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2738A - 낚시용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2738A
KR20150022738A KR20147005729A KR20147005729A KR20150022738A KR 20150022738 A KR20150022738 A KR 20150022738A KR 20147005729 A KR20147005729 A KR 20147005729A KR 20147005729 A KR20147005729 A KR 20147005729A KR 20150022738 A KR20150022738 A KR 20150022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line guide
fishing
spool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05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8897B1 (ko
Inventor
교이치 가네코
와타루 즈츠미
유우이치 우메자와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21952A external-priority patent/JP552556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37999A external-priority patent/JP5890753B2/ja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2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912Drive mechanism details with level wind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낚시용 릴은 릴 본체(2)의 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5A)과, 스풀(5A)로부터 조출되는 낚싯줄을 삽입 관통시킴과 함께, 좌우 측판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는 낚싯줄 안내체(60)를 구비한 레벨 와인드 장치(50)를 갖는다. 낚싯줄 안내체(60)는 스풀 전방에서 낚싯줄 권취 상태와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전환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낚싯줄 권취 상태에서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하는 좌우 방향으로 폭이 좁은 낚싯줄 안내부(67)와,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낚싯줄의 방출 저항을 경감시키는 좌우 방향으로 폭이 넓은 개구부(68)와, 낚싯줄 권취 상태에서 낚싯줄을 낚싯줄 안내부로부터 이탈시키지 않는 규제부(69)를 갖는다.

Description

낚시용 릴{FISHING REEL}
본 발명은 스풀 전방의 측판 사이에, 스풀에 낚싯줄을 평행하게 권회 안내하는 낚싯줄 안내체를 구비한 낚시용 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양 베어링형 타입의 낚시용 릴에는 좌우 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에 대해 낚싯줄을 균등하게 권회하도록, 레벨 와인드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이 레벨 와인드 장치는 한쪽의 측판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핸들의 권취 조작에 연동하여, 스풀 전방에서 좌우로 왕복 이동하는 낚싯줄 안내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낚싯줄 안내체에 낚싯줄이 삽입 관통됨으로써, 스풀에 대해 낚싯줄을 평행하게 권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낚싯줄 안내체는, 예를 들어 장치를 캐스팅할 때, 낚싯줄이 접촉하여 저항으로 되어 버려, 장치의 비거리를 저하시켜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낚싯줄 안내체의 상부를, 좌우 방향으로 가로로 긴 형상으로 하여 낚싯줄 방출 시에 있어서의 낚싯줄 방출부로 하고, 낚싯줄 안내체의 하부를, 중앙이 폭이 좁은 낚싯줄 안내용 홈부로 하고 낚싯줄 권취 시에 있어서의 낚싯줄 안내부로 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낚싯줄 안내체의 후방에, 클러치의 전환 조작에 연동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필러를 배치하고 있고,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는 필러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낚싯줄을 낚싯줄 방출부에 위치시켜 줄 저항을 경감시키고, 낚싯줄 권취 상태에서는 필러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낚싯줄을 폭이 좁은 홈부로 안내하여, 스풀에 권회되는 줄 권취 상태를 향상시키고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2-70683호
그러나, 상기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낚시용 릴은 좌우 측판 사이에 배치되는 필러를 상하 이동시켜 낚싯줄 경로를 제어하는 구성이므로, 구조가 복잡해지기 쉽고, 필러 부재가 필요해지므로, 비용이 높아져 버린다. 또한, 낚싯줄 안내체의 후방에 필러를 배치하는 구성이므로, 릴 본체의 전후 방향이 대형화되기 쉬워진다.
또한, 드래그력을 강하게 설정한 상황 하에 있어서, 낚싯줄이 인출될 경우, 스풀에 권회되어 있는 낚싯줄의 방출 위치와 낚싯줄 안내체의 위치가, 좌우로 크게 어긋나 있는 경우가 있다. 통상, 낚싯줄 안내체는, 낚싯줄 방출 시에는, 스풀의 회전 저항을 경감시키기 위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권취/캐스팅의 반복에 의해 낚싯줄 안내체가 좌우 방향의 한쪽의 단부에서 정지하고, 또한 스풀로부터 방출되는 낚싯줄이 다른 쪽의 단부에 위치한 상태(낚싯줄 안내체와 스풀에 권회되는 낚싯줄이 좌우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 있는 상태)로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어긋남이 발생하고 있는 위치 관계에 있어서, 고부하에서 낚싯줄이 인출되면, 낚싯줄은 낚싯줄 안내체의 내면(폭이 좁은 홈부의 내면)을 비비는 상태로 인출되어 버린다. 즉, 낚싯줄은 폭이 좁은 홈부의 내면으로 안내되면서 상방으로 이동하고, 또한 상기 필러를 밀어올리도록 하여 폭이 좁은 홈부로부터 빠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낚싯줄이 홈부로부터 빠진 상태(가로로 긴 형상의 낚싯줄 삽입 관통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낚싯줄을 권취 조작하면, 권취 개시의 낚싯줄의 상태가 안정되지 않아, 부분적으로 겹친 상태에서 스풀에 권취되어 버려, 권취 상태가 나빠져 버린다.
이 결과, 다음의 낚싯줄 방출 시에는 치우쳐 권취된 부분이 방출 저항으로 되어 버려, 비거리가 저하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폭이 좁은 홈부로부터 상방으로 빠져나오려고 하는 낚싯줄에는 필러에 의한 압박이 강하게 작용하여 굴곡 상태로 되므로, 낚싯줄로의 손상이 강해져, 줄 수명을 저하시켜 버림과 함께, 필러 근방의 낚싯줄 안내체에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낚싯줄의 방출 저항을 작게 할 수 있어, 릴 본체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콤팩트화하는 것이 가능한 낚싯줄 안내체를 구비한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낚싯줄 권취 시의 안정화가 도모됨과 함께, 낚싯줄에 대한 손상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낚싯줄 안내체를 구비한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낚시용 릴은 릴 본체의 좌우 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과, 상기 스풀로부터 조출되는 낚싯줄을 삽입 관통시킴과 함께, 상기 좌우 측판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는 낚싯줄 안내체를 구비한 레벨 와인드 장치를 갖고 있고, 상기 낚싯줄 안내체는 상기 스풀 전방에서 낚싯줄 권취 상태와 낚싯줄 방출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낚싯줄 권취 상태에서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하는 좌우 방향으로 폭이 좁은 낚싯줄 안내부와,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낚싯줄의 방출 저항을 경감시키는 좌우 방향으로 폭이 넓은 낚싯줄 방출부와, 낚싯줄 권취 상태에서 낚싯줄을 상기 낚싯줄 안내부로부터 이탈시키지 않는 규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낚시용 릴에 따르면, 레벨 와인드 장치를 구성하는 낚싯줄 안내체가, 좌우 방향으로 폭이 좁은 낚싯줄 안내부와, 좌우 방향으로 폭이 넓은 낚싯줄 방출부와, 낚싯줄 권취 상태에서 낚싯줄을 낚싯줄 안내부로부터 이탈시키지 않도록 하는 규제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낚싯줄 안내체는 스풀 전방에서, 낚싯줄 권취 상태와 낚싯줄 방출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고, 낚싯줄 권취 상태로 전환되면, 낚싯줄은 폭이 좁은 낚싯줄 안내부로 안내됨과 함께, 규제부에 의해 낚싯줄 안내부로부터 이탈하는 일 없이, 낚싯줄 안내부에 의한 안내에 의해 스풀에 대해 균등하게 권회된다. 또한, 낚싯줄 안내체가 낚싯줄 방출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규제부에 의한 규제가 해제되고, 낚싯줄은 폭이 넓은 낚싯줄 방출부로 이동하여, 낚싯줄을 방출할 때의 방출 저항의 경감이 도모된다. 즉, 낚싯줄 안내체를 스풀 전방에서 낚싯줄 방출 상태와 낚싯줄 권취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하고, 낚싯줄 안내부에, 폭이 좁은 낚싯줄 안내부, 폭이 넓은 낚싯줄 방출부 및 낚싯줄 권취 상태에서 낚싯줄을 낚싯줄 안내부로부터 이탈시키지 않도록 하는 규제부를 설치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좌우 측판 사이에 상하 이동하는 필러를 설치하여 낚싯줄 경로를 제어할 필요가 없어져, 구조의 간소화 및 부품 개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낚싯줄 안내체의 후방에 필러를 배치하는 일도 없으므로, 릴 본체의 전후 방향을 콤팩트화할 수 있고, 또한 낚싯줄 안내체의 형상만으로 낚싯줄 경로를 제어하므로, 낚싯줄 방출부의 형상을 크게 하는 것이 용이해져, 낚싯줄에 대한 방출 저항을 보다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낚싯줄 안내체는 낚싯줄 방출 상태와 낚싯줄 권취 상태 사이에서, 낚싯줄 안내체의 낚싯줄에 대한 위치가 변화되고,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는 낚싯줄이 폭이 넓은 낚싯줄 방출부에 위치하고, 낚싯줄 권취 상태에서는 규제부에 의해 규제되어 낚싯줄이 폭이 좁은 낚싯줄 안내부에 위치하도록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이로 인해, 낚싯줄 안내체는 양자 사이에서 회전하여 전환되거나, 직선적으로 이동하여 전환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낚시용 릴은 릴 본체의 좌우 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과, 상기 스풀로부터 조출되는 낚싯줄을 삽입 관통시킴과 함께, 상기 좌우 측판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는 낚싯줄 안내체를 구비한 레벨 와인드 장치를 갖고 있고, 상기 낚싯줄 안내체는 낚싯줄 권취 상태에서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하는 좌우 방향으로 폭이 좁은 낚싯줄 안내부와,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낚싯줄의 방출 저항을 경감시키는 좌우 방향으로 폭이 넓은 낚싯줄 방출부와, 낚싯줄이 조출되었을 때, 상기 폭이 좁은 낚싯줄 안내부로부터 상기 폭이 넓은 낚싯줄 방출부로의 낚싯줄의 빠짐을 규제하는 줄 빠짐 방지 규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낚시용 릴에 따르면, 드래그력이 강하게 설정되어 있는 상황 하에서 낚싯줄이 인출되는 경우, 스풀에 권회되어 있는 낚싯줄의 방출 위치와 낚싯줄 안내체의 위치가, 좌우로 크게 어긋나 있어도, 줄 빠짐 방지 규제부에 의해, 낚싯줄은 낚싯줄 안내체의 폭이 좁은 낚싯줄 안내부(홈부)로부터 폭이 넓은 낚싯줄 삽입 관통부로 이동하는 것(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즉, 고부하에서 낚싯줄이 인출되어도, 낚싯줄은 폭이 넓은 낚싯줄 방출부로 이동하는 일은 없으므로, 낚싯줄을 권취할 때에는, 낚싯줄은 폭이 좁은 낚싯줄 안내부를 통해 스풀에 권회되게 되고, 권취 개시 시에 치우친 상태로 권회되는 일은 없다. 또한, 낚싯줄은 폭이 넓은 낚싯줄 방출부로 빠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낚싯줄에 대해 필러 등에 의한 압박이 강하게 작용하는 일이 없어져, 낚싯줄에 대해 손상을 부여하거나, 낚싯줄 안내체에 손상을 발생시키는 일도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고 낚싯줄의 방출 저항을 작게 할 수 있고, 릴 본체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콤팩트화하는 것이 가능한 낚싯줄 안내체를 구비한 낚시용 릴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낚싯줄이 인출되었을 때, 낚싯줄이 폭이 좁은 홈부(낚싯줄 안내부)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낚싯줄 권취 시의 안정화가 도모됨과 함께, 낚싯줄에 대한 손상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낚시용 릴을 도시하고, 낚싯줄 안내체 부분을 노출시킨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 클러치 기구의 동력 전달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클러치 ON 상태).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 클러치 기구의 동력 전달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클러치 OFF 상태).
도 4는 클러치 플레이트와 낚싯줄 안내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플레이트의 연결 부분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낚시용 릴의 A-A선을 따른 단면도로, 낚싯줄 안내체가 낚싯줄 권취 상태(클러치 ON 상태)에 있을 때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낚시용 릴의 A-A선을 따른 단면도로, 낚싯줄 안내체가 낚싯줄 방출 상태(클러치 OFF 상태)에 있을 때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낚싯줄 안내체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클러치 ON 상태).
도 8은 도 7에 도시하는 낚싯줄 안내체의 정면도.
도 9는 낚싯줄 안내체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클러치 OFF 상태).
도 10은 도 9에 도시하는 낚싯줄 안내체의 정면도.
도 11은 스풀의 낚싯줄 방출 위치와 낚싯줄 안내체가 어긋난 관계일 때의 낚싯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3은 스풀의 낚싯줄 방출 위치와 낚싯줄 안내체가 어긋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B-B선을 따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관한 낚시용 릴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하는 낚시용 릴의 정면도.
도 17은 스풀의 낚싯줄 방출 위치와 낚싯줄 안내체가 어긋난 관계일 때의 낚싯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9는 스풀의 낚싯줄 방출 위치와 낚싯줄 안내체가 어긋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C-C선을 따른 단면도.
도 21의 (a)는 낚싯줄 안내체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b)는 낚싯줄 안내체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낚시용 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낚시용 릴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은 낚싯줄 안내체 부분을 노출시킨 평면도, 도 2는 클러치 기구의 동력 전달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클러치 ON 상태), 그리고, 도 3은 클러치 기구의 동력 전달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클러치 OFF 상태)이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은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내는 방향으로 정의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은 좌우의 프레임(2a, 2b)을 좌우 커버(3a, 3b)로 덮은 좌우 측판(1A, 1B)을 구비한 릴 본체(1)를 갖고 있다. 상기 릴 본체에는 좌우 측판 사이에 위치하고, 도시하지 않은 낚시대에 장착되는 릴 다리(1C)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우의 프레임(2a, 2b) 사이에는 스풀축(5)이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스풀축(5)에는 낚싯줄이 권회되는 스풀(5A)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우 측판 사이에는 스풀(5A)에 대해 상방측에, 손가락을 적재 가능한 섬 레스트(1D)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스풀(5A)을 회전 구동하는 핸들(8)을 우측판(1B)에 설치하고 있고, 우측 프레임(2b)과 우측 커버(3b) 사이의 공간에는 핸들(8)의 회전 구동력을 스풀축(5)에 전달하는 공지의 동력 전달 기구(1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우측 프레임(2b)과 우측 커버(3b) 사이에는 스풀축(5)을 동력 전달 상태와 동력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공지의 클러치 기구(20)가 배치되어 있다. 이 클러치 기구(20)는 스풀(5A)의 후방측의 좌우 측판 사이에 배치된 클러치 전환 조작 부재(이하, 조작 부재라고 칭함)(21)를 밀어내기 조작함으로써, 클러치 ON 상태(동력 전달 상태이고, 낚싯줄 권취 상태)로부터 OFF 상태(동력 차단 상태이고, 낚싯줄 방출 상태)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OFF 상태로부터 클러치 ON 상태로의 복귀는 후술하는 자동 복귀 기구(30)에 의해 핸들(8)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좌우의 측판(1A, 1B) 사이에는 스풀(5A)의 낚싯줄 조출 방향측에, 레벨 와인드 장치(50)가 배치되어 있다. 이 레벨 와인드 장치(50)는 상기 핸들(8)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낚싯줄을 삽입 관통하는 낚싯줄 안내체(60)가 좌우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낚싯줄의 권취 조작에 수반하여, 스풀(5A)에 대해 낚싯줄을 균등하게 권회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구동력 전달 기구(10)는 핸들(8)이 고정된 핸들축(8a)에 드래그 기구(15)와 관련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구동 기어(11)와, 이 구동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1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피니언(12)은 스풀축(5)[스풀축(5)과 동축 상에 배치된 별체의 축이어도 됨]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12)의 외주에는 원주 홈(12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원주 홈(12a)에, 후술하는 클러치 기구(20)의 요크(22)가 걸림 결합하여, 피니언(12)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피니언(12)이 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스풀축(5) 사이에서 결합 분리가 이루어지고, 동력 전달 상태(클러치 ON)/동력 차단 상태(클러치 OFF)의 전환이 이루어진다.
상기 드래그 기구(15)는, 공지와 같이, 핸들축(8a)에 구동 기어(11)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고, 여기에 마찰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접촉시켜, 핸들축(8a)에 장착된 조작 부재(15A)를 회전함으로써, 원하는 드래그력을 발생시킨다. 즉, 낚싯줄이 조출되었을 때에, 스풀의 회전에 원하는 제동력을 부여한다.
상기 클러치 기구(20)는 우측 프레임(2b)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분류 스프링(23)에 의해, 도 2에 도시하는 동력 전달 상태(클러치 ON 상태)와, 도 3에 도시하는 동력 차단 상태(클러치 OFF 상태)로 분류하여 보유 지지되는 클러치 플레이트(25)를 구비하고 있다. 이 클러치 플레이트(25)는 우측 프레임(2b)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연결 구멍(2d)을 통해 상기 조작 부재(21)와 연결되어 있고, 클러치 플레이트(25)에 형성된 긴 구멍(25a)에, 우측 프레임(2b)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핀(2e)이 삽입되어, 그 회전 구동이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25)의 표면에는 상기 피니언(12)의 원주 홈(12a)에 걸림 결합한 요크(22)와 걸림 결합 가능한 한 쌍의 캠면(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크(22)의 선단측은 우측 프레임(2b)에 돌출 설치된 지지 핀(27)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있고, 요크(22)는 각 지지 핀에 배치된 스프링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시, 클러치 플레이트(25)측으로 가압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는 요크(22)가 스프링 부재에 의해 클러치 플레이트(25)측으로 가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이때, 피니언(12)은 스풀축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 결합부에 끼워 맞추어 클러치 ON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25)는 조작 부재(21)가, 도 2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압하 조작되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캠면(26) 및 요크(22)를 통해, 피니언(12)을 스풀축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 결합부로부터 이탈시키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OFF 상태로 전환한다. 또한, 이 상태는 상기 분류 스프링(23)에 의해 보유 지지된다.
또한,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25)에는 클러치를 OFF 상태로부터 ON 상태로 하는 자동 복귀 기구(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자동 복귀 기구(30)는 클러치 플레이트에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킥 부재(31)와, 상기 핸들축(8a)에 회전 방지 고정되는 래칫(32)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킥 부재(31)는 클러치 ON으로부터 클러치 OFF로 전환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칫(32)의 회전 궤적 내에 침입하도록 배치,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클러치 OFF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핸들(8)을 권취 조작하면, 래칫(32)의 회전에 의해, 킥 부재(31)는 킥되어, 자동적으로 클러치 플레이트(25)를 클러치 ON 상태의 위치로 복귀시키고, 분류 스프링(23)의 스프링력으로 보유 지지된다. 또한, 클러치의 복귀는 조작 부재(21)를 밀어올려 조작해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스풀(5A)의 전방측의 좌우 측판 사이에는 상기 레벨 와인드 장치(50)가 배치되어 있다. 이하, 레벨 와인드 장치(50)의 구성에 대해, 도 4로부터 도 10을 더불어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들 도면에 있어서, 도 4는 클러치 플레이트와 낚싯줄 안내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플레이트의 연결 부분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낚시용 릴의 A-A선을 따른 단면도로, 낚싯줄 안내체가 낚싯줄 권취 상태(클러치 ON 상태)에 있을 때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낚싯줄 안내체가 낚싯줄 방출 상태(클러치 OFF 상태)에 있을 때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낚싯줄 안내체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클러치 ON 상태), 도 8은 도 7에 도시하는 낚싯줄 안내체의 정면도, 도 9는 낚싯줄 안내체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클러치 OFF 상태), 그리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하는 낚싯줄 안내체의 정면도이다.
상기 레벨 와인드 장치(50)는 스풀(5A)에 권회된 낚싯줄 S를 삽입 관통시키는 낚싯줄 안내체(6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낚싯줄 안내체(60)는 베어링(52)(도 4 참조)을 통해 좌우 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구동력 전달 기구(1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구동되는 나사축(웜 샤프트)(51)에 의해 좌우 왕복 구동된다. 즉, 상기 나사축(51)의 우측 프레임측에는 상기 핸들축(8a)에 장착된 구동 기어(11)와 인접하여 배치되어, 핸들축(8a)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연결 기어(도시하지 않음)에 맞물리는 입력 기어(5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나사축(51)은 연결 기어 및 입력 기어(53)를 통해 핸들(8)의 회전 구동과 동기하여 회전 구동된다.
상기 나사축(51)은 좌우 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는 관상체(통체)(55) 내에 수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관상체(55)의 외면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55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축(51)의 표면에 형성된 나선 홈(51a)을 축방향을 따라서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낚싯줄 S를 삽입 관통시키는 낚싯줄 안내체(60)는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와 보유 지지부(60B)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보유 지지부(60B)는 상기 관상체(55)를 포위하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유 지지부(60B)는 그 내부에, 상기 긴 구멍(55a)을 통해 나선 홈(51a)과 걸림 결합하는 미끄럼 이동자(61)를 보유 지지하고 있다. 이 미끄럼 이동자(61)는 캡 너트(62)에 의해, 상기 보유 지지부(60B)에 대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낚싯줄 안내체(60)는 나사축(51)의 회전에 의해, 나선 홈(51a)과 미끄럼 이동자(61)의 걸림 결합 관계에 의해,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관상체(55)의 주위를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 방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는 상기 관상체(55)의 외주에,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회전 방지부(55b)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회전 방지부(55b)에 대해, 보유 지지부(60B)의 걸림 결합부(64)를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회전 방지를 이루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전 방지부(55b)는 관상체(55)의 외주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80° 간격으로 한 쌍 설치되어 있음)로서 구성되어 있고, 걸림 결합부(64)는 그와 같은 돌기에 들어가는 오목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나사축(51)을 수용하는 관상체(55)에 회전 방지부(55b)를 일체 형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낚싯줄 안내체(60)를 회전 방지하는 가이드축을 배치할 필요가 없어져, 레벨 와인드 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낚싯줄 안내체(60)는 상기 나사축(51)이 회전 구동되면, 미끄럼 이동자(61)를 통해 좌우 측판 사이에서 왕복 구동된다. 본 실시 형태의 낚싯줄 안내체(60)는 상기 클러치 기구(20)의 ON/OFF에 연동하여 낚싯줄 권취 상태와 낚싯줄 방출 상태 사이에서 회전하여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낚싯줄 안내체(60)의 회전 구동에 대해서는, 상기 관상체(55)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여기서, 클러치 기구(20)로부터 관상체(55)로의 동력 전달 경로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25)에는 릴 본체의 전방측을 향해 돌출된 돌기(25b)가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에는 우측 프레임측을 향해 돌출된 걸림 결합 돌기(25c)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우측 프레임(2b)에는 상기 나사축(51)이 지지되는 부분에 회전 플레이트(59)가 보유 지지되어 있고, 상기 관상체(55)는 우측 프레임(2b)의 내면측에 있어서, 회전 플레이트(59)와 회전 방지 고정되어 있다. 즉, 회전 플레이트(59)에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59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59a)에, 관상체(55)의 단부에 형성된 오목부(55c)가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양자는 우측 프레임(2b)의 내면측에서 고정된 상태(일체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회전 플레이트(59)는 상기 나사축(5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52)의 외륜과 우측 프레임(2b)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 플레이트(59)에는 우측 프레임(2b)의 외면측을 따라서,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25)의 돌기(25b)와 걸림 결합하는 연결편(59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편(59b)에는 긴 구멍(59c)이 형성되어 있고, 이 긴 구멍(59c)에,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25)의 돌기(25b)의 걸림 결합 돌기(25c)가 헐겁게 삽입됨으로써, 회전 플레이트(59)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플레이트(25)의 회전에 수반하여 나사축(51)의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회전 플레이트(59)는 분류 스프링(23)에 의해, 낚싯줄 권취 상태와 낚싯줄 방출 상태 사이에서 분류되어 보유 지지되는 클러치 플레이트(25)와 함께, 2개의 위치에서 전환된다.
상기 낚싯줄 안내체(60)는 회전 플레이트(59)를 통해, 관상체(55)가 회전 구동됨으로써, 스풀의 전방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여기서, 낚싯줄 안내체(60)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낚싯줄 안내체(60)는 스풀(5A)로부터의 낚싯줄을 삽입 관통시키는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를 구비하고 있다.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는 SUS, 티타늄 등의 낚싯줄 저항이 적은 재료에 의한 프레임체(60F)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유 지지부(60B)와 함께 일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는 좌우 방향으로 폭이 좁게(가는 홈 형상) 된 낚싯줄 안내부(67)와, 그 낚싯줄 안내부(67)의 상방측에서, 대략 대칭이 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넓어지는 폭이 넓은 낚싯줄 방출부(68)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낚싯줄 방출부(68)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줄 방출 상태로 되었을 때의 정면도(삽입 관통되는 낚싯줄 S를 따라서 전방으로부터 본 정면도)이고, 좌우 방향으로 넓어지는 대략 타원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양 사이드벽은 낚싯줄 방출부(68)의 대략 중앙의 하부에 형성되는 낚싯줄 안내부(67)를 향해 경사져 낚싯줄 S를 안내하는 경사 안내면(68a)으로 되어 있다.
상기 낚싯줄 방출부(68)를 갖는 프레임체(60F)는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진 상태(후방측을 향해 점차 상승하는 형상)로 되어 있고, 낚싯줄 방출부(68)를 규정하는 상부벽(68b)은,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는 전후 방향을 따른 상태로 되어(도 6 및 도 9 참조), 가능한 한 넓은 낚싯줄 방출부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상부벽(68b)의 후단부 테두리(69)는 낚싯줄 방출 상태로부터 낚싯줄 권취 상태로 회전했을 때, 낚싯줄 방출부(68) 내에 삽입 관통되어 있는 낚싯줄 S에 대해 상측으로부터 접촉할 수 있는 위치 관계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상부벽(68b)의 후단부 테두리(69)는 낚싯줄 S를 규제하는 규제부로서의 기능을 갖는다[이하, 후단부 테두리를 규제부(69)라고 칭함].
상기 규제부(69)는 프레임체(60F)로서 일체 형성되는 부분이고, 낚싯줄 안내체(60)가 상기 클러치 기구(20)에 연동하여, 낚싯줄 방출 상태로부터 낚싯줄 권취 상태로 회전한 상태에서 정면에서 보았을 때(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줄 S를 따라서 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낚싯줄 안내부(67)의 상하 길이 L의 범위 내가 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으면 된다. 즉, 이와 같은 배치 관계로 되어 있으면, 낚싯줄 안내체(60)가, 낚싯줄 방출 상태로부터 낚싯줄 권취 상태로 회전하면, 낚싯줄 방출부(68)의 어느 하나의 부분에 위치하는 낚싯줄 S는 규제부(69)에 의해 가압되고, 경사 안내면(68a)을 따라서 확실히 낚싯줄 안내부(67)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은 위치 관계로 되어 있으면, 낚싯줄 권취 상태에서, 낚싯줄 S를 확실히 낚싯줄 안내부(67)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규제부(69)에 대해서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낚싯줄 안내체(60)를 회전 구동하는 것이면, 회전 축심[나사축(51)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나 관상체(55)의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서 낚싯줄을 하방으로 시프트시키는 거리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으므로, 평탄 형상으로 된 프레임체(60F)의 상부벽(68b)의 후단부 테두리로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즉, 규제부에 대해서는,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를 구성하는 프레임체(60F)의 어느 하나의 부분을 굴곡 형성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고, 그 형상에 대해서는 적절히 변형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좌우 방향으로 폭이 좁아진 낚싯줄 안내부(67)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곳에 들어간 낚싯줄 S의 좌우 방향의 요동을 방지하여, 스풀(5A)에 대해, 안정적으로 낚싯줄을 평행 권취하는 기능(줄 권취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낚싯줄 안내부(67)를 형성하는 양 벽(67a)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미끄럼 이동자(61)를 고정하는 캡 너트(62)의 상방을 덮도록 연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낚싯줄 안내부(67)에 들어가 있는 낚싯줄이, 상기 캡 너트(62)의 부분에서 얽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낚싯줄 안내부(67)의 저면(67c)은, 도 5에 도시하는 낚싯줄 권취 상태에 있어서, 전방을 향해 점차 하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저면 형상으로 함으로써, 스풀로부터 경사진 상태에서 조출되는 낚싯줄과의 마찰 저항의 저감이 도모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의 낚싯줄 안내체(60)에는 낚싯줄 S가 조출되었을 때, 상기 폭이 좁은 낚싯줄 안내부(67)로부터 상기 폭이 넓은 낚싯줄 방출부(68)로의 낚싯줄의 빠짐을 규제하는 줄 빠짐 방지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줄 빠짐 방지 규제부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통상, 캐스팅용의 낚시용 릴에서는, 낚싯줄 방출 시에, 스풀(5A)의 회전 저항을 경감시키기 위해, 낚싯줄 안내체(60)를 좌우로 미끄럼 이동시키지 않도록 하고 있다. 즉, 낚싯줄 안내체(60)를 미끄럼 이동시키면, 스풀(5A)의 회전에, 레벨 와인드 장치측으로부터의 회전 부하가 작용하여 회전성을 저하시켜 비거리 저하의 요인이 되므로, 스풀의 프리 회전 시에는, 낚싯줄 안내체(60)는 동기하여 좌우로 왕복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경우에 따라서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줄 안내체(60)가 좌우 방향의 한쪽의 단부에서 정지한 상태에 있고, 또한 스풀(5A)로부터의 낚싯줄의 방출 위치가 다른 쪽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위치 관계에서, 상기 드래그 기구(15)의 드래그력을 강하게 설정한 상황 하에서, 낚싯줄 S에 고부하의 인출력이 작용하면, 낚싯줄 S는 낚싯줄 안내체(60)의 측면, 즉 낚싯줄이 들어가 있는 낚싯줄 안내부(폭이 좁은 홈부)(67)의 양 벽(67a)이 대향하는 내면(67d)을 비비는 상태로 인출되게 된다.
이때, 낚싯줄 S는, 도 11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내면(67d)으로 안내되면서 상방으로 이동하고, 또한 상기 규제부(69)에 강하게 대어져[규제부(69)를 밀어올리고자 하는 강한 힘이 작용함] 낚싯줄 안내부(67)로부터 빠지려고 한다. 그리고, 실제로, 낚싯줄이 낚싯줄 방출부(68)로 이동해 버려, 이 상태에서 낚싯줄의 권취 조작을 행하면, 스풀(5A)에 권취 개시의 낚싯줄의 상태가 안정되지 않게 되고, 부분적으로 겹친 상태에서 스풀에 권취되어 버려 줄 권취가 나빠져 버린다. 이 결과, 다음의 낚싯줄 방출 시에 있어서, 치우쳐 권취된 부분이 방출 저항으로 되어 비거리가 저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위치 관계에서 낚싯줄 S에 고부하의 인출력이 작용해도, 낚싯줄 안내체에 줄 빠짐 방지 규제부를 설치함으로써, 낚싯줄 S가 간단히 폭이 좁은 낚싯줄 안내부(67)로부터 빠져 폭이 넓은 낚싯줄 삽입 관통부(68)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줄 빠짐 방지 규제부(7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줄 안내체(60) 중, 스풀측에 면하는 단부면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경사 안내면(68a)의 하부 테두리(68a')의 스풀측의 후방 테두리(68a") 부분에 단차가 생기게 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 단차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테두리(68a')의 스풀측의 후방 테두리(68a")를 정점으로 하여 스풀측에 면하고 있고, 이 단차를, 전방을 향해 하강 경사지는 경사면(줄 걸림면이라고 칭함)(71)으로 함으로써, 줄 빠짐 방지 규제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로 인해, 낚싯줄 안내체(60)와 스풀(5A)의 낚싯줄 방출 위치가 도 11 및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관계로 되어도, 줄 걸림면(71)에 의해, 드래그 인출에 있어서, 낚싯줄 S가 경사 안내면(68a)을 따라서 낚싯줄 삽입 관통부(68)로 이동하는 일은 없다.
또한, 이와 같은 줄 빠짐 방지 규제부(70)[줄 걸림면(71)]는 폭이 좁은 낚싯줄 안내부(67)의 양 벽(67a)에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낚시용 릴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하는 클러치 ON 상태에 있어서, 스풀(5A)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조작 부재(21)를 밀어내기 조작하면, 상기 클러치 기구(20)를 구성하는 클러치 플레이트(2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분류 스프링(23)에 의해, 도 3에 도시하는 상태로 보유 지지된다. 이때, 클러치 플레이트(25)의 표면에 형성된 캠면(26)이 요크(22)를 축방향으로 시프트시켜, 피니언(12)을 스풀축(5)으로부터 이탈시킨다(클러치 OFF 상태). 또한, 이 조작에 의한 클러치 플레이트(25)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회전 플레이트(59)는 나사축(51)의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이것에 회전 방지되어 있는 관상체(55)는, 도 2(도 5)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도 3(도 6)에 도시하는 위치로 회전된다.
따라서, 낚싯줄 안내체(60)는 관상체(55)에 보유 지지되어 있으므로, 도 5(도 7, 도 8)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 6(도 9,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회전된 낚싯줄 안내체(60)는 스풀(5A)이 프리 회전 가능한 상태(낚싯줄 방출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낚싯줄 안내부(67)에 들어가 있는 낚싯줄 S는 규제부(69)에 의한 규제가 어긋나, 낚싯줄 방출부(68)로 이동한다. 또한, 통상,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는, 스풀(5A)에 대한 낚싯줄의 권회량이 많으므로, 규제부(69)의 규제가 어긋남으로써, 낚싯줄은 즉시 낚싯줄 방출부(68)로 이동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스풀(5A)은 프리 회전 가능 상태로 되어 있고, 캐스팅 조작 등에 의해 낚싯줄 S는 방출된다. 이 경우, 낚싯줄 안내체(60)는 스풀(5A)의 전방에 있어서, 도 6 및 도 9, 도 10에 도시하는 상태로 회전되어 있고, 낚싯줄 방출부(68)는 좌우 방향으로 폭이 넓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내면으로부터 접촉 저항을 받는 일이 적어져, 장치의 비거리를 저하시키는 일은 없다. 즉, 낚싯줄을 방출할 때에, 낚싯줄 안내체(60)로부터의 방출 저항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클러치 기구(20)를 ON 복귀시키기 위해, 핸들(8)을 권취 조작하면, 상기 자동 복귀 기구(30)에 의해, 클러치 플레이트(25)는 도 2에 도시하는 위치로 자동 복귀된다. 이 클러치 플레이트(25)의 ON 상태의 복귀에 수반하여, 관상체(55)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59)를 통해, 도 2 및 도 5에 도시하는 상태로 회전되고, 낚싯줄 안내체(60)는 도 5 및 도 7, 도 8에 도시하는 위치로 전환된다. 이때, 낚싯줄 방출부(68)의 어느 하나의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낚싯줄 S는, 회전하는 규제부(69)가 대어져 가압되고, 낚싯줄 방출부(68)의 경사 안내면(68a)을 따라서 확실히 중앙에 위치하는 낚싯줄 안내부(67)로 안내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줄 권취 상태에서는, 낚싯줄 S는 규제부(69)에 의해 낚싯줄 안내부(67)로부터 이탈하는 일은 없다.
그 후, 핸들(8)을 권취 조작함으로써, 상기한 레벨 와인드 장치(50)의 나사축(51)은 핸들축(8a)에 설치된 연결 기어 및 이것에 맞물리는 입력 기어(53)를 통해 회전 구동된다. 상기 나사축(51)이 회전 구동됨으로써, 낚싯줄 안내체(60)는 나사축(5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 홈(51a)과 걸림 결합하는 미끄럼 이동자(61)를 통해, 관상체(55)를 따라서 좌우 왕복 이동된다. 이 경우, 관상체(55)의 외주에는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회전 방지부(55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낚싯줄 안내체(60)는 축 주위로 회전하지 않고, 좌우로 왕복 구동된다. 이에 의해, 낚싯줄 S는 좌우 방향으로 폭이 좁아진 낚싯줄 안내부(67)에 의해, 스풀(5A)에 대해, 안정적으로 평행 권취되고, 또한 규제부(69)의 위치에 의해, 낚싯줄 안내부(67)로부터 이탈하는 일도 없으므로, 항시, 안정된 평행 권취 상태가 확보된다.
또한, 스풀(5A)에 대한 낚싯줄 S의 권회량이 적은 경우, 예를 들어 낚싯줄을 다량으로 방출한 상태에서는, 낚싯줄 안내부(67)에 위치하는 낚싯줄 S는 규제부(69)에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상기한 구성의 낚시용 릴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좌우 측판 사이에 상하 이동하는 필러를 설치하여 낚싯줄 경로를 제어할 필요가 없어져, 부품 개수를 줄여 구조를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낚싯줄 안내체(60)의 후방에 필러를 배치하는 일도 없으므로, 릴 본체(1)의 전후 방향을 콤팩트화할 수 있다. 또한, 낚싯줄 안내체(60)의 형상만으로 낚싯줄 경로를 제어하므로, 낚싯줄 방출 시에 낚싯줄 S가 위치하는 낚싯줄 방출부(68)의 형상을 크게 하는 것이 용이해져, 낚싯줄에 대한 방출 저항을 보다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캐스팅한 후 클러치 ON으로 했을 때, 스풀에 권회되어 있는 낚싯줄의 방출 위치와 낚싯줄 안내체의 위치가 좌우로 크게 어긋난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고, 이 상태에서 낚싯줄이 인출되어도, 상기한 줄 빠짐 방지 규제부(70)에 의해, 낚싯줄 S는 낚싯줄 방출부(68)로 이동하는 일은 없다. 즉,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줄 S는 낚싯줄 안내부(67)의 양 벽(67a)의 내면(67d)의 후단부 위치로부터 굴곡되게 되지만, 이 굴곡되는 부분에, 줄 걸림면(71)[줄 빠짐 방지 규제부(70)]이 존재하므로, 상방의 낚싯줄 방출부(68)로 이동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낚싯줄 S를 권취할 때, 낚싯줄은 폭이 좁은 낚싯줄 안내부(67)를 통해 스풀(5A)에 권회되게 되고, 권취 개시 시에 치우친 상태로 권회되는 일이 없어 안정된 줄 권취가 된다.
줄 권취가 안정되면, 다음에 캐스팅할 때, 치우친 권취 상태에 기초하는 방출 저항이 가해지는 일이 없어, 방출이 원활해져 비거리가 저하되는 일은 없다. 또한, 낚싯줄 S는 줄 빠짐 방지 규제부(70)에 의해 낚싯줄 방출부(68)에 빠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낚싯줄에 대해 규제부(69)로부터의 압박이 강하게 작용하는 일은 없고, 낚싯줄에 대해 손상을 부여하거나, 낚싯줄 안내체(60)에 손상을 발생시키는 일도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줄 빠짐 방지 규제부(70)를, 낚싯줄 안내체(60)의 스풀측의 단부면에 형성한 것으로, 낚싯줄 방출하기 위해 클러치를 OFF로 했을 때, 낚싯줄 안내부(67)로부터 낚싯줄 방출부(68)로의 낚싯줄의 빠짐이 양호해진다.
줄 빠짐 방지 규제부(70)를 형성한 낚싯줄 안내체는 상기한 실시 형태 이외에도, 낚싯줄을 압박하는 규제부(69)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15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들 도면에 있어서, 도 15는 낚시용 릴의 평면도, 도 16은 낚시용 릴의 정면도, 도 17은 스풀의 낚싯줄 방출 위치와 낚싯줄 안내체가 어긋난 관계일 때의 낚싯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9는 스풀의 낚싯줄 방출 위치와 낚싯줄 안내체가 어긋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그리고, 도 20은 도 19의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그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의 측판(1A, 1B) 사이의 섬 레스트(1D)의 하방에 샤프트(80)를 배치하고 있고, 클러치가 OFF로부터 ON으로 되었을 때, 샤프트(80)에 의해 낚싯줄 S를 압박하여, 낚싯줄 S를 폭이 넓은 낚싯줄 방출부(68)로부터 폭이 좁은 낚싯줄 안내부(67)로 안내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샤프트(80)는 릴 본체에 대해, 클러치 기구와 연동하여 상하 이동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클러치 OFF 상태로 되었을 때 상방으로 이동하여, 낚싯줄이 낚싯줄 방출부(68)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클러치 ON 상태로 되었을 때 낚싯줄을 압박하여 낚싯줄 안내부(67)로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샤프트(80)의 상세한 구동 기구에 대해서는 생략함].
낚싯줄 안내체(60)는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낚싯줄 방출부(68)를 규정하는 전후 방향을 따른 상부벽(68b)의 후단부 테두리는 규제부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또한,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줄 안내체(60)의 보유 지지부(60B)에는 관통 구멍(74)이 형성되어 있고, 이 부분에 릴 본체의 좌우 측판 사이에 가로로 걸쳐진 샤프트(도시하지 않음)가 삽입 관통됨으로써, 좌우로 왕복 구동되는 낚싯줄 안내체(60)의 회전 방지를 이루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줄 빠짐 방지 규제부(75)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줄 안내체(60) 중, 스풀측에 면하는 단부면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폭이 넓은 낚싯줄 방출부(68)의 양측의 경사 안내면(68a)의 하부 테두리(68a')의 스풀측의 후방 테두리(68a") 부분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즉, 폭이 좁은 낚싯줄 안내부(67)의 양 벽(67a)의 내면(67d)에 대응한 스풀측에 면하는 단부면에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측의 후방 테두리(68a")를 지나는 상하 방향의 수직면 P에 대해, 낚싯줄 방출측에 만곡 형상으로 오목한 오목부(76)에 의해 줄 걸림면(77)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줄 걸림면(77)은 낚싯줄 안내체와 스풀의 낚싯줄 방출 위치가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은 관계로 되어도, 만곡 형상으로 오목한 줄 걸림면(77)에 의해, 낚싯줄 S가 경사 안내면(68a)을 따라서 낚싯줄 방출부(68)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만곡 형상으로 오목한 오목부(76)에 의해 줄 걸림면(77)을 형성한 것에 의해, 낚싯줄에 대해 강한 부하가 작용해도, 낚싯줄에 대한 접촉 저항이 경감되어, 낚싯줄에 대한 손상을 보다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낚싯줄 안내체(60)에 대해서는, 그 형상을 적절히,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줄 방출부(68)를 대략 삼각 형상으로 하거나, 도 2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원 형상으로 하는 등, 적절히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낚싯줄 안내체(60)를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의 경우, 낚싯줄 안내체(60)에 형성되는 규제부(69)에 대해서는, 회전 축심[나사축(51)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나 관상체(55)의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서 낚싯줄을 하방으로 시프트시키는 거리에 대해 적절히 조정할 수 있으므로, 평탄 형상으로 된 상부벽(68b)의 후단부 테두리로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즉, 규제부에 대해서는,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를 구성하는 프레임체(60F)의 어느 하나의 부분을 굴곡 형성하는 등, 그 형상에 대해서는 적절히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낚싯줄 안내체(60)는 낚싯줄과 접촉하는 부분에, 내마모성을 가짐과 함께, 미끄럼 이동 저항이 적은 부재(낚싯줄 접촉 부재)를 설치해 두어도 된다. 이와 같은 낚싯줄 접촉 부재를 설치해 둠으로써, 낚싯줄 방출 시나 낚싯줄 권취 시에 낚싯줄이 접촉해도,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접촉 저항을 더욱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낚싯줄 안내체(60)를 클러치 기구(20)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하였지만, 클러치 기구와는 연동하지 않아도 되고, 상하 이동시키는 등, 회전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낚싯줄 안내체(60)를 회전할 때에는 관상체(55)의 외주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를 형성하여 회전 방지하였지만, 관상체(55)에 형성되는 긴 구멍(55a)의 에지(55e)에 의해 회전 방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릴 본체의 좌우 측판 사이에 설치된 섬 레스트(1D)는 낚싯줄 방출 시의 저항 경감을 위해, 없어도 되고,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낚싯줄을 압박하는 샤프트(80)는 릴 본체에 대해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었지만, 릴 본체의 상면부에서 개폐되는 퍼밍 플레이트에 지지하여 상하 이동시키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낚싯줄 안내체(60)에 형성되는 줄 빠짐 방지 규제부(70, 75)의 형상이나 배치 개소에 대해 적절히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낚싯줄이 걸리도록, 볼록부에 의해 구성해도 되고, 낚싯줄 안내부(67)의 양 벽(67a)의 내면(67d) 부분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낚싯줄 안내체(60)에 대해서는,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와 보유 지지부(60B)는 각각 별개로 형성하여, 이들을 일체화해도 된다.
1 : 릴 본체
1A, 1B : 좌우 측판
5 : 스풀축
5A : 스풀
20 : 클러치 기구
50 : 레벨 와인드 장치
55 : 관상체
60 : 낚싯줄 안내체
67 : 낚싯줄 안내부
68 : 낚싯줄 방출부
69 : 규제부
70, 75 : 줄 빠짐 방지 규제부

Claims (10)

  1. 릴 본체의 좌우 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과,
    상기 스풀로부터 조출되는 낚싯줄을 삽입 관통시킴과 함께, 상기 좌우 측판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는 낚싯줄 안내체를 구비한 레벨 와인드 장치를 갖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안내체는 상기 스풀 전방에서 낚싯줄 권취 상태와 낚싯줄 방출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낚싯줄 권취 상태에서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하는 좌우 방향으로 폭이 좁은 낚싯줄 안내부와,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낚싯줄의 방출 저항을 경감시키는 좌우 방향으로 폭이 넓은 낚싯줄 방출부와, 낚싯줄 권취 상태에서 낚싯줄을 상기 낚싯줄 안내부로부터 이탈시키지 않는 규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안내체는 클러치 기구의 ON/OFF에 연동하여 낚싯줄 권취 상태와 낚싯줄 방출 상태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좌우 측판 사이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클러치 기구를 ON으로 했을 때, 상기 규제부가 회전하여 낚싯줄에 접촉 가능해져, 상기 낚싯줄을 낚싯줄 안내부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와인드 장치는 상기 낚싯줄 안내체를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함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관상체를 갖고 있고,
    상기 관상체에는 상기 낚싯줄 안내체가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했을 때, 낚싯줄 안내체의 회전 방지를 하도록 축방향을 따라서 회전 방지부가 일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안내부를 구성하는 벽부는, 상기 관상체의 내부에 수용된 나사축과 걸림 결합하는 미끄럼 이동자를 보유 지지한 캡 너트를 덮도록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안내부는 상기 폭이 넓은 낚싯줄 방출부의 하단부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낚싯줄 방출부에는 상기 낚싯줄 안내부를 향해 경사져 낚싯줄을 안내하는 경사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6. 릴 본체의 좌우 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과,
    상기 스풀로부터 조출되는 낚싯줄을 삽입 관통시킴과 함께, 상기 좌우 측판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는 낚싯줄 안내체를 구비한 레벨 와인드 장치를 갖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안내체는 낚싯줄 권취 상태에서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하는 좌우 방향으로 폭이 좁은 낚싯줄 안내부와,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낚싯줄의 방출 저항을 경감시키는 좌우 방향으로 폭이 넓은 낚싯줄 방출부와, 낚싯줄이 조출되었을 때, 상기 폭이 좁은 낚싯줄 안내부로부터 상기 폭이 넓은 낚싯줄 방출부로의 낚싯줄의 빠짐을 규제하는 줄 빠짐 방지 규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줄 빠짐 방지 규제부는 상기 낚싯줄 안내체의 스풀측에 면하는 단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줄 빠짐 방지 규제부는 단차를 포함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안내체는 낚싯줄 권취 상태에서 낚싯줄을 상기 낚싯줄 안내부로부터 이탈시키지 않는 규제부를 갖고 있고,
    상기 낚싯줄 안내체는 클러치 기구의 ON/OFF에 연동하여 낚싯줄 권취 상태와 낚싯줄 방출 상태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좌우 측판 사이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클러치 기구를 ON으로 했을 때, 상기 규제부가 회전하여 낚싯줄에 접촉 가능해져, 상기 낚싯줄을 낚싯줄 안내부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안내부는 상기 폭이 넓은 낚싯줄 방출부의 하단부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낚싯줄 방출부에는 상기 낚싯줄 안내부를 향해 경사져 낚싯줄을 안내하는 경사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KR1020147005729A 2012-05-29 2013-05-27 낚시용 릴 KR1019988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21952 2012-05-29
JP2012121952A JP5525568B2 (ja) 2012-05-29 2012-05-29 魚釣用リール
JP2012137999A JP5890753B2 (ja) 2012-06-19 2012-06-19 魚釣用リール
JPJP-P-2012-137999 2012-06-19
PCT/JP2013/064638 WO2013180061A1 (ja) 2012-05-29 2013-05-27 魚釣用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738A true KR20150022738A (ko) 2015-03-04
KR101998897B1 KR101998897B1 (ko) 2019-07-10

Family

ID=49673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5729A KR101998897B1 (ko) 2012-05-29 2013-05-27 낚시용 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47722B2 (ko)
EP (1) EP2756753B1 (ko)
KR (1) KR101998897B1 (ko)
CN (1) CN103857285B (ko)
BR (1) BR112014007732B1 (ko)
WO (1) WO20131800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767A (ko) * 2017-11-07 2019-05-15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양 베어링 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6870B2 (ja) * 2012-11-29 2016-11-1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US9545088B2 (en) 2013-11-29 2017-01-17 Globeride, Inc. Fishing reel
JP2015109818A (ja) * 2013-12-06 2015-06-1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6298760B2 (ja) 2014-12-25 2018-03-2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スプールに巻回された釣糸を案内する釣糸案内体を備えた魚釣用リール
JP6560903B2 (ja) * 2015-05-27 2019-08-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649801B2 (ja) * 2016-02-26 2020-02-1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886254B2 (ja) * 2016-08-10 2021-06-1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476123B2 (ja) * 2021-02-12 2024-04-3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1287A (en) * 1960-04-04 1963-11-19 Robert C Baenziger Fishing reel
US6053444A (en) * 1997-03-18 2000-04-25 Diawa Seiko, Inc. Fishline guide device for double bearing type reel
JP2012070683A (ja) 2010-09-29 2012-04-12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JP2012070684A (ja) * 2010-09-29 2012-04-12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71609A (en) 1961-11-13 1965-03-02 Robert C Baenziger Reel for fishing
JPS5868878U (ja) 1981-10-31 1983-05-10 オリムピツク釣具株式会社 両受軸リ−ル
SE450617B (sv) * 1986-03-13 1987-07-13 Abu Garcia Produktion Ab Fiskerulle med integrerad frikopplingsbar linspridningsmekanism pa en axel
US5996919A (en) * 1994-08-23 1999-12-07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of double bearing type having improved balance and ergonomic properties
JPH09140302A (ja) * 1995-11-20 1997-06-03 Daiwa Seiko Inc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H1189487A (ja) 1997-09-25 1999-04-06 Daiwa Seiko Inc 両軸受型リール
JP3483784B2 (ja) * 1998-09-02 2004-01-0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
JP3819198B2 (ja) * 1999-11-19 2006-09-0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4222611A (ja) * 2003-01-23 2004-08-12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レベルワインド機構
US7568650B2 (en) * 2005-04-20 2009-08-04 Kore Gear, Inc. Level wind mechanism
JP2009284777A (ja) * 2008-05-27 2009-12-10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US7798439B2 (en) * 2008-04-08 2010-09-21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JP5323797B2 (ja) * 2010-10-29 2013-10-2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1287A (en) * 1960-04-04 1963-11-19 Robert C Baenziger Fishing reel
US6053444A (en) * 1997-03-18 2000-04-25 Diawa Seiko, Inc. Fishline guide device for double bearing type reel
JP2012070683A (ja) 2010-09-29 2012-04-12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JP2012070684A (ja) * 2010-09-29 2012-04-12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767A (ko) * 2017-11-07 2019-05-15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양 베어링 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4007732B1 (pt) 2019-10-22
EP2756753A1 (en) 2014-07-23
CN103857285B (zh) 2016-01-20
BR112014007732A2 (pt) 2017-04-04
KR101998897B1 (ko) 2019-07-10
WO2013180061A1 (ja) 2013-12-05
EP2756753B1 (en) 2019-04-10
US20140183292A1 (en) 2014-07-03
US9247722B2 (en) 2016-02-02
EP2756753A4 (en) 2015-10-14
CN103857285A (zh)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897B1 (ko) 낚시용 릴
US8714470B2 (en) Fishing reel
KR102279442B1 (ko) 낚시용 릴
JP2013243997A (ja) 魚釣用リール
US9642349B2 (en) Fishing reel
US9549541B2 (en) Fishing reel having a fishing line guide that guides a fishing line wound on a spool
JP5890753B2 (ja) 魚釣用リール
JP2014023476A (ja) 魚釣用リール
JP5797170B2 (ja) 魚釣用リール
KR102049775B1 (ko) 낚시용 릴
JP2011177154A (ja) 魚釣用リール
JP5931831B2 (ja) 魚釣用リール
JP3403618B2 (ja) 魚釣用リール
JP2014124175A (ja) 魚釣用リール
JP2014042479A (ja) 魚釣用リール
JP5797166B2 (ja) 魚釣用リール
JP5956907B2 (ja) 魚釣用リール
US20240130344A1 (en) Fishing reel
JP5956887B2 (ja) 魚釣用リール
JP2014217288A (ja) 魚釣用リール
JP2015109818A (ja) 魚釣用リール
JP2016010380A (ja) 魚釣用リール
JP2020018194A (ja) 魚釣用リール
JP2014187955A (ja) 魚釣用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