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639B1 - 도막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스프레드머신 - Google Patents

도막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스프레드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639B1
KR102056639B1 KR1020180016409A KR20180016409A KR102056639B1 KR 102056639 B1 KR102056639 B1 KR 102056639B1 KR 1020180016409 A KR1020180016409 A KR 1020180016409A KR 20180016409 A KR20180016409 A KR 20180016409A KR 102056639 B1 KR102056639 B1 KR 102056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waterproofing material
reinforcing fiber
uniform thicknes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6681A (ko
Inventor
윤수환
Original Assignee
윤수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수환 filed Critical 윤수환
Priority to KR1020180016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639B1/ko
Publication of KR20190096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장비를 사용하여 액상의 도막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면서 도막방수재 사이에 보강섬유 또는 그리드를 부착하는 작업을 한 번의 공정으로 하여 원하는 일정 두께의 도막방수층을 빠르고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는, 도막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스프레드머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도막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스프레드머신{Spreading machine that applies coating film waterproofing material with uniform thickness}
본 발명은 도막방수재를 도포하는 스프레드머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장비에 의해 액상의 도막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여 빠르고 간편하게 도막방수층을 시공할 수 있는, 도막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스프레드머신에 관한 것이다.
교량 상판(슬래브)에 시공하는 교면 방수층은 교량의 구조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하는데, 교면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는 크게 시트방수, 도막방수 및 이들을 모두 사용하는 복합방수로 분류되고, 시트방수는 아스팔트를 함침시킨 아스팔트계 방수시트, 합성고무를 함침시킨 합성고무계 방수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또, 도막방수는 상온에서 경화되는 고무계 용제형으로 클로로프렌 고무계와, 아스팔트에 고무를 첨가한 아스팔트계 가열형과, 합성수지를 첨가하여 반응시킨 합성수지계 반응형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도막 방수공법은 액형 도막재를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공법으로, 가장 중요한 점은 방수층의 두께가 일정해야 한다는 점인데, 슬래브의 시공을 아무리 완벽하게 했더라도 표면에 요철이 존재하게 되고 표면이 완전 평면이 아니라 경사가 생기게 되므로, 액상의 도막재를 도포하면 도막재가 흘러내려 방수층의 균일한 두께를 확보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교면 도막방수에 대하여 특허등록 제1212519호 "교면 방수구조 및 교면 방수공법"에서는 도막방수층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도막방수층의 상부에 부직포와 격자 형상의 그리드라는 보강재를 부착한 후에 아스콘 포장층을 포설하여 시공하는 기술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를 비롯한 지금까지의 도막방수 시공방법은 도막 두께를 일정하게 해주기 위하여 액상 도막재를 도포한 다음, 작업자가 당그레와 같은 작업도구를 이용하여 인력으로 도막 방수재를 평평하게 펼쳐주고 골라주는 작업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해주고 있으므로,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도막재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게 도포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교량 상판인 슬래브 시공을 아무리 잘했더라도 표면에 요철과 경사가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도막방수층의 균일한 두께를 확보할 수 없게 되므로, 교량을 지나는 차량의 급제동이나 지속적인 차량의 충격으로 인해 아스콘 포장층과 도막방수층 또는 도막방수층과 보강재 사이의 접착력이 약해져서 밀리면서 균열억제 효과가 저하하게 되고, 교면 포장층과 교량 상판과의 열적 거동 및 탄성계수의 차이로 인하여 도막방수층의 두께가 얇은 곳에서 포트홀, 균열 및 소성변형 등의 다양한 결함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방수층이 파괴되고 수분이 교량 상판에 침투하여 각종 열화현상이 발생하는 등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출원인(발명자)은 특허등록 제1712845호 "도막방수와 그리드를 이용한 교면 방수구조"에 대하여 특허를 받았는데, 상기 특허는 교면 방수에 있어서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지만, 상기 특허를 실시하는데 있어서 액상 도막재를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데는 인력으로 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균일한 두께의 도막방수층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형성해야 한다는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남아 있었고, 일정한 두께의 도막방수층을 형성하기가 어려워서 도막방수층에 보강섬유나 그리드를 부착하려고 할 경우 인력으로 부착시키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기에,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과 비용을 투자하여 연구 개발을 거듭한 끝에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장비를 사용하여 액상의 도막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면서 도막방수재 사이에 보강섬유 또는 그리드를 부착하는 작업을 한 번의 공정으로 하여 원하는 일정 두께의 도막방수층을 빠르고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는, 도막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스프레드머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막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스프레드머신은, 평면 형상이 사각형이고, 구동모터 및 발전기가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에 한 쌍의 구동바퀴가 장착되어 있는 구동부박스; 상기 구동부박스의 전방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하로 배치되면서 평면 형상이 사각형을 이루도록 설치된 제1 및 제2수평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수평프레임의 전방측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에 한 쌍의 조향바퀴가 구비되어 있는 프레임; 상기 제1수평프레임의 좌우측에 위치하는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도막방수재를 일정 두께로 도포해 주는 스퀴즈;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된 조향바퀴를 조정하여 스프레드머신의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향핸들; 스프레드머신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가 구비된 조작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퀴즈는 제1 및 제2스퀴즈로 구분되어 한 쌍이 전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제1 및 제2스퀴즈는 에어콤프레샤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는 제1 및 제2스퀴즈승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각각 승강하여 도막방수재를 일정 두께로 도포해 주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부박스 후방에는 구조물의 바탕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기 위한 프라이머도포관이 좌우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더 설치되고, 구동부박스 내부에는 프라이머를 펌핑하여 프라이머도포관에 공급해 주기 위한 펌프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스퀴즈는, 상기 제1수평프레임에서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프레임 하부에 판상(板狀)의 부재가 전후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퍼짐방지부재;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퍼짐방지부재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도막방수재의 두께를 일정하게 도포하게 되는 두께조정부재;를 각각 구비하여 구성되고, 각 퍼짐방지부재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작동부를 각각 구비하며, 승강작동부는, 상기 제1수평프레임 상면에는 이격 설치되어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수직바; 한 쌍의 수직바의 상단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바; 양단(兩端)이 제1수평프레임과 수평바 사이에 각각 연결된 스프링; 일단(一端)이 제2수평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他端)에 후크가 구비되어 있어서 수평바와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 연결로프;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스퀴즈 사이에는 제2수평프레임에서 좌우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의 상면에 보강섬유거치대가 각각 설치되고, 보강섬유거치대의 하방에는 제1수평프레임의 하부에 보강섬유롤러가 설치되어, 롤 형상으로 권취된 보강섬유가 보강섬유거치대에 거치되어 있다가 풀리면서 그 하부에 위치한 보강섬유롤러를 거쳐, 제1스퀴즈에 의해 형성된 도막방수재 상부에 보강섬유를 부착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보강섬유롤러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롤러승강실린더가 제1 및 제2수평프레임에서 좌우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제1수평프레임 하부에는 연결축이 더 설치되고 연결축의 양단 부분에 조향바퀴가 각각 설치되며, 연결축의 양단 부분에는 일정 길이의 랙(rack)이 각각 형성되고, 랙과 치합하는 피니언이 구비되며, 조향핸들은 핸들의 중심부에 수직 하방으로 샤프트가 구비되어, 샤프트와 일측 피니언이 연결되어, 핸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랙과 피니언이 치합되어 움직이면서 스프레드머신의 방향전환을 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부박스 후방에는, 도막방수층 상부에 그리드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롤 형상으로 권취된 그리드를 거치시키기 위한 그리드거치대가 더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바퀴의 전방에는 외주면에 털이 부착된 롤러가 장착되어 롤러의 표면이 구동바퀴의 외주면과 접하게 되며, 구동바퀴와 롤러가 접하게 되는 위치의 상부에는 기름통을 거치시킬 수 있는 기름통 거치대가 구동부박스의 측면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막방수재를 도포하는 스프레드머신은 도막방수에 있어서 도막방수층을 균일한 두께로 형성하기 위한 기계장비인데, 제1스퀴즈에 의해 방수층을 형성할 바탕면에 얇은 제1도막방수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보강섬유 또는 그리드를 부착하며, 그 상부에 곧바로 제2스퀴즈에 의해 제1도막방수층보다 두꺼운 제2도막방수층을 일정 두께로 도포하기 때문에 한 번의 공정으로 시방서에서 규정하고 있는 일정 두께의 도막방수층을 빠르고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스프레드머신이 한 번 지나가는 동안 스퀴즈가 액상의 방수도막재를 일정 두께로 펼쳐서 퍼지게 하므로 방수층 형성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므로 시공을 위한 시간과 인력이 현저하게 적게 소요되므로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제2스퀴즈 후방에 그리드거치대를 설치하여 도막방수재를 도포함과 동시에 그 상부에 그리드나 부직포를 부착시켜 도막방수층과 아스콘 포장층 사이의 결합력을 유지시켜 주기 때문에 차량 주행에 따른 윤하중과 외기온도에 따른 변형을 흡수하여 이들 사이의 결합력을 유지해 주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드머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스퀴즈와 보강섬유롤러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2스퀴즈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조작패널과 조향핸들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조향핸들 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프라이머도포관과 그리드거치대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막방수재를 도포하는 스프레드머신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도막방수를 위한 액상의 도막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작업을 기계장비를 사용하여 함으로써 원하는 일정 두께의 도막방수층을 빠르고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게 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드머신은 교량 상판이나 아파트 지하주차장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 상부에 도막방수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액상의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일정한 두께로 형성하기 위한 기계장비인데, 본 발명의 스프레드머신은 기계장비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각종 장비가 내장된 구동부박스(10)와, 액상의 도막방수재를 일정한 두께로 형성하기 위한 스퀴즈 등이 장착된 프레임(20)과, 스프레드머신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패널(27) 및 방향전환을 위한 조향핸들(26)을 기본적인 구성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부박스(10)는 평면 형상이 사각형인 육면체 형상이고,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 및 구동모터를 비롯한 각종 장치가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에 한 쌍의 구동바퀴(11)가 장착되어 있어서, 자동차라면 엔진 등의 각종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본네트(bonnet)와 같은 구성이다.
프레임(20)은 단면(斷面)이 사각형인 강관으로 제작되어 구동부박스(10)의 전방에 일체로 연결되어 설치되고,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하로 배치되면서 평면 형상이 사각형을 이루도록 설치된 제1 및 제2수평프레임(21, 22)과, 제1 및 제2수평프레임(21, 22)의 전방측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수직프레임(23)과, 수직프레임(23)의 하부에 한 쌍의 조향바퀴(261)를 비롯한 스프레드머신을 구성하는 대부분의 장치 및 구성이 설치되게 된다.
액상의 도막방수재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해 주기 위한 스퀴즈는 하나만 설치해도 되는데, 제1 및 제2스퀴즈(24, 24')로 한 쌍을 구비하여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한 쌍을 구비할 경우 제1 및 제2스퀴즈(24, 24')는 동일한 구성인데, 설치되는 위치만 다르고, 각 스퀴즈는 한 쌍의 퍼짐방지부재(241)와, 도막방수재의 도포되는 두께를 조정하는 두께조정부재(242) 및 퍼짐방지부재(241)를 승강시키는 승강작동부(24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1 및 제2스퀴즈(24, 24')는 각각 제1수평프레임(21)의 좌우측에 위치하는 프레임 사이에 걸쳐져서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게 되는데, 각 스퀴즈의 두께조정부재(242)는 제1 및 제2스퀴즈승강실린더(242a, 242a')의 작동에 의해 승강하여 도막방수재를 일정 두께로 도포해 준다.
제1스퀴즈(24)는 프라이머가 도포된 바탕면의 상부에 액상의 도막방수재를 1차로 매우 얇게(0.1∼1㎜ 정도) 도포하고, 제2스퀴즈(24')는 1차로 얇게 도포된 도막방수층 상부에 액상의 도막방수재를 2차로 도포(1∼2㎜ 정도)해 주게 된다. 제1 및 제2스퀴즈(24, 24')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퍼짐방지부재(241)는 판상(板狀)의 부재인데, 제1수평프레임(21)에서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프레임 하부에 판상의 부재가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액상의 도막방수재가 양쪽 퍼짐방지부재(241)의 외측으로 흘러나가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두께조정부재(242, 242')는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퍼짐방지부재(241, 241')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데, 각 스퀴즈마다 설치된 제1 및 제2스퀴즈승강실린더(242a, 242a')의 작동에 의해 승강하면서 도막방수재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해 주게 된다. 방수공사의 시방서에 규정하고 있는 일정 두께의 도막방수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막방수재를 도포하는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제1 및 제2스퀴즈승강실린더(242a, 242a')의 작동시켜 각 스퀴즈에 장착되어 있는 두께조정부재(242, 242')의 높이를 조정하여 고정시키고, 설정하여 고정시킨 높이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작업한다.
승강작동부(243)는 퍼짐방지부재(241)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성인데, 제1수평프레임(21) 상면에 이격 설치되어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수직바(243a)와, 한 쌍의 수직바(243a)의 상단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바(243b)와, 양단(兩端)이 제1수평프레임(21)과 수평바(243b) 사이에 각각 연결된 스프링(243c)과, 일단(一端)이 제2수평프레임(22)에 고정되고 타단(他端)에 후크가 구비되어 있어서 수평바(243b)와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 연결로프(243d)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승강작동부(243)는 각 퍼짐방지부재(241)마다 그 상부에 설치된다.
도포작업을 하지 않을 때는 퍼짐방지부재(241)의 하단이 바탕면에서 이격되어 있어야 하므로, 작업자가 수평바(243b)를 들어올려서 연결로프(243d)의 끝에 장착된 후크를 수평바(243b)의 상면에 부착된 고리에 걸어주면, 상단이 제2수평프레임(22)에 고정되어 있는 연결로프(243d)가 수평바(243b)를 잡아주므로 퍼짐방지부재(241)의 하단이 지면에서 이격되고, 이때 스프링(243c)은 신장되어 길이가 늘어난 상태가 된다. 또한, 도포작업을 시작할 때는 퍼짐방지부재(241)의 하단이 바탕면에 접촉되어야 하므로, 연결로프(243d)의 끝에 장착된 후크를 수평바(243b)의 상면에 부착된 고리에서 분리해 주면, 연결로프(243d)가 수평바(243b)를 잡아주지 않게 되므로 신장되어 있던 스프링(243c)이 압축되어 길이가 줄어들면서 수평바(243b)를 하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므로, 한 쌍의 수직바(243a)가 하강하면서 퍼짐방지부재(241)의 하단이 지면에 접촉하게 된다.
제1 및 제2스퀴즈(24, 24')가 도포한 제1 및 제2도막방수층 사이에 보강섬유 또는 그리드를 부착해 주기 위하여 롤 형상으로 권취된 보강섬유 또는 그리드를 거치시키기 위한 보강섬유거치대(251) 및 보강섬유롤러(25)가 설치되어 있다. 보강섬유거치대(251)는 제1 및 제2스퀴즈(24, 24') 사이에 위치하면서 제2수평프레임(22)에서 좌우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의 상면에 각각 설치되고, 보강섬유거치대(251)의 하방에는 보강섬유롤러(25)가 설치되는데, 보강섬유롤러(25)는 제1수평프레임(21)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보강섬유롤러(25)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롤러승강실린더(252)가 제1 및 제2수평프레임(21, 22)에서 좌우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의 외측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롤 형상으로 권취된 보강섬유가 보강섬유거치대(251)에 거치되어 있다가 풀리면서 그 하부에 위치한 보강섬유롤러(25)를 거쳐, 제1스퀴즈(24)에 의해 형성된 도막방수재 상부에 보강섬유를 부착하게 되며, 보강섬유롤러(25)는 보강섬유를 바탕면에 눌러서 부착시키게 된다. 제1 및 제2스퀴즈(24, 24')가 도포한 제1 및 제2도막방수층 사이에 보강섬유 또는 그리드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바탕면이 경사져 있더라도 제1 및 제2도막방수층 사이에 함침된 보강섬유 또는 그리드가 제1 및 제2도막방수층과 함께 일정한 두께의 방수층을 형성하게 될 뿐만 아니라 방수층에 기포(부풀음, 에어포켓)도 발생하지 않게 되어 방수층 자체의 인장강도가 현저하게 향상되게 된다.
스프레드머신이 한 번 지나가는 동안 제1 및 제2스퀴즈(24, 24')가 액상의 도막방수재를 일정 두께로 펼치면서, 제1 및 제2도막방수층 사이에 보강섬유 또는 그리드를 부착시키는 작업이 한 공정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방수층 형성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시공을 위한 시간과 인력이 현저하게 적게 소요되게 된다.
방수층을 형성할 바탕면의 청소작업이 끝난 후에 바탕면 상부에 방수층이 잘 접착되도록 하기 위한 일종의 접착제인 프라이머를 도포하게 되는데, 구동부박스(10) 후방에 프라이머를 도포하기 위하여 다수의 프라이머도포관(14)이 좌우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구동부박스(10) 내부에는 프라이머를 펌핑하여 프라이머도포관(14)에 공급해 주기 위한 펌프(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프라이머를 저장 및 공급하는 저장통은 구동부박스(10)의 상부에 별도로 설치해도 되고, 외부에서 공급해 줘도 상관없다.
도막방수층의 상부에는 그리드 또는 부직포를 부착한 후에, 그 상부에 아스콘과 같은 포장층을 포설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구동부박스(10) 후방에는 도막방수층 상부에 그리드 또는 부직포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롤 형상으로 권취된 그리드 또는 부직포를 거치시키기 위한 그리드거치대(15)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스콘 포설시 아스콘의 높은 열에 의해 그리드 또는 부직포는 녹아서 없어지면서 방수층과 아스콘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주게 된다.
제1 및 제2스퀴즈(24, 24')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설치 높이를 조정할 수도 있고, 실린더를 작동시켜 자동으로 조정할 수도 있는데, 실린더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압축공기를 공급할 에어콤프레샤가 더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에어콤프레샤(30)는 프레임(20)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에어콤프레샤(30)는 제1 및 제2스퀴즈(24, 24')를 각각 승강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스퀴즈승강실린더((242a, 242a'), 보강섬유롤러(25)를 승강시키기 위한 롤러승강실린더(252)를 비롯한 각종 액츄에이터와 같은 압축공기가 필요한 기구 및 장치에 압축공기를 공급해 주는 구성이다.
조향핸들(26)은 수직프레임(23)의 하부에 구비된 조향바퀴(261)를 조정하여 스프레드머신의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한 쌍의 조향바퀴(261)는 연결축(264)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축(264)은 한 쌍의 수직프레임(23)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제1수평프레임(21)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연결축(264)은 단면(斷面)을 사각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연결축(264)의 양단 부분에는 일정 길이의 랙(rack)(265)이 형성되고, 랙(265)과 치합(齒合)하는 피니언(266)이 구비되며, 조향핸들(26)은 중심부에 수직 하방으로 샤프트(263)가 구비되고, 샤프트(263)와 일측 피니언이 연결되어, 핸들(262)을 회전시킴에 따라 랙과 피니언이 치합되어 움직이면서 방향전환을 하게 된다. 랙(265)은 양쪽 모두 연결축(264)의 상면 또는 정면에 설치해도 되지만, 보다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일측은 연결축(264) 상면에 형성하고, 타측은 연결축(264) 정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패널(27)은 스프레드머신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가 구비된 구성인데, 작업중 위험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발전기를 신속하게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정지버튼(271)과, 다단(多段)으로 스프레드머신의 운행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조절스위치(27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레드머신이 방수층을 형성한 후, 그 바로 옆에 이어서 방수층을 형성하는 작업을 할 경우에, 먼저 형성한 방수층의 도막방수재가 구동바퀴(11)에 묻어나오면서 방수층을 손상시키지 않아야 하므로 구동바퀴(11)의 외주면이 미끈미끈하도록 기름을 발라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구동바퀴(11)의 전방에는 외주면에 털이 부착된 롤러(12)를 장착하고, 롤러(12)의 표면이 구동바퀴(11)의 외주면과 접하게 하며, 구동바퀴(11)와 롤러(12)가 접하게 되는 위치의 상부에는 기름통을 거치시킬 수 있는 기름통거치대(13)를 구동부박스(10)의 측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름통에는 경유, 각종 윤활제 또는 콩기름을 저장하는데, 콩기름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구동부박스 11 : 구동바퀴
12 : 롤러 13 : 기름통거치대
14 : 프라이머도포관 15 : 그리드거치대
20 : 프레임 21 : 제1수평프레임
22 : 제2수평프레임 23 : 수직프레임
24, 24' : 제1 및 제2스퀴즈 241 : 퍼짐방지부재
242 : 두께조정부재 243 : 승강작동부
25 : 보강섬유롤러 251 : 보강섬유거치대
252 : 롤러승강실린더
26 : 조향핸들 261 : 조향바퀴
262 : 핸들 263 : 샤프트
264 : 연결축 265 : 랙(rack)
266 : 피니언
27 : 조작패널 271 : 비상정지버튼
272 : 속도조절스위치
30 : 에어콤프레샤

Claims (11)

  1. 콘크리트 구조물 상부에 도막방수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막방수재를 도포하는 스프레드머신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드머신은,
    평면 형상이 사각형이고, 구동모터 및 발전기가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에 한 쌍의 구동바퀴가 장착되어 있는 구동부박스;
    상기 구동부박스의 전방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하로 배치되면서 평면 형상이 사각형을 이루도록 설치된 제1 및 제2수평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수평프레임의 전방측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에 한 쌍의 조향바퀴가 구비되어 있는 프레임;
    상기 제1수평프레임의 좌우측에 위치하는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도막방수재를 일정 두께로 도포해 주는 스퀴즈;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된 조향바퀴를 조정하여 스프레드머신의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향핸들;
    스프레드머신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가 구비된 조작패널;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퀴즈는,
    상기 제1수평프레임에서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프레임 하부에 판상(板狀)의 부재가 전후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퍼짐방지부재;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퍼짐방지부재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도막방수재의 두께를 일정하게 도포하게 되는 두께조정부재;
    상기 각 퍼짐방지부재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작동부;
    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스프레드머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퀴즈는, 제1 및 제2스퀴즈로 구분되어 한 쌍이 전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스퀴즈는, 에어콤프레샤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는 제1 및 제2스퀴즈승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각각 승강하여 도막방수재를 일정 두께로 도포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스프레드머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박스 후방에는 구조물의 바탕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기 위한 프라이머도포관이 좌우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더 설치되고, 구동부박스 내부에는 프라이머를 펌핑하여 프라이머도포관에 공급해 주기 위한 펌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스프레드머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작동부는,
    상기 제1수평프레임 상면에는 이격 설치되어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수직바;
    한 쌍의 수직바의 상단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바;
    양단(兩端)이 제1수평프레임과 수평바 사이에 각각 연결된 스프링;
    일단(一端)이 제2수평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他端)에 후크가 구비되어 있어서 수평바와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 연결로프;
    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스프레드머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평프레임에서 좌우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의 상면에 보강섬유거치대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보강섬유거치대의 하방에는, 제1수평프레임의 하부에 보강섬유롤러가 설치되어,
    롤 형상으로 권취된 보강섬유가 상기 보강섬유거치대에 거치되어 있다가 풀리면서 그 하부에 위치한 보강섬유롤러를 거쳐, 스퀴즈에 의해 형성된 도막방수재 상부에 보강섬유를 부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스프레드머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섬유롤러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롤러승강실린더가 제1 및 제2수평프레임에서 좌우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스프레드머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제1수평프레임 하부에는 연결축이 더 설치되고, 연결축의 양단 부분에 조향바퀴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연결축의 양단 부분에는 일정 길이의 랙(rack)이 각각 형성되고, 랙과 치합하는 피니언이 구비되며,
    상기 조향핸들은 핸들의 중심부에 수직 하방으로 샤프트가 구비되어, 샤프트와 일측 피니언이 연결되어, 핸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랙과 피니언이 치합되어 움직이면서 스프레드머신의 방향전환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스프레드머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패널에는 발전기를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정지버튼과, 장비의 운행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조절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스프레드머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박스 후방에는, 도막방수층 상부에 그리드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롤 형상으로 권취된 그리드를 거치시키기 위한 그리드거치대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스프레드머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퀴의 전방에는 외주면에 털이 부착된 롤러가 장착되어, 롤러의 표면이 구동바퀴의 외주면과 접하게 되며,
    상기 구동바퀴와 롤러가 접하게 되는 위치의 상부에는 기름통을 거치시킬 수 있는 기름통 거치대가 구동부박스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스프레드머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통에는 콩기름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스프레드머신.
KR1020180016409A 2018-02-09 2018-02-09 도막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스프레드머신 KR102056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409A KR102056639B1 (ko) 2018-02-09 2018-02-09 도막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스프레드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409A KR102056639B1 (ko) 2018-02-09 2018-02-09 도막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스프레드머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681A KR20190096681A (ko) 2019-08-20
KR102056639B1 true KR102056639B1 (ko) 2019-12-17

Family

ID=67807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409A KR102056639B1 (ko) 2018-02-09 2018-02-09 도막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스프레드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6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729B1 (ko) * 2020-07-02 2021-04-02 (유)이지스건설 균일한 두께의 도막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는 도막방수재 도포장치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818B1 (ko) * 2014-12-02 2015-08-17 부림산업개발(주) 그리드 보강섬유 교면방수재 시공장치
KR101792539B1 (ko) * 2017-03-10 2017-11-02 진석토건 주식회사 도막시공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시공된 도막 레이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818B1 (ko) * 2014-12-02 2015-08-17 부림산업개발(주) 그리드 보강섬유 교면방수재 시공장치
KR101792539B1 (ko) * 2017-03-10 2017-11-02 진석토건 주식회사 도막시공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시공된 도막 레이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729B1 (ko) * 2020-07-02 2021-04-02 (유)이지스건설 균일한 두께의 도막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는 도막방수재 도포장치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681A (ko) 201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8688B2 (en) Machine for aligning items in a pattern and a method of use
CN107859252B (zh) 一种卷材平铺成型机和防水卷材的铺设方法
KR101688396B1 (ko) 2-레이어 복합식 도막방수층, 이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56639B1 (ko) 도막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스프레드머신
US20210148062A1 (en) Textile-reinforced concrete road paving apparatus and method of repairing concrete road pavement using the same
KR100993639B1 (ko)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화물창용 트리플렉스 자동 접착 장치
CN104878915A (zh) 一种自行走脚手架
KR0171420B1 (ko) 콘크리트 고르게 하는 장치
KR101130641B1 (ko) 트리플렉스 자동부착장치
KR102235729B1 (ko) 균일한 두께의 도막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는 도막방수재 도포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204826583U (zh) 一种自行走脚手架
RU2679171C2 (ru) Станция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выравнива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смесей и укладки напольной плитки, станция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выравнива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смесей и станция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укладки напольной плитки
GB2390079A (en) Aerial lift platform with lifting jacks
KR102188330B1 (ko) 방수시트를 이용한 교면방수 시공공법
JP7080154B2 (ja) トンネル内周面の補強構造及びトンネル内周面の補強方法
KR20040037920A (ko)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과 보강을 위한 보강섬유 랩핑장치및 그 랩핑 공법
KR102541920B1 (ko) 방수도막장치
KR102234872B1 (ko) 도막액 분사장치
KR102563011B1 (ko) 차량 적재형 섬유그리드 도포장치
KR101923550B1 (ko)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 장치, 제조된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시공 방법
CN220353357U (zh) 一种文化街区修缮用施工装置
KR200303287Y1 (ko)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과 보강을 위한 보강섬유 랩핑장치
JPH10292619A (ja) 大空間対応吊り足場構築システムに用いるセルフクライミング吊り足場ユニット
KR102197725B1 (ko) 방수 시공용 입체 메쉬 시트
CN213867229U (zh) 一种路面修补用抹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