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5706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15706A KR20150015706A KR1020130091397A KR20130091397A KR20150015706A KR 20150015706 A KR20150015706 A KR 20150015706A KR 1020130091397 A KR1020130091397 A KR 1020130091397A KR 20130091397 A KR20130091397 A KR 20130091397A KR 20150015706 A KR20150015706 A KR 201500157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tub
- evaporator
- duct
- processing apparatu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과, 상기 터브의 후방 외주면에 위치하며 상기 터브 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덕트와, 상기 터브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터브에서 상기 공기를 공급하는 배출덕트와, 상기 흡입덕트와 상기 배출덕트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부가 위치하는 연결덕트와, 상기 연결덕트와 상기 배출덕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히트펌프를 이용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히트펌프의 열교환 구조를 개선하여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킨 히트펌프를 이용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통상적인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전용 의류처리장치와, 건조기능을 포함하는 건조겸용 의류처리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 여기서 세탁전용 의류처리장치는 세제의 유화작용과 펄세이터 또는 드럼의 회전에 따른 수류의 마찰작용 및 세탁물에 가하는 충격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및 침구 등에 부착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제품이다. 최근에 등장하는 전자동 세탁장치는 중간에 사용자의 조작없이 세탁코스, 헹굼코스, 탈수코스 등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코스을 자동으로 진행한다.
또한, 건조겸용 의류처리장치는 상술한 세탁전용 의류처리장치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세탁물을 세탁 후 건조할 수 있는 세탁기의 일종이다.
건조겸용 의류처리장치는 고온의 공기(열풍)를 의류에 공급하는데 공기의 유동방식에 근거하여 배기식과 순환식(응축식) 의류처리장치로 분류될 수 있다.
배기식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수용부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되 의류수용부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순환시키지 않고 의류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식이다.
순환식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저장된 의류수용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되, 의류수용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제습)하여 가열한 뒤 의류수용부에 재공급하는 구조이다.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순환식 건조겸용 의류처리장치를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식 건조겸용 의류처리장치(1)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2) 및 투입구(12)를 개폐하는 도어(14)가 구비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20)와, 터브(2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건조대상물인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40)과, 터브(20)로 건조 공기를 공급하여 세탁물을 건조하는 공기공급장치(50)를 구비한다.
여기서, 공기공급장치(50)는 터브(20)로부터 생성된 습기를 함유한 공기가 응축될 수 있도록 터브(20)의 외부에 형성되는 응축덕트(51)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응축덕트(51)의 하류측에 연결되어 히터(56)에 의해 공기를 가열하여 터브(20)의 내부로 제공하는 가열덕트(54)와, 터브(20)의 공기가 응축덕트(51) 및 가열덕트(54)를 따라 순환되도록 하는 송풍팬(53)을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건조 겸용 의류처리장치(1)는 세탁물의 건조시 송풍팬(53)에 이동되는 공기가 가열덕트(54)에 마련되는 히터(56)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 공기는 터브(20)의 내측으로 공급되어 드럼(40)의 회전과 열풍에 의해 세탁물을 건조한다. 이후 세탁물을 건조한 가열 공기는 세탁물의 건조에 따라 습한 공기로 변환되고 터브(20)에서 응축덕트(51)로 유입되어 응축덕트(51)에서 습기가 제거된다.
여기서, 응축덕트(51)에는 습한 공기를 응축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냉각수가 공급된다. 한편 응축덕트(51)로 유입된 공기는 송풍팬(53)에 의해 다시 가열덕트(54)로 공급되며,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공기가 순환되도록 마련된다.
한편, 상술한 응축덕트(51)의 경우 송풍팬(53)의 송풍 용량과 공기의 원할한 유동을 고려하여 파이프 형태로 마련되며, 응축덕트(51)의 내부면에서 습한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습한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응축시켜 습기를 제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응축덕트(51)로 유입되는 습한 공기에서 수분을 응축하기 위해서는 세탁물의 건조가 진행되는 과정 중에 지속적으로 냉각수를 대량으로 공급하여야 한다.
한편, 종래의 건조겸용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공기공급장치(50)는 의류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송풍팬(53), 송풍팬(53)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덕트(54)로 구비되었다.
즉, 종래 의류처리장치(1)는 공기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가열덕트(54) 이전에 송풍팬(53)이 위치되어 있어 의류수용부(즉 터브)에서 인출된 공기는 송풍팬(53) 및 가열덕트(54)를 순차적으로 거친 후 의류수용부로 재공급되는 방식이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겸용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세탁물의 건조시 사용자의 선택과는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냉각수의 사용을 원하지 않을 경우에도 냉각수를 사용할 수밖에 없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냉각수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겸용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송풍팬(53)이 가열덕트(54) 전단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송풍팬(53)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가 히터(56)의 일부영역에만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가열덕트(54)의 히터(56)에서 열교환되는 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안출된 것으로,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가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송풍팬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가 공기공급장치의 열교환 영역에 전영역을 통과되도록 하여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공급장치의 건조덕트에 구비되는 열교환기 구조를 개선하여 건조덕트를 통과하는 공기의 열교환 효율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열교환기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도록 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를 설치 위치를 개선하여 외형적 부피를 감소시키고, 최소화가 가능하도록 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과, 상기 터브의 후방 외주면에 위치하며 상기 터브 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덕트와, 상기 터브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터브에서 상기 공기를 공급하는 배출덕트와, 상기 흡입덕트와 상기 배출덕트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부가 위치하는 연결덕트와, 상기 연결덕트와 상기 배출덕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덕트, 상기 연결덕트, 상기 배출덕트는 상기 터브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공기의 제습 및 가열을 수행하는 히트펌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덕트에는 상기 열교환부에서 제습되는 상기 공기의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공기를 제습하여 응축수를 생성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과 상기 증발기를 연결하며 모세관을 구비하는 팽창변과, 상기 연결덕트의 외부에 구비되며 냉매관을 통해 상기 증발기, 상기 응축기 및 상기 팽창변 사이의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팽창변의 모세관은 상기 증발기의 하부의 위치하며 상기 응축수에 의해 냉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축기과 상기 증발기를 연결하는 상기 냉매관의 일부는 상기 증발기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축기의 면적은 상기 증발기의 면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공기를 제습하여 응축수를 생성하는 증발영역 및 상기 증발영역을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응역이 형성되는 방열핀과, 상기 증발영역을 통과하는 증발관과, 상기 응축영역을 통과하는 응축관과, 상기 응축관과 상기 증발관을 연결하며 모세관을 구비하는 팽창변과, 상기 연결덕트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증발관, 상기 응축관 및 상기 팽창변 사이의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팽창변의 모세관은 상기 증발영역의 하부의 위치하며 상기 응축수에 의해 냉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축관의 일부는 상기 증발기의 하부에 연결된 후 상기 팽창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축영역의 면적은 상기 증발영역의 면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에 따르면 히트펌프를 이용하는 공기공급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의류처리장치의 외형적 부피를 감소시키고, 최소화가 가능하도록 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에 따르면 히트펌프를 이용하는 공기공급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공기공급 구조 및 공기 가열구조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에 따르면 히트펌프를 이용하는 공기공급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히트펌프의 열교환기를 공기의 이동경로를 개선함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에 따르면 히트펌프를 이용하는 공기공급장치를 사용함과 동시에 공기공급장치의 열교환기를 일체화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태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공기공급장치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태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공기공급장치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의류, 세탁물에는 옷, 의복뿐만 아니라, 신발, 양말, 장갑, 모자 등과 같이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대상을 포함하며, 세탁물을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태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0), 캐비닛(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물이 저장되는 의류수용부, 의류수용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160)로 구비된다.
캐비닛(110)은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114), 캐비닛(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투입구(114)를 개폐하는 도어(115)를 포함한다. 투입구(114)의 상부에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작동을 위한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112)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내역이 표시되는 표시부(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되는 컨트롤 패널(111)이 구비된다.
여기서, 입력부(112)는 버튼이나 로터리놉의 형태로 컨트롤 패널(111)에 구비되며, 의류처리장치에 설정된 세탁이나 건조를 위한 프로그램(세탁코스, 건조코스), 세탁시간, 세탁수의 양, 열풍공급시간 등의 제어명령을 제어부(미도시)에 입력시키는 수단이다.
그리고, 표시부(113)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코스 명 등),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의류처리장치(100)가 동작함으로써 발생되는 정보(잔여시간 등)를 표시하는 수단이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세탁물의 건조만을 위한 건조기로 구비될 경우, 의류수용부는 캐비닛(1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150)만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세탁물의 세탁과 건조를 동시에 수행 가능한 장치로 구비될 경우, 의류수용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120) 및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저장되는 드럼(150)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브(120)와 드럼(150)이 모두 구비된 의류수용부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120)는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캐비닛(110)의 내부에 별도의 서스팬션(미도시)에 의해 지지되거나 고정된다. 또한, 터브(120)의 전면에는 캐비닛(110)의 투입구(114)에 대응되는 위치로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터브개구부(122)가 구비된다.
여기서, 터브개구부(122)와 투입구(114) 사이에는 가스켓(130)이 구비되는데, 가스켓(130)은 터브(120) 내부에 저장된 세탁수가 터브(120)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드럼(150)의 회전 시 터브(120)에 발생된 진동이 캐비닛(11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가스켓(130)은 고무와 같은 진동절연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터브(120)는 도 3에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10)이 지지되는 지면에 나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지면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터브(120)가 지면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될 경우 터브(120)의 경사각은 90도 미만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터브(120)의 원주면 상부에는 터브(12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홀(123)이 구비되며, 터브(120)의 하부에는 터브(120) 내부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시키는 배수부(124)가 구비된다.
그리고, 공기배출홀(123)은 터브(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터브(120)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에 대해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공기배출홀(123)의 위치는 드럼(150)의 회전 시 터브(120) 내부의 공기가 공기배출홀(123)을 통해 터브(120)에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드럼(150)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터브(120) 내부에 위치하며, 터브(120)의 외부에 구비된 모터(140)에 의해 터브(120) 내부에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모터(140)는 터브(120)의 배면에 고정된 스테이터(141), 스테이터(141)와 전자기적 작용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142), 터브(120)의 배면을 관통하여 드럼(150)의 배면과 로터(142)를 연결하는 회전축(152)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드럼(150)에는 투입구(114) 및 터브개구부(122)에 연통하는 드럼개구부(151)가 구비되므로 사용자는 투입구(114)를 통해 드럼(150) 내부에 세탁물을 투입할 수도 있고, 드럼(150) 내부에 저장된 세탁물을 캐비닛(110)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세탁물의 세탁 및 건조가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경우, 캐비닛(110) 내부에는 터브(120)로 공급되는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공급부(1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세제공급부(180)는 캐비닛(110)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drawer) 형태로 구비되는 저장부(181)(도 5참고), 저장부(181)에 저장된 세제를 터브(120) 내부로 안내하는 세제공급관(182)(도 5참고), 컨트롤 패널(111)의 일측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저장부(181)를 캐비닛(110)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부 핸들(183)로 구비될 수 있다.
저장부(181)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외부에 구비된 급수원(미도시)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데 급수원을 통해 저장부(181)로 물이 공급되면 저장부(181) 내부의 세제는 물과 함께 세제공급관(182)을 통해 터브(120)로 공급된다.
공기공급장치(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터브(120) 내부에서 인출된 공기를 터브(120)의 전방면(투입구(114)가 위치된 방향에 형성된 터브의 일면)으로 안내하는 순환유로(162, 163, 168), 순환유로(162, 163, 168) 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부(200, 300), 터브(12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167)을 포함한다.
순환유로(162, 163, 168)는 터브(120)의 후방에서 인출된 공기가 터브(120)의 전방면을 통해 터브(120) 내부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도 4는 공기가 터브(120)의 원주면 상부 후방에서 공기가 인출되고, 터브(120)의 원주면 상부 전방을 통해 터브(120)에 공기를 배출시키는 순환유로(162, 163, 168)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순환유로(162, 163, 168)는 터브(120)에 구비된 공기배출홀(123)에 고정된 흡입덕트(162), 흡입덕트(162)와 송풍팬(167)을 연결하며 열교환부(200, 300)가 고정되는 연결덕트(163), 송풍팬(167)과 가스켓(130)을 연결하는 배출덕트(168)로 구비될 수 있다.
흡입덕트(162)는 터브(120)의 원주면 후방에 위치한 공기배출홀(123)을 통해 터브(120) 내부의 공기가 인출되는 유로로 흡입덕트(162)는 진동절연부재(고무 등, 미도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진동절연부재는 드럼(150)의 회전시 터브(120)로 전달된 진동이 흡입덕트(162)를 통해 연결덕트(163) 및 열교환부(200, 3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터브(120)로 전달된 진동이 연결덕트(163) 및 열교환부(200, 300)로 전달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흡입덕트(162)에는 주름관(bellows)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주름관은 흡입덕트(162)의 전체 영역에 구비될 수도 있고, 흡입덕트(162)의 일부 영역(예, 연결덕트(163)의 결합부위)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배출덕트(168)는 송풍팬(167)를 통해 연결덕트(163)에서 배출된 공기를 터브(120) 내부로 안내하는 수단으로 일단은 송풍팬(167)에 고정되고 타단은 가스켓(130)에 구비된 덕트연결홀(131)에 연결된다.
드럼(150)의 회전시 터브(120)로 전달된 진동이 배출덕트(168)를 통해 송풍팬(167)나 연결덕트(163)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켓(130)과 배출덕트(16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진동절연부재(또는 탄성부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송풍팬(167)은 열교환부(200, 300)와 배출덕트(168) 사이에 구비되므로 본 발명에 구비된 송풍팬(167)은 열교환부(200, 300)의 전방에 양압(정압, positive pressure)을 발생시켜 공기가 열교환부(200, 300)를 통과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열교환부(200, 300)의 후방에 음압(부압, negative pressure)을 발생시켜 공기가 열교환부(200, 300)를 통과되도록 한다.
여기서, 송풍팬(167)이 열교환부(200, 300)의 전방에 양압을 발생시켜 공기가 열교환부(200, 300)를 통과되도록 하면 연결덕트(163) 내부의 공기 중 일부는 열교환부(200, 300)로 쉽게 이동되지만 일부는 열교환부(200, 300)로 쉽게 이동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송풍팬(167)에서 토출된 공기의 대부분은 열교환부(200, 300)를 향해 용이하게 이동되지만 송풍팬(167)에서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연결덕트(163)의 형상이나 송풍팬의 구조에 따라 열교환부(200, 300)로 빨리 이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송풍팬(167)이 열교환부(200, 300) 이전에 위치하여 열교환부(200, 300)를 향해 공기를 강제 송풍하는 구조(열교환부(200, 300) 전방에 양압을 형성하는 구조)에서는 연결덕트(163)의 단면을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연결덕트(163)의 위치에 따라 일정하지 않아 열교환 효율이 낮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 구비된 송풍팬(167)는 열교환부(200, 300)와 터브의 전방면에 연결되는 배출덕트(168) 사이에 위치(공기가 열교환부(200, 300) 및 송풍팬(167)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므로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공급장치(160)의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부(200, 300)와 배출덕트(168) 사이에 송풍팬이 위치되어 열교환부(200, 300)의 후방에 음압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열교환부(200, 300)의 후방에 음압이 발생되면 연결덕트(163)를 따라 열교환부(200, 300)로 이동하는 공기의 양은 연결덕트(163)의 단면 전체에 걸쳐 일정해지므로 송풍팬(167)이 열교환부(200, 300) 선단에 위치하는 구조에 비해 공기와 열교환부(200, 300)의 열교환 효율이 높아 건조효율이 높은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원 발명의 공기공급장치(160)는 히트펌프에 의해 공기를 가열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공기공급장치(160)에 히트펌프로 구비될 경우 히트펌프의 열교환부(증발기 및 응축기)는 연결덕트(163) 내부에 고정되고, 히트펌프의 압축기(165)는 연결덕트(163)의 외부에 구비된다. 히트펌프의 주요 구성 중 열교환부(200, 300)에 대해서는 히트펌프의 설명을 완료한 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순환유로(162, 163, 168)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120)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대각선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압축기(165)는 터브(120) 상부에 위치된 공간 중 순환유로(162, 163, 168)와 캐비닛(1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터브(120)의 외주면 상부에 형성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의류처리장치(100)의 높이나 부피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공기공급장치(160)는 공기를 여과함으로써 열교환부(200, 300)에 린트와 같은 이물질이 적층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170)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10)을 통해 연결덕트(163)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연결덕트(163)에는 필터부(170)의 이동을 안내하는 필터가이드(164)가 형성된다. 캐비닛(110)에는 필터부(170)가 관통할 수 있는 필터착탈공(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 세제공급부(180)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필터착탈부는 캐비닛(110)을 관통하도록 구비되거나 컨트롤 패널(111)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르게는 세제공급부(180)가 구비되는 경우라면, 필터착탈부는 세제공급부(180)(바람직하게는 컨트롤 패널(111)과 나란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음)와 컨트롤 패널(111)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되 캐비닛(110)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필터착탈부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상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필터부가 의류처리장치(100)의 하부에 위치된 경우에 비해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필터부(170)를 의류처리장치(100)에서 분리 가능하므로 사용자 편의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필터가이드(164)는 필터탈착부(119)와 연결덕트(163)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필터탈착부(119)로 삽입된 필터부(170)가 흡입덕트(162)와 열교환부(200, 300)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한편, 필터부(170)는 필터가 구비되는 필터프레임(171)과 필터부를 인/입출하기 위한 손잡이(172)를 포함한다. 또한, 필터프레임(171)과 손잡이(172) 사이에는 손잡이에 대하여 필터프레임(171)이 유동 가능하도록 탄성부재 또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탄성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173)는 필터착탈부와 연결덕트(163)가 캐비닛(110)의 전방면에 대해 수직한 직선과 나란하게 배치되지 못할 경우 필터프레임(171)을 연결덕트(163)에 착탈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첨부한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장치(160)의 열교환부(200)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장치(160)의 열교환부(200)는 히트펌프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여 공급한다. 히트펌프는 압축기(165), 응축기(240), 팽창변(230), 증발기(220)를 구비하며 압축기에 의해 냉매가 압축기(165), 응축기(240), 팽창변(230), 증발기(220)를 순환하면서 공기를 가열한다.
여기서, 증발기(220) 및 응축기(240)는 연결덕트(163) 내부에 위치한다. 한편, 증발기(220) 및 응축기(240)가 구비되는 연결덕트(163)는 터브(120)의 원주면 상부에 위치되고, 증발기(220) 및 응축기(240)는 연결덕트(163)의 내부에 터브(120)의 축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증발기(220)가 위치되는 공간과 응축기(240)가 위치되는 공간이 터브(120)의 원주면 차이에 의해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즉, 증발기(220)가 고정되는 부위의 연결덕트(163) 높이는 응축기(240)가 고정되는 부위의 연결덕트(163) 높이에 비해 낮을 수 있다.
터브(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연결덕트(163)의 너비가 일정할 경우, 증발기(220) 및 응축기(240)가 구비되는 공간의 높이가 서로 다르면 어느 하나의 열교환 용량에 의해 다른 하나의 열교환 용량이 제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구비되는 증발기(220)와 응축기(240)의 면적비는 1:1.3 내지 1:1.6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교환부는 증발기(220), 응축기(240) 및 팽창변(230)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증발기(220)는 냉매가 이동되는 증발관(224)과, 증발관(224)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다수의 증발핀(222)으로 구성된다. 응축기(240)는 냉매가 이동되는 응축관 응축관(244)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다수의 응축핀(24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증발기(220), 응축기(240) 및 팽창변(230)의 구조의 경우 일반적인 증발기(220), 응축기(240) 및 팽창변(230)과 유사함으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단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경우 응축기(240)의 응축관(244) 및 팽창변(230)의 배치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응축기(240)의 응축관(244) 및 팽창변(230)의 배치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한다.
먼저, 응축기(240)의 경우 압축기(165)에서 공급되는 냉매가 공급되는 응축관(244)이 응축핀(242)에 지그재그 형태로 삽입되며, 증발기(220)의 경우 응축기(240)를 통과한 냉매가 이동되는 증발관(224)이 증발핀(222)에 지그재그 형태로 삽입된다.
또한, 압축기(165), 응축관(244), 팽창변(230), 증발관 사이에는 냉매의 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166)이 연결된다. 여기서, 응축관(244)과 팽창변(230) 사이에 연결되는 냉매관(166)의 일부는 증발기(220)를 통과한 후 팽창변(230)과 연결된다.
즉, 증발기(220)의 증발핀(222)의 하부에는 응축관(244)과 팽창변(230) 사이에 연결되는 냉매관(166)이 지그재그형태로 삽입되는 1차 냉각부(CP1)가 형성된다. 1차 냉각부(CP1)의 경우 증발기(220)의 증발핀(222) 하부에 위치하며, 응축관(244)에서 팽창변(230)으로 이동되는 냉매를 예비적으로 냉각하여 팽창변(230)에서 증발기(220)로 이동되는 냉매의 증발잠열을 크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1차 냉각부(CP1)로 연장된 냉매관(166)은 팽창변(230)으로 연결된다. 팽창변(230)은 응축기(240)에서 증발기(220)로 이동되는 냉매의 압력을 저온 저압으로 형성하기 위한 모세관(232)이 구비된다. 여기서, 팽창변(230)의 모세관(232)은 증발기(220)의 증발핀(222) 하부에 위치한다.
한편, 증발기(220)의 증발핀(222)에서는 냉매의 상변화에 따라 증발기(220)를 통과하는 습한 공기가 냉각되면서 응축수가 생성되며, 증발핀(222)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자중에 의해 증발핀(222)의 하부로 이동되며 증발핀(222)의 하부에서 팽창변(230)의 모세관(232)으로 낙하되면서 모세관(232)을 냉각하게 된다. 여기서, 증발기(220)에서 생성되는 응축수에 의해 모세관(232)이 냉각되는 부분을 2차 냉각부(CP2)라 칭한다.
여기서, 팽창변(230)의 경우 냉매가 증발기(220)로 이동될 때 증발기(220)로 이동된 냉매가 저온 저압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증발기(220)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2차 냉각부(CP2)에 낙하되면서 모세관(232)의 온도를 더욱 낮아지게 되며 모세관(232)을 통과하는 냉매의 온도를 더욱 낮게하여 증발기(220)로 이동되는 냉매의 증발잠열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연결덕트(163) 내부를 이동하는 공기의 습기는 증발기(2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각되면서 응축수로 전환되며, 응축수는 팽창변(230)의 모세관(232)을 냉각시키고 연결덕트(163)에 잔류하게 된다.
여기서, 응축수가 연결덕트(163) 내부에 잔류하게 되면 연결덕트 내부의 구성을 부식시키거나, 이동 중인 공기와 혼합되어 건조 중인 세탁물에 공급될 수 있으므로 연결덕트(163) 내부에 잔류하는 응축수를 열교환부(200)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를 연결덕트(163)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열교환부(200)와 배수부(124) 또는 터브(120)를 결하는 배수유로(미도시)가 일례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공기공급장치(160)에 구비되는 힌트펌프의 압축기(165)는 냉매관(166)을 통해 열교환부(200)에 연결되며 냉매는 압축기(165)에 의해 응축기(240), 팽창변(230), 증발기(220) 사이를 순환하게 된다. 동시에 공기공급장치(160)의 송풍팬(167)이 작동되면서 터브(120)의 공기를 순환유로(흡입덕트(162), 연결덕트(163), 열교환부(200), 배출덕트(168))를 통하여 순환된다.
여기서, 냉매는 압축기(165)에서 압축되어 열교환부(200)의 응축기(240)로 공급되어 순환되는 공기를 가열하고, 응축기(240)를 통과한 냉매는 증발기(220)로 이동되어 증발기(220)에서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한다.
여기서, 공기의 이동경로 상에는 증발기(220)가 먼저 위치하고, 응축기(240)가 나중에 위치한다. 따라서 터브(120)와 공기공급장치(160)를 순환하는 공기의 이동경로에서 터브(120)에서 흡입된 공기의 습기가 증발기(220)에서 먼저 제거되고, 습기가 제거된 공기가 응축기(240)를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터브(120)로 다시 공급된다.
여기서, 응축기(240)의 응축관(244)으로 공급되어 공기를 가열한 냉매는 응축관(244)에 연결된 냉매관(166)을 통하여 증발기(220)의 증발핀(222)에 형성된 1차 냉각부(CP1)로 이동된다. 1차 냉각부(CP1)로 이동된 냉매는 증발핀(222)과의 온도 차이에 의해 1차적으로 냉각이 진행되며, 냉매관(166)을 통하여 팽창변(230)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팽창변(230)으로 이동된 냉매는 팽창변(230)의 모세관(232)을 통과하면서 고압의 냉매로 전환되어 증발기(220)의 증발관(224)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팽창변(230)의 모세관(232)의 경우 증발기(220)의 증발핀(222) 하부에 형성되는 2차 냉각부(CP2)에 위치하며, 증발핀(222)에서 2차 냉각부(CP2)로 낙하되는 응축수는 2차 냉각부(CP2)에 위치하는 모세관(232)을 추가적으로 냉각한다. 따라서 2차 냉각부(CP2)에 위치하는 팽창변(230)의 모세관(232)의 경우 기존의 모세관의 위치보다 모세관을 통과하는 냉매를 과냉시킬 수 있다.
한편, 팽창변(230)을 통과한 냉매는 증발기(220)의 증발관(224)으로 이동되며, 증발관(224)에서 증발핀(222)의 열을 빼앗아 기화되면서 증발핀(222)을 냉각시키며, 증발핀(222)을 통과하는 공기의 포함된 습기를 응축하여 건조한 공기로 전환시킨다.
이후 건조한 공기로 전환된 공기는 응축기(240)를 통과하면서 가열되여 터브(120)로 공급되어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200)에 따르면 냉매가 팽창변(230)으로 이동하기 이전에 증발기(220)의 1차 냉각부(CP1)로 이동되어 1차 냉각되며, 팽창변(230)의 모세관(232)으로 이동되었을 때 모세관(232)의 위치가 증발기(220)의 하부에 위치하는 2차 냉각부(CP2)에 위치하여 냉매가 추가적인 냉각이 진행됨으로 증발기(220)로 이동되는 냉매의 증발잠열을 증대시킬 수 있어 열교환부(200)의 효율을 증대 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장치(160)의 열교환부(300)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300)는 기존의 증발기 및 응축기로 분리되어 형성된 구성을 일체화하여 열교환부(300)의 생산성 및 열효율을 향상시킨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300)는 기존의 증발기 역할을 수행하는 증발영역(322)과, 기존의 응축기 역할을 수행하는 응축영역(325)이 구분되는 방열핀(320)과, 증발영역(322)에 지그재그형태로 삽입되는 증발관(324), 응축영역(325)에 지그재그 형태로 삽입되는 응축관(326) 및 증발영역(322)의 하부에 위치하는 팽창변(330)을 구비한다.
여기서, 방열핀(3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증발영역(322)와 응축영역(325)으로 구분되며, 증발영역(322)과 응축영역(325)의 사이에는 증발영역(322)과 응축영역(325) 사이의 열전도율을 낮추기 위하여 다수의 절개부(미도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장치(160)의 열교환부(300)는 히트펌프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여 공급한다. 히트펌프는 압축기(165), 증발기와 응축기 기능을 수행하는 열교환부(300) 및 팽창변(330)을 구비하며 압축기(165)에 의해 냉매가 압축기(165), 열교환부(300), 팽창변(330), 열교환부(300)를 순환하면서 공기를 가열한다.
여기서, 증발영역(322) 및 응축영역(325)이 형성되는 방열핀(320)은 연결덕트(163) 내부에 위치한다. 한편, 방열핀(320)이 구비되는 연결덕트(163)는 터브(120)의 원주면 상부에 위치되고, 방열핀(320)의 증발영역(322) 및 응축영역(325)은 연결덕트(163)의 내부에 터브(120)의 축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증발영역(322)이 위치되는 공간과 응축영역(325)아 위치되는 공간이 터브(120)의 원주면 차이에 의해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즉, 증발영역(322)이 형성되는 부위의 연결덕트(163) 높이는 응축영역(325)이 형성되는 부위의 연결덕트(163) 높이에 비해 낮을 수 있다.
여기서 터브(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연결덕트(163)의 너비가 일정할 경우, 증발영역(322) 및 응축영역(325)이 구비되는 공간의 높이가 서로 다르면 어느 하나의 열교환 용량에 의해 다른 하나의 열교환 용량이 제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방열핀(320)에 구비되는 증발영역(322)과 응축영역(325)의 면적비는 1:1.3 내지 1:1.6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응축영역(325)의 경우 압축기(165)에서 공급되는 냉매가 공급되는 응축관(326)이 지그재그 형태로 삽입되며, 증발영역(322)의 경우 응축영역(325)을 통과한 냉매가 이동되는 증발관(324)이 지그재그 형태로 삽입된다.
또한, 압축기(165), 응축관(326), 팽창변(330), 증발관(324) 사이에는 냉매의 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166)이 연결된다. 여기서, 응축관(326)과 팽창변(330) 사이에 연결되는 냉매관(166)의 일부는 증발영역(322)을 통과한 후 팽창변(330)과 연결된다.
한편, 응축관(326)과 팽창변(330) 사이에 연결되는 냉매관(166)은 증발영역의 하부 일측에 지그재그형태로 삽입되어 1차 냉각부(CP1)를 형성한다. 1차 냉각부(CP1)의 응축관(326)에서 팽창변(330)으로 이동되는 냉매를 예비적으로 냉각하여 팽창변(330)에서 증발영역(322)으로 이동되는 냉매의 증발잠열을 크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1차 냉각부(CP1)로 연장된 냉매관(166)은 팽창변(330)으로 연결된다. 팽창변(330)은 응축영역(325)에서 증발영역(322)으로 이동되는 냉매의 압력을 저온 저압으로 형성하기 위한 모세관(332)이 구비된다. 여기서, 팽창변(330)의 모세관(332)은 증발영역(322)의 하부에 위치한다.
한편, 증발영역(322)에서는 냉매의 상변화에 따라 증발영역(322)를 통과하는 습한 공기가 냉각되면서 응축수가 생성되며, 증발영역(322)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자중에 의해 증발영역(322)의 하부로 이동되며 증발영역(322)의 하부에서 팽창변(330)의 모세관(332)으로 낙하되면서 모세관(332)을 냉각하게 된다. 여기서, 증발영역(322)에서 생성되는 응축수에 의해 모세관(332)이 냉각되는 부분을 2차 냉각부(CP2)라 칭한다.
여기서, 팽창변(330)의 경우 냉매가 증발영역(322)로 이동될 때 증발영역(322)로 이동된 냉매가 저온 저압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증발영역(322)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2차 냉각부(CP2)에 낙하되면서 모세관(332)의 온도를 더욱 낮아지게 되며 모세관(332)을 통과하는 냉매의 온도를 더욱 낮게하여 증발영역(322)로 이동되는 냉매의 증발잠열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연결덕트(163) 내부를 이동하는 공기의 습기는 증발영역(32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각되면서 응축수로 전환되며, 응축수는 팽창변(330)의 모세관(332)을 냉각시키고 연결덕트(163)에 잔류하게 된다.
여기서, 응축수가 연결덕트(163) 내부에 잔류하게 되면 연결덕트(163) 내부의 구성을 부식시키거나, 이동 중인 공기와 혼합되어 건조 중인 세탁물에 공급될 수 있으므로 연결덕트(163) 내부에 잔류하는 응축수를 연결덕트(163)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를 연결덕트(163)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연결덕트(163)와 배수부(124) 또는 터브(120)를 결하는 배수유로(미도시)가 일례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공기공급장치(160)에 구비되는 힌트펌프의 압축기(165)는 냉매관(166)을 통해 열교환부(300)에 연결되며 냉매는 압축기(165)에 의해 응축영역(325), 팽창변(330), 증발영역(322) 및 사이를 순환하게 된다. 동시에 공기공급장치(160)의 송풍팬(167)이 작동되면서 터브(120)의 공기를 순환유로(흡입덕트(162), 연결덕트(163), 열교환부(300)(구체적으로는 응축영역(325), 증발영역(322)), 배출덕트(168)를 통하여 순환된다.
여기서, 냉매는 압축기(165)에서 압축되어 방열핀(320)의 응축영역(325)으로 공급되어 순환되는 공기를 가열하고, 응축영역(325)을 통과한 냉매는 증발영역(322)으로 이동되어 증발영역(322)에서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한다.
여기서, 공기의 이동경로 상에는 증발영역(322)가 먼저 위치하고, 응축영역(325)이 나중에 위치한다. 따라서 터브(120)와 공기공급장치(160)를 순환하는 공기의 이동경로에서 터브(120)에서 흡입된 공기의 습기가 증발영역(322)에서 먼저 제거되고, 습기가 제거된 공기가 응축영역(325)을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터브(120)로 다시 공급된다.
여기서, 응축영역(325)의 응축관(326)으로 공급되어 공기를 가열한 냉매는 응축관(326)에 연결된 냉매관(166)을 통하여 증발영역(322)에 형성된 1차 냉각부(CP1)로 이동된다. 1차 냉각부(CP1)로 이동된 냉매는 증발영역(322)과의 온도 차이에 의해 1차적으로 냉각이 진행되며, 냉매관(166)을 통하여 팽창변(330)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팽창변(330)으로 이동된 냉매는 팽창변(330)의 모세관(332)을 통과하면서 고압의 냉매로 전환되어 증발영역(322)의 증발관(324)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팽창변(330)의 모세관(332)의 경우 증발영역(322)의 하부에 형성되는 2차 냉각부(CP2)에 위치하며, 증발영역(322)에서 2차 냉각부(CP2)로 낙하되는 응축수는 2차 냉각부(CP2)에 위치하는 모세관(332)을 추가적으로 냉각한다. 따라서 2차 냉각부(CP2)에 위치하는 팽창변(330)의 모세관(332)의 경우 기존의 모세관(332)의 위치보다 모세관(332)을 통과하는 냉매를 과냉시킬 수 있다.
한편, 팽창변(330)을 통과한 냉매는 증발영역(322)의 증발관(324)으로 이동되며, 증발관(324)에서 증발영역(322)의 열을 빼앗아 기화되면서 증발영역(322)을 냉각시키며, 증발영역(322)을 통과하는 공기의 포함된 습기를 응축하여 건조한 공기로 전환시킨다.
이후 건조한 공기로 전환된 공기는 응축영역(325)를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터브(120)로 공급되어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300)에 따르면 냉매가 팽창변(330)으로 이동하기 이전에 증발영역(322)의 1차 냉각부(CP1)로 이동되어 1차 냉각되며, 팽창변(330)의 모세관(332)으로 이동되었을 때 모세관(332)의 위치가 증발영역(322)의 하부에 위치하는 2차 냉각부(CP2)에 위치하여 냉매가 추가적인 냉각이 진행됨으로 증발영역(322)으로 이동되는 냉매의 증발잠열을 증대시킬 수 있어 열교환부(300)의 효율을 증대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2)
-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과,
상기 터브의 후방 외주면에 위치하며 상기 터브 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덕트와,
상기 터브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터브에서 상기 공기를 공급하는 배출덕트와,
상기 흡입덕트와 상기 배출덕트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부가 위치하는 연결덕트와,
상기 연결덕트와 상기 배출덕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덕트, 상기 연결덕트, 상기 배출덕트는 상기 터브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공기의 제습 및 가열을 수행하는 히트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덕트에는 상기 열교환부에서 제습되는 상기 공기의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공기를 제습하여 응축수를 생성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과 상기 증발기를 연결하며 모세관을 구비하는 팽창변과,
상기 연결덕트의 외부에 구비되며 냉매관을 통해 상기 증발기, 상기 응축기 및 상기 팽창변 사이의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변의 모세관은 상기 증발기의 하부의 위치하며 상기 응축수에 의해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과 상기 증발기를 연결하는 상기 냉매관의 일부는 상기 증발기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의 면적은 상기 증발기의 면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공기를 제습하여 응축수를 생성하는 증발영역 및 상기 증발영역을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응역이 형성되는 방열핀과,
상기 증발영역을 통과하는 증발관과,
상기 응축영역을 통과하는 응축관과,
상기 응축관과 상기 증발관을 연결하며 모세관을 구비하는 팽창변과,
상기 연결덕트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증발관, 상기 응축관 및 상기 팽창변 사이의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변의 모세관은 상기 증발영역의 하부의 위치하며 상기 응축수에 의해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관의 일부는 상기 증발기의 하부에 연결된 후 상기 팽창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영역의 면적은 상기 증발영역의 면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1397A KR102127383B1 (ko) | 2013-08-01 | 2013-08-01 | 의류처리장치 |
PCT/KR2014/006926 WO2015016571A1 (en) | 2013-08-01 | 2014-07-29 | Laundry machine |
US14/905,492 US10883220B2 (en) | 2013-08-01 | 2014-07-29 | Laundry machine |
EP14832024.5A EP3027800B1 (en) | 2013-08-01 | 2014-07-29 | Laundry machine |
CN201480032004.6A CN105283598B (zh) | 2013-08-01 | 2014-07-29 | 洗衣机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1397A KR102127383B1 (ko) | 2013-08-01 | 2013-08-01 | 의류처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5706A true KR20150015706A (ko) | 2015-02-11 |
KR102127383B1 KR102127383B1 (ko) | 2020-06-26 |
Family
ID=52432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91397A KR102127383B1 (ko) | 2013-08-01 | 2013-08-01 | 의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0883220B2 (ko) |
EP (1) | EP3027800B1 (ko) |
KR (1) | KR102127383B1 (ko) |
CN (1) | CN105283598B (ko) |
WO (1) | WO2015016571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56526A1 (ko) * | 2018-02-12 | 2019-08-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물 처리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648721A (zh) * | 2015-12-07 | 2016-06-08 |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 洗干一体机 |
KR102532471B1 (ko) * | 2016-02-17 | 2023-05-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운전방법 |
US20170342646A1 (en) * | 2016-05-31 | 2017-11-30 | Wuxi Little Swan Co., Ltd. | Clothes dryer or washer-dryer |
DE102016213321A1 (de) * | 2016-07-21 | 2018-01-25 | BSH Hausgeräte GmbH | Filtereinsatz und Gerät zum Behandeln von Wäsche |
KR20180014615A (ko) * | 2016-08-01 | 2018-02-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EP3467187B1 (en) | 2017-10-09 | 2021-12-22 | Whirlpool Corporation | Filter configured for being used in a machine for drying laundry and machine for drying laundry equipped with such a filter |
US10774463B2 (en) * | 2018-03-14 | 2020-09-15 |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 Dryer appliance |
WO2020064255A1 (en) * | 2018-09-26 | 2020-04-02 | Arcelik Anonim Sirketi | A heat pump dishwasher with reduced energy consumption |
US10995448B2 (en) | 2019-09-27 | 2021-05-04 | Whirlpool Corporation |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a condenser |
JP7360899B2 (ja) * | 2019-10-30 | 2023-10-13 |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 ドラム式洗濯機 |
KR20210077523A (ko) * | 2019-12-17 | 2021-06-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34495A (ko) * | 2002-10-16 | 2004-04-28 |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 세탁 건조기 |
JP2006075217A (ja) * | 2004-09-07 | 2006-03-23 | Sanyo Electric Co Ltd | 乾燥機 |
KR20120099073A (ko) * | 2009-12-01 | 2012-09-06 | 부디 할얀토 | 에너지 절약형 친환경 다목적 에어컨 |
Family Cites Families (3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603489A (en) * | 1984-10-05 | 1986-08-05 | Michael Goldberg | Heat pump closed loop drying |
DE4409607C2 (de) * | 1993-04-21 | 2002-03-14 | Miele & Cie | Kondensationswäschetrockner mit einer Wärmepumpe |
JP2004116899A (ja) * | 2002-09-26 | 2004-04-1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ヒートポンプ式乾燥機 |
CN100334290C (zh) * | 2003-08-07 | 2007-08-29 | 三洋电机株式会社 | 烘干机 |
CN100436700C (zh) * | 2003-12-08 | 2008-11-26 |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 衣物干燥装置 |
EP1716375A1 (en) * | 2004-02-19 | 2006-11-02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Heat pump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JP2005253588A (ja) * | 2004-03-10 | 2005-09-22 | Sanyo Electric Co Ltd | 乾燥機 |
JP4286712B2 (ja) * | 2004-05-06 | 2009-07-01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衣類乾燥機 |
JP4266903B2 (ja) * | 2004-09-07 | 2009-05-27 | 三洋電機株式会社 | 洗濯乾燥機 |
DE102005014842B8 (de) | 2004-10-19 | 2012-03-22 | Lare Luft- und Kältetechnik Apparate und Regelsysteme GmbH | Temperatur- und Druckausgleich von Wärmetauschern in Wäschetrocknern und ähnlichen Wärmepumpensystemen |
JP2007082831A (ja) | 2005-09-22 | 2007-04-0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ドラム式洗濯乾燥機 |
JP4888025B2 (ja) * | 2006-10-05 | 2012-02-29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乾燥装置 |
DE102007002181B3 (de) * | 2007-01-15 | 2008-08-21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Kondensationstrockner mit einer Wärmepumpe |
JP4889545B2 (ja) * | 2007-03-30 | 2012-03-07 | 三洋電機株式会社 | 乾燥装置及びこの装置を備えた洗濯乾燥機 |
JP2009006126A (ja) * | 2007-05-31 | 2009-01-15 | Panasonic Corp | 衣類乾燥装置 |
JP4979540B2 (ja) | 2007-10-31 | 2012-07-18 | ヤマザキマザック株式会社 | 複合加工旋盤 |
EP2058427A1 (en) * | 2007-11-06 | 2009-05-13 | BSH Electrodomésticos España, S.A. | Household appliance having a heat pump unit and means for cooling a component thereof |
CN102066640B (zh) | 2008-06-18 | 2013-05-29 |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 滚筒式洗涤干燥机 |
CN101713141B (zh) * | 2008-09-30 | 2011-12-07 | 三洋电机株式会社 | 热泵式干燥机 |
EP2189568B1 (en) * | 2008-11-21 | 2012-01-04 |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 Laundry washing and drying machine |
JP5443120B2 (ja) * | 2009-10-16 | 2014-03-19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衣類乾燥機および洗濯乾燥機 |
EP2495362B1 (en) * | 2009-10-27 | 2017-10-11 | Panasonic Corporation | Clothes dryer and washer/dryer |
JP5232134B2 (ja) * | 2009-12-28 | 2013-07-10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衣類乾燥機および洗濯乾燥機 |
EP2385163B1 (en) * | 2010-05-03 | 2016-10-05 |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 A laundry machine with an integrated heat pump system |
JP2012125352A (ja) * | 2010-12-14 | 2012-07-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衣類乾燥機 |
EP2489775A1 (en) * | 2011-02-18 | 2012-08-22 |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 A heat pump laundry dryer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heat pump laundry dryer |
EP2489774B1 (en) * | 2011-02-18 | 2015-06-17 |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 A heat pump laundry dryer |
EP2612963B1 (en) * | 2012-01-05 | 2016-03-30 |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 Appliance for drying laundry |
EP2612965B1 (en) * | 2012-01-05 | 2018-04-25 |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 Appliance and method for drying laundry |
EP2612966B1 (en) * | 2012-01-05 | 2017-08-23 |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 Appliance for drying laundry |
EP2612964B1 (en) * | 2012-01-05 | 2015-03-04 |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 Appliance for drying laundry |
EP2690212B1 (en) * | 2012-07-23 | 2016-11-09 | Whirlpool Corporation | A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drying machine with heat pump system and laundry drying machine controlled by such method |
KR101989522B1 (ko) * | 2012-10-22 | 2019-09-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건조기 |
US9879372B2 (en) * | 2013-06-18 | 2018-01-3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lothes dryer |
-
2013
- 2013-08-01 KR KR1020130091397A patent/KR10212738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
- 2014-07-29 EP EP14832024.5A patent/EP3027800B1/en active Active
- 2014-07-29 US US14/905,492 patent/US10883220B2/en active Active
- 2014-07-29 WO PCT/KR2014/006926 patent/WO201501657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7-29 CN CN201480032004.6A patent/CN105283598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34495A (ko) * | 2002-10-16 | 2004-04-28 |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 세탁 건조기 |
JP2006075217A (ja) * | 2004-09-07 | 2006-03-23 | Sanyo Electric Co Ltd | 乾燥機 |
KR20120099073A (ko) * | 2009-12-01 | 2012-09-06 | 부디 할얀토 | 에너지 절약형 친환경 다목적 에어컨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56526A1 (ko) * | 2018-02-12 | 2019-08-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물 처리장치 |
US11427954B2 (en) | 2018-02-12 | 2022-08-30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027800A4 (en) | 2017-02-01 |
US20160153135A1 (en) | 2016-06-02 |
EP3027800A1 (en) | 2016-06-08 |
CN105283598B (zh) | 2017-03-15 |
WO2015016571A1 (en) | 2015-02-05 |
KR102127383B1 (ko) | 2020-06-26 |
US10883220B2 (en) | 2021-01-05 |
EP3027800B1 (en) | 2022-10-12 |
CN105283598A (zh) | 2016-0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015706A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150442B1 (ko) | 의류 처리장치 | |
KR101414635B1 (ko) | 의류처리장치 | |
US8863405B2 (en) | Clothes dryer | |
EP2725133A2 (en) | Laundry machine | |
TWI289621B (en) | Drum type washing/drying machine | |
EP2990524B1 (en) | Heat pump laundry dryer | |
KR102364673B1 (ko)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US10968560B2 (en) | Dryer | |
WO2014017004A1 (ja) | 衣類乾燥機 | |
JP2021525557A (ja) | タンブル乾燥機 | |
JP5990772B2 (ja) | 衣類乾燥機 | |
KR20220161115A (ko) | 의류처리장치 | |
EP3294943B1 (en)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
JP2002239284A (ja) | パルセーター方式の乾燥洗濯機 | |
KR20210080039A (ko) | 의류 건조기 | |
KR20210020445A (ko) | 의류 처리 장치 | |
KR20150024552A (ko) | 의류 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KR20190128529A (ko) | 의류 처리 장치 | |
KR20190131258A (ko) | 의류 처리장치 | |
KR20140095740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180104352A (ko)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US12071721B2 (en) | Laundry dryer | |
KR102017695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995429B1 (ko) | 의류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