)이 구비된 작업트럭(20)의 적재함에 섬유그리드 롤(10)을 적재시키는 단계를 수행하고, 섬유그리드 롤(10)이 적재된 적업트럭(20)을 작업현장으로 운전하여 이동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며, 작업트럭(20)의 전방에 섬유그리드(11)를 도포하는 도포장치(100)를 장착한 다음 작업트럭(20)의 적재함에 실린 섬유그리드 롤(10)을 크레인(21)으로 들어서 도포장치(100)에 탑재시키는 단계를 수행하고, 도포장치(100)에 탑재된 섬유그리드 롤(10)에서 섬유그리드(11)를 풀어서 도포장치(100)의 압착롤러(42)로 누르면서 작업트럭(20)을 운전하여 섬유그리드(11)의 도포 작업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수행한다.
섬유그리드 롤(10)에 감긴 섬유그리드(11)가 완전히 풀리게 되면 도포작업을 정지한 후 크레인(21)으로 적재함의 섬유그리드 롤(10)을 도포장치(100)로 이동시켜 탑재시킴으로써 섬유그리드(11)의 연속적인 도포작업이 중단없이 이루어지게 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 기존과 같이 섬유그리드 롤(10)을 작업 구간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과정이 불필요하고, 도포장치(100)에 새로운 섬유그리드 롤(10)을 탑재실 때 크레인(21)을 이용하여 힘들이지 않고 작업할 수 있으며, 작업트럭(20)을 이용하기 때문에 빠른 속도의 작업이 가능하고, 기존에 사용한 지게차 등을 사용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도포장치(100)는 작업트럭(20)에 장착된 상태로 사용하거나, 이동시에는 도포장치(100)를 분리한 후 작업현장에서만 도포장치(100)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서, 작업차량(20)의 적재함에는 크레인(21)을 이용하거나,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다량의 섬유그리드 롤(10)의 적재가 이루어지고, 이 상태에서 작업현장으로 작업트럭(20)을 이동시킨 후 도포장치(100)를 장착하거나, 도포장치(100)를 장착한 후 작업현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하에서는 도포장치(1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작업현장에 도착하면, 도 2와 같이 크레인(21)을 이용하여 도 3과 같이 섬유그리드 롤(10)을 도포장치(100)의 운반틀(40)을 구성하는 걸이구(44)에 섬유그리드 롤(10)의 중심관(12)이 걸쳐진 상태로 탑재시킨 다음 섬유그리드 롤(10)에서 섬유그리드(11)을 풀어서 안내롤러(43)에 받쳐진 채로 바닥에 깔리게 하고, 이 상태에서 유압실린더(60)를 이용하여 도 4와 같이 도포장치(100)를 하강시킴으로써 섬유그리드(11)가 압착롤러(42)로 눌리게 하며, 상기 압착롤러(42)는 스프링(41)에 탄지되어 일정한 압력으로 누르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텐션조절기(70)의 일정한 속도로 풀리게 되는 것으로, 작업레버(72)로 스프링(73)에 탄지된 조절롤러(71)를 섬유그리드 롤(10)의 외측에 밀착시킴으로써, 섬유그리드(11)가 일정한 속도로 펼쳐지게 된다.
이 같이 본 발명은 섬유그리드 롤(10)을 도포장치(100)에 탑재한 후 섬유그리드(11)를 펼치면서 도포장치(100)를 하강시켜 압착롤러(42)가 섬유그리드(11)를 누르게 한 상태에서 작업차량(20)을 전진시킴으로써, 바닥에 섬유그리드(11)가 깔리게 된다.
한편, 섬유그리드 롤(10)에는 50m의 섬유그리드(11)가 감겨져 있기 때문에 50m 정도를 도포한 후에는 새로운 섬유그리드 롤(10)를 탑재하여야 하는 것으로, 섬유그리드(11)의 도포가 끝나면 텐션 조절기(70)의 작업레버(72)로 조절롤러(71)를 들어준 다음 중심관(12)을 들어내고, 크레인(21)을 운전하여 작업트럭(20)의 적재함에 실린 섬유그리드 롤(10)을 도포장치(100)에 탑재시키게 되고, 새로운 섬유그리드 롤(10)의 탑재가 완료되면 유압실린더(60)로 운반틀(40)을 상부로 들어서 새로운 섬유그리드(11)가 연속적으로 깔리게 한 다음 운반틀(40)를 하부 이동시키면서 텐션조절기(70)의 조절롤러(71)가 압착되게 한 후 작업트럭(20)을 운전하여 연속적인 섬유그리드(11)의 도포가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은 섬유그리드 롤(10)에 감긴 섬유그리드(11)를 도포한 후에 새로운 섬유그리드 롤(10)를 탑재시킬 때 작업트럭(20)의 적재함에 실린 섬유그리드 롤(10)을 탑재시키는 것이어서, 기존과 같이 미리 작업구간에 배치한 섬유그리드 롤(10)를 들어서 탑재시키는 번거로움과 해소시키는 한편 작업자가 크레인(21)을 이용하기 때문에 힘들이지 않고 작업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도 10내지 도 12와 같이 결합틀(30)은 고정관(50)을 교체함으로써, 결합관(31)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작업차량(20)(20a)에 따라 샤시의 폭이 다르기 때문에 고정구(23)(23a)의 간격이 다르게 되고, 이로 인하여 소형 또는 중형 작업트럭(20)(20a)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끼움구(51)의 간격이 다른 고정관(50)(50a)을 교체하면 된다.
즉, 고정관(23)(23a)을 별도로 준비하여 작업트럭(20)(20a)의 크기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작업트럭(20)(20a)의 크기에 관계없는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작업트럭(20)을 이용하여 섬유그리드 롤(10)을 싣고 다니며 도포 작업을 하기 때문에 기존의 작업구간에 일정 간격으로 섬유그리드 롤(10)을 배치한 후 도포 작업을 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 작업을 할 수 있는 이점과 함께 작업속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10 : 섬유그리드 롤 11 : 섬유그리드
20 : 작업트럭 21 : 크레인
23 : 고정구 30 : 결합틀
31 : 결합관 40 : 운반틀
41 : 스프링 42 : 롤러
50: 고정관 51 : 끼움구
60 : 유압실린더 70 : 텐션조절기
71 : 조절롤러 73 : 스프링
100 : 도포장치

Claims (5)

  1. 크레인(21)이 구비되고 적재함에 섬유 그리드 롤(10)을 적재하여 이동시키는 작업트럭(20)을 구비하고,
    작업트럭(20)의 샤시 전방에는 양쪽으로 결합틀(30)을 장착하는 고정구(23)를 결합 고정하고,
    상기 고정구(23)에는 결합관(31)을 끼워 고정시키는 한편 결합관(31) 사이는 고정관(50)을 체결하여 그 폭이 고정되는 결합틀(30)을 구성하되 상기 결합관(31)의 전방으로 운반틀(40)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편 상기 결합관(31) 사이는 고정관(50)으로 고정시키되 상기 고정관(50)은 양쪽으로 결합관(31)이 끼워지는 끼움구(51)를 형성한 후 상기 끼움구(51)에 결합관(31)이 끼워지게 고정관(50)을 설치한 다음 끼움구(51)의 측면으로 고정핀(52)을 끼워 고정시키고,
    상기 결합틀(30)의 전방에는 섬유 그리드 롤(10)을 탑재시키는 운반틀(40)을 결합시켜 도포장치(100)를 구성하되 상기 운반틀(40)은 섬유그리드 롤(10)이 받쳐지는 걸이구(44)가 구비되고, 상기 걸이구(44)에 걸쳐진 섬유그리드 롤(10)의 섬유그리드(11)가 받쳐지는 안내롤러(43)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롤러(43)에 받쳐진 섬유그리드(11)를 스프링(41)에 탄지된 압착롤러(42)로 압착시키며 도포되게 하고, 상기 운반틀(40)과 결합틀(30) 사이에는 유압실린더(60)를 설치하여 운반틀(40)의 상하 회동이 이루어지게 하며,
    상기 운반틀(40)에는 섬유그리드 롤(10)의 풀림을 조절하는 텐션 조절기(70)를 설치하고, 상기 텐션 조절기(70)는 섬유그리드 롤(10)의 외측에 밀착되어 풀림이 일정하게 조절하는 조절롤러(71)를 설치하고,
    상기 운반틀(40)은 작업트럭(20)의 적재함에 적재되어 크레인(21)으로 운반되는 섬유그리드 롤(10)을 탑재한 후 섬유그리드(11)를 압착롤러(42)로 압착시키며 바닥에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형 섬유그리드 도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79050A 2022-06-28 2022-06-28 차량 적재형 섬유그리드 도포장치 KR102563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050A KR102563011B1 (ko) 2022-06-28 2022-06-28 차량 적재형 섬유그리드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050A KR102563011B1 (ko) 2022-06-28 2022-06-28 차량 적재형 섬유그리드 도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3011B1 true KR102563011B1 (ko) 2023-08-04

Family

ID=87568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050A KR102563011B1 (ko) 2022-06-28 2022-06-28 차량 적재형 섬유그리드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011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3816A (ja) * 1998-05-07 1999-11-26 Niigata Eng Co Ltd 舗装材の製造装置
KR20030012450A (ko) * 2001-08-01 2003-02-12 금호산업 주식회사 노면 제설장치
KR100536146B1 (ko) 2004-12-21 2005-12-14 (주)에스엔건설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재 도포방법
KR100536147B1 (ko) * 2004-12-21 2005-12-14 (주)에스엔건설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재 도포방법
KR20130019731A (ko) * 2011-08-17 2013-02-27 주식회사 토탈페이브시스템 도로포장의 보수장비
KR101456200B1 (ko) * 2014-02-19 2014-10-31 김영석 차량연결용 제설 그레이더
KR20150027990A (ko) * 2013-09-05 2015-03-13 최금진 제설장치
KR101640389B1 (ko) 2016-03-03 2016-07-18 주식회사 에이스로드텍 아스팔트 보강용 섬유그리드 도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포방법
KR101934513B1 (ko) 2018-05-04 2019-01-02 주식회사 에코텍스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를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오그리드 포설 장치
KR102235729B1 (ko) 2020-07-02 2021-04-02 (유)이지스건설 균일한 두께의 도막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는 도막방수재 도포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245846B1 (ko) * 2020-08-28 2021-04-28 우백건설 주식회사 도막 방수제 조성물을 이용한 구조물 방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3816A (ja) * 1998-05-07 1999-11-26 Niigata Eng Co Ltd 舗装材の製造装置
KR20030012450A (ko) * 2001-08-01 2003-02-12 금호산업 주식회사 노면 제설장치
KR100536146B1 (ko) 2004-12-21 2005-12-14 (주)에스엔건설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재 도포방법
KR100536147B1 (ko) * 2004-12-21 2005-12-14 (주)에스엔건설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재 도포방법
KR20130019731A (ko) * 2011-08-17 2013-02-27 주식회사 토탈페이브시스템 도로포장의 보수장비
KR20150027990A (ko) * 2013-09-05 2015-03-13 최금진 제설장치
KR101456200B1 (ko) * 2014-02-19 2014-10-31 김영석 차량연결용 제설 그레이더
KR101640389B1 (ko) 2016-03-03 2016-07-18 주식회사 에이스로드텍 아스팔트 보강용 섬유그리드 도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포방법
KR101934513B1 (ko) 2018-05-04 2019-01-02 주식회사 에코텍스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를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오그리드 포설 장치
KR102235729B1 (ko) 2020-07-02 2021-04-02 (유)이지스건설 균일한 두께의 도막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는 도막방수재 도포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245846B1 (ko) * 2020-08-28 2021-04-28 우백건설 주식회사 도막 방수제 조성물을 이용한 구조물 방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2029B1 (en) Carrier apparatus and method
US8591143B1 (en) Fragmented slab lifting apparatus and method
US9028199B2 (en) Sod positioning machine
JP6692264B2 (ja) 連続ベルトコンベア装置及び連続ベルトコンベアの延伸方法
US7540687B2 (en) Skid steer loader attachment for performing road widening and shouldering jobs
CN102359385A (zh) 隧道防水板铺挂装置
US10368500B2 (en) Sod positioning machine
US9482021B2 (en) Slide and lower modular enclosure transfer system
KR102563011B1 (ko) 차량 적재형 섬유그리드 도포장치
KR102235729B1 (ko) 균일한 두께의 도막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는 도막방수재 도포장치 및 그 시공방법
US4699330A (en) Apparatus for laying paving fabric
US10368501B2 (en) Sod positioning machine with sod hold down member
US33028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the crane deck from a crane carrier
KR102056639B1 (ko) 도막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스프레드머신
JP2019014599A (ja) フォークリフト用運搬据付治具及びそれを用いた部材運搬据付方法
ITUD20100106A1 (it) "paratia terminale per banco di stesa per vibrofinitrice stradale"
JP2956918B2 (ja) 成形パネルの仕分装置
JP4518230B2 (ja) トンネル内での重量物設置方法
US3011651A (en) Log loader
JP3524589B2 (ja) 転轍器交換作業車
CN210972768U (zh) 一种在水利工程斜面上自动铺砂的装置
US20220412019A1 (en) Automated nulling screed assembly
JP3103639U (ja) ボックスカルバートの搬送・据付装置
CN116971614A (zh) 一种混凝土找平及覆膜装置
KR20230049276A (ko) 보행매트 자동설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