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2665A - 광학 렌즈, 광학 렌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광학 렌즈, 광학 렌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2665A
KR20150022665A KR20140090604A KR20140090604A KR20150022665A KR 20150022665 A KR20150022665 A KR 20150022665A KR 20140090604 A KR20140090604 A KR 20140090604A KR 20140090604 A KR20140090604 A KR 20140090604A KR 20150022665 A KR20150022665 A KR 20150022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ical lens
resin
manufacturing apparatus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90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4476B1 (ko
Inventor
이민호
심용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앤아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앤아이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앤아이솔루션
Priority to US14/913,495 priority Critical patent/US10173347B2/en
Priority to CN201480046739.4A priority patent/CN105682907B/zh
Priority to PCT/KR2014/006673 priority patent/WO2015026065A1/ko
Publication of KR20150022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29C33/40Plastics, e.g. foam or rubber
    • B29C33/405Elastomers, e.g.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8Mould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29C33/3828Moulds made of at least two different materials having different thermal conducti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26Transparent
    • B29K2995/0027Transparent for light outside the visible spect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1/00Optical elements, e.g. lenses, prisms
    • B29L2011/0016Len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렌즈 제조 장치는, 광학 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상부 캐비티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몰드, 광학 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하부 캐비티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몰드 및 상기 상부 몰드 및 하부 몰드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학 렌즈, 광학 렌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OPTICAL LENS, FABRICATION APPRATU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광학 렌즈와 관련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효율적으로 광학 렌즈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광학 렌즈(optical lens)는 빛을 모으거나 분산하기 위하여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물체를 의미한다. 광학 렌즈는 투명한 재질의 물체(예를 들어, 유리 또는 수정 등) 연마하여 원하는 형상을 성형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최근에는 플라스틱 등의 고분자 화합물을 용융시켜 몰드에 사출하여 생산하는 광학 렌즈 제조 방법이 도입되고 있다. 플라스틱 사출 성형 방식의 경우, 몰드 내에 원하는 렌즈의 형상으로 구현된 캐비티(cavity)가 존재하며, 사출기가 용융된 플라스틱 수지(resin)를 스프루를 통해 몰드안으로 주입한다. 주입된 용융 플라스틱 수지는 몰드 내의 캐비티에 충전되며, 이후 냉각된다. 냉각이 완료되면 플라스틱은 캐비티의 형상대로 성형되어 광학 렌즈가 제작된다.
플라스틱 사출을 통한 광학 렌즈 제조 방법의 경우, 용융된 플라스틱 수지의 냉각 속도 차이에 따라 광학 렌즈를 형성하는 플라스틱 내에서 복굴절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플라스틱 수지의 냉각 속도 차이에 따른 복굴절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해, 수지의 사출압력을 높이거나, 몰드의 온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으나, 이는 생산 속도를 감소시켜 생산성을 저하시킨다.
한편, 광경화 수지는 자외선(Ultraviolet; UV) 또는 전자선(Electron Beam; EB) 등 빛 에너지를 받아 가교, 경화하는 합성 유기재료를 의미한다. 자외선에 의해 경화하는 수지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 전자선에 의해 경화하는 수지는 전자선 경화성 수지로 지칭한다. 플라스틱 수지의 사출 성형을 통한 광학 렌즈 제조 방법의 대안으로서, 광경화 수지를 통해 광학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88480호는 자외선 경화 수지를 이용하여 광학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광경화 수지를 이용하여 광학 렌즈를 제조함에 있어서, 제조 방법을 효율화 하고 높은 수율을 얻기 위한 제조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광경화 수지를 이용한 광학 렌즈 제조 방법에서 광학 렌즈의 수율을 높이기 위한 효율적인 광학 렌즈 제조 방법 및 광학 렌즈 제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렌즈 제조 장치는, 광학 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상부 캐비티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몰드, 광학 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하부 캐비티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몰드 및 상기 상부 몰드 및 하부 몰드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렌즈 제조 방법은, 광학 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상부 캐비티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몰드를 배치하는 단계, 광학 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하부 캐비티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몰드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몰드 및 하부 몰드 사이에 탄성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렌즈 제조 장치는, 광학 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상부 캐비티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몰드, 광학 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상부 캐비티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몰드 및 상기 상부 몰드 또는 상기 하부 몰드의 외측면의 연장선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탄성 부분을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렌즈 제조 방법 및 광학 렌즈 제조 장치는, 광학 렌즈를 효율적으로 제조하여 그 수율을 높임으로써, 광학 렌즈 제조 방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된 것으로 제한되지는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시들에서, 공지의 구조들 및 장치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기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렌즈 제조 장치에서, 제조 장치의 계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렌즈 제조 장치에서, 렌즈 형성부의 일부 계층 구조를 상세히 본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렌즈 제조 장치에서, 렌즈 형성부의 일부 계층 구조를 상세히 본 도면이다.
도 3A는 도 2A에 도시된 렌즈 형성부의 일부 계층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렌즈 형성부의 일부 계층 구조에서 탄성 부재가 압착된 경우의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렌즈 제조 장치에서, 렌즈 형성부의 일부 계층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렌즈 제조 방법의 노광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렌즈 제조 방법의 노광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렌즈 제조 방법의 노광 방법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렌즈 제조 장치(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제조 장치(100)의 하부 판(122C)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제조 장치(100)의 상부 판(121C)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제조 장치(100)의 단면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렌즈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는, 광중합 반응을 통해 경화되는 광 경화 수지(resin)를 이용하여 광학 렌즈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렌즈 제조 장치는 투명 (또는 반투명) 몰드 내에 제조하고자 하는 렌즈의 형상을 따라 형성된 캐비티(cavity)를 형성시킨다. 또한, 광학 렌즈 제조 장치는 캐비티 내에 광 경화 수지를 주입하는 수지 주입부를 포함 할 수 있다. 주입장치에 의해 캐비티 내에 주입된 광 경화 수지는 노광 공정에서 광 경화 수지를 경화시키는 빛(예를 들어, 자외선(UV))을 조사하는 노광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노광 장치에 의해 조사된 빛에 의해 캐비티에 주입된 광 경화 수지가 중합반응을 일으켜 경화되고, 이를 통해 광학 렌즈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렌즈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광 경화 수지의 종류는 다음 표 1과 같다.
구성 성분
구분
라디칼 중합 타입 카티온 중합 타입
올리고머 -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
-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 지환식 에폭시수지
- 글리시딜에테르 에폭시수지
-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 비닐에테르
모노머 - 단관능성 혹은 다관능성 모노머 - 에폭시계 모노머
- 비닐에테르류
- 환상 에테르류
광중합
개시제
- 벤조인에테르류
- 아민류
- 디아조늄염
- 요오드늄염
- 술포늄염
- 메탈노센화합물
첨가제 - 접착 부여제, 충전재, 중합 금지제 등 - 실란 커플링제
상기 광 경화 수지 중 저점도의 모노머를 사용할 경우, 수지의 흐름성이 좋아진다. 종래 플라스틱 수지 용융 사출 방식으로 광학 렌즈를 제조하는 경우, 고점도의 용융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수지의 점도가 높아 흐름성이 좋지 않으므로 이로 인해 경화(냉각) 과정에서 복굴절이 발생하거나, 광학 렌즈가 불균일하게 생성되어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저점도 모노머를 사용하는 경우, 수지의 점도가 낮아 흐름성이 개선되므로 이러한 단점들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광 경화 수지를 이용한 광학 렌즈 제조 방법의 경우, 수지의 경화 과정을 포함한 렌즈 제조 공정의 전 단계가 상온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광학 렌즈를 제조하는데 사용하는 몰드의 재질을 투명 플라스틱과 같은 가볍고 저렴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어, 생산 설비에 투자되는 금액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렌즈 제조 장치에서, 광학 렌즈 제조 장치의 렌즈 형성부(100)의 계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렌즈 형성부(100)의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계층들 중 일부 계층만이 렌즈 형성부(100)를 구성하거나,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계층들이 렌즈 형성부(100)를 구성하기 위해 추가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광학 렌즈 제조 장치는 렌즈 형성부(100)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렌즈 제조 장치는, 렌즈 형성부(100) 내에 광 경화 수지가 주입된 후, 빛을 조사하는 광원들을 포함하는 노광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학 렌즈 제조 장치는, 렌즈 형성부(100)에 광경화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수지 주입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형성부(100)는 탄성 부재 층(110), 상/하부 몰드 층(121, 122), 도포된 수지 층(130) 및 석영판 층(140)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 층(110)은 외력에 의해 수축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본래 형상으로 돌아갈 수 있는 탄성을 가진 부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 층(110)가 렌즈 형성부(100)의 높이 방향으로 외력을 받는 경우, 탄성 부재 층(110)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탄성 부재층(110)은 고무, 합성 고무 등 탄성력을 가진 부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 층(110)은 렌즈 형성부(100)내로 주입된 광경화 수지가 누출되지 않도록 비-다공성(non-porous) 부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층(110)은 렌즈 형성부(100) 내부에서 수지가 유입되는 통로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모두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 하나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탄성 부재층(110)은 탄성 부재층 내에서 광경화 수지가 이동하는 통로의 경계를 따라 그 경계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층은, 상부 캐비티 영역 및 하부 캐비티 영역의 경계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층(110)이 수지의 이동 경로의 경계를 따라 형성되는 실시예는 도 2B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형성부(100)는 상부 몰드(121) 및 하부 몰드(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몰드(121) 및 하부 몰드(122)는 제조하고자 하는 렌즈의 형상을 따라 형성된 빈 공간으로 구성된 상부 캐비티 영역(121A) 및 하부 캐비티 영역(122B)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캐비티 영역(121A) 및 하부 캐비티 영역(122A)는 각각 광경화 수지가 주입될 수 있도록 광경화 수지가 이송되는 통로와 연결될 수 있다. 광경화 수지가 이송되는 통로는 채널(channel)로 지칭될 수 있다. 상부 캐비티 영역(121A) 및 하부 캐비티 영역(122A)과 채널이 연결되는 부분은 게이트(gate)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는 채널에 비교하여 그 단면적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몰드(121) 및 하부 몰드(122)는 투명한 매체 또는 반투명한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몰드(121) 및 하부 몰드(122)는 적어도 광경화 수지의 경화 과정을 촉진하는 파장의 빛(예를 들어, 자외선)을 투과할 수 있는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형성부(100)는 도포된 수지 층(130) 및 석영판 층(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석영판 층(140)은 유리(glass) 층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부 몰드(121) 및 하부 몰드(122)와 유사하게, 도포된 수지 층(130) 및 석영판 층(140) 또한 투명한 매체 또는 반투명한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렌즈 형성부(100)는 상부 및 하부 캐비티 영역(121A 및 122A)에 충전된 광경화 수지의 일 부분에 빛(예를 들어, 자외선)이 집중되지 않도록 하는 산란 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산란 층은 예를 들어, 석영 층(140)과 다른 층을 접착하는데 사용되는 접착제의 층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산란 층은 렌즈 형성부(100)에 도포되는 산란재의 층, 산란재 코팅 또는 산란 테이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산란 층을 더 구비하지 아니하고, 상부 몰드 또는 하부 몰드(121 및 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산란재를 분산시킬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렌즈 제조 장치에서, 렌즈 형성부의 일부 계층 구조를 상세히 본 도면이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도 2A에는 탄성 부재 층(110) 및 상/하부 몰드 층(121, 122)만이 도시되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몰드(121)에는 상부 캐비티 영역(121A)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캐비티 영역(121A)은 제조하고자 하는 렌즈의 형상을 따라 형성된 빈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상부 몰드(121)에는 또한 수지 주입부(미도시)로부터 주입되는 광 경화 수지가 유입되는 수지 주입구(121B)가 형성될 수 있다. 수지 주입구(121B)는 스프루(sprue)로 지칭될 수 있다. 도 2A에서, 수지 주입구(121B)는 상부 몰드(121)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수지 주입구(121B)는 하부 몰드(122)에 형성될 수 도 있다. 또한, 수지 주입구(121B)는 렌즈 형성부(1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도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 층(110)은 상부 몰드(121) 및 하부 몰드(12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 층(110)에는 수지 주입구(121B)를 통해 주입된 수지가 상부 캐비티 영역(121A) 또는 하부 캐비티 영역(122A)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채널(110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A는 채널(110A)이 탄성 부재 층(110)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설계 변경에 따라, 채널(110A)은 상부 몰드(121) 또는 하부 몰드(122) 등 다양한 곳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 층(110)은 광 경화 수지가 이동하는 채널 주위를 둘러싸는 하나의 층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 층(110)의 두께는 광학 렌즈 제조에 사용되는 광 경화 수지의 수축률 및 탄성 부재 층(110)을 구성하는 소재의 탄성 계수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하부 몰드(122)는 하부 캐비티 영역(122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상부 또는 하부 캐비티 영역(121A 및 122B) 들은 채널(110A)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채널(110A)을 공유함으로써, 하나의 수지 주입구(121B)를 통해 주입된 광경화 수지가 채널(110A)을 통해 둘 이상의 캐비티 영역들로 주입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렌즈 제조 장치에서, 렌즈 형성부의 일부 계층 구조를 상세히 본 도면이다.
도 2B에서, 탄성 부재 층(110)은 채널(110A)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나, 채널(110A)을 둘러싸는 부분 이외에는 탄성 부재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110A)을 둘러싸는 부분 및 상부 및 하부 캐비티 영역(121A 및 122A)의 경계를 둘러싸도록 탄성 부재 층(1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q불필요한 탄성 부재의 남용을 방지하고, 작은 외력으로도 탄성 부재 층(110)이 압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A는 도 2A에 도시된 렌즈 형성부의 일부 계층 구조의 단면도이다.
설명을 위해, 도 3A에서는 하나의 채널(110A)을 통해 두 개의 상부 및 하부 캐비티 영역(121A 및 122A)의 세트가 연결된 모습만을 도시하였다. 설명을 위해 도포된 수지 층(130) 및 석영 층(140)은 생략되었으나, 설계에 따라 이러한 계층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형성부(100)의 내부에는 수지 주입구(121B)를 통해 렌즈 형성부(100) 내부로 주입된 광 경화 수지가 충전될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 렌즈 형성부(100) 내에는 수지 주입구(121B) 및 채널(110A) 그리고 상부 및 하부 캐비티 영역(121A 및 122A)에 수지가 충전될 수 있다.
수지 주입부(미도시)가 수지 주입부(121B)를 통해 광 경화 수지를 렌즈 형성부(100) 내로 주입하면, 광 경화 수지는 채널(110A)을 통해 렌즈 형성부(110) 내에서 이송된다. 이송된 광 경화 수지는 상부 및 하부 캐비티 영역(121A 및 122A)에 충전된다. 광 경화 수지가 이송되는 채널(110A)은 탄성 부재 층(110)에 의해 둘러쌓일 수 있다.
후술할 노광 단계에서, 렌즈 형성부(100) 내에 주입된 광 경화 수지가 노광되어 경화되면, 광 중합 반응에 따라 렌즈 형성부(100) 내에 주입된 광 경화 수지의 부피는 수축된다. 다시 말해서 액체 상태의 광 경화 수지가 고체 상태로 경화되면서 전체 부피가 감소하므로, 렌즈 형성부(100) 내부의 광 경화 수지들은 그 부피가 수축된다.
광 경화 수지의 부피가 수축되면서, 렌즈 형성부(100) 내에는 보이드(void)가 형성될 수 있다. 보이드(void)는 광 경화 수지로 둘러쌓인 빈 공간을 의미하며, 광학 렌즈의 광학적 성능의 열화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보이드를 제거하거나 적어도 감소시킬 수 있는 광학 렌즈 제조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렌즈 제조 장치에서, 렌즈 형성부(110)의 일부인 탄성 부재 층(110)은 광 경화 수지의 수축 현상을 보완하여 보이드 형성을 억제할 수 있도록 외력에 의해 수축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 층(110)을 수축시키는 외력은 광 경화 수지의 부피가 수축되어 탄성 부재 층을 압착하도록 하는 힘이거나, 외부에서 상기 탄성 부재 층(110)에 길이 방향으로 가하는 압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렌즈 제조 장치는, 상기 탄성 부재 층(110)이 높이 방향으로 압착되도록 힘을 가하는 가압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 장치(미도시)는 스프링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 부재 층(110)의 두께는, 광경화 수지의 수축률,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계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광경화 수지가 경화 과정에서 수축되는 정도에 따라 광 경화 수지의 부피가 수축되면서 탄성 부재 층(110)에 가하는 외력이 계산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 층(110)을 구성하는 탄성 부재의 탄성 계수에 따라, 탄성 부재 층(110)이 적정한 정도로 압착되어 광학 렌즈 내에 보이드 형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탄성 부재 층(110)의 두께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 층(110)은 탄성 범위 내에서 약 20% 변형되도록 외력이 가해지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탄성 부재의 탄성 계수 및 광 경화 수지의 수축 정도에 따라 탄성 부재 층(110)의 두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3B는 광 경화 수지가 경화되면서 외력에 의해 탄성 부재 층(110)이 압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 층(110)이 압착되는 경우, 렌즈 형성부(110) 내에 형성된 공간의 부피는 감소된다. 광 경화 수지의 수축률에 따라 광 경화 수지의 부피가 감소하면서, 이에 대응하여 렌즈 형성부(110) 내에 형성된 공간이 감소되고, 이에 따라, 광 경화 수지의 수축 시 부피 감소에 따른 보이드 형성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렌즈 형성부(100)에 광 경화 수지가 주입되고, 상부 및 하부 캐비티 영역(121A 및 122A)에 광 경화 수지가 충전되면, 광 경화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한 노광 단계에 진입할 수 있다.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지 주입 장치(미도시)는 노광 단계에 진입되기 이전에 수지의 주입을 완료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수지 주입 장치(미도시)는 노광 단계에 진입된 이후에도, 수지 주입구(121B)를 통해 광 경화 수지를 계속 주입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 경화 수지가 노광 공정에 진입하여 경화되면, 렌즈 형성부(110) 내에 주입된 광 경화 수지의 전체 부피가 줄어든다. 탄성 부재 층(110)이 존재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광 경화 수지의 부피 감소에 따라 탄성 부재 층(110)이 압착되어 보이드 형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광학 렌즈 내 보이드 형성 확률을 더욱 감소시키기 위하여, 노광 공정에서도 광 경화 수지의 주입을 계속하여 광 경화 수지의 수축에 따른 부피 감소를 새로 주입된 광 경화 수지를 통해 보충할 수 있다.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렌즈 제조 장치에서, 렌즈 형성부의 일부 계층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몰드(121) 및 하부 몰드(122)는 상부 캐비티 영역(121A) 및 하부 캐비티 영역(122A)를 포함하는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부 몰드(121) 및 하부 몰드(122)는 상부 및 하부 캐비티 영역들(121A, 122A)을 형성하도록 위치하고, 그 외의 영역들은 상부 몰드(121) 및 하부 몰드(122)를 고정시키는 상부 판(121C) 및 하부 판(122C)이 위치할 수 있다. 즉,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판(121C) 및 하부 판(122C)에 상부 몰드(121) 및 하부 몰드(122)를 각각 수용할 수 있는 수용 홀이 형성되고, 여기에 상부 몰드(121) 및 하부 몰드(122)가 배치되어 상부 캐비티 영역(121A) 및 하부 캐비티 영역(122A)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층(121C) 및 하부 층(122C)은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층(121C) 및 하부 층(122C)이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탄성 부재 층(110)이 수축되면서, 상부 층(121C) 및 하부 층(122C)은 압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 탄성 부재 층(110)이 수축되면서 상부 층(121C) 및 하부 층(122C)에 압력을 가하고, 이에 따라 상부 층(121C) 및 하부 층(122C)이 압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부 층(121C) 및 하부 층(122C)의 수용홀에 각각 위치한 상부 몰드(121) 및 하부 몰드(122) 또한 그 간격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자외선 경화 수지가 주입된 상부 캐비티 영역(121A) 및 하부 캐비티 영역(122A)의 부피가 축소된다. 따라서, 도 3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광학 렌즈 제조 장치(100) 또한 탄성 부재 층(121C, 122C)의 도입으로 인한 전술한 효과들을 경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탄성 부재 층(110)의 사용은 선택적일 수 있다. 탄성 부재 층(110)을 포함하지 않는 렌즈 형성부(110)가 사용되는 경우, 광 경화 수지의 계속 적인 주입이 보이드 형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수지 주입구(121B)를 통해 공기가 주입될 수 있다. 수지 주입구(121B)를 통해 공기가 주입되면 렌즈 형성부(100) 내에 기 주입된 광 경화 수지들이 공기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공기에 의해 이동된 광 경화 수지들은 광 경화 수지의 수축현상으로 인한 보이드가 생길 수 있는 공간으로 이동하여, 보이드 형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A 내지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렌즈 제조 방법의 노광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렌즈 제조 방법은, 렌즈 형성부(100)에 주입된 광 경화 수지를 순차적으로 노광시킴으로써 광학 렌즈를 제조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형성부(100) 내에 일정 정도 이상 광 경화 수지가 주입되면, 광학 렌즈 제조 장치는 렌즈 형성부(100)를 선택적으로 노광하기 위한 광 차폐 마스크(150)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광학 렌즈 제조 장치는 광 차폐 마스크(150)를 렌즈 형성부(100)에 추가로 형성하기 위한 차폐 마스크 형성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 렌즈 제조 장치는 상기 상부 캐비티 영역 또는 상기 하부 캐비티 영역(121A 또는 122A)에 대응하는 위치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광 차폐 마스크(150)를 1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캐비티 영역(121A) 및 하부 캐비티 영역(122B)이 노출되는 부분에는 광 차폐 마스크(150)가 형성되지 않고, 채널(110A)이 노출되는 부분에는 광 차폐 마스크(15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A에는 상부 몰드(121) 및 하부 몰드(122)에 직접 광 차폐 마스크(150)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광 차폐 마스크(150) 와 상부 몰드(121) 및 하부 몰드(122) 사이에는 설계에 따라 추가적인 층들이 형성될 수 있다.
광 차폐 마스크(150)를 형성하는 차폐 마스크 형성기(미도시)는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광 차폐 마스크(150)는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이루어진 광 차폐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차폐 마스크 형성기(미도시)는 이러한 필름을 렌즈 형성부(100)에 임시적으로 부착시키는 장치로서 구성될 수 있다. 차폐 마스크 형성기는 1차 노광후 광 차폐 필름(150)을 제거하는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광 차폐 마스크(150)는 광원(미도시)로부터 빛을 차단할 수 있는 광 차폐 페인트(또는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차폐 마스크 형성기(미도시)는 이러한 페인트(또는 수지)를 미리결정된 패턴으로 도포하는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차폐 마스크 형성기는 도포된 페인트(또는 수지)를 렌즈 형성부(100)로부터 제거하는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미리 결정된 패턴은 상부 및 하부 캐비티 영역(121A 및 122A) 만을 광원에 노출시키고 다른 부분(예를 들어, 채널(110A) 및/또는 수지 주입구(121B))을 차단시키는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A에서는 수지 주입구(121B)가 광 차폐 마스크(150)에 의해 차폐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노광 공정에서 수지 주입구(121B)를 통해 광 경화 수지가 계속 주입되는 실시예의 경우, 수지 주입구(121B)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수지 주입구(121B)가 수지 주입 장치와 계속 연결되어 광 경화 수지가 주입될 수 있도록 수지 주입구(121B)의 적어도 일부에는 광 차폐 마스크(150)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A에서는 상부 및 하부에서 다수의 광원이 한번에 렌즈 형성부(100)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 노광 장치가 도시되었으나, 노광 장치는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광 장치는 렌즈 형성부(100)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한 면에만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노광 장치는 한 번에 렌즈 형성부(100)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서만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노광 장치가 한 번에 렌즈 형성부(100)의 전체 부분에 빛을 조사하지 못하고, 그 일부에만 빛을 조사할 수 있는 경우, 노광 장치 및 렌즈 형성부(100)는 서로 상대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노광 장치 또는 렌즈 형성부(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노광 장치 및 렌즈 형성부(100)를 상대이동하도록 하는 이송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노광 장치 및 렌즈 형성부(100)를 상대이동하도록 하는 노광 방법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노광 장치는 노광 장치에 포함된 둘 이상의 광원 중 적어도 일부를 단계적으로 점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노광 장치는 광 차폐 마스크(150)에 의해 노출된 부분에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광원을 1차적으로 먼저 점등할 수 있다. 광 차폐 마스크(150)가 제거된 이후에, 노광 장치는 나머지 광원들을 2차적으로 이후에 점등할 수 있다.
다시 도 4A로 돌아와서, 광 차폐 마스크(150)에 의해 렌즈 형성부(100)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1차 노광이 개시될 수 있다. 1차 노광에 의해 광 차폐 마스크(150)에 의해 노출된 상부 캐비티 영역(121A) 및 하부 캐비티 영역(122A)이 1차적으로 경화될 수 있다.
상부 캐비티 영역(121A) 및 하부 캐비티 영역(122A)이 1차적으로 경화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광 중합반응에 의한 수축이 시작된다. 광학 렌즈를 형성하는 상부 캐비티 영역(121A) 및 하부 캐비티 영역(122A) 내의 광 경화 수지들은 경화되면서 수축한다. 이 때, 광 차폐 마스크(150)에 의해 노광되지 않은 영역(예를 들어, 채널(110A))에는 경화되지 않은 광 경화 수지가 존재한다. 캐비티 영역들(121A, 122A) 내의 수지가 경화되면서 수축될 때, 채널(110A) 내의 광 경화 수지도 동시에 경화된다면, 캐비티 영역들(121A, 122A)로 수지가 보충될 수 없어서, 캐비티 영역들(121A, 122A)내의 경화된 수지에 보이드가 생길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러나, 광 차폐 마스크(150)를 통해 일부 영역들을 노광되지 않은 상태로 남겨놓은 경우, 캐비티 영역들(121A, 122A) 내의 광 경화 수지가 수축된 만큼 빈 공간을 노광되지 않은 영역(예를 들어 채널(110A)) 내의 광경화 수지가 이송되어 보충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추후에 광학 렌즈가 되는 캐비티 영역들(121A, 122A) 내의 광 경화 수지에 보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이드를 게이트(캐비티 영역들과 채널의 연결부분) 또는 채널에 형성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노광 단계가 종료되면, 광 차폐 마스크(150)는 렌즈 형성부(10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광 차폐 마스크(150)는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으로 렌즈 형성부(10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차폐 마스크(150)가 광 차폐 필름인 경우, 광 차폐 마스크는 광 차폐 필름을 벗겨내는 작업을 통해 물리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또는, 차폐 마스크(150)가 광 차폐 페인트(또는 수지)인 경우, 광 차폐 마스크(150)는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으로 세척되거나 긁어냄으로써, 렌즈 형성부(10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차폐 마스크(150)가 제거된 이후에는 광학 렌즈 제조 장치는 렌즈 형성부(100)를 2차 노광할 수 있다. 2차 노광에 의해 게이트, 채널 스프루에 위치한 광 경화 수지들이 모두 경화되고, 최종적으로 경화된 수지가 렌즈 형성부(100)로부터 취출될 준비가 완료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렌즈 제조 방법의 노광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광 장치 및 렌즈 형성부(100)는 서로 상대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노광 장치는 점등 되면 렌즈 형성부(100)의 적어도 일부에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노광 장치 및/또는 렌즈 형성부(100) 중 적어도 하나는 이송 장치를 포함하며, 이송 장치에 의해 서로 상대 이동할 수 있다.
도 5에는 렌즈 형성부가 수평방향으로 놓여지고, 연직 상방에 광원이 조사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광원의 빛 조사각도 및 광원의 위치는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둘 이상의 렌즈 캐비티 영역들(상부 및 하부 캐비티 영역을 포함)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렌즈 형성부(100)에 포함된 렌즈 캐비티 영역들의 높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실시예는 도 6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렌즈 제조 방법의 노광 방법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형성부(100)는 렌즈 형성부(100) 내에 형성된 둘 이상의 렌즈 캐비티 영역들이 서로 상이한 높이 레벨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는 렌즈 형성부(100)가 수직으로 세워지고, 렌즈 형성부(100)에 포함된 렌즈 캐비티 영역들이 높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형성부(100)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렌즈 형성부(100)는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렌즈 형성부(100)내의 둘 이상의 캐비티 영역들이 서로 상이한 높이 레벨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렌즈 형성부(100)는 평판 형상이 아닐 수 있으며, 렌즈 형성부(100)내의 캐비티 영역들이 상이한 높이 레벨을 가지도록 하는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높이 레벨'이라 함은 렌즈 캐비티 영역들의 연직 상방으로의 높이를 의미할 수 있다. 연직 상방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를 가진 둘 이상의 렌즈 캐비티 영역들은, 동일한 높이 레벨을 가진 것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C 영역에 포함된 렌즈 캐비티 영역들은 모두 동일한 높이 레벨을 가진 것으로 지칭될 수 있다. D 영역에 포함된 렌즈 캐비티 영역들은 모두 동일한 높이 레벨을 가진것으로 지칭될 수 있다. D 영역에 포함된 렌즈 캐비티 영역들은 C 영역에 포함된 렌즈 캐비티 영역들에 비하여 더 높은 높이 레벨을 가진 것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렌즈 제조 장치에서, 노광 장치(미도시)는 렌즈 형성부(100)와 상대이동하면서 렌즈 형성부(100) 내에 충전된 광 경화 수지들을 경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노광 장치(미도시)는 둘 이상의 렌즈 캐비티 영역들 중 더 낮은 높이 레벨을 가지는 렌즈 캐비티 영역이 먼저 노광되도록 상대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광 장치(미도시)는 C 영역에 있는 렌즈 캐비티 영역들에 먼저 빛을 조사하고, 충분한 시간이 흐른후에 D 영역에 있는 렌즈 캐비티 영역들에 빛을 조사하도록 렌즈 형성부(100)와 상대이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노광 장치(미도시)는 고정되고, 렌즈 형성부(100)가 상대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노광 장치(미도시)는 렌즈 형성부(100) 내의 렌즈 캐비티 영역들 중 가장 낮은 높이 레벨을 가지는 렌즈 캐비티 영역들 부터, 가장 높은 높이 레벨을 가지는 렌즈 캐비티 영역들 순으로 노광되도록 순차이동할 수 있다.
노광 장치(미도시) 및 렌즈 형성부(100)가 상대이동함에 있어서, 노광 장치(미도시) 및 렌즈 형성부(100)는 미리결정된 속도로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결정된 속도는 노광 장치(미도시)에 의해 현재 노광되고 있는 동일한 높이 레벨을 가지는 캐비티 영역 내의 광 경화 수지들이 경화되기에 충분한 노광 시간을 보장할 수 있도록, 충분히 느리게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노광 장치(미도시) 및 렌즈 형성부(100)는 상대 이동중에 일시 정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광 장치(미도시)에 의해 현재 노광되고 있는 동일한 높이 레벨을 가지는 캐비티 영역 내의 광 경화 수지들이 경화되기에 충분한 노광 시간을 보장할 수 있도록, 노광 장치(미도시) 및 렌즈 형성부(100)가 일정한 시간동안 상대 이동을 중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 형성부(100)에 형성된 둘 이상의 렌즈 캐비티 영역은 채널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둘 이상의 렌즈 캐비티 영역을 연결하는 채널들은, 높은 높이 레벨을 가지는 렌즈 캐비티 영역을 통해 낮은 높이 레벨을 가지는 렌즈 캐비티 영역에 수지가 주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 캐비티 영역들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보다 한 단계 더 높은 높이 레벨에 위치한 렌즈 캐비티 영역들과 채널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렌즈 캐비티 영역들은 자신보다 두 단계 이상 높은 높이 레벨에 위치한 렌즈 캐비티 영역들과도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이 레벨 D에 위치하는 렌즈 캐비티 영역들이 높이 레벨 C에 위치하는 렌즈 캐비티 영역들이 아닌, 그 보다 더 높은 높이 레벨을 가지는 다른 렌즈 캐비티 영역들과도 연결될 수 있다.
도 6에는 자신의 바로 위에 있는 렌즈 캐비티 영역들과 채널을 통해 연결되어, 연직방향으로 렌즈 캐비티 영역들의 연쇄 체인(chain)이 형성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었다. 그러나, 설계에 따라, 렌즈 캐비티 영역들은 자신의 연직 상방이 아닌 다른 위치에 위치한 렌즈 캐비티 영역들과 연결될 수 도 있다. 설계에 따라, 동일한 높이 레벨을 가지는 렌즈 캐비티 영역들을 연결하기 위한 채널이 추가로 형성될 수 도 있다.
도 6에는 직선으로 형성된 채널들이 도시되었으나, 설계에 따라 둘 이상의 렌즈 캐비티 영역들을 상호 연결하는 채널들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선형 채널, 곡선형 채널 등 다양한 형태의 채널들이 형성될 수 있다. 채널들은 두 개의 렌즈 캐비티 영역들을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필요에 따라 셋 이상의 렌즈 캐비티 영역들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렌즈 형성부(100)에 수지를 주입하는 수지 주입구는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수지 주입구는 렌즈 형성부(100)의 최상단에 형성되어, 가장 높은 높이 레벨을 가지는 렌즈 캐비티 영역들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수지 주입구는 렌즈 형성부(100)의 최상단이 아닌, 중단 부 또는 최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수지 주입구는 하나의 캐비티 영역들과 연결될 수 있다. 설계에 따라 하나의 수지 주입구와 둘 이상의 캐비티 영역들이 연결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지 주입구와 렌즈 캐비티 영역들이 원거리에 있는 경우, 수지 주입구와 렌즈 캐비티 영역들을 연결하는 연장된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지 주입구를 통해 광 경화 수지가 렌즈 형성부(100)내로 주입되면, 수지 주입부와 직접 연결된 렌즈 캐비티 영역으로 광 경화 수지가 주입된다. 렌즈 형성부(100) 내로 주입된 광 경화 수지는 수지 주입부와 연결된 렌즈 캐비티 영역과 채널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다른 렌즈 캐비티 영역을 이송될 수 있다.
렌즈 형성부(100) 내에 존재하는 렌즈 캐비티 영역들과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채널들을 통하여, 광 경화 수지가 충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노광 단계에서, 노광 장치(미도시)는 서로 상이한 높이 레벨을 가지는 둘 이상의 렌즈 캐비티 영역들 중 더 낮은 높이 레벨을 가지는 렌즈 캐비티 영역들을 먼저 노광할 수 있다.
더 낮은 높이 레벨을 가지는 렌즈 캐비티 영역들이 노광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광 중합반응으로 인한 수축반응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더 높은 높이 레벨을 가지는 렌즈 캐비티 영역은 아직 노광되지 않았고, 따라서 이러한 렌즈 캐비티 영역들에 충전된 광 경화 수지는 노광되지 않고 액체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더 높은 높이 레벨을 가지는 렌즈 캐비티 영역에 충전된 광경화 수지는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송하려고 하고, 채널을 통해 더 낮은 높이 레벨을 가지는 렌즈 캐비티 영역으로 이송할 수 있다. 더 낮은 높이 레벨을 가지는 렌즈 캐비티 영역에 존재하는 광 경화 수지의 부피가 축소되면, 더 높은 높이 레벨을 가지는 렌즈 캐비티 영역에 존재하는 광 경화 수지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이 생성되고, 생성된 공간에 유입된 광 경화 수지가 공간을 충전한다. 이로 인하여, 렌즈 캐비티 영역에 형성될 수 있는 보이드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광 장치는 D영역을 먼저 노광 시키고, 순차적으로 C 영역, 그리고 더 높은 높이 레벨을 가지는 다른 렌즈 캐비티 영역들을 노광시킬 수 있다.
순차적 노광 단계에서, 렌즈 형성부(100)에는 지속적으로 수지 주입구를 통해 수지가 주입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노광 장치가 높이 레벨이 아닌 다른 요소에 의해 노광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형성부(100) 내에 존재하는 렌즈 캐비티 영역들은 수지 입구와의 토폴로지에 의해 분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지 주입구와 직접 연결되는 렌즈 캐비티 영역들은 1 홉(hop) 거리, 수지 주입구와 렌즈 캐비티 영역 사이에 하나의 렌즈 캐비티 영역을 통해 연결되는 렌즈 캐비티 영역들은 2홉 거리, 수지 주입구와 렌즈 주입구 사이에 n 개의 렌즈 캐비티 영역을 통해 연결되는 렌즈 캐비티 영역들은 n+1 홉 거리에 있는 것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 경우, 노광 장치는 더 높은 홉 거리에 있는 렌즈 캐비티 영역들 부터 더 낮은 홉 거리에 있는 렌즈 캐비티 영역들의 순으로 노광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더 높은 홉 거리에 있는 렌즈 캐비티 영역들에서 먼저 광 경화 수지의 경화가 시작되고, 아직 경화되지 않은 상태의 수지가 더 낮은 홉 거리에 있는 렌즈 캐비티 영역들로부터 더 높은 홉 거리에 있는 렌즈 캐비티 영역들의 순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번에 동시에 노광되는 둘 이상의 렌즈 캐비티 영역들은 반드시 동일한 홉 거리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며, 수지 주입구와의 위상학적 관계에 따라, 상이한 홉 거리를 가지는 렌즈 캐비티 영역들이 동시에 노광될 수 있다.
이 경우, 노광 단계에서 수지 주입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수지가 렌즈 형성부(100) 내에 유입될 수 있으며, 수지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면서 발생하는 압력으로 인하여, 아직 경화되지 않은 상태의 수지가 더 낮은 홉 거리에 있는 렌즈 캐비티 영역들로부터 더 높은 홉 거리에 있는 렌즈 캐비티 영역들의 순으로 이동할 수 있다.
렌즈 형성부(100) 내에서 상호 연결된 렌즈 캐비티 영역의 위상 관계는 수지 주입구(121B;스프루)가 존재하는 렌즈 캐비티 영역이 아닌, 다른 렌즈 캐비티 영역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수지 주입구(121B)와 직접 연결되지 않은 임의의 렌즈 캐비티 영역이 0홉 위치에 있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임의의 렌즈 캐비티 영역(0홉)과 채널을 통해 직접 연결되어 있는 렌즈 캐비티 영역들이 1홉, 렌즈 캐비티 영역(0홉)과 렌즈 캐비티 영역 사이에 하나의 렌즈 캐비티 영역을 통해 연결되는 렌즈 캐비티 영역들은 2홉 거리에 있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렌즈 형성부(100) 내의 렌즈 캐비티 영역들은 높은 홉 수의 렌즈 캐비티 영역부터 낮은 홉 수의 렌즈 캐비티 영역 순으로 순차 노광될 수 있다. 이 경우, 낮은 홉 수를 가지는 렌즈 캐비티 영역들에 위치하는 광 경화 수지들이 높은 홉 수를 가지는 렌즈 캐비티 영역들로 이동되어, 보이드 형성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0홉으로 정의된 렌즈 캐비티 영역들은, 다른 렌즈 캐비티 영역들 보다 상대적으로 큰 부피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렌즈 캐비티 영역이 아니라, 광 경화 수지를 저장하기 위해 생성된 별도의 공간(수지 리저브(resin reserve))이 0홉으로 정의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높은 홉 수의 렌즈 캐비티 영역부터 낮은 홉 수의 렌즈 캐비티 영역 순으로 순차노광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렌즈 제조 장치(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렌즈 제조 장치(100)는 렌즈 캐비티 영역(121A, 122A)을 형성하는 상부 코어(121) 및 하부 코어(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코어(121) 및 하부 코어(122)는 원통형의 형상을 할 수 있으며, 상부 판(121C) 및 하부 판(122C)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상부 코어(121) 및 하부 코어(122)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이며, 제조하고자 하는 렌즈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상부 코어(121) 및 하부 코어(122)는 다양한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캐비티 영역(121A, 122A)을 형성하는 직 육면체, 원뿔, 반구 등 다양한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상부 판(121C) 및 하부 판(122C)은 상부 코어(121) 및 하부 코어(122)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홈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수용 홈은 상부 코어(121) 또는 하부 코어(122)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판(121C)에 형성된 수용 홈은 상부 코어(121)의 외측면을 내경으로 하는 개구(aperture)로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판(122C)에 형성된 수용 홈은 하부 코어(122)의 외측면을 내경으로하는 개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판(121C) 및 하부 판(122C)에 각각 형성된 수용홈이 상부 코어(121) 및 하부 코어(122)의 외측면에 맞추어서 형성된 개구로서 형성된 경우, 상부 코어(121) 및 하부 코어(122)는 각각 상부 판(121C) 및 하부 판(122C)에 끼워질 수 있다. 상부 판(121C) 및 하부 판(122C)은 각각 상부 코어(121) 및 하부 코어(122)를 정렬하고, 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판(121C) 및 하부 판(122C) 모두,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킬 수 있는 파장의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상부 판(121C) 및 하부 판(122C) 모두 자외선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캐비티 영역(121B) 및 하부 캐비티 영역(122B)의 광축이 정렬된 상태로 유지되기 위해, 하부 판(122C)에는 고정 기둥(미도시)이, 상부 판(121C)에는 고정 홈(미도시))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 판(121C) 및 하부 판(122C)의 상대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 기둥(미도시) 및 고정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기둥(미도시) 및 고정 홈(미도시))의 형상은 상부 판(121C) 및 하부 판(122C)을 고정시키기 위한 임의의 형상을 지닐 수 있다. 도 7에는 4개의 고정 기둥(미도시) 및 고정 홈(미도시))의 쌍이 도시되어 있으나, 임의의 수의 고정 기둥(미도시) 및 고정 홈(미도시))의 쌍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각선 방향으로 두 개의 고정 기둥(미도시) 및 고정 홈(미도시))의 쌍이 존재할 수 있다. 또는 4개 이상의 고정 기둥(미도시) 및 고정 홈(미도시))의 쌍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몰드(121) 및 하부 코어(122) 사이에는 탄성부재(110)가 존재할 수 있다. 탄성부재(110)는 상부 몰드(121) 및 하부 코어(122)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제조 장치(100)는 별도의 탄성부재(110) 또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 층을 별도로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에, 렌즈 제조 장치(100)는 상부 캐비티 영역(121B) 및 하부 캐비티 영역(122B)을 둘러싼 임의의 부분을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구성하여, 전술한 탄성 부재(110)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캐비티 영역(121B) 및 하부 캐비티 영역(122B)은, 상부 코어(121), 하부 코어(122), 게이트, 상부 판(121C)에 형성된 수용 홈의 내벽, 하부 판(122C)에 형성된 수용홈의 내벽에 의해 둘러 쌓일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렌즈 제조 장치(100)는 상부 캐비티 영역(121B) 및 하부 캐비티 영역(122B)을 둘러싸는 상부 코어(121), 하부 코어(122), 게이트, 상부 판(121C)에 형성된 수용 홈의 내벽, 하부 판(122C)에 형성된 수용홈의 내벽 중 적어도 임의의 부분을 탄성 부분(110')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부 캐비티 영역(121B) 및 하부 캐비티 영역(122B)을 둘러싼 임의의 부분이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구성된 경우, 광경화 수지가 경화 과정에서 수축되면, 탄성력이 있는 부분이 수축하면서 상부 캐비티 영역(121B) 및 하부 캐비티 영역(122B) 내의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조된 렌즈 내의 보이드(void) 발생가능성이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부분(110')은 예를 들어, 상부 코어(121) 또는 하부 코어(121)의 외측면의 연장선의 적어도 일 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코어(121) 및 하부 코어(122)는 중심축이 정렬된 상태로 상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코어(121) 또는 하부 코어(122)의 외측면을 연장하면, 상부 코어(121) 또는 하부 코어(122)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상부 코어(121) 및 하부 코어(122) 사이의 길이를 그 높이로 하는 가상의 원통형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분(110')은 상기 원통형 공간의 적어도 일 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상기 상부 코어(121) 및 하부 코어(122)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따라서, 이들의 외측면의 연장선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의 형상 또한 원통형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즉, 상부 코어(121) 또는 하부 코어(122)의 외측면의 연장선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의 형상은, 상부 코어(121) 또는 하부 코어(122)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지니고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코어(121) 또는 하부 코어(122)의 외측면의 연장선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의 형상은 다면 기둥 형상을 지닐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탄성 부분(110')은 상기 상부 코어(121) 및 하부 코어(122)사이에 존재하는 실린더 공간 중 인접한 캐비티 영역들과 연결되는 게이트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분(110')은 게이트와 러너 등 광경화 수지의 이동 경로를 둘러싸도록(emcompas) 형성될 수 있다. 즉, 탄성 부분(110')은 하부 판(122C)에서 광경화 수지가 통과하는 공간을 둘러싸도록, 하부 판(122C)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분(1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판(122C)이 연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분(110')이 하부 판(122C)과 별도로 형성되는 것은 도 2B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지닌다.
도 7에는 탄성 부분(110')이 하부 판(122C)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탄성 부분(110')은 상부 판(121C)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탄성 부분(110')이 상부 판(121C)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탄성 부분(110')은 렌즈 제조 장치(100) 내에서 광경화 수지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분(110')의 높이는 전술한 탄성부재(110)의 높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탄성 부분(110')을 구성하는 탄성을 가진 소재의 탄성력에 따라, 렌즈 제조 장치(100)에 의해 제조되는 렌즈의 보이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적절한 높이가 선택될 수 있다. 탄성 부분(110')의 높이는 상부 판(121C) 또는 하부 판(122C)으로부터 하측 또는 상측으로 돌출된 높이를 의미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탄성 부분(110')의 높이는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다. 즉 설계에 따라, 실제 탄성 부분(110')의 높이는 육안으로 관찰하기 어려운 정도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분(110')은 500 ㎛이하의 임의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탄성 부분(110')은 탄성력을 가진 임의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분(110')은 하부 판(122C)과 별도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탄성 부분(110')은 하부 판(122C)과 동일한 소재로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제조 장치(100)의 하부 판(122C)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판(122C)에는 탄성 부분(11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탄성 부분(110')은 광경화 수지가 상부 캐비티 영역(121B) 및 하부 캐비티 영역(122B)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부 판(122C) 내에서 광경화 수지가 이동하는 경로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분(110')은 전체적인 높이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제조 장치(100)의 상부 판(121C)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코어(121)는 상부 판(121C)에 수용된 수용홈에 수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경화 수지가 이동하는 이동경로(채널, 러너, 게이트 등)는 하부 판(122C)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다시 말해서, 상기 광경화 수지의 렌즈 제조 장치(100) 내 이동 통로를 하부 판(121C)에만 형성시킴으로써, 광경화 수지의 이동 통로가 파팅면(상부 판(121C) 및 하부 판(122C)이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면) 하부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제조 장치(100)의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코어(121) 및 하부 코어(122)는 각각 상부 판(121C) 및 하부 판(122C)의 수용홈에 수용되어 정렬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분(110')은 실제 렌즈가 형성되는 상부 캐비티 영역(121A) 및 하부 캐비티 영역(122A) 뿐 아니라, 광경화 수지가 통과하는 채널(110A) 주변에도 형성된다. 탄성 부분(110') 렌즈 제조 장치(100) 내부에 광경화 수지가 이동하는 통로를 빠짐없이 둘러싸도록 형성됨으로써, 광경화 수지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 부분(110')은 탄성력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므로, 상부 판(121C) 및 하부 판(122C) 사이의 제조상의 단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상부 판(121C) 및 하부 판(122C) 사이에 밀착되어 광경화 수지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광경화 수지가 수지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면, 광경화 수지가 통과하는 채널(110A), 상부 캐비티 영역(121A) 및 하부 캐비티 영역(122A)에 광경화 수지가 충진될 수 있다.
광경화 과정이 시작되면, 채널(110A), 상부 캐비티 영역(121A) 및 하부 캐비티 영역(122A)에 충진된 광경화 수지가 수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 부분(110')이 높이 방향으로 외력을 받아 함께 수축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렌즈 제조 장치(100) 내부의 수지가 충진된 부분의 부피가 감소하여, 렌즈 내의 보이드 형성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코어(121), 하부 코어(122), 상부 판(121C) 및 하부 판(122C)은 모두 광경화 수지를 경화시킬 수 있는 광을 통과시킬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코어(121), 하부 코어(122), 상부 판(121C) 및 하부 판(122C)은 모두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지 주입이 완료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렌즈 제조 장치(100)의 일부가 마스킹되어 순차 노광되거나, 렌즈 제조 장치(100)와 광원이 상대 이동하여 렌즈 제조 장치(100)내의 캐비티 영역들이 순차적으로 노광될 수 있다.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의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점 또한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예시적인 순서로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광학 렌즈 제조 장치로서,
    광학 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상부 캐비티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몰드;
    광학 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하부 캐비티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몰드; 및
    상기 상부 몰드 및 하부 몰드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광학 렌즈 제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상부 캐비티 영역 및 하부 캐비티 영역의 경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광학 렌즈 제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상부 캐비티 영역 및 하부 캐비티 영역 중 적어도 하나로 수지가 주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게이트를 포함하는,
    광학 렌즈 제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캐비티 영역 및 하부 캐비티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수지가 주입된 후에,
    상기 탄성 부재가 압착되도록 힘을 가하는 가압 장치를 더 포함하는,
    광학 렌즈 제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두께는,
    상기 광학 렌즈 제조 장치에 사용되는 광경화 수지의 수축률,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계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되는,
    광학 렌즈 제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몰드 및 상기 하부 몰드 중 적어도 하나는,
    자외선을 산란시킬 수 있는 산란제가 분산되어 있는,
    광학 렌즈 제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자외선을 산란시킬 수 있는 광학 레이어를 더 포함하는,
    광학 렌즈 제조 장치.
  8. 광학 렌즈 제조 방법으로서,
    광학 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상부 캐비티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몰드를 배치하는 단계
    광학 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하부 캐비티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몰드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몰드 및 하부 몰드 사이에 탄성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 렌즈 제조 방법.
  9. 광학 렌즈 제조 장치로서,
    광학 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상부 캐비티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코어;
    광학 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상부 캐비티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코어; 및
    상기 상부 코어 또는 상기 하부 코어의 외측면의 연장선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탄성 부분을 포함하는,
    광학 렌즈 제조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코어 또는 하부 코어를 수용하고 정렬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분은,
    상기 플레이트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광학 렌즈 제조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분은,
    상기 광학 렌즈 제조 장치 내에서 광경화 수지가 이동하는 경로를 둘러싸도록(encompass) 형성되는,
    광학 렌즈 제조 장치.
KR1020140090604A 2013-08-23 2014-07-17 광학 렌즈, 광학 렌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1504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913,495 US10173347B2 (en) 2013-08-23 2014-07-23 Optical lens, optical lens production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CN201480046739.4A CN105682907B (zh) 2013-08-23 2014-07-23 光学透镜、光学透镜制造装置以及制造方法
PCT/KR2014/006673 WO2015026065A1 (ko) 2013-08-23 2014-07-23 광학 렌즈, 광학 렌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651 2013-08-23
KR20130100651 2013-08-23
KR20130100652 2013-08-23
KR1020130100652 2013-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665A true KR20150022665A (ko) 2015-03-04
KR101504476B1 KR101504476B1 (ko) 2015-03-20

Family

ID=5302059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604A KR101504476B1 (ko) 2013-08-23 2014-07-17 광학 렌즈, 광학 렌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20140090624A KR101504477B1 (ko) 2013-08-23 2014-07-17 광학 렌즈, 광학 렌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20140090616A KR101504475B1 (ko) 2013-08-23 2014-07-17 광학 렌즈, 광학 렌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624A KR101504477B1 (ko) 2013-08-23 2014-07-17 광학 렌즈, 광학 렌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20140090616A KR101504475B1 (ko) 2013-08-23 2014-07-17 광학 렌즈, 광학 렌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73347B2 (ko)
KR (3) KR101504476B1 (ko)
CN (1) CN105682907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8764A1 (ko) * 2017-11-03 2019-05-09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라스틱 기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플라스틱 기판
WO2020218784A1 (ko) * 2019-04-25 2020-10-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회절 도광판 및 회절 도광판의 제조 방법
KR20200124997A (ko) * 2019-04-25 2020-11-04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라스틱 기판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8810B2 (en) 2003-05-28 2009-12-08 Acufocus, Inc. Mask configured to maintain nutrient transport without producing visible diffraction patterns
US10004593B2 (en) 2009-08-13 2018-06-26 Acufocus, Inc. Intraocular lens with elastic mask
CN102448404B (zh) 2009-08-13 2015-06-10 阿库福库斯公司 掩盖型眼内植入物和透镜
EP2785296B1 (en) 2011-12-02 2018-06-20 AcuFocus, Inc. Ocular mask having selective spectral transmission
US9427922B2 (en) 2013-03-14 2016-08-30 Acufocus, Inc. Process for manufacturing an intraocular lens with an embedded mask
KR102325042B1 (ko) * 2015-05-12 2021-11-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램프용 렌즈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램프용 렌즈의 제조방법
WO2017062316A1 (en) 2015-10-05 2017-04-13 Acufocus, Inc. Methods of molding intraocular lenses
EP3384342B1 (en) 2015-11-24 2021-08-25 AcuFocus, Inc. Toric small aperture intraocular lens with extended depth of focus
WO2019217471A1 (en) 2018-05-09 2019-11-14 Acufocus, Inc. Intraocular implant with removable optic
CN109556082B (zh) * 2018-12-11 2020-10-23 明朔(北京)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光学透镜
KR102375853B1 (ko) * 2019-04-25 2022-03-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회절 도광판 및 회절 도광판의 제조 방법
JP7345954B2 (ja) * 2019-08-14 2023-09-19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回折導光板および回折導光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1803A (en) * 1971-12-21 1975-03-18 Beattie Dev Company Apparatus for producing an optical molding plaque
US5185107A (en) * 1988-10-26 1993-02-09 Iovision, Inc. Fabrication of an intraocular lens
JPH0659104A (ja) * 1992-08-10 1994-03-04 Nikon Corp 非球面光学素子の製造方法
US6099764A (en) * 1999-03-19 2000-08-08 Technology Resources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 of lens casting without using a gasket
KR100561844B1 (ko) 2003-10-07 2006-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
JP4923704B2 (ja) * 2006-04-28 2012-04-25 ソニー株式会社 光学素子の成形装置および成形方法
JP2008205149A (ja) * 2007-02-20 2008-09-04 Towa Corp 発光体の形成方法及び金型
TWI397464B (zh) * 2008-10-15 2013-06-01 Asm Tech Singapore Pte Ltd 光學器件模塑系統
DE102009055080B4 (de) 2009-12-21 2019-11-14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r Struktur, Abformwerkzeug
KR101250570B1 (ko) * 2010-12-09 2013-04-03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제조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8764A1 (ko) * 2017-11-03 2019-05-09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라스틱 기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플라스틱 기판
KR20190050718A (ko) * 2017-11-03 2019-05-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라스틱 기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플라스틱 기판
US11648710B2 (en) 2017-11-03 2023-05-16 Lg Chem, Ltd. Method of manufacturing plastic substrate and plastic substrate manufactured thereby
WO2020218784A1 (ko) * 2019-04-25 2020-10-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회절 도광판 및 회절 도광판의 제조 방법
KR20200124997A (ko) * 2019-04-25 2020-11-04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라스틱 기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97107A1 (en) 2016-10-13
CN105682907A (zh) 2016-06-15
CN105682907B (zh) 2019-05-07
KR20150022666A (ko) 2015-03-04
KR101504477B1 (ko) 2015-03-20
KR101504476B1 (ko) 2015-03-20
KR101504475B1 (ko) 2015-03-20
US10173347B2 (en) 2019-01-08
KR20150022667A (ko) 2015-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4476B1 (ko) 광학 렌즈, 광학 렌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TWI439734B (zh) 透鏡模組及其製造方法
KR100938643B1 (ko) 복합렌즈 성형장치 및 방법
JP4371777B2 (ja) 樹脂硬化方法及び樹脂成型品の製造方法
KR101828822B1 (ko) 광학 렌즈 제조 장치
KR20120064203A (ko) 렌즈 성형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렌즈의 제조방법
KR100986386B1 (ko) 렌즈 유닛의 제조방법 및 렌즈 유닛 제조 장치
JPS58149008A (ja) 導光路板の製法
JP2007517253A (ja) モールドを用いた高分子光導波路の製造
WO2015026065A1 (ko) 광학 렌즈, 광학 렌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JP5753696B2 (ja) レンズ成形用型の製造方法およびレンズの製造方法
KR20110137649A (ko) 성형 장치 및 폴리머 성형물의 제조방법
KR20170125002A (ko) 광학 렌즈 제조 장치
CN101570045A (zh) 模仁制造方法
JP6650396B2 (ja) 光デバイスの製造方法及び光デバイス
KR20160107498A (ko) 광학 렌즈 제조 장치
JP2008188929A (ja) 光学素子製造方法
KR101047733B1 (ko) 렌즈 유닛의 제조방법 및 렌즈 유닛 제조 장치
US7989149B2 (en) Mold co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mold core
TWI649188B (zh) 製造透鏡之裝置和方法以及透鏡
KR101320197B1 (ko) 렌즈 성형용 금형
JPH0486707A (ja) 光導波路の製造方法
KR101178159B1 (ko) 리플로우어블 렌즈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
KR20130131662A (ko) 렌즈 제조용 금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렌즈 제조 방법
JP2006159645A (ja) 光学素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