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2783A - 신규 카르바메이트 당지질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신규 카르바메이트 당지질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2783A
KR20150022783A KR1020147033163A KR20147033163A KR20150022783A KR 20150022783 A KR20150022783 A KR 20150022783A KR 1020147033163 A KR1020147033163 A KR 1020147033163A KR 20147033163 A KR20147033163 A KR 20147033163A KR 20150022783 A KR20150022783 A KR 20150022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mpound
rcai
salt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3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9764B1 (ko
Inventor
다쿠야 다시로
겐지 모리
마사오 시오자키
마사루 다니구치
히로시 와타라이
Original Assignee
리가가쿠 겐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가가쿠 겐큐쇼 filed Critical 리가가쿠 겐큐쇼
Publication of KR20150022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02Acyclic radicals, not substituted by cyclic structures
    • C07H15/04Acyclic radicals, not substituted by cyclic structures attached to an oxygen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polyol, i.e.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free or esterified hydroxy groups, including the hydroxy group involved in the glycosidic linkage, e.g. monoglucosyldiacylglycerides, lactobionic acid,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14Blood; Artificial blood
    • A61K35/15Cells of the myeloid line, e.g. granulocytes, basophils, eosinophils, neutrophils, leucocytes, monocytes, macrophages or mast cells; Myeloid precursor cells; Antigen-presenting cells, e.g. dendritic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0Antimyc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8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HIV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20Antivirals for D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20Antivirals for DNA viruses
    • A61P31/22Antivirals for DNA viruses for herpes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02Acyclic radicals, not substituted by cyclic structures
    • C07H15/04Acyclic radicals, not substituted by cyclic structures attached to an oxygen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 C07H15/06Acyclic radicals, not substituted by cyclic structures attached to an oxygen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being a hydroxyalkyl group esterified by a fatty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Bio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AIDS & HIV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종양 활성제 또는 백신 아쥬반트로서 유효한 신규 화합물 및 이 화합물의 합성에 유용한 중간체 및 이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 동시에 이러한 신규 화합물을 함유하는 의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식(I)(식 중, 각 기호의 정의는 명세서 중에 기재된 것과 같다)로 표시되는 카르바메이트 당지질 및 이 당지질을 펄스한 수지상 세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신규 카르바메이트 당지질 및 그 용도{NEW CARBAMATE GLYCOLIPID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신규 카르바메이트 당지질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당의 6번 위치에 카르바메이트를 갖는 6-카르바메이트 당지질, 그 제조 방법 및 그 의약 용도에 관한 것이다.
면역계에는, 생체에 있어서 자신의 정상 세포와 이상 세포를 구별하여, 이상 세포만을 배제하기 위한 교묘한 감시 기능이 존재한다. 그러나, 그 감시 기능이 파탄되면, 돌연변이 등에 의해서 생겨나는 이상 세포를 배제할 수 없고, 생체 내에서의 존재 및 증식을 허용해 버린다. 이 증식해 버린 이상 세포 덩어리가 종양, 즉 암이다.
암의 치료법은 외과 수술에 의한 암의 적출 또는 항암제의 사용이 주를 이룬다. 그러나, 이들 치료법은 환자에게는 적출 수술이나 항암제의 부작용에 의한 신체적인 부담 또는 수술 자국에 의한 정신적인 부담을 주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와 같은 배경 가운데 면역 요법에 의한 치료가 주목을 받고 있다. 면역 요법은, 환자 자신의 면역 세포수를 늘리고, 더욱 활성화함으로써 암 세포를 공격한다고 하는 치료법이다. 외과적 수술에 비해 치료에 따른 환자에게 주는 신체적 부하가 작은데다, 치료에 따른 환자의 사회 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면역 요법과 외과 수술을 병용하는 치료법도 행해지고 있다. 면역 요법에 의해서 종양을 작게 하고 나서 적출하기 때문에, 환자에게 주는 신체적 부하는 경감된다. 또한 수술 자국도 작게 끝나기 때문에, 정신적인 부담도 대폭 경감된다.
자연 살해(이하 NK: natural killer) T 세포는, 다른 림프구 계열(T, B, NK 세포)과 다른 특징을 보이는, 신규 림프구 계열에 속하는 면역 세포이다. NKT 세포 내에는 세포 장해성 퍼포린 과립이 존재하므로 NK 세포와 유사하다(비특허 문헌 1). 그러나, NKT 세포는, NK 세포 마커뿐만 아니라 T 세포 수용체(TCR)도 발현하고 있으므로, 결정적으로 다른 새로운 세포군이다(비특허 문헌 2). NKT 세포는, 면역 부활 작용을 항진시키는 핼퍼 T(Th)-1형 세포에 의해서 산생되는 Th-1형 사이토카인(주로 인터페론(IFN)-γ)과, 면역 억제 작용을 항진시키는 Th-2형 세포에 의해서 산생되는 Th-2형 사이토카인(주로 인터류킨(IL)-4) 양쪽을 산생하는 능력을 갖고 있다(비특허 문헌 3). 즉 NKT 세포는 면역계의 활성화도 침정화(沈靜化)도 유도할 수 있으므로, 면역계의 밸런스 조절 역할을 담당하고 있을 가능성이 시사되어 있다(비특허 문헌 4). 따라서, NKT 세포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으면, 면역계의 밸런스 이상에 의해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질환, 특히 암을 치료할 수 있게 된다.
NKT 세포의 특성으로서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NKT 세포에 발현하고 있는 TCR의 α쇄가, 어떤 하나의 종 사이에서는 전체 개체에서 동일하다고 하는 점이다. 이것은 즉, 동종 간의 생물이 갖는 NKT 세포는 전부 동일한 물질을 인식하여 활성화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 α쇄는 인간에게서는 Vα24이고, 마우스에게서는 Vα14이며, 양 종 사이에서 매우 높은 상동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α쇄와 쌍을 이루는 β쇄도 극히 한정된 종류밖에 알려져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이 TCR은 「불가변형 TCR」이라고도 불리고 있다. 또한, T 세포의 TCR이 단백 단편을 인식하는 데 대하여, NKT 세포의 TCR은 당지질을 인식하는 것도 특징적이다.
생체 내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스핑고 당지질의 존재가 알려져 있다. 생체 내의 일반적인 스핑고 당지질은, 여러 가지 당 또는 당쇄가 세라미드에 β- 결합하고 있으며, 여러 가지 기관의 세포막 중에 존재하고 있다.
한편, 당이 세라미드에 α- 결합하고 있는 스핑고 당지질은 강력한 면역 부활 작용 및 항종양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겔라스핀류로 대표되는 α-갈락토실세라미드는, 해면의 일종인 아겔라스 마우리티아누스(Agelas mauritianus)의 추출액으로부터 단리된 당지질이며, NKT 세포를 강하게 활성화하는 것이 보고되었다(비특허 문헌 5). α-갈락토실세라미드는, 수지상 세포(DC) 등으로 대표되는 항원 제시 세포(APC)에 받아들여진 후, 주요 조직 적합 유전자 복합체(MHC) 클래스 I 분자와 유사한 CD1d 단백질에 의해서 세포막 상에 제시된다. NKT 세포는, 이렇게 해서 제시된 CD1d 단백질과 α-갈락토실세라미드와의 복합체를, TCR을 이용하여 인식함으로써 활성화되어, 여러 가지 면역 반응을 개시한다.
지금까지 여러 가지 유사체가 합성되고, 그 구조와 활성과의 상관 관계가 조사되어 오고 있다. 일련의 합성 유사체 중에서는 기린비르가부시키가이샤에 의해서 개발된 KRN7000(화합물 1, α-GalCer)이 매우 강한 항종양 활성을 보이는 것, 나아가서는 대응하는 β-체(β-GalCer)에는 면역 부활 활성은 보이지 않는 것이 분명하게 되었다(특허 문헌 1, 비특허 문헌 6). 한편 KRN7000은, 스핑고신 염기가 장쇄 지방산에 의해 아실화되어 형성된 세라미드에, 갈락토오스가 α- 배치로 결합한 스핑고 당지질이다.
Figure pct00001
최근, 이러한 NKT 세포의 기능에 주목하여, KRN7000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암의 치료약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KRN7000의 투여에 의해서 활성화된 NKT 세포는, 암 치료를 위해서 유용하고 면역 부활 활성을 유도하는 사이토카인인 IFN-γ을 산생하는 동시에, 면역 억제 작용을 유도하는 사이토카인인 IL-4도 동시에 산생해 버린다. 그 결과, 양자의 기능이 상쇄되어 버려, 암 치료에 대한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쯔지 등의 그룹은, 마우스의 NKT 세포를 강력히 활성화하여, IFN-γ를 우선적으로 산생하게 하는 당지질, α-C-GalCer를 개발했다(화합물 2, 특허 문헌 2, 비특허 문헌 7). 그러나, α-C-GalCer는 인간의 NKT 세포에 대해서는 사이토카인 산생을 거의 유도하지 않기 때문에, 임상 응용은 어렵다고 생각되고 있다. 최근,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간계에서도 강한 활성을 보이는 화합물이 개발되어 있다(비특허 문헌 8).
Figure pct00002
2007년에 인간의 CD1d/KRN7000/TCR의 결정 구조 해석이 보고되었다(비특허 문헌 9). 보고에 의하면, KRN7000의 당 부분은 CD1d의 외측에 TCR을 향하여 제시되어 있고, 한편 세라미드 부분은 CD1d의 큰 소수성 포켓에 딱 들어가는 것이 분명하게 되었다. 또한, KRN7000의 당의 피란환 상 산소 원자나 6번 위치의 수산기는, CD1d 및 TCR 어느 쪽의 아미노산 잔기와도 수소 결합을 형성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독자적으로, 카르바슈거를 갖는 신규 합성 당지질, RCAI-56(화합물 3)을 개발하여, 그 화합물이 NKT 세포를 강력히 활성화하여 다량의 IFN-γ의 산생을 유도하는 것을 알아냈다(비특허 문헌 10). 또한 본 발명자들은, 당지질의 당 부분의 6번 위치의 수산기를 수식한 신규 합성 당지질, RCAI-61(화합물 4)을 개발하여, 이 화합물이 RCAI-56보다도 조제가 용이하며 또한 IFN-γ의 산생을 유도하는 것을 알아냈다(비특허 문헌 11). RCAI-56이나 RCAI-61은 마우스 및 인간(in vitro)의 계에서도 강한 활성을 보이므로 임상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RCAI-56의 합성은 다단계를 요하고, RCAI-61의 합성은 복잡한 당의 수식을 동반하므로, 보다 간편하게 조제가 가능하면서, RCAI-56나 RCAI-61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 이상의 면역 부활 활성을 갖는 신규 유사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RCAI-61에는 물에의 용해성이 낮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수중에의 용해성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2006년에 Savage 등에 의해서, KRN7000의 당 부분의 6번 위치의 수산기를 아세트아미드기로 변환한 당지질, PBS-57(화합물 5)이 개발되어, 이 화합물은 DMSO에의 용해성이 향상된데다, KRN7000보다도 강한 활성을 보인다(비특허 문헌 12). 또한 최근 이 화합물이 강한 아쥬반트 활성을 보인다는 것이 보고되었다(특허 문헌 3~5). 또한, Calenbergh 등에 의해서, KRN7000의 당 부분의 6번 위치의 수산기를 벤즈아미드로 변환한 당지질(화합물 6)이 개발되었다(비특허 문헌 13). 벤즈아미드 유사체는 IL-4의 산생 유도 활성이 약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크게 치우친 IFN-γ의 산생을 유도한다. 단 어느 보고에서나, 6번 위치를 아미드기로 변환한 유사체를 합성하기 위해서는 6번 위치 수산기를 폭발성이 있는 아지드기로 변환하는 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공업적 규모로 합성할 때에는 안전성이 문제가 된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당 부분이 아니라 아실 측쇄를 수식한 유사체도 수많이 합성되고, 그 활성이 조사되었다. 2010년에 Wong 등은 아실 측쇄 상에 방향환을 갖는 유사체의 개발을 보고했다(비특허 문헌 14). CD1d의 소수성 포켓 내부의 방향환을 갖는 아미노산 잔기와의 π-π 스태킹 상호 작용에 의해서 리간드와 CD1d와의 친화성이 높아진 당지질, 7DW8-5(화합물 7)는, KRN7000보다도 강한 아쥬반트 활성을 유도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Figure pct00007
특허 문헌 6 및 비특허 문헌 15에는, KRN7000 유도체로서, 6번 위치에 카르바메이트를 갖는 합성 당지질이 개시되어 있다.
그 밖에도, 6번 위치의 수산기를 아미드 결합으로 변환한 유사체가 수많이 보고되어 있다(특허 문헌 7~9, 비특허 문헌 16~22).
특허 문헌 1: 국제공개 제98/44928호 특허 문헌 2: 국제공개 제03/105769호 특허 문헌 3: 국제공개 제2010/023498호 특허 문헌 4: 국제공개 제2010/040710호 특허 문헌 5: 미국 특허출원공개 제2009/0162385호 명세서 특허 문헌 6: 미국 특허출원공개 제2009/0275483호 명세서 특허 문헌 7: 국제공개 제2008/080926호 특허 문헌 8: 국제공개 제2007/118234호 특허 문헌 9: 국제공개 제2004/094444호
비특허 문헌 1: Proc. Natl. Acad. Sci. USA 1998, 95, 5690-5693 비특허 문헌 2: J. Immunol. 1995, 155, 2972-2983 비특허 문헌 3: J. Immunol. 1998, 161, 3271-3281 비특허 문헌 4: Science, 1997, 278, 1623-1626 비특허 문헌 5: Science, 1997, 278, 1626-1629 비특허 문헌 6: J. Med. Chem. 1995, 38, 2176-2187 비특허 문헌 7: J. Exp. Med. 2003, 198, 1631-1641 비특허 문헌 8: Immunology, 2009, 127, 216-225 비특허 문헌 9: Nature, 2007, 448, 44-49 비특허 문헌 10: Bioorg. Med. Chem. 2009, 17, 6360-6373 비특허 문헌 11: Tetrahedron Lett. 2008, 49, 6827-6830 비특허 문헌 12: J. Immunol. Method, 2006, 312, 34-39 비특허 문헌 13: J. Am. Chem. Soc., 2008, 130, 16468-16469 비특허 문헌 14: Proc. Natl. Acad. Sci. USA, 2010, 107, 13010-13015 비특허 문헌 15: J. Am. Chem. Soc., 2008, 130, 12348-12354 비특허 문헌 16: EMBO Journal, 2011, 30, 2294-2305 비특허 문헌 17: J. Org. Chem., 2011, 76, 320-323 비특허 문헌 18: Immunity 2009, 31, 60-71 비특허 문헌 19: Tetrahedron 2009, 65, 6390-6395 비특허 문헌 20: Bioorg. Med. Chem. Lett. 2008, 18, 3052-3055 비특허 문헌 21: Nature Immunol., 2007, 8, 1105-1113 비특허 문헌 22: Org. Lett., 2002, 4, 1267-1270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항종양 활성제 또는 백신 아쥬반트로서 유효한 신규 화합물 및 이 화합물의 합성에 유용한 중간체 그리고 이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신규 화합물을 함유하는 의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연구를 거듭한 결과, 당지질의 당 부분 6번 위치의 수산기를 카르바메이트로 변환한 유사체가, 특이적인 면역 조절능을 갖고 있다는 것, 암 및 감염증의 치료에 매우 유효하다는 것, 강한 아쥬반트 활성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를 제공한다.
[1] 식(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 염:
Figure pct00008
식에서,
X는 알킬렌기 또는 -NH-을 나타내고;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고, 수소 원자, 알킬기, 수산기, 알콕시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아릴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인접하는 질소 원자와 함께 5~6원 환을 형성하여도 좋고;
R3은 탄소수 1~2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4는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2] X가 메틸렌 또는 -NH-인 상기 [1]에 기재한 화합물 또는 그 염.
[3] R1이 수소 원자, C1 ~6 알킬기, 수산기, C1 ~6 알콕시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C6 ~12 아릴기인 상기 [1]에 기재한 화합물 또는 그 염.
[4] R2가 수소 원자, C1 ~6 알킬기, 수산기, C1 ~6 알콕시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C6 ~12 아릴기인 상기 [1]에 기재한 화합물 또는 그 염.
[5] R1 및 R2가 인접하는 질소 원자와 함께 형성하여도 좋은 5~6원 환이 5~6원의 함질소 포화 복소환인 상기 [1]에 기재한 화합물 또는 그 염.
[6] R3이 C1 ~20 알킬기, C2 ~20 알케닐기 또는 C2 ~20 알키닐기인 상기 [1]에 기재한 화합물 또는 그 염.
[7] R4가 C1 ~30 알킬기, C2 ~30 알케닐기 또는 C2 ~30 알키닐기인 상기 [1]에 기재한 화합물 또는 그 염.
[8] 상기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화합물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의약.
[9] 상기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화합물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선택적 IFN-γ 산생 유도제.
[10] 상기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화합물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선택적 IFN-γ 산생 유도제로서, 수지상 세포에 펄스한 형태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IFN-γ 산생 유도제.
[11] 상기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화합물 또는 그 염을 펄스한 인간 수지상 세포.
[12] 상기 [11]에 기재한 인간 수지상 세포를 함유하는 선택적 IFN-γ 산생 유도제.
[13] 식(I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 염:
Figure pct00009
식에서,
A1~A5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며, 수산기의 보호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며, 수소 원자, 알킬기, 수산기, 알콕시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아릴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인접하는 질소 원자와 함께 5~6원 환을 형성하여도 좋고;
R3은 탄소수 1~2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14] R1 및 R2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며, 수소 원자, C1 ~6 알킬기, 수산기, C1~6 알콕시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C6 ~12 아릴기이거나, R1 및 R2가 인접하는 질소 원자와 함께 5~6원의 함질소 포화 복소환을 형성하여도 좋은 상기 [13]에 기재한 화합물 또는 그 염.
[15] R3이 C1 ~20 알킬기, C2 ~20 알케닐기 또는 C2 ~20 알키닐기인 상기 [13]에 기재한 화합물 또는 그 염.
[16] 상기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화합물 또는 그 염의 유효량을, 그 투여가 필요한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선택적으로 IFN-γ의 산생을 유도하는 방법.
[17] 상기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화합물 또는 그 염의 유효량을, 그 투여가 필요한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선택적으로 IFN-γ의 산생을 유도하는 방법으로서, 그 화합물 또는 그 염을 수지상 세포에 펄스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당지질의 당 부분의 6번 위치의 수산기를 소수성 작용기인 알킬에테르로 변환한 유사체는, KRN7000보다도 IFN-γ에 치우친 사이토카인의 산생을 유도하지만, 용해성이 낮다는 것이 문제였다. 한편, 카르바메이트기는 알킬기보다도 친수성이다. 또한, 수산기에서 카르바메이트기로는 용이하게 변환할 수 있다. 아미드기의 경우과 같이, 폭발의 우려가 있는 시약의 사용이나 작용기를 경유하는 일도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서 개발된, 당 부분의 6번 위치의 수산기를 카르바메이트 결합으로 변환한 당지질은, 합성이 매우 용이한데다 KRN7000보다도 IFN-γ에 치우친 사이토카인의 산생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암 치료 및 아쥬반트 작용을 유도하는 데에 있어서 유효한 약제,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당지질을 수지상 세포에 펄스하여, 그 수지상 세포를 투여함으로써, IFN-γ 산생을 보다 증강할 수 있다.
도 1은 당지질(KRN7000 또는 RCAI-123)을 마우스에게 정맥내 투여한 후의, 표시 시간 경과 후의 마우스 혈장 중의 IFN-γ 농도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당지질(KRN7000 또는 RCAI-123)을 마우스에게 정맥내 투여한 후의, 표시 시간 경과 후의 마우스 혈장 중의 IL-4 농도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당지질(KRN7000 또는 RCAI-123)을 마우스에게 정맥내 투여한 후의, 표시 시간 경과 후의 마우스 혈장 중의 IL-12 농도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당지질(KRN7000 또는 RCAI-121, RCAI-122, RCAI-131)을 펄스한 수지상 세포를 마우스에게 정맥내 투여한 후의, 표시 시간 경과 후의 마우스 혈장 중의 IFN-γ 농도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당지질(KRN7000 또는 RCAI-132, RCAI-139, RCAI-140, RCAI-141)을 펄스한 수지상 세포를 마우스에게 정맥내 투여한 후의, 표시 시간 경과 후의 마우스 혈장 중의 IFN-γ 농도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당지질(KRN7000 또는 RCAI-123, RCAI-124, RCAI-137, RCAI-138, RCAI-140)을 펄스한 수지상 세포를 마우스에게 정맥내 투여한 후의, 표시 시간 경과 후의 마우스 혈장 중의 IFN-γ 농도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당지질(KRN7000 또는 RCAI-121, RCAI-122, RCAI-131)을 펄스한 수지상 세포를 마우스에게 정맥내 투여한 후의, 표시 시간 경과 후의 마우스 혈장 중의 IL-4 농도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당지질(KRN7000 또는 RCAI-132, RCAI-139, RCAI-140, RCAI-141)을 펄스한 수지상 세포를 마우스에게 정맥내 투여한 후의, 표시 시간 경과 후의 마우스 혈장 중의 IL-4 농도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당지질(KRN7000 또는 RCAI-123, RCAI-124, RCAI-137, RCAI-138, RCAI-140)을 펄스한 수지상 세포를 마우스에게 정맥내 투여한 후의, 표시 시간 경과 후의 마우스 혈장 중의 IL-4 농도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당지질(KRN7000 또는 RCAI-121, RCAI-122, RCAI-131)을 펄스한 수지상 세포를 마우스에게 정맥내 투여한 후의, 표시 시간 경과 후의 마우스 혈장 중의 IL-12 농도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당지질(KRN7000 또는 RCAI-132, RCAI-139, RCAI-140, RCAI-141)을 펄스한 수지상 세포를 마우스에게 정맥내 투여한 후의, 표시 시간 경과 후의 마우스 혈장 중의 IL-12 농도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당지질(KRN7000 또는 RCAI-123, RCAI-124, RCAI-137, RCAI-138, RCAI-140)을 펄스한 수지상 세포를 마우스에게 정맥내 투여한 후의, 표시 시간 경과 후의 마우스 혈장 중의 IL-12 농도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그 적합한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식에서의 기호의 정의를 설명한다.
X는 알킬렌기 또는 -NH-을 나타낸다. 「알킬렌기」는 예컨대 탄소수 1~8의 직쇄형 또는 분기형 알킬렌기이며, 구체적으로는 메틸렌, 에틸렌, 트리메틸렌, 테트라메틸렌, 펜타메틸렌, 헥사메틸렌, 헵타메틸렌, 옥타메틸렌, 프로필렌, 에틸에틸렌, 디메틸메틸렌, 디메틸트리메틸렌 등을 들 수 있다.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며, 수소 원자, 알킬기, 수산기, 알콕시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아릴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인접하는 질소 원자와 함께 5~6원 환을 형성하여도 좋다.
「알킬기」는, 예컨대 C1 ~24, 보다 바람직하게는 C1 ~16, 더욱 바람직하게는 C1~10, 특히 바람직하게는 C1 ~6의 직쇄형 또는 분기형 알킬기이며, 구체적으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노닐, 데실, 운데실, 도데실, 트리데실, 테트라데실, 펜타데실, 헥사데실, 헵타데실, 옥타데실 등을 들 수 있다. R1 및 R2의 알킬기로서 바람직하게는 C1 ~6 알킬기(예, 메틸, 에틸)이다.
「알콕시기」는, 예컨대 C1 ~24, 보다 바람직하게는 C1 ~16, 더욱 바람직하게는 C1~10, 특히 바람직하게는 C1 ~6의 직쇄형 또는 분기형 알콕시기이며, 구체적으로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tert-부톡시 등을 들 수 있다. R1 및 R2의 알콕시기로서 바람직하게는 C1 ~6 알콕시기(예, 메톡시)이다.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아릴기」에서의 「아릴기」란, 예컨대 C6 ~14, 보다 바람직하게는 C6 ~12의 단환식~삼환식 아릴기이며, 구체적으로는, 페닐, 나프틸, 안트릴, 페난트릴 등을 들 수 있다. R1 및 R2의 아릴기로서 바람직하게는 C6~12 아릴기(예, 페닐)이다. 상기 「아릴기」가 갖고 있어도 좋은 치환기로서는, 할로겐 원자(예, 염소 원자, 불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알킬기(예,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헥실); 할로게노알킬기(예, 트리플루오로메틸); 알콕시기(예,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tert-부톡시); 수산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예, 메틸아미노, 디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시클로알킬아미노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기의 위치 및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치환 가능한 위치에, 1개~치환 가능한 최대수의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R1 및 R2가 인접하는 질소 원자와 함께 형성하여도 좋은 5~6원 환은, 예컨대, 5~6원의 함질소 포화 복소환이며, 구체적으로는, 피롤리딘, 피페리딘, 모르폴린, 티오모르폴린, 피페라진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피롤리딘, 피페리딘 및 모르폴린이다.
R3은 탄소수 1~2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탄소수 1~20의 탄화수소기」란, C1 ~20 알킬기, C2 ~20 알케닐기, C2 ~20 알키닐기, C3 ~20 시클로알킬기, C3 ~20 시클로알케닐기, C6 ~20의 아릴기도 포함하는 개념이며, 직쇄형, 분기형 및 환형의 어느 형태라도 좋고, 또한 포화 탄화수소기라도 불포화 탄화수소기라도 좋으며, 불포화 결합을 분자 내 및 말단 중 어디에 갖고 있어도 좋다. 그 중에서도, R3으로서는, C1 ~20 알킬기, C2 ~20 알케닐기 및 C2 ~20 알키닐기가 바람직하고, C12 ~14 알킬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R3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C14H29 등을 들 수 있다.
R4는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란, C1 ~30 알킬기, C2 ~30 알케닐기, C2 ~30 알키닐기, C3 ~30 시클로알킬기, C3 ~30 시클로알케닐기, C6 ~30 아릴기도 포함하는 개념이며, 직쇄형, 분기형 및 환형의 어느 형태라도 좋고, 또한 포화 탄화수소기라도 불포화 탄화수소기라도 좋으며, 불포화 결합을 분자 내 및 말단 중 어디에 갖고 있어도 좋다. 그 중에서도, R4로서는, C1 ~30 알킬기, C2 ~30 알케닐기 및 C2 ~30 알키닐기가 바람직하고, C10 ~30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C15 ~25 알킬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R4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C16H33, -C24H49 등을 들 수 있다.
R3 및 R4로 표시되는 탄화수소기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R3 및 R4로 표시되는 탄화수소기가 치환기를 갖는 경우, 치환기로서는, 할로겐 원자(바람직하게는 염소 원자, 불소 원자);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tert-부톡시 등의 알콕시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4,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6,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4); 페녹시 등의 아릴옥시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14); 수산기; 아미노기; 메틸아미노, 디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등의 알킬아미노기; 시클로알킬아미노기; 아세트아미드 등의 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시클로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벤조일아미노 등의 아릴카르보닐아미노기(바람직하게는, 아릴 부분의 탄소수가 6~14의 아릴기인 아릴카르보닐아미노기) 등의 전자 공여성 기, 나아가서는 카르복실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아실기(아실기는 후술하는 것과 같다. 바람직하게는 알킬 부분이 탄소수 1~24의 직쇄형 또는 분기형 알킬기인 알킬-카르보닐기); 카르바모일기; 트리플루오로메틸 등의 전자 구인성 기가 예시된다. 치환기의 위치 및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치환 가능한 위치에, 1개~치환 가능한 최대수의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치환기가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들은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아실기」란, 예컨대, 포르밀기; 알킬-카르보닐기(예컨대, 알킬 부분이, 탄소수 1~24(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2)의 직쇄형 또는 분기형 알킬기인 알킬-카르보닐기(예컨대,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이소부티릴, 발레릴, 피발로일, 헥사노일)); 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예컨대, 시클로알킬 부분이 탄소수 3~10의 시클로알킬기인 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알케닐-카르보닐기(예컨대, 알케닐 부분이 탄소수 2~12의 직쇄형 또는 분기형 알케닐기인 알케닐-카르보닐기(예컨대, 아크릴로일, 메타크릴로일)); 아릴-카르보닐기(예컨대, 아릴 부분이 탄소수 6~14의 아릴기인 아릴-카르보닐기(예컨대, 벤조일, 나프토일)) 등을 말한다. 아릴-카르보닐기에 있어서의 아릴기란, 예컨대, 단환식~삼환식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구체적으로 예컨대, 페닐, 나프틸, 안트릴, 페난트릴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아실기로서는, 포르밀,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이소부티릴, 벤조일, 나프토일 등이 바람직하고, 아세틸, 벤조일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알킬아미노기, 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의 알킬 부분으로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노닐, 데실, 운데실, 도데실, 트리데실, 테트라데실, 펜타데실, 헥사데실, 헵타데실, 옥타데실 등의 직쇄형 또는 분기형 알킬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4,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6,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4)가 예시된다.
상기 시클로알킬아미노기, 시클로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의 시클로알킬 부분으로서는,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등의 시클로알킬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24,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16,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1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6)가 예시된다.
상기 알콕시카르보닐기의 알콕시 부분으로서는 상기 알콕시기와 같은 것이 예시된다.
상기한 치환기는, 치환 가능한 위치에, 또한, 할로겐,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페닐기, 알콕시기, 수산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 및 시클로알킬아미노기 중 적어도 1종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할로겐, 알콕시기, 알킬아미노기, 시클로알킬아미노기로서는 상기와 같은 것이 예시된다.
상기 알킬기로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노닐, 데실, 운데실, 도데실, 트리데실, 테트라데실, 펜타데실, 헥사데실, 헵타데실, 옥타데실 등의 알킬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4,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6,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4)가 예시된다.
상기 시클로알킬기로서는,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등의 시클로알킬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24,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16,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1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6)가 예시된다.
상기 알케닐기로서는, 비닐, 프로페닐, 부테닐 등의 알케닐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24,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16,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1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4)가 예시된다.
상기 알키닐기로서는, 에티닐, 프로파르길, 부티닐, 펜티닐 등의 알키닐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24,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16,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1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4)가 예시된다.
A1~A5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며 수소 원자 또는 수산기의 보호기를 나타낸다. 「수산기의 보호기」로서는, 예컨대, 벤질, 4-메톡시벤질(즉, p-메톡시벤질(PMB)), 메톡시에톡시메틸, 테트라히드로피라닐, 트리메틸실릴(TMS), t-부틸디메틸실릴(TBS 또는 TBDMS), t-부틸디페닐실릴(TBDPS), t-부톡시카르보닐, 트리클로로에톡시카르보닐, 아세틸, 피발로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당(갈락토피라노오스)의 환상 구조에 유래하는 입체 이성체 중에서 α-체를 채용한다.
화합물(I) 및 화합물(II)이 당의 환상 구조 이외의 구조(예컨대, 당의 환상 구조 이외 부분의 비대칭 탄소 등)에 유래하는 입체 이성체를 갖는 경우에는, 어느 이성체도 본 발명에 포함되며, 2종 이상의 이성체의 임의 비율의 혼합물(라세미체를 포함함)이라도 좋다.
특히, 화합물(I)에는, 당의 환상 구조 이외 부분의 비대칭 탄소에 유래하는 광학 이성체가 존재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단일의 광학 활성체라도, 2종 이상의 광학 활성체의 임의 비율의 혼합물(라세미체를 포함함)이라도 좋다. -NHC(=O)X-R4가 결합하는 비대칭 탄소는 S 배치가 바람직하고, -NHC(=O)X-R4가 결합하는 비대칭 탄소에 인접하여 OH가 결합하는 비대칭 탄소는 R 배치가 바람직하다. R3이 결합하는 비대칭 탄소는 R 배치가 바람직하다.
또한, 화합물(II)에는, 당의 환상 구조 이외 부분의 비대칭 탄소에 유래하는 광학 이성체가 존재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단일의 광학 활성체라도, 2종 이상의 광학 활성체의 임의 비율의 혼합물(라세미체를 포함함)이라도 좋다. N3이 결합하는 비대칭 탄소는 S 배치가 바람직하다. -OA4가 결합하는 비대칭 탄소는 R 배치가 바람직하다. -OA5가 결합하는 비대칭 탄소는 R 배치가 바람직하다.
화합물(I) 및 화합물(II)의 염으로서는, 약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염산염, 브롬화수소산염, 요오드화수소산염, 황산염, 질산염, 인산염 등의 무기산염; 호박산염, 푸마르산염, 초산염, 메탄술폰산염, 톨루엔술폰산염 등의 유기산염;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마그네슘염, 칼슘염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염; 암모늄염, 알킬암모늄염 등의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적합한 화합물(I)의 구체예를 표 1에 나타내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 1]
Figure pct00010
이어서, 본 발명의 화합물 (I) 및 (II)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화합물 (I) 및 (II)는 하기 반응식에 기재된 방법 또는 이것에 준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하는 바에 따라 적절하게 수식할 수 있다. 이러한 수식으로서는, 알킬화, 아실화, 아미노화, 이미노화, 할로겐화, 환원, 산화 등을 들 수 있고, 통상 당분야에서 이용되는 반응 또는 방법이 이용된다. 그때, 작용기의 종류에 따라는, 그 작용기를 원료 또는 중간체의 단계에서 적당한 보호기(용이하게 그 작용기로 전화(轉化) 가능한 기)로 치환해 두는 것이 제조 기술상 효과적인 경우가 있다. 보호기의 화학적 특성, 그 도입 수법 및 그 제거는 예컨대, 문헌[T. Greene and P. Wut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3rd ed.), John Wiley & Sons NY(1999)]에 상술되어 있다.
원료 화합물은,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거나 또는 자체 공지된 방법 또는 이들에 준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 화합물의 합성 반응식을 이하에 나타낸다(상세한 반응은 실시예에 준한다). 또한, 반응식 중, 구체적인 기, 화합물로 기재되어 있는 경우가 있지만, 대체 가능한 기, 화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분명하다.
반응식 1
Figure pct00011
(각 식에서, A는 수산기의 보호기를 나타내고, L은 이탈기를 나타낸다. 그 밖의 기호는 전술한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A로 표시되는 수산기의 보호기는, A1~A5에 관해서 전술한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L로 표시되는 이탈기로서는, 예컨대 트리클로로아세트이미드일옥시, 인산에스테르[-OP(O)(OPh)2 등], 할로겐(Br, F 등) 등을 들 수 있다.
[공정 1]
공정 1은, 화합물 A1의 6 번위치의 수산기를 보호하는 공정이다. 구체적으로는 화합물 A1을 염기의 존재 하에, 유기 용매 중에서 보호 시약과 반응시킨다. 염기로서는 피리딘, 2,6-루티딘, 트리에틸아민 등의 아미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보호 시약으로서는 유기 규소 시약이 적합하며, 예컨대,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tert-부틸디메틸실릴, tert-부틸디메틸실릴클로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용매로서는, 본 반응을 저해하지 않는 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좋고, 용매로서는, 예컨대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테트라히드로푸란(THF), 헥사메틸인산트리아미드(HMPA)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이 이용된다. 염기의 사용량은, 화합물 A1에 대하여, 통상 1~2 당량이다. 보호 시약의 사용량은, 화합물 A1의 수산기 1개당, 통상 1~5 당량, 바람직하게는 1~2 당량이다. 용매의 사용량은, 화합물 A1에 대하여 통상 10~50배 용량, 바람직하게는 10~20배 용량이다. 본 공정에서는 바람직하게는, 4-(N,N-디메틸아미노)피리딘(DMAP) 등의 촉매의 존재 하에서 행한다. 상기 촉매의 사용량은 촉매량으로 충분하다.
반응 온도는 통상 -20℃~실온, 바람직하게는 0℃~실온이며, 반응 시간은 통상 1~48 시간, 바람직하게는 12~24 시간이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고,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화합물 A2를 고수율로 얻을 수 있다.
원료 화합물 A1은 문헌에 알려진 수법(Carbohydr. Res., 1979, 73, 273)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공정 2]
공정 2는, 화합물 A2의 1번 위치의 수산기를 이탈기 L로 변환하여, 화합물 A3을 얻는 공정이다. 예컨대 이탈기가, 트리클로로아세트이미드일옥시인 경우, 염기의 존재 하에, 화합물 A2에 트리클로로아세토니트릴을 반응시켜, 화합물 A3을 얻을 수 있다.
트리클로로아세토니트릴의 사용량은 화합물 A2에 대해 통상 1~10 당량이다. 염기로서는, 예컨대, 탄산세슘, 디아자비시클로운데센(DBU), 디아자비시클로노넨(DBN) 등을 들 수 있다. 염기의 사용량은, 화합물 A2에 대하여, 통상 0.01~2 당량이다. 용매로서는, 예컨대, 디클로로메탄, 디에틸에테르, THF 등을 들 수 있다. 용매의 사용량은, 화합물 A2 1 mmol에 대하여, 통상 0.5~100 ml이다. 반응 온도는 통상 0~50℃, 바람직하게는 실온이며, 반응 시간은 통상 30 분~24 시간이다.
화합물 A3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서 단리할 수 있으며, 예컨대, 용매에 의해서 희석하고, 물,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포화 식염수 등으로 세정하고, 무수 탄산칼륨 등으로 건조하고, 여과하며, 농축함으로써 화합물 A3을 얻을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더욱 정제하여도 좋다.
[공정 3]
공정 3은, 화합물 A3과 화합물 A4를,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트리메틸실릴, 분자체의 존재 하에 반응시켜 화합물 A5를 얻는 공정이다. 원료 화합물 A4는 문헌에 이미 알려진 수법(Eur. J. Org. Chem., 1998, 291)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화합물 A3의 사용량은, 화합물 A4에 대하여, 통상 0.1~10 당량이다.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트리메틸실릴의 사용량은, 화합물 A3에 대하여, 통상 0.01~3 당량이다. 분자체의 사용량은, 화합물 A3 1 mmol에 대하여, 통상 1~2 g이다. 용매로서는, 예컨대, 디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메탄, THF, 디옥산, 초산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용매의 사용량은, 화합물 A3 1 mmol에 대하여, 통상 1~100 ml이다. 반응 온도는 통상 -78~60℃이고, 반응 시간은 통상 0.1~24 시간이다.
화합물 A5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서 단리할 수 있으며, 예컨대,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고,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화합물 A5를 단리할 수 있다.
[공정 4]
공정 4는, 6번 위치의 수산기의 보호기를 탈보호하는 공정이다. 탈보호 방법은, 보호기의 종류에 따라 공지된 방법에서 선택되는데, 예컨대 보호기 A가 TBS기인 경우는, 용매 중에서 화합물 A5를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 또는 산과 반응시킨다.
산으로서는, 트리플루오로초산, p-톨루엔술폰산, 염산 등의 강산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산의 사용량은, 화합물 A5에 대하여 통상 촉매량~10 당량, 바람직하게는 1~2 당량이다.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의 사용량은 화합물 A5에 대하여 통상 2 당량~20 당량이다.
반응 온도는 통상 -20~60℃, 바람직하게는 실온이며, 반응 시간은 통상 1~24 시간, 바람직하게는 2~12 시간이다.
용매로서는 수용성 용매가 바람직하고, 테트라히드로푸란이 특히 바람직하다. 용매의 사용량은, 화합물 A5에 대하여 통상 1~100배 용량이다.
반응 종료 후, 극성이 다른 용매를 이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α-체인 화합물 A6 및 β-체인 화합물 A7로 분리 정제한다.
반응식 2
Figure pct00012
(각 식에서, 각 기호는 전술한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공정 5]
공정 5는, 염기의 존재 하에, 화합물 A6과 화합물 A8을 반응시켜 화합물 A9를 얻는 공정이다. 원료 화합물 A8은 문헌에 이미 알려진 수법(Synthesis, 1993, 103)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화합물 A8의 사용량은, 화합물 A6에 대하여, 통상 1~10 당량, 바람직하게는 1~5 당량이다.
염기로서는, 예컨대,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등을 들 수 있고, 피리딘이 바람직하다. 염기의 사용량은, 화합물 A6에 대하여, 통상 1~10 당량이다. 용매로서는, 본 반응을 저해하지 않는 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좋으며, 용매로서는, 예컨대,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테트라히드로푸란(THF), 헥사메틸인산트리아미드(HMPA)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이 이용된다. THF와 DMF의 혼합 용매가 바람직하다. 용매의 사용량은, 화합물 A6 1 mmol에 대하여, 통상 0.5~100 ml이다. 반응 온도는 -20℃~실온, 바람직하게는 0~4℃이며, 반응 시간은 통상 30 분~24 시간이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고,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화합물 A9를 고수율로 얻을 수 있다.
[공정 6]
공정 6은, 염기의 존재 하에, 화합물 A9와 화합물 A14를 반응시켜 화합물 A10을 얻는 공정이다. 화합물 A10은 화합물(II)에 포함된다. 원료 화합물 A14는, R1 및 R2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문헌에 이미 알려진 수법에 의해 합성할 수 있거나,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화합물 A14의 사용량은, 화합물 A9에 대하여, 통상 1~10 당량이며, 바람직하게는 2 당량이다.
염기로서는, 예컨대, 4-(디메틸아미노)피리딘(DMAP),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DABCO 등을 들 수 있다. 염기의 사용량은, 화합물 A9에 대하여, 통상 1~10 당량이며, 바람직하게는 5 당량이다. 용매로서는, 예컨대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THF, HMPA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용매의 사용량은, 화합물 A9 1 mmol에 대하여, 통상 0.5~50 ml이다. 반응 온도는 통상 -20~60℃, 바람직하게는 실온이며, 반응 시간은 통상 10 분~24 시간이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고,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화합물 A10을 고수율로 얻을 수 있다.
[공정 7]
공정 7은, 화합물 A10 중의 아지드기를 환원하여 아미노기로 변환하여, 화합물 A11을 얻는 공정이다. 구체적으로는 화합물 A10을, 유기 용매 중에서 환원제, 이어서 염기와 반응시킨다. 환원제로서는, 트리메틸포스핀, 트리부틸포스핀, 트리페닐포스핀 등의 포스핀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용매로서는, 본 반응을 저해하지 않는 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좋으며, 예컨대,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테트라히드로푸란(THF), 헥사메틸인산트리아미드(HMPA)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이 이용된다. 환원제의 사용량은, 화합물 A10의 아지드기 1개당, 통상 1~5 당량, 바람직하게는 1~2 당량이다. 반응 온도는 통상 -20~60℃, 바람직하게는 실온이며, 반응 시간은 통상 1~48 시간, 바람직하게는 12~24 시간이다. 반응 종료 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등의 염기성 수용액으로 처리를 한 후, 화합물 A11의 단리 정제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할 수 있다. 예컨대, 초산에틸 등의 용매로 추출한다. 얻어진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포화 식염수 등으로 세정하고, 무수 탄산칼륨 등으로 건조한다. 용액을 여과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고,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할 수 있다.
[공정 8]
공정 8은, 화합물 A11의 아미노기를 아실화하여 화합물 A13을 얻는 공정이다. 구체적으로는, 화합물 A11을 용매 중에서, 필요에 따라 염기 존재 하에서 화합물 A12와 반응시킨다. 원료 화합물의 화합물 A12는 문헌에 이미 알려진 수법(Org. Lett., 2006, 8, 3375)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용매로서는, 본 반응을 저해하지 않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할로겐 용매(예컨대,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필요에 따라 염기를 첨가하여도 좋다. 이 염기로서는,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등을 들 수 있고, 트리에틸아민이 적합하다.
용매의 사용량은, 화합물 A11에 대하여 통상 5~100배 용량, 바람직하게는 20~50배 용량이다.
염기의 사용량은, 화합물 A11에 대하여 통상 10~50 당량, 바람직하게는 10~20 당량이다.
화합물 A12의 사용량은, 화합물 A11에 대하여 통상 1~20 당량, 바람직하게는 1~2 당량이다.
반응 온도는 통상 -20℃~실온, 바람직하게는 0~4℃이며, 반응 시간은 통상 1~24 시간, 바람직하게는 6~12 시간이다.
반응 종료 후, 화합물 A13의 단리 정제는 통상의 방법에 정제할 수 있다. 예컨대, 반응액을 물로 희석하고, 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 용매, 초산에틸 등의 에스테르 용매 등으로 추출한다. 얻어진 유기층을, 피리딘을 염기로서 이용한 경우는 포화 황산구리 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물, 포화 식염수 등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 등으로 건조한다. 용액을 여과한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고,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화합물 A13을 얻을 수 있다.
[공정 9]
공정 9는, 화합물 A13의 수산기의 보호기 A1~A5를 탈보호하여 화합물 A(화합물(I))를 얻는 공정이다. 탈보호 방법은 보호기의 종류에 따라 공지된 방법에서 선택되는데, 예컨대, 벤질기의 경우는, 화합물 A13을 용매 중에서 수소 및 환원 촉매의 존재 하에서 반응시킨다.
용매로서는, 알코올 용매와 할로겐 용매와의 혼합 용매가 적합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과 클로로포름과의 혼합 용매이다. 용매의 사용량은, 화합물 A13에 대하여 통상 10~100배 용량, 바람직하게는 10~50배 용량이다.
환원 촉매로서는, 수산화팔라듐, 수산화팔라듐-활성탄, 산화백금, 레이니 니켈 등을 들 수 있다. 환원 촉매의 사용량은, 화합물 A13에 대하여 통상 촉매량으로 충분하다.
반응 시간은 통상 1~24 시간, 바람직하게는 12~24 시간이다. 반응 온도는 0℃~실온, 바람직하게는 실온이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화합물 A를 수율 좋게 얻을 수 있다.
반응식 3
Figure pct00013
[공정 10]
공정 10은, 화합물 A6의 6번 위치의 수산기를 카르보닐화하고, 또한 피페리딘과 결합시켜 화합물 G1을 얻는 공정이다. 구체적으로는, 화합물 A6을 용매 중에서, 카르보닐화 시약과 반응시키고, 반응 후 피페리딘과 반응시킨다.
카르보닐화 시약으로서는, 예컨대, 포스겐, 또는 그 이량체, 삼량체, 클로르탄산에스테르 등이 이용된다.
용매로서는, 본 반응을 저해하지 않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할로겐 용매(예컨대, 염화메틸렌,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필요에 따라 염기를 첨가하여도 좋다. 이 염기로서는,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등을 들 수 있고, 피리딘이 적합하다.
용매의 사용량은, 화합물 A6에 대하여 통상 5~100배 용량, 바람직하게는 20~50배 용량이다.
염기의 사용량은, 화합물 A6에 대하여 통상 1~50 당량, 바람직하게는 2~20 당량이다.
반응 온도는 통상 0~50℃, 바람직하게는 실온이며, 반응 시간은 통상 30 분~24 시간이다.
화합물 G1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서 단리할 수 있으며, 예컨대,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고,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화합물 G1을 단리할 수 있다.
[공정 11]
공정 11은 화합물 G1을 화합물 G로 변환하는 공정이다. 화합물 G는 화합물(I)에 포함된다.
상기 공정은 출발 화합물을 화합물 A10 대신에 화합물 G1로 하는 것 이외에는 공정 7~9와 같은 방식으로 하여 행한다.
반응식 4
Figure pct00014
[공정 12]
공정 12는, 화합물 A11의 아미노기를 카르바모일아미노화하여 화합물 N2를 얻는 공정이다. 구체적으로는, 화합물 A11을 용매 중에서, 필요에 따라 염기 존재 하에서 화합물 N1과 반응시킨다. 원료 화합물의 화합물 N1은 이미 알려진 수법에 의해 합성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도 입수할 수 있다.
용매로서는, 본 반응을 저해하지 않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할로겐 용매(예컨대,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필요에 따라 염기를 첨가하여도 좋다. 이 염기로서는,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용매의 사용량은, 화합물 A11에 대하여 통상 5~100배 용량, 바람직하게는 20~50배 용량이다.
염기의 사용량은, 화합물 A11에 대하여 통상 10~50 당량, 바람직하게는 10~20 당량이다.
화합물 N1의 사용량은, 화합물 A11에 대하여 통상 1~20 당량, 바람직하게는 1~10 당량이다.
반응 온도는 통상 -20℃~실온이며, 반응 시간은 통상 1~24 시간이다.
반응 종료 후, 화합물 N2의 단리 정제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할 수 있다. 예컨대, 반응액을 물로 희석하고, 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 용매, 초산에틸 등의 에스테르 용매 등으로 추출한다. 얻어진 유기층을, 피리딘을 염기로서 이용한 경우는 포화 황산구리 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물, 포화 식염수 등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 등으로 건조한다. 용액을 여과한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고,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화합물 N2를 얻을 수 있다.
[공정 13]
공정 13은 화합물 N2를 화합물 N으로 변환하는 공정이다. 화합물 N은 화합물(I)에 포함된다.
이 공정은 출발 화합물을 화합물 A13 대신에 화합물 N2로 하는 것 이외에는 공정 9와 같은 식으로 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I) 또는 이들의 염(이하, 「본 발명의 카르바메이트 당지질」이라고도 함)을 투여함으로써, NKT 세포를 활성화하여 IFN-γ 산생을 선택적, 우선적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종래의 α-갈락토실세라미드와는 달리 IL-4의 산생 증가가 억제되고 있기 때문에, 병의 상태를 악화시키는 일없이 암 또는 감염증 등의 예방 또는 치료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당지질이 갖는 카르바메이트기는 아미드기에 비해서 대사되기 어렵고, NKT 세포를 장시간 또한 강력하게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α-갈락토실세라미드에 비해서, 소량의 투여라도 NKT 세포를 강력하게 활성화할 수 있고, IFN-γ의 산생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르바메이트 당지질을 인간 수지상 세포에 펄스하여, 그 수지상 세포를 대상에게 투여함으로써, 보다 강력한 IFN-γ 산생 유도 작용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인간 수지상 세포는, 본 발명의 카르바메이트 당지질을 통해 NKT 세포를 활성화할 수 있는 인간 유래의 수지상 세포(hDC)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미엘로이드계의 수지상 세포(DC1), 림프계의 수지상 세포(DC2)의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DC1이다. hDC는 자체 공지된 어떠한 방법에 의해서 조제되어도 좋으며, 인간의 표피, 림프계 조직의 T 세포 영역, 말초 비림프계 조직, 수입 림프, 진피 등으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인간 말초혈 등으로부터 밀도 구배 원심법 등에 의해 단구, 골수구 등을 분리하고, GM-CSF 및 IL-4 존재 하에서 약 7~약 10일간 배양하여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르바메이트 당지질에 의한 hDC의 펄스는 주지 관용의 수법에 의해 행하면 되며, 예컨대, 본 발명의 카르바메이트 당지질을 약 100~약 200 ng/ml의 농도로 함유하는 배지(예컨대, RPMI-1640 배지 등) 중에서, hDC를 약 12~약 48 시간 배양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펄스는, 상기 미성숙의 hDC를 GM-CSF 및 IL-4 존재 하에서 배양·성숙시키는 과정에서, 배지에 본 발명의 당지질을 첨가함으로써 행하여도 좋다.
NKT 세포의 활성화 유무 및 그 정도는 자체 공지된 어떠한 방법으로도 측정할 수 있는데, 예컨대, 활성화한 NKT 세포가 산생하는 사이토카인의 양을 지표로 하여 NKT 세포의 활성화를 평가할 수 있다. 활성화한 NKT 세포가 산생하는 사이토카인으로서는, IFN-γ, IL-4, GM-CSF, IL-10 등을 들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당지질은 선택적으로 IFN-γ의 산생을 유도한다.
NKT 세포에 있어서의 사이토카인의 산생은, 예컨대, 그 사이토카인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세포 배양 상청을 이용하여 ELISA법, RIA법, FIA법, EIA법 등의 관용의 면역분석법(immunoassay)에 의해 NKT 세포의 활성화를 평가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는, 항사이토카인 항체를 고정화한 고상에 NKT 세포 함유 시료를 접촉시키고, 고액 분리 후에 고상에 결합한 사이토카인을, 표지한 항사이토카인 항체를 이용하여 샌드위치법에 의해 검출·계수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표지제로서는 효소, 형광 물질, 발광 물질, 색소, 방사성 동위 원소 등을 들 수 있다. 비오틴화한 항사이토카인 항체와 표지제를 결합한(스트렙트)아비딘을 이용하여도 좋다. 표지제로서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등의 효소를 이용한 분석계는, ELISPOT의 명칭으로, 사이토카인 산생 세포의 검출용으로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카르바메이트 당지질에 의해 예방 또는 치료 가능한 질환으로서는, IFN-γ의 산생 증대에 의해서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적 효과가 기대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컨대, 포유동물(예컨대, 마우스, 고양이, 소, 개, 말, 염소, 원숭이, 인간)의 각종 암(예컨대, 유암, 대장암, 폐암, 전립선암, 식도암, 위암, 간장암, 담도암, 비장암, 신장암, 방광암, 자궁암, 정소암, 갑상선암, 췌장암, 뇌종양, 난소암, 피부암, 혈액종양(예, 성인 T 세포 백혈병, 만성 골수성 백혈병, 악성 임파종 등) 등); 각종 감염증, 예컨대, 바이러스성 질환(예, 비형간염 바이러스, C형간염 바이러스, D형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바이러스성 간염, 헤르페스증, 후천성 면역부전증후군(AIDS) 등), 세균감염증(예, 약제내성결핵, 비정형항산균감염증 등), 진균증(예, 칸다디아증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르바메이트 당지질은, 그 약효를 손상하지 않는 한, 다른 약제, 예컨대, 기존의 항암제, 항바이러스약, 항균제, 항진균제 등과 병용할 수 있다. 이때, 투여 시기는 한정되지 않으며, 이들을 투여 대상에 대하여, 동시에 투여하여도 좋고, 시간차를 두고 투여하여도 좋다. 투여량은, 임상상 이용되고 있는 용량을 기준으로 하여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르바메이트 당지질과 병용약의 배합비는, 투여 대상, 투여 루트, 대상 질환, 증상, 조합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기존 항암제로서는, 예컨대, 화학요법제, 호르몬요법제, 면역요법제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요법제로서는, 예컨대 알킬화제(예, 시클로포스파미드, 이포스파미드, 니무스틴, 라니무스틴, 카르보퀴온(carboquone) 등), 대사길항제(예, 메토크렉세이트, 5-플루오로우라실, 테가푸르, 카르모푸르, UFT, 독시플루리딘, 시타라빈, 에노시타빈, 머캅토퓨린, 머캅토퓨린리보사이드, 티오구아닌 등), 항암성 항생 물질(예, 마이토마이신, 아드리아마이신, 다우노루비신, 에피루비신, 피라루비신, 이다루비신, 블레오마이신, 페플로마이신, 악티노마이신 등), 식물 유래 항암제(예, 빈크리스틴, 빈블라스틴, 빈데신, 에토포시드, 캠토테신, 이리노테칸 등), 시스플라틴, 카르보플라틴, 네다플라틴, 파클리탁셀, 도세탁셀, 에스트라머스틴 등을 들 수 있다.
호르몬요법제로서는, 예컨대 부신피질 호르몬약(예, 프레드니솔론, 프레드니손, 덱사메타손, 초산코르티손 등), 에스트로겐약(예, 에스트라디올, 에티닐에스트라디올, 포스페스트롤, 클로로트리아니센 등), 항에스트로겐약(예, 에피티오스타놀, 메피티오스탄, 타목시펜, 클로미펜 등), 황체호르몬약(예, 카프론산히드록시프로게스테론, 디드로게스테론,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노르에티스테론, 노르에틴드론 등), LHRH 유도체(예, 초산류프로렐린 등) 등을 들 수 있다.
면역요법제로서는, 예컨대 미생물 또는 세균 성분(예, 뮤라밀디펩티드 유도체, 피시바닐 등), 면역 증강 활성이 있는 다당류(예, 렌티난, 시조필란, 크레스틴 등), 유전자 공학적 수법으로 얻어지는 사이토카인(예, 인터페론, 인터류킨 2(IL-2), 인터류킨 12(IL-12), 종양 괴사 인자(TNF) 등), 콜로니 자극 인자(예, 과립구 콜로니 자극 인자, 에리트로포에틴 등) 등을 들 수 있다.
항바이러스약으로서는, 예컨대, 핵산 합성 저해형 항바이러스약(예: 아시클로비어, 간시클로비어, 비다라빈, 포스카르네트, 지도부딘, 라미부딘, 디다노신 등), 세포내 진입 억제형 항바이러스약(예: 아만타딘, 자나미비르, 오셀타미비르 등), 숙주 감염 방어능 항진형 항바이러스약(예: 인터페론, 이소프리노신 등) 등을 들 수 있다.
항균제로서는, 예컨대, 페니실린계 항생 물질(예: 사와실린(Sawacillin), 파세토신(Pasetocin), 야마실린(Yamacillin), 바카실(bacacil), 비크실린(Viccillin), 펜토렉스(Pentorex) 등), 세펨계 항생 물질(예: 케플렉스, 케프랄, 세프존(Cefzon), 토미론, 세프스판(Cefspan), 판스포린(Pansporin) 등), 매크로라이드계 항생 물질(예: 에리트로신, 클라리트, 클라리시드, 루리드, 조사마이신 등),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 물질(예: 미노마이신, 비브라마이신, 히드라마이신, 레더마이신 등), 포스포마이신계 항생 물질(예: 포스미신(Fosmicin), 유코신 등),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 물질(예: 카나마이신 등), 뉴퀴놀론계 항균제(예: 크라비트, 타리비드, 박시달, 토숙사신(Tosuxacin), 오젝스 등) 등을 들 수 있다.
항진균약로서는, 예컨대, 폴리엔계 항진균약(예: 트리코마이신, 암포테리신 B, 나이스타틴 등), 이미다졸계 항진균약(예: 에코나졸, 미코나졸, 클로트리마졸 등), 트리아졸계 항진균약(예: 플루코나졸, 이트라코나졸 등), 알릴아민계 항진균약(예: 부테나핀, 염산테르비나핀 등), 플루사이토신(5-FC)계 항진균약(예: 플루사이토신 등)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르바메이트 당지질을 인간에게 투여하는 경우, 그 자체 또는 그것을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 등과 혼합하여, 경구 투여제(예컨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비경구 투여제(예컨대, 주사제), 좌제(예컨대, 직장 좌제, 질 좌제) 등의 의약 조성물로서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으로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다. 이들 제제는 종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주사제로서는, 피하 주사, 정맥내 주사, 근육내 주사, 복강내 주사 또는 점적제 등을 들 수 있다. 주사제는, 본 발명의 당지질을 가용화제(예컨대, β-시클로덱스트린류), 분산제(예컨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나트륨), 보존제(예컨대,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벤질알코올, 클로로부탄올), 등장화제(예컨대, 염화나트륨, 글리세린, 솔비톨, 포도당) 등과 함께 통상의 방법에 따라 수성 주사제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식물유(예컨대, 올리브유, 참깨유, 낙화생유, 면실유, 옥수수유), 프로필렌글리콜 등에 용해, 현탁 또는 유화하여 유성 주사제로 할 수도 있다.
경구 투여제는, 본 발명의 카르바메이트 당지질에, 예컨대, 부형제(예컨대, 젖당, 백당, 전분), 붕해제(예컨대, 전분, 탄산칼슘), 결합제(예컨대, 전분, 아라비아 고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또는 활택제(예컨대, 탈크, 스테아린산마그네슘,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적절하게 첨가하여 압축 성형하고, 이어서 필요에 따라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코팅을 실시함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좌제는, 본 발명의 카르바메이트 당지질과, 비자극성의 부형제(예컨대, 폴리에틸렌글리콜, 고급 지방산의 글리세라이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르바메이트 당지질의 투여량은, 연령, 체중, 증상, 제형, 투여 방법, 투여 기간 등에 따라 다르지만, 예컨대, 환자(성인, 체중 약 60 kg) 1인당, 통상 하루 0.1~1 mg/kg, 바람직하게는 0.5~1 m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8~1 mg/kg을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된다.
IFN-γ 산생을 유도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카르바메이트 당지질을 수지상 세포에 펄스하여, 그 수지상 세포를 환자에게 투여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본 발명의 카르바메이트 당지질을 펄스한 수지상 세포를 함유하는 선택적 IFN-γ 산생 유도제를 제공한다.
이 제제는, 상투적인 수단에 따라, 본 발명의 카르바메이트 당지질로 펄스한 유효량의 상기 hDC를 의약으로서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하거나 하여, 경구/비경구 제제로서 제조할 수 있다. 이 제제는, 통상은 주사제, 현탁제, 점적제 등의 비경구 제제로서 제조된다. 이 비경구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의약상 허용되는 담체로서는, 예컨대, 생리식염수, 포도당이나 그 밖의 보조약을 포함하는 등장액(예컨대, D-솔비톨, D-만니톨, 염화나트륨 등) 등의 주사용의 수성액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는, 예컨대, 완충제(예컨대, 인산염 완충액, 초산나트륨 완충액), 무통화제(예컨대, 염화벤잘코늄, 염산프로카인 등), 안정제(예컨대, 인간 혈청 알부민, 폴리에틸렌글리콜 등), 보존제, 산화방지제 등과 배합하여도 좋다. 이 제제를 수성 현탁액제로서 제제화하는 경우, 상기 수성액에 약 5×106~약 1×107 세포/ml가 되도록, 본 발명의 카르바메이트 당지질로 펄스한 hDC를 현탁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제제는 안정적이며 저독성이기 때문에, 인간에 대하여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다. 투여 대상은 hDC가 유래하는 환자 본인인 것(즉, 자가 이식)이 바람직하지만, 투여하는 hDC에 대하여 적합성이 있을 것이 예측되는 인간이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투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주사 또는 점적 투여이며, 정맥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근육내 투여, 복강내 투여, 환부 직접 투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 제제의 투여량은, 투여 대상, 대상 장기, 증상, 투여 방법 등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통상 성인 환자(체중 60 kg으로 하여)에게 있어서는, 예컨대, 비경구 투여인 경우, 1회에 hDC량으로서 약 6×105~약 1×107 세포를, 약 1주~약 2주 간격으로, 약 4~약 8회 투여하는 것이 안성맞춤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시험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RCAI-123(화합물 A에 포함됨)의 합성 및 정제 방법
Figure pct00015
화합물 2의 합성
화합물 1은 문헌에 이미 알려진 수법(Carbohydr. Res., 1979, 73, 273)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화합물 1(6.03 g, 13.4 mmol) 및 트리에틸아민(9.3 mL, 67 mmo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120 mL) 용액에, tert-부틸디메틸실릴클로라이드(2.21 g, 14.7 mmol)와 4-(N,N-디메틸아미노)피리딘(163 mg, 1.33 mmol)을 0℃ 하에서 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 하에서 15 시간 교반한 후, 물을 가하고, 초산에틸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물, 포화 식염수로 순으로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여과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유거했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80 g, 헥산:초산에틸=10:1)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2(7.04 g, 93%, α-체:β-체=약 3:2의 혼합물)를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IR(필름): νmax=3420(br m, OH), 1610(w), 1585(w), 1495(m), 1255(m, t-Bu, Si-Me), 1100(br s, C-O), 840(br s), 735(br s), 700(s) cm-1.
1H-NMR(500MHz, CDCl3): δ=7.38-7.19(15H, m), 5.26(0.6H, dd, J=4.0, 2.0Hz, α-1-H), 4.65(0.4H, t, J=7.0Hz, β-1-H), 2.94(0.4H, d, J=7.0Hz, β-OH), 2.86(0.6H, d, J=2.0Hz, α-OH), 0.88(9H, s, t-Bu), 0.04(3H, s, SiMe), 0.03(3H, s, SiMe) ppm.
HR-ESIMS: [M+Na]+(C33H44O6SiNa)에 대한 이론치: 587.2799; 실험치: 587.2799.
화합물 3의 합성
화합물 2(2.02 g, 3.58 mmol)의 디클로로메탄(50 mL) 용액에, 트리클로로아세토니트릴(3.65 mL, 36.1 mmol)과 탄산세슘(590 mg, 1.81 mmol)을 실온 하에서 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 하에서 16 시간 교반한 후, 물을 가하여,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 탄산칼륨으로 건조했다. 여과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유거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화합물 3(2.6 g, α-체:β-체=약 2:1의 혼합물)을 귤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이 화합물은 더 이상 정제하지 않고 다음 조작에 이용했다.
IR(필름): νmax=3340(w, NH), 1730(m, C=O), 1670(s, C=N), 1605(w), 1590(w), 1500(m), 1255(m, t-Bu, Si-Me), 1105(br s, C-O), 1060(br s, C-O), 840(s), 735(s), 700(s) cm-1.
1H-NMR(500MHz, CDCl3): δ=8.61(0.33H, s, β-NH), 8.51(0.67H, s, α-NH), 7.38-7.25(15H, m), 6.51(0.67H, d, J=3.5Hz, α-1-H), 5.75(0.33H, d, J=8.0Hz, β-1-H), 0.87(3H, s, β-t-Bu), 0.86(6H, s, α-t-Bu), 0.04(1H, s, β-SiMe), 0.03(1H, s, β-SiMe), 0.01(2H, s, α-SiMe), 0.00(2H, s, α-SiMe) ppm.
화합물 5의 합성
화합물 4는 문헌에 이미 알려진 수법(Eur. J. Org. Chem., 1998, 291)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화합물 4(1.51 g, 2.88 mmol), 상기한 과정에서 얻어진 화합물 3(2.6 g) 및 분자체(4A, 분말, 9.3 g)의 무수 디클로로메탄(50 mL) 현탁액에,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트리메틸실릴(26 μL, 0.14 mmol)을 40℃(유조 온도) 하에서 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40℃(유조 온도) 하에서 15분간 교반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여, 여과했다. 여과 후, 여과액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유기층을 무수 탄산칼륨으로 건조했다. 여과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유거했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50 g, 헥산:초산에틸=20:1)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5(2.69 g, 87%, α-체:β-체=약 3:1의 혼합물)를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IR(필름): νmax=2100(s, N3), 1605(w), 1585(w), 1495(m), 1255(m, t-Bu, Si-Me), 1105(br s, C-O), 1060(br s, C-O), 840(br s), 735(s), 700(s) cm-1.
1H-NMR(500MHz, CDCl3): δ=4.89(0.75H, d, J=3.5Hz, α-1'-H), 4.34(0.25H, d, J=7.5Hz, β-1'-H), 0.88(3H, t, J=6.5Hz, 18-H3), 0.87(2.25H, s, β-t-Bu), 0.86(6.75H, s, α-t-Bu), 0.019(0.75H, s, β-SiMe), 0.016(0.75H, s, β-SiMe), 0.009(2.25H, s, α-SiMe), 0.002(2.25H, s, α-SiMe) ppm.
HR-ESIMS: [M+Na]+(C65H91N3O8SiNa)에 대한 이론치: 1092.6468; 실험치: 1092.6464.
화합물 6 및 7의 합성
전술한 과정에서 얻어진 화합물 5(2.69 g, 2.51 mmol, α-체:β-체=약 3:1의 혼합물)의 테트라히드로푸란(50 mL) 용액에,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의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1.0 M, 5.0 mL, 5.0 mmol)을 실온 하에서 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 하에서 3 시간 교반한 후, 물을 가하고, 초산에틸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물, 포화 식염수로 순으로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여과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유거했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30 g)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6(α-체, 헥산:초산에틸=5:1, 1.67 g, 70%)과 화합물 7(β-체, 헥산:초산에틸=3:1, 612 mg, 25%)을 각각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α-체: nD 24=1.5171.
[α]D 25=+24.8(c=1.00, CHCl3).
IR(필름): νmax=3480(br m, OH), 2100(s, N3), 1605(w), 1585(w), 1500(m), 1100(br s, C-O), 1060(br s, C-O), 735(br s), 700(s) cm-1.
1H-NMR(500MHz, CDCl3): δ=7.41-7.20(25H, m), 4.96(1H, d, J=12Hz), 4.91(1H, d, J=3.0Hz), 4.87(1H, d, J=12Hz), 4.81(1H, d, J=12Hz), 4.75(1H, d, J=12Hz), 4.70(1H, d, J=12Hz), 4.66(1H, d, J=12Hz), 4.63(1H, d, J=12Hz), 4.61(1H, d, J=12Hz), 4.57(1H, d, J=12Hz), 4.50(1H, d, J=12Hz), 4.66(1H, dd, J=10, 3.5Hz), 3.99-3.95(2H, m), 3.85(1H, br s), 3.75-3.68(4H, m), 3.63(1H, dd, J=12, 3.5Hz), 3.64-3.60(1H, m), 3.40(1H, ddd, J=12, 8.5, 5.0Hz), 1.69-1.60(2H, m), 1.57-1.50(2H, m), 1.44-1.34(1H, m), 1.34-1.21(22H, m), 0.88(3H, t, J=7.0Hz) ppm.
HR-ESIMS: [M+Na]+(C59H77N3O8Na)에 대한 이론치: 978.5603; 실험치: 978.5601.
β-체:
nD 24=1.5177.
[α]D 25=-0.48(c=1.02, CHCl3).
IR(필름): νmax=3460(br m, OH), 2100(s, N3), 1605(w), 1585(w), 1495(m), 1090(br s, C-O), 735(br s), 700(s) cm-1.
1H-NMR(500MHz, CDCl3): δ=7.47-7.21(25H, m), 4.96(1H, d, J=12Hz), 4.94(1H, d, J=12Hz), 4.81(1H, d, J=12Hz), 4.79(1H, d, J=12Hz), 4.74(1H, d, J=12Hz), 4.68(1H, d, J=12Hz), 4.65(1H, d, J=12Hz), 4.64(1H, d, J=12Hz), 4.57(1H, d, J=12Hz), 4.51(1H, d, J=12Hz), 4.34(1H, d, J=8.0Hz), 4.12(1H, dd, J=10, 7.5Hz), 3.89-3.84(2H, m), 3.77(1H, dd, J=10, 3.0Hz), 3.78-3.75(1H, m), 3.72-3.65(2H, m), 3.62(1H, br quint., J=4.0Hz), 3.51(1H, dd, J=10, 3.0Hz), 3.45(1H, ddd, J=11, 8.5, 4.0Hz), 3.30(1H, br t, J=6.5Hz), 1.71-1.63(1H, m), 1.58-1.50(2H, m), 1.44-1.34(2H, m), 1.33-1.22(22H, m), 0.88(3H, t, J=7.0Hz) ppm.
HR-ESIMS: [M+Na]+(C59H77N3O8Na)에 대한 이론치: 978.5603; 실험치: 978.5595.
화합물 9의 합성
화합물 8은 문헌에 이미 알려진 수법(Synthesis, 1993, 103)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화합물 6(1.05 g, 1.10 mmol)과 피리딘(444 μL, 5.49 mmol)의 테트라히드로푸란-N,N-디메틸포름아미드(1:1, 40 mL) 용액에, 화합물 8(589 mg, 3.32 mmol)을 0℃ 하에서 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 하에서 16 시간 교반한 후, 물을 가하고, 초산에틸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물, 포화 황산구리 수용액, 물,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포화 식염수로 순으로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여과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유거했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30 g, 헥산:초산에틸=5:1)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9(1.23 g, quant.)를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nD 22=1.5171.
[α]D 22=+26.4(c=1.03, CHCl3).
IR(필름): νmax=2100(s, N3), 1815(s, C=O), 1790(s, C=O), 1750(br s, C=O), 1605(w), 1585(w), 1495(m), 1230(br s), 1100(br s, C-O), 740(br s), 700(s) cm-1.
1H-NMR(500MHz, CDCl3): δ=7.40-7.22(25H, m), 4.97(1H, d, J=12Hz), 4.90(1H, d, J=3.5Hz), 4.88(1H, d, J=12Hz), 4.78(1H, d, J=12Hz), 4.76(1H, d, J=12Hz), 4.68(1H, d, J=12Hz), 4.66(1H, d, J=12Hz), 4.63(1H, d, J=12Hz), 4.58(1H, d, J=12Hz), 4.57(1H, d, J=12Hz), 4.52(1H, d, J=12Hz), 4.32(1H, dd, J=11, 7.5Hz), 4.04(1H, dd, J=10, 3.0Hz), 4.01(1H, dd, J=11, 5.0Hz), 4.01-3.96(2H, m), 3.94-3.91(1H, m), 3.83-3.81(1H, m), 3.78-3.69(3H, m), 3.63-3.60(1H, m), 2.76(4H, s), 1.70-1.62(1H, m), 1.59-1.51(1H, m), 1.44-1.35(1H, m), 1.35-1.20(23H, m), 0.88(3H, t, J=7.0Hz) ppm.
HR-ESIMS: [M+Na]+(C64H80N4O12Na)에 대한 이론치: 1119.5670; 실험치: 1119.5671.
화합물 10의 합성
화합물 9(122 mg, 0.111 mmol)와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97 μL, 0.557 mmo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5 mL) 용액에, 디메틸아민염산염(18 mg, 0.221 mmol)을 실온 하에서 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 하에서 17 시간 교반한 후, 물을 가하고, 초산에틸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물,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포화 식염수로 순차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여과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유거했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30 g, 헥산:초산에틸=5:1)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10(101 mg, 89%)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nD 24=1.5178.
[α]D 26=+24.6(c=1.04, CHCl3).
IR(필름): νmax=2300(s, N3), 1710(s, C=O), 1605(w), 1500(m), 1100(br s, C-O), 1060(br s, C-O), 735(br s), 700(s) cm-1.
1H-NMR(500MHz, CDCl3): δ=7.40-7.19(25H, m), 4.96(1H, d, J=12Hz), 4.91(1H, d, J=4.0Hz), 4.87(1H, d, J=12Hz), 4.79(1H, d, J=12Hz), 4.74(1H, d, J=12Hz), 4.68(1H, d, J=12Hz), 4.66(1H, d, J=12Hz), 4.62(1H, d, J=12Hz), 4.60(1H, d, J=12Hz), 4.57(1H, d, J=12Hz), 4.49(1H, d, J=12Hz), 4.13(1H, dd, J=11, 7.0Hz), 4.09-4.06(2H, m), 3.99(1H, dd, J=10, 3.0Hz), 3.97(1H, dd, J=10, 2.0Hz), 3.93(1H, br t, J=7.0Hz), 3.86-3.85(1H, m), 3.74(1H, dd, J=6.5, 4.5Hz), 3.70(1H, dd, J=10, 6.5Hz), 3.69-3.65(1H, m), 3.61(1H, quint.-유사, J=4.0Hz), 2.84(3H, s), 2.70(3H, s), 1.70-1.62(1H, m), 1.57-1.50(2H, m), 1.44-1.35(1H, m), 1.33-1.20(22H, m), 0.88(3H, t, J=7.0Hz) ppm.
HR-ESIMS: [M+Na]+(C62H82N4O9Na)에 대한 이론치: 1049.5980; 실험치: 1049.5964.
화합물 11의 합성
화합물 10(217 mg, 0.211 mmol)의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10 mL) 용액에, 트리메틸포스핀의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1.0 M, 1.1 mL, 1.1 mmol)을 0℃ 하에서 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 하에서 15 시간 교반한 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0 M, 2.2 mL, 2.2 mmol)을 가했다. 실온 하에서 또한 6 시간 교반한 후, 물을 가하고, 초산에틸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물,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순차 세정한 후, 무수 탄산칼륨으로 건조했다. 여과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유거했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NH 실리카, 30 g, 헥산:초산에틸=1:1)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11(161 mg, 76%)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nD 24=1.5173.
[α]D 24=+24.3(c=1.02, CHCl3).
IR(필름): νmax=3380(w, NH), 1710(br s, C=O), 1600(w), 1500(m), 1140(br s, C-O), 1100(br s, C-O), 1060(br s, C-O), 735(br s), 695(s) cm-1.
1H-NMR(500MHz, CDCl3): δ=7.40-7.23(25H, m), 4.96(1H, d, J=12Hz), 4.90(1H, d, J=3.5Hz), 4.86(1H, d, J=12Hz), 4.78(1H, d, J=12Hz), 4.75(1H, d, J=12Hz), 4.70(1H, d, J=12Hz), 4.66(1H, d, J=12Hz), 4.63(1H, d, J=12Hz), 4.61(1H, d, J=12Hz), 4.54(1H, d, J=12Hz), 4.50(1H, d, J=12Hz), 4.14-4.07(2H, m), 4.07(1H, dd, J=10, 4.0Hz), 3.96-3.92(3H, m), 3.87(1H, br s), 3.72-3.69(1H, m), 3.55-3.52(1H, m), 3.39(1H, br t, J=9.0Hz), 3.19-3.15(1H, m), 2.83(3H, s), 2.68(3H, s), 1.72-1.62(1H, m), 1.62-1.51(2H, m), 1.51-1.42(1H, m), 1.34-1.20(22H, m), 0.88(3H, t, J=7.0Hz) ppm.
HR-ESIMS: [M+H]+(C62H85N2O9)에 대한 이론치: 1001.6255; 실험치: 1001.6241.
화합물 13의 합성
화합물 12는 문헌에 이미 알려진 수법(Org. Lett., 2006, 8, 3375)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화합물 11(151 mg, 0.151 mmol)과 트리에틸아민(105 μL, 0.757 mmol)의 무수 디클로로메탄(10 mL) 용액에, 화합물 12(70 mg, 0.17 mmol)의 무수 디클로로메탄(2 mL) 용액을 0℃ 하에서 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 하에서 18 시간 교반한 후, 물을 가하고, 초산에틸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물,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포화 식염수로 순차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여과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유거했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30 g, 헥산:초산에틸=4:1)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13(183 mg, 88%)을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α]D 24=+18.4(c=1.08, CHCl3).
1H-NMR(500MHz, CDCl3): δ=7.40-7.21(25H, m), 5.98(1H, d, J=8.5Hz), 4.96(1H, d, J=12Hz), 4.90(1H, d, J=4.0Hz), 4.83(1H, d, J=12Hz), 4.79(1H, d, J=12Hz), 4.78(1H, d, J=12Hz), 4.76(1H, d, J=12Hz), 4.64(2H, d, J=12Hz), 4.58(1H, d, J=12Hz), 4.51(1H, d, J=12Hz), 4.45(1H, d, J=12Hz), 4.20-4.15(1H, m), 4.11(2H, d, J=6.5Hz), 4.07(1H, dd, J=10, 4.0Hz), 3.93-3.85(4H, m), 3.84(1H, dd, J=7.5, 2.5Hz), 3.74(1H, dd, J=11, 4.0Hz), 3.49(1H, dt, J=8.5, 2.5Hz), 2.83(3H, s), 2.73(3H, s), 1.99(1H, quint., J=7.5Hz), 1.92(1H, quint., J=7.5Hz), 1.69-1.40(6H, m), 1.40-1.18(66H, m), 0.88(6H, t, J=7.0Hz) ppm.
HR-ESIMS: [M+Na]+(C88H134N2O10Na)에 대한 이론치: 1401.9936; 실험치: 1401.9930.
RCAI-123의 합성
화합물 13(179 mg, 0.130 mmol)의 에탄올-클로로포름(4:1, 10 mL) 용액에, 수산화팔라듐-활성탄(20%, wet, 44 mg)을 실온 하에서 가했다. 수소 분위기 하에, 실온 하에서 15 시간 교반한 후, 클로로포름-메탄올 혼합 용매(5:1)로 희석했다. 여과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유거했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6 g, 클로로포름:메탄올=25:2)에 의해 정제하여, RCAI-123(101 mg, 84%)을 무색 분말로서 얻었다.
Mp 130-132℃.
[α]D 26=+49.8(c=0.30, 피리딘).
IR(KBr): νmax=3420(br s, OH), 3280(w, NH), 1690(br s, C=O), 1640(s, C=O), 1545(br m), 1210(br m), 1150(br m, C-O), 1080(br s, C-O), 720(m) cm-1.
1H-NMR(500MHz, 피리딘-d5): δ=8.47(1H, d, J=8.5Hz), 5.50(1H, d, J=4.0Hz), 5.27-5.22(1H, m), 4.82(1H, dd, J=11, 7.0Hz), 4.74(1H, dd, J=11, 5.0Hz), 4.64(1H, dd, J=11, 5.0Hz), 4.59(1H, dd, J=9.5, 4.0Hz), 4.46(1H, dd, J=7.0, 6.0Hz), 4.37-4.26(5H, m), 2.82(3H, s), 2.81(3H, s), 2.31-2.24(1H, m), 1.96-1.85(2H, m), 1.84-1.78(2H, m), 1.72-1.63(1H, m), 1.47-1.16(66H, m), 0.85(6H, t, J=7.0Hz) ppm.
HR-ESIMS: [M+Na]+(C53H104N2O10Na)에 대한 이론치: 951.7589; 실험치: 951.7597.
실시예 2: RCAI-124(화합물 B)의 합성 및 정제 방법
RCAI-124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합성·정제했다.
RCAI-124의 물성치는 이하에 나타낸다.
Mp 146-147℃.
[α]D 27=+44.2(c=0.32, 피리딘).
IR(KBr): νmax=3340(br s, OH, NH), 1700(br s, C=O), 1640(s, C=O), 1550(br s), 1275(br s), 1160(br m, C-O), 1070(br s, C-O), 720(m) cm-1.
1H-NMR(500MHz, 피리딘-d5): δ=8.51(1H, d, J=9.0Hz), 7.75(1H, q, J=4.0Hz), 5.49(1H, d, J=4.0Hz), 5.22-5.17(1H, m), 4.91(1H, dd, J=11, 7.5Hz), 4.78(1H, dd, J=11, 4.5Hz), 4.62(1H, dd, J=11, 4.5Hz), 4.59(1H, dd, J=9.5, 4.0Hz), 4.54(1H, dd, J=7.5, 4.5Hz), 4.40-4.29(4H, m), 4.26(1H, br t, J=9.0Hz), 2.87(3H, d, J=4.0Hz), 2.48-2.38(2H, m), 2.31-2.22(1H, m), 1.96-1.84(2H, m), 1.84-1.74(2H, m), 1.72-1.62(1H, m), 1.46-1.16(66H, m), 0.85(3H, t, J=7.0Hz), 0.84(3H, t, J=7.0Hz) ppm.
HR-ESIMS: [M+Na]+(C52H102N2O10Na)에 대한 이론치: 937.7432; 실험치: 937.7422.
실시예 3: RCAI-137(화합물 C)의 합성 및 정제 방법
RCAI-137은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합성·정제했다.
RCAI-137의 물성치는 이하에 나타낸다.
Mp 177-179℃.
[α]D 27=+43.1(c=0.33, 피리딘).
IR(KBr): νmax=3340(br s, OH, NH), 1730(br s, C=O), 1640(br s, C=O), 1540(br m), 1280(br m), 1130(br s, C-O), 1080(br s, C-O), 1040(br s, C-O), 720(m) cm-1.
1H-NMR(500MHz, 피리딘-d5): δ=11.26(1H, br s), 11.05(1H, s), 8.55(1H, d, J=8.5Hz), 5.46(1H, d, J=3.5Hz), 5.20-5.15(1H, m), 5.00(1H, dd, J=11, 7.5Hz), 4.85(1H, dd, J=11, 4.5Hz), 4.62(1H, dd, J=11, 4.5Hz), 4.59(1H, dd, J=10, 4.5Hz), 4.59-4.44(1H, m), 4.36-4.25(5H, m), 2.51-2.39(2H, m), 2.28-2.21(1H, m), 1.96-1.84(2H, m), 1.84-1.74(2H, m), 1.72-1.63(1H, m), 1.46-1.16(66H, m), 0.85(3H, t, J=7.0Hz), 0.84(3H, t, J=7.0Hz) ppm.
HR-ESIMS: [M+Na]+(C51H100N2O11Na)에 대한 이론치: 939.7225; 실험치: 939.7247.
실시예 4: RCAI-138(화합물 D)의 합성 및 정제 방법
RCAI-138은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합성·정제했다.
RCAI-138의 물성치는 이하에 나타낸다.
Mp 140-142℃.
[α]D 27=+45.2(c=0.31, 피리딘).
IR(KBr): νmax=3320(br s, OH, NH), 1730(br s, C=O), 1645(br s, C=O), 1630(s, C=O), 1545(m), 1270(br m), 1130(br m, C-O), 1070(br s, C-O), 720(m) cm-1.
1H-NMR(500MHz, 피리딘-d5): δ=11.69(1H, s), 8.51(1H, d, J=8.5Hz), 5.50(1H, d, J=3.5Hz), 5.24-5.19(1H, m), 4.97(1H, dd, J=11, 8.0Hz), 4.81(1H, dd, J=11, 4.5Hz), 4.63(1H, dd, J=10, 4.5Hz), 4.59(1H, dd, J=10, 4.0Hz), 4.53(1H, dd, J=7.0, 4.5Hz), 4.34-4.25(5H, m), 3.85(3H, s), 2.42(2H, dt, J=7.5, 3.0Hz), 2.30-2.23(1H, m), 1.96-1.84(2H, m), 1.84-1.75(2H, m), 1.71-1.62(1H, m), 1.47-1.16(66H, m), 0.846(3H, t, J=7.0Hz), 0.845(3H, t, J=7.0Hz) ppm.
HR-ESIMS: [M+Na]+(C52H102N2O11Na)에 대한 이론치: 953.7381; 실험치: 953.7346.
실시예 5: RCAI-148(화합물 E)의 합성 및 정제 방법
RCAI-148은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합성·정제했다.
RCAI-148의 물성치는 이하에 나타낸다.
Mp 138-140℃.
[α]D 27=+42.8(c=0.30, 피리딘).
IR(KBr): νmax=3340(br s, OH, NH), 1700(br s, C=O), 1640(br s, C=O), 1545(br s), 1270(br m), 1140(br m, C-O), 1080(br s, C-O), 1040(br s, C-O), 720(w) cm-1.
1H-NMR(500MHz, 피리딘-d5): δ=8.46(1H, d, J=8.5Hz), 7.78(1H, t, J=5.0Hz), 5.48(1H, d, J=3.5Hz), 5.19-5.14(1H, m), 4.90(1H, dd, J=11, 7.5Hz), 4.77(1H, dd, J=11, 5.0Hz), 4.61(1H, dd, J=11, 5.0Hz), 4.58(1H, dd, J=10, 3.5Hz), 4.54(1H, dd, J=7.5, 5.0Hz), 4.37-4.29(4H, m), 4.25(1H, br t, J=8.5Hz), 3.38-3.32(2H, m), 2.46-2.38(2H, m), 2.28-2.20(1H, m), 1.95-1.84(2H, m), 1.84-1.76(2H, m), 1.72-1.61(1H, m), 1.48-1.16(66H, m), 1.14(3H, t, J=7.0Hz), 0.849(3H, t, J=7.0Hz), 0.846(3H, t, J=7.0Hz) ppm.
HR-ESIMS: [M+Na]+(C53H104N2O10Na)에 대한 이론치: 951.7589; 실험치: 951.7573.
실시예 6: RCAI-149(화합물 F)의 합성 및 정제 방법
RCAI-149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합성·정제했다.
RCAI-149의 물성치는 이하에 나타낸다.
Mp 151-153℃.
[α]D 27=+45.2(c=0.31, 피리딘).
IR(KBr): νmax=3310(br s, OH, NH), 1680(br s, C=O), 1645(br s, C=O), 1540(br m), 1285(m), 1140(m, C-O), 1080(br s, C-O), 1045(br m, C-O), 720(w) cm-1.
1H-NMR(500MHz, 피리딘-d5): δ=8.45(1H, d, J=9.0Hz), 5.53(1H, d, J=3.5Hz), 5.28-5.23(1H, m), 4.84(1H, dd, J=11, 7.5Hz), 4.77(1H, dd, J=11, 5.0Hz), 4.64(1H, dd, J=11, 5.5Hz), 4.59(1H, dd, J=9.5, 4.0Hz), 4.50(1H, dd, J=7.5, 5.5Hz), 4.37-4.28(4H, m), 4.35(1H, dd, J=7.5, 4.0Hz), 3.34-3.20(4H, m), 2.49-2.39(2H, m), 2.32-2.25(1H, m), 1.96-1.86(2H, m), 1.82(2H, dquint., J=7.5, 2.5Hz), 1.72-1.64(1H, m), 1.48-1.16(66H, m), 1.07(4H, br s), 0.850(3H, t, J=7.0Hz), 0.848(3H, t, J=7.0Hz) ppm.
HR-ESIMS: [M+Na]+(C55H108N2O10Na)에 대한 이론치: 979.7902; 실험치: 979.7913.
실시예 7: RCAI-121(화합물 G에 포함됨)의 합성 및 정제 방법
Figure pct00016
화합물 1'의 합성
상기한 과정에서 얻어진 화합물 6(250 mg, 0.261 mmol)과 피리딘(106 μL, 1.31 mmol)의 무수 디클로로메탄(10 mL) 용액에, 트리포스겐(52 mg, 0.175 mmol)을 0℃ 하에서 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 하에서 1 시간 교반한 후, 피페리딘(129 μL, 1.30 mmol)을 가했다. 실온 하에서 또한 15 시간 교반한 후, 물을 가하고, 초산에틸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물, 1M 염산, 물,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포화 식염수로 순차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여과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유거했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30 g, 헥산:초산에틸=6:1)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1'(267 mg, 96%)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nD 24=1.5173.
[α]D 24=+25.6(c=1.02, CHCl3).
IR(필름): νmax=2100(s, N3), 1700(s, C=O), 1605(w), 1585(w), 1495(m), 1265(s), 1235(s), 1100(br s, C-O), 1060(br s, C-O), 735(br s), 700(s) cm-1.
1H-NMR(500MHz, CDCl3): δ=7.39-7.22(25H, m), 4.96(1H, d, J=12Hz), 4.91(1H, d, J=3.5Hz), 4.87(1H, d, J=12Hz), 4.79(1H, d, J=12Hz), 4.74(1H, d, J=12Hz), 4.68(1H, d, J=12Hz), 4.63(1H, d, J=12Hz), 4.61(1H, d, J=12Hz), 4.57(1H, d, J=12Hz), 4.49(1H, d, J=12Hz), 4.16-4.06(3H, m), 3.99(1H, dd, J=10, 2.5Hz), 3.98-3.92(2H, m), 3.85(1H, br s), 3.76-3.65(3H, m), 3.63-3.60(1H, m), 3.43-3.17(4H, m), 1.71-1.63(1H, m), 1.58-1.22(31H, m), 0.88(3H, t, J=7.0Hz) ppm.
HR-ESIMS: [M+Na]+(C65H86N4O9Na)에 대한 이론치: 1089.6293; 실험치: 1089.6301.
RCAI-121의 합성 및 정제 방법
화합물 10에서 RCAI-123으로의 변환과 같은 방법에 의해, 화합물 1'로부터 화합물 RCAI-121을 합성·정제했다.
RCAI-121의 물성치는 이하에 나타낸다.
Mp 126-128℃.
[α]D 27=+45.0(c=0.30, 피리딘).
IR(KBr): νmax=3380(br s, OH, NH), 1685(br s, C=O), 1645(br s, C=O), 1540(br m), 1265(m), 1240(m), 1150(br m, C-O), 1080(br s, C-O), 1040(br m, C-O), 720(br m) cm-1.
1H-NMR(500MHz, 피리딘-d5): δ=8.49(1H, d, J=8.5Hz), 5.52(1H, d, J=4.0Hz), 5.29-5.24(1H, m), 4.86(1H, dd, J=11, 7.5Hz), 4.79(1H, dd, J=11, 5.0Hz), 4.65(1H, dd, J=11, 5.5Hz), 4.60(1H, dd, J=9.5, 4.0Hz), 4.49(1H, dd, J=7.0, 5.5Hz), 4.37-4.27(4H, m), 4.35(1H, dd, J=7.0, 4.0Hz), 3.43(4H, br s), 2.50-2.40(2H, m), 2.32-2.24(1H, m), 1.97-1.85(2H, m), 1.82(2H, dquint., J=7.5, 3.0Hz), 1.72-1.63(1H, m), 1.58-1.18(72H, m), 0.85(6H, t, J=7.0Hz) ppm.
HR-ESIMS: [M+Na]+(C56H108N2O10Na)에 대한 이론치: 991.7902; 실험치: 991.7896.
실시예 8: RCAI-122(화합물 H)의 합성 및 정제 방법
RCAI-122는 실시예 7과 같은 방법에 의해 합성·정제했다.
RCAI-122의 물성치는 이하에 나타낸다.
Mp 149-152℃.
[α]D 27=+43.8(c=0.33, 피리딘).
IR(KBr): νmax=3300(br s, OH, NH), 1690(br s, C=O), 1640(br s, C=O), 1540(br m), 1250(br m), 1080(br s, C-O), 1040(br m, C-O), 865(m) cm-1.
1H-NMR(500MHz, 피리딘-d5): δ=8.48(1H, d, J=8.5Hz), 5.52(1H, d, J=4.0Hz), 5.26-5.21(1H, m), 4.90(1H, dd, J=11, 8.0Hz), 4.77(1H, dd, J=11, 4.5Hz), 4.65(1H, dd, J=11, 5.0Hz), 4.60(1H, dd, J=10, 4.5Hz), 4.50(1H, dd, J=8.0, 5.0Hz), 4.38(1H, dd, J=9.5, 3.5Hz), 4.38-4.34(1H, m), 4.32-4.26(2H, m), 4.31(1H, dd, J=11, 5.0Hz), 2.48-2.39(2H, m), 2.30-2.23(1H, m), 1.96-1.85(2H, m), 1.81(2H, dquint., J=7.5, 3.5Hz), 1.73-1.63(1H, m), 1.47-1.16(66H, m), 0.849(3H, t, J=7.0Hz), 0.847(3H, t, J=7.0Hz) ppm.
HR-ESIMS: [M+Na]+(C55H106N2O11Na)에 대한 이론치: 993.7694; 실험치: 993.7693.
실시예 9: RCAI-131(화합물 I)의 합성 및 정제 방법
RCAI-131은 실시예 7과 같은 방법에 의해 합성·정제했다.
RCAI-131의 물성치는 이하에 나타낸다.
Mp 119-120℃.
[α]D 27=+41.1(c=0.32, 피리딘).
IR(KBr): νmax=3340(br s, OH, NH), 1685(br s, C=O), 1645(br s, C=O), 1540(br m), 1080(br s, C-O), 1040(br s, C-O), 720(m) cm-1.
1H-NMR(500MHz, 피리딘-d5): δ=8.50(1H, d, J=8.5Hz), 5.52(1H, d, J=3.5Hz), 5.28-5.23(1H, m), 4.86(1H, dd, J=11, 7.0Hz), 4.79(1H, dd, J=11, 4.5Hz), 4.67(1H, dd, J=10, 5.0Hz), 4.63-4.59(1H, m), 4.51(1H, br t, J=6.0Hz), 4.39-4.27(5H, m), 3.42-3.27(4H, m), 2.58-2.38(2H, m), 2.31-2.24(1H, m), 1.96-1.86(2H, m), 1.81(2H, dquint., J=7.5, 3.5Hz), 1.72-1.63(1H, m), 1.63-1.30(4H, m), 1.46-1.16(66H, m), 0.85(6H, t, J=7.0Hz) ppm.
HR-ESIMS: [M+Na]+(C55H106N2O10Na)에 대한 이론치: 977.7745; 실험치: 977.7779.
실시예 10: RCAI-132(화합물 J)의 합성 및 정제 방법
RCAI-132는 실시예 7과 같은 방법에 의해 합성·정제했다.
RCAI-132의 물성치는 이하에 나타낸다.
Mp 149-151℃.
[α]D 26=+41.7(c=0.31, 피리딘).
IR(KBr): νmax=3340(br s, OH, NH), 1710(br s, C=O), 1645(br s, C=O), 1605(w), 1545(br s), 1505(w), 1240(br m), 1150(br m, C-O), 1070(br s, C-O), 720(w) cm-1.
1H-NMR(500MHz, 피리딘-d5): δ=10.56(1H, s), 8.51(1H, d, J=8.5Hz), 7.96(2H, br d, J=7.5Hz), 7.36(2H, t, J=7.5Hz), 7.06(1H, t, J=7.5Hz), 5.49(1H, d, J=3.5Hz), 5.19-5.14(1H, m), 5.00(1H, dd, J=11, 8.0Hz), 4.78(1H, dd, J=11, 4.0Hz), 4.62-4.56(1H, m), 4.61(1H, dd, J=11, 5.5Hz), 4.57(1H, dd, J=8.0, 4.0Hz), 4.38-4.30(4H, m), 4.30-4.24(1H, m), 2.43(2H, dt, J=7.0Hz), 2.27-2.20(1H, m), 1.97-1.86(2H, m), 1.84-1.74(2H, m), 1.71-1.62(1H, m), 1.46-1.16(66H, m), 0.853(3H, t, J=7.0Hz), 0.849(3H, t, J=7.0Hz) ppm.
HR-ESIMS: [M+Na]+(C57H104N2O10Na)에 대한 이론치: 999.7589; 실험치: 999.7600.
실시예 11: RCAI-139(화합물 K)의 합성 및 정제 방법
RCAI-139는 실시예 7과 같은 방법에 의해 합성·정제했다.
RCAI-139의 물성치는 이하에 나타낸다.
Mp 154-156℃.
[α]D 26=+42.2(c=0.31, 피리딘).
IR(KBr): νmax=3360(br s, OH, NH), 1705(br s, C=O), 1665(br s, C=O), 1530(br s), 1250(s), 1150(m, C-O), 1070(br s, C-O), 830(m), 760(m) cm-1.
1H-NMR(500MHz, 피리딘-d5): δ=10.44(1H, s), 8.55(1H, d, J=8.0Hz), 7.88(2H, br d, J=7.0Hz), 7.00(2H, d, J=9.0Hz), 5.50(1H, d, J=4.0Hz), 5.21-5.15(1H, m), 5.01(1H, dd, J=12, 8.0Hz), 4.80(1H, dd, J=12, 4.0Hz), 4.64-4.56(3H, m), 4.38-4.31(4H, m), 4.27(1H, br t, J=7.0Hz), 3.65(3H, s), 2.44(2H, dt, J=7.0, 2.0Hz), 2.28-2.21(1H, m), 1.96-1.85(2H, m), 1.85-1.75(2H, m), 1.71-1.62(1H, m), 1.46-1.16(66H, m), 0.849(3H, t, J=7.0Hz), 0.846(3H, t, J=7.0Hz) ppm.
HR-ESIMS: [M+Na]+(C58H106N2O11Na)에 대한 이론치: 1029.7694; 실험치: 1029.7670.
실시예 12: RCAI-140(화합물 L)의 합성 및 정제 방법
RCAI-140은 실시예 7과 같은 방법에 의해 합성·정제했다.
RCAI-140의 물성치는 이하에 나타낸다.
Mp 149-150℃.
[α]D 27=+39.4(c=0.31, 피리딘).
IR(KBr): νmax=3320(br s, OH, NH), 1710(br s, C=O), 1645(br s, C=O), 1545(br s), 1240(br m), 1075(br s, C-O), 1040(m, C-O), 820(m) cm-1.
1H-NMR(500MHz, 피리딘-d5): δ=10.49(1H, s), 8.56(1H, d, J=8.0Hz), 7.87(2H, br d, J=7.0Hz), 7.16(2H, d, J=8.5Hz), 5.49(1H, d, J=3.5Hz), 5.20-5.14(1H, m), 5.00(1H, dd, J=11, 7.5Hz), 4.78(1H, dd, J=11, 4.0Hz), 4.64-4.56(3H, m), 4.39-4.31(4H, m), 4.27(1H, br t, J=6.5Hz), 2.44(2H, t, J=7.0Hz), 2.27-2.17(1H, m), 2.20(3H, s), 1.96-1.85(2H, m), 1.85-1.74(2H, m), 1.71-1.62(1H, m), 1.46-1.16(66H, m), 0.849(3H, t, J=7.0Hz), 0.846(3H, t, J=7.0Hz) ppm.
HR-ESIMS: [M+Na]+(C58H106N2O10Na)에 대한 이론치: 1013.7745; 실험치: 1013.7739.
실시예 13: RCAI-141(화합물 M)의 합성 및 정제 방법
RCAI-141은 실시예 7과 같은 방법에 의해 합성·정제했다.
RCAI-141의 물성치는 이하에 나타낸다.
Mp 163-165℃.
[α]D 29=+36.1(c=0.30, 피리딘).
IR(KBr): νmax=3400(br s, OH), 3300(br m, NH), 1710(br s, C=O), 1640(br s, C=O), 1620(br s, C=O), 1545(br s), 1330(s), 1245(br m), 1165(m, C-O), 1130(br s, C-O), 1070(br s, C-O), 840(m) cm-1.
1H-NMR(500MHz, 피리딘-d5): δ=10.97(1H, s), 8.60(1H, d, J=8.5Hz), 8.03(2H, d, J=8.5Hz), 7.65(2H, d, J=8.5Hz), 5.50(1H, d, J=4.0Hz), 5.18-5.13(1H, m), 5.03(1H, dd, J=11, 8.5Hz), 4.78(1H, dd, J=11, 3.5Hz), 4.61(1H, dd, J=9.5, 3.5Hz), 4.61-4.58(2H, m), 4.40-4.32(4H, m), 4.26(1H, dd, J=8.5, 2.5Hz), 2.44(2H, t, J=7.0Hz), 2.26-2.19(1H, m), 1.95-1.85(2H, m), 1.83-1.73(2H, m), 1.71-1.61(1H, m), 1.46-1.16(66H, m), 0.849(3H, t, J=7.0Hz), 0.845(3H, t, J=7.0Hz) ppm.
HR-ESIMS: [M+Na]+(C58H103N2O10F3Na)에 대한 이론치: 1067.7463; 실험치: 1067.7469.
실시예 14: RCAI-150(화합물 N에 포함됨)의 합성 및 정제 방법
Figure pct00017
화합물 2"의 합성
상기한 과정에서 얻어진 화합물 11(119 mg, 0.119 mmol)의 클로로포름(5 mL) 용액에, 시판되는 헥사데실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 1", 111 μL, 0.357 mmol)를 0℃ 하에서 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 하에서 14 시간 교반한 후, 물을 가하고, 초산에틸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물,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포화 식염수로 순차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했다. 여과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유거했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30 g, 헥산:초산에틸=3:1)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2"(147 mg, 97%)을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Mp 79.5-81.0℃.
[α]D 26=+21.3(c=1.02, CHCl3).
IR(KBr): νmax=3420(m, NH), 3340(m, NH), 1710(s, C=O), 1650(s, C=O), 1545(s), 1495(m), 1290(m), 1190(br s, C-O), 1100(br s, C-O), 1060(br s, C-O), 740(br s), 695(s) cm-1.
1H-NMR(500MHz, CDCl3): δ=7.39-7.15(25H, m), 5.13(1H, br s), 4.98(1H, d, J=12Hz), 4.90(1H, br d, J=9.0Hz), 4.84(1H, d, J=12Hz), 4.81(1H, d, J=4.0Hz), 4.78(1H, d, J=12Hz), 4.74(1H, d, J=12Hz), 4.73(1H, d, J=12Hz), 4.68(1H, d, J=12Hz), 4.62(1H, d, J=12Hz), 4.58(1H, d, J=12Hz), 4.57(1H, d, J=12Hz), 4.48(1H, d, J=12Hz), 4.17(1H, dd, J=11, 5.0Hz), 4.09-4.03(3H, m), 3.99(1H, br t, J=6.5Hz), 3.96-3.88(1H, m), 3.90(1H, dd, J=10, 3.0Hz), 3.86(1H, br s), 3.74(1H, dd, J=8.0, 3.0Hz), 3.68(1H, dd, J=11, 3.0Hz), 3.59(1H, dt, J=8.0, 3.0Hz), 3.07-3.01(2H, m), 2.84(3H, s), 2.73(3H, s), 1.72-1.53(3H, m), 1.50-1.40(1H, m), 1.40-1.18(52H, m), 0.88(6H, t, J=7.0Hz) ppm.
HR-ESIMS: [M+Na]+(C79H117N3O10Na)에 대한 이론치: 1290.8637; 실험치: 1290.8606.
RCAI-150의 합성 및 정제 방법
화합물 13에서 RCAI-123으로의 변환과 같은 방법에 의해, 화합물 2"로부터 RCAI-150를 합성·정제했다.
화합물 RCAI-150의 물성치는 이하에 나타낸다.
Mp 140-142℃.
[α]D 27=+52.8(c=0.32, 피리딘).
IR(KBr): νmax=3480(br s), 3440(br m), 3350(br s), 1690(s, C=O), 1670(s, C=O), 1620(s, C=O), 1590(br m), 1215(m), 1080(br s, C-O) cm-1.
1H-NMR(500MHz, 피리딘-d5): δ=6.79(1H, t, J=5.5Hz), 6.70(1H, d, J=9.0Hz), 5.51(1H, d, J=4.0Hz), 5.12-5.08(1H, m), 4.81(1H, dd, J=11, 7.5Hz), 4.71(1H, dd, J=11, 5.0Hz), 4.61(1H, dd, J=10, 5.0Hz), 4.57(1H, dd, J=9.0, 3.5Hz), 4.41(1H, dd, J=7.0, 5.0Hz), 4.36(1H, dd, J=10, 3.5Hz), 4.30-4.22(4H, m), 3.52-3.39(2H, m), 2.81(6H, br s), 2.30-2.22(1H, m), 1.92-1.80(2H, m), 1.68-1.60(1H, m), 1.57(2H, quint., J=7.0Hz), 1.44-1.16(48H, m), 0.85(6H, t, J=7.0Hz) ppm.
HR-ESIMS: [M+Na]+(C44H87N3O10Na)에 대한 이론치: 840.6289; 실험치: 840.6276.
시험예 1: 카르바메이트 당지질의 생물 활성 시험
α-GalCer(KRN7000), RCAI-123, RCAI-124, RCAI-137, RCAI-138, RCAI-148, RCAI-149, RCAI-121, RCAI-122, RCAI-131, RCAI-132, RCAI-139, RCAI-140, RCAI-141 및 RCAI-150의 각각에 관해서, 1 mg/mL 농도의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용액을 조제했다. 1 마리의 마우스에 대해서 200 μL를 미정맥 내에 투여했을 때, 투여량이 100μg/kg체중이 되도록, 상기한 DMSO 용액을 0.5%의 tween 20(Bio-Rad)을 함유하는 인산 완충액(Invitrogen)을 이용하여 5배로 희석하고, 또 인산 완충액을 이용하여 20배로 희석했다.
1 그룹 3 마리의 C57BL/6 마우스에게, 조제한 RCAI-123, RCAI-124, RCAI-137, RCAI-138, RCAI-148, RCAI-149, RCAI-121, RCAI-122, RCAI-131, RCAI-132, RCAI-139, RCAI-140, RCAI-141 및 RCAI-150의 용액 200 μL를 각각 미정맥 내에 주사했다(1 마리당 약 2 μg 투여). 대조 물질로서 α-GalCer(KRN7000)를 이용하여, 같은 방법에 의해 투여량이 100 μg/kg체중이 되도록 조제한 α-GalCer(KRN7000) 용액 200 μL를 미정맥 내에 주사했다. 투여 직전 및 투여 후 1, 3, 6, 12, 24, 32, 48, 60 및 72 시간 경과 후의 혈액을 안와정맥총으로부터 80 μL 채취하여, 혈장을 조제했다.
RCAI-123의 투여 직전 및 투여 후의 혈장 중의 각 사이토카인의 함유량을, ELISA법의 하나인 CBA(Cytometric Bead Array) 시스템(BD Biosciences)으로 측정했다.
투여 직전 및 1, 3, 6, 12, 24, 32, 48, 60, 72 시간 경과 후의 혈장 중의 IFN-γ의 함유량의 측정 결과(평균치) 및 그 표준 편차(STDEV)를 도 1에 도시한다. 투여 직전 및 투여 후 3, 6, 12 시간 경과 후의 혈장 중의 IL-4의 함유량의 측정 결과(평균치) 및 그 표준 편차(STDEV)를 도 2에 도시한다. 투여 직전 및 투여 후 3, 6, 12 시간 경과 후의 혈장 중의 IL-12의 함유량의 측정 결과(평균치) 및 그 표준 편차(STDEV)를 도 3에 도시한다.
상기 결과로부터, RCAI-123은 α-GalCer(KRN7000)와 같은 정도의 IFN-γ의 산생을 유도하는 한편, α-GalCer(KRN7000)에 비해서 소량의 IL-4의 산생을 유도하므로, IFN-γ에 치우친 사이토카인 산생 유도 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α-GalCer(KRN7000)의 당 부분 6번 위치의 수산기를 카르바메이트 결합으로 변환함으로써, Th1형으로 치우친 사이토카인의 산생을 유도할 수 있는 신규 화합물이 개발되었다.
시험예 2: 카르바메이트 당지질을 펄스한 수지상 세포의 생물 활성 시험
(수지상 세포의 조제)
C57BL/6J 마우스 대퇴골로부터 골수 세포를 채취하여, 적혈구 용해 버퍼(SIGMA)로 용혈 후, 단핵구를 조제했다. 또한 인간 γ-글로불린(SIGMA)을 이용하여 Fcγ 수용체 양성 세포를 패닝법에 의해 제거하고, 미분화의 세포를 농축했다.
농축한 미분화 단핵구를 2.7×105/㎠ 밀도로 5 ng/mL 농도의 GM-CSF(R&D)를 포함하는 RPMI1640(10% FBS) 배지(Invitrogen)에서 37℃, 5% CO2의 조건 하에, 5일간 배양함으로써, CD11c 양성 수지상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로 분화 유도시켰다.
분화 유도한 세포로부터 원하는 CD11c 양성 수지상 세포를 회수하기 위해서, 세포를 400 μL의 RPMI1640(10% FBS)에 현탁하고, 100 μL의 CD11c microbeads(Milltenyi biotech)를 가하여, 4℃에서 15분간 항온 처리했다. MACS 버퍼로 세정한 후, LS 컬럼을 이용하여 포지티브 셀렉션에 의해 CD11c 양성인 수지상 세포를 회수했다.
회수한 수지상 세포는 3.1×105/㎠의 밀도로 100 ng/mL 농도의 당지질을 포함하는 RPMI1640(10% FBS) 배지에서 37℃, 5% CO2의 조건 하에, 24 시간 배양함으로써 당지질을 펄스했다. 당지질 용액의 조제는 처음에 1 mg/mL 농도의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용액을 조제했다. 이것을 0.5%의 tween 20(Bio-Rad)을 함유하는 인산 완충액(Invitrogen)을 이용하여 5배로 희석하고, 또한 인산 완충액을 이용하여 2배로 희석했다.
당지질을 펄스한 수지상 세포는, 인산 완충액으로 세정한 후, 2.5×106 개의 세포/mL 농도가 되도록 인산 완충액으로 조제하여, 200 μL 즉 5×105 개의 세포를 C57 BL/6 마우스의 미정맥 내에 주사했다(1 그룹 3 마리).
당지질로서는, RCAI-121, RCAI-122, RCAI-123, RCAI-124, RCAI-131, RCAI-132, RCAI-137, RCAI-138, RCAI-139, RCAI-140 및 RCAI-141의 카르바메이트 당지질을, 대조 물질로서 α-GalCer(KRN7000)를 이용했다.
투여 직전 및 투여 후 1, 3, 6, 12, 24, 32, 48, 60 및 72 시간 경과 후의 혈액을 안와정맥총으로부터 80 μL 채취하여, 혈장을 조제했다.
투여 직전 및 투여 후 1, 3, 6, 12, 24, 32, 48, 60, 72 시간 경과 후의 혈장 중의 IFN-γ의 함유량을, 샌드위치 ELISA법(ENDOGEN)에 의해 측정했다. IFN-γ 산생량의 측정 결과(평균치) 및 그 표준 편차(STDEV)를 도 4~도 6에 도시한다.
투여 직전 및 투여 후 1, 3, 6, 12, 24, 32, 48, 60, 72 시간 경과 후의 혈장 중의 IL-4의 함유량을 ELISA법의 하나인 CBA(Cytometric Bead Array system) 시스템(BD Biosciences)으로 측정했다. IL-4 산생량의 측정 결과(평균치) 및 그 표준 편차(STDEV)를 도 7~도 9에 도시한다.
투여 직전 및 투여 후 1, 3, 6, 12, 24, 32, 48, 60, 72 시간 경과 후의 혈장 중의 IL-12의 함유량을 CBA 시스템(BD Biosciences)으로 측정했다. IL-12 산생량의 측정 결과(평균치) 및 그 표준 편차(STDEV)를 도 10~도 12에 도시한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카르바메이트 당지질을 수지상 세포에 펄스하고, 그 펄스된 수지상 세포를 생체에 투여함으로써, 보다 강력한 IFN-γ 산생을 선택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서 개발된, 당 부분의 6번 위치의 수산기를 카르바메이트 결합으로 변환한 당지질은, 합성이 매우 용이한데다, KRN7000보다도 IFN-γ에 치우친 사이토카인의 산생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암 치료 및 아쥬반트 작용을 유도하는 데에 있어서 유효한 약제,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당지질을 수지상 세포에 펄스하여, 그 수지상 세포를 투여함으로써, IFN-γ 산생을 보다 증강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일본에서 출원된 특원 2012-101384(출원일 2012년 4월 26일)에 기초하고 있으며 이들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전부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17)

  1. 식(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 염:
    Figure pct00018

    식에서,
    X는 알킬렌기 또는 -NH-을 나타내고;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며, 수소 원자, 알킬기, 수산기, 알콕시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아릴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인접하는 질소 원자와 함께 5~6원 환을 형성하여도 좋고;
    R3은 탄소수 1~2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4는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X가 메틸렌 또는 -NH-인 화합물 또는 그 염.
  3. 제1항에 있어서, R1이 수소 원자, C1 ~6 알킬기, 수산기, C1 ~6 알콕시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C6 ~12 아릴기인 화합물 또는 그 염.
  4. 제1항에 있어서, R2가 수소 원자, C1 ~6 알킬기, 수산기, C1 ~6 알콕시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C6 ~12 아릴기인 화합물 또는 그 염.
  5. 제1항에 있어서, R1 및 R2가 인접하는 질소 원자와 함께 형성하여도 좋은 5~6원 환이, 5~6원의 함질소 포화 복소환인 화합물 또는 그 염.
  6. 제1항에 있어서, R3이 C1 ~20 알킬기, C2 ~20 알케닐기 또는 C2 ~20 알키닐기인 화합물 또는 그 염.
  7. 제1항에 있어서, R4가 C1 ~30 알킬기, C2 ~30 알케닐기 또는 C2 ~30 알키닐기인 화합물 또는 그 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의약.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선택적 IFN-γ 산생 유도제.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선택적 IFN-γ 산생 유도제로서, 수지상 세포에 펄스한 형태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IFN-γ 산생 유도제.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 염을 펄스한 인간 수지상 세포.
  12. 제11항에 기재된 인간 수지상 세포를 함유하는 선택적 IFN-γ 산생 유도제.
  13. 식(I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 염:
    Figure pct00019

    식에서,
    A1~A5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며, 수산기의 보호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며, 수소 원자, 알킬기, 수산기, 알콕시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아릴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인접하는 질소 원자와 함께 5~6원 환을 형성하여도 좋고;
    R3은 탄소수 1~2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14. 제13항에 있어서, R1 및 R2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며, 수소 원자, C1 ~6 알킬기, 수산기, C1 ~6 알콕시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C6 ~12 아릴기이거나, R1 및 R2가 인접하는 질소 원자와 함께 5~6원의 함질소 포화 복소환을 형성하여도 좋은 화합물 또는 그 염.
  15. 제13항에 있어서, R3이 C1 ~20 알킬기, C2 ~20 알케닐기 또는 C2 ~20 알키닐기인 화합물 또는 그 염.
  16.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 염의 유효량을, 그 투여가 필요한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선택적으로 IFN-γ의 산생을 유도하는 방법.
  17.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 염의 유효량을, 그 투여가 필요한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선택적으로 IFN-γ의 산생을 유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화합물 또는 그 염을 수지상 세포에 펄스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147033163A 2012-04-26 2013-04-26 신규 카르바메이트 당지질 및 그 용도 KR1020997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01384 2012-04-26
JPJP-P-2012-101384 2012-04-26
PCT/JP2013/062451 WO2013162016A1 (ja) 2012-04-26 2013-04-26 新規カルバメート糖脂質およびその用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783A true KR20150022783A (ko) 2015-03-04
KR102099764B1 KR102099764B1 (ko) 2020-04-10

Family

ID=49483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3163A KR102099764B1 (ko) 2012-04-26 2013-04-26 신규 카르바메이트 당지질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493497B2 (ko)
EP (1) EP2842961B1 (ko)
JP (1) JP6192120B2 (ko)
KR (1) KR102099764B1 (ko)
CN (1) CN104379592B (ko)
CA (1) CA2871584C (ko)
ES (1) ES2617510T3 (ko)
HK (1) HK1207648A1 (ko)
IL (1) IL235326B (ko)
MY (1) MY171201A (ko)
SG (1) SG11201406924UA (ko)
WO (1) WO20131620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1204A1 (en) * 2012-06-28 2014-01-03 Universiteit Gent Galactopyranosyl derivatives useful as medicaments
CN105461681A (zh) * 2014-09-05 2016-04-06 中国科学院生态环境研究中心 具有抗肿瘤活性的krn7000类似物及合成方法
CN106674297A (zh) * 2015-11-11 2017-05-17 中国科学院生态环境研究中心 具有抗癌活性的新型krn7000类似物及合成方法
SG11201809402VA (en) * 2016-04-28 2018-11-29 Riken Technology for efficient activation of nkt cells
US20210369862A1 (en) 2018-09-18 2021-12-02 Universiteit Gent Therapeutic nanoparticl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A3164257C (en) * 2020-01-10 2024-02-06 Didier Dubreuil New immunostimulators and use thereof in immunotherapy
JPWO2022102557A1 (ko) * 2020-11-12 2022-05-19
WO2023153527A1 (ja) * 2022-02-14 2023-08-17 国立研究開発法人理化学研究所 Nkt細胞リガンド含有リポソーム組成物
WO2023209103A1 (en) 2022-04-29 2023-11-02 Universiteit Gent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ections with intracellular bacteria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5769A (ja) 1989-09-20 1991-05-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再生装置
WO1998044928A1 (en) 1997-04-10 1998-10-15 Kirin Beer Kabushiki Kaisha NKT CELL ACTIVATORS CONTAINING α-GLYCOSYLCERAMIDES
KR20040094444A (ko) 2002-03-27 2004-11-09 신젠타 파티서페이션즈 아게 살균제로서 유용한 규소화된 페닐 아미드 유도체
KR20070023825A (ko) * 2004-08-27 2007-02-28 알버트 아인슈타인 컬리지 오브 메디신 오브 예쉬바 유니버시티 면역 및 자가면역의 조절제로서의 세라마이드 유도체
KR20070118234A (ko) 2007-09-20 2007-12-14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80926A (ko) 2007-03-02 2008-09-05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그레이톤 마스크의 결함 검사 방법 및 결함 검사 장치,포토마스크의 결함 검사 방법, 그레이톤 마스크의 제조방법 및 패턴 전사 방법
JP2009162385A (ja) 2005-02-17 2009-07-23 Shaft-Form-Engineering Gmbh 駆動シャフト及びそのための等速ジョイント
JP2009275483A (ja) 2008-05-19 2009-11-26 Toto Ltd 排水トラップ
WO2010023498A1 (en) 2007-08-29 2010-03-04 Wittycell S.A.S. Methods of enhancing adjuvanticity of vaccine compositions
KR20100040710A (ko) 2010-03-22 2010-04-20 임명환 골프 게임용 보조구 및 상기 골프 게임용 보조구를 이용한 골프 게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51518B2 (en) 2002-06-13 2009-07-02 New York University Synthetic C-glycolipid and its use for treating cancer infectious diseases and autoimmune diseases
WO2004094444A1 (en) 2003-03-20 2004-11-04 Brigham Young University 6'-amino-6'-deoxygalactosylceramides
BRPI0710668A2 (pt) 2006-04-07 2011-08-16 Scripps Res Insittute alfa-galactosil ceramidas modificadas para marcar e estimular células t matadoras naturais
EP1938836A1 (en) 2006-12-28 2008-07-02 Universite Rene Descartes (Paris V) Compositions comprising a B subunit of shiga toxin and a means stimulating NKT cells
EP2154243B1 (en) 2007-05-17 2016-01-13 ID Pharma Co., Ltd. Method for production of dendritic cell
DK2231145T3 (en) 2007-12-05 2014-12-08 Abivax Use of glycosylceramider for enhancing the immune response to antigen
US8383554B2 (en) 2008-04-14 2013-02-26 Academia Sinica Quantitative microarray of intact glycolipid CD1d interaction and correlation with cell-based cytokine production
MX338827B (es) 2008-10-08 2016-05-03 Vincent Serra Composicion de vacuna para uso contra influenza.
EP2532671B1 (en) * 2010-02-05 2014-09-17 Riken Novel synthetic glycolipid and use thereof
WO2014001204A1 (en) 2012-06-28 2014-01-03 Universiteit Gent Galactopyranosyl derivatives useful as medicaments
WO2014133106A1 (ja) 2013-02-27 2014-09-04 独立行政法人理化学研究所 アレルギー疾患治療薬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5769A (ja) 1989-09-20 1991-05-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再生装置
WO1998044928A1 (en) 1997-04-10 1998-10-15 Kirin Beer Kabushiki Kaisha NKT CELL ACTIVATORS CONTAINING α-GLYCOSYLCERAMIDES
KR20040094444A (ko) 2002-03-27 2004-11-09 신젠타 파티서페이션즈 아게 살균제로서 유용한 규소화된 페닐 아미드 유도체
KR20070023825A (ko) * 2004-08-27 2007-02-28 알버트 아인슈타인 컬리지 오브 메디신 오브 예쉬바 유니버시티 면역 및 자가면역의 조절제로서의 세라마이드 유도체
JP2009162385A (ja) 2005-02-17 2009-07-23 Shaft-Form-Engineering Gmbh 駆動シャフト及びそのための等速ジョイント
KR20080080926A (ko) 2007-03-02 2008-09-05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그레이톤 마스크의 결함 검사 방법 및 결함 검사 장치,포토마스크의 결함 검사 방법, 그레이톤 마스크의 제조방법 및 패턴 전사 방법
WO2010023498A1 (en) 2007-08-29 2010-03-04 Wittycell S.A.S. Methods of enhancing adjuvanticity of vaccine compositions
KR20070118234A (ko) 2007-09-20 2007-12-14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JP2009275483A (ja) 2008-05-19 2009-11-26 Toto Ltd 排水トラップ
KR20100040710A (ko) 2010-03-22 2010-04-20 임명환 골프 게임용 보조구 및 상기 골프 게임용 보조구를 이용한 골프 게임 방법

Non-Patent Citation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 문헌 1: Proc. Natl. Acad. Sci. USA 1998, 95, 5690-5693
비특허 문헌 10: Bioorg. Med. Chem. 2009, 17, 6360-6373
비특허 문헌 11: Tetrahedron Lett. 2008, 49, 6827-6830
비특허 문헌 12: J. Immunol. Method, 2006, 312, 34-39
비특허 문헌 13: J. Am. Chem. Soc., 2008, 130, 16468-16469
비특허 문헌 14: Proc. Natl. Acad. Sci. USA, 2010, 107, 13010-13015
비특허 문헌 15: J. Am. Chem. Soc., 2008, 130, 12348-12354
비특허 문헌 16: EMBO Journal, 2011, 30, 2294-2305
비특허 문헌 17: J. Org. Chem., 2011, 76, 320-323
비특허 문헌 18: Immunity 2009, 31, 60-71
비특허 문헌 19: Tetrahedron 2009, 65, 6390-6395
비특허 문헌 2: J. Immunol. 1995, 155, 2972-2983
비특허 문헌 20: Bioorg. Med. Chem. Lett. 2008, 18, 3052-3055
비특허 문헌 21: Nature Immunol., 2007, 8, 1105-1113
비특허 문헌 22: Org. Lett., 2002, 4, 1267-1270
비특허 문헌 3: J. Immunol. 1998, 161, 3271-3281
비특허 문헌 4: Science, 1997, 278, 1623-1626
비특허 문헌 5: Science, 1997, 278, 1626-1629
비특허 문헌 6: J. Med. Chem. 1995, 38, 2176-2187
비특허 문헌 7: J. Exp. Med. 2003, 198, 1631-1641
비특허 문헌 8: Immunology, 2009, 127, 216-225
비특허 문헌 9: Nature, 2007, 448, 44-4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92120B2 (ja) 2017-09-06
JPWO2013162016A1 (ja) 2015-12-24
US9493497B2 (en) 2016-11-15
CN104379592A (zh) 2015-02-25
MY171201A (en) 2019-10-01
CA2871584A1 (en) 2013-10-31
CA2871584C (en) 2020-06-30
WO2013162016A1 (ja) 2013-10-31
ES2617510T3 (es) 2017-06-19
KR102099764B1 (ko) 2020-04-10
US20150152128A1 (en) 2015-06-04
EP2842961A4 (en) 2015-10-07
HK1207648A1 (en) 2016-02-05
EP2842961B1 (en) 2016-12-14
EP2842961A1 (en) 2015-03-04
IL235326B (en) 2018-01-31
SG11201406924UA (en) 2014-11-27
CN104379592B (zh) 2017-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9764B1 (ko) 신규 카르바메이트 당지질 및 그 용도
JP5561700B2 (ja) 新規糖脂質及びその用途
US5767092A (en) Treatment of radiation-damaged bone marrow using galactosyl ceramides
JP5669215B2 (ja) 新規合成糖脂質およびその用途
JP5126684B2 (ja) 新規糖脂質及びその用途
JP5504891B2 (ja) 新規擬似糖脂質及びその用途
KR20050062551A (ko) α-글리코실세라미드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억제제
JP5574432B2 (ja) エステル化α−ガラクトシルセラミド類
WO2014133106A1 (ja) アレルギー疾患治療薬
JP6233890B2 (ja) 水酸化krn7000類縁体及びそ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