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920B1 - 방수도막장치 - Google Patents

방수도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920B1
KR102541920B1 KR1020220058716A KR20220058716A KR102541920B1 KR 102541920 B1 KR102541920 B1 KR 102541920B1 KR 1020220058716 A KR1020220058716 A KR 1020220058716A KR 20220058716 A KR20220058716 A KR 20220058716A KR 102541920 B1 KR102541920 B1 KR 102541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ating
sheet
roller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의혁
조환
Original Assignee
정의혁
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의혁, 조환 filed Critical 정의혁
Priority to KR1020220058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9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도막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 이물질이 제거된 후 바닥과 도막시트가 연화된 상태에서 바닥의 표면에 도막시트가 덮혀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도막시트와 도막시트 사이에 추가도막이 도포되도록 하는 방수도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수도막장치{WATERPROOFING FILM APPARATUS}
본 발명은 방수도막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 이물질이 제거된 후 바닥과 도막시트가 연화된 상태에서 도막시트가 바닥의 표면에 덮혀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도막시트와 도막시트 사이에 추가도막이 도포되도록 하는 방수도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 구조물의 옥상, 지하 주차장 상부, 지하 외벽, 지하철, 지하차도, 공동구 등에는 누수로 인한 철근 및 철골의 부식이나 중성화, 동결융해, 유해물질의 침입 등으로 인한 열화 가속화 및 콘크리트 재료의 결합력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방수 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방수 시공은 시트 방수재, 방수 도막재 또는 매스틱 방수재를 이용하여 시공되며, 시트 방수재의 경우, 가열 토치를 사용하여 가열 융착식으로 시공됨에 따라시공이 매우 까다롭고, 시공 시간이 매우 길며, 시공시 화상의 위험이 있었다.
하자가 발생될 경우, 누수된 물이 시트와 피착면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이동하여 파손 부분과 함께 다른 곳에서도 누수가 발생함으로써, 하자 지점을 찾을 수 없어 방수층 전체를 재시공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매스틱 방수재의 경우, 방수재를 시공 인력이 직접 펴 발라서 시공해야 하므로 시공성이 좋지 못하고 두께가 균일하지 않게 시공되며, 고체화되지 않는 매스틱의 특징으로 인해 하절기 수직 벽 부위의 시공 후 고온에서 방수재가 흘러내리게 되어 상 하부 방수층 두께가 균일하지 않거나, 보호시트를 시공할 경우 부착된 시트가 흘러 내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방수 도막재의 경우,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고체상의 방수 도막재를 융융시킨 후 방수하고자 하는 표면에 롤러를 이용하여 수차례 도포하고, 이를 경화시켜 방수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작업자가 용융된 방수 도막재를 롤러에 묻혀 방수하고자 하는 표면에 눌러 칠하는 작업과정이 전부 수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방수 작업량이 줄어들게 되며 작업시간이 늘어나고, 시공비가 증가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방수 도막재의 하나인 우레탄 방수 도막은 시공할 바닥 등을 정리한 후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바닥에 충분히 침투시켜 건조한 뒤 바닥면에 액상 우레탄 수지를 도포하고, 건조 및 경화시켜 일정 두께의 우레탄 도막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작업성과 시공성이 우수하고 이음매가 발생하지 않으며 복잡한 구조물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방수성능은 뛰어나지만 고가의 가격으로 인해 노출 및 특수 부위 방수 등에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황변 현상 등과 같은 노화에 의해 내구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동절기에는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종래 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2183568(2020.11.20)호의 상이한 상,하부 도막층을 갖는 방수시트 현장제저장치 및 이를 사용한 방법이 제안되어 시공 바닥의 표면에 종류가 다른 상,하부 도막층을 갖는 방수시트가 덮혀지도록 하여 내구성을 높여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시공성을 높여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방수시트 시공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으나, 시공전 시공 바닥의 표면에 이물질을 제거하고, 바로 방수시트가 덮혀지도록 하는 과정에서 공정상의 증가로 인하여 작업시간이 더 소요되는 가운데 상온 내지는 저온인 바닥에 방수시트가 바로 덮혀짐에 따라 도막층이 표면에 스며들어 경화되는 시간이 없어 시공 바닥의 표면으로부터 방수시트가 이격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해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183568호(2020.11.20)호
본 발명은 이물질이 제거된 바닥과 도막시트의 도막층이 가열로 인해 연화된 상태에서 도막시트가 바닥 표면에 덮혀지도록 하여 들뜸현상이 막아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도막시트와 도막시트 사이에 추가 도막층이 덮혀지도록 하여 누수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부(100)와; 상기 프레임부(100)가 전후 좌우로 이동되도록 구비된 조향부(200)와; 상기 조향부(200)의 후방에 구비되어 도막시트가 시공될 바닥의 표면의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구비된 이물질 제거부(300)와; 상기 프레임부(100)에 구비된 도막시트 공급부(400)와; 상기 도막시트 공급부(400)의 후방 하측에 구비된 것으로, 도막시트와 바닥이 연화되도록 구비된 연화부(500); 및 상기 연화된 도막시트가 바닥의 표면에 시공되도록 구비된 도막시트 시공부(60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100)는, 평판형태를 갖는 프레임(110)의 전방 양측에 구비된 휠하우스(120)와; 상기 휠하우스(120) 사이의 후방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이물질 이송덕트(362)가 관통되게 구비된 턱트 인출홀(130); 및 상기 프레임(110)의 후방 내측에 폭방향으로 구비된 도막시트 인출홀(140)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향부(200)는, 프레임부(100)의 전방에 구비된 조향휠부(210)와 프레임부(100)의 중앙 하부에 구비된 구동부(220)로 구비되되. 상기 조향휠부(210)는, 조향축(211)과; 상기 조향축(211)의 양측에 구비된 조향휠(212); 및 상기 조향축(212)에 구비된 동력 조향부(213)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 조향부(213)는, 배터리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기모터, 오일 공급 유무에 따라 구동되는 유압펌프 및 실린더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고, 상기 전기모터, 유압펌프 및 실린더가 리모트 콘트롤(214)에 의하여 구동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220)는, 프레임(110)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구동휠(221)과; 상기 구동휠(221)에 구비된 제1종동 스프라켓 휘일(222)과; 상기 프레임(110)의 지지 브라켓(111)에 구비된 제1구동 스프라켓 휘일(223)을 갖는 제1구동모터(224); 및 상기 제1구동 스프라켓 휘일(223)과 제1종동 스프라켓 휘일(222)에 연결된 제1구동체인(225)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물질 제거부(300)는, 브러시 롤러(310)와; 상기 브러시 롤러(310)의 양측단부에 구비된 제1롤러 회동 아암(320)과; 상기 브러시 롤러(310)에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1롤러 회동 아암(320)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구비된 제2종동 스프라켓 휘일(330)과; 상기 제2종동 스프라켓 휘일(330)에 일측이 맞물리게 감겨지며 타측이 제2구동모터(340)의 제2구동 스프라켓 휘일(341)에 맞물리게 구비된 제2구동체인(350)과; 상기 제2구동체인(350)이 구동되도록 상기 제2구동 스프라켓 휘일(341)이 구비된 제2구동모터(340); 및 상기 브러시 롤러(310)의 후방에 구비된 이물질 집진부(36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물질 집진부(360)는, 브러시 롤러(310)의 후방에 구비된 이물질 흡입덕트(361)와; 상기 이물질 흡입덕트(361)의 후방에 구비된 이물질 이송덕트(362)와; 상기 이물질 이송덕트(362)의 후방에 구비된 이물질 집진필터부(363); 및 상기 이물질 집진필터부(363)에 구비된 흡입, 배출력 발생부(364)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물질 집진필터부(363)와 흡입, 배출력 발생부(364)는, 프레임(110)의 전방 상부측에 구비된 집진 하우징(365)의 내부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물질 제거부(300)는, 제1롤러 회동 아암(320)이 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된 제1언푸싱부(370)에 의하여 상부에서 하부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왕복 이동되게 구비됨으로써, 바닥에 도막시트가 시공될 경우에만 하부로 이동하여 이물질이 제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막시트 공급부(400)는, 프레임(110)의 폭방향 양측에 구비된 도막시트 롤러 지지부(410)와; 상기 도막시트 롤러 지지부(410)에 양측이 착탈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막시트 롤러(420)와; 상기 도막시트롤러 지지부(410)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곳에 구비된 도막시트 이형지 권취부(430); 및 상기 도막시트 롤러(420)가 도막시트 롤러 지지부(41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도막시트 롤러 착탈부(44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막시트 롤러 지지부(410)는, 프레임(110)의 상부에서 직립된 형태를 갖는 지지 포스트(411); 및 상기 지지 포스트(411)의 상부에 구비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U형태를 갖는 롤러 안착홈(412)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막시트 롤러(420)는, 지지 포스트(411)에 안착되는 도막시트 롤러축(421)과; 상기 도막시트 롤러축(421)에 감겨진 도막시트(422)로 구비되되, 상기 도막시트(422)는 부직포(422-1)와; 상기 부직포(422-1)의 하부에 함침된 도막층(422-2); 및 상기 도막층(422-2)의 표면에 덮혀지게 구비된 이형지(422-3)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막시트 이형지 권취부(430)는, 프레임(10)의 상부인 폭방향 양측에 직립되게 구비된 이형지 권취 지지 포스트(431)와; 상기 이형지 권취 지지 포스트(431)에 착탈 및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이형지 권취축(432); 및 상기 이형지 권취축(432)이 구동되게 구비된 이형지 권취 구동부(433)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형지 권취 구동부(433)는, 제3구동모터(433-1)와; 제3구동모터(433-1)의 제3구동축(433-2)에 구비된 제3구동 스프라켓 휘일(433-3)과; 상기 이형지 권취축(432)에 구비된 제3종동 스프라켓 휘일(433-4); 및 상기 제3구동 스프라켓 휘일(433-3)과 제3종동 스프라켓 휘일(433-4)에 결합된 제3구동체인(433-5)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막시트 롤러 착탈부(440)는, 전후, 좌우 임의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된 착탈 포스트(441); 및 상기 착탈 포스트(441)에 구비된 체인 또는 와이어 블록(442)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화부(500)는, 도막시트가 시공될 바닥을 가열하는 바닥 연화부(510); 및 바닥에 시공될 도막시트(422)의 도막층(422-2)이 연화되도록 가열하는 도막층 연화부(520)로 구비되되, 상기 바닥 연화부(510)는 바닥 연화 점화 연소부(511)가 바닥 연화 헤드(512)에 내장되어 상시 점화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도막층 연화부(520)는, 도막층 연화 점화 연소부(521)가 도막층 연화 헤드(522)에 내장되어 바닥에 도막시트가 시공되도록 프레임(110)이 움직일때만 점화된 상태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 연화부(510)는, 바닥 연화 헤드(512)에서 인출된 연장 덕트(531)의 단부가 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된 추가 도막 공급부(530)로 공급되어 펠렛이 추가 도막액으로 용융되도록 하고, 용융된 추가 도막액이 바닥에 시공되는 도막시트(422)와 도막시트(422) 사이에 추가적으로 도포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가 도막 공급부(530)는, 상부만이 오픈된 형태를 갖는 도막액 공급 탱크(532)와; 상기 도막액 공급 탱크(532)의 하부에 구비된 연화열 공급부(533); 및 상기 연화열 공급부(533)의 후방측 하부에 구비된 도막액 배출부(534)가 포함되되, 상기 도막액 배출부(534)는 실린더(534-1)의 구동에 의하여 도막액 배출유로(532-1)를 단속하게 구비된 슬라이드 밸브(534-2)와; 상기 도막액 배출유로(532-1)의 하부에 구비된 도막액 배출노즐(534-3); 및 상기 도막액 배출노즐(534-3)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동하여 도막시트(422)가 겹쳐진 상부로 추가 도막액(AC)이 도포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막액 배출유로(532-1)는, 원통형태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 밸브(534-2)는 원기둥형태를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막액 배출노즐(534-3)은, 수직형태의 수직배출관(534-3a)과; 상기 수직배출관(534-3a)의 하부에 경사지게 구비된 경사배출관(534-3b); 및 상기 경사배출관(534-3b)의 단부에 바닥과 평행하며, 하부에 다수개의 배출홀(534-3c)을 갖는 수평배출관(534-3d)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노즐 조절구(534-4)는, 도막액 배출노즐(534-3)의 수직배출관(534-3a) 외주연부에 구비된 웜휠(534-4a)과; 상기 수직배출관(534-3a)이 관통되는 프레임(110)에 지지되게 구비되며, 상기 웜휠(534-3a)에 맞물리게 구비된 웜(534-4b); 및 상기 웜(534-4b)이 구비된 웜구동모터(534-4c)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534-1)와 웜구동모터(534-4c)는 리모트 컨트롤에 의하여 구동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막시트 시공부(600)는, 도막시트 가압 롤러(610)와; 상기 도막시트 가압 롤러(610)의 양측단부에 구비된 제2롤러 회동 아암(620)과; 상기 제2롤러 회동 아암(620)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프레임(110)의 하부에 구비된 제2힌지편(630)과; 상기 제2롤러 회동 아암(620)에 제2 언푸싱부(640)가 구비되되, 상기 제2 언푸싱부(640)는 유공압 실린더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리모트 컨트롤에 의하여 프레임부에 구비된 구동부와 조향부가 원격으로 구동됨으로써, 작업자가 직접 조작을 하지 않고 원거리에서 간접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에 구비된 이물질 제거부가 프레임부가 이동되면서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이물질 제거작업을 거치지 않아 신속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에 구비된 연화부에 의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바닥과 도막시트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도막시트의 도막층이 연화된 상태에서 도막시트 시공부에 의하여 바닥 표면에 시공됨으로써, 접착율을 높여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도막시트와 도막시트 사이에 추가도막액이 리모트 컨트롤에 의하여 도포되도록 하여 도막시트 이음 사이로 누수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도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도막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도막장치에 있어 도막 추가 공급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도막장치를 저면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도막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도막장치에 있어 도막 추가 공급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도막장치에 있어 도막 추가 공급부의 도막액 배출노즐을 통해 일측의 도막시트와 도막시트 사이로 추가 도막액이 도포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도막장치에 있어 도막 추가 공급부의 도막액 배출노즐을 통해 타측의 도막시트와 도막시트 사이로 추가 도막액이 도포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도막장치의 다른 실시에인 프레임부에 폭방향 이동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도막장치의 다른 실시에인 프레임부에 구비된 폭방향 이동부가 하부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본 발명에 따른 방수도막장치를 참고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도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도막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도막장치에 있어 도막 추가 공급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도막장치를 저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도막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도막장치는 도막시트의 접착율을 높여 바닥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도막시트와 도막시트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별도의 공정을 통해 바닥의 이물질을 제거하지 않고 도막시트가 시공되기 바로 직전에 제거되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00), 조향부(200), 이물질 제거부(300), 도막시트 공급부(400), 연화부(500) 및 도막시트 시공부(600)가 포함된다.
여기에서, 상기 프레임부(100)는 소정 넓이를 갖는 평판형태로 구비된 것으로, 전방 양측에 휠하우스(120)가 구비되어 조향휠(212)의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작업 중 주변과의 간섭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휠하우스(120) 사이의 후방측에는 길이방향을 갖는 덕트 인출홀(130)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이물질 제거부(300)의 이물질 이송덕트(362)가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안정되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110)의 후방 내측에는 폭방향으로 구비된 도막시트 인출홀(140)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도막시트 공급부(400)로부터 공급되는 도막시트(422)가 프레임(110)의 하부를 경유한 후 바닥 표면을 덮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조향부(200)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프레임부(100)가 전후 좌우로 이동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프레임부(100)의 전방에 구비된 조향휠부(210) 및 상기 프레임부(100)의 중앙 하부에 구비된 구동부(220)로 구비된다.
상기 조향휠부(210)는 프레임(110)의 전방 하부측에 폭방향으로 조향축(211)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조향축(211)의 양측에 조향휠(212)이 구비되는 가운데 상기 조향축(212)에 동력 조향부(213)가 구비되어 조향휠(212)이 용이하게 구동됨으로써, 도막시트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동력 조향부(213)는 배터리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기모터, 오일 공급 유무에 따라 구동되는 유압펌프 및 실린더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기모터, 유압펌프 및 실린더는 리모트 콘트롤(214)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리모트 콘트롤(214) 이외에 기구적인 방식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20)는 프레임(110)이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구동력에 제공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110)의 하부에 구동휠(221)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구동휠(221)에 제1종동 스프라켓 휘일(222)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110)의 지지 브라켓(111)에 구비된 제1구동 스프라켓 휘일(223)을 갖는 제1구동모터(22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구동 스프라켓 휘일(223)과 제1종동 스프라켓 휘일(222)에 제1구동체인(225)이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구동모터(255)의 구동에 의하여 구동휠(211)이 회전된다.
상기 이물질 제거부(300)는 상기 조향부(200)의 후방에 구비되어 도막시트(422)가 시공될 바닥 표면의 이물질이 도막시트(422)가 시공되기 바로전에 별도의 제거단계 또는 제거공정이 필요치 않고 상기 프레임(110)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그 만큼의 작업 공정을 줄여 높은 작업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이물질 제거부(300)는 브러시 롤러(310)가 프레임(110)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것으로, 상기 브러시 롤러(310)의 양측단부에 제1롤러 회동 아암(32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롤러 회동 아암(32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2종동 스프라켓 휘일(330)이 상기 브러시 롤러(310)에 연결 내지는 결합된다.
상기 제2종동 스프라켓 휘일(330)에는 일측이 맞물리게 감겨지며 타측이 제2구동모터(340)의 제2구동 스프라켓 휘일(341)에 맞물리는 제2구동체인(35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구동체인(350)이 구동되도록 제2구동모터(340)에 제2구동 스프라켓 휘일(34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브러시 롤러(310)의 후방에 이물질 집진부(360)가 연결된다.
여기에서, 상기 이물질 집진부(360)는 브러시 롤러(310)의 후방에 이물질 흡입덕트(36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이물질 흡입덕트(361)의 후방에 이물질 이송덕트(36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이물질 흡입덕트(362)는 프레임(110)에 구비된 덕트 인출홀(130)을 통해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최단 길이를 가지며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물질 이송덕트(362)의 후방에는 이물질 집진필터부(363)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브러시 롤러(310)에 의하여 바닥 표면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먼저 이물질 흡입덕트(361)에 의하여 흡입된 후 이어 이물질 이송더트(362)를 통해 집진될 수 있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이물질 집진필터부(363)에 흡입, 배출력 발생부(364)가 구비됨으로써,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찬 충분한 흡입력이 제공된다.
상기 이물질 집진필터부(363)와 흡입, 배출력 발생부(364)는 프레임(110)의 전방 상부측에 구비된 집진 하우징(365)의 내부에 구비되며, 이러한 흡입, 배출력 발생부(364)는 모터팬으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이물질 제거부(300)는 제1롤러 회동 아암(320)이 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된 제1언푸싱부(370)에 의하여 상부에서 하부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왕복 이동되게 구비됨으로써, 바닥에 도막시트가 시공될 경우에만 하부로 이동하여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막시트 공급부(400)는 바닥 표면으로 소정 폭을 갖는 도막시트(422)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한 것으로, 상기 프레임(110)의 폭방향 양측에 도막시트 롤러 지지부(4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도막시트 롤러 지지부(410)에 도막시트 롤러(420)의 양측이 착탈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도막시트롤러 지지부(410)에서 도막시트 이형지 권취부(430)가 일정 간격 이격된 곳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도막시트 롤러(420)는 도막시트 롤러 지지부(41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도막시트 롤러 착탈부(440)에 의하여 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도막시트 롤러 지지부(410)는 프레임(110)의 상부에서 지지 포스트(411)가 직립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 포스트(411)의 상부에 상부가 개방된 U형태를 갖는 롤러 안착홈(412)이 구비된다.
상기 도막시트 롤러(420)는 도막시트(422)가 감겨진 상태에서 프레임(110)이 이동됨과 동시에 풀려지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지지 포스트(411)에 도막시트 롤러축(421)이 안착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도막시트 롤러축(421)에 감겨진 도막시트(422)로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도막시트(422)는 부직포(422-1)의 하부에 도막층(422-2)이 함침되어 있고, 함침된 상기 도막층(422-2)의 표면에 이형지(422-3)가 덮혀지게 구비됨으로써, 도막시트(422)가 감겨진 상태에서 서로 붙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막시트(422)의 이형지(422-3)는 도막시트 롤러축(421)에서 풀림과 동시에 분리되어 상기 도막시트 이형지 권취부(430)에 감겨짐으로써, 작업 과정에서 이형지(422-3)으로 인한 간섭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도막시트 이형지 권취부(430)는 프레임(10)의 상부인 폭방향 양측에 이형지 권취 지지 포스트(431)가 직립되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이형지 권취 지지 포스트(431)에 이형지 권취축(432)이 착탈 및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이형지 권취축(432)이 이형지 권취 구동부(433)에 의하여 구동되게 구비된다.
상기 이형지 권취 구동부(433)는 프레임(110)의 상부에 제3구동모터(433-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3구동모터(433-1)는 제3구동축(433-2)에 구비된 제3구동 스프라켓 휘일(433-3)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이형지 권취축(432)에 제3종동 스프라켓 휘일(433-4)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3구동 스프라켓 휘일(433-3)과 제3종동 스프라켓 휘일(433-4)에 제3구동체인(433-5)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이형지 권취축(432)이 회전 될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도막시트 롤러 착탈부(440)는 도막시트(422)가 감겨진 고하중을 갖는 도막시트 롤러축(421)이 별도의 외부 인양기를 이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에 착탈 포스트(441)가 전후, 좌우 임의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착탈 포스트(441)에 체인 또는 와이어 블록(442)이 구비되고, 상기 체인 또는 와이어 블록(442)에 후크가 구비됨으로써, 미도시한 인양벨트를 걸은 상태에서 후크를 걸어 도막시트 롤러축(421)을 용이하게 들어 올려 회전시켜 분리시킨 후 새로운 도막시트 롤로축(421)을 교체, 교환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연화부(500)는 상기 도막시트 공급부(400)의 후방 하측에 구비되어 도막시트와 바닥이 연화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도막시트(422)가 시공될 바닥을 가열하는 바닥 연화부(510) 및 바닥에 시공될 도막시트(422)의 도막층(422-2)이 연화되도록 가열하는 도막층 연화부(520)로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바닥 연화부(510)는 버너인 바닥 연화 점화 연소부(511)가 바닥 연화 헤드(512)에 내장되어 상시 점화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도막층 연화부(520)는 도막층 연화 점화 연소부(521)가 도막층 연화 헤드(522)에 내장되어 바닥에 도막시트(422)가 시공되도록 프레임(110)이 움직일때만 점화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상기 바닥 연화 점화 연소부(511)와 도막층 연화 점화 연소부(521)는 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된 연료탱크(T)로부터 연소에 필요한 연료가 공급되어 미도시한 이그나이터에 의하여 점화 및 연소됨에 따라 연소열에 의하여 구동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도막장치에 있어 도막 추가 공급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도막장치에 있어 도막 추가 공급부의 도막액 배출노즐을 통해 일측의 도막시트와 도막시트 사이로 추가 도막액이 도포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도막장치에 있어 도막 추가 공급부의 도막액 배출노즐을 통해 타측의 도막시트와 도막시트 사이로 추가 도막액이 도포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바닥 연화부(510)에는 바닥 연화 헤드(512)에서 인출된 연장 덕트(531)의 단부가 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된 추가 도막 공급부(530)로 공급되어 펠렛이 추가 도막액으로 용융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용융된 추가 도막액이 바닥에 시공되는 도막시트(422)와 도막시트(422) 사이에 추가적으로 도포됨에 따라 도막시트(422)와 도막시트(422)가 겹쳐지는 부분이 들뜨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추가 도막 공급부(530)는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막액 공급 탱크(532)의 상부가 오픈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도막액 공급 탱크(532)의 하부에 연화열 공급부(533)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도막액 공급 탱크(532)로 공급된 펠렛이 용융되어 추가 도막액으로 저장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연화열 공급부(533)의 후방측 하부에는 도막액 배출부(534)가 구비되어 도막액 공급 탱크(532)에 저장된 추가 도막액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도막액 배출부(534)는 리모트 컨트롤(241)에 의하여 실린더(534-1)가 구동됨과 동시에 슬라이드 밸브(534-2)가 도5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도막액 배출유로(532-1)가 개방됨으로써, 상기 도막액 배출유로(532-1)의 하부에 구비된 도막액 배출노즐(534-3)을 통해 배출된다.이때, 상기 도막액 배출노즐(534-3)은 상기 배출노즐 조절구(534-4)에 의하여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으로 회동하여 도막시트(422)가 겹쳐진 상부로 추가 도막액(AC)이 도포된다.
이를 위해, 상기 도막액 배출유로(532-1)는 원통형태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 밸브(534-2)는 원기둥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도막액 배출부(534)는 리모트 컨트롤(241)에 의하여 실린더(534-1)가 구동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막액 배출노즐(534-3)은 수직형태의 수직배출관(534-3a)의 하부에 경사배출관(534-3b)이 경사지게 구비되어 배출과정에서 막히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고, 상기 경사배출관(534-3b)의 단부에 구비된 바닥과 평행하며, 하부에 다수개의 배출홀(534-3c)을 갖는 수평배출관(534-3d)에 의하여 겹쳐지는 도막시트(422)의 상부로 도포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배출노즐 조절구(534-4)는 도막액 배출노즐(534-3)의 수직배출관(534-3a) 외주연부에 웜휠(534-4a)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직배출관(534-3a)이 관통되는 프레임(110)에 지지되게 구비되며, 상기 웜휠(534-3a)에 맞물리게 구비된 웜(534-4b)에 맞물려 있고, 상기 웜(534-4b)이 구비된 웜구동모터(534-4c)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웜구동모터(534-4c)가 리모트 컨트롤에 의하여 구동됨과 동시에 웜(534-4b)이 웜휠(534-4a)이 맞물려져 있어 도막액 배출 노즐(534-3)이 프레임(110)의 후방 하부측에서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언푸싱부(640)는 유공압 실린더로 구비됨으로써, 평상시는 제2언푸싱부(640)에 의하여 도막시트 로울러(610)가 프레임(110)의 하부로 근접된 상태 즉,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도막시트가 시공되지 않은 상태로 프레임(100)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되고, 도막시트 작업시 제2언푸싱부(640)에 의하여 도막시트 롤러(610)가 바닥의 표면에 맞닿은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연화된 도막층(422-2)을 갖는 도막시트(422)가 바닥에 용이하게 시공된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도막장치의 다른 실시에인 프레임부에 폭방향 이동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도막장치의 다른 실시에인 프레임부에 구비된 폭방향 이동부가 하부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부(100)의 프레임(110)에 조향휠(212)과 구동휠(221)이 구비되어 방수도막장치가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및 커브형태로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9 및 도10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에 별도의 폭방향 이동부(700)가 구비되도록 하여 회전 없이 바로 프레임(110)이 측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바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폭방향 이동부(700)는 조향휠부(210)의 뒷쪽과 연화부(500)의 앞쪽 사이로 각각 프레임(110)의 상부에 휠 푸싱 실린더(710)가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휠 푸싱 실린더(710)에 구비된 푸싱 로드(720)가 프레임(110)을 관통하여 하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노출된 푸싱 로드(720)의 단부에 폭방향 이동휠(730)이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폭방향 이동부(700)의 폭방향 이동휠(730)은 도막시트(422)의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도시한 밸브 조절구 내지는 스위치에 의하여 상기 푸싱 로드(720)가 휠 푸싱 실린더(710)에 인입된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폭방향 이동휠(730)이 바닥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어 작업에 간섭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막시트 작업 과정에서 작업 장소의 협소 등으로 인하여 방수도막장치를 회전 시킬 수 없거나, 측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도시한 밸브 조절구 내지는 스위치에 의하여 상기 푸싱 로드(720)가 휠 푸싱 실린더(710)로부터 인출된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폭방향 이동휠(730)이 바닥에 닿고, 조향부(200), 구동부(220, 이물질 제거부(300) 및 도막시트 시공부(600)가 바닥으로 부터 올려져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어 간섭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 건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이 건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이 건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프레임부 110:프레임
120:휠하우스 130:턱트 인출홀
140:도막시트 인출홀 200:조향부
210:조향휠부 211:조향축
212:조향휠 213:동력 조향부
220:구동부 300:이물질 제거부
310:브러시 롤러 320:제1롤러 회동 아암
330:제2종동 스프라켓 휘일 340:제2구동모터
341:제2구동 스프라켓 휘일 350:제2구동체인
360:이물질 집진부 400:도막시트 공급부
410:도막시트 롤러 지지부 420:도막시트 롤러
422:도막시트 422-2:도막층
430:도막시트 이형지 권취부 440:도막시트 롤러 착탈부
500:연화부 510:바닥 연화부
511:바닥 연화 점화 연소부 512:바닥 연화 헤드
520:도막층 연화부 521:도막층 연화 점화 연소부
522:도막층 연화 헤드 600:도막시트 시공부
610:도막시트 가압 롤러 620:제2롤러 회동 아암
630:제2힌지편 640:제2 언푸싱부

Claims (7)

  1. 프레임부(100)와;
    상기 프레임부(100)가 전후 좌우로 이동되도록 구비된 조향부(200)와;
    상기 조향부(200)의 후방에 구비되어 도막시트가 시공될 바닥의 표면의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구비된 이물질 제거부(300)와;
    상기 프레임부(100)에 구비된 도막시트 공급부(400)와;
    상기 도막시트 공급부(400)의 후방 하측에 구비된 것으로, 도막시트와 바닥이 연화되도록 구비된 연화부(500); 및
    상기 연화된 도막시트가 바닥의 표면에 시공되도록 구비된 도막시트 시공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연화부(500)는, 도막시트가 시공될 바닥을 가열하는 바닥 연화부(510); 및 바닥에 시공될 도막시트(422)의 도막층(422-2)이 연화되도록 가열하는 도막층 연화부(520)로 구비되되,
    상기 바닥 연화부(510)는, 바닥 연화 점화 연소부(511)가 바닥 연화 헤드(512)에 내장되어 상시 점화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도막층 연화부(520)는, 도막층 연화 점화 연소부(521)가 도막층 연화 헤드(522)에 내장되어 바닥에 도막시트가 시공되도록 프레임(110)이 움직일때만 점화된 상태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도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100)는,
    평판형태를 갖는 프레임(110)의 전방 양측에 구비된 휠하우스(120)와;
    상기 휠하우스(120) 사이의 후방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이물질 이송덕트(362)가 관통되게 구비된 턱트 인출홀(130); 및
    상기 프레임(110)의 후방 내측에 폭방향으로 구비된 도막시트 인출홀(140)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도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부(200)는,
    프레임부(100)의 전방에 구비된 조향휠부(210)와 프레임부(100)의 중앙 하부에 구비된 구동부(220)로 구비되되.
    상기 조향휠부(210)는,
    조향축(211)과;
    상기 조향축(211)의 양측에 구비된 조향휠(212); 및
    상기 조향축(211)에 구비된 동력 조향부(213)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도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300)는,
    브러시 롤러(310)와;
    상기 브러시 롤러(310)의 양측단부에 구비된 제1롤러 회동 아암(320)과;
    상기 브러시 롤러(310)에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1롤러 회동 아암(320)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구비된 제2종동 스프라켓 휘일(330)과;
    상기 제2종동 스프라켓 휘일(330)에 일측이 맞물리게 감겨지며 타측이 제2구동모터(340)의 제2구동 스프라켓 휘일(341)에 맞물리게 구비된 제2구동체인(350)과;
    상기 제2구동체인(350)이 구동되도록 상기 제2구동 스프라켓 휘일(341)이 구비된 제2구동모터(340); 및
    상기 브러시 롤러(310)의 후방에 구비된 이물질 집진부(36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도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막시트 공급부(400)는,
    프레임(110)의 폭방향 양측에 구비된 도막시트 롤러 지지부(410)와;
    상기 도막시트 롤러 지지부(410)에 양측이 착탈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막시트 롤러(420)와;
    상기 도막시트롤러 지지부(410)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곳에 구비된 도막시트 이형지 권취부(430); 및
    상기 도막시트 롤러(420)가 도막시트 롤러 지지부(41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도막시트 롤러 착탈부(44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도막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막시트 시공부(600)는,
    도막시트 가압 롤러(610)와;
    상기 도막시트 가압 롤러(610)의 양측단부에 구비된 제2롤러 회동 아암(620)과;
    상기 제2롤러 회동 아암(620)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프레임(110)의 하부에 구비된 제2힌지편(530)과;
    상기 제2롤러 회동 아암(620)에 제2 언푸싱부(640)가 구비되되, 상기 제2 언푸싱부(640)는 유공압 실린더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도막장치.
KR1020220058716A 2022-05-13 2022-05-13 방수도막장치 KR102541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716A KR102541920B1 (ko) 2022-05-13 2022-05-13 방수도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716A KR102541920B1 (ko) 2022-05-13 2022-05-13 방수도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1920B1 true KR102541920B1 (ko) 2023-06-13

Family

ID=86762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716A KR102541920B1 (ko) 2022-05-13 2022-05-13 방수도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192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5707A (ko) * 2005-12-09 2006-02-20 김용호 방수시트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KR101769030B1 (ko) * 2016-12-12 2017-08-18 김갑환 도막 용융장치와 방수시트 시공장치를 포함하는 방수 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KR20170111402A (ko) * 2016-03-28 2017-10-12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방수시트 시공장치
KR102183568B1 (ko) 2020-06-04 2020-11-26 주식회사페트로산업 상이한 상,하부 도막층을 갖는 방수시트 현장 제조장치 및 이를 사용한 시공방법
CN113202238A (zh) * 2021-05-06 2021-08-03 中交二公局第三工程有限公司 一种房建用屋顶防水材料铺设设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5707A (ko) * 2005-12-09 2006-02-20 김용호 방수시트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KR20170111402A (ko) * 2016-03-28 2017-10-12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방수시트 시공장치
KR101769030B1 (ko) * 2016-12-12 2017-08-18 김갑환 도막 용융장치와 방수시트 시공장치를 포함하는 방수 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KR102183568B1 (ko) 2020-06-04 2020-11-26 주식회사페트로산업 상이한 상,하부 도막층을 갖는 방수시트 현장 제조장치 및 이를 사용한 시공방법
CN113202238A (zh) * 2021-05-06 2021-08-03 中交二公局第三工程有限公司 一种房建用屋顶防水材料铺设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54647B2 (ja) 防水シートの現場貼り付け機械
US11668056B2 (en) Burner and locomotive for spreading waterproof coil in hot melt manner
KR101308867B1 (ko) 지중파이프 리라이닝장치와 방법
KR101574159B1 (ko) 방수 도막 및 방수 시트의 일체형 시공 장치 및 이를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CN108643591A (zh) 一种防水卷材的铺设装置
CN215054694U (zh) 一种防水卷材铺设装置
JP3062350B2 (ja) 防水シート張り装置
JP2007063873A (ja) 床版用防水シートの貼り付け機械
KR102541920B1 (ko) 방수도막장치
CN115182210A (zh) 一种高铁轨道用防水工程施工设备及施工方法
CN113898136B (zh) 一种自粘型防水卷材的复合铺装设备及建筑施工方法
CN113564860B (zh) 一种耐用土工布的制备工艺
JP2009078210A (ja) 自走型洗浄・塗装方法及び自走型の洗浄・塗装機
CN110158875A (zh) 防水卷材自动喷胶、铺设一体机
CN109821783A (zh) 一种用于建筑防水施工的清洗装置
CN212053654U (zh) 一种建筑施工用填缝机
CN209443682U (zh) 一种移动式防水卷材铺设装置
CN116607379A (zh) 一种道路路面修补装置
KR102056639B1 (ko) 도막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스프레드머신
CN116025119A (zh) 防水卷材收边装置及施工方法
CN213349494U (zh) 一种纸面石膏板的上胶装置
KR102188330B1 (ko) 방수시트를 이용한 교면방수 시공공법
CN114718258B (zh) 一种建筑用屋顶sbs防水卷材铺装设备
CN113202238A (zh) 一种房建用屋顶防水材料铺设设备
CN208870311U (zh) 一种防水材料的摊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