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611A - 전하 펌프 회로 - Google Patents

전하 펌프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4611A
KR20150024611A KR20130101720A KR20130101720A KR20150024611A KR 20150024611 A KR20150024611 A KR 20150024611A KR 20130101720 A KR20130101720 A KR 20130101720A KR 20130101720 A KR20130101720 A KR 20130101720A KR 20150024611 A KR20150024611 A KR 20150024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regulator
output
level
rt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1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일
정문숙
박타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1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4611A/ko
Priority to US14/231,198 priority patent/US20150061738A1/en
Publication of KR20150024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6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 H02M3/073Charge pumps of the Schenkel-typ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 H02M3/073Charge pumps of the Schenkel-type
    • H02M3/075Charge pumps of the Schenkel-type including a plurality of stages and two sets of clock signals, one set for the odd and one set for the even numbered stag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 H02M3/073Charge pumps of the Schenkel-type
    • H02M3/076Charge pumps of the Schenkel-type the clock signals being boosted to a value being higher than the input voltage val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하 펌프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하 펌프 회로는 소정의 입력 전압을 클럭 신호의 주기 및 전압 레벨에 따라 적어도 한번 승압하여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승압 회로부; 및 상기 승압 회로부의 출력 전압에 따라 상기 클럭 신호의 전압 레벨을 변경하여 상기 승압 회로부의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하 펌프 회로{CHARGE PUMP CIRCUIT}
본 발명은 전하 펌프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하 펌프(또는 차지 펌프, Charge Pump) 회로는 전원전압보다 높은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회로이다.
전하 펌프 회로는 소정의 주파수(약 수 MHz)의 제1 클럭신호와 상기 제1 클럭신호와 180도의 위상차를 갖는 제2 클럭신호를 인가하여 번갈아 전원 전압을 소정의 커패시터에 충전시킴으로써 고압을 생성하는 회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하 펌프 회로는 복수 개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 클럭신호에 따라 트랜지스터의 스위칭을 통해 전원 전압을 커패시터에 충전하여 고압의 출력 전압을 생성한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 중 특허문헌 1은 시스템 온 글래스(SoG)를 위한 소 면적 차지 펌프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교차 결합 구조를 이용하여 리플 전압의 크기를 줄이고, 안정된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전하 펌프 회로는 그 특성상 부하 전류, 즉 부하의 저항값의 변동에 의해 출력전압이 변동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특허문헌 1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개시하고 있지 못하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KR 10-2005-0002785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출력 전압에 따라 승압 회로에 제공되는 클럭 신호의 전압 레벨을 변동하여, 승압 회로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전하 펌프 회로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제1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소정의 입력 전압을 클럭 신호의 주기 및 전압 레벨에 따라 적어도 한번 승압하여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승압 회로부; 및 상기 승압 회로부의 출력 전압에 따라 상기 클럭 신호의 전압 레벨을 변경하여 상기 승압 회로부의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하 펌프 회로를 제안한다.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기준 클럭 신호의 전압 레벨을 변경하여 상기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레벨 변환부; 상기 레벨 변환부에 소정의 구동 전압을 제공하는 레귤레이터; 및 상기 승압 회로부의 출력 전압과 소정의 제1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레귤레이터를 제어하는 비교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벨 변환부는, 상기 기준 클럭 신호의 전압 레벨을 변환하여 반전 출력하는 적어도 2개의 인버터;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귤레이터는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 전압의 레벨을 변경하여 상기 적어도 2개의 인버터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오실레이터;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압 회로부의 출력 전압을 분압하여 상기 비교부에 제공하는 분압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교부는, 상기 승압 회로부의 출력 전압과 상기 제1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레귤레이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블록;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귤레이터는, 소정의 제2 기준전압이 인가되는 비반전단을 포함하는 연산 증폭기;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 및 반전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저항; 및 상기 연산 증폭기의 반전단 및 접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저항;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저항 및 상기 제2 저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저항값이 변동될 수 있다.
상기 레귤레이터는, 상기 연산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상기 레벨 변환부의 구동 전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레귤레이터는,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연산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상기 안정화하는 커패시터;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2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소정의 입력 전압을 2개의 클럭 신호의 주기 및 전압 레벨에 따라 적어도 1회 승압하는 적어도 1개의 승압 회로를 포함하는 승압 회로부; 및 상기 2개의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레벨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압 회로부의 출력 전압에 따라 상기 레벨 변환부에 제공되는 구동 전압을 변경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클럭 신호는 동일한 주기 및 전압 레벨을 가지고, 서로 180도 위상 차이가 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벨 변환부에 소정의 구동 전압을 제공하는 레귤레이터; 및 상기 승압 회로부의 출력 전압과 소정의 제1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레귤레이터를 제어하는 비교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벨 변환부는 2개의 기준 클럭 신호의 전압 레벨을 변환하고, 반전 출력하여 상기 2개의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2개의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귤레이터는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 전압의 레벨을 변경하여 상기 적어도 2개의 인버터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2개의 기준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오실레이터;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압 회로부의 출력 전압을 분압하여 상기 비교부에 제공하는 분압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교부는, 상기 승압 회로부의 출력 전압과 상기 제1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레귤레이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블록;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블록은, 상기 출력 전압이 상기 제1 기준 전압보다 높은 경우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압을 낮추기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출력 전압이 상기 제1 기준 전압보다 낮은 경우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압을 높이기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레귤레이터는, 소정의 제2 기준전압이 인가되는 비반전단을 포함하는 연산 증폭기;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 및 반전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저항; 및 상기 연산 증폭기의 반전단 및 접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저항;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저항 및 상기 제2 저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저항값이 변동될 수 있다.
상기 레귤레이터는, 상기 연산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상기 레벨 변환부의 구동 전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레귤레이터는,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연산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상기 안정화하는 커패시터;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출력 전압에 따라 승압 회로에 제공되는 클럭 신호의 전압 레벨을 변동하여, 승압 회로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하 펌프 회로를 간략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하 펌프 회로의 일 구성요소인 승압 회로부를 상세히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하 펌프 회로의 일 구성요소인 분압부를 상세히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하 펌프 회로의 일 구성요소인 비교부를 상세히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하 펌프 회로의 일 구성요소인 레귤레이터를 상세히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하 펌프 회로의 일 구성요소인 레벨 변환부를 상세히 나타낸 회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하 펌프 회로를 간략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하 펌프 회로는 승압 회로부(100), 비교부(300), 레귤레이터(400), 오실레이터(500) 및 레벨 변환부(6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분압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하 펌프 회로의 일 구성요소인 승압 회로부를 상세히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승압 회로부(100)는 제1 승압부(110) 및 제2 승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승압 회로부(100)가 2 개의 승압부(110, 120)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승압 회로부(100)는 2 개 이상의 복수개의 승압부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하, 설명의 편의상 승압 회로부(100)가 2 개의 승압부(110, 120)로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승압부(110)는 N형 트랜지스터인 M1, M2, P형 트랜지스터인 M3, M4, 펌핑 커패시터인 C1, C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승압부(120)는 제1 승압부(110)와 유사하게 N형 트랜지스터인 M5, M2, P형 트랜지스터인 M3, M4, 펌핑 커패시터인 C3, C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승압부에 있어서, 트랜지스터 M1, M4 및 커패시터 C2는 하나의 펌핑회로를 구성하며, 트랜지스터 M2, M3 및 커패시터 C2는 하나의 펌핑회로를 구성한다.
트랜지스터 M1, M4의 게이트 간의 접속 노드는 커패시터 C2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고, 또한 커패시터 C2의 일단에는 트랜지스터 M2의 소스 및 트랜지스터 M3의 드레인이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M2, M3의 게이트 간의 접속 노드는 커패시터 C1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고, 또한, 커패시터 C1의 일단에는 트랜지스터 M1의 소스와 트랜지스터 M4의 드레인이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M1, M2의 드레인 간의 접속 노드는 입력 전압(Vin)이 인가되는 입력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트랜지스터 M3, M4의 소스간의 접속 노드는 제2 승압부(120)과 연결된다. 커패시터 C1, C2의 타단은 각각 레벨 변환부(600)로부터 클럭신호 CLK1, CLK2를 제공받는다.
클럭신호 CLK1, CLK2는 서로 위상이 180도 차이가 나고 주기는 동일한 클럭 신호로서, CLK1이 하이 레벨인 경우 CLK2는 로우 레벨이고, CLK1이 로우 레벨인 경우, CLK2는 하이 레벨이다.
클럭 신호 CLK1이 하이 레벨이고, 클럭 신호 CLK2가 로우 레벨인 경우, 트랜지스터 M1은 턴 오프되고, 트랜지스터 M2는 턴 온되고, 트랜지스터 M3는 턴 오프되고, 트랜지스터 M4는 턴 온 된다. 따라서, 입력단에 인가되는 입력 전압(Vin)은 트랜지스터 M2를 통하여 커패시터 C2에 충전되고, 커패시터 C1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이 방전되어 제2 승압부(120)로 제공된다.
또한, 클럭 신호 CLK1이 로우 레벨이고, 클럭 신호 CLK2가 하이 레벨인 경우, 트랜지스터 M1은 턴 온되고, 트랜지스터 M2는 턴 오프되고, 트랜지스터 M3는 턴 온되고, 트랜지스터 M4는 턴 오프 된다. 따라서, 입력단에 인가되는 입력 전압(Vin)은 트랜지스터 M1을 통하여 커패시터 C1에 충전되고, 커패시터 C2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이 방전되어 제2 승압부(120)로 제공된다.
이 때, 제1 승압부(110)에서 방전되어 제2 승압부(120)로 제공되는 전압은 커패시터 C1, C2에 충전된 전압에서 클럭 신호 CLK1, CLK2의 전압 레벨만큼 감소된 전압에 해당하게 된다.
제1 승압부(110)의 동작과 유사하게 제2 승압부(120) 또한 동작하게 되는데, 클럭 신호의 인가에 따라 동안 제2 승압부(120)에서 생성되어 커패시터 Cout에 충전되는 전압 Vout은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숫자 2는 승압부의 개 수를 나타낸 것이고, VCLK는 클럭 신호의 전압 레벨에 해당한다.
[수학식 1]
Vout=(1+2)*(Vin-VCLK)
한 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승압 회로부(100)는 복수 개(N)의 승압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승압 회로부(100)가 복수 개(N)의 승압부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수학식 1은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이 일반화 될 수 있다.
[수학식 2]
Vout=(1+N)*(Vin-VCLK)
한편, 승압 회로부(100)에서 생성되는 출력 전압 Vout의 레벨은 저항 Rout에 흐르는 전류 Iload에 변경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전압 Vout의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출력 전압 Vout의 레벨에 따라 클럭 신호 CLK1 및 CLK2의 전압 레벨을 변경한다. 이하 상기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하 펌프 회로의 일 구성요소인 분압부를 상세히 회로도이다. 분압부(300)는 적어도 2개의 저항 소자로 구성될 수 있는데, 분압부(300)는 2개의 저항 소자의 저항비에 따라 분압 전압(Vd)를 생성하여 비교부(300)에 전달한다.
도 3에서는 저항 소자가 4개의 저항 R1, R2, R3 및 R4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4에서는 저항 소자가 다이오드 커넥션(diode connection) 형태로 연결된 4개의 트랜지스터 T1, T2, T3 및 T4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써 저항 소자의 종류 및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하 펌프 회로의 일 구성요소인 비교부를 상세히 나타낸 회로도이다. 비교부(300)는 비교기(310) 및 디지털 블록(3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비교부(300)는 사전에 설정되는 제1 기준 전압(Vref1)과 분압부(300)로부터 제공되는 분압 전압(Vd)를 비교하고, 디지털 블록(320)은 비교 결과에 따라 레귤레이터(400)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Sg)를 생성한다.
즉, 비교부(300)의 비교 결과에 따라 출력 전압(Vout)이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레귤레이터(400)에서 생성되는 전압의 레벨을 높이기 위한 제어 신호(Sg)를 생성하고, 출력 전압(Vout)이 낮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레귤레이터(400)에서 생성되는 전압의 레벨을 낮추기 위한 제어 신호(Sg)를 생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하 펌프 회로의 일 구성요소인 레귤레이터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레귤레이터(400)는 연산 증폭기 OPA 및 가변 저항 Rr1, Rr2 및 커패시터 Cr을 포함할 수 있다. 연산증폭기 OPA는 사전에 설정되는 제2 기준 전압(Vref2)이 입력되는 비반전단, 가변 저항 Rr1과 가변 저항 Rr2의 일단간의 접속 노드에 연결되는 반전단을 구비할 수 있다. 가변 저항 Rr1의 타단은 연산 증폭기 OPA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가변 저항 Rr2의 타단은 접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커패시터 Cr은 연산 증폭기 OPA의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산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전압 Vr은 가변 저항의 저항비에 따라 변경되어 연산 증폭기 OPA의 반전단으로 인가되는데, 연산 증폭기 OPA는 제2 기준 전압(Vref2)과 연산 증폭기의 반전단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비교하여 출력 전압 Vr을 생성한다. 이 때, 커패시터 Cr은 연산 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Vr을 안정화 할 수 있다.
가변 저항 Rr1 및 Rr2는 비교부(30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Sg)에 따라 저항값이 변경될 수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비교부(300)의 비교 결과에 따라 출력 전압(Vout)이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레귤레이터(400)에서 생성되는 전압의 레벨을 높이도록 가변 저항 Rr1 및 Rr2의 저항값이 변경되고, 출력 전압(Vout)이 낮다고 판단되는 경우, 레귤레이터(400)에서 생성되는 전압의 레벨을 낮추도록 가변 저항 Rr1 및 Rr2의 저항값이 변경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하 펌프 회로의 일 구성요소인 레벨 변환부를 상세히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레벨 변환부(600)는 적어도 2개의 인버터 INV1, INV2를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 INV1 및 INV2는 오실레이터(500)에서 제공되는 기준 클럭 신호(CLKref1, 2)를 반전하여 클럭 신호 CLK1, CLK2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기준 클럭 신호 CLKref1 및 CLKref2는 서로 위상이 180도 차이가 나고 주기가 동일한 신호에 해당한다.
한편, 레귤레이터(400)에서 제공되는 전압 Vr은 인버터 INV1 및 INV2의 구동 전압으로 인가되어, 인버터 INV1 및 INV2는 레귤레이터(400)에서 제공되는 전압 Vr의 레벨에 따라 오실레이터(500)에서 제공되는 기준 클럭 신호(CLKref1, 2)의 전압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
즉, 레귤레이터(400)에서 제공되는 전압 Vr의 전압 레벨이 높은 경우에는 인버터 INV1 및 INV2는 각각 기준 클럭 신호 CLKref1 및 CLKref2를 증폭하여 클럭 신호 CLk1 및 CLK2를 생성할 수 있으며, 즉, 레귤레이터(400)에서 제공되는 전압 Vr의 전압 레벨이 낮은 경우에는 인버터 INV1 및 INV2는 각각 기준 클럭 신호 CLKref1 및 CLKref2를 감쇠하여 클럭 신호 CLk1 및 CLK2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승압 회로부
110: 제1 승압 회로
120: 제2 승압 회로
200: 분압부
300: 비교부
400: 레귤레이터
500: 오실레이터
600: 레벨변환부

Claims (22)

  1. 소정의 입력 전압을 클럭 신호의 주기 및 전압 레벨에 따라 적어도 한번 승압하여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승압 회로부; 및
    상기 승압 회로부의 출력 전압에 따라 상기 클럭 신호의 전압 레벨을 변경하여 상기 승압 회로부의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하 펌프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기준 클럭 신호의 전압 레벨을 변경하여 상기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레벨 변환부;
    상기 레벨 변환부에 소정의 구동 전압을 제공하는 레귤레이터; 및
    상기 승압 회로부의 출력 전압과 소정의 제1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레귤레이터를 제어하는 비교부; 를 포함하는 전하 펌프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변환부는,
    상기 기준 클럭 신호의 전압 레벨을 변환하여 반전 출력하는 적어도 2개의 인버터; 를 포함하는 전하 펌프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는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 전압의 레벨을 변경하여 상기 적어도 2개의 인버터에 제공하는 전하 펌프 회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오실레이터; 를 더 포함하는 전하 펌프 회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압 회로부의 출력 전압을 분압하여 상기 비교부에 제공하는 분압부; 를 더 포함하는 전하 펌프 회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승압 회로부의 출력 전압과 상기 제1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레귤레이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블록; 을 포함하는 전하 펌프 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는,
    소정의 제2 기준전압이 인가되는 비반전단을 포함하는 연산 증폭기;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 및 반전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저항; 및
    상기 연산 증폭기의 반전단 및 접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저항; 을 포함하는 전하 펌프 회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항 및 상기 제2 저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저항값이 변동되는 전하 펌프 회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는,
    상기 연산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상기 레벨 변환부의 구동 전압으로 제공하는 전하 펌프 회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는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연산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상기 안정화하는 커패시터; 를 더 포함하는 전하 펌프 회로.
  12. 소정의 입력 전압을 2개의 클럭 신호의 주기 및 전압 레벨에 따라 적어도 1회 승압하는 적어도 1개의 승압 회로를 포함하는 승압 회로부; 및
    상기 2개의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레벨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압 회로부의 출력 전압에 따라 상기 레벨 변환부에 제공되는 구동 전압을 변경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클럭 신호는 동일한 주기 및 전압 레벨을 가지고, 서로 180도 위상 차이가 나는 전하 펌프 회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벨 변환부에 소정의 구동 전압을 제공하는 레귤레이터; 및
    상기 승압 회로부의 출력 전압과 소정의 제1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레귤레이터를 제어하는 비교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벨 변환부는 2개의 기준 클럭 신호의 전압 레벨을 변환하고, 반전 출력하여 상기 2개의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2개의 인버터를 포함하는 전하 펌프 회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는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 전압의 레벨을 변경하여 상기 적어도 2개의 인버터에 제공하는 전하 펌프 회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2개의 기준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오실레이터; 를 더 포함하는 전하 펌프 회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압 회로부의 출력 전압을 분압하여 상기 비교부에 제공하는 분압부; 를 더 포함하는 전하 펌프 회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승압 회로부의 출력 전압과 상기 제1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레귤레이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블록; 을 포함하는 전하 펌프 회로.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블록은,
    상기 출력 전압이 상기 제1 기준 전압보다 높은 경우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압을 낮추기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출력 전압이 상기 제1 기준 전압보다 낮은 경우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압을 높이기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전하 펌프 회로.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는,
    소정의 제2 기준전압이 인가되는 비반전단을 포함하는 연산 증폭기;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 및 반전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저항; 및
    상기 연산 증폭기의 반전단 및 접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저항; 을 포함하는 전하 펌프 회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항 및 상기 제2 저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저항값이 변동되는 전하 펌프 회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는,
    상기 연산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상기 레벨 변환부의 구동 전압으로 제공하는 전하 펌프 회로.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는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연산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상기 안정화하는 커패시터; 를 더 포함하는 전하 펌프 회로.


KR20130101720A 2013-08-27 2013-08-27 전하 펌프 회로 KR2015002461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720A KR20150024611A (ko) 2013-08-27 2013-08-27 전하 펌프 회로
US14/231,198 US20150061738A1 (en) 2013-08-27 2014-03-31 Charge pump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720A KR20150024611A (ko) 2013-08-27 2013-08-27 전하 펌프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611A true KR20150024611A (ko) 2015-03-09

Family

ID=52582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1720A KR20150024611A (ko) 2013-08-27 2013-08-27 전하 펌프 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061738A1 (ko)
KR (1) KR2015002461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5833B2 (en) 2016-01-22 2019-07-30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encoding and decoding of signal lines for multi-level communication architectures
CN106026637B (zh) * 2016-07-06 2018-05-25 西安紫光国芯半导体有限公司 一种电荷泵电路及其单级电路
KR101815859B1 (ko) * 2017-01-04 2018-01-08 한국과학기술원 전원 제어 장치
US11190182B2 (en) * 2017-02-13 2021-11-30 Skyworks Solutions, Inc. Control circuitry for silicon-on-insulator chip
US10283187B2 (en) * 2017-07-19 2019-05-07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ding additional drive to multilevel signals representing data
IT202100002585A1 (it) * 2021-02-05 2022-08-05 Sk Hynix Inc Architettura di pompa di carica
US20230010835A1 (en) * 2021-07-08 2023-01-12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Output circuit and related control method with pumping compensation
CN114337268A (zh) * 2021-12-30 2022-04-12 合肥市芯海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升压电路、芯片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0434B1 (ko) * 1998-01-23 2001-03-02 김영환 고전압발생회로
KR100273278B1 (ko) * 1998-02-11 2001-01-15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펌핑회로
US6002599A (en) * 1998-04-22 1999-12-14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Voltage regulation circuit with adaptive swing clock scheme
JP3666805B2 (ja) * 2000-09-19 2005-06-29 ローム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
KR100383769B1 (ko) * 2000-12-18 2003-05-1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펌핑 전압 레귤레이션 회로
US6577514B2 (en) * 2001-04-05 2003-06-10 Saifun Semiconductors Ltd. Charge pump with constant boosted output voltage
US7095273B2 (en) * 2001-04-05 2006-08-22 Fujitsu Limited Voltage generator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JP3700173B2 (ja) * 2002-05-28 2005-09-28 ソニー株式会社 電圧変換制御回路及び方法
US6842068B2 (en) * 2003-02-27 2005-01-11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Power management method and structure
JP4070654B2 (ja) * 2003-04-04 2008-04-02 ローム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4666345B2 (ja) * 2004-11-05 2011-04-06 ローム株式会社 チャージポンプ回路
US7545684B2 (en) * 2005-02-03 2009-06-09 Kabushiki Kaisha Toshiba Nonvolatile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7411799B2 (en) * 2005-07-27 2008-08-1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regulating a switching device
US7504876B1 (en) * 2006-06-28 2009-03-17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Substrate bias feedback scheme to reduce chip leakage power
US20080122505A1 (en) * 2006-09-01 2008-05-29 Sitronix Technology Corp. Charge-pump circuit capable of regulating voltage without any external voltage regulator
TW200828751A (en) * 2006-12-27 2008-07-01 Fitipower Integrated Tech Inc Charge pump
ITMI20062517A1 (it) * 2006-12-28 2008-06-29 St Microelectronics Srl Regolatore di una pompa di carica e struttura circuitale comprendente detto regolatore
US8040175B2 (en) * 2007-10-24 2011-10-18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Supply regulated charge pump system
US20090140794A1 (en) * 2007-11-29 2009-06-04 Chi-Hao Wu Constant-current charge pump
US7795951B2 (en) * 2007-11-30 2010-09-1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High-dynamic range low ripple voltage multiplier
US7944277B1 (en) * 2008-01-04 2011-05-17 Marvell International Ltd. Circuit and methods of adaptive charge-pump regulation
US8519780B1 (en) * 2012-02-08 2013-08-27 Freescale Semiconductor, Inc. Charge pump voltage regu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61738A1 (en)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4611A (ko) 전하 펌프 회로
US10069408B2 (en) Switched capacitor circuit modifying voltage on the inductor of a buck regulator
US8716998B2 (en) DC-DC converter and digital pulse width modulator
KR910001643B1 (ko) 승압회로
US7268448B2 (en) Plural output switching regulator with phase comparison and delay means
US9350233B2 (en) Voltage conversion circuit and switching control circuit
JP4666345B2 (ja) チャージポンプ回路
US20110273156A1 (en) Power regulator,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regulator
US9680371B2 (en) Charge pumps having variable gain and variable frequency
JP2005278383A (ja) 電源回路
KR20150074651A (ko) 전하 펌프 회로의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하 펌프 시스템
JP6536522B2 (ja) 信号出力回路
JP2007089242A (ja) チャージポンプ式昇圧回路を有する半導体装置
JP2015146711A (ja) マルチフェーズ型dc/dcコンバータ
WO2012144116A1 (ja) チャージポンプ型dc―dcコンバータ
JP2015126617A (ja) Dc−dcコンバータ、および、半導体集積回路
JP2006050778A (ja) チャージポンプ回路
JP2015119550A (ja) スロープ補償回路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6817053B2 (ja) チャージポンプ回路及び昇圧回路
US9312756B2 (en) Charge pump system and charge pump protection circuit
JP2018143065A (ja) 電圧変換装置
US10386874B2 (en) Voltage to current converter
JP2014207820A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およびその制御回路、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14113011A (ja) スイッチング電源の制御回路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スイッチング電源および電子機器
US9866111B1 (en) Regulated charge pump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