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9276A - 보행매트 자동설치장치 - Google Patents

보행매트 자동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9276A
KR20230049276A KR1020210132187A KR20210132187A KR20230049276A KR 20230049276 A KR20230049276 A KR 20230049276A KR 1020210132187 A KR1020210132187 A KR 1020210132187A KR 20210132187 A KR20210132187 A KR 20210132187A KR 20230049276 A KR20230049276 A KR 20230049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king mat
walking
roll
moving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낙훈
Original Assignee
성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낙훈 filed Critical 성낙훈
Priority to KR1020210132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9276A/ko
Publication of KR20230049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92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 E01C19/522Apparatus for laying the elements by rolling or unfolding, e.g. for temporary pav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2Supporting web roll
    • B65H16/06Supporting web roll both-ends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3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omposition used for beds or joint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la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8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vegetable stems, e.g. straw, thatch ; made of tex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65H2301/4134Both ends type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22Specific article or web for covering surfaces such as carpets, roads, roofs 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매트가 감압된 보행매트롤의 지름의 크기와 무게에 상관없이 승강되는 1점식링크부에 장착시켜서, 이러하게 1점식링크부에 설치된 롤안착지지부에 안착된 보행매트롤을 인출시켜서 경사로 또는 평사로의 지면에 힘들이 않고 신속하고 손쉽게 연속적으로 장거리 설치하도록한 보행매트 자동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행매트 자동설치장치{Device for automatically installing walking mat}
본 발명은 보행매트 자동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한궤도 또는 이동바퀴를 구비한 차대에 보행매트롤의 지름의 크기와 무게에 상관없이 승강되는 양 1점식링크부에 안착시켜서 이 양 1점식링크부에 안착된 보행매트롤에서 공급되는 보행매트를 차대의 타측에서 차대의 하부면으로 안내하여 경사로 또는 평사로의 지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한 보행매트 자동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행매트 자동설치장치와 관련된 기술은;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20-0045369호(2020년b05월b04일 공개)의 "보행매트 고정유닛과 이를 이용한 보행매트 시공방법 "은;
보행로에 펼쳐져 보행자에게 보행 방향을 안내하거나 우천 또는 해빙기 시 연약해지는 지면을 보호하기 위한 보행매트를 상기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보행매트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방이 개방된 결합홈이 형성된 지지파일을 상기 보행로의 연장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지면에 삽입장착하는 지지파일 지면삽입단계와; 상기 보행매트가 상기 지지파일의 상방에 위치되게 상기 보행로를 따라 상기 보행매트를 펼치는 매트펼침단계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단이 하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고정핀을 상기 보행매트에 관통시키며 상기 보행매트가 상기 고정핀의 상단에 의해 구속되어 지면에 밀착되게 상기 지지파일의 결합홈 삽입장착하는 매트고정단계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보행로에 보행매트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보행매트직조공장에서 10m의 길이로 구비된 보행매트를 공급받아 보행매트를 설치하고자하는 장소로 이동하는데 이 10m의 보행매트롤은 무게도 또한 50kg이상에 달하여서 이를 운반차에 싣고 내리는 작업자에게 많은 불편함과 수고스럼이 있었고, 특히, 보행로가 산중의 경사지어진 보행로일 경우에는 작업자에게 보행매트롤의 이동에 대한 극히 심한 스트레스와 불편함 및 수고스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행매트롤의 이동제한을 극복하여서 보행매트롤을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도착하고 난 다음에, 보행로에 지지파일 지면삽입단계를 거치고 난 다음에, 다시 10m의 길이로 감압되어진 보행매트롤을 펼치는 매트펼침단계를 행하는데 이 보행매트롤을 펼치는데 보행매트롤의 무게가 50kg에 달하여서 이를 다루는 작업자에 많은 피로감과 불편함을 주었다.
또한, 보행매트롤을 보행로에 다수개로 설치하고자 하는 길이만큼 설치한 다음에, 10m의 길이를 갖는 보행매트들을 서로 연결하는 작업자의 피로감과 수고스럼이 많이 발생되었고, 보행로에 보행매트를 지지파일로 고정하는 매트고정단계를 행하여 보행매트를 경사로 또는 평사로의 지면에 설치하는 많은 번거로움과 수고스럼이 발생되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20-0045369호(2020년 05월 04일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보행매트가 감압된 보행매트롤의 지름의 크기와 무게에 상관없이 승강되는 1점식링크부에 장착시켜서, 이러하게 1점식링크부에 설치된 롤안착지지부에 안착된 보행매트롤을 인출시켜서 경사로 또는 평사로의 지면에 힘들이 않고 신속하고 손쉽게 연속적으로 장거리 설치하도록한 새로운 보행매트 자동설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점식링크부의 롤안착지지부부에 안착된 보행매트롤에서 인출되는 보행매트를 차대의 타측에서 차대하부로 공급하여 경사로 또는 평사로의 지면에 깔면서 차대의 하부에 구비된 무한궤도의 무게로 자동으로 손쉽게 지면상에 보행매트를 자동으로 평탄화작업을 하도록한 새로운 보행매트 자동설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차대(11)를 구비한 이동 및 구동수단부(10)와; 상기 차대(11)의 타측 상부면에 복수개로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안내레일부(20)와; 양 상기 안내레일부(20)의 상부에서 하부가 이동되어 상부가 승강되게 구비되고, 양 상기 안내레일부(20)의 상부면과 연계되어 각각 설치된 1점식링크부(30)와; 양 상기 1점식링크부(30)의 하부에 힌지(h)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안내레일부(20)의 상부면에서 이동되어지는 이동부(40)와; 양 상기 1점식링크부(30)의 내측사이에 설치되어 보행매트가 감압된 보행매트롤(a)이 안착되게 구비된 롤안착지지부(50)와; 상기 이동부(40)를 상기 안내레일부(20)의 상부면에서 모터(m)의 구동원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60)과; 상기 이동 및 구동수단부(10)와 상기 모터(m)를 제어하는 제어부(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60)은 상기 차대(11)에 일측에 수평으로 설치된 모터(m)와, 상기 모터(m)에서 수평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구동축(m1)과, 상기 구동축(m1)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나사산(n)과, 상기 안내레일부(20)의 상부면에서 이동가능하게 에 설치된 복수개의 상기 이동부(40)와, 상기 구동축(m1)의 상기 나사산(n)이 나사결합되게 양 상기 이동부(40)에 수평으로 형성된 나사공(nh)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지지안착부(50)는 복수개로 구비된 본체(51)와, 상기 본체(5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보행매트롤(a)의 양측에 설치된 안착봉(a1)이 안착되게 구비된 안착결합홈(52)과, 상기 본체(5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복수개의 결합공(51a)을 갖는 결합홈(53)과, 복수개의 승강바(31)가 힌지(h)로 x자형으로 구비된 상기 1점식링크부(30)가 복수개로 구비되며, 양 상기 1점식링크부(30)를 구성하는 양 승강바(31)중 어느 하나의 승강바(31)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통공(31a)과, 상기 결합홈(31a)에 형성된 결합공(51a)이 서로일치되어 상기 결합통공(31a)과 상기 결합공(51a)에 볼트(51b)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대(11)의 일측에는 상기 보행매트롤(a)이 상기 롤지지안착부(50)에 안내되어 견인되도록 보행매트롤 견인부(8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행매트롤 견인부(80)는 모터(m)의 구동축(m1)과 연계된 회전부(81)와, 상기 회전부(81)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감압홈(82)과, 상기 감압홈(82)의 외측둘레에 견인와이어(83)가 감압되어 구비되고, 상기 견인와이어(83)의 타측에는 상기 보행매트롤(a)을 견인할 수 있는 견인고리(8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견인고리(84)는 그 일측이 만곡된 갈고리형으로 형성된 갈고리부(84b)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 상기 1점식링크부(30)의 타측하부면에 위치하여 상기 차대(11)의 타측면에 복수개로 설치된 안내롤러부(90)와, 상기 안내롤러부(90)들은 상기 롤지지안착부(50)에 설치된 상기 보행매트롤(a)에서 보행매트(a2)를 공급받아 지면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대(11)의 일측에는 상기 롤지지안착부(50)에 안착된 보행매트롤(a)에서 공급되는 보행매트(a2)가 지면의 상부면에 설치된 뒤에 보행매트(a2)를 지면에 고정되게 고정핀(101)을 공급하여 고정핀(101)을 상기 보행매트(a2)에 타정시키는 고정핀공급 및 고정핀타정수단(1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40)는 하부에 안착홈부(41)가 형성되어 상기 안내레일부(20)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상기 이동부(40)의 상부는 상기 1점식링크부(30)를 구성하는 승강바(31)의 하부와 힌지(h)로 연결되게 상부연결부(4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 및 구동수단(10)은 무한궤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행매트가 감압된 보행매트롤의 지름의 크기와 무게에 상관없이 승강되는 1점식링크부에 장착시켜서, 이러하게 1점식링크부에 설치된 롤안착지지부에 안착된 보행매트롤을 인출시켜서 경사로 또는 평사로의 지면에 힘들이 않고 신속하고 손쉽게 연속적으로 장거리 설치하는 새로운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점식링크부의 롤안착지지부부에 안착된 보행매트롤에서 인출되는 보행매트를 차대의 타측에서 차대하부로 공급하여 경사로 또는 평사로의 지면에 깔면서 차대의 하부에 구비된 무한궤도의 무게로 자동으로 손쉽게 지면상에 보행매트틀 자동으로 평탄화작업을 하는 새로운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1점식링크부와, 이동부와, 안내레일부와, 이동수단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1점식링크부에 설치된 롤안착지지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롤안착지지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을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매트롤 견인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내롤러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핀공급 및 고정핀타정수단을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1점식링크부에 보행매트롤이 안착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매트롤의 지름에 따른 1점식링크부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1점식링크부와,이동부와, 안내레일부와, 이동수단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1점식링크부에 설치된 롤안착지지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롤안착지지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매트롤 견인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내롤러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핀공급 및 고정핀타정수단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1점식링크부에 보행매트롤이 안착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매트롤의 지름에 따른 1점식링크부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행매트 자동설치장치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보행매트 자동설치장치는 이동 및 구동수단부(10)와, 안내레일부(20)와, 1점식링크부(30)와, 이동부(40)와, 롤안착지지부(50)와, 이동수단(60)과, 제어부(70)와, 보행매트롤 견인부(80)와, 안내롤러부(90)와, 고정핀공급 및 고정핀타정수단(1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 및 구동수단부(1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및 구동수단부(10)의 상부에 차대(11)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이동 및 구동수단부(10)는 무한궤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수개의 이동바퀴로도 구성될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이동 및 구동수단부(10)를 무한궤도로 구성되는 것은, 상기 무한궤도의 고유무게로 인해 상기 차대(11)에 구비되는 1점식링크부(30)에 설치된 보행매트롤(a)에서 인출되는 보행매트(a2)가 차대(11)의 타측에서 무한궤도로 구성된 상기 이동 및 구동수단부(10)의 하부면으로 안내되어 경사로 또는 평사로의 지면에 깔리면서 지면에 보행매트(a2)의 상부면을 무한궤도의 무게로 자연스럽게 평탄화작업시켜서 종래의 보행매트(a2)를 보행로(경사로 또는 평사로의 지면)에 별도의 평탄화수단으로 번거롭고 수고스러운 평탄작업을 하지 않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차대(11)의 상부면에는 타측 상부에 복수개의 안내레일부(20)가 설치되고 이 안내레일부(20)에 안착되는 이동부(40)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40)들상에 1점식링크부(30)가 설치되고, 상기 1점식링크부(30)에 롤안착치지부(50)가 설치되어서 상기 롤안착지지부(50)에 보행매트롤(a)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차대의 상부면의 일측에는 고정핀공급 및 고정핀타정수단(100)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안내레일부(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안내레일부(20)는 상기 차대(11)의 타측 상부면에 복수개로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양 상기 안내레일부(20)의 상부면에 후술되는 이동부(40)의 하부면이 안착되게 이동되게 구성된다.
또한, 양 상기 안내레일부(20)는 상,하부의 양측에 각각 걸림턱(21)이 형성된 "I"형자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양 상기 걸림턱(21)에는 상기 이동부(40)의 하부에 형성된 안착홈(41)이 결합되어서, 상기 이동부(40)의 하부가 상기 안내레일부(20)의 상부면에서 양 상기 걸림턱(21)으로 인해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되게 구성된다.
상기 1점식링크부(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1점식 링크부(30)는 양 상기 안내레일부(20)의 상부에서 하부가 이동되어 상부가 승강되게 구비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1점식링크부(30)는 양 상기 안내레일부(20)의 상부면과 연계되어 각각 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1점식링크부(30)는 복수개의 승강바(31)가 "X"자형으로 구성되고, 양 상기 승강바(31)가 만나는 중앙지점에 힌지(h)가 관통결합되어 구성된다.
또한, 양 상기 승강부(31)의 하부에는 상기 안내레일부(20)의 상부면에서 이동되어지는 이동부(40)의 상부와 힌지(h)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이동부(40)는 하부에 안착홈부(41)가 형성되어 상기 안내레일부(20)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이동부(40)의 상부는 상기 1점식링크부(30)를 구성하는 승강바(31)의 하부와 힌지(h)로 연결되게 상부연결부(42)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상부연결부(42)에는 상기 승강바(31)의 하부가 상기 힌지로(h)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차대(11)에 설치된 양 상기 안내레일부(20)에서 이동되는 상기 이동부들에 상기 승강바(31)가 힌지(h)들로 연결되어 상기 안내레일부(20)의 상부면에서 승강되어지는 상기 1점식링크부(30)로 인해 보행매트(a2)가 감압된 상기 보행매트롤(a)의 지름크기에 맞추어서 상기 1점식링크부(30)를 상기 차대(11)상에서 상승 및 하강시켜서 상기 1점식링크부(30)에 구비된 롤안착지지부(50)에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러하게 상기 보행매트롤(a)의 지름의 크기가 커지면 그 무게도 또한 늘어나는데 이러하게 늘어나는 무게는 작업자가 컨트롤할 수 없는 무게로서, 이를 극복하기위해서, 무게가 늘어난 상기 보행매트롤(a)을 장착한 상기 1점식링크부(30)의 하부가 설치된 상기 차대(11)에 무한궤도의 이동 및 구동수단(10)으로 이동을 자유롭게 하도록 한다.
상기 이동부(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40)는 양 상기 1점식링크부(30)의 하부에 힌지(h)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안내레일부(20)의 상부면에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이동부(40)의 상부에는 상부연결부(42)가 형성되어서 상기 1점식링크부(30)를 구성하는 상기 승강바(31)의 하부와 힌지(h)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40)의 하부에는 안착홈(4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안착홈(41)은 상기 안내레일부(20)의 상부면 및 상기 안내레일부(20)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걸림턱(21)에 걸려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홈(41)의 양 하부에는 이탈방지턱(43)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 상기 이탈방지턱(43)은 상기 안착홈(41)이 상기 안내레일부(20)의 상부면에 안착되어지고 상기 걸림턱(21)에 걸려서 상기 안착홈(41)을 갖는 상기 이동부(40)가 상기 안내레일부(20)에서 탈선되지 않게 안정적으로 상기 안내레일부(20)의 상부에 안착되어 이동되게 구성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롤안착지지부(5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롤안착지지부(50)는 양 상기 1점식링크부(30)의 내측사이에 설치되어 보행매트(a2)가 감압된 보행매트롤(a)이 안착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롤지지안착부(50)는 복수개로 구비된 본체(51)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5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보행매트롤(a)의 양측에 설치된 안착봉(a1)이 안착되게 구비된 안착결합홈(5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5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복수개의 결합공(51a)을 갖는 결합홈(53)으로 구성된다.
한편, 복수개의 승강바(31)가 힌지(h)로 x자형으로 구비된 상기 1점식링크부(30)가 복수개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양 상기 1점식링크부(30)를 구성하는 양 승강바(31)중 어느 하나의 승강바(31)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통공(31a)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홈(31a)에 형성된 결합공(51a)이 서로일치되어 상기 결합통공(31a)과 상기 결합공(51a)에 볼트(51b)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롤지지안착부(50)는 상기 보행매트롤(a)의 무게가 증가되어 그 증가된 무게를 견딜수 있도록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이동수단(60)은 도 1, 도 2, 도 5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수단(60)은 상기 이동부(40)를 상기 안내레일부(20)의 상부면에서 모터(m)의 구동원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이동수단(60)은 상기 차대(11)에 일측에 수평으로 설치된 모터(m)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모터(m)는 복수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모터(m)에서 수평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구동축(m1)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구동축(m1)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나사산(n)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내레일부(20)의 상부면에서 이동가능하게 에 설치된 복수개의 상기 이동부(40)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m1)의 상기 나사산(n)이 나사결합되게 양 상기 이동부(40)에 수평으로 형성된 나사공(nh)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양 상기 이동부(40)중 상기 안내레일부(20)의 상부면 타측에 설치된 상기 이동부(40)는 상기 안내레일부(20)의 타측상부면에 고정되고, 양 상기 이동부(40)중 상기 안내레일부(20)의 상부면 일측에 설치된 상기 이동부(40)에 형성된 상기 나사공(nh)은 상기 모터(m)의 구동축(m1)과 연결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1점식링크부(30)는 상기 승강바(31)가 상기 힌지(h)로 x자형으로 형성되고, 양 상기 승강바(31)의 하부에 상기 힌지(h)로 연결된 상기 이동부(40)로 구성되며, 양 상기 이동부(40)와 결합되게 양 상기 이동부(40)의 하부에 상기 안내레일부(2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하부에 상기 안내레일부(20)의 상부에서 이동되는 상기 1점식링크부(30)는 복수개로 횡방향으로 상기 차대(11)의 상부면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차대(11)의 상부에 복수개로 상기 1점식링크부(30)를 구성하는데, 양 상기 1점식링크부(30)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승강바(31)의 상기 나사공(nh)에 상기 모터(m)의 상기 구동축(m1)이 연결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m)의 상기 구동축(m1)은 복수개의 상기 1점식링크부(30)를 구성하는 상기 승강바(31)의 나사공(nh)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모터(m)의 상기 구동축(m1)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구동축(m1)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나사산(n)과 상기 이동부(40)의 상기 나사공(nh)이 나사결합되어서 이러하게 상기 구동축(m1)과 나사결합되어진 상기 이동부(40)는 상기 안내레일부(20)상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 되는데. 이때 양 상기 이동부(40)중 일측의 상기 이동부(40)는 상기 구동축(m1)과 연결되어 상기 안내레일부(20)의 일측상부면에서 이동되게 설치되고, 양 상기 이동부(40)중 타측의 상기 이동부(40)는 상기 안내레일부(20)의 타측에 고정설치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40)의 상기 상부연결부(42)의 상기 힌지(h)로 연결되어진 상기 승강바(31)는 기립상승하게 되어 상기 1점식링크부(30)는 상승하게 되어진다.
또한, 상기 모터(m)의 상기 구동축(m1)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구동축(m1)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나사산(n)과 상기 이동부(40)의 상기 나사공(nh)이 나사결합되어서 이러하게 상기 구동축(m1)과 나사결합되어진 상기 이동부(40)는 상기 안내레일부(20)상에서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 되는데. 이때 양 상기 이동부(40)중 일측의 상기 이동부(40)는 상기 구동축(m1)과 연결되어 상기 안내레일부(20)의 일측상부면에서 이동되게 설치되고, 양 상기 이동부(40)중 타측의 상기 이동부(40)는 상기 안내레일부(20)의 타측에 고정설치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40)의 상기 상부연결부(42)의 상기 힌지(h)로 연결되어진 상기 승강바(31)는 하강하게 되어 상기 1점식링크부(30)는 상승하게 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작용으로서, 상기 보행매트롤(a)의 지름의 크기에 맞추어서 상기 1점식링크부(30)를 상승 및 하강하여 상기 보행매트롤(a)의 지름의 크기 맞게 상기 1점식링크부(30)를 승강시켜서 상기 1점식링크부(30)에 구비된 상기 롤안착지지부(50)에 상기 보행매트롤(a)을 장착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7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70)는 이동 및 구동수단부(10)와 상기 모터(m)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70)는 고정핀공급 및 고정핀타정수단(8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차대(11)의 일측에는 상기 보행매트롤(a)이 상기 롤지지안착부(50)에 안내되어 견인되도록 보행매트롤 견인부(8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행매트롤 견인부(80)는 모터(m)의 구동축(m1)과 연계된 회전부(81)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부(81)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감압홈(82)으로 구성된다.
상기 감압홈(82)의 외측둘레에 견인와이어(83)가 감압되어 구비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견인와이어(83)의 타측에는 상기 보행매트롤(a)을 견인할 수 있는 견인고리(84)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차대(11)의 일측에 상기 보행매트롤 견인부(80)를 설치하는 것은,
상기 보행매트롤(a)은 경사로 또는 평사로의 보행로의 길이에 따라 지름크기를 결정하여서 상기 보행매트(a2)를 감압하여 구성하게 된다.
이러하게 상기 보행매트(a2)가 감압된 상기 보행매트롤(a2)은 그 무게가 작업자가 다룰수 없는 무게로서, 이러한 무게의 상기 보행매트롤(a)을 상기 1점식링크부(30)에 설치된 상기 롤안착지지부(30)에 작업자의 인력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보행매트롤 견인부(80)로 손쉽고 빠르게 장착하여 무게 많이 나가는 상기 보행매트롤(a)을 상기 롤안착지지부(30)에 작업자의 인력으로 만으로 장착하는 수고스럽고 번거로운 과정을 탈피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견인고리(84)는 그 일측이 만곡된 갈고리형으로 형성된 갈고리부(84b)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견인고리(84)는 그 일측이 만곡된 갈고리형으로 형성된 갈고리부(84b)로 구비는 것은,
상기 갈고리부(84b)가 상기 보행매트롤(a)에 감압되어진 상기 보행매트(a)에 용이하게 관통되어 삽입고정되게 하여서, 상기 갈고리부(84b)와 연결된 상기 견인와이어(83)로 견인하여 상기 1점식링크부(30)에 설치된 상기 롤안착지지부(50)에 용이하게 장착하기 위함이다.
한편, 양 상기 1점식링크부(30)의 타측하부면에 위치하여 상기 차대(11)의 타측면에 복수개로 설치된 안내롤러부(90)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안내롤러부(90)들은 상기 롤지지안착부(50)에 설치된 상기 보행매트롤(a)에서 보행매트(a2)를 공급받아 지면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양 상기 안내롤러부(90)의 사이에 상기 보행매트(a2)가 탈선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차대(11)의 타측 하부면에서 무한궤도의 상기 이동 및 구동수단부(10)의 하부로 안정적으로 상기 보행매트(a2)를 공급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차대(11)의 일측에는 상기 롤지지안착부(50)에 안착된 보행매트롤(a)에서 공급되는 보행매트(a2)가 지면의 상부면에 설치된 뒤에 보행매트(a2)를 지면에 고정되게 고정핀(101)을 공급하여 고정핀(101)을 상기 보행매트(a2)에 타정시키는 고정핀공급 및 고정핀타정수단(10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차대(11)의 일측에 고정핀공급 및 고정핀타정수단(100)을 구비하는 것은,
상기 1점식링크부(30)에 설치된 상기 롤안착지지부(50)에 장착된 상기 보행매트롤(a)에서 인출되는 상기 보행매트(a2)가 상기 차대(11)의 타측에서 상기 이동 및 구동수단부(10)의 하부를 통과하여 경사로 또는 평사로의 보행로의 상부면에 설치되면서 무한궤도로 구성된 상기 이동 및 구동수단부(10)의 하중으로 자동평탄화작업이 끝나는 동시에 상기 차대(11)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고정핀공급 및 고정핀타정수단(100)으로 다수개의 상기 고정핀(101)들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상기 보행매트(a2)를 경사로 또는 평사로의 보행로의 상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보행매트(a2)를 원하는 길이에 맞춰서 경사로 또는 평사로의 보행로의 상부면에 설치하면서 상기 보행매트(a2)의 경사로 또는 평사로의 보행로에 보행매트(a2)의 설치와 보행매트(a2)의 평탄작업 및 보행매트(a2)의 보행로의 고정작업과정을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동시하므로서, 종래의 상기 보행매트(a2)를 보행로에 설치하기 위해서 지지파일들을 보행로에 설치하고, 다시 보행매트를 펼쳐서 설치하고 난 다음에 보행매트를 보행로에 고정하는 번거롭고 수고스러운 과정을 탈피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작용을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작업자들은 경사로 또는 평사로의 보행로의 길이에 따라 보행매트직조공장에 주문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보행매트(a2)의 길이를 정하여 상기 보행매트(a2)를 롤에 감압하여 상기 보행매트롤(a)을 준비하여준다.
즉, 상기 보행매트롤(a)의 지름의 크기와 무게는 상기 보행로의 길이에 따라 정해진다.
상기 보행매트롤(a)과 본 발명의 보행매트 자동설치장치를 이동수단으로 보행매트가 설치될 장소로 이동한다.
보행매트 설치장소에 도착하여 상기 보행매트롤(a)을 상기 차대(11)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보행매트롤 견인부(80)로 견인하는데 이때 상기 보행매트롤(a)의 지름이 다양하므로서 이 다양한 상기 보행매트롤(a)의 지름크기에 맞게 상기 차대(11)의 타측에 상기 안내레일부(20)에 상기 이동부(40)와 연계되어 설치된 상기 1점식링크부(30)를 상기 안내레일부(20)의 상부에서 상기 이동수단(60)의 모터(m) 및 구동축(m1)을 구동하여 상승 및 하강하여서, 상기 1점식링크부(30)의 수직높이를 상기 보행매트롤(a)의 수직높이 맞게 조정하여 준다.
그리고 상기 차대(11)의 일측에 설치된 상기 보행매트롤 견인부(80)로 상기 보행매트롤(a)를 양 상기 1점식링크부(30)에 구비된 상기 롤안착지지부(50)의 상기 안착결합홈(52)에 상기 보행매트롤(a)에 구비된 양 상기 안착봉(a1)이 안착되게 하여준다.
이러하게 상기 보행매트롤(a)이 상기 롤안착지지부(50)에 장착되어지면, 상기 보행매트롤(a)에 감압되어진 상기 보행매트(a2)를 상기 차대(11)의 타측하부에 설치된 양 상기 안내롤러부(90)의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차대(11)의 하부에 설치된 무한궤도의 상기 이동 및 구동수단부(10)의 하부면으로 공급하여준다.
상기와 같이, 상기 이동 및 구동수단(10)으로 상기 보행매트(a2)가 공급되면, 상기 제어부(70)를 통해 상기 이동 및 구동수단(10)을 구동하게 되면, 상기 이동 및 구동수단(10)은 상기 보행매트(a2)를 타측에서 일측으로 공급하면서, 상기 보행매트(a2)의 상부면을 밟으면서 경사로 또는 평사로의 보행로를 주행하게 된다.
이러하게 경사로 또는 평사로의 보행로에 상기 보행매트(a2)를 깔면서 보행로를 주행하는 상기 이동 및 구동수단(10)인 무한궤도의 무게로 보행매트(a2)의 상부면을 자동평탄화작업을 하면서 상기 보행매트(a2)를 경사로 또는 평사로의 보행로의 상부면에 설치하여준다.
경사로 또는 평사로의 보행로에 상기 보행매트(a2)가 상기 이동 및 구동수단(10)으로 평탄화작업이 끝나는 상기 차대(11)의 일측에 설치된 상기 고정핀공급 및 고정핀타정수단(100)에 의해 공급타정되는 다수개의 상기 고정핀(101)이 경사로 또는 평사로의 보행로에 설치된 상기 보행매트(a2)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보행매트(a2)가 다수개의 상기 고정핀(101)들로 고정하여준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적으로 행하여서, 경사로 또는 평사로의 보행로의 길이에 상관없이 보행로에 상기 보행매트(a2)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이동 및 구동수단부 11: 차대
20: 안내레일부 30: 1점식링크부
31: 승강바 31a: 결합통공
32: 상부연결부
40: 이동부 50: 롤안착지지부
51: 본체 51a: 결합공
51b: 볼트 52: 안착결합홈
53: 결합홈 60: 이동수단
70: 제어부 80: 보행매트롤 견인부
81: 회전부 82: 감압홈
83: 견인와이어 84: 견인고리
84b: 갈고리부 90: 안내롤러부
100: 고정핀공급 및 고정핀타정수단 101: 고정핀
a: 보행매트롤 a1: 안착봉
h: 힌지 m: 모터
m1: 구동축 n: 나사산
nh: 나사공

Claims (10)

  1. 차대(11)를 구비한 이동 및 구동수단부(10)와;
    상기 차대(11)의 타측 상부면에 복수개로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안내레일부(20)와;
    양 상기 안내레일부(20)의 상부에서 하부가 이동되어 상부가 승강되게 구비되고, 양 상기 안내레일부(20)의 상부면과 연계되어 각각 설치된 1점식링크부(30)와;
    양 상기 1점식링크부(30)의 하부에 힌지(h)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안내레일부(20)의 상부면에서 이동되어지는 이동부(40)와;
    양 상기 1점식링크부(30)의 내측사이에 설치되어 보행매트가 감압된 보행매트롤(a)이 안착되게 구비된 롤안착지지부(50)와;
    상기 이동부(40)를 상기 안내레일부(20)의 상부면에서 모터(m)의 구동원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60)과;
    상기 이동 및 구동수단부(10)와 상기 모터(m)를 제어하는 제어부(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매트 자동설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60)은 상기 차대(11)에 일측에 수평으로 설치된 모터(m)와, 상기 모터(m)에서 수평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구동축(m1)과, 상기 구동축(m1)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나사산(n)과, 상기 안내레일부(20)의 상부면에서 이동가능하게 에 설치된 복수개의 상기 이동부(40)와, 상기 구동축(m1)의 상기 나사산(n)이 나사결합되게 양 상기 이동부(40)에 수평으로 형성된 나사공(nh)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매트 자동설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지지안착부(50)는 복수개로 구비된 본체(51)와, 상기 본체(5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보행매트롤(a)의 양측에 설치된 안착봉(a1)이 안착되게 구비된 안착결합홈(52)과, 상기 본체(5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복수개의 결합공(51a)을 갖는 결합홈(53)과, 복수개의 승강바(31)가 힌지(h)로 x자형으로 구비된 상기 1점식링크부(30)가 복수개로 구비되며, 양 상기 1점식링크부(30)를 구성하는 양 승강바(31)중 어느 하나의 승강바(31)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통공(31a)과, 상기 결합홈(31a)에 형성된 결합공(51a)이 서로일치되어 상기 결합통공(31a)과 상기 결합공(51a)에 볼트(51b)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매트 자동설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대(11)의 일측에는 상기 보행매트롤(a)이 상기 롤지지안착부(50)에 안내되어 견인되도록 보행매트롤 견인부(8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매트 자동설치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매트롤 견인부(80)는 모터(m)의 구동축(m1)과 연계된 회전부(81)와, 상기 회전부(81)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감압홈(82)과, 상기 감압홈(82)의 외측둘레에 견인와이어(83)가 감압되어 구비되고, 상기 견인와이어(83)의 타측에는 상기 보행매트롤(a)을 견인할 수 있는 견인고리(8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매트 자동설치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고리(84)는 그 일측이 만곡된 갈고리형으로 형성된 갈고리부(84b)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매트 자동설치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양 상기 1점식링크부(30)의 타측하부면에 위치하여 상기 차대(11)의 타측면에 복수개로 설치된 안내롤러부(90)와, 상기 안내롤러부(90)들은 상기 롤지지안착부(50)에 설치된 상기 보행매트롤(a)에서 보행매트(a2)를 공급받아 지면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매트 자동설치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대(11)의 일측에는 상기 롤지지안착부(50)에 안착된 보행매트롤(a)에서 공급되는 보행매트(a2)가 지면의 상부면에 설치된 뒤에 보행매트(a2)를 지면에 고정되게 고정핀(101)을 공급하여 고정핀(101)을 상기 보행매트(a2)에 타정시키는 고정핀공급 및 고정핀타정수단(1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매트 자동설치장치.
  9.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40)는 하부에 안착홈부(41)가 형성되어 상기 안내레일부(20)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상기 이동부(40)의 상부는 상기 1점식링크부(30)를 구성하는 승강바(31)의 하부와 힌지(h)로 연결되게 상부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매트 자동설치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및 구동수단(10)은 무한궤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매트 자동설치장치.
KR1020210132187A 2021-10-06 2021-10-06 보행매트 자동설치장치 KR202300492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187A KR20230049276A (ko) 2021-10-06 2021-10-06 보행매트 자동설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187A KR20230049276A (ko) 2021-10-06 2021-10-06 보행매트 자동설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276A true KR20230049276A (ko) 2023-04-13

Family

ID=85978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187A KR20230049276A (ko) 2021-10-06 2021-10-06 보행매트 자동설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927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369A (ko) 2018-10-22 2020-05-04 김윤춘 보행매트 고정유닛과 이를 이용한 보행매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369A (ko) 2018-10-22 2020-05-04 김윤춘 보행매트 고정유닛과 이를 이용한 보행매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1972A (en) Silo mover
US9097033B2 (en) Tower lifting stand system
US3795336A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building modules
US9090441B2 (en) Truck fork attachment including adjustable mast for ground clearance
US5064334A (en) Wheel clamp
US4084790A (en) Multi-purpose vehicle service hoist
AU703612B2 (en) Conveyor belt lift apparatus
DE102014204874B4 (de) Auslegervorrichtung und Gleiskettenkran
US7143869B1 (en) Hydraulic vehicle lift
DE112016001320B4 (de) Auslegeranbringungs-/Trennungsvorrichtung eines Kranes und Auslegeranbringungs-/Trennungsverfahren für einen Kran
JP5897925B2 (ja) ケーブル繰り出し装置、当該装置の設置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ケーブル布設工法
US4383792A (en) Crane for detachable mounting on a truck bed
DE60318604T2 (de) Verfahren zur montage einer kraftfahrzeugkarosserie
US4815915A (en) Under-vehicle towing apparatus
KR20230049276A (ko) 보행매트 자동설치장치
US5007791A (en) ISO container handling system
US20130239405A1 (en) Track remover / assembler
CZ285714B6 (cs) Zařízení a způsob vyrovnávání karoserie vozidla
CA2313748A1 (en) Cable hitch coupling aid
US3026970A (en) Elevating ramp structure for vehicles
CN103574244A (zh) 用于悬置部件的装置和桥架
US4418959A (en) Scissor tail dump trailer apparatus
DE3625876A1 (de) Auf einem fahrzeug fahrbarer lastenaufzug mit gleisartigem teleskopausleger
CN214366184U (zh) 加带装置及加带装置总成
US2928557A (en) Wrec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