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513B1 -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를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오그리드 포설 장치 - Google Patents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를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오그리드 포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513B1
KR101934513B1 KR1020180051607A KR20180051607A KR101934513B1 KR 101934513 B1 KR101934513 B1 KR 101934513B1 KR 1020180051607 A KR1020180051607 A KR 1020180051607A KR 20180051607 A KR20180051607 A KR 20180051607A KR 101934513 B1 KR101934513 B1 KR 101934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vertical beam
geogrid
fram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영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텍스
Priority to KR1020180051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5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urface soil stabilisation for road building or like purposes, e.g. mixing local aggregate with bind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3/00Foundations for pavings
    • E01C3/04Foundations produced by soil stabil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를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오그리드 포설 장치는, 사각형 또는 원형의 단면을 가진 금속제 파이프 혹은 봉(棒)들이 짜 맞춰져서 결합되어 구성된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전방 위쪽에 설치되며 회전 가능한 지오그리드 롤(2); 상기 프레임(10)의 바닥쪽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1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가이드롤러(40); 상기 가이드롤러(40)의 후방쪽에 적어도 2줄 이상으로 배열되어 설치되며 각각 독립적인 위치 변동과 회전이 가능한 복수 개의 누름롤러들; 상기 프레임(10) 내에 지지되어 설치되며 상기 누름롤러들을 각각 거치할 수 있는 복수 개의 거치수단; 및 상기 프레임(10)의 바닥 모서리들에 설치된 이동바퀴들(3);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를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오그리드 포설 장치 {A Geogrid layering apparatus for use in the installation of a geogrid for reinforcing the asphalt pavement road}
본 발명은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를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오그리드 포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로 보수 공사시에 아스팔트 표층을 제거하여 드러나게 된 바탕면에 택코팅을 한 후 토목 섬유 보강재로서의 지오그리드를 깔아 시공할 때 사용되는 지오그리드 포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는 아스팔트 콘크리트(아스콘) 또는 시멘트 콘크리트로 포장되는데, 아스콘 포장이든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이든 간에 모든 도로포장은 반복적인 교통하중과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과 인장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의 구조적 파손이 발생한다.
또한 우리나라와 같이 사계절의 온도 변화가 극심한 경우에는, 특히 여름이나 겨울의 극단적인 온도조건에 노출시 도로 포장단면에 깊이방향으로 유도되는 온도경사에 의한 응력의 차이에 의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온도균열이 나타나는 것도 도로파손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여름철 높은 온도조건에서 작용하는 차량하중은 도로의 포장 표면이 움푹 패이는 소성변형(rutting)을 유발시켜 포장체의 구조적 파괴를 일으킬 수 있으며, 최근에는 기후변화로 인한 장마철 집중호우의 반복에 의해 포트홀(pothole)이 발생하는 등 아스팔트 손상이 주로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도로 포장면이 파손된 경우 차량 주행성은 저하되고 심한 경우 차량 손상과 운전자의 안전에도 중대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균열 및 파손된 도로를 보수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파손이 생긴 부분을 절개하고 그 부분에만 새로 아스콘을 덧씌워 재포장하고 다짐할 수도 있지만, 최근에는 파손된 부분의 강성과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표층을 절개해서 제거하고 난 후 드러난 바탕면 위에 격자 형태로 된 토목 섬유 보강재를 깔고 그 위에 아스콘 표층을 포설하는 방식이 일반화되고 있다.
도1은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를 이용해서 아스팔트 도로를 보수하는 공법의 작업진행 순서도이다. 도1을 참고하면, 우선 포트홀, 균열, 바퀴패임 등이 발생해서 문제가 되는 아스팔트 포장도로 혹은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보수할 면적 부분에 해당하는 아스콘 표층 또는 시멘트 콘크리트 표층을 절삭해서 제거하고(S1 단계), 이렇게 해서 드러난 아스콘 기층 또는 중간층의 바탕면을 고압에어로 불어서 청소하고 바탕면을 정리한다(S2 단계). 바탕면의 정리가 끝나면, 바탕면 위에 택코팅으로서의 아스팔트 유제를 디스트리뷰터를 사용해서 도포한다(S3 단계). 상기 택코팅은 바탕면과 그 위에 새로 포설되는 아스콘 표층이 서로 잘 부착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종의 접착제 같은 성분인데, 이때 도포되는 택코팅의 양은 통상적으로 1~5㎜의 두께로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택코팅이 완료된 후에는 그 택코팅층 위에다가 토목 섬유 보강재로서의 지오그리드(geogrid)를 깔아 설치하는데(S4 단계), 이때 기존의 일반적인 도로 보수용 지오그리드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특히 본 출원인이 개발해서 특허출원 제10-2017-0142105호로 출원한 바 있는「고흡수성 부직포를 구비한 지오그리드」를 상기 택코팅층 위에 깔아서 택코팅 중의 수분을 빠른 시간 내에 흡수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지오그리드 설치작업이 끝난 후에는 아스콘 표층의 포설작업과 다짐작업을 실시하고(S5 단계), 이후 최종적으로 포설 및 다짐이 완료된 아스콘 표층의 양생과 청소를 마치면 도로통행을 재개할 수 있다(S6 단계).
도2는 아스팔트 도로의 보수 작업에 사용되는 토목 섬유 보강재로서의 지오그리드(2a)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출원인이 앞서 특허출원 제10-2017-0142105호로 출원한 "고흡수성 부직포를 구비한 지오그리드"(2a)의 사시도이다.
도2를 참고하면, 상기 고흡수성 부직포를 구비한 지오그리드(2a)는 종방향(y축 방향) 및 횡방향(x축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섬유리브들(ribs; 201, 202)이 서로 결합되어서 섬유 격자망(200)을 이루며, 상기 섬유 격자망(200)의 밑면에는 부직포(210)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종방향 섬유리브(202)와 횡방향 섬유리브(201)는 각각 1본(本) 또는 다수개의 본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종방향 섬유리브(202)는 제1종방향 섬유사(202a) 및 제2종방향 섬유사(202b)의 2개의 본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횡방향 섬유리브(201)는 1개의 횡방향 섬유사(201a)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횡방향 섬유사(201a)는 제1, 2 종방향 섬유사들(202a, 202b)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직조할 수도 있고, 혹은 단순히 제1, 2종방향 섬유사들(202a, 202b)의 상방 혹은 하방에 횡방향 섬유사(201a)가 얹히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한편, 도2에 도시된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2a)는 2가닥의 종방향 섬유사들(202a, 202b)과 1가닥의 횡방향 섬유사(201a)가 직각으로 교차하는 형태로 배치되고, 별도의 결속 세선섬유(미도시)가 이들 종방향 섬유사들(202a, 202b)과 횡방향 섬유사들(201a)을 재봉하고 감싸 묶는 방식으로 결속해서 격자 형태로 고정되게끔 되어 있다.
이렇게 종방향 섬유리브(202), 횡방향 섬유리브(201) 및 결속 세선섬유에 의해서 바둑판 모양의 격자 형태로 만들어진 섬유 격자망(200)은, 아스팔트와 고분자 합성수지를 배합해서 만든 코팅액에 함침 처리됨으로써 그 표면에 아스팔트 수지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2에 도시된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2a)는 섬유 격자망(200)에 함침 형성된 아스팔트 수지 코팅층의 표면에 미세한 입자의 규사 분말이 살포되어서 부착될 수 있는데, 이렇게 코팅층의 표면에 부착된 규사 분말은 아스팔트 수지 코팅층 자체의 끈적끈적한 성질을 완화시켜서, 지오그리드를 롤 형태로 감을 수 있도록 하는 등 취급과 보관상의 편이성을 증대시킨다.
그리고 상기 지오그리드(2a)의 섬유격자망(200)의 일면에는 부직포(21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부직포(210)는 도로 보수 공사시 택코팅층(115, 도3 참조)의 수분을 신속하게 흡수하여 건조된 상태가 되도록 도와주고, 그 위에 아스팔트 표층(116)을 빠른 시간내에 시공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2a)를 사용해서 아스팔트 도로(110)를 보수하는 현장의 도로층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3을 참고하면, 상기 지오그리드(2a)를 사용해서 보수 보강공사를 수행한 도로(110)의 층 단면 구조는 아스콘 기층(114)과 아스콘 표층(116) 사이에 지오그리드(2a)가 개재되어 설치되며, 이에 의해 상기 지오그리드(2a)의 격자 구멍(206) 사이로 아스콘 표층(116)의 골재가 일부 관입하므로, 아스콘 표층(116)이 지오그리드(2a) 위에서 밀리는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택코팅(115) 중의 수분을 지오그리드(2a)의 부직포(210)가 신속하고 완벽하게 흡수해서, 택코팅(115)이 충분히 경화된 상태에서 아스콘 표층(116)이 아스콘 기층(114)과 접착될 수 있도록 하므로, 층들 간의 결합이 강건하여 보수시공 후 아스콘 표층(116)이 들뜨는 등의 하자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런데 도2 및 도3에 도시된 것과 같은 고흡수성 부직포를 구비한 지오그리드(2a)를 도로 보수현장의 택코팅층(115) 위에 깔고 설치하는 작업은 일반적인 도로 보수공사현장의 면적 크기와 제한된 공사시간을 고려할 때 공사 인부들이 수작업으로 진행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즉, 도로 보수공사 현장에서 신속하게 상기 지오그리드(2a)를 택코팅층(115) 위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롤 형태로 공급되는 지오그리드(2a)를 꼬임이나 접힘이 없이 편평하게 잘 펼쳐서 택코팅층(115) 위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지오그리드(2a)를 효과적으로 눌러서 택코팅층(115)과 잘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전용의 지오그리드 포설장치가 필요하다.
종래에도 지오그리드를 도로 보수공사 현장에 까는데 사용되는 기구 장치로는 섬유그리드 도포장치, 보강재 포장장비 혹은 보강재 도포장치 등의 이름들로 개발된 것들이 여러 개 있었다. 예를 들어, 특허등록 제1640389호에는 "아스팔트 보강용 섬유그리드 도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포방법"이 소개되어 있으며, 특허등록 제1336333호에는 "격자용 유리섬유에 부직포를 부착한 보강재"를 특이구간 도로의 보수 공사 현장에서 시공하는데 사용되는 보강재 포장장비에 관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고, 특허 제1612491호에는 "바잘트 섬유 그리드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 내구성 증대공법"에 있어서 바잘트 섬유 그리드를 도로 보수공사 현장에 까는 포장장비가 제시되어 있으며, 특허 제536146호에는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가 소개되어 있었다.
이 중에서 상기 특허등록 제1640389호, 제1612491호 및 제536146호에 소개된 섬유그리드 도포장치, 섬유그리드 포장장비 및 보강재 도포장치는 모두 섬유그리드를 롤(roll) 형태로 감아 보관하기 위해 섬유그리드의 한쪽 면에 합성수지 재질의 필름이 결합되어 있는 섬유그리드 제품들에 적합한 전용의 도포장치 혹은 포장장비인데, 이러한 도포장치 내지 포장장비는 롤 형태로 감겨 있는 섬유그리드를 풀어 펼치는 과정에서 화염을 가해, 상기 섬유그리드의 한쪽 면에 부착되어 있는 합성수지 재질의 필름을 태워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출원인이 개발하여 특허출원 제10-2017-0142105호로 출원한 "고흡수성 부직포를 구비한 지오그리드"(2a)는 합성수지 재질의 필름이 없이도 롤 형태로 잘 감길 수 있는 제품이므로, 상기 특허등록 제1640389호, 제1612491호 및 제536146호에 소개된 버너 혹은 화염분사수단을 갖춘 도포장치들은 본 출원인의 개발품인 상기 지오그리드(2a)를 도로 보수현장에 포설하는데 사용하기가 적합하지 않다.
뿐만 아니라, 상기 특허문헌들에 소개된 섬유그리드 도포장치 혹은 포장장치들은 섬유그리드가 땅에 깔리는 과정에서 섬유그리드를 눌러주기 위해 복수 개의 롤러들을 구비하고는 있으나, 이러한 기존의 장비들을 실제 사용해서 섬유그리드를 택코팅층 위에 설치한 현장들에서 섬유그리드가 택코팅층 및 그 아래의 바탕면과 잘 결합되지 못하고 자주 들뜨는 현상이 발생해서 아스콘 표층과 아스콘 기층간의 결합력이 부족하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시공차량의 바퀴에 의해 섬유그리드가 밀려서 섬유그리드 자체가 겹쳐지거나 꼬이는 등의 하자까지 발생해 섬유그리드를 재시공해야만 하는 일들이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상기 특허문헌들에 소개된 기존의 섬유그리드 도포장치들은 본 발명자의 개발품인 상기 도로 보수용 지오그리드(2a)를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장비로는 부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즉, 기존의 섬유그리드 도포장치 혹은 포장장치와 차별된 방식으로 도로 보수공사 현장의 특성에 맞게 지오그리드를 택코팅층 및 그 밑의 바탕면에 대해 효과적으로 압착해 눌러서 지오그리드가 들뜨는 현상을 방지하고 더 나아가 아스콘 표층과 기층간의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여 도로 보수공사의 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지오그리드 포설장치를 개발할 필요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섬유그리드 도포장치는 보관 및 운반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는데, 이를 개선하여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지게차에 의해 들려진 상태로 지오그리드 포설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면서 또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무거운 중량이 나가는 누름롤러들을 내부에 효과적으로 수납해서 다른 장비나 사람들에게 걸리적거리지 않도록 하여 사용, 운반, 보관 등 모든 측면에서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킨 지오그리드 포설장치를 개발할 필요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흡수성 부직포를 구비한 지오그리드를 도로 보수공사 현장에 시공하는데 적합하도록 개량된 지오그리드 포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오그리드 포설장치의 하부에 배치된 복수 개의 누름롤러들을 각각 회동 및 높낮이 변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지면의 상태에 따라 지오그리드를 보다 잘 압착해서 눌러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오그리드가 들뜨는 현상을 방지하고 더 나아가 아스콘 표층과 기층간의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여 도로 보수공사의 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지오그리드 포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지게차에 의해 들려진 상태로 쉽게 사용 및 운반이 가능하며, 지오그리드 포설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때에는 무거운 중량이 나가는 누름롤러들을 내부에 효과적으로 수납해서 다른 장비나 사람들에게 걸리적거리지 않도록 하여 사용, 운반, 보관 등 모든 측면에서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킨 지오그리드 포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누름롤러들에 실린더들을 각각 연결해서 탄성 반발력을 더 부가하도록 함으로써, 지면 상태가 안 좋은 경우에도 지오그리드를 효과적으로 압박하여 택코팅층 및 그 밑의 바탕면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킨 지오그리드 포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를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오그리드 포설 장치는, 사각형 또는 원형의 단면을 가진 금속제 파이프 혹은 봉(棒)들이 짜 맞춰져서 결합되어 구성된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전방 위쪽에 설치되며 회전 가능한 지오그리드 롤(2); 상기 프레임(10)의 바닥쪽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1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가이드롤러(40); 상기 가이드롤러(40)의 후방쪽에 적어도 2줄 이상으로 배열되어 설치되며 각각 독립적인 위치 변동과 회전이 가능한 복수 개의 누름롤러들; 상기 프레임(10) 내에 지지되어 설치되며 상기 누름롤러들을 각각 거치할 수 있는 복수 개의 거치수단; 및 상기 프레임(10)의 바닥 모서리들에 설치된 이동바퀴들(3);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10)은, 전방의 하단부에 폭 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된 제2전방 가로빔(12); 상기 제2전방 가로빔(12)의 좌우 양단에서 직교하여 세로방향으로 결합된 제4-1세로빔(24a)과 제4-2세로빔(24b); 상기 제2전방 가로빔(12)과 제4-1세로빔(24a)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서 그 상면에 높이방향으로 세워져 결합된 제1전방 수직기둥(31); 상기 제2전방 가로빔(12)과 제4-2세로빔(24b)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서 그 상면에 높이방향으로 세워져 결합된 제2전방 수직기둥(32); 상기 제4-1세로빔(24a)과 제4-2세로빔(24b)의 후단부들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져 결합된 제1후방 수직기둥(35)과 제2후방 수직기둥(36); 상기 제4-1세로빔(24a)과 제4-1세로빔(24b)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할 때 전단부로부터 1/4 이내의 길이 부분에서 각각 수직으로 세워져 결합된 제3전방 수직기둥(33)과 제4전방 수직기둥(34); 상기 제1후방 수직기둥(35)과 제2후방 수직기둥(36)의 상단부들을 연결하는 제1후방 가로빔(15); 상기 제1후방 수직기둥(35)과 제2후방 수직기둥(36)의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되, 상기 제1후방 가로빔(15) 보다 아래에 위치한 제2후방 가로빔(16); 상기 제1후방 가로빔(15)과 제2후방 가로빔(16)의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2개의 후방 중간 수직기둥들(37); 상기 제3전방 수직기둥(33)과 제1후방 수직기둥(35)의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1-1세로빔(21a), 제2-1세로빔(22a) 및 제3-1세로빔(23a); 및 상기 제4전방 수직기둥(34)과 제2후방 수직기둥(36)의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1-2세로빔(21b), 제2-2세로빔(22b) 및 제3-2세로빔(23b);을 포함하고, 상기 제1-1세로빔(21a), 제2-1세로빔(22a) 및 제3-1세로빔(23a)은 위에서 아래의 순으로 배치된 것이고, 상기 제1-2세로빔(21b), 제2-2세로빔(22b) 및 제3-2세로빔(23b)도 위에서 아래의 순으로 배치된 것이며, 상기 제3-1세로빔(23a)과 제4-1세로빔(24a)의 사이에는 제1중간 수직 보강부재(38a) 및 제3중간 수직 보강부재(38c)가 수직으로 배치되어 연결되며, 상기 제3-2세로빔(23b)과 제4-2세로빔(24b)의 사이에는 제2중간 수직 보강부재(38b) 및 제4중간 수직보강부재(38d)가 수직으로 배치되어 연결되고, 제3-1세로빔(23a)과 제3-2세로빔(23b)의 사이에는 제1중간 가로빔(17a)과 제2중간 가로빔(17b)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를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오그리드 포설 장치는, 상기 누름롤러들이 상기 프레임(10)의 세로방향 길이를 따라 2개의 줄로 나뉘어 배치되되, 앞쪽에 배치된 제1누름롤러들(51) 및 뒤쪽에 배치된 제2누름롤러들(52)로 구성되고, 상기 제4-1세로빔(24a) 및 제4-2세로빔(24b)에는 각각 제1연결평철(71)의 상단부가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10)의 좌우에 배치된 상기 제1연결평철(71)들의 하단부에는 제1축봉(56)의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축봉(56)에는 제1연결바(53)의 일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연결바(53)의 타단부에는 연결핀축(58)을 매개로 하여 제1누름롤러(5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연결평철(71)의 위치보다 뒤쪽에서, 상기 제4-1세로빔(24a) 및 제4-2세로빔(24b)에는 각각 제2연결평철(72)의 상단부가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10)의 좌우에 배치된 상기 제2연결평철(72)들의 하단부에는 제2축봉(57)의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2축봉(57)에는 제1연결바(53)의 일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연결바(53)의 타단부에는 연결핀축(58)을 매개로 하여 제2누름롤러(5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를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오그리드 포설 장치는, 상기 연결핀축(58)에 상기 제1연결바(53)의 타단부 및 제2연결바(54)의 단부(54e)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누름롤러(51)의 양측에 배치된 제2연결바(54)들의 타단부는 크랭크 암(55)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2연결바(54)는 제1연결바(53)에 대한 관계에서 80~135°의 범위에서 회동 가능하고, 상기 제1연결바(53) 및 제2연결바(54)는 3~10㎜ 두께의 평철을 사용하여 제작하며, 상기 제1연결바(53)는 일 단부에 형성된 제1관통공(53a)과 타 단부에 형성된 제2관통공(53b)을 구비하고, 상기 제1연결바(53)의 제1누름롤러(51)를 향한 측면에는 상기 제2관통공(53b)의 주변부에 제1멈춤턱(53c) 및 제2멈춤턱(53d)이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제2연결바(54)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며, 상기 제2연결바(54)는 단부(53e)에 제3관통공(54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핀축(58)은 그 길이방향으로의 중앙부분에 방사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된 디스크부(58b)와, 상기 디스크부(58b)를 경계로 하여 제1누름롤러(51)를 향한 쪽으로 연장된 내부축부(58a) 및 그 반대쪽으로 연장된 외부축부(58c)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축부(58c)의 끝부분에는 수나사부(58d)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핀축(58)의 외부축부(58c)는 상기 제2연결바(54)의 제3관통공(54a)과 제1연결바(53)의 제2관통공(53b)을 관통한 후에 수나사부(58d)에 체결너트(59)가 채워짐에 의해서 상기 제1연결바(53) 및 제2연결바(54)와 결합되며, 상기 연결핀축(58)의 내부축부(58a)는 제1누름롤러(51)의 내부 중심공(510)에 끼워짐에 의해서, 제1누름롤러(51)가 제1연결바(5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를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오그리드 포설 장치는, 사각형 또는 원형의 단면을 가진 금속제 파이프 혹은 봉(棒)들이 짜 맞춰져서 결합되어 구성된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전방 위쪽에 설치되며 회전 가능한 지오그리드 롤(2); 상기 프레임(10)의 바닥쪽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1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가이드롤러(40); 상기 가이드롤러(40)의 후방쪽에서 앞뒤로 각각 배열되어 설치된 복수 개의 제1누름롤러들(51)과 제2누름롤러들(52); 상기 프레임(10) 내에 지지되어 설치되며 제1누름롤러들(51)과 제2누름롤러들(52)에 대해 각각 하방으로 압박하는 탄성적인 반발력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제1실린더(161)와 제2실린더(162); 상기 제1실린더(161)의 상단과 결합되며 프레임(10) 내에서 승강 가능한 제1승강 가로빔(251); 상기 제2실린더(162)의 상단과 결합되며 프레임(10) 내에서 승강 가능한 제2승강 가로빔(252); 제1승강 가로빔(251)과 제2승강 가로빔(252)의 중앙부에 각각 설치된 슬라이딩 너트 블록(257); 상기 슬라이딩 너트 블록(257)과 결합된 전산볼트(253); 상기 전산볼트(253)의 상단부와 연결된 제2피니언(176, 276) 및 상기 제2피니언(176, 276)과 직교하여 결합된 제1피니언(175, 275)으로 구성된 베벨기어(174, 274); 상기 제1피니언(175, 275)의 중심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그 양단이 프레임(10)의 좌우측에서 지지되어 회전 가능한 제1크랭크 축(173)과 제2크랭크 축(273); 상기 제1크랭크 축(173) 및 제2크랭크 축(273)의 단부와 각각 결합된 제1 및 제2크랭크 레버들(171, 271); 및 상기 프레임(10)의 바닥 모서리들에 설치된 이동바퀴들(3);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10)은, 전방의 하단부에 폭 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된 제2전방 가로빔(12); 상기 제2전방 가로빔(12)의 좌우 양단에서 직교하여 세로방향으로 결합된 제4-1세로빔(24a)과 제4-2세로빔(24b); 상기 제2전방 가로빔(12)과 제4-1세로빔(24a)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서 그 상면에 높이방향으로 세워져 결합된 제1전방 수직기둥(31); 상기 제2전방 가로빔(12)과 제4-2세로빔(24b)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서 그 상면에 높이방향으로 세워져 결합된 제2전방 수직기둥(32); 상기 제4-1세로빔(24a)과 제4-2세로빔(24b)의 후단부들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져 결합된 제1후방 수직기둥(35)과 제2후방 수직기둥(36); 상기 제4-1세로빔(24a)과 제4-1세로빔(24b)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할 때 전단부로부터 1/4 이내의 길이 부분에서 각각 수직으로 세워져 결합된 제3전방 수직기둥(33)과 제4전방 수직기둥(34); 상기 제1후방 수직기둥(35)과 제2후방 수직기둥(36)의 상단부들을 연결하는 제1후방 가로빔(15); 상기 제1후방 수직기둥(35)과 제2후방 수직기둥(36)의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되, 상기 제1후방 가로빔(15) 보다 아래에 위치한 제2후방 가로빔(16); 상기 제1후방 가로빔(15)과 제2후방 가로빔(16)의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2개의 후방 중간 수직기둥들(37); 상기 제3전방 수직기둥(33)과 제1후방 수직기둥(35)의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1-1세로빔(21a), 제2-1세로빔(22a) 및 제3-1세로빔(23a); 및 상기 제4전방 수직기둥(34)과 제2후방 수직기둥(36)의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1-2세로빔(21b), 제2-2세로빔(22b) 및 제3-2세로빔(23b);을 포함하고, 상기 제1-1세로빔(21a), 제2-1세로빔(22a) 및 제3-1세로빔(23a)은 위에서 아래의 순으로 배치된 것이고, 상기 제1-2세로빔(21b), 제2-2세로빔(22b) 및 제3-2세로빔(23b)도 위에서 아래의 순으로 배치된 것이며, 상기 제3-1세로빔(23a)과 제4-1세로빔(24a)의 사이에는 제1중간 수직 보강부재(38a) 및 제3중간 수직 보강부재(38c)가 수직으로 배치되어 연결되며, 상기 제3-2세로빔(23b)과 제4-2세로빔(24b)의 사이에는 제2중간 수직 보강부재(38b) 및 제4중간 수직보강부재(38d)가 수직으로 배치되어 연결되고, 제3-1세로빔(23a)과 제3-2세로빔(23b)의 사이에는 제1중간 가로빔(17a)과 제2중간 가로빔(17b)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를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오그리드 포설 장치는, 본 출원인이 개발한 "고흡수성 부직포를 구비한 지오그리드"를 도로 보수공사 현장에 시공하는데 가장 적합하도록 개량된 것이므로, 상기 고흡수성 부직포를 구비한 지오그리드를 시공할 때에 본 발명의 지오그리드 포설장치를 사용하면 도로 보수공사 현장의 택코팅층과 잘 결합되도록 할 수 있고, 그 결과 보수 공사의 품질을 대폭 개선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지오그리드 포설장치의 하부에 배치된 복수 개의 누름롤러들을 각각 회동 및 높낮이 변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지면의 상태에 따라 지오그리드를 보다 잘 압착해서 눌러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오그리드가 들뜨는 현상을 방지하고 더 나아가 아스콘 표층과 기층간의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여 도로 보수공사의 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지오그리드 포설장치는 지게차에 의해 들려진 상태로 쉽게 사용 및 운반이 가능하며, 지오그리드 포설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때에는 무거운 중량이 나가는 누름롤러들을 내부에 효과적으로 수납해서 다른 장비나 사람들에게 걸리적거리지 않도록 하여 사용, 운반, 보관 등 모든 측면에서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를 이용해서 아스팔트 도로를 보수하는 공법의 작업진행 순서도이다.
도2는 아스팔트 도로의 보수 작업에 사용되는 토목 섬유 보강재로서의 지오그리드(2a)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2a)를 사용해서 아스팔트 도로(110)를 보수하는 현장의 도로층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를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오그리드 포설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에 도시된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를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이다.
도6은 도4에 도시된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를 좌측에서부터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7은 도6에 도시된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에서 제1 및 제2누름롤러들(51, 52)이 제1 및 제2사슬들(61, 62)의 후크들(61a, 62a)에 걸려서 지면(G)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8은 도4에 도시된 지오그리드 포설 장치(1)를 지게차(100)로 들어서 이동하면서 지오그리드(2a)를 택코팅층(115) 위에 펼쳐서 까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도8 중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도5에 있어서 X-X선을 따라서 절단한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의 단면도이다.
도11은 도5에 있어서 ⓐ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의 배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에 있어서 제1누름롤러(51)에 관련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에 있어서 제1축봉(56)에 제1누름롤러(51)와 제1-1누름롤러(51a)가 설치되는 구조를 도시한다.
도14는 제1축봉(56)에 제1누름롤러(51)가 설치되는 구조를 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15는 제1누름롤러(51)의 구성품들과 제1축봉(56)이 결합되는 관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16은 도13에 있어서 제1누름롤러(51)에 결합된 제2연결바(54) 및 크랭크암(55)이 회동가능한 것을 도시한다.
도17은 제1사슬(61)에 제1누름롤러(51)의 크랭크암(55)이 걸려서 올려질 수 있음을 도시한다.
도18은 도10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제1누름롤러들(51) 및 제1-1누름롤러들(51a)이 제1사슬들(61)의 후크들(61a)에 걸려서 위로 올려졌을 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19는 도11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제2누름롤러들(52)이 제2사슬들(62)의 후크들(62a)에 걸려서 위로 올려졌을 때를 나타낸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의 배면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를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a)의 측면도로서, 지게차(100)의 지게발(107)에 의해 들려진 상태에서 지오그리드(2a)의 포설작업을 수행하는 장면을 도시한다.
도21은 도20에서 제1 및 제2가이드 레일(151, 152)을 지우고 그 안쪽에 배치된 제1 및 제2실린더들(161, 162)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a)에 있어서 제1누름롤러(51)가 제1실린더(161)에 의해서 하방으로 눌려지는 힘을 받는 구조를 설명한다.
도23은 도2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a)에 있어서 Y-Y선을 따라 절단한 모습을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24는 도23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1승강 가로빔(251)이 상승하여 제1실린더들(51) 및 제1-1실린더들(51a)이 상방으로 끌어당겨져 올라간 상태를 도시한다.
도25는 도20에 도시된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a)의 평단면도인데, 특히 도20의 Z1-Z1선을 따라서 절단하고 내려다 본 모습을 나타낸다.
도26은 도20에 도시된 Z2-Z2선을 따라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a)를 절단한 상태에서 내려다 본 단면도이다.
도27은 도21에 도시된 Z3-Z3선을 따라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a)를 절단한 상태에서 내려다 본 단면도이다.
도28은 제1누름롤러들(51) 및 제2누름롤러들(52)이 상방으로 들려올라간 모습으로 변화된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이다.
도29는 도28에서 제1 및 제2가이드레일(151, 152)을 지우고 그 안쪽에 배치된 제1 및 제2실린더들(161, 162)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0은 도22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a)에 있어서 제1실린더(161)가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누름롤러(51)가 같이 상방으로 들려올라가는 상태를 설명한다.
도31은 도2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a)에 있어서 제1크랭크축(173)의 일단에 마련된 제1크랭크 레버(171)와 제1라체트 휠(172)의 이동을 제한하는 폴(paw2, 181)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32는 도31에 도시된 제1라체트 휠(172)과 폴(182) 간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도33은 도32에 도시된 폴(182) 장치에 있어서 제1폴 레버(181)에 한 몸으로 연결된 록킹 휠(181a)과 폴 하우징(183)의 가이드 곡면 구멍(183b)간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34는 폴(182)에 연결된 록킹 휠(181a)이 가이드 곡면 구멍(183b)내에서 회전할 때, 돌출걸림부(181a-4)가 가이드 곡면 구멍(183b)의 걸림턱(183a-3)에 걸려서 록킹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해서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를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오그리드 포설 장치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를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오그리드 포설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는 사각형 또는 원형의 단면을 가진 금속제 파이프 혹은 봉(棒)들이 짜 맞춰서 결합되어 구성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전방 위쪽에 설치된 지오그리드 롤(roll, 2), 그리고 프레임(10)의 아래쪽에 설치된 가이드롤러(40)와 그 뒤쪽에서 적어도 2줄 이상으로 배열되어 설치된 누름롤러들(51, 51a, 52)과 그 누름롤러들(51, 51a, 52)을 상방으로 들어 올린 상태에서 거치할 수 있는 제1 및 제2사슬(61, 62)로 구성된다.
도4에서 상기 지오그리드 롤(2)은 봉(棒) 형태의 심재에 지오그리드(2a)가 둘둘 감겨져 있는 것이며, 상기 프레임(10)의 전방에서 상단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거치판들(83a, 도5 및 도6 참조)에 의해 지지되어서 걸려 있는 거치봉(2b)에는 상기 지오그리드 롤(2)이 끼워져 있다. 상기 지오그리드 롤(2)은 거치봉(2b)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있는 것이므로, 지오그리드 롤(2)이 회전함에 따라 지오그리드(2a)가 풀려서 나오게 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도4에 도시된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를 기준으로 할 때 x축 방향을 "폭 방향"(가로)이라 하고, y축 방향을 "길이 방향"(세로)이라 하며, z축 방향을 "높이 방향"(수직)이라 부르기로 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전방의 하단부에 폭 방향으로 제2전방 가로빔(1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전방 가로빔(12)의 좌우 양단에는 세로방향으로(즉, 길이방향으로) 제4-1세로빔(24a)과 제4-2세로빔(24b)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전방 가로빔(12)과 제4-1세로빔(24a)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서는 그 상면에 제1전방 수직기둥(31)이 높이방향으로(수직방향으로) 세워져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전방 가로빔(12)과 제4-2세로빔(24b)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서는 그 상면에 제2전방 수직기둥(32)이 높이방향으로 세워져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전방 수직기둥(31)과 제2전방 수직기둥(32)이 세워진 곳들의 뒤쪽으로는 상기 제4-1세로빔(24a)과 제4-2세로빔(24b) 상에 각각 제3전방 수직기둥(33)과 제4전방 수직기둥(34)이 세워져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3전방 수직기둥(33)과 제4전방 수직기둥(34)의 상단부들에는 제1전방 가로빔(11)의 좌우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4-1세로빔(24a)과 제4-2세로빔(24b)의 세로방향 후단부들에는 각각 제1후방 수직기둥(35)과 제2후방 수직기둥(36)이 세워져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후방 수직기둥(35)과 제2후방 수직기둥(36)의 상단부들은 제1후방 가로빔(1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후방 수직기둥(35)과 제2후방 수직기둥(36)의 사이에서는, 상기 제1후방 가로빔(15)의 하부에 제2후방 가로빔(16)이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제1후방 가로빔(15)과 제2후방 가로빔(16)은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도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에 있어 지오그리드 롤(2)이 설치된 쪽을 "전방"이라고 부르고, 그 반대로 제2누름롤러들(52) 및 제1후방 가로빔(15)이 있는 쪽을 "후방"이라고 부르며, 제1-1세로빔(21a)과 제4-1세로빔(24a)이 있는 쪽은 "좌측"이라고 부르고, 반대로 제1-2세로빔(21b)과 제4-2세로빔(24b)이 있는 쪽은 "우측"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도4에서 보아 상기 프레임(10)의 좌측에 위치한 제3전방 수직기둥(33)과 제1후방 수직기둥(35)의 사이에는 위에서부터 아래쪽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3개의 세로빔들이 배치되어서 결합되어 있는데, 즉 제1-1세로빔(21a), 제2-1세로빔(22a) 및 제3-1세로빔(23a)이 배치되어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대칭적으로 상기 프레임(10)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4전방 수직기둥(34)과 제2후방 수직기둥(36)의 사이에는 위에서부터 아래쪽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3개의 세로빔들이 배치되어서 결합되어 있는데, 즉 1-2세로빔(21b), 제2-2세로빔(22b) 및 제3-2세로빔(23b)이 배치되어서 결합되어 있다.
또한 도4에서 상기 프레임(10)의 좌측에는 프레임(10) 구조의 보강을 위하여, 상기 제3-1세로빔(23a)과 제4-1세로빔(24a)의 사이에 제1중간 수직 보강부재(38a)와 제3중간 수직 보강부재(38c)가 앞뒤로 사이를 두고 세워져 설치되어서, 각각 상기 제3-1세로빔(23a)과 제4-1세로빔(24a)을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대칭적으로 상기 프레임(10)의 우측에는 제3-2세로빔(23b)과 제4-2세로빔(24b)의 사이에 제2중간 수직 보강부재(38b, 도10 참조)와 제4중간 수직 보강부재(38d)가 높이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어서, 각각 상기 제3-2세로빔(23b)과 제4-2세로빔(24b)을 연결하고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구조적 보강을 위하여,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에 위치한 제1후방 가로빔(15)과 제2후방 가로빔(16)의 사이에는 2개의 후방 중간 수직기둥들(37)이 세워져 설치되어서, 각각 상기 제1후방 가로빔(15)과 제2후방 가로빔(16)을 서로간에 연결시키고 있다.
그리고 제2-1세로빔(22a)과 제2-2세로빔(22b)의 중간부분들에는 버팀보(14)가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상기 버팀보(14)는 제2후방 가로빔(16)과 함께 지게차(100, 도8 참조)의 지게발(107)이 들어왔을 때 접촉하는 부재들로서, 본 발명의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의 전체 중량을 지지하여 지게차에 의해서 들려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는 금속 재질의 사각형 혹은 원형 단면을 가진 파이프나 봉들을 사용해서 제작하므로, 각각의 파이프 혹은 봉의 부재들은 용접에 의해서 결합 및 연결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브라켓과 볼트, 너트, 리벳, 핀 등의 기계요소들을 사용해서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파이프 혹은 봉 부재들간의 연결방식에 관해서는 따로 특정하지 않기로 한다.
도4에 도시된 모습을 참고하면, 상기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의 좌우측에서는 제3전방 수직기둥(33)과 제4전방 수직기둥(34)의 중간 보다 높은 위치들에서 전방을 향해 2개의 사각 파이프들(83, 84; 도5 참조)이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사각파이프들(83, 84)에는 전방 좌측판(81)과 전방 우측판(82)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 좌측판(81)과 전방 우측판(82) 혹은 사각파이프(83)들에는 거치판(83a, 도6 참조)들이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거치판들(83a)에는 거치봉(2b)의 양단부가 각각 끼워질 수 있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의 제3-1세로빔(23a)과 제3-2세로빔(23b)의 사이에는 제1지지빔(18a)과 제2지지빔(18b)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서 결합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제1지지빔(18a)은 제1중간 가로빔(17a)과 제2중간 가로빔(17b)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지지빔(18b)은 제2중간 가로빔(17b)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제1지지빔(18a)에는 그 폭 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의 제1사슬들(61)이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2지지빔(18b)에는 그 폭 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의 제2사슬들(62)이 이격되어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바닥 부분을 이루는 네 모서리에는 각각 이동바퀴들(3)이 설치된다. 이때, 프레임(10)의 바닥 부분의 네 모서리에는 연결블록들(4)이 결합되며, 상기 연결블록들(4)의 밑면에는 각각 바퀴설치 브라켓(3a, 도6 참조)이 설치되고, 상기 바퀴 설치 브라켓(3a)에 이동바퀴(4)가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도, 상기 연결블록들(4)은 프레임(10)의 해당 부분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는 그 하부에 전방으로부터 후방쪽으로 가면서 3가지의 롤러들이 구별되어 설치되는데, 가장 앞쪽에는 가이드롤러(40)가 설치되고, 그 뒤로 제1누름롤러(51)와 제2누름롤러(52)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롤러(40)는 지오그리드 롤(2)로부터 언와이딩(unwinding)되어 나오는 지오그리드(2a)를 적당한 텐션으로 가이드해서 제1누름롤러(51)쪽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제1누름롤러(51)와 제2누름롤러(52)는 지오그리드(2a)를 지면(G, 도6 참조)에 대해 효과적으로 압착해서 지오그리드(2a)가 들뜨지 못하도록 눌러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1누름롤러(51)와 제2누름롤러(52)는 철제로 제작되어서 상당한 중량이 나가며, 그들의 중량 자체로 지면에 대해서 압박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지오그리드(2a)가 제1누름롤러(51)와 제2누름롤러(52)에 의해 눌려진 상태에서 택코팅층과 접촉할 경우, 지오그리드(2a)의 부직포(210)가 택코팅 중에 존재하는 수분을 흡수하며, 그 결과 지오그리드(2a)가 택코팅층과 쉽게 일체화되어서 들뜨지 않게 된다.
상기 제1누름롤러(51)는 제1축봉(56, 도6 참조)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어서, 그대로 놔두면 지면에 닿게 되지만,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를 들어 올려서 상기 제1사슬(61)의 끝에 붙은 후크(61a)에 매달아 둘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누름롤러(52) 역시 제2축봉(57, 도6 참조)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어서, 그대로 놔두면 지면에 닿아 있게 되지만,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를 들어 올려서 상기 제2사슬(62)의 끝에 붙은 후크(62a)에 매달아 둘 수 있다.
한편, 도4에서 도면부호 41은 제4-1세로빔(24a) 및 제4-2세로빔(24b)에 각각 결합되어서 하방으로 연장된 연결판을 가리키는데, 상기 연결판(41)들에 의해 가이드롤러(40)가 프레임(10)의 하부에서 가로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부호 71은 제4-1세로빔(24a) 및 제4-2세로빔(24b)에 각각 결합되어서 하방으로 연장된 제1연결평철을 가리키는데, 상기 제1연결평철들(71)에 의해 제1축봉(56, 제6 참조)이 설치되며, 상기 제1축봉(56)에 의해서 제1누름롤러들(51)이 회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부호 72는 제4-1세로빔(24a) 및 제4-2세로빔(24b)에 각각 결합되어서 하방으로 연장된 제2연결평철을 가리키는데, 상기 제2연결평철들(72)에 의해 제2축봉(57, 제6 참조)이 설치되며, 상기 제2축봉(57)에 의해서 제2누름롤러들(52)이 회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도5는 도4에 도시된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를 위에서 내려다 본 평면도이다. 도5의 그림을 기준으로 할 때, 그림의 좌측이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의 전방쪽이며, 우측이 후방쪽이 된다.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의 전방 상부에는 거치봉(2b)에 끼워진 지오그리드 롤(2)이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때 사각파이프들(83, 84)에는 전방 좌측판(81)과 전방 우측판(8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방 좌측판(81)과 전방 우측판(82)에 거치판들(83a)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거치판(83a)에 양 단부가 각각 거치된 거치봉(83a)에는 상기 거치판들(83a)과의 사이에 엔드링(end ring; 2c)이 끼워져 있어서, 상기 지오그리드 롤(2)이 거치봉(2b) 상에서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정해진 폭 상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거치판들(83a)에는 거치봉(2b)의 단부가 통과하기 위한 구멍들이 마련되어 있다. 이때, 상기 거치판들(83a)의 바깥쪽 면으로 돌출된 거치봉(2b)의 단부에는 체결구(2d)가 끼워지고, 상기 체결구(2d)에 결합된 조임볼트(2e)가 조여지면 거치봉(2b)이 거치판(83a)에 제대로 고정되게 된다.
상기 지오그리드 롤(2)은 파이프 형의 심재(芯材; core)의 둘레에 토목 섬유 보강재로서의 지오그리드가 둘둘 감긴 것이므로, 상기 거치봉(2b)에 끼워진 지오그리드 롤(2) 전체가 회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지오그리드(2a)가 풀려 나올 수 있다.
도5를 참고하면, 상기 가이드롤러(40)는 그 둘레에 복수개의 막대들 혹은 파이프들이 설치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롤러(40)는 지오그리드 롤(2)로부터 풀려져서 나오는 지오그리드(2a)를 지면과 접촉하기 직전에 고르게 펴주기 위한 것이므로, 표면이 일체형으로 연속된 형태보다는 복수 개의 막대들이 방사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막대들 간에 빈 틈이 존재하게끔 된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롤러(40)는, 롤러축(42)이 연결판(41)에 형성된 브라켓에 끼워짐으로써, 프레임(10)의 하부에서 폭 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에서는 2줄의 누름롤러들(51, 52)이 존재하는데, 첫 번째 줄에 위치한 제1누름롤러들(51)은 둘째 줄에 위치한 제2누름롤러들(52)보다 넓은 폭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누름롤러들(51)은 모두 동일한 폭을 가진 것으로 만들어도 되지만, 도5에 도시된 것처럼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의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제1누름롤러들(51)보다 안쪽의 중간 부분에 위치한 제1-1누름롤러들(51a)의 폭이 조금 좁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1누름롤러들(51a)의 폭을 제1누름롤러들(51)의 폭의 0.4~0.9배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1누름롤러들(51a)의 폭을 제1누름롤러들(51)의 폭의 0.45~0.60배로 설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첫 번째 줄에 배치된 누름롤러들 전체를 제1누름롤러들(51)라고 통칭하되, 보다 세부적으로는 제1누름롤러들(51) 중에서 폭이 좁은 롤러들을 제1-1누름롤러들(51a)이라고 분리해서 부르기로 한다. 따라서 그냥 제1누름롤러(51)라고 하면, 제1-1누름롤러(51a)까지 포함하는 총괄적인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제1누름롤러들(51)의 후방에 배치된 제2누름롤러들(52)은 제1누름롤러들(51) 중 폭이 긴 누름롤러와 비교하여 0.2~0.4배의 폭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는 첫 번째 줄의 제1누름롤러들(51)을 4개 설치하였고, 두 번째 줄의 제2누름롤러들(52)은 9개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제1누름롤러들(51)과 제2누름롤러들(52)은 그 설치위치에 있어서 서로간의 폭이 엇갈리도록 배치하여, 지오그리드(2a)가 지면의 택코팅층 위에 깔리는 과정에서 지오그리드(2a)의 전체 폭 중 어느 위치에서라도 적어도 한 번은 제1누름롤러(51) 혹은 제2누름롤러(52)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눌려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는 지오그리드(2a)의 택코팅층 및 바탕면에 대한 압착효과를 높이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누름롤러들(51) 및 제2누름롤러들(52)은 제1축봉(56) 및 제2축봉(57)에 각각 공통적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는 점에서만 제한이 있을 뿐이고, 각자는 자유롭게 제1 및 제2축봉(56, 57)에 대해 회동이 가능하므로, 각자가 접촉하는 지면의 높낮이 및 울퉁불퉁한 정도에 적응하여 각자의 위치(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상기 누름롤러들(51, 52)은 각각의 폭에 해당하는 만큼 지오그리드의 전체 폭을 복수 개의 구간들로 세분해서 지오그리드를 눌러주게 되므로, 도로 보수공사 현장의 지면 레벨이 평탄하지 않은 곳에서도 지오그리드(2a)를 골고루 압박하여 눌러 줄 수 있고, 그 결과 지오그리드의 포설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평철(71)의 하부에는 제1축봉(56; 도6 참조)이 끼워지는 구멍이 마련되며, 상기 제1연결평철(71)의 구멍을 지나서 프레임(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축봉(56)의 단부들에는 각각 체결너트들(56a, 도10 참조)이 결합되어서 상기 제1축봉(56)을 제1연결평철(71)에 대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축봉(56)에는 제1연결바(53)들의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1연결바(53)들의 타단부에는 연결핀축(58, 도7 참조)이 결합된다. 상기 연결핀축(58)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제1누름롤러(51)는 상기 제1연결바(53)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연결핀축(58)에는 제2연결바(54)가 함께 결합되는데, 제1누름롤러(51)의 좌우 양측에 각각 결합된 2개의 제2연결바(54)들은 크랭크 암(55)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2연결바(54)는 연결핀축(58)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연결바(53)를 기준으로 80~135°의 제한된 각도내에서만 회동이 가능하다. 상기 크랭크 암(55)은 제1사슬(61)의 후크(61a)에 걸릴 수 있으며, 이럴 경우 제1누름롤러(51)는 이동바퀴(3)의 위치보다 더 위로 올라가 있게 되므로 지면에 닿지 않고 공중에 뜬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누름롤러들(51)의 후방에 위치한 제2누름롤러들(52)은 그 폭만 제1누름롤러들(51)보다 작을 뿐이고, 그 밖에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된 구조는 완전 동일하다. 즉, 상기 제2연결평철(72)의 하부에는 제2축봉(57; 도6 참조)이 끼워지는 구멍이 마련되며, 상기 제2연결평철(72)의 구멍을 지나서 프레임(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축봉(57)의 단부들에는 각각 체결너트들(57a, 도19 참조)이 결합되어서 제2축봉(57)을 제2연결평철(72)에 대하여 고정시킨다. 제2축봉(57)에 제1연결바(53)의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연결바(53)의 타단부에 연결핀축(58)이 결합되어서 제2누름롤러(5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것과, 상기 연결핀축(58)에 제2연결바(54)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 그리고 제2연결바(54)에 크랭크 암(55)이 연결된 것은, 앞서 제1누름롤러(51)에 관해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 제2누름롤러(52)의 크랭크 암(55) 역시 제2사슬(62)의 후크(62a)에 걸릴 수 있으며, 이럴 경우 제2누름롤러(52)는 이동바퀴(3)의 위치보다 더 위로 올라가서 공중에 뜬 상태에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는 지오그리드(2a)를 택코팅층 위에 펼쳐서 까는 작업을 할 때에는 제1 및 제2누름롤러들(51, 52)이 내려져서 지면에 닿는 상태를 유지하며, 이때 누름롤러들(51, 52)의 자중에 의해서 지오그리드(2a)를 지면에 대해 압착하므로 지오그리드(2a)가 택코팅층 및 그 밑의 바탕면과 보다 잘 결합될 수 있다. 반면, 지오그리드 포설작업을 하지 않을 때에는 누름롤러들(51, 52)을 위로 들어 올린 상태에서 크랭크 암(55)이 제1 및 제2사슬들의 후크들(61a, 62a)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누름롤러들(51, 52)을 프레임(10) 내부의 공간에 수납시켜, 타 장비나 사람들에게 걸리적거리는 것을 피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는 그 가로방향의 폭을 1,700~2,100㎜로 하고, 세로 방향의 길이를 1,100~1,700㎜로 하며, 높이는 1,100~1,80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로방향의 폭이라 함은 예를 들어 프레임(10)의 좌측에 있는 제1-1세로빔(21a)과 우측에 있는 제1-2세로빔(21b)간의 거리를 말하며, 세로방향의 폭이라 함은 프레임(10)의 전방에 있는 제2전방 가로빔(12)과 후방에 있는 제1후방 가로빔(15)간의 거리를 말한다. 그리고 높이라 함은 이동바퀴(3)의 하단에서부터 제1전방 가로빔(11)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한편, 제1누름롤러들(51)이 배치된 부분만의 가로방향 길이(폭)는 1,400~180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누름롤러(51)의 중량은 80~110kg으로 하고, 제1-1누름롤러(51a)의 중량은 40~70kg으로 하며, 제2누름롤러(52)의 중량은 20~40kg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가 실제 현장에서 적용하여 사용한 바에 따른 데이터를 고려하면, 상기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의 가로방향의 폭은 1,840㎜로 하고, 세로방향의 길이는 1,353㎜로 하며, 높이는 1,450㎜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리고 상기 제1누름롤러(51)는 2개를 설치하되 각각의 중량은 95kg으로 하고, 제1-1누름롤러(51a) 역시 2개를 설치하되 각각의 중량은 53kg으로 하며, 제2누름롤러(52)는 9개를 설치하되 각각의 중량은 28kg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도6은 도4에 도시된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를 좌측에서부터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6에는 상기 제1 및 제2누름롤러들(51, 52)이 내려와서 지면(G)에 닿아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6을 참고하면, 프레임(10) 중의 제3-1세로빔(23a)과 제3-2세로빔(23b)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된 제1지지빔(18a)과 제2지지빔(18b)에는 각각 제1사슬(61)과 제2사슬(62)의 상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이때, 제1사슬(61)의 상단부에 마련된 고리 형태의 끼움단(63, 도10 참조)이 제1지지빔(18a)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끼워지고, 그 구멍을 관통해서 제1지지빔(18a)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나온 상기 끼움단(63)의 단부에는 고정너트(63a)가 체결되어서, 상기 끼움단(63)이 제1지지빔(18a)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한다. 제2사슬(62)의 경우에도 끼움단(63)에 고정너트(63a)가 체결됨에 의해 제2지지빔(18b)에 단단히 고정된다.
상기 제1누름롤러(51) 및 제2누름롤러(52)에 설치된 크랭크 암(55)은 원형의 단면을 가진 봉 혹은 파이프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크랭크 암(55)이 후크(61a, 62a)에 걸려진 상태가 되면, 상기 제1누름롤러(51) 및 제2누름롤러(52)는 지면(G)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공중에 걸려 있을 수 있다(도7 참조).
한편, 상기 전방 좌측판(81)과 전방 우측판(82)에는 복수개의 가이드롤들(85)이 설치되어 있는데, 지오그리드 롤(2)로부터 풀어져서 나오는 지오그리드(2a)를 가이드롤러(40) 쪽으로 효과적으로 안내하는데 적합한 위치에 있는 가이드롤러(85)만을 지나도록 해도 무방하다.
도7은 도6에 도시된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에서 제1 및 제2누름롤러들(51, 52)이 제1 및 제2사슬들(61, 62)의 후크들(61a, 62a)에 걸려서 지면(G)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7에 도시된 것처럼 제1누름롤러들(51)과 제2누름롤러들(52)을 제1 및 제2사슬들(61, 62)의 후크들(61a, 62a)에 각각 거치해서 공중에 띄워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8은 도4에 도시된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를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오그리드 포설 장치(1)를 지게차(100)로 들어서 이동하면서 지오그리드(2a)를 택코팅층(115) 위에 펼쳐서 까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9는 도8 중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지게차(100)는 차체(101)의 앞뒤에 바퀴들(102)을 갖고, 차체(101)내에는 운전을 조작하는 핸들(103)과 운전석(104)이 구비되어 있으며, 지게차(100)의 앞쪽에는 유압장치들이 배치되며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마스트(105)와 상기 마스트(105)에 연결되어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백 레스트(back rest, 106) 및 상기 백 레스트(106)에 직교 방향으로 연결되어서 앞쪽으로 뻗어 나온 지게발(107) 혹은 지게 포크(fork)를 구비한다. 상기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의 버팀보(14) 바로 밑까지 지게발(107)을 밀어 넣은 상태에서 지게발(107)을 상승시키면, 지게발(107)이 버팀보(14)와 제2후방 가로빔(16)을 들어 올리게 되므로,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 전체를 들어 올릴 수 있다.
도8에 도시된 도로(110)의 층단면 구조는 하부에서부터 흙으로 이루어진 노상(111)과 그 위의 보조기층(112) 및 프라임 코팅층(113)과 기층(114) 및 아스콘 표층(116)으로 이루어진다. 패임 혹은 소성변형에 의해서 파손이 발생한 도로(110)의 구간에 대해서 상기 아스콘 표층(116)을 걷어내고, 그 걷어낸 자리에 청소 정리 후 택코팅(tack coating)을 실시하여 택코팅층(115)을 형성하며, 그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를 사용해서 지오그리드(2a)를 택코팅층(115) 위에 펼쳐 깔고 누름롤러들(51, 52)로 다진다.
도8에서 도시된 것처럼, 지오그리드 롤(2)에 감겨 있는 지오그리드(2a)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이드롤(85)을 경유하여 가이드롤러(40)로 지나게 되며, 상기 가이드롤러(40)에 의해서 잘 펼쳐진 상태에서 도로(110) 보수 공사 현장의 택코팅층(115) 위에 깔린다. 이때, 복수 개의 제1누름롤러들(51) 및 제2누름롤러들(52)이 각자 지면의 레벨 상태에 따라 회동하면서 그 밑을 지나는 지오그리드(2a)의 전체면적에 대해 골고루 눌러주므로, 상기 지오그리드(2a)는 택코팅층(115)과 잘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오그리드(2a)는 그 구성 중의 일부인 부직포(210, 도2 참조)가 택코팅층(115) 중의 수분을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흡수하므로, 들뜸이 없이 택코팅층(115) 및 그 아래의 바탕면과 쉽게 일체화될 수 있고, 그 결과 아스콘 표층과 아스콘 기층 간의 결합이 단단하게 이루어져서 도로 보수공사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9에서 제1누름롤러(51) 및 제2누름롤러(52)에 관해 표시된 화살표들은 상기 제1 및 제2누름롤러들(51, 52)이 그 자중에 의해서 지오그리드(2a)를 택코팅층(115)에 압착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10은 도5에 있어서 X-X선을 따라서 절단한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의 단면도이다. 도10은 도5의 X-X선에서 전방쪽을 바라본 단면도이므로, 제1누름롤러들(51) 및 제1-1누름롤러들(51a)만이 보이고, 제2누름롤러들(52)은 보이지 않는다.
도10을 참고하면, 상기 지오그리드 롤(2)의 양 측면에 위치한 엔드링(2c)은 거치판(83a)과 지오그리드 롤(2)의 양 측면들과의 틈을 메꿔서 지오그리드 롤(2)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엔드링(2c)은 거치봉(2b)에 함께 끼워지되, 지오그리드 롤(2)의 심재(芯材)와 만나는 부분에는 직경방향으로 확장된 플랜지(2c-1)를 가진다.
한편, 상기 가이드롤(85)은 전방 좌측판(81, 도4 참조) 및 전방 우측판(82)에 각각 설치된 브라켓(85a)에 그 양단이 끼워져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축봉(56)에는 제1연결바(53)들의 일 단부들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연결바(53)들을 매개로 해서 제1누름롤러(51) 및 제1-1누름롤러(51a)가 제1축봉(56)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및 제1-1 누름롤러들(51, 51a)의 양 측면에서 제1연결바(53)들의 타 단부들이 연결핀축(58)과 결합된다. 이때, 제1 및 제1-1누름롤러들(51, 51a)의 각각의 폭의 양측에 해당하는 위치들에서 제1연결바들(53)이 제1축봉(56)과 결합하게 되므로, 제1축봉(56)상에서 제1연결바들(53) 사이의 공간들은 제1스페이서들(91), 제1-1스페이서(91a) 및 제2스페이서(92)로 채우며, 제1축봉(56)의 양 가장자리 위치에서 제1연결바(53)와 제1연결평철(71) 사이의 간격은 제3스페이서(93)로 채운다.
상기 제1스페이서(91)는 가장 폭이 긴 제1누름롤러(91)의 양 측면에 설치된 제1연결바(53)들 간의 빈 공간(즉, 제1축봉(56) 상에서의 빈 공간)을 메꾸는 기능을 하며, 제1-1스페이서(91a)는 폭이 좁은 제1-1누름롤러(91a)의 양 측면에 설치된 제1연결바(53)들 간의 빈 공간(즉, 제1축봉(56) 상에서의 빈 공간)을 메꾸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2스페이서(92)는 제1누름롤러(51) 및 제1-1누름롤러(51a) 사이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2개의 제1연결바들(53) 사이의 제1축봉(56) 상에서의 빈 공간을 메꾸는 역할을 한다.
도11은 도5에서 ⓐ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의 배면도이다. 도11의 배면도는 도10과 비교할 때 제1 및 제1-1누름롤러들(51, 51a)이 있던 자리에 제2누름롤러들(52)이 배치되고, 제1지지빔(18a)이 있던 자리에 제2지지빔(18b)이 있으며, 또 제1 및 제2중간 수직보강부재들(38a, 38b)이 있던 자리에 제1 및 제2후방 수직 기둥들(35, 36)이 있는 것을 제외하면 도10의 단면도와 거의 동일하다.
도11에서 제2누름롤러들(52)에 관해 표시된 화살표들은, 제2누름롤러들(52)이 자중에 의해 도로 지면을 압착해서 눌려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스팔트 도로의 보수공사시에 제2누름롤러들(52)이 지오그리드(2a)를 강하게 압착해 주므로, 택코팅층(115) 및 그 밑이 바탕면에 지오그리드(2a)가 효과적으로 압착될 수 있고, 그 결과 지오그리드의 들뜸 현상이나 겹쳐짐 등의 하자가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 포설 장치(1)에 있어서 제1누름롤러(51)에 관련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12를 참고하면, 제1축봉(56)에는 제1연결바들(53)의 일 단부들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연결바들(53)의 타 단부들에는 연결핀축(58)을 매개로 제1누름롤러(51)가 결합되되, 상기 연결핀축(58)은 제1누름롤러(51)의 내부 중심공(510)에 그 내부축부(58a, 도15 참조)가 끼워지고, 그 반대쪽에 위치한 외부축부(58c)에는 수나사부(58d)가 형성되어서 체결너트(59)가 채워질 수 있다(도15 참조). 상기 연결핀축(58)에는 제1연결바(53) 뿐만 아니라 제2연결바(54)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나의 제1누름롤러(51)의 양 측면에 존재하는 제2연결바(54)들은 그 끝부분이 크랭크 암(55)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핀축(58)의 내부축부(58a, 도15 참조)가 제1누름롤러(51)의 내부 중심공(510)안으로 끼워질 때에는, 상기 내부축부(58a)에 베어링(582)이 끼워진다. 상기 제1누름롤러(51)는 연결핀축(58)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핀축(58)의 내부축부(58a, 도15 참조) 중에서 상기 제1누름롤러(51)의 내부 중심공(510) 안으로 삽입되지 않은 부분에는 스페이서 링(581)이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제1누름롤러(51)가 제1축봉(56)의 길이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이 방지된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에 있어서 제1축봉(56)에 제1누름롤러(51)와 제1-1누름롤러(51a)가 설치되는 구조를 도시한다.
도13을 참고하면, 상기 제1축봉(56) 상에서 제1누름롤러들(51)의 폭에 대응되는 구간에는 제1스페이서(91)가 끼워지고, 제1-1누름롤러들(51a)의 폭에 대응되는 구간에는 제1-1스페이서(91a)가 끼워지며, 인접한 누름롤러들(51, 51a)간의 틈에 대응되는 구간에는 제2스페이서(92)가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제1누름롤러(51)의 측면과 제1축봉(56)의 좌우측 끝단 사이의 구간에는 제3스페이서(93)가 끼워진다. 상기 스페이서들(91, 91a, 92, 93)은 제1 및 제1-1 누름롤러들(51, 51a)이 제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1축봉(56)의 양 단부들에는 나사산(56b)이 형성되어 있어서 체결너트(56a, 도10 참조)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제1축봉(56)은 제1연결바(53)의 일 단부에 형성된 제1관통공(53a)을 통과함으로써, 제1연결바(53)가 제1축봉(56)과 결합된다. 연결핀축(58)의 외부축부(58c)는 제1연결바(53)의 타 단부에 형성된 제2관통공(53b, 도15 참조)과 제2연결바(54)의 단부(54e, 도15 참조)에 형성된 제3관통공(54a)을 한 번에 관통하며, 연결핀축(58)의 내부축부(58a)는 제1누름롤러(51)의 내부 중심공(510, 도12 참조) 안에 끼워진다. 상기 제2연결바(54)의 타 단부는 크랭크 암(55)과 연결되며, 제2연결바(54)는 제1연결바(53)에 대해 80~135°의 범위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되, 특히 90~125°의 범위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14는 제1축봉(56)에 제1누름롤러(51)가 설치되는 구조를 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14를 참고하면, 상기 제1스페이서(91) 및 제2스페이서(92)와 제3스페이서(93)에는 축 관통공들(91b, 92a, 9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들(91, 92, 93)의 축 관통공들(91b, 92a, 93a) 안으로 제1축봉(56)이 통과한다.
도15는 제1누름롤러(51)의 구성품들과 제1축봉(56)이 결합되는 관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15를 참고하면, 상기 제1연결바(53)는 3~10㎜ 두께의 평철을 가공하여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양단에 제1관통공(53a)과 제2관통공(53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관통공(53a)으로는 제1축봉(56)이 끼워지며, 제2관통공(53b)으로는 연결핀축(58)이 끼워진다. 상기 제1연결바(53)는 상기 제1누름롤러(53)를 향한 면에서 제2관통공(53b)의 주변에 제1멈춤턱(53c)과 제2멈춤턱(53d)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멈춤턱(53c)은 상기 제1연결바(53)의 길이 방향을 따른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2관통공(53b)의 중심점(53b-1)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α1의 각도까지 돌출되어 있으며, 하방을 향해서는 α2의 각도까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멈춤턱(53d)은 상기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2관통공(53b)의 중심점(53b-1)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β1의 각도까지 돌출되어 있고, 하방을 향해서는 β2의 각도까지 돌출되어 있다. 상기 α1의 각도는 20~45°이고, 상기 α2의 각도는 15~40°의 각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β1의 각도는 15~40°의 각도로 하고, 상기 β2의 각도는 15~45°의 각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연결바(53)의 내측면에 상기 제1멈춤턱(53c)과 제2멈춤턱(53d)이 돌출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서, 제2연결바(54)는 상기 제1 및 제2멈춤턱들(53c, 53d)에 걸려 회전 범위가 제한된다.
상기 연결핀축(58)은 중간부분에 방사상으로 확대된 디스크부(58b)를 기준으로 외측으로는(즉, 제1누름롤러(51)의 반대측으로는) 외부축부(58c)가 마련되어 있으며, 내측에는(즉, 제1누름롤러(51)를 향한 쪽으로는) 내부축부(58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연결핀축(58)의 외부축부(58c)는 그 끝부분에 수나사부(58d)가 형성되어 있어서, 체결너트(59)가 결합될 수 있다. 제2연결바(54) 역시 제1연결바(53)와 마찬가지로 3~10㎜ 두께의 평철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그 단부(53e)에 제3관통공(5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핀축(58)의 외부축부(58c)는 제1연결바(53)의 제2관통공(53b)과 제2연결바(54)의 제3관통공(54a)을 통과하며, 그렇게 해서 외부로 튀어나오게 되는 곳이 바로 수나사부(58d)인데, 이 수나사부(58d)에 체결너트(59)가 채워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핀축(58)의 내부축부(58a)는 스페이서 링(581)을 개재하여 제1누름롤러(51)의 내부 중심공(510, 도12 참조)에 끼워진다. 상기 스페이서 링(581)은 통과공(581a)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연결핀축(58)의 내부축부(58a)가 삽입 및 통과할 수 있다.
도16은 도13에 있어서 제1누름롤러(51)에 결합된 제2연결바(54) 및 크랭크암(55)이 회동 가능한 것을 도시한다. 앞서 도1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연결바(53)의 안쪽 면에는 제1멈춤턱(53c)과 제2멈춤턱(53d)이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제2연결바(54)의 회전 범위가 제한된다. 따라서 제2연결바(54) 및 그에 연결된 크랭크 암(55)은 도16에 도시된 것처럼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와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며, 에를 들어 크랭크 암(55)이 후크(61a)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는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까지 올라가겠지만, 후크(61a)에 걸려 있지 않고 위에서 끌어당기지도 않는 경우에는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까지 내려가 있게 된다. 도15에 도시된 것처럼 제1연결바(53)의 안쪽면에 제1멈춤턱(53c)이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거기에 걸려서 제2연결바(54)는 더 내려가지 않게 된다.
도17은 제1사슬(61)에 제1누름롤러(51)의 크랭크암(55)이 걸려서 올려질 수 있음을 도시한다. 도17에서 "A"는 제1사슬(61)의 후크(61a)가 걸려지는 부분을 가리킨다.
도18은 도10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제1누름롤러들(51) 및 제1-1누름롤러들(51a)이 제1사슬들(61)의 후크들(61a)에 걸려서 위로 올려졌을 때를 나타낸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의 단면도이다. 제1 및 제1-1누름롤러들(51, 51a)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된 제2연결바들(54)이 크랭크 암(55)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제1사슬(61)의 후크(61a)에 상기 크랭크 암(55)이 얹혀짐에 의해서 상기 제1 및 제1-1누름롤러들(51, 51a)은 지면으로부터 띄어져서 공중에 떠 있게 된다.
이상 도12 내지 도18에서는 제1축봉(56)과 제1누름롤러(51)간의 결합에 관한 구성들을 위주로 설명하였는데, 제2축봉(57)과 제2누름롤러(52)간의 결합에 관한 구성도 이와 동일하다.
도19는 도11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제2누름롤러들(52)이 제2사슬들(62)의 후크들(62a)에 걸려서 위로 올려졌을 때를 나타낸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의 배면도이다.
도18 및 도1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누름롤러들(51) 및 제2누름롤러들(52)이 제1 및 제2사슬들(61, 62)의 후크들(61a, 62a)에 걸려서 공중에 떠 있게 되면, 제1 및 제2누름롤러들(51, 52)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가 된 것이므로, 그렇게 보관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를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오그리드 포설 장치(1a)의 측면도로서, 지게차(100)의 지게발(107)에 의해 들려진 상태에서 지오그리드(2a)의 포설작업을 수행하는 장면을 도시하며, 도21은 설명의 편의상 도20에서 제1 및 제2가이드 레일(151, 152)을 지우고 그 안쪽에 배치된 제1 및 제2실린더들(161, 162)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1 및 제2누름롤러들(51, 52)이 실린더(161, 162)에 의해서 지면쪽으로 힘을 작용받도록 한 점과, 그 실린더들(161, 162)의 상단부가 베벨기어 장치에 의해서 작업자가 손으로 크랭크 축을 돌려서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 점에서,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구성과 차이가 있다.
도20을 참고하면, 제1누름롤러(51)와 제2누름롤러(52)의 크랭크 암(55)들은 각각 제1실린더(161)의 로드(161a, 도21 참조)와 제2실린더(162)의 로드(162a, 도21 참조)와 결합되어서 상기 실린더들(161, 162)에 의해 지면쪽으로 (즉 하방으로) 누르는 힘을 더 받는다. 이렇게 제1누름롤러(161)와 제2누름롤러(162)가 지면쪽으로 더 눌려주는 힘을 받게 되면, 도로 보수공사를 실시하는 도로의 바닥이 울퉁불퉁하여 지오그리드를 깔 때 누름롤러들(51, 52)에 자중만에 의해서는 골고루 땅에 밀착하여 제대로 눌러주기 힘든 경우에도, 복수 개의 제1 및 제2실린더들(161, 162)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서 크랭크 암(55)들을 아래쪽으로 강하게 눌러주게 되고, 그 결과 제1 및 제2누름롤러들(51, 52)이 땅을 향해서 더 세게 눌려지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2실시예에 의한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a)는 제1누름롤러(51)와 제2누름롤러(52)의 자중 외에도 실린더에 의한 탄성적인 반발력을 더 제공하여 지오그리드(2a)를 눌러줄 수 있게 되므로, 지오그리드(2a)의 포설작업시 택코팅층(115) 및 그 아래에 위치한 바탕면과의 접착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 및 제2실린더들(161, 162)은 그 상단부가 제1승강 가로빔(251) 및 제2승강 가로빔(252)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승강 가로빔(251)은 프레임(10)의 좌우측에 수직으로 세워져서 설치된 제1가이드 레일(151)을 따라 승강할 수 있고, 제2승강 가로빔(252)은 프레임(10)의 좌우측에 수직으로 세워져서 설치된 제2가이드 레일(152)을 따라 승강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10)의 좌측에 위치한 제2-1세로빔(22a)에는 제1크랭크 레버(171)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1크랭크 레버(171)에 연결된 제1크랭크 축(173, 도23 참조)은 베벨기어(174, 도23 참조) 및 전산볼트(253)에 의해서 상기 제1승강 가로빔(251)과 연결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제1크랭크 레버(171)를 어느 특정한 방향(예를 들어 제1방향)으로 돌리면 제1승강 가로빔(251)이 제1가이드 레일(151)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그 반대 방향(제2방향)으로 돌리면 제1승강 가로빔(251)이 제2가이드 레일(152)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크랭크 축(173)의 단부에는 제1라체트 휠(ratchet wheel, 172)이 설치되며, 그 옆에는 폴(pawl; 182, 도25 참조)이 제1라체트 휠(172)의 이빨에 접촉하고 있어서, 상기 제1라체트 휠(172)이 제1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허용하며, 그 반대인 제2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저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20에서 도면부호 181은 상기 폴(182, 도25 참조)에 연결되어서 상기 폴(182)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제1폴 레버(pawl lever)를 가리킨다.
그리고 제2승강 가로빔(252)에 관한 제2크랭크 레버(271)와 제2라체트 휠(272) 및 제2폴 레버(281)의 구성은, 상기 제1승강 가로빔(251)에 관한 제1크랭크 레버(171)와 제1라체트 휠(172) 및 제1폴 레버(181)의 구성과 동일하다. 즉, 상기 제2크랭크 레버(271)에는 제2크랭크 축(273, 도25 참조)이 연결되며, 상기 제2크랭크 축(273) 상에는 베벨기어(274)가 설치되어서 제2크랭크 레버(271)의 작동에 의해 제2승강 가로빔(252)이 상승 혹은 하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크랭크 축(273)의 단부에는 제2라체트 휠(272)이 설치되고 그 옆에는 폴(282, 도25 참조)이 설치되어서 제2라체트 휠(272)의 회전을 한 방향으로만 허용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폴(282)이 제2라체트 휠(272)에 물려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크랭크 레버(271)를 제1방향으로는 회전시켜서 상기 제2승강 가로빔(252)을 상승시킬 수 있지만, 상기 제2크랭크 레버(271)의 제2방향으로의 회전은 저지된다. 도20에서 도면부호 281은 상기 폴(282, 도25 참조)에 연결되어서 상기 폴(282)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제2폴 레버(281)를 가리킨다.
한편, 도20에서 도면부호 191은 상기 제1크랭크 레버(171)가 설치될 수 있는 받침대를 가리키며, 도면부호 192는 상기 제2크랭크 레버(271)가 설치될 수 있는 받침대를 가리킨다.
그리고 도20 및 도21에서 상단에 크게 표시된 화살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a)가 지게차(100)와 함께 전진해 나가면서 지오그리드(2a)의 포설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2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a)에 있어서 제1누름롤러(51)가 제1실린더(161)에 의해서 하방으로 눌려지는 힘을 받는 구조를 설명한다.
도22를 참고하면, 상기 제1누름롤러(51)에 연결된 크랭크 암(55)에는 제1실린더(161)의 로드(161a)의 하단부가 결합되는데, 이때 클램프(550)가 상기 크랭크 암(55)과 제1실린더(161)의 로드(161a)를 서로 연결한다. 도22에서 클램프(550)는 크랭크 암(55)의 일부 위치에 결합되며, 상기 클램프(550)에는 돌출 연결편(55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 연결편(552)에 제1실린더(161)의 로드(161a) 하단부가 결합됨으로써, 크랭크 암(55)에는 실린더(161)에 의한 탄성적인 반발력이 작용하게 된다. 도22에서 도면부호 551은 클램프(550)가 크랭크 암(55)에 물릴 수 있도록 결합한 체결부(551)이며, 도면부호 551a는 상기 체결부(551)를 잠그는 체결볼트들(551a)이다.
도23은 도2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a)에 있어서 Y-Y선을 따라 절단한 모습을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23은 제1실시예에서의 도10 및 도18이 그러하듯이 제1누름롤러들(51)과 그에 관한 구동장치들이 보이도록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a)를 가상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23을 참고하면, 프레임(10)의 폭 방향으로 제1승강 가로빔(251)이 설치되며, 상기 제1승강 가로빔(251)은 그 양단부에 마련된 삽입 슬라이더들(251a)이 제1가이드 레일(151)안에 끼워져서 미끄러짐 방식으로 승강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 가로빔(251)에는 복수 개의 제1실린더들(161)의 상단부들이 결합되며, 상기 제1승강 가로빔(251)의 중앙 부분에는 슬라이딩 너트 블록(257)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 너트 블록(257)에는 전산볼트(253)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 너트 블록(257)은 그 길이방향으로 구멍이 천공되어 있고, 그 구멍의 내벽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산볼트(253)는 그 표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것으로서, 전산볼트(253)가 슬라이딩 너트 블록(257)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산볼트(253)가 회전하면, 상기 전산볼트(253)에 물려 있는 슬라이딩 너트 블록(257)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상기 전산볼트(253)는 베벨기어(174)를 구성하는 제2피니언(176)의 바디(176a)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피니언(176)은 직교하여 배치된 제1피니언(175)과 이빨이 물려 있다. 상기 제1피니언(175)의 바디(175a)에는 제1크랭크 축(173)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크랭크 축(173)은 제1크랭크 레버(171)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제1크랭크 레버(171)를 회전시키는 조작을 하면, 제1크랭크 축(173)이 제1방향 혹은 제2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그 결과 베벨기어(174) 장치 중의 제1피니언(175)이 회전하고, 제2피니언(176)이 함께 회전하면서 전산볼트(253)가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 슬라이딩 너트 블록(257)이 상승 혹은 하강한다.
도23에서 제1지지 가이드빔(255)에 형성된 가이드 브라켓(255a)은 제2피니언(176)에 연결된 전산볼트(253)와 제2피니언 바디(176a)의 위치를 잡아주고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제1크랭크 축(173)의 양단에는 고정엔드(177)가 위치하여서 제1크랭크 축(173)이 프레임(10)에 대해 왔다갔다 하지 않고 제 위치에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엔드(172)에는 반경 방향으로 조임볼트(177a)가 설치되어서, 조임볼트(177a)를 조임에 따라서 고정엔드(177)가 제1크랭크 축(253)에 고정된다.
도23은 제1누름롤러(51)가 하방으로 최대로 내려와 있는 상태로서, 지오그리드(2a)를 포설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장면을 도시한다. 슬라이딩 너트 블록(257)이 제1가이드 레일(151)을 따라 최대로 내려와 있는 상태이며, 이때 제1실린더(161)의 위치 역시 가장 아래로 내려와 있다. 제1실린더(161)는 공압 혹은 유압실린더로 구성이 가능하며, 내부에 스프링 등의 탄성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실린더(161)로부터 로드(161a)가 소정의 길이만큼 나와 있는 상태대로 제1실린더(161)의 기본 상태가 세팅되며, 이대로 클램프(550)를 거쳐서 제1누름롤러들(51)의 크랭크 암들(55)과 결합된다. 제1실린더(161)와 로드(161a)간의 탄성적 반발력에 의해서 크랭크 암들(55)은 아래 방향으로 눌러주는 힘을 전달받으며, 이때 크랭크 암(55)과 연결된 제2연결바(54)가 제1연결바(53)에 대해서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크랭크 암(55)을 눌러주는 힘은 그대로 제1누름롤러들(51)로 전달된다. 그 결과, 도23에 화살표들로 표시된 것처럼 제1누름롤러들(51)이 지오그리드(2a)를 압착해서 택코팅층(115) 쪽으로 눌러주는 것이 가능하다.
도24는 도23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1승강가로빔(251)이 상승하여 제1실린더들(51) 및 제1-1실린더들(51a)이 상방으로 끌어당겨져 올라간 상태를 도시한다. 작업자가 핸들(171a)을 돌려서 제1크랭크 레버(171)를 제2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움직임은 제1크랭크 축(173)을 제2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되며, 그 결과 슬라이딩 너트 블록(257)과 제2승강 가로빔(251)이 상승하고, 제1실린더(161)도 함께 올라가며, 크랭크 암(55)을 위로 끌어 잡아 당겨서 제1누름롤러들(51)도 함께 위쪽으로 올라가게 된다. 그 결과 제1누름롤러들(51)이 지면(G)으로부터 떠 있게 되며, 대신 이동바퀴들(3)이 지면(G)에 닿을 수 있다.
도25는 도20에 도시된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a)의 평단면도인데, 특히 도20의 Z1-Z1선을 따라서 절단하고 내려다 본 모습을 나타낸다. 도25에서는 베벨기어(174, 274) 장치들 및 크랭크 축들(173, 273)에 관한 구성이 잘 보이도록 다른 구성들은 걷어 냈다.
도25를 참고하면, 상기 제1크랭크 축(173)은 그 양단부가 제2-1세로빔(21a) 및 제2-2세로빔(21b) 상에서 축 지지부(17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이때 제1크랭크 축(173)의 양단부가 축 지지부(178)에 걸려지는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엔드(177)가 설치되고, 고정엔드(177)에는 조임볼트(177a)가 설치되어 있다.
제1크랭크 축(173) 및 제2크랭크 축(273)을 돌리는 힘만으로 무거운 중량의 누름롤러들(51, 52)이 달린 제1승강 가로빔(251)과 제2승강 가로빔(252)을 끌어올려야 하기 때문에, 상기 베벨기어(174, 274) 장치는 제2피니언(176, 276)을 제1피니언(175, 275)보다 적어도 4~5배 이상 더 크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만 작은 힘으로도 제1 및 제2크랭크 레버(171, 271)를 돌릴 수 있다.
도25에서 도면부호 176b는 제1피니언(176)의 축이며, 276b는 제2피니언(276)의 축이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크랭크 축(173, 273)의 일 단부에는 제1 및 제2라체트 휠들(172, 27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라체트 휠(172, 272)에는 폴(pawl, 182)들이 걸릴 수 있다. 사이 폴(182)이 제1 및 제2라체트 휠(172, 272)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는, 제1방향으로 크랭크 축들(173, 273)을 돌리는 것은 가능하지만, 그 반대인 제2방향으로(즉 누름롤러들을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돌리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폴(182)들을 상기 제1 및 제2라체트 휠들(172, 272)로부터 분리시키면, 상기 제1 및 제2크랭크 축들(173, 273)을 어느 방향으로든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다.
도25에서 제1폴 레버(181)는 폴(182)의 축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제1폴 레버(181)를 손으로 잡고 방향을 전환시키면 그에 따라 폴(182)이 방향이 바뀐다. 이렇게 제1폴 레버(181)를 조작함에 의해 상기 제1라체트 휠(172)을 잠글 수도 있고 또는 풀어줄 수도 있다. 한편, 제2크랭크 축(273)에 관한 제2라체트 휠(272)과 폴(282) 및 제2폴 레버(281)의 구성도, 앞서 설명한 제1크랭크 축(173)에 관한 제1라체트 휠(172)과 폴(182) 및 제1폴 레버(181)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26은 도20에 도시된 Z2-Z2선을 따라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a)를 절단한 상태에서 내려다 본 단면도이다. 즉, 도26은 도25에 도시된 베벨기어들(174, 274)이 존재하는 높이의 바로 아래 부분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a)에 있어서, 베벨기어들(174, 274; 도25 참조)의 제2피니언들(176, 276)에 연결된 피니언 축들(176b, 276b)은 각각 전산볼트(253)로 연결되며, 상기 전산볼트들(253)은 각각 제1지지 가이드빔(255)에 마련된 가이드 브라켓(255a)과 제2지지 가이드빔(256)에 마련된 가이드 브라켓(256a)에 의해 위치가 지지된다.
도27은 도21에 도시된 Z3-Z3선을 따라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a)를 절단한 상태에서 내려다 본 단면도이다. 즉, 도27은 도26에 도시된 제1 및 제2지지 가이드 빔들(255, 256)과 그 가이드 브라켓들(255a, 256a)이 존재하는 높이의 바로 아래 부분의 모습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a)의 좌측에서 중간 정도 높이에 위치한 제2-1세로빔(21a)과 그 바닥의 높이에 위치한 제4-1세로빔(24a)의 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제1가이드 레일(151)과 제2가이드 레일(152)이 서로 이격되어서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a)의 우측에서 중간 정도 높이에 위치한 제2-2세로빔(21a)과 그 바닥의 높이에 위치한 제4-2세로빔(24b)의 사이에도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제1 및 제2가이드 레일(151, 152)이 서로 이격되어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151, 152)은 요(凹)형의 단면으로 되어 있어서, 철(凸)형의 단면을 가진 삽입 슬라이더들(251a, 252a)이 끼워질 수 있으며, 제1 및 제2가이드레일(151, 152)의 요홈을 따라서 삽입 슬라이더들(251a, 252a)을 양단에 가진 제1 및 제2승강 가로빔들(251, 252)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도28은 도20에 대응되되 제1누름롤러들(51) 및 제2누름롤러들(52)이 상방으로 들려올라간 모습으로 변화된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29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28에서 제1 및 제2가이드레일(151, 152)을 지우고 그 안쪽에 배치된 제1 및 제2실린더들(161, 162)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크랭크 레버들(171, 271)을 작업자가 제1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제1 및 제2실린더들(161, 162)이 상방으로 올라가게 되며, 그 결과 크랭크 암들(55)의 위치가 상승하게 되고, 제1 및 제2누름롤러들(51, 52)도 상승하게 된다. 베벨기어(174, 274)의 구조적 특성상 큰 기어로 된 제2피니언(176, 276) 쪽에 누름롤러들(51, 52)의 하중이 걸리더라도, 제2피니언(176, 276)과 비교하여 1/4 혹은 1/5 정도의 작은 크기로 된 제1피니언(175, 275) 쪽은 쉽게 회전하지 않는다. 거기에 더하여 제1피니언(175, 275) 쪽에 연결된 제1 및 제2크랭크 축들(173, 273)의 단부에 라체트 휠들(172, 272)이 설치되고 이 라체트 휠들(172, 272)이 누름롤러들(51, 52)을 내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폴(182, 282)이 걸려 있기 때문에, 일단 위로 올라가 있는 누름롤러들(51, 52)은 베벨기어(174, 274) 장치가 그냥 스르륵 풀려서 아래로 미끄러져 내려가지는 않게 된다.
도30은 도22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a)에 있어서 제1실린더(161)가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누름롤러(51)가 같이 상방으로 들려 올라가는 상태를 설명한다.
도31은, 도2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a)에 있어서 제1크랭크축(173)의 일단에 마련된 제1크랭크 레버(171)와 제1라체트 휠(172)의 이동을 제한하는 폴(paw2, 181)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상기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a)의 프레임(10)에 있어서 좌측의 제2-1세로빔(21a)과 우측의 제2-2세로빔(21b) 상에는 각각 제1받침판(191)이 설치되고, 그 제1받침판(191)에는 축 지지부(178)들이 설치되며, 상기 축 지지부들(178)에 의해서 제1크랭크 축(173)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때, 폴(pawl, 182)에 의해서 상기 제1라체트 휠(172)의 제1방향으로의 회전은 허용되지만, 그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제1방향이란 제1크랭크 축(173)의 회전에 의해서 제1누름롤러(51)가 위로 끌어올려지는 방향을 말하며, 상기 제2방향이란 제1크랭크 축(173)의 회전에 의해서 제1누름롤러(51)가 아래로 내려가게 되는 방향을 말한다.
즉, 상기 제1라체트 휠(172)과 폴(182) 장치의 구성에 의해서 제1누름롤러(51)가 위로 올라온 뒤에는 저절로 아래로 미끄러져 내려가는 일은 방지된다. 이러한 구성은 제2누름롤러(52)에 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있다.
도31을 참고하면, 제1라체트 휠(172)의 바로 옆에 폴(pawl) 장치부가 설치되는데, 상기 폴 장치부는 상기 제1라체트 휠(172)의 기어 이빨에 걸리는 폴 단부(182a)를 가진 폴(182)과, 상기 폴(182)에 결합된 폴축(182b), 및 상기 폴축(182b)이 지지되는 폴 하우징(183)과 축 지지부(184)를 포함한다. 상기 축 지지부(184)는 받침판(191a)에 의해서 지지되며, 상기 받침판(191a)은 제1크랭크 축(173)의 축 지지부(178)를 위한 제1받침판(191)과 일체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폴 하우징(183)은 상기 폴 축(182b)의 일단을 지지함과 동시에, 폴 축(182b)에 일체로 결합된 록킹휠(181a, 도33 참조)의 움직임을 2개의 모드로 나눠서 제한할 수 있는 가이드 곡면 구멍(183b, 도33 참조)을 가진다. 상기 폴 축(182b)의 단부에는 제1폴 레버(181)가 결합되어 있으며, 작업자는 제1폴 레버(181)를 90°의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라체트 휠(172)에 대한 폴(182)의 잠금상태 혹은 해제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도32는 도31에 도시된 제1라체트 휠(172)과 폴(182) 간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는데, 이 중 그림<a>는 폴(182)의 단부(182a)가 제1라체트 휠(172)에 걸려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그림<b>는 폴(182)이 제1라체트 휠(172)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32의 그림<a>에서는 제1크랭크 축(173)이 제1승강가로빔(251)이 상승하는 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있되, 제1승강가로빔(251)이 하강하는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못하도록 잠금상태가 되어 있다. 반면 그림<b>에서는 제1라체트 휠(172)이 폴(182)로부터 해제되어 있어서 제1승강가로빔(251)을 내리는 방향으로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32의 그림<a>는 도33의 그림<a>에 대응되는 상태인데, 이때는 폴(182)이 제1라체트 휠(172)의 이빨 사이에 걸려 있어서 제1방향으로의 회전은 가능하지만, 그 반대방향으로의 (즉, 제2방향으로의) 회전은 불가능하다. 즉, 제1라체트 휠(172)이 제1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폴(182)의 단부(182a)가 까딱까딱하는 방식으로 약간씩 움직일 수 있어서 제1라체트 휠(172)의 이빨들이 폴 단부(182a)를 밀어내면서 회전할 수 있지만, 그 반대방향(제2방향)으로는 폴(182)의 단부(182a)가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제1라체트 휠(172)이 회전할 수 없다.
한편, 상기 폴(182)의 몸체는 폴축(182b)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스프링(185)에 의해 탄성력을 받는데, 상기 폴(182)의 몸체(182c)에는 2개의 편평부(182c-1, 182c-2)가 인접해서 마련되어 있고, 상기 2개의 편평부(182c-1, 182c-2) 사이에는 볼록부(182c-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폴(182)의 단부(182a)가 제1라체트 휠(172)에 걸린 상태에서는 상기 폴의 몸체(182c)의 제1편평부(182c-1)가 스프링(185)의 가동부(185b)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폴(182)은 그림<a>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려는 쪽으로 스프링(185)의 탄성력을 제공받게 된다. 따라서 제1라체트 휠(172)의 회전에 의해 폴(182)이 까딱까딱하면서 움직이더라도 그때마다 스프링(185)의 가동부(185b)가 폴(182)의 몸체(182c)의 제1편평부(182c-1)를 계속 밀어주므로, 폴(182)의 단부(182a)가 제1라체트 휠(172)의 이빨에 탄성적인 힘을 가하면서 접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제1폴 레버(181)를 손으로 잡고 시계 반대 방향으로 90°만큼 회전시키게 되면, 폴(182)은 그림<b>와 같이 해제 모드로 변경된다. 이때는 폴(182)의 몸체(182c)가 스프링(185)에 대한 관계에서 볼록부(182c-3)를 넘어, 이제는 제2편평부(182c-2)가 스프링(185)의 가동부(185b)에 접하게 된 상태이므로, 작업자가 다시 제1폴 레버(181)를 시계방향으로 90° 회전시키지 않는 이상, 폴(182)은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폴(182)이 제1라체트 홀(172)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라체트 휠(172)이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모두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도33은 도32에 도시된 폴(182) 장치에 있어서 제1폴 레버(181)에 한 몸으로 연결된 록킹 휠(181a)과 폴 하우징(183)의 가이드 곡면 구멍(183b)간의 작용을 설명한다. 그림<a>는 폴(182)이 잠금상태에 있는 것을, 그리고 그림<b>는 폴(182)이 해제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33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 포설장치(1a)는 상기 제1크랭크 축(173)과 제2크랭크 축(273)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용하는 폴(182, 282)의 모드(mode)를 전환하기 위한 수단으로 록킹 휠(181a)을 포함하는데, 상기 록킹 휠(181a)은 폴 축(182b)에 연결되어 설치되되, 그 외곽 표면이 비원형(非圓形)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폴 하우징(183)은 가이드 곡면 구멍(183b)을 갖는데, 가이드 곡면 구멍(183b)의 내벽에 마련된 가이드 곡면(183a)과 록킹 휠(181a)의 외곽 표면 간의 접촉에 의해서 잠금모드(그림<a>)와 해제모드(그림<b>)가 구현된다.
도33의 그림<a>에는 제1폴 레버(181)가 잠금 모드에 있으며, 이때 록킹 휠(181a)은 그 외곽의 제2볼록 곡면부(181a-2)가 가이드 곡면 구멍(183b)의 제2오목 곡면부(183a-2)에 와 있다. 상기 록킹 휠(181a)은 그 표면이 제1볼록 곡면부(181a-1)와 제2볼록 곡면부(181a-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볼록 곡면부(181a-1)와 제2볼록 곡면부(181a-2)의 사이에는 오목부(181a-3)가 존재하는데,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폴 하우징(183)의 가이드 곡면 구멍(183b)의 내벽에 형성된 가이드 곡면(183a)은 제1오목 곡면부(183a-1)와 제2오목 곡면부(183a-2)를 구비하고, 상기 제1오목 곡면부(183a-1)와 제2오목 곡면부(183a-2)의 사이에는 걸림턱(183a-3)이 존재한다.
상기 록킹 휠(181a)의 외곽 표면상에서 상기 제1볼록 곡면부(181a-1)와 제2볼록 곡면부(181a-2)는 서로 80~100°의 각도를 이루고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곡면 구멍(183b)에서의 제1오목 곡면부(183a-1)와 제2오목 곡면부(183a-2) 역시 서로 80~100°의 각도를 이루고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곡면 구멍(183b)은 상방을 향해 형성된 제1오목 곡면부(183a-1)와 우측방을 향해서 형성된 제2오목 곡면부(183a-2)의 사이에 걸림턱(183a-3)이 록킹 휠(181a) 쪽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록킹 휠(181a)은 외부의 힘이 특별히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2볼록 곡면부(181a-2)가 가이드 곡면 구멍(183b)의 걸림턱(183a-3)을 타고 넘어가기 힘들기 때문에, 그림<a>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작업자가 제1폴 레버(181)를 손으로 잡고 힘껏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야만 록킹 휠(181a)의 제2볼록 곡면부(181a-2)가 가이드 곡면 구멍(183b) 중의 걸림턱(183a-3)과 빡빡한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겨우 미끄러져서 넘어갈 수 있다. 그렇게 록킹 휠(181a)의 제2볼록 곡면부(181a-2)가 상기 가이드 곡면 구멍(183b) 중의 걸림턱(183a-3)을 겨우 타고 넘어가서 제1오목 곡면부(183a-1) 쪽에 위치하게 되면, 그림<b>와 같이 된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록킹 휠(181a)의 제2볼록 곡면부(181a-2)가 가이드 곡면 구멍(183b)의 제2오목 곡면부(183a-2)의 영역에 머물러 있을 때에는 상기 폴(182)이 제1라체트 휠(172)의 제1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서 딸깍딸각하고 약간씩 움직이면서 제1라체트 휠(172)의 회전을 가능하게 허용하지만, 반면 상기 록킹 휠(181a)의 제2볼록 곡면부(181a-2)가 가이드 곡면 구멍(183b)의 제1오목 곡면부(181a-2)의 영역안에 있을 때에는, 상기 폴(182)이 제1라체트 휠(172)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있으므로, 제1크랭크 레버(171)를 돌리는 대로 제1크랭크 축(173)이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도33에서 도면부호 181a-4는 록킹 휠(181a)의 오목부(181a-3)와 제2볼록 곡면부(181a-2) 사이에 있는 돌출 걸림부이다. 제2볼록 곡면부(181a-2)의 좌우측에 있는 돌출 걸림부(181a-4)가 가이드 곡면 구멍(183b)의 걸림턱(183a-3)에 걸려지는 것에 의해서 그림<a>의 잠금모드와 그림<b>의 해제모드간의 변환이 어느 정도 제한된다. 즉, 작업자가 제1폴 레버(181)를 센 힘으로 돌리면 상기 록킹 휠(181a)의 돌출 걸림부(181a-4)와 가이드 곡면 구멍(183b)의 걸림턱(183a-3)이 접촉하여 걸린 상태에서 겨우 미끄러져서 록킹 휠(181a)의 표면이 상기 걸림턱(183a-3)을 타고 넘어갈 수 있게 된다. 도33에서 도면부호 183c는 가이드 곡면 구멍(183b)의 내벽과 록킹 휠(181a)의 측면 표면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빈틈을 가리킨다.
도34는 폴(182)에 연결된 록킹 휠(181a)이 가이드 곡면 구멍(183b)내에서 회전할 때, 돌출걸림부(181a-4)가 가이드 곡면 구멍(183b)의 걸림턱(183a-3)에 걸려서 록킹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1, 1a: 지오그리드 전개장치 2: 지오그리드 롤
2a: 아스팔트 보강용 지오그리드 2b: 거치봉
2c: 엔드링(end ring) 2c-1: 플랜지
2d: 체결구 2e: 조임볼트
3: 바퀴 3a: 바퀴 설치 브라켓
4: 연결블록 10: 프레임
11: 제1전방 가로빔 12: 제2전방 가로빔
13: 제3전방 가로빔 14: 버팀보
15: 제1후방가로빔 16: 제2후방가로빔
17a: 제1중간가로빔 17b: 제2중간가로빔
18a: 제1지지빔 18b: 제2지지빔
21a: 제1-1세로빔 21b: 제1-2세로빔
22a: 제2-1세로빔 22b: 제2-2세로빔
23a: 제3-1세로빔 23b: 제3-2세로빔
24a: 제4-1세로빔 24b: 제4-2세로빔
31: 제1전방수직기둥 32: 제2전방수직기둥
33: 제3전방수직기둥 34: 제4전방수직기둥
35: 제1후방수직기둥 36: 제2후방수직기둥
37: 후방중간수직기둥 38a: 제1중간수직 보강부재
38b: 제2중간수직 보강부재 38c: 제3중간수직 보강부재
40: 가이드롤러 41: 연결판
42: 롤러축 43: 브라켓
51: 제1누름롤러 51a: 제1-1누름롤러
52: 제2누름롤러 53: 제1연결바
53a: 제1관통공 53b: 제2관통공
53c: 제1멈춤턱 53d: 제2멈춤턱
53e: 단부 54: 제2연결바
54a: 제3관통공 54e: 단부
55: 크랭크 암(crank arm) 56: 제1축봉
56a: 체결너트 56b: 나사산
57: 제2축봉 58: 연결핀축
58a: 삽입축부 58b: 디스크부
58c: 외부돌출부 58d: 수나사부
59: 체결너트 61: 제1사슬
61a: 후크 62: 제2사슬
62a: 후크 63: 끼움단
63a: 고정너트 71: 제1연결평철
72: 제2연결평철 81: 전방 좌측판
82: 전방 우측판 83, 84: 사각파이프
83a: 거치판 85: 가이드롤
85a: 브라켓 91: 제1스페이서
91a: 제1-1스페이서 91b: 축 통과공
92: 제2스페이서 93: 제3스페이서
93a: 축 통과공 94: 제4스페이서
100: 지게차 101: 차체
102: 바퀴 103: 핸들
104: 운전석 105: 마스트(mast)
106: 백레스트(back rest) 107: 지게발
110: 도로 114: 아스콘 기층
115: 택코팅층 116: 아스콘 표층
151, 152: 가이드레일 161, 162: 실린더
161a, 162a: 로드(rod) 161b: 상단 연결귀
161c: 체결공 161d: 체결볼트
171: 제1크랭크 레버 171a: 핸들
172: 제1라체트 휠 173: 제1크랭크축
174: 베벨기어 175: 제1피니언
175a: 제1피니언 바디(body) 176: 제2피니언
176a: 제2피니언 바디 176b: 피니언 축
177: 고정엔드(end) 177a: 조임볼트
178: 축 지지부 181: 제1폴(pawl) 레버
181a: 록킹 휠 181a-1: 제1볼록곡면부
181a-2: 제2볼록곡면부 181a-3: 오목부
181a-4: 돌출걸림부 182: 폴(pawl)
182a: 폴 단부 182b: 폴 축
182c: 몸체 182c-1: 제1편평부
182c-2: 제2편평부 182c-3: 볼록부분
183: 폴 하우징 183a: 가이드 곡 면
183a-1: 제1오목곡면부 183a-2: 제2오목곡면부
183a-3: 걸림턱 183b: 가이드 곡면 구멍
183c: 빈틈 184: 축 지지부
185: 스프링 185a: 고정부
185b: 가동부 191, 191a, 192: 받침판
200: 섬유 격자망 201: 횡방향 리브(rib)
201a: 횡방향 유리섬유 202: 종방향 리브(rib)
202a: 제1종방향 유리섬유 202b: 제2종방향 유리섬유
205: 교차부분 206: 격자구멍
210: 부직포 251, 252: 승강 가로빔
251a, 252a: 삽입 슬라이더 253: 전산볼트
255: 제1지지 가이드빔 255a: 가이드 브라켓
256: 제2지지 가이드빔 256a: 가이드 브라켓
257: 슬라이딩 너트 블록 271: 제2크랭크 레버
271a: 핸들 272: 제2라체트 휠
273: 제2크랭크축 274: 베벨기어
275: 제1피니언 275a: 제1피니언 바디
276: 제2피니언 276b: 피니언 축
277: 고정엔드 277a: 조임볼트
278: 축 지지부 281: 제2폴(pawl) 레버
282: 폴(pawl) 510: 내부 중심공
550: 클램프 551: 체결부
551a: 체결볼트 552: 연결돌출편
581: 스페이서 링 581a: 통과공
582: 베어링 G: 지면

Claims (7)

  1. 사각형 또는 원형의 단면을 가진 금속제 파이프 혹은 봉(棒)들이 짜 맞춰져서 결합되어 구성된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전방 위쪽에 설치되며 회전 가능한 지오그리드 롤(2);
    상기 프레임(10)의 바닥쪽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1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가이드롤러(40);
    상기 가이드롤러(40)의 후방쪽에 적어도 2줄 이상으로 배열되어 설치되며 각각 독립적인 위치 변동과 회전이 가능한 복수 개의 누름롤러들;
    상기 프레임(10) 내에 지지되어 설치되며 상기 누름롤러들을 각각 거치할 수 있는 복수 개의 거치수단; 및
    상기 프레임(10)의 바닥 모서리들에 설치된 이동바퀴들(3);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10)은,
    전방의 하단부에 폭 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된 제2전방 가로빔(12);
    상기 제2전방 가로빔(12)의 좌우 양단에서 직교하여 세로방향으로 결합된 제4-1세로빔(24a)과 제4-2세로빔(24b);
    상기 제2전방 가로빔(12)과 제4-1세로빔(24a)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서 그 상면에 높이방향으로 세워져 결합된 제1전방 수직기둥(31);
    상기 제2전방 가로빔(12)과 제4-2세로빔(24b)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서 그 상면에 높이방향으로 세워져 결합된 제2전방 수직기둥(32);
    상기 제4-1세로빔(24a)과 제4-2세로빔(24b)의 후단부들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져 결합된 제1후방 수직기둥(35)과 제2후방 수직기둥(36);
    상기 제4-1세로빔(24a)과 제4-1세로빔(24b)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할 때 전단부로부터 1/4 이내의 길이 부분에서 각각 수직으로 세워져 결합된 제3전방 수직기둥(33)과 제4전방 수직기둥(34);
    상기 제1후방 수직기둥(35)과 제2후방 수직기둥(36)의 상단부들을 연결하는 제1후방 가로빔(15);
    상기 제1후방 수직기둥(35)과 제2후방 수직기둥(36)의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되, 상기 제1후방 가로빔(15) 보다 아래에 위치한 제2후방 가로빔(16);
    상기 제1후방 가로빔(15)과 제2후방 가로빔(16)의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2개의 후방 중간 수직기둥들(37);
    상기 제3전방 수직기둥(33)과 제1후방 수직기둥(35)의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1-1세로빔(21a), 제2-1세로빔(22a) 및 제3-1세로빔(23a); 및
    상기 제4전방 수직기둥(34)과 제2후방 수직기둥(36)의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1-2세로빔(21b), 제2-2세로빔(22b) 및 제3-2세로빔(23b);을 포함하고,
    상기 제1-1세로빔(21a), 제2-1세로빔(22a) 및 제3-1세로빔(23a)은 위에서 아래의 순으로 배치된 것이고, 상기 제1-2세로빔(21b), 제2-2세로빔(22b) 및 제3-2세로빔(23b)도 위에서 아래의 순으로 배치된 것이며,
    상기 제3-1세로빔(23a)과 제4-1세로빔(24a)의 사이에는 제1중간 수직 보강부재(38a) 및 제3중간 수직 보강부재(38c)가 수직으로 배치되어 연결되며, 상기 제3-2세로빔(23b)과 제4-2세로빔(24b)의 사이에는 제2중간 수직 보강부재(38b) 및 제4중간 수직보강부재(38d)가 수직으로 배치되어 연결되고,
    제3-1세로빔(23a)과 제3-2세로빔(23b)의 사이에는 제1중간 가로빔(17a)과 제2중간 가로빔(17b)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연결되며,
    상기 누름롤러들은 상기 프레임(10)의 세로방향 길이를 따라 2개의 줄로 나뉘어 배치되되, 앞쪽에 배치된 제1누름롤러들(51) 및 뒤쪽에 배치된 제2누름롤러들(52)로 구성되고,
    상기 제4-1세로빔(24a) 및 제4-2세로빔(24b)에는 각각 제1연결평철(71)의 상단부가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10)의 좌우에 배치된 상기 제1연결평철(71)들의 하단부에는 제1축봉(56)의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축봉(56)에는 제1연결바(53)의 일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연결바(53)의 타단부에는 연결핀축(58)을 매개로 하여 제1누름롤러(5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연결평철(71)의 위치보다 뒤쪽에서, 상기 제4-1세로빔(24a) 및 제4-2세로빔(24b)에는 각각 제2연결평철(72)의 상단부가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10)의 좌우에 배치된 상기 제2연결평철(72)들의 하단부에는 제2축봉(57)의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2축봉(57)에는 제1연결바(53)의 일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연결바(53)의 타단부에는 연결핀축(58)을 매개로 하여 제2누름롤러(5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를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오그리드 포설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축(58)에는 상기 제1연결바(53)의 타단부 및 제2연결바(54)의 단부(54e)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누름롤러(51)의 양측에 배치된 제2연결바(54)들의 타단부는 크랭크 암(55)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2연결바(54)는 제1연결바(53)에 대한 관계에서 80~135°의 범위에서 회동 가능하고,
    상기 제1연결바(53) 및 제2연결바(54)는 3~10㎜ 두께의 평철을 사용하여 제작하며, 상기 제1연결바(53)는 일 단부에 형성된 제1관통공(53a)과 타 단부에 형성된 제2관통공(53b)을 구비하고, 상기 제1연결바(53)의 제1누름롤러(51)를 향한 측면에는 상기 제2관통공(53b)의 주변부에 제1멈춤턱(53c) 및 제2멈춤턱(53d)이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제2연결바(54)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며,
    상기 제2연결바(54)는 단부(53e)에 제3관통공(54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핀축(58)은 그 길이방향으로의 중앙부분에 방사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된 디스크부(58b)와, 상기 디스크부(58b)를 경계로 하여 제1누름롤러(51)를 향한 쪽으로 연장된 내부축부(58a) 및 그 반대쪽으로 연장된 외부축부(58c)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축부(58c)의 끝부분에는 수나사부(58d)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핀축(58)의 외부축부(58c)는 상기 제2연결바(54)의 제3관통공(54a)과 제1연결바(53)의 제2관통공(53b)을 관통한 후에 수나사부(58d)에 체결너트(59)가 채워짐에 의해서 상기 제1연결바(53) 및 제2연결바(54)와 결합되며, 상기 연결핀축(58)의 내부축부(58a)는 제1누름롤러(51)의 내부 중심공(510)에 끼워짐에 의해서, 제1누름롤러(51)가 제1연결바(5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를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오그리드 포설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멈춤턱(53c)은 제1연결바(53)의 제2관통공(53b)을 중심으로 하여 타단부 쪽에 위치하며, 상기 제2멈춤턱(53d)은 제2관통공(53b)을 중심으로 하여 제1멈춤턱(53c)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제1연결바(53)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1멈춤턱(53c)은 상기 중심선(CL)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20~45°의 각도로 연장되어 있으며, 하방을 향해서는 15~40°의 각도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2멈춤턱(53d)은 상기 중심선(CL)으로부터 15~40°의 각도로 연장되어 있으며, 하방을 향해서는 15~45°의 각도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를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오그리드 포설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누름롤러(51)들 중에는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제1-1누름롤러들(51a)이 더 포함되며, 이때 상기 제1-1누름롤러(51a)는 제1누름롤러(51)의 폭의 0.45~0.6배의 폭을 가지고,
    상기 제2누름롤러(52)는 상기 제1누름롤러(51)의 폭의 0.2~0.4배의 폭을 가지며,
    상기 거치수단은 상기 제1누름롤러들(51) 및 제2누름롤러들(52)의 위치에 대응하여 그 상방에서 수직방향으로 늘어뜨려 설치된 제1사슬(61) 및 제2사슬(62)을 포함하며, 상기 제1사슬(61)의 하단부에 마련된 후크(61a)와 제2사슬의 하단부에 마련된 후크(62a)에 상기 제1누름롤러(51) 및 제2누름롤러(52)의 크랭크 암(55)들이 걸림으로써, 상기 제1누름롤러(51) 및 제2누름롤러(52)가 상기 프레임(10)의 내부공간에서 공중에 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를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오그리드 포설 장치.
  6. 사각형 또는 원형의 단면을 가진 금속제 파이프 혹은 봉(棒)들이 짜 맞춰져서 결합되어 구성된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전방 위쪽에 설치되며 회전 가능한 지오그리드 롤(2);
    상기 프레임(10)의 바닥쪽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1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가이드롤러(40);
    상기 가이드롤러(40)의 후방쪽에서 앞뒤로 각각 배열되어 설치된 복수 개의 제1누름롤러들(51)과 제2누름롤러들(52);
    상기 프레임(10) 내에 지지되어 설치되며 제1누름롤러들(51)과 제2누름롤러들(52)에 대해 각각 하방으로 압박하는 탄성적인 반발력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제1실린더(161)와 제2실린더(162);
    상기 제1실린더(161)의 상단과 결합되며 프레임(10) 내에서 승강 가능한 제1승강 가로빔(251);
    상기 제2실린더(162)의 상단과 결합되며 프레임(10) 내에서 승강 가능한 제2승강 가로빔(252);
    제1승강 가로빔(251)과 제2승강 가로빔(252)의 중앙부에 각각 설치된 슬라이딩 너트 블록(257);
    상기 슬라이딩 너트 블록(257)과 결합된 전산볼트(253);
    상기 전산볼트(253)의 상단부와 연결된 제2피니언(176, 276) 및 상기 제2피니언(176, 276)과 직교하여 결합된 제1피니언(175, 275)으로 구성된 베벨기어(174, 274);
    상기 제1피니언(175, 275)의 중심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그 양단이 프레임(10)의 좌우측에서 지지되어 회전 가능한 제1크랭크 축(173)과 제2크랭크 축(273);
    상기 제1크랭크 축(173) 및 제2크랭크 축(273)의 단부와 각각 결합된 제1 및 제2크랭크 레버들(171, 271); 및
    상기 프레임(10)의 바닥 모서리들에 설치된 이동바퀴들(3);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10)은,
    전방의 하단부에 폭 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된 제2전방 가로빔(12);
    상기 제2전방 가로빔(12)의 좌우 양단에서 직교하여 세로방향으로 결합된 제4-1세로빔(24a)과 제4-2세로빔(24b);
    상기 제2전방 가로빔(12)과 제4-1세로빔(24a)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서 그 상면에 높이방향으로 세워져 결합된 제1전방 수직기둥(31);
    상기 제2전방 가로빔(12)과 제4-2세로빔(24b)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서 그 상면에 높이방향으로 세워져 결합된 제2전방 수직기둥(32);
    상기 제4-1세로빔(24a)과 제4-2세로빔(24b)의 후단부들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져 결합된 제1후방 수직기둥(35)과 제2후방 수직기둥(36);
    상기 제4-1세로빔(24a)과 제4-1세로빔(24b)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할 때 전단부로부터 1/4 이내의 길이 부분에서 각각 수직으로 세워져 결합된 제3전방 수직기둥(33)과 제4전방 수직기둥(34);
    상기 제1후방 수직기둥(35)과 제2후방 수직기둥(36)의 상단부들을 연결하는 제1후방 가로빔(15);
    상기 제1후방 수직기둥(35)과 제2후방 수직기둥(36)의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되, 상기 제1후방 가로빔(15) 보다 아래에 위치한 제2후방 가로빔(16);
    상기 제1후방 가로빔(15)과 제2후방 가로빔(16)의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2개의 후방 중간 수직기둥들(37);
    상기 제3전방 수직기둥(33)과 제1후방 수직기둥(35)의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1-1세로빔(21a), 제2-1세로빔(22a) 및 제3-1세로빔(23a); 및
    상기 제4전방 수직기둥(34)과 제2후방 수직기둥(36)의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1-2세로빔(21b), 제2-2세로빔(22b) 및 제3-2세로빔(23b);을 포함하고,
    상기 제1-1세로빔(21a), 제2-1세로빔(22a) 및 제3-1세로빔(23a)은 위에서 아래의 순으로 배치된 것이고, 상기 제1-2세로빔(21b), 제2-2세로빔(22b) 및 제3-2세로빔(23b)도 위에서 아래의 순으로 배치된 것이며,
    상기 제3-1세로빔(23a)과 제4-1세로빔(24a)의 사이에는 제1중간 수직 보강부재(38a) 및 제3중간 수직 보강부재(38c)가 수직으로 배치되어 연결되며, 상기 제3-2세로빔(23b)과 제4-2세로빔(24b)의 사이에는 제2중간 수직 보강부재(38b) 및 제4중간 수직보강부재(38d)가 수직으로 배치되어 연결되고,
    제3-1세로빔(23a)과 제3-2세로빔(23b)의 사이에는 제1중간 가로빔(17a)과 제2중간 가로빔(17b)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를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오그리드 포설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1세로빔(24a) 및 제4-2세로빔(24b)에는 각각 제1연결평철(71)의 상단부가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10)의 좌우에 배치된 상기 제1연결평철(71)들의 하단부에는 제1축봉(56)의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축봉(56)에는 제1연결바(53)의 일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연결바(53)의 타단부에는 연결핀축(58)을 매개로 하여 제1누름롤러(5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연결평철(71)의 위치보다 뒤쪽에서, 상기 제4-1세로빔(24a) 및 제4-2세로빔(24b)에는 각각 제2연결평철(72)의 상단부가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10)의 좌우에 배치된 상기 제2연결평철(72)들의 하단부에는 제2축봉(57)의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2축봉(57)에는 제1연결바(53)의 일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연결바(53)의 타단부에는 연결핀축(58)을 매개로 하여 제2누름롤러(5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핀축(58)에는 상기 제1연결바(53)의 타단부 및 제2연결바(54)의 단부(54e)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누름롤러(51)의 양측에 배치된 제2연결바(54)들의 타단부는 크랭크 암(55)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2연결바(54)는 제1연결바(53)에 대한 관계에서 80~135°의 범위에서 회동 가능하고,
    상기 제1연결바(53) 및 제2연결바(54)는 3~10㎜ 두께의 평철을 사용하여 제작하며, 상기 제1연결바(53)는 일 단부에 형성된 제1관통공(53a)과 타 단부에 형성된 제2관통공(53b)을 구비하고, 상기 제1연결바(53)의 제1누름롤러(51)를 향한 측면에는 상기 제2관통공(53b)의 주변부에 제1멈춤턱(53c) 및 제2멈춤턱(53d)이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제2연결바(54)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며,
    상기 제2연결바(54)는 단부(53e)에 제3관통공(54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핀축(58)은 그 길이방향으로의 중앙부분에 방사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된 디스크부(58b)와, 상기 디스크부(58b)를 경계로 하여 제1누름롤러(51)를 향한 쪽으로 연장된 내부축부(58a) 및 그 반대쪽으로 연장된 외부축부(58c)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축부(58c)의 끝부분에는 수나사부(58d)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핀축(58)의 외부축부(58c)는 상기 제2연결바(54)의 제3관통공(54a)과 제1연결바(53)의 제2관통공(53b)을 관통한 후에 수나사부(58d)에 체결너트(59)가 채워짐에 의해서 상기 제1연결바(53) 및 제2연결바(54)와 결합되며, 상기 연결핀축(58)의 내부축부(58a)는 제1누름롤러(51)의 내부 중심공(510)에 끼워짐에 의해서, 제1누름롤러(51)가 제1연결바(5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누름롤러(52) 역시 제1연결바(53)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실린더(161) 및 제2실린더(162)의 하단부들은 각각 클램프(550)에 의해서 크랭크 암(55)과 결합되며,
    상기 제2-1세로빔(22a)과 제4-1세로빔(24a)의 사이에서 제1가이드 레일(151)과 제2가이드 레일(152)이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고, 이와 대칭적으로 상기 제2-2세로빔(22b) 및 제4-2세로빔(24b)의 사이에도 제1가이드 레일(151)과 제2가이드 레일(152)이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되,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레일들(151, 152)은 요(凹)형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제1승강 가로빔(251) 및 제2승강 가로빔(252)의 좌우측 양 단부들에는 철(凸)형의 단면을 가진 삽입 슬라이더(251a, 252a)가 마련되어서, 상기 삽입 슬라이더들(251a, 252a)이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레일들(151, 152)의 요홈 안에 미끄러짐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크랭크 축(173) 및 제2크랭크 축(273)의 단부들에는 제1 및 제2라체트 휠들(172, 272)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라체트 휠들(172, 272)은 폴(pawl, 182, 282)에 걸린 상태에서는 제1방향으로의 회전만 가능하고, 폴(182, 282)이 제1 및 제2라체트 휠들(172, 272)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제1방향 및 그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의 회전이 모두 가능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를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오그리드 포설 장치.
KR1020180051607A 2018-05-04 2018-05-04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를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오그리드 포설 장치 KR101934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607A KR101934513B1 (ko) 2018-05-04 2018-05-04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를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오그리드 포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607A KR101934513B1 (ko) 2018-05-04 2018-05-04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를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오그리드 포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4513B1 true KR101934513B1 (ko) 2019-01-02

Family

ID=65021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607A KR101934513B1 (ko) 2018-05-04 2018-05-04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를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오그리드 포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51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78799A (zh) * 2020-06-24 2020-10-16 中交第四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采用菱形土工格栅的施工方法
RU2783361C1 (ru) * 2022-03-31 2022-11-1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Тихооке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ой укладки геосинтетических материалов в конструкцию дороги
CN115976899A (zh) * 2022-12-28 2023-04-18 河北工业大学 一种主动调控湿度与精准判识灾变的土工格栅及其应用
KR102563011B1 (ko) 2022-06-28 2023-08-04 (주)에스엔건설 차량 적재형 섬유그리드 도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999B1 (ko) * 2008-08-20 2009-03-10 (유)한국기계 아스팔트 보강재 코팅과 도포 일체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1640389B1 (ko) * 2016-03-03 2016-07-18 주식회사 에이스로드텍 아스팔트 보강용 섬유그리드 도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포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999B1 (ko) * 2008-08-20 2009-03-10 (유)한국기계 아스팔트 보강재 코팅과 도포 일체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1640389B1 (ko) * 2016-03-03 2016-07-18 주식회사 에이스로드텍 아스팔트 보강용 섬유그리드 도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포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78799A (zh) * 2020-06-24 2020-10-16 中交第四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采用菱形土工格栅的施工方法
RU2783361C1 (ru) * 2022-03-31 2022-11-1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Тихооке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ой укладки геосинтетических материалов в конструкцию дороги
KR102563011B1 (ko) 2022-06-28 2023-08-04 (주)에스엔건설 차량 적재형 섬유그리드 도포장치
CN115976899A (zh) * 2022-12-28 2023-04-18 河北工业大学 一种主动调控湿度与精准判识灾变的土工格栅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513B1 (ko)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를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오그리드 포설 장치
KR101071572B1 (ko) 철망을 이용한 녹화 보강토 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818733B1 (ko)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
KR19980033583A (ko) 건축 공사용 안전 펜스
EP3233465B1 (en) Pad for support of equipment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CN202108240U (zh) 分段搭设式脚手架阳角部位架体承载结构
KR20120000255A (ko) 사면 보강용 매트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보강공법
JP6842011B2 (ja) 工事用単位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部材連結体、コンクリート施工方法
CN206769454U (zh) 组合式快速拼装施工爬梯
JP6706969B2 (ja) 簡易階段ユニット
CN211596310U (zh) 一种用于园路施工过程中表面修整的临时施工平台
JPH09170235A (ja) 転落防止柵
KR101232214B1 (ko)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KR200420900Y1 (ko)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
JP4851501B2 (ja) 斜面崩落防止構造
JP6698445B2 (ja) 斜面の補強構造及び斜面の補強方法
JP5108744B2 (ja) 緑化路面形成用ブロック及び該ブロックを敷設した緑化路面
JP3580410B2 (ja) 壁面材強化型補強土工法
JP5374417B2 (ja) ブロックマットの吊り上げ方法
JP7278015B1 (ja) 工事用単位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二次元連結板、コンクリート施工方法
KR102661589B1 (ko) 보강토블록 단부에 설치되는 안전난간의 수직파이프 고정용 브라켓
EP1373641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ducing a construction road
JP6302445B2 (ja) 法枠形成用枠体及びそれを用いた法面保護工法
JP5732339B2 (ja) ふとん篭の吊上用架台および当該吊上用架台を用いたふとん篭の敷設方法
CN108798061A (zh) 一种适用于传统瓦屋面防滑网加固装置套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