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442B1 - 낚시용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442B1
KR102279442B1 KR1020140166402A KR20140166402A KR102279442B1 KR 102279442 B1 KR102279442 B1 KR 102279442B1 KR 1020140166402 A KR1020140166402 A KR 1020140166402A KR 20140166402 A KR20140166402 A KR 20140166402A KR 102279442 B1 KR102279442 B1 KR 102279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state
fishing
spool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2981A (ko
Inventor
유우이치 우메자와
다카시 히가시모토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47725A external-priority patent/JP614365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34744A external-priority patent/JP6291368B2/ja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62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86Drive mechanism details with disengageable positive drive components, e.g. a clutch
    • A01K89/0187Drive mechanism details with disengageable positive drive components, e.g. a clutch having alternative yieldabl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8Pick-up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7Anti-revers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912Drive mechanism details with level wind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912Drive mechanism details with level winding
    • A01K89/01916Drive mechanism details with level winding the drive mechanism reciprocating the guide
    • A01K89/01917Reversely threaded screw
    • A01K89/01918Guide shiftable between wind and unwind posi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벨 와인드 장치에 작용하는 부하를 저감하여, 낚싯줄의 먹어들어감이나 감도의 향상, 나아가 낚시질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스풀에 낚싯줄을 안내하기 위해 낚싯줄 안내체를 좌우 왕복 이동시키는 레벨 와인드 장치와, 낚싯줄에 드래그력을 부여하는 드래그 장치를 갖고, 낚싯줄 안내체는 협폭 안내부 및 광폭 개구부로 구성되어, 스풀에 낚싯줄을 권취할 때에 당해 낚싯줄을 협폭 안내부에 위치시켜서 안내하고, 스풀로부터 낚싯줄을 방출할 때에 당해 낚싯줄을 광폭 개구부에 위치시켜서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낚싯줄 안내체의 자세를 전환하는 전환 기구를 구비하여, 스풀에 낚싯줄을 권취하는 상태에 있어서, 당해 낚싯줄이 드래그 장치에 의한 드래그력에 저항하여 인출될 때에, 당해 낚싯줄의 안내 위치를 협폭 안내부로부터 광폭 개구부로 변경시키도록, 전환 기구에 의해 낚싯줄 안내체의 자세를 전환한다.

Description

낚시용 릴{FISHING REEL}
본 발명은 스풀 전방의 측판 사이에 낚싯줄 안내체가 구비되는 낚시용 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양 베어링형 타입의 낚시용 릴에는, 좌우 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에 대하여 낚싯줄을 균등하게 권회하기 위해서, 레벨 와인드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이 레벨 와인드 장치는, 한쪽의 측판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핸들의 권취 조작에 연동하여, 스풀 전방에서 좌우로 왕복 이동하는 낚싯줄 안내체를 구비하고 있고, 낚싯줄 안내체에 낚싯줄이 삽입 관통됨으로써, 스풀에 대하여 낚싯줄을 평행하게 권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낚싯줄 안내체는, 예를 들어 장치를 캐스팅할 때, 낚싯줄이 접촉하여 저항이 되어 버려, 장치의 비거리를 저하시켜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낚싯줄 안내체의 낚싯줄 안내부의 형상을, 상부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횡 길이 형상으로 하여 낚싯줄 방출 시에 있어서의 낚싯줄 삽입 관통부로 하고, 하부에서는 중앙을 폭이 좁은 홈부로 하여 낚싯줄 권취 시의 안내부로 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1에서는, 낚싯줄 안내체의 전후 방향의 근방에, 클러치의 전환 조작에 연동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 필러를 배치하고 있다. 필러는 낚싯줄 방출 시에 상방으로 이동되고, 낚싯줄 권취 시에 하방으로 이동된다. 필러가 상방으로 이동됨으로써 낚싯줄 삽입 관통부에 낚싯줄이 위치하고, 낚싯줄 방출 시의 실 저항이 경감된다. 또한, 필러가 하방으로 이동됨으로써 낚싯줄이 폭이 좁은 홈부로 안내되어, 스풀에 권회되는 실패 상태가 향상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클러치의 전환 조작에 연동하여 낚싯줄 안내체를 회전시키도록 한 낚시용 릴이 개시되어 있다. 이 낚시용 릴에서는, 낚싯줄 방출 시에, 낚싯줄 안내체를 전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낚싯줄 삽입 관통부에 낚싯줄이 위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실 저항이 경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낚시용 릴에서는, 낚싯줄 권취 시에, 낚싯줄 안내체를 후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단부 후방부에서 낚싯줄을 억제하면서 홈부에 낚싯줄이 위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홈부를 통하여 낚싯줄이 권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70683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43997호 공보
통상, 낚시용 릴은 물고기가 걸려들었을 때 등의 낚싯줄의 인출에 대하여, 제동력(이하,「드래그력」이라고 함)을 부여하는 드래그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드래그 장치에 의한 드래그력에 저항하여 낚싯줄이 인출될 경우, 낚싯줄은 홈부를 통하여 인출되므로, 홈부와 낚싯줄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낚싯줄이 손상을 입을 우려가 있었다. 또한, 낚싯줄이 PE 라인일 경우에는, 코팅이 벗겨져 떨어질 우려도 있었다. 나아가, 낚싯줄 안내체를 통하여 레벨 와인드 장치에도 부하가 작용하기 때문에, 고장의 원인이 될 우려도 있었다.
또한,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낚싯줄 안내체의 위치에 따라서는, 드래그력에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낚싯줄의 먹어들어감이나 감도, 조작성에도 영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것을 개선하고 싶다고 하는 요망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드래그력에 저항하여 낚싯줄이 인출되었을 때에, 낚싯줄이 손상되는 경우가 없어, 레벨 와인드 장치에 작용하는 부하를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낚싯줄의 먹어들어감이나 감도의 향상, 나아가 낚시질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낚시용 릴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과, 낚싯줄이 삽입 관통되는 낚싯줄 안내체와, 상기 스풀에 낚싯줄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낚싯줄 안내체를 좌우 왕복 이동시키는 레벨 와인드 장치와, 낚싯줄에 드래그력을 부여하는 드래그 장치를 갖고,
상기 낚싯줄 안내체는, 협폭 안내부 및 광폭 개구부로 구성되어, 상기 스풀에 낚싯줄을 권취할 때에 당해 낚싯줄을 상기 협폭 안내부에 위치시켜서 안내하고, 상기 스풀로부터 낚싯줄을 방출할 때에 당해 낚싯줄을 상기 광폭 개구부에 위치시켜서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낚싯줄 안내체의 자세를 전환하는 전환 기구를 구비하여, 상기 스풀에 낚싯줄을 권취하는 상태에 있어서, 당해 낚싯줄이 상기 드래그 장치에 의한 드래그력에 저항하여 인출될 때에, 당해 낚싯줄의 안내 위치를 상기 협폭 안내부로부터 상기 광폭 개구부로 변경시키도록, 상기 전환 기구에 의해 상기 낚싯줄 안내체의 자세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낚시용 릴에 의하면, 스풀에 낚싯줄을 권취하는 낚싯줄 권취 상태에 있어서, 협폭 안내부에 낚싯줄이 위치하고, 협폭 안내부를 통하여 스풀에 균등하게 낚싯줄이 권취된다.
또한, 낚싯줄이 권취된 상태에서, 드래그력에 저항하여 낚싯줄이 인출되었을 때에는, 광폭 개구부에 낚싯줄이 위치하고, 광폭 개구부를 통하여 스풀로부터 낚싯줄이 인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풀에 낚싯줄을 권취하는 낚싯줄 권취 상태에서는, 협폭 안내부에 낚싯줄이 위치하고, 협폭 안내부를 통하여 스풀에 낚싯줄이 균등하게 권취되므로, 낚싯줄을 스풀에 양호하게 평행 권취할 수 있다.
또한, 낚싯줄이 권취된 상태에서, 드래그력에 저항하여 낚싯줄이 인출되었을 때에는, 광폭 개구부에 낚싯줄이 위치하고, 광폭 개구부를 통하여 낚싯줄이 인출되므로, 낚싯줄의 인출 저항이 저감된다. 따라서, 협폭 안내부를 통하여 낚싯줄이 인출되는 경우에 비하여 낚싯줄이 손상을 입기 어려워지고, 또한 낚싯줄의 인출에 의해 레벨 와인드 장치에 작용하는 부하를 저감할 수도 있다.
또한, 낚싯줄의 인출 저항이 저감되므로, 드래그력에 편차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드래그 성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드래그 성능을 얻을 수 있어, 낚싯줄의 먹어들어감이나 감도, 낚시질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전환 기구의 적어도 일부를, 레벨 와인드 장치의 구동축과 회전체 사이의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설치할 경우,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어, 낚시용 릴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또한, 전환 기구가 한쪽의 측판 내에 연결하는 상태로 배치된 원웨이 장치와 프릭션 장치를 구비할 경우, 낚싯줄 안내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구를 집약화할 수 있으므로, 구동 기구의 소형화 및 간소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원웨이 장치의 회전력을 효율적으로 프릭션 장치에 전달할 수 있어, 낚싯줄 안내체의 회전 동작도 안정된다.
또한, 핸들축에 원웨이 장치 및 프릭션 장치를 배치할 경우, 핸들축에 구동 기구를 집약화할 수 있어, 한층 더 소형화 및 간소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핸들축에 구동 기구가 집약화됨으로써, 다른 부품과의 간섭도 적절하게 피할 수 있고, 또한 레이아웃성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 기구의 전환에 의해 낚싯줄 안내체를 전환 가능하게 설치할 경우, 클러치 기구의 전환에 연동하여, 낚싯줄의 적합한 권취 및 낚싯줄의 적합한 방출을 실현할 수 있어, 우수한 조작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을 나타내고, 낚싯줄 안내체 부분을 노출시킨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낚시용 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 클러치 기구의 동력 전달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클러치 온(ON) 상태]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 클러치 기구의 동력 전달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클러치 오프(OFF) 상태]이다.
도 5의 (a)는 클러치 플레이트와 낚싯줄 안내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플레이트의 연결 부분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b)는 전환 기구의 주요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낚시용 릴의 종단면도이며, 낚싯줄 안내체가 낚싯줄 권취 상태(클러치 온 상태)에 있을 때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의 (a)는 낚싯줄 안내체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클러치 온 상태), (b)는 도 7의 (a)에 나타내는 낚싯줄 안내체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하는 낚시용 릴의 종단면도이며, 낚싯줄 안내체가 낚싯줄 방출 상태(클러치 오프 상태)에 있을 때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의 (a)는 낚싯줄 안내체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클러치 오프 상태), (b)는 도 9의 (a)에 도시하는 낚싯줄 안내체의 정면도이다.
도 10의 (a)는 낚싯줄 권취 시의 작용 설명도, (b)는 낚싯줄 방출 시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11의 (a)는 낚싯줄 권취 시에 드래그력에 저항하여 낚싯줄이 인출되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하는 설명도, (b)는 동일하게 낚싯줄 안내체가 낚싯줄 방출 상태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낚싯줄의 인출이 정지되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을 나타내고, 클러치 기구의 동력 전달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클러치 온 상태)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낚시용 릴의 전환 기구의 주요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의 (a)는 낚싯줄 권취 시의 작용 설명도, (b)는 낚싯줄 방출 시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16의 (a)는 낚싯줄 권취 시에 드래그력에 저항하여 낚싯줄이 인출되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하는 설명도, (b)는 동일하게 낚싯줄 안내체가 낚싯줄 방출 상태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을 나타내고, 주요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8의 (a)는 낚싯줄 권취 시의 작용 설명도, (b)는 낚싯줄 방출 시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을 나타내고, 클러치 기구의 동력 전달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클러치 온 상태)이다.
도 20은 클러치 기구의 동력 전달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클러치 오프 상태)이다.
도 21은 클러치 플레이트와 낚싯줄 안내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플레이트의 연결 부분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전환 기구의 주요부인 전환 유닛과 회전 플레이트의 연결 부분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3의 (a)는 전환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측면도, (b)는 동일하게 분해 단면도이다.
도 24의 (a)는 낚싯줄 권취 시(클러치 온 상태)의 작용 설명도, (b)는 낚싯줄 방출 시(클러치 오프 상태)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25의 (a)는 낚싯줄 권취 시에 드래그력에 저항하여 낚싯줄이 인출되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하는 설명도, (b)는 동일하게 낚싯줄 안내체가 회전되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6의 (a)는 드래그력에 저항하여 낚싯줄이 인출되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낚싯줄 안내체가 낚싯줄 방출 상태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b)는 낚싯줄의 인출이 정지되어, 낚싯줄 권취 상태의 이행 직후의 모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에 적용되는 전환 유닛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전환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측면도, (b)는 동일하게 주요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28은 전환 유닛과 회전 플레이트의 연결 부분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낚시용 릴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전후」「좌우」를 이야기할 때는, 도 1에 도시한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상하」를 이야기할 때는, 도 3, 도 4에 도시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또한,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측판(1A, 1B)을 구비한 릴 본체(1)를 갖고 있다. 좌우 측판(1A, 1B)은, 좌우의 프레임(2a, 2b)을 좌우 커버(3a, 3b)로 덮어서 구성된다. 릴 본체(1)에는, 좌우 측판(1A, 1B) 사이에 위치하고, 도시하지 않은 낚싯대에 장착되는 릴 다리(1C)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프레임(2a, 2b) 사이에는 스풀축(5)이 베어링을 사이에 두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스풀축(5)에는 낚싯줄(S)이 권회되는 스풀(5A)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좌우 측판(1A, 1B) 사이에는 스풀(5A)에 대하여 상방측에, 손가락을 적재 가능한 섬 레스트(1D)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풀(5A)을 회전 구동하는 핸들(8)을 우측판(1B)측에 설치하고 있다. 우측 프레임(2b)과 우측 커버(3b)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는 핸들(8)의 회전 구동력을 스풀축(5)에 전달하는 공지된 구동력 전달 기구(1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우측 프레임(2b)과 우측 커버(3b) 사이에는, 스풀축(5)을 동력 전달 상태와 동력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공지된 클러치 기구(20)가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20)는 스풀(5A)의 후방측의 좌우 측판(1A, 1B) 사이에 배치된 클러치 전환 조작 부재(이하, 조작 부재라고 칭함)(21)를 밀어내림 조작함으로써, 클러치 온 상태(동력 전달 상태이며 낚싯줄 권취 상태)로부터 클러치 오프 상태(동력 차단 상태이며 낚싯줄 방출 상태)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오프 상태로부터 클러치 온 상태로의 복귀는, 후술하는 자동 복귀 기구(30)(도 3 참조)에 의해 핸들(8)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한, 우측 프레임(2b)과 우측 커버(3b) 사이에는, 도 2,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 기구(70)가 배치되어 있다. 전환 기구(70)는 낚싯줄이 권취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드래그 장치(8b)(도 2 참조)에 의해 부여되는 드래그력에 저항하여 낚싯줄(S)이 인출되었을 때에, 낚싯줄 안내체(60)(도 1, 도 3, 도 4)를 회전시켜서, 그 자세를 전환하는 것이다. 전환 기구(70)의 상세는 후술한다.
좌우 측판(1A, 1B) 사이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5A)의 낚싯줄 풀어냄 방향측(전방측)에, 레벨 와인드 장치(50)가 배치되어 있다. 이 레벨 와인드 장치(50)에는, 낚싯줄(S)이 삽입 관통되는 낚싯줄 안내체(60)가 구비된다. 낚싯줄 안내체(60)는 핸들(8)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좌우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낚싯줄(S)의 권취 조작에 수반하여, 스풀(5A)에 대하여 낚싯줄(S)을 균등하게 권회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구동력 전달 기구(10)는 핸들(8)이 고정된 핸들축(8a)에 드래그 장치(8b)와 관련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체로서의 구동 기어(11)와, 이 구동 기어(11)에 교합하는 피니언(12)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 기어(11)는 낚싯줄 권취 시에 핸들(8)이 회전 조작되면, 도 3 중 X1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구동 기어(11)는 드래그 장치(8b)에 의해 부여된 드래그력에 저항하여 낚싯줄(S)이 인출되었을 때에, 도 3 중 Y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핸들축(8a)은, 공지와 같이, 우측 커버(3b) 사이에 설치된 일방향 클러치(쐐기 작용을 이용한 구름식 일방향 클러치)(K)에 의해, 낚싯줄 권취 방향의 회전을 허용하고, 낚싯줄 조출에 수반하는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회전 방지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피니언(12)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축(5)과 동일축 상에 설치되어 있고, 피니언축[스풀축(5)이어도 됨](12a)을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12)의 외주에는, 원주 홈(12b)이 형성되어 있고, 이 원주 홈(12b)에, 후술하는 클러치 기구(20)의 요크(22)가 결합되어, 피니언(12)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피니언(12)이 축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스풀축(5) 사이에서 계탈(繼脫)이 이루어져, 동력 전달 상태(클러치 온)/동력 차단 상태(클러치 오프)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프레임(2b)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클러치 플레이트(25)를 구비하고 있다. 클러치 플레이트(25)는 나눔 스프링(23)에 의해, 도 3에 도시하는 동력 전달 상태(클러치 온 상태)와, 도 4에 도시하는 동력 차단 상태(클러치 오프 상태)로 나눔 보유 지지된다. 클러치 플레이트(25)는 우측 프레임(2b)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연결 구멍(2d)을 사이에 두고 조작 부재(21)와 연결되어 있고, 클러치 플레이트(25)에 형성된 긴 구멍(25a)에, 우측 프레임(2b)에 돌출되도록 설치된 핀(2e)이 삽입되어, 그 회전 구동이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클러치 플레이트(25)의 표면에는, 한 쌍의 캠면(26)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캠면(26)은 피니언(12)의 원주 홈(12b)(도 1 참조)에 결합한 요크(22)와 결합 가능하다. 요크(22)의 선단부측은, 우측 프레임(2b)에 돌출 설치된 지지 핀(27)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있고, 요크(22)는 지지 핀(27)에 배치된 스프링 부재(27a)에 의해 항상, 스풀축(5)측으로 가압되고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요크(22)가 스프링 부재에 의해 스풀축(5)측으로 가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때, 피니언(12)은 스풀축(5)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5a)(도 2 참조)에 끼워 맞추어 클러치 온 상태로 되어 있다.
클러치 플레이트(25)는 조작 부재(21)가 도 4의 백색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밀어내림 조작되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클러치 플레이트(25)는 이 회전에 의해, 캠면(26) 및 요크(22)를 사이에 두고, 피니언(12)(도 2 참조)을 우측으로 스프링 부재(27a)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이동하고, 스풀축(5)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5a)(도 2 참조)로부터 이탈시켜, 클러치 오프 상태로 전환한다. 또한, 이 상태는 나눔 스프링(23)에 의해 보유 지지된다.
또한, 클러치 플레이트(25)에는 클러치를 오프 상태로부터 클러치 온 상태로 하는 자동 복귀 기구(30)가 설치되어 있다. 자동 복귀 기구(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플레이트(25)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킥 부재(31)와, 핸들축(8a)에 회전 방지 고정되는 래칫(32)을 구비하고 있다. 킥 부재(31)는 클러치 온 상태로부터 클러치 오프 상태로 전환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칫(32)의 회전 궤도 내에 침입하도록 배치된다. 이로 인해, 클러치 오프 상태에 있어서, 핸들(8)을 권취 조작하면, 래칫(32)의 회전에 의해 킥 부재(31)는 킥되어 상방으로 이동하고, 자동으로 클러치 플레이트(25)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클러치 온 상태로 복귀시켜서, 나눔 스프링(23)의 스프링력으로 보유 지지된다. 또한, 클러치의 복귀는, 조작 부재(21)를 밀어올림 조작해도 행할 수 있다.
스풀(5A)의 전방측의 좌우 측판(1A, 1B) 사이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레벨 와인드 장치(50)가 배치되어 있다. 이하, 레벨 와인드 장치(50)의 구성에 대해서, 도 5 내지 도 9를 아울러 참조하여 설명한다.
레벨 와인드 장치(50)는 스풀(5A)에 권회된 낚싯줄(S)이 삽입 관통되는 낚싯줄 안내체(6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낚싯줄 안내체(60)는 베어링(52)[도 2, 도 5의 (a) 참조]을 사이에 두고 좌우 측판(1A, 1B)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구동력 전달 기구(10)를 사이에 두고 회전 가능하게 구동되는 나사축(웜 샤프트)(51)에 의해, 좌우 왕복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나사축(51)의 우측 프레임(2b)측에는, 구동 기어(11)[도 5의 (b) 참조]와 인접하여 입력 기어(53)가 설치되어 있다. 입력 기어(53)는 핸들축(8a)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연결 기어(8c)(도 3 참조)와 교합하고 있다[도 2에서는 입력 기어(53)와 연결 기어(8c)를 이격하여 도시]. 나사축(51)은 연결 기어(8c) 및 입력 기어(53)를 사이에 두고 핸들(8)의 회전 구동과 동기하여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나사축(5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측판(1A, 1B)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는 관상체(통체)(55) 내에 수용되어 있다. 관상체(55)의 외면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55a)[도 7의 (b)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긴 구멍(55a)은 나사축(51)의 표면에 형성된 나선 홈(51a)을 축 방향을 따라서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고 있다.
낚싯줄 안내체(60)는, 도 6, 도 7의 (a)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와 보유 지지부(60B)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고, 보유 지지부(60B)가 관상체(55)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보유 지지부(60B)는, 그 내부에 미끄럼 이동자(61)를 보유 지지하고 있다. 미끄럼 이동자(61)는 긴 구멍(55a)을 사이에 두고 나선 홈(51a)과 결합하고 있다. 미끄럼 이동자(61)는 캡 너트(62)에 의해, 보유 지지부(60B)에 대하여 고정된다. 또한, 낚싯줄 안내체(60)는 나사축(51)의 회전에 의해, 나선 홈(51a)과 미끄럼 이동자(61)의 결합 관계에 의해, 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관상체(55)의 주위를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 방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상체(55)의 외주에 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회전 방지부(55b)가 형성되어 있고, 이 회전 방지부(55b)에 대하여 보유 지지부(60B)의 결합부(64)를 결합시킴으로써, 회전 방지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전 방지부(55b)는 관상체(55)의 외주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도 6, 도 7의 (b) 참조, 180°간격으로 1대 설치되어 있음]로서 구성되어 있고, 결합부(64)는 그러한 돌기에 결합하는 오목부(도 6 참조)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낚싯줄 안내체(60)는 나사축(51)이 회전 구동되면, 미끄럼 이동자(61)를 사이에 두고 좌우 측판(1A, 1B) 사이에서 좌우 왕복 구동되는 동시에, 클러치 기구(20)의 클러치 온/오프에 연동하여 낚싯줄 권취 상태와 낚싯줄 방출 상태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낚싯줄 안내체(60)의 회전 구동에 대해서는, 관상체(55)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클러치 기구(20)로부터 관상체(55)로의 동력 전달 경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클러치 플레이트(25)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본체(1)의 전방측을 향하여 돌출된 돌기(25b)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25b)의 선단부에는, 우측 프레임(2b)측을 향하여 돌출된 결합 돌기(25c)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우측 프레임(2b)에는, 나사축(51)이 지지되는 부분에 회전 플레이트(59)가 보유 지지되어 있다. 관상체(55)(도 6 참조)는 우측 프레임(2b)의 내면측에 있어서, 회전 플레이트(59)와 회전 방지 고정되어 있다. 회전 플레이트(59)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도시하지 않은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에, 관상체(55)의 단부(내주)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오목부가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양자는 우측 프레임(2b)의 내면측에서 고정된 상태(일체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회전 플레이트(59)와 관상체(55)는, 일체 성형해도 된다.
회전 플레이트(59)는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축(5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52)의 외륜과 우측 프레임(2b)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 플레이트(59)에는, 우측 프레임(2b)의 외면측을 따라, 클러치 플레이트(25)의 돌기(25b)와 좌우 방향으로 겹쳐지는 연결편(59b)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편(59b)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L자형의 결합 구멍(591)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 구멍(591)은 제1 긴 구멍(592)과, 제1 긴 구멍(592)에 연속되는 제2 긴 구멍(593)을 갖는다. 제1 긴 구멍(592)은 나사축(51)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제2 긴 구멍(593)은 나사축(51)과 동심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 구멍(591)에는, 클러치 플레이트(25)의 돌기(25b)의 결합 돌기(25c)가 헐겁게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회전 플레이트(59)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플레이트(25)의 회전에 수반하여 나사축(51)의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플레이트(59)는 나눔 스프링(23)에 의해, 낚싯줄 권취 상태와 낚싯줄 방출 상태 사이에서 나눔 보유 지지되는 클러치 플레이트(25)와 함께, 2개의 위치에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결합 구멍(591)의 제2 긴 구멍(593)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환 기구(70)의 구성 요소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연결편(59b)의 하단부와 우측 프레임(2b) 사이에는, 복귀 스프링(595)이 설치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595)은 회전 플레이트(59)를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으며, 회전 플레이트(59)를 낚싯줄 권취 상태로 보유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줄 권취 상태에 있어서, 클러치 플레이트(25)의 결합 돌기(25c)는 회전 플레이트(59)의 결합 구멍(591)에 있어서 제1 긴 구멍(592)의 후단부[제2 긴 구멍(593)의 상단부]에 보유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줄 방출 상태에 있어서, 결합 돌기(25c)는 제1 긴 구멍(592)의 전단부에 보유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복귀 스프링(595)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환 기구(70)의 구성 요소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낚싯줄 안내체(60)는 회전 플레이트(59)를 사이에 두고 관상체(55)가 회전 구동됨으로써, 스풀(5A)의 전방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여기서, 낚싯줄 안내체(60)의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의 구성에 대해서, 도 7,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는, 스풀(5A)로부터의 낚싯줄(S)을 삽입 관통시키는 부분이며, SUS, 티타늄 등의 낚싯줄 저항이 적은 재료에 의한 프레임체(60F)로 구성되어, 보유 지지부(60B)와 함께 일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좌우 방향으로 폭이 가늘게(가는 홈 형상) 된 협폭 안내부(67)와, 그 협폭 안내부(67)의 상방측에서, 대략 대칭이 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확장되는 광폭 개구부(68)를 구비하고 있다. 광폭 개구부(68)는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줄 방출 상태가 되었을 때의 정면에서 보아[삽입 관통되는 낚싯줄(S)을 따라 전방으로부터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우 방향으로 확장되는 대략 타원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광폭 개구부(68)의 양 사이드 벽은, 광폭 개구부(68)의 대략 중앙 하부에 형성되는 협폭 안내부(67)를 향하여 경사져서 낚싯줄(S)을 안내하는 경사 안내면(68a)으로 되어 있다.
광폭 개구부(68)를 갖는 프레임체(60F)는, 낚싯줄 권취 상태에서 측면에서 보았을 때(도 6 참조), 전후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후방측을 향하여 점차 상승하는 형상)로 되어 있다. 광폭 개구부(68)를 규정하는 상부벽(68b)은 낚싯줄 방출 상태에 있어서, 전후 방향을 따른 상태로 되어 있으며(도 8 참조), 가능한 한 넓은 개구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벽(68b)의 후단부 테두리(69)는 낚싯줄 방출 상태로부터 낚싯줄 권취 상태로 회전했을 때에, 광폭 개구부(68) 내에 삽입 관통되어 있는 낚싯줄(S)에 대하여 상측으로부터 접촉할 수 있는 위치 관계로 되어 있으며, 낚싯줄(S)을 규제하는 규제부로서의 기능을 갖는다[이하, 후단부 테두리를 규제부(69)라고 칭함].
또한, 규제부(69)는 프레임체(60F)로서 일체 형성되는 부분이며, 낚싯줄 안내체(60)가 클러치 기구(20)에 연동하여, 낚싯줄 방출 상태로부터 낚싯줄 권취 상태로 회전한 상태에서 정면에서 보았을 때[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줄(S)을 따라 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협폭 안내부(67)의 상하 길이(L)의 범위 내가 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으면 된다. 즉, 이러한 배치 관계로 되어 있으면, 낚싯줄 안내체(60)가 낚싯줄 방출 상태로부터 낚싯줄 권취 상태로 회전하면, 광폭 개구부(68)의 어느 한 부분에 위치하는 낚싯줄(S)은 규제부(69)에 의해 가압되어, 경사 안내면(68a)을 따라 확실하게 협폭 안내부(67)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위치 관계로 되어 있으면, 낚싯줄 권취 상태에서, 낚싯줄(S)을 확실하게 협폭 안내부(67)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협폭 안내부(67)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거기로 인입한 낚싯줄(S)의 좌우 방향의 떨림을 방지하여, 스풀(5A)(도 1 참조)에 대하여 안정되게 낚싯줄을 평행 권취하는 기능(실패 상태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협폭 안내부(67)를 규정하는 양 벽(67a)은 도 7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끄럼 이동자(61)(도 6 참조)를 고정하고 있는 캡 너트(62)의 상방을 덮도록 신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구성에 의해, 협폭 안내부(67)로 인입하고 있는 낚싯줄(S)이, 캡 너트(62)의 부분에서 얽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협폭 안내부(67)의 저면(67c)은, 도 6에 나타내는 낚싯줄 권취 상태에 있어서, 전방을 향하여 점차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저면 형상으로 함으로써, 스풀로부터 경사진 상태에서 풀어내지는 낚싯줄(S)과의 마찰 저항의 저감이 도모되게 된다.
이어서, 전환 기구(7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환 기구(7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드래그 장치(8b)(도 2 참조)에 의해 부여된 드래그력에 저항하여 낚싯줄(S)이 인출되었을 때에, 낚싯줄 안내체(60)(도 1, 도 3, 도 4)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전환 기구(70)는,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웨이 장치로서의 원웨이 기어(71)와, 프릭션 장치로서의 프릭션 기어(72)와, 위치 규제 수단으로서의 결합 구멍(591)과, 복귀 수단으로서의 복귀 스프링(595)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위치 규제 수단으로서는,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결합 구멍 이외에도, 캠이나 오목 홈 등의 구성이라도 되고, 또한 복귀 수단으로서는,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스프링 이외에도, 판 스프링이나 그 밖의 스프링, 탄성체라도 된다.
원웨이 기어(71)는,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710)과, 지지축(710)에 형성된 출력 기어(711)와, 지지축(710)에 일방향 클러치(712)를 사이에 두고 설치된 입력 기어(713)를 구비한다. 원웨이 기어(71)는 구동 기어(11)를 통하여 입력 기어(71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입력 기어(713)를 프리 회전 가능(동력 차단 상태)하게 하고, 구동 기어(11)를 통하여 입력 기어(71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입력 기어(713)와 지지축(710)[출력 기어(711)]을 결합하도록(동력 전달 상태로 함) 구성되어 있다.
지지축(710)은 기단부측이 베어링(710a)을 사이에 두고 우측 프레임(2b)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선단부측이 우측 커버(3b)의 내면에 설치된 지지부(3b1)에 지지되어 있다. 출력 기어(711)는, 지지축(710)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프릭션 기어(72)의 입력 기어(723)에 교합하고 있다.
일방향 클러치(712)는 지지축(710)의 주위에 배치된 보유 지지체(714)와, 보유 지지체(714)의 내측에서 보유 지지체(714)에 의해 구름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된 복수의 구름 부재(롤러)(715)를 구비하고 있다. 구름 부재(715)는 보유 지지체(714)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압박 가압되고 있다. 보유 지지체(714)의 내주면에는, 각 구름 부재(715)가 상기 스프링에 저항하여 시계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자유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는 자유 회전 영역(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유 지지체(714)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각 구름 부재(715)가 이동된 상태에서, 쐐기 작용에 의해 각 구름 부재(715)의 회전을 저지하는 저지면(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입력 기어(713)는, 보유 지지체(714)의 외주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핸들축(8a)에 드래그 장치(8b)로 마찰 결합한 구동 기어(11)에 교합하고 있다.
이러한 원웨이 기어(71)에 있어서, 입력 기어(713)가 도 3 중 화살표 Y2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각 구름 부재(715)가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자유 회전 영역에 위치하고, 입력 기어(713)가 지지축(710)에 대하여 프리 회전 가능 상태가 된다. 즉, 핸들(8)이 회전 조작(권취 조작)되어서 구동 기어(11)가 도 3 중 X1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입력 기어(713)가 프리 회전하고, 구동 기어(11)를 따라 입력된 회전력(구동력)이 출력 기어(711)로부터 출력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입력 기어(713)가 도 3 중 화살표 X2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각 구름 부재(715)가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저지면과 쐐기 결합하고, 입력 기어(713)와 지지축(710)이 일체 회전 가능 상태가 된다. 즉, 드래그 장치(8b)에 의해 드래그력에 저항하여 낚싯줄(S)이 인출되어서, 구동 기어(11)가 도 3 중 Y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입력 기어(713)와 지지축(710)이 연결되어서 일체 회전하고, 구동 기어(11)를 따라 입력된 회전력(인출력)이 출력 기어(711)로부터 프릭션 기어(72)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드래그력에 저항하여 낚싯줄(S)이 인출되고, 구동 기어(11)가 도 3 중 Y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만, 원웨이 기어(71)를 사이에 두고 프릭션 기어(72)가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프릭션 기어(72)는,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720)과, 지지축(720)에 형성된 출력 기어(721)와, 지지축(720)에 프릭션 기구(722)를 사이에 두고 설치된 입력 기어(723)를 구비한다. 프릭션 기어(72)는, 원웨이 기어(71)의 회전력을 후단의 회전 플레이트(59)에 전달하는 것이며, 소정의 토크 이상의 부하가 가해졌을 때에 공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지축(720)은 기단부측이 우측 프레임(2b)의 측면에 설치된 지지 구멍(2b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출력 기어(721)는, 지지축(720)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회전 플레이트(59)의 선단부에 설치된 연동 기어(59a)에 교합하고 있다.
프릭션 기구(722)는 지지축(720)에 형성된 오목부(724)와, 오목부(724)에 수용된 가압 스프링(725)과, 가압 스프링(725)에 가압된 결합 부재(726)와, 입력 기어(723)의 내주면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결합 받침부(72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결합 부재(726)는 결합 받침부(727)에 가압된 상태에서 결합 받침부(727)에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프릭션 기구(722)는, 소정의 토크 이상의 부하가 가해졌을 때에, 결합 받침부(727)에 대한 결합 부재(726)의 결합이 해제되어서, 지지축(720)과 입력 기어(723)가 상대적으로 공회전(슬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지지축(720)과 입력 기어(723) 사이에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의 토크가 작용했을 때에, 양자는 공회전 관계가 되어, 입력 기어(723)의 공회전이 계속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필요 이상의 회전력(구동력)이 회전 플레이트(59)에 대하여 가해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릭션 기어(72)는, 원웨이 기어(71)의 출력 기어(711)의 회전력을 받으면, 도 3 중 Y3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후단의 회전 플레이트(59)를 도 3 중 X4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작용한다. 이에 의해, 낚싯줄 안내체(60)는 도 3에 도시하는 낚싯줄 권취 상태로부터 도 4에 도시하는 낚싯줄 방출 상태로 자세가 전환된다.
이어서,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낚시용 릴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의 (a)에 나타내는 클러치 온 상태에 있어서, 조작 부재(21)를 밀어내림 조작하면, 클러치 플레이트(2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나눔 스프링(23)(도 4 참조)에 의해, 도 10의 (b)에 나타내는 상태로 보유 지지된다.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플레이트(25)의 표면에 형성된 캠면(26)이 요크(22)를 축 방향으로 시프트시켜, 피니언(12)을 스풀축(5)(도 1 참조)으로부터 이탈시킨다(클러치 오프 상태). 또한, 이 조작에 의한 클러치 플레이트(25)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 플레이트(59)가 나사축(51)의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에 의해, 관상체(55)(도 6 참조)를 사이에 두고 낚싯줄 안내체(60)가 낚싯줄 권취 상태로부터 낚싯줄 방출 상태로 회전된다.
이렇게 회전된 낚싯줄 안내체(60)는 스풀(5A)이 프리 회전 가능한 상태(낚싯줄 방출 상태)로 되어 있고, 협폭 안내부(67)로 인입하고 있던 낚싯줄(S)은, 규제부(69)[도 7의 (a) 참조]에 의한 규제가 해제되어, 광폭 개구부(68)로 이동한다. 또한, 통상,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는, 스풀(5A)에 대한 낚싯줄(S)의 권회량이 많기 때문에, 규제부(69)의 규제가 해제되는 것으로, 낚싯줄(S)은, 즉시 광폭 개구부(68)로 이동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캐스팅 조작 등을 행함으로써, 낚싯줄(S)이 방출된다. 이 경우, 낚싯줄 안내체(60)의 광폭 개구부(68)는 좌우 방향으로 광폭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내면으로부터 접촉 저항을 받는 일이 적게 되어, 장치의 비거리를 저하시키는 일은 없다. 즉, 낚싯줄(S)을 방출할 때에, 낚싯줄 안내체(60)로부터의 방출 저항을 경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낚싯줄 방출 시에는, 피니언(12)이 스풀축(5)의 결합부(5a)로부터 이탈하고 있으므로, 피니언(12)에 교합하고 있는 구동 기어(11)에 동력은 전달되지 않고, 스풀(5A)의 회전력이 전환 기구(70)에 입력되지 않는다.
그리고 클러치 기구(20)를 온 복귀시키기 위해, 핸들(8)을 권취 조작하면, 자동 복귀 기구(30)에 의해, 클러치 플레이트(25)는 도 3, 도 10의 (a)에 나타내는 위치로 자동 복귀된다. 이 클러치 플레이트(25)의 온 상태의 복귀에 수반하여, 회전 플레이트(59)를 사이에 두고 관상체(55)가 회전되고, 낚싯줄 안내체(60)가 낚싯줄 방출 상태로부터 낚싯줄 권취 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폭 개구부(68) 중 어느 한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낚싯줄(S)은, 회전하는 규제부(69)가 덧대어지는 것으로 가압되고, 광폭 개구부(68)의 경사 안내면(68a)을 따라 확실하게 중앙의 협폭 안내부(67)로 안내된다[도 7의 (a)(b) 참조]. 또한,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줄 권취 상태에서는, 낚싯줄(S)은 규제부(69)에 의해 협폭 안내부(67)로부터 이탈하는 일은 없다.
그 후, 핸들(8)을 권취 조작하면, 구동 기어(11)가 도 10의 (a) 중 X1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피니언(12)을 사이에 두고 스풀(5A)이 Y5 방향(반시계 방향,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핸들(8)을 권취 조작함으로써, 레벨 와인드 장치(50)(도 2 참조)의 나사축(51)은 핸들축(8a)에 설치된 연결 기어(8c)(도 3 참조) 및 이에 교합하는 입력 기어(53)[도 5의 (a) 참조]를 사이에 두고 회전한다. 나사축(51)이 회전함으로써, 낚싯줄 안내체(60)는 나사축(5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 홈(51a)(도 6 참조)과 결합하는 미끄럼 이동자(61)(도 6 참조)를 사이에 두고, 관상체(55)를 따라 좌우 왕복 이동된다. 이 경우, 관상체(55)의 외주에는, 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회전 방지부(55b)(도 6 참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낚싯줄 안내체(60)는 축 주위로 회전하지 않고, 좌우로 왕복 구동된다. 이에 의해, 낚싯줄(S)은 좌우 방향으로 협폭이 된 협폭 안내부(67)에 의해, 스풀(5A)에 대하여 안정되게 평행 권취되고, 나아가, 규제부(69)의 위치에 의해, 협폭 안내부(67)로부터 이탈하는 일도 없기 때문에, 항상 안정된 평행 권취 상태가 확보된다.
또한, 스풀(5A)에 대한 낚싯줄(S)의 권회량이 적은 경우, 예를 들어 낚싯줄(S)을 다량으로 방출한 상태에서는, 협폭 안내부(67)에 위치하는 낚싯줄(S)은, 규제부(69)에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핸들(8)의 권취 조작 시에, 전환 기구(70)에서는,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웨이 기어(71)의 입력 기어(713)가, 구동 기어(11)의 X1 방향(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받아, Y2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공회전한다. 따라서, 프릭션 기어(72)에 구동 기어(11)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일이 없으며, 낚싯줄 안내체(60)는 복귀 스프링(595)의 스프링력에 의해 낚싯줄 권취 상태로 보유 지지된다. 이에 의해, 낚싯줄 안내체(60)의 협폭 안내부(67)를 통한 낚싯줄 권취 상태가 적절하게 유지된다.
이어서, 클러치 온 상태에 있어서, 낚싯줄(S)이 인출된 경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온 상태에 있어서, 드래그 장치(8b)(도 2 참조)의 드래그력에 저항하여 스풀(5A)로부터 낚싯줄(S)이 인출되면, 그 회전력(인출력)은 스풀축(5)(도 2 참조)으로부터 피니언(12)을 사이에 두고 일방향 클러치(K)로 역회전 방지되어 있는 핸들축(8a)에 마찰 결합하고 있는 구동 기어(11)에 전달되고, 구동 기어(11)가 도면 중 Y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드래그 슬립)한다. 그렇게 하면, 구동 기어(11)에 교합하고 있는 원웨이 기어(71)의 입력 기어(713)가 도면 중 X2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면 중 X2 방향의 회전 시, 원웨이 기어(71)는 일방향 클러치(712)[도 5의 (b) 참조]에 의해 입력 기어(713)와 지지축(710)이 일체 회전 가능 상태가 되므로, 구동 기어(11)를 따라 입력된 회전력이 출력 기어(711)로부터 프릭션 기어(72)로 전달된다.
이에 의해 프릭션 기어(72)의 입력 기어(723)가 도면 중 Y3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프릭션 기구(722)[도 5의 (b) 참조], 지지축(720)[도 5의 (b) 참조]을 사이에 두고 출력 기어(721)[도 5의 (b) 참조]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출력 기어(721)의 회전에 의해, 이것에 교합하고 있는 회전 플레이트(59)가 도면 중 X4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낚싯줄 권취 상태로 보유 지지되고 있던 낚싯줄 안내체(60)가 나사축(51)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낚싯줄 안내체(60)가 낚싯줄 권취 상태로부터 낚싯줄 방출 상태[도 11의 (b) 참조]로 자세를 변경한다.
이 자세 변경에 의해, 낚싯줄 권취 시에 협폭 안내부(67)에 삽입 관통되고 있던 낚싯줄(S)이,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폭 개구부(68)로 이동되고, 광폭 개구부(68)를 통하여 낚싯줄(S)이 인출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회전 플레이트(59)에는 나사축(51)과 동심 원호 형상의 제2 긴 구멍(593)이 형성되어 있고, 제2 긴 구멍(593)의 상단부에 클러치 플레이트(25)의 결합 돌기(25c)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2 긴 구멍(593)의 하단부에 결합 돌기(25c)가 위치하는 관계가 될 때까지, 회전 플레이트(59)가 회전된다. 따라서, 클러치 온 상태 그대로, 클러치 플레이트(25)를 회전시키지 않고, 낚싯줄 안내체(60)를 낚싯줄 권취 상태로부터 낚싯줄 방출 상태[도 11의 (b) 참조]로 자세 변경(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낚싯줄 안내체(60)가 낚싯줄 방출 상태[도 11의 (b) 참조]로 자세 변경된 후, 계속해서 낚싯줄(S)이 인출되어서 소정의 토크 이상의 부하가 프릭션 기어(72)에 가해지면, 도 5의 (b)에 나타낸 결합 받침부(727)와 결합 부재(726)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어서, 지지축(720)과 입력 기어(723)가 상대적으로 공회전(슬립)하는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낚싯줄 안내체(60)가 낚싯줄 방출 상태[도 11의 (b) 참조]로 보유 지지되면서, 필요 이상의 회전력(구동력)이 회전 플레이트(59)에 대하여 가해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 후, 드래그력에 저항한 낚싯줄(S)의 인출이 정지되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귀 스프링(595)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 플레이트(59)가 도면 중 Y4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낚싯줄 안내체(60)가 낚싯줄 방출 상태로부터 낚싯줄 권취 상태로 복귀된다.
이 경우, 회전 플레이트(59)의 도면 중 Y4 방향(반시계 방향)의 회전은, 이것에 교합하고 있는 프릭션 기어(72)의 도면 중 X3 방향(시계 방향)의 회전이 되고, 또한 프릭션 기어(72)에 교합하고 있는 원웨이 기어(71)의 출력 기어(711)의 도면 중 Y2 방향(반시계 방향)의 회전이 된다. 그리고 출력 기어(711)의 도면 중 Y2 방향(반시계 방향)의 회전은, 입력 기어(713)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 기어(11)가 권취 회전 방향(도면 중 X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허용된다. 즉, 드래그력에 저항한 낚싯줄(S)의 인출이 정지된 후에, 핸들(8)이 권취 조작됨으로써, 낚싯줄 안내체(60)가 낚싯줄 방출 상태로부터 낚싯줄 권취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낚싯줄 권취 중에, 드래그 장치(8b)(도 2 참조)의 드래그력에 저항하여 스풀(5A)로부터 낚싯줄(S)이 인출된 경우에는, 상기 작용에 의해 낚싯줄 안내체(60)가 낚싯줄 권취 상태로부터 낚싯줄 방출 상태로 회전한다. 그 후, 구동 기어(11)의 회전력(권취 회전력)에 대하여 스풀(5A)로부터 낚싯줄(S)이 인출될 때의 회전력(인출력)이 작아지면, 상기 작용에 의해 낚싯줄 안내체(60)가 낚싯줄 방출 상태로부터 낚싯줄 권취 상태로 복귀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릴에 의하면, 스풀(5A)에 낚싯줄(S)을 권취하는 낚싯줄 권취 상태에서는, 협폭 안내부(67)에 낚싯줄(S)이 위치하고, 협폭 안내부(67)를 통하여 스풀(5A)에 낚싯줄(S)이 균일하게 권취되므로, 낚싯줄(S)을 스풀(5A)에 양호하게 평행 권취할 수 있다.
또한, 낚싯줄이 권취된 상태에서, 드래그력에 저항하여 낚싯줄(S)이 인출되었을 때에는, 광폭 개구부(68)에 낚싯줄(S)이 위치하고, 광폭 개구부(68)를 통하여 낚싯줄(S)이 인출되므로, 낚싯줄(S)의 인출 저항이 저감된다. 따라서, 협폭 안내부(67)를 통하여 낚싯줄(S)이 인출되는 경우에 비하여 낚싯줄(S)이 손상을 입기 어려워지고, 또한 낚싯줄(S)의 인출에 의해 레벨 와인드 장치(50)에 작용하는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낚싯줄(S)의 인출 저항이 저감되므로, 드래그력에 편차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드래그 성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드래그 성능을 얻을 수 있어, 낚싯줄(S)의 먹어들어감이나 감도, 낚시질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클러치 기구(20)의 전환에 의해 낚싯줄 안내체(60)가 전환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클러치 기구(20)의 전환에 연동하여, 낚싯줄(S)의 적합한 권취 및 낚싯줄(S)의 적합한 방출을 실현할 수 있어, 조작성이 우수한 낚시용 릴이 얻어진다.
(제2 실시 형태)
도 13 내지 도 16에 제2 실시 형태의 낚시용 릴을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전환 기구(70)의 원웨이 기어(71A)가 피니언(12)에 직접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니언(12)의 회전에 의해 원웨이 기어(71A)가 회전되고, 원웨이 기어(71A)의 회전력이 프릭션 기어(72)를 사이에 두고 회전 플레이트(59)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릭션 기어(72)는, 제1 실시 형태의 것보다도 직경이 큰 직경으로 되어 있을 뿐이며, 구조 및 작용은 마찬가지이다. 또한, 회전 플레이트(59) 및 그 주변의 구조도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마찬가지이다.
원웨이 기어(71A)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방향 클러치(712A)와, 일방향 클러치(712A)를 사이에 두고 설치된 출력 기어(711)를 구비한다. 원웨이 기어(71A)는 피니언(1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도 13 중 Y2 방향, 낚싯줄 권취 상태일 때에) 출력 기어(711)를 프리 회전 가능하게 하고, 피니언(12)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도 13 중 X2 방향, 클러치 온 상태에서 드래그력에 저항하여 낚싯줄(S)이 인출되었을 때에) 피니언(12)과 출력 기어(711)를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방향 클러치(712A)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니언(12) 주위에 배치된 보유 지지체(714A)와, 보유 지지체(714A)의 내측에서 보유 지지체(714A)에 의해 구름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된 복수의 구름 부재(롤러)(715)를 구비하고 있다. 보유 지지체(714A)의 내주면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자유 회전 영역(도시하지 않음) 및 저지면(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출력 기어(711)는, 보유 지지체(714A)의 외측에 설치되어, 프릭션 기어(72)에 교합하고 있다.
이러한 원웨이 기어(71A)에 있어서, 피니언(12)이 도 13 중 화살표 Y2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각 구름 부재(715)가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자유 회전 영역에 위치하고, 출력 기어(711)가 피니언(12)에 대하여 프리 회전 가능 상태가 된다. 즉, 핸들(8)이 회전 조작(권취 조작)되어서 구동 기어(11)가 도 13 중 X1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출력 기어(711)가 프리 회전하고, 구동 기어(11)로부터 피니언(12)을 타고 입력된 회전력(구동력)이 출력 기어(711)로부터 출력되지 않는다.
또한, 피니언(12)이 도 13 중 화살표 X2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각 구름 부재(715)가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저지면과 쐐기 결합하고, 피니언(12)과 출력 기어(711)가 일체 회전 가능 상태가 된다. 즉, 드래그 장치(8b)에 의해 드래그력에 저항하여 낚싯줄(S)이 인출되어서, 피니언(12)이 도 13 중 X2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피니언(12)과 출력 기어(711)가 연결되어서 일체 회전하고, 피니언(12)의 회전력(인출력)이 출력 기어(711)로부터 프릭션 기어(72)에 출력된다. 이와 같이, 드래그력에 저항하여 낚싯줄(S)이 인출되고, 피니언(12)이 도 13 중 X2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만, 원웨이 기어(71)를 사이에 두고 프릭션 기어(72)가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낚시용 릴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의 (a)에 나타내는 클러치 온 상태에 있어서, 조작 부재(21)를 밀어내림 조작하면, 클러치 플레이트(25)가 도 15의 (b)에 나타내는 상태로 보유 지지되고, 피니언(12)이 스풀축(5)의 결합부(5a)(도 14 참조)로부터 이탈한다(클러치 오프 상태). 이에 의해, 스풀(5A)은 회전 프리 상태가 되어, 캐스팅 조작 등에 의해 낚싯줄(S)이 방출된다. 즉, 낚싯줄 방출 시에는 전환 기구(70)가 스풀(5A)측으로부터 이탈한 상태가 된다.
그 후, 핸들(8)의 권취 조작으로 클러치 기구(20)를 온 복귀시키면, 피니언(12)이 스풀축(5)에 결합하고, 구동 기어(11)의 회전력이 피니언(12)을 사이에 두고 스풀(5A)에 전달되어서, 스풀(5A)이 도 15의 (a) 중 Y2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낚싯줄 권취 시에는, 전환 기구(70)가 스풀(5A) 측에 접속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낚싯줄 권취 상태에 있어서, 피니언(12)이 도면 중 Y2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전환 기구(70)에 있어서는 원웨이 기어(71A)의 작용에 의해 출력 기어(711)가 공회전한다. 따라서, 프릭션 기어(72)에 피니언(12)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일이 없으며, 낚싯줄 안내체(60)는 복귀 스프링(595)의 스프링력에 의해 낚싯줄 권취 상태로 보유 지지된다. 이에 의해, 낚싯줄 안내체(60)의 협폭 안내부(67)를 통한 낚싯줄 권취 상태가 적절하게 유지된다.
이어서, 클러치 온 상태에 있어서, 낚싯줄(S)이 인출된 경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온 상태에 있어서, 드래그 장치(8b)(도 2 참조)의 드래그력에 저항하여 스풀(5A)로부터 낚싯줄(S)이 인출되면, 피니언(12)이 도면 중 X2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면 중 X2 방향의 회전 시, 원웨이 기어(71A)는 일방향 클러치(712A)(도 14 참조)에 의해 피니언(12)과 출력 기어(711)가 일체 회전 가능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피니언(12)의 회전력이 출력 기어(711)로부터 프릭션 기어(72)로 전달된다.
이에 의해 프릭션 기어(72)가 도면 중 Y3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것에 교합하고 있는 회전 플레이트(59)가 도면 중 X4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의해, 낚싯줄 권취 상태로 보유 지지되고 있던 낚싯줄 안내체(60)가 나사축(51)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줄 방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낚싯줄 권취 시에 협폭 안내부(67)에 삽입 관통되고 있던 낚싯줄(S)이 광폭 개구부(68)로 이동되어, 광폭 개구부(68)를 통하여 낚싯줄(S)이 인출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낚싯줄 안내체(60)가 낚싯줄 방출 상태[도 11의 (b) 참조]가 된 후, 계속해서 낚싯줄(S)이 인출되어서 소정의 토크 이상의 부하가 프릭션 기어(72)에 가해지면, 상기와 같이, 프릭션 기어(72)가 공회전(슬립)하는 상태가 되고, 낚싯줄 안내체(60)가 낚싯줄 방출 상태[도 11의 (b) 참조]로 보유 지지되면서, 필요 이상의 회전력(구동력)이 회전 플레이트(59)에 대하여 가해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 후, 드래그력에 저항한 낚싯줄(S)의 인출이 정지되면, 복귀 스프링(595)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 플레이트(59)가 도면 중 Y4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낚싯줄 안내체(60)가 낚싯줄 방출 상태로부터 낚싯줄 권취 상태로 복귀된다.
이 경우, 회전 플레이트(59)의 도면 중 Y4 방향(반시계 방향)의 회전은, 이것에 교합하고 있는 프릭션 기어(72)의 도면 중 X3 방향(시계 방향)의 회전이 되고, 또한 프릭션 기어(72)에 교합하고 있는 원웨이 기어(71A)의 출력 기어(711)의 도면 중 Y2 방향(반시계 방향)의 회전이 된다. 그리고 출력 기어(711)의 도면 중 Y2 방향(반시계 방향)의 회전은, 피니언(12)을 사이에 두고 구동 기어(11)가 권취 회전 방향(도면 중 X1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허용된다. 즉, 드래그력에 저항한 낚싯줄(S)의 인출이 정지된 후에, 핸들(8)이 권취 조작됨으로써, 낚싯줄 안내체(60)가 낚싯줄 방출 상태로부터 낚싯줄 권취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작용 효과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피니언(12) 주위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원웨이 기어(71A)를 설치할 수 있어, 전환 기구(70)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낚시용 릴의 콤팩트화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공간 절약화에 의해, 프릭션 기어(72)를 대직경화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17, 도 18에 제3 실시 형태의 낚시용 릴을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가 상기 제1, 제2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공지된 레버 드래그 기구(80)를 구비한 릴 본체(1)에 대하여 전환 기구(70)를 설치한 점에 있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축(5)은 핀(5c)에 의해 좌측 커버(3a)에 회전 방지되어서 지지되고 있고, 스풀축(5)에 스풀(5A)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레버 드래그 기구(80)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축(5)(지지축)의 우측에 있어서, 우측 프레임(2b)의 측방에 설치되어 있다. 레버 드래그 기구(80)의 드래그력은, 레버(81)의 전후 방향 회전 조작으로 조절 가능하다. 레버 드래그 기구(80)는 레버(81)에 의해 공지된 캠, 나사 기구를 사이에 두고, 스풀(5A)의 도시하지 않은 우측의 플랜지 측부에 설치한 제동부에 대하여, 권취 구동부측의 드래그 디스크의 가압력을 가감함으로써 스풀(5A)의 회전을 제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5A)의 좌측에 있어서, 좌측 프레임(2a)과 좌측 커버(3a) 사이에는, 전환 기구(70)가 설치되어 있다. 전환 기구(70)는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다. 즉, 전환 기구(70)는 스풀(5A)의 측부에 지지체(5B)를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이 지지체(5B)의 통부 외주에 직접 설치된 원웨이 기어(71A)와, 원웨이 기어(71A)에 교합된 프릭션 기어(72)와, 프릭션 기어(72)에 교합된 회전 부재(59A)[회전 플레이트(59)에 상당]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원웨이 기어(71A)는, 스풀(5A)이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출력 기어(711)를 프리 회전 가능하게 하고, 스풀(5A)이 낚싯줄 방출 방향(낚싯줄 인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스풀축(5)과 출력 기어(711)를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핸들(8)이 회전 조작(권취 조작)되어서 스풀(5A)이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출력 기어(711)가 프리 회전하고, 스풀축(5)으로부터 입력된 회전력(구동력)이 출력 기어(711)로부터 출력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레버(81)에 의해 조절된 드래그력에 저항하여 낚싯줄(S)이 인출되고, 스풀(5A)이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지지체(5B)와 출력 기어(711)가 연결되어서 일체 회전하고, 스풀(5A)의 회전력(인출력)이 출력 기어(711)로부터 프릭션 기어(72)에 출력된다. 이와 같이, 드래그력에 저항하여 낚싯줄(S)이 인출되고, 스풀(5A)이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만, 원웨이 기어(71)를 사이에 두고 프릭션 기어(72)가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회전 부재(59A)에는 좌측 프레임(2a) 사이에 복귀 스프링(595)(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595)은 낚싯줄 안내체(60)를 낚싯줄 방출 상태로부터 낚싯줄 권취 상태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어서,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낚시용 릴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낚싯줄(S)을 방출할 때에는, 레버(81)를 회전 조작하여, 레버 드래그 기구(80)에 의한 드래그력을 완화한 상태로 한다. 그리고, 예를 들어 캐스팅 조작 등을 행하면, 스풀(5A)이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고, 지지체(5B)와 원웨이 기어(71A)의 출력 기어(711)가 연결되어서 일체 회전한다. 이에 의해, 스풀(5A)의 회전력(인출력)이 출력 기어(711)로부터 프릭션 기어(72)에 출력되고, 프릭션 기어(72)를 사이에 두고 회전 부재(59A)가 회전된다. 이 회전에 의해, 낚싯줄 안내체(60)가 낚싯줄 권취 상태로부터 낚싯줄 방출 상태로 회전되어서 자세 변경된다[도 18의 (b) 참조]. 또한, 자세 변경 후, 계속해서 낚싯줄(S)이 인출되어서 소정의 토크 이상의 부하가 프릭션 기어(72)에 가해지면, 상기와 같이, 프릭션 기어(72)가 공회전(슬립)하는 상태가 되어, 필요 이상의 회전력(구동력)이 회전 플레이트(59)에 가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 후, 스풀(5A)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이 정지되거나, 또는 정지되는 상태에 접근하면, 복귀 스프링(595)의 가압력에 의해, 낚싯줄 안내체(60)가 낚싯줄 방출 상태로부터 낚싯줄 권취 상태로 복귀된다[도 18의 (a) 참조].
그 후, 핸들(8)을 권취 조작하면, 스풀(5A)이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고, 스풀(5A)에 낚싯줄(S)이 균등하게 권회된다.
이러한 낚싯줄 권취 상태에 있어서는, 원웨이 기어(71A)의 작용에 의해 출력 기어(711)가 공회전하는 상태가 되므로, 프릭션 기어(72)에 스풀(5A)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일이 없으며, 낚싯줄 안내체(60)는 복귀 스프링(595)의 스프링력에 의해 낚싯줄 권취 상태로 보유 지지된다. 이에 의해, 낚싯줄 안내체(60)의 협폭 안내부(67)를 통한 낚싯줄 권취 상태가 적절하게 유지된다.
이어서, 레버 드래그 기구(80)에 의해 조절된 드래그력에 저항하여 스풀(5A)로부터 낚싯줄(S)이 인출되면, 스풀(5A)이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고, 원웨이 기어(71A)를 사이에 두고 스풀(5A), 지지체(5B)의 회전력이 출력 기어(711)로부터 프릭션 기어(72)로 전달된다.
이에 의해 프릭션 기어(72)가 회전하고, 이것에 교합하고 있는 회전 플레이트(59)가 회전되어서, 낚싯줄 권취 상태로 보유 지지되고 있던 낚싯줄 안내체(60)가 낚싯줄 방출 상태로 회전된다[도 18의 (b) 참조].
이에 의해, 낚싯줄 권취 시에 협폭 안내부(67)에 삽입 관통되고 있던 낚싯줄(S)이 광폭 개구부(68)로 이동되어, 광폭 개구부(68)를 통하여 낚싯줄(S)이 인출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낚싯줄 안내체(60)가 낚싯줄 방출 상태[도 18의 (b) 참조]가 된 후, 계속해서 낚싯줄(S)이 인출되어서 소정의 토크 이상의 부하가 프릭션 기어(72)에 가해지면, 상기와 같이, 프릭션 기어(72)가 공회전(슬립)하는 상태가 되어, 낚싯줄 안내체(60)가 낚싯줄 방출 상태[도 18의 (b) 참조]로 보유 지지되면서, 필요 이상의 회전력(구동력)이 회전 플레이트(59)에 대하여 가해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 후, 드래그력에 저항한 낚싯줄(S)의 인출이 정지되면, 복귀 스프링(595)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 플레이트(59)가 회전되고, 낚싯줄 안내체(60)가 낚싯줄 방출 상태로부터 낚싯줄 권취 상태로 복귀된다[도 18의 (a) 참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작용 효과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은 클러치 기구를 갖지 않는 심플한 구성의 낚시용 릴에 있어서도 적절하게 전환 기구(70A)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스풀(5A)의 회전에 의거하여, 전환 기구(70)가 작동하므로, 낚싯줄 안내체(60)의 자세 변경 시의 작동 응답성이 좋다. 따라서, 스풀(5A)에 연결된 레버 드래그 기구(80)에 작용하는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전환 기구(70)의 변형예를 도 19 내지 도 26에 나타낸다.
회전 플레이트(7)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축(5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52)의 외륜과 우측 프레임(2b)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우측 프레임(2b)의 외면측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고, 클러치 플레이트(25)의 돌기(25b)와 좌우 방향으로 겹쳐 있다. 회전 플레이트(7)에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대략 L자형의 위치 규제 수단으로서의 상부 결합 구멍(7A), 하부 결합 구멍(7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중, 상부 결합 구멍(7A)은 클러치 기구(20)로부터의 동력 전달에 사용되고, 또한 하부 결합 구멍(7B)은 전환 유닛(70A)으로부터의 동력 전달에 사용되어, 전환 기구(70)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상부 결합 구멍(7A)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제1 긴 구멍(7a1)과, 상부 제1 긴 구멍(7a1)에 연속되는 동시 제2 긴 구멍(7a2)을 갖는다. 상부 제1 긴 구멍(7a1)은 나사축(51)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의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제2 긴 구멍(7a2)은, 나사축(51)과 동심의 원호 형상의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결합 구멍(7A)에는, 클러치 플레이트(25)의 결합 돌기(25c)가 헐겁게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회전 플레이트(7)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플레이트(25)의 회전에 수반하여 나사축(51)의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플레이트(7)는 나눔 스프링(23)에 의해, 낚싯줄 권취 상태와 낚싯줄 방출 상태 사이에서 나눔 보유 지지되는 클러치 플레이트(25)와 함께, 2개의 위치에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하부 결합 구멍(7B)은, 하부 제1 긴 구멍(7b1)과, 하부 제1 긴 구멍(7b1)에 연속되는 하부 제2 긴 구멍(7b2)을 갖는다. 하부 제1 긴 구멍(7b1)은 나사축(51)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고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의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하부 제2 긴 구멍(7b2)은 나사축(51)과 동심의 원호 형상의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 결합 구멍(7B)에는, 돌기부(721)가 헐겁게 삽입되어 있다. 돌기부(721)는 전환 기구(70)의 프릭션 장치(72)에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부(721)의 헐거운 삽입에 의해, 회전 플레이트(7)는 프릭션 장치(72)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회전 플레이트(7)는 상기한 클러치 플레이트(25)의 작동에 의한 회전 외에, 전환 기구(70)의 작동에 의해서도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전 플레이트(7)의 전방측부와 우측 프레임(2b) 사이에는, 복귀 수단으로서의 복귀 스프링(7c)이 설치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7c)은 회전 플레이트(7)를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으며, 회전 플레이트(7)를 낚싯줄 권취 상태로 보유 지지한다. 복귀 스프링(7c)은 전환 기구(70)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복귀 스프링(7c)에 의해, 도 19에 나타내는 낚싯줄 권취 상태에 있어서, 클러치 플레이트(25)의 결합 돌기(25c)는 상부 결합 구멍(7A)의 상부 제1 긴 구멍(7a1)의 후단부[상부 제2 긴 구멍(7a2)의 상단부]에 보유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환 기구(70)의 돌기부(721)는 하부 결합 구멍(7B)의 하부 제1 긴 구멍(7b1)의 후단부[하부 제2 긴 구멍(7b2)의 후단부]에 보유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20에 나타내는 낚싯줄 방출 상태에 있어서, 클러치 플레이트(25)의 결합 돌기(25c)는 상부 제1 긴 구멍(7a1)의 전단부에 보유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환 기구(70)의 돌기부(721)는 하부 제2 긴 구멍(7b2)의 전단부에 보유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복귀 스프링(7c)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환 기구(70)의 구성 요소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전환 기구(70)는, 도 19,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 유닛(70A)과, 하부 결합 구멍(7B)과, 복귀 스프링(7c)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환 기구(70)는 레벨 와인드 장치(50)의 나사축(51)(구동축)과 핸들축(8a) 사이의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설치되어 있다. 전환 유닛(70A)은, 원웨이 장치(71)와, 프릭션 장치(72)를 구비하고 있다. 원웨이 장치(71)와, 프릭션 장치(72)는 우측판(1B) 내에 연결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들이 핸들축(8a)에 동심원 위에 배치되어 있다.
원웨이 장치(71)는, 도 23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라이브 기어 컬러(711)와, 드라이브 기어 컬러(711)에 지지되는 일방향 클러치(712)를 구비한다. 원웨이 장치(71)는 권취된 상태에서, 낚싯줄(S)이 인출되었을 때에, 드래그 장치(8b)(도 1 참조)의 설정 드래그력에 저항하여 구동 기어(11)[도 23의 (b) 참조]가 반시계 방향[도 23의 (a) 화살표 Y1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드라이브 기어 컬러(711)와 일방향 클러치(712)를 결합한다(동력 전달 상태로 함). 또한, 핸들(8)에 의한 권취 조작으로 드래그 장치(8b)(도 1 참조)를 사이에 두고 구동 기어(11)가 시계 방향[도 23의 (a) 화살표 X1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드라이브 기어 컬러(711)를 프리 회전 가능(동력 차단 상태)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드라이브 기어 컬러(711)는, 도 2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축(8a)에 헐겁게 끼워지는 통부(711a)와, 통부(711a)의 우측단부에 설치된 원판 형상의 플랜지부(711b)와, 플랜지부(711b)의 우측면에 설치된 복수의 고정용 돌기부(711c)를 갖고 있다. 구동 기어(11)에는, 각 고정용 돌기부(711c)가 끼워 넣어지는 복수의 오목부(11c)가 마련되어 있다. 구동 기어(11)는 드라이브 기어 컬러(711)에 회전 방지 고정되어 있다.
일방향 클러치(712)는 구름식이며, 원환 형상의 보유 지지체(712a)와, 보유 지지체(712a)의 내측에서 보유 지지체(712a)에 의해 구름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된 복수의 구름 부재(롤러)(712b)를 구비하고 있다. 경사면(712c)에는, 도 2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구름 부재(712b)가 자유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는 자유 회전 영역(712e)과, 쐐기 작용에 의해 각 구름 부재(712b)의 회전을 저지하는 저지면(712d)이 형성되어 있다. 일방향 클러치(712)는 프릭션 장치(72)의 입력 부재(72a)에 압입하여 회전 방지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원웨이 장치(71)에 있어서, 핸들(8)(도 1 참조)이 회전 조작(권취 조작)되어서 구동 기어(11)가 시계 방향[도 19, 도 23의 (a) 중 X1 방향으로]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각 구름 부재(712b)가 자유 회전 영역(712e)에 위치하고, 드라이브 기어 컬러(711)가 프리 회전 가능 상태가 된다. 즉, 핸들(8)(도 1 참조)의 회전 조작으로 입력된 회전력(구동력)이 프릭션 장치(72)측에 출력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핸들축(8a)이 일방향 클러치(K)에 의해 낚싯줄 조출에 수반하는 역회전이 방지되고 있으므로] 드래그 장치(8b)에 의해 드래그력에 저항하여 낚싯줄(S)이 인출되고, 구동 기어(11)가 반시계 방향[도 19, 도 23의 (a) 중 Y1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각 구름 부재(712b)가 저지면(712d)에 위치하고, 드라이브 기어 컬러(711)와 보유 지지체(712a)(외륜)가 연결되어서 일체 회전한다. 이에 의해, 구동 기어(11)를 통하여 입력된 회전력(인출력)이 원웨이 장치(71)로부터 프릭션 장치(72)에 출력된다. 이와 같이, 드래그력에 저항하여 낚싯줄(S)이 인출되고, 구동 기어(11)가 도 19, 도 23의 (a) 중 Y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만, 원웨이 장치(71)를 사이에 두고 프릭션 장치(72)가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프릭션 장치(72)는 원웨이 장치(71)의 회전력을 후단의 회전 플레이트(7)에 전달하는 것이며, 소정의 토크 이상의 부하가 가해졌을 때에 공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릭션 장치(72)는 도 23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방향 클러치(712)의 보유 지지체(712a)에 외부 끼움 고정되는 원환 형상의 입력 부재(72a)와, 입력 부재(72a)에 외부 장착되는 원환 형상의 출력 부재(72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프릭션 기구(72A)[도 23의 (a)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출력 부재(72b)에는 회전 플레이트(7)(도 19 참조)를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72b1)가 형성되어 있고, 연장부(72b1)의 선단부에 돌기부(721)가 설치되어 있다. 돌기부(721)는 우측 프레임(2b)[도 23의 (b) 참조]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플레이트(7)의 하부 결합 구멍(7B)에 헐겁게 삽입되어 있다.
프릭션 기구(72A)는, 출력 부재(72b)에 형성된 오목부(722)와, 오목부(722)에 수용된 가압 스프링(723)과, 가압 스프링(723)에 가압된 결합 부재(724)와, 입력 부재(72a)의 외주면의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결합 받침부(72a1)를 구비하고 있다. 결합 부재(724)는 결합 받침부(72a1)에 가압된 상태에서 결합 받침부(72a1)에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릭션 기구(72A)는, 소정의 토크 이상의 부하가 가해졌을 때에, 결합 받침부(72a1)에 대한 결합 부재(724)의 결합이 해제되어, 입력 부재(72a)와 출력 부재(72b)가 상대적으로 공회전(슬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입력 부재(72a)와 출력 부재(72b) 사이에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의 토크가 작용했을 때에, 양자는 공회전 관계가 되어, 입력 부재(72a)의 공회전이 계속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필요 이상의 회전력(구동력)이 회전 플레이트(7)에 대하여 가해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릭션 장치(72)는 원웨이 장치(71)의 보유 지지체(712a)의 회전력을 받으면, 도 25의 (b) 중 Y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후단의 회전 플레이트(7)를 도 25의 (b) 중 X2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작용한다. 이에 의해, 낚싯줄 안내체(60)는 도 25의 (a)에 나타내는 낚싯줄 권취 상태로부터 도 26의 (a)에 나타내는 낚싯줄 방출 상태로 자세가 전환된다.
이어서, 클러치 온 상태에 있어서, 낚싯줄(S)이 인출된 경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온 상태에 있어서, 드래그 장치(8b)(도 1 참조)의 드래그력에 저항하여 스풀(5A)로부터 낚싯줄(S)이 인출되면, 그 회전력(인출력)은 스풀축(5)으로부터 피니언(12)을 사이에 두고 구동 기어(11)에 전달된다[도 26의 (a) 참조, 스풀(5A)이 X3 방향으로 회전, 구동 기어(11)가 Y1 방향으로 회전]. 구동 기어(11)는 일방향 클러치(K)(도 1 참조)에 의해 역회전 방지되어 있는 핸들축(8a)에 대하여 드래그 장치(8b)로 마찰 결합되어 있으며, 도 2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Y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드래그 슬립)한다. 그렇게 하면, 도 2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라이브 기어 컬러(711)가 Y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면 중 Y1 방향의 회전 시, 원웨이 장치(71)는 일방향 클러치(712)에 의해 드라이브 기어 컬러(711)와 보유 지지체(712a)가 일체 회전 가능 상태가 되므로, 구동 기어(11)를 따라 입력된 회전력이 원웨이 장치(71)로부터 프릭션 장치(72)로 전달된다.
이에 의해 프릭션 장치(72)의 입력 부재(72a)가 도 23의 (a) 중 Y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프릭션 기구(72A)를 사이에 두고 출력 부재(72b)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출력 부재(72b)의 회전에 의해, 돌기부(721)를 사이에 두고 회전 플레이트(7)가 도 25의 (b) 중 X2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낚싯줄 권취 상태로 보유 지지되고 있던 낚싯줄 안내체(60)가 나사축(51)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낚싯줄 안내체(60)가 낚싯줄 권취 상태로부터 낚싯줄 방출 상태[도 26의 (a) 참조]로 자세를 변경한다.
이 자세 변경에 의해, 낚싯줄 권취 시에 협폭 안내부(67)에 삽입 관통되고 있던 낚싯줄(S)이, 도 2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폭 개구부(68)로 이동되어, 광폭 개구부(68)를 통하여 낚싯줄(S)이 인출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회전 플레이트(7)의 상부 결합 구멍(7A)에는, 나사축(51)과 동심 원호 형상의 상부 제2 긴 구멍(7a2)이 형성되어 있고, 인출 시에는 상부 제2 긴 구멍(7a2)의 상단부에 클러치 플레이트(25)의 결합 돌기(25c)가 결합되어 있으므로[도 25의 (a) 참조], 상부 제2 긴 구멍(7a2)의 하단부에 결합 돌기(25c)가 위치하는 관계가 될 때까지, 회전 플레이트(7)가 회전된다[도 26의 (a) 참조]. 따라서, 클러치 온 상태 그대로, 클러치 플레이트(25)를 회전시키지 않고, 낚싯줄 안내체(60)를 낚싯줄 권취 상태로부터 낚싯줄 방출 상태[도 26의 (a) 참조]로 자세 변경(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낚싯줄 안내체(60)가 낚싯줄 방출 상태[도 26의 (a) 참조]로 자세 변경된 후, 계속해서 낚싯줄(S)이 인출되어서 소정의 토크 이상의 부하가 프릭션 장치(72)에 가해지면, 도 23의 (a)에 나타낸 입력 부재(72a)와 출력 부재(72b)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어서, 이들이 상대적으로 공회전(슬립)하는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낚싯줄 안내체(60)가 낚싯줄 방출 상태[도 26의 (a) 참조]로 보유 지지되면서, 필요 이상의 회전력(구동력)이 회전 플레이트(7)에 대하여 가해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 후, 드래그력에 저항한 낚싯줄(S)의 인출이 정지되면, 도 2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귀 스프링(7c)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 플레이트(7)가 도면 중 Y2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낚싯줄 안내체(60)가 낚싯줄 방출 상태로부터 낚싯줄 권취 상태로 복귀된다. 이 경우, 드래그력에 저항한 낚싯줄(S)의 인출이 정지된 후에, 핸들(8)이 권취 조작됨으로써, 일방향 클러치(712)의 작용으로 낚싯줄 안내체(60)가 낚싯줄 방출 상태로부터 낚싯줄 권취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즉, 핸들(8)이 권취 조작되어서 구동 기어(11)가 도 26의 (b) 중 화살표 X1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드라이브 기어 컬러(711)가 X1 방향(시계 방향)으로 공회전하여, 동력 차단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복귀 스프링(7c)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 플레이트(7)가 도면 중 Y2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낚싯줄 안내체(60)가 낚싯줄 방출 상태로부터 낚싯줄 권취 상태로 복귀된다.
또한, 낚싯줄 권취 중에, 드래그 장치(8b)(도 19 참조)의 드래그력에 저항하여 스풀(5A)로부터 낚싯줄(S)이 인출된 경우에는, 상기 작용에 의해 낚싯줄 안내체(60)가 낚싯줄 권취 상태로부터 낚싯줄 방출 상태로 회전한다. 그 후, 구동 기어(11)의 회전력(권취 회전력)에 대하여 스풀(5A)로부터 낚싯줄(S)이 인출될 때의 회전력(인출력)이 작아지면, 상기 작용에 의해 낚싯줄 안내체(60)가 낚싯줄 방출 상태로부터 낚싯줄 권취 상태로 복귀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환 기구(70)는 레벨 와인드 장치(50)의 나사축(51)과 핸들축(8a) 사이의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설치되므로,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것은, 낚시용 릴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또한, 전환 기구(70)가 한쪽 측판 내[우측판(1B) 내]에 연결하는 상태로 배치된(동심원 상에 배치된) 원웨이 장치(71)와 프릭션 장치(72)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므로, 낚싯줄 안내체(6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구를 집약화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기구의 소형화 및 간소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원웨이 장치(71)의 회전력을 효율적으로 프릭션 장치(72)에 전달할 수 있어, 낚싯줄 안내체(60)의 회전 동작도 안정된다.
또한, 핸들축(8a)에 원웨이 장치(71) 및 프릭션 장치(72)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핸들축(8a)에 구동 기구를 집약화할 수 있어, 한층 더 소형화 및 간소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핸들축(8a)에 구동 기구가 집약화되므로, 다른 부품과의 간섭도 적절하게 피할 수 있다. 또한, 레이 아웃성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도 27, 도 28을 참조하여 제5 실시 형태의 낚시용 릴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가 상기 제4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전환 유닛(70B)의 원웨이 장치(71)를 간단화한 점에 있다. 또한, 회전 플레이트(7) 및 그 밖의 구조는, 제4 실시 형태의 것과 마찬가지이다.
도 27,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방향 클러치(712)는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립(712f)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드라이브 기어 컬러(711)에는, 복수의 립(712f)에 대응하도록, 외주면의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결합 오목부(711e)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 오목부(711e)는 립(712f)의 연장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며(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경사져 있으며), 립(712f)의 적어도 선단부가 수용되는 깊이를 갖고 있는, 결합 오목부(711e)의 단부에는 립(712f)의 선단부가 걸림 지지되는 단차면(711f)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원웨이 장치(71)에 있어서, 핸들(8)(도 1 참조)이 회전 조작(권취 조작)되어서 구동 기어(11)가 시계 방향[도 19, 도 27의 (a) 중 X1 방향으로]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립(12f)이 결합 오목부(711e)에 대하여 비결합 상태가 되어 드라이브 기어 컬러(711)가 프리 회전 가능 상태가 된다. 즉, 핸들(8)(도 1 참조)의 회전 조작으로 입력된 회전력(구동력)이 프릭션 장치(72)측에 출력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드래그 장치(8b)(도 1 참조)에 의해 드래그력에 저항하여 낚싯줄(S)이 인출되어서, 구동 기어(11)가 반시계 방향[도 19, 도 27의 (a) 중 Y1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각 립(712f)이 단차면(711f)에 걸림 지지되어, 드라이브 기어 컬러(711)와 일방향 클러치(712)가 연결되어서 일체 회전한다. 이에 의해, 구동 기어(11)를 통하여 입력된 회전력(인출력)이 원웨이 장치(71)로부터 프릭션 장치(72)에 출력된다. 이와 같이, 드래그력에 저항하여 낚싯줄(S)이 인출되어, 구동 기어(11)가 도 19, 도 27의 (a) 중 Y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만, 원웨이 장치(71)를 통하여 프릭션 장치(72)가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4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작용 효과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원웨이 장치(71)의 구조가 간단해지므로 제조 비용의 저감이 도모된다. 또한, 전환 유닛(70A)의 소형화도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낚싯줄 안내체(60)가 회전하여 자세 변경됨으로써, 낚싯줄(S)의 안내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일은 없으며, 낚싯줄 안내체(60)가 직선적(상하 방향 등)으로 이동함으로써, 낚싯줄(S)을 협폭 안내부(67) 또는 광폭 개구부(68)에 위치시켜서 안내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프릭션 기어(72)의 프릭션 기구(722)는 점성의 유체를 사용한 기구를 채용해도 된다.
또한, 낚싯줄 안내체(60)에 대해서는, 그 형상을 적절하게,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폭 개구부(68)를 대략 삼각 형상으로 하거나, 대략 원 형상으로 하는 등, 적절히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규제부(69)에 대해서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평탄 형상이 된 프레임체(60F)의 상부벽(68b)의 후단부 테두리에서 형성하지 않아도 되고, 낚싯줄 삽입 관통부(60A)를 구성하는 프레임체(60F)의 어느 한 부분을 굴곡 형성하는 등, 그 형상에 대해서는 적절히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낚싯줄 안내체(60)는 낚싯줄과 접촉하는 부분에, 내마모성을 갖는 동시에, 미끄럼 이동 저항이 적은 부재(낚싯줄 접촉 부재)를 설치해 두어도 된다. 이러한 낚싯줄 접촉 부재를 설치해 둠으로써, 낚싯줄 방출 시나 낚싯줄 권취 시에 낚싯줄(S)이 접촉되어도, 낚싯줄(S)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접촉 저항을 더욱 경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낚싯줄 안내체(60)를 클러치 기구(20)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했지만, 클러치 기구와는 연동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낚싯줄 안내체(60)를 회전할 때에는, 관상체(55)의 외주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를 설치하여 회전 방지했지만, 관상체(55)에 형성되는 긴 구멍(55a)의 에지(55e)에 의해 회전 방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한 릴 본체(1)의 좌우 측판(1A, 1B) 사이에 설치된 섬 레스트(1D)는, 낚싯줄 방출 시의 저항 경감을 위해, 없어도 되고,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전환 기구(70)는 전체가 레벨 와인드 장치(50)의 나사축(51)과 핸들축(8a)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에 한정되는 일은 없으며, 전환 기구(70) 중 적어도 일부가, 레벨 와인드 장치(50)의 나사축(51)과 핸들축(8a)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체로서 핸들축(8a)에 마찰 결합하는 구동 기어(11)를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일은 없고, 우측 프레임(2b)에 별도로 지지축을 설치하여 마찰 결합하는 구동 기어를 회전체로서 전환 기구(70)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원웨이 장치(71)와 프릭션 장치(72)는, 다른 축에 배치된 것도 채용할 수 있다.
1 : 릴 본체
5 : 스풀축
5A : 스풀
8b : 드래그 장치
20 : 클러치 기구
50 : 레벨 와인드 장치
60 : 낚싯줄 안내체
67 : 협폭 안내부
68 : 광폭 개구부
70 : 전환 기구
71 : 원웨이 장치
72 : 프릭션 장치
S : 낚싯줄

Claims (9)

  1. 낚시용 릴이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과,
    낚싯줄이 삽입 관통되는 낚싯줄 안내체와,
    상기 스풀에 낚싯줄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낚싯줄 안내체를 좌우 왕복 이동시키는 레벨 와인드 장치와,
    낚싯줄에 드래그력을 부여하는 드래그 장치를 갖고,
    상기 낚싯줄 안내체는, 협폭 안내부 및 광폭 개구부로 구성되어, 상기 스풀에 낚싯줄을 권취할 때에 당해 낚싯줄을 상기 협폭 안내부에 위치시켜서 안내하고, 상기 스풀로부터 낚싯줄을 방출할 때에 당해 낚싯줄을 상기 광폭 개구부에 위치시켜서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낚싯줄 안내체의 자세를 전환하는 전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스풀에 낚싯줄이 권취된 상태에서, 당해 낚싯줄이 상기 드래그 장치에 의한 드래그력에 저항하여 인출될 때에, 당해 낚싯줄의 안내 위치를 상기 협폭 안내부로부터 상기 광폭 개구부로 변경시키도록, 상기 전환 기구에 의해 상기 낚싯줄 안내체의 자세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기구는 핸들축에 마찰 결합하는 구동 기어와, 상기 구동 기어의 회전에 연동하여 좌우로 왕복 이동하는 레벨 와인드 장치 사이의 동력 전달 경로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기구는 원웨이 장치, 프릭션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기구는 결합 수단, 복귀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 장치는 상기 드래그 장치에 의해 부여된 드래그력에 저항하여 낚싯줄이 인출되었을 때에 동력 전달하는 원웨이 기어이며, 상기 프릭션 장치는 소정의 토크 이상의 부하가 가해졌을 때에 공회전하는 프릭션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기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레벨 와인드 장치의 구동축과 상기 드래그 장치의 회전체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 장치와 상기 프릭션 장치는 한쪽의 측판 내에 연결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 장치 및 상기 프릭션 장치는 핸들축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을 동력 전달 상태와 동력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낚싯줄 안내체는, 상기 클러치 기구에 의해 동력 전달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에, 낚싯줄을 상기 협폭 안내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클러치 기구에 의해 동력 차단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에, 낚싯줄을 상기 광폭 개구부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KR1020140166402A 2013-11-29 2014-11-26 낚시용 릴 KR1022794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47725A JP6143657B2 (ja) 2013-11-29 2013-11-29 魚釣用リール
JPJP-P-2013-247725 2013-11-29
JPJP-P-2014-134744 2014-06-30
JP2014134744A JP6291368B2 (ja) 2014-06-30 2014-06-30 魚釣用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981A KR20150062981A (ko) 2015-06-08
KR102279442B1 true KR102279442B1 (ko) 2021-07-21

Family

ID=53263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402A KR102279442B1 (ko) 2013-11-29 2014-11-26 낚시용 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45088B2 (ko)
KR (1) KR102279442B1 (ko)
CN (1) CN1046636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76111A (ja) * 2016-03-31 2017-10-0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6240350B1 (ja) * 2017-02-01 2017-11-29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発射装置
JP7008454B2 (ja) * 2017-09-28 2022-01-2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US10506802B2 (en) * 2017-11-29 2019-12-17 Globeride, Inc. Anti-reverse device for fishing spinning reel and fishing spinning reel having the same
KR102184732B1 (ko) 2018-05-10 2020-11-30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피니언 지지구조를 갖는 낚시 릴
KR102127299B1 (ko) 2018-09-07 2020-06-26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전위 부식 방지용 부싱을 구비한 낚시 릴
CN111903630A (zh) * 2019-05-08 2020-11-10 广州辉悦贸易有限公司 一种渔轮
CN112219806B (zh) * 2020-10-28 2022-01-04 王子洋 一种钓鱼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60175A (en) * 1937-08-23 1939-05-30 Shakespeare Co Level wind fishing reel
US2652212A (en) * 1952-01-28 1953-09-15 Ocean City Mfg Company Surf casting fishing reel
US3111287A (en) * 1960-04-04 1963-11-19 Robert C Baenziger Fishing reel
US3237900A (en) * 1964-03-13 1966-03-01 George H Odom Level winding mechanism for fishing reels
EP0698343A3 (en) * 1994-08-23 1996-06-05 Daiwa Seiko Inc Double bearing fishing reel
JP3582687B2 (ja) * 1997-03-18 2004-10-2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の釣糸案内装置
JPH1189487A (ja) * 1997-09-25 1999-04-06 Daiwa Seiko Inc 両軸受型リール
US6053444A (en) 1997-03-18 2000-04-25 Diawa Seiko, Inc. Fishline guide device for double bearing type reel
CN1109496C (zh) * 1997-09-17 2003-05-28 熊大顺 可换档渔线轮
JPH11308951A (ja) * 1998-04-27 1999-11-09 Ryobi Ltd 両軸受けリールの釣糸案内装置
JP2009207369A (ja) * 2008-02-29 2009-09-17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4981958B2 (ja) * 2010-09-29 2012-07-2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US8777146B2 (en) * 2012-01-27 2014-07-15 Shimano Inc. Dual-bearing reel
EP2756753B1 (en) 2012-05-29 2019-04-10 Globeride, Inc. Fishing reel
JP5525568B2 (ja) 2012-05-29 2014-06-1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45088B2 (en) 2017-01-17
CN104663604B (zh) 2017-08-08
CN104663604A (zh) 2015-06-03
KR20150062981A (ko) 2015-06-08
US20150150229A1 (en) 2015-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9442B1 (ko) 낚시용 릴
US7191969B2 (en) Fishing reel
EP2756753B1 (en) Fishing reel
JP5525568B2 (ja) 魚釣用リール
JP2002142626A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US9642349B2 (en) Fishing reel
GB2258595A (en) Spinning reel having a device for preventing backward rotation of a rotor.
JP6291368B2 (ja) 魚釣用リール
JP6143657B2 (ja) 魚釣用リール
JP2009159953A (ja) 魚釣り用リール
JP2011177154A (ja) 魚釣用リール
JP4865759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4023476A (ja) 魚釣用リール
JP5797170B2 (ja) 魚釣用リール
JP4887336B2 (ja) 魚釣用リール
JP3857999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9110772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5956907B2 (ja) 魚釣用リール
JP2020018194A (ja) 魚釣用リール
JP2009278897A (ja) 魚釣用リール
JP2014217288A (ja) 魚釣用リール
JP2014014376A (ja) 魚釣用リール
JP2009261321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5109818A (ja) 魚釣用リール
JP2015144568A (ja) 魚釣用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