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8386A - 다기통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 - Google Patents

다기통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8386A
KR20150018386A KR1020140094637A KR20140094637A KR20150018386A KR 20150018386 A KR20150018386 A KR 20150018386A KR 1020140094637 A KR1020140094637 A KR 1020140094637A KR 20140094637 A KR20140094637 A KR 20140094637A KR 20150018386 A KR20150018386 A KR 20150018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inlet pipe
case
bypass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9026B1 (ko
Inventor
타츠야 모리모토
켄타로 나가이
사토시 와타나베
유스케 미야타
에이지 마츠카와
케이타 나이토
신 후카다
타카시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50018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4Intake manifolds
    • F02M35/1045Intake manifolds characterised by the charge distribution between the cylinders/combustion chambers or its homoge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15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engine type
    • F02M35/10157Supercharged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09Fluid connections to the air intake system; their arrangement of pipes, valves or the like
    • F02M35/10222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PCV]; Additional air admission, lubricant or fuel vapour ad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42Devices or mean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to air intakes; Air intakes combined with other engine or vehicle parts
    • F02M35/10275Means to avoid a change in direction of incoming fluid, e.g. all intake ducts diverging from plenum chamber at acute angles; Check valves; Flame arrestors for backfire preven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4Intake manifolds
    • F02M35/108Intake manifolds with primary and secondary intake passa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각 기통의 EGR 가스의 분배율을 평준화할 수 있는, 다기통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제2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2a)의 위쪽에서, 흡기 입구관(2)의 둘레측의 제2 단측(12)으로부터 EGR 입구관(3)이 제2 단측(12)으로 향하여 도출되고, 제1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1a)의 천정으로부터 흡기 입구관(2)의 둘레벽을 따라 흡기 바이패스 케이스(4)가 상향으로 도출되고, EGR 입구관(3)과 흡기 입구관(2)을 연통하는 EGR 입구(2b)가 흡기 입구관(2)의 둘레측의 제2 단측(12)에 설치되고, 흡기 입구관(2)와 흡기 바이패스 케이스(4)를 연통하는 바이패스 케이스 입구(4a)가 EGR 입구(2b)와 대향하여, 흡기 입구관(2)의 둘레측의 제1 단측(11)에 설치되고, 흡기 바이패스 케이스(4)와 제1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1a)을 연통하는 바이패스 케이스 출구(4b)가 흡기 바이패스 케이스(4)의 바닥에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다기통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INTAKE MANIFOLD FOR MULTI-CYLINDER ENGINE}
본 발명은 다기통(多氣筒)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각 기통의 EGR 가스의 분배율을 평준화할 수 있는, 다기통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다기통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로서, 지관(枝管)이 없는 상자형(箱形)의 흡기 분배 케이스와, 흡기 분배 케이스의 길이 방향 중앙부보다도 일단(一端) 근처로 편의(偏倚)된 흡기 입구관과, 흡기 입구관에 연통된 EGR 입구관을 구비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참조).
이 종류의 흡기 매니폴드에 의하면, EGR 가스를 흡기와 함께 각 기통에 분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 종래기술에서는, EGR 입구관이 흡기 입구관만으로 흡기 분배 케이스와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특개2010-223152호 공보(도 1참조)
《문제점》 각 기통의 EGR 가스의 분포율이 평준화되지 않는다.
EGR 입구관이 흡기 입구관만으로 흡기 분배 케이스와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흡기 입구관으로부터 가까운 기통(氣筒)에 대한 EGR 가스의 분배율은 높고. 먼 기통에 대한 분배율은 낮아지며, 각 기통의 EGR 가스의 분포율이 평준화되지 않아, 배기의 청정화가 곤란하게 된다.
각 기통의 EGR 가스의 분포율이 평준화되지 않는 이유로서는, 흡기 도입 관내에서 흡기에 충분히 확산되지 않은 EGR 가스가, 흡기 분배 케이스 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흡기 입구관에 가까운 기통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흡입되어, 서서히 감소되기 때문에, 가까운 기통에는 과다(過多)의 EGR 가스가 흡입되고, 먼 기통에는 과소(過少)의 EGR 가스밖에 흡입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각 기통의 EGR 가스의 분배율을 평준화할 수 있는, 다기통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연구 결과, EGR 입구관으로부터 먼 기통 측에 흡기 바이패스 케이스를 설치하여, 이 흡기 바이패스 케이스로 먼 기통 측 EGR 가스의 분배를 촉진함으로써, 각 기통의 EGR 가스의 분포율을 평준화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발명 특정 사항은 다음과 같다.
도 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지관이 없는 상자형의 흡기 분배 케이스(1)와, 흡기 분배 케이스(1)의 길이 방향 중앙부(1a)보다도 일단 근처로 편의된 흡기 입구관(2)과, 흡기 입구관(2)에 연통된 EGR 입구관(3)을 구비한, 다기통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에 있어서,
도 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흡기 분배 케이스(1)의 천정(天井)으로부터 흡기 입구관(2)이 상향(上向)으로 도출(導出)되고, 흡기 입구관(2)과 흡기 분배 케이스(1)를 연통하는 흡기 입구관 출구(2a)가 흡기 분배 케이스(1)의 천정에 설치되고, 흡기 분배 케이스(1)의 길이 방향 양단측(兩端側)(11)(12) 중, 흡기 입구관(2)으로부터 먼 측을 제1 단측(11), 흡기 입구관(2)에 가까운 측을 제2 단측(12), 흡기 분배 케이스(1) 중, 흡기 입구관(2)보다도 제1 단측(11)의 부분을 제1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1a), 흡기 입구관(2)보다도 제2 단측(12)의 부분을 제2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2a)으로 하여,
제2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2a)의 위쪽에서, 흡기 입구관(2)의 둘레측의 제2 단측(12)으로부터 EGR 입구관(3)이 제2 단측(12)으로 향하여 도출되고, 제1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1a)의 천정으로부터 흡기 입구관(2)의 둘레벽을 따라 흡기 바이패스 케이스(4)가 상향으로 도출되고,
EGR 입구관(3)과 흡기 입구관(2)을 연통하는 EGR 입구(2b)가 흡기 입구관(2)의 둘레측의 제2 단측(12)에 설치되고, 흡기 입구관(2)과 흡기 바이패스 케이스(4)를 연통하는 바이패스 케이스 입구(4a)가 EGR 입구(2b)와 대향하여, 흡기 입구관(2)의 둘레측의 제1 단측(11)에 설치되고, 흡기 바이패스 케이스(4)와 제1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1a)을 연통하는 바이패스 케이스 출구(4b)가 흡기 바이패스 케이스(4)의 바닥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
(청구항 1에 따른 발명)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다음의 효과를 발휘한다.
《효과》 각 기통의 EGR 가스의 분배율을 평준화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EGR 입구관(3)과 흡기 입구관(2)을 연통하는 EGR 입구(2b)가 흡기 입구관(2)의 둘레측의 제2 단측(12)에 설치되고, 흡기 입구관(2)과 흡기 바이패스 케이스(4)를 연통하는 바이패스 케이스 입구(4a)가 EGR 입구(2b)와 대향하여, 흡기 입구관(2)의 둘레측의 제1 단측(11)에 설치되고, 흡기 바이패스 케이스(4)와 제1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1a)을 연통하는 바이패스 케이스 출구(4b)가 흡기 바이패스 케이스(4)의 바닥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각 기통의 EGR 가스(8)의 분배율을 평준화하여 적정화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이 상정(想定)된다.
흡기 입구관(2) 내에 도입된 EGR 가스(8)의 일부(8a)는, 흡기 입구관(2)으로부터 하강하는 흡기(9)의 일부(9a)와 함께 흡입 분배 케이스(1) 내에 유입되고, 흡기 입구관(2)에 가까운 기통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흡입되어, 서서히 감소되고, 먼 제1 단측(11)의 기통의 흡기구 입구(32)에는 과소한 EGR 가스밖에 도달되지 않지만, 흡기 입구관(2) 내에 도입된 EGR 가스(8)의 잔부(殘部)(8b)는 흡기(9)의 잔부(9b)와 함께 흡입 입구관(2) 내로부터 흡기 바이패스 케이스(4) 내를 거쳐, 먼 제1 단측(11)의 기통의 흡기구 입구(32)에 도달되기 때문에, 제1 단측(11)의 기통에는 두 경로에서 EGR 가스(8)가 공급되어, 각 기통의 EGR 가스(8)의 분배율이 평준화되고, 적정화(適正化)된다.
《효과》 흡입 매니폴드의 폭을 작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2a)의 위쪽에서, 흡기 입구관(2)의 둘레측의 제2 단측(12)으로부터 EGR 입구관(3)이 제2 단측(12)으로 향하여 도출되고, 제1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1a)의 천정으로부터 흡기 입구관(2)의 둘레벽을 따라 흡기 바이패스 케이스(4)가 상향으로 도출되므로, EGR 입구관(3)이나 흡기 바이패스 케이스(4)가 흡기 매니폴드(5)의 폭 방향으로 크게 돌출되지 않아, 흡기 매니폴드(5)의 폭을 작게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다음의 효과를 발휘한다.
《효과》 제1 단측의 기통의 배기 성능이 높아진다
도 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흡기 바이패스 케이스(4)가 폭 방향에서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폭 방향 대향 벽(4c)(4d)을 구비하고, 이 폭 방향 대향 벽(4c)(4d) 사이의 케이스 내폭(內幅)(4e)이 제2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2a)의 케이스 내폭(12b)보다도 좁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단측(11)의 기통의 배기 성능이 높아진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
상호 접근한 한쌍의 폭 방향 대향 벽(4c)(4d)으로 흡기가 가이드(guide)되어, 정류화(整流化)되므로, 난류에 의해 제1 단측(11)의 기통에서의 흡기의 소밀(疏密)이 발생되기 어렵고, 흡기 분포의 불균일에 의한 배기 가스의 악화가 억제되어, 제1 단측(11)의 기통의 배기 성능이 높아진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다음의 효과를 발휘한다.
《효과》 제1 단측의 기통의 배기 성능이 높아진다.
도 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1a)의 케이스 내폭(11b)이 제2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2a)의 케이스 내폭(12b)보다도 좁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단측(11)의 기통의 배기 성능이 높아진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
제1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1a)의 벽(11c)과, 실린더 헤드(6)의 흡기 매니폴드 설치 벽(6a)이 상호 접근되고, 이들의 벽(11c)(6a)으로 흡기가 가이드되어, 정류화되므로, 난류에 의해 제1 단측(11)의 기통에서의 흡기의 소밀이 발생되기 어렵고, 흡기 분포의 불균일에 의한 배기 가스의 악화가 억제되어, 제1 단측(11)의 기통의 배기 성능이 높아진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서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다음의 효과를 발휘한다.
《효과》 제1 단측의 기통의 배기 성능이 높아진다.
도 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바이패스 케이스 출구(4b)에 흡기 분배 케이스(1)의 길이 방향을 따른 방향의 정류판(4f)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단측(11)의 기통의 배기 성능이 높아진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
정류판(4f)으로 흡기가 가이드되어, 정류화되므로, 난류에 의해 제1 단측(11)의 기통에서 흡기의 소밀이 발생되기 어렵고, 흡기 분포의 불균일에 의한 배기 가스의 악화가 억제되어, 제1 단측(11)의 기통의 배기 성능이 높아진다.
(청구항 5에 따른 발명)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다음의 효과를 발휘한다.
《효과》 정류판이 장착 볼트의 보스 구멍으로서 유효 이용되어, 보스 구멍에 의한 흡기의 흐트러짐도 없다.
도 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정류판(4f)에 볼트 삽입통과공(揷通孔)(4g)이 형성되고, 흡기 매니폴드(5)를 실린더 헤드(6)에 장착하는 장착 볼트가 볼트 삽입통과공(4g)에 삽입 통과되어 있으므로, 정류판(4f)이 장착 볼트의 보스 구멍으로서 유효 이용되어, 보스 구멍에 의한 흡기의 흐트러짐도 없어진다.
(청구항 6에 따른 발명)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다음의 효과를 발휘한다.
《효과》 정류판이 배수 통로의 통로 벽으로 유효 이용되어, 흡입 매니폴드의 부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정류판(4f)에 배수 통로(4h)가 형성되고, 흡기 바이패스 케이스(4)와 실린더 헤드 커버(7) 사이로 진입한 물이 배수 통로(4h)로부터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정류판(4f)이 배수 통로(4h)의 통로 벽으로 유효 이용되어, 고인 물에 의한 흡기 매니폴드(5)의 부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다기통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의 일부 종단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흡기 매니폴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 2(A)는 측면도, 도 2(B)는 평면도, 도 2(C)는 도 2(A)의 C방향 화살표에서 본 도면, 도 2(D)는 도 2(A)의 D방향 화살표에서 본 도면, 도 2(E)는 흡기 바이패스 케이스의 천정 덮개의 평면도, 도 2(F)는 도 2(A)의 F-F선 단면, 도 2(G)는 도 2(A)의 G-G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흡기 매니폴드를 조립한 다기통 엔진을 후방으로부터 왼쪽 아래 방향으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엔진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엔진의 배변도이다.
도 1∼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다기통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입형(立形)의 직렬 4기통 디젤 엔진 흡기 매니폴드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엔진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13)의 상부에 실린더 헤드(6)가 조립되고, 실린더 헤드(6)의 상부에 실린더 헤드 커버(7)가 조립되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6)의 횡(橫) 일측에 흡기 매니폴드(5)가 조립되고, 실린더 헤드(6)의 횡 타측에 배기 매니폴드(15)가 조립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13)의 전방부(前部)에 전동 케이스(16)가 조립되고, 전동 케이스(16)의 전방부에 엔진 냉각 팬(17)이 배치되고, 실린더 블록(13)의 후방부(後部)에 플라이휠(18)이 배치되고, 실린더 블록(13)의 하부에 오일팬(19)이 조립되어 있다. 흡기 매니폴드(5)측에서, 실린더 블록(13)에 펌프 케이스(10)가 형성되고, 펌프 케이스(10) 내에 연료 분사 펌프(31)가 위쪽으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흡기 경로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매니폴드(15)의 상부에 과급기(20)가 조립되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과급기(20)의 콤프레셔(21)로부터 실린더 헤드 커버(7)의 위쪽까지 과급 공기 공급 파이프(22)가 도출되고, 흡기 매니폴드(15)의 흡기 입구관(2)의 상부로부터 실린더 헤드 커버(7)의 위쪽까지 과급 공기 도입 파이프(23)가 도출되고, 과급 공기 공급 파이프(22)의 도출단(導出端)과 과급 공기 도입 파이프(23)의 도출단이 실린더 헤드 커버(7)의 위쪽에서 접속되어 있다.
EGR 경로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매니폴드(15)의 아래쪽에는 EGR 쿨러(24)가 배치되고, EGR 쿨러(24)의 후단부로부터 EGR 공급 통로(25)가 도출되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 매니폴드(5)의 흡기 입구관(2)으로부터 후방으로 EGR 입구관(3)이 도출되고, EGR 입구관(3)의 후단부에 EGR밸브 케이스(26)가 장착되고, EGR 공급 통로(25)가 실린더 블록(13)의 후방을 우회하며, EGR 공급 통로(25)의 도출단부가 EGR밸브 케이스(26)에 접속되어 있다.
흡기 매니폴드(5)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관이 없는 상자형의 흡기 분배 케이스(1)와, 흡기 분배 케이스(1)의 길이 방향 중앙부(1a)보다도 일단 근처로 편의된 흡기 입구관(2)과, 흡기 입구관(2)에 연통된 EGR 입구관(3)을 구비하고 있다.
흡기 입구관(2)은 흡기 분배 케이스(1)의 길이 방향 중앙부(1a)보다도 후단 근처에 배치되고, 앞쪽에서 뒤쪽을 향하여 순서대로, 제1 기통, 제2 기통, 제3 기통, 제4 기통으로 하여, 흡기 입구관(2)은 제3 기통의 흡기구 입구(27)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 중의 부호(32)는 제1 기통의 흡기구 입구, (33)은 제2 기통의 흡기구 입구, (34)는 제4 기통의 흡기구 입구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 분배 케이스(1)의 천정으로부터 흡기 입구관(2)이 상향으로 도출되고, 흡기 입구관(2)과 흡기 분배 케이스(1)를 연통하는 흡기 입구관 출구(2a)가 흡기 분배 케이스(1)의 천정에 설치되고, 흡기 분배 케이스(1)의 길이 방향 양단측(11)(12) 중, 흡기 입구관(2)으로부터 먼 측을 제1 단측(11), 흡기 입구관(2)에 가까운 측을 제2 단측(12), 흡기 분배 케이스(1) 중, 흡기 입구관(2)보다도 제1 단측(11)의 부분을 제1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1a), 흡기 입구관(2)보다도 제2 단측(12)의 부분을 제2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2a)으로 한다. 제1 단측(11)은 앞쪽, 제2 단측(12)은 뒤쪽이다.
도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2a)의 위쪽에서, 흡기 입구관(2)의 둘레측의 제2 단측(12)으로부터 EGR 입구관(3)이 제2 단측(12)으로 향하여 도출되고, 제1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1a)의 천정으로부터 흡기 입구관(2)의 둘레벽을 따라 흡기 바이패스 케이스(4)가 상향으로 도출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GR 입구관(3)과 흡기 입구관(2)을 연통하는 EGR 입구(2b)가 흡기 입구관(2)의 둘레측의 제2 단측(12)에 설치되고, 흡기 입구관(2)과 흡기 바이패스 케이스(4)를 연통하는 바이패스 케이스 입구(4a)가 EGR 입구(2b)와 대향하여, 흡기 입구관(2)의 둘레측의 제1 단측(11)에 설치되고, 흡기 바이패스 케이스(4)와 제1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1a)을 연통하는 바이패스 케이스 출구(4b)가 흡기 바이패스 케이스(4)의 바닥에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 바이패스 케이스(4)가 폭 방향에서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폭 방향 대향 벽(4c)(4d)을 구비하고, 이 폭 방향 대향 벽(4c)(4d) 사이의 케이스 내폭(4e)이, 제2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2a)의 케이스 내폭(12b)보다도 좁게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1a)의 케이스 내폭(11b)이 제2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2a)의 케이스 내폭(12b)보다도 좁게 형성되어 있다. 바이패스 케이스 출구(4b)에 흡기 분배 케이스(1)의 길이 방향을 따른 방향의 정류판(4f)이 형성되어 있다. 정류판(4f)에 볼트 삽입통과공(4g)이 형성되고, 흡기 매니폴드(5)를 실린더 헤드(6)에 장착하는 장착 볼트가 볼트 삽입통과공(4g)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정류판(4f)에 배수 통로(4h)가 형성되고, 흡기 바이패스 케이스(4)와 실린더 헤드 커버(7) 사이로 진입한 물이 배수 통로(4h)로부터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GR 입구관(3) 내에는 체크밸브(28)가 배치되어, EGR밸브 케이스(26)측으로의 EGR 가스(8)의 역류가 방지된다. 체크밸브(28)는 리드 밸브로, 체크밸브 홀더(holder)(29)에 장착되어 있다. 체크밸브 홀더(29)는 상하 방향을 따라 절단한 입단면(立斷面)이 횡방향의 V자 형상의 상하 벽(29a)(29b)을 구비하고, 상하 벽(29a)(29b)에 밸브구(弁口)(29c)가 개구(開口)되고, 밸브구(29c)와 대향하는 위치에 스톱 밸브(28)가 장착되어 있다. 체크밸브(28)는 스토퍼 플레이트(stopper plate)(30)로 덮여져, 스토퍼 플레이트(30)에 의한 체크밸브(28)의 받침으로, 체크밸브(28)의 손상이 방지된다.
흡기 매니폴드(5)의 각 부(部)의 형상은 다음과 같다.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 분배 케이스(1)는 전후로 긴 직사각형 의 상자형으로,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1a)의 횡폭은 제2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2a)의 횡폭보다도 좁다. 흡기 바이패스 케이스(4)는 전후로 긴 직사각형의 상자형으로 바닥은 제1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1a)과 연통되고, 위쪽은 개구되고, 천정 덮개(4i)로 막혀진다. 흡기 바이패스 케이스(4)의 횡폭은 제2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2a)의 횡폭보다도 좁다. 제2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2a)의 전방에서, 제1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1a)과 흡기 바이패스 케이스(4)를 따른 공간(11d)에는,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펌프 케이스(10)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한 연료 분사 펌프(31)의 상단부나 연료 분사관(31a)이 배치되고, 연료 분사 펌프(31)나 연료 분사관(31a)의 횡측으로의 돌출이 억제된다.
도 2(B)와 같이 공기 흡입관(2)은 원통형으로 상단(上端)에 플랜지(2c)가 형성되고, 여기세 과급 공기 도입 파이프(23)가 장착된다. EGR 입구관(3)은 실린더 헤드 커버(7)로부터 멀어지는 비스듬한 후방 방향으로 도출되는 직사각형 관이다.
(1) 흡기 분배 케이스
(1a) 길이 방향 중앙부
(2) 흡기 입구관
(2a) 흡기 입구관 출구
(2b) EGR 입구
(3) EGR 입구관
(4) 흡기 바이패스 케이스
(4a) 바이패스 케이스 입구
(4b) 바이패스 케이스 출구
(4c) 폭 방향 대향 벽
(4d) 폭 방향 대향 벽
(4e) 케이스 내폭
(4f) 정류판
(4g) 볼트 삽입통과공
(4h) 배수 통로
(5) 흡입 매니폴드
(6) 실린더 헤드
(7) 실린더 헤드 커버
(11) 제1 단측
(11a) 제1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
(11b) 케이스 내폭
(12) 제2 단측
(12a) 제2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
(12b) 케이스 내폭

Claims (6)

  1. (枝管)이 없는 상자형(箱形)의 흡기 분배 케이스(1)와, 흡기 분배 케이스(1)의 길이 방향 중앙부(1a)보다도 일단 근처로 편의(偏倚)된 흡기 입구관(2)과, 흡기 입구관(2)에 연통된 EGR 입구관(3)을 구비한, 다기통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에 있어서,
    흡기 분배 케이스(1)의 천정(天井)으로부터 흡기 입구관(2)이 상향(上向)으로 도출(導出)되고, 흡기 입구관(2)과 흡기 분배 케이스(1)를 연통하는 흡기 입구관 출구(2a)가 흡기 분배 케이스(1)의 천정에 설치되고, 흡기 분배 케이스(1)의 길이 방향 양단측(兩端側)(11)(12) 중, 흡기 입구관(2)으로부터 먼 측을 제1 단측(11), 흡기 입구관(2)에 가까운 측을 제2 단측(12), 흡기 분배 케이스(1) 중, 흡기 입구관(2)보다도 제1 단측(11)의 부분을 제1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1a), 흡기 입구관(2)보다도 제2 단측(12)의 부분을 제2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2a)으로 하여,
    제2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2a)의 위쪽에서, 흡기 입구관(2)의 둘레측의 제2 단측(12)으로부터 EGR 입구관(3)이 제2 단측(12)으로 향하여 도출되고, 제1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1a)의 천정으로부터 흡기 입구관(2)의 둘레벽을 따라 흡기 바이패스 케이스(4)가 상향으로 도출되고,
    EGR 입구관(3)과 흡기 입구관(2)을 연통하는 EGR 입구(2b)가 흡기 입구관(2)의 둘레측의 제2 단측(12)에 설치되고, 흡기 입구관(2)과 흡기 바이패스 케이스(4)를 연통하는 바이패스 케이스 입구(4a)가 EGR 입구(2b)와 대향하여, 흡기 입구관(2)의 둘레측의 제1 단측(11)에 설치되고, 흡기 바이패스 케이스(4)와 제1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1a)을 연통하는 바이패스 케이스 출구(4b)가 흡기 바이패스 케이스(4)의 바닥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
  2. 제1항에 있어서,
    흡기 바이패스 케이스(4)가 폭 방향에서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폭 방향 대향 벽(4c)(4d)을 구비하고, 이 폭 방향 대향 벽(4c)(4d) 사이의 케이스 내폭(4e)이 제2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2a)의 케이스 내폭(12b)보다도 좁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
  3. 제2항에 있어서,
    제1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1a)의 케이스 내폭(11b)이 제2 단측 분배 케이스 부분(12a)의 케이스 내폭(12b)보다도 좁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이패스 케이스 출구(4b)에 흡기 분배 케이스(1)의 길이 방향을 따른 방향의 정류판(4f)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
  5. 제4항에 있어서.
    정류판(4f)에 볼트 삽입통과공(4g)이 형성되고, 흡기 매니폴드(5)를 실린더 헤드(6)에 장착하는 장착 볼트가 볼트 삽입통과공(4g)에 삽입 통과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정류판(4f)에 배수 통로(4h)가 형성되고, 흡기 바이패스 케이스(4)와 실린더 헤드 커버(7) 사이로 진입한 물이 배수 통로(4h)로부터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엔진 흡기 매니폴드.
KR1020140094637A 2013-08-09 2014-07-25 다기통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 KR1021690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66373 2013-08-09
JP2013166373A JP5978177B2 (ja) 2013-08-09 2013-08-09 多気筒エンジンの吸気マニホル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386A true KR20150018386A (ko) 2015-02-23
KR102169026B1 KR102169026B1 (ko) 2020-10-22

Family

ID=52499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637A KR102169026B1 (ko) 2013-08-09 2014-07-25 다기통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978177B2 (ko)
KR (1) KR102169026B1 (ko)
CN (1) CN1043435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1336B (zh) * 2017-10-26 2020-07-10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空气滤清器的进气结构
JP6536654B2 (ja) * 2017-11-07 2019-07-03 マツダ株式会社 多気筒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7103932B2 (ja) * 2018-12-27 2022-07-20 株式会社クボタ 吸気マニホルド
JP7049986B2 (ja) * 2018-12-28 2022-04-07 株式会社クボタ 吸気マニホルド
JP7103934B2 (ja) * 2018-12-31 2022-07-20 株式会社クボタ 吸気マニホルド
JP7099950B2 (ja) * 2018-12-31 2022-07-12 株式会社クボタ 吸気マニホルド
CN111561409B (zh) * 2020-07-14 2020-11-20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Egr管及发动机
CN113606068B (zh) * 2021-08-23 2022-09-23 义乌吉利动力总成有限公司 进气歧管、进气系统和汽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6474A (ja) * 1997-01-14 1998-07-28 Daihatsu Motor Co Ltd 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JP2007211698A (ja) * 2006-02-09 2007-08-23 Yanmar Co Ltd Egr装置
CN101598089A (zh) * 2008-06-04 2009-12-09 爱三工业株式会社 进气歧管
JP2010223152A (ja) 2009-03-25 2010-10-07 Kubota Corp 多気筒エンジン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6549B2 (ja) * 2007-03-15 2012-03-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多気筒内燃機関の吸気マニホルド
JP4853480B2 (ja) * 2008-02-28 2012-01-11 株式会社デンソー 吸気装置
JP4977675B2 (ja) * 2008-09-29 2012-07-18 株式会社クボタ 多気筒エンジン
FR2973446B1 (fr) * 2011-03-31 2015-08-21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injection de gaz d'echappement recircules, boitier repartiteur et module d'alimentation comprenant ledit dispositif
JP5884132B2 (ja) * 2011-10-13 2016-03-15 株式会社やまびこ エンジンの吸気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6474A (ja) * 1997-01-14 1998-07-28 Daihatsu Motor Co Ltd 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JP2007211698A (ja) * 2006-02-09 2007-08-23 Yanmar Co Ltd Egr装置
CN101598089A (zh) * 2008-06-04 2009-12-09 爱三工业株式会社 进气歧管
JP2010223152A (ja) 2009-03-25 2010-10-07 Kubota Corp 多気筒エンジ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78177B2 (ja) 2016-08-24
CN104343591B (zh) 2018-06-26
CN104343591A (zh) 2015-02-11
JP2015034526A (ja) 2015-02-19
KR102169026B1 (ko) 202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8386A (ko) 다기통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
US9133741B2 (en) Freeze prevention arrangement for PCV channel and intake manifold
JP2004245148A (ja) 内燃機関のブローバイガス還流装置
WO2013021779A1 (ja) 内燃機関のegr装置
JP2017031964A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KR20180059876A (ko) 엔진 장치
US20150082772A1 (en) Engine
US20170284348A1 (en) Air intake apparatus
JP5504198B2 (ja) エンジン
JP5478436B2 (ja) エンジンのブローバイガス還流装置
JP4614203B2 (ja) 内燃機関のポジティブクランクケースベンチレーションシステム
CN106640443B (zh) 可导流曲轴箱通风气体的进气歧管
JP2002106429A (ja) エンジンの吸気系構造
JP5096190B2 (ja) 排気ガス還流システム
US10954844B2 (en) Common rail water jacket
JP6131794B2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2016121540A (ja) 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JP6025582B2 (ja) 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JP2015068190A (ja) 車両用エンジンの吸気マニホールド構造
JP2017106339A (ja) 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JPH04342864A (ja) 内燃機関のブリーザ室配置構造
JP2020097918A (ja) ブローバイガス還流装置
JP2012067728A (ja) エンジンのブローバイガス還流装置
CN201025155Y (zh) 一种水冷内燃机曲轴箱的边盖
JP2012057574A (ja) エンジンのブローバイガス還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