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532A - 알콕시실란 단위가 포함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 - Google Patents

알콕시실란 단위가 포함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4532A
KR20150024532A KR20130101517A KR20130101517A KR20150024532A KR 20150024532 A KR20150024532 A KR 20150024532A KR 20130101517 A KR20130101517 A KR 20130101517A KR 20130101517 A KR20130101517 A KR 20130101517A KR 20150024532 A KR20150024532 A KR 20150024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ane
conjugated diene
acrylate
random copolymer
vinylphen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1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8519B1 (ko
Inventor
나동혁
곽광훈
조한정
최준걸
Original Assignee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1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519B1/ko
Priority to US14/335,078 priority patent/US9266981B2/en
Publication of KR20150024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08F236/06Butadi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00Tyr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r the physical arrangement or mixture of the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00Tyr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r the physical arrangement or mixture of the composition
    • B60C1/0016Compositions of the trea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 C08F230/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 C08F230/08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containing silicon
    • C08F230/085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containing silicon the monomer being a polymerisable silane, e.g. (meth)acryloyloxy trialkoxy silanes or vinyl trialkoxysil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08F236/1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with vinyl-aromatic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3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 C08F30/04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 C08F30/08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8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9/00Compositions of rubb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7/00 - C08L17/00
    • C08L19/006Rubber characterised by functional groups, e.g. telechelic di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4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boron, silicon,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4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onomer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6Copolymers with styr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콕시실란 단위가 포함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을 하면, 공역 디엔 단량체,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특정 구조의 알콕시실란 단량체를 유화 중합하여 제조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로서, 상기 공중합체의 주사슬에는 알콕시실란 단위가 포함되어 있음으로써 카본블랙, 실리카와 같은 무기 강화재와의 친화성 및 분산성이 증대되므로 기계적 및 동적 물성이 우수한 타이어용 고무 소재로 유용하다.

Description

알콕시실란 단위가 포함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Conjugated diene random copolymers having alkoxysilane units}
본 발명은 알콕시실란 단위가 포함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을 하면, 공역 디엔 단량체,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특정 구조의 알콕시실란 단량체를 유화 중합하여 제조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로서, 상기 공중합체의 주사슬에는 알콕시실란 단위가 포함되어 있음으로써 카본블랙, 실리카와 같은 보강재와의 친화성 및 분산성이 증대되므로 기계적 및 동적 물성이 우수한 타이어용 고무 소재로 유용하다.
최근 친환경 및 에너지 절약용 고 기능성 타이어 개발에 관심이 고조되면서 이에 부응하는 고기능성 고무 개발을 위한 연구가 다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고 기능성 타이어 개발을 위해서는 연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낮은 회전저항(rolling resistance) 및 높은 습윤저항(wet traction)의 동적 물성을 만족시키는 고무 개발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인 타이어 고무로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이하, SBR 이라 함) 또는 부타디엔 고무(이하, BR 이라 함)과 같은 공역 디엔계 고분자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들은 용액중합법 또는 유화중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인 용액중합법(SSBR)에서는 유기리튬을 개시제로 사용하여 유기용매 중에서 고무를 제조한다. 용액중합법에 따른 고무 제조에 의하면 공역 디엔의 비닐 구조, 스티렌 분자 블록율 등의 마이크로 분자 구조의 조절이 가능할 뿐 아니라, 기능성 개시제 또는 말단 변성제를 사용하여 중합체의 물리적인 특성을 변성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실란 관능기가 말단에 도입된 공역 디엔계 고분자는 주로 용액중합법에 의해 제조하고 있다. [미합중국 등록특허 제5,508,333호, 제6,133,388호, 미합중국 공개특허 제2010-0152369호, 제2011-0207879호]
일반적인 유화중합법(ESBR)에서는 라디칼 중합개시제를 사용하여 고무를 제조한다. 유화중합법에 따른 고무 제조에 의하면 분자 구조의 조절이 용이하지 않으며, 관능기 도입에 의해 중합체의 물리적인 특성을 변성하는 것이 쉽지 않다.
유화중합법을 이용하여 카본블랙, 실리카와 같은 무기 소재와의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공역 디엔계 고분자를 제조하는 종래 기술은 하기와 같다.
미국등록특허 제3,575,913호 및 제3,563,946호에는 과황산화 칼륨 또는 아조비스이소부티로나이트릴을 라디칼 중합개시제로 사용한 유화중합에 의해 스티렌-부타디엔 또는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등록특허 제4,064,081호에는 과황산칼륨을 라디칼 중합개시제로 사용한 유화중합에 의해 부타디엔-스티렌-이타코닉산의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등록특허 제5,274,027호 및 제5,302,655호에서는 과산화황 암모늄을 라디칼 중합개시제로 사용하고, 메틸메타아크릴산, 이타코닉 산과 같은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사용한 유화중합에 의해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유화중합법에 의해 제조되는 공액 디엔계 고분자는 분자 구조 조절이 용이하지 않은 관계로 관능성 단량체 사용에 의하여 고분자 물성을 조절하기는 쉽지 않다. 그 이유로 알콕시실란기가 치환된 단량체를 사용하여 공액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하려는 시도는 거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카본블랙, 실리카와 같은 보강재에 대한 친화도가 우수한 공역 디엔계 고분자를 유화중합법으로 제조하는 것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 공역 디엔계 고분자 제조용 단량체로서 특정 구조의 알콕시실란계 유도체를 추가로 포함시켜 유화 중합하여, 알콕시실란 단위가 포함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구조의 알콕시실란 단위가 포함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와 보강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고분자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고분자 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시킨, 습윤저항, 회전저항, 및 연비측면에서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고분자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 또는 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공역 디엔 단량체,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콕시실란계 단량체 1종 이상을 유화중합하여 제조된 알콕시실란 단위가 포함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를 그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에서, R1 및 R2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C1-C10 알킬기이고, R3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ℓ은 0 ∼ 30의 정수이고, n은 1 ∼ 3의 정수이고, 단 m+n=3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는 특정 구조의 알콕시실란 단위가 분자구조에 포함되어 있음으로써 카본블랙, 실리카와 같은 보강재에 대한 친화성이 향상되어, 상기 보강재와 배합 사용 시에는 분산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는 보강제에 대한 혼화성이 우수하므로, 타이어 재료로 사용되어 타이어 연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는 낮은 회전저항(rolling resistance)특성을 개선시키며, 정지특성에 영향을 주는 높은 습윤저항(wet resistance)특성 등의 동적 물성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이어의 강성을 나타내는 인장특성을 개선하고 타이어 마모특성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알콕시실란 단위가 포함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는 저연비 고성능 타이어 소재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알콕시실란 단위가 포함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는 경도, 강도, 연신율 등 제반 물성이 우수하므로 신발 또는 밸트 등에 고무소재로도 유용하다.
도 1a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에 대한 1H NMR 스펙트럼이다.
도 1b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에 대한 겔투과크로마토그램이다.
도 2a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에 대한 1H NMR 스펙트럼이다.
도 2b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에 대한 겔투과크로마토그램이다.
도 3a는 실시예 3에서 제조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에 대한 1H NMR 스펙트럼이다.
도 3b는 실시예 3에서 제조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에 대한 겔투과크로마토그램이다.
도 4a는 실시예 4에서 제조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에 대한 1H NMR 스펙트럼이다.
도 4b는 실시예 4에서 제조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에 대한 겔투과크로마토그램이다.
도 5a는 실시예 5에서 제조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에 대한 1H NMR 스펙트럼이다.
도 5b는 실시예 5에서 제조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에 대한 겔투과크로마토그램이다.
도 6a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에 대한 1H NMR 스펙트럼이다.
도 6b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에 대한 겔투과크로마토그램이다.
도 7a는 비교예 2에서 제조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에 대한 1H NMR 스펙트럼이다.
도 7b는 비교예 2에서 제조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에 대한 겔투과크로마토그램이다.
본 발명은 공역 디엔 단량체,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콕시실란계 단량체 1종 이상을 유화중합하여 제조된 알콕시실란 단위가 포함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화학식 2]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에서, R1 및 R2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C1-C10 알킬기이고, R3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ℓ은 0 ∼ 30의 정수이고, n은 1 ∼ 3의 정수이고, 단 m+n=3이다)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콕시실란계 단량체에 있어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R1 및 R2는 각각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부틸기, tert-부틸기, n-펜틸기, n-펜틸기, 또는 n-헥실기이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R1 및 R2는 각각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부틸기, 또는 tert-부틸기이다.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R1 및 R2는 각각 메틸기, 에틸기, 또는 n-프로필기이다.
또한, 상기 ℓ은 바람직하기로는 0 ∼ 10의 정수이고,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0 ∼ 9의 정수이고,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0 ∼ 5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콕시실란계 단량체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하기와 같다.
R3=수소원자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콕시실란계 단량체는 (트리메톡시실릴)메틸 아크릴레이트, (디메톡시메틸실릴)메틸 아크릴레이트, (디메톡시에틸실릴)메틸 아크릴레이트, (디메톡시프로필실릴)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메틸실릴)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톡시메틸에틸실릴)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톡시메틸프로필실릴)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프로필실릴)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에틸실릴)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프로필실릴)메틸 아크릴레이트, (트리에톡시실릴)메틸 아크릴레이트, (디에톡시메틸실릴)메틸 아크릴레이트, (디에톡시에틸실릴)메틸 아크릴레이트, (디에톡시프로필실릴)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메틸실릴)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메틸에틸실릴)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메틸프로필실릴)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프로필실릴)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실릴)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프로필실릴)메틸 아크릴레이트, (트리메톡시실릴)에틸 아크릴레이트, (디메톡시메틸실릴)에틸 아크릴레이트, (디메톡시에틸실릴)에틸 아크릴레이트, (디메톡시프로필실릴)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메틸실릴)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톡시메틸에틸실릴)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톡시메틸프로필실릴)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프로필실릴)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에틸실릴)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프로필실릴)에틸 아크릴레이트, (트리에톡시실릴)에틸 아크릴레이트, (디에톡시메틸실릴)에틸 아크릴레이트, (디에톡시에틸실릴)에틸 아크릴레이트, (디에톡시프로필실릴)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메틸실릴)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메틸에틸실릴)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메틸프로필실릴)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프로필실릴)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실릴)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프로필실릴)에틸 아크릴레이트, (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디메톡시메틸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디메톡시에틸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디메톡시프로필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메틸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메톡시메틸에틸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메톡시메틸프로필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프로필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에틸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프로필틸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디에톡시메틸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디에톡시에틸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디에톡시프로필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메틸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에톡시메틸에틸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에톡시메틸프로필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프로필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프로필틸실릴)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트리메톡시실릴)부틸 아크릴레이트, (디메톡시메틸실릴)부틸 아크릴레이트, (디메톡시에틸실릴)부틸 아크릴레이트, (디메톡시프로필실릴)부틸 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메틸실릴)부틸 아크릴레이트, (메톡시메틸에틸실릴)부틸 아크릴레이트, (메톡시메틸프로필실릴)부틸 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프로필실릴)부틸 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에틸실릴)부틸 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프로필실릴)부틸 아크릴레이트, (트리에톡시실릴)부틸 아크릴레이트, (디에톡시메틸실릴)부틸 아크릴레이트, (디에톡시에틸실릴)부틸 아크릴레이트, (디에톡시프로필실릴)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메틸실릴)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메틸에틸실릴)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메틸프로필실릴)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프로필실릴)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실릴)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프로필실릴)부틸 아크릴레이트, (트리메톡시실릴)펜틸 아크릴레이트, (디메톡시메틸실릴)펜틸 아크릴레이트, (디메톡시에틸실릴)펜틸 아크릴레이트, (디메톡시프로필실릴)펜틸 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메틸실릴)펜틸 아크릴레이트, (메톡시메틸에틸실릴)펜틸 아크릴레이트, (메톡시메틸프로필실릴)펜틸 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프로필실릴)펜틸 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에틸실릴)펜틸 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프로필실릴)펜틸 아크릴레이트, (트리에톡시실릴)펜틸 아크릴레이트, (디에톡시메틸실릴)펜틸 아크릴레이트, (디에톡시에틸실릴)펜틸 아크릴레이트, (디에톡시프로필실릴)펜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메틸실릴)펜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메틸에틸실릴)펜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메틸프로필실릴)펜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프로필실릴)펜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실릴)펜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프로필실릴)펜틸 아크릴레이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R3=메틸기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콕시실란계 단량체는 (트리메톡시실릴)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톡시메틸실릴)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톡시에틸실릴)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톡시프로필실릴)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메틸실릴)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메틸에틸실릴)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메틸프로필실릴)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프로필실릴)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에틸실릴)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프로필실릴)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톡시실릴)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톡시메틸실릴)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톡시에틸실릴)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톡시프로필실릴)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메틸실릴)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메틸에틸실릴)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메틸프로필실릴)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프로필실릴)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실릴)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프로필실릴)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톡시실릴)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톡시메틸실릴)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톡시에틸실릴)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톡시프로필실릴)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메틸실릴)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메틸에틸실릴)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메틸프로필실릴)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프로필실릴)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에틸실릴)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프로필실릴)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톡시실릴)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톡시메틸실릴)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톡시에틸실릴)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톡시프로필실릴)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메틸실릴)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메틸에틸실릴)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메틸프로필실릴)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프로필실릴)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실릴)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프로필실릴)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톡시메틸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톡시에틸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톡시프로필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메틸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메틸에틸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메틸프로필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프로필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에틸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프로필틸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톡시메틸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톡시에틸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톡시프로필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메틸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메틸에틸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메틸프로필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프로필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프로필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톡시실릴)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톡시메틸실릴)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톡시에틸실릴)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톡시프로필실릴)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메틸실릴)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메틸에틸실릴)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메틸프로필실릴)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프로필실릴)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에틸실릴)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프로필실릴)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톡시실릴)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톡시메틸실릴)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톡시에틸실릴)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톡시프로필실릴)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메틸실릴)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메틸에틸실릴)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메틸프로필실릴)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프로필실릴)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실릴)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프로필실릴)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톡시실릴)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톡시메틸실릴)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톡시에틸실릴)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톡시프로필실릴)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메틸실릴)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메틸에틸실릴)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메틸프로필실릴)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프로필실릴)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에틸실릴)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프로필실릴)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톡시실릴)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톡시메틸실릴)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톡시에틸실릴)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톡시프로필실릴)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메틸실릴)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메틸에틸실릴)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메틸프로필실릴)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프로필실릴)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실릴)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프로필실릴)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등이 포함될 수 있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콕시실란계 단량체는 트리메톡시(4-비닐페녹시)실란, 디메톡시메틸(4-비닐페녹시)실란, 디메톡시에틸(4-비닐페녹시)실란, 디메톡시프로필(4-비닐페녹시)실란, 메톡시디메틸(4-비닐페녹시)실란, 메톡시메틸에틸(4-비닐페녹시)실란, 메톡시메틸프로필(4-비닐페녹시)실란, 메톡시디에틸(4-비닐페녹시)실란, 메톡시에틸프로필(4-비닐페녹시)실란, 메톡시디프로필(4-비닐페녹시)실란, 트리에톡시(4-비닐페녹시)실란, 디에톡시메틸(4-비닐페녹시)실란, 디에톡시에틸(4-비닐페녹시)실란, 디에톡시프로필(4-비닐페녹시)실란, 에톡시디메틸(4-비닐페녹시)실란, 에톡시메틸에틸(4-비닐페녹시)실란, 에톡시메틸프로필(4-비닐페녹시)실란, 에톡시디에틸(4-비닐페녹시)실란, 에톡시에틸프로필(4-비닐페녹시)실란, 에톡시디프로필(4-비닐페녹시)실란, 트리메톡시(4-비닐벤질옥시)실란, 디메톡시메틸(4-비닐벤질옥시)실란, 디메톡시에틸(4-비닐벤질옥시)실란, 디메톡시프로필(4-비닐벤질옥시)실란, 메톡시디메틸(4-비닐벤질옥시)실란, 메톡시메틸에틸(4-비닐벤질옥시)실란, 메톡시메틸프로필(4-비닐벤질옥시)실란, 메톡시디에틸(4-비닐벤질옥시)실란, 메톡시에틸프로필(4-비닐벤질옥시)실란, 메톡시디프로필(4-비닐벤질옥시)실란, 트리에톡시(4-비닐벤질옥시)실란, 디에톡시메틸(4-비닐벤질옥시)실란, 디에톡시에틸(4-비닐벤질옥시)실란, 디에톡시프로필(4-비닐벤질옥시)실란, 에톡시디메틸(4-비닐벤질옥시)실란, 에톡시메틸에틸(4-비닐벤질옥시)실란, 에톡시메틸프로필(4-비닐벤질옥시)실란, 에톡시디에틸(4-비닐벤질옥시)실란, 에톡시에틸프로필(4-비닐벤질옥시)실란, 에톡시디프로필(4-비닐벤질옥시)실란, 트리메톡시(4-비닐펜에톡시)실란, 디메톡시메틸(4-비닐펜에톡시)실란, 디메톡시에틸(4-비닐펜에톡시)실란, 디메톡시프로필(4-비닐펜에톡시)실란, 메톡시디메틸(4-비닐펜에톡시)실란, 메톡시메틸에틸(4-비닐펜에톡시)실란, 메톡시메틸프로필(4-비닐펜에톡시)실란, 메톡시디에틸(4-비닐펜에톡시)실란, 메톡시에틸프로필(4-비닐펜에톡시)실란, 메톡시디프로필(4-비닐펜에톡시)실란, 트리에톡시(4-비닐펜에톡시)실란, 디에톡시메틸(4-비닐펜에톡시)실란, 디에톡시에틸(4-비닐펜에톡시)실란, 디에톡시프로필(4-비닐펜에톡시)실란, 에톡시디메틸(4-비닐펜에톡시)실란, 에톡시메틸에틸(4-비닐펜에톡시)실란, 에톡시메틸프로필(4-비닐펜에톡시)실란, 에톡시디에틸(4-비닐펜에톡시)실란, 에톡시에틸프로필(4-비닐펜에톡시)실란, 에톡시디프로필(4-비닐펜에톡시)실란, 트리메톡시(4-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디메톡시메틸(4-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디메톡시에틸(4-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디메톡시프로필(4-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메톡시디메틸(4-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메톡시메틸에틸(4-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메톡시메틸프로필(4-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메톡시디에틸(4-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메톡시에틸프로필(4-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메톡시디프로필(4-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트리에톡시(4-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디에톡시메틸(4-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디에톡시에틸(4-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디에톡시프로필(4-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에톡시디메틸(4-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에톡시메틸에틸(4-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에톡시메틸프로필(4-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에톡시디에틸(4-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에톡시에틸프로필(4-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에톡시디프로필(4-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트리메톡시(2-비닐페녹시)실란, 디메톡시메틸(2-비닐페녹시)실란, 디메톡시에틸(2-비닐페녹시)실란, 디메톡시프로필(2-비닐페녹시)실란, 메톡시디메틸(2-비닐페녹시)실란, 메톡시메틸에틸(2-비닐페녹시)실란, 메톡시메틸프로필(2-비닐페녹시)실란, 메톡시디에틸(2-비닐페녹시)실란, 메톡시에틸프로필(2-비닐페녹시)실란, 메톡시디프로필(2-비닐페녹시)실란, 트리에톡시(2-비닐페녹시)실란, 디에톡시메틸(2-비닐페녹시)실란, 디에톡시에틸(2-비닐페녹시)실란, 디에톡시프로필(2-비닐페녹시)실란, 에톡시디메틸(2-비닐페녹시)실란, 에톡시메틸에틸(2-비닐페녹시)실란, 에톡시메틸프로필(2-비닐페녹시)실란, 에톡시디에틸(2-비닐페녹시)실란, 에톡시에틸프로필(2-비닐페녹시)실란, 에톡시디프로필(2-비닐페녹시)실란, 트리메톡시(2-비닐벤질옥시)실란, 디메톡시메틸(2-비닐벤질옥시)실란, 디메톡시에틸(2-비닐벤질옥시)실란, 디메톡시프로필(2-비닐벤질옥시)실란, 메톡시디메틸(2-비닐벤질옥시)실란, 메톡시메틸에틸(2-비닐벤질옥시)실란, 메톡시메틸프로필(2-비닐벤질옥시)실란, 메톡시디에틸(2-비닐벤질옥시)실란, 메톡시에틸프로필(2-비닐벤질옥시)실란, 메톡시디프로필(2-비닐벤질옥시)실란, 트리에톡시(2-비닐벤질옥시)실란, 디에톡시메틸(2-비닐벤질옥시)실란, 디에톡시에틸(2-비닐벤질옥시)실란, 디에톡시프로필(2-비닐벤질옥시)실란, 에톡시디메틸(2-비닐벤질옥시)실란, 에톡시메틸에틸(2-비닐벤질옥시)실란, 에톡시메틸프로필(2-비닐벤질옥시)실란, 에톡시디에틸(2-비닐벤질옥시)실란, 에톡시에틸프로필(2-비닐벤질옥시)실란, 에톡시디프로필(2-비닐벤질옥시)실란, 트리메톡시(2-비닐펜에톡시)실란, 디메톡시메틸(2-비닐펜에톡시)실란, 디메톡시에틸(2-비닐펜에톡시)실란, 디메톡시프로필(2-비닐펜에톡시)실란, 메톡시디메틸(2-비닐펜에톡시)실란, 메톡시메틸에틸(2-비닐펜에톡시)실란, 메톡시메틸프로필(2-비닐펜에톡시)실란, 메톡시디에틸(2-비닐펜에톡시)실란, 메톡시에틸프로필(2-비닐펜에톡시)실란, 메톡시디프로필(2-비닐펜에톡시)실란, 트리에톡시(2-비닐펜에톡시)실란, 디에톡시메틸(2-비닐펜에톡시)실란, 디에톡시에틸(2-비닐펜에톡시)실란, 디에톡시프로필(2-비닐펜에톡시)실란, 에톡시디메틸(2-비닐펜에톡시)실란, 에톡시메틸에틸(2-비닐펜에톡시)실란, 에톡시메틸프로필(2-비닐펜에톡시)실란, 에톡시디에틸(2-비닐펜에톡시)실란, 에톡시에틸프로필(2-비닐펜에톡시)실란, 에톡시디프로필(2-비닐펜에톡시)실란, 트리메톡시(2-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디메톡시메틸(2-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디메톡시에틸(2-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디메톡시프로필(2-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메톡시디메틸(2-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메톡시메틸에틸(2-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메톡시메틸프로필(2-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메톡시디에틸(2-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메톡시에틸프로필(2-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메톡시디프로필(2-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트리에톡시(2-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디에톡시메틸(2-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디에톡시에틸(2-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디에톡시프로필(2-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에톡시디메틸(2-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에톡시메틸에틸(2-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에톡시메틸프로필(2-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에톡시디에틸(2-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에톡시에틸프로필(2-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에톡시디프로필(2-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트리메톡시(3-비닐페녹시)실란, 디메톡시메틸(3-비닐페녹시)실란, 디메톡시에틸(3-비닐페녹시)실란, 디메톡시프로필(3-비닐페녹시)실란, 메톡시디메틸(3-비닐페녹시)실란, 메톡시메틸에틸(3-비닐페녹시)실란, 메톡시메틸프로필(3-비닐페녹시)실란, 메톡시디에틸(3-비닐페녹시)실란, 메톡시에틸프로필(3-비닐페녹시)실란, 메톡시디프로필(3-비닐페녹시)실란, 트리에톡시(3-비닐페녹시)실란, 디에톡시메틸(3-비닐페녹시)실란, 디에톡시에틸(3-비닐페녹시)실란, 디에톡시프로필(3-비닐페녹시)실란, 에톡시디메틸(3-비닐페녹시)실란, 에톡시메틸에틸(3-비닐페녹시)실란, 에톡시메틸프로필(3-비닐페녹시)실란, 에톡시디에틸(3-비닐페녹시)실란, 에톡시에틸프로필(3-비닐페녹시)실란, 에톡시디프로필(3-비닐페녹시)실란, 트리메톡시(3-비닐벤질옥시)실란, 디메톡시메틸(3-비닐벤질옥시)실란, 디메톡시에틸(3-비닐벤질옥시)실란, 디메톡시프로필(3-비닐벤질옥시)실란, 메톡시디메틸(3-비닐벤질옥시)실란, 메톡시메틸에틸(3-비닐벤질옥시)실란, 메톡시메틸프로필(3-비닐벤질옥시)실란, 메톡시디에틸(3-비닐벤질옥시)실란, 메톡시에틸프로필(3-비닐벤질옥시)실란, 메톡시디프로필(3-비닐벤질옥시)실란, 트리에톡시(3-비닐벤질옥시)실란, 디에톡시메틸(3-비닐벤질옥시)실란, 디에톡시에틸(3-비닐벤질옥시)실란, 디에톡시프로필(3-비닐벤질옥시)실란, 에톡시디메틸(3-비닐벤질옥시)실란, 에톡시메틸에틸(3-비닐벤질옥시)실란, 에톡시메틸프로필(3-비닐벤질옥시)실란, 에톡시디에틸(3-비닐벤질옥시)실란, 에톡시에틸프로필(3-비닐벤질옥시)실란, 에톡시디프로필(3-비닐벤질옥시)실란, 트리메톡시(3-비닐펜에톡시)실란, 디메톡시메틸(3-비닐펜에톡시)실란, 디메톡시에틸(3-비닐펜에톡시)실란, 디메톡시프로필(3-비닐펜에톡시)실란, 메톡시디메틸(3-비닐펜에톡시)실란, 메톡시메틸에틸(3-비닐펜에톡시)실란, 메톡시메틸프로필(3-비닐펜에톡시)실란, 메톡시디에틸(3-비닐펜에톡시)실란, 메톡시에틸프로필(3-비닐펜에톡시)실란, 메톡시디프로필(3-비닐펜에톡시)실란, 트리에톡시(3-비닐펜에톡시)실란, 디에톡시메틸(3-비닐펜에톡시)실란, 디에톡시에틸(3-비닐펜에톡시)실란, 디에톡시프로필(3-비닐펜에톡시)실란, 에톡시디메틸(3-비닐펜에톡시)실란, 에톡시메틸에틸(3-비닐펜에톡시)실란, 에톡시메틸프로필(3-비닐펜에톡시)실란, 에톡시디에틸(3-비닐펜에톡시)실란, 에톡시에틸프로필(3-비닐펜에톡시)실란, 에톡시디프로필(3-비닐펜에톡시)실란, 트리메톡시(3-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디메톡시메틸(3-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디메톡시에틸(3-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디메톡시프로필(3-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메톡시디메틸(3-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메톡시메틸에틸(3-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메톡시메틸프로필(3-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메톡시디에틸(3-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메톡시에틸프로필(3-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메톡시디프로필(3-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트리에톡시(3-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디에톡시메틸(3-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디에톡시에틸(3-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디에톡시프로필(3-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에톡시디메틸(3-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에톡시메틸에틸(3-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에톡시메틸프로필(3-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에톡시디에틸(3-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에톡시에틸프로필(3-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에톡시디프로필(3-비닐페닐프로폭시)실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바대로 본 발명의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는 분자 구조내에 알콕시실란 관능기가 포함되어 있음으써, 보강제로 사용되고 있는 카본블랙, 실리카에 대한 상용성이 매우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는 타이어 고무 소재로 사용되어서는 카본블랙 또는 실리카와 같은 보강제와의 상용성이 개선되어 기계적 물성, 동적 물성, 내마모특성 및 배합 가공성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얻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는 유화중합법에 의해 제조된다. 즉, 공역 디엔 단량체,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콕시실란계 단량체 1종 이상이 포함된 단량체 혼합물에, 계면활성제, 라디칼 개시제, 및 분자량 조절제를 첨가하고 라디칼 유화 중합법을 수행하여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공역 디엔 단량체(예, 부타디엔계 단량체) 45 ∼ 89.99 중량%,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예, 스티렌계 단량체) 10 ∼ 50 중량%, 및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콕시실란계 단량체 1종 이상 0.01 ∼ 10 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과, 상기 단량체 혼합물 총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계면활성제 0.1 ∼ 5 중량부, 라디칼 개시제 0.05 ∼ 3 중량부, 및 분자량 조절제 0.001 ∼ 2 중량부를 사용하여 라디칼 유화 중합법을 수행하여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라디칼 유화 중합은 0 ∼ 80 ℃의 온도에서 1 ∼ 48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중합에 사용되는 단량체로서 공역 디엔계 단량체는 탄소수 4개 ∼ 12개 사이에 있는 불포화 탄화수소이며 하나의 분자에 4개 ∼ 8개의 불포화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역 디엔계 단량체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1,3-부타디엔, 할로겐화 부타디엔(예, 클로로부타디엔), 이소프렌, 2,3-디메틸-1,3-부타디엔, 1,3-펜타디엔 및 옥타디엔 등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비닐 방향족 단량체는 스티렌, 2-메틸스티렌, 3-메틸스티렌, 4-메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2,4-디이소프로필스티렌, 4-tert-부틸스티렌, 디비닐스티렌, tert-부톡시스티렌, 할로겐화 스티렌(예, 모노클로로스티렌), 비닐벤질디메틸아민, (4-비닐벤질)디메틸아미노에틸 에테르, N,N-디메틸아미노에틸스티렌, 2-tert-부틸스티렌, 3-tert-부틸스티렌, 4-tert-부틸스티렌, 비닐피리딘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에 있어, 공역 디엔계 단량체의 함량이 45 중량% 미만 시에는 탄성 및 내마모도가 저하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고, 89.99 중량% 초과 시 인장물성을 비롯한 기계적 물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바,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인장물성을 비롯한 기계적 물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고, 50 중량% 초과시 탄성 및 내마모도가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알콕시실란계 단량체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고무배합물성 중 회전저항특성이나 마모특성이 개선되지 않는 문제가 생길 수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컴파운드 점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단량체 혼합물은 계면활성제, 라디칼 개시제, 및 분자량 조절제를 사용하여 유화 중합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양이온,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로서 금속염 및 암모니윰염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로진산 금속염, 지방산 금속염, 알킬설페이트 금속염, 알킬알릴설포닉산 금속염, 알킬포스페이트 금속염, 알킬설페이트 암모니윰염, 알킬알릴설포닉산 암모니윰염, 알킬아릴설포닉산 암모니윰염, 알릴설포닉산 암모니윰염 및 알킬포스페이트 암모니윰염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로서 로진산 금속염, 지방산 금속염, 도데실벤젠 설포닉산, 라우릴 설포닉산 및 헥사데실 설포닉산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알킬(alkyl) 및 아릴(aryl)은 각각 탄소수가 5 ∼ 20 개이며, 탄소수가 5 미만인 것을 사용하면 미쉘(micelle)이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탄소수가 20을 초과 시 친수성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바, 상기 범위 내의 탄소수를 갖는 알킬 및 아릴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단량체 혼합물 총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 7 중량부 범위로 사용하는 바, 계면활성제를 0.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 시에는 미셀이 형성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7 중량부 초과 사용 시에는 마이크로에멀젼이 형성되어 저분자가 생성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바,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라디칼 개시제는 당 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라디칼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라디칼 개시제로서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과 같은 과황산계, 아세틸 아세톤 퍼옥사이드, 벤질 퍼옥사이드, 디큐밀 퍼옥사이드, 2,4-디클로로벤질 퍼옥사이드, tert-부틸 퍼아세테이트, 2,2′-아조비스(이소부틸아미딘)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아조비스 이소부틸로나이트릴 과산화수소, 레독스 시스템 및 유화중합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개시제 시스템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라디칼 개시제는 단량체 혼합물 총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5 ∼ 3 중량부 범위로 사용하는 바, 라디칼 개시제를 0.0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 시에는 충분한 중합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문제가 있고, 3 중량부를 초과 사용 시에는 저분자량이 생성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바,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분자량 조절제로는 공역 디엔계 고분자 제조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메르캅탄계 분자량 조절제를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분자량 조절제로서 탄소수 8 ∼ 20의 티올류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옥탄티올, 데칸티올, 도데칸티올 및 헥사데칸티올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분자량 조절제의 사용량을 조절하여 고분자의 평균분자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단량체 혼합물 총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01 ∼ 2 중량부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분자량 조절제가 0.001 ∼ 0.1 중량부 범위로 사용되면 고분자량을 갖는 공역 디엔계 고분자를 제조할 수 있고, 분자량 조절제가 0.5 ∼ 2 중량부 범위로 사용되면 저분자량을 갖는 공역 디엔계 고분자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분자량 조절제가 0.00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면 겔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2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 시에는 물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한 유화 중합방법을 통해 제조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 2,000,000 g/mol이다. 고분자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g/mol 미만이면 물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2,000,000 g/mol 초과 시 컴파운드 점도, 강도 상승으로 가공에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유화 중합방법을 통해 제조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는 무늬점도[ML(1+4)@100℃]가 20∼200 범위, 바람직하게는 30∼160 범위의 값을 갖는다.
또한, 상기한 중합방법을 통해 제조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는 핵자기공명(NMR) 스펙트럼, IR 스펙트럼 등을 이용하여 중합체의 미세구조, 공역 디엔계 단량체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조성비, 디엔계 단량체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랜덤 및 블록비율, 알콕시실란의 도입여부를 분석하였다. 또한, 분자량(MW), 분자량분포도(MWD)는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P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고무의 무늬점도는 무늬점도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고무배합은 500 cc의 랩 믹서(lab mixer)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알콕시실란 단위가 포함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와 보강제를 포함하는 타이어용 고분자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에 포함되는 보강제는 타이어 제조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카본블랙, 실리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무기 보강제는 상기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 ∼ 150 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70 ∼ 120 중량부 범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조성물은 상기한 알콕시실란 단위가 포함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 이외에도 통상의 공역 디엔계 고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상의 공역 디엔계 고분자는 디엔계 단량체의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일 수 있고, 또는 디엔계 단량체와 방향족 비닐 단량체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추가로 포함되는 통상의 공역 디엔계 고분자는 본 발명의 알콕시실란 단위가 포함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 때 100 중량부 미만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기로는 1 ∼ 50 중량부 포함될 수 있고, 보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10 ∼ 3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의 제조
실시예 1.
10℃에서 5 L의 압력반응기에 물 1600 mL, 로진산나트륨 25 g, 지방산나트륨 35 g, 스티렌 480 g, 1,3-부타디엔 517 g, (트리메톡시실릴)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3 g, 메탄 하이드로퍼옥사이드 1.0 g, EDTA 0.5 g, 페로스 설페이트 0.1 g, 소듐 아이드로설파이트 0.5 g, n-도데실메르캅탄 1.0 g을 연속 투입하면서 10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정지를 위해 다이에틸하이드록시아민 1.0 g을 투입하였다. 미반응 모노머를 제거하기 위하여 스트리핑 과정을 거치고 라텍스 응집을 위해 20% 황산 수용액 20 g과 25% 염화나트륨 500 g을 투입하여 고무 응집물(수율 60%)을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958,700 g/mol 이었으며,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PC)를 통해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알콕시실란 단위가 포함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에 대한 NMR 스펙트럼을 도 1a에 나타내었고, GPC 분자량분포곡선을 도 1b에 첨부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화 중합을 실시하여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하되(수율 60%), 다만 단량체로서 스티렌 480 g, 1,3-부타디엔 517 g 및 (디메톡시메틸실릴)메틸 아크릴레이트 3 g을 사용하였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1,008,000 g/mol 이었으며,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PC)를 통해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알콕시실란 단위가 포함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에 대한 NMR 스펙트럼을 도 2a에 나타내었고, GPC 분자량분포곡선을 도 2b에 첨부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화 중합을 실시하여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하되(수율 61%), 다만 단량체로서 스티렌 480 g, 1,3-부타디엔 517 g 및 (디에톡시메틸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3 g을 사용하였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958,000 g/mol 이었으며,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PC)를 통해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알콕시실란 단위가 포함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에 대한 NMR 스펙트럼을 도 3a에 나타내었고, GPC 분자량분포곡선을 도 3b에 첨부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화 중합을 실시하여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하되(수율 65%), 다만 단량체로서 스티렌 480 g, 1,3-부타디엔 517 g 및 (메톡시디에틸실릴)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3 g을 사용하였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1,043,000 g/mol 이었으며,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PC)를 통해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알콕시실란 단위가 포함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에 대한 NMR 스펙트럼을 도 4a에 나타내었고, GPC 분자량분포곡선을 도 4b에 첨부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화 중합을 실시하여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하되(수율 65%), 다만 단량체로서 스티렌 480 g, 1,3-부타디엔 517 g 및 트리메톡시(4-비닐페녹시)실란 3 g을 사용하였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764,700 g/mol 이었으며,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PC)를 통해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한 알콕시실란 단위가 포함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에 대한 NMR 스펙트럼을 도 5a에 나타내었고, GPC 분자량분포곡선을 도 5b에 첨부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화 중합을 실시하여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하되(수율 62%), 다만 단량체로서 스티렌 480 g와 1,3-부타디엔 520 g을 사용하였으며, 알콕시실란계 단량체를 첨가하지 않았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979,100 g/mol 이었으며,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PC)를 통해 확인하였다.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에 대한 NMR 스펙트럼을 도 6a에 나타내었고, GPC 분자량분포곡선을 도 6b에 첨부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화 중합을 실시하여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하되(수율 61%), 다만 단량체로서 스티렌 480 g, 1,3-부타디엔 490 g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드 30 g을 사용하였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1,129,000 g/mol 이었으며,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PC)를 통해 확인하였다.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에 대한 NMR 스펙트럼을 도 7a에 나타내었고, GPC 분자량분포곡선을 도 7b에 첨부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면, 본 발명이 제안한 바대로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콕시실란계 단량체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시켜 유화 중합하여 제조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는 안정된 에멀젼 형성으로 수율이 높게 유지되었고, 공중합체의 분자량 조절도 용이하였다.
[실험예]
제조예 1∼5 및 비교제조예 1∼2. 타이어 트레드 시편의 제조
밀폐식 혼합기(밴버리믹서)에 상기 실시예 1∼5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공중합체 80 g, 폴리부타디엔 고무(금호석유화학 KBR-01) 20 g, 프로세스오일 37.5 g, 산화아연 3 g, 스테아르산 2 g, 실리카(Ultrasil 7000GR) 80 g, 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 테트라설파이드 (Si69) 6.4 g, 산화방지제로서 N-(1,3-디메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6-PPD) 1 g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였다. 그리고, 60℃, 60 rpm의 조건으로 10분간 혼련하는 1차 배합 단계를 거친 후, 가공온도를 50℃로 냉각한 다음 황 2.2 g, 가황촉진제로서 N-시클로헥실-2-벤조티아질 설펀아마이드 2.8 g과 1차 배합물을 혼합시키기 위해 60℃에서 50 rpm의 속도로 3 분간 교반 및 혼합하여 2차 배합물을 제조하였다. 그 후, 1.2 mm 두께의 롤에서 평평한 시트 형태로 가공한 후 24 시간을 방치하였다. 가황 공정은 160℃의 핫프레스에서 160 kgf/cm2 이상의 압력으로 10 분간 가압하여 물성 측정용 시편으로 2 mm 두께의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예 1∼5 및 비교제조예 1∼2에서 제조한 각각의 시편에 대한 물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인장강도는 ASTM D412 방법, 마모성은 DIN 방법, 및 습윤정지 특성은 히스테리시스(tan δ)방법에 의거하여 물성을 측정하였다. 정지저항특성은 0 ℃에서 tan δ값으로 나타나는데 높은 값을 가질수록 정지저항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회전저항특성은 60 ℃에서 tan δ값으로 나타나는데 낮은 값을 가질수록 회전저항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 분 제 조 예 비교제조예
1 2 3 4 5 1 2
Raw MV
(ML 1 + 4 at 100℃)
53 51 52 50 51 54 47
컴파운드 무니점도
(ML 1 + 4 at 100℃)
120 110 108 88 87 76 132
TENSILE 쇼어경도(shore A) 69 68 68 64 66 66 66
300% modulus (kgf/cm2) 140 136 135 129 133 133 112
인장강도(kgf/cm2) 220 235 235 228 220 177 185
연신율 (%) 450 475 480 487 480 373 383
GABO Tg (℃) -18.0 -17.5 -17.3 -16.0 -16.5 -17.0 -16.7
Tanδ at Tg 0.6912 0.6996 0.7001 0.7049 0.7010 0.6287 0.6886
Tanδ at 0℃
(상승율a)
0.396
(113%)
0.4048
(115%)
0.4081
(116%)
0.4120
(117%)
0.4092
(116%)
0.352
(100%)
0.355
(101%)
Tanδ at 60℃
(상승율b)
0.085
(132%)
0.083
(135%)
0.082
(137%)
0.080
(140%)
0.083
(135%)
0.112
(100%)
0.116
(97%)
DIN 마모감량 (g)
(상승율c)
0.1560
(142%)
0.1550
(143%)
0.1549
(143%)
0.1500
(148%)
0.1560
(142%)
0.2215
(100%)
0.2170
(102%)
a), b), c) 상승율: 비교제조예 1의 시편을 기준으로 하여, 각 시편에 대한 습윤정지저항특성(Tanδ at 0℃), 회전저항특성(Tanδ at 70℃) 및 내마모성능의 향상 정도를 백분율로 환산하여 나타낸 값임
상기 표 1의 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의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가 포함된 타이어 트레드 시편은 실리카 친화도가 극대화되면서 습윤정지저항특성(Tanδ at 0℃)및 회전저항특성(Tanδ at 60℃) 그리고 내마모성능이 골고루 향상된 매우 우수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가 포함된 조성물은 타이어를 비롯하여 신발, 밸트 등 각종 소재로 유용함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공역 디엔 단량체,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콕시실란계 단량체 1종 이상을 유화중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콕시실란 단위가 포함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
    [화학식 1]
    Figure pat00005

    [화학식 2]
    Figure pat00006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에서, R1 및 R2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C1-C10 알킬기이고, R3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ℓ은 0 ∼ 30의 정수이고, n은 1 ∼ 3의 정수이고, 단 m+n=3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1 및 R2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C1-C6 알킬기이고, 상기 R3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상기 ℓ은 0 ∼ 6의 정수이고, n은 1 ∼ 3의 정수이고, 단 m+n=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콕시실란 단위가 포함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
  3. 제 1 항에 있어서,
    공역 디엔 단량체 45 ∼ 89.99 중량%,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10 ∼ 50 중량%, 및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콕시실란계 단량체 1종 이상 0.01 ∼ 10 중량%를
    유화중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콕시실란 단위가 포함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알콕시실란 단위가 포함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 및
    보강제;
    를 포함하는 고분자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통상의 공역 디엔계 공중합체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제는 카본블랙 및 실리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조성물.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 100 중량부; 및
    무기 보강제 20 ∼ 150 중량부;
    를 포함하는 고분자 조성물.
  8. 제 4 항의 고분자 조성물을 사용하여 성형된 타이어.
KR20130101517A 2013-08-27 2013-08-27 알콕시실란 단위가 포함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 KR101508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517A KR101508519B1 (ko) 2013-08-27 2013-08-27 알콕시실란 단위가 포함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
US14/335,078 US9266981B2 (en) 2013-08-27 2014-07-18 Conjugated diene random copolymer having alkoxysilane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517A KR101508519B1 (ko) 2013-08-27 2013-08-27 알콕시실란 단위가 포함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532A true KR20150024532A (ko) 2015-03-09
KR101508519B1 KR101508519B1 (ko) 2015-04-07

Family

ID=52584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1517A KR101508519B1 (ko) 2013-08-27 2013-08-27 알콕시실란 단위가 포함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66981B2 (ko)
KR (1) KR1015085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4814A1 (en) 2016-04-21 2017-10-26 Bridgestone Corporation Terminal-functionalized polymer, rubber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nd related processe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3946A (en) 1968-01-08 1971-02-16 Dow Chemical Co Process for latex manufacture
US3575913A (en) 1968-04-08 1971-04-20 Dow Chemical Co Stable latex for paper coating compositions
US4064081A (en) 1976-01-07 1977-12-20 Uniroyal, Inc. Emulsion polymerization in the presence of lignosulfonate salt
JPS62201910A (ja) * 1986-03-03 1987-09-05 Tonen Sekiyukagaku Kk リビングポリマ−
GB8907534D0 (en) 1989-04-04 1989-05-17 Dow Europ Sa Monovinylidene aromatic and conjugated diene copolymer coating compositions comprising sulfoalkyl monomeric emulsifier
US5274027A (en) 1989-04-04 1993-12-28 The Dow Chemical Company Monovinylidene aromatic and conjugated diene copolymer coating compositions comprising sulfoalkyl monomeric emulsifier
JPH05339543A (ja) * 1992-06-15 1993-12-21 Nippon Shokubai Co Ltd 硬化被膜形成剤
ES2245339T3 (es) 1993-12-29 2006-01-01 Bridgestone Corporation Polimeros y copolimeros de dienos con un grupo alcoxisilano.
US6008295A (en) * 1997-07-11 1999-12-28 Bridgestone Corporation Diene polymers and copolymers incorporating partial coupling and terminals formed from hydrocarboxysilane compounds
KR100285229B1 (ko) 1999-03-03 2001-03-15 조충환 용액 중합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및 부타디엔 고무의 제조방법
JP4898045B2 (ja) * 1999-11-12 2012-03-1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ランタニドを基にした触媒を用いて製造した変性重合体
JP5319041B2 (ja) * 2000-05-01 2013-10-16 Jsr株式会社 ゴム組成物
US6699935B2 (en) * 2000-06-29 2004-03-02 Jsr Corporation Rubber composition
JP2002145965A (ja) * 2000-08-30 2002-05-22 Jsr Corp 共役ジエン系ゴム及び油展ゴム並びにこれらを含むゴム組成物
MY146353A (en) * 2003-06-02 2012-08-15 Bridgestone Corp Modified natural rubber or modified natural rubber latex, and rubber composition and pneumatic tire
JP2007154089A (ja) * 2005-12-07 2007-06-21 Bridgestone Corp ゴム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タイヤ
US20090292044A1 (en) 2006-07-07 2009-11-26 The Yokohama Rubber Co., Ltd. Modified diene-based rubber and rubber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EP2130842B1 (en) 2007-03-23 2013-05-15 JSR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modified conjugated diene polymer, modified conjugated diene polymer, and rubber composition
WO2009017118A1 (ja) * 2007-07-31 2009-02-05 Techno Polymer Co., Ltd. 積層体
GB0812185D0 (en) * 2008-07-03 2008-08-13 Dow Corning Polymers modified by silanes
JP2011195802A (ja) 2010-02-25 2011-10-06 Sumitomo Chemical Co Ltd 共役ジエン系重合体、共役ジエン系重合体組成物及び共役ジエン系重合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65639A1 (en) 2015-03-05
KR101508519B1 (ko) 2015-04-07
US9266981B2 (en) 201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99179B (zh) 改性共轭二烯类聚合物的制备方法以及使用该制备方法制备的改性共轭二烯类聚合物
KR101534102B1 (ko) 말단 기능성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68567B1 (ko) 변성 공역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EP3049447B1 (en) Low vinyl bond modified elastomeric copolymers
JPH09118785A (ja) タイアトレッドとして有用なエラストマー状組成物
KR20190046829A (ko) 고무 조성물
KR101772796B1 (ko) 변성공액디엔계 중합체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중합체를 이용한 고무조성물
KR101402285B1 (ko) 반응성 유화제를 이용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CN108026222B (zh) 聚合物化合物、使用其制备改性共轭二烯类聚合物的方法以及改性共轭二烯类聚合物
JP4486318B2 (ja) 高ビニル含量のゴムの合成
EP3098260B1 (en)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rubber composition containing dispersant
US10294314B2 (en) Functionalized elastomeric polymer compositions, their preparation methods and crosslinked rubber compositions thereof
KR101508519B1 (ko) 알콕시실란 단위가 포함된 공역 디엔계 랜덤 공중합체
KR20160063980A (ko) 변성 공역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101497497B1 (ko) 고무-실리카 네트워크용 계면 고분자
KR20110060588A (ko) 친수성 티오 에테르기로 말단변성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이의 실리카 복합재
EP3363804A1 (en) Metallated benzylsilanes and their use as polymerization initiators
JP2019508560A (ja) ゴム混合物、ゴム混合物の加硫物、および車両用タイヤ
CN109415539B (zh) 氨基硅烷类化合物、其制备方法以及包含所述化合物的改性共轭二烯类聚合物
KR101225111B1 (ko) 반응성 폴리올로 기능화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5086307A (ja) 共役ジエン系ゴム組成物およびゴム架橋物
WO2022249765A1 (ja) タイヤ用ゴム組成物、トレッドゴム及び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